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재교육

2020년 천재교육 해법문학 고전 산문 (15개정) 답지

반응형

dl.dabji.org/1wQjp3Yff7RTQO2qm9UP4hKnlnNvvFWYN

 

해법문학 고전 산문 (15개정).pdf 다운로드 | 답지저장소

 

dl.dabji.org

더보기

정답과 
해설

I.  상고 시대

II. 고려 시대

III. 조선 전기

IV. 조선 후기

352

358

363

367

I. 상고 시대

1  설화

001

키포인트 체크   삼대, 홍익인간, 고조선, 건국

1 ⑤  2 ⑤  3 ③

단군 신화 _ 작자 미상

024~025쪽

1  환웅과 곰, 범이 모두 인간 지향성을 띠고 있기는 하지만, 이것이 당대 
인들이 인간 세계를 우월하게 인식했다는 증거가 되는 것은 아니다. 오

히려 단군이 하늘에서 내려온 환웅의 아들임을 강조하는 이유는 천상 

세계가 인간 세계보다 우월한 세계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곰과 범에게 주어진 ‘쑥과 마늘을 먹어야 한다.’, ‘백 

일 동안 햇빛을 보아서는 안 된다.’라는 금기는 동물에서 인간으로 변 

신하기 위한 일종의 통과 의례로 볼 수 있다. 

002

주몽 신화 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기이, 비범, 일대기, 고구려

026~027쪽

1 ①  2 ②  3 ③  4 주몽은 자신을 죽이려는 왕자들에게 잡힐 위기에
처하지만, 물고기와 자라의 도움을 받아 위기를 벗어난다.  5 주몽이 세력을
키워 부여의 왕이 되는 것

1  오이 등 세 친구가 주몽의 조력자이기는 하나, 친구들이 있었다는 것만

으로 주몽의 영웅적 면모가 드러난다고 볼 수는 없다.

   오답 뜯어보기   ② 주몽의 신이한 탄생과 관련된 내용이다. 

③ 주몽이 고귀한 혈통을 지녔음을 보여 준다.

④ 물고기와 자라의 도움은 신의 도움을 의미하며 주몽의 영웅적 면모

를 부각한다.

⑤ 영웅으로서 주몽이 지닌 비범한 능력에 해당한다.

2  <주몽 신화>에서 유화는 신성한 존재인 물의 신 하백의 딸인 반면, <단
군 신화>의 곰은 후에 웅녀로 변하여 단군을 낳기는 하지만 고귀한 혈 

② 풍백(風伯)·우사(雨師)·운사(雲師)는 각각 ‘바람·비·구름’을 주관

통을 지닌 존재는 아니다.

하는 존재로, 모두 농경과 관련된다. 환웅이 하늘에서 내려올 때 이들을 

오답 뜯어보기   ① 이 글에서 해모수는 천제의 아들로 주몽의 아버지이

거느리고 왔다는 것은 농경을 중시했음을 의미한다. 

고, <단군 신화>에서 환웅은 환인의 아들로 단군의 아버지이다. 주몽과 

③ 고조선을 건국한 단군이 산신이 된 것은 단군의 신성성을 보여 주는  

단군이 신성한 혈통을 지닌 인물임을 보여 준다.

근거가 된다.

③ 이 글의 유화는 주몽을 낳기까지 방에 가둬지고 알을 뺏기는 고난을 

④ 천부인 세 개는 신의 위력과 영험함의 표상으로, 환웅이 신성한 권 

겪고, <단군 신화>의 곰은 사람이 되기 위해 쑥과 마늘만 먹고 살면서 

능을 지녔음을 말해 주는 소재이다.

백 일 동안 햇빛을 보지 못하는 고난을 겪는다.

2  <단군 신화>는 고조선 건국 과정을 보여 주는 건국 신화이지만 주인공

이 역경을 극복하는 내용은 드러나지 않는다.

오답 뜯어보기   ① 단군은 하느님(환인)의 후손이다. 

② 단군의 아버지는 천신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곰에서 인간으로 변한 

웅녀로, 혈통이 평범하지 않다. 

구조를 보인다.

● 삼대기(三代記) 구조

④ 이 글은 고구려를 세운 주몽에 관한 이야기이고, <단군 신화>는 고조 

선을 세운 단군에 관한 이야기이다. 

⑤ 이 글과 <단군 신화> 모두 ‘아버지-아들-손자’로 이어지는 삼대기 

지식

③ 1천9백8세에 산신이 되는 초월적 능력을 보인다. 

‘삼대기’란 아버지, 아들, 손자의 삼대에 걸친 인물 구조를 가지고 있는 이야기를 의미

④ 나라의 도읍을 평양성으로 정한다.

● <단군 신화>의 신성성

한다. 이러한 구조는 <단군 신화>와 같은 다른 건국 신화에서도 나타나며, 후대의 다

지식

른 서사 문학에서도 나타난다. 신화에서 이러한 삼대기 구조를 사용하는 것은 신화

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의 혈통을 강조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선

•천상적 혈통: 단군은 환인의 손자로서 천상적 혈통을 지닌 고귀한 존재임.

대로부터 이어 내려온 혈통을 보여 줌으로써 주인공의 비범함과 신성성을 부각할 수

• 초월적 능력: 단군의 아버지 환웅은 자연 현상을 주관하며 인간을 교화하는 초월

있는 것이다.

• 신이한 출생: 단군은 천상적 혈통인 환웅과, 곰에서 인간으로 변한 웅녀 사이에서

• 국가의 시조: 단군은 평양성에 도읍을 정하고 우리 민족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을

적 능력을 지님.

태어남.

건국함.

3  범이 인간이 되는 것에 실패하고 웅녀가 환웅과 결혼하는 것은 곰을 숭
배하는 부족이 범을 숭배하는 부족을 이겼음을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범이 웅녀와 환웅의 결혼을 방해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오답 뜯어보기   ①, ② 천상계의 존재인 환웅이 지상으로 내려와 곰이 

인간으로 변한 웅녀와 결혼하여 단군을 낳았다는 점에서 단군의 탄생

에 신성성을 부여하고 있다. 

의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

④ 단군이 나라를 세우고 지도자의 위치에 오르는 것을 통해 건국 신화

⑤ 단군이 긴 수명을 누리고 산신이 되는 기이한 행적을 제시하고 있다.

352 정답과 해설

3  <보기>는 <주몽 신화>의 신성 관념에 대한 내용으로, 천제의 아들인 해
모수와 하백의 딸인 유화 사이에서 주몽이 태어난 것은 하늘과 물에 대

한 신성 관념이 반영된 내용이라 할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이 글이 국가의 시조 탄생에 관한 이야기라는 점은 

사실이나, 그것 자체가 신성 관념을 보여 주는 것은 아니다. 

② 주몽이 시련을 겪고 왕이 된 것은 사실이나, 이것이 신성 관념을 반

영하지는 않는다.

④ 해모수와 유화가 혼례를 행하지 않고 주몽을 낳은 것은 신성 관념과

는 관련이 없으며 부모의 허락이나 중매 없이 결혼하는 것을 법도에 어

긋나는 것으로 여겼던 당대의 문화를 보여 주는 내용이다.

⑤ 〈주몽 신화〉의 사회·문화적 배경에 대한 설명이다.

4  탁월한 능력을 보이는 주몽을 시기해서 왕자 대소와 여러 신하들이 주
몽을 죽이려고 보낸 군사에게 쫓겨 위험에 처하게 된 것은 ㉠에 해당하

고, 물고기와 자라가 나타나 다리를 만들어 주어 주몽이 위기에서 벗어

정답44과 해설 나는 것은 ㉡에 해당한다.

5  금와왕의 장자 대소는 주몽의 능력이 뛰어난 것을 시기하고, 주몽이 비
범한 능력을 바탕으로 세력을 키우게 되면 왕의 자식인 자신이 왕권을 

이어받지 못할까 두려워서 후환을 없애려고 했다.

1  온달이 장수로서 전쟁에서 공을 세우기는 하지만 인간의 능력을 벗어 

난 초월적이고 비범한 능력을 보이지는 않는다.

   오답 뜯어보기   ② 역사상의 실존 인물인 온달과 평강 공주의 이야기를 

설화화하여 이야기로 나타냈다.

③ 평강 공주는 신분이 높은 사람은 신분이 높은 사람끼리 혼인하는 기

존의 관습을 깨고 평민인 온달과 혼인한다.

④ 자신의 삶을 스스로 개척해 나가는 평강 공주의 모습에 주체적인 삶

의 모습이 나타나 있다. 

⑤ 온달은 가난하고 신분이 미천한 인물이지만 고귀한 왕족이며 지혜

로운 평강 공주와 결혼한 뒤에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전쟁에서도 공

003

가락국기 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황금, 신성성, 왕

028~029쪽

을 세우게 된다.

1 ⑤  2 ②  3 ①  4 ③  5 <가락국기>는 수로왕의 탄생 설화이면서
동시에 가야국의 건국 신화임을 알 수 있다.

2  평강 공주는 값비싼 팔찌 수십 개를 팔에 매달고 궁궐을 나온 뒤, 온달
의 집에 머물며 가지고 나온 팔찌들을 처분하여 살림을 장만한다. 이로 

보아, 공주는 팔찌를 자신의 권위를 유지하기 위한 의도가 아니라 온달

1  이 신화의 주인공은 시련 없이 왕이 되었으므로, 주인공이 고난을 이겨 

과의 혼인 생활을 위해 가지고 나온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즉, 평강 공

내는 전형적인 영웅의 일대기 구조는 드러나지 않는다.

주가 팔찌를 가지고 나온 것은 앞으로의 삶을 위한 경제적이며 실용적

2  아홉 간에게 흙을 파면서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라고 요구한 주체는 실
체는 보이지 않고 목소리만 들리는 신이하고 초월적인 존재이다. 그 존

재가 요구하는 대로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춘 까닭은 말하는 대로 되도록 

하기 위해, 즉 임금이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있다. 

인 선택이라 할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왕이 우는 평강 공주를 놀릴 때에 ‘온달’이라는 이름

을 언급한 것으로 보아, 온달의 이름이 널리 퍼져 있었음을 추측할 수 

② 평강왕이 온달에게 시집가겠다는 평강 공주에게 화를 낸 것으로 보 



(나)에서 ‘사람의 소리 같기는 하지만 그 모양은 숨기고 소리만 내서 말

아, 평강 공주를 바보 온달에게 시집보내겠다고 한 것이 진심이 아니라 

했다.’라고 했으므로 신의 등장 방식은 목소리나 효과음 등으로 처리하

가벼운 농담이었음을 알 수 있다.

는 것이 적절하다. 신의 모습을 신성하게 직접 드러내자는 내용은 적절

③ 왕이 평강 공주를 상부 고씨에게 시집보내려 한 것으로 보아, 상부 

하지 않다.

고씨는 공주와 결혼할 만한 유력한 집안의 사람임을 추측할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② <구지가>는 주술적 성격의 노래이므로 주문을 외듯  

④ 온달의 어머니는 처음에 평강 공주가 아들과는 격이 맞지 않는다고 

진지한 표정과 목소리로 노래할 수 있다. 

생각하여 혼인을 거절하고 있으므로, 자신의 분수를 알아 평강 공주를 

③ ‘아홉 간은 이 말을 좇아 모두 기뻐하면서 노래하고 춤추다가’라고 

부담스러워하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했으므로 경쾌하면서도 품위 있는 춤을 춘다는 설정은 적절하다.

④ 자줏빛 줄이 하늘에서 내려온 것은 신성한 존재의 강림을 나타내므

로 신비로운 느낌으로 연출하는 것은 적절하다.

⑤ 알에서 나온 어린아이는 용모가 매우 훤칠했다고 했으므로 적절한 

3  ⓐ는 설화가 당대인의 삶을 반영하고 있다는 내용이고, ⓑ는 설화에는 
비현실적인 이야기가 존재한다는 내용이다. 평강 공주는 평민인 온달 

과 결혼하여 자신이 출세하는 것이 아니라 온달을 출세시키고 있으므 

로, 이를 통해 당대의 여성들이 남성보다 우위에 서고 싶어 하는 소망 

을 가졌음을 이끌어 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4  <단군 신화>의 신단수와 같이 두 세계를 이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하

늘에서 땅으로 내려온 ‘자줏빛 줄’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미천한 신분의 온달이 출세하는 과정을 통해 미천한 

사람도 위대해질 수 있다는, 혹은 위대해지고 싶어 했던 당대인의 생각

5  ㉠은 알에서 태어난 수로가 가야국을 세웠다는 내용이므로, 이를 통해 
<가락국기>는 수로왕의 탄생 설화이면서 가락국의 건국 신화임을 알 

설정이다.

수 있다.

을 엿볼 수 있다. 

있다.

③ 온달이 죽고 평강 공주가 관을 어루만지자 비로소 그 관이 움직였다 

는 내용을 통해, 당대인은 사후에도 영혼이 존재한다고 믿었음을 알 수 

④ 관이 움직이지 않는 것은 온달의 영혼이 그러한 영향력을 발휘했기 

때문인데, 이러한 비현실적이고 신이한 내용을 통해 온달의 애국심과 

의기를 강조하고 있다. 

⑤ 신이한 요소들이 많이 드러나는 건국 신화에 비해, <온달 설화>는 온

달이 죽고 관이 움직이지 않았다는 내용 외에는 대부분 현실적인 내용

004

온달 설화 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주체적, 여성상, 입신출세(입신양명)

030~031쪽

으로 이루어져 있다.

1 ①  2 ⑤  3 ②  4 마음만 통하면 가난한 살림이라도 화목하게 지낼
수 있으니, 온달과의 혼인을 허락해 달라는 의미이다.

4  제시된 평강 공주의 말은 가난은 중요하지 않고 마음이 중요하다는 의 
미로, 이는 평강 공주가 온달과의 혼인을 반대하는 온달의 어머니를 설

득하여 허락을 받으려는 의도로 한 말이다.

정답과 해설 353

005

조신지몽 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욕망, 불교, 인생무상

1 ⑤  2 ③  3 세달사, 명주 날리군, 정토사 등 사찰의 이름과 지명을 통해 
구체적인 지리적 공간이 제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4 ㉠: 꿈속에서 사랑하는 
여인과 부부의 연을 맺고 행복하게 산 일, ㉡: 세속적 욕망의 부질없음을 깨달은

뒤 정토사를 건립하고 수행한 일

032~033쪽

⑤ 도미는 사람의 마음은 가히 헤아리지 못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2  이 설화는 ‘관탈 민녀 설화’에 해당하는데, ‘관(官)’에 속하는 인물 중에
서 가장 강한 권력을 갖고 있는 존재가 왕이다. 그러므로 왕의 절대 권

력 앞에서 정절을 지킨다는 것은 그 무엇보다도 어려운 일일 것이다. 따

라서 주인공을 억압하는 반동 인물을 왕으로 설정한 것은 도미 부인의

정절을 강조하고 부각하기 위함이라고 볼 수 있다.

1  조신은 울다 지쳐 잠이 들어 꿈을 꾸기 시작하고, 꿈에서 길을 떠나려
할 때 깨어난다. 이러한 입몽(入夢)과 각몽(覺夢)의 과정에는 어떤 필

3  <도미 설화〉에서도 왕은 무력(武力)을 사용하여 도미 부인을 궁으로 잡
아들였다. 따라서 〈춘향전〉뿐만 아니라 이 글 역시 무력으로 백성을 제

연적인 사건도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입몽과 각몽의 계기로 필연성

압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을 갖춘 사건이 제시되었다는 진술은 적절하지 않다.

2  조신은 [B]에서 사십여 년의 세월 동안 가난에 지쳐 고통스러운 삶을 살
아가다 꿈에서 깨어난 후인 [C]에서 세속적 욕망이 덧없음을 깨닫고 있

 오답 뜯어보기   ① 이 글의 개루왕과 <보기>의 변학도는 둘 다 권력을

지닌 지배 계층으로 평민 여성의 절개를 빼앗으려 하고 있다.

② 이 글의 도미 부인은 기지와 재치로 왕을 속여 절개를 지키고 있으

며, <보기>의 춘향 역시 감옥에서 갖은 고난과 시련을 겪었지만 이를 모

다. 따라서 고생 끝에 즐거움이 옴을 뜻하는 ‘고진감래(苦盡甘來)’와는

두 이겨 내고 절개를 지키고 있다.

거리가 멀다.

 오답 뜯어보기   ① [A]에서 김흔의 딸을 좋아하게 된 조신은 김씨 낭자

와 함께 살게 해 달라고 빌었다.

② 김씨 낭자가 다른 사람과 혼인하게 되자 슬피 울다가 잠이 든 조신

은 꿈에서 김씨 낭자가 찾아와 같이 살게 된다.

④ 조신은 꿈을 꾸기 전에는 김씨 낭자와 부부의 연을 맺고 싶어 하지

만, 꿈에서 깬 뒤에는 세속을 탐하는 마음이 없어지게 된다.

⑤ 조신은 꿈에서 깬 뒤 세속적 욕망이 덧없음을 깨닫고는 정토사를 짓

고 수행에 전념한다.

