본문 바로가기

개념원리연구소

개념원리 고등 수학 ( 상 ) 답지 (2019)

반응형

더보기

수학 (상) 정답과 풀이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01~018_1단원(확)_ok.indd 1 2018-09-03 오후 5:02:39 Ⅰ. 다항식 1 ⑴ -3xÜ`+3xÛ`+(-2y+zÛ`)x+4yÛ`z ⑵ 3xÛ`+xzÛ`-3xÜ`-2xy+4zyÛ` 4 7A-3{B+(2A-C)}-4C =7A-3(B+2A-C)-4C =7A-3B-6A+3C-4C =A-3B-C =(x+3xÛ`+4-7xÝ`)-3(-6xÛ`+8xÜ`+1) = x+3xÛ`+4-7xÝ`+18xÛ`-24xÜ`-3 -(9xÝ`-3xÜ`-1+4x) -9xÝ`+3xÜ`+1-4x =-16xÝ`-21xÜ`+21xÛ`-3x+2 -16xÝ`-21xÜ`+21xÛ`-3x+2 5 2A-X=3(A-B)에서 2A-X=3A-3B ∴ X =-A+3B =-(xÛ`-2xy+3yÛ`)+3(2xÛ`-yÛ`) =-xÛ`+2xy-3yÛ`+6xÛ`-3yÛ` =5xÛ`+2xy-6yÛ` 5xÛ`+2xy-6yÛ` 6 A-B=2xÛ`+3x-4 A+2B=5xÛ`-6x+2 ㉡-㉠을 하면 3B=3xÛ`-9x+6 ∴ B=xÛ`-3x+2 ㉠에서 yy ㉠ yy ㉡ A =B+(2xÛ`+3x-4) =xÛ`-3x+2+2xÛ`+3x-4=3xÛ`-2 ∴ 3A-2B =3(3xÛ`-2)-2(xÛ`-3x+2) =9xÛ`-6-2xÛ`+6x-4 =7xÛ`+6x-10 7xÛ`+6x-10 7 ⑴ (2abÛ`)Û`_(-aÛ`b) =4aÛ`bÝ`_(-aÛ`b) =-4aÝ`bÞ` ⑵ (4xÜ`yÛ`)Ü`Ö(2xyÜ`)Û` =64xá`yß`Ö4xÛ`yß`=16xà` 2 ⑴ A+2B =-xÜ`+2xÛ`+4x-5+2(2xÜ`-5xÛ`+6x-1) =-xÜ`+2xÛ`+4x-5+4xÜ`-10xÛ`+12x-2 =3xÜ`-8xÛ`+16x-7 ⑵ B-2A =2xÜ`-5xÛ`+6x-1-2(-xÜ`+2xÛ`+4x-5) =2xÜ`-5xÛ`+6x-1+2xÜ`-4xÛ`-8x+10 =4xÜ`-9xÛ`-2x+9 ⑶ A+B+2(A-3B) =A+B+2A-6B =3A-5B = 3(-xÜ`+2xÛ`+4x-5)-5(2xÜ`-5xÛ`+6x-1) =-3xÜ`+6xÛ`+12x-15 -10xÜ`+25xÛ`-30x+5 =-13xÜ`+31xÛ`-18x-10 ⑷ 2B-3A-3(A+2B) =2B-3A-3A-6B =-6A-4B =-6(-xÜ`+2xÛ`+4x-5) -4(2xÜ`-5xÛ`+6x-1) =6xÜ`-12xÛ`-24x+30-8xÜ`+20xÛ`-24x+4 =-2xÜ`+8xÛ`-48x+34 풀이 참조 3 ㈎ 결합법칙, ㈏ 교환법칙, ㈐ 결합법칙 2 Ⅰ. 다항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01~018_1단원(확)_ok.indd 2 2018-07-31 오후 7:25:26 ⑶ (aÛ`bÜ`c)Ü`_(bcÛ`)Ü`Ö(ac)Ý` =aß`bá`cÜ`_bÜ`cß`ÖaÝ`cÝ` =aß`bÚ`Û`cá`ÖaÝ`cÝ` =aÛ`bÚ`Û`cÞ` 9 (1+x-3xÛ`+xÜ`)Û` =(1+x-3xÛ`+xÜ`)(1+x-3xÛ`+xÜ`) ⑷ 16xÜ`_(-2yz)Û`Ö(xy)Û` =16xÜ`_4yÛ`zÛ`ÖxÛ`yÛ` 이 식의 전개식에서 =64xÜ`yÛ`zÛ`ÖxÛ`yÛ` xÝ` 항은 =64xzÛ` x_xÜ`+(-3xÛ`)_(-3xÛ`)+xÜ`_x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⑸ 4xÜ`yÛ`Ö(2xÛ`y)Û`_(-2xÜ`yÛ`)Ü` =4xÜ`yÛ`Ö4xÝ`yÛ`_(-8xá`yß`) = _(-8xá`yß`) ;[!; =-8x¡`yß` ⑹ aÛ`b } Ü`Ö(aÜ`b)Û`_ { - bÛ` } ;2!; Ü` {;3@; = aß`bÜ`Öaß`bÛ`_ { - bß` } ;8!; ;2¥7; = b_ { - bß` } ;8!; ;2¥7; =- bà` ;2Á7; ⑴ -4aÝ`bÞ` ⑵ 16xà` ⑶ aÛ`bÚ`Û`cÞ` ⑷ 64xzÛ` ⑸ -8x¡`yß` ⑹ - 1 27 bà` 8 ⑴ 2xy(xÛ`-xy+3yÛ`)=2xÜ`y-2xÛ`yÛ`+6xyÜ` ⑵ (x+1)(2x-5) =2xÛ`-5x+2x-5 =2xÛ`-3x-5 ⑶ (x-2)(xÛ`+x+4) =xÜ`+xÛ`+4x-2xÛ`-2x-8 =xÜ`-xÛ`+2x-8 ⑷ (xÛ`-2xy+3y)(x-2y) =xÜ`-2xÛ`y-2xÛ`y+4xyÛ`+3xy-6yÛ` =xÜ`-4xÛ`y+4xyÛ`+3xy-6yÛ` ⑸ (2xÛ`-x+3)(3xÛ`-2) =6xÝ`-4xÛ`-3xÜ`+2x+9xÛ`-6 =6xÝ`-3xÜ`+5xÛ`+2x-6 ⑹ (2x-3y+1)(x+y-2) =xÝ`+9xÝ`+xÝ`=11xÝ` xÞ` 항은 -3xÛ`_xÜ`+xÜ`_(-3xÛ`) =-3xÞ`-3xÞ`=-6xÞ` 따라서 a=11, b=-6이므로 a-b=11-(-6)=17 17 10 (xÜ`+axÛ`+b)(2xÛ`-3bx+4)의 전개식에서 xÝ` 항은 xÜ`_(-3bx)+axÛ`_2xÛ`=(2a-3b)xÝ` xÛ` 항은 axÛ`_4+b_2xÛ`=(4a+2b)xÛ` 이때 xÝ`의 계수와 xÛ`의 계수가 모두 8이므로 2a-3b=8, 4a+2b=8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 , b=-1 ;2%; ∴ a+b= ;2#; ;2#; 11 (3x-1)(xÛ`-kx-4k)=a¼+aÁx+aªxÛ`+a£xÜ` 이라 하면 계수들의 총합은 a¼+aÁ+aª+a£ 즉, 주어진 식에 x=1을 대입했을 때의 값이므로 (3-1)(1-k-4k)=2(1-5k) 이때 계수들의 총합이 -18이므로 2(1-5k)=-18 ∴ k=2 2 12 ⑴ (x+1)(x+3)(x+5)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3 =2xÛ`+2xy-4x-3xy-3yÛ`+6y+x+y-2 =xÜ`+(1+3+5)xÛ` =2xÛ`-xy-3x-3yÛ`+7y-2 +(1_3+3_5+5_1)x+1_3_5 풀이 참조 =xÜ`+9xÛ`+23x+15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01~018_1단원(확)_ok.indd 3 2018-07-31 오후 7:25:27 ⑵ (x-2)(x-4)(x-3) =xÜ`-(2+4+3)xÛ` =xÜ`-9xÛ`+26x-24 ⑶ (x-4)(x-2)(x+5) =xÜ`+(-4-2+5)xÛ` +(2_4+4_3+3_2)x-2_4_3 ⑵ (주어진 식) =xÜ`+3Ü`=xÜ`+27 15 ⑴ (주어진 식)=xÜ`+1 ⑶ (주어진 식)=xÜ`-2Ü`=xÜ`-8 ⑷ (주어진 식)=(2a)Ü`-bÜ`=8aÜ`-bÜ` ⑴ xÜ`+1 ⑵ xÜ`+27 ⑶ xÜ`-8 ⑷ 8aÜ`-bÜ` +{(-4)_(-2)+(-2)_5+5_(-4)}x +(-4)_(-2)_5 =xÜ`-xÛ`-22x+40 풀이 참조 16 ⑴ (주어진 식) =aÜ`+bÜ`+(-c)Ü`-3_a_b_(-c) 13 ⑴ (x+y-z)Û` =xÛ`+yÛ`+(-z)Û` +2xy+2y_(-z)+2_(-z)_x =xÛ`+yÛ`+zÛ`+2xy-2yz-2zx ⑵ (x-3y-2z)Û` =aÜ`+bÜ`-cÜ`+3abc ⑵ (주어진 식) =aÜ`+(-2b)Ü`+(3c)Ü`-3_a_(-2b)_3c =aÜ`-8bÜ`+27cÜ`+18abc ⑴ aÜ`+bÜ`-cÜ`+3abc ⑵ aÜ`-8bÜ`+27cÜ`+18abc =xÛ`+(-3y)Û`+(-2z)Û`+2x_(-3y) +2_(-3y)_(-2z)+2_(-2z)_x =xÛ`+9yÛ`+4zÛ`-6xy+12yz-4zx 17 ⑴ (주어진 식)=xÝ`+xÛ`+1 ⑴ xÛ`+yÛ`+zÛ`+2xy-2yz-2zx ⑵ (주어진 식) ⑵ xÛ`+9yÛ`+4zÛ`-6xy+12yz-4zx ={xÛ`+x_4y+(4y)Û`}{xÛ`-x_4y+(4y)Û`} 14 ⑴ (3x+1)Ü` =(3x)Ü`+3_(3x)Û`_1+3_3x_1Û`+1Ü` =27xÜ`+27xÛ`+9x+1 ⑵ (2x+3)Ü` =8xÜ`+36xÛ`+54x+27 ⑶ (3x-2)Ü` =(2x)Ü`+3_(2x)Û`_3+3_2x_3Û`+3Ü` =xÝ`+xÛ`_(4y)Û`+(4y)Ý` =xÝ`+16xÛ`yÛ`+256yÝ` ⑴ xÝ`+xÛ`+1 ⑵ xÝ`+16xÛ`yÛ`+256yÝ` 18 ⑴ (aÛ`-5bc)(aÛ`+5bc) =(aÛ`)Û`-(5bc)Û` =aÝ`-25bÛ`cÛ` ⑵ (5x+3y)Ü` =(3x)Ü`-3_(3x)Û`_2+3_3x_2Û`-2Ü` =(5x)Ü`+3_(5x)Û`_3y+3_5x_(3y)Û`+(3y)Ü` =27xÜ`-54xÛ`+36x-8 =125xÜ`+225xÛ`y+135xyÛ`+27yÜ` ⑷ (x-4y)Ü` ⑶ (-x+2y+3z)Û` =xÜ`-3_xÛ`_4y+3_x_(4y)Û`-(4y)Ü` =(-x)Û`+(2y)Û`+(3z)Û`+2_(-x)_2y =xÜ`-12xÛ`y+48xyÛ`-64yÜ` = +2_2y_3z+2_3z_(-x) 풀이 참조 =xÛ`+4yÛ`+9zÛ`-4xy+12yz-6zx 4 Ⅰ. 다항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01~018_1단원(확)_ok.indd 4 2018-07-31 오후 7:25:27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⑷ (2x-3y)(4xÛ`+6xy+9yÛ`) ⑷ 상수항의 합이 같도록 두 개씩 짝을 지으면 =(2x-3y){(2x)Û`+2x_3y+(3y)Û`} (x+2)(x+5)(x-2)(x+9) =(2x)Ü`-(3y)Ü`=8xÜ`-27yÜ` ⑸ (x-4)(x+2)(x+5) =xÜ`+(-4+2+5)xÛ` ={(x+2)(x+5)}{(x-2)(x+9)} =(xÛ`+7x+10)(xÛ`+7x-18) =(X+10)(X-18) xÛ`+7x=X로 치환 Û +{-4_2+2_5+5_(-4)}x =XÛ`-8X-180 +(-4)_2_5 =(xÛ`+7x)Û`-8(xÛ`+7x)-180 =xÜ`+3xÛ`-18x-40 =xÝ`+14xÜ`+49xÛ`-8xÛ`-56x-180 ⑹ (xÛ`+3xy+9yÛ`)(xÛ`-3xy+9yÛ`) =xÝ`+14xÜ`+41xÛ`-56x-180 ={xÛ`+x_3y+(3y)Û`}{xÛ`-x_3y+(3y)Û`} ⑸ 상수항의 합이 같도록 두 개씩 짝을 지으면 =xÝ`+xÛ`_(3y)Û`+(3y)Ý` (x-1)(x-2)(x-3)(x-4) =xÝ`+9xÛ`yÛ`+81yÝ` ={(x-1)(x-4)}{(x-2)(x-3)} ⑺ (2a+b-c)(4aÛ`+bÛ`+cÛ`-2ab+bc+2ca) =(xÛ`-5x+4)(xÛ`-5x+6) =(2a)Ü`+bÜ`+(-c)Ü`-3_2a_b_(-c) =(X+4)(X+6) xÛ`-5x=X로 치환 =8aÜ`+bÜ`-cÜ`+6abc =XÛ`+10X+24 Û ⑻ (a-b)(a+b)(aÛ`-ab+bÛ`)(aÛ`+ab+bÛ`) =(xÛ`-5x)Û`+10(xÛ`-5x)+24 ={(a-b)(aÛ`+ab+bÛ`)}{(a+b)(aÛ`-ab+bÛ`)} =xÝ`-10xÜ`+25xÛ`+10xÛ`-50x+24 =(aÜ`-bÜ`)(aÜ`+bÜ`)=aß`-bß` =xÝ`-10xÜ`+35xÛ`-50x+24 풀이 참조 풀이 참조 19 ⑴ (xÛ`+5x-2)(xÛ`+5x-3) =(X-2)(X-3) xÛ`+5x=X로 치환 Û =XÛ`-5X+6 20 ⑴ xÛ`+yÛ`=(x-y)Û`+2xy=4Û`+2×3=22 ⑵ (x-y)Û`=(x+y)Û`-4xy=(-3)Û`-4×1=5 =(xÛ`+5x)Û`-5(xÛ`+5x)+6머지 ⑶ xÜ`-yÜ` =(x-y)Ü`+3xy(x-y) =xÝ`+10xÜ`+25xÛ`-5xÛ`-25x+6 =4Ü`+3×(-2)×4=40 ⑷ aÛ`+bÛ`+cÛ` =(a+b+c)Û`-2(ab+bc+ca) =1Û`-2_(-2)=5 ⑴ 22 ⑵ 5 ⑶ 40 ⑷ 5 =xÝ`+10xÜ`+20xÛ`-25x+6 ⑵ (a+b-c)(a-b+c) ={a+(b-c)}{a-(b-c)} =(a+X)(a-X) Û =aÛ`-XÛ`=aÛ`-(b-c)Û` =aÛ`-bÛ`-cÛ`+2bc ⑶ (xÛ`-3x+1)(xÛ`-3x-4)+2 b-c=X로 치환 21 ⑴ aÛ`+bÛ`=(a-b)Û`+2ab=3Û`+2×(-1)=7 =(X+1)(X-4)+2 xÛ`-3x=X로 치환 ⑵ aÜ`-bÜ` =(a-b)Ü`+3ab(a-b) Û =XÛ`-3X-2 =3Ü`+3×(-1)×3=18 =(xÛ`-3x)Û`-3(xÛ`-3x)-2 ⑶ (a+b)Û` =(a-b)Û`+4ab =xÝ`-6xÜ`+9xÛ`-3xÛ`+9x-2 =3Û`+4×(-1)=5 =xÝ`-6xÜ`+6xÛ`+9x-2 ⑴ 7 ⑵ 18 ⑶ 5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5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01~018_1단원(확)_ok.indd 5 2018-07-31 오후 7:25:28 1 xÛ` 1 xÜ` 1 xÛ` 1 xÜ` 22 ⑵ xÜ`+ ⑴ xÛ`+ = x+ {\ ;[!;} Û`-2=5Û`-2=23 x+ ;[!;} Ü`-3 = x+ {\ ;[!;} {\ =5Ü`-3×5=110 Û`= x+ {\ ;[!;} ⑶ {\ x- ;[!;} Û`-4=5Û`-4=21 23 ⑵ xÜ`- ⑴ xÛ`+ = x- {\ ;[!;} Û`+2=2Û`+2=6 x- ;[!;} Ü`+3 = x- {\ ;[!;} {\ =2Ü`+3_2=14 Û`= x- {\ ;[!;} ⑶ {\ x+ ;[!;} Û`+4=2Û`+4=8 5x+1=0에서 x+0이므로 양변을 x로 나누면 ⑴ 23 ⑵ 110 ⑶ 21 x- 5+ =0 ∴ x+ = 5 ' ;[!; ∴ xÜ`- 1 xÜ` +3 x- = x- { ;[!;} { =3Ü`+3_3=36 3` ;[!;} 36 27 xÛ`- ' ' ∴ xÜ`+ ;[!; 1 xÜ` = { =( x+ -3 x+ ;[!;} 3` 5)Ü`-3 ' { 5=2 ' ' ;[!;} 5 2 5 ' 28 (a+b+c)Û`=aÛ`+bÛ`+cÛ`+2(ab+bc+ca)에서 2Û`=8+2(ab+bc+ca) ∴ ab+bc+ca=-2 ⑴ 6 ⑵ 14 ⑶ 8 ∴ = ;a!;+;b!;+;c!;‌‌ ab+bc+ca abc = -2 2 =-1 -1 (a-b)Û` =(a+b)Û`-4ab=6Û`-4_2=28이므로 29 x-y=2+ 3, y-z=2- 3을 변끼리 더하면 Ñ2 7 ' ' x-z=4 ∴ z-x=-4 ' ∴ xÛ`+yÛ`+zÛ`-xy-yz-zx 24 aÛ`+bÛ`=(a+b)Û`-2ab에서 32=6Û`-2ab ∴ ab=2 a-b=Ñ2 7 ' 25 x= 2+1, y= 2-1이므로 ' x+y=2 ' 2, xy=1 ∴ + = yÛ` x xÜ`+yÜ` xy = (x+y)Ü`-3xy(x+y) xy ' xÛ` y = (2 ' 2)Ü`-3_1_2 1 2 ' =10 2 ' 10 2 ' 26 xÛ`- 1 xÛ` = x+ { ;[!;}{ x- ;[!;} 에서 6=2_ x- ∴ x- =3 { ;[!;} ;[!; 6 Ⅰ. 다항식 = {(x-y)Û`+(y-z)Û`+(z-x)Û`} {(2+ 3)Û`+(2- 3)Û`+(-4)Û`} ' ' 1 2 = 1 2 =15 15 30 aÛ`+bÛ`+cÛ` =(a+b+c)Û`-2(ab+bc+ca) =2Û`-2_(-1)=6 (ab+bc+ca)Û`=aÛ`bÛ`+bÛ`cÛ`+cÛ`aÛ`+2abc(a+b+c) 에서 (-1)Û`=aÛ`bÛ`+bÛ`cÛ`+cÛ`aÛ`+2_(-2)_2 ∴ aÛ`bÛ`+bÛ`cÛ`+cÛ`aÛ`=9 ∴ aÝ`+bÝ`+cÝ` =(aÛ`+bÛ`+cÛ`)Û`-2(aÛ`bÛ`+bÛ`cÛ`+cÛ`aÛ`) =6Û`-2_9=18 18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01~018_1단원(확)_ok.indd 6 2018-07-31 오후 7:25:28 ⑴ -2ab-3cÛ` ⑵ 2yzÜ`-xÛ`yÝ`z ⑶ -5aÛ`cÞ`+ -2aÝ`bÛ`c¡` a bÜ`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31 ;4!; ;4!; ;4!; ;4!; 주어진 식에 (5-1)을 곱하면 ;4!; (5+1)(5Û`+1)(5Ý`+1)(5¡`+1) = (5-1)(5+1)(5Û`+1)(5Ý`+1)(5¡`+1) = (5Û`-1)(5Û`+1)(5Ý`+1)(5¡`+1) = (5Ý`-1)(5Ý`+1)(5¡`+1) = (5¡`-1)(5¡`+1) (516-1) = ;4!; (516-1) ;4!; 32 직육면체의 세 모서리의 길이를 각각 a, b, c라 하면 (겉넓이) =2(ab+bc+ca)=36 ∴ ab+bc+ca=18 b a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4(a+b+c)=28 ∴ a+b+c=7 (a+b+c)Û`=aÛ`+bÛ`+cÛ`+2(ab+bc+ca)에서 aÛ`+bÛ`+cÛ` =(a+b+c)Û`-2(ab+bc+ca) =7Û`-2_18=13 따라서 직육면체의 대각선의 길이는 aÛ`+bÛ`+cÛ`= 3 1 ' "à 1 3 ' 33 ⑴ (6aÛ`bÜ`c+9abÛ`cÜ`)Ö(-3abÛ`c) = 6aÛ`bÜ`c -3abÛ`c + 9abÛ`cÜ` -3abÛ`c =-2ab-3cÛ` ⑵ (4xyÝ`zÞ`-2xÜ`yà`zÜ`)Ö2xyÜ`zÛ` = 4xyÝ`zÞ` 2xyÜ`zÛ` - 2xÜ`yà`zÜ` 2xyÜ`zÛ` =2yzÜ`-xÛ`yÝ`z ⑶ (25aÝ`bÞ`cß`-5aÜ`bÛ`c+10aß`bà`cá`)Ö(-5aÛ`bÞ`c) = 25aÝ`bÞ`cß` -5aÛ`bÞ`c 5aÜ`bÛ`c -5aÛ`bÞ`c + 10aß`bà`cá` -5aÛ`bÞ`c =-5aÛ`cÞ`+ -2aÝ`bÛ`c¡` - a bÜ` 34 ⑴ xÛ` + 2x - 8 x+1`)` xÜ` +3xÛ` - 6x + 1 xÜ` + xÛ` 2xÛ` - 6x 2xÛ + 2x -8x + 1 - 8x - 8 9 ∴ 몫 : xÛ`+2x-8, 나머지 : 9 c ⑵ 2x - 1 2xÛ`-1`)`4xÜ`- 2xÛ` + 3x - 4 - 2x 4xÜ` - 2xÛ` + 5x - 4 -2xÛ` + 1 5x - 5 ∴ 몫 : 2x-1, 나머지 : 5x-5 ⑴ 풀이 참조, 몫 : xÛ`+2x-8, 나머지 : 9 ⑵ 풀이 참조, 몫 : 2x-1, 나머지 : 5x-5 35 ⑴ 2 3 -4 -2 6 6 4 4 3 2 2 10 ∴ 몫 : 3xÛ`+2x+2, 나머지 : 10 ⑵ -2 1 0 -5 1 -2 4 2 1 -2 -1 3 ∴ 몫 : xÛ`-2x-1, 나머지 : 3 ⑴ 풀이 참조, 몫 : 3xÛ`+2x+2, 나머지 : 10 ⑵ 풀이 참조, 몫 : xÛ`-2x-1, 나머지 : 3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7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01~018_1단원(확)_ok.indd 7 2018-07-31 오후 7:25:29 Œ Œ 39 다항식 f(x)를 2x+4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나머지가 R이므로 f(x) =(2x+4)Q(x)+R =2(x+2)Q(x)+R =(x+2)_2Q(x)+R 따라서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2Q(x), 나머지는 R이다. 몫 : 2Q(x), 나머지 : R 40 3 2 -5 -4 6 6 3 -3 2 1 -1 3 1 따라서 a=3, b=1, R=3이므로 a+b+R=7 7 36 xÛ`+ x -3 2xÛ`-x+1`)`2xÝ`+ xÜ`-6xÛ`+7x-5 2xÝ`- xÜ`+ xÛ` 2xÜ`-7xÛ`+7x 2xÜ`- xÛ`+ x -6xÛ`+6x-5 -6xÛ`+3x-3 3x-2 따라서 다항식 2xÝ`+xÜ`-6xÛ`+7x-5를 2xÛ`-x+1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xÛ`+x-3, 나머지는 3x-2이 므로 a=1, b=-3, c=3 ∴ a+b+c=1 37 x -1 xÛ`+x+1`)`xÜ` -2x+1 xÜ`+xÛ`+ x -xÛ`-3x+1 -xÛ`- x-1 -2x+2 41 ⑴ 3 -7 11 1 ;3!; 1 -2 3 3 -6 9 4 1 3 } 1 3 } { { = x- _3(xÛ`-2x+3)+4 =(3x-1)(xÛ`-2x+3)+4 ∴ 몫: xÛ`-2x+3, 나머지: 4 따라서 Q(x)=x-1, R(x)=-2x+2이므로 3xÜ`-7xÛ`+11x+1 Q(3)+R(-1) =(3-1)+{-2×(-1)+2} = x- (3xÛ`-6x+9)+4 =2+4=6 6 38 6xÝ`-xÜ`-16xÛ`+5x=A(3xÛ`-2x-4)+5x-8 A(3xÛ`-2x-4)=6xÝ`-xÜ`-16xÛ`+8 ⑵ -1 1 0 0 0 0 1 ∴ A=(6xÝ`-xÜ`-16xÛ`+8)Ö(3xÛ`-2x-4) -1 1 -1 1 -1 +8 2xÛ`+x-2 3xÛ`-2x-4`)`6xÝ`- xÜ`-16xÛ` 6xÝ`-4xÜ`- 8xÛ` 3xÜ`- 8xÛ` 3xÜ`- 2xÛ`-4x - 6xÛ`+4x+8 - 6xÛ`+4x+8 0 1 -1 1 -1 1 0 ∴ 몫: xÝ`-xÜ`+xÛ`-x+1, 나머지: 0 ⑴ 몫 : xÛ`-2x+3, 나머지 : 4 ⑵ 몫 : xÝ`-xÜ`+xÛ`-x+1, 나머지 : 0 42 ㄱ. 주어진 등식의 우변을 전개하면 ∴ A=2xÛ`+x-2 2xÛ`+x-2 x+1=-3x-3 8 Ⅰ. 다항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01~018_1단원(확)_ok.indd 8 2018-07-31 오후 7:25:30 이 등식은 x=-1일 때에만 성립하므로 항등식이 아니다. ㄴ.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전개하면 xÛ`-2x+1=xÛ`-2x+1 44 ⑴ ① 계수비교법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전개하여 정리하면 (a+b)x+a-2b=x-8 이 등식은 x에 어떤 값을 대입하여도 항상 성립하 양변의 동류항의 계수를 비교하면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이 등식은 x에 어떤 값을 대입하여도 항상 성립하 ② 수치대입법 므로 항등식이다. ㄷ. 주어진 등식의 우변을 전개하면 2x+5=2x+2+3 ∴ 2x+5=2x+5 ㄹ. 주어진 등식은 x=2일 때에만 성립하므로 항등식 므로 항등식이다. 이 아니다. 이 아니다. 2 3 ㅁ. 주어진 등식은 x= 일 때에만 성립하므로 항등식 ㅂ.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전개하면 xÛ`-3x+2=xÛ`-3x+2 이 등식은 x에 어떤 값을 대입하여도 항상 성립하 므로 항등식이다. 따라서 항등식인 것은 ㄴ, ㄷ, ㅂ이다. ㄴ, ㄷ, ㅂ ⑵ (a-1)xÛ`+(b+1)x+c=0에서 43 ⑴ (a+1)x+b+2=0에서 a+1=0, b+2=0 ∴ a=-1, b=-2 a-1=0, b+1=0, c=0 ∴ a=1, b=-1, c=0 ⑶ 2ax+3b=4x+9에서 2a=4, 3b=9 ∴ a=2, b=3 a+b=1, a-2b=-8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 b=3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3b=-9 ∴ b=3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3a=-6 ∴ a=-2 ⑵ ① 계수비교법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전개하여 정리하면 (-2a-b)x-3a+b=3x+7 양변의 동류항의 계수를 비교하면 -2a-b=3, -3a+b=7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 b=1 ② 수치대입법 3 2 양변에 x=- 을 대입하면 5 2 b= ∴ b=1 ;2%;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5a=10 ∴ a=-2 풀이 참조 ⑷ (a+2)xÛ`+(b-3)x+4c=3xÛ`-2x+8에서 a+2=3, b-3=-2, 4c=8 ∴ a=1, b=1, c=2 45 주어진 등식의 우변을 전개한 후 x에 대하여 내림차순 으로 정리하면 xÜ`-2x+1=axÜ`+(b-a)xÛ`+(c-b)x-c ⑴ a=-1, b=-2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⑵ a=1, b=-1, c=0 1=a, 0=b-a, -2=c-b, 1=-c ⑶ a=2, b=3 ∴ a=1, b=1, c=-1 ⑷ a=1, b=1, c=2 a=1, b=1, c=-1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9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01~018_1단원(확)_ok.indd 9 2018-07-31 오후 7:25:30 46 xÜ`= a(x-1)(x-2)(x-3)+b(x-1)(x-2) 49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x, y에 대하여 정리하면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이 등식이 x,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c(x-1)+d (a+b)x+(a-b)y+2=3x-5y+c 1=d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8=c+d ∴ c=7 (∵ d=1 )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27=2b+2c+d 2b=12 (∵ c=7, d=1 ) ∴ b=6 양변에 x=4를 대입하면 64=6a+6b+3c+d 6a=6 (∵ b=6, c=7, d=1 ) ∴ a=1 a=1, b=6, c=7, d=1 47 (x+1)(xÛ`-2)f(x)=xÝ`+axÛ`-b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0=1+a-b 양변에 xÛ`=2를 대입하면 0=4+2a-b ㉠,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2 ∴ a+b=-5 48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x+y)k+(-2x-y)=4k+1 이 등식이 k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x+y=4, -2x-y=1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5, y=9 10 Ⅰ. 다항식 a+b=3, a-b=-5, 2=c ∴ a=-1, b=4, c=2 ∴ abc=-8 -8 50 xÜ`+axÛ`+bx-2를 xÛ`+2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나머지가 -3x+1이므로 xÜ`+axÛ`+bx-2 =(xÛ`+2x-3)Q(x)-3x+1 =(x+3)(x-1)Q(x)-3x+1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27+9a-3b-2=10 ∴ 3a-b=13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a+b-2=-2 ∴ a+b=-1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4 yy ㉠ yy ㉡ a=3, b=-4 yy ㉠ yy ㉡ 51 xÜ`+ax-8을 xÛ`+4x+b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x+q`(q는 상수)라 하면 나머지가 0이므로 xÜ`+ax-8 =(xÛ`+4x+b)(x+q) -5 우변을 전개하여 정리하면 xÜ`+ax-8=xÜ`+(q+4)xÛ`+(4q+b)x+bq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의 동류항의 계 수를 비교하면 0=q+4, a=4q+b, -8=bq ∴ q=-4, a=-14, b=2 a=-14, b=2 52 x-1로 나누는 조립제법을 몫에 대하여 연속으로 이 x=-5, y=9 용하면 다음과 같다.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01~018_1단원(확)_ok.indd 10 2018-07-31 오후 7:25:30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1 1 0 2 4 1 1 3 1 1 1 3 7 1 2 1 1 2 5 1 1 3 ∴ xÜ`+2x+4 =(x-1)(xÛ`+x+3)+7 =(x-1){(x-1)(x+2)+5}+7 =(x-1)Û`(x+2)+5(x-1)+7 =(x-1)Û`{(x-1)_1+3}+5(x-1)+7 =(x-1)Ü`+3(x-1)Û`+5(x-1)+7 ∴ a=1, b=3, c=5, d=7 a=1, b=3, c=5, d=7 53 x-2로 나누는 조립제법을 몫에 대하여 연속으로 이 용하면 다음과 같다. 2 1 -4 3 -5 2 -4 -2 2 1 -2 -1 -7 2 0 2 1 0 -1 2 1 2 ∴ xÜ`-4xÛ`+3x-5 =(x-2)(xÛ`-2x-1)-7 =(x-2){(x-2)_x-1}-7 =(x-2)Û`_x-(x-2)-7 =(x-2)Û`{(x-2)_1+2}-(x-2)-7 =(x-2)Ü`+2(x-2)Û`-(x-2)-7 따라서 a=1, b=2, c=-1, d=-7이므로 54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구하는 나머지는 ⑴ f(1)=2_1Ü`-1Û`+1+1=3 ⑵ f(-2) =2_(-2)Ü`-(-2)Û`+(-2)+1 ⑶ f(3)=2_3Ü`-3Û`+3+1=49 ⑷ f(-3) =2_(-3)Ü`-(-3)Û`+(-3)+1 =-21 =-65 ⑴ 3 ⑵ -21 ⑶ 49 ⑷ -65 55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구하는 나머지는 ⑴ f =3_ {;2!;} {;2!;} Û`-8_ ;2!; +1=- ;4(; Û`-8_ Û`-8_ { { ⑵ f { - ;3@;} =3_ - ;3@;} - { ;3@;} +1= :ª3£: ⑶ f { - ;2#;} =3_ - ;2#;} - { ;2#;} +1= :¦4»: ⑷ f =3_ {;3$;} {;3$;} Û`-8_ ;3$; +1=- :Á3£: ⑴ - ⑵ ;4(; :ª3£:  ⑶ :¦4»: ⑷ - :Á3£: 56 ⑴ f(-1)=0이므로 f(-1)=-2-3-k-4=0 ∴ k=-9 ⑵ f(2)=0이므로 ∴ k=0 f(2)=16-12+2k-4=0, 2k=0 57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3)=-36이므로 ⑴ -9 ⑵ 0 a+b+c+d=-5 -5 f(-3)=81-54+9a+3+6=-36 다른풀이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9a=-72 ∴ a=-8 3Ü`-4_3Û`+3_3-5 따라서 f(x)=xÝ`+2xÜ`-8xÛ`-x+6을 x-2로 나누 =a(3-2)Ü`+b(3-2)Û`+c(3-2)+d 었을 때의 나머지는 ∴ a+b+c+d=-5 f(2)=16+16-32-2+6=4 4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11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01~018_1단원(확)_ok.indd 11 2018-07-31 오후 7:25:31 58 f(x)=3xÜ`+axÛ`+bx-1이라 하면 나머지정리에 의 3 f(1)=9 ∴ f(1)=3 (2x+1)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5이 하여 f { 2 3 } =1, f(-1)=-19 f {;3@;} =1에서 + a+ b-1=1 ;9*; ;9$; ;3@; ∴ 2a+3b=5 f(-1)=-19에서 -3+a-b-1=-19 ∴ a-b=-15 ㉠, ㉡ 을 연립하여 풀면 a=-8, b=7 므로 -1_f(-1)=5 ∴ f(-1)=-5 f(x)를 xÛ`-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yy ㉠ yy ㉡ R(x)=ax+b (a, b는 상수)라 하면 f(x) =(xÛ`-1)Q(x)+ax+b =(x+1)(x-1)Q(x)+ax+b 양변에 x=1, x=-1을 각각 대입하면 a=-8, b=7 f(1)=a+b=3 yy ㉠ yy ㉡ f(-1)=-a+b=-5 ㉠, ㉡을 연립하여 풀면 a=4, b=-1 따라서 R(x)=4x-1이므로 R(-2)=4_(-2)-1=-9 -9 59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1)=2, g(-1)=-1 따라서 다항식 2 f(x)-3g(x)를 x+1로 나누었을 때 의 나머지는 2 f(-1)-3g(-1) =2_2-3_(-1) =7 7 60 다항식 f(x)를 xÛ`-4x-1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62 f(x)를 (x+1)Û`(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axÛ`+bx+c (a, b, c는 상수)라 하면 f(x)=(x+1)Û`(x-3)Q(x)+axÛ`+bx+c f(x)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2이므 Q(x), 나머지를 ax+b`(a, b는 상수)라 하면 로 axÛ`+bx+c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f(x) =(xÛ`-4x-12)Q(x)+ax+b 도 2이다. =(x+2)(x-6)Q(x)+ax+b yy ㉠ 즉, axÛ`+bx+c=a(x+1)Û`+2 yy ㉠ f(x)를 x+2, x-6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각 ∴ f(x)=(x+1)Û`(x-3)Q(x)+a(x+1)Û`+2 각 6, -10이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한편, f(x)를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14 f(-2)=6, f(6)=-10 x=-2를 ㉠에 대입하면 f(-2)=-2a+b=6 x=6을 ㉠에 대입하면 f(6)=6a+b=-10 ㉡,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2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2x+2이다. yy ㉢ -2x+2 61 (x+2)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9이 하면 므로 12 Ⅰ. 다항식 이므로 `f(3)=16a+2=-14 ∴ a=-1 yy ㉡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에서 -1_(x+1)Û`+2=-xÛ`-2x+1 -xÛ`-2x+1 63 f(x)를 (xÛ`+1)(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R(x)=axÛ`+bx+c (a, b, c는 상수)라 `f(x)=(xÛ`+1)(x-1)Q(x)+axÛ`+bx+c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01~018_1단원(확)_ok.indd 12 2018-07-31 오후 7:25:31 f(x)를 xÛ`+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x+1이므로 axÛ`+bx+c를 xÛ`+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도 x+1 66 f(x)를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나머지 이다. 가 4이므로 즉, R(x)=axÛ`+bx+c=a(xÛ`+1)+x+1 f(x)=(x-3)Q(x)+4 yy ㉠ ∴ f(x)=(xÛ`+1)(x-1)Q(x)+a(xÛ`+1)+x+1 Q(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한편,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4이므로 나머지가 2이므로 `f(1)=2a+2=4 ∴ a=1 Q(x)=(x-2)Q'(x)+2 yy ㉡ 따라서 R(x)=(xÛ`+1)+x+1=xÛ`+x+2이므로 ㉡을 ㉠에 대입하면 R(-2)=4-2+2=4 4 `f(x) =(x-3){(x-2)Q'(x)+2}+4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64 f(3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3_1)=f(3) f(x)를 2xÛ`-5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나머지가 4x-1이므로 f(x) =(2xÛ`-5x-3)Q(x)+4x-1 =(x-3)(x-2)Q'(x)+2x-2 따라서 `x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2 f(2)=2(2_2-2)=4 4 67 f(x)=2xÜ`-5xÛ`+ax+b라 하면 f(x)가 2x+1, x-1로 각각 나누어떨어지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2x+1)(x-3)Q(x)+4x-1 yy ㉠ - f { ;2!;} =0, f(1)=0 ㉠의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f(3)=4_3-1=11 - f { ;2!;} =0에서 - - - ;4%; ;4!; ;2!; a+b=0 11 다른풀이 ㉠에 x 대신 3x를 대입하면 f(3x) =(6x+1)(3x-3)Q(3x)+12x-1 =3(6x+1)(x-1)Q(3x)+12(x-1)+11 =(x-1){3(6x+1)Q(3x)+12}+11 따라서 f(3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1 이다. ∴ a-2b=-3 f(1)=0에서 2-5+a+b=0 ∴ a+b=3 ∴ a-b=-1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2 yy ㉠ yy ㉡ -1 68 f(x)=-xÝ`+axÛ`-2x+b라 하면 65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4이므로 나 f(x)가 xÛ`-x-2, 즉 (x+1)(x-2)로 나누어떨어 지므로 f(x)는 x+1, x-2로 각각 나누어떨어진다. 머지정리에 의하여 f(2)=4 따라서 인수정리에 의하여 한편, xf(x-3)을 x-5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f(-1)=0, f(2)=0 나머지를 R라 하면 f(-1)=0에서 -1+a+2+b=0 xf(x-3)=(x-5)Q(x)+R ∴ a+b=-1 f(2)=0에서 -16+4a-4+b=0 ∴ 4a+b=20 yy ㉠ yy ㉡ 양변에 x=5를 대입하면 R=5f(2)=5_4=20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20이다. 20 ㉠, ㉡을 연립하여 풀면 a=7, b=-8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13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01~018_1단원(확)_ok.indd 13 2018-07-31 오후 7:25:31 따라서 f(x)=-xÝ`+7xÛ`-2x-8을 x+3으로 나누 ⑹ 8aÜ`+bÜ`-1+6ab 었을 때의 나머지는 =(2a)Ü`+bÜ`+(-1)Ü`-3_2a_b_(-1) f(-3)=-81+63+6-8=-20 -20 =(2a+b-1){(2a)Û`+bÛ`+(-1)Û`-2a_b 69 ⑴ 8xy+4xÛ`y=4xy(2+x) -b_(-1)-(-1)_2a} =(2a+b-1)(4aÛ`+bÛ`-2ab+2a+b+1) ⑺ xÝ`+4xÛ`yÛ`+16yÝ` ⑵ (2a+b)Û`+6a+3b =(2a+b)Û`+3(2a+b) =xÝ`+xÛ`_(2y)Û`+(2y)Ý` =(2a+b){(2a+b)+3} ={xÛ`+x_2y+(2y)Û`}{xÛ`-x_2y+(2y)Û`} =(2a+b)(2a+b+3) =(xÛ`+2xy+4yÛ`)(xÛ`-2xy+4yÛ`) 풀이 참조 ⑶ 4xÛ`+12xy+9yÛ` =(2x)Û`+2_2x_3y+(3y)Û` =(2x+3y)Û` ⑷ 9xÛ`-30xy+25yÛ` =(3x)Û`-2_3x_5y+(5y)Û` =(3x-5y)Û` ⑸ 16aÛ`-81bÛ` =(4a)Û`-(9b)Û` =(4a+9b)(4a-9b) ⑹ xÛ`+4x+3=(x+3)(x+1) ⑺ 3aÛ`-5ab-2bÛ`=(3a+b)(a-2b) 71 ⑴ xÝ`+x =x(xÜ`+1) =x(x+1)(xÛ`-x+1) ⑵ xÝ`-yÝ` =(xÛ`)Û`-(yÛ`)Û` =(xÛ`+yÛ`)(xÛ`-yÛ`) =(xÛ`+yÛ`)(x+y)(x-y) 풀이 참조 ⑶ 3(4x-1)Û`-12 =3{(4x-1)Û`-4} =3{(4x-1)+2}{(4x-1)-2} =3(4x+1)(4x-3) ⑷ 9(a+b)Û`-cÛ` ={3(a+b)}Û`-cÛ` ={3(a+b)+c}{3(a+b)-c} =(3a+3b+c)(3a+3b-c) ⑸ xÜ`+64yÜ` =xÜ`+(4y)Ü` =(x+4y)(xÛ`-4xy+16yÛ`) ⑹ (a+b)Ü`-(a-b)Ü` = {(a+b)-(a-b)} _{ (a+b)Û`+(a+b)(a-b)+(a-b)Û`} 70 ⑴ xÜ`+6xÛ`+12x+8 =xÜ`+3_xÛ`_2+3_x_2Û`+2Ü` =(x+2)Ü` ⑵ 8xÜ`-12xÛ`y+6xyÛ`-yÜ` =(2x)Ü`-3_(2x)Û`_y+3_2x_yÛ`-yÜ` =(2x-y)Ü` ⑶ aÜ`+27bÜ` =aÜ`+(3b)Ü` =(a+3b){aÛ`-a_3b+(3b)Û`} =(a+3b)(aÛ`-3ab+9bÛ`) =2b(3aÛ`+bÛ`) 풀이 참조 ⑷ 8xÜ`-yÜ` =(2x)Ü`-yÜ` =(2x-y){(2x)Û`+2x_y+yÛ`} =(2x-y)(4xÛ`+2xy+yÛ`) ⑸ aÛ`+4bÛ`+9cÛ`-4ab-12bc+6ca =aÛ`+(-2b)Û`+(3c)Û`+2_a_(-2b) +2_(-2b)_3c+2_3c_a =(a-2b+3c)Û` 72 ⑴ (x+y)Û`-2(x+y)z+zÛ` ={(x+y)-z}Û` =(x+y-z)Û` 14 Ⅰ. 다항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01~018_1단원(확)_ok.indd 14 2018-07-31 오후 7:25:32 ⑵ xÛ`+8x -(a-3)(a+5) ⑵ 상수항의 합이 같아지도록 식을 두 개씩 짝지으면 1` 1 1 1 1 1 Ú1 1 Ú -(a-3) -a+3 a+5 a+5 Ú Ú 8 ={x-(a-3)}{x+(a+5)} =(x-a+3)(x+a+5) ⑴ (x+y-z)Û`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x(x+1)(x+2)(x+3)-15 ={x(x+3)}{(x+1)(x+2)}-15 =(xÛ`+3x)(xÛ`+3x+2)-15 =X(X+2)-15 =XÛ`+2X-15 =(X+5)(X-3) xÛ`+3x=X로 치환 Û ⑶ (1-2x-xÛ`)(1-2x+3xÛ`)+4xÝ` =(X-xÛ`)(X+3xÛ`)+4xÝ` Û =XÛ`+2xÛ`X-3xÝ`+4xÝ` =XÛ`+2xÛ`X+xÝ` =(X+xÛ`)Û`=(1-2x+xÛ`)Û` 1-2x=X로 치환 ⑵ (x-a+3)(x+a+5) =(xÛ`+3x+5)(xÛ`+3x-3) 73 ⑴ aÜ`-abÛ`-bÛ`c+aÛ`c =(aÜ`-abÛ`)+(-bÛ`c+aÛ`c) =a(aÛ`-bÛ`)+c(aÛ`-bÛ`) =(aÛ`-bÛ`)(a+c) =(a+b)(a-b)(a+c) ={(x-1)Û`}Û` =(x-1)Ý` ⑵ xÜ`-2axÛ`+2x-4a =(xÜ`-2axÛ`)+(2x-4a) =xÛ`(x-2a)+2(x-2a) =(x-2a)(xÛ`+2) ⑶ 4xÛ`+4x+1-yÛ` =(2x+1)Û`-yÛ` ⑷ (xÛ`+4x+3)(xÛ`+12x+35)+15 =(x+1)(x+3)(x+5)(x+7)+15 ={(x+1)(x+7)}{(x+3)(x+5)}+15 =(xÛ`+8x+7)(xÛ`+8x+15)+15 =(2x+1+y)(2x+1-y) =(X+7)(X+15)+15 xÛ`+8x=X로 치환 Û =XÛ`+22X+120 =(X+12)(X+10) =(xÛ`+8x+12)(xÛ`+8x+10) =(x+2)(x+6)(xÛ`+8x+10) 풀이 참조 ⑷ 4ab+1-4aÛ`-bÛ` =1-(4aÛ`-4ab+bÛ`) =1-(2a-b)Û` =(1+2a-b)(1-2a+b) ⑸ aÜ`+9aÛ`+27a+27 =aÜ`+3_aÛ`_3+3_a_3Û`+3Ü` =(a+3)Ü` ⑹ 8xÜ`-36xÛ`y+54xyÛ`-27yÜ` =(2x)Ü`-3_(2x)Û`_3y+3_2x_(3y)Û`-(3y)Ü` =(2x-3y)Ü` 75 ⑴ xÛ`=X로 놓으면 풀이 참조 xÝ`+xÛ`-6 =XÛ`+X-6 74 ⑴ (xÛ`+x)Û`-13(xÛ`+x)+36 =XÛ`-13X+36 =(X-4)(X-9) =(xÛ`+x-4)(xÛ`+x-9) xÛ`+x=X로 치환 Û =(X+3)(X-2) =(xÛ`+3)(xÛ`-2) ⑵ xÛ`=X로 놓으면 xÝ`-13xÛ`+36 =XÛ`-13X+36 =(X-4)(X-9) =(xÛ`-4)(xÛ`-9) =(x+2)(x-2)(x+3)(x-3)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15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01~018_1단원(확)_ok.indd 15 2018-07-31 오후 7:25:32 ⑶ xÝ`+4 =(xÝ`+4xÛ`+4)-4xÛ` ⑶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xÛ`+2)Û`-(2x)Û` 3xÛ`+4xy+yÛ`-10x-4y+3 =(xÛ`+2x+2)(xÛ`-2x+2) =3xÛ`+(4y-10)x+(yÛ`-4y+3) ⑷ xÝ`+5xÛ`+9 =(xÝ`+6xÛ`+9)-xÛ` =3xÛ`+(4y-10)x+(y-1)(y-3) =(xÛ`+3)Û`-xÛ` =(xÛ`+x+3)(xÛ`-x+3) 3` 1 1 1 1 1 1 2 Ú 111112Ú y-1 y-1 Ú y-3 3y-9` Ú 4y-10 풀이 참조 다른풀이 ⑵ 이차항을 분리하여 인수분해할 수도 있 =(3x+y-1)(x+y-3) 다. 즉, ⑷ z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xÝ`-13xÛ`+36 =(xÝ`-12xÛ`+36)-xÛ` xÛ`-yÛ`+2yz+2xz+4x+2y+2z+3 =(xÛ`-6)Û`-xÛ` =(2y+2x+2)z+xÛ`+4x-yÛ`+2y+3 =(xÛ`+x-6)(xÛ`-x-6) =2(x+y+1)z+xÛ`+4x-(yÛ`-2y-3) =(x+3)(x-2)(x-3)(x+2) = 2(x+y+1)z 76 xÝ`+yÝ`-6xÛ`yÛ` =(xÝ`-2xÛ`yÛ`+yÝ`)-4xÛ`yÛ` =(xÛ`-yÛ`)Û`-(2xy)Û` =(xÛ`+2xy-yÛ`)(xÛ`-2xy-yÛ`) +{xÛ`+4x-(y+1)(y-3)} 1 1 1 1 Ú1 1 Ú 1` 1 y+1 y+1 -(y-3) -y+3 4 Ú Ú =2(x+y+1)z+(x+y+1)(x-y+3) 따라서 a=2, b=-1, c=-1이므로 =(x+y+1)(x-y+2z+3) aÛ`+bÛ`+cÛ`=2Û`+(-1)Û`+(-1)Û`=6 6 풀이 참조 77 ⑴ ab(a+b)+bc(b+c)+ca(c+a)+2abc = aÛ`b+abÛ`+bÛ`c+bcÛ`+cÛ`a+caÛ`+2abc = (b+c)aÛ`+(bÛ`+2bc+cÛ`)a+bÛ`c+bcÛ` =(b+c)aÛ`+(b+c)Û`a+bc(b+c) =(b+c){aÛ`+(b+c)a+bc} =(b+c)(a+b)(a+c) =(a+b)(b+c)(c+a) ⑵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xÛ`+xy-6yÛ`+x+13y-6 =xÛ`+(y+1)x-(6yÛ`-13y+6) 1` 1 1 1 1 1 Ú1 Ú 1 3y-2 3y-2 -(2y-3) -2y+3 Ú Ú ={x+(3y-2)}{x-(2y-3)} =(x+3y-2)(x-2y+3) 16 Ⅰ. 다항식 78 ⑴ f(x)=3xÜ`+7xÛ`-4라 하면 `f(-1)=0이므로 `f(x)는 x+1을 인수로 갖는다. 따라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1 3 7 0 -4 -3 -4 4 3 4 -4 0 =(x+1)(3xÛ`+4x-4) =(x+1)(x+2)(3x-2) y+1 ⑵ f(x)=xÝ`-3xÜ`+3x-1이라 하면 `f(1)=0, f(-1)=0이므로 f(x)는 x-1, x+1을 인수로 갖는다. =xÛ`+(y+1)x-(3y-2)(2y-3) ∴ 3xÜ`+7xÛ`-4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01~018_1단원(확)_ok.indd 16 2018-07-31 오후 7:25:32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따라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⑶ 10Û`-12Û`+14Û`-16Û`+18Û`-20Û` 1 1 -3 0 3 -1 1 -2 -2 1 -1 1 -2 -2 1 0 -1 3 -1 1 -3 1 0 ∴ xÝ`-3xÜ`+3x-1 =(x-1)(x+1)(xÛ`-3x+1) ⑴ (x+1)(x+2)(3x-2) ⑵ (x-1)(x+1)(xÛ`-3x+1) 79 f(x)=xÜ`-6xÛ`-ax-6이라 하면 f(x)가 x-2를 인수로 가지므로 f(2)=8-24-2a-6=0 ∴ a=-11 ∴ f(x)=xÜ`-6xÛ`+11x-6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2 1 -6 11 -6 2 -8 6 1 -4 3 0 ∴ f(x) =(x-2)(xÛ`-4x+3) =(x-1)(x-2)(x-3) (x-1)(x-2)(x-3) 80 ⑴ 78=x로 놓으면 ⑵ 205=x로 놓으면 205Ü`+8 205_203+4 = 78_79 78Û`-1 = x(x+1) xÛ`-1 x x-1 = = 78 78-1 = ;7&7*; = x(x+1) (x-1)(x+1) =(10Û`-12Û`)+(14Û`-16Û`)+(18Û`-20Û`) =(10-12)(10+12)+(14-16)(14+16) +(18-20)(18+20) =-2_(22+30+38) =-2_90=-180 ⑴ ;7&7*; ⑵ 207 ⑶ -180 81 주어진 식을 인수분해하면 2xÛ`y-xÛ`+2xyÛ`+yÛ` =2xy(x+y)-(xÛ`-yÛ`) =2xy(x+y)-(x+y)(x-y) =(x+y){2xy-(x-y)} 이때 x+y=( 3+1)+( 3-1)=2 ' ' 3 ' x-y=( 3+1)-( 3-1)=2 ' 3+1)( ' 3-1)=2 ' xy=( ' 이므로 인수분해한 식에 각 값을 대입하면 (x+y){2xy-(x-y)} =2 3_(2_2-2) ' ' =4 3 4 3 ' 82 aÛ`+ac-bÛ`-bc=0에서 aÛ`-bÛ`+ac-bc=0 (a+b)(a-b)+(a-b)c=0 (a-b)(a+b+c)=0 이때 a, b, c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이므로 a+b+c>0 ∴ a=b 따라서 a=b인 이등변삼각형이다. ② xÜ`+8 x(x-2)+4 (x+2)(xÛ`-2x+4) xÛ`-2x+4 = =x+2=205+2=207 83 aÜ`+bÜ`+cÜ`-3abc=0에서 (a+b+c)(aÛ`+bÛ`+cÛ`-ab-bc-ca)=0 (a+b+c){(a-b)Û`+(b-c)Û`+(c-a)Û`}=0 ;2!;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17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01~018_1단원(확)_ok.indd 17 2018-07-31 오후 7:25:33 이때 a, b, c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이므로 즉, (a-b)Û`+(b-c)Û`+(c-a)Û`=0이므로 a-b=0, b-c=0, c-a=0 a+b+c>0 ∴ a=b=c 이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삼각형은 정삼각형 정삼각형의 둘레의 길이가 18이므로 a+b+c=3a=18 ∴ a=6 3 ∴ (삼각형의 넓이)= ' 4 _6Û`=9 3 ' 9 3 ' KEY Point 3 한 변의 길이가 a인 정삼각형의 넓이는 ⇨ ' 4 aÛ` 18 Ⅰ. 다항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01~018_1단원(확)_ok.indd 18 2018-07-31 오후 7:25:33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Ⅱ. 방정식과 부등식 84 ⑴ 2-3i의 실수부분은 2, 허수부분은 -3이다. ⑵ 5i=0+5i이므로 5i의 실수부분은 0, 허수부분은 5이다. ⑶ ' ' 3-1=( 3-1)+0i이므로 3-1의 실수부분은 ' ' 3-1, 허수부분은 0이다. ⑷ i+4=4+1_i이므로 i+4의 실수부분은 4, 허수 86 ⑴ 3-4i=3+4i ⑵ -5i=0-5i이므로 -5i=5i ⑶ 2i=-3- 2i ' Ã-3+ ' ' 5=(1+ 5)+0i이므로 ⑷ 1+ Ã1+ ⑸ É;3@; 5=1+ ' i+ = ;2!; É;2!; ' 5 ' + 부분은 1이다. 수부분은 이다. ;3!; ⑸ 1+i 3 = + ;3!; ;3!; i이므로 의 실수부분은 , 허 ;3!; 1+i 3 87 ① i Û`=-1<0 i= - i ;3@; ;2!; ;3@; ⑴ 3+4i ⑵ 5i ⑶ -3- 2i ' ⑷ 1+ 5 ⑸ ' - i ;3@; ;2!; ⑴ 실수부분 : 2, 허수부분 : -3 ⑵ 실수부분 : 0, 허수부분 : 5 ⑶ 실수부분 : ' ⑷ 실수부분 : 4, 허수부분 : 1 3-1, 허수부분 : 0 ⑸ 실수부분 : 1 3 , 허수부분 : ;3!; 85 복소수가 서로 같으려면 실수부분과 허수부분이 각각 같아야 한다. ⑴ x=2, 2y=-4 ∴ x=2, y=-2 ⑵ 2x=4, y+3=5 ∴ x=2, y=2 ⑶ x-1=3, 2y-1=-1 ∴ x=4, y=0 ⑷ 2x+1=9, y-3=0 ∴ x=4, y=3 ⑸ x+y=-1, 2x-3y=8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1, y=-2 ⑴ x=2, y=-2 ⑵ x=2, y=2 ⑶ x=4, y=0 ⑷ x=4, y=3 ⑸ x=1, y=-2 ② 7=7+0i이므로 7의 허수부분은 0이다. ③ -4i=0-4i는 실수부분이 0, 허수부분이 -4이 ④ 1+i는 실수부분이 1, 허수부분이 1이므로 순허수 므로 순허수이다. 