3  이 글에는 구체적인 사찰의 이름(세달사, 정토사)과 지명(명주 날리군)
등이 언급되어 있으므로, <보기>에서 설명한 구체적인 지리적 공간이

제시되는 전설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  이 글에서 조신에게 ‘즐거운 시간’은 꿈속에서 사랑하는 여인과 부부의
인연을 맺고 행복하게 산 일이며, ‘청량(淸凉)의 세계’는 조신이 꿈에서

깨어나 깨달음을 얻은 뒤에 추구한 것으로 세속적 욕망의 부질없음을

깨달은 뒤 정토사를 건립하고 수행한 일을 의미한다.

006

도미 설화 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의리, 절개, 개루왕, 왕

1 ①  2 ①  3 ③  4 ⑤

034~035쪽

1  개루왕은 ‘부인의 덕은 비록 정결을 위주로 한다고 하나 만약 어둡고 사
람이 없는 곳에서 교묘한 말로 꼬이면 능히 그 마음이 움직이지 않는 자

가 없을 것’이라고 말하며 여성의 절개에 불신감을 드러낸다.

 오답 뜯어보기   ② 도미 부인은 왕과 남편이 자신을 두고 내기를 했다는

말에 대해 어떠한 반응도 보이지 않는다.

③ 도미가 집을 비우고 개루왕의 신하가 찾아와 거짓말을 하는 상황에

서 도미의 부인이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혼자서 일을 꾸며 개루왕을 속

④ <보기>의 이몽룡은 암행어사가 되어 돌아와 변학도를 물리치며 자

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지만 이 글의 도미는 별다른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⑤ <보기>의 〈춘향전〉은 춘향과 이몽룡이 사랑을 이루게 된다는 점에

서 행복한 결말을 맞이하지만, 이 글은 도미의 눈이 멀고 부부가 어렵게

살아가다 고구려로 가 일생을 마친다는 점에서 다소 비극적인 결말을

맺는다고 할 수 있다.

4  도미 부인은 앞에는 강물이 흐르고 있어 건널 수 없고 뒤에는 군사들이
쫓아와 잡힐 상황에 처해 있다. 앞으로 나아갈 수도 없고 뒤로 물러날

수도 없는 상황이므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어려운 처지를 일컫

는 ‘진퇴양난(進退兩難)’에 해당된다.

오답 뜯어보기   ① 역지사지(易地思之): 처지를 바꾸어서 생각하여 봄.

② 토사구팽(兔死狗烹): 토끼가 죽으면 토끼를 잡던 사냥개도 필요 없

게 되어 주인에게 삶아 먹히게 된다는 뜻으로, 필요할 때는 쓰고 필요

없을 때는 야박하게 버리는 경우를 이르는 말.

③ 아전인수(我田引水): 자기 논에 물 대기라는 뜻으로, 자기에게만 이

롭게 되도록 생각하거나 행동함을 이르는 말.

④ 견강부회(牽强附會): 이치에 맞지 않는 말을 억지로 끌어 붙여 자기

에게 유리하게 함.

007

지귀 설화 _ 작자 미상

036~037쪽

키포인트 체크   사모(사랑), 연민, 신분, 금팔찌, 불귀신, 주문

1 ⑤  2 ②  3 ③  4 금팔찌  5 사랑 때문에 불귀신이 된 지귀의 마음
을 달래 주는 내용을 담고 있다.

1  넘치는 사랑의 감정으로 불귀신이 된 지귀 때문에 화재가 일자, 선덕 여
왕이 주문을 지어 화재를 면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에서 지귀가 품

은 한을 선덕 여왕이 달래어 풀어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 것이다. 도미 부부가 계획적으로 개루왕을 속인 것은 아니다.

④ 도미는 자신의 부인이 반드시 절개를 지킬 것이라고 말하고 있을 뿐,

2  선덕 여왕은 자신을 사모하는 지귀를 가여워하며 연민의 감정으로 바
라보고 있다. ‘측은지심(惻隱之心)’이란 누군가를 불쌍히 여기는 마음

권력에 의해 부인이 입게 될 피해를 걱정하고 있지는 않다.

으로, 연민의 정서와 가깝다.

354 정답과 해설

정답44과 해설  오답 뜯어보기   ① 동병상련(同病相憐):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치는 모습을 통해 간신을 멀리하고 충신을 등용해야 한다는 인재 발탁

가엾게 여긴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

에 관한 교훈을 제시하고 있다.

김을 이르는 말이다. 선덕 여왕이 지귀와 마찬가지로 어려운 처지에 있

는 것은 아니다.

③ 언감생심(焉敢生心): 어찌 감히 그런 마음을 품을 수 있겠냐는 뜻으

로, 전혀 그런 마음이 없었음을 이르는 말이다. 상대에게 아무런 감정이

없음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말이므로, 지귀에게 연민을 느끼는 선덕 여

왕의 정서와는 거리가 멀다.

3  백두옹은 맹자와 풍당의 경우처럼 많은 왕이 정직한 신하를 꺼려하여
멀리했으며, 뛰어난 재주를 지닌 인재들이 불우한 일생을 살도록 방치

했음을 왕에게 깨우쳐 주고 있다. 이를 통해 간사한 무리를 멀리하고 정

직하고 충성스러운 인재를 등용하여 바른 도리로 정치를 해야 한다는

의도를 전달하고 있다.

④ 자가당착(自家撞着): 같은 사람의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서로 맞지

아니하고 모순됨을 뜻한다. 선덕 여왕의 연민의 정서와는 관련이 없다.

4  〈화왕계〉에서는 꽃인 장미, 백두옹, 모란을 의인화하여 인간 사회를 우
의적으로 표현하였고, <보기>의 시조에서는 구름이 햇빛을 가리는 자

⑤ 이심전심(以心傳心): 마음과 마음으로 서로 뜻이 통함을 이른다. 선

연 현상을 통해 인간 사회를 우의적으로 표현하였다. 〈화왕계〉에서는

덕 여왕과 지귀의 뜻이 서로 통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백두옹(충신)이 간신을 가까이하고 충신을 멀리하려는 화왕(모란, 임

3  〈지귀 설화〉의 관리는 여왕과 평민이라는 신분적 질서 때문에 지귀를
핍박하고 있다. 반면에 〈봄봄〉의 장인은 ‘나’를 머슴으로 좀 더 부려먹

으며 경제적 이득을 얻기 위해서 핍박하고 있다.

4  선덕 여왕을 사모하던 지귀는 자고 있던 자신의 가슴에 선덕 여왕이 놓
아둔 금팔찌를 보고 사랑의 감정이 폭발하여 온몸에 불이 번지고 있다.

따라서 금팔찌는 지귀의 감정을 폭발시켜 화신(火神)으로 만드는 계기

가 되는 소재이다.

5  선덕 여왕을 사모하다가 불귀신이 된 지귀는 자신의 한을 달래 주는 선
덕 여왕의 말이라면 따를 수밖에 없다. 실제로 선덕 여왕은 ‘지귀는 마

금)을 비판했고, <보기>에서는 구름(간신)이 날빛(햇빛, 임금)을 가리는

것을 안타깝게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화왕계〉와 <보기>에서는 ‘임금

은 간신을 멀리해야 함’을 공통적으로 전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식

● <화왕계>의 배경 설화

어느 여름날 신문왕이 설총에게 말하기를

 “오늘은 오던 비도 개었고 시원한 바람도 불어오니, 비록 진수성찬과 서글픈 음악 

이 있으나 고상한 이야기와 멋있는 익살로 울적한 마음을 푸는 것이 좋을 것 같소. 

그대는 기이한 이야기가 있거든 나를 위하여 이야기하여 주지 않겠는가?”

하였다. 이에 설총이 옛날이야기 하듯이 왕에게 들려준 이야기가 바로 <화왕계>이다. 

왕은 이 이야기를 듣고 쓸쓸한 표정을 짓고 말하기를

 “그대의 우언에는 참으로 깊은 뜻이 있으니 청컨대 이를 써 두어 임금 된 자를 경계

음에서 불이 일어 / 몸을 태우고 화신이 되었네. / 푸른 바다 밖 멀리 흘

러갔으니, / 보지도 말고 친하지도 말지어다.’라는 내용의 주문을 지은

하는 말로 삼으리라.”

하고 설총에게 높은 벼슬을 주었다.  

것으로 전해진다.

● 고대 시가의 주술성, 제의성, 집단성

•주술성: 불행이나 재해를 막으려고 외우는 주문으로 사용됨.

•제의성: 제사를 지내는 의식의 일부로 노래됨.

•집단성: 개인적 차원을 넘어서서 집단적으로 공유됨. 



지식

009

김현감호 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자기희생, 탑돌이, 호원사

040~041쪽

1 ④  2 ④  3 ③  4 ‘신라 시대 서울’이라는 시간과 장소가 나오고, ‘호
원사’와 ‘민간요법’이라는 구체적인 증거물이 제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008

화왕계 _ 설총

키포인트 체크   갈등, 꽃, 충신

1 ⑤  2 ④  3 ④  4 임금은 (충신을 가까이하고) 간신을 멀리해야 한다.

038~039쪽

1  하늘에서 외치는 소리가 있었는데, 호랑이 처녀의 세 형제들이 생명을

즐겨 해침이 너무 많아 그 악행을 징계하겠다고 말하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늙은 할미는 호랑이 처녀가 김현을 데려온 것에 대해

‘비록 좋은 일이지만 없는 것만 못하다.’라고 말했다.

② 남녀들이 서로 다투어 탑돌이를 하는 것은 소원을 비는 풍습 때문이

1  이 글의 작가는 꽃을 화왕, 백두옹, 장미에 의인화하여 빗댐으로써 임금

지, 이성을 만나기 위해서가 아니다.

의 도리와 바른 처신에 대해 간접적·우의적으로 전하고 있다.

③ 호원사를 지은 사람은 김현으로, 절을 건립하여 불경을 강한 것은 호

2  이 글에서 화려하고 아름다운 용모를 지닌 장미는 임금을 현혹하는 간

신을 빗댄 존재로 충언을 하는 백두옹과 대비되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화왕은 인간 세상의 임금을, 장미는 간신을, 백두옹

② 작가는 백두옹을 통해 바른 도리로 정치를 해야 한다는 생각을 드러

은 충신을 빗댄 존재이다.

내고 있다.

랑이 처녀의 유언에 따르고 호랑이 처녀의 은혜를 갚고자 한 행동이다.

⑤ 원성왕이 김현이 호랑이를 잡기 전에 벼슬부터 준 것은 그를 격려하

기 위함이다. 원성왕이 김현이 호랑이를 잡아올 것이라 믿어 벼슬부터

내렸다는 내용은 나타나지 않는다.

2  김현이 왕 앞에서 호랑이를 잡을 수 있다고 말한 것은 호랑이 처녀와의
약속에 따른 것이다. 김현은 호랑이를 잡게 될 것이므로 이를 ‘허장성세

③ 백두옹은 맹자와 풍당의 고사를 통해 장미와 자신 사이에서 고민하

(실속은 없으면서 큰소리치거나 허세를 부림.)’라고 보기는 어렵다.

는 화왕의 잘못을 바로잡고자 하는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김현은 호랑이 처녀에게 은혜를 갚기 위해 등용된 후

⑤ 화왕이 백두옹의 충언을 듣고 ‘내가 잘못했다. 잘못했다.’라고 뉘우

호원사를 건립했다.

정답과 해설 355

② 호랑이 처녀는 세 오빠의 벌을 자진해서 받겠다고 하며 자신의 목숨

수 있다.

을 내놓고 있는데, 이는 자기의 몸을 희생하여 인(仁)을 이루는 것이므

오답 뜯어보기   ① 왕이 죽자 맏사위인 응렴이 왕위를 이어받은 것에서

로 ‘살신성인(殺身成仁)’이라고 할 수 있다.

알 수 있다.

③ 김현은 호랑이 처녀에게 ‘어찌 차마 배필의 죽음을 팔아서 일생의 벼

② 응렴은 맏공주에게 장가를 들라는 범교사의 충고 덕에 왕이 될 수 있

슬을 요행으로 바랄 수 있겠소?’라고 말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그가 진

었다.

실된 성격임을 알 수 있다.

④ 왕위에 올라 ‘이제 쉽게 아름다운 둘째 공주를 취할 수 있게’ 되었다

⑤ 호랑이 처녀는 배필의 죽음으로 벼슬을 얻을 수 없다고 말하는 김현

는 범교사의 말을 통해 알 수 있다.

을 설득하고 있다. 따라서 자신의 죽음이 다섯 가지의 이로움이 있다고

⑤ 경문 대왕이 자신의 비밀을 퍼뜨리는 대나무를 베어 냈다는 내용에

한 말은, 김현의 죄책감을 덜어 주려는 호랑이 처녀의 의도에서 비롯된

서 알 수 있다.

것임을 알 수 있다.

3  <보기>에서는 소설이 자아와 세계와의 갈등 상황에서 자아가 세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을 그린다고 하였다. 그런데 이 이야기에서

3  <보기>는 사회적 고립이 두려워 하고 싶은 말을 못해 화병에 걸린 경우
에는 일기를 쓰는 등의 행동을 통해 속마음을 표현하는 것이 효과적이

라는 내용이다. 이를 참고하면 대나무 숲에서 비밀을 발설한 복두장의

주인공인 김현은 ‘호랑이 처녀의 죽음’이라는 ‘세계의 횡포’에 적극적으

행동은 화병을 극복하기 위해 일기를 쓰는 행위와 본질적으로 동일하

로 저항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이야기를 소설로 볼 수 없는 것이다.

다고 볼 수 있다. 화병에 걸리는 것은 자신이 알고 있는 비밀이나 속마

오답 뜯어보기   ① 호랑이 처녀와 함께하고자 하는 욕망과 벼슬을 얻고

음을 표현하지 못해서이므로 간접적이라 해도 비밀을 털어놓았기 때문

자 하는 욕망이 나타나 있다.

에 오히려 화병에 걸린다는 ①은 적절하지 않다.

② 김현과 호랑이 처녀의 갈등은 자아와 세계의 갈등이 아니다. 이 작품

에서 김현이 맞닥뜨리는 세계는 ‘호랑이 처녀의 죽음’이다.

④ 세계와의 갈등에서 선택을 하는 것은 김현이 아니라 호랑이 처녀이

며, 김현은 별다른 선택을 하지 못하고 있다. ‘선택하지 않는 것’을 김현

의 선택이라 보아도 이는 호랑이 처녀의 숭고한 자기희생의 결과이기

때문에 비도덕적인 선택이라고 볼 수 없다.

⑤ 김현이 호랑이 처녀와 함께하고자 할 때 ‘호랑이 처녀의 죽음’이라는

세계의 횡포가 나타난다.

4  <보기>의 설명에서, 전설에는 뚜렷한 시·공간이 제시되고 구체적인 증
거물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 이야기는 신라 시대 서울을 배경으로

하며 ‘호원사’와 ‘민간요법’이라는 구체적인 증거물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이 작품은 전설이라고 할 수 있다.

4  이 설화의 내용 중 경문 대왕의 귀가 자란 내용은 당나귀 귀 화소를 지
닌 다른 나라의 이야기들과 유사한 구조를 보인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

문학의 보편성, 즉 우리 문학이 세계 문학과 일맥상통함을 알 수 있다.

011

지하국 대적 퇴치 설화 _ 작자 미상

044~045쪽

키포인트 체크   비범, 지상, 지하, 노력, 구출

1 ③  2 ③  3 ②  4 현실의 힘든 상황을 노력을 통해 극복할 수 있다는 
희망을 드러내고 있다.

1  이 글에서는 무사가 여인들을 납치해 간 도적을 죽이고, 자신의 공을 가
로채려 한 사람들을 처치함으로써 악인을 징벌하고 있다. 또한 선인인

무사가 여인들과 결혼하는 행복한 결말을 통해 독자들에게 권선징악의

교훈을 전달하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이 글은 흥미 위주의 민담으로, 이야기에 신뢰성을

② 주인공인 무사는 용기가 있고 의지적인 인물이지만 평범한 인간이

며 이 글에서 무사의 일대기를 다루고 있는 것은 아니다.

④ 여인들을 납치해 간 독수리나 무사를 지상에 데려다 준 학은 자연물

로서 이 글의 전기적인 특성을 보여 주기는 하지만 의인화한 대상이 아

니다. 또한 인간 세계에 대한 풍자도 찾아볼 수 없다.

● 신화, 전설, 민담의 특성 

신화 주인공이 신이하고 초월적 능력을 지닌 인물이며 신성성이 중시됨.

전설 주인공이 특별한 능력을 지닌 인물이며 이야기의 증거물이 제시됨.

민담 주인공이 평범한 인물이며 흥미 위주의 이야기임.

지식

2  <보기>의 물고기와 자라는 주몽이 기병에게 쫓기는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돕는 조력자이다. 이 글에서 여인은 무사가 구출하려는 대상

이면서 동시에 무사가 도적을 퇴치할 수 있도록 조언하는 조력자의 역

1  이 글은 경문 대왕이 왕이 된 일화와 뱀을 숭상한 일화, 왕의 귀가 당나
귀 귀로 변화한 일화 등을 보여 주어 왕의 지혜로움과 신이함을 부각하

⑤ 시간적 배경은 명확하지 않으며 공간적 배경은 비현실적인 지하국

으로 실제 역사적 사건이나 당시의 사회상과 관련이 없다.

010

경문 대왕 이야기 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당나귀, 비밀, 대나무 숲

1 ⑤  2 ③  3 ①  4 경문왕의 귀가 당나귀 귀로 변한다는 내용에 드러
나는 ‘당나귀 귀’ 화소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기 때문이

042~043쪽

부여하는 증거물은 찾아볼 수 없다.

다.

고 있다.

되고 있다.

356 정답과 해설

 오답 뜯어보기   ① 작가의 직접적 평가가 드러나지 않는다.

② 여러 유형의 인물이 등장하지 않고 경문 대왕에 관한 이야기가 진행

③ 신라 시대의 경문 대왕이라는 역사적 실존 인물이 등장한다.

④ 초월적 능력을 지닌 인물이 태어나 시련을 극복하고 과업을 이루는

것은 주로 신화에 등장하는 이야기 구조이다. 이 이야기는 설화이다.

2  경문 대왕의 침소에 뱀이 나타나자 대궐에서 사람들이 놀라서 몰아내
려 했다는 내용으로 보아, 뱀을 숭배한다기보다 두려워하고 꺼림을 알

할을 하고 있다.

정답44과 해설 오답 뜯어보기   ① 여인을 납치해 간 괴물이다.

② 지상과 지하를 오갈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

③ <보기>의 ‘누가 내 고향 계림으로 나를 위하여 소식을 전할까.’에서

설의법을 활용하여 자신의 소식을 전할 수 없는 안타까운 마음을 효과

④ 무사가 도적을 퇴치하는 데 방해가 되는 존재이다.

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⑤ 무사가 부딪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다.

④ [A]는 혜초가 마하보리사를 예방할 때 쓴 시이므로 대상과 화자의 심

3  무사는 지상에서 바구니를 타고 지하로 내려갔고 지하국에서 여인을
만나 도움을 받았으며, 동료들의 배신으로 지하에서 지상으로 나올 때

리적 거리가 가깝다. 그러나 <보기>는 그리움의 대상인 고향 계림이 하

늘 끝 북쪽에 있다고 표현함으로써 심리적 거리감을 드러내고 있다.

는 학을 타고 올라왔다. 즉, 무사는 [C]에서 여인의 도움을 받았다.

오답 뜯어보기   ① 무사는 독수리가 여인을 납치해서 바위 사이로 들어

4  <보기>는 불교의 오계에 관한 설명으로, 밑줄 친 부분은 살생하지 말라
는 ‘불살생계’에 해당한다. ㉡은 국왕에서 서민에 이르기까지 사냥을 하

가는 것을 보았기 때문에 지하국으로 가는 구멍을 찾아냈다.

지 않는다는 내용으로, 생명을 죽이지 않으려는 노력이 드러나는 부분

③ 무사는 [B]에서는 바구니를 타고 바위 밑의 구멍을 통과해서 내려갔

이다.

5  이 글은 육로와 해로의 기행이 같이 언급되어 있다는 점과 8세기 인도
와 중앙아시아를 다룬 세계에서 유일무이한 기록이라는 점, 그리고 일

반적인 정세 외의 당시의 생활상이 구체적으로 다뤄지고 있다는 점에

서 사료적인 가치가 있다.

고, [D]에서는 학을 타고 나왔다.

④ 무사는 [B]에서는 한 사람만 겨우 통과할 수 있는 구멍으로 밧줄에

묶은 바구니를 타고 내려갔으며, [D]에서는 고기를 주며 학을 타고 오

다가 고기가 떨어지자 자기 팔을 베어 주었다.

⑤ 무사는 지하국에서 도적을 퇴치하여 지상으로 돌아온 뒤 여인들과

결혼하여 행복하게 살았다.

4  약자이며 특별한 능력도 없는 평범한 인물인 무사가 각고의 노력으로
강자인 도적과 대결하여 승리를 쟁취하는 이야기를 통해 힘든 현실 상

황도 노력하면 극복할 수 있다는 희망적인 주제를 전달하고 있다.

015

격황소서 _ 최치원

키포인트 체크   회유, 황소의 난, 귀순

050~051쪽

1 ④  2 ④  3 ②  4 반란을 일으킨 황소로부터 항복을 받고자 한다.  
5 자신의 약속이 거짓이 아님을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1  이 글은 중국에 건너가 과거에 급제하고 높은 벼슬에 올랐던 최치원이
쓴 격문이다. 그는 황소의 난이 일어나자 토벌군 총사령관의 서기직을

맡은 상황에서 황소의 죄상을 고발하고 항복을 강하게 권유하고자 이

글을 썼다.

048~049쪽

 오답 뜯어보기   ② 황소가 항복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쓴 격문이다.

③ 최치원이 중국 문학에 미친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글이다.

⑤ 이 글은 상대를 위협하면서 회유하는 내용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2

(나)의 ‘만일 땅을 떼어 봉해 줌을 원한다면, 나라를 세우고, 집을 계승

하여 몸과 머리가 두 동강으로 되는 것을 면하며, 공명의 높음을 얻을

것이다.’에서 부귀를 약속하며 상대방을 회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

2  고대 수필

014

왕오천축국전 _ 혜초

키포인트 체크   불교적, 천축국, 기후

1 ⑤  2 ②  3 ⑤  4 ②  5 육로와 해로를 같이 언급한 글이다. / 8세
기의 인도와 중앙아시아를 다룬 세계에서 유일무이한 기록이다. / 당대 인도의 

사회상을 상세히 기록한 글이다.

1  이 글은 신라의 승려 혜초가 고대 인도의 다섯 천축국을 답사하고 쓴 기
행문으로 인도의 정세, 지리, 풍속, 언어 등을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비

다.

현실적 사건을 제시한 부분은 찾을 수 없다.

2  이 글에 혜초가 천축국을 여행하면서 기록을 남기게 된 계기가 무엇인

지는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오답 뜯어보기   ① 천축국의 형벌 제도에 관한 내용은 (다)에서 알 수 있다.

③ 마하보리 영탑의 위치는 (가)에서 알 수 있다.

④ 천축국 백성들이 주로 먹는 음식은 (라)에서 알 수 있다.

⑤ 천축국의 재판 제도에 관한 내용은 (마)에서 알 수 있다.

3  <보기>는 구름, 바람을 의인화하여 고향에 대한 자신의 그리움을 드러
내고 있다. 이와 달리 [A]에는 의인법이 사용되지 않았고 고향에 대한

3  격문이란 원래 사람의 생각과 행동을 바꿀 목적으로 쓴 글이다. 이 격문
에서 최치원은 회유와 협박을 적절히 결합하여 황소를 압박하고 있다.

그런데 <보기>에 따르면 황소가 이 글을 읽고 의자에서 떨어졌다고 하

는데, 이는 황소가 격문을 읽고 강한 충격을 받았다는 뜻이다. 이를 통

해 문학이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고 나아가 어떤 구체적인 행동까지도

야기할 수 있는 강력한 힘을 지녔음을 확인할 수 있다.

4  이 글은 당나라 말기에 일어난 민란인 황소의 난 때 그 우두머리였던 황

소에게 항복을 권유하기 위하여 보낸 격문이다.

5  최치원은 자신의 약속이 반드시 실행될 것이라는 확신을 주기 위해 천

그리움이 아니라 승려로서 느낀 불교적 감동이 나타나 있다.

자를 거론하고 있다. 즉, 자신은 황제의 명령을 받은 사람이고 맑고 깨

 오답 뜯어보기   ①, ② [A]에는 마하보리사를 예방하는 기쁨과 감동이

끗한 신의를 지녔으며, 은혜를 베푼다고 해 놓고 나중에 다른 행동을 하

드러나 있지만, <보기>에는 대상(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드러나 있다.

지 않겠다고 말함으로써 자신의 약속이 거짓이 아님을 강조하고 있다.

정답과 해설 357

II. 고려 시대

1  가전

016

공방전 _ 임춘

키포인트 체크   의인화, 돈, 재물, 탄핵

천하가 시끄러워 못살게 되었고, 소식이 그 폐단을 비난했다고 나와 있

다. 이는 청묘법을 실시함으로써 돈이 대량으로 유통되자 나라가 혼란

해졌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돈 때문에 발생하는 폐단을 억제하고자 청

묘법을 썼다는 ③의 설명은 적절하지 않다.

지식

056~059쪽

● 공방에 대한 등장인물의 태도

긍정적 태도

유안, 비(濞), 왕안석

부정적 태도

공우, 사마광, 소식

1 ⑤  2 ④  3 ⑤  4 벼슬을 팔아서 올리고 내침이 그 손바닥에 있으므
로 많은 벼슬아치들이 절개를 굽혀 섬겼다.  5 ⑴ 공방은 겉은 둥글어 착해 보
이지만, 속은 모가 나서 악하다. ⑵ 표리부동(表裏不同)  6 ③  7 ⑤  8 ④  
9 ④  10 이 글과 <보기>의 공통점은 사물을 의인화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글의 주인공 공방이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것과 달리  <보기>의 주인공 성은 긍정

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1  공방은 물건값을 낮추어 곡식을 천하게 만드는 대신 돈을 중하게 만들
어 백성으로 하여금 장사를 좇게 하여 나라의 근본이 되는 농사를 방해

했다. 그 결과 물가가 안정되고 나라의 경제 사정이 좋아졌는지는 알 수

대신하여 드러내고 있다.

7

(다)는 가전체의 마지막 부분인 사신의 평으로 일반적으로는 인물의 장

단점을 모두 다루지만, 이 글에서는 인물의 단점만을 언급하고 있으며,

미래를 예측하지 않았다.

 오답 뜯어보기   ① 공방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통해 돈(재물)의 폐단을

비난하고자 하는 작품의 주제가 드러난다.

② 재물을 탐하는 세태에 대해 비판적인 작가의 생각을 사신(史臣)이

③ 마지막 문단에서 서술자가 공방에 대해 부정적으로 논평하고 있다.

④ 공방을 충신의 도리에 어긋난 자(‘충신은 경외의 사귐이 없다는 것에

어그러진 자’)라고 표현하여 직접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8

(다)에 돈을 없앴더라면 후환을 없앨 수 있었을 것이라는 언급이 드러

나는데, 이를 통해 돈이 모든 악의 뿌리라는 작가의 생각을 짐작할 수

 오답 뜯어보기   ① 돈의 유통성을 뜻한다.

② 돈이 많은 사람이 그 이익을 바탕으로 돈을 더 벌 수 있다는 뜻이다.

③ 사람은 누구나 돈을 소중히 여긴다는 말이다.

⑤ 돈이 사람을 살릴 수도, 죽일 수도 있는 막강한 힘을 가졌다는 의미

있다.

이다.

없다.

일을 맡았었다.

 오답 뜯어보기   ① 공방의 조상은 처음 황제 시절에 조금 쓰였으며 쇠붙

이를 맡은 사람의 청으로 세상에 그 이름이 알려졌다.

② 공방의 아버지 천(泉)은 주나라의 재상으로 나라의 세금을 매기는

③ 공방은 욕심 많고 더러워 염치가 없었으며 백성들과 사소한 이익조

차 다툴 만큼 돈을 벌기 위해서라면 체면도 가리지 않았다.

④ 벼슬을 팔아서 올리고 내침이 공방의 손바닥에 있으므로 벼슬아치

들이 절개를 굽혀 섬겼다는 것으로 보아, 공방 때문에 매관매직이 성행

했음을 알 수 있다.

2  사람 사귀는 기준을 돈에 두고 재물만 많은 자면 사람을 가리지 않은 공
방의 속물근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진정한 사귐이 무엇인

9  <보기>의 김◯◯ 할머니는 어렵게 모은 돈을 의미 있게 사용하고 있으
므로 돈을 부정적인 대상으로만 인식하는 작가에게 돈도 잘 쓰면 의미

지식

가 있다는 말을 해 줄 수 있다.

지는 제시되지 않는다.

● 가전 문학의 출현 배경

시켰다. 

부분이다.

가전 문학의 담당층은 신진 사대부 계층이었다. 무신 집권 이후, 과거 제도를 통해 새

롭게 등장한 신진 사대부들은 대체로 관념적 이상보다는 현실에 관심이 많았다. 신

진 사대부들의 이러한 현실주의 정신은 인간 생활을 구성하는 실제적 사물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이에 따라 새로운 유형의 문학 양식인 가전을 창출하고 발전

10  이 글의 공방은 돈을 의인화한 인물이고 <보기>의 성은 술을 의인화한
인물이다. 이 글의 공방은 일조에 모두 없애 버리지 못해 후세에 폐단을

남겼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지만, <보기>의 성은 태평스러운 푸

짐한 공을 이루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3  ㉤은 사람들이 돈을 중하게 여기게 되어 공방의 권세가 커짐을 드러낸

4

‘벼슬을 팔아서 올리고 내침이 그 손바닥에 있으므로 많은 벼슬아치들

이 절개를 굽혀 섬겼다.’라는 표현을 통해 당대 사회에서 돈으로 매관매

직(賣官賣職)하는 폐단이 성행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전형적인 정치와 경제의 유착 관계를 보여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5  공방의 생김새는 겉으로 보기에는 둥글어서 착해 보일 수 있지만, 속은
모가 나서 악한 성질을 지녔음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방의

017

국순전 _ 임춘

키포인트 체크   술, 간신, 전횡

060~063쪽

1 ③  2 ④  3 ④  4 ③  5 <보기>와 이 글은 빗대는 방법을 사용하여 
주제를 드러내고 있다. / <보기>와 이 글은 비유의 방법을 사용하여 주제를 드러

내고 있다.  6 ④  7 ①  8 ⑤  9 (라)와 <보기>는 모두 술을 의인화하
고 있는데 (라)의 작가는 술을 간신배로 보고 부정적 평가를 내린 반면, <보기>의 

작가는 술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모두 밝히면서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

모습을 드러내기에 적절한 한자 성어는 겉과 속이 다름을 뜻하는 표리

를 내리고 있다.

부동(表裏不同)이 적절하다.

6  이 글에는 왕안석이 정사를 맡아 다스리며 청묘법을 썼는데 이 때문에

사로이 사귀어 난리의 계단을 키우고 있다는 어떤 사람의 이야기를 듣

1  임금의 책망을 받은 것은 주가 아니라 서막이다. 임금은 서막이 주와 사

358 정답과 해설

정답44과 해설 고 그를 책망했다. 주는 그 후에 세상이 어지러울 줄 알고 다시 벼슬할 

④ 자승자박(自繩自縛): 자기의 줄로 자기 몸을 옭아 묶는다는 뜻으로, 

뜻이 없어 죽림에서 노닐며 그 일생을 마쳤다.

자기의 말과 행동에 자신이 옭혀 곤란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오답 뜯어보기   ① (가)에서 국순의 90대조인 모가 숨어 살며 벼슬을 하

이다.

지 않았다고 했다.

② (나)에 서막과 친하여 그를 조정에 끌어들여 말할 때마다 주가 입에

서 떠나지 않았다고 한 데서 알 수 있다. 

④ (다)에 성대한 모임이 있을 때 순이 오지 않으면 ‘국 처사가 없으면 즐

겁지가 않다.’라고 한 것에서 알 수 있다.



(라)와 <보기>는 모두 술을 의인화한 가전이지만, 두 작품에서 술을 대

하는 태도는 다르다. 이 글에서 술은 임금을 현혹하고 국가를 위기에 빠

뜨리는 부정적 존재이지만 <보기>에서 술은 넓은 도량을 바탕으로 국

가를 구하는 긍정적 존재이다.

지식

⑤ 산도는 국순에 대해 ‘천하의 창생(蒼生)을 그르칠 자는 이놈’이라고 

● <국순전>과 <국선생전>의 비교

하며 국순으로 인한 폐해가 생길 것을 예측하여 말했다. 

2  <보기>의 기사에는 술을 지나치게 탐닉하여 문제를 일으킨 상황이 제
시되어 있다. 따라서 술의 폐해를 보여 주는 사례, 술이 사람을 그르친 

사례라 할 수 있다.

하는 사례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술이 문제를 야기하는 상황이 중점적으로 드러나 있

으므로 술을 귀하게 여기고 사랑하는 상황과는 거리가 멀다.

② 사람들이 술을 흠모하는 이유가 아니라 술을 경계하는 이유를 알게 



국순전

국선생전

공통점

•인물과 지명, 서술 방식 등이 유사함.
•술(내력, 성질, 효능)을 의인화함.

• 간신을  꾸짖고  방탕한  군주를  풍 

차이점

자하려는 목적에서 창작됨.

• 총애를  받다가  방종하여  물러난 
후에 백의종군하는 충절의 대표적 
인간상임.

•술의 폐해를 드러냄.

• 술의  효능과  가치를  긍정적으로 

수용함.

3  ㉣은 과음하여 몸을 가누지 못하는 모습으로, 술의 폐해에 해당한다. 나

머지는 모두 술의 좋은 점에 해당한다.

오답 뜯어보기   ① ㉠은 국순의 재능과 도량이 뛰어나다는 뜻이다.

② ㉡은 국순의 성품이 맑다는 뜻이다.

③ ㉢은 술이 사람들에게 활력을 불어넣어 준다는 뜻이다.

⑤ ㉤은 국순이 흥을 돋우며 즐거운 분위기를 만들어 준다는 뜻이다.