가 아닌 허수이다. ⑤ a+(b-3)i에서 a=i, b=3이면 a+(b-3)i=i 즉, b=3이어도 실수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⑤ 88 순허수는 복소수 a+bi`(a, b는 실수)에서 a=0, b+0인 꼴이므로 순허수인 것은 -9i, 3i이 다. ' -9i, 3i ' 89 ⑴ 3i+(1-4i)=(0+1)+(3-4)i=1-i ⑵ (5-3i)+(2-7i) =(5+2)+(-3-7)i =7-10i ⑶ (4+3i)-(2-5i)=(4-2)+(3+5)i=2+8i ⑷ (-9-3i)-(5-2i) =(-9-5)+(-3+2)i =-14-i ⑴ 1-i ⑵ 7-10i ⑶ 2+8i ⑷ -14-i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19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19~062_2단원(확)_ok.indd 19 2018-07-31 오후 7:28:52 Ä Ä 90 ⑴ (1-i)(2+3i) =2+3i-2i-3i Û` =2+3i-2i+3=5+i ⑵ (-2+3i)(5-6i) =-10+12i+15i-18i Û` =-10+12i+15i+18 =8+27i ⑶ ( 3-2i)( 3+2i) =( 3)Û`-(2i)Û` ' ' ' =3-4i Û`=3+4=7 ⑷ (1+2i)Û`=1+4i+4i Û`=1+4i-4=-3+4i ⑴ 5+i ⑵ 8+27i ⑶ 7 ⑷ -3+4i 91 ⑴ 1 2+3i = 2-3i (2+3i)(2-3i) = 2-3i 4-9i Û` = 2-3i 13 = - i ;1£3; ;1ª3; ⑵ 1 4-5i = 4+5i (4-5i)(4+5i) = 4+5i 16-25i Û` = 4+5i 41 = + i ;4°1; ;4¢1; ⑶ 1+i 2-i = (1+i)(2+i) (2-i)(2+i) = 2+i+2i+i Û` 4-i Û` = 1+3i 5 = + i ;5#; ;5!; ⑷ 8i 1+4i = 8i(1-4i) (1+4i)(1-4i) = 8i-32i Û` 1-16i Û` = 32+8i 17 = + i ;1¥7; ;1#7@; ⑶ 3 1-i - (1-i)Û` 1+i = = = - -2i 3 1-i 1+i 3(1+i)+2i(1-i) (1-i)(1+i) 3+3i+2i-2i Û` 1-i Û` = 5+5i 2 = + i ;2%; ;2%; ⑷ 1-3i 2-i +(1+3i)Û` +(1+6i+9i Û`) +1+6i-9 = = (1-3i)(2+i) (2-i)(2+i) 2+i-6i-3i Û` 4-i Û` = 5-5i 5 -8+6i =1-i-8+6i=-7+5i ⑴ 13+7i ⑵ 4-6i ⑶ + i ⑷ -7+5i 5 2 ;2%; 93 (1+i)xÛ`-3x+2-4i=(xÛ`-3x+2)+(xÛ`-4)i 이 복소수가 실수이려면 xÛ`-4=0 ∴ x=Ñ2 따라서 모든 실수 x의 값의 합은 2+(-2)=0 0 ⑴ 2 13 - ;1£3; i ⑵ + ;4¢1; ;4°1; i ⑶ 1 5 + i ;5#; ⑷ + i ;1¥7; ;1#7@; 94 z =2(k+1)-k(1-i)Û` =2(k+1)-k(-2i) 92 ⑴ (7+5i)+ 6-2i =(7+5i)+(6+2i) =2(k+1)+2ki z가 순허수이므로 2(k+1)=0, 2k+0 =7+5i+6+2i 2(k+1)=0에서 k=-1 =13+7i 2k+0에서 k+0 ⑵ (2-i)Û`-i(2+i) =(4-4i+i Û`)-(2i+i Û`) ∴ k=-1 yy ㉠ =4-4i-1-2i+1 따라서 ㉠에 k=-1을 대입하면 =4-6i z=-2i -2i 20 Ⅱ. 방정식과 부등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19~062_2단원(확)_ok.indd 20 2018-07-31 오후 7:28:53 Ä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⑶ x 1+3i + y 1-3i = 9 2+i 에서 x(1-3i)+y(1+3i) (1+3i)(1-3i) = 9(2-i) (2+i)(2-i) x-3xi+y+3yi 10 = 18-9i 5 x+y 10 + -3x+3y 10 i= - i 18 5 9 5 이때 x+y 10 , -3x+3y 10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x+y 10 = 18 5 , -3x+3y 10 =- 9 5 는 실수이므로 복소수가 -1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21, y=15 ⑷ (4+i)x+(2-3i)yÓ=2-3i에서 (4x+2y)+(x-3y)iÓ=2-3i (4x+2y)-(x-3y)i=2-3i 이때 4x+2y, -(x-3y)는 실수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4x+2y=2, x-3y=3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 , y=- ;7^; ;7%; ⑴ x=-1, y=-1 ⑵ x=4, y=-2 ⑶ x=21, y=15 ⑷ x= , y=- ;7^; ` ;7%; 95 z =(1+i)aÛ`-(1+3i)a+2(i-1) =(aÛ`-a-2)+(aÛ`-3a+2)i 이때 zÛ`<0이면 z는 순허수이므로 aÛ`-a-2=0, aÛ`-3a+2+0 Ú aÛ`-a-2=0에서 (a+1)(a-2)=0 ∴ a=-1 또는 a=2 Û aÛ`-3a+2+0에서 (a-1)(a-2)+0 ∴ a+1, a+2 Ú, Û에서 a=-1 96 ⑴ (2x+i)(3+2i)=-8+yi에서 6x+4xi+3i-2=-8+yi (6x-2)+(4x+3)i=-8+yi 이때 6x-2, 4x+3은 실수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6x-2=-8, 4x+3=y ∴ x=-1, y=-1 ⑵ x 1+i x 1+i + + y 1-i y 1-i =1-3i에서 좌변을 통분하면 = = = x(1-i)+y(1+i) (1+i)(1-i) x-xi+y+yi 2 x+y 2 + -x+y 2 i 이므로 주어진 등식은 x+y 2 + -x+y 2 i=1-3i 이때 x+y 2 , -x+y 2 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x+y 2 =1, -x+y 2 =-3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4, y=-2 는 실수이므로 복소수가 서 4zÛ`-12z+9=-7, 4zÛ`-12z+16=0 97 z= 7i 3+ ' 2 에서 2z=3+ ' 양변을 제곱하면 7i ∴ 2z-3= 7i ' ∴ zÛ`-3z+4=0 ∴ zÜ`-2zÛ`+z-2 =z(zÛ`-3z+4)+zÛ`-3z-2 =z(zÛ`-3z+4)+(zÛ`-3z+4)-6 =z_0+0-6=-6 -6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21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19~062_2단원(확)_ok.indd 21 2018-07-31 오후 7:28:53 98 z=1-i에서 z-1=-i 102 z=a+bi (a, b는 실수)라 하면 z®=a-bi 양변을 제곱하면 zÛ`-2z+1=-1 이것을 iz+(1-i)z®=2i에 대입하면 ∴ zÛ`-2z+2=0 ∴ zÝ`-2zÜ`+3zÛ`-2z+1 i(a+bi)+(1-i)(a-bi)=2i ai-b+a-bi-ai-b=2i =zÛ`(zÛ`-2z+2)+zÛ`-2z+1 (a-2b)-bi=2i =zÛ`(zÛ`-2z+2)+(zÛ`-2z+2)-1 이때 a-2b, -b는 실수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zÛ`_0+0-1=-1 -1 조건에 의하여 99 x+y= 3i 1+ ' 2 + 3i 1- ' 2 =1 xy= 1+ 3i ' 2 _ 1- ' 2 3i = =1 ;4$; ∴ + = y x x y xÛ`+yÛ` xy = (x+y)Û`-2xy xy = 1Û`-2_1 1 =-1 -1 100 aa®-ab®-a®b+bb® =a(a®-b®)-b(a®-b®) =(a-b)(a®-b®) =(a-b)(a-bÓ) 5i)(4- =(4+ ' =16+5=21 ' 5i) 21 101 z=a+bi (a, b는 실수)라 하면 z®=a-bi z+z®=4에서 (a+bi)+(a-bi)=4 2a=4 ∴ a=2 zz®=20에서 (a+bi)(a-bi)=20 yy ㉠ yy ㉡ aÛ`+bÛ`=20 ㉠을 ㉡에 대입하면 4+bÛ`=20 bÛ`=16 ∴ b=Ñ4 a-2b=0, -b=2 ∴ a=-4, b=-2 따라서 z=-4-2i, z®=-4+2i이므로 z+z® =(-4-2i)+(-4+2i)=-8 -8 103 ⑴ i ß`=i Ý`_i Û`=i Û`=-1 ⑵ (-i)11=-i 11=-(i Ý`)Û`_i Ü`=-i Ü`=-(-i)=i ⑶ i 41=(i Ý`)10_i=i ⑷ (-i)800=i 800=(i Ý`)200=1 ⑸ i 100+i 200=(i 4)25+(i 4)50=1+1=2 ⑹ + + + = + 1 i 1 i Û` 1 i Ü` 1 i Ý` 1 -1 + 1 -i + ;1!; 1 i 1 i = -1- +1=0 1 i ⑴ -1 ⑵ i ⑶ i ⑷ 1 ⑸ 2 ⑹ 0 104 ⑴ Ñ ⑵ Ñ '¶ 'Ä 'Ä 'Ä -5=Ñ ' -10=Ñ 0i 5i 1 ' 2 ' 3 ' ⑶ Ñ -20=Ñ ⑷ Ñ -36=Ñ 5i 0i=Ñ2 ' 6i=Ñ6i ⑴ Ñ ' ⑶ Ñ2 5i ⑵ Ñ ' 5i ⑷ Ñ6i 1 0i ' 따라서 구하는 복소수 z는 2+4i, 2-4i이다. 2+4i, 2-4i -5 -9=- (-5)_(-9)=- '¶ '¶ "à 5=-3 4 ' 5 ' 105 ⑴ -5<0, -9<0이므로 22 Ⅱ. 방정식과 부등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19~062_2단원(확)_ok.indd 22 2018-07-31 오후 7:28:54 Œ Œ Œ Œ Œ ⑵ 3 ' '¶ -6= 3 ' ' 6i= 1 ' ⑶ 12>0, -4<0이므로 8i=3 2i ' =- -3=- 3i '¶ ' 2 1 ' -4 '¶ -4 ⑷ '¶ -2 '¶ =- 12 -4 ®É 4i 2i = = ' 2 ' ' ⑴ -3 다른풀이 ⑴ -5 '¶ '¶ 2 1 -4 ⑶ ' '¶ 2 1 4i = ' ' = 3 2 ' 2i 3 = ' i =- 3i ' 2i ⑶ - 3i ⑷ 2 5 ⑵ 3 ' -9 = ' 5i_ ' 9i=- ' 5 4 ' ' =-3 ' 5 ' 108 1 i + = { 2 i Û` 1 i + + + y + 3 i Ü` 2 i Û` 4 i Ý` 3 i Ü` + + + 50 i Þ`â` 5 i Þ` 4 i Ý` } + { + + + 6 i ß` + y + = { 1 i + 2 -1 + { 45 i 45 + 3 -i + 46 i 46 + + { ;1$;} 47 i 47 + 5 i + 7 i à` 48 i 48 } 6 -1 + + 8 i ¡` } 49 i 49 + 7 -i + 50 i 50 ;1*;} + y + 45 i { + 46 -1 + 47 -i + 48 1 } + 49 i + 50 -1 = 2- { 2 i } + 2- { 2 i } + y + 2- { 2 i } + 49 i -50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⑵ + + + = -1- +1=0이므로 109 ⑴ (1-i)Û`=1-2i-1=-2i이므로 + + + + y + (1-i)Þ`ß` ={(1-i)Û`}Û`¡`=(-2i)Û`¡`=2Û`¡`i Û`¡` 106 ⑴ i+i Û`+i Ü`+i Ý`=i-1-i+1=0이므로 1+i+i Û`+i Ü`+ y +i 144 =1+(i+i Û`+i Ü`+i Ý`)+i Ý`(i+i Û`+i Ü`+i Ý`) y +i 140(i+i Û`+i Ü`+i Ý`) + =1 1 i 1 i 1 i 1 i Û` 1 i Û` 1 i 1 i Ü` 1 i Ü` 1 i Û` 1 i Ý` 1 i Ý` 1 i Ü` = { + + 1 i 1 i 2021 1 1 i i Ý` { 1 i Û` + y + + + + + 1 i Ý` }+ 1 1 i 2016 { i + + + 1 i Û` 1 i Ü` 1 i Ü` 1 i Ý` } + 1 i Ý` } 1 i 2021 = 1 i 2021 = 1 (i Ý`)505_i 1 i = =-i ⑴ 1 ⑵ -i =12 2- { 2 i } + 49 i -50 =12(2+2i)-49i-50 =24+24i-49i-50 =-26-25i 따라서 a=-26, b=-25이므로 b-a=-25-(-26)=1 1 =2Û`¡`_(i Ý`)à`=2Û`¡` = 1-i 1+i 1-i 1+i } ⑵ { (1-i)Û` (1+i)(1-i) 2018 = -2i 2 =(-i)2018=i Û2018 =-i이므로 ‌‌ =(i Ý`)504_i Û`=i Û` =-1 1-i 2 } = -2i 2 =-i이므로 1+i 2 } ' 1+i 2 } ' = 2i 2 2` 100 + { 1+i ⑶ { { = =i, { 1-i ' 100 2 } 50 ' + ] ' [{ [{ 2 } ‌ 2` =i 50+(-i)50=i 50+i 50 =2i 50=2_(i Ý`)12_i Û` ' 2` 2` 1-i 50 2 } ]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23 107 i+2i Û`+3i Ü`+4i Ý`+ y +10i Ú`â` =i-2-3i+4+5i-6-7i+8+9i-10 =(-2+4-6+8-10)+(1-3+5-7+9)i =2i Û`=-2 =-6+5i -6+5i ⑴ 228 ⑵ -1 ⑶ -2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19~062_2단원(확)_ok.indd 23 2018-07-31 오후 7:28:55 Œ Œ Œ Œ Œ 110 zÛ`= { 2 ' 1+i } 2 2i 1 i = = =-i이므로 zÛ`+zÝ`+zß`+z¡`+zÚ`â` 2` =zÛ`+(zÛ`)Û`+(zÛ`)Ü`+(zÛ`)Ý`+(zÛ`)Þ` =-i+(-i)Û`+(-i)Ü`+(-i)Ý`+(-i)Þ` =-i-1+i+1-i=-i -i = 111 1-i 1+i 1-i 1+i } 2` 1-i 1+i } { { (1-i)Û` (1+i)(1-i) = -2i 2 =-i이므로 =(-i)Û`=i Û`=-1 = [{ 1-i 1+i } ] =(-1)Û`=1 2` 2` 4` { 따라서 1-i 1+i } 가장 작은 값은 4이다. n` |a|+ (a-b)Û`- bÛ` =a+(a-b)-(-b) "à " =2a 2a 114 a-4 1-a=- (a-4)(1-a)이므로 'Ä 'Ä a-4<0, 1-a<0 또는 a-4=0 또는 1-a=0 "à (a-4)Û`+|a-1| =-(a-4)+(a-1)=3 Ú a-4<0, 1-a<0인 경우 a-1>0이므로 "à "à "Ã Û a-4=0, 즉 a=4인 경우 (a-4)Û`+|a-1|=0+3=3 Ü 1-a=0, 즉 a=1인 경우 (a-4)Û`+|a-1|=3 =1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값 중 Ú ~ Ü 에서 4 "à (a-4)Û`+|a-1|=3 3 KEY Point aÛ`=|a|= "Å a¾0이면 a [ a<0이면 -a 115 ⑴ 2xÛ`-6x=0에서 2x(x-3)=0 ∴ x=0 또는 x=3 ⑵ xÛ`-5x+6=0에서 (x-2)(x-3)=0 ∴ x=2 또는 x=3 ⑶ 2xÛ`-x-3=0에서 (x+1)(2x-3)=0 ∴ x=-1 또는 x= ⑷ 3xÛ`+5x-2=0에서 (x+2)(3x-1)=0 ∴ x=-2 또는 x= ⑸ 4xÛ`-4x+1=0에서 (2x-1)Û`=0 ;2#; ;3!; ⑴ -4 2+i ⑵ -4-3i 0이 아닌 두 실수 a, b에 대하여 ' ' a>0, b<0 ∴ a-b>0 =- 이므로 ®;bA; ⑹ xÛ`- x+1=0에서 xÛ`-3x+2=0 따라서 |a|=a, (a-b)Û`=|a-b|=a-b, (x-1)(x-2)=0 ∴ x=1 또는 x=2 ∴ x= (중근) ;2!; ;2#; ;2!; 풀이 참조 112 3 ' ' '¶ ' ⑴ -4 -8+ '¶ '¶ 3 ' '¶ =- 2+ -9- 8 -2 -3+ ' '¶ 8 -2 ®É =-4 2+ 9i- -4 '¶ =-4 2+3i-2i=-4 2+i ' 8 1 -9 ' -20 -5 ®É ' ⑵ 'Ä '¶ = + -9 '¶ -20 -5 - 3 ' '¶ -4+ ' '¶ 81 -9 ®É 6- = 4-6- -9 '¶ =2-6-3i=-4-3i 113 ' a b "à bÛ`=|b|=-b이므로 " 24 Ⅱ. 방정식과 부등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19~062_2단원(확)_ok.indd 24 2018-07-31 오후 7:28:55 Œ Œ Œ 116 ⑴ 2xÛ`-7x+4=0에서 x= -(-7)Ñ "à (-7)Û`-4_2_4 2_2 = 1 7 7Ñ ' 4 ⑵ xÛ`-3x+4=0에서 x = -(-3)Ñ "à (-3)Û`-4_1_4 2_1 = 3Ñ 7 '¶- 2 118 주어진 방정식의 양변에 2- (2- 3)(2+ 3)xÛ`-(2- 3)(3+ 3)x ' ' ' 3을 곱하면 ' ' +2- 3=0 ' xÛ`-(3- 3)x+2- ' (x-1){x-(2- 3=0 ' 3)}=0 ' ∴ x=1 또는 x=2- 3 x=1 또는 x=2- ' 3 '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 7i 3Ñ ' 2 ⑶ 2xÛ`+x+1=0에서 -1Ñ x = = -1Ñ 4 ' "à 1Û`-4_2_1 2_2 7i ⑷ 3xÛ`+4x-2=0에서 = -1Ñ '¶- 4 7 -2Ñ 2Û`-3_(-2) x = "à 3 = 1 0 -2Ñ 3 ' ⑸ 3xÛ`-2x+1=0에서 x = -(-1)Ñ "à (-1)Û`-3_1 3 = 1Ñ -2 '¶ 3 = 2i 1Ñ ' 3 ⑹ 4xÛ`-2 x = ' -(- 3x-1=0에서 "Ã(- ' 4 3)Ñ ' = ' 7 ' 3Ñ 4 3)Û`-4_(-1) 119 x=1을 xÛ`+ax-3a+5=0에 대입하면 1+a-3a+5=0 ∴ a=3 a=3을 xÛ`+ax-3a+5=0에 대입하면 xÛ`+3x-4=0, (x+4)(x-1)=0 ∴ x=-4 또는 x=1 따라서 다른 한 근은 -4이므로 b=-4 ∴ a+b=3+(-4)=-1 -1 120 x=3을 xÛ`-(a+2)x+2a=0에 대입하면 9-3(a+2)+2a=0 ∴ a=3 a=3을 xÛ`+ax-aÛ`-1=0에 대입하면 xÛ`+3x-10=0, (x+5)(x-2)=0 풀이 참조 ∴ x=-5 또는 x=2 x=-5 또는 x=2 117 ⑴ 3(x+1)Û`=x(x+2)에서 3xÛ`+6x+3=xÛ`+2x, 2xÛ`+4x+3=0 ∴ x= -2Ñ "à 2Û`-2_3 2 = 2i -2Ñ 2 ' ⑵ 3xÛ`+2 5 -x= xÛ`-x 2 에서 2(3xÛ`+2)-10x=5(xÛ`-x) 6xÛ`-10x+4=5xÛ`-5x xÛ`-5x+4=0, (x-1)(x-4)=0 ∴ x=1 또는 x=4 ⑴ x= 2i -2Ñ 2 ' ⑵ x=1 또는 x=4 121 ⑴ xÛ`-2|x|-8=0에서 Ú x<0일 때, |x|=-x이므로 xÛ`+2x-8=0, (x+4)(x-2)=0 ∴ x=-4 또는 x=2 그런데 x<0이므로 x=-4 Û x¾0일 때, |x|=x이므로 ∴ x=-2 또는 x=4 그런데 x¾0이므로 x=4 Ú, Û에서 x=-4 또는 x=4 xÛ`-2x-8=0, (x+2)(x-4)=0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25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19~062_2단원(확)_ok.indd 25 2018-07-31 오후 7:28:56 Œ Œ ⑵ xÛ`+|2x-1|=3에서 Ü x¾2일 때, Ú x< 일 때, |2x-1|=-(2x-1)이므로 1 2 |x-2|=x-2, |x|=x이므로 (x-2)+1=xÛ`-x xÛ`-2x+1=0, (x-1)Û`=0 ∴ x=1 (중근) 그런데 x¾2이므로 x=1은 해가 아니다. Ú ~ Ü에서 x=-3 또는 x= 3 ' x=-3 또는 x= 3 ' 12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처음 직각 이등변삼각형의 밑변의 길이와 (cid:19) (cid:89) Ú, Û에서 x=1- 3 또는 x=-1+ 높이를 x라 하면 처음 직각이등 xÛ`-3x-1=-(x-2) 로 만든 삼각형의 넓이는 (x+3)(x+2)이다. xÛ`-2x-3=0, (x+1)(x-3)=0 새로 만든 삼각형의 넓이가 처음 직각이등변삼각형의 변삼각형의 넓이는 xÛ`이고 새 (cid:20) (cid:89) 1 2 1 2 xÛ`-(2x-1)=3, xÛ`-2x-2=0 ∴ x=1Ñ 3 ' 1 2 그런데 x< 이므로 x=1- 3 ' Û x¾ 1 2 일 때, |2x-1|=2x-1이므로 xÛ`+2x-1=3, xÛ`+2x-4=0 ∴ x=-1Ñ 5 그런데 x¾ 이므로 x=-1+ 5` ' 1 2 ' ' 5 ' ⑶ xÛ`-3x-1=|x-2|에서 Ú x<2일 때, |x-2|=-(x-2)이므로 ∴ x=-1 또는 x=3 그런데 x<2이므로 x=-1 Û x¾2일 때, |x-2|=x-2이므로 xÛ`-3x-1=x-2, xÛ`-4x+1=0 ∴ x=2Ñ 3 ' 그런데 x¾2이므로 x=2+ 3 ' Ú, Û에서 x=-1 또는 x=2+ 3 ' 122 |x-2|+1=xÛ`- Ú x<0일 때, "Å xÛ` 에서 |x-2|+1=xÛ`-|x| |x-2|=-(x-2), |x|=-x이므로 -(x-2)+1=xÛ`+x xÛ`+2x-3=0, (x+3)(x-1)=0 ∴ x=-3 또는 x=1 그런데 x<0이므로 x=-3 Û 0Éx<2일 때, -(x-2)+1=xÛ`-x xÛ`=3 ∴ x=Ñ 3 ' 그런데 0Éx<2이므로 x= 3 ' 26 Ⅱ. 방정식과 부등식 넓이의 2배이므로 (x+3)(x+2)=2_ xÛ` ;2!; ;2!; xÛ`-5x-6=0, (x+1)(x-6)=0 ∴ x=6 (∵ x>0) 따라서 처음 직각이등변삼각형의 넓이는 xÛ`= _6Û`=18 ;2!; ;2!; 18 풀이 참조 124 길의 폭을 x m라 하면 길을 제외한 잔디밭의 넓이는 다음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와 같다. (cid:89)(cid:3)(cid:78) (cid:18)(cid:17)(cid:3)(cid:78) (cid:19)(cid:17)(cid:3)(cid:78) (cid:89)(cid:3)(cid:78) (cid:89)(cid:3)(cid:78) (cid:9)(cid:18)(cid:17)(cid:14)(cid:89)(cid:10)(cid:3)(cid:78) (cid:9)(cid:19)(cid:17)(cid:14)(cid:89)(cid:10)(cid:3)(cid:78) (cid:89)(cid:3)(cid:78) 길을 제외한 잔디밭의 넓이가 144`mÛ`이므로 xÛ`-30x+56=0, (x-2)(x-28)=0 ∴ x=2 (∵ 00 따라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⑵ ;;4;D; =(-2)Û`-1_7=-3<0 따라서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⑶ ;;4;D; =6Û`-4_9=0 따라서 중근을 갖는다. ⑷ ;;4;D; ' =(- 3)Û`-1_3=0 따라서 중근을 갖는다. ⑸ 3xÛ`-4x-2=0이므로 ;;4;D; =(-2)Û`-3_(-2)=10>0 따라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⑹ 2xÛ`+3x+5=0이므로 D=3Û`-4_2_5=-31<0 따라서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127 보기에 주어진 각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ㄱ. ;;4;D; ㄴ. ;;4;D; =(-1)Û`-1_4=-3<0 =(-2)Û`-1_(-5)=9>0 ㄷ. D=3Û`-4_2_4=-23<0 ㄹ. =3Û`-9_1=0 ;;4;D; ㅁ. D=(-1)Û`-4_ _1=0 ;4!; ㅂ. D=(-1)Û`-4_ _ = >0 ;9!; ;3!; ;3@; ⑴ 실근을 가지면 D¾0이므로 ㄴ, ㄹ, ㅁ, ㅂ ㄱ, ㄷ ⑵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지면 D<0이므로 ⑴ ㄴ, ㄹ, ㅁ, ㅂ ⑵ ㄱ, ㄷ 128 이차방정식 xÛ`+4x+a-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2Û`-(a-3)=7-a ;;4;D; 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D>0이어야 하므로 =7-a>0 ∴ a<7 ⑵ 중근을 가지려면 D=0이어야 하므로 =7-a=0 ∴ a=7 ;;4;D; ;;4;D; ;;4;D; ⑶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지려면 D<0이어야 하므로 =7-a<0 ∴ a>7 ⑴ a<7 ⑵ a=7 ⑶ a>7 129 이차방정식 xÛ`+(2k-1)x+kÛ`-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2k-1)Û`-4(kÛ`-3)=-4k+13 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D>0이어야 하므로 풀이 참조 D=-4k+13>0 ∴ k< :Á4£: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27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19~062_2단원(확)_ok.indd 27 2018-07-31 오후 7:28:57 ⑵ 중근을 가지려면 D=0이어야 하므로 주어진 이차식이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이차방정식 D=-4k+13=0 ∴ k= ⑶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지려면 D<0이어야 하므로 D=-4k+13<0 ∴ k> :Á4£: :Á4£: (k-2)xÛ`+2(2k-4)x+3k-2=0이 중근을 가져 야 하므로 판별식을 D라 할 때, =(2k-4)Û`-(k-2)(3k-2)=0 ;;4;D; kÛ`-8k+12=0, (k-2)(k-6)=0 ⑴ k< ⑵ k= ⑶ k> :Á4£: :Á4£: :Á4£: ∴ k=2 또는 k=6 그런데 k+2이므로 k=6 6 130 이차방정식 xÛ`-2(k-1)x+kÛ`-5k+4=0이 실근 을 가지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k-1)Û`-(kÛ`-5k+4)¾0 ;;4;D; 3k-3¾0 ∴ k¾1 131 (k-1)xÛ`+2kx+k-1=0이 이차방정식이므로 k-1+0 ∴ k+1 yy ㉠ 이차방정식 (k-1)xÛ`+2kx+k-1=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134 ⑴ a+b=-3 ⑵ ab=-2 k¾1 ⑶ aÛ`+bÛ` =(a+b)Û`-2ab =(-3)Û`-2_(-2)=13 ⑷ + = 1 a 1 b a+b ab = -3 -2 = ;2#; =kÛ`-(k-1)Û`>0 ;;4;D; 2k-1>0 ∴ k> ;2!; ㉠, ㉡에서 1 ;2!; yy ㉡ 135 ⑴ a+b=- =2 -6 3 ⑵ ab= ;3@; ;2!; 1 ⑶ aÛ`-ab+bÛ` =(a+b)Û`-3ab =2Û`-3_ =2 2 3 132 이차방정식 xÛ`+2(k+a)x+kÛ`+6k+b=0이 중근 ⑷ + = b a a b aÛ`+bÛ` ab = (a+b)Û`-2ab ab ⑴ -3 ⑵ -2 ⑶ 13 ⑷ ;2#; 을 가지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k+a)Û`-(kÛ`+6k+b)=0 ;;4;D; ∴ (2a-6)k+aÛ`-b=0 이 식이 k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2a-6=0, aÛ`-b=0 ∴ a=3, b=9 ∴ a+b=12 12 133 주어진 식이 이차식이므로 k-2+0 ∴ k+2 28 Ⅱ. 방정식과 부등식 2Û`-2_ ;3@; = = =4 ;3*; ;3@; ;3@; ⑴ 2 ⑵ ⑶ 2 ⑷ 4 2 3 136 ⑴ xÛ`-(4+6)x+4_6=0 ∴ xÛ`-10x+24=0 ⑵ xÛ`-{5+(-2)}x+5_(-2)=0 ∴ xÛ`-3x-10=0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19~062_2단원(확)_ok.indd 28 2018-07-31 오후 7:28:58 ⑶ xÛ`-(1- 5+1+ 5)x+(1- 5)(1+ 5)=0 ' ' ' ' ∴ xÛ`-2x-4=0 ⑷ xÛ`-(3+i+3-i)x+(3+i)(3-i)=0 ∴ xÛ`-6x+10=0 ⑴ xÛ`-10x+24=0 ⑵ xÛ`-3x-10=0 ⑶ xÛ`-2x-4=0 `⑷ xÛ`-6x+10=0 137 두 근이 -7, -2이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xÛ`-{(-7)+(-2)}x+(-7)_(-2)=0 ∴ xÛ`+9x+14=0 이차방정식은 이때 xÛ`의 계수가 3이므로 각 항에 3을 곱하면 구하는 3xÛ`+27x+42=0 3xÛ`+27x+42=0 138 ⑴ xÛ`-x-3=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x= 1 3 1Ñ ' 2 ∴ xÛ`-x-3= { x- 1 3 1+ ' 2 x- }{ 1 3 1- ' 2 } ⑵ xÛ`+9=0에서 xÛ`=-9 ∴ x=Ñ3i ∴ xÛ`+9=(x-3i)(x+3i) ⑴ { x- 1 3 1+ ' 2 x- }{ 1 3 1- ' 2 } ⑵ (x-3i)(x+3i)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⑷ b a-1 + a b-1 = b(b-1)+a(a-1) (a-1)(b-1) = aÛ`+bÛ`-a-b ab-a-b+1 = (a+b)Û`-2ab-(a+b) ab-(a+b)+1 = 3Û`-2_4-3 4-3+1 = -2 2 ⑸ + = b aÛ` a bÛ` (a+b)Ü`-3ab(a+b) (ab)Û` =-1 = aÜ`+bÜ` aÛ`bÛ` 3Ü`-3_4_3 4Û` = =- ;1»6; ⑴ 12 ⑵ 5 ⑶ 11 ⑷ -1 ⑸ - 9 16 140 이차방정식 xÛ`+4x-2=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4, ab=-2 또한, 이차방정식에 두 근 a, b를 대입하면 aÛ`+4a-2=0, bÛ`+4b-2=0이므로 aÛ`=-4a+2, bÛ`=-4b+2 ∴ (aÛ`+a-1)(bÛ`+b-1) =(-4a+2+a-1)(-4b+2+b-1) =(-3a+1)(-3b+1) =9ab-3(a+b)+1 =9_(-2)-3_(-4)+1 =-5 141 -5 1 3 139 이차방정식 xÛ`-3x+4=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3, ab=4 ⑴ aÛ`b+abÛ`=ab(a+b)=4_3=12 ⑵ aÛ`+ab+bÛ`=(a+b)Û`-ab=3Û`-4=5 ⑶ (2a-1)(2b-1) =4ab-2(a+b)+1 =4_4-2_3+1=11 이차방정식 axÛ`+2x+b=0의 두 근이 -1, 이므 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 =- , -1_ = ;3!; ;a@; ;3!; ;aB; ∴ a=3, b=-1 따라서 이차방정식 bxÛ`+ax+a-b=0의 두 근의 곱은 a-b b = 3-(-1) -1 =-4 -4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29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19~062_2단원(확)_ok.indd 29 2018-07-31 오후 7:28:58 Œ Œ Œ Œ Œ 142 이차방정식 xÛ`+ax+b=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 다른풀이 xÛ`-(a+1)x+a=0에서 (x-1)(x-a)=0 ∴ x=1 또는 x=a 한 근이 다른 근의 3배이므로 1_3=a 또는 a_3=1 yy ㉠ ∴ a=3 또는 a= ;3!;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a, ab=b 또, 이차방정식 xÛ`-ax-b=0의 두 근이 a-1, b-1 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1)+(b-1)=a, (a-1)(b-1)=-b ∴ a+b-2=a, ab-(a+b)+1=-b yy ㉡ ㉠을 ㉡에 대입하면 -a-2=a, b+a+1=-b ∴ a=-1, b=0 a=-1, b=0 143 두 근의 차가 4이므로 두 근을 a, a+4라 하면 근과 계 수의 관계에 의하여 a+(a+4)=k-2 a(a+4)=k+2 ㉠에서 a= -3을 ㉡에 대입하면 ;2K; -3 }{;2K; =k+2, (k-6)(k+2)=4(k+2) +1 } {;2K; ∴ k=-2 또는 k=10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2+10=8 144 한 근이 다른 근의 3배이므로 두 근을 a, 3a`(a+0)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3a=a+1 yy ㉠, a_3a=a yy ㉡ ㉠에서 a= 을 ㉡에 대입하면 a+1 4 3(a+1) 4 =a a+1 4 _ 3(a+1)Û` 16 =a, 3(aÛ`+2a+1)=16a 3aÛ`-10a+3=0, (3a-1)(a-3)=0 ∴ a= 또는 a=3 ;3!; 30 Ⅱ. 방정식과 부등식 145 두 근의 비가 2`:`5이므로 두 근을 2a, 5a`(a+0)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a+5a=7, 2a_5a=k ∴ a=1, k=10 따라서 이차방정식 xÛ`+kx-2k+3=0의 두 근의 곱은 -2k+3=-2_10+3=-17 -17 146 이차방정식 2xÛ`-5x+4=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 yy ㉠ yy ㉡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 , ab=2 ;2%; 두 근 a+1, b+1의 합과 곱을 구하면 (a+1)+(b+1)=a+b+2= +2= ;2%; ;2(; =2+ +1= ;2%; 11 2 따라서 a+1, b+1을 두 근으로 하고 xÛ`의 계수가 2 8 인 이차방정식은 2 { xÛ`- x+ ;2(; ;;Á2Á;;} =0 ∴ 2xÛ`-9x+11=0 2xÛ`-9x+11=0 147 이차방정식 xÛ`+5x+2=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5, ab=2 두 근 , 의 합과 곱을 구하면 1 aÛ` 1 bÛ` 1 bÛ` aÛ`+bÛ` aÛ`bÛ` 1 aÛ` + = = (a+b)Û`-2ab (ab)Û` ;3!; , 3 = (-5)Û`-2_2 2Û` = :ª4Á: kÛ`-8k-20=0, (k+2)(k-10)=0 (a+1)(b+1) =ab+a+b+1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19~062_2단원(확)_ok.indd 30 2018-07-31 오후 7:28:59 = ;4!; 1 aÛ` _ = 1 bÛ` 1 aÛ` 1 (ab)Û` 1 bÛ` 이차방정식은 따라서 , 을 두 근으로 하고 이차항의 계수가 4인 4 xÛ`- { :ª4Á: x+ ;4!;} =0 ∴ 4xÛ`-21x+1=0 4xÛ`-21x+1=0 148 ⑴ 이차방정식 xÛ`+6x+4=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x-(-3+ 5)}{x-(-3- 5)} ' =(x+3- 5)(x+3+ 5) ' ' ⑵ 이차방정식 3xÛ`-2x+2=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x=-3Ñ 5 ' ∴ xÛ`+6x+4 ' x= 5i 1Ñ ' 3 ∴ 3xÛ`-2x+2 = 3 { x- 5i 1+ ' 3 x- }{ 5i 1- ' 3 } 풀이 참조 149 이차방정식 f(x)=0의 두 근이 a, b이므로 이차방정 식 f(2x-1)=0의 두 근은 2x-1=a 또는 2x-1=b ∴ x= 또는 x= a+1 2 b+1 2 a+1 2 _ b+1 2 = ab+(a+b)+1 4 = 4+3+1 4 =2 2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 2)+(1- ' (1+ 2)(1- ' ∴ ab=-2 ' 2)=-a ∴ a=-2 ' 2)=-b ∴ b=1 -2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151 이차방정식 xÛ`+6x+a=0에서 a, b가 실수이고 한 근이 b+ 3i이므로 다른 한 근은 b- 3i이다. ' '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 3i)+(b- 3i)=-6 ∴ b=-3 ' 3i)=a ∴ a=12 ' (b+ 3i)(b- ' ∴ a+b=9 ' 9 152 1 1+2i = 1-2i (1+2i)(1-2i) = 1-2i 5 = - i ;5@; ;5!; 이차방정식 5xÛ`+ax+b=0에서 a, b가 실수이고 한 근이 - i이므로 다른 한 근은 + i이다. ;5!; ;5@; 1 5 ;5@;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i } ;5@; + {;5!; + i } ;5@; {;5!; =- ;5A; - i }{;5!; ;5@; + i } ;5@; = ;5B; {;5!; yy ㉠ yy ㉡ ㉠에서 =- ∴ a=-2 ;5@; ;5A; Û`- Û`= i } {;5@; ㉡에서 {;5!;} ;5B; a=-2, b=1을 이차방정식 axÛ`-5x-b=0에 대입 ∴ b=1 하면 -2xÛ`-5x-1=0 7 1 -5Ñ 4 ' x= -5Ñ 4 ' 1 7 따라서 이차방정식 f(2x-1)=0의 두 근의 곱은 2xÛ`+5x+1=0 ∴ x= 150 이차방정식 xÛ`+ax-b=0에서 a, b가 유리수이고 한 근이 2+1, 즉 1+ 2이므로 다른 한 근은 1- 2이다. (k, 2kÛ`-k-5) ' ' ' 153 y =-3xÛ`+6kx-kÛ`-k-5 =-3(x-k)Û`+2kÛ`-k-5 이므로 이 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31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19~062_2단원(확)_ok.indd 31 2018-07-31 오후 7:28:59 Œ Œ 이 점이 직선 y=x-1 위에 있으므로 따라서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2kÛ`-k-5=k-1 x좌표는 -4, 2이다. 2kÛ`-2k-4=0, 2(k+1)(k-2)=0 ⑶ 이차방정식 -xÛ`+8x-16=0에서 ∴ k=2 (∵ k>0) 2 xÛ`-8x+16=0, (x-4)Û`=0 154 이차함수의 식을 y=a(x+3)(x-1)`(a는 상수)로 놓으면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점 (0, 3)을 지나므로 3=-3a ∴ a=-1 따라서 이차함수의 식은 y =-(x+3)(x-1)=-xÛ`-2x+3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점 (2, k)를 지나므로 k=-4-4+3=-5 155 주어진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에서 그래프가 아래로 볼록하므로 a>0 y축과의 교점이 원점이므로 c=0 ㄱ. a>0, b>0이므로 ab>0 ㄴ. x=-1일 때 y<0이므로 a-b+c<0 이때 c=0이므로 a-b<0 ㄷ. x=-2일 때 y=0이므로 4a-2b+c=0 ㄹ. x= 일 때 y>0이므로 a+ b+c>0 1 9 ;3!; ;3!; 1 9 ∴ x=4 (중근) x좌표는 4이다. 따라서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⑴ -2, 0 ⑵ -4, 2 ⑶ 4 157 ⑴ 이차방정식 xÛ`+2x-4=0의 판별식 D가 -5 ;;4;D; =1Û`-1_(-4)=5>0 이므로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개수는 2이다. ⑵ 이차방정식 2xÛ`-3x+3=0의 판별식 D가 D=(-3)Û`-4_2_3=-15<0 이므로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⑶ 이차방정식 -xÛ`+4x-4=0의 판별식 D가 =2Û`-(-1)_(-4)=0 ;;4;D; 이므로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개수는 1이다. ⑷ 이차방정식 3xÛ`-4x-2=0의 판별식 D가 =(-2)Û`-3_(-2)=10>0 ;;4;D; (a+3b+9c)>0 ∴ a+3b+9c>0 이므로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 ㄹ이다. ㄱ, ㄷ, ㄹ 개수는 2이다. ⑴ 2 ⑵ 0 ⑶ 1 ⑷ 2 축이 y축의 왼쪽에 있으므로 - <0 ∴ b>0 개수는 0이다. b 2a 따라서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2xÛ`-9x+4=0, (2x-1)(x-4)=0 156 ⑴ 이차방정식 3xÛ`+6x=0에서 3x(x+2)=0 ∴ x=0 또는 x=-2 x좌표는 -2, 0이다. ⑵ 이차방정식 -xÛ`-2x+8=0에서 xÛ`+2x-8=0, (x+4)(x-2)=0 ∴ x=-4 또는 x=2 32 Ⅱ. 방정식과 부등식 158 ⑴ 2xÛ`+x-2=10x-6에서 ∴ x= 또는 x=4 ;2!; x좌표는 , 4이다. 1 2 따라서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교점의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19~062_2단원(확)_ok.indd 32 2018-07-31 오후 7:29:00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⑵ -xÛ`+3x-1=-x-6에서 xÛ`-4x-5=0, (x+1)(x-5)=0 ∴ x=-1 또는 x=5 160 이차함수 y=xÛ`+ax-4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x 좌표가 -1, b이므로 이차방정식 xÛ`+ax-4=0의 두 따라서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교점의 근이 -1, b이다. x좌표는 -1, 5이다. ⑶ xÛ`-3x+7=3x-2에서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b=-a, -1_b=-4 xÛ`-6x+9=0, (x-3)Û`=0 ∴ x=3 (중근) 따라서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교점의 ∴ a=-3, b=4 ∴ ab=-12 x좌표는 3이다. -12 ⑴ , 4 ⑵ -1, 5 ⑶ 3 1 2 159 ⑴ xÛ`-3x+3=x-2에서 xÛ`-4x+5=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D가 하여 161 이차함수 y=xÛ`+2x+k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두 점의 x좌표를 a, b라 하면 a, b는 이차방정식 xÛ`+2x+k=0의 두 근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 a+b=-2, ab=k yy ㉠ =(-2)Û`-1_5=-1<0 ;;4;D; 이므로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은 만나지 않는다. ⑵ 4xÛ`+5x+2=x+1에서 4xÛ`+4x+1=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D가 이때 두 점 사이의 거리가 4이므로 |a-b|=4 양변을 제곱하면 (a-b)Û`=16 ∴ (a+b)Û`-4ab=16 ㉠ 을 ㉡에 대입하면 yy ㉡ =2Û`-4_1=0 ;;4;D; 에서 만난다.(접한다.) 이므로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은 한 점 다른풀이 y =xÛ`+2x+k=(x+1)Û`+k-1 이므로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은 x=-1 (-2)Û`-4k=16 ∴ k=-3 -3 ⑶ 2xÛ`+3x=2x-1에서 2xÛ`+x+1=0 이다. 또,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 (cid:9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D가 D=1Û`-4_2_1=-7<0 이므로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은 만나지 않는다. ⑷ -2xÛ`+8x+2=2x+5에서 2xÛ`-6x+3=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D가 =(-3)Û`-2_3=3>0 ;;4;D; 이므로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cid:34) (cid:14)(cid:20) (cid:14)(cid:18) (cid:35) (cid:48) (cid:18) (cid:89) 가 x축과 만나는 두 점을 각각 A, B라 하면 ABÓ=4이므로 A(-3, 0), B(1, 0) 따라서 이차방정식 관계에 의하여 -3_1=k ∴ k=-3 xÛ`+2x+k=0의 두 근이 -3, 1이므로 근과 계수의 ⑴ 만나지 않는다. ⑵ 한 점에서 만난다. (접한다.) ⑶ 만나지 않는다. ⑷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하면 ;;4;D; 162 이차방정식 xÛ`-2kx+kÛ`+k+3=0의 판별식을 D라 =(-k)Û`-(kÛ`+k+3)=-k-3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33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19~062_2단원(확)_ok.indd 33 2018-07-31 오후 7:29:00 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D>0이어야 하므로 k=-3을 ㉠에 대입하면 2xÛ`+6x=0 -k-3>0 ∴ k<-3 ⑵ 접하려면 D=0이어야 하므로 -k-3=0 ∴ k=-3 ⑶ 만나지 않으려면 D<0이어야 하므로 -k-3<0 ∴ k>-3 ⑴ k<-3 ⑵ k=-3 ⑶ k>-3 x(x+3)=0 ∴ x=-3 또는 x=0 따라서 점 B의 x좌표는 0이므로 y=-3 즉, 구하는 점 B의 좌표는 (0, -3)이다. (0, -3) 166 이차함수 y=xÛ`-ax+b의 그래프와 직선 y=2x-1의 교점의 x좌표는 이차방정식 163 이차함수 y=axÛ`-8x+a+6의 그래프가 x축과 접하 xÛ`-ax+b=2x-1, 즉 xÛ`-(a+2)x+b+1=0 려면 이차방정식 axÛ`-8x+a+6=0의 판별식을 D라 의 실근과 같다. yy ㉠ 할 때 D=0이어야 하므로 =(-4)Û`-a(a+6)=0 ;;4;D; aÛ`+6a-16=0, (a+8)(a-2)=0 ∴ a=-8 또는 a=2 ∴ aÛ`+bÛ`=(-8)Û`+2Û`=68 68 164 이차함수 y=2xÛ`-3x+1의 그래프와 직선 y=ax+b의 교점의 x좌표는 이차방정식 2xÛ`-3x+1=ax+b, 즉 이때 a, b가 유리수이고 이차방정식 ㉠의 한 근이 2- 3이므로 다른 한 근은 2+ 3이다. '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2- 3)+(2+ 3)=a+2 ' 3)=b+1 ' (2- 3)(2+ ∴ a=2, b=0 ∴ a+b=2 2 167 이차방정식 xÛ`-5x-3=-x+k, 즉 xÛ`-4x-3-k=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2xÛ`-(3+a)x+1-b=0 yy ㉠ 의 실근과 같으므로 이차방정식 ㉠의 두 근이 -2, 5 =(-2)Û`-(-3-k)=k+7 ;;4;D; 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D>0이어야 하므로 이다.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5= , -2_5= 3+a 2 1-b 2 ∴ a=3, b=21 ∴ a+b=24 165 이차함수 y=2xÛ`+5x-3의 그래프와 직선 y=-x+k의 교점의 x좌표는 이차방정식 2xÛ`+5x-3=-x+k, 즉 2xÛ`+6x-3-k=0 k+7>0 ∴ k>-7 ⑵ 접하려면 D=0이어야 하므로 k+7=0 ∴ k=-7 24 ⑶ 만나지 않으려면 D<0이어야 하므로 k+7<0 ∴ k<-7 ⑴ k>-7 ⑵ k=-7 ⑶ k<-7 168 직선 y=ax+b는 직선 y=-2x+3과 평행하므로 yy ㉠ a=-2 의 실근과 같으므로 이차방정식 ㉠의 한 근이 -3이다. 직선 y=-2x+b가 이차함수 y=xÛ`+x+4의 그래 x=-3을 ㉠에 대입하면 18-18-3-k=0 ∴ k=-3 프에 접하므로 이차방정식 xÛ`+x+4=-2x+b, 즉 xÛ`+3x+4-b=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34 Ⅱ. 방정식과 부등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19~062_2단원(확)_ok.indd 34 2018-07-31 오후 7:29:01 D=3Û`-4(4-b)=0 x=1일 때 y=-1, x= 2 일 때 y= -3 , x=4일 4b-7=0 ∴ b= ;4&; a=-2, b= ;4&; 때 y= 5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169 이차함수 y=xÛ`-2mx+1+mÛ`의 그래프와 직선 y=2x-1이 적어도 한 점에서 만나므로 이차방정식 xÛ`-2mx+1+mÛ`=2x-1, 즉 xÛ`-2(m+1)x+2+mÛ`=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m+1)Û`-(2+mÛ`)æ¾0 ;;4;D; 2m-1æ¾0 ∴ m¾æ ;2!; m¾ ;2!; 170 1, 1, 1, -1, 없다 171 ⑴ x=2일 때 최솟값 1을 갖고, 최댓값은 없다. ⑵ x=3일 때 최댓값 0을 갖고, 최솟값은 없다. ⑶ y =2xÛ`+6x+3 =2 =2 xÛ`+3x+ { Û`- x+ ;2#;} [ { 3 2 Û`- 3 2 } Û` ] {;2#;} +3 은 없다. ⑷ y =-3xÛ`+12x-15 =-3(xÛ`-4x+4-4)-15 =-3(x-2)Û`-3 따라서 x=2일 때 최댓값 -3을 갖고, 최솟값은 없다. 풀이 참조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은 5 , 최솟값은 -3 이다. 풀이 참조 173 ⑴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x좌표 -1은 주어 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x=0일 때 y=4, x=1일 때 y=7 따라서 최댓값은 7, 최솟값은 4이다. ⑵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x좌표 1은 주어진 x=-1일 때 y=15, x=1일 때 y=3, x=2일 때 범위에 포함된다. y=6 따라서 최댓값은 15, 최솟값은 3이다. ⑶ y=-2xÛ`+4x-5=-2(x-1)Û`-3 이므로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x좌표 1은 주어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x=2일 때 y=-5, x=3일 때 y=-11 따라서 최댓값은 -5, 최솟값은 -11이다. ⑷ y=-4xÛ`+4x+3=-4 { x- ;2!;} Û`+4 이므로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x좌표 은 1 2 x=-1일 때 y=-5, x= 일 때 y=4, x=3일 때 1 2 y=-21 따라서 최댓값은 4, 최솟값은 -21이다. 풀이 참조 따라서 x=- 일 때 최솟값 - 을 갖고, 최댓값 ;2#; 3 2 주어진 범위에 포함된다. 172 y=2xÛ`-8x+5=2(x- 2 )Û`- 3 이므로 이차함수 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x좌표 2 는 주어진 범위에 포 174 1 2 값 5를 가지므로 이차함수 y=- xÛ`+3ax+b가 x=-2에서 최댓 함된다. y=- (x+2)Û`+5=- xÛ`-2x+3 ;2!; ;2!;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35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19~062_2단원(확)_ok.indd 35 2018-07-31 오후 7:29:01 x=0일 때 y=1, x= 일 때 y= , x=1일 때 y=0 ;3!; ;3$; 이므로 t=-4일 때 최솟값 -9를 갖는다. -9 즉, 3a=-2, b=3 ∴ a=- , b=3 ;3@; ∴ ab=- _3=-2 ;3@; -2 y =axÛ`+2x+4+2a=a { x+ ;a!;} Û`- ;a!; +4+2a 이 이차함수의 최댓값이 존재하므로 a<0 최댓값이 3이므로 - +4+2a=3 2aÛ`+a-1=0, (a+1)(2a-1)=0 ∴ a=-1 또는 a= ;a!; ;2!; 그런데 a<0이므로 a=-1 -1 175 176 y =-3xÛ`+2x+1=-3 { x- Û`+ 1 3 } ;3$; 이므로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x좌표 이 1 3 0ÉxÉ1에 포함된다. 따라서 M= , m=0이므로 ;3$; M+m= ;3$; 177 ;3!; y= xÛ`-2x+k= (x-3)Û`-3+k ;3!;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x좌표 3이 -3ÉxÉ4에 포함되므로 x=3일 때 최솟값 -3+k 를 갖는다. 즉, -3+k=-1 ∴ k=2 따라서 y= (x-3)Û`-1에서 ;3!; x=-3일 때 y=11, x=4일 때 y=- ;3@; 댓값은 11이다. (cid:90) (cid:18)(cid:18) (cid:14)(cid:20) (cid:19) (cid:20) (cid:14) (cid:48) (cid:20) (cid:21) (cid:14)(cid:18) 36 Ⅱ. 방정식과 부등식 178 xÛ`-2x=t로 놓으면 t=xÛ`-2x=(x-1)Û`-1 ∴ t¾-1 이때 주어진 함수는 y =tÛ`-2t-5 =(t-1)Û`-6`(t¾-1) 이므로 t=1일 때 최솟값 -6을 갖는다. -6 179 y =(xÛ`+4x+5)(xÛ`+4x+2)+3xÛ`+12x+5 =(xÛ`+4x+5)(xÛ`+4x+2)+3(xÛ`+4x)+5 xÛ`+4x=t로 놓으면 t=xÛ`+4x=(x+2)Û`-4 ∴ t¾-4 이때 주어진 함수는 y =(t+5)(t+2)+3t+5=tÛ`+10t+15 =(t+5)Û`-10`(t¾-4) ;3$; 180 xÛ`+2x+2=t로 놓으면 t =xÛ`+2x+2 =(x+1)Û`+1 -3ÉxÉ0이므로 [그림 1]에서 (cid:85)(cid:30)(cid:89)(cid:153)(cid:65)(cid:12)(cid:19)(cid:89)(cid:12)(cid:19) (cid:85) (cid:22) (cid:19) (cid:18) =(t-2)Û`-5`(1ÉtÉ5) (cid:90)(cid:30)(cid:85)(cid:153)(cid:65)(cid:14)(cid:21)(cid:85)(cid:14)(cid:18) 1ÉtÉ5 이때 주어진 함수는 y =tÛ`-4t-1 이므로 [그림 2]에서 t=5일 때 최댓값 4, t=2일 때 최솟값 -5 를 갖는다. 4+(-5)=-1 11 (cid:14)(cid:20) (cid:14)(cid:18) (cid:48) (cid:89) [그림 1] (cid:90) (cid:21) (cid:14)(cid:21) (cid:14)(cid:22) (cid:18) (cid:19) (cid:48) (cid:22) (cid:85) [그림 2] -1 이므로 주어진 이차함수의 최 (cid:89) 따라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19~062_2단원(확)_ok.indd 36 2018-07-31 오후 7:29:02 181 4xÛ`+yÛ`-16x+2y+1 =4(xÛ`-4x+4)+(yÛ`+2y+1)-16 =4(x-2)Û`+(y+1)Û`-16 이때 x, y는 실수이므로 (x-2)Û`¾0, (y+1)Û`¾0 ∴ 4xÛ`+yÛ`-16x+2y+1¾-16 (20-y) : x=20 : 40, 20x=40(20-y) ∴ x=2(20-y) 이때 변의 길이는 항상 양수이므로 01 ;;4;D; k>1 이때 나머지 두 근은 이차방정식 xÛ`-2x+3=0의 두 근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구하는 두 근의 196 f(x)=xÜ`-3xÛ`+(a+2)x-a라 하면 곱은 3이다. 3 f(1)=1-3+a+2-a=0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194 f(x)=xÜ`+xÛ`+kx-k-2라 하면 f(1)=1+1+k-k-2=0 1 1 1 `k `-k-2 1 `2 ` k+2 1 2 k+2 ` 0 f(x)=(x-1)(xÛ`+2x+k+2) 이때 방정식 f(x)=0이 중근을 가지려면 Ú 이차방정식 xÛ`+2x+k+2=0이 x=1을 근으로 갖는 경우 1+2+k+2=0 ∴ k=-5 Û 이차방정식 xÛ`+2x+k+2=0이 중근을 갖는 경우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4;D; =1-(k+2)=0 ∴ k=-1 Ú, Û에서 구하는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1 1 -3 a+2 -a 1 `-2` a 1 -2 `a` 0 f(x)=(x-1)(xÛ`-2x+a) 이때 방정식 f(x)=0의 근이 모두 실수가 되려면 이 차방정식 xÛ`-2x+a=0이 실근을 가져야 한다.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4 =1-a¾0 ∴ aÉ1 따라서 실수 a의 최댓값은 1이다. 1 197 처음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x`cm라 하면 (x-1)(x+2)(x+3)= xÜ` ;2%; xÜ`+4xÛ`+x-6= xÜ` ;2%;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41 -5+(-1)=-6 -6 ∴ 3xÜ`-8xÛ`-2x+12=0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19~062_2단원(확)_ok.indd 41 2018-07-31 오후 7:29:04 f(x)=3xÜ`-8xÛ`-2x+12라 하면 f(2)=24-32-4+12=0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2 3 -8 -2 12 6 -4 -12 3 -2 -6 0 f(x)=(x-2)(3xÛ`-2x-6) ∴ (x-2)(3xÛ`-2x-6)=0 이때 x는 자연수이므로 x=2 따라서 처음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는 2`cm이 다. 2`cm 198 직육면체 모양의 상자의 가로의 길이는 (15-2x) cm, 세로의 길이는 (12-2x) cm, 높이는 x`cm이고 부피 가 176`cmÜ`이므로 x(15-2x)(12-2x)=176 ∴ 2xÜ`-27xÛ`+90x-88=0 f(x)=2xÜ`-27xÛ`+90x-88이라 하면 f(2)=16-108+180-88=0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2 2 -27 90 -88 4 -46 88 2 -23 44 0 f(x)=(x-2)(2xÛ`-23x+44) ∴ (x-2)(2xÛ`-23x+44)=0 이때 x는 자연수이므로 x=2 참고 모서리의 길이는 양수이므로 15-2x>0, 12-2x>0, x>0 ∴ 0-13이므로 해는 모든 실수이다.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이때 x, y가 실수이므로 x-2, y-1도 실수이다. 따라서 x-2=0, y-1=0이므로 x=2, y=1 ∴ xy=2 2 a>2일 때, x> 다른풀이 xÛ`-4x+yÛ`-2y+5=0 yy ㉠ x가 실수이므로 이차방정식 ㉠이 실근을 가져야 한다. a<2일 때, x< -5a-3 a-2 -5a-3 a-2 ( \ { \ 9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4-(yÛ`-2y+5)¾0 ;;4;D; yÛ`-2y+1É0, (y-1)Û`É0 이때 y도 실수이므로 y-1=0 ∴ y=1 y=1을 ㉠에 대입하면 xÛ`-4x+4=0 (x-2)Û`=0 ∴ x=2 ∴ xy=2 226 ⑴ a0이므로 ac0이므로 bc0, b>0이므로 a+b>0 a>b이므로 a-b>0 227 ax+3>2x-5a에서 (a-2)x>-5a-3 Ú a-2>0, 즉 a>2일 때, x> -5a-3 a-2 a=2일 때, 해는 모든 실수 풀이 참조 228 (a+b)x-2bÉ0에서 (a+b)xÉ2b 이 부등식의 해가 x¾-2이므로 (a+b)xÉ2b의 양변을 a+b로 나누면 yy ㉠ a+b<0 x¾ 2b a+b 따라서 =-2이므로 2b a+b 2b=-2(a+b), 2a=-4b ∴ a=-2b ㉠에 a=-2b를 대입하면 -b<0 ∴ b>0 이때 bx-4a¾0에서 bx¾4a이므로 bx¾-8b (∵ a=-2b) ∴ x¾-8 (∵ b>0) ㉠을 풀면 3xæ¾-9 ∴ x¾æ-3 ㉡을 풀면 9x-1É8+10x ∴ x¾æ-9 ㉠, ㉡의 해를 수직선 위 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 ㉠ ㉡ (cid:89) (cid:14)(cid:26) (cid:14)(cid:20) 과 같다. ∴ xæ¾-3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49 따라서 (a+b)(a-b)=aÛ`-bÛ`>0이므로 aÛ`>bÛ` ⑴ < ⑵ > 다른풀이 ⑵ b>0이므로 a>b에서 ab>bÛ` a>0이므로 a>b에서 aÛ`>ab 따라서 aÛ`>ab>bÛ`이므로 aÛ`>bÛ` 229 4x+2¾x-7 ⑴ [ 9x-1É2(4+5x) x¾-8 yy ㉠ yy ㉡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19~062_2단원(확)_ok.indd 49 2018-07-31 오후 7:29:09 ⑵ [ 3x+2<2(x-1) -x-1É-3(x-3) yy ㉠ yy ㉡ ㉠을 풀면 3x+2<2x-2 ∴ x<-4 230 0.3(2x-1)¾ 1.2x+1 x-1 3 á { » ㉠의 양변에 10을 곱하면 x+1 4 - É ;6!; 3(2x-1)¾12x+10 yy ㉠ yy ㉡ -4 5 x 6x-3¾12x+10, -6x¾13 ∴ xÉ- :Á6£: ㉡의 양변에 12를 곱하면 4(x-1)-3(x+1)É2, 4x-4-3x-3É2 yy ㉠ ∴ xÉ9 yy ㉡ ㉠, ㉡의 해를 수직선 위 ㉠ ㉡ 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 -:Á6£: 9 x 따라서 x의 값 중 가장 큰 정수는 -3이다. -3 ㉠을 풀면 -4xæÉ-4 ∴ x¾æ1 림과 같다. ∴ xÉ- :Á6£: 231 ⑴ 주어진 부등식은 x+7É5x+3 5x+3<6x-2 [ ㉡을 풀면 x>5 ㉠, ㉡의 해를 수직선 위 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 과 같다. ∴ x>5 ⑵ 주어진 부등식은 x-3 2 É2-3x 2-3x<- (2x-1) 3 4 á { » ㉠의 양변에 2를 곱하면 yy ㉠ yy ㉡ ㉡ ㉠ (cid:89) (cid:18) (cid:22) yy ㉠ yy ㉡ ㉠ (cid:89) yy ㉠ yy ㉡ ㉡을 풀면 -x-1É-3x+9 2xÉ10 ∴ xÉ5 ㉠, ㉡의 해를 수직선 위 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 ㉠ ㉡ 과 같다. ∴ x<-4 x-4É 3x+5 x<3- ;4#; 4-x 3 á ⑶ { » ㉠을 풀면 -2xÉæ9 ∴ xæ¾- ;2(; ㉡의 양변에 12를 곱하면 9x<36-4(4-x), 9x<36-16+4x 5x<20 ∴ x<4 ㉠, ㉡의 해를 수직선 위 ㉡ 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 림과 같다. (cid:26) (cid:14)(cid:28)(cid:19)(cid:28) (cid:21) ∴ - Éx<4 ;2(; 0.2x+0.9É x-7 3 - 2x-5 4 0.3(x+4) >-1 á ⑷ { » ㉠의 양변에 10을 곱하면 2x+9É3(x+4), 2x+9É3x+12 ∴ x¾-3 ㉡의 양변에 12를 곱하면 4(x-7)-3(2x-5)>-12 4x-28-6x+15>-12 -2x>1 ∴ x<- ;2!; ㉠, ㉡의 해를 수직선 ㉡ 위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 -3Éx<- ;2!; 50 Ⅱ. 방정식과 부등식 ㉠ x -3 -;2!; x-3É2(2-3x), x-3É4-6x 7xÉ7 ∴ xÉ1 ㉡의 양변에 4를 곱하면 ⑴ x¾-3 ⑵ x<-4 4(2-3x)<-3(2x-1), 8-12x<-6x+3 ⑶ - Éx<4 ⑷ -3Éx<- ;2(; 1 2 -6x<-5 ∴ x> ;6%;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19~062_2단원(확)_ok.indd 50 2018-07-31 오후 7:29:10 É É É ㉠, ㉡의 해를 수직선 ㉠ 위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 5 ⑵ 2 따라서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는 1ÉxÉ5이므로 정 ㉡의 양변에 2를 곱하면 수 x는 1, 2, 3, 4, 5의 5개이다. 2x-12É-x-6, 3xÉ6 ∴ xÉ2 232 주어진 부등식은 5-4(x+5)É5(3-2x) 5(3-2x)É8x-3 [ ㉠을 풀면 5-4x-20É15-10x 6xÉ30 ∴ xÉ5 ㉡을 풀면 15-10xÉ8x-3 -18xÉ-18 ∴ x¾1 ㉠, ㉡의 해를 수직선 위에 ㉠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233 x+8É-x+4 5x+3¾x-5 ⑴ [ ㉠을 풀면 2xÉ-4 ∴ xÉ-2 ㉡을 풀면 4x¾-8 ∴ x¾-2 ㉠, ㉡의 해를 수직선 위 ㉠ 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 림과 같다. ∴ x=-2 5x<3(2x-1) 2(x-3)¾4x-2 ⑵ [ ㉠을 풀면 5x<6x-3 -x<-3 ∴ x>3 ㉡을 풀면 2x-6¾4x-2 -2x¾4 ∴ xÉ-2 0.3x-0.1¾0.2x+0.4 x+5É- x-2 ;2!; ⑶ á { » ;3@; ㉠의 양변에 10을 곱하면 3x-1¾2x+4 ∴ x¾5 ㉡의 양변에 6을 곱하면 4x+30É-3x-12, 7xÉ-42 ∴ xÉ-6 ㉠, ㉡의 해를 수직선 위 ㉡ ㉠ 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 림과 같다. -6 5 x 따라서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는 없다. ⑷ 주어진 부등식은 2-3x-3 ㉡을 풀면 7xÉb-4 ∴ xÉ b-4 7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가 a7x-3에서 5x+5>7x-3 -2x>-8 ∴ x<4 6x+2>5x+k에서 x>k-2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정수 ㉠ 인 해가 2개가 되도록 ㉠, ㉡을 수직선 위에 나타내 yy ㉠ yy ㉡ ㉡ 3 x 4 1 2 k-2 면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한다. 이때 정수인 해는 2, 3 1 1Ék-2<2 ∴ 3Ék<4 3Ék<4 참고 k-2=2, 즉 k=4이면 연립부등식의 정수인 해는 3 이고 하나뿐이다. 236 4-x<2(x-1)에서 4-x<2x-2 -3x<-6 ∴ x>2 3x-aÉ2x에서 xÉa 주어진 연립부등식이 해를 ㉡ 갖지 않도록 ㉠, ㉡을 수직 선 위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하므로 yy ㉠ yy ㉡ ㉠ a 2 x 239 주어진 조건을 식으로 세우면 -7É0 ;2{;' 2(x-3)>10 á { » ;2{; -7É0에서 É7 ;2{; aÉ2 237 x-2 6 < ;3{; 의 양변에 6을 곱하면 x-2<2x ∴ x>-2 2(x+1)>3x-a에서 2x+2>3x-a ∴ x-4 a>-4 참고 등호가 포함될 때, 즉 a+2=-2일 때 a=-4이므로 aÉ2 ∴ xÉ14 2(x-3)>10에서 2x-6>10, 2x>16 ∴ x>8 ㉠, ㉡의 공통부분은 8 ;2#; ;2%; ⑵ ;4(; 3 ㉠, ㉡의 공통부분은 34에서 2x-1<-4 또는 2x-1>4 ∴ x<- 또는 x> ;2#; ;2%; ⑵ 1< 5- | x | ;3$; <2에서 ;3$; ;3$; ;3$; -2<5- x<-1 또는 1<5- x<2 ;3$; Ú -2<5- x<-1에서 -7<- x<-6, 6< x<7 ;3$; ∴ -1 그런데 x<2이므로 -10, g(x)<0일 때, f(x)>0, g(x)<0 또는 f(x)<0, g(x)>0 x ;3@; 245 2|x-1|+|x+3|É5에서 Ú x<-3일 때, f(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x<-3 또는 x>3 yy ㉠ g(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x<0 또는 x>5 yy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x-1|=-(x-1), |x+3|=-(x+3)이므로 x<-3 또는 x>5 -2(x-1)-(x+3)É5 Û f(x)<0, g(x)>0일 때, -3xÉ6 ∴ x¾-2 그런데 x<-3이므로 해는 없다. Û -3Éx<1일 때, |x-1|=-(x-1), |x+3|=x+3이므로 f(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3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05 |x-1|=x-1, |x+3|=x+3이므로 ⑴ xÉ-1 또는 x¾4 2(x-1)+(x+3)É5 ⑵ x<-3 또는 05 54 Ⅱ. 방정식과 부등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19~062_2단원(확)_ok.indd 54 2018-07-31 오후 7:29:13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2 x 풀이 참조 yy ㉠ 247 axÛ`+(b-m)x+c-nÉ0에서 axÛ`+bx+cÉmx+n ⑹ 2xÛ`É4(2x-5)+11에서 2xÛ`É8x-20+11 2xÛ`-8x+9É0 2(x-2)Û`+1É0 따라서 이 부등식의 해는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가 직선 y=mx+n보다 아래쪽에 있거나 만나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없다. 는 부분의 x의 값의 범위이므로 -2ÉxÉ2 -2ÉxÉ2 248 ⑴ 2(xÛ`-2x)+1>-x+3에서 2xÛ`-4x+1>-x+3, 2xÛ`-3x-2>0 (2x+1)(x-2)>0 ∴ x<- ;2!; 또는 x>2 ⑵ -xÛ`+3¾-6x에서 xÛ`-6x-3É0 xÛ`-6x-3=0의 근을 구하면 x=3Ñ2 3 '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3-2 3ÉxÉ3+2 ' 3 ' ⑶ xÛ`+9>6x에서 xÛ`-6x+9>0 (x-3)Û`>0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x+3인 모든 실수이다. ⑷ 5xÛ`-10x+7ÉxÛ`+2x-2에서 4xÛ`-12x+9É0 (2x-3)Û`É0 ∴ x= ;2#; ⑸ -2xÛ`-2x<3에서 2xÛ`+2x+3>0 2 x+ { + >0 ;2%; ;2!;} 2`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모든 실수이다. 249 axÛ`+2ax-3a>0에서 a(xÛ`+2x-3)>0 a(x+3)(x-1)>0 Ú a>0일 때, ㉠의 양변을 a로 나누면 (x+3)(x-1)>0 ∴ x<-3 또는 x>1 Û a=0일 때, Ü a<0일 때, ㉠에서 0_(x+3)(x-1)>0이므로 해는 없다. ㉠의 양변을 a로 나누면 (x+3)(x-1)<0 ∴ -30일 때, x<-3 또는 x>1 a=0일 때, 해는 없다. a<0일 때, -30이므로 |x|-3<0, |x|<3 ∴ -30의 부등호의 방향 yy ㉠ 253 x+ { ;2!;}{ x- ;3!;} <0 ∴ xÛ`+ x- <0 ;6!; ;6!; 이 다르므로 a<0 ㉠의 양변에 a를 곱하면 axÛ`+ x- >0 ;6A; ;6A; 이 부등식이 axÛ`+bx+1>0과 일치하므로 b= , 1=- ∴ a=-6, b=-1 ;6A; ;6A; ∴ a+b=-7 -7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19~062_2단원(확)_ok.indd 56 2018-07-31 오후 7:29:14 254 해가 x<-3 또는 x>5이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부 다른풀이 f(x)<0의 해가 x<-2 또는 x>1이므 로 f(x)¾0의 해는 -2ÉxÉ1이다. 따라서 f(3x-1)¾0의 해는 -2É3x-1É1에서 ㉠과 주어진 부등식 axÛ`+bx+c<0의 부등호의 방향 -1É3xÉ2 ∴ - ÉxÉ ;3!; ;3@; yy ㉠ 등식은 (x+3)(x-5)>0 ∴ xÛ`-2x-15>0 이 다르므로 a<0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의 양변에 a를 곱하면 axÛ`-2ax-15a<0 이 부등식이 axÛ`+bx+c<0과 일치하므로 b=-2a, c=-15a ㉡을 cxÛ`+bx+a<0에 대입하면 -15axÛ`-2ax+a<0 양변을 -a로 나누면 15xÛ`+2x-1<0`(∵ -a>0) (3x+1)(5x-1)<0 ∴ - 0 ∴ a>1 yy ㉠ yy ㉠ 주어진 부등식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려면 다른풀이 a<0이고 이차방정식 axÛ`+bx+c=0의 두 근이 -3, 5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3+5=- , -3_5= ;aB; ;aC; ∴ b=-2a, c=-15a 255 해가 x<-2 또는 x>1이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부 등식은 (x+2)(x-1)>0 에 a<0인 상수 a를 곱하면 a(x+2)(x-1)<0 즉, f(x)=a(x+2)(x-1)이라 하면 f(3x-1) =a(3x-1+2)(3x-1-1) =a(3x+1)(3x-2) 부등식 f(3x-1)¾0, 즉 a(3x+1)(3x-2)¾0에서 (3x+1)(3x-2)É0 (∵ a<0) 257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a-1)xÛ`-2(a-1)x+1>0이 성립하려면 Ú a-1=0, 즉 a=1일 때, 0_xÛ`-0_x+1>0에서 1>0이므로 주어진 부 등식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한다. Û a-1+0, 즉 a+1일 때, 또, 이차방정식 (a-1)xÛ`-2(a-1)x+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4;D; =(a-1)Û`-(a-1)<0 aÛ`-3a+2<0, (a-1)(a-2)<0 ∴ 12x-kÛ`, 즉 xÛ`-2(2k+1)x+kÛ`+1>0이 성립해야 한다. 이차방정식 xÛ`-2(2k+1)x+kÛ`+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2k+1)Û`-(kÛ`+1)<0 ;;4;D; 3kÛ`+4k<0, k(3k+4)<0 259 이차부등식 2xÛ`-ax-a+6<0이 해를 가지려면 이 차방정식 2xÛ`-ax-a+6=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aÛ`-8(-a+6)>0 aÛ`+8a-48>0, (a+12)(a-4)>0 ∴ a<-12 또는 a>4 a<-12 또는 a>4 260 이차부등식 (a-3)xÛ`-2(a-3)x-2>0의 해가 존 재하지 않으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이차부등식 (a-3)xÛ`-2(a-3)x-2É0이 성립해야 한다. a-3<0에서 a<3 yy ㉠ 이차방정식 (a-3)xÛ`-2(a-3)x-2=0의 판별식 을 D라 하면 =(a-3)Û`+2(a-3)É0 ;;4;D; aÛ`-4a+3É0, (a-1)(a-3)É0 ∴ 1ÉaÉ3 ㉠, ㉡의 공통부분은 1Éa<3 yy ㉡ 1Éa<3 261 이차부등식 (a+1)xÛ`-2(a+1)x+1É0이 단 하나 의 해를 가지려면 a+1>0 ∴ a>-1 58 Ⅱ. 방정식과 부등식 이차방정식 (a+1)xÛ`-2(a+1)x+1=0의 판별식 을 D라 하면 =(a+1)Û`-(a+1)=0 ;;4;D; aÛ`+a=0, a(a+1)=0 ∴ a=-1 또는 a=0 ㉠, ㉡에서 a=0 262 f(x)=xÛ`-2ax+aÛ`-16이 f(x)<0이 항상 성립하려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한다. yy ㉡ 0 y y=f(x) -2 O 4 x Ú f(-2)<0에서 4+4a+aÛ`-16<0 aÛ`+4a-12<0, (a+6)(a-2)<0 ∴ -6aÛ`-8에서 xÛ`-4x-aÛ`+8>0 f(x) =xÛ`-4x-aÛ`+8이라 하면 f(x)=(x-2)Û`-aÛ`+4 -1ÉxÉ2에서 f(x)>0이 항 (cid:90) (cid:90)(cid:30)(cid:71)(cid:9)(cid:89)(cid:10) y=f(x)의 최솟값인 f(2)가 0 (cid:48)(cid:14)(cid:18) (cid:19) (cid:89) 상 성립하려면 y=f(x)의 그래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한 다. 즉, -1ÉxÉ2에서 보다 커야 하므로 f(2)=-aÛ`+4>0 aÛ`-4<0, (a+2)(a-2)<0 ∴ -20 (x+3)(x-4)>0 ∴ x<-3 또는 x>4 yy ㉡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y O -2aÛ`x-4, 즉 2xÛ`+(aÛ`-3a)x-12<0 이 항상 성립해야 한다. f(x)=2xÛ`+(aÛ`-3a)x-12 라 하면 -20 -2 1 x (x+4)(x-2)>0 ∴ x<-4 또는 x>2 yy ㉠ xÛ`-15É-2x에서 xÛ`+2x-15É0 Ú f(-2)É0에서 8-2(aÛ`-3a)-12É0 aÛ`-3a+2¾0, (a-1)(a-2)¾0 (x+5)(x-3)É0 ∴ -5ÉxÉ3 yy ㉡ ∴ aÉ1 또는 a¾2 yy ㉠ Û f(1)É0에서 2+aÛ`-3a-12É0 aÛ`-3a-10É0, (a+2)(a-5)É0 ㉠ ㉠ ㉡ -5 -4 2 3 x ∴ -2ÉaÉ5 ㉠, ㉡의 공통부분은 -2ÉaÉ1 또는 2ÉaÉ5 yy ㉡ ㉠, ㉡의 공통부분은 -5Éx<-4 또는 20 [ xÛ`-(6-a)x-6aÉ0 ㉠에서 (x-2)(x-4)>0 풀이 참조 yy ㉠ yy ㉡ ∴ -24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59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19~062_2단원(확)_ok.indd 59 2018-07-31 오후 7:29:16 ㉡에서 (x+a)(x-6)É0 Ú -a>6일 때, 6ÉxÉ-a Û -a=6일 때, (x-6)Û`É0 ∴ x=6 Ü -a<6일 때, -aÉxÉ6 ㉡에서 (2x-3)(x-a)<0 Ú a> 일 때, 0 aÛ`-4<0, (a+2)(a-2)<0 ∴ -20, 15-x>0, 15-x>x ∴ 00 ㉠에서 (x+1)(x-6)É0 ∴ -1ÉxÉ6 ㉡에서 (x+a)(x-1)>0 Ú -a>1일 때, x<1 또는 x>-a Û -a=1일 때, (x-1)Û`>0이므로 해는 x+1인 모든 실수이다. Ü -a<1일 때, x<-a 또는 x>1 ㉠, ㉡의 해의 공통부분이 11이어야 하고 따라서 정수 a의 최솟값은 1이다. 1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aÉ-1 ∴ a¾1 268 xÛ`-x-6>0 [ 2xÛ`-(2a+3)x+3a<0 ㉠에서 (x+2)(x-3)>0 ∴ x<-2 또는 x>3 60 Ⅱ. 방정식과 부등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19~062_2단원(확)_ok.indd 60 2018-07-31 오후 7:29:17 36Éx(15-x)에서 xÛ`-15x+36É0 (x-3)(x-12)É0 ∴ 3ÉxÉ12 yy ㉡ x(15-x)É50에서 xÛ`-15x+50¾0 273 이차방정식 xÛ`+(aÛ`-a-12)x+aÛ`-6a+5=0의 두 근을 a, b라 하면 두 근의 부호가 서로 다르므로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ab=aÛ`-6a+5<0 yy ㉢ (a-1)(a-5)<0 ∴ 10 D 4 3mÛ`+4m<0, m(3m+4)<0 ∴ - 0이므로 2(m-2)<0 Ü ab= 에서 mÛ`+1>0이므로 항상 ab>0 ∴ m<2 4 mÛ`+1 이다. 274 f(x)=xÛ`-kx+k+3이라 하면 이차방정식 f(x)=0의 두 근이 y=f(x) 모두 -3보다 크므로 y=f(x)의 -3 x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yy ㉠ 한다. Ú 이차방정식 f(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kÛ`-4(k+3)¾0 kÛ`-4k-12¾0, (k+2)(k-6)¾0 yy ㉡ ∴ kÉ-2 또는 k¾6 yy ㉠ Û f(-3)=9+3k+k+3>0에서 4k>-12 ∴ k>-3 yy ㉡ Ü y=f(x)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이 x= 이므로 즉, m은 모든 실수이다. yy ㉢ 따라서 ㉠, ㉡, ㉢을 모두 만족시키는 실수 m의 값의 범위는 - -3 ∴ k>-6 ;2K; ㉠, ㉡, ㉢의 공통부분은 -30에서 k>1 Û  f(1)=2+3m+5m-2>0에서 f(3)=9-12+k-1>0에서 k>4 8m>0 ∴ m>0 yy ㉡ Ü y=f(x)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이 x=2이고 yy ㉠ yy ㉡ yy ㉢ 40, (m-2)(m-7)>0 ∴ m<2 또는 m>7 m<2 또는 m>7 Ü y=f(x)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이 x=- 3m 4 이 므로 - 3m 4 ㉠, ㉡, ㉢의 공통부분은 <1 ∴ m>- ;3$; yy ㉢ 00에서 -a>-4 ∴ a<4 yy ㉡ Ü y=f(x)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이 x=-a이므로 -a<-2 ∴ a>2 yy ㉢ ㉠, ㉡, ㉢의 공통부분은 3Éa<4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3이다. 3 y=f(x) 이 모두 0과 3 사이에 있으므로 0 x3 277 f(x)=xÛ`-4x+k-1이라 하 면 이차방정식 f(x)=0의 두 근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림과 같아야 한다. 62 Ⅱ. 방정식과 부등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19~062_2단원(확)_ok.indd 62 2018-09-05 오전 10:12:45 ∴ PQÓ = 0- +(2-0)Û`= ¾¨{ ;3@;} 2` = 0 2 1 ' 3 ®É:¢9¼: 2 0 1 ' 3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Ⅲ. 도형의 방정식 279 ABÓ=2 3이므로 ' (1-a)Û`+( 2-a-3)Û`=2 3 "à 양변을 제곱하면 (1-a)Û`+(-a-1)Û`=12 ' aÛ`=5 ∴ a= 5 (∵ a>0 ) '  5 ' b=-a+2 yy ㉠ 점 P(a, -a+2)가 두 점 A(2, 3), B(1, 4)에서 같 283 점 P(a, b)가 직선 y=-x+2 위의 점이므로 280 ABÓ=2 BCÓ이므로   (10-4)Û`+{1-(-5)}Û`=2 "à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à (a-10)Û`+(4-1)Û` aÛ`-20a+91=0, (a-7)(a-13)=0 은 거리에 있으므로 APÓ=BPÓ에서 APÓ Û`=BPÓ Û` 2aÛ`-2a+5=2aÛ`+2a+5 -4a=0 ∴ a=0 ∴ a=7 또는 a=13 7,13 a=0을 ㉠에 대입하면 b=2 (a-2)Û`+(-a+2-3)Û`=(a-1)Û`+(-a+2-4)Û` ∴ a-b=0-2=-2 -2 281 두 점 A, B 사이의 거리 ABÓ는 ABÓ = {a-(-1)}Û`+(5-a)Û` "à "à "à = 2aÛ`-8a+26 = 2(a-2)Û`+18 따라서 ABÓ는 a=2일 때 최솟값 8=3 1 ' ' 2를 갖는다. 284 삼각형 ABC의 외심을 P(x, y)라 하면 점 P에서 세 꼭짓점에 이르는 거리는 같으므로 PAÓ=PBÓ=PCÓ PAÓ=PBÓ에서 PAÓ Û`=PBÓ Û`이므로 2 282 두 점 P, Q의 좌표를 각각 (a, 0), (0, b)라 하면 APÓ=BPÓ에서 APÓÛ`=BPÓÛ`이므로 (a-1)Û`+(0-4)Û`=(a+2)Û`+(0-3)Û` aÛ`-2a+17=aÛ`+4a+13 -6a=-4 ∴ a= ;3@; ∴ P , 0 } {;3@; 또, AQÓ=BQÓ에서 AQÓÛ`=BQÓÛ`이므로 (0-1)Û`+(b-4)Û`=(0+2)Û`+(b-3)Û` bÛ`-8b+17=bÛ`-6b+13 -2b=-4 ∴ b=2 ∴ Q(0, 2) (x-2)Û`+(y-1)Û`=(x-2)Û`+(y-7)Û` xÛ`-4x+yÛ`-2y+5=xÛ`-4x+yÛ`-14y+53 12y=48 ∴ y=4 또, PÕAÓ=PCÓ에서 PAÓ Û`=PCÓ Û`이므로 (x-2)Û`+(y-1)Û`=(x-4)Û`+(y-3)Û` xÛ`-4x+yÛ`-2y+5=xÛ`-8x+yÛ`-6y+25 4x+4y=20 ∴ x+y=5 y=4를 x+y=5에 대입하면 x+4=5 ∴ x=1 따라서 삼각형 ABC의 외심의 좌표는 (1, 4)이다. (1,4) KEY Point 삼각형의외심 ①삼각형의세변의수직이등분선의교점이다. ②삼각형의외심에서세꼭짓점에이르는거리는같다.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63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63~089_3단원(확)_ok.indd 63 2018-07-31 오후 7:32:29 à Œ Œ Œ 285 ⑴ ABÓ = (2-1)Û`+(-2-0)Û`= "à (5-2)Û`+(2+2)Û`= 5 ' 5=5 BCÓ= 2 ' (1-5)Û`+(0-2)Û`= "à CAÓ= ∴ BCÓ Û`=ABÓ Û`+CAÓ Û` 따라서 △ABC는 ∠A=90ù인 직각삼각형이다. 0=2 2 ' 5 ' "à 3)Û`+(-2-1)Û`= 1 2=2 ' (0+ ⑵ ABÓ= BCÓ= "à ( ' "à CAÓ= (- ' "à ∴ ABÓ=BCÓ=CAÓ ' 3-0)Û`+(1+2)Û`= 3- 3)Û`+(1-1)Û`= 3 ' ' 2=2 1 ' 3 ' 2=2 1 ' 3 ' 따라서 △ABC는 정삼각형이다. ⑴∠A=90ù인직각삼각형 ⑵정삼각형 286 ABÓ= BCÓ= "à CAÓ= "à (3+1)Û`+(4-1)Û`= "à (a-3)Û`+(5-4)Û`= 5=5 2 ' aÛ`-6a+10 (-1-a)Û`+(1-5)Û`= aÛ`+2a+17 "à "à 이때 △ABC는 ∠C=90ù인 직각삼각형이므로 ABÓ Û`=BCÓ Û`+CAÓ Û`에서 25=aÛ`-6a+10+aÛ`+2a+17 2aÛ`-4a+2=0, (a-1)Û`=0 ∴ a=1 287 ABÓ= (1-0)Û`+(-2-1)Û`= "à (3-1)Û`+(2+2)Û`= 1 0 ' 0=2 BCÓ= 2 "à ' CAÓ= 0 (0-3)Û`+(1-2)Û`= ∴ ABÓ=CAÓ, BCÓÛ`=ABÓÛ`+CAÓÛ` 따라서 △ABC는 ∠A=90ù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 1 ' "à ' 5 므로 그 넓이는 _ABÓ_CAÓ= _ 1 ' ;2!; 0_ 1 ' 0=5 ;2!; 5 288 점 P의 좌표를 (a, 0)이라 하면 APÓ Û`+BPÓ Û` ={(a+4)Û`+(-3)Û`}+{(a-2)Û`+3Û`} =2aÛ`+4a+38=2(a+1)Û`+36 64 Ⅲ. 도형의 방정식 따라서 APÓ Û`+BPÓ Û`은 a=-1일 때 최솟값 36을 갖고, 그때의 점 P의 좌표는 (-1, 0)이다. 최솟값 :36,점P의좌표 :(-1,0) 289 점 P의 좌표를 (a, a)라 하면 APÓ Û`+BPÓ Û` ={(a+3)Û`+(a-2)Û`}+{(a-4)Û`+(a-5)Û`} =4aÛ`-16a+54 =4(a-2)Û`+38 따라서 APÓ Û`+BPÓ Û`은 a=2일 때 최솟값 38을 갖고, 그때의 점 P의 좌표는 (2, 2)이다. (2,2) 290 점 P의 좌표를 (a, -a+2)라 하면 APÓ Û`+BPÓ Û` ={(a-1)Û`+(-a+2+4)Û`} +{(a-3)Û`+(-a+2-2)Û`} =4aÛ`-20a+46 Û`+21 a- =4 { ;2%;} 따라서 APÓ Û`+BPÓ Û`은 a= 일 때 최솟값 21을 갖는다. ;2%; 21 1 y A(a, b) 291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 선 BC를 x축, 점 D를 지나고 BCÓ에 수직인 직 선을 y축으로 하는 좌표 원점이 된다. 평면을 잡으면 점 D는 B(-2c, 0) O D C(c, 0) x A(a, b), C(c, 0) (c>0)이라 하면 점 B의 좌표는 (-2c, 0)이므로 ABÓ Û`+2 ACÓ Û` ={(a+2c)Û`+bÛ`}+2{(a-c)Û`+bÛ`} =3aÛ`+3bÛ`+6cÛ` 또, ADÓ Û`=aÛ`+bÛ`, CDÓ Û`=cÛ`이므로 3(ADÓ Û`+2 CDÓ Û`)=3(aÛ`+bÛ`+2cÛ`)=3aÛ`+3bÛ`+6cÛ` ∴ ABÓ Û`+2 ACÓ Û`=3(ADÓ Û`+2CDÓ Û`) 풀이참조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63~089_3단원(확)_ok.indd 64 2018-07-31 오후 7:32:30 Œ Œ à Œ à Œ à Œ Œ Œ Œ Œ Œ Œ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29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BC를 x축, 직선 AB를 A(0, b) y P(p, q) D(a, b) y축으로 하는 좌표평면 을 잡으면 점 B는 원점 이 된다. O B C(a, 0) x A(0, b), C(a, 0)이라 하면 점 D의 좌표는 (a, b)이 므로 점 P의 좌표를 (p, q)라 하면 PÕAÓ Û`+PCÓ Û` ={ pÛ`+(q-b)Û`}+{(p-a)Û`+qÛ`} =2pÛ`+2qÛ`-2ap-2bq+aÛ`+bÛ` PBÓ Û`+PDÓ Û` =(pÛ`+qÛ`)+{(p-a)Û`+(q-b)Û`} =2pÛ`+2qÛ`-2ap-2bq+aÛ`+bÛ` ∴ PÕAÓ Û`+PCÓ Û`=PBÓ Û`+PDÓ Û` 풀이참조 296 선분 AB를 2 : 1로 내분하는 점 P의 좌표는 2_5+1_(-1) 2+1 , 2_(-2)+1_4 2+1 , } { 즉 (3, 0) 선분 AB를 3 : 2로 외분하는 점 Q의 좌표는 3_5-2_(-1) 3-2 { 즉 (17, -14) , 3_(-2)-2_4 3-2 , } 따라서 선분 PQ의 중점의 좌표는 3+17 2 , 0+(-14) 2 } , 즉 (10, -7) (10,-7) 293 ⑴1,2 ⑵4,1 ⑶1 ⑷-3 선분 AB를 3 : 1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가 - { 5 2 , 4 } {  297 이므로 ⑴P(5) ⑵Q(-2) ⑶M(4) 298 선분 AB를 2 : b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가 (3, -1)이 294 ⑴ 3_6+1_2 3+1 ⑵ 1_6-2_2 1-2 =5 ∴ P(5) =-2 ∴ Q(-2) ⑶ 2+6 2 =4 ∴ M(4) 295 ⑴ P { 1_3+3_(-1) 1+3 , 1_2+3_6 1+3 } ∴ P(0, 5) ⑵ Q { 2_3-3_(-1) 2-3 , 2_2-3_6 2-3 } ∴ Q(-9, 14) ⑶ M -1+3 2 { , 6+2 2 } ∴ M(1, 4) 3x-1_(-1) 3-1 ;2%; 3x+1=-5, 3y+2=8 =- , 3y-1_(-2) 3-1 =4 ∴ x=-2, y=2 ∴ xy=-4 -4 므로 { 2_6+b_1 2+b =3, 2_a+b_(-5) 2+b =-1 12+b=3(2+b), 2a-5b=-(2+b) -2b=-6, a-2b=-1 ∴ a=5, b=3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따라서 A(1, -5), B(6, 5)이므로 선분 AB를 3 : 2로 3_6-2_1 3-2 , 3_5-2_(-5) 3-2 } , 즉 (16, 25)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65 ⑴P(0,5) ⑵Q(-9,14) ⑶M(1,4) (16,25)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63~089_3단원(확)_ok.indd 65 2018-07-31 오후 7:32:31 299 선분 AB를 (1-t) : t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1-t)_1+t_(-2) (1-t)+t { 즉 (-3t+1, 5t-1) , (1-t)_(-1)+t_4 (1-t)+t , } 이 점이 제 1 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3t+1>0, 5t-1>0 ∴ 0, t>0 ∴ 00이므로 세 점 A, B, C의 위치는 위의 그림 8 과 같다. 점 B는 ACÓ를 1 : 2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a= 1_18+2_(-3) 1+2 =4 b= 1_7+2_(-2) 1+2 =1 ∴ a+b=5 303 2ACÓ=3BCÓ에서 ACÓ : BCÓ=3 : 2 5 C 2 3 B(3, 6) A(-1, -2) (11,22) 2 따라서 점 C는 ABÓ를 3 : 2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점 C의 좌표는 3_3-2_(-1) 3-2 { ,` 3_6-2_(-2) 3-2 , } 3 C(a, b) 즉 (11, 22) 304 평행사변형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하므 로 ACÓ의 중점과 BDÓ의 중점이 일치한다. ACÓ의 중점의 좌표는 -1+0 2 { , 0+3 2 } , 즉 { - ;2!; , ;2#;} 점 D의 좌표를 (x, y)라 하면 BDÓ의 중점의 좌표는 yy ㉠ yy ㉡ 42 2+x 2 { , 1+y 2 } 300 선분 AB를 1 : k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이 점이 직선 y=-x+2 위에 있으므로 -3k 1+k { , 12 1+k } 12 1+k =- +2 -3k 1+k 12=3k+2(1+k) 5k=10 ∴ k=2 301 3ABÓ=2BCÓ에서 ABÓ : BCÓ=2 : 3 점 C는 ABÓ의 연장선 위에 있고 a>0이므로 2 B(3, 1) A(-2, -1) 세 점 A, B, C의 위치는 위의 그림과 같다. 점 B는 ACÓ를 2 : 3으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2_a+3_(-2) 2+3 =3, 2_b+3_(-1) 2+3 =1 2a-6=15, 2b-3=5 ∴ a= , b=4 :ª2Á: ∴ ab=42 66 Ⅲ. 도형의 방정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63~089_3단원(확)_ok.indd 66 2018-07-31 오후 7:32:31 ㉠, ㉡이 일치하므로 - ;2!;= 2+x 2 = , ;2#; 1+y 2 ∴ x=-3, y=2 따라서 점 D의 좌표는 (-3, 2)이다. (-3,2) 307 ∠AOP=∠BOP이므로 OAÓ : OBÓ=APÓ : BPÓ OAÓ=3 3Û`+4Û`=5 OBÓ= "à ∴ APÓ : BPÓ =OAÓ : OBÓ=3 : 5 y P B(3, 4) A(-3, 0) O x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305 마름모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수직이등분하므 로 ACÓ의 중점과 BDÓ의 중점이 일치한다. 길이의 비와 같으므로 따라서 높이가 같은 두 삼각형의 넓이의 비는 밑변의 △OAP : △OBP=APÓ : BPÓ=3 : 5 3 : 5 308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a-1+5 3 { , 5+b+1 3 , 즉 { } a+4 3 , b+6 3 } 이때 무게중심의 좌표가 (2, 3)이므로 yy ㉠ a+4 3 =2, =3 b+6 3 ∴ a=2, b=3 a=2,b=3 309 △DEF의 무게중심은 △ABC의 무게중심과 일치하 yy ㉡ -4 므로 구하는 무게중심의 좌표는 -5+4+7 3 { , 6-3+3 3 } , 즉 (2, 2) (2,2) 다른풀이 변 AB를 2 : 1로 내분하는 점 D의 좌표는 2_4+1_(-5) 2+1 2_(-3)+1_6 2+1 , 즉 (1, 0) , } { (cid:34)(cid:9)(cid:21)(cid:13)(cid:3)(cid:26)(cid:10) 변 BC를 2 : 1로 내분하는 점 E의 좌표는 2_7+1_4 2+1 { , 2_3+1_(-3) 2+1 } , 즉 (6, 1) (-2-2)Û`+(3-1)Û`=(a+2)Û`+(7-3)Û` ACÓ의 중점의 좌표는 1+7 2+a 2 , { BDÓ의 중점의 좌표는 2 } , 즉 { 2+a 2 , 4 } b-2 2 { , 5+3 2 } , 즉 { b-2 2 , 4 } ∴ 2+a 2 = b-2 2 또, 마름모의 정의에 의하여 ADÓ=DCÓ, 즉 ADÓ Û`=DCÓ Û` aÛ`+4a=0, a(a+4)=0 ∴ a=-4 (∵ a<0 ) ㉡을 ㉠에 대입하면 b=0 ∴ a+b=-4 306 ADÓ는 ∠A의 이등분선이 므로 ABÓ : ACÓ=BDÓ : CDÓ ABÓ= (-4)Û`+( 1-9)Û` "à =4 ACÓ= "à 5 ' (6-4)Û`+ (5-9)Û`=2 (cid:35)(cid:9)(cid:17)(cid:13)(cid:3)(cid:18)(cid:10) (cid:37) (cid:36)(cid:9)(cid:23)(cid:13)(cid:3)(cid:22)(cid:10) 변 CA를 2 : 1로 내분하는 점 F의 좌표는 2_(-5)+1_7 2+1 { , 2_6+1_3 2+1 } , 즉 (-1, 5) 5 ' 5 : 2 ' ' ∴ BDÓ : CDÓ=ABÓ : ACÓ=4 5=2 : 1 따라서 점 D는 BCÓ를 2`:`1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점 D 의 좌표는 2_6+1_0 2+1 , 2_5+1_1 2+1 { , 즉 { } 4, :Á3Á:} 따라서 △DEF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1+6-1 3 { , 0+1+5 3 } , 즉 (2, 2) 310 세 변 AB, BC, CA의 중점을 각각 D, E, F라 하 면 △ABC의 무게중심은 △DEF의 무게중심과 일 ∴ a+b=4+ = :Á3Á: :ª3£:  23 3 치한다.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67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63~089_3단원(확)_ok.indd 67 2018-07-31 오후 7:32:32 à à 따라서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4-1+5 3 { , 5-2+6 3 } , 즉 (0, 3) (0,3) 다른풀이 A(xÁ, yÁ), B(xª, yª), C(x£, y£)이라 하면 변 AB의 중점의 좌표가 (-4, 5)이므로 xÁ+xª 2 yÁ+yª 2 =-4, =5 변 BC의 중점의 좌표가 (-1, -2)이므로 yª+y£ xª+x£ 2 2 =-1, =-2 변 CA의 중점의 좌표가 (5, 6)이므로 x£+xÁ 2 y£+yÁ 2 =5, =6 ㉠+㉡+㉢을 하면 xÁ+xª+x£=0, yÁ+yª+y£=9 따라서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xÁ+xª+x£ 3 { , yÁ+yª+y£ 3 } , 즉 (0, 3) 311 △ABC와 이 삼각형 내부의 임의의 점 P에 대하여 APÓ Û`+BPÓ Û`+CPÓ Û`의 값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점 P는 △ABC의 무게중심과 일치하므로 점 P의 좌표는 , 즉 (1, -2) -5+2+6 3 , -2+3-7 3 } { 따라서 P(1, -2)일 때 APÓ Û`+BPÓ Û`+CPÓ Û`의 값은 최 소이므로 구하는 최솟값은 APÓ Û`+BPÓ Û`+CPÓ Û` ={(1+5)Û`+(-2+2)Û`}+{(1-2)Û`+(-2-3)Û`}  =36+26+50=112 최솟값 :112,점P의좌표 :(1,-2) 다른풀이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APÓ Û`+BPÓ Û`+CPÓ Û` ={(x+5)Û`+(y+2)Û`}+{(x-2)Û`+(y-3)Û`} +{(x-6)Û`+(y+7)Û`} =3xÛ`-6x+3yÛ`+12y+127 =3(x-1)Û`+3(y+2)Û`+112 따라서 APÓ Û`+BPÓ Û`+CPÓ Û`은 x=1, y=-2일 때 최솟 값 112를 갖고, 그때의 점 P의 좌표는 (1, -2)이다. 68 Ⅲ. 도형의 방정식 312 세 점 A, B, C에 대하여 APÓ Û`+BPÓ Û`+CPÓ Û`의 값이 최소가 되려면 점 P는 △ABC의 내부에 있어야 한다. 이때 △ABC와 이 삼각형 내부의 임의의 점 P에 대하여 APÓ Û`+BPÓ Û`+CPÓ Û`의 값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점 P는 …… ㉠ △ABC의 무게중심과 일치하므로 -2+3+a 3 =2, 1+4+4 3 =b …… ㉡ ∴ a=5, b=3 a=5,b=3 …… ㉢ 313 ⑴ y-3=2(x-1) ∴ y=2x+1 ⑵ y-1=-3(x+2) ∴ y=-3x-5 ⑶ (기울기)=tan45ù=1이므로 y-2=1_(x+ 2) ∴ y=x+ ' ⑴y=2x+1 ⑵y=-3x-5 ' 2+2 ⑶y=x+ 2+2 ' 314 ⑴ y-2= (x-1) ∴ y=-3x+5 -4-2 3-1 ⑵ y-5= -1-5 2-(-3) (x+3) ∴ y=- ⑶ y-4= (x-2) ∴ y=3x-2 ;5&; x+ ;5^; -2-4 0-2 3-0 4-1 ⑴y=-3x+5 ⑵y=- x+ 7 5  ;5^; ⑶y=3x-2  ⑷y=x-1 315 x 4 ⑴ + y -1 =1 ∴ y= x-1 ;4!; ⑵ x절편이 -1이고 y절편이 5이므로 x -1 y 5 + =1 ∴ y=5x+5 +{(1-6)Û`+(-2+7)Û`} ⑷ y-0= (x-1) ∴ y=x-1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63~089_3단원(확)_ok.indd 68 2018-07-31 오후 7:32:33 ⑶ x절편이 2이고 y절편이 3이므로 + =1 ∴ y=- x+3 x 2 y 3 ⑴y= x-1 ⑵y=5x+5 ;2#; 1 4 ⑶y=- x+3 3 2 320 직선 + ;5{; ;2}; =1의 x절편은 5, y절편은 2이므로 오른쪽 그림 에서 구하는 삼각형의 넓이는 (cid:90) (cid:19) (cid:48) _5_2=5 ;2!; 316 ⑴y=8 ⑵x=3 ⑶x=-5 ⑷y=-3 321 y절편을 a`(a+0)라 하면 x절편은 2a이므로 구하는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cid:89) (cid:22) 5 yy ㉠ 317 점 (2, -1)을 지나고 기울기가 tan60ù= 3인 직선 ' 의 방정식은 y-(-1)= 3(x-2) ' 3x-y-2 ∴ ' 3-1=0 ' 따라서 a=-1, b=-2 3-1이므로 ' a-b=2 3 ' 2 3 ' 318 두 점 (-4, 3), (1, 8)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3= 8-3 1-(-4) (x+4) ∴ y=x+7 이 직선이 점 (a, 5)를 지나므로 5=a+7 ∴ a=-2 319 △ABC의 무게중심 G의 좌표는 2-3+7 3 { ,` 4-1-6 3 } , 즉 (2, -1) 는 직선의 방정식은 y-(-1)= -6-(-1) 7-2 (x-2) ∴ y=-x+1 따라서 무게중심 G(2, -1)과 점 C(7, -6)을 지나 직선의 방정식은 x 2a + =1 y a 이 직선이 점 (6, -4)를 지나므로 + ;2¤a; -4 a =1, - =1 ∴ a=-1 ;a!;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에서 -y=1 ∴ y=- x-1 ;2!; - ;2{;  y=- x-1 ;2!; 322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직선 AB의 기울기)=(직선 AC의 기울기) -10-(-1) k-(-1) -k-1 2-1 = -(k+1)Û`=-9, kÛ`+2k-8=0 (k+4)(k-2)=0 ∴ k=-4 또는 k=2 -2 따라서 모든 k의 값의 합은 -4+2=-2 -2 323 직선 y=ax는 원점 O를 지나므로 △OAB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ABÓ의 중점을 지나야 한다. ABÓ의 중점의 좌표는 4+8 2 { , 4-6 2 } , 즉 (6, -1) 따라서 직선 y=ax는 점 (6, -1)을 지나므로 y=-x+1 -1=6a ∴ a=- ;6!;  -;6!;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69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63~089_3단원(확)_ok.indd 69 2018-07-31 오후 7:32:33 324 직선이 마름모 ABCD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오른 쪽 그림과 같이 마름모의 두 대각선의 교점을 지나 야 한다. 마름모의 두 대각 y 3 2 A 1 D B 3 -1 O 1 5 x ab<0, bc<0에서 <0, <0 ;bA; ;bC; ∴ - >0, - >0 ;bA; ;bC; C 따라서 기울기와 y절편이 모 (cid:90) 두 양수인 직선은 오른쪽 그 림과 같으므로 제 1, 2, 3 사 분면을 지난다. (cid:48) (cid:89) 선의 교점은 두 점 A(1, 2), C(5, 2)를 이은 선분 AC의 중점인 (3, 2)이다. ⑶ ax+by+c=0에서 c=0이므로 따라서 두 점 (-1, 1), (3, 2)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 y=- x ;bA; 식은 y-1= 2-1 3-(-1) (x+1) ∴ y= x+ ;4!; ;4%; ab<0에서 <0 ∴ - >0 ;bA; ;bA; 따라서 기울기가 양수이고 원 (cid:90) y= x+ ;4!; ;4%; 점을 지나는 직선은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제 1, 3 사분 면을 지난다. (cid:48) (cid:89) ⑴제 1,2 사분면 ⑵제 1,2,3 사분면 ⑶제 1,3 사분면 325 직사각형의 넓이를 이등분하는 직선은 직사각형의 두 대각선의 교점을 지나야 한다. 