4  ⓐ에서는 앞에서는 국순을 ‘갸륵한 아이’라고 치켜세웠다가 뒤에서 천

하의 창생(蒼生)을 그르칠 자’라며 깎아내리고 있다.

018

국선생전 _ 이규보

키포인트 체크   술, 무신, 탄핵

064~067쪽

1 ⑤  2 ④  3 ②  4 곡식이 누룩을 만나 발효되어 술(국성)이 되는 과정
을 표현하기 위해서이다.  5 ③  6 ⑤  7 이 글은 술에 대한 긍정적인 관
점에서 국성의 업적과 국성이 과오를 극복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었고, <보기>

는 술에 대한 부정적인 관점에서 국순이 행한 부정부패를 서술하는 데 중점을 두

었다.  8 물러날 때를 보아 물러날 줄 아는 인물이다.

5  <보기>는 탐관오리의 수탈이 심하여 백성들이 피폐하게 살아가는 부당
한 현실을, 애써 지어 놓은 늙은 홀아비의 곡식을 참새가 쪼아 먹는 상황

1  국성은 주천(酒泉) 사람으로, 주천 물로 맛있는 술을 빚었다고 하여 공 
간적 배경이 의미 있는 장소로 제시되기는 하지만 인물의 심리를 드러 

에 비유하여 고발한 작품이다. 〈국순전〉은 술을 의인화하여 당시의 부정

내지는 않는다.

적인 정치 상황을 풍자하는 교훈적인 내용을 담은 가전체 작품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성과 함께 즐긴다고 하는 것은 술을 마신다는 것을 

6  이 글은 술이라는 사물을 의인화하여 현실 세계를 비판하고 있는 우의

적 성격의 글이다. 하지만 개인의 정서를 표현한 것은 아니다.

오답 뜯어보기   ① 술을 의인화하여 표현하고 있다.

②, ③ 가전에서는 의인화한 사물의 가계와 생애 및 성품, 공과를 서술 

하기 위해 여러 가지 역사적 사실과 고사를 인용하는데, 이 글에서도 이

러한 특징이 드러나고 있다. 

⑤ 국순의 생애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서술하고 있다.

7  이 글에는 술이 인간을 망치듯 충언을 하지 않고 임금의 비위만 맞추어 

임금을 망치는 간신에 대한 풍자가 드러나 있다.

비유적으로 드러낸 말이다.

② 국성의 일대기를 중심으로 사건이 전개되고 있다.

③ 국성은 누룩(술)을, 조부 모(牟)는 보리를, 아버지 차(醝)는 흰 술을 

의인화한 표현이다.

유발하고 있다.

④ 중국 진나라의 시인 유영, 동진의 시인 도잠 등을 등장시켜 흥미를 

2  이 글에서 임금이 국성을 ‘국 선생’으로 예우한 것은 국성이 국가의 주 
요한 행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으면서 위국충절의 모범적 태도를 보 

였기 때문이다. 이는 국성과 같은 이상적 인물을 설정하여 바른 신하의 

귀감으로 삼으려 한 작가의 의도가 반영된 부분이므로, 이를 무인들의 

8  왕실은 순으로 인한 폐단 때문에 어지러워지고, 순은 천하의 웃음거리
가 되었으므로 ‘함께 넘어지고 같이 망함.’이라는 뜻의 ‘공도동망(共倒

삶과 관련짓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同亡)’이 적절하다.

다는 의미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전전긍긍(戰戰兢兢): 몹시 두려워 벌벌 떨며 조심한

② 소탐대실(小貪大失): 작은 것을 탐하다 큰 것을 잃는다는 의미이다.

해석하기는 어렵다.

3  ㉡은 맑음이 쉽게 변하지 않는 좋은 술의 속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쉽게 
변하지 않는 국성의 성품을 나타낸다. 그러나 쉽게 변하지 않는다 해서 

이를 원칙적이고 세속의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강직한 성품으로까지 

③ 배은망덕(背恩忘德): 남에게 입은 은덕을 저버리고 배신한다는 의 

‘국(麴)’은 누룩을 의미하고 ‘곡씨’는 곡식을 의미하며, 이 둘이 만나 발



미이다.

효되면 ‘술(국성)’이 된다. 그러므로 국성의 어머니를 곡씨의 딸로 설정

정답과 해설 359

한 것은 누룩이 곡식을 만나 발효되어 술(국성)이 되는 과정을 표현하

현부가 검은 옷에 수레를 타고 나타나서 말한 내용까지 제시되어 있으

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므로 ⓐ보다 ⓑ의 정보가 좀 더 구체적이라고 할 수 있다. 

5  모영이 술의 폐해를 지적하여 국성을 탄핵하자 국성은 결국 서인으로 폐
해지고 아들과 친구를 잃게 된다. 작가는 이러한 국성의 시련을 통해 술

을 지나치게 마시면 그 폐해가 클 수 있음을 지적하고, 사람의 상황도 언

제든지 바뀔 수 있으니 항상 행동을 조심해야 함을 일깨우고 있다.

6  가전에서 주인공의 가계 내력을 서술할 때에는 보통 주인공이 태어나
기 전의 가계도를 자세히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국성의 조카

와 아우들의 행적에 대한 설명은 이 글에 언급되지 않는다.

7  <보기>의 <국순전>에서 술(국순)은 임금으로 하여금 정사를 폐하게 하
고, 돈을 거둬들여 재산을 모으는 등 부정적인 인물로 그려져 있다. 반

면에 이 글에서는 술(국성)의 업적과 국성의 과오를 극복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국성, 즉 술을 긍정적인 인물로 그리고 있기 때문에 <보

기>의 국순과는 대조적이라 할 수 있다.

8  이 글에서는 국성을 통해 바람직한 신하의 모습을 제시하고 있다. 국성
은 가난한 집 자식으로 태어나, 권문세족이 아니지만 뛰어난 능력을 발

휘하여 임금의 총애를 받는다. 또한 임금에게 충성을 다했을 뿐만 아니

라, 물러날 때에는 물러날 줄 아는 순리를 지키는 인물이었다.

⑤ ⓐ는 현부의 어머니가 임신할 때 꾼 꿈이므로 태몽(胎夢)의 성격을 

띠고, ⓑ는 그 다음날 일어날 일을 미리 보여 준 것이므로 예지몽(豫知

夢)의 성격을 띤다고 할 수 있다.

4  현부는 임금이 그의 명성을 듣고 불러들였을 때 ‘진흙 속에서 노니는 재
미가 끝이 없는데, 벼슬살이를 내가 왜 바라겠는가?’라며 벼슬에 뜻이 

없음을 드러낸다. 후에 예저에 의해 강제로 임금을 뵈었을 때에도 벼슬

에 대한 욕심이 없음을 드러내며 자신을 보내 줄 것을 간청하고 있다. 

따라서 왕과 현부의 외적 갈등이 드러나고 있다.

5  이 글의 (나), (다)에서는 현부를 침착하고 도량이 크며 벼슬을 사양하 
는 긍정적인 인물로 그리고 있는 데 반해, <보기>에서는 거북이 남의 아

내를 약탈해 갔기 때문에 그물로 잡아 구워 먹겠다고 하며 거북을 위협

하고 있다.

갈래 가전

거북의 
면모

● <청강사자현부전>과 <해가>의 비교 

지식

청강사자현부전

해가

4구체 한역 시가

지혜로우나 술책에 빠지는 인물

신성한 존재

주제
의식

안분지족(安分知足)의  처세와  언행
(言行)을 삼가는 삶의 자세

수로 부인의 귀환을 요구함.

형식 ‘도입 - 전개 - 비평’의 3단 구성

‘요구 - 위협’의 명령 어법

019

청강사자현부전 _ 이규보

키포인트 체크   거북, 처세, 안분지족

068~071쪽

6  왕은 어부에게 잡혀 온 현부를 보내 주려 했으나 위평이 은밀히 눈짓하
여 이를 말렸다. 이는 현부를 등용하라는 뜻을 전달한 것이라 할 수 있

1 ④  2 ③  3 ③  4 벼슬을 주려는 왕과 이를 거부하는 현부의 외적 갈
등이 나타난다.  5 이 글의 서술자는 거북(현부)에게 우호적인 데 반해, <보기>
의 화자는 거북에게 위협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6 ①  7 ②  8 ⑤  
9 언행을 삼가고 자신을 경계

1  현부는 앞길의 길흉화복을 점치는 능력이 있음에도 어부에게 사로잡혀 
강제로 세상에 나오게 된다. 이는 아무리 현명한 사람이라도 한순간의 

실수로 일을 그르칠 수 있으니 말과 행동을 조심해야 한다는 주제를 보

여 준다.

2  ㉠은 현부가 임금의 뜻을 거절하기 위해 부른 노래로, 벼슬을 탐하지 않

고 자신의 처지에 만족하는 현부의 삶의 태도가 나타난다.

3  꿈은 능동적으로 꿀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분히 수동적이기 때문에 ⓐ 
와 ⓑ의 주체는 모두 수동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꿈을 다르게 해석

하여 현부라는 특정 인물의 행동만을 놓고 보아도 꿈을 통해 현부가 태

어날 것을 암시한 ⓐ보다는 현부가 직접 꿈에 나타나서 자신이 갈 것임

을 암시하는 ⓑ가 좀 더 능동적이라고 할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는 현부의 출생, ⓑ는 현부가 원왕 앞에 나타나는 

것을 예고하는 역할을 한다.

② ⓐ에서 요광성은 군대를 관장하는 별이다. 따라서 현부가 꿈에서와 

같은 일을 하려면 장성해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걸리고, ⓑ의 내용은 이

튿날 예저가 현부를 데리고 와 이루어졌으므로 ⓐ보다 ⓑ가 시간적으

으므로 ①과 같은 설명은 적절하지 않다.

오답 뜯어보기   ② (가)에서 나랏일의 대소를 막론하고 모두 현부에게 

물어본 뒤에 시행했다는 내용에서 알 수 있다.

③ (나)에 벼슬살이를 하던 현부가 어디에서 생을 마쳤는지 아는 사람 

이 없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④ (나)에서 지금도 벼슬아치들이 현부의 덕을 사모하여 황금으로 그의 

형상을 주조해서 다니기도 한다는 내용을 통해 알 수 있다.

⑤ (다)에서 원서가 ‘때를 가리지 않고 세상에 나왔다가’ 뜨거운 물에 삶

겨 죽임을 당했음을 알 수 있다.

7  ⓐ는 현부의 후손에 대해 ‘그가 있는 곳에는 항상 푸른 구름이 감돌았
다.’라고 한 부분에 반영되어 있으며, ⓓ는 ‘나랏일의 대소를 막론하고 

모두 그에게 물어본 뒤에 시행하였다.’와 연결되고, ⓔ는 ‘그대는 신명

의 후손으로 길흉화복에 밝은 자인데, 왜 스스로 미리 자신의 앞길을 도

모하지 못하고 예저의 술책에 빠져서 과인에게 붙들린 신세가 되었는

가?’에 반영되어 있다.

8  <보기>에서 이규보는 자의 반, 타의 반으로 관직에 진출했다고 했으므
로, 현부가 예저의 술책에 빠진 것을 작가가 관직 진출의 꿈을 실현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9  이 글의 작가는 성인도 삶에 어그러짐이 있고 현부처럼 앞일의 길흉을 
점칠 수 있는 자도 어부의 술책에 빠져 사로잡히기도 하므로, 평범한 사

람들은 항상 자신을 경계하고 언행을 삼가야 한다는 의도를 전달하고 

로 짧게 걸렸다고 할 수 있다.

④ ⓐ의 내용은 요광성이 품에 들어오는 것이 전부이지만, ⓑ의 내용은 

있다.

360 정답과 해설

정답44과 해설 2  수필·패관 문학

020

경설 _ 이규보

키포인트 체크   거울, 맑음, 대답, 통념

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072~073쪽

6  이 글에서 작가는 거사를 자신의 대변인으로 설정하여, 거울에 대한 통
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깨달음을 전달하고 있다. 이때 거울은 작가가 얻

은 깨달음을 주장할 수 있는 계기를 형성하는 소재로서 작가가 얻은 깨

달음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하고 있다.

1 ②  2 ②  3 ⑤  4 ⑤  5 ①  6 거사는 작가의 분신으로 작가의
생각을 대변해 주며, 거울은 작가가 얻은 깨달음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한다.

1  이 글은 거사와 손의 대화를 통해 바람직한 삶의 자세를 전달하는 수필

로, 인물 간의 갈등은 드러나지 않는다.

오답 뜯어보기   ① 거사와 손이 대화를 나누는 방식으로 내용이 전개되

③ 사람의 용모를 비추는 거울을 통해 작가가 생각하고 있는 대인 관계 

④ 일상적 사물인 거울을 통해 현실적인 처세와 바람직한 삶의 자세를 

고 있다. 

에서의 태도를 드러내고 있다. 

일깨우고 있다. 

021

이옥설 _ 이규보

키포인트 체크   행랑채, 비, 수리, 정치

074~075쪽

1 ④  2 ④  3 ④  4 ④  5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는 사람들을 멀리하
고 백성들의 삶을 보살피는 정치를 펼쳐야 한다.

1  작가는 행랑채를 수리한 경험을 통해 사람이 잘못된 것을 알고서도 바
로 고치지 않으면 곧 그 자신이 나쁘게 되는 것이 마치 나무가 썩어서 

⑤ 일반적으로 거울은 맑다는 특성에서 인격 수양의 기능을 찾는 데 반

해, 작가는 거사의 답변을 통해 오히려 먼지가 낀 흐린 거울이 결점을 

못 쓰게 되는 것과 같다고 유추하고 있다.

수용하여 유연하게 살아가는 삶의 태도를 전해 줄 수 있다는 가치관을 

오답 뜯어보기   ① 칸은 기둥과 기둥 사이의 공간을 이르는 말로, 행랑

제시하면서 통념을 깨뜨리고 있다.

채가 세 칸이라는 것은 행랑채 건물의 공간이 세 칸으로 이루어져 있다

2 ㉮ 를 사람들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과정이라고 생각하는 사람

은 손이 아니라 거사이다.

는 것이지 행랑채 자체가 세 채라는 뜻은 아니다. 

② 행랑채가 퇴락하여 수리할 정도라는 것으로 보아 오래전에 지어졌

다고 추측할 수 있다.

했으므로 비를 맞았다고 모두 다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⑤ 비가 샌 지 오래된 재목을 그대로 두는 것은 백성을 좀먹는 무리들을 

내버려 두는 것과 같다고 하였으므로, 좋은 정치란 비가 샌 지 오래된 

행랑채를 수리하는 일이 아니라 행랑채에 비가 새면 바로 고치는 것임

3  손은 거울에 대한 통념을 제시하여 거사가 거울에 대한 새로운 깨달음

③ 한 번밖에 비를 맞지 않은 재목들은 완전하여 다시 쓸 수 있었다고 

을 주장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4  <보기>의 옥은 흙이 묻어 아무도 그 진가를 알아보지 못하지만, 본래 맑
고 고운 가치가 있는 존재로, 자신의 가치를 알아봐 줄 이를 기다리고 

있다. <경설>에서는 거울이 그 맑음을 취할 잘생긴 사람을 만나기를 기

다린다고 할 수 있으므로, <보기>의 옥과 <경설>의 맑은 것이 가치를 

을 알 수 있다.

알아보고 제대로 활용해 줄 사람을 기다린다는 면에서 그 상징적 의미

2  작가는 [A]의 경험에서 [B]의 깨달음을 유추해 내고 있다. [C]는 [B]에

서 유추한 의미를 확장한 것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 거사는 삶에 대한 원숙한 통찰을 하는 인물로, 깨

오답 뜯어보기   ②, ⑤ [A]는 행랑채를 수리한 경험, [B]는 사람은 잘못

달음을 제시해 주고 있다. 

을 알고 바로 고쳐야 해를 입지 않는다는 깨달음, [C]는 백성을 좀먹는 

② ⓑ 손은 거사에게 통념을 깨뜨릴 새로운 가치관을 주장할 기회를 주

무리를 내버려 두어서는 안 된다는 내용에 해당한다.

가 유사하다.

고 있다. 

③ ⓒ 잘생긴 사람은 도덕적으로 결점이 없는 사람을 의미한다. 

④ ⓓ 못생긴 사람은 단점과 결점이 많은 사람을 의미한다.

3  이 글에 따르면 자신의 잘못을 알고도 고치지 않으면 점점 더 나빠지고 
잘못을 알고 빨리 고치면 일을 바로잡을 수 있다. 작가는 이를 정치에 

확대 적용하여 백성을 좀먹는 무리를 내버려 두면 나라가 위태로워지

5  명경지수(明鏡止水)는 깨끗하고 맑은 마음의 상태를 나타내는 한자 성
어로, 손이 ‘군자는 거울의 맑음을 취한다.’라고 말한 것과 관련된다. 깨

므로 늦기 전에 잘못을 바로잡아야 정치가 올바르게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더 큰 잘못을 하기 전에 현재의 자신을 돌아보고 잘못된 

끗하고 맑은 마음의 상태는 군자가 추구하는 바이며, 그러한 깨끗하고 

부분을 고쳐 나가야 한다는 반응이 가장 적절하다.