직사각형 ABCD의 두 대각선의 교점은 두 점 A(1, 4), C(5, 2)를 이은 선분의 중점이므로 1+5 2 { , 4+2 2 } , 즉 (3, 3) 따라서 직선 kx-4y+3=0이 점 (3, 3)을 지나야 하 3k-12+3=0 ∴ k=3 3 므로 326 ⑴ ax+by+c=0에서 a=0이므로 y=-  bc<0에서 <0 ∴ - >0 ;bC; ;bC; 따라서 x축에 평행하고 y절 편이 양수인 직선은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제 1, 2 사 분면을 지난다. ;bC; (cid:90) (cid:48) ⑵ ax+by+c=0에서 y=-;bA;x-;bC;이므로 70 Ⅲ. 도형의 방정식 327 ax+by+c=0에서 y=- x- 이므로 ;bA; ;bC; (기울기)=- , ( y절편)=- ;bA; ;bC; ab>0, bc<0에서 >0, <0 ;bA; ;bC; ∴ - <0, - >0 ;bA; ;bC; 따라서 직선 ax+by+c=0의 기울기는 음수이고 y절편은 양수이므로 직선의 개형은 ③과 같다. ③ 328 (2k-1)x-(k-1)y-3=0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x+y-3)+k(2x-y)=0 (cid:89) 이 식이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므로 -x+y-3=0, 2x-y=0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3, y=6 (기울기)=- , ( y절편)=- ;bA; ;bC;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3, 6)이다. (3,6)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63~089_3단원(확)_ok.indd 70 2018-07-31 오후 7:32:34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329 (k-2)x+(2k+1)y+7-k=0을 k에 대하여 정리 하면 (-2x+y+7)+k(x+2y-1)=0 이 식이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므로 -2x+y+7=0, x+2y-1=0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3, y=-1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3, -1)이므로 OPÓ의 길이는 OPÓ= 3Û`+(-1)Û`= 1 0 "à ' 1 0  ' 330 mx+y-m+1=0을 m에 대하여 정리하면 (x-1)m+y+1=0 yy ㉠ 이므로 직선 ㉠은 m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1, -1) 을 지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 (cid:90) 이 직선 x+y+1=0과 제`3 사분면에서 만나도록 직선 (cid:18) (cid:14)(cid:18) (cid:48) (cid:14)(cid:18) ㉠을 움직여 보면 (cid:89) (cid:141) (cid:140) Ú 직선 ㉠이 점 (-1, 0) (cid:89)(cid:12)(cid:90)(cid:12)(cid:18)(cid:30)(cid:17) 을 지날 때,   -2m+1=0 ∴ m= ;2!; Û 직선 ㉠이 점 (0, -1)을 지날 때,   -m=0 ∴ m=0 Ú, Û에서 구하는 m의 값의 범위는 00 ) 두 직선의 교점이 (-2, c)이므로 -2+c+1=0, -6-3c+b=0 ∴ c=1, b=9 따라서 두 직선은 x+y+1=0, 3x-3y+b=0이고, ∴ a+b+c=3+9+1=13 13 두 평행하지는 않다. -2+6+b=0 ∴ b=-4 ∴ a-b=3-(-4)=7 7 345 2x+y+1=0 y ㉠, x-y+2=0 y ㉡ ax-y=0 y ㉢ Ú 세 직선이 모두 평행한 경우 두 직선 ㉠, ㉡은 평행하지 않으므로 세 직선이 모 Û 세 직선 중 두 직선이 평행한 경우 두 직선 ㉠, ㉢이 서로 평행하면   = -1 1 ;2A; + ∴ a=-2 ;1);   두 직선 ㉡, ㉢이 서로 평행하면   = -1 -1 ;1A; + ∴ a=1 ;2); Ü 세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는 경우   ㉠, ㉡을 연립하여 풀면 x=-1, y=1이므로 직 선 ㉢이 두 직선 ㉠, ㉡의 교점 (-1, 1)을 지나야 343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1 -4-2 5-(-1) 즉, ABÓ의 수직이등분선의 기울기는 1이다. ABÓ의 중점의 좌표는 -1+5 2 { , 2-4 2 } , 즉 (2, -1) 따라서 기울기가 1이고 점 (2, -1)을 지나는 직선의 한다. 방정식은 y-(-1)=1_(x-2) ∴ y=x-3 이 직선이 점 (a, -2)를 지나므로 -2=a-3 ∴ a=1 1   즉, -a-1=0 ∴ a=-1 Ú ~ Ü에서 모든 a의 값의 합은 -2+1+(-1)=-2 -2 344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8-(-4) a-(-5) = 12 a+5 346 ⑴ ⑵ |2_(-1)-1_4+1| 2Û`+(-1)Û` |3_3+4_(-2)-2| 3Û`+4Û` "à = 5 5 ' = ;5!; "à = 5 '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73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63~089_3단원(확)_ok.indd 73 2018-07-31 오후 7:32:36 ⑶ |4_(-5)-3_3+4| 4Û`+(-3)Û` = :ª5°: =5 ⑷ 점 (2, -6)과 직선 y=3x-2, 즉 3x-y-2=0 사이의 거리는 |3_2-1_(-6)-2| 3Û`+(-1)Û` = 10 0 1 ' = 0 1 ' "à "à ⑴ 5 ⑵  ⑶5 ⑷ 1 0 ' ;5!; ' ⑷ 주어진 두 직선은 서로 평행하므로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직선 x-2y+1=0 위의 한 점 (-1, 0)과 직선 2x-4y-3=0 사이의 거리와 같다. ∴ |2_(-1)-4_0-3| 2Û`+(-4)Û` = "à 5 = ' 2 2 5 5 ' 0 ⑴ 5 ⑵ ' ' 1 2 5  ⑶1 ⑷ ' 2 347 ⑴ ⑵ ⑶ "à ' = |-13| 2Û`+3Û` |10| 3Û`+(-1)Û` |-5| 2Û`+(-4)Û` "à "à 13 3 1 = 3 1 ' = = 10 0 1 ' 5 2 5 ' = 0 1 ' 5 = ' 2 거리는 |-4| 2Û`+(-1)Û` "à = = 4 5 ' 5 4 5 ' ' ⑷ 원점과 직선 y=2x-4, 즉 2x-y-4=0 사이의 ⑴ 1 3 ⑵ 1 5 0 ⑶ ' 2 '  ⑷ 4 5 ' 5 348 ⑴ 주어진 두 직선은 서로 평행하므로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직선 2x-y+2=0 위의 한 점 (0, 2)와 직선 2x-y-3=0 사이의 거리와 같다. ∴ |2_0-1_2-3| 2Û`+(-1)Û` = 5 5 ' = 5 ' "à 선 x+3y+4=0 사이의 거리와 같다. ∴ |1_1+3_0+4| 1Û`+3Û` = 5 1 0 0 1 = ' 2 ' "à ⑶ 주어진 두 직선은 서로 평행하므로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직선 3x-4y=0 위의 한 점 (0, 0)과 직선 |5| 3Û`+(-4)Û` = =1 ;5%; ∴ "à 74 Ⅲ. 도형의 방정식 349 점 (1, a)와 직선 3x+y-5=0 사이의 거리가 10 '¶ 이므로 |3+a-5| 3Û`+1Û` "à = 10, |a-2|=10 '¶ a-2=Ñ10 ∴ a=-8 또는 a=12 그런데 점 (1, a)는 제 1 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a>0 따라서 구하는 a의 값은 12이다. 12 350 4 3 직선 3x+4y-2=0, 즉 y=- x+ 에 수직인 직 3 4 ;2!; 선의 기울기는 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4 3 y= x+k, 즉 4x-3y+3k=0으로 놓을 수 있다. 원점과 이 직선 사이의 거리가 이므로 ;5&; |3k| 4Û`+(-3)Û` = , |3k|=7 ;5&; "à 3k=Ñ7 ∴ k=- 또는 k= ;3&; ;3&; 4x-3y-7=0,4x-3y+7=0 351 두 직선 x-y+1=0, x-2y+3=0의 교점을 지나 (x-y+1)+k(x-2y+3)=0`(k는 실수) ∴ (k+1)x-(2k+1)y+3k+1=0 yy ㉠ ⑵ 주어진 두 직선은 서로 평행하므로 두 직선 사이의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거리는 직선 x+3y-1=0 위의 한 점 (1, 0)과 직 4x-3y-7=0 또는 4x-3y+7=0 3x-4y+5=0 사이의 거리와 같다. 는 직선의 방정식은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63~089_3단원(확)_ok.indd 74 2018-07-31 오후 7:32:36 Œ Œ Œ Œ Œ Œ Œ Œ Œ Œ Œ Œ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354 주어진 두 직선이 서로 평행하므로 = ;a$; ;3#; + -5 b ∴ a=4 따라서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직선 3x+4y-5=0 위의 한 점 (3, -1)과 직선 3x+4y+b=0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3_3+4_(-1)+b| 3Û`+4Û` =3 "à |b+5|=15, b+5=Ñ15 원점과 직선 ㉠ 사이의 거리가 1이므로 |3k+1| (k+1)Û`+(2k+1)Û` =1 "à |3k+1|= 5kÛ`+6k+2 "à 양변을 제곱하면 9kÛ`+6k+1=5kÛ`+6k+2 4kÛ`=1 ∴ k=Ñ ;2!; Ú k= 을 ㉠에 대입하면 ;2!; Û k=- 을 ㉠에 대입하면 ;2!; x- =0 ∴ x=1 ;2!; ;2!; Ú, Û에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3x-4y+5=0 또는 x=1 x-2y+ =0 ∴ 3x-4y+5=0 ;2#; ;2%; ∴ b=-20 (∵ b<0 ) a=4,b=-20 3x-4y+5=0,x=1 352 두 직선 x+y-3=0, x+y+m=0 사이의 거리는 직선 x+y-3=0 위의 한 점 (0, 3)과 직선 x+y+m=0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3+m| 1Û`+1Û` =4 2, |3+m|=8 ' "à 3+m=Ñ8 ∴ m=5 (∵ m>0 ) 353 주어진 두 직선이 서로 평행하므로 = ;a#; -1 2 + 12 -4 ∴ a=-6 따라서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직선 3x-y+12=0 위의 한 점 (-4, 0)과 직선 355 선분 AB의 길이는 ABÓ= (-3-2)Û`+(6-2)Û`= 4 1 "à ' 직선 AB의 방정식은 B(-3, 6) y-2= (x-2) 6-2 -3-2 ∴ 4x+5y-18=0 △OAB의 높이 h는 원점과 직선 AB 사이의 거리이므로 h= |-18| 4Û`+5Û` "à = 18 1 4 ' 따라서 △OAB의 넓이는 A(2, 2) h O(0, 0) _ABÓ_h= _ 4 ' ;2!; 1_ ;2!; 5 =9 18 1 4 ' 9 ABÓ= (3-1)Û`+(-1-2)Û`= 13 "à '¶ 356 선분 AB의 길이는 직선 AB의 방정식은 y-2= (x-1) -1-2 3-1 ∴ 3x+2y-7=0 C(a, 4) A(1, 2) h -6x+2y-4=0, 즉 3x-y+2=0 사이의 거리와 △ABC의 높이 h는 점 같으므로 |3_(-4)-1_0+2| 3Û`+(-1)Û` "à  = 10 0 1 ' = 0 1 ' a=-6,거리: ' 1 0 거리이므로 h= |3a+8-7| 3Û`+2Û` = "à |3a+1| 1 3 ' C(a, 4)와 직선 AB 사이의 B(3, -1)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75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63~089_3단원(확)_ok.indd 75 2018-07-31 오후 7:32:37 Œ Œ Œ Œ Œ Œ Œ Œ 이때 △ABC의 넓이가 8이므로 _ABÓ_h= _ 13_ ;2!; '¶ ;2!; |3a+1|=16, 3a+1=Ñ16 |3a+1| 1 3 ' =8 ∴ a=5 또는 a=- :Á3¦: 따라서 정수 a의 값은 5이다. 5 357 두 직선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점 P가 그리는 도형 은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이등분선이다. 각의 이등분선 위의 임의의 점을 P(x, y)라 하면 점 P 에서 두 직선 x+2y+3=0, 2x-y-5=0에 이르는 거리가 같으므로 |x+2y+3| 1Û`+2Û` = |2x-y-5| 2Û`+(-1)Û` "à "à |x+2y+3|=|2x-y-5| x+2y+3=Ñ(2x-y-5) ∴ x-3y-8=0 또는 3x+y-2=0 x-3y-8=0또는3x+y-2=0 358 각의 이등분선 위의 임의의 점을 P(x, y)라 하면 점 P에서 두 직선 x-3y+4=0, 3x-y-2=0에 이르 는 거리가 같으므로 |x-3y+4| 1Û`+(-3)Û` = |3x-y-2| 3Û`+(-1)Û` "à |x-3y+4|=|3x-y-2| "à x-3y+4=Ñ(3x-y-2) 360 ⑴xÛ`+yÛ`=9 ⑵(x-2)Û`+(y+3)Û`=16 ⑶(x+5)Û`+(y-1)Û`=5 361 ⑴ xÛ`+yÛ`-8x=0에서 (xÛ`-8x+16)+yÛ`=16 ∴ (x-4)Û`+yÛ`=16 따라서 중심의좌표는(4,0),반지름의길이는4이 ⑵ xÛ`+yÛ`+2x-4y-20=0에서 (xÛ`+2x+1)+(yÛ`-4y+4)=25 ∴ (x+1)Û`+(y-2)Û`=25 따라서 중심의좌표는(-1,2),반지름의길이는5 ⑶ xÛ`+yÛ`-6x+4y+12=0에서 (xÛ`-6x+9)+(yÛ`+4y+4)=1 ∴ (x-3)Û`+(y+2)Û`=1 따라서 중심의좌표는(3,-2),반지름의길이는1 다. 이다. 이다. 풀이참조 362 ⑴(x+1)Û`+(y-3)Û`=9  ⑵(x-3)Û`+(y-1)Û`=9 ⑶(x-2)Û`+(y+2)Û`=4 ∴ x+y-3=0 또는 2x-2y+1=0 따라서 기울기가 음수인 직선의 방정식은 x+y-3=0 이다. x+y-3=0 이 원이 점 (4, 2)를 지나므로 (4-1)Û`+(2+2)Û`=rÛ` ∴ rÛ`=25 363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원의 방정식은 (x-1)Û`+(y+2)Û`=rÛ` yy ㉠ 359 ⑴중심의좌표 :(0,0),반지름의길이 : ' ⑵중심의좌표 :(5,0),반지름의길이 :3 1 1 rÛ`=25를 ㉠에 대입하면 (x-1)Û`+(y+2)Û`=25 이 원이 점 (a, 1)을 지나므로 (a-1)Û`+(1+2)Û`=25, (a-1)Û`=16 ⑶중심의좌표 :(-2,3),반지름의길이 :5 a-1=Ñ4 ∴ a=5 (∵ a>0) 5 76 Ⅲ. 도형의 방정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63~089_3단원(확)_ok.indd 76 2018-07-31 오후 7:32:37 Œ Œ 364 원 (x-a)Û`+(y-b)Û`=c의 중심을 C(a, b)라 하면 366 원의 중심이 직선 y=x+5 위에 있으므로 원의 중심 점 C는 ABÓ의 중점이므로 의 좌표를 (a, a+5),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원의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a= 5-1 2 1+7 2 =2, b= =4에서 C(2, 4) 또,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ACÓ의 길이와 같으므로 ACÓ = (2-5)Û`+(4-1)Û`=3 "à 2 ' 따라서 두 점 A, B를 지름의 양 끝 점으로 하는 원의 방정식은 (x-2)Û`+(y-4)Û`=18 따라서 a=2, b=4, c=18이므로 a+b+c=24 방정식은 (x-a)Û`+(y-a-5)Û`=rÛ` 이 원이 두 점 (0, 0), (1, 2)를 지나므로 (-a)Û`+(-a-5)Û`=rÛ` (1-a)Û`+(2-a-5)Û`=rÛ` ∴ 2aÛ`+10a+25=rÛ`, 2aÛ`+4a+10=rÛ`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24 a=- , rÛ`= ;2%; :ª2°: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x+ { ;2%;} y- { ;2%;} Û`+ Û`= :ª2°: x+  { ;2%;} Û`+ { y- Û`= ;2%;} :ª2°: (4-a)Û`+9=rÛ`, (2-a)Û`+9=rÛ` (x+1)Û`+(y-2)Û`=20-k ∴ aÛ`-8a+25=rÛ`, aÛ`-4a+13=rÛ` 이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20 -k이므로 '¶ 367 xÛ`+yÛ`+2x-4y-15+k=0에서 365 원의 중심이 x축 위에 있으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를 (a, 0),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원의 방정식은 (x-a)Û`+yÛ`=rÛ` 이 원이 두 점 (4, -3), (2, 3)을 지나므로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3, rÛ`=10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x-3)Û`+yÛ`=10 (x-3)Û`+yÛ`=10 다른풀이 원의 중심의 좌표를 (a, 0)이라 하면 이 점에서 두 점 (4, -3), (2, 3)에 이르는 거리가 같으 (a-4)Û`+3Û`= "à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à (a-2)Û`+ (-3)Û` aÛ`-8a+25=aÛ`-4a+13 므로 ∴ a=3 20 -k=5 '¶ 양변을 제곱하면 20-k=25 ∴ k=-5 -5 368 xÛ`+yÛ`-6x+ay+9=0에서 (x-3)Û`+ { y+ ;2A;} Û`= aÛ` 4 이 원의 중심의 좌표가 { 3, - ;2A;} 이므로 3=b, - -3 ∴ a=6, b=3 ;2A;= aÛ` 4 ¾Ð 6Û` 4 =3 r=¾Ð ∴ a+b+r=6+3+3=12 12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77 즉, 원의 중심의 좌표는 (3, 0)이고, 원의 반지름의 길 이는 두 점 (3, 0), (4, -3)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므로 (4-3)Û`+(-3)Û`= "à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10 '¶ (x-3)Û`+yÛ`=10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63~089_3단원(확)_ok.indd 77 2018-07-31 오후 7:32:38 ¶ ¶ à 369 xÛ`+yÛ`-2(a+1)x+2ay+3aÛ`-2=0에서 372 xÛ`+yÛ`-8x+10y+k=0에서 {x-(a+1)}Û`+(y+a)Û`=-aÛ`+2a+3 (x-4)Û`+(y+5)Û`=41-k 이 방정식이 원을 나타내려면 -aÛ`+2a+3>0, aÛ`-2a-3<0 (a+1)(a-3)<0 ∴ -10)라 하면 점 (-2, 1) 을 지나고 x축과 y축에 동시에 접하는 원의 중심은 제 2 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원의 방정식은 (x+r)Û`+(y-r)Û`=rÛ` 중심의 좌표 : (-r, r) Û 이 원이 점 (-2, 1)을 지나므로 (-2+r)Û`+(1-r)Û`=rÛ`, rÛ`-6r+5=0 yy ㉠ (r-1)(r-5)=0 ∴ r=1 또는 r=5 따라서 두 원의 중심의 좌표는 각각 (-1, 1), (-5, 5) yy ㉡ 이므로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5+1)Û` +(5-1)Û`=4 2 ' "à 4 2 ' 375 xÛ`+yÛ`+2ax+6y+7-b=0에서 10p (x+a)Û`+(y+3)Û`=aÛ`+b+2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63~089_3단원(확)_ok.indd 78 2018-07-31 오후 7:32:38 à Œ Œ 이 원의 중심의 좌표가 (-a, -3)이고 x축과 y축에 따라서 점 P가 그리는 도형은 반지름의 길이가 동시에 접하므로 |-a|=|-3|= "à |-a|=|-3|에서 a=3 (∵ a>0) aÛ`+b+2 |-3|= aÛ`+b+2의 양변을 제곱하면 "à 9=aÛ`+b+2 a=3을 위의 식에 대입하면 9=9+b+2 ∴ b=-2 ∴ a+b=3+(-2)=1 원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p_( 1 ' 0)Û`=10p 379 APÓ : BPÓ=3 : 2에서 2 APÓ=3 BPÓ ∴ 4 APÓ Û`=9 BPÓ Û` 1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4{(x+2)Û`+yÛ`}=9{(x-3)Û`+yÛ`} 0인 1 ' 10p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x-3)Û`+(y+3)Û`=9 _5_6=15 ;2!; 15 376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r>0)라 하면 x축과 y축에 동시에 접하고 중심이 제 4 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는 (r, -r)이다. 이때 원의 중심 (r, -r)가 직선 x+3y+6=0 위에 있으므로 r-3r+6=0 ∴ r=3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x-3)Û`+(y+3)Û`=9 377 APÓ : BPÓ=3 : 2에서 2APÓ=3BPÓ ∴ 4APÓÛ`=9BPÓÛ`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4{(x-1)Û`+yÛ`}=9{(x-6)Û`+yÛ`} xÛ`+yÛ`-20x+64=0 ∴ (x-10)Û`+yÛ`=36 378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APÓ Û`+BPÓ Û`=30에서 xÛ`+(y+1)Û`+(x-2)Û`+(y-3)Û`=30 xÛ`+yÛ`-2x-2y-8=0 ∴ (x-1)Û`+(y-1)Û`=10 xÛ`+yÛ`-14x+13=0 ∴ (x-7)Û`+yÛ`=36 즉, 점 P가 그리는 도형은 반 y 지름의 길이가 6인 원이다. 이때 △PAB에서 ABÓ를 밑 변으로 생각하면 오른쪽 그 림과 같이 △PAB의 넓이가 6 P 7 x BA 3 -2 O 최대가 될 때는 높이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을 때 이다. 따라서 △PAB의 넓이의 최댓값은 380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xÛ`+yÛ`-2x+ky-4-(xÛ`+yÛ`-4x-2y+4)=0 ∴ 2x+(k+2)y-8=0 이 직선이 직선 y=3x+4, 즉 3x-y+4=0과 수직 381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은 xÛ`+yÛ`-5+k(xÛ`+yÛ`-3x-y-4)=0 (k+-1) yy ㉠ 이 원이 원점을 지나므로 -5-4k=0 ∴ k=- ;4%;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79 따라서 점 P가 그리는 도형은 반지름의 길이가 6인 원 2_3+(k+2)_(-1)=0 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길이는 2p_6=12p 12p 4 이므로 ∴ k=4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63~089_3단원(확)_ok.indd 79 2018-07-31 오후 7:32:39 Œ Œ k=- 를 ㉠에 대입하면 ;4%; CÕMÓ= |1-2-1| 1Û`+(-1)Û` = 2 2 ' "à = 2 ' xÛ`+yÛ`-5- (xÛ`+yÛ`-3x-y-4)=0 ;4%; 또, CÕMÓ은 ABÓ를 수직이등분하므로 △ACM은 직각 4(xÛ`+yÛ`-5)-5(xÛ`+yÛ`-3x-y-4)=0 삼각형이다. 이때 CÕAÓ=2이므로 -xÛ`-yÛ`+15x+5y=0 ∴ xÛ`+yÛ`-15x-5y=0 AÕMÓ= CAÓ Û`-CMÓ Û` ÚÞ "à 2Û`-( 2)Û`= ' 2 ' = xÛ`+yÛ`-15x-5y=0 따라서 구하는 공통인 현의 길이는 382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은 xÛ`+yÛ`+ax-2ay+k(xÛ`+yÛ`-10x-8y+16)=0 (k+-1) yy ㉠ 이 원이 두 점 (0, 2), (3, 1)을 지나므로 4-4a+4k=0 ∴ a-k=1 10+a-12k=0 ∴ a-12k=-10 yy ㉡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a=2, k=1 a=2, k=1을 ㉠에 대입하면 xÛ`+yÛ`+2x-4y+(xÛ`+yÛ`-10x-8y+16)=0 2xÛ`+2yÛ`-8x-12y+16=0 xÛ`+yÛ`-4x-6y+8=0 ∴ (x-2)Û`+(y-3)Û`=5 따라서 구하는 원의 넓이는 p_( 5)Û`=5p ' 383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xÛ`+yÛ`-2x-4y+1-(xÛ`+yÛ`-6x+5)=0 ∴ x-y-1=0 xÛ`+yÛ`-2x-4y+1=0에서 (x-1)Û`+(y-2)Û`=4 이므로 이 원의 중심을 C(1, 2)라 하자.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원의 교 점을 각각 A, B라 하고, ABÓ 의 중점을 M이라 하면 CMÓ의 길이는 점 C와 직선 ㉠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C M A B 80 Ⅲ. 도형의 방정식 ABÓ=2AÕMÓ=2 2 ' 2 2 ' 384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xÛ`+yÛ`-5-(xÛ`+yÛ`+4x-3y+a)=0 ∴ 4x-3y+a+5=0 yy ㉠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원의 교점 A M B O 을 각각 A, B라 하고, ABÓ의 중 점을 M이라 하면 OMÓ의 길이는 원 xÛ`+yÛ`=5의 중심 O(0, 0)과 직선 ㉠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OMÓ = |a+5| 4Û`+(-3)Û` = |a+5| 5 yy ㉡ 또, OMÓ은 ABÓ를 수직이등분하므로 △OAM은 직각 삼각형이다. 이때 AMÓ= ABÓ=1, OAÓ= 5이므로 ' OMÓ = OAÓ Û`-AMÓ Û`= 5)Û`-1Û`=2 yy ㉢ 1 2 ( "à ' "à ÚÞ 5p ㉡, ㉢에서 =2, |a+5|=10 |a+5| 5 a+5=Ñ10 ∴ a=5 (∵ a>0) 5 385 x+1,2xÛ`+2x-7,>,2 yy ㉠ 386 ⑴ y=x-1을 xÛ`+yÛ`+3x=0에 대입하면 xÛ`+(x-1)Û`+3x=0 ∴ 2xÛ`+x+1=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1Û`-4_2_1=-7<0 따라서 원과 직선은 만나지 않는다.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63~089_3단원(확)_ok.indd 80 2018-07-31 오후 7:32:40 ⑵ x+y=3, 즉 y=-x+3을 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D>0이어야 하므로 xÛ`+yÛ`-2x+4y-3=0에 대입하면 -kÛ`+25>0, (k+5)(k-5)<0 xÛ`+(-x+3)Û`-2x+4(-x+3)-3=0 ∴ -50 ∴ k<-5 또는 k>5 ⑴만나지않는다. ⑵한점에서만난다.`(접한다.)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387 5, ' 5, ' 5,=,1 388 ⑴ 원의 중심 (0, 0)과 직선 3x+y-10=0 사이의 7이고 1 0> 7이므로 원 ' ' ⑵ 원의 중심 (-1, 2)와 직선 2x+y+5=0 사이의 거리는 |-10| 3Û`+1Û` = 0 1 ' "à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 과 직선은 만나지 않는다. 거리는 |-2+2+5| 2Û`+1Û` = 5 ' "à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2 ' 과 직선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2이고 5<2 ' ' 2이므로 원 ⑴만나지않는다. ⑵서로다른두점에서만난다. 389 y=2x+k를 xÛ`+yÛ`=5에 대입하면 xÛ`+(2x+k)Û`=5 ∴ 5xÛ`+4kx+kÛ`-5=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4 =(2k)Û`-5(kÛ`-5)=-kÛ`+25 ⑴-55 다른풀이 원의 중심 (0, 0)과 직선 y=2x+k, 즉 2x-y+k=0 사이의 거리를 d라 하면 d= |k| 2Û`+(-1)Û` = |k| 5 ' "à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r= 5 ' 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dr이어야 하므로 > 5, |k|>5 |k| 5 ' ' ∴ k<-5 또는 k>5 390 xÛ`+yÛ`-4x-6y+9=0에서 (x-2)Û`+(y-3)Û`=4 원의 중심 (2, 3)과 직선 3x-4y+k=0 사이의 거리는 |6-12+k| 3Û`+(-4)Û` = |k-6| 5 "à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2이므로 원과 직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k-6| 5 <2, |k-6|<10 -100) 3 (cid:9)(cid:14)(cid:20)(cid:13)(cid:3)(cid:21)(cid:10) (cid:20)(cid:89)(cid:14)(cid:21)(cid:90)(cid:14)(cid:18)(cid:17)(cid:30)(cid:17) (cid:21) (cid:24) (cid:21)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4이므로 위의 그림에서 원 위의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은 7+4=11, 최솟값은 7-4=3 최댓값 :11,최솟값 :3 394 xÛ`+yÛ`+6x-8y+9=0에서 (x+3)Û`+(y-4)Û`=16 원의 중심 (-3, 4)와 직선 3x-4y-10=0 사이의 거리는 |-9-16-10| 3Û`+(-4)Û` =7 "à 2 2 ' A 3 4 H C(2, 1) B yy ㉠ 395 선의 방정식은 yy ㉡ y= xÑ3 ;3!; ¾Ð{;3!;} Û`+1   ㉠, ㉡에서 = 5, |5-k|=5 ' 5-k=Ñ5 ∴ k=10 (∵ k>0) 10 ∴ y= xÑ 0 1 ' ;3!; y= x+ 1 0, y= x- 1 0 ;3!; ' ;3!; ' 393 xÛ`+yÛ`-2x+4y-4=0에서 (x-1)Û`+(y+2)Û`=9 원의 중심을 C(1, -2)라 하면 CAÓ= (-2-1)Û`+(a+2)Û`= "à CBÓ는 원의 반지름이므로 CBÓ=3 "à 82 Ⅲ. 도형의 방정식 396 기울기가 2인 접선의 방정식을 y=2x+n, 즉 aÛ`+4a+13 2x-y+n=0이라 하면 원의 중심 (1, 2)와 접선 사 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 3과 같으므로 또, ACÓ=3, AHÓ= ABÓ=2이므로 직각삼각형 ACH 직선 y=-3x+5와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이고, ;3!; 원 xÛ`+yÛ`=9의 반지름의 길이는 3이므로 구하는 직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63~089_3단원(확)_ok.indd 82 2018-07-31 오후 7:32:41 Œ Œ Œ 원의 중심과 접점을 지나는 직선은 접선에 수직이므로 접선의 기울기는 -3이다. 따라서 기울기가 -3이고 점 (4, -1)을 지나는 접선 의 방정식은 y-(-1)=-3(x-4)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y=2x+3 5, y=2x-3 5 ' ' ∴ y=-3x+11 y=-3x+11 다른풀이 기울기가 2인 접선의 방정식을 y=2x+n =3, |n|=3 5 '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2-2+n| 2Û`+(-1)Û` "à ∴ n=Ñ3 5 ' y=2xÑ3 5 ' 이라 하자. 이 식을 (x-1)Û`+(y-2)Û`=9에 대입하면 (x-1)Û`+(2x+n-2)Û`=9 ∴ 5xÛ`+2(2n-5)x+nÛ`-4n-4=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2n-5)Û`-5(nÛ`-4n-4)=0 ;;4;D; nÛ`=45 ∴ n=Ñ3 5 '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2xÑ3 5 ' 397 원 xÛ`+yÛ`=10 위의 점 (-1, -3)에서의 접선의 방 정식은 (-1)_x+(-3)_y=10 y O B A (-1, -3) ∴ x+3y+10=0 이 접선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A(-10, 0), 0, - B { :Á3¼:} 따라서 삼각형 OAB의 넓이는 _10_ = :Á3¼: :°3¼: ;2!; 398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의 중심 (1, -2)와 접점 (4, -1)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1-(-2) 4-1 = ;3!; 다른풀이 원 (x-1)Û`+(y+2)Û`=10 위의 점 (4,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4-1)(x-1)+(-1+2)(y+2)=10 3(x-1)+y+2=10 ∴ y=-3x+11 399 접점의 좌표를 (xÁ, yÁ)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xÁx+yÁy=5 yy ㉠ 직선 ㉠이 점 (3, -1)을 지나므로 3xÁ-yÁ=5 ∴ yÁ=3xÁ-5 또, 접점 (xÁ, 3xÁ-5)는 원 xÛ`+yÛ`=5 위의 점이므로 xÁÛ`+(3xÁ-5)Û`=5, 10xÁÛ`-30xÁ+20=0 xÁÛ`-3xÁ+2=0, (xÁ-1)(xÁ-2)=0 ∴ xÁ=1 또는 xÁ=2 xÁ=1일 때 yÁ=-2, xÁ=2일 때 yÁ=1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x-2y-5=0, 2x+y-5=0 x x-2y-5=0,2x+y-5=0 다른풀이 점 (3, -1)을 지나는 접선의 기울기를 m 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y-(-1)=m(x-3) ∴ mx-y-3m-1=0 원의 중심 (0, 0)과 접선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  50 3 의 길이 5와 같아야 하므로 ' |-3m-1| mÛ`+(-1)Û` ' "à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 5, |3m+1|= 5(mÛ`+1) "à 2mÛ`+3m-2=0, (m+2)(2m-1)=0 (4, -1) ∴ m=-2 또는 m= ;2!; (1, -2)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2x+y-5=0, x-2y-5=0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83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63~089_3단원(확)_ok.indd 83 2018-07-31 오후 7:32:41 400 점 (2, -1)을 지나는 접선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⑶ (x-2-3)Û`+(y+3+4)Û`=1 ∴ (x-5)Û`+(y+7)Û`=1 원과 직선이 접하려면 원의 중심 (-1, 2)와 접선 사 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 3과 같아야 하므로 ' 접선의 방정식은 y-(-1)=m(x-2) ∴ mx-y-2m-1=0 |-m-2-2m-1| mÛ`+(-1)Û` = 3 ' "à |3m+3|= "à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3(mÛ`+1) mÛ`+3m+1=0 ⑴3x-2y-7=0 ⑵y=xÛ`-4x+5 ⑶(x-5)Û`+(y+7)Û`=1 404 평행이동 (x, y) (x-2, y+5)는 x축의 방향 1Ú 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5만큼 평행이동하는 것이므로 주어진 식에 x 대신 x+2, y 대신 y-5를 yy ㉠ 대입한다. 두 접선의 기울기를 mÁ, mª라 하면 이차방정식 ㉠의 두 근이 mÁ, mª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⑴ 2(x+2)-(y-5)-3=0 ∴ 2x-y+6=0 mÁ+mª=-3 -3 ⑵ y-5=-(x+2)Û`+2(x+2) 401 ⑴ (7-3, 2+4), 즉 (4, 6) ⑵ (-6-3, 5+4), 즉 (-9, 9) ⑶ (-2-3, -4+4), 즉 (-5, 0) ⑴(4,6) ⑵(-9,9) ⑶(-5,0) ∴ y=-xÛ`-2x+5 ⑶ (x+2+3)Û`+(y-5-2)Û`=5 ∴ (x+5)Û`+(y-7)Û`=5 ⑴2x-y+6=0 ⑵y=-xÛ`-2x+5 ⑶(x+5)Û`+(y-7)Û`=5 402 평행이동 (x, y) 이다. (x-5, y+3)은 x축의 방향 1Ú 으로 -5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하는 것 405 평행이동 (x, y) (x-3, y+2)는 x축의 방향 1Ú 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는 것이므로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점 (a, -1)이 옮겨 ⑴ (1-5, 3+3), 즉 (-4, 6) ⑵ (4-5, -6+3), 즉 (-1, -3) ⑶ (-2-5, 5+3), 즉 (-7, 8) ⑴(-4,6) ⑵(-1,-3) ⑶(-7,8) 지는 점의 좌표는 (a-3, -1+2), 즉 (a-3, 1) 이 점이 직선 y=2x-3 위의 점이므로 1=2(a-3)-3 2a=10 ∴ a=5 5 403 주어진 식에 x 대신 x-2, y 대신 y+3을 대입한다. ⑴ 3(x-2)-2(y+3)+5=0 ∴ 3x-2y-7=0 ⑵ y+3=(x-2)Û`+4 ∴ y=xÛ`-4x+5 84 Ⅲ. 도형의 방정식 406 점 (2, -4)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 로 b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가 (1, -3)이라 하면 2+a=1, -4+b=-3 ∴ a=-1, b=1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63~089_3단원(확)_ok.indd 84 2018-07-31 오후 7:32:42 즉, 주어진 평행이동은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 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하는 것이다. 410 직선 y=ax+b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 따라서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점 (-3, 6)이 옮겨지는 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점의 좌표는 (-3-1, 6+1), 즉 (-4, 7) (-4, 7) y-2=a(x+3)+b ∴ y=ax+3a+b+2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407 점 (m, n)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m+2, n-3) 한편, xÛ`+yÛ`-6x+8y+19=0에서 (x-3)Û`+(y+4)Û`=6 이 원의 중심의 좌표는 (3, -4)이므로 m+2=3, n-3=-4 ∴ m=1, n=-1 ∴ mn=-1 -1 408 2x-3y+k=0에 x 대신 x-1, y 대신 y+2를 대입 하면 2(x-1)-3(y+2)+k=0 ∴ 2x-3y-8+k=0 이 직선이 점 (1, -4)를 지나므로 2+12-8+k=0 ∴ k=-6 409 점 (1, 2)를 점 (-2, 4)로 옮기는 평행이동은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 는 것이므로 3x-4y+2=0에 x 대신 x+3, y 대신 y-2를 대입하면 3(x+3)-4(y-2)+2=0 ∴ 3x-4y+19=0 p=-4, q=19 ∴ p+q=15 이 직선이 직선 3x+py+q=0과 일치하므로 이 직선과 직선 y=2x+1이 y축 위의 점에서 수직으 로 만나므로 두 직선의 기울기의 곱이 -1이고, y절편 즉, a_2=-1, 3a+b+2=1에서 이 같아야 한다. a=- , b= 1 2 1 2 ∴ b-a= - - { ;2!; ;2!;} =1 1 411 y=xÛ`-4x+3에서 y=(x-2)Û`-1 평행이동 (x, y) (x-a, y+2b)는 x축의 방향 1Ú 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2b만큼 평행이동하는 것이므로 y=(x-2)Û`-1에 x 대신 x+a, y 대신 y-2b를 대입하면 y-2b=(x+a-2)Û`-1 ∴ y=xÛ`+2(a-2)x+(a-2)Û`+2b-1 이 포물선이 포물선 y=xÛ`-3과 일치하므로 a-2=0, (a-2)Û`+2b-1=-3 1 다른풀이 포물선 y=(x-2)Û`-1의 꼭짓점의 좌표 는 (2, -1), 포물선 y=xÛ`-3의 꼭짓점의 좌표는 (0, -3)이므로 주어진 평행이동은 점 (2, -1)을 점 (0, -3)으로 옮기는 평행이동이다. 즉, 주어진 평행이동은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 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는 것이므로 -a=-2, 2b=-2 ∴ a=2, b=-1 ∴ a+b=1 ∴ a=2, b=-1 -6 ∴ a+b=1 412 xÛ`+yÛ`+6x+2y+8=0에서 15 (x+3)Û`+(y+1)Û`=2 yy ㉠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85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63~089_3단원(확)_ok.indd 85 2018-07-31 오후 7:32:42 xÛ`+yÛ`-4x-4y+6=0에서 (x-2)Û`+(y-2)Û`=2 yy ㉡ ㉠에 x 대신 x-a, y 대신 y-b를 대입하면 416 ⑴ -y=xÛ`-2x+3 ∴ y=-xÛ`+2x-3 (x-a+3)Û`+(y-b+1)Û`=2 이 원이 원 ㉡과 일치하므로 ⑵ y=(-x)Û`-2_(-x)+3 ∴ y=xÛ`+2x+3 -a+3=-2, -b+1=-2 ∴ a=5, b=3 ⑶ -y=(-x)Û`-2_(-x)+3 ∴ ab=15 15 ∴ y=-xÛ`-2x-3 다른풀이 원 ㉠의 중심의 좌표는 (-3, -1) ⑷ x=yÛ`-2y+3 원 ㉡의 중심의 좌표는 (2, 2) 점 (-3, -1)을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 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가 (2, 2)이므로 -3+a=2, -1+b=2 ∴ a=5, b=3 ∴ ab=15 ⑴y=-xÛ`+2x-3 ⑵y=xÛ`+2x+3 ⑶y=-xÛ`-2x-3 ⑷x=yÛ`-2y+3 417 ⑴ (x-3)Û`+(-y+2)Û`=6 ∴ (x-3)Û`+(y-2)Û`=6 ⑵ (-x-3)Û`+(y+2)Û`=6 ∴ (x+3)Û`+(y+2)Û`=6 ⑶ (-x-3)Û`+(-y+2)Û`=6 ∴ (x+3)Û`+(y-2)Û`=6 ⑷ (y-3)Û`+(x+2)Û`=6 ∴ (x+2)Û`+(y-3)Û`=6 ⑴(x-3)Û`+(y-2)Û`=6 ⑵(x+3)Û`+(y+2)Û`=6 ⑶(x+3)Û`+(y-2)Û`=6 ⑷(x+2)Û`+(y-3)Û`=6 418 점 P(2, 4)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Q 의 좌표는 (4, 2) 점 Q(4, 2)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R의 좌표는 (4, -2) 따라서 오른쪽 그림에서 삼각 형 PQR의 넓이는 _4_2=4 ;2!; y 4 2 O 2 -2 y=x P Q 4 R x 4 ⑴3x+2y+1=0 ⑵3x+2y-1=0 ⑶3x-2y-1=0 ⑷2x-3y-1=0 413  ⑴(-2,-3) ⑵(2,3) ⑶(2,-3) ⑷(3,-2) 414  ⑴(-5,3) ⑵(5,-3) ⑶(5,3) ⑷(-3,-5) 415 ⑴ 3x-2_(-y)+1=0 ∴ 3x+2y+1=0 ⑵ 3_(-x)-2y+1=0 ∴ 3x+2y-1=0 ⑶ 3_(-x)-2_(-y)+1=0 ∴ 3x-2y-1=0 ⑷ 3y-2x+1=0 ∴ 2x-3y-1=0 86 Ⅲ. 도형의 방정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63~089_3단원(확)_ok.indd 86 2018-07-31 오후 7:32:43 419 점 (3, -5)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423 포물선 y=xÛ`-2mx+mÛ`-5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 (-3, 5) 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이 점이 직선 ax-2y+1=0 위에 있으므로 -y=(-x)Û`-2m_(-x)+mÛ`-5 -3a-10+1=0 ∴ a=-3 -3 ∴ y =-xÛ`-2mx-mÛ`+5 =-(x+m)Û`+5 420 점 (k, 3)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P의 좌표는 와 일치하므로 이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 (-m, 5)가 점 (-2, k) m=2, k=5 ∴ m+k=7 7 점 (k, 3)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Q의 다른풀이 y=xÛ`-2mx+mÛ`-5에서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k, 3) 좌표는 (3, k) 선분 PQ의 길이가 2 5이므로 ' (3+k)Û`+(k-3)Û`=2 5 ' "à 2kÛ`+18=2 5 ' "à 양변을 제곱하면 2kÛ`+18=20 kÛ`=1 ∴ k=1 (∵ k>0) y=(x-m)Û`-5 이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가 (m, -5)이므로 이 포 물선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는 (-m, 5) 이 점이 점 (-2, k)와 일치하므로 1 m=2, k=5 ∴ m+k=7 421 직선 y=-3x+6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y=-3_(-x)+6 ∴ y=3x+6 이 직선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 이므로 점 (-2, 4)를 지나고 기울기가 - 인 직선의 방정식은 ;3!; ;3!; y-4=- (x+2) ∴ y=- x+ ;3!; :Á3¼: ;3!;  y=- x+ ;3!; :Á3¼: 424 직선 4x-2y+3=0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 한 직선의 방정식은 4y-2x+3=0 ∴ 2x-4y-3=0 이 직선을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 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2(x+1)-4(y-2)-3=0 ∴ 2x-4y+7=0 2x-4y+7=0 425 포물선 y=xÛ`-2x+a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 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422 직선 2x-3y+1=0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 y-1=(x-3)Û`-2(x-3)+a ∴ y=xÛ`-8x+16+a 선의 방정식은 2x-3_(-y)+1=0 ∴ 2x+3y+1=0 이 포물선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포물선의 방정 식은 -y=xÛ`-8x+16+a 이 직선이 원 (x-4)Û`+(y+k)Û`=3의 넓이를 이등 ∴ y=-xÛ`+8x-16-a 분하므로 원의 중심 (4, -k)를 지난다. 즉, 이 포물선이 포물선 y=-xÛ`+8x-10과 일치하므로 8-3k+1=0 ∴ k=3 3 -16-a=-10 ∴ a=-6 -6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87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63~089_3단원(확)_ok.indd 87 2018-07-31 오후 7:32:44 다른풀이 y=xÛ`-2x+a에서 y=(x-1)Û`+a-1 y=-xÛ`+8x-10에서 y=-(x-4)Û`+6 yy ㉠ 428 y=-xÛ`+2x+5에서 y=-(x-1)Û`+6 포물선의 꼭짓점 (1, 6)을 점 (a, b)에 대하여 대칭이 yy ㉡ 동한 점의 좌표가 (3, 6)이어야 한다. 포물선 ㉠의 꼭짓점 (1, a-1)을 x축의 방향으로 3만 즉, 점 (a, b)가 두 점 (1, 6), (3, 6)을 이은 선분의 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1+3, a-1+1), 즉 (4, a) 이 점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4, -a) 이 점이 포물선 ㉡의 꼭짓점 (4, 6)과 일치하므로 -a=6 ∴ a=-6 426 원 xÛ`+yÛ`-4x=0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xÛ`+yÛ`+4x=0 ∴ (x+2)Û`+yÛ`=4 이 원을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 식은 (x+2)Û`+(y-1)Û`=4 이 원이 직선 y=mx-2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중점이므로 a= 1+3 2 ∴ a+b=8 =2, b= 6+6 2 =6 8 429 두 점 P(-3, 4), Q(1, 8)을 이은 선분 PQ의 중점 , 즉 (-1, 6)이 직선 y=ax+b -3+1 2 { , 4+8 2 } 위의 점이므로 6=-a+b 또, 두 점 P(-3, 4), Q(1, 8)을 지나는 직선과 직선 yy ㉠ y=ax+b는 서로 수직이므로 8-4 1-(-3) a=-1을 ㉠에 대입하면 b=5 _a=-1 ∴ a=-1 (-2, 1)과 직선 mx-y-2=0 사이의 거리는 원의 ∴ a+b=4 4 12m=-5 ∴ m=- ;1°2; - ;1°2; 두 점 (0, -1), (a, b)를 이은 선분의 중점 427 점 (4, 5)가 두 점 (a, 3), (-2, b)를 이은 선분의 430 원 xÛ`+(y+1)Û`=4의 중심 (0, -1)을 직선 x-2y+3=0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를 (a, b)라 하자. , -1+b 2 } {;2A; -2_ ;2A; -1+b 2 ∴ a-2b=-8 가 직선 x-2y+3=0 위의 점이므로 +3=0 yy ㉠ 또, 두 점 (0, -1), (a, b)를 지나는 직선과 직선 x-2y+3=0은 서로 수직이므로 b-(-1) a-0 ;2!; _ =-1 ∴ 2a+b=-1 yy ㉡ 70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3 반지름의 길이 2와 같다. 즉, |-2m-1-2| mÛ`+(-1)Û` =2 "à |2m+3|=2 mÛ`+1 "à 양변을 제곱하면 4mÛ`+12m+9=4(mÛ`+1) 중점이므로 a-2 2 =4, =5 3+b 2 ∴ a=10, b=7 ∴ ab=70 88 Ⅲ. 도형의 방정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63~089_3단원(확)_ok.indd 88 2018-07-31 오후 7:32:44 따라서 대칭이동한 원의 중심의 좌표는 (-2, 3)이고 A'(-2, 3), B'(6, -1) 반지름의 길이가 2이므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이때 APÓ=AÕ'PÓ, QBÓ=QB'Ó이므로 (x+2)Û`+(y-3)Û`=4 APÓ+PQÓ+QBÓ =AÕ'PÓ+PQÓ+QÕB'Ó (x+2)Û`+(y-3)Û`=4 ¾AÕ'B'Ó 개 념 원 리 익 히 기 확 인 체 크 (6+2)Û`+ (-1-3)Û` = "à =4 5 ' A(2, 4)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4 5이다. ' 4 5 ' 431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B(3, -5)를 y축에 대 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B' 이라 하면 B'(-3, -5) y P O x 이때 BPÓ=B'PÓ이므로 B'(-3, -5) B(3, -5) APÓ+BPÓ =AÕPÓ+B'PÓ ¾AB'Ó = (-3-2)Û`+(-5-4)Û` "à 106이다. 'Ä 106 'Ä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B' (cid:34)(cid:9)(cid:18)(cid:13)(cid:3)(cid:19)(cid:10) = 106 'Ä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43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B(3, 4)를 직선 y=x에 이라 하면 B'(4, 3) 이때 BPÓ=BÕ'PÓ이므로 APÓ+BPÓ =APÓ+B'PÓ ¾AB'Ó = " = 1 0 '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cid:90) (cid:35)(cid:9)(cid:20)(cid:13)(cid:3)(cid:21)(cid:10) (cid:90)(cid:30)(cid:89) (cid:49) (cid:35)(cid:8)(cid:9)(cid:21)(cid:13)(cid:3)(cid:20)(cid:10) (cid:89) (cid:48) 4-1)Û`+(3-2)Û` ( 1 0이다. ' 1 0 ' 43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A(2, 3)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 점 A' P y 1 3 A B(6, 1)을 x축에 대하여 -2 -1 O 2 Q 대칭이동한 점을 B'이라 하면 B 6 B' x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89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63~089_3단원(확)_ok.indd 89 2018-09-05 오전 10:13:23 à à Œ Œ Œ Ⅰ. 다항식 4 (x+y+z)Û`=xÛ`+yÛ`+zÛ`+2(xy+yz+zx)에서 1 A-3(X-B)=7A에서 A-3X+3B=7A 3X=-6A+3B ∴ X =-2A+B 0Û`=5+2(xy+yz+zx) ∴ xy+yz+zx=- ;2%; (xy+yz+zx)Û`=xÛ`yÛ`+yÛ`zÛ`+zÛ`xÛ` +2xyz(x+y+z) 에서 { - ;2%;} Û`=xÛ`yÛ`+yÛ`zÛ`+zÛ`xÛ`+2xyz_0 =-2(3xÛ`-2xy-yÛ`)+(xÛ`+3xy-2yÛ`) =-6xÛ`+4xy+2yÛ`+xÛ`+3xy-2yÛ` ∴ xÛ`yÛ`+yÛ`zÛ`+zÛ`xÛ`= :ª4°: =-5xÛ`+7xy -5xÛ`+7xy 따라서 p=4, q=25이므로 2 (2xÜ`-xÛ`+a)(3xÛ`+ax-b)의 전개식에서 xÝ` 항은 xÜ` 항은 2xÜ`_ax+(-xÛ`)_3xÛ`=(2a-3)xÝ` a=b=2 2xÜ`_(-b)+(-xÛ`)_ax=(-2b-a)xÜ` 이때 xÝ` 의 계수와 xÜ` 의 계수가 모두 5이므로 2a-3=5, -2b-a=5 ∴ a=4, b=- ;2(; ∴ a-2b=4-2_ { - ;2(;} =13 13 p+q=29 29 5 (ax+1)xÛ` =bxÜ`+xÛ`=2xÜ`+xÛ`이므로 (2x+1)c=dx+e=8x+4이므로 c=4, d=8, e=4 ∴ a+b+c+d+e =2+2+4+8+4 =20 20 3 (x+1)(x-2)(x-5)(x+10) ={(x+1)(x+10)}{(x-2)(x-5)} =(xÛ`+11x+10)(xÛ`-7x+10) xÛ`+10=X로 놓으면 (주어진 식) =(X+11x)(X-7x) =XÛ`+4xX-77xÛ` a b c d ;2!; 1 0 3 2 0 6 -2 6 오른쪽 조립제법이 나타내는 결과에 의하여 다항식 axÜ`+bxÛ`+cx+d를 일차식 x-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1 2 2xÛ`+6이고 나머지가 -2이다. 즉, axÜ`+bxÛ`+cx+d = x- (2xÛ`+6)-2 1 2 } 1 2 } { { =(xÛ`+10)Û`+4x(xÛ`+10)-77xÛ` = x- _2(xÛ`+3)-2 =xÝ`+20xÛ`+100+4xÜ`+40x-77xÛ` =(2x-1)(xÛ`+3)-2 =xÝ`+4xÜ`-57xÛ`+40x+100 따라서 다항식 axÜ`+bxÛ`+cx+d를 2x-1로 나누었 따라서 p=-57, q=100이므로 을 때의 몫은 xÛ`+3이고 나머지는 -2이다. -2p-q=-2_(-57)-100=14 14 몫 :xÛ`+3,나머지 :-2 90 Ⅰ. 다항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90~103_1단원(연)_ok.indd 90 2018-07-31 오후 7:33:12 7 2x-2 2xÛ`+4x ㈏ ㈎ -xÛ`+x-3 위의 그림에서 ㈏에 알맞은 다항식을 g(x)라 하면 대각선으로 배열된 세 다항식의 합이 6xÛ`+12x이므로 g(x)+(2xÛ`+4x)+(-xÛ`+x-3)=6xÛ`+12x g(x)+xÛ`+5x-3=6xÛ`+12x ∴ g(x) =6xÛ`+12x-xÛ`-5x+3 =5xÛ`+7x+3 이때 ㈎에 알맞은 다항식이 f(x)이고 세로로 배열된 세 다항식의 합이 6xÛ`+12x이므로 (5xÛ`+7x+3)+(2x-2)+f(x)=6xÛ`+12x 5xÛ`+9x+1+f(x)=6xÛ`+12x ∴ f(x) =6xÛ`+12x-5xÛ`-9x-1 =xÛ`+3x-1 ∴ f(10)=10Û`+3_10-1=129 129 8 (1+x+2xÛ`+ y +100x100)Û` =(1+x+2xÛ`+ y +100x100) _(1+x+2xÛ`+ y +100x100) 이 식의 전개식에서 xÞ` 항은 (상수항)×(오차항)+(일차항)×(사차항) +(이차항)×(삼차항)+(삼차항)×(이차항) +(사차항)×(일차항)+(오차항)×(상수항) 이므로 1×5xÞ`+x×4xÝ`+2xÛ`×3xÜ`+3xÜ`×2xÛ` +4xÝ`×x+5xÞ`_1 =5xÞ`+4xÞ`+6xÞ`+6xÞ`+4xÞ`+5xÞ`=30xÞ` 따라서 xÞ`의 계수는 30이다. 30 9 (a+b+c)Û`=aÛ`+bÛ`+cÛ`+2(ab+bc+ca)에서 3Û`=15+2(ab+bc+ca) ∴ ab+bc+ca=-3 연 습 문 제 실 력 U P 35 =(a+b+c)(aÛ`+bÛ`+cÛ`-ab-bc-ca)+3abc aÜ`+bÜ`+cÜ` 에서 10=3_{15-(-3)}+3abc ∴ 3abc=-44 한편, a+b+c=3이므로 a+b=3-c, b+c=3-a, c+a=3-b ∴ ab(a+b)+bc(b+c)+ca(c+a) =ab(3-c)+bc(3-a)+ca(3-b) =3ab-abc+3bc-abc+3ca-abc =3(ab+bc+ca)-3abc =3_(-3)+44 =35 10 (주어진 식) = (2-1)(2+1)(2Û`+1)(2Ý`+1)(2¡`+1) (4-1)(4+1)(4Û`+1)(4Ý`+1) × 4-1 2-1 = (2Û`-1)(2Û`+1)(2Ý`+1)(2¡`+1) (4Û`-1)(4Û`+1)(4Ý`+1) ×3 = (2Ý`-1)(2Ý`+1)(2¡`+1) (4Ý`-1)(4Ý`+1) ×3 = (2¡`-1)(2¡`+1) 4¡`-1 ×3 = 2Ú`ß`-1 4¡`-1 ×3 = 4¡`-1 4¡`-1 ×3 =3 ③ 11 다항식 f(x)를 xÛ`-2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x-1이고 나머지가 3x-2이므로 f(x) =(xÛ`-2x+3)(x-1)+3x-2 =xÜ`-xÛ`-2xÛ`+2x+3x-3+3x-2 =xÜ`-3xÛ`+8x-5 f(x)를 xÛ`-x-1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를 구 하면 연습문제·실력 UP 91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90~103_1단원(연)_ok.indd 91 2018-07-31 오후 7:33:12 14 xÛ`+3x+1=0에서 x+0이므로 양변을 x로 나누면 1 xÛ` 1 xÜ` x+3+ =0 ∴ x+ =-3 ;[!; ;[!; xÛ`+ = x+ { ;[!;} Û`-2=(-3)Û`-2=7 xÜ`+ x+ = { ;[!;} Ü`-3 x+ ;[!;} { =(-3)Ü`-3_(-3) =-18 ∴ xÜ`-2xÛ`-3x+5- - ;[#; 2 xÛ` + 1 xÜ` = xÜ`+ { 1 xÜ` } -2 xÛ`+ { 1 xÛ` } -3 =-18-2_7-3_(-3)+5 { x+;[!;} +5 =-18 -18 15 (x+y+z)Û`=xÛ`+yÛ`+zÛ`+2(xy+yz+zx)에서 6Û`=18+2(xy+yz+zx) ∴ xy+yz+zx=9 ;[!;+;]!;+;z!;=;4(; 에서 xy+yz+zx xyz = ;4(; 9 xyz = ;4(; ∴ xyz=4 ∴ xÜ`+yÜ`+zÜ` =(x+y+z)(xÛ`+yÛ`+zÛ`-xy-yz-zx)+3xyz =6_(18-9)+3_4 =66 66 16 a+b+c=3에서 b+c=3-a, a+c=3-b, a+b=3-c이므로 (a+b+c)Û`+(-a+b+c)Û`+(a-b+c)Û` +(a+b-c)Û` =3 Û`+(3-2a)Û`+(3-2b)Û`+(3-2c)Û` x -2 xÛ`-x-1`)`xÜ`-3xÛ`+8x-5 -2xÛ`+9x-5 -2xÛ`+2x+2 7x-7 xÜ`- xÛ`- x ∴ 몫: x-2, 나머지: 7x-7 따라서 몫과 나머지의 합은 (x-2)+(7x-7)=8x-9 8x-9 12 다항식 f(x)를 (2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나머지가 R(x)이므로 f(x) =(2x-1)Û` Q(x)+R(x) = 2 { [ x- =4 x- { =2 x- { 1 2 } 1 2 } Û`Q(x)+R(x) 1 2 }] Û`Q(x)+R(x) Û`_2Q(x)+R(x) 따라서 f(x)를 2 x- { 1 2 } 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2Q(x), 나머지는 R(x)이다. ④ 13 aÛ`+bÛ`=(a+b)Û`-2ab에서 5=1Û`-2ab ∴ ab=-2 ∴ aÝ`+bÝ` =(aÛ`+bÛ`)Û`-2aÛ`bÛ` =(aÛ`+bÛ`)Û`-2(ab)Û` =5Û`-2_(-2)Û` =17 또한, aÜ`+bÜ` =(a+b)Ü`-3ab(a+b) =1Ü`-3_(-2)_1=7 이므로 =5_7-(-2)Û`_1 =31 92 Ⅰ. 다항식 aÞ`+bÞ` =(aÛ`+bÛ`)(aÜ`+bÜ`)-aÛ`bÛ`(a+b) =9+9-12a+4aÛ`+9-12b+4bÛ`+9-12c+4cÛ` =36-12(a+b+c)+4(aÛ`+bÛ`+cÛ`) =36-12_3+4(aÛ`+bÛ`+cÛ`) aÝ`+bÝ`=17,aÞ`+bÞ`=31 =4(aÛ`+bÛ`+cÛ`)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90~103_1단원(연)_ok.indd 92 2018-07-31 오후 7:33:13 이때 이므로 f(-2) =(-2)Ü`-5_(-2)Û`+7_(-2)+5 aÛ`+bÛ`+cÛ` =(a+b+c)Û`-2(ab+bc+ca) =-37 =3Û`-2×2=5 Q(3)=3Û`-4_3+3=0 (주어진 식) =4(aÛ`+bÛ`+cÛ`) =-29 -29 ∴ f(-2)+Q(3)+R =-37+0+8 =4×5=20 20 17 직육면체의 세 모서리의 길이를 각각 a, b, c라 하면 (겉넓이)=2(ab+bc+ca)=236 ∴ ab+bc+ca=118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 =(4a-1)+3+(4b-1)+3+(4c-1)+3 =4(a+b+c)+6=82 ∴ a+b+c=19 이때 aÛ`+bÛ`+cÛ` =(a+b+c)Û`-2(ab+bc+ca) =19Û`-2_118 =125 이므로 직육면체의 대각선의 길이는 aÛ`+bÛ`+cÛ`= 125=5 '¶ 5 ' "à ② 18 f(x)=xÜ`+axÛ`+bx+c, Q(x)=pxÛ`+qx+r라 하면 오른쪽 조립제 1 1 a b c 법에서 p=1 1 -4 3 p q r 8 1_q=-4에서 q=-4 1_r=3에서 r=3 a+1=q=-4에서 a=-5 b+(-4)=r=3에서 b=7 c+3=8에서 c=5 19 ⑴ ax(x-1)+b(x-1)(x+1)+cx(x+1) =xÛ`+1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b=1 ∴ b=-1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2c=2 ∴ c=1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2a=2 ∴ a=1 ⑵ xÛ`-x-2=a(x-b)Û`+c(x-b) yy ㉠ 연 습 문 제 실 력 U P ㉠의 양변에 x=b를 대입하면 bÛ`-b-2=0, (b+1)(b-2)=0 ∴ b=2 (∵ b>0) b=2를 ㉠에 대입하여 전개하면 xÛ`-x-2 =a(x-2)Û`+c(x-2) =axÛ`-(4a-c)x+4a-2c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1=a, 1=4a-c, -2=4a-2c ∴ a=1, c=3 ⑴a=1,b=-1,c=1 ⑵a=1,b=2,c=3 20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xÛ`+yÛ`-8)k-xÛ`-yÛ`+3x+3y+2=0 이 등식이 k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xÛ`+yÛ`-8=0, -xÛ`-yÛ`+3x+3y+2=0 ∴ xÛ`+yÛ`=8, x+y=2 따라서 다항식 f(x)=xÜ`-5xÛ`+7x+5를 x-1로 나 이때 (x+y)Û`=xÛ`+yÛ`+2xy이므로 누었을 때의 몫은 Q(x)=xÛ`-4x+3, 나머지는 R=8 2Û`=8+2xy, 2xy=-4 이므로 ∴ xy=-2 -2 연습문제·실력 UP 93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90~103_1단원(연)_ok.indd 93 2018-07-31 오후 7:33:13 21 주어진 등식의 우변을 전개하여 x, y에 대하여 정리하면 24 직접 나눗셈을 하면 다음과 같다. (a+b)x+(b-2c)y=(c-2)x-c+2 이 등식이 x,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b=c-2, b-2c=0, 0=-c+2 ∴ a=-4, b=4, c=2 ∴ a-b+c=-6 -6 xÛ`+2x +1 xÝ`- xÜ`+ xÛ` xÛ`-x+1`)`xÝ`+ xÜ` 나누어떨어지므로 (a-1)x+b-1=0 + ax+ b 2xÜ`- xÛ`+ 2xÜ`-2xÛ`+ ax 2x xÛ`+(a-2)x+ b x+ 1 xÛ`- (a-1)x+b-1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1=0, b-1=0 ∴ a=1, b=1 a=1, b=1 22 x+y=1에서 y=1-x 이것을 axy+bx+cy+2=0에 대입하면 ax(1-x)+bx+c(1-x)+2=0 이 식을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axÛ`+(a+b-c)x+c+2=0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0, a+b-c=0, c+2=0 ∴ a=0, b=-2, c=-2 ∴ a-b-c=4 25 PÇ(x)=(x-1)(x-2)(x-3) y (x-n)에서 PÁ(x)=x-1, Pª(x)=(x-1)(x-2), 4 23 xÜ`+axÛ`-2x+1을 xÛ`+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x-1이므로 나머지를 px+q`(p, q는 상수)라 하면 P£(x)=(x-1)(x-2)(x-3) 이므로 2xÜ`-3xÛ`+1 =a+bPÁ(x)+cPª(x)+dP£(x) =a+b(x-1)+c(x-1)(x-2) xÜ`+axÛ`-2x+1 =(xÛ`+x+2)(x-1)+px+q +d(x-1)(x-2)(x-3) =xÜ`+(p+1)x-2+q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0, -2=p+1, 1=-2+q ∴ a=0, p=-3, q=3 따라서 a=0이고 나머지는 -3x+3이다. KEY Point 다항식의나눗셈에대한등식A=BQ+R에서 R는상수이거나(R의차수)<(B의차수)이다.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2-3+1=a ∴ a=0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16-12+1=b ∴ b=5 54-27+1=10+2c 18=2c ∴ c=9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a=0,나머지 :-3x+3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즉,나머지의차수는나누는식의차수보다항상작다. 1=-5+18-6d, 6d=12 따라서나누는식이이차식이면나머지는일차식또는상수 ∴ d=2 이므로px+q (p,q는상수)로놓을수있다. ∴ a+b+c+d=0+5+9+2=16 16 94 Ⅰ. 다항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90~103_1단원(연)_ok.indd 94 2018-07-31 오후 7:33:13 26 xÛ`+(k-3)x+(k+2)m+n+2=0이 x=1을 근 ∴ xÞ` =(x-1)(xÝ`+xÜ`+xÛ`+x+1)+1 =(x-1){(x-1)(xÜ`+2xÛ`+3x+4)+5}+1 =(x-1)Û`(xÜ`+2xÛ`+3x+4)+5(x-1)+1 =(x-1)Û`{(x-1)(xÛ`+3x+6)+10} +5(x-1)+1 =(x-1)Ü`(xÛ`+3x+6) +10(x-1)Û`+5(x-1)+1 =(x-1)Ü`{(x-1)(x+4)+10} -2 +10(x-1)Û`+5(x-1)+1 =(x-1)Ý`(x+4)+10(x-1)Ü` +10(x-1)Û`+5(x-1)+1 =(x-1)Ý`{(x-1)_1+5}+10(x-1)Ü` +10(x-1)Û`+5(x-1)+1 연 습 문 제 실 력 U P =k`(k는 상수)라 하면 =(x-1)Þ`+5(x-1)Ý`+10(x-1)Ü` 으로 가지므로 1+(k-3)+(k+2)m+n+2=0 이 식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1+m)k+2m+n=0 이 등식이 k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1+m=0, 2m+n=0 ∴ m=-1, n=2 ∴ mn=-2 27 4x+ay+b x+y-1 4x+ay+b=k(x+y-1) 이 식을 x, y에 대하여 정리하면 (4-k)x+(a-k)y+b+k=0 이 등식이 x,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4-k=0, a-k=0, b+k=0 용하면 다음과 같다. 1 1 0 0 0 0 0 1 1 1 1 1 1 1 1 1 1 1 1 1 2 3 4 1 1 2 3 4 5 1 3 6 1 1 3 6 10 1 4 1 1 4 10 1 1 5 ∴ k=4, a=4, b=-4 a=4,b=-4 28 x-1로 나누는 조립제법을 몫에 대하여 연속으로 이 +10(x-1)Û`+5(x-1)+1 ∴ a=1, b=5, c=10, d=10, e=5, f=1 a=1,b=5,c=10,d=10,e=5, f=1 29 x-y-z=1 x-2y-3z=0 ㉠_2-㉡을 하면 x+z=2 ∴ x=-z+2 ㉠-㉡ 을 하면 y+2z=1 ∴ y=-2z+1 이것을 axy+byz+czx=12에 대입하면 a(-z+2)(-2z+1)+b(-2z+1)z +cz(-z+2)=12 이 식을 z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2a-2b-c)zÛ`+(-5a+b+2c)z+2a-12=0 yy ㉠ yy ㉡ yy ㉢ yy ㉣ 이 등식이 z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2a-2b-c=0 -5a+b+2c=0 2a-12=0 ∴ a=6 a=6을 ㉢, ㉣에 각각 대입하면 2b+c=12, b+2c=30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2, c=16 ∴ a+b+c=6+(-2)+16=20 20 연습문제·실력 UP 95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90~103_1단원(연)_ok.indd 95 2018-07-31 오후 7:33:14 30 ⑴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a¼+aÁ+aª+a£+a¢+a°+a¤ yy ㉠ ∴ a¼+aÁ+aª+a£+a¢+a°+a¤=1 ⑵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27=a¼-aÁ+aª-a£+a¢-a°+a¤ yy ㉡ ㉠ +㉡을 하면 -26=2(a¼+aª+a¢+a¤) ∴ a¼+aª+a¢+a¤=-13  ⑴1⑵-13 따라서 다항식 f(x)+g(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1)+g(1)=2+3=5 5 33 f(x)를 (x-1)(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이므로 나머지를 ax+b`(a, b는 상수)라 하면 f(x)=(x-1)(x-2)Q(x)+ax+b f(1)=1이므로 a+b=1 f(2)=2이므로 2a+b=2 yy ㉠ yy ㉡ KEY Point 복잡한항등식에서의계수의합 { f(x)}Ç`=a¼+aÁx+aªxÛ`+ y +aÇxÇ`의양변에x=1, x=-1을각각대입하여두식을더하거나빼서계수의합 ㉠,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0 ∴ f(x)=(x-1)(x-2)Q(x)+x 을구한다. 따라서 f(x)를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3)=2Q(3)+3 ⑤ 31 f(x)=xÛ`+ax+4라 하면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1)=1+a+4=a+5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2)=4+2a+4=2a+8 나머지가 서로 같으므로 a+5=2a+8 ∴ a=-3 34 f(4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4_(-1))=f(-4) f(x)를 xÛ`+3x-4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 면 나머지가 -2x+3이므로 f(x) =(xÛ`+3x-4)Q(x)-2x+3 =(x+4)(x-1)Q(x)-2x+3 yy ㉠ ㉠의 양변에 x=-4를 대입하면 ① f(-4)=8+3=11 11 32 f(x)를 xÛ`-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f(x) =(xÛ`-1)Q(x)+2 =(x+1)(x-1)Q(x)+2 ∴ f(1)=2 g(x)를 xÛ`-3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g(x) =(xÛ`-3x+2)Q'(x)+2x+1 =(x-1)(x-2)Q'(x)+2x+1 ∴ g(1)=3 96 Ⅰ. 다항식 35 다항식 x60-x31+axÜ`+1을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나머지가 4이므로 x60-x31+axÜ`+1=(x-1)Q(x)+4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a+1=4 ∴ a=3 ∴ x60-x31+3xÜ`+1=(x-1)Q(x)+4 yy ㉠ 한편, Q(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Q(-1)이므로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0=-2Q(-1)+4 ∴ Q(-1)=2 2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90~103_1단원(연)_ok.indd 96 2018-07-31 오후 7:33:14 연 습 문 제 실 력 U P 36 f(x)=xÜ`+axÛ`-7x+b라 하면 f(x)가 x-1, x+2를 인수로 가지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f(1)=0, f(-2)=0 f(1)=0에서 1+a-7+b=0 ∴ a+b=6 이를 ㉠에 대입하면 f(x) =(x-1){(x-2)Q'(x)+10}+5 =(x-1)(x-2)Q'(x)+10(x-1)+5 =(x-1)(x-2)Q'(x)+10x-5 이므로 f(x)를 (x-1)(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f(-2)=0에서 -8+4a+14+b=0 따라서 a=10, b=-5이므로 ∴ 4a+b=-6 yy ㉡ 3a+b =3_10+(-5)=25 25 yy ㉠ Q'(x), 나머지는 10x-5이다. ㉠, ㉡ 을 연립하여 풀면 a=-4, b=10 ∴ f(x)=xÜ`-4xÛ`-7x+10 f(x)가 x-1, x+2, x-c를 인수로 가지므로 xÜ`-4xÛ`-7x+10=(x-1)(x+2)(x-c)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x=0을 대 입하면 10=2c ∴ c=5 ∴ a+b+c =-4+10+5=11 11 37 f(x)+g(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10이 므로 f(2)+g(2)=10 { f(x)}Û`+{ g(x)}Û` 을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가 58이므로 { f(2)}Û`+{ g(2)}Û`=58 f(x)g(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2)g(2)이므로 { f(2)}Û`+{ g(2)}Û`={ f(2)+g(2)}Û`-2 f(2)g(2) 에서 58=10Û`-2 f(2)g(2) ∴ f(2)g(2)=21 21 38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Q(x), 나머지는 5이므로 39 f(x)를 (x-1)Û`(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axÛ`+bx+c`(a, b, c는 상수)라 하면 f(x)=(x-1)Û`(x-2)Q(x)+axÛ`+bx+c 그런데 f(x)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x+1이므로 axÛ`+bx+c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도 x+1이다. 즉, axÛ`+bx+c=a(x-1)Û`+x+1 yy ㉠ ∴ f(x) =(x-1)Û`(x-2)Q(x)+a(x-1)Û`+x+1 한편,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4이므로 f(2)=a+3=4 ∴ a=1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에서 (x-1)Û`+x+1=xÛ`-x+2 xÛ`-x+2 40 P(x)=(xÛ`-x-1)(ax+b)+2 yy ㉠ P(x+1)을 xÛ`-4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 면 나머지가 -3이므로 P(x+1) =(xÛ`-4)Q(x)-3 =(x+2)(x-2)Q(x)-3 이 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P(3)=-3 f(x)=(x-1)Q(x)+5 yy ㉠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P(-1)=-3 Q(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이때 ㉠의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나머지는 10이므로 Q(x)=(x-2)Q'(x)+10 P(3)=5(3a+b)+2=-3 ∴ 3a+b=-1 yy ㉡ 연습문제·실력 UP 97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90~103_1단원(연)_ok.indd 97 2018-07-31 오후 7:33:15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P(-1)=-a+b+2=-3 따라서 f(x)는 x+1, x-4를 인수로 갖는 이차식이 므로 ∴ a-b=5 yy ㉢ f(x)=a(x+1)(x-4)`( a는 상수)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4 로 놓을 수 있다. ∴ 50a+b=50-4=46 46 이때 f(0)=-4이므로 ㉠에서 f(0)=-4a=-4 ∴ a=1 ∴ f(x)=(x+1)(x-4) 따라서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2)=-1_(-6)=6 6 41 f(x)를 (x-1)(x-2)(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Á(x)라 하면 나머지가 xÛ`+x+1이므로 f(x)=(x-1)(x-2)(x-3)QÁ(x)+xÛ`+x+1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f(2)=7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f(3)=13 또한, f(6x)를 6xÛ`-5x+1, 즉 (2x-1)(3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ª(x), 나머지를 R(x)=ax+b (a, b는 상수)라 하면 f(6x)=(2x-1)(3x-1)Qª(x)+ax+b 양변에 x= 을 대입하면 f(3)= a+b=13 ;2!; 양변에 x= 을 대입하면 ;2!; ;3!; f(2)= a+b=7 ;3!; ㉠, ㉡을 연립하여 풀면 a=36, b=-5 따라서 R(x)=36x-5이므로 R(1)=36-5=31 42 f(1-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나머지가 -4이므로 f(1-x)=(x-1)Q(x)-4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0)=-4 xf(x)를 (x+1)(x-4)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나누어떨어지므로 x f(x)=(x+1)(x-4)Q'(x) 양변에 x=-1, x=4를 각각 대입하면 f(-1)=0, f(4)=0 98 Ⅰ. 다항식 43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Á(x)이므로 나 머지를 RÁ이라 하면 f(x)=(x-1)QÁ(x)+RÁ yy ㉠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ª(x)이므로 나 머지를 Rª라 하면 yy ㉠ f(x)=(x-2)Qª(x)+Rª yy ㉡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f(2)=Rª 조건 ㈎에서 Qª(1)=f(2)=Rª yy ㉡ 즉, ㉡에서 f(x)=(x-2)Qª(x)+Qª(1) 이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31 f(1)=-Qª(1)+Qª(1)=0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1)=RÁ=0 ∴ f(x)=(x-1)QÁ(x) 이때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식이므로 QÁ(x)=x+a (a는 상수)라 하면 f(x)=(x-1)(x+a) 즉, QÁ(1)=1+a, Qª(1)=f(2)=2+a이므로 조건 ㈏에서 QÁ(1)+Qª(1)=(1+a)+(2+a)=6 2a+3=6 ∴ a= ;2#; 따라서 f(x)=(x-1) { x+ ;2#;} 이므로 f(3)=2_ =9 ;2(; ③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90~103_1단원(연)_ok.indd 98 2018-07-31 오후 7:33:15 44 xÇ`(xÛ`+ax+b)를 (x-3)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f(-1)=2Q(-1)+2=6 ∴ Q(-1)=2 Q(x)라 하면 나머지가 3Ç`(x-3)이므로 ㉡의 양변에 x=1, x=-1을 각각 대입하면 xÇ`(xÛ`+ax+b) =(x-3)Û`Q(x)+3Ç`(x-3) ㉠의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3Ç`(9+3a+b)=0 3Ç`+0이므로 9+3a+b=0 Q(1)=a+b=4 yy ㉠ Q(-1)=-a+b=2 yy ㉢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3 따라서 ㉡에서 Q(x)를 xÛ`-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 지는 x+3이다. x+3 ∴ b=-3a-9 yy ㉡ ∴ xÛ`+ax+b =xÛ`+ax-3a-9 =(xÛ`-9)+a(x-3) =(x-3)(x+3+a) ㉠에서 xÇ`(x-3)(x+3+a) =(x-3)Û`Q(x)+3Ç`(x-3) =(x-3){(x-3)Q(x)+3Ç` }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xÇ`(x+3+a)=(x-3)Q(x)+3Ç`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3Ç`(6+a)=3Ç` 연 습 문 제 실 력 U P 46 f(1)=f(2)=f(3)=5에서 f(1)-5=0, f(2)-5=0, f(3)-5=0 이므로 f(x)-5는 x-1, x-2, x-3을 인수로 갖 는다. 이때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식이므로 f(x)-5=(x-1)(x-2)(x-3) ∴ f(x)=(x-1)(x-2)(x-3)+5 3Ç`+0이므로 6+a=1 ∴ a=-5 이를 ㉡에 대입하면 b=6 따라서 f(x)를 x-4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④ f(4) =(4-1)(4-2)(4-3)+5 =11 11 45 f(x)를 xÛ`+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나머지가 -2x이므로 f(x)=(xÛ`+1)Q(x)-2x yy ㉠ f(x)를 xÛ`-1, 즉 (x-1)(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6이므로 f(1)=6, f(-1)=6 47 7=x라 하면 6=x-1이므로 730+720+7을 6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x30+x20+x를 x-1로 나누 었을 때의 나머지와 같다. 이때 x30+x20+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한편, Q(x)를 xÛ`-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₁(x), 나머지를 ax+b`(a, b는 상수)라 하면 Q(x) =(xÛ`-1)Q₁(x)+ax+b 나머지를 R라 하면 x30+x20+x=(x-1)Q(x)+R =(x+1)(x-1)Q₁(x)+ax+b yy ㉡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의 양변에 x=1, x=-1을 각각 대입하면 f(1)=2Q(1)-2=6 ∴ Q(1)=4 R=3 따라서 730+720+7을 6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3 3이다. 연습문제·실력 UP 99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90~103_1단원(연)_ok.indd 99 2018-07-31 오후 7:33:15 48 ⑴ 8xÜ`-27yÜ`-18xy-1 51 주어진 다항식을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2x)Ü`+(-3y)Ü`+(-1)Ü` 2xÛ`-xy-yÛ`-4x+y+2 -3_2x_(-3y)_(-1) =2xÛ`-(y+4)x-(yÛ`-y-2) ={2x+(-3y)+(-1)} _{(2x)Û`+(-3y)Û`+(-1)Û`-2x_(-3y) -(-3y)_(-1)-(-1)_2x} =(2x-3y-1)(4xÛ`+9yÛ`+6xy+2x-3y+1) =2xÛ`-(y+4)x-(y+1)(y-2) 1 1 1 1 1 Ú 1 1 1 1 1 Ú 1` 2 -(y+1) -2y-2 Ú Ú y-2 y-2 -y-4 ⑵ -(2x-3)Ü`=(3-2x)Ü`이고 =(x-y-1)(2x+y-2) (x-1)+(x-2)+(3-2x)=0이므로 따라서 a=1, b=-1, c=2, d=1이므로 a+b+c+d=3 3 풀이참조 52 2xÝ`+5xÜ`+xÛ`+ax+b가 (x+1)Û`을 인수로 가지므로 (x-1)Ü`+(x-2)Ü`-(2x-3)Ü` =(x-1)Ü`+(x-2)Ü`+(3-2x)Ü` =3(x-1)(x-2)(3-2x) KEY Point aÜ`+bÜ`+cÜ`-3abc    =(a+b+c)(aÛ`+bÛ`+cÛ`-ab-bc-ca)  이때a+b+c=0이면aÜ`+bÜ`+cÜ`=3abc  49 x(x+1)(x+2)(x+3)-8 ={x(x+3)}{(x+1)(x+2)}-8 =(xÛ`+3x)(xÛ`+3x+2)-8 =X(X+2)-8 xÛ`+3x=X로 치환 Û =XÛ`+2X-8 =(X+4)(X-2) =(xÛ`+3x+4)(xÛ`+3x-2) ∴ a=4, b=-2 또는 a=-2, b=4 (x+1)Û`으로 나누어떨어진다. 조립제법을 이용하면 -1 2 5 1 `a b -2 -3 `2 -a-2 -1 2 3 -2 a+2 -a+b-2 -2 -1 `3 2 1 -3 a+5 나누어떨어지면 나머지가 0이므로 -a+b-2=0, a+5=0 ∴ a=-5, b=-3 따라서 f(x)를 인수분해하면 f(x) =(x+1)Û`(2xÛ`+x-3) =(x+1)Û`(x-1)(2x+3) ∴ a+b=2 2 a=-5, b=-3,  (x+1)Û`(x-1)(2x+3) 50 xÝ`-13xÛ`+4 =(xÝ`-4xÛ`+4)-9xÛ` 53 11Ý`-6Ý` =(11Û`-6Û`)(11Û`+6Û`) =(xÛ`-2)Û`-(3x)Û` =(11-6)(11+6)_157 =(xÛ`+3x-2)(xÛ`-3x-2) =5_17_157 따라서 a=3, b=2이므로 a+b=5 따라서 a=5, b=17이므로 5 a+b=22 ② 100 Ⅰ. 다항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90~103_1단원(연)_ok.indd 100 2018-07-31 오후 7:33:16 54 (a+b+c)(bc+ca+ab)-abc =abc+caÛ`+aÛ`b+bÛ`c+abc+abÛ`+bcÛ`+cÛ`a ⑵ 100=x로 놓으면 'Ä = 100_102_104_106+16 x(x+2)(x+4)(x+6)+16 +abc-abc = {x(x+6)}{(x+2)(x+4)}+16 =(b+c)aÛ`+(bÛ`+2bc+cÛ`)a+bÛ`c+bcÛ` = (xÛ`+6x)(xÛ`+6x+8)+16 =(b+c)aÛ`+(b+c)Û`a+bc(b+c) =(b+c){aÛ`+(b+c)a+bc} =(b+c)(a+b)(a+c)=12 이때 a+b=2, b+c=3이므로 3_2_(a+c)=12 ∴ a+c=2 2 =xÛ`+6x+4 xÛ`+6x=X로 치환 Û x=100이므로 X+4>0 연 습 문 제 실 력 U P ⑴31 ⑵10604 "à "à "à "à "à = X(X+8)+16 = XÛ`+8X+16 (X+4)Û` = "à =X+4 Û =10000+600+4 =10604 58 aÜ`+bÜ`+cÜ`=3abc에서 aÜ`+bÜ`+cÜ`-3abc=0 55 주어진 다항식을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xÛ`+3xy+2yÛ`+kx-9y-5 =xÛ`+(3y+k)x+2yÛ`-9y-5 =xÛ`+(3y+k)x+(y-5)(2y+1) 이 식이 x, y에 대한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되 (y-5)+(2y+1)=3y+k 려면 ∴ k=-4 56 주어진 다항식을 c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aÛ`b-ac+abÛ`-bc-c+ab =(-a-b-1)c+aÛ`b+abÛ`+ab =-(a+b+1)c+ab(a+b+1) =(a+b+1)(ab-c) 이때 a+b-2=0, 즉 a+b=2이므로 (a+b+1)(ab-c) =(2+1)(ab-c) =3(ab-c) ③ 57 ⑴ (분자) =2Þ`â`-2Ý`Þ`+2Þ`-1 =2Ý`Þ`(2Þ`-1)+(2Þ`-1) =(2Þ`-1)(2Ý`Þ`+1) ∴ (주어진 식) = (2Þ`-1)(2Ý`Þ`+1) 2Ý`Þ`+1 =2Þ`-1=31 (a+b+c)(aÛ`+bÛ`+cÛ`-ab-bc-ca)=0 -4 이때 a>0, b>0, c>0이므로 a+b+c+0 즉, aÛ`+bÛ`+cÛ`-ab-bc-ca=0이므로 {(a-b)Û`+(b-c)Û`+(c-a)Û`}=0 ;2!; 따라서 a-b=0, b-c=0, c-a=0에서 a=b=c ∴ a+b+c- ab c - =a+a+a-a-a-a=0 bc a - ca b 0 59 직육면체 P, Q, R, S, T의 부피가 각각 p, q, r, s, t 이므로 p=aÜ`, q=bÜ`, r=aÛ`, s=bÛ`, t=ab(a-b) 이때 p=q+r+s+t이므로 aÜ`=bÜ`+aÛ`+bÛ`+ab(a-b) aÜ`-bÜ`-aÛ`-bÛ`-ab(a-b)=0 aÜ`-bÜ`-aÛ`-bÛ`-aÛ`b+abÛ`=0 연습문제·실력 UP 101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90~103_1단원(연)_ok.indd 101 2018-07-31 오후 7:33:16 (aÜ`-aÛ`b-aÛ`)+(abÛ`-bÜ`-bÛ`)=0 ∴ (주어진 식) aÛ`(a-b-1)+bÛ`(a-b-1)=0 (aÛ`+bÛ`)(a-b-1)=0 이때 aÛ`+bÛ`+0이므로 a-b-1=0 ∴ a-b=1 =xÛ` { x+ ;[!; -1 }{ x+ ;[!; -3 } =x { x+ -1 _x { } ;[!; x+ ;[!; -3 } ⑤ =(xÛ`-x+1)(xÛ`-3x+1) 60 (x-1)(x-3)(x-5)(x-7)+k ={(x-1)(x-7)}{(x-3)(x-5)}+k =(xÛ`-8x+7)(xÛ`-8x+15)+k =(X+7)(X+15)+k xÛ`-8x=X로 치환 Û =XÛ`+22X+105+k yy ㉠ 주어진 식이 x에 대한 이차식의 완전제곱식으로 인수 분해되려면 ㉠이 X에 대한 일차식의 완전제곱식으로 인수분해되어야 하므로 105+k=11Û` ∴ k=16 16 xÛ`+ax+b가완전제곱식이될조건은 =(c-b){aÛ`-(c+b)a+bc} KEY Point ⇨b= a {;2!;  } Û` (xÛ`-x+1)(xÛ`-3x+1) KEY Point 가운데 항을 중심으로 각 항의 xÝ`-4xÜ`+5xÛ`-4x+1  계수가좌우대칭인사차식의인 수분해는각항을xÛ`으로묶어낸 계수가같다. 후x+ =t로치환하여인수분해한다. ;[!; 62 주어진 식의 분자를 a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b-a)cÛ`+(c-b)aÛ`+(a-c)bÛ` =bcÛ`-acÛ`+aÛ`c-aÛ`b+abÛ`-bÛ`c =(c-b)aÛ`-(cÛ`-bÛ`)a+bcÛ`-bÛ`c =(c-b)aÛ`-(c+b)(c-b)a+bc(c-b) =(c-b)(a-b)(a-c) =(a-b)(b-c)(c-a) ∴ (주어진 식)= (a-b)(b-c)(c-a) (a-b)(b-c)(c-a) =1 1 63 a+b+c=0에서 b+c=-a, c+a=-b, aÛ`(b+c)+bÛ`(c+a)+cÛ`(a+b)=-aÜ`-bÜ`-cÜ` a+b=-c이므로 한편, aÜ`+bÜ`+cÜ`-3abc =(a+b+c)(aÛ`+bÛ`+cÛ`-ab-bc-ca) 에서 a+b+c=0이므로 aÜ`+bÜ`+cÜ`-3abc=0 ∴ aÜ`+bÜ`+cÜ`=3abc=3×(-5)=-15 ∴ (주어진 식) =-aÜ`-bÜ`-cÜ` =-(aÜ`+bÜ`+cÜ`)=15 15 61 xÝ`-4xÜ`+5xÛ`-4x+1 =xÛ` { xÛ`-4x+5- + ;[$; 1 xÛ` } =xÛ` xÛ`+ [{ -4 x+ { ;[!;} +5 ] 1 xÛ` } =xÛ` x+ [{ ;[!;} x+ ;[!;} +3 ] { Û`-4 x+ =t로 놓으면 ;[!; x+ { ;[!;} Û`-4 x+ { ;[!;} +3 =tÛ`-4t+3=(t-1)(t-3) = x+ -1 x+ -3 ;[!; }{ ;[!; } { 102 Ⅰ. 다항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90~103_1단원(연)_ok.indd 102 2018-07-31 오후 7:33:17 64 P(x)=xÜ`-(a+b)xÛ`-(aÛ`+bÛ`)x 18(n-1)=k(n-1)(n-2) (k는 자연수)라 하면 18=k(n-2) +aÜ`+bÜ`+ab(a+b) n이 가장 큰 값을 가지려면 k가 가장 작은 값을 가져 라 하면 P(x)가 x-c로 나누어떨어지므로 야 하므로 k=1일 때 n-2=18이어야 한다. ∴ n=20 20 P(c)=0 즉, 연 습 문 제 실 력 U P cÜ`-(a+b)cÛ`-(aÛ`+bÛ`)c+aÜ`+bÜ`+ab(a+b)=0 이 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cÜ`-(a+b)cÛ`-(aÛ`+bÛ`)c+aÜ`+bÜ`+ab(a+b) =cÜ`-(a+b)cÛ`-(aÛ`+bÛ`)c+aÜ`+bÜ`+aÛ`b+abÛ` =cÜ`-(a+b)cÛ`-(aÛ`+bÛ`)c+aÛ`(a+b)+bÛ`(a+b) =cÜ`-(a+b)cÛ`-(aÛ`+bÛ`)c+(a+b)(aÛ`+bÛ`) =-cÛ`(a+b-c)+(aÛ`+bÛ`)(a+b-c) =(a+b-c)(aÛ`+bÛ`-cÛ`)=0 이때 a, b, c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이므로 a+b>c ∴ a+b-c+0 ∴ aÛ`+bÛ`=cÛ` 따라서 빗변의 길이가 c인 직각삼각형이다. 빗변의 길이가 c인 직각삼각형 65 자연수 nÝ`+nÛ`-2가 (n-1)(n-2)의 배수이면 n에 대한 다항식 nÝ`+nÛ`-2는 n-1, n-2를 인수로 갖는다. 조립제법을 이용하면 1 1 0 1 0 -2 1 1 2 2 2 1 1 2 2 0 2 6 16 1 3 8 18 ∴ nÝ`+nÛ`-2 =(n-1)(nÜ`+nÛ`+2n+2) =(n-1){(n-2)(nÛ`+3n+8)+18} =(n-1)(n-2)(nÛ`+3n+8)+18(n-1) 이때 nÝ`+nÛ`-2가 (n-1)(n-2)의 배수이려면 (n-1)(n-2)(nÛ`+3n+8)은 (n-1)(n-2)로 나누어떨어지므로 18(n-1)이 (n-1)(n-2)의 배 수이어야 한다. 연습문제·실력 UP 103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090~103_1단원(연)_ok.indd 103 2018-09-05 오전 10:13:53 Ⅱ. 방정식과 부등식 66 a= aÛ` = 에서 1+i 2i 1+i 2i } { = 1+2i+i Û` 4i Û` = 2i -4 =- ;2I; 2` 에서 b= 1-i 2i 1-2i+i Û` 1-i 2i } 4i Û` ∴ (2aÛ`+3)(2bÛ`+3) bÛ` = = { 2` = -2i -4 = ;2I; = 2_ - [ { ;2I;} +3 2_ +3 ;2I; } ]{ =(-i+3)(i+3) =-i Û`+9 =10 다른풀이 a+b= 1+i 2i + 1-i 2i 1 i = =-i이고 ab= 1+i 2i _ 2 -4 aÛ`+bÛ` =(a+b)Û`-2ab 1-i 2i = ;2!; =- 이므로 =(-i)Û`-2_ { - 1 2 } =0 ∴ (2aÛ`+3)(2bÛ`+3) =4aÛ`bÛ`+6aÛ`+6bÛ`+9 =4(ab)Û`+6(aÛ`+bÛ`)+9 =4_ - { =10 1 2 } 2` +6_0+9 xÛ`-4=0 ∴ x=Ñ2 이때 양수 x의 값이 a이므로 a=2 67 z =i(x-2i)Û` =i(xÛ`-4xi-4) =4x+(xÛ`-4)i ㉠이 실수가 되려면 x=2를 ㉠에 대입하면 z=8 ∴ b=8 ∴ b-a=8-2=6 104 Ⅱ. 방정식과 부등식 68 (2+i)(x-yi)Ó=5(1-i)에서 (2+i)(x+yi)=5(1-i) 2x+2yi+xi-y=5-5i (2x-y)+(x+2y)i=5-5i 을 조건에 의하여 2x-y=5, x+2y=-5 이때 2x-y, x+2y는 실수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1, y=-3 ∴ x+y=-2 ① 69 x= y= 7 2- ' 7 2+ = 3i (2- =2+ 3i 3i) 7(2+ 3i) ' 3i)(2+ ' 7(2- ' 3i) ' 3i)(2- ' ' =2- 3i ② = 3i (2+ ' ' ∴ x+y=(2+ 3i) ' 3i)=4 xy=(2+ ∴ + = xÛ` y yÛ` x 3i)+(2- ' ' 3i)(2- xÜ`+yÜ` xy = ' ' 3i)=7 (x+y)Ü`-3xy(x+y) xy = 4Ü`-3_7_4 7 =- 20 7  - ;;ª7¼;; yy ㉠ 70 aa®+a®b+ab®+bb® =a®(a+b)+b®(a+b) =(a+b)(a®+b®) =(a+b)(a+bÓ) =(2-i)(2-iÓ) =(2-i)(2+i)=5 5 71 z=a+bi`(a, b는 실수)라 하면 z®=a-bi z-z®=2i에서 (a+bi)-(a-bi)=2i 2bi=2i ∴ b=1 또, zz®=17에서 (a+bi)(a-bi)=17 aÛ`+bÛ`=17 ㉠을 ㉡에 대입하면 aÛ`=16 ∴ a=Ñ4 따라서 구하는 복소수 z는 4+i, -4+i이다. yy ㉠ yy ㉡ 6 4+i, -4+i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04 2018-07-31 오후 7:36:17 72 z-3iÓ=5+i이므로 z-3i=5+iÓ 즉, z-3i=5-i이므로 z=5+2i ∴ zz®=(5+2i)(5-2i)=29 다른풀이 z=a+bi`(a, b는 실수)라 하면 z-3iÓ=5+i에서 a+(b-3)i=5+i a-(b-3)i=5+i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a=5, -(b-3)=1 ∴ a=5, b=2 따라서 z=5+2i이므로 z=(5+2i)(5-2i)=29 z 75 a®+b®=a+bÓ=2-i이므로 a+b= 2-i=2+i a®_b®=abÕ=5+3i이므로 ab= 5+3i=5-3i 29 ∴ (a-b)Û` =(a+b)Û`-4ab =(2+i)Û`-4(5-3i) =4+4i-1-20+12i =-17+16i 따라서 구하는 복소수의 허수부분은 16이다. 16 연 습 문 제 실 력 U P 73 1+i 1-i = (1+i)Û` (1-i)(1+i) = =i 2i 2 이므로 주어진 식은 i+ 2-i x+yi =1-i, =1-2i 2-i x+yi ∴ x+yi = = (2-i)(1+2i) (1-2i)(1+2i) 2-i 1-2i 4+3i 5 = = + i ;5#; ;5$; 따라서 x= , y= 이므로 ;5$; ;5#; x-y= ;5!; ;5!; 74 x= 3i -1+ 2 ' 에서 2x+1= 3i ' 양변을 제곱하면 ∴ xÛ`+x+1=0 양변에 x-1을 곱하면 76 z =(1+i)x+(1-i)y-3+5i =(x+y-3)+(x-y+5)i ∴ z®=(x+y-3)-(x-y+5)i 이때 zz®=0에서 {(x+y-3)+(x-y+5)i} =0 _{(x+y-3)-(x-y+5)i} ∴ (x+y-3)Û`+(x-y+5)Û`=0 이때 x+y-3, x-y+5는 실수이므로 x+y-3=0, x-y+5=0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1, y=4 ∴ xÛ`+yÛ`=(-1)Û`+4Û`=17 17 77 z=a+bi (a, b는 실수)라 하면 z®=a-bi 이것을 (2+i)z+3iz®=2+6i에 대입하면 (2+i)(a+bi)+3i(a-bi)=2+6i 2a+2bi+ai-b+3ai+3b=2+6i (2a+2b)+(4a+2b)i=2+6i 같을 조건에 의하여 2a+2b=2, 4a+2b=6 4xÛ`+4x+1=-3, 4xÛ`+4x+4=0 이때 2a+2b, 4a+2b는 실수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x-1)(xÛ`+x+1)=0, xÜ`-1=0 ∴ xÜ`=1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 xÝ`+7xÜ`-x-3 =xÜ`_x+7xÜ`-x-3 a=2, b=-1 =x+7-x-3 =4 따라서 z=2-i, z®=2+i이므로 zz®=(2-i)(2+i)=4+1=5 4 ② 연습문제·실력 UP 105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05 2018-07-31 오후 7:36:17 à à à Œ 78 zÛ`이 실수가 되려면 z는 실수 또는 순허수이어야 하므로 80 z= z =a(2+i)-1+2i =(2a-1)+(a+2)i 에서 2a-1=0 또는 a+2=0 ∴ a= 또는 a=-2 ;2!; 따라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곱은 _(-2)=-1 ;2!; -1 다른풀이 z=(2a-1)+(a+2)i에서 zÛ`=(2a-1)Û`+2(2a-1)(a+2)i-(a+2)Û` 이고 zÛ`이 실수가 되려면 2(2a-1)(a+2)=0 ∴ a= 또는 a=-2 ;2!; KEY Point z=a+bi (a, b는 실수)에서 zÛ`=aÛ`-bÛ`+2abi이므로 zÛ`이 실수가 되려면  2ab=0   ∴  a=0 또는 b=0 따라서 zÛ`이 실수가 되려면 복소수 z는 순허수 또는 실수이 어야 한다. 3i -1- 2 ' 에서 2z+1=- 3i ' 4zÛ`+4z+1=-3, 4zÛ`+4z+4=0 양변을 제곱하면 ∴ zÛ`+z+1=0 양변에 z-1을 곱하면 (z-1)(zÛ`+z+1)=0 zÜ`-1=0 ∴ zÜ`=1 ∴ (주어진 식) =(1+z+zÛ`)+zÜ`(1+z+zÛ`) + y +z48(1+z+zÛ`)+z51+z52 =z51+z52 =(zÜ`)17+(zÜ`)17_z 1+z+zÛ`=0 Û =1+z zÜ`=1 Û 3i =1+ -1- 2 ' = 3i 1- ' 2 3i 1- ' 2 81 aa®=bb®=2에서 a®= , b®= 2 2 a b 2(a+b) 2 a + 2 b = ∴ a®+b®= ab = 한편, 켤레복소수의 성질에 의하여 4i ab yy ㉠ a®+b®=a+bÓ=2iÓ=-2i yy ㉡ ㉠, ㉡에서 ∴ ab= 4i ab =-2i 4i -2i =-2 -2 79 z =a(2+i)-b(1+i) =(2a-b)+(a-b)i zÛ`=-1에서 z=i 또는 z=-i Ú z=i일 때, (2a-b)+(a-b)i=i에서 2a-b=0, a-b=1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 b=-2 Û z=-i일 때, (2a-b)+(a-b)i=-i에서 2a-b=0, a-b=-1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 b=2 Ú, Û에서 aÛ`+bÛ`=5 106 Ⅱ. 