맑은 상태는 맑은 거울에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오답 뜯어보기   ② 경궁지조(驚弓之鳥): 한 번 화살에 맞은 새는 구부러 

진 나무만 보아도 놀란다는 뜻으로, 한 번 혼이 난 일로 늘 의심과 두려 

4  <보기>의 참새는 열심히 농사를 지은 홀아비를 괴롭히며 곡식을 빼앗
아 가는 존재로, 백성들을 괴롭히는 탐관오리를 의미한다. ⓐ~ⓔ 중에

서 탐관오리를 뜻한다고 볼 수 있는 소재는 ‘ⓓ백성을 좀먹는 무리들’ 

운 마음을 품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③ 목불인견(目不忍見): 몹시 참혹하여 차마 눈 뜨고 볼 수 없음을 이르 

이다.

는 말이다.

④ 명불허전(名不虛傳): 이름은 헛되이 퍼진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이 

름날 만한 까닭이 있음을 이르는 말이다. 

5  이 글에서 이규보는 백성을 좀먹는 무리들을 뿌리 뽑아야 하며 이를 위 
해서는 개혁과 결단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자신들 

의 안위만을 보호하는 데 힘을 쓰기보다는 백성의 삶을 보살펴야 한다 

⑤ 박문약례(博文約禮): 널리 학문을 닦아 사리에 밝고 예절을 잘 지키 

는 조언을 할 것이다.

정답과 해설 361

022

이상자대 _ 이규보

키포인트 체크   관상가, 고정관념, 좌우명, 문답

076~077쪽

2  <보기>는 백성들이 권력을 가진 자들에게 착취당하는 상황을 제시하 
며 ‘세력 있는 사람들’을 비판하고 있다. 그런데 이 글의 작가는 ‘임금은 

1 ⑤  2 ③  3 ①  4 ④  5 ‘색’은 보는 사람에 따라 아름답게도 추하
게도 여겨지기 때문이다.

1  이 글은 작가와 관상가가 묻고 답하는 대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인물 간의 특별한 갈등은 나타나지 않는다.

오답 뜯어보기   ① (다)에서 작가는 관상가에 대하여 ‘참으로 기이한 관

상가’라며 감탄하고 있다.

② 이 글은 작가와 관상가와의 대화를 직접 인용하여 제시하고 있다.

③ 이 글에서는 여러 가지 상황에 대한 관상가의 판단을 제시하고 있다.

④ 이 글은 작가와 관상가가 묻고 답하는 과정을 통해 고정관념에 얽매

이지 않고 다양한 시각으로 세상을 볼 것을 강조하고 있다.

백성으로부터 힘을 빌려서 존귀하고 부유하게 되는 것이요, 신하는 임

금으로부터 권세를 빌려서 총애를 받고 귀한 신분이 되는 것이다.’라고 

서술한 것으로 보아 모든 권력의 원천은 백성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따

라서 이 글의 작가는 <보기>에서 세력 있는 사람들이 백성의 땅을 빼앗

는 것은 부당한 일이며 백성들을 아끼고 보살펴야 함을 주장할 것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이 글의 작가는 본래 자기 소유는 없다고 생각하므로 

소유의 경계를 뚜렷이 하는 것은 이 글의 작가의 의도와 반대되는 일이

다. 

③ 이 글의 관점에 따르면 땅은 백성의 소유도, 나라의 소유도 아니다. 

따라서 백성이 나라에서 땅을 빌렸다는 말은 적절하지 않다.

④ 땅은 하나인데 주인이 많다는 것은 세력 있는 사람들이 자신의 권력 

을 이용해 백성들의 땅을 중복하여 착취한다는 뜻으로, 땅의 주인이 특

2  작가는 관상가가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에 감탄하며, 그의 말을 좌우명

정한 인물이 아니라는 내용과는 관계가 없다. 

으로 삼아 본받으려 하고 있다.

3  진기하고 좋은 물건을 보고서 그것을 탐하는 마음은 ‘견물생심(見物生

오답 뜯어보기   ② 견리사의(見利思義): 눈앞에 이익이 보일 때, 먼저 

⑤ 이 글의 작가가 ‘땅은 원래 백성이 하늘로부터 잠시 빌려 쓰는 것’이라

고 말하는 것은 어색하지 않지만, 땅을 빼앗겨 사용하지 못하면 빌린 의

미가 없고, 또한 <보기>에서 땅을 빼앗은 것은 하늘이 아니라 세력 있는 

사람들이므로 ‘백성들이 땅을 빼앗기고 억울해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말

하는 것은 이 글의 내용이나 <보기>의 내용으로 보아 적절하지 않다.

③ 목불식정(目不識丁): 아주 간단한 글자인 ‘丁’ 자를 보고도 그것이 

‘고무래’인 줄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글을 읽을 줄 모름 또는 그런 사

3  ㉠은 맹자라는 권위 있는 사람의 말로 작가는 이를 근거로 제시하여 세
상의 모든 것은 잠깐 빌린 것이라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면서 설득

心)’에 해당한다.

의리를 생각함.

람을 이르는 말.

④ 안하무인(眼下無人): 눈 아래에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방자하고 교

만하여 남을 업신여김을 이르는 말. 

⑤ 과유불급(過猶不及): 정도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는 뜻

으로, 중용(中庸)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

력을 높이고 있다.

4  안분지족(安分知足)은 소유에 집착하지 않고 제 분수를 지키는 모습을 
이르는 말로 소유에 대한 지나친 집착을 경계하는 한자 성어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능소능대(能小能大): 모든 일에 두루 능하다는 뜻이다. 

③ 사필귀정(事必歸正): 무슨 일이든 결국 옳은 이치대로 돌아간다는 

4  관상가는 고정관념이나 편견에 얽매이지 않고, 유연하고 다양한 시각
으로 관상을 보고 있다. 이 글의 작가 역시 잘못을 고치지 않고 틀에 박

뜻이다.

④ 수구초심(首丘初心): 여우가 죽을 때는 머리를 자기가 살던 굴 쪽으 

힌 것만을 따르는 태도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따라서 과거로부

로 두고 죽는다는 말로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비유한 말이다. 

터 이어져 내려오는 방법을 잘 계승해야 한다는 설명은 ‘그(관상가)’가 

⑤ 백절불굴(百折不屈): 백 번 꺾여도 결코 굽히지 않는다는 의미로 실 

대답할 만한 내용으로 보기에 적절하지 않다.

패를 거듭해도 뜻을 꺾지 않는다는 뜻이다.



(나)에서 아름다운 여인과 관련해 ‘무릇 색이라는 것은 음탕하고 사치

한 사람이 보면 아름답게 여기고, 단정하고 순박한 사람이 보면 진흙처

5  이 글에서 작가는 인간이 소유하고 있는 것은 잠시 빌린 것인데 사람들 
이 그것을 인식하지 못한다고 말하면서, 소유에 대해 성찰하고 있다. 

럼 추하게’ 여긴다고 했다.

즉, 작가는 인간이 지닌 소유욕을 경계해야 한다는 깨달음을 주고 있는 

것이다.

023

차마설 _ 이곡

키포인트 체크   말, 소유, 유추

078~079쪽

1 ⑤  2 ②  3 ①  4 ②  5 인간이 지닌 소유욕을 경계해야 한다.

1  작가는 말을 빌려 탄 경험을 통해 소유에 맹목적으로 집착하지 않는 삶
이 참되고 바른 삶의 자세임을 제시하고 있다. 즉, 가지고 있는 것은 본

래 자기 소유가 아니라 모두 남에게서 빌려 온 것이므로 소유에 집착하

지 말라는 의미를 전달하고 있다.

362 정답과 해설

정답44과 해설 III. 조선 전기

1  고전 소설

026

만복사저포기 _ 김시습

키포인트 체크   의리, 만복사, 윤회, 저포

를 벗어나게 하라고 말하고 있으므로, 여인은 불교적 윤회 사상을 믿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었음을 말하고 있다.

② (라)에서 여인은 자신이 어려서부터 시경(詩經)과 서경(書經)을 읽

086~089쪽

④ (라)에서 여인은 업보(業報)를 피할 수가 없어서 저승길을 떠나야 한

다고 말하고 있다. 이로 보아 여인은 운명론적 세계관을 지녔으며, 운명

났다고 하는 것 등에서 불교적 세계관을 엿볼 수 있다.

는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다.

1 ⑤  2 ⑤  3 비취새, 원앙새  4 ⑤  5 여인이 대접한 술의 향기가 
인간 세상의 것이 아니었다는 것으로 보아, 여인이 이승 사람이 아니기 때문이

다.  6 ③  7 ②  8 ③  9 ②

1  이 글은 인물 간의 대화를 중심으로 한 보여주기 방식으로 내용이 전개
되고 있어서 전반적으로 사건의 진행 속도가 느리다고 할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부처님에게 소원을 빌고 부처님이 돌보셔서 임을 만

② 공간적 배경인 만복사는 우리나라의 전라도 남원에 있는 절이다.

③ 이 글의 시점은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작품 밖의 서술자가 내용을

④ 죽은 여인과의 만남과 사랑이라는 비현실적인 사건이 몽환적인 분

서술하고 있다.

위기 속에 제시되었다.

2  <보기>는 여인이 부처에게 바친 글의 일부이다. <보기>에서 여인은 업
보는 피할 수 없다고 생각하지만 이 때문에 인연을 만나는 것을 주저하

지는 않는다. 오히려 여인은 배필을 얻게 해 달라고 부처에게 간절히 기

도하고 있다.

3  <보기>는 양생의 외로움을 나타내는 시로 양생의 심리를 집약적으로
묘사하고, 작품에 서정적이고 낭만적인 분위기를 부여하고 있다. 양생

은 비취새와 원앙새에 감정을 이입하여 배필을 얻지 못한 자신의 외로

운 심정을 표현하고 있다.

4  여인은 양생을 위하여 시녀를 시켜 앉을 자리와 술상을 펼쳐 놓는다. 양
생을 우연히 만난 날 밤늦게 갑자기 마련한 술자리이므로 이는 조촐하

면서도 아담했을 것이다. 따라서 ‘푸짐하게 잘 차린 맛있는 음식’을 뜻

하는 ‘진수성찬(珍羞盛饌)’은 이 상황에 어울리지 않는다.

를 이르는 말이다.

많음을 이르는 말이다.

② 미인박명(美人薄命): 미인은 불행하거나 병약하여 요절하는 일이

③ 두문불출(杜門不出): 집에만 있고 바깥출입을 아니함을 뜻한다.

④ 천우신조(天佑神助): 하늘이 돕고 신령이 도움을 뜻한다.



5  여인의 비현실적인 면모에 양생이 의심을 품고 질문을 하자 여인은 정
체를 밝히지 않으려고 한다. (라)에서 여인이 하녀를 시켜 마련한 술에

서 이 세상의 것이라고 할 수 없는 진한 향기가 풍겼다는 것으로 보아

여인은 이 세상 사람이 아님을 짐작할 수 있다. 즉, 여인은 이승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양생에게 자신의 정체를 숨기고자 한 것이다.

6

(나), (다)에서 양생은 여인의 부모로부터 여인에 관한 사연을 들은 후

부탁 받은 대로 여인을 만나고 있으므로, 양생이 여인의 죽음을 믿지 못

한다는 설명은 적절하지 않다.

에 순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⑤ (마)에서 양생은 토지와 가옥 등 자신의 전 재산을 다 팔아 절간으로

가서 여인을 위한 재를 지내고 있다.

7  은그릇은 여인이 죽었을 때 같이 묻힌 부장품으로, 여인이 죽어 땅에 묻
힌 존재임을 나타낸다. 양생은 은그릇을 매개로 여인의 부모와 만나고

저승의 여인과 이승의 부모를 연결해 준다. 즉, 사건 전개에 필연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은그릇이 여인의 운명을 암시하

8  ⓒ는 귀신으로서 산 사람과 만나 사랑을 나눈 것을 뜻한다. 또한 불좌
밑에 숨어 있던 양생이 먼저 여인에게 다가가 말을 걸었으므로 여인이

먼저 양생에게 다가갔다는 내용은 ⓒ의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다.

오답 뜯어보기   ① 양생의 말을 믿지 못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자신의 딸

에 대한 이야기여서 솔깃해하고 있다.

⑤ 부부의 연을 맺고 누리는 즐거움을 뜻한다.

9  이 글에는 양생이 여인의 정체를 알고도 변함없이 그녀를 사랑하는 모
습이 드러나 있다. 이러한 내용을 드라마에 반영하여 시청자에게 만남

의 소중함을 깨닫게 한다는 것은 기획 의도에 부합하는 의견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주변 인물들은 양생이 죽은 여인과 만나 대화하는 것

을 보고 놀라고 있다.

③ 여인을 신비하고 기이한 모습으로 설정하는 것은 적절하지만 시청

자들로 하여금 현실을 잊게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④ 양생과 귀신인 여인의 만남을 밝고 경쾌하게 묘사하는 것은 작품 전

체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는다.

⑤ 기획 의도에서 ‘비현실적 요소가 더 진지하게 받아들여질 때가 있

다.’라고 했으므로, 비현실적인 요소를 줄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지식

여인이 목숨보다 정절을 중히 여겨 왜구에게 죽임을 당한 것이나, 양생이 여인과의 

의리를 지켜 다시 장가들지 않고 지리산에 들어가 약초를 캐고 살았다는 것에서 의

리와 정절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작가 의식이 드러난다.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고려

할 때 이는 부당하게 단종의 왕위를 빼앗은 세조를 고발하고자 이 작품에서 도덕적 

이념을 전면에 내세운 것으로 볼 수 있다. 

027

이생규장전 _ 김시습

키포인트 체크   성취, 홍건적, 환신, 이별

090~093쪽

1 ②  2 ⑤  3 ⑤  4 이생은 부모의 반대를 거역하지 못하고 영남으로 내
려가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반면, 최 처녀는 자신의 뜻을 부모에게 전하여 허

락을 받아 내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5 ④  6 ②  7 ⑤  8 Ⓐ: 
지금까지 일어난 사건을 압축적으로 제시하기 위해서 삽입했다. Ⓑ: 앞으로 일

정답과 해설 363

오답 뜯어보기   ① (마)에서 여인이 양생에게 착한 업을 닦아 속세의 누

어날 사건을 암시하기 위해서 삽입했다.

오답 뜯어보기   ① 화용월태(花容月態): 아름다운 여인의 얼굴과 맵시

● 양생과 여인의 삶의 태도에 반영된 작가 의식

1  최 처녀는 이생과의 연애가 좌절된 후 상심하여 병이 났다. 이를 통해
최 처녀가 자유연애를 금기시하는 당대의 관습을 수용하며 체념하기보

② 흥진비래(興盡悲來): 즐거운 일이 다하면 슬픈 일이 닥쳐온다는 뜻

으로, 세상일은 순환되는 것임을 이르는 말이다.

다 이를 극복하고 싶은 욕망을 가지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③ 회자정리(會者定離): 만난 자는 반드시 헤어진다는 말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최 처녀의 부모는 매자를 보내 혼담을 성사시키기 위

④ 두문불출(杜門不出): 집에만 머무르며 바깥출입을 하지 않는다는

해 노력하며 최 처녀를 적극적으로 돕고 있다.

말이다.

③ 이생과의 자유연애는 유교적 세계의 욕망과 충돌한다.

④ 이생과의 결혼이 성사되면서 세계를 바꾸고 있다.

⑤ 이생에 대한 사랑만을 중시하고 있다.

8  Ⓐ에서는 전쟁으로 인해 최 처녀가 이생과 헤어지고 억울하게 죽임을
당한 후 시신마저 제대로 수습이 되지 않은 사건을 압축해서 제시하고

있다. Ⓑ에서는 두 세계(저승과 이승) 사이의 소식조차 막힐 것이라며

2  최 처녀가 이생과 혼인할 수 있게 된 상황에서 보낼 수 있는 답시에는,
이생과 재회하게 된 기쁨과 병든 몸을 추슬러 이생과 혼인할 마음가짐

최 처녀가 앞으로 이생과 영원히 이별하게 될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다

시 말해서 Ⓐ에서는 지금까지 일어난 사건을 압축적으로 제시하고 있

을 드러내는 내용이 담길 것이다. 따라서 ⑤가 가장 적절하다.

고, Ⓑ에서는 앞으로 일어날 사건을 암시하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깨진 거울은 둘 사이의 인연이 깨졌다는 것으로, 두

094~097쪽

028

용궁부연록 _ 김시습

키포인트 체크   부귀영화, 용궁, 용왕

3  ⓓ는 최 처녀가 다시 이생과 만나 혼인하게 되었기 때문에, 이별의 한을
간직하며 운다는 두견새 소리를 들으며 슬퍼하지 않아도 된다는 의미

를 나타낸 것이다.

사람이 이별했던 상황을 뜻한다.

었다는 반가움이 응축되어 있다.

② ‘이것 또한 인연이네.’에는 이생과 최 처녀가 반드시 맺어질 인연이

③ 두 사람의 재회를, 서로 이별했다가 까막까치의 도움으로 만나게 되

는 <견우직녀 설화>의 내용에 빗대고 있다.

④ 월로(月老)는 부부의 인연을 맺어 준다는 전설상의 노인으로, 이생

과 최 처녀가 혼인하게 되었음을 드러낸다.