방정식과 부등식 82 z=a+bi (a, b는 실수)라 하면 z=a-bi 이것을 =3+2i에 대입하면 z z+2 z z (a+bi)+2(a-bi) (a+bi)(a-bi) =3+2i 3a-bi aÛ`+bÛ` 3a aÛ`+bÛ` =3+2i - b aÛ`+bÛ` i=3+2i 5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06 2018-07-31 오후 7:36:18 Œ Œ Œ 는 실수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다른풀이 ㄴ. i z =i(a+ai)=ai-a=-(a-ai) yy ㉠ yy ㉡ =-z ㄷ. Œ + = z z z z a+ai a-ai + a-ai a+ai = (a+ai)Û`+(a-ai)Û` (a-ai)(a+ai) = aÛ`+2aÛ`i-aÛ`+aÛ`-2aÛ`i-aÛ` aÛ`+aÛ` =0 84 ⑴ i+2i Û`+3i Ü`+4iÝ`+ y +30i 30 =(i-2-3i+4)+(5i-6-7i+8) + y +(25i-26-27i+28)+29i-30 =(2-2i)+ y +(2-2i)+29i-30 ( \ | { | \ 9 연 습 문 제 실 력 U P 이때 3a aÛ`+bÛ` 같을 조건에 의하여 , - b aÛ`+bÛ` b aÛ`+bÛ` =2 =3에서 3a=3(aÛ`+bÛ`) =3, - 3a aÛ`+bÛ` 3a aÛ`+bÛ` ∴ aÛ`+bÛ`=a - b aÛ`+bÛ` =2에서 -b=2(aÛ`+bÛ`) ∴ aÛ`+bÛ`=- ;2B; ㉠, ㉡에서 a=- ;2B; 이 식을 ㉡에 대입하면 - { ;2B;} +bÛ`=- , ;2B; ;4%; bÛ`+ =0 ;2B; 5bÛ`+2b=0, b(5b+2)=0 2` ∴ b=0 또는 b=- ;5@; 이때 b=0이면 a=0이고 z=0이므로 조건에 맞지 않다. ∴ b=- , a=- ;5@; = ;2B; ;5!; ∴ z= - i ;5@; ;5!; i ;5!;-;5@; 83 z=a+bi이므로 iz=i(a+bi)=-b+ai, z=a-bi 이때 iz= z이므로 -b+ai=a-bi ∴ b=-a ∴ z=a+bi=a-ai ㄱ. z+ z=(a-ai)+(a+ai)=2a=-2b ㄴ. iz= z의 양변에 i를 곱하면 -z=i z ㄷ. iz= z이므로 Œ =i z z ㄴ에서 i z=-z이므로 =-i z z ∴ Œ + =i+(-i)=0 z z z z 7개 =7(2-2i)+29i-30 =-16+15i Û`= -2i 2 =-i Û`= 2i 2 1+i ⑵ { ' ∴ { 2 } 1+i 2 } ' 4n + { 1-i 2 } ' 4n+2 =i, { 1-i 2 } ' Û`Ç`+ = 1+i Û` 1-i Û` 2n+1 [{ 2 } ] [{ 2 } ] ' ' =i Û`Ç`+(-i)2n+1 =(i Û`)Ç`+{(-i)Û`}Ç`_(-i) =(-1)Ç`+(-1)Ç`_(-i) =1+1_(-i) n은 짝수 Û =1-i ⑴ -16+15i  ⑵ 1-i 85 x= 1-i 1+i = (1-i)Û` (1+i)(1-i) = -2i 2 =-i이므로 1+x+xÛ`+xÜ` =1+(-i)+(-i)Û`+(-i)Ü` =1-i-1+i=0 ∴ 1+x+xÛ`+xÜ`+ … +x2000 =(1+x+xÛ`+xÜ`)+xÝ`(1+x+xÛ`+xÜ`) … +x1996(1+x+xÛ`+xÜ`)+x2000 + =x2000=(-i)2000=i 2000 =(i Ý`)500=1 연습문제·실력 UP 107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1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07 2018-07-31 오후 7:36:18 Œ Œ Œ Œ Œ Œ Œ Œ Œ Œ Œ 89 x y=- xy에서 ' ' x<0, y<0 또는 x=0 또는 y=0 '¶ xÛ`+2x-(y+3)i=15+4i에서 xÛ`+2x, -(y+3) 은 실수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xÛ`+2x=15, -(y+3)=4 xÛ`+2x=15에서 xÛ`+2x-15=0 (x+5)(x-3)=0 ∴ x=-5 또는 x=3 -(y+3)=4에서 y=-7 이때 x<0, y<0이므로 x=-5, y=-7 ∴ xy=35 35 90 i à`=i Ý`_i Ü`=i Ü`=-i, i 77=(i Ý`)19_i=i이므로 f(7)= f(77)= -i 2+i = i à` 2-i à` i 77 2-i 77 = i 2-i ∴ f(7)+f(77) = + i -i 2+i 2-i -i(2-i)+i(2+i) (2+i)(2-i) -2i-1+2i-1 5 =- ;5@; = = - ;5@; 91 1+i+i Û`+i Ü`=1+i-1-i=0이므로 1+i+i Û`+i Ü`+ y +i 101 =(1+i+i Û`+i Ü`)+i Ý`(1+i+i Û`+i Ü`) + =i 100+i 101=(i Ý`)25+(i Ý`)25_i=1+i y +i 96(1+i+i Û`+i Ü`)+i 100+i 101 ∴ z= 1+i 1-i = (1+i)Û` (1-i)(1+i) = =i 2i 2 86 -5 -2 -5 2 5 -2 ㄱ. '¶ '¶ ㄴ. '¶ ' ㄷ. ' '¶ = ' 5 i 2 =- i ®;2%; -5 -2 = ®;2%; i= ®É = ®É -5 2 5 2 = ' ' = ®;2%; 5 i 2 i Û` = ' ' 5 i = ' 2 i ' 5 i = ' 2 ' 5 = ' 2 i ' =- ®É + 5 -2 -' 5 123-2 1 ' ' (-2)_5 2i_ 5= ®É 0 i= = "à -5 = ㄹ. -2 ' '¶ 5 = ' -10 '¶ ㅁ. -2 '¶ '¶ 2i_ 5i= 1 0i Û` ' =- ' 0+ ' 1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ㄹ의 3개이다. (-2)_(-5) "à 3 87 ( 108=-6 3 ' -5)Û`=( 5i)Û`=-5 ' -12=- 'Ä -9 'Ä -3= 'Ä '¶ '¶ ' ¾¨ = = -9=3i 3 'Ä -75 'Ä -3 'Ä 6 3 ' -4 'Ä ∴ (주어진 식) =-5-(-6 -75 -3 36 -4 =- =- 2 ' ¾¨ '¶ 5=5 -9=-3i =6 3+6i ' 3)+3i+5-(-3i) ' 따라서 a=6 3, b=6이므로 ' = 3 ' ;bA; 3 ' 88 x-4 3-x =- x-4 'Ä 3-x 'Ä x-4>0, 3-x<0 또는 x-4=0 이므로 ¾¨ Ú x-4>0, 3-x<0인 경우 x-3>0이므로 "à "Ã Û x-4=0, 즉 x=4인 경우 |x-3|- (x-4)Û`=1 Ú, Û에서 |x-3|- (x-4)Û`=1  "à 108 Ⅱ. 방정식과 부등식 |x-3|- (x-4)Û`=x-3-(x-4)=1 ∴ zÜ`+z+7=i Ü`+i+7=-i+i+7=7 ⑤ 92 zÛ`= 1 = 1+2i-1 -2 =-i 1+i { 2i } ' 2`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08 2018-07-31 오후 7:36:19 Œ Œ Œ Œ Œ 따라서 zÇ`=1이 되도록 하는 자연수 n의 값 중 가장 작은 값은 8이다. ④ =(x+1)(x-1) (∵ x+1>0, x-1<0) 연 습 문 제 실 력 U P zÜ`=zÛ`_z=-i_ =- 1+i 2i ' 1+i 2 ' zÝ`=(zÛ`)Û`=(-i)Û`=-1 zÞ`=zÝ`_z=(-1)_ =- 1+i 2i ' 1+i 2i ' zß`=zÝ`_zÛ`=(-1)_(-i)=i zà`=zß`_z=i_ = 1+i 2i ' 1+i 2 ' z¡`=(zÝ`)Û`=(-1)Û`=1 93 a+0, b+0, c+0이므로 a b=- a b에서 a<0, b<0 ' ' =- ' c ' b ' 즉, a<0, b<0, c>0이므로 에서 b<0, c>0 ®;bC; (a+b)Û`=|a+b|=-(a+b) "à |c-a|=c-a, "Å bÛ`=|b|=-b, cÛ`=|c|=c "Å ∴ (a+b)Û`+|c-a|- bÛ`+ cÛ` "Å "Å "à =-(a+b)+c-a-(-b)+c =-2a+2c -2a+2c 95 -10, x-1<0, 1-x>0, -1-x<0 ∴ 'Ä = "à =- x+1 x-1 1-x -1-x 'Ä 'Ä 'Ä (1-x)(-1-x) (x+1)(x-1) "à (x+1)(x-1)(1-x)(-1-x) "à "à =- (x+1)Û`(x-1)Û` =- (x+1)Û` "à "à (x-1)Û` (∵ (x+1)(x-1)<0, (1-x)(-1-x)<0) =xÛ`-1 xÛ`-1 96 이차방정식 xÛ`-ax+7=0의 해는 근의 공식에 의하여 x = aÑ "à aÛ`-28 2 = bi 5Ñ ' 2 따라서 a=5, b=-(aÛ`-28)=3이므로 a+b=8 8 97 (a+1)xÛ`+x+aÛ`-2=0이 이차방정식이므로 a+1+0 ∴ a+-1 yy ㉠ 이 방정식의 한 근이 1이므로 x=1을 대입하면 a=0을 주어진 방정식에 대입하면 xÛ`+x-2=0, (x+2)(x-1)=0 ∴ x=-2 또는 x=1 따라서 다른 한 근은 -2이다. ③ 94 (1+i)2n={(1+i)Û`}n=(2i)n=2n_i n이므로 2n_i n=-2ni에서 i n=-i yy ㉠ (a+1)+1+aÛ`-2=0 aÛ`+a=0, a(a+1)=0 ∴ a=0 (∵ ㉠) k=0, 1, 2, y에 대하여 n=4k+1일 때, i Ç`=i 4k+1=(i Ý`)û`_i=i n=4k+2일 때, i Ç`=i 4k+2=(i Ý`)û`_i Û`=-1 n=4k+3일 때, i Ç`=i 4k+3=(i Ý`)û`_i Ü`=-i n=4k+4일 때, i Ç`=i 4k+4=(i Ý`)û`_i Ý`=1 즉,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은 98 xÛ`-|x-2|-4=0에서 n=4k+3 (k=0, 1, 2, y)의 꼴이므로 n은 4로 나 누었을 때 나머지가 3인 자연수이다. Ú x<2일 때, xÛ`+x-2-4=0 따라서 100 이하의 자연수 n의 개수는 k=0, 1, 2, xÛ`+x-6=0, (x+3)(x-2)=0 y, 24일 때, 즉 n=3, 7, 11, y, 99의 25개이다. ∴ x=-3 또는 x=2   25 그런데 x<2이므로 x=-3 연습문제·실력 UP 109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09 2018-07-31 오후 7:36:20 Œ Û x¾2일 때, xÛ`-(x-2)-4=0 Ú m=-1일 때, xÛ`-x-2=0, (x+1)(x-2)=0 xÛ`-2x+1=0, (x-1)Û`=0 ∴ x=1 (중근) ∴ x=-1 또는 x=2 그런데 x¾2이므로 x=2 Ú, Û에서 x=-3 또는 x=2 Û m=3일 때, xÛ`-6x+9=0, (x-3)Û`=0 ∴ x=3 (중근) m=-1일 때 x=1, m=3일 때 x=3 이때 x=-3을 xÛ`+ax+b=0에 대입하면 9-3a+b=0 yy ㉠ x=2를 xÛ`+ax+b=0에 대입하면 101 이차방정식 xÛ`-2(k+2)x+kÛ`+24=0이 서로 다른 4+2a+b=0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6 ∴ a-b=7 yy ㉡ 두 허근을 가지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k+2)Û`-(kÛ`+24)<0 D 4 4k-20<0 ∴ k<5 7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k는 1, 2, 3, 4의 4개이다. 99 xCx=2_x_x-x-x+1=2xÛ`-2x+1 102 x=2를 2xÛ`+a(k+1)x+b(k-3)=0에 대입하면 4 1 8+2a(k+1)+b(k-3)=0 ∴ (2a+b)k+2a-3b+8=0 이 식이 k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2a+b=0, 2a-3b+8=0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 b=2 ∴ a+b=1 103 원가가 3000원이므로 정가는 3000 1+ 1- ;10A0;}{ ;10A0;} =2880 { { 3000 1- aÛ` 10000 } =2880 3000- aÛ`=2880, aÛ`=120 ;1£0; ;1£0; aÛ`=400 ∴ a=Ñ20 그런데 a>0이므로 a=20 따라서 ㉠에서 이 물건의 정가는 3000 1+ { ;10A0;} 원 yy ㉠ 이 정가의 a %를 할인한 가격이 2880원이므로 3000 1+ { ;1ª0¼0;} =3600(원) 3600원 1Cx=2_1_x-1-x+1=x 이므로 xCx=|1Cx|+1에서 2xÛ`-2x+1=|x|+1 ∴ 2xÛ`-2x=|x| Ú x<0일 때, 2xÛ`-2x=-x 2xÛ`-x=0, x(2x-1)=0 ∴ x=0 또는 x= ;2!; 그런데 x<0이므로 해가 없다. Û x¾æ0일 때, 2xÛ`-2x=x 2xÛ`-3x=0, x(2x-3)=0 ∴ x=0 또는 x= ;2#; Ú, Û에서 x=0 또는 x= ;2#; 0,  ;2#; 100 이차방정식 xÛ`-(m+3)x+2m+3=0이 중근을 가 지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D=(m+3)Û`-4(2m+3)=0 mÛ`-2m-3=0, (m+1)(m-3)=0 ∴ m=-1 또는 m=3 110 Ⅱ. 방정식과 부등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10 2018-07-31 오후 7:36:20 104 이차방정식 xÛ`+ax+b=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 107 2xÛ`+xy-yÛ`-x+2y+k 지므로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DÁ=aÛ`-4b>0 =2xÛ`+(y-1)x-(yÛ`-2y-k) yy ㉠ 이차방정식 2xÛ`+(y-1)x-(yÛ`-2y-k)=0의 판별 이차방정식 xÛ`+(a-2c)x+b-ac=0의 판별식을 식을 D라 하면 근의 공식에 의하여 Dª라 하면 Dª =(a-2c)Û`-4(b-ac) =aÛ`-4ac+4cÛ`-4b+4ac =(aÛ`-4b)+4cÛ` ㉠에서 aÛ`-4b>0이고, 4cÛ`¾0이므로 Dª=(aÛ`-4b)+4cÛ`>0 -(y-1)Ñ D '¶ 이고 x= 4 D =(y-1)Û`+8(yÛ`-2y-k)=9yÛ`-18y+1-8k 주어진 이차식이 x, y에 대한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 분해되려면 D가 y에 대한 완전제곱식이어야 한다. D=0의 판별식을 D'이라 하면 따라서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 =81-9(1-8k)=0 는다. 서로 다른 두 실근 72k=-72 ∴ k=-1 -1 D' 4 KEY Point 105 이차방정식 4xÛ`+2(2k+m)x+kÛ`-k+n=0이 중 x, y의 이차식이 x, y의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되려면  ⇨ (이차식)=0의 판별식 D=0의 판별식 D'=0이어야 한다. 연 습 문 제 실 력 U P 근을 가지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D 4 =(2k+m)Û`-4(kÛ`-k+n)=0 ∴ 4(m+1)k+mÛ`-4n=0 이 식이 k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m+1=0, mÛ`-4n=0 ∴ m=-1, n= ;4!; ∴ m+n=- ;4#; 106 a(1+xÛ`)+2bx+c(1-xÛ`) =(a-c)xÛ`+2bx+a+c 이 이차식이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이차방정식 판별식을 D라 하면 =bÛ`-(a-c)(a+c)=0 ;;4;D; ∴ aÛ`=bÛ`+cÛ` 108 이차방정식 xÛ`-2x+3=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2, ab=3 ② (a+1)(b+1) =ab+a+b+1 =3+2+1=6 ① ③ (a-b)Û` =(a+b)Û`-4ab =2Û`-4_3=-8 ④ aÜ`+bÜ` =(a+b)Ü`-3ab(a+b) =2Ü`-3_3_2=-10 ⑤ + = b a a b aÛ`+bÛ` ab = 2Û`-2_3 3 = =- ;3@; (a+b)Û`-2ab ab 109 이차방정식 2xÛ`-kx+1=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c)xÛ`+2bx+a+c=0이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이다. ③ 따라서 빗변의 길이가 a인 직각삼각형이다. 빗변의 길이가 a인 직각삼각형 a+b= , ab= ;2K; ;2!; 연습문제·실력 UP 111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11 2018-07-31 오후 7:36:20 ∴ + = 1 aÛ` 1 bÛ` aÛ`+bÛ` aÛ`bÛ` = (a+b)Û`-2ab (ab)Û` {;2K;} = Û`-2_ ;2!; Û` {;2!;} =kÛ`-4 즉, kÛ`-4=5에서 kÛ`=9 ∴ k=Ñ3 다른풀이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a, b (a>b)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k-2, ab=9-k 이때 두 근이 연속하는 정수이므로 두 근의 차는 1이다. 즉, a-b=1 (a-b)Û`=(a+b)Û`-4ab에서 -3, 3 1=(-k-2)Û`-4(9-k) 110 이차방정식 xÛ`+ax+b=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 kÛ`+8k-33=0, (k+11)(k-3)=0 ∴ k=-11 또는 k=3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8이다.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a, ab=b 이차방정식 xÛ`-bx+a=0의 두 근이 a+1, b+1이 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1)+(b+1)=b, (a+1)(b+1)=a ∴ a+b+2=b, ab+a+b+1=a yy ㉡ ㉠을 ㉡에 대입하면 -a+2=b, b-a+1=a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 b=1 따라서 ㉠에서 a+b=-1, ab=1이므로 aÝ`+bÝ` =(aÛ`+bÛ`)Û`-2aÛ`bÛ` yy ㉠ 112 이차방정식 xÛ`-3x+1=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3, ab=1 두 근 aÛ`+ , bÛ`+ 의 합과 곱을 구하면 ;º!; ;Œ!; aÛ`+ + bÛ`+ ;º!;} { { ;Œ!;} =aÛ`+bÛ`+ + ;º!; 1 a =(a+b)Û`-2ab+ =3Û`-2_1+3=10 a+b ab ={(a+b)Û`-2ab}Û`-2(ab)Û` ={(-1)Û`-2_1}Û`-2_1Û` =(-1)Û`-2=-1 ② aÛ`+ { ;º!;}{ bÛ`+ ;Œ!;} =aÛ`bÛ`+a+b+ 1 ab =1Û`+3+1=5 111 이차방정식 xÛ`+(k+2)x+9-k=0의 두 근이 연속 하는 정수이면 두 근의 차는 1이다. 두 근을 a, a+1이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10, b=5 ∴ a+b=-5 따라서 aÛ`+ 을 두 근으로 하고 xÛ`의 계수가 1 b , bÛ`+ ;Œ!;  1인 이차방정식은 xÛ`-10x+5=0이므로 -5 a+(a+1)=-(k+2) a(a+1)=9-k ㉠에서 a= -k-3 2 이것을 ㉡에 대입하면 -k-3 2 { -k-3 2 +1 =9-k } yy ㉠ yy ㉡ 113 이차방정식 xÛ`+ax+b=0에서 a, b가 유리수이고 한 근이 2- 3이므로 다른 한 근은 2+ 3이다. ' '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 3)+(2+ 3)=-a ∴ a=-4 ' ' (2- 3)(2+ ' ' 3)=b ∴ b=1 kÛ`+8k-33=0, (k+11)(k-3)=0 a=-4, b=1을 이차방정식 xÛ`+bx+a=0에 대입 ∴ k=-11 또는 k=3 하면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8이다. -8 xÛ`+x-4=0 112 Ⅱ. 방정식과 부등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12 2018-07-31 오후 7:36:21 이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a, b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 또, axÛ`+bx+c=0에서 a와 b를 바르게 보고 풀었을 계에 의하여 a+b==-1, ab=-4 ∴ (a-b)Û` =(a+b)Û`-4ab =(-1)Û`-4_(-4)=17 17 때의 두 근이 와 3이므로 두 근의 합은 5 3 - = +3= ;aB; ;3%; :Á3¢: ∴ b=- a :Á3¢: …… ㉡ 114 이차방정식 xÛ`+4x-3=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4, ab=-3 또한, 이차방정식에 두 근 a, b를 대입하면 ㉠, ㉡을 axÛ`+bx+c=0에 대입하면 axÛ`- ax- a=0 :Á3¢: ;3%; 이때 a+0이므로 양변에 을 곱하면 ;a#;  3xÛ`-14x-5=0, (3x+1)(x-5)=0 aÛ`+4a-3=0, bÛ`+4b-3=0이므로 따라서 처음 이차방정식의 근은 aÛ`+4a=3, bÛ`+4b=3 ∴ 6b aÛ`+4a-4 + 6a bÛ`+4b-4 = 6b 3-4 + 6a 3-4 x=- 또는 x=5 ;3!; x=-  또는 x=5 ;3!; 연 습 문 제 실 력 U P =-6a-6b =-6(a+b) =-6_(-4) =24 117 이차방정식 xÛ`+px+q=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4 a+b=-p, ab=q …… ㉠ 또, 이차방정식 xÛ`+rx+p=0의 두 근이 2a, 2b이므 115 이차방정식 xÛ`-(4k+1)x+2k+1=0의 두 근이 a, 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a+2b=-r, 2a_2b=p b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2(a+b)=-r, 4ab=p …… ㉡ a+b=4k+1, ab=2k+1 aÛ`b+abÛ`-a-b=6에서 ab(a+b)-(a+b)=6 ㉠을 ㉡에 대입하면 (2k+1)(4k+1)-(4k+1)=6 4kÛ`+k-3=0, (k+1)(4k-3)=0 yy ㉠ ㉠을 ㉡에 대입하면 yy ㉡ -2p=-r, 4q=p ∴ r=2p, q= ;4P; ∴ = ;qR; =8 2p ;4P; ⑤ ∴ k=-1 (∵ k는 정수) -1 116 axÛ`+bx+c=0에서 a와 c를 바르게 보고 풀었을 때 의 두 근이 - 와 이므로 두 근의 곱은 2 3 ;2%; =- _ =- ;2%; ;3@; ;3%; ;aC; ∴ c=- a ;3%; 118 이차방정식 f(x)=0의 두 근을 a, b라 하면 근과 계 수의 관계에 의하여 a+b=2, ab=5 이때 이차방정식 f(2x+3)=0의 두 근은 2x+3=a 또는 2x+3=b …… ㉠ ∴ x= 또는 x= a-3 2 b-3 2 연습문제·실력 UP 113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13 2018-07-31 오후 7:36:21 따라서 이차방정식 f(2x+3)=0의 두 근의 곱은 a-3 2 _ b-3 2 = ab-3(a+b)+9 4 = 5-3_2+9 4 =2 2 121 이차방정식 xÛ`-4x+k=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4, ab=k |a|+|b|=6의 양변을 제곱하면 |a|Û`+2|a||b|+|b|Û`=36 aÛ`+2|ab|+bÛ`=36 yy ㉠ 119 이차방정식 xÛ`+mx+n=0에서 m, n이 실수이고 한 근이 -1+2i이므로 다른 한 근은 -1-2i이다. ㉠을 ㉡에 대입하면 4Û`-2k+2|k|=36 ∴ (a+b)Û`-2ab+2|ab|=36 yy ㉡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2i)+(-1-2i)=-m ∴ m=2 (-1+2i)(-1-2i)=n ∴ n=5 따라서 을 두 근으로 하고 xÛ` 의 계수가 1인 이차 Û k¾0일 때, ∴ k-|k|=-10 Ú k<0일 때, k+k=-10 ∴ k=-5 k-k=-10, 0_k=-10 이를 만족시키는 k는 존재하지 않는다. xÛ`- {;2!;+;5!;} x+ _ ;2!; ;5!; =0, 즉 xÛ`- x+ =0 ;1Á0; ;1¦0; Ú, Û에서 k=-5 -5 1 2 , ;5!; 방정식은 이므로 a=- , b= ;1¦0; ;1Á0; 122 (x-a)(x-b)+(x-b)(x-c)+(x-c)(x-a) =3xÛ`-2(a+b+c)x+ab+bc+ca=0 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a+b+c) 3 ab+bc+ca 3 =4, =-3 ∴ a+b+c=6, ab+bc+ca=-9 (x-a)Û`+(x-b)Û`+(x-c)Û` =3xÛ`-2(a+b+c)x+aÛ`+bÛ`+cÛ`=0 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구하는 두 근의 곱은 aÛ`+bÛ`+cÛ` 3 = (a+b+c)Û`-2(ab+bc+ca) 3 = 6Û`-2_(-9) 3 =18 ④ 123 두 근의 곱이 -18<0이므로 두 근의 부호는 서로 다 ∴ a+b=- =- ;5#; ;1¤0; -;5#; 120 |xÛ`+(a-2)x-2|=1에서 xÛ`+(a-2)x-2=1 또는 xÛ`+(a-2)x-2=-1 ∴ xÛ`+(a-2)x-3=0 또는 xÛ`+(a-2)x-1=0 이때 주어진 방정식의 모든 근의 합은 두 이차방정식 의 모든 근의 합과 같다. xÛ`+(a-2)x-3=0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Û`+(a-2)x-1=0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의 합은 -(a-2) 두 근의 합은 -(a-2) 하므로 -(a-2)-(a-2)=0 -2a+4=0 ∴ a=2 114 Ⅱ. 방정식과 부등식 따라서 두 이차방정식의 근을 모두 더하면 0이 되어야 르다. 두 근의 절댓값의 비가 2 : 1이므로 두 근을 a, -2a (a+0)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2a)=-(m-5) 2 a_(-2a)=-18 yy ㉠ yy ㉡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14 2018-07-31 오후 7:36:22 연 습 문 제 실 력 U P ㉡에서 aÛ`=9 ∴ a=Ñ3 ㉠에서 m=a+5이므로 m=2 또는 m=8 kÛ` 9 + = ;3$; :Á9¤: , kÛ`=4 2, 8 ∴ k=Ñ2 -2, 2 124 이차방정식 xÛ`+x-4=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과 127 이차함수 y=xÛ`+ax+b의 그래프가 점 (-1, 4)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1, ab=-4 f(a)=f(b)=1에서 f(a)-1=f(b)-1=0 지나므로 1-a+b=4 ∴ b=a+3 yy ㉠ 또, 이차함수 y=xÛ`+ax+b의 그래프가 x축에 접하 므로 이차방정식 xÛ`+ax+b=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즉, 이차방정식 f(x)-1=0의 두 근이 a, b이고 이차 D=aÛ`-4b=0 yy ㉡ 식 f(x)의 이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f(x)-1 =(x-a)(x-b)=xÛ`+x-4 ㉠을 ㉡에 대입하면 aÛ`-4(a+3)=0 aÛ`-4a-12=0, (a+2)(a-6)=0 ∴ f(x)=xÛ`+x-3 f(x)=xÛ`+x-3 ∴ a=6 (∵ a>0) 125 이차함수 y=xÛ`-(a+2)x+bÛ`-b의 그래프와 x축 의 두 교점의 x좌표가 1, 6이므로 이차방정식 xÛ`-(a+2)x+bÛ`-b=0의 두 근이 1, 6이다.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6=bÛ`-b에서 bÛ`-b-6=0, (b+2)(b-3)=0 1+6=a+2, 1_6=bÛ`-b 7=a+2에서 a=5 ∴ b=3 (∵ b>0) ∴ a+b=5+3=8 a=6을 ㉠에 대입하면 b=9 ∴ ab=6_9=54 54 128 이차함수 y=xÛ`+2kx+k의 그래프가 x축과 한 점에 서 만나므로 이차방정식 xÛ`+2kx+k=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DÁ 4 =kÛ`-k=0 k(k-1)=0 ∴ k=0 또는 k=1 …… ㉠ 8 또, 이차함수 y=2xÛ`-x+k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 지 않으므로 이차방정식 2xÛ`-x+k=0의 판별식을 126 이차함수 y=3xÛ`+kx-1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두 점 P, Q의 x좌표를 각각 a, b라 하면 a, b는 이차 방정식 3xÛ`+kx-1=0의 두 근이므로 근과 계수의 Dª라 하면 Dª=(-1)Û`-4_2_k<0 1-8k<0 ∴ k> ;8!; ㉠, ㉡에서 k=1 관계에 의하여 …… ㉡ 1 a+b=- , ab=- ;3K; ;3!; …… ㉠ 이때 PQÓ=|a-b|= 이므로 (a-b)Û`= :Á9¤: 129 이차함수 y=2xÛ`-ax+10의 그래프와 직선 y=-2x+b의 교점의 x좌표는 이차방정식 ∴ (a+b)Û`-4ab= …… ㉡ 2xÛ`-ax+10=-2x+b, 즉 ;3$; :Á9¤: ㉠을 ㉡에 대입하면 { - ;3K;} Û`-4_ - { ;3!;} = :Á9¤: 2xÛ`-(a-2)x+10-b=0 …… ㉠ 의 실근과 같으므로 이차방정식 ㉠의 두 근이 1, 3이다. 연습문제·실력 UP 115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15 2018-07-31 오후 7:36:22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또, 이차함수 y=xÛ`+ax+3a-1의 그래프가 직선 1+3= , 1_3= a-2 2 10-b 2 ∴ a=10, b=4 ∴ a-b=6 130 이차함수 y=-xÛ`+4x-1의 그래프와 직선 y=ax+b의 교점의 x좌표는 이차방정식 -xÛ`+4x-1=ax+b, 즉 xÛ`+(a-4)x+b+1=0 의 실근과 같다. 1+ 5이므로 다른 한 근은 1- 5이다. '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1+ 5)+(1- 5)=-a+4 ' 5)=b+1 (1+ 5)(1- ' ∴ a=2, b=-5 ∴ ab=-10 y=5x+7에 접하므로 이차방정식 xÛ`+ax+3a-1=5x+7, 즉 xÛ`+(a-5)x+3a-8=0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③ Dª=(a-5)Û`-4(3a-8)=0 aÛ`-22a+57=0, (a-3)(a-19)=0 ∴ a=3 또는 a=19 ㉠, ㉡에서 a=3 …… ㉡ 3 yy ㉠ 133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 f(x)=0의 두 근 f(x) =(x-a)(x-b)=xÛ`-(a+b)x+ab =xÛ`-6x+ab=(x-3)Û`+ab-9 이때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의 꼭짓점 (3, ab-9)가 직선 y=2x-7 위에 있으므로 ab-9=-1 ∴ ab=8 -10 따라서 f(x)=xÛ`-6x+8이므로 f(0)=8 8 이때 a, b가 모두 유리수이고 이차방정식 ㉠의 한 근이 이 a, b이고 a+b=6이므로 131 직선 y=mx+3은 직선 y=4x-5와 평행하므로 m=4 직선 y=4x+3이 이차함수 y=axÛ`+1의 그래프에 접하므로 이차방정식 axÛ`+1=4x+3, 즉 axÛ`-4x-2=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2)Û`-a_(-2)=0 ;;4;D; 4+2a=0 ∴ a=-2 ∴ aÛ`+mÛ`=4+16=20 132 이차함수 y=xÛ`+ax+3a-1의 그래프가 직선 y=-x+4에 접하므로 이차방정식 xÛ`+ax+3a-1=-x+4, 즉 xÛ`+(a+1)x+3a-5=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DÁ=(a+1)Û`-4(3a-5)=0 134 이차함수 y=xÛ`-2(a+k)x+kÛ`-2k+b의 그래프 가 x축에 접하므로 이차방정식 xÛ`-2(a+k)x+kÛ`-2k+b=0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k)Û`-(kÛ`-2k+b)=0 ;;4;D; ④ ∴ (2a+2)k+aÛ`-b=0 이 식이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므로 2a+2=0, aÛ`-b=0 ∴ a=-1, b=1 ∴ ab=-1 -1 135 이차함수 y= xÛ`+kx+14의 그래프가 직선 ;4!; aÛ`-10a+21=0, (a-3)(a-7)=0 y=-2x-kÛ`-6보다 항상 위쪽에 있으려면 이차함수 ∴ a=3 또는 a=7 …… ㉠ 의 그래프와 직선이 만나지 않아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116 Ⅱ. 방정식과 부등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16 2018-07-31 오후 7:36:23 xÛ`+kx+14=-2x-kÛ`-6, 즉 a>0이므로 1ÉxÉ3에서 이 이 차함수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xÛ`+(k+2)x+kÛ`+20=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과 같다. 1 3 4 x D=(k+2)Û`-4_ _(kÛ`+20)<0 ;4!; 4k-16<0 ∴ k<4 이때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 점의 x좌표 4는 1ÉxÉ3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x=3일 때 최댓값이 a-b이므로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k는 1, 2, 3의 3개 a-b=-2 1 4 ;4!; 이다. 3 x=1일 때 최솟값이 -7a-b이므로 -7a-b=-10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3 ∴ a+b=4 yy ㉠ yy ㉡ 4 연 습 문 제 실 력 U P 136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가 x축과 서로 다른 두 점 (a, 0), (b, 0)에서 만나므로 a, b는 이차방정식 f(x)=0의 두 근이다. f(a)=0, f(b)=0이므로 f(2x-1)=0에서 2x-1=a 또는 2x-1=b ∴ x= 또는 x= a+1 2 b+1 2 따라서 구하는 모든 실근의 합은 a+1 2 + b+1 2 = a+b+2 2 = 6+2 2 =4 4 137 이차함수 y=xÛ`-4ax+2b가 x=6에서 최솟값 14를 가지므로 y=(x-6)Û`+14=xÛ`-12x+50 즉, 4a=12, 2b=50 ∴ a=3, b=25 138 y=axÛ`-4ax+aÛ`+3a=a(x-2)Û`+aÛ`-a 이 이차함수의 최댓값이 존재하므로 a<0 최댓값이 6이므로 aÛ`-a=6 aÛ`-a-6=0, (a+2)(a-3)=0 ∴ a=-2 또는 a=3 139 y =-axÛ`+8ax-14a-b =-a(x-4)Û`+2a-b ∴ ab=75 75 를 갖는다. 140 xÛ`-2x=t로 놓으면 t=xÛ`-2x=(x-1)Û`-1 -1ÉxÉ2이므로 [그림 1]에서 -1ÉtÉ3 이때 주어진 함수는 y =(t-1)Û`-2t+1 =tÛ`-4t+2 =(t-2)Û`-2 (-1ÉtÉ3) 이므로 [그림 2]에서 t=-1일 때 최댓값 7, t=2일 때 최솟값 -2 (cid:85)(cid:30)(cid:89)(cid:153)(cid:65)(cid:14)(cid:19)(cid:89) (cid:85) (cid:20) (cid:48) (cid:18) (cid:14)(cid:18) (cid:14)(cid:18) (cid:19) (cid:89) [그림 1] (cid:90) (cid:24) (cid:90)(cid:30)(cid:85)(cid:153)(cid:65)(cid:14)(cid:21)(cid:85)(cid:12)(cid:19) (cid:19) (cid:20) (cid:48) (cid:14)(cid:18) (cid:14)(cid:19) (cid:14)(cid:18) (cid:85) ② 따라서 M=7, m=-2이므로 [그림 2] M+m=5 141 2xÛ`+3yÛ`-4x+6y+10 =2(xÛ`-2x+1)+3(yÛ`+2y+1)+5 이때 x, y는 실수이므로 (x-1)Û`¾0, (y+1)Û`¾0 ∴ 2xÛ`+3yÛ`-4x+6y+10¾5 따라서 주어진 식은 x=1, y=-1일 때 최솟값 5를 갖는다. 5 연습문제·실력 UP 117 그런데 a<0이므로 a=-2 -2 =2(x-1)Û`+3(y+1)Û`+5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17 2018-07-31 오후 7:36:23 142 y =-200xÛ`+1600x-1700 =-200(x-4)Û`+1500 이므로 x=4일 때 최댓값 1500을 갖는다. 따라서 입장권 한 장의 가격을 4만 원으로 정할 때 이 익이 최대가 되고, 그때의 이익금은 1500만 원이다. x=a일 때 y=-2이므로 -2=-aÛ`-2a+1 aÛ`+2a-3=0 (a+3)(a-1)=0 ∴ a=-3 (∵ a<0) (cid:90) (cid:67) (cid:18) (cid:14)(cid:19) (cid:66) (cid:14)(cid:18) (cid:48) (cid:89) 또, x=-1일 때 y=b이므로 (cid:90)(cid:30)(cid:14)(cid:89)(cid:153)(cid:65)(cid:14)(cid:19)(cid:89)(cid:12)(cid:18)   입장권 한 장의 가격 : 4만 원,  b=2 이익금 : 1500만 원 ∴ a+b=-3+2=-1 -1 143 y =-xÛ`-2ax+4a-1 =-(x+a)Û`+aÛ`+4a-1 따라서 x=-a일 때 최댓값은 aÛ`+4a-1이므로 f(a) =aÛ`+4a-1=(a+2)Û`-5 따라서 f(a)의 최솟값은 a=-2일 때 -5이다. 146 xÛ`+2x-1=t로 놓으면 t=xÛ`+2x-1=(x+1)Û`-2 ∴ t¾-2 이때 주어진 함수는 y =-2tÛ`+12t-k y 18-k O 3-2 t ② =-2(t-3)Û`+18-k (t¾-2) 이므로 t=3일 때 최댓값 18-k를 갖 는다. 즉, 18-k=15 ∴ k=3 3 이므로 a-1ÉxÉ-3에 서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 (cid:90) (cid:90)(cid:30)(cid:14)(cid:89)(cid:153)(cid:65)(cid:14)(cid:21)(cid:89)(cid:12)(cid:19) (cid:23) yy ㉠ 147 y=x+1에서 x=y-1을 xÛ`+yÛ`+2에 대입하면 xÛ`+yÛ`+2 =(y-1)Û`+yÛ`+2=2yÛ`-2y+3 (cid:66)(cid:14)(cid:18) (cid:48) (cid:14)(cid:20) (cid:14)(cid:19) (cid:89) =2 y- { Û`+ 1 2 } ;2%; (-1ÉyÉ3) 이므로 y= 일 때 최솟값 y=3일 때 최댓값 15 ;2%;, 1 2 를 갖는다. 따라서 M=15, m= 이므로 (cid:14)(cid:18)(cid:17) ;2%; ;2%; M-4m=15-4_ =5 5 148 신제품 A의 가격을 x만 원 인상할 때의 전체 판매 금 -5 액을 y만 원이라 하면 A의 가격은 (100+x)만 원이 그런데 a-1ÉxÉ-3에서 a-1É-3, 즉 aÉ-2 145 y=-xÛ`-2x+1=-(x+1)Û`+2 고 판매량은 (2400-20x)대이므로 y =(100+x)(2400-20x) =-20xÛ`+400x+240000 aÉxÉ0에서 -2ÉyÉb이려면 이 함수의 그래프가 =-20(x-10)Û`+242000 다음 그림과 같아야 한다. 에서 x=10일 때 최댓값 242000을 갖는다. 144 y =-xÛ`-4x+2 =-(x+2)Û`+6 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x=a-1일 때 최 솟값 -10을 가지므로 x=a-1을 ㉠에 대입하면 -(a+1)Û`+6=-10 aÛ`+2a-15=0 (a+5)(a-3)=0 ∴ a=-5 또는 a=3 이므로 a=-5 118 Ⅱ. 방정식과 부등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18 2018-07-31 오후 7:36:24 따라서 A의 가격을 10만 원 인상할 때 전체 판매 금액 즉, 18-24k=16 ∴ k= ;1Á2; 이 최대가 되므로 A의 가격은 110만 원이다. Û 2k¾3일 때, ∴ a=110 110 꼭짓점의 x좌표가 주어진 범위에 포함되므로 f(x)=4ax-10, 즉 f(x)-4ax+10=0의 두 근이 또, 점 P(a, b)는 이차함수 y=xÛ`-3x+2의 그래프 149 Ú x<0일 때, y =xÛ`+4x+5=(x+2)Û`+1 Û x¾0일 때, y =xÛ`-4x+5=(x-2)Û`+1 따라서 -4ÉxÉ4에서 y=xÛ`-4|x|+5의 그래프 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x=-4 또는 x=0 또는 x=4일 때 최댓값 5, x=-2 또는 x=2일 때 최 (cid:90) (cid:22) (cid:18) (cid:14)(cid:19)(cid:14)(cid:21) (cid:48) (cid:19) (cid:21) (cid:89) 솟값 1을 가지므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5+1=6 6 150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4ax-10의 교점의 x좌표가 1, 5이므로 이차방정식 1, 5이다. 이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a이므로 f(x)-4ax+10=a(x-1)(x-5) ∴ f(x) =axÛ`-2ax+5a-10 =a(x-1)Û`+4a-10 x=2k일 때 최솟값 16을 갖는다. 즉, -8kÛ`=16 ∴ kÛ`=-2 이때 이를 만족시키는 실수 k의 값은 존재하지 않 는다. Ú, Û에서 k= ;1Á2; 152 이차함수 y=xÛ`-3x+2에서 x=0일 때 y=2이므로 A(0, 2) y=0일 때 xÛ`-3x+2=0에서 (x-1)(x-2)=0 ∴ x=1 또는 x=2 ∴ B(1, 0), C(2, 0) 점 P(a, b)가 점 A에서 점 B를 거쳐 점 C까지 움직 ;1Á2; 연 습 문 제 실 력 U P 이므로 0ÉaÉ2 위의 점이므로 b=aÛ`-3a+2 ∴ a+b+3 =a+(aÛ`-3a+2)+3 =aÛ`-2a+5 =(a-1)Û`+4 (0ÉaÉ2) 9 이때 a>0이므로 1ÉxÉ5에서 f(x)는 x=1일 때 따라서 a=0 또는 a=2일 때 최댓값 5, a=1일 때 최 최솟값을 갖는다. f(x)의 최솟값이 -8이므로 솟값 4를 가지므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f(1)=4a-10=-8 ∴ a= ;2!; 5+4=9 ∴ 100a=100_ =50 ;2!; 50 151 y =2xÛ`-8kx=2(x-2k)Û`-8kÛ` (x¾3) 153 점 P의 x좌표를 a라 하면 P(a, (a+1)Û`) 이때 점 P와 점 Q의 y좌표가 같으므로 y=(a+1)Û`을 Ú 2k<3일 때, y=x-3에 대입하면 꼭짓점의 x좌표가 주어진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a+1)Û`=x-3 ∴ x=aÛ`+2a+4 x=3일 때 최솟값 16을 갖는다. ∴ Q(aÛ`+2a+4, (a+1)Û`) 연습문제·실력 UP 119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19 2018-07-31 오후 7:36:25 이때 PQÓ의 길이는 PQÓ =(aÛ`+2a+4)-a=aÛ`+a+4 Û`+ a+ = { ;2!;} 15 4 156 xÝ`-15xÛ`+25=0에서 (xÝ`+10xÛ`+25)-25xÛ`=0, (xÛ`+5)Û`-(5x)Û`=0 (xÛ`+5x+5)(xÛ`-5x+5)=0 따라서 PQÓ의 길이의 최솟값은 a=- 일 때 이다. ;2!; :Á4°: 이차방정식 xÛ`+5x+5=0의 두 근을 a, b,   154 f(x)=xÜ`-9xÛ`+13x+23이라 하면 f(-1)=-1-9-13+23=0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Á4°: 이차방정식 xÛ`-5x+5=0의 두 근을 c, d라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5, ab=5, c+d=5, cd=5 ∴ + + ;º!; ;Œ!; ;¿!; + = 1 d c+d cd a+b ab + -5 5 + ;5%; = =0 0 157 xÝ`+8xÜ`+18xÛ`+8x+1=0에서 x+0이므로 양변을 -1 1 -9 `13 23 -1 `10 -23 1 -10 `23 0 f(x)=(x+1)(xÛ`-10x+23)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은 (x+1)(xÛ`-10x+23)=0 ∴ x=-1 또는 x=5Ñ 2 ' ∴ |a|+|b|+|c| =1+(5+ 2)+(5- 2) ' ' =11 11 155 (xÛ`-5x)(xÛ`-5x+13)+42=0에서 xÛ`-5x=X로 놓으면 X(X+13)+42=0, XÛ`+13X+42=0 ∴ x= 3i 5Ñ ' 2 Û X=-6일 때, xÛ`-5x+6=0 (x-2)(x-3)=0 ∴ x=2 또는 x=3 Ú, Û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해는 x= 3i 5Ñ ' 2 또는 x=2 또는 x=3 따라서 모든 실근의 곱은 120 Ⅱ. 방정식과 부등식 xÛ`으로 나누면 xÛ`+8x+18+ + ;[*; 1 xÛ` =0 xÛ`+ +8 x+ +18=0 ;[!;} 1 xÛ` x+ { ;[!;} x+ { ;[!;} +16=0 { Û`+8 x+ =X로 놓으면 ;[!; XÛ`+8X+16=0, (X+4)Û`=0 ∴ X=-4 따라서 x+ =-4이므로 ;[!; a+ =-4 ;Œ!; ① 입하면 -1-1-a-1=0 ∴ a=-3 ∴ xÜ`-xÛ`-3x-1=0 이 방정식의 한 근이 -1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1 1 -1 -3 -1 -1 2 1 1 -2 -1 0 (X+7)(X+6)=0 ∴ X=-7 또는 X=-6 Ú X=-7일 때, xÛ`-5x+7=0 158 xÜ`-xÛ`+ax-1=0의 한 근이 -1이므로 x=-1을 대 2_3=6 6 (x+1)(xÛ`-2x-1)=0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20 2018-07-31 오후 7:36:25 이때 a, b는 이차방정식 xÛ`-2x-1=0의 두 근이므 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2 161 f(x)=xÝ`-4xÜ`+7xÛ`-8x+4라 하면 f(1)=1-4+7-8+4=0 ∴ a+a+b=(-3)+2=-1 -1 f(2)=16-32+28-16+4=0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159 xÝ`+axÜ`+axÛ`+11x+b=0의 두 근이 3, -2이므로 x=3, x=-2를 각각 대입하면 81+27a+9a+33+b=0에서 36a+b=-114 16-8a+4a-22+b=0에서 -4a+b=6 yy ㉠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6 ∴ xÝ`-3xÜ`-3xÛ`+11x-6=0 이 방정식의 두 근이 3, -2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 여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3 1 -3 -3 11 -6 3 0 -9 6 -2 1 0 -3 2 0 -2 4 -2 1 -2 1 0 (x-3)(x+2)(xÛ`-2x+1)=0 (x-3)(x+2)(x-1)Û`=0 따라서 나머지 근은 x=1 (중근)이다. 160 f(x)=xÜ`-(2k+1)x-2k라 하면 f(-1)=-1+2k+1-2k=0 -1 1 0 -2k-1 -2k -1 1 2k 1 -1 -2k 0 f(x)=(x+1)(xÛ`-x-2k)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연 습 문 제 실 력 U P 1 1 -4 7 -8 4 1 -3 4 -4 2 1 -3 4 -4 0 2 -2 4 1 -1 2 0 f(x)=(x-1)(x-2)(xÛ`-x+2) ∴ (x-1)(x-2)(xÛ`-x+2)=0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1, ab=2 ∴ aÛ`+bÛ` =(a+b)Û`-2ab 이때 a, b는 이차방정식 xÛ`-x+2=0의 두 근이므로 =1Û`-2_2=-3 -3 162 (xÛ`-4x+3)(xÛ`-6x+8)=120에서 (x-1)(x-3)(x-2)(x-4)-120=0 {(x-1)(x-4)}{(x-3)(x-2)}-120=0 (xÛ`-5x+4)(xÛ`-5x+6)-120=0 (X+16)(X-6)=0 위의 식에 X=xÛ`-5x를 대입하면 (xÛ`-5x+16)(xÛ`-5x-6)=0 (xÛ`-5x+16)(x+1)(x-6)=0 이때 주어진 사차방정식의 한 허근 a는 이차방정식 xÛ`-5x+16=0의 근이므로 aÛ`-5a+16=0 ∴ aÛ`-5a=-16 ① 163 xÝ`-9xÜ`+20xÛ`-9x+1=0에서 x+0이므로 양변을 연습문제·실력 UP 121 x=1 (중근) xÛ`-5x=X로 놓으면 위의 방정식은 (X+4)(X+6)-120=0, XÛ`+10X-96=0 이때 방정식 f(x)=0의 근이 모두 실수가 되려면 이 차방정식 xÛ`-x-2k=0이 실근을 가져야 한다.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1+8k¾0 ∴ k¾- ;8!; k¾- ;8!; xÛ`으로 나누면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21 2018-07-31 오후 7:36:26 xÛ`-9x+20- + ;[(; 1 xÛ` =0 xÛ`+ -9 x+ +20=0 { ;[!;} x+ { ;[!;} Û`-9 x+ { ;[!;} +18=0 1 xÛ` ;[!; x+ =X로 놓으면 XÛ`-9X+18=0 (X-3)(X-6)=0 ∴ X=3 또는 X=6 Ú X=3일 때, x+ =3 ;[!; xÛ`-3x+1=0 ∴ x= 5 3Ñ ' 2 Û X=6일 때, x+ =6 ;[!; xÛ`-6x+1=0 ∴ x=3Ñ2 2 ' Ú, Û에서 모든 실근의 합은 5 3+ ' 2 + 5 3- ' 2 +3+2 2+3-2 2=9 9 ' ' 164 f(x)=xÜ`+(4-a)xÛ`-5ax+aÛ`=0이라 하면 f(a)=aÜ`+(4-a)aÛ`-5aÛ`+aÛ`=0 165 f(x)=2xÜ`+4xÛ`-3(k+2)x+3k라 하면 f(1)=2+4-3(k+2)+3k=0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1 2 4 -3k-6 3k 2 6 -3k 2 6 -3k 0 f(x)=(x-1)(2xÛ`+6x-3k) 이때 방정식 f(x)=0이 오직 한 개의 실근을 가지려 면 이차방정식 2xÛ`+6x-3k=0이 x=1을 중근으로 갖거나 허근을 가져야 한다. Ú 이차방정식 2xÛ`+6x-3k=0이 x=1을 중근으로 2xÛ`+6x-3k=0에 x=1을 대입하면 2+6-3k=0 갖는 경우 ∴ k= 8 3 2xÛ`+6x-3k=0에 k= 을 대입하면 2xÛ`+6x-8=0, xÛ`+3x-4=0 8 3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Û 이차방정식 2xÛ`+6x-3k=0이 허근을 갖는 경우 즉, (x+4)(x-1)=0이므로 중근을 갖지 않는다. a 1 4-a -5a aÛ` `a` 4a -aÛ` 1 ` 4` -a 0 f(x)=(x-a)(xÛ`+4x-a) ∴ (x-a)(xÛ`+4x-a)=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9+6k<0 D 4 ∴ k<- ;2#; Ú, Û에서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이때 주어진 방정식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이 차방정식 xÛ`+4x-a=0이 x+a인 서로 다른 두 실근 k<- 3 2 k<- ;2#; 을 가져야 한다. 하면 ;;4;D; 따라서 이차방정식 xÛ`+4x-a=0의 판별식을 D라 166 주어진 전개도를 접어 오각기둥을 만들면 다음 그림과 =4+a>0 ∴ a>-4 yy ㉠ 같다. 또한, x=a는 이차방정식 xÛ`+4x-a=0의 근이 아 x+1 니어야 하므로 aÛ`+4a-a+0, a(a+3)+0 ∴ a+0, a+-3 yy ㉡ ㉠, ㉡에서 음의 정수 a는 -2, -1의 2개이다. ② x x+3 x+2 x+5 122 Ⅱ. 방정식과 부등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22 2018-07-31 오후 7:36:26 이 오각기둥의 부피가 216이므로 x(x+5)+ {(x+1)+(x+5)}_2 _(x+3) ;2!; [ =216 ] (xÛ`+7x+6)(x+3)=216 ∴ xÜ`+10xÛ`+27x-198=0 f(x)=xÜ`+10xÛ`+27x-198이라 하면 f(3)=27+90+81-198=0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두 근끼리의 곱의 합) =aÛ`bÛ`+bÛ`cÛ`+cÛ`aÛ` =(ab+bc+ca)Û`-2(abÛ`c+abcÛ`+aÛ`bc) =(ab+bc+ca)Û`-2abc(a+b+c) =3Û`-2_2_0=9 (세 근의 곱)=aÛ`bÛ`cÛ`=(abc)Û`=2Û`=4 따라서 구하는 삼차방정식은 xÜ`+6xÛ`+9x-4=0 xÜ`+6xÛ`+9x-4=0 3 1 10 27 -198 3 39 198 1 13 66 0 f(x)=(x-3)(xÛ`+13x+66) 169 xÜ`+6xÛ`-4x-16=0의 세 근이 2a, 2b, 2c이므로 연 습 문 제 실 력 U P 즉, (x-3)(xÛ`+13x+66)=0에서 이차방정식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Û`+13x+66=0은 실근을 갖지 않으므로 2a+2b+2c=-6 x=3 3 2a_2b+2b_2c+2c_2a=-4 2a_2b_2c=16 ∴ a+b+c=-3, ab+bc+ca=-1, abc=2 따라서 a, b, c를 세 근으로 하고 xÜ`의 계수가 1인 삼 차방정식은 xÜ`+3xÛ`-x-2=0 즉, f(x)=xÜ`+3xÛ`-x-2이므로 a=3, b=-1, c=-2 ∴ abc=3_(-1)_(-2)=6 6 167 2xÜ`+3xÛ`-4x+4=0의 세 근이 a, b, c이므로 삼차 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c=- ;2#; ab+bc+ca=-2 abc=-2 ∴ (2-a)(2-b)(2-c) =8-4(a+b+c)+2(ab+bc+ca)-abc =8-4_ - +2_(-2)-(-2) 3 2 } { =12 12 = 2(1+i) (1-i)(1+i) = 2(1+i) 2 =1+i 즉, 한 근이 1+i 이고 계수가 실수이므로 1-i 도 근 170 2 1-i 이다. 168 xÜ`+3x-2=0의 세 근이 a, b, c이므로 삼차방정식 나머지 한 근을 a라 하면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 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계에 의하여 두 근끼리의 곱의 합은 a+b+c=0, ab+bc+ca=3, abc=2 a(1+i)+(1+i)(1-i)+a(1-i)=4 구하는 삼차방정식의 세 근이 aÛ`, bÛ`, cÛ`이므로 2a+2=4 ∴ a=1 (세 근의 합) =aÛ`+bÛ`+cÛ` 즉, 세 근이 1+i, 1-i, 1이므로 세 근의 곱은 =(a+b+c)Û`-2(ab+bc+ca) (1+i)(1-i)_1=a =0Û`-2_3=-6 ∴ a=2 2 연습문제·실력 UP 123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23 2018-07-31 오후 7:36:27 171 xÜ`=1에서 xÜ`-1=0, (x-1)(xÛ`+x+1)=0 174 삼차방정식 f(x)=0의 세 근이 a, b, c이므로 따라서 x는 xÜ`=1과 xÛ`+x+1=0의 한 허근이므로 f(a)=0, f(b)=0, f(c)=0 (xÜ`)41_xÛ` (xÜ`)41_x+1 + (xÜ`)41_x (xÜ`)41_xÛ`+1 xÜ`=1, xÛ`+x+1=0 x124 x125+1 x125 x124+1 ∴ + = = = xÛ` x+1 xÛ` -xÛ` + + x xÛ`+1 x -x Û x+1=-xÛ`, xÛ`+1=-x =-1-1=-2 -2 172 xÛ`-x+1=0의 양변에 x+1을 곱하면 (x+1)(xÛ`-x+1)=0, xÜ`+1=0 ∴ xÜ`=-1 이때 f(x+1)=0에서 x+1=a 또는 x+1=b 또는 x+1=c ∴ x=a-1 또는 x=b-1 또는 x=c-1 따라서 삼차방정식 f(x+1)=0의 세 근의 곱은 (a-1)(b-1)(c-1) =abc-(ab+bc+ca)+(a+b+c)-1 =(abc+a+b+c)-(ab+bc+ca)-1 =1-3-1=-3 -3 175 f(1)=f(3)=f(5)=-2에서 f(1)+2=0, f(3)+2=0, f(5)+2=0 즉, 삼차방정식 f(x)+2=0의 세 근이 1, 3, 5이다. 이때 1, 3, 5를 세 근으로 하고 xÜ`의 계수가 1인 삼차 따라서 x는 xÛ`-x+1=0과 xÜ`=-1의 한 허근이므로 방정식은 xÛ`-x+1=0, xÜ`=-1 ∴ (-1-x2020)(1-x2021)(1+x2022) xÜ`-(1+3+5)xÛ`+(3+15+5)x-15=0 ∴ xÜ`-9xÛ`+23x-15=0 ={-1-(xÜ`)673_x} _{1-(xÜ`)673_xÛ`}{1+(xÜ`)674} 즉, f(x)+2=xÜ`-9xÛ`+23x-15이므로 f(x)=xÜ`-9xÛ`+23x-17 =(-1+x)(1+xÛ`)(1+1) 따라서 방정식 f(x)=0의 모든 근의 곱은 삼차방정식 =xÛ`_x_2 =2xÜ`=-2 -2 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7이다. 17 173 삼차방정식 xÜ`+6xÛ`+ax+b=0의 세 근이 연속하는 세 정수이므로 세 근을 a-1, a, a+1이라 하자.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세 근의 합은 (a-1)+a+(a+1)=-6, 3a=-6 따라서 세 근이 -3, -2, -1이므로 (-3)_(-2)+(-2)_(-1)+(-1)_(-3)=a (-3)_(-2)_(-1)=-b ∴ b=6 ∴ a=-2 ∴ a=11 ∴ ab=66 124 Ⅱ. 방정식과 부등식 176 계수가 실수이므로 -1+i가 근이면 -1-i도 근이다. -1+i, -1-i를 두 근으로 하는 이차방정식은 xÛ`-{(-1+i)+(-1-i)}x+(-1+i)(-1-i)=0 ∴ xÛ`+2x+2=0 로 가져야 하므로 따라서 xÝ`+2xÜ`+3xÛ`+2x+2는 xÛ`+2x+2를 인수 xÛ` +1 xÛ`+2x+2`)`xÝ`+2xÜ`+3xÛ`+2x+2 xÛ`+2x+2 xÛ`+2x+2 0 xÝ`+2xÜ`+2xÛ` 66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24 2018-07-31 오후 7:36:27 즉, 주어진 사차방정식을 인수분해하면 B는 a를 제대로 보았으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Û`+2x+2)(xÛ`+1)=0 ∴ x=-1Ñi 또는 x=Ñi -1+2+3=-a ∴ a=-4 따라서 나머지 근이 아닌 것은 ③, ⑤이다. ③, ⑤ C는 b를 제대로 보았으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_2+2_5+5_(-1)=b ∴ b=3 따라서 처음 방정식은 xÜ`-4xÛ`+3x+5=0이고 세 근 이 a, b, c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c=4, ab+bc+ca=3, abc=-5 ∴ b ca c ab + a bc + aÛ`+bÛ`+cÛ` abc = (a+b+c)Û`-2(ab+bc+ca) abc = = 4Û`-2_3 -5 =-2 -2 연 습 문 제 실 력 U P 177 xÜ`=1에서 xÜ`-1=0, (x-1)(xÛ`+x+1)=0 따라서 x는 xÜ`=1과 xÛ`+x+1=0의 한 허근이므로 xÜ`=1, xÛ`+x+1=0 ∴ 1+2x+3xÛ`+4xÜ`+5xÝ`+6xÞ`+7xß` =1+2x+3xÛ`+4xÜ`+5xÜ`_x +6xÜ`_xÛ`+7_(xÜ`)Û` =1+2x+3xÛ`+4+5x+6xÛ`+7 =12+7x+9xÛ` =12+7x+9(-x-1) xÛ`=-x-1 Û =-2x+3 따라서 a=-2, b=3이므로 a+b=1 178 1 xÛ` x+ =0의 양변에 xÛ`을 곱하면 xÜ`+1=0, (x+1)(xÛ`-x+1)=0 1 180 이차방정식 xÛ`-2x+p=0의 두 근을 a, b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2 ab=p 그런데 a, b가 삼차방정식 xÜ`-3xÛ`+qx+2=0의 두 근이므로 나머지 한 근을 c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yy ㉠ yy ㉡ yy ㉢ yy ㉣ yy ㉤ 따라서 x는 xÜ`+1=0과 xÛ`-x+1=0의 한 허근이므로 의하여 xÜ`=-1, xÛ`-x+1=0 또한, 방정식 xÛ`-x+1=0의 계수가 실수이고 한 허 ab+bc+ca=q a+b+c=3 abc=-2 ㉠, ㉢에서 c=1 근이 x이므로 다른 한 근은 x®이다.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x®=1 x x® -x2090 = xÛ` x®_x =xÛ`-xÛ`=0 ∴ -(xÜ`)696_xÛ` c=1이므로 ㉡, ㉤에서 p=-2 ③ ㉣에서 q =ab+bc+ca =ab+c(a+b) =-2+1_2=0 179 xÜ`+axÛ`+bx+c=0에서 ∴ p+q=-2+0=-2 -2 다른풀이 xÜ`-3xÛ`+qx+2=0의 한 근이 c=1이 A는 c를 제대로 보았으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므로 x=1을 대입하면 (-1)_1_5=-c ∴ c=5 1-3+q+2=0 ∴ q=0 연습문제·실력 UP 125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25 2018-07-31 오후 7:36:28 181 조건 ㈎에서 f(4)=0이므로 x=4는 방정식 f(x)=0 의 근이다. f(4)= f(5)= x¡` xÝ`+1 x10 xÞ`+1 = = (xÜ`)Û`_xÛ` xÜ`_x+1 (xÜ`)Ü`_x xÜ`_xÛ`+1 xÛ` x+1 x xÛ`+1 = =f(1)=-1 = =f(2)=-1 조건 ㈏에서 2i는 f(x)=0의 근이고 계수가 실수이므 `⋮ 따라서 f(2x)=0의 근은 x=2 또는 x=Ñi이므로 구하는 세 근의 곱은 2_i_(-i)=2 2 xÜ`=1, xÛ`+x+1=0 로 -2i도 근이다. 이때 세 근이 4, 2i, -2i인 삼차방정식은 xÜ`-{4+2i+(-2i)}xÛ` +{4_2i+2i_(-2i)+(-2i)_4}x -4_2i_(-2i)=0 ∴ xÜ`-4xÛ`+4x-16=0 ∴ f(x) =xÜ`-4xÛ`+4x-16 =xÛ`(x-4)+4(x-4) =(x-4)(xÛ`+4) ∴ f(2x) =(2x-4)(4xÛ`+4) =8(x-2)(xÛ`+1) 다른풀이 조건 ㈎에서 f(4)=0이므로 4는 f(x)=0 의 근이다. 조건 ㈏에서 2i가 f(x)=0의 근이므로 -2i도 근이다. 즉, 방정식 f(x)=0의 세 근은 4, 2i, -2i이다. 한편, 방정식 f(x)=0의 세 근이 a, b, c이면 방정식 f(2x)=0의 세 근은 , , 이므로 ;2Ä; ;2©; ;2¹; _ _ = ;2¹; ;2©; ;2Ä; abc 8 = 4_2i_(-2i) 8 =2 182 xÜ`=1에서 xÜ`-1=0, (x-1)(xÛ`+x+1)=0 따라서 x는 xÜ`=1과 xÛ`+x+1=0의 한 허근이므로 xÜ`=1, xÛ`+x+1=0 f(n)에 n=1, 2, 3, y을 대입하면 f(1)= = =-1 xÛ` x+1 xÝ` xÛ`+1 xß` xÜ`+1 xÛ` -xÛ` xÜ`_x xÛ`+1 1 1+1 = = f(2)= f(3)= = x -x =-1 = ;2!; xß`=(xÜ`)Û`=1 Û 126 Ⅱ. 방정식과 부등식 이므로 f(n)=f(n+3)이다. 즉, f(1)=f(4)=f(7)= y =f(16)=f(19)=-1 f(2)=f(5)=f(8)= y =f(17)=f(20)=-1 f(3)=f(6)=f(9)= y =f(18)= ;2!; ∴ f(1)+f(2)+f(3)+ y +f(18)+f(19)+f(20) -1-1+ _6+(-1)+(-1) ;2!;} = { = -11 -11 183 xÜ`=1에서 xÜ`-1=0, (x-1)(xÛ`+x+1)=0 따라서 x는 xÜ`=1과 xÛ`+x+1=0의 한 허근이므로 또, 방정식 xÛ`+x+1=0의 계수가 실수이고 한 허근 이 x이므로 다른 한 근은 xÕ이다. ∴ xÕ Ü`=1, xÕ Û`+xÕ+1=0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xÕ=-1, xxÕ=1 ㄱ. xÕ Ü`=1 1 ㄴ. x + 1 xÕ 1 x + 1 xÕ x+1 xÛ` xÕ+1 xÕ Û` -xÛ` xÛ` -xÕ Û` xÕ Û` 1 xÛ` 1 xÕ Û` =-1 =-1 2` = + = = + = = = { { 1 x } 1 xÕ } 2` 1 x } ∴ 1 x + 1 xÕ ㄷ. -x-1=xÛ`이므로 = { 2` + { 1 xÕ } 2` (-x-1)Ç` =(xÛ`)Ç` =x2n x+xÕ=-1, xxÕ=1이므로 1 x } xÕ x+xÕ } { { ` - =(-xÕ)Ç` = n`‌‌ =(-xÛ`)Ç`  =(-1)Ç` _x2n xÕ x+xÕ } {  이때 (-x-1)Ç` = 에서 x2n=(-1)Ç` _x2n, 1=(-1)Ç` n`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26 2018-07-31 오후 7:36:29 n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n은 100 이하의 짝수이므로 따라서 연립방정식의 해는 그 개수는 50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2 또는 [ ' 2 x=-2 y=-4 2 이므로 ' 2 ' x=2 [ y=4 ' ab=16 ① 184 x+y=7 [ ax-y=1 의 해가 를 만족시키므로 두 x-y=b [ xÛ`+yÛ`=25 연립방정식의 공통인 해는 연립방정식 [ x+y=7 yy ㉠ xÛ`+yÛ`=25 yy ㉡ ㉠에서 y=7-x를 ㉡에 대입하면 xÛ`+(7-x)Û`=25, xÛ`-7x+12=0 (x-3)(x-4)=0 ∴ x=3 또는 x=4 이것을 ㉠에 대입하면 연립방정식의 해는 x=3, y=4 또는 x=4, y=3 Ú x=3, y=4를 ax-y=1, x-y=b에 각각 대입 이는 a, b가 양수라는 조건에 맞지 않다. Û x=4, y=3을 ax-y=1, x-y=b에 각각 대입 하면 3a-4=1에서 a= 5 3 3-4=b에서 b=-1 하면 4a-3=1에서 a=1 4-3=b에서 b=1 Ú, Û에서 a=1, b=1이므로 a+b=2 에서 [ xy+x+y=9 xy(x+y)=20 를 만족시킨다. x+y=a, xy=b로 놓으면 186 xy+x+y=9 [ xÛ`y+xyÛ`=20 a+b=9 [ ab=20 ㉠에서 b=9-a 연 습 문 제 실 력 U P yy ㉠ yy ㉡ yy ㉢ ㉢을 ㉡에 대입하면 a(9-a)=20 aÛ`-9a+20=0, (a-4)(a-5)=0 ∴ a=4 또는 a=5 a=4를 ㉢에 대입하면 b=5 a=5를 ㉢에 대입하면 b=4 Ú a=4, b=5, 즉 x+y=4, xy=5일 때, x, y는 이차방정식 tÛ`-4t+5=0의 두 근이므로 이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x, y는 존재하지 않는다. Û a=5, b=4, 즉 x+y=5, xy=4일 때, x, y는 이차방정식 tÛ`-5t+4=0의 두 근이다. (t-1)(t-4)=0에서 t=1 또는 t=4 ∴ x=1, y=4 또는 x=4, y=1 Ú, Û에서 [ x=1 또는 [ y=4 x=4 y=1 2 ∴ xÛ`+yÛ`=17 17 185 xÛ`+yÛ`=40 4xÛ`+yÛ`=4xy [ ㉡에서 4xÛ`-4xy+yÛ`=0, (2x-y)Û`=0 ∴ y=2x y=2x를 ㉠에 대입하면 xÛ`+(2x)Û`=40, xÛ`=8 ∴ x=Ñ2 2 ' y=2x이므로 x=Ñ2 2, y=Ñ4 2 (복부호동순) ' ' yy ㉠ yy ㉡ 187 xÛ`+2x-2y=0 [ x+y=a yy ㉠ yy ㉡ yy ㉢ ㉡에서 y=a-x를 ㉠에 대입하면 xÛ`+2x-2(a-x)=0 ∴ xÛ`+4x-2a=0 주어진 연립방정식이 실근을 갖지 않으려면 이차방정식 ㉢이 실근을 갖지 않아야 한다. 연습문제·실력 UP 127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27 2018-07-31 오후 7:36:29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그런데 x, y가 양의 정수이므로 =4+2a<0 ∴ a<-2 ;;4;D;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3이다. -3 x=3 [ y=1 또는 [ x=1 y=3 x=3 y=1 [ 또는 [ x=1 y=3 190 xÛ`-2xy+2yÛ`-4x+2y+5=0을 x에 대하여 내림 차순으로 정리하면 yy ㉠  yy ㉡ xÛ`-2(y+2)x+2yÛ`+2y+5=0 yy ㉠ x가 실수이므로 이차방정식 ㉠이 실근을 가져야 한다.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y+2)Û`-(2yÛ`+2y+5)¾0 D 4 yÛ`-2y+1É0, (y-1)Û`É0 이때 y도 실수이므로 y-1=0 ∴ y=1 y=1을 ㉠에 대입하면 xÛ`-6x+9=0, (x-3)Û`=0 ∴ x=3 따라서 x=3, y=1이므로 xy=3 3 -2 191 두 연립방정식의 공통인 해는 연립방정식 2x+y=3 yy ㉠ [ xÛ`-yÛ`=-45 yy ㉡ 를 만족시킨다. ㉠에서 y=3-2x yy ㉢ ㉢을 ㉡에 대입하면 xÛ`-(3-2x)Û`=-45 xÛ`-4x-12=0, (x+2)(x-6)=0 ∴ x=-2 또는 x=6 x=-2를 ㉢에 대입하면 y=7 x=6을 ㉢에 대입하면 y=-9 Ú x=-2, y=7을 aÛ`xÛ`-yÛ`=-1, x+y=bÛ`에 각각 4aÛ`-49=-1, -2+7=bÛ` 대입하면 ∴ aÛ`=12, bÛ`=5 Û x=6, y=-9를 aÛ`xÛ`-yÛ`=-1, x+y=bÛ`에 각각 대입하면 36aÛ`-81=-1, 6-9=bÛ` 188 두 이차방정식의 공통근을 a라 하면 paÛ`+a+1=0 [ aÛ`+pa+1=0 ㉠-㉡을 하면 (p-1)aÛ`-(p-1)a=0 (p-1)(aÛ`-a)=0, (p-1)a(a-1)=0 이때 a+0이므로 p=1 또는 a=1 Ú p=1일 때, 않다. Û a=1일 때, 이것을 ㉠에 대입하면 p+1+1=0 ∴ p=-2 Ú, Û에서 p=-2 두 이차방정식은 모두 xÛ`+x+1=0으로 허근을 갖는다. 즉, 공통인 실근을 갖는다는 조건에 맞지 189 2xÛ`-5xy+2yÛ`=5에서 (2x-y)(x-2y)=5 x, y가 양의 정수이므로 2x-y, x-2y는 정수이다. 따라서 2x-y, x-2y의 값은 다음 표와 같다. 2x-y x-2y 1 5 5 1 -1 -5 -5 -1 Ú 2x-y=1, x-2y=5일 때,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1, y=-3 Û 2x-y=5, x-2y=1일 때,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3, y=1 Ü 2x-y=-1, x-2y=-5일 때,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1, y=3 Ý 2x-y=-5, x-2y=-1일 때, 128 Ⅱ. 방정식과 부등식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3, y=-1 ∴ aÛ`= , bÛ`=-3 :ª9¼: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28 2018-08-06 오후 3:25:59 그런데 a, b가 실수이므로 aÛ`¾0, bÛ`¾0이어야 한 다. 즉, 주어진 조건에 맞지 않다. Ú, Û에서 aÛ`=12, bÛ`=5이므로 194 이차방정식 xÛ`+(m+1)x+2m-1=0의 두 근을 a, b라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Û`+bÛ`=17 192 x+y=2a-1 에서 [ [ xÛ`+xy+yÛ`=3aÛ`-4a+2 x+y=2a-1 (x+y)Û`-xy=3aÛ`-4a+2 ㉠을 ㉡에 대입하면 (2a-1)Û`-xy=3aÛ`-4a+2 17 a+b=-m-1 ab=2m-1 yy ㉠ yy ㉡ ㉠_2+㉡을 하면 2a+2b+ab=-3 2a+2b+ab+4=1 a(b+2)+2(b+2)=1 ∴ (a+2)(b+2)=1 yy ㉠ yy ㉡ a, b가 정수이므로 a+2, b+2도 정수이다. 따라서 a+2, b+2의 값은 오른쪽 표와 같다. 1 -1 1 -1 a+2 b+2 연 습 문 제 실 력 U P ∴ xy=aÛ`-1 yy ㉢ Ú a+2=1, b+2=1일 때, ㉠, ㉢을 만족시키는 x, y는 t에 대한 이차방정식 a=-1, b=-1이므로 이것을 ㉠에 대입하면 tÛ`-(2a-1)t+aÛ`-1=0의 두 실근이므로 이 이차 m=1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2a-1)Û`-4(aÛ`-1)¾0 -4a+5¾0 ∴ aÉ ;4%;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1이다. 1 Û a+2=-1, b+2=-1일 때, a=-3, b=-3이므로 이것을 ㉠에 대입하면 m=5 Ú, Û에서 m=1 또는 m=5 따라서 모든 정수 m의 값의 합은 1+5=6 ① yy ㉠ yy ㉡ yy ㉢ yy ㉠ yy ㉡ 195 Ú x¾y일 때, 193 두 삼차방정식의 공통근을 a라 하면 aÜ`+aaÛ`+ba+1=0 [ aÜ`+baÛ`+aa+1=0 ㉠-㉡을 하면 (a-b)aÛ`-(a-b)a=0 (a-b)a(a-1)=0 이때 a+0이므로 a=b 또는 a=1 Ú a=b일 때, ab=-4에서 aÛ`=-4이므로 a, b가 실수라는 조 건에 맞지 않다. Û a=1일 때, 이것을 ㉠에 대입하면 x ⊙ y=-x이므로 3x-yÛ`=-x 2x+y-1=-x [ ㉡에서 y=-3x+1 ㉢을 ㉠에 대입하면 (9x-1)(x-1)=0 ∴ x= 또는 x=1 ;9!; 3x-(-3x+1)Û`=-x, 9xÛ`-10x+1=0 1+a+b+1=0 ∴ a+b=-2 Ú, Û에서 a+b=-2이고 ab=-4이므로 aÛ`+bÛ` =(a+b)Û`-2ab x= 을 ㉢에 대입하면 y= ;9!; ;3@; x=1을 ㉢에 대입하면 y=-2 =(-2)Û`-2_(-4)=12 ⑤ 그런데 x¾y이므로 x=1, y=-2 연습문제·실력 UP 129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29 2018-07-31 오후 7:36:30 yy ㉣ yy ㉤ yy ㉥ Û x-11 1+ 3i가 근이면 1- 3i도 근이다. 나머지 한 실근을 ' a라 하면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의 양변에 4를 곱하면 3x+5<2(x-1)+4 3x+5<2x-2+4 ∴ x<-3 yy ㉠ ㉠, ㉡의 해를 수직선 위에 ㉡ 3i)+(1+ 3i)(1- 3i)+a(1- 3i)=b ' ' '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cid:14)(cid:18)(cid:18) (cid:14)(cid:20) 또, 방정식 xÛ`+ax+2=0과의 공통인 실근은 a이므로 따라서 x의 값 중에서 가장 큰 정수는 -4이다. yy ㉡ 같다. ∴ -1110-x 500(10-x)+800xÉ7000 500(10-x)+800xÉ7000에서 5000-500x+800xÉ7000, 300xÉ2000 ∴ a= :Á6»: :Á6»: ∴ xÉ :ª3¼: 따라서 볼펜은 6자루를 살 수 있다. 6자루 x>10-x에서 2x>10 ∴ x>5 ㉠, ㉡의 공통부분은 5 a의 양변에 12를 곱하면 3(3x+1)>4a, 9x+3>4a ∴ x> 4a-3 9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가 ㉠ 없도록 ㉠, ㉡을 수직선 위 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하므로 1É 4a-3 9 ∴ a¾3 yy ㉡ ㉡ (cid:89) (cid:18) (cid:21)(cid:66)(cid:14)(cid:20) (cid:26) 5x-8<3x+4 [ 3x+4É6x-5 5x-8<3x+4에서 2x<12 3x+4É6x-5에서 -3xÉ-9 ∴ x<6 ∴ x¾3 3Éx<6 204 2x+3y-1=10x+y-3에서 처음 부등식의 해는 ㉢, ㉣의 공통부분이므로 yy ㉢ yy ㉣ 3Éx<6 y=4x-1 yy ㉠ ㉠을 2<2y-3x<5에 대입하면 2<2(4x-1)-3x<5, 2<5x-2<5 따라서 실수 a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⑤이다.   ⑤ 4<5x<7 ∴ 3 ㉠, ㉡을 동시에 만족시 ㉠ 키는 정수 x가 하나뿐이 려면 오른쪽 그림과 같 아야 하므로 4<6-2aÉ5, -2<-2aÉ-1 yy ㉡ x가 1개뿐이려면 다음 그림과 같아야 한다. ㉡ ㉡ ㉠ 3 4 x 5 6-2a -2 -1 0 1 2 3 x -4a+1 2 -4a+1 2 Éa<1 ;2!; 즉, -2< É-1이어야 하므로 -4<-4a+1É-2, -5<-4aÉ-3 2x+a<2- 의 양변에 2를 곱하면 2-x 2 4x+2a<4-(2-x), 3x<2-2a yy ㉠ ∴ Éa< ;4#; ;4%; Éa< ;4#; ;4%; 208 의자의 개수를 x라 하면 전체 학생은 (5x+8)명이다. 6명씩 앉으면 의자 4개가 남는 다는 것은 의자 (x-5)개에 는 6명씩 앉고 남은 한 의자에 는 최소 1명에서 최대 6명까지 y (x-5)개 x개 Ú 1 남는 의자 1명 이상 6명 이하 yy ㉡ 앉을 수 있다는 뜻이다. 즉, 전체 학생은 {6(x-5)+1}명 이상 ㉡ {6(x-5)+6}명 이하이다. 4 5 3 ;3*; x 6 2-2a 3 따라서 부등식을 세우면 6(x-5)+1É5x+8É6(x-5)+6 즉, [ 6(x-5)+1É5x+8 5x+8É6(x-5)+6 yy ㉠ yy ㉡ ∴ Éa<1 ;2!; 206 ∴ x< 2-2a 3 3-2(1-x)>9-x에서 3-2+2x>9-x, 3x>8 ∴ x> ;3*; ㉠, ㉡을 동시에 만족시 ㉠ 키는 정수 x가 3개이려 면 오른쪽 그림과 같아 야 하므로 5< 2-2a 3 É6 132 Ⅱ. 방정식과 부등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32 2018-07-31 오후 7:36:32 ㉠을 풀면 6x-30+1É5x+8 ∴ xÉ37 Û 0Éx<4일 때, ㉡을 풀면 5x+8É6x-30+6 ∴ x¾32 x+(x-4)É2, 2xÉ6 ∴ xÉ3 ∴ 32ÉxÉ37 그런데 0Éx<4이므로 0ÉxÉ3 따라서 가능한 의자의 개수는 32, 33, 34, 35, 36, 37 Ü x¾4일 때, 이므로 의자의 개수가 될 수 없는 것은 ⑤ 38이다. x-(x-4)É2  ⑤ 즉, 0_xÉ-2이므로 해는 없다. 다른풀이 6명씩 앉으면 의자 4개가 남는다는 것은 학 Ú ~ Ü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생이 6(x-5)명 초과 6(x-4)명 이하라는 뜻이므로 xÉ3 xÉ3 6(x-5)<5x+8É6(x-4) ∴ 32Éx<38 212 2 (1-x)Û`+3|x+1|<9에서 "à 2|1-x|+3|x+1|<9 Ú x<-1일 때, 2(1-x)-3(x+1)<9 -5x<10 ∴ x>-2 연 습 문 제 실 력 U P ① 그런데 x<-1이므로 -2a-4 6x+40, f(x)0의 해는 y=f(x)의 그래프가 x축보다 위 쪽에 있는 부분의 x의 값의 범위이므로 x<-2 또는 x>2 yy ㉠ Û f(x)0에서 3xÛ`-4x-15<0, (3x+5)(x-3)<0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는 -1, 0, 5 4 215 2|x+1|+|x-1|Ék에서 f(x)=2|x+1|+|x-1|이라 하면 Ú x<-1일 때, f(x)=-2(x+1)-(x-1)=-3x-1 그런데 x<-1에서 -3x>3 즉, -3x-1>2이므로 f(x)>2 Û -1Éx<1일 때, ∴ - 0) ㉠, ㉡의 공통부분은 a<-1 a<-1 222 ㄱ. (x+1)Û`¾0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한다. ㄴ. xÛ`-x-1=0에서 x= 이므로 따라서 해는 모든 실수이다. xÛ`-x-1>0의 해는 x< 5 1- ' 2 또는 x> 5 1Ñ ' 2 5 1+ ' 2 ㄷ. xÛ`+6x+9>0에서 (x+3)Û`>0 따라서 해는 x+-3인 모든 실수이다. ㄹ. xÛ`-4x+6>0에서 (x-2)Û`+2>0 따라서 해는 모든 실수이다. 이상에서 해가 모든 실수인 것은 ㄱ, ㄹ이다. 연 습 문 제 실 력 U P ㄱ, ㄹ 223 |x|+|x-2|<3에서 Ú x<0일 때, (2x+1)(x-2)<0 ∴ - - ;2!; 그런데 x<0이므로 - 0, (a+1)(a-4)>0 ∴ a<-1 또는 a>4 즉, 0_x<1이므로 x는 모든 실수이다. 그런데 0Éx<2이므로 0Éx<2 yy ㉡ Ü x¾2일 때, x+x-2<3, 2x<5 ∴ x< ;2%; yy ㉠ 그런데 x¾2이므로 2Éx< yy ㉢ ;2%; ㉠ ㉡ ㉢ 0 -;2!; x 2 ;2%; Ú ~ Ü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yy ㉡ - 0, (2x+1)(2x-5)>0 ∴ x<- 또는 x> ;2!; ;2%; 225 해가 10의 부등호의 방향이 다르므로 ㉠의 양변 에 a<0인 상수 a를 곱하면 ③ 4xÛ`-8x-5<0, (2x+1)(2x-5)<0 a(x-1)(x-5)>0 ∴ - 0, (2x+5)(2x-1)>0 ∴ x<- 또는 x> ;2%; ;2!; ⑤ 4xÛ`+8x-5<0, (2x+5)(2x-1)<0 ∴ - f(0)에서 4a(x-1)(x+1)>5a a{4(x-1)(x+1)-5}>0 4xÛ`-9<0 (∵ a<0) ③ (2x+3)(2x-3)<0 ∴ - 0, 즉 xÛ`-2(k+3)x-4(k+3)<0의 해가 존재하지 않으 ㉠과 주어진 부등식 axÛ`+bx+c>0의 부등호의 방향 이차방정식 xÛ`-2(k+3)x-4(k+3)=0의 판별식 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2(k+3)x-4(k+3)¾0 yy ㉠ 이 성립해야 한다. 을 D라 하면 =(k+3)Û`+4(k+3)É0 D 4 kÛ`+10k+21É0, (k+7)(k+3)É0 ∴ -7ÉkÉ-3 이 부등식이 axÛ`+bx+c>0과 일치하므로 따라서 정수 k의 최솟값은 -7이다. -7 b=- a, c= ;3¤5; ;14!0; a   yy ㉡ ㉡을 4cxÛ`-2bx+a>0에 대입하면 227 xÛ`-2x+3É-xÛ`+k에서 2xÛ`-2x+3-kÉ0 이때 f(x)=2xÛ`-2x+3-k라 하면 Û`+ x- -k f(x)=2 { ;2!;} ;2%; -1ÉxÉ1에서 f(x)É0이 항상 성립하려면 y=f(x) -70 axÛ`+ ax+a>0 ;3Á5; ;3!5@; xÛ`+12x+35<0 (∵ a<0) (x+7)(x+5)<0 ∴ -70 ∴ a>1 yy ㉠ 이차방정식 (a-1)xÛ`-8(a-1)x+4=0의 판별 식을 D라 하면 =16(a-1)Û`-4(a-1)É0 ;;4;D; 4aÛ`-9a+5É0, (a-1)(4a-5)É0 ∴ 1ÉaÉ ;4%; yy ㉡ ㉠, ㉡의 공통부분은 10이므로 (x+2)Û`É0 따라서 해는 x=-2뿐이다. ㄷ. cxÛ`+bx+a =4axÛ`-4ax+a =a(2x-1)Û`¾0 이때 a<0이므로 (2x-1)Û`É0 따라서 해는 x= 뿐이다. ;2!;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이다. 229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à 실수이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a-1)xÛ`-8(a-1)x+4¾0 이 성립해야 한다. Ú a=1일 때, 즉, mÛ`-6m+17É-mÛ`-2m+15에서 2mÛ`-4m+2É0, mÛ`-2m+1É0 ㄱ (m-1)Û`É0 ∴ m=1 m=1을 ㉢에 대입하면 12É4nÉ12, 4n=12 ∴ n=3 (a-1)xÛ`-8(a-1)x+4가 ∴ mÛ`+nÛ`=1Û`+3Û`=10 ② 231 이차부등식 3xÛ`+2(a+b+c)x+ab+bc+caÉ0 의 해가 단 한 개 존재하므로 이차방정식 0_xÛ`-0_x+4¾0에서 4¾0이므로 이 부등식 3xÛ`+2(a+b+c)x+ab+bc+ca=0의 판별식을 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한다. D라 하면 연습문제·실력 UP 137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37 2018-07-31 오후 7:36:34 =(a+b+c)Û`-3(ab+bc+ca)=0 aÛ`+bÛ`+cÛ`-ab-bc-ca=0 ㉡ ㉠ -5 -2 1 3 ㉡ x {(a-b)Û`+(b-c)Û`+(c-a)Û`}=0 ㉠, ㉡의 해의 공통부분은 1ÉxÉ3 따라서 a-b=0, b-c=0, c-a=0이므로 따라서 이차부등식 axÛ`+bx-1¾0의 해가 1ÉxÉ3 D 4 ;2!; a=b=c ∴ + + = + + =9 3c b 3a c 3a a 3b b 3b a 3c c 9 232 f(x)=-xÛ`+4x+aÛ`-4라 하면 f(x)=-(x-2)Û`+aÛ` 1ÉxÉ4에서 f(x)¾0이 항상 성립하려면 y=f(x) 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아야 한다. y aÛ` 이므로 a<0 해가 1ÉxÉ3이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부등식은 (x-1)(x-3)É0, xÛ`-4x+3É0 양변에 a를 곱하면 axÛ`-4ax+3a¾0 (∵ a<0) 이 부등식이 axÛ`+bx-1¾0과 같으므로 b=-4a, -1=3a ∴ a=- , b= ;3!; ;3$; ∴ a+b=1 1 234 xÛ`-3x-10É0 [ (x-2)(x-a)>0 ㉠에서 (x+2)(x-5)É0 ∴ -2ÉxÉ5 ㉡에서 yy ㉠ yy ㉡ O y=f(x) 1 2 4 x 즉, 1ÉxÉ4에서 y=f(x)의 최솟값인 f(4)가 0보다 크거나 같아야 하므로 f(4)=-16+16+aÛ`-4¾0 aÛ`-4¾0, (a+2)(a-2)¾0 ∴ aÉ-2 또는 a¾2 Ú a<2일 때, x2 Û a=2일 때, (x-2)Û`>0이므로 해는 x+2인 모든 실수이다. Ü a>2일 때, x<2 또는 x>a ㉠, ㉡의 해의 공통부분이 22이어야 하고 실 수 a의 값의 범위는 yy ㉠ aÉ-2 yy ㉡ 따라서 실수 a의 최댓값은 -2이다. -2 ㉠에서 xÛ`-x-6É0, (x+2)(x-3)É0 ㉡에서 xÛ`+4x-5¾0, (x+5)(x-1)¾0 235 변의 길이는 양수이므로 ∴ xÉ-5 또는 x¾1 x-4>0, x-10>0 ∴ x>10 yy ㉠ 233 xÛ`Éx+6 [ xÛ`+4x¾5 ∴ -2ÉxÉ3 138 Ⅱ. 방정식과 부등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04~141_2단원(연)_ok.indd 138 2018-07-31 오후 7:36:35 직각삼각형의 넓이가 36 이하이므로 aÛ`-a-2¾0, (a+1)(a-2)¾0 (x-4)(x-10)É36 ;2!; xÛ`-14x-32É0 (x+2)(x-16)É0 ∴ -2ÉxÉ16 빗변의 길이가 2 7 이상이므로 1 ' (x-4)Û`+(x-10)Û`¾2 "à (x-4)Û`+(x-10)Û`¾68 17 '¶ xÛ`-14x+24¾0, (x-2)(x-12)¾0 ∴ xÉ2 또는 x¾12 yy ㉢ ㉠, ㉡, ㉢의 공통부분은 12ÉxÉ16 따라서 정수 x는 12, 13, 14, 15, 16의 5개이다. (cid:89)(cid:14)(cid:21) ∴ aÉ-1 또는 a¾2 yy ㉠ 이차방정식 xÛ`+(a-1)x+aÛ`=0의 판별식을 Dª라 (cid:89)(cid:14)(cid:18)(cid:17) yy ㉡ 하면 Dª=(a-1)Û`-4aÛ`¾0 3aÛ`+2a-1É0, (a+1)(3a-1)É0 ∴ -1ÉaÉ ;3!; yy ㉡ 따라서 적어도 하나가 실근을 갖는 경우는 ㉠, ㉡에서 aÉ ;3!; 또는 a¾2 ;3!; 또는 a¾2 다른풀이 적어도 하나가 실근을 갖는 경우는 모든 aÉ 경우에서 둘 다 허근을 갖는 경우를 제외한 것과 같다. 이차방정식 xÛ`+2ax+a+2=0의 판별식을 DÁ이라 연 습 문 제 실 력 U P 5 하면 DÁ 4 yy ㉠ yy ㉡ =aÛ`-(a+2)<0 aÛ`-a-2<0, (a+1)(a-2)<0 ∴ -10, (a+1)(3a-1)>0 면 다음 그림과 같아야 한다. ㉠ ㉡ Ú -k+2<-1에서 k>3 Û k+2>3에서 k>1 Ú, Û에서 k>3 -k+2 0-1 321 k+2 x ∴ a<-1 또는 a> ;3!; yy ㉡ 둘 다 허근을 갖는 a의 값의 범위는 ㉠, ㉡의 공통부분 인 0에서 -2a>-2 ∴ a<1 yy ㉡ ' ' yy ㉢ Ü y=f(x)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이 x=a+1이 므로 a+1>1 ∴ a>0 ㉠, ㉡, ㉢의 공통부분은 -1+ 3Éa<1 ' yy ㉢ -1+ 3Éa<1 ' 239 이차방정식 xÛ`-4(k-2)x+kÛ`+11=0의 두 근을 a, b, 판별식을 D라 하면 두 근이 모두 음수이므로 두 근 사이에 1이 있으므로 (cid:90)(cid:30)(cid:71)(cid:9)(cid:89)(cid:10) (cid:18) (cid:89) Ú =4(k-2)Û`-(kÛ`+11)¾0 ;;4;D; 3kÛ`-16k+5¾0, (3k-1)(k-5)¾0 13 241 f(x)=xÛ`+2ax+aÛ`-9라 하면 이차방정식 f(x)=0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한다. 따라서 f(1)<0이어야 하므로 ∴ kÉ 또는 k¾5 ;3!; yy ㉠ 1+2a+aÛ`-9<0 Û a+b=4(k-2)<0 ∴ k<2 yy ㉡ aÛ`+2a-8<0, (a+4)(a-2)<0 Ü ab=kÛ`+11>0이므로 k는 모든 실수이다. ∴ -40에서 2-a+2a-1>0 므로 a+b=-4k<0 ∴ k>0 ㉠, ㉡의 공통부분은 0-1 ㉠, ㉡, ㉢의 공통부분은 yy ㉡ - 0에서 3kÛ`-9k+6>0, kÛ`-3k+2>0 (k-1)(k-2)>0 ∴ k<1 또는 k>2 Ü y=f(x)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이 x=2k이므로 yy ㉡ yy ㉢ 2k<2 ∴ k<1 ㉠, ㉡, ㉢의 공통부분은 kÉ-2 따라서 실수 k의 최댓값은 -2이다. -2 (cid:20) (cid:19) (cid:89) (cid:19) (cid:20) (cid:89) 위의 그림에서 f(2)f(3)<0이므로 (4-4k+k+2)(9-6k+k+2)<0 (-3k+6)(-5k+11)<0 (3k-6)(5k-11)<0 ∴ 20에서 k<2 244 f(x)=2xÛ`-ax+2a-1이 라 하면 주어진 조건을 만족 오른쪽 그림과 같다. Ú f(-1)>0에서 Û f(0)<0에서 2a-1<0 ∴ a< ;2!; 시키는 y=f(x)의 그래프는 (cid:17) (cid:14)(cid:18) (cid:61) (cid:18) (cid:62) (cid:89) f(3)=9-6k+k+2>0에서 k< ;;Á5Á;; ㈂ y=f(x)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이 x=k이므로 2+a+2a-1>0 ∴ a>- yy ㉠ ;3!; ㈀, ㈁, ㈂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k의 값은 존재하 20, b>0이어야 한다. ∴ a=2 ' ∴ ab=6 3, b= 3 ' 5aÛ`-2a+10=5aÛ`-4a+4 2a=-6 ∴ a=-3 ∴ P(-3, -7) ∴ APÓ= (-3-3)Û`+(-7+2)Û`= 61 ② "à '¶ 250 ACÓ=BCÓ에서 ACÓ Û`=BCÓ Û`이므로 142 Ⅲ. 도형의 방정식 253 △ABC의 외심을 O'이라 하면 외심 O'에서 각 꼭짓 B 점까지의 거리는 같으므 로 외심 O'은 변 BC의 중 점이다. O'(-1, -1) 6 y O A(2, 1) x C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42~168_3단원(연)_ok.indd 142 2018-07-31 오후 7:38:31 즉, △ABC는 변 BC를 빗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이다. ∴ ABÓ Û`+ACÓ Û` =BCÓ Û`=(2 OÕ'AÓ)Û`=4 OÕ'AÓ Û` =4{(2+1)Û`+(1+1)Û`}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점 (5, -2), (-3, 4)를 B(-3, 4) P(x, y) 각각 A, B라 하면 ㉠은 P =52 ② PAÓ+PBÓ이므로 이것의 y O x A(5, -2) 254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PÕAÓ Û`+PBÓ Û`+PCÓ Û` 최솟값은 점 P가 ABÓ 위 에 있을 때이다. ∴ PAÓ+PBÓ ¾ABÓ (-3-5)Û`+(4+2)Û` = "à =10 =(x-1)Û`+(y-3)Û`+(x+3)Û`+(y+2)Û`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10이다. 10 +(x-2)Û`+(y-2)Û` KEY Point 두 점 A, B와 임의의 점 P에 대하여 PAÓ+PBÓ의 최솟값은 PAÓ+PBÓ¾ABÓ임을 이용하여 구한다. 연 습 문 제 실 력 U P A(a,`b) D(a+c,`b) 시간 후의 A와 B의 위치를 각 =3xÛ`+3yÛ`-6y+31 =3xÛ`+3(y-1)Û`+28 따라서 PÕAÓ Û`+PBÓ Û`+PCÓ Û`은 x=0, y=1일 때 최솟값 28을 갖고, 그때의 점 P의 좌표는 (0, 1)이다. ∴ PÕAÓ= 1-0)Û`+( 3-1)Û`= 5 ( " ' 5 ' 255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y BC를 x축, 점 B를 지나고 BCÓ에 수직인 직선을 y축 으로 하는 좌표평면을 잡으 BO C(c,(cid:31)0) x 면 점 B는 원점이 된다. A(a, b), C(c, 0)이라 하면 점 D의 좌표는 (a+c, b)이므로 ACÓ Û`+BDÓ Û` ={(c-a)Û`+(-b)Û`}+{(a+c)Û`+bÛ`} =2aÛ`+2bÛ`+2cÛ` 또, ABÓ Û`+BCÓ Û`=aÛ`+bÛ`+cÛ`이므로 2(ABÓ Û`+BCÓ Û`)=2aÛ`+2bÛ`+2cÛ` ∴ ACÓ Û`+BDÓ Û`=2(ABÓ Û`+BCÓ Û`) 풀이 참조 256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x-5)Û`+( ( " 은 점 P와 점 (5, -2), 점 P와 점 (-3, 4) 사이의 y-4)Û` y ㉠ x+3)Û`+( y+2)Û`+ ( " 거리의 합과 같다. 257 지점 O의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좌표평면을 생각하자. A와 B의 출발점의 위치를 각각 (0, 10), (-5, 0)으로 놓고 t y A 각 P, Q라 하면 P(0, 10-3t), Q(-5+4t, 0) ∴ PQÓ = = 25tÛ`-100t+125 "à (-5+4t)Û`+(-10+3t)Û` "à "à = 25(t-2)Û`+25 B O x 따라서 PQÓ는 t=2일 때 최솟값 5=5를 갖는다. 즉, 2 ' A와 B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될 때의 거리는 5`km이 다. 5`km 258 선분 AB를 1 : 2로 외분하는 점 P의 좌표는 1_(-1)-2_2 1-2 { , 1_5-2_0 1-2 } , 즉 (5, -5) 따라서 선분 OP를 3 : 2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3_5+2_0 3+2 { , 3_(-5)+2_0 3+2 } , 즉 (3, -3) ③ 연습문제·실력 UP 143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42~168_3단원(연)_ok.indd 143 2018-07-31 오후 7:38:32 Œ à à à à à à 259 두 점 A(1, -3), B(-4, 6)에 대하여 선분 AB를 k : (1-k)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k_(-4)+(1-k)_1 k+(1-k) { , k_6+(1-k)_(-3) k+(1-k) , } 즉 (-5k+1, 9k-3) 이 점이 제 2 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5k+1<0, 9k-3>0 k> ,``k> ∴ k> ;5!; ;3!; ;3!; 한편, k : (1-k)에서 k>0, 1-k>0 ∴ 0n>0이므로 -2n m-n <0, 4m-3n m-n >0 따라서 점 Q는 제 2 사분면 위의 점이다. 오른쪽 그림에서 △OAB= _4_2=4 ;2!; 이므로 △OBQ =△OAQ-△OAB =16-4=12 Q -2n 111m-n 이의 비와 같으므로 △OAQ : △OBQ=AQÓ : BQÓ 16 : 12=m : n, 12m=16n 이때 두 삼각형 OAQ, OBQ의 넓이의 비는 밑변의 길 ∴ n m = ;4#; 266 ABÓ= BCÓ= -5+1)Û` ( " ( " -3+5)Û` +(1-3)Û`=2 +(k-1)Û`= "à 5 ' kÛ`-2k+5 평행사변형 ABCD의 둘레의 길이가 6 5이므로 ' 2(ABÓ+BCÓ)=6 5에서 ' kÛ`-2k+5)=6 2(2 5+ ' "à 5 ' kÛ`-2k+5= 5 ' "à kÛ`-2k=0, k(k-2)=0 ∴ k=0 또는 k=2 이때 k=2이면 점 C(-3, 2)는 선분 AB의 중점이므로 k=0 평행사변형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하므 로 ACÓ의 중점과 BDÓ의 중점이 일치한다. 점 D의 좌표를 (a, b)라 하면 -1-3 2 = -5+a 2 , 3+0 2 = 1+b 2 ∴ a=1, b=2 따라서 점 D의 좌표는 (1, 2)이다. (1, 2) 267 변 AB의 중점의 좌표가 (3, 0)이므로 점 B의 좌표를 (a, b)라 하면 7+a 2 =3, 5+b 2 =0 ∴ a=-1, b=-5 연 습 문 제 실 력 U P y 4 3 4m-3n 1111m-n B A 즉, 점 B의 좌표는 (-1, -5)이다. 또,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가 (3, 1)이므로 점 C 의 좌표를 (c, d)라 하면 5-5+d 3 7-1+c 3 =3, =1 ∴ c=3, d=3 O 2 x 즉, 점 C의 좌표는 (3, 3)이다. 따라서 변 BC를 2`:`1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2_3+1_(-1) 2+1 { , 2_3+1_(-5) 2+1 , } ④ 1+3)Û`+(4-2)Û` A(-3, 2) 즉 , {;3%; ;3!;} 268 AGÓ = ( " =2 5 " , {;3%; ;3!;} G(1, 4) 무게중심 G는 ADÓ를 2 : 1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AGÓ= ADÓ, 2 5= ADÓ ;3@; ' ;3@; B D C ∴ ADÓ=2 5_ ' =3 5 ' ;2#; 정삼각형 ABC의 높이가 3 5이므로 3 ' 2 ABÓ=3 5 ∴ ABÓ=3 5_ ' ' ' 2 3 ' =2 15 '¶ 연습문제·실력 UP 145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42~168_3단원(연)_ok.indd 145 2018-07-31 오후 7:38:33 à à à à à 따라서 정삼각형 ABC의 넓이는 3 ' 4 _(2 15)Û`=15 3 '¶ ' KEY Point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a라 하면 3 •높이 : ' 2 a 3 •넓이 : ' 4 aÛ`` 271 △ABC에서 점 D는 선분 BC를 1 : 3으로 내분하므로 BDÓ : DCÓ=1 : 3 ∴ DCÓ=3 BDÓ 15 3 ' 269 △ABC와 이 삼각형 내부의 임의의 점 P에 대하여 APÓ Û`+BPÓ Û`+CPÓ Û`의 값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점 P는 △ABC의 무게중심과 일치하므로 점 P의 좌표는 1+4+1 3 { , 0+0+a 3 , 즉 { } 2, ;3A;} 일 때 APÓ Û`+BPÓ Û`+CPÓ Û`의 최솟값이 k=16 a 3 } 2, 따라서 P { 30이므로 APÓ Û`+BPÓ Û`+CPÓ Û` = (2-1)Û`+ [ {;3A;} ] [ + (2-4)Û`+ {;3A;} ] 2` 2` (2-1)Û`+ + [ -a } ] {;3A; = aÛ`+6=30 ;3@; aÛ`=36 ∴ a=6 (∵ a>0) 2` 6 점 E는 선분 BC를 2 : 3으로 외분하므로 EBÓ =2 BCÓ F A a =2(BDÓ+DCÓ) E =8 BDÓ 8a B D 3a C 즉, △AEB의 넓이는 △ABD의 넓이의 8배이다. 점 F는 선분 AB를 1 : 2로 외분하므로 BFÓ=2 ABÓ 즉, △FEB의 넓이는 △AEB의 넓이의 2배이다. 따라서 △FEB=2△AEB=16△ABD이므로 16 272 △ABP에서 APÓDCÓ이므로 BÕAÓ : DAÓ=BPÓ : CPÓ (-5)Û`+(-9-3)Û`=13 ABÓ= "à ADÓ=ACÓ= 4Û`+(-3)Û`=5 "à ∴ BPÓ : CPÓ=13 : 5 따라서 점 P는 BCÓ를 13 : 5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점 13_4-5_(-5) 13-5 { , 13_0-5_(-9) 13-5 , } P의 좌표는 즉 { 77 8 , 45 8 } 은 선분 PQ의 중점이다. 이므로 점 B는 선분 PQ를 1 : 2 이므로 점 C는 선분 PQ를 3 : 1 이등분선이므로 세 점 A, B, C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AOÓ=6 273 ADÓ는 ∠A의 외각의 AOÓ : ABÓ=ODÓ : BDÓ A O B ABÓ= (4-0)Û`+(3-6)Û`=5 "à ∴ ODÓ : BDÓ=6 : 5 B A C P( 2) ' Q( 3) ' 따라서 위치가 왼쪽인 점부터 순서대로 나열하면 B, A, C이다. B, A, C ∴ a-b=6 따라서 점 D(a, b)는 OBÓ를 6 : 5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a= 6_4-5_0 6-5 =24, b= 6_3-5_0 6-5 =18 ⑤ D 6 270 ' 점 A { 1_ B { 3 ' 2+ 2 } 3+2_ 1+2 ' 2 ' } 로 내분하는 점이다. 3_ ' 3-1_ 3-1 2 ' } C { 로 외분하는 점이다. 같다. 146 Ⅲ. 도형의 방정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42~168_3단원(연)_ok.indd 146 2018-07-31 오후 7:38:34 274 두 점 (-1, 2), (2, a)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의 방정식은 따라서 두 점 A(1, 1), B(-1, -3)을 지나는 직선 y-1= (x-1) ∴ y=2x-1 -3-1 -1-1 y-2= ∴ y= (x+1) a-2 2-(-1) a-2 3 x+ a+4 3 이 직선이 점 (0, 5)를 지나므로 , a+4=15 5= a+4 3 ∴ a=11 275 기울기가 tan`60ù= ' 직선의 방정식은 y-(- 3(x-1) 3)= ' ' 3x-2 ' ∴ y= 3 ' 따라서 x절편이 2, y절편이 -2 3 ' 이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구하는 넓 이는 _2_2 3=2 3 ' ' ;2!; 3이고 점 (1, - 3)을 지나는 ' y O -2 3 ' ④ 278 직선 5x+6y=1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A, B라 하면 A , 0 , B 0, {;5!; } { ;6!;} 이때 직선 y=mx가 △OAB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ABÓ의 중 점을 지나야 한다. y=2x-1 y B 1 6 O y=mx A 1 5 x 5x+6y=1 연 습 문 제 실 력 U P ABÓ의 중점의 좌표는 , {;1Á0; ;1Á2;} 이고 2 x 직선 y=mx가 이 점을 지나므로 = ;1Á2; ;1Á0; m ∴ m= ;6%; ;6%; ④ 279 276 x절편과 y절편의 절댓값이 같고 부호가 반대이므로 x (기울기)=- <0, ( y절편)=- >0 a b 절편을 a`(a+0)라 하면 y절편은 -a이다. ∴ ab>0, bc<0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이때 a, c의 부호는 서로 다르므로 ac<0 ax+by+c=0에서 y=- x- 이므로 =1 ∴ y=x-a yy ㉠ bx+cy+a=0에서 y=- x- 이므로 a b ;cB; ;bC; ;bC; ;cA; ;cA; x a + y -a 이 직선이 점 (2, -1)을 지나므로 -1=2-a ∴ a=3 a=3을 ㉠에 대입하면 y=x-3 따라서 이 직선의 y절편은 -3이다. -3 (cid:67)(cid:89)(cid:12)(cid:68)(cid:90)(cid:12)(cid:66)(cid:30)(cid:17) (기울기)=- >0, ( y절편)=- >0 ;cB; 따라서 기울기와 y절편이 모 두 양수인 직선은 오른쪽 그림 과 같으므로 제 4 사분면을 지 나지 않는다. 277 세 점 A(1, 1), B(-1, -a), C(a, 5)가 한 직선 위 에 있으므로 (직선 AB의 기울기)=(직선 AC의 기울기) = 5-1 -a-1 -1-1 a-1 aÛ`=9 ∴ a=3 (∵ a>0) , (a+1)(a-1)=8 280 (k-1)x+(k+2)y-3=0 ㄱ. ㉠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x+2y-3)+k(x+y)=0 (cid:90) (cid:48) (cid:89) ③ yy ㉠ 연습문제·실력 UP 147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42~168_3단원(연)_ok.indd 147 2018-07-31 오후 7:38:34 이 식이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므로 -x+2y-3=0, x+y=0 283 두 직사각형의 넓이를 동시에 이등분하는 직선은 각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1, y=1 직사각형의 대각선의 교점을 모두 지나야 한다. 