1 ③  2 ④  3 ③  4 ①  5 문사로서 선생의 명성을 오랫동안 들어 왔
기  6 ③  7 ③  8 ③  9 신(용왕)과 인간이 소통하게 하는 매개이다. 
/ 한생의 진가를 드러내는 계기이다.

1  이 글에는 한생이 사는 현실의 세계와 용궁이라는 이상적 세계가 함께
제시되지만 이 두 세계의 대립이나 갈등은 드러나지 않는다. 오히려 현

실 세계의 사람인 한생이 용궁의 일을 돕고 있다.

2  한생이 집에 있을 때나 용궁에 갈 때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 부분은 찾

4  이생은 자유연애를 반대하는 부모에게 저항하지 못하고 영남으로 내려
갔으나, 최 처녀는 상사병으로 자리에 누워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뜻을 부모에게 전하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면서 자신의 감정을 솔직

아볼 수 없다.

하게 드러내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관리들은 한생을 각종 의례로 예를 갖추며 정중히 모

5  최 처녀는 이미 죽은 몸임에도 불구하고 환신하여 이생과 3년 동안 부
부로 산다. 그러나 이승과 저승의 질서에 따라 최 처녀는 저승으로 다시

돌아가고 두 사람은 영원히 이별하게 된다. 이러한 내용을 고려할 때 작

셔 가고자 하였다.

데서 알 수 있다.

② 용왕이 ‘오랫동안 선생의 성화(聲華)를 들어 왔습니다만’이라고 한

⑤ 한생이 “어리석은 백성은 초목과 함께 썩을 몸이온데, 어찌 감히 거

룩하신 임금님께 외람히 융숭한 대접을 받을 수 있겠습니까?”라고 한

지식

데서 드러난다.

가의 생사관으로는 ④가 가장 적절하다.

● <이생규장전>의 주제 의식

작가는 <이생규장전>에서 최 처녀의 죽음으로 인한 가정의 파괴와 불행을 이생과 최 

처녀의 환상적인 재회로 극복하고 있다. 삶과 죽음을 가르는 법은 엄격하지만 두 사

람의 깊은 사랑으로 최 처녀는 환신하게 된다. 이처럼 죽음과 같은 절대적인 장벽까

지 뛰어넘는 사랑 이야기를 통해 ‘죽음을 초월한 남녀 간의 애절한 사랑’이라는 주제 

의식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6  <보기>는 초현실 세계를 다루며 비현실적이고 환상적인 내용을 중심으
로 전개되는 전기 소설에 대한 설명이다. 전기 소설에 속하는 <이생규

장전>에서도 이승의 사람과 저승의 영혼이 만나 함께 산다는 비현실적

인 내용이 등장한다.

7  이생이 최 처녀의 유골을 거두어 장사를 지내 준 것은 최 처녀의 마지막
부탁이자 최 처녀에 대한 이생의 지극한 사랑 때문이지 최 처녀에게 은

혜를 갚기 위해서는 아니다. 따라서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

3  이 글에서 용왕이 한생을 초대한 것은 단지 문사로 이름이 났다는 이유
밖에 없다. 문사로 이름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용궁에 가게 되는 것은

아니므로 한생이 용궁에 가고 그곳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되는 것은

필연적인 구성이라기보다는 사건의 우연성이 나타난 예라고 볼 수 있

다(ㄱ). 또한 이 글은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작가가 인물의 행동은 물론

내면세계까지 서술하며 이야기를 이끌어 나가고 있다(ㅁ).

4  ㉠에서 두 사람이 공중으로부터 내려와서 한생을 만났다는 것, ㉡에서
총마에 날개가 돋혀 있었다는 것이 모두 전기적 요소에 해당한다.

5  한생을 용궁에 부른 이유는 (나)의 마지막 부분에 ‘오랫동안 선생의 ~

모시게 되었습니다.’라는 용왕의 말을 통해 알 수 있다. 한생이 명성 있

는 이유는 (가)의 첫 문장에 제시되어 있다.

는다는 뜻을 지닌 ‘결초보은(結草報恩)’은 적절하지 않다.

6  이 글은 한생이 용궁에 다녀온 경험을 서술하고 있는데, 사건의 전개 과

오답 뜯어보기   ① 설상가상(雪上加霜):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

정에서 갈등이라 할 만한 요소가 나타나 있지 않아 긴장감이 느껴지지

로, 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말이다.

않는다.

364 정답과 해설

정답44과 해설 오답 뜯어보기   ① 용왕이나 한생은 이야기 속에서 성격 변화를 보이지 

③ 이 글은 주옹이 부른 노래로 결말을 맺고 있다. 주옹의 노래는 자연 

않으므로 입체적 성격을 지녔다고 볼 수 없다. 

속에서 유유자적하고자 하는 삶의 태도를 집약한 내용으로, 주제를 강 

② 한생은 용궁의 신이한 모습을 구경하나 무언가를 하려 할 때면 여러 

조하면서 여운을 남기고 있다.

가지 제약을 받는다. 용궁을 이상적인 세계로 여긴다거나 배우려고 하

④ 배 위에서의 삶에 대한 손과 주옹의 상반된 관점이 드러나고 있다.

는 모습은 나타나지 않는다.

④ 한생은 용궁에 다녀온 뒤 종적을 감춘다. 이는 용궁에서 세속적 명리

의 허망함을 깨닫고 세상을 등진 것으로 볼 수 있다.

⑤ 용왕은 상량문을 짓기 위해 한생을 초청한 것으로 그를 자신의 곁에 

두고자 한 것은 아니다.

2  주옹은 편안한 곳에서 태연하고 느긋하게 사는 것보다 위태로운 곳에
서 늘 긴장하고 조심하며 사는 것이 오히려 더 안전하다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의 작가는 위태로운 상황에서도 평정을 잃지 않고 스스로 

중심을 잡고 조심하며 살아가는 태도를 지닐 것을 주장하며 편안함을 

추구하는 세태를 비판하고자 한다고 볼 수 있다.

7  한생이 용왕에게 용궁의 구경(궁실과 강토의 구경)을 부탁했다는 것은 
이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만, 이러한 행적을 통해 김시습이 세조의 권력

3 

을 인정했다는 사실을 이끌어 낼 수는 없다. <보기>에는 김시습이 끝내 

세조의 부름에 응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드러나 있다.

(라)의 노래는 자연 속에서 유유자적하고자 하는 주옹의 삶의 태도를 

드러내고 있는데, ‘강’과 ‘바다’는 한평생의 삶, ‘빈 배’는 욕심을 버린 주

옹 자신, ‘밝은 달’은 무욕을 상징한다.

오답 뜯어보기   ① 주옹의 노래는 홀로 유유자적하는 삶의 태도를 나타

8  한생은 상량문을 쓴 뒤 용궁을 두루 구경하고 용왕에게서 극진한 대접 
을 받는다. 그러나 한생이 용궁 세계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내고 있다.

④ 마지막에 주옹은 자신의 삶을 집약적으로 드러내는 노래를 제시함

는 이 글에 직접적으로 드러나 있지 않으며, 결국 용궁을 떠났으므로 용

으로써 손에게 자신의 삶의 태도를 유지하겠다는 뜻을 드러내고 있다.

궁 세계에 흠뻑 빠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9  용왕은 새 누각의 상량문을 짓기 위해 명성이 있는 한생을 용궁으로 초
대한다. 따라서 상량문은 한생이 용왕과 인연을 맺고 소통하게 되는 매

4  ㉠은 매우 위태로운 상황이므로, 몹시 어렵고 위태로운 지경을 이르는 

말인 ‘백척간두(百尺竿頭)’가 가장 적절하다.

오답 뜯어보기   ① 계란유골(鷄卵有骨): 운수가 나쁜 사람은 모처럼 좋

개가 된다. 더불어 상량문은 한생의 문장 실력을 유감없이 보여 주어 그

은 기회를 만나도 역시 일이 잘 안 됨을 이르는 말이다.

의 진가를 다시 한번 확인하게 하는 계기가 된다.

② 함흥차사(咸興差使): 심부름을 가서 오지 아니하거나 늦게 온 사람 

을 이르는 말이다.

뜻하는 말이다.

④ 유비무환(有備無患): 미리 준비가 되어 있으면 걱정할 것이 없음을 

⑤ 문전성시(門前成市): 찾아오는 사람이 많아 집 문 앞이 시장을 이루 

다시피 함을 이르는 말이다.

5  설(說) 양식에서는 대상에 해당하는 상황이나 이야기를 제시하고, 작가

가 대상과 자신이 어떤 관계인지 헤아리는 과정에서 그 의미를 드러내

게 된다. <주옹설>에서 작가는 주옹의 일화(대상)에 대해 생각하는 과

정(관계)에서 올바른 삶의 태도(의미)를 발견하고 있으므로, 이 글에서 

의 대상은 배 위에서 위태롭게 살아가는 주옹의 삶이라고 할 수 있다.

2  수필·평론

033

주옹설 _ 권근

키포인트 체크   뱃사람, 평정, 중심, 역설

102~103쪽

1 ⑤  2 ②  3 ⑤  4 ③  5 배 위에서 위태롭게 살고 있는 주옹의 삶

1  이 글에서 작가는 험난한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에 대해 말하고 있는데, 
실제 경험에서 얻은 깨달음을 직접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대리인인 주

옹의 말을 빌려 간접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034

주봉설 _ 강유선

키포인트 체크   술, 벌, 욕심, 깨달음

104~105쪽

1 ⑤  2 ⑤  3 ⑤  4 ①  5 매일 사용하는 물건들에 경계의 내용을 새
겨 잊지 않기 위해서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손과 주옹의 대화로 세상을 살아가는 태도를 제시하

1  이 글에서 작가는 벌을 불쌍히 여겨 손을 휘저어 내쫓았다고 분명하게 

고 있다.

하고 있다.

② (다)의 ‘무릇 인간 세상이란~낫지 않은가?’에서 위험하고 변화가 심

오답 뜯어보기   ① 작가가 이 글을 쓴 것은 단지 과음(過飮)을 경계하기 

한 세상을 거대한 물결과 큰 바람에 비유하고 있으며, 세상에 휩쓸려 위

위해서가 아니라, 인간이 욕심을 절제하지 못하는 것을 경계하기 위해

태롭게 살아가는 상황을 바다 한가운데 떴다 잠겼다 하는 모습에 비유

서이다.

② 작가는 미물인 벌을 관찰한 경험을 통해 인간에게 욕심을 절제할 것

밝히고 있다.

정답과 해설 365

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태도에는 욕심을 절제하지 못하면 큰 피해를 

입게 된다는 점에서 벌과 인간은 근본적으로 같다는 관점이 반영되어 

035

난중일기 _ 이순신

키포인트 체크   임진왜란, 염원, 사랑, 일기체

106~107쪽

③ 작가는 벌이 자신이 준 기회를 활용해 날아가지 못한 것을 안타까워

1 ⑤  2 ④  3 ⑤  4 ⓐ: 날씨, 이순신 장군이 속한 수군에게 날씨에 관
한 정보는 전술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었기 때문이다.

④ 작가는 자신이 술을 좋아한다고 말하고 있지만 벌에 대한 공감을 드

있다. 

할 뿐 분노하지는 않는다. 

러내지는 않는다.

1 ( 나)에서 우수사 김억추의 능력을 언급하며 불공정한 인사를 비판했을 
뿐, 전장에서 누가 어떤 활약을 하고 누가 어떤 잘못을 저질렀는지 등을 

2  이 글에서 작가는 일상의 경험에서 얻는 깨달음을 인간사로 확장하여 
적용하고 있을 뿐, 자아 성찰을 통해 얻은 깨달음을 구체적으로 서술하

평가하는 내용은 드러나지 않는다.

오답 뜯어보기   ② 전장에서 있었던 일들을 간결한 문체로 기록했다.

지는 않는다. 작가 자신도 술을 좋아한다고 말하고는 있으나, 이 언급 

③ 불공정한 인사에 대한 불만이나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 등의 감정을 

하나만으로 자신을 성찰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드러내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작가는 ‘술 먹은 벌을 예로 중요한 조목을 가려 자식

을 위한 경계로 삼고자’ 이 글을 쓴다고 밝히고 있다.

② 작가는 일상적 소재인 벌을 관찰한 내용을 토대로 이 글을 쓰고 있

③ 작가는 벌이 술에 빠져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지켜보며, 욕심을 절제

하지 못하면 생명까지 잃을 수 있다는 이치를 깨닫고 이를 글로 설명하

④ 작가는 벌의 죽음을 안타까워하며 두 번이나 ‘슬프다’고 하여 감정을 

직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다)에서 작가는 자신이 복중(상중)에 있음에도 중양절을 맞이하여 군

사들을 위해 음식을 베풀기로 결정하고 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정해진 

격식을 지키려는 엄격함보다는 군사들을 위하는 배려심이 더 강한 인

물임을 알 수 있다.

습이 나타난다.

오답 뜯어보기   ① (나)의 ‘이러고서야 조정에 사람이 있다고 할 수 있겠

는가. 다만 때를 못 만난 것을 한탄할 뿐이다.’에서 조정을 걱정하는 모

② (가)에서 ‘조금이라도 군령을 어기는 일이 있으면 군법대로 할 것이

다.’라고 말한 것에서 냉정하게 상황을 판단하고 단호하게 대처하는 냉

3  이 글의 작가는 사람들이 욕심을 절제하지 못하면 생명까지 잃을 수 있
음을 경고하고 있다. 따라서 작가가 인간이 이성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철함이 드러난다.

③ (가)의 ‘내가 탄 배가 곧바로 앞장서서 지자포를 쏘니 강산이 온통 흔

욕망의 노예가 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본다는 학생의 반응은 적절하

들렸다.’에서 적을 제압하는 용맹함이 드러난다.

⑤ (가)의 ‘오늘 밤에는 반드시 적의 야습이 있을 것이니’에서 적이 공격 

오답 뜯어보기   ① <보기>에서는 욕망이 인간을 살아가게 하는 동력이

할 것을 미리 알고 대비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라고 말함으로써 인간이 욕망을 갖는 것 자체를 부정적으로 제시하지

다.

고 있다.

지 않다.

는 않는다.

② 이 글의 작가는 사람이 욕심이 있고 절제할 수 없으면 생명까지 잃는

다고 말하고 있다. 즉, 욕망을 절제하지 못하면 큰 화를 입을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는 것이다.

③ 이 글에서 벌이 죽은 것은 제때에 술에 대한 욕망을 멈추지 못하여 

날개가 젖어 날아가지 못했기 때문이다. 

④ <보기>에서 ‘대상을 얻는 순간 허상이 되기 때문에 욕망은 남’는다는 

말은, 욕망은 계속 갈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만족감을 얻기가 쉽지 않다

는 의미이다. 

4  <보기>는 백성들을 착취하는 탐관오리를 비판하고 있는 작품으로, 동
물을 통해서 대상을 우의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주봉설〉 역시 벌을 통

해서 사람들에게 우의적으로 교훈을 주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② 해학적(諧謔的): 익살스럽고도 품위가 있는 말이나 

행동이 있는. 또는 그런 것.

③ 풍자적(諷刺的): 풍자의 성격을 띤. 또는 그런 것.

④ 달관적(達觀的): 사소한 사물이나 일에 얽매이지 않고 세속을 벗어남.

⑤ 냉소적(冷笑的): 쌀쌀한 태도로 업신여기어 비웃는. 또는 그런 것. 

5  밥그릇, 방석, 지팡이와 같이 매일 사용하는 물건들에 경계의 말을 새기
고자 한다는 것은 그 깨달음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의미한다. 

즉, 매일 사용하는 물건들에 내용을 새김으로써 그 깨달음을 하루라도 

잊지 않고자 하기 위해서이다. 

366 정답과 해설

3  이순신 장군이 병사들과 스스럼없이 어울리는 내용은 이 글과 <보기> 
모두에서 찾아볼 수 없다. 명절인 중양절을 맞아 병사들에게 고기를 먹

이도록 지시했을 뿐이며 <보기>에서도 이순신 장군은 상중이라 소찬만 

먹었다고 제시되어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② 중양절에 소 다섯 마리를 잡아 병사들을 배불리 

먹이는 내용이 제시되어 있다.

③, ④ <보기>의 병사들의 대화를 통해 알 수 있다.

4  이순신 장군이 매일매일 꼼꼼하게 기록한 것은 ‘날씨’이다. 수군은 바다 
위에서 배를 타고 전투를 치러야 하는데, 비가 오거나, 바람이 불어 파

도가 심하면 전술을 펴는 데 큰 차질이 생기기 때문에 날씨를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렇듯 ‘날씨’는 전술 수립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

문에 이순신 장군은 이를 매일 꼼꼼하게 기록한 것이다. 

036

보지 못한 폭포 _ 김창협

키포인트 체크   폭포, 긍정적, 성찰

108~109쪽

1 ⑤  2 ⑤  3 ④  4 ②  5 바른 길로 좀 더 애를 써서 나아가지 않은 
것이 안타깝다. 폭포의 실상이 자익이 본 것 정도에 그치지 않아 기쁘다. 진짜 폭

포를 뒷날 유람할 거리로 삼게 된 것이 여운이 있다.

정답44과 해설 1  폭포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아름다운 경치를 보며 즐거워하고 있을 뿐,
자연물과 인간사를 대비하거나 자연물에서 교훈을 찾지는 않았다.

오답 뜯어보기   ①, ③ 폭포를 보러 갔다가 폭포를 보지 못한 경험을 바

탕으로 자신의 감상과 깨달음을 제시하고 있다.

IV. 조선 후기

041

최고운전_ 작자 미상

118~121쪽

②, ④ 여정에 따라 시간 순서대로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으며 장소의 이

키포인트 체크   최치원, 황제, 신라, 중국, 석함, 학사

동이 드러나 있다.

● 교술 갈래

표현 양식에 따른 문학 갈래 중 하나로, 대상이나 세계를 서술하고 전달하는 특성을 지

닌다. 작가의 대리인이 등장하는 시나 소설과 달리 작가가 자신의 경험이나 생각을 직

접 전달한다. 형식의 제약이 없이 자유로우며 작가의 개성이 잘 드러난다. 수필이 가장 

대표적이며 고전 문학에서는 경기체가, 악장, 가사, 가전체 등이 이에 속한다.  

2  자익은 황 씨가 말한 진짜 폭포가 아닌 다른 폭포를 보고서 볼만한 것이

없다고 평가한 것이므로 황 씨의 말이 거짓이라고 할 수 없다.

오답 뜯어보기   ① 자익은 폭포가 조금도 볼만한 것이 없다고 하며 황

씨에게 속은 것을 유감스러워했다.

② 자익이 본 것은 작가 일행이 찾던 진짜 폭포가 아니다.

③ 작가는 폭포를 찾아가던 도중에 기대하지 않았던 아름다운 경치를

보고 기뻐했다.

지식

1 ④  2 ②  3 문장가로서 당나라에 명성을 떨쳤던 역사적 실존 인물을 내
세워 주인공의 영웅적 활약상을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4 꿈을 통해 주인공
이 천상계와 연결된 고귀한 혈통을 지닌 인물임을 알려 주고 있다.  5 ④   
6 ②  7 ⑤  8 최치원이 위기를 극복하는 것은 어려움에 처한 소국 신라가 
대국 중국과 겨루어 이겼음을 의미한다.  

1  이 글은 실존 인물인 신라의 학자 최치원의 일생을 허구적으로 형상화
한 소설이다. 따라서 최치원의 일생이 사실적으로 그려져 있다는 설명

 오답 뜯어보기   ② 이 글에는 <금돼지 설화>, <기아 설화>, <파경 설화>,

<입당 설화>, <수난 설화>, <귀국 설화> 등 다양한 설화적 화소가 결합

은 적절하지 않다.

되어 있다.

2  이 글에서는 주인 딸과의 혼인 및 시를 짓는 일과 관련하여 나 승상과
최치원의 갈등이 나타난다. 주인인 승상은 시를 짓지 못하는 데 반해,

④ 노인이 산등성이를 따라서 가야 폭포를 볼 수 있다고 했다.

파경노인 최치원은 시를 짓는 능력이 있으므로 주인보다 종이 더 우월

3  ㉠은 황 씨가 말한 기이한 폭포를 말한다. 검은 바위가 겹겹이 포개져

있는 것은 자익이 본 폭포에 대한 설명이다.

4  ⓑ는 작가 일행이 폭포를 더 이상 찾지 않고 돌아가도록 하는 계기가 되
는 말이다. 작가 일행은 폭포로 들어가는 길을 놓쳐서 헤매다가 폭포에

한 존재라고 할 수 있다.

3  파경노는 ‘거울을 깨뜨린 노비’인 데 반해, 최치원은 문장가로서 당나라
에서 명성을 떨쳤던 역사적 실존 인물이다. 따라서 작가가 파경노의 이

름과 자(字)를 치원(致遠)과 고운(孤雲)으로 정한 이유는 더 이상 노비

가 아닌, 영웅적 면모를 지닌 주인공으로서의 활약상을 나타내기 위해

대한 자익의 평가를 듣고 산을 내려가기로 했다.

오답 뜯어보기   ① 작가 일행은 기이한 폭포가 있다는 황 씨의 말을 듣

서라고 할 수 있다.

고 폭포를 구경하러 갔다.

③ 폭포를 찾으러 이리저리 헤맸는데 폭포가 볼만한 것이 없다는 자익

의 말을 듣고 기운이 빠져 허탈해하고 있다.

4  <보기>는 영웅 소설에서 주인공의 영웅성을 드러내기 위한 다양한 서
사적 장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글의 [A]에도 주인공 최치원이 영

웅성을 지닌 인물임을 보여 주는 서사적 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A]는

④ 자익은 진짜 폭포를 보지 못한 상황인데, 자신의 실수를 알지 못하고

운영이 기이한 꿈을 꾸는 장면인데, 이 꿈을 통해 최치원이 천상계와 연

황 씨의 말이 잘못된 것이라 평가하고 있다.

결된 고귀한 혈통을 지닌 인물임을 드러내며, 최치원은 하늘의 도움을

5  이 글의 마지막 부분에 진짜 폭포가 따로 있다는 노인의 말을 들은 작가

의 감상과 깨달음이 드러나 있다.

받아 능력을 발휘하게 된다.

5  <보기>의 작품 <촉규화(蜀葵花)>는 최치원이 자기 자신을 촉규화에 빗
대어 자신의 능력을 알아주지 않는 시대 현실을 한탄한 작품이다. 최치

원은 당나라에서 빈공과에 급제했음에도 불구하고 신라인이라는 이유

로 인정받지 못했고, 신라에 돌아와서는 육두품 출신이라는 이유로 자

신의 능력에 맞는 대우를 받지 못했다. 이러한 자신의 처지를 탐스럽고

향기롭지만 척박한 곳에 쓸쓸히 피어 있어 아무도 눈여겨보는 사람이

없는 촉규화를 통해 형상화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황제와 학사들이 최

치원과 대립하지만, <보기>에서는 최치원과 대립하는 대상이 나타나

지 않으므로 ④는 적절하지 않다. <보기>에서 ‘수레 탄 사람’, ‘벌 나비’

가 등장하지만, 이것은 각각 고관대작과 소인배 등을 비유한 것으로, 자

신의 가치를 몰라보는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을 드러내기 위한 것일 뿐

오답 뜯어보기   ① 이 글의 최치원은 중국의 학사나 황제 앞에서도 당당

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보기>에서는 신라인이라는 이유로 능력을

인정받지 못하는 현실에서 신라를 ‘천한 땅’이라고 표현하여 열등감을

이다.

드러내고 있다.

정답과 해설 367

② 이 글에서는 최치원과 황제의 외적 갈등이 나타나는 데 비해, <보기>

오답 뜯어보기   ② 홍 판서가 본부인뿐 아니라, 홍길동의 어머니인 춘섬

에는 자신의 능력을 알아주지 않는 현실로 인한 화자의 내적 갈등이 드

과 곡산 어미(초란)를 첩으로 거느리고 사는 데서 알 수 있다.

러난다.

③ 부부 사이라도 종과 양반의 구분이 명확하고, 형제간에도 종과 양반

③ 이 글에서는 최치원이 황제에게 그 능력을 인정받는 반면에, <보기>

을 구분한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의 현실에서는 최치원의 가치를 몰라보고 있다.

④ 홍길동이 양반인 아버지 앞에서는 자신을 ‘소인’이라 부르고, 종인 

⑤ 이 글은 역사적 인물 최치원을 허구적으로 형상화했고, <보기>에서

어머니 앞에서는 자신을 ‘소자’라 부르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는 최치원을 ‘꽃(촉규화)’에 빗대어 표현하고 있다.

⑤ ‘나라에 큰 공을 세우고 이름을 만대에 빛내는 것이 장부로서 흔쾌히 

6  ㉠에서 최치원은 자신을 곤경에 빠뜨리려는 중국의 황제를 조롱하고 
있다. <보기>에서는 을지문덕이 상대인 우중문을 높이는 듯하지만 3, 4

행에서 상대를 위협하는 억양법을 사용하여 상대를 조롱하고 있다.

7  최치원은 중국으로 가는 길에 한 여인에게서 부작을 받고, 이 부작을 이
용하여 위기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를 통해 최치원이 천상으로부터 지

속적인 도움을 받고 있는 천상계의 인물임을 짐작할 수 있다.

할 일이다.’라는 홍길동의 독백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작품이 창작된 시대보다 후대의 인물인 장길산이 언급되어 있는 것은 후
대에 어느 누군가가 개작을 했기 때문이다. 이 글은 출간 이후 꾸준히 인

기를 끌었기 때문에 후대에까지 소통되어 개작이 된 것이며(ㄴ), 그 과정

에서 후대의 인물인 장길산에 대한 내용이 들어간 것이다. 따라서 이 글

이 창작되어 전해지는 과정에서 내용이 덧붙은 것이라 할 수 있다(ㄹ).

오답 뜯어보기   허균은 광해군 때의 인물이고 장길산은 그보다 한참 후 

8  이 글에는 중국 황제가 자신의 권력을 이용하여 소국인 신라를 위협하
는 모습이 드러난다. 최치원은 이러한 위기를 비범한 능력으로 극복하

대인 숙종 때의 인물이다. 따라서 숙종조 이후에 어느 누군가가 개작을 

하면서 장길산에 대한 내용을 끼워 넣었다고 볼 수 있다(ㄷ). 이런 사실

고 중국 황제에게 그 능력을 인정받고 있다. 이를 국가적 차원에서 보면 

을 두고 작가가 역사적 사실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할 수 없다(ㄱ).

소국인 신라가 대국인 중국과 겨뤄 이겼음을 의미하고 그로 인해 우리 

민족의 우월성 및 자긍심을 고취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4  홍길동은 총명하고 그 능력이 보통 사람을 능가할 정도로 뛰어나지만 
서자라는 신분의 벽 때문에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기회를 얻지 못한다. 

홍길동은 이 사실을 한탄하며 사회적 모순에 대해 고민하고 갈등하고 

있다. 하지만 홍 판서는 홍길동의 능력과 이러한 고민을 이해하면서도 

시대의 질서를 따르는 보수적 태도를 보이면서 호부호형을 하고자 하

는 홍길동을 꾸짖고 있다.

042

홍길동전_ 허균

키포인트 체크   서자, 영웅, 적서 차별, 가출, 율도국

122~125쪽

5  홍길동은 적서 차별의 대상인 서자로 아버지보다 신분이 낮아 자신을 
부르는 호칭이 어머니와 아버지 앞에서 각각 다르다. <보기>를 통해 소

1 ②  2 ①  3 ④  4 홍길동은 재상가의 천생이 호부호형을 하지 못하
는 당대의 사회적 모순에 대해 고민하고 갈등하는 반면, 홍 판서는 그런 제도를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5 서자인 홍길동은 아버지보다 신분이 낮으므로
어머니와 아버지 앞에서 자신을 칭하는 호칭이 각각 다르다.  6 ③  7 ①  
8 ⑤  9 이 작품의 작가인 허균은 당대 체제에 대해 비판적(저항적) 성향을 가
진 인물이었는데, 그러한 자신의 성향을 등장인물인 홍길동에게 투영했기 때문

이다.

1  대부분의 고전 소설이 소재와 인물, 배경 등을 중국에서 가져오는 데 반
해, <홍길동전>은 우리나라를 무대로 삼아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

자(小子)는 부모 앞에서 자신을 낮출 때 사용하는 호칭인 반면, 소인(小

人)은 신분이 낮은 사람이 신분이 높은 사람 앞에서 자신을 낮출 때 사

용하는 호칭임을 알 수 있다. 홍길동은 아버지보다 신분이 낮으므로 아

버지 앞에서 자신을 칭할 때 소인이라는 호칭을 사용하고 있다. 반면 어

머니 앞에서 자신을 칭할 때에는 소자라는 호칭을 사용하고 있다.

6 ( 가)~(다)는 초란의 음모로 위기에 처한 홍길동이 비범한 능력을 사용
하여 위기에서 벗어나는 부분이다. 따라서 유충렬이 간신 정한담의 박

해로 죽을 고비에 처하는 ③이 본문의 영웅 서사 단계와 일치한다.

지식

오답 뜯어보기   ① 이 글은 최초의 한글 소설로 한문을 읽지 못하는 서

● <유충렬전>에 나타난 영웅의 일대기 구조

민들도 읽을 수 있어 독자층이 넓었다.

③ ‘고귀한 혈통 - 비정상적 잉태 - 비범한 능력 - 위기 - 위기 극복 - 

성장 후 고난 - 고난 극복’의 영웅의 일대기 구조를 따르고 있다.

④ 적서 차별과 신분 제도의 타파, 탐관오리의 응징과 빈민 구제 등 불

합리한 사회 제도에 대한 저항 정신이 반영된 현실 비판적 성격의 소설

이다.

영웅의 일대기 구조

<유충렬전>의 내용

고귀한 혈통

현직 고위 관리인 유심의 외아들로 태어남.

비정상적 출생

부모가 산천에 기도하여 늦게 얻은 아들임.

탁월한 능력

천상인이 하강했기에 비범한 능력을 지님.

고난

구출

간신 정한담의 박해로 죽을 고비에 처함.

강희주를 만나 그의 사위가 되고 도승을 만나 도술을 배움.

성장 후 위기

정한담의 반란으로 국가적 위기를 맞음.

⑤ 홍길동이 호부호형하지 못하고 벼슬길에도 나아가지 못하는 것을 

고난 극복, 승리

반란을 평정하고 부귀영화를 누림.

통해 신분 제도가 엄격하게 지켜졌던 당시의 사회상을 알 수 있다.

2  이 글에는 적서 차별에 대한 신분 제도의 모순, 관리들의 부패상이 드러
나 있을 뿐, 당파 싸움의 상황을 찾아볼 수 없다. 홍 판서가 호부호형을 

하고 싶어 하는 홍길동을 꾸짖는 것은 적서 차별의 기존 질서를 그대로 

수용하고자 하는 모습일 뿐이다.

368 정답과 해설

7  이 글은 적서 차별 문제를 다룸으로써 신분 제도의 사회적 모순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 이를 확대해 나가는 기능이 있으며, 이를 통해 개혁의 

필요성을 일깨우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② 이 글에서의 계급 타파는 양반 안에서 이루어진 것이

정답44과 해설 므로, 평등사상이 실현되었다고 볼 수 없다.

1  이 글에서는 최척의 가족이 정유재란으로 헤어지게 되는 사건이 전개

③ 홍길동이 적서 차별의 문제를 해결하지만, 이러한 문학적 해소가 계

되고 있다. 인물 간의 대립은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층 간의 갈등을 완화했다고 볼 수 없다.

오답 뜯어보기   ③ 춘생이 최척에게 전하는 말에서 그간의 사건이 요약

④ 진정한 가치에 대한 화두는 제시하지 않았다.

적으로 진술되고 있다.

⑤ 허균이 건설한 ‘율도국’은 봉건 지배 체제를 탈피한 근대적 국가라고 

④ 정유재란이 일어난 직후에 지리산 연곡사에서 일어난 일임이 구체

볼 수 없으며, 또한 이러한 국가 건설이 근대적 국가의 출현을 앞당겼는

적으로 드러나 있다.

지 판단하기 어렵다.

상녀를 부른 것이다.

있다.

8  ⓒ에서 홍길동이 스스로 죽으려 했다는 내용은 이 글에서 찾을 수 없다.
오답 뜯어보기   ① 초란은 홍길동을 죽이려는 목적으로 무녀를 시켜 관

⑤ 최척이 양식을 구하기 위해 산에서 내려왔다가 길이 막혀 사흘 동안 

숨어 지낸 것이 가족들과 헤어지게 된 원인이다.

2 이  글은 전쟁 후에 민중들이 겪었던 참혹한 현실과 그 심정을 대변하기 
위해 창작된 것이다. 전후의 곤궁한 현실과 가족의 이산으로 인한 슬픔 

② 초란이 무녀에게 돈을 주고 관상녀를 부르게 한 것을 통해 짐작할 수 

등 당시 민중들의 고통을 생생하게 그리고 있다. 따라서 왜적의 침입으

로 인한 민중 계층의 희생과 가족 이산의 아픔을 사실적으로 그려 내는 

③ ⓐ와 ⓒ를 연결해 볼 때, 초란이 관상녀를 데려올 것을 무녀에게 부

데 중점을 둔다는 ⑤가 가장 적절하다.

탁했고, 관상녀가 특재를 초란에게 소개하여 특재로 하여금 홍길동을 

죽이게 했다는 추리가 가능하다.

오답 뜯어보기   ④ 최척과 옥영의 사랑이 드러난 것은 맞지만 낭만적인 

분위기를 드러내는 것이 초점이 아니며 이 작품의 창작 의도와는 거리

④ 특재가 홍길동을 죽이려 하면서 초란이 무녀와 관상녀와 더불어 상

가 멀다.

공과 의논하고 홍길동을 죽이려 한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보아 관상녀

가 ⓑ에 개입했음을 알 수 있다.

9  이 작품의 작가 허균은 급진 개혁 사상을 가진 것이 빌미가 되어 반역죄

로 처형된 인물이다. 이러한 작가의 경향으로 보아 허균은 홍길동에게 

자신을 투영하여 당대의 체제를 비판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문학 작품의 관점

지식

가득 차 있다는 의미이다.