따라서 직선 ㉠은 k의 값에 관계없이 점 (-1, 1) 두 직사각형의 대각선의 교점을 각각 A, B라 하면 을 지난다. ㄴ. k=1을 ㉠에 대입하면 y=1 따라서 직선 ㉠은 x축에 평행하다. ㄷ. k=-2를 ㉠에 대입하면 x=-1 따라서 직선 ㉠은 점 (0, -1)을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ㄱ, ㄴ A { -3-1 2 , 2+6 2 } 3+7 2 , -4-2 2 } B { ∴ A(-2, 4) ∴ B(5, -3) 따라서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4= -3-4 5-(-2) (x+2) ∴ y=-x+2 직선 3x-ay+12=0에서 x절편은 -4, y절편은 2a-b=3 ∴ b=2a-3 yy ㉠ 12 a 281 이므로 y=-x+2 284 점 (a, b)가 직선 2x-y=3 위에 있으므로 ㉠을 ax+by+6=0에 대입하면 ax+(2a-3)y+6=0 이 식을 a에 대하여 정리하면 -3y+6+(x+2y)a=0 이 식이 a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므로 -3y+6=0, x+2y=0 ∴ x=-4, y=2 따라서 구하는 점 P의 좌표는 (-4, 2)이다. (-4, 2) ① 285 y=mx+2m-1을 m에 대하여 정리하면 (x+2)m-(y+1)=0 yy ㉠ 이므로 직선 ㉠은 m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2, -1)을 지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 선 ㉠이 직사각형과 만 나도록 직선 ㉠을 움직 여 보면 Ú 직선 ㉠이 점 (3, 1) 을 지날 때, Û y 2 1 O 1 -1 Ú 3 x -2 5m-2=0 ∴ m= ;5@; Û 직선 ㉠이 점 (1, 2)를 지날 때, A(-4, 0), B 0, 12 a } { a>0이므로 직선 3x-ay+12=0은 오른쪽 그 림과 같다. (cid:90) (cid:35) (cid:18)(cid:19) (cid:66) (cid:34) △OAB의 넓이가 6이므로 (cid:14)(cid:21) (cid:48) (cid:89) ;2!; _4_ 12 a 6a=24 ∴ a=4 =6 282 세 점 A(2, -5), B(a, -2), C(6, 2a+1)이 삼 각형을 이루지 않으려면 세 점이 한 직선 위에 있어야 하므로 (직선 AB의 기울기)=(직선 AC의 기울기) -2-(-5) a-2 2a+1-(-5) 6-2 = 12=(2a+6)(a-2) aÛ`+a-12=0, (a+4)(a-3)=0 ∴ a=-4 또는 a=3 따라서 구하는 모든 a의 값의 곱은 148 Ⅲ. 도형의 방정식 -4_3=-12 -12 3m-3=0 ∴ m=1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42~168_3단원(연)_ok.indd 148 2018-07-31 오후 7:38:35 Ú, Û에서 구하는 m의 값의 범위는 ÉmÉ1 ;5@; 따라서 a= , b=1이므로 ;5@; ;5@; 5ab=5_ _1=2 2 286 가로의 길이는 세로의 길이의 3배이므로 세로의 길이 를 a`(a>0)라 하면 가로의 길이는 3a이다.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가 32이므로 2(3a+a)=32 ∴ a=4 따라서 세로의 길이는 4, 가로의 길이는 12이므로 B(-8, 3-4) ∴ B(-8, -1) D(-8+12, 3) ∴ D(4, 3) 따라서 두 점 B, D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1)= (x+8) 3-(-1) 4-(-8) ∴ y= x+ ;3%; ;3!; y= x+ ;3!; ;3%; 287 p 2 - { 이다. f(x) =xÛ`+px+p= { x+ +p- pÛ` 4 p 2 } 2` 이므로 이 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 A의 좌표는 , p- , y축과 만나는 점 B의 좌표는 (0, p) pÛ` 4 }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 l의 기울기는 p- p- { 0- - { pÛ` 4 } p 2 } = p 2 은 y= x+p p 2 이 식에 y=0을 대입하면 p 2 x+p=0 ∴ x=-2 288 직선 x+3y-3=0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A, B라 하면 A(3, 0), B(0, 1) ABÓ의 삼등분점을 각각 P, Q라 하면 원점을 지나는 두 직선이 직선 x+3y-3=0과 x축 및 y축으로 둘러 싸인 삼각형의 넓이를 삼등분하는 경우는 두 직선이 각각 점 P, Q를 지날 때이다. APÓ=PQÓ=QBÓ이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점 P, Q 의 x좌표는 AOÓ의 삼등분 점의 x좌표와 같고, 점 P, Q의 y좌표는 OBÓ의 삼등 y 1 B O 분점의 y좌표와 같음을 알 수 있다. ∴ P 2, { , Q { 1, ;3@;} ;3!;} Q P x A 3 x+3y-3=0 연 습 문 제 실 력 U P 따라서 직선 OP의 기울기는 = 직선 OQ의 -0 ;3!; 2-0 1 6 , 기울기는 = 이므로 두 직선의 기울기의 합은 -0 ;3@; 1-0 2 3 + = ;6%; ;3@; ;6!; ;6%; 289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l 과 선분 CD의 교점을 P, 3 점 P에서 x축,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Q, R라 하면 삼각형 OPQ의 넓이 O y E R 1 l B 5 A x D P C 3 Q ABCQ와 사각형 DERP의 넓이가 서로 같다. 3_ERÓ=2_1 ∴ ERÓ= ;3@; 따라서 P { 3, 7 3 } 즉, p=9, q=7이므로 이므로 직선 l의 기울기는 이다. 7 9 연습문제·실력 UP 149 이고 직선 l이 점 (0, p)를 지나므로 직선 l의 방정식 와 삼각형 OPR의 넓이가 서로 같으므로 사각형 따라서 직선 l의 x절편은 -2이다. ② p+q=16 ②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42~168_3단원(연)_ok.indd 149 2018-07-31 오후 7:38:35 290 y=kx-2k+2에서 (x-2)k-y+2=0 를 지난다. 29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AH는 A(1, 4) yy ㉠ 직선 y=x-3에 수직이므로 직 y=x-3 이므로 직선 ㉠은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P(2, 2) 선 AH의 기울기는 -1이다. 또, 이 직선이 점 A(1, 4)를 지 H 다음 그림과 같이 직선 ㉠이 △ABC와 만나지 않도록 나므로 직선 AH의 방정식은 직선 ㉠을 움직여 보면 y-4=-1_(x-1) ∴ y=-x+5 (cid:49)(cid:9)(cid:19)(cid:13)(cid:3)(cid:19)(cid:10) (cid:141) x=4, y=1 따라서 점 H는 두 직선 y=x-3과 y=-x+5의 교 점이므로 두 직선의 방정식을 연립하여 풀면 즉, 구하는 점 H의 좌표는 (4, 1)이다. (4, 1) (cid:90) (cid:140) (cid:34)(cid:9)(cid:18)(cid:13)(cid:3)(cid:19)(cid:10) (cid:35)(cid:9)(cid:14)(cid:18)(cid:13)(cid:3)(cid:18)(cid:10) (cid:48) (cid:89) (cid:36)(cid:9)(cid:20)(cid:13)(cid:3)(cid:14)(cid:18)(cid:10) Ú 직선 ㉠이 점 C(3, -1)을 지날 때, k+3=0 ∴ k=-3 Û 직선 ㉠이 점 A(1, 2)를 지날 때, -k=0 ∴ k=0 Ú, Û에서 구하는 k의 값의 범위는 -30) 즉, 2a+1=0 ∴ a=- 1 2 Ú ~ Ü에서 모든 a의 값의 곱은 _ - { _ - { = ;6!; ;2!;} ;3@;} ;2!; ;6!; 직선 3x+4y+1=0, 즉 y=- x- 에 수직인 직 3 4 ;4!; ④ 303 4 3 선의 기울기는 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4 3 y= x+k, 즉 4x-3y+3k=0으로 놓을 수 있다. 원점과 이 직선 사이의 거리가 1이므로 =1, |3k|=5 |3k| 4Û`+(-3)Û` "à 3k=Ñ5 ∴ k=- 또는 k= ;3%; ;3%;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4x-3y-5=0 또는 4x-3y+5=0 4x-3y-5=0, 4x-3y+5=0 304 직선 y=3x+2에 평행하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y=3x+k, 즉 3x-y+k=0 yy ㉠ 으로 놓을 수 있다. 301 점 A에서 변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D라 하면 직 선 BC의 기울기는 (cid:38) =- 6-4 2-8 ;3!; AD의 기울기는 3이다. 이므로 직선 따라서 직선 AD의 방정식은 (cid:90) (cid:48) (cid:36)(cid:9)(cid:19)(cid:13)(cid:3)(cid:23)(cid:10) (cid:37) (cid:34)(cid:9)(cid:20)(cid:13)(cid:3)(cid:14)(cid:18)(cid:10) (cid:35)(cid:9)(cid:25)(cid:13)(cid:3)(cid:21)(cid:10) (cid:89) y+1=3(x-3) ∴ y=3x-10 yy ㉠ 또, 점 B에서 변 AC에 내린 수선의 발을 E라 하면 직선 AC의 기울기는 =-7이므로 직선 6-(-1) 2-3 BE의 기울기는 이다. ;7!; 따라서 직선 BE의 방정식은 y-4= (x-8) ∴ y= x+ yy ㉡ ;7!; :ª7¼: ;7!; 직선 y=3x+2 위의 한 점 (0, 2)와 직선 ㉠ 사이의 ㉠, ㉡을 연립하여 풀면 x= , y= ;2(; ;2&; 따라서 구하는 세 수선의 교점의 좌표는 KEY Point 삼각형의 각 꼭짓점에서 대변에 그은 세 수선은 한 점에서 만나며 세 수선의 교점을 수심이라 한다. 거리가` 0 3 1 ' 5 |-2+k| 3Û`+(-1)Û` 이므로 = 3 0 1 ' 5 , |-2+k|=6 "à -2+k=Ñ6 ∴ k=-4 또는 k=8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3x-y-4=0 또는 3x-y+8=0 , {;2(; ;2&;} 이다. , {;2(; ;2&;} 수심 3x-y-4=0, 3x-y+8=0 3, 1)과 직선 y= 3x+n, 즉 3x-y+n=0 ' ' 사이의 거리가 3이므로 y= x ∴ x-2y=0 O 1 2 305 선분 OA의 길이는 OÕAÓ= 2Û`+1Û`= 5 "à ' 직선 OA의 방정식은 y B(3,�2) C(1,�1) A(2,�1) h x 302 점 ( ' 152 Ⅲ. 도형의 방정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42~168_3단원(연)_ok.indd 152 2018-07-31 오후 7:38:38 Œ Œ 평행사변형 OABC의 높이 h는 점 C(1, 1)과 직선 308 직선 OA를 x축, 직선 OC를 y축으로 하는 좌표평면 OA 사이의 거리이므로 h= |1-2| 1Û`+(-2)Û` = 1 5 OÕAÓ_h= 5_ =1 ' 1 5 ' "à ' 따라서 구하는 평행사변형 OABC의 넓이는 을 잡으면 O(0, 0), A(6, 0), B(6, 3), C(0, 3) 선분 OB를 1 : 2로 내분하는 점 D의 좌표는 1 1_6+2_0 1+2 { , 1_3+2_0 1+2 } , 즉 (2, 1) 306 (a+1)x-(a-3)y+a-15=0을 a에 대하여 정리 하면 x+3y-15+(x-y+1)a=0 이 식이 a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므로 x+3y-15=0, x-y+1=0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3, y=4 ∴ A(3, 4) 점 A와 직선 2x-y+p=0 사이의 거리가 5이므로 "à ' 직선 CD의 방정식은 y-3= (x-0) ∴ x+y-3=0 1-3 2-0 선분 OD를 2 : 3으로 외분하는 점 E의 좌표는 2_2-3_0 2-3 { , 2_1-3_0 2-3 } , 즉 (-4, -2) 따라서 점 E(-4, -2)와 직선 x+y-3=0 사이의 거리는 |-4-2-3| 1Û`+1Û` = 9 2 ' 9 2 ' 2 = y 3 C -4 E D O -2 B 6 A x ④ 연 습 문 제 실 력 U P |6-4+p| 2Û`+(-1)Û` = 5 ' "à |2+p|=5, 2+p=Ñ5 ∴ p=-7 또는 p=3 따라서 모든 상수 p의 값의 합은 -7+3=-4 -4 307 x-2y-4+k(2x+y)=0에서 (2k+1)x+(k-2)y-4=0 yy ㉠ 두 직선 ㉠과 ㉡, ㉡과 ㉢, ㉢ 점 (1, -2)와 직선 ㉠ 사이의 거리 f(k)는 f(k) = |2k+1-2(k-2)-4| +(k-2)Û` (2k+1)Û` 과 ㉠의 교점을 각각 A, B, C 라 하면 세 교점의 좌표는 A(1, 1), B(3, 2), C(2, 3) 309 2x-y-1=0 x-2y+1=0 x+y-5=0 yy ㉠ y ㉢ yy ㉡ yy ㉢ ㉠ C ㉡ B x A O f(k)의 분모가 최소일 때 f(k)의 값은 최대가 된다. 임의의 실수 k에 대하여 kÛ`¾0이므로 k=0일 때 분모 "à 1 5kÛ`+5 = "à 는 최솟값 5를 갖는다. ' 따라서 f(k)의 최댓값은 5 = ' 5 1 5 ' 선분 AB의 길이는 ABÓ= (3-1)Û`+ (2-1)Û`= "à 5 ' 점 C(2, 3)과 직선 ㉡ 사이의 거리는 |2-6+1| 1Û`+(-2)Û` = 3 5 "à 따라서 △ABC의 넓이는 ' ' 5 5 _ 5_ ;2!; ' = ;2#; 3 5 ' ;2#; 연습문제·실력 UP 153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42~168_3단원(연)_ok.indd 153 2018-07-31 오후 7:38:38 à à 310 구하는 예각의 이등분선 위의 임의의 점을 P(x, y)라 하면 점 P에서 두 직선 3x+y=0, x+3y+4=0에 |2_1+1_0-k| 2Û`+1Û` "à = 5, |2-k|=5 ' 2-k=Ñ5 ∴ k=-3 또는 k=7 이르는 거리가 같으므로 |3x+y| 3Û`+1Û` = |x+3y+4| 1Û`+3Û` "à |3x+y|=|x+3y+4| "à 3x+y=Ñ(x+3y+4) ∴ x-y-2=0 또는 x+y+1=0 그런데 오른쪽 그림에 서 두 직선이 이루는 예각의 이등분선의 기 울기는 음수이므로 구 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x+y+1=0 y 3x+y=0 P x+3y+4=0 O x 311 직선 y=-2x+k와 평행하고 이차함수 y=xÛ`+3의 그래프에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y=-2x+a ( a는 상수)라 하면 xÛ`+3=-2x+a에서 xÛ`+2x+3-a=0 이때 k=7이면 이차함수 y=xÛ`+3의 그래프와 직선 y=-2x+7이 만나므로 k+7 ∴ k=-3 -3 312 ACÓ가 y축과 평행하므로 △ABC의 넓이는 _8_1=4 ;2!; 직선 AB의 방정식은 y-8= (x-1) -1-8 0-1 ∴ y=9x-1 점을 각각 D, E라 하면 점 D의 x좌표는 a=9x-1에서 x= a+1 9 점 E의 좌표는 (1, a)이므로 DEÓ=1- a+1 9 = 8-a 9 , AEÓ=8-a y 8 A D E y=a 1 C O -1 B x x+y+1=0 직선 y=a가 ABÓ, ACÓ와 만나는 이 이차방정식이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차방정식의 따라서 △ADE의 넓이는 판별식을 D라 하면 D 4 =1Û`-(3-a)=0 ∴ a=2 따라서 직선 y=-2x+k와 평행하고 이차함수 _DEÓ_AEÓ = ;2!; _ ;2!; 8-a 9 _(8-a) = (8-a)Û` 1 18 y=xÛ`+3의 그래프에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이때 △ADE의 넓이가 △ABC의 넓이의 이므로 ;2!; (8-a)Û`= _4, aÛ`-16a+28=0 ;1Á8; ;2!; y=xÛ`+3 (a-2)(a-14)=0 ∴ a=2 또는 a=14 그런데 -10) 4 ∴ 3Ék<6 3Ék<6 314 구하는 원의 중심을 C라 하면 점 C는 ABÓ의 중점이므 로 점 C의 좌표는 5+a 2 { , 1-3 2 } , 즉 { a+5 2 , -1 } 또,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ACÓ의 길이와 같으므로 ACÓ= a+5 2 -5 } ¾¨{ Û`+(-1-1)Û`= 5 ' 양변을 제곱하면 Û`+4=5 a-5 2 } { { a-5 2 } ∴ a=3 (∵ a<5 ) Û`=1, a-5=Ñ2 따라서 중심이 점 (4, -1)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5 ' 인 원의 방정식은 (x-4)Û`+(y+1)Û`=5 317 원의 중심이 직선 y=x-1 위에 있으므로 원의 중심 의 좌표를 (a, a-1)이라 하면 반지름의 길이는 |a| 이다. 즉, 이 원의 방정식은 (x-a)Û`+(x-a+1)Û`=aÛ` 이 원이 점 (3, -1)을 지나므로 (3-a)Û`+(-1-a+1)Û`=aÛ` (3-a)Û`=0 ∴ a=3 따라서 구하는 반지름의 길이는 |3|=3 ② 318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 (r>0)라 하면 x축과 y축에 동시에 접하고 중심이 제 3 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는 (-r, -r)이다. (x-4)Û`+(y+1)Û`=5 이때 원의 중심 (-r, -r)가 직선 2x-5y=6 위에 연 습 문 제 실 력 U P 315 xÛ`+yÛ`-6x-8y+10=0에서 (x-3)Û`+(y-4)Û`=15 직선이 원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원의 중심을 지나야 하므로 점 (1, 0)과 원의 중심 (3, 4)를 지나는 직선 있으므로 -2r+5r=6 ∴ r=2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x+2)Û`+(y+2)Û`=4 의 방정식은 y= 4-0 3-1 ∴ y=2x-2 (x-1) 따라서 구하는 y절편은 -2이다. 316 xÛ`+yÛ`+4x-2y+2k-7=0에서 (x+2)Û`+(y-1)Û`=12-2k (x+2)Û`+(y+2)Û`=4 319 점 P의 좌표를 (a, b), 선분 AP의 중점의 좌표를 (x, y)라 하면 ③ x= a+3 2 , y= b+2 2 ∴ a=2x-3, b=2y-2 점 P가 원 (x-1)Û`+(y+2)Û`=8 위의 점이므로 (a-1)Û`+(b+2)Û`=8 ㉠을 ㉡에 대입하면 yy ㉠ yy ㉡ 이 방정식이 반지름의 길이가 6 이하인 원을 나타내 (2x-3-1)Û`+(2y-2+2)Û`=8 ' 려면 4(x-2)Û`+4yÛ`=8 ∴ (x-2)Û`+yÛ`=2 연습문제·실력 UP 155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42~168_3단원(연)_ok.indd 155 2018-07-31 오후 7:38:39 0-3)=31 1 ' 31 △PAB가 직각삼각형이 (cid:35)(cid:9)(cid:14)(cid:19)(cid:13)(cid:3)(cid:21)(cid:10) (cid:34)(cid:9)(cid:23)(cid:13)(cid:3)(cid:21)(cid:10) 따라서 선분 AP의 중점이 그리는 도형은 중심이 점 (2,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이므로 구하는 도 ' BPÓ=CPÓ에서 BPÓ Û`=CPÓ Û`이므로 (a-3)Û`+(b-3)Û`=(a+4)Û`+(b-6)Û` 형의 넓이는 p_( 2)Û`=2p ' 14a-6b+34=0 ∴ 7a-3b=-17 yy ㉤ 2p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1 따라서 원의 중심은 점 P(-2, 1)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320 원 xÛ`+yÛ`=9의 중심 O(0, 0)과 점 P(6, 2) 사이의 APÓ= (-2-0)Û`+(1+4)Û`= "à 9 2 ' 이므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x+2)Û`+(y-1)Û`=29 (x+2)Û`+(y-1)Û`=29 P(6, 2) 3 3 O Q 2 10 '¶ 거리는 OPÓ= 6Û`+2Û`=2 "à 0 1 '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3 이므로 선분 PQ의 길이 Q 의 최댓값은 M=2 0+3, 1 ' 0-3 1 ' 0+3)(2 1 최솟값은 m=2 ∴ Mm=(2 ' 321 xÛ`+yÛ`-4kx+2ky+10k-15=0에서 (x-2k)Û`+(y+k)Û`=5kÛ`-10k+15 이 원의 중심의 좌표는 (2k, -k)이고 반지름의 길이 이므로 는 5kÛ`-10k+15이다. "à 원의 넓이가 최소가 되려면 반지름의 길이가 최소가 되어야 하므로 5kÛ`-10k+15= 5(k-1)Û`+10 "à 에서 k=1일 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최소가 되고 그 "à 때의 원의 중심의 좌표는 (2, -1)이다. ⑤ 322 5x+2y+8=0 7x-3y-12=0 3x+7y-30=0 yy ㉠ yy ㉡ yy ㉢ 323 원주각의 성질에 의하여 되려면 선분 PA 또는 선 분 PB가 원의 지름이 되 어야 한다. 점 P의 좌표 (cid:90) (cid:48) (cid:140) (cid:9)(cid:19)(cid:13)(cid:3)(cid:18)(cid:10) (cid:141) (cid:89) 를 (x, y)라 하면 주어진 원의 중심의 좌표가 (2, 1) =2, =1 ∴ x=-2, y=-2 Ú 선분 PA가 원의 지름일 때, Û 선분 PB가 원의 지름일 때, x+6 2 x-2 2 y+4 2 y+4 2 =2, =1 ∴ x=6, y=-2 Ú, Û에서 점 P의 좌표는 (-2, -2) 또는 (6, -2) 이므로 이 두 점을 이은 선분의 중점의 좌표는 -2+6 2 { , -2-2 2 } , 즉 (2, -2) 따라서 a=2, b=-2이므로 a+b=0 0 직선 ㉠과 ㉡, 직선 ㉡과 ㉢, 직선 ㉢과 ㉠의 교점을 각 각 A, B, C라 하면 A(0, -4), B(3, 3), C(-4, 6) 세 점 A, B, C를 지나는 원의 중심을 P(a, b)라 하면 APÓ=BPÓ=CPÓ APÓ=BPÓ에서 APÓ Û`=BPÓ Û`이므로 (a-0)Û`+(b+4)Û`=(a-3)Û`+(b-3)Û` 324 APÓ : BPÓ=2 : 1에서 APÓ=2 BPÓ ∴ APÓ Û`=4 BPÓ Û`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x+1)Û`+(y-1)Û`=4{(x-2)Û`+(y-1)Û`} xÛ`+yÛ`-6x-2y+6=0 6a+14b-2=0 ∴ 3a+7b=1 yy ㉣ ∴ (x-3)Û`+(y-1)Û`=4 156 Ⅲ. 도형의 방정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42~168_3단원(연)_ok.indd 156 2018-07-31 오후 7:38:40 Œ Œ Œ Œ Œ Œ 또, OÕMÓ은 ABÓ를 수직이등분하므로 △AOM은 직각 A O M B 을 M이라 하면 OMÓ의 길이는 원점 O와 직선 ㉠ 사이의 거리 OMÓ= |-5| 4Û`+3Û` "à =1 삼각형이다. 이때 OÕAÓ=3이므로 AMÓ = OAÓ Û`-OMÓ Û` ÚÞ 3Û`-1Û`=2 "à 2 = ' ∴ ABÓ=2 AMÓ=4 2 ' 따라서 삼각형 OAB의 넓이는 _ABÓ_OMÓ= _4 2_1=2 2 ;2!; ' ' ;2!; 2 2 ' 연 습 문 제 실 력 U P 즉, 점 P가 그리는 도형은 y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Ó의 중점 ∠PAB의 크기가 최대가 2 3 x 와 같으므로 P B 2 C A -1 1 O 중심이 점 (3, 1)이고 반지 름의 길이가 2인 원이므로 될 때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AP가 원에 접할 때이다. 이때 원의 중심을 C라 하면 △PAC에서 ∠APC=90ù이므로 APÓ =¿¹ACÓ Û`-PCÓ Û`= 4Û`-2Û`=2 "à 3 ' 2 3 ' 325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xÛ`+yÛ`-6-(xÛ`+yÛ`-4x+ky)=0 ∴ 4x-ky-6=0 이 직선이 직선 x-y+3=0과 수직이므로 4_1+(-k)_(-1)=0 ∴ k=-4 -4 326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은 328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xÛ`+yÛ`-4-(xÛ`+yÛ`+3x-4y+k)=0 ∴ 3x-4y+k+4=0 yy ㉠ xÛ`+yÛ`+4x+4y+k(xÛ`+yÛ`+x-2y-6)=0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원의 교 (k+-1) yy ㉠ 점을 각각 A, B라 하고, ABÓ 이 원의 중심이 x축 위에 있으므로 중심의 y좌표는 0 의 중점을 M이라 하면 OÕMÓ의 이어야 한다. 즉, ㉠의 y의 계수가 0이어야 하므로 길이는 원 xÛ`+yÛ`=4의 중심 (cid:34) (cid:35) (cid:46) (cid:48) 4-2k=0 ∴ k=2 k=2를 ㉠에 대입하면 xÛ`+yÛ`+4x+4y+2(xÛ`+yÛ`+x-2y-6)=0 3xÛ`+3yÛ`+6x-12=0, xÛ`+yÛ`+2x-4=0 ∴ (x+1)Û`+yÛ`=5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5이다. ' 327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O(0, 0)과 직선 ㉠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OÕMÓ= "à |k+4| 3Û`+(-4)Û` = |k+4| 5 yy ㉡ 또, OMÓ은 ABÓ를 수직이등분하므로 △AOM은 직각 삼각형이다. 이때 AMÓ= ABÓ= 3, OAÓ=2이므로 1 2 ' yy ㉢ 5 ' OMÓ = OAÓ Û`-AMÓ Û` ÚÞ 3)Û`=1 2Û`-( "à = ㉡, ㉢에서 =1 ' |k+4| 5 |k+4|=5, k+4=Ñ5 xÛ`+yÛ`-9-(xÛ`+yÛ`-8x-6y+1)=0 ∴ k=-9 또는 k=1 ∴ 4x+3y-5=0 yy ㉠ 따라서 모든 k의 값의 합은 -8이다. -8 연습문제·실력 UP 157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42~168_3단원(연)_ok.indd 157 2018-07-31 오후 7:38:41 329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원 중에 서 넓이가 최소인 것은 두 원의 공통인 현을 지름으로 하는 원이 며 그때의 원의 중심은 두 원의 공통인 현과 두 원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의 교점이다. 두 원의 공통인 현의 방정식은 xÛ`+yÛ`+6x+2y+1-(xÛ`+yÛ`-2x-3)=0 참고 점 (-1, 0)에서 x축에 접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의 중심 원의 중심은 x축에 수직인 직선 x=-1 위에 있다. 즉, 중심 의 좌표가 (-1, 2)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이 된다. 331 원의 넓이가 20p이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20=2 5 ' '¶ 원과 직선이 접하므로 원의 중심 (-1, 3)과 직선 ∴ 4x+y+2=0 yy ㉠ 2x-y+k=0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 2 5 ' xÛ`+yÛ`+6x+2y+1=0에서 (x+3)Û`+(y+1)Û`=9, xÛ`+yÛ`-2x-3=0에서 (x-1)Û`+yÛ`=4 이므로 두 원의 중심 (-3, -1), (1, 0)을 지나는 직 와 같다. 즉, |-2-3+k| 2Û`+(-1)Û` =2 5 ' "à |k-5|=10, k-5=Ñ10 (x-1), y= x- ;4!; ;4!; 선의 방정식은 0-(-1) 1-(-3) ∴ x-4y-1=0 y= ㉠, ㉡을 연립하여 풀면 x=- , y=- ;1¦7; ;1¤7; 따라서 구하는 원의 중심의 좌표는 - { ;1¦7; , - ;1¤7;} - { ;1¦7; , - ;1¤7;} ∴ k=15 (∵ k>0) 15 yy ㉡ 332 원과 직선의 교점을 A, B라 하면 두 점 A, B를 지나 는 원 중에서 그 넓이가 최소인 것은 ABÓ를 지름으로 하는 원이다. 원의 중심을 C(2, 3)이라 하고, 점 C에서 직선 3x+4y-8=0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330 호 PQ는 오른쪽 그림과 같 이 점 (-1, 0)에서 x축에 접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2 인 원의 일부이므로 그 원의 방정식을 (x-a)Û`+(y-2)Û`=4 y 2 -2 Q P -2 -1 O 2 x 라 하자. 이 원이 점 (-1, 0)을 지나므로 (-1-a)Û`+(0-2)Û`=4 ∴ a=-1 이때 선분 PQ는 두 원 xÛ`+yÛ`=4, (x+1)Û`+(y-2)Û`=4 의 공통인 현이므로 직선 PQ의 방정식은 xÛ`+yÛ`-4-{(x+1)Û`+(y-2)Û`-4}=0 xÛ`+yÛ`-4-(xÛ`+yÛ`+2x-4y+1)=0 ∴ 2x-4y+5=0 2x-4y+5=0 158 Ⅲ. 도형의 방정식 CHÓ= |6+12-8| 3Û`+4Û` =2 "à 또, CAÓ= '¶ 삼각형 ACH에서 AHÓ =¿¹CAÓ Û`-CHÓ Û` 0)Û`-2Û` 1 ( ¿¹ ' 6 = = ' 따라서 ABÓ를 지름으로 하 10이므로 직각 3x+4y-8=0 A 10 '¶ H B C(2, 3) 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6이므로 그 넓이는 ' p_( 6)Û`=6p ' 6p 33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의 중심을 C(4, 5)라 하면 C(4, 5) CPÓ= (2-4)Û`+(1-5)Û`=2 "à 5 ' 또, 접점을 T라 하면 접선의 길이는 T P(2, 1) 3이므로 PTÓ=3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42~168_3단원(연)_ok.indd 158 2018-09-07 오전 9:34:45 Œ 따라서 두 직선이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각각 ∴ mn=m_6m=6mÛ`=6_ =2 ② 337 직선 y=mx+n이 점 (-6, 0)을 지나므로 0=-6m+n ∴ n=6m 원 xÛ`+yÛ`=9의 중심 (0, 0)과 직선 y=mx+6m, 즉 mx-y+6m=0 사이의 거리가 반지름의 길이 3 과 같아야 하므로 |6m| mÛ`+(-1)Û` "à 양변을 제곱하면 =3, |6m|=3 mÛ`+1 "à 36mÛ`=9(mÛ`+1) ∴ mÛ`= 연 습 문 제 실 력 U P ;3!; ;3!; y 2 O y=ax+b x(cid:153)`+(y-2)(cid:153)`=4 x x(cid:153)`+y(cid:153)`=1 338 직선 y=ax+b, 즉 ax-y+b=0이 원 xÛ`+yÛ`=1에 접하므 로 원의 중심 (0, 0) 과 직선 사이의 거리 가 반지름의 길이 1 따라서 구하는 반지름의 길이는 CTÓ의 길이이므로 직 각삼각형 CPT에서 CTÓ= CPÓ Û`-PTÓ Û`= ÚÞ "à (2 5)Û`-3Û`= ' 1 1 ' 1 1 ' 334 직선 y=3x+2와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는 3이고, 원 xÛ`+yÛ`=10의 반지름의 길이는 0이므로 접선의 방 1 ' 정식은 y=3xÑ 0_ 3Û`+1 1 ' "à ∴ y=3xÑ10 (0, 10), (0, -10)이므로 ABÓ=20 ② 335 y=x-1을 xÛ`+yÛ`=25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xÛ`-x-12=0, (x+3)(x-4)=0 ∴ x=-3 또는 x=4 원과 직선의 교점 중에서 제 1 사분면 위에 있는 점의 x 좌표는 4이므로 교점의 좌표는 (4, 3) 따라서 원 xÛ`+yÛ`=25 위의 점 (4,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4x+3y=25 336 원 xÛ`+yÛ`=2 위의 점 (1, -1)에서의 접선의 방정 식은 1_x+(-1)_y=2 ∴ x-y-2=0 xÛ`+yÛ`-6x+2y+k=0에서 |3+1-2| 1Û`+(-1)Û` = 2 2 ' "à 이때 원 ㉠과 직선이 접하므로 = 2 ' 과 같다. 즉, |b| aÛ`+(-1)Û` =1, |b|= aÛ`+1 "à "à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aÛ`=bÛ`-1 yy ㉠ 4x+3y=25 또, 직선 ax-y+b=0이 원 xÛ`+(y-2)Û`=4에 접하 므로 원의 중심 (0, 2)와 직선 사이의 거리가 반지름 의 길이 2와 같다. 즉, |-2+b| aÛ`+(-1)Û` =2, |b-2|=2 aÛ`+1 "à "à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bÛ`-4b=4aÛ` yy ㉡ ㉠을 ㉡에 대입하면 bÛ`-4b=4(bÛ`-1) 3bÛ`+4b-4=0, (b+2)(3b-2)=0 그런데 위의 그림에서 직선 y=ax+b의 y절편이 음 수, 즉 b<0이므로 b=-2 b=-2를 ㉠에 대입하면 aÛ`=3 연습문제·실력 UP 159 (x-3)Û`+(y+1)Û`=10-k yy ㉠ 원의 중심 (3, -1)과 직선 x-y-2=0 사이의 거리는 ∴ b=-2 또는 b= ;3@; 10-k= 2, 10-k=2 ∴ k=8 'Ä ' 8 ∴ aÛ`+bÛ` =3+(-2)Û`=7 7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42~168_3단원(연)_ok.indd 159 2018-07-31 오후 7:38:42 Œ Œ Œ Œ 따라서 현 PQ의 길이의 최솟값은 6이다. 하므로 또, 현 PQ의 길이가 최대일 때는 현 PQ가 원의 지름 =(mn)Û`-(mÛ`+1)(nÛ`-25)=0 따라서 삼각형 PAB의 넓이의 최댓값은 _3 5_ ' ;2!; 5 11 ' 5 = :£2£: 33 2 341 f(x)=mx+n이라 하고 y=mx+n을 xÛ`+yÛ`=25 에 대입하면 x xÛ`+(mx+n)Û`=25 ∴ (mÛ`+1)xÛ`+2mnx+nÛ`-25=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원과 직선이 접 ;;4;D; 25mÛ`-nÛ`+25=0 ∴ 25mÛ`-nÛ`=-25 ∴ f(-5)f(5) =(-5m+n)(5m+n) =-25mÛ`+nÛ`=-(25mÛ`-nÛ`) =-(-25)=25 25 342 점 A(0, a)를 지나고 기울기가 m인 접선의 방정식은 y=mx+a ∴ mx-y+a=0 원의 중심 (0, 3)과 접선 ㉠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 yy ㉠ 름의 길이 2 2 와 같으므로 ' |-3+a| mÛ`+(-1)Û` "à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8mÛ`-aÛ`+6a-1=0 =2 2, |a-3|= 8(mÛ`+1) ' "à m에 대한 이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a, b라 하면 a, b 는 두 접선의 기울기이고 두 접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ab=-1이어야 한다. 즉, -aÛ`+6a-1 8 =-1, aÛ`-6a-7=0 339 xÛ`+yÛ`-10x=0에서 (x-5)Û`+yÛ`=25 원의 중심을 C(5, 0)이라 하고, 점 A(1, 0)을 지나는 직선이 이 원과 만나는 두 점을 각각 P, Q라 하자. 현 PQ의 길이가 최소일 때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CAÓ⊥PQÓ일 때이므로 직각삼 각형 ACP에서 APÓ = = ÚÞ "à CPÓ Û`-CAÓ Û` 5Û`-4Û`=3 ∴ PQÓ=2 APÓ=6 y P O A1 Q 5 C 일 때이므로 현 PQ의 길이의 최댓값은 10이다. 따라서 현의 길이가 자연수인 경우는 6, 7, 8, 9, 10 이때 길이가 6, 10인 현은 각각 1개씩 존재하고, 길이 가 7, 8, 9인 현은 각각 2개씩 존재하므로 구하는 현의 개수는 2_1+3_2=8 ③ 340 삼각형 PAB에서 ABÓ의 길이는 ABÓ= (0+3)Û`+(6-0)Û`= 4 5=3 ' 5 ' "à 로 일정하므로 원 위의 점 P와 직선 AB 사이의 거리 가 최대일 때 삼각형 PAB의 넓이는 최대가 된다. 직선 AB의 방정식은 x -3 + ;6}; =1 ∴ 2x-y+6=0 원의 중심 (0, 0)과 직선 2x-y+6=0 사이의 거리는 y B 6 |6| 2Û`+(-1)Û` = = 6 5 ' 6 5 ' 5 "à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5이므 ' 로 원 위의 점 P와 직선 AB 사 이의 거리의 최댓값은 6 5 ' 5 + 5= ' 5 11 ' 5 160 Ⅲ. 도형의 방정식 A -3 O x P (a+1)(a-7)=0 ∴ a=7`(∵ a>0) 7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42~168_3단원(연)_ok.indd 160 2018-07-31 오후 7:38:43 Œ 343 점 A(9, 0)에서 원 CÁ에 그은 접선의 기울기를 m`(m<0)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y=m(x-9) ∴ mx-y-9m=0 원 CÁ의 중심 (0, 0)과 직선 mx-y-9m=0 사이의 거리는 원 CÁ의 반지름의 길이 3과 같으므로 점 P는 원 C 위의 점이므로 (a-1)Û`+(b-2)Û`=4 이 식에 ㉠을 대입하면 (3x-6)Û`+(3y-12)Û`=4 =3, |-9m|=3 mÛ`+1 "à |-9m| mÛ`+1 "à 양변을 제곱하면 81mÛ`=9(mÛ`+1), 72mÛ`=9 mÛ`= ∴ m=- (∵ m<0) ;8!; 1 ' 2 2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1 - 2 2 ' ∴ x+2 x-y-9_ { - 2y-9=0 ' 1 ' 2 2 } =0 다음 그림과 같이 원 Cª의 중심을 D(5, 0)이라 하고, 점 D에서 BC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y O 3 CÁ B C C£ H D 7 Cª 9 A x DHÓ= |5-9| 1Û`+(2 2)Û` ' "à = ;3$; DBÓ=2이므로 직각삼각형 BDH에서 BHÓ= DBÓ Û`-DHÓ Û`= ÚÞ ¾¨ 2Û`- {;3$;} ∴ BCÓ=2 BHÓ= 4 5 ' 3 = 2 5 ' 3 2` ∴ (x-2)Û`+(y-4)Û`= ;9$; 즉, 삼각형 PAB의 무게중심이 그리는 도형은 중심이 yy ㉡ 점 (2, 4)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이다. 2 3 또한, 직선 AB의 방정식은 y-3= (x-4) ∴ 4x+3y-25=0 7-3 1-4 이 직선과 원 ㉡의 중심 (2, 4) 사이의 거리는 |8+12-25| 4Û`+3Û` "à =1 따라서 구하는 거리의 최솟값은 원 ㉡ 위의 점과 직선 AB 사이의 거리의 최솟값이므로 ⑤ 연 습 문 제 실 력 U P 1- = ;3!; ;3@; 345 점 P(-2 ' 식은 3, 2)를 지나고 기울기가 m인 접선의 방정 y-2=m(x+2 3) ∴ mx-y+2 ' ' 3m+2=0 yy ㉠ 원과 직선이 접하려면 원의 중심 (0, 0)과 직선 ㉠ 사 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 2와 같아야 하므로 |2 3m+2| mÛ`+(-1)Û` ' "à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2, |2 3m+2|=2 mÛ`+1 "à ' ' 3 ' 4 5 ' 3 mÛ`+ 3m=0, m(m+ 3)=0 ' ∴ m=0 또는 m=- 이것을 ㉠에 대입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y=2 또는 3x+y+4=0 ' 344 원 위의 점 P의 좌표를 (a, b), 삼각형 PAB의 무게 중심의 좌표를 (x, y)라 하면 x= a+4+1 3 , y= b+3+7 3 ∴ a=3x-5, b=3y-10 yy ㉠ y A 2 y=2 P(-2 3, 2) ' -2 B O 2 x -2 3x+y+4=0 ' 연습문제·실력 UP 161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42~168_3단원(연)_ok.indd 161 2018-07-31 오후 7:38:43 원 밖의 한 점에서 원에 그은 두 접선의 길이는 같으므로 347 두 점 A(2, a), B(b, 3)을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점 A(0, 2)와 직선 3x+y+4=0 사이의 거리는 y축의 방향으로 n만큼 평행이동한 점이 각각 APÓ=BPÓ=2 3 ' ' = |2+4| ( "à 따라서 삼각형 ABP의 넓이는 3)Û`+1Û` =3 ;2^; ' _2 3_3=3 3 ;2!; ' ' KEY Point 원 밖의 한 점에서 그 원에 그은 두 접선의 길이는 같다. ① PAÓ=PBÓ ② ∠PAO=∠PBO=90ù 346 원 C의 반지름의 길이가 A'(-1, 5), B'(1, 0)이라 하면 2+m=-1, a+n=5, b+m=1, 3+n=0 즉, m=-3, n=-3이므로 3 3 ' a=8, b=4 따라서 점 (8, 4)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8-3, 4-3), 즉 (5, 1) (5, 1) 348 y=xÛ`+2ax+a+3에서 y=(x+a)Û`-aÛ`+a+3 주어진 평행이동은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 으로 -1만큼 평행이동하는 것이므로 A O B l x P y O r이고 선분 PQ가 원 C의 P A(2, 2) y=(x+a)Û`-aÛ`+a+3에 x 대신 x-4, y 대신 삼각형 APQ가 이등변삼 C Q 지름이므로 OPÓ=r, PQÓ=2r 각형이므로 APÓ=PQÓ=2r y+1을 대입하면 y+1=(x-4+a)Û`-aÛ`+a+3 ∴ y=(x-4+a)Û`-aÛ`+a+2 이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가 (3, b)이므로 4-a=3, -aÛ`+a+2=b ∴ a=1, b=2 또, OAÓ= 2Û`+2Û`=2 2이므로 직각삼각형 APO에서 ∴ a+b=3 "à ' 3 다른풀이 포물선 y=(x+a)Û`-aÛ`+a+3의 꼭짓 rÛ`+(2r)Û`=(2 2)Û` ∴ rÛ`= ' 점 P(a, b)가 원 C: xÛ`+yÛ`= 위의 점이므로 ;5*; ;5*; 점의 좌표는 (-a, -aÛ`+a+3) 이 꼭짓점이 주어진 평행이동에 의하여 옮겨지는 점의 원 C 위의 점 P(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이 직선이 점 A(2, 2)를 지나므로 -a+4=3, -aÛ`+a+2=b ∴ a=1, b=2 좌표는 (-a+4, -aÛ`+a+2) 이 점이 점 (3, b)와 일치하므로 ∴ a+b=3 349 평행이동에 의하여 원 xÛ`+(y-1)Û`=9의 중심 (0, 1) 이 원 (x-1)Û`+yÛ`=9의 중심 (1, 0)으로 옮겨지므 로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 ④ 행이동한 것이다. aÛ`+bÛ`= ;5*; ax+by= 8 5 ;5*; 2a+2b= ∴ a+b= ;5$; (a+b)Û`=aÛ`+bÛ`+2ab에서 a+b= , aÛ`+bÛ`= 이므로 ;5$; ;5*; = +2ab, 2ab=- ;2@5$; ;5*; {;5$;} 2` ∴ ab=- ;2!5@; 162 Ⅲ. 도형의 방정식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42~168_3단원(연)_ok.indd 162 2018-07-31 오후 7:38:44 따라서 x+2y-4=0에 x 대신 x-1, y 대신 y+1을 (x-2)Û`+(y+3-1)Û`=9 대입하면 (x-1)+2(y+1)-4=0 ∴ x+2y-3=0 a=2, b=-3 ∴ a+b=-1 ∴ (x-2)Û`+(y+2)Û`=9 이 원이 직선 3x-4y+k=0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원의 중심 (2, -2)와 직선 사이의 거리는 |6+8+k| 3Û`+(-4)Û` <3 ③ "à |14+k|<15, -15<14+k<15 이 직선이 직선 x+ay+b=0과 일치하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 3보다 작아야 하므로 350 직선 4x+3y-5=0을 y축의 방향으로 k만큼 평행이 ∴ -290) (-5, -4) (5, 4) 점 (-5, 4)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Q의 좌표는 따라서 선분 PQ의 길이는 3 "à (5+5)Û`+(4+4)Û`= 164=2 '¶ 1 4 ' 2 4 1 ' 351 원 (x+1)Û`+(y+2)Û`=9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354 점 (4, -3)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점 y축의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한 원 C의 방정식은 (-3, 4)로 옮겨지므로 직선 3x-y+2=0을 직선 (x-3+1)Û`+(y-a+2)Û`=9 ∴ (x-2)Û`+(y-a+2)Û`=9 이 원의 넓이가 직선 3x+4y-7=0에 의하여 이등분 되므로 직선 3x+4y-7=0이 원 C의 중심 (2, a-2)를 지나야 한다. 즉, 3_2+4(a-2)-7=0 4a-9=0 ∴ a= ;4(;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3y-x+2=0 ∴ x-3y-2=0 ① 355 점 (6, -2)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이 점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⑤ (6, 2) (2, 6) 352 평행이동 (x, y) 1Ú (x+2, y-3)은 x축의 방향으 의 좌표는 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하는 것이 (2-3, 6), 즉 (-1, 6) 이 점을 다시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점 므로 xÛ`+(y-1)Û`=9에 x 대신 x-2, y 대신 y+3 따라서 점 (-1, 6)이 직선 y=ax+4 위의 점이므로 을 대입하면 6=-a+4 ∴ a=-2 ② 연습문제·실력 UP 163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42~168_3단원(연)_ok.indd 163 2018-07-31 오후 7:38:44 Œ Œ 356 원 (x-a)Û`+(y+2)Û`=9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 한 원의 방정식은 (-x-a)Û`+(-y+2)Û`=9 ∴ (x+a)Û`+(y-2)Û`=9 큼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x-3+a)Û`+(y+4-2)Û`=9 ∴ (x-3+a)Û`+(y+2)Û`=9 이 원을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 이 원의 중심의 좌표가 (-1, b)이므로 3-a=-1, -2=b ∴ a=4, b=-2 ∴ a+b=2 2 다른풀이 원 (x-a)Û`+(y+2)Û`=9의 중심 (a, -2)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a, 2) 이 점을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 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a+3, 2-4), 즉 (-a+3, -2) 이 점이 점 (-1, b)와 일치하므로 -a+3=-1, -2=b ∴ a=4, b=-2 ∴ a+b=2 357 대칭이동한 원의 중심의 좌표를 (a, b)라 하면 점 (1, 2)가 두 점 (3, -1), (a, b)를 이은 선분의 (cid:9)(cid:66)(cid:13)(cid:3)(cid:67)(cid:10) 중점이므로 3+a 2 =1, -1+b 2 =2 ∴ a=-1, b=5 (cid:9)(cid:18)(cid:13)(cid:3)(cid:19)(cid:10) (cid:9)(cid:20)(cid:13)(cid:3)(cid:14)(cid:18)(cid:10) 따라서 대칭이동한 원의 중심의 좌표는 (-1, 5)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이므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x+1)Û`+(y-5)Û`=4 (x+1)Û`+(y-5)Û`=4 358 두 점 P(-1, 3), Q(a, b)를 이은 선분 PQ의 중점 a-1 2 { , b+3 2 } 이 직선 y=2x+1 위의 점이므로 164 Ⅲ. 도형의 방정식 b+3 2 a-1 2 =2_ +1 ∴ 2a-b=3 yy ㉠ 또, 직선 PQ와 직선 y=2x+1은 서로 수직이므로 _2=-1 ∴ a+2b=5 yy ㉡ b-3 a-(-1) ㉠, ㉡을 연립하여 풀면 a= , b= :Á5Á: ;5&; ∴ a+b= :Á5¥: 359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B(a, 4)를 y축 에 대하여 대칭이동 한 점을 B'이라 하면 B'(-a, 4) 이때 BPÓ=BÕ'PÓ이므 로 APÓ+BPÓ =APÓ+BÕ'PÓ B'(-a, 4) B(a, 4) y 4 P 1 A(3, 1) -a O a 3 x :Á5¥: = (3+a)Û`+ (1-4)Û` ¾AÕB'Ó "à "à = aÛ`+6a+18 APÓ+BPÓ의 최솟값이 5이므로 aÛ`+6a+18=5 "à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aÛ`+6a-7=0, (a-1)(a+7)=0 ∴ a=1 (∵ a>0) ① 360 직선 x-2y=9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 형의 방정식은 y-2x=9 ∴ 2x-y+9=0 이 직선이 원 (x-3)Û`+(y+5)Û`=k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3, -5)와 직선 2x-y+9=0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 k와 같다. 즉, ' = k ' |6+5+9| 2Û`+(-1)Û` "à k=4 ' ' 5 ∴ k=80 ① 18_기본서(수학상)_해설_142~168_3단원(연)_ok.indd 164 2018-07-31 오후 7:38:45 à 361 원 (x-1)Û`+(y-a)Û`=4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a=- 을 ㉠에 대입하면 2=- +b ∴ b= ;2%; ;2!; ;2!; 이 원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 abc=- _ _20=-25 -25 ;2!; ;2%; 원을 대칭이동해도 반지름의 길이는 변하지 않으므로 c=20 (x-3-1)Û`+(y+2-a)Û`=4 ∴ (x-4)Û`+(y+2-a)Û`=4 (y-4)Û`+(x+2-a)Û`=4 ∴ (x+2-a)Û`+(y-4)Û`=4 이 원이 y축에 접하므로 |(중심의 x좌표)|=(반지름의 길이)에서 |a-2|=2, a-2=Ñ2 ∴ a=4`(∵ a>0 ) 362 y=3xÛ`+12x+8에서 y=3(x+2)Û`-4 이 포물선의 꼭짓점 (-2, -4)를 점 (a, -a)에 대 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를 (p, q)라 하면 점 (a, -a)가 두 점 (-2, -4), (p, q)를 이은 선분의 중점이므로 -2+p 2 =a, -4+q 2 =-a ∴ p=2a+2, q=-2a+4 면 위에 있으므로 p>0, q>0에서 2a+2>0, -2a+4>0 ∴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