3  ㉠은 최척이 아내 옥영과 아들 몽석이 죽었다고 생각하여 통곡하는 대
목이다. 따라서 맑게 갠 하늘에서 갑자기 떨어지는 벼락이라는 뜻으로 

돌발적인 사태나 사변을 이르는 말인 ‘청천벽력(靑天霹靂)’으로 최척

의 심리를 표현할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비분강개(悲憤慷慨): 슬프고 분한 느낌이 마음속에 

② 노심초사(勞心焦思): 애쓰면서 속을 태운다는 의미이다.

④ 유구무언(有口無言): 입은 있으나 말은 없다는 것으로 변명할 말이 

없음을 의미한다.

지에 몰린 상황을 나타낸다.

⑤ 진퇴유곡(進退維谷):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꼼짝할 수 없는 궁

표현주의적 관점

작가

작품

절대주의적 관점

독자

효용론적 관점

사회

반영론적 관점

4  ⓐ~ⓒ는 최척이 헤어진 가족들을 찾기 위해 찾아간 연곡사와 섬진강
에서 만난 이들로, 상황을 직접 보지 못한 최척에게 어떤 일이 일어났는

•내재적 관점: 작품 자체만을 바라보는 관점. 절대 주의적 관점

•외재적 관점  표현주의적 관점: 표현 주체인 작가 중심 해석





반영론적 관점: 문학이 반영하는 현실 중심 해석

효용론적 관점: 문학을 수용하는 독자 중심 해석

지를 설명해 주고 있다.

5  영웅 군담 소설인 <박씨전>에서는 박씨라는 여성 영웅을 등장시켜 전
란의 패배감을 심리적으로 보상받고자 했다. 하지만 이 작품에서는 영

웅적인 인물이 등장하지 않고 평범한 인물들을 통해 전쟁의 참상을 사

실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6  이 글에는 영웅적 인물이 등장하지 않으며 전란이라는 시대 상황을 사

실적으로 묘사하여 백성들의 고난과 역경을 그리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옥영은 자신의 뜻에 따라 배우자를 선택하고, 전쟁 

중의 역경을 극복하고 운명을 개척해 나가는 적극적이고 강인한 여성

다가 만나는 과정이 반복되고 있다.

③ 최척의 부친과 장모가 연곡사에서 우연히 몽석을 찾았던 것처럼 가

족들의 재회 또한 극적인 감동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⑤ 이 글에서는 전쟁의 참상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여 당시의 시대적 상

황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장육금불’은 옥영의 자살을 막는 역할을 할 뿐 옥영에게 신이한 능력을 

부여하거나 그러한 능력을 가지도록 돕는 역할은 하지 않는다.

정답과 해설 369

043

최척전_ 조위한

126~129쪽

으로 부각되어 있다.

키포인트 체크   의지적, 임진왜란, 정유재란, 이산, 재회

② 이 글은 병자호란, 정유재란 등 전란으로 인해 가족이 뿔뿔이 흩어졌

1 ①  2 ⑤  3 ③  4 ①  5 이 글에서는 영웅은 등장하지 않은 채 전
란의 참상이 사실적으로 형상화되어 있고, <보기>에서는 박씨라는 여성 영웅이

신이한 도술을 부려 적군을 제압하고 있다.  6 ④  7 ③  8 ⑤  9 ‘장
육금불’은 옥영의 자살을 막고, 앞으로 기쁜 일이 있을 것이라고 말하여 옥영에

게 가족을 만날 수 있다는 희망을 주고 있다.  10 ⓐ: 왜적에게 붙잡혀 가족과
헤어진 채 지내고 있습니다, ⓑ: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다시는 가족을 만날 수 없

다는 절망감





[A]는 최척이 자신의 누이와 결혼하라고 하는 여공의 제의를 거절하는 

때, 상공이 박 처사와의 이별에 애통함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장면으로, 최척은 아버지와 아내의 생사도 모르는데 어떻게 편안한 생

활을 꾀할 수 있겠느냐며 오히려 여공에게 반문하고 있다. 이러한 반문

은 질문한 사람에게 자신의 의지를 확고하게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3  <보기>의 금방울은 고난과 역경을 극복하고 마침내 ‘껍질(금방울)’을 
벗고 절세의 가인으로 변신하는 인물이다. 이를 볼 때, 금방울과 대응되

는 <박씨전>의 소재는 박씨가 변신할 때 벗게 되는 추비한 용모, 즉 ‘허

‘장육불금’은 여러 번 자살을 시도하는 옥영의 꿈에 나타나 ‘삼가 죽지 

물’이라고 볼 수 있다.

않도록 해라. 후에 반드시 기쁜 일이 있을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이

는 후에 가족들을 만나게 되는 일을 예언하는 것이며 복선의 역할을 하

기도 한다. 이 꿈을 꾼 후에 옥영은 죽기를 포기하고 가족을 만날 수 있

다는 희망을 안고 다시 살아가게 된다.

10  옥영은 왜병 돈우에게 붙들려 간 상황에서 물에 뛰어들어 여러 차례 죽
으려고 했다. 이후에 가족과 다시 만날 희망으로 살아가고자 결심한 것

으로 보아, 이는 가족과 다시는 만날 수 없다는 절망감에서 나온 행동이

라 볼 수 있다.

4  

‘피화당’은 ‘화를 피할 수 있는 공간’이라는 뜻으로, 이야기가 전개되어 

후반부로 넘어가게 되면 건물의 이름대로 인물들이 이 공간으로 피신

해 오게 되고, 박씨 또한 여기서 적장을 맞아 승리를 거두게 된다.

5  박씨전은 병자호란이 일어난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천상 

세계와 지상 세계를 오가는 내용은 나타나지 않는다.

오답 뜯어보기   ① 박씨의 변신을 기점으로 가정 내의 갈등이 마무리되

고 병자호란이라는 사회적 갈등을 다룬 내용으로 바뀌고 있다.

② 역사적 인물인 용골대와 허구적 인물인 박씨, 계화가 함께 등장한다.

④ 박씨가 신이한 도술을 부려 청나라 군사들을 혼내 주고 있다는 점에

서 전기적 요소가 사건 전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⑤ 남성 중심의 조선 사회가 청에게 항복한 역사적 상황을 고려할 때, 여

성 영웅인 박씨가 청의 군사들에게 통쾌한 복수를 하는 것은 결국 남성 

044

박씨전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박씨, 병자호란, 박색, 허물

130~133쪽

중심 사회에 대한 작가의 비판적 인식이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지식

● 변신 화소

1 ①  2 ⑤  3 ⑤  4 앞으로 닥칠 재앙에서 박씨 부인이 사람들을 지켜
내고, 적을 물리칠 장소이다.  5 ③  6 ③  7 ④  8 박씨가 시비인 계
화를 내세워 용율대와 상대한다.

1  이 작품은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가공 인물인 박씨를 주인공으로 하여 
작가가 꾸며 낸 허구의 이야기이다. 박씨는 초인적인 능력을 가진 비범

한 인물로, 실제 인물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에 실존 모델을 탐색하는 것

오답 뜯어보기   ② 남성 중심의 사회였던 조선 시대에 여성을 문학 작품

의 주인공으로 삼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므로 그 이유를 분석해 보는 것

③ 유사한 소재의 작품과 비교해 봄으로써 이 작품에 대해 더 깊이 이해

은 의미가 없다.

은 의미가 있다.

할 수 있을 것이다.



사람이나 동물이 형태가 변하여 본래 모습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 되거
나 현실 세계에서는 보기 힘든 형태가 됨.

변신 동기 좀 더 우월한 존재로 변하기 위해



<단군 신화>의 웅녀, <구렁덩덩 신 선비>의 남편, <금방울전>의 금방울

6 이  소설은 현실 세계와의 접점으로 이시백과 용골대 같은 실존 인물을 

등장시키고 있다.

멀다.

오답 뜯어보기   ① 인물의 신통력을 부각하는 것은 병자호란의 패배감

을 극복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이며, 현실 세계와의 접점과는 거리가 

7  이 작품의 배경인 병자호란은 역사상 유례가 없는 치욕적인 사건으로 
우리 민족에게 커다란 고통과 손실을 안겨 주었다. 이 작품에는 이러한 

④ 이 작품은 역사적 사건(병자호란)을 소재로 한 소설이므로 그 사건

현실의 패배를 보상받고자 하는 민중의 심리가 투영되어 박씨라는 가

에 대한 이해가 작품 이해의 근간이 된다.

상의 인물을 통해 청나라에 통쾌한 설욕을 하고 있다. 이때 박씨의 신이

⑤ 작가가 이 작품을 통해 말하고자 한 바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은 작

한 능력이 청나라를 물리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이 글에 나

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타난 전기적 요소에는 현실의 패배를 보상받고자 하는 민중들의 심리

2 박  처사가 앞으로 다시 보기 어렵다고 한 것은 앞날을 기약하기 어렵기 

때문일 뿐이며 상공을 다시 만나지 않으려고 한 말이 아니다.

오답 뜯어보기  ①  ‘그 신기한 일을 사람이 본받기 어려운지라 허락하

며’를 볼 때 상공은 박씨의 재주가 신묘하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② ‘구름이 영롱하더니, ~ 내려와 당에 오르는지라.’를 볼 때, 박 처사는 

도술을 사용하는 범상치 않은 인물임을 알 수 있다.

③ ‘사장(査丈)을 대하여 죄 많사와 부끄럼을 어찌 형언하오리까.’라고 

말하며 상공은 자신의 아들이 며느리 박씨를 홀대하는 것에 책임을 느

가 투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실적 세계와 거리가 멀다.

오답 뜯어보기   ① 이 글의 시공간적 배경은 병자호란 당시 조선으로 초 

② 이 글에서 전기적 요소는 박 처사와 박씨의 도술에서 나타나는데, 이

는 인물 간의 갈등을 해소하기보다는 가정 내의 갈등을 해소하고 전쟁

에서 활약하는 장면에서 주로 사용된다.

③ 병자호란의 패배를 승리로 바꾼 것을 사회의 모순을 해결하는 것이

라고 보기 어렵다.

8  박씨가 계화를 시켜 싸움에 임한 것은 양반집 아녀자가 함부로 다른 사
람 앞에 얼굴을 보이면 안 된다는 조선 시대의 관습을 따른 것이라고 할 

④ ‘상공이 슬픔을 이기지 못하여 이별하는 정이 자못 결연하되’를 볼

수 있다.

끼고 있다.

370 정답과 해설

정답44과 해설 045

구운몽_ 김만중

134~137쪽

함을 강조하고 있다.

키포인트 체크   욕망, 속세, 현실, 꿈, 환생, 인생무상, 불법

9  <보기>의 내용은 모든 것은 헛되고 순간적이라는 것이다.

1 ③  2 ④  3 ③  4 ④  5 성진이 꿈속에서 양소유로 태어나 높은 벼
슬에 오르고 두 공주, 여섯 낭자와 함께 살았던 것  6 등장인물인 성진과 팔선
녀가 꿈을 꾸고 깨어나는 과정에서 인생무상의 깨달음을 얻게 되는 것을 나타낸

다.  7 ②  8 ④  9 ③  10 ④

오답 뜯어보기   ①, ② <구운몽>에서 작가가 궁극적으로 나타내고자 한 

꿈의 의미는 희망이나 소망, 바람 등과 같은 성격의 것이 아니다. 

④, ⑤ 앞서 육관 대사는 인간 세상과 꿈을 구분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1 유 불선 사상이 작품에 총체적으로 반영되어 있으며, 그중 불교의 공 

(空) 사상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10  이 글에서는 대사가 성진에게 주는 가르침을 통해 주제 의식을 드러내
고 있지만, <보기>에서 관음보살상은 조신에게 직접적으로 가르침을 

2  <구운몽>은 작품 외부에 서술자가 존재하는 전지적 작가 시점의 작품 

오답 뜯어보기   ① 이 글과 <보기> 모두 인간의 욕망과 집착이 헛된 것

으로 서술자의 시각이 하나의 시점으로 고정되어 있다.

임을 깨우쳐 주고 있다.

고 했다. 

주지 않는다.

오답 뜯어보기  ① 승상과 호승의 대화가 기품 있게 진행되고 있다.

② 사부가 승상의 꿈을 깨우는 부분에서 전기적인 특성이 드러난다.

③ 이 글은 성진의 이동에 따라 ‘천상계(신선계) → 인간계 → 천상계(신

선계)’로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다.

⑤ 현실의 공간과 꿈의 공간이 교차하는 액자식 구성을 취하고 있다.

3 양 소유는 자신이 십오륙 세 이전에는 부모와 함께 살았고 부모 곁을 떠
난 이후에는 줄곧 관직에 있었던 기억을 근거로 호승의 말에 반박하고 

있다. 이는 호승이 양소유와 십 년을 같이 살았다고 말한 것과 모순되는 

점이다.

4   ㉡과 ㉣은 양소유가 현실이라고 믿는 현재의 상황, 즉 성진이 양소유로
서 살아가는 꿈을 가리킨다. ㉠은 양소유가 꾼 꿈, 즉 몽중몽(夢中夢) 

에 해당한다. ㉢은 성진이 꿈에서 깨어나는 과정에서 정신이 혼미해진 

상태를 비유한 말이다.

5  <보기>의 ‘즐거운 시간’은 한순간 사라지는 허무한 세속의 시간을 의미
한다. 이는 이 글에서 성진이 양소유로 태어나 부귀와 권세를 누리며 살

던 꿈속 시간과 의미가 서로 통한다.



‘구운몽(九雲夢)’이라는 제목은 성진과 팔선녀가 속세의 부귀영화를 갈

망하다가 하룻밤 꿈속에서 그것을 다 겪고 난 후에 허망함을 느끼고, 인

생의 덧없음을 깨닫게 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② <보기>의 마지막 부분에서 ‘돌미륵’과 ‘정토사’ 이야기를 통해 절이 

건립된 내력을 제시하고 있다.

망이 헛된 것임을 깨닫고 있다.

③ 이 글의 성진과 <보기>의 조신은 모두 하룻밤 꿈을 통해 자신들의 욕

⑤ 이 글에서 성진은 꿈에서 인간이 누릴 수 있는 부귀영화를 모두 경험

하지만, <보기>의 조신은 인간 삶의 괴로움을 경험했다.

046

사씨남정기_ 김만중

138~141쪽

키포인트 체크   현모양처, 악인, 축첩 제도, 고난, 사랑

1 ⑤  2 ⑤  3 ④  4 ④  5 결혼 상대자를 고를 때에는 가문을 중시하
며, 매파를 부르거나 인편을 통해 혼인 의사를 밝힌다.  6 ①  7 ②  8 ②  
9 서술자가 이야기에 직접 개입하여 사건(인물)에 대하여 평가를 내리고 있다.

1  이 글은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서술되었으며 ‘부인은 평소 딸을 기특히 
여기고 사랑하는지라 어찌 그 뜻을 어길 리가 있겠는가?’와 같이 서술

자가 사건에 직접 개입하는 편집자적 논평이 나타난다.

   오답 뜯어보기   ① 이 글은 등장인물이 서술자가 되는 1인칭 시점의 작

● 제목의 상징적 의미

지식

품이 아니다.

성진을 비롯한 아홉 명의 인물이 꿈속에서 세속의 부귀영화를 누리고 그것이 덧없음

② 서술자는 ‘부인은 평소 딸을 기특히 여기고 사랑하는지라 어찌 그 뜻

을 깨닫는 과정을 통해서 ‘인생무상’이라는 주제 의식을 표현한 작품임을 제목에서

을 어길 리가 있겠는가?’와 같은 표현에서 주관적인 생각을 드러내고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 것이다.

있다.

구운몽(九雲夢)

③ 며느리를 구하는 당사자인 유 소사가 이 부분에서 중심 인물이기는 

구(九): 인물

운(雲): 주제

몽(夢): 구성

현실에서는  성진과  팔선
녀, 꿈에서는 양소유와 2
처 6첩을 의미함.

인생무상(人生無常): 삶
이  흘러가는  구름과  같
이 덧없음을 의미함.

꿈속은 주인공이 깨달음
을 얻는 계기가 되는 공간
임.

7  천상계와 용궁 등과 같은 선계는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적인 공 

간이다.

오답 뜯어보기   ⑤ 주로 등장인물들의 대화로 사건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그의 시각으로 사건이 전개되는 것은 아니다.

④ 등장인물의 심리는 잘 드러나지 않으나 심리가 표현될 때에는 서술 

자의 직접적 진술에 의존하고 있다.

2  사 소저는 덕행보다 미색을 먼저 이야기하는 매파의 말을 전해 듣고 혼
사를 거절하겠다는 의사를 당당히 밝히고 있다. 이로 보아 사 소저는 총

명하며 덕을 중시하는 인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사 소저가 매파의 잘

못이라고 이야기하여 혼인 성사의 가능성을 남기고 있으므로 다른 사

람의 실수를 용납하지 않는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혼인을 거절했다 해

8  하룻밤 꿈으로 깨달음을 얻었다는 성진의 말에 대해, [A]에서 대사는 

서 완고한 인물이라고 판단할 수는 없다.

성진이 여전히 인간 세상과 꿈이 다른 것이라 생각하는 미망(迷妄)에 

   오답 뜯어보기   ② 어머니에게 이유를 들어 유 소사와 혼인하지 않겠다 

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질책하며 현실과 꿈의 구별 자체가 무의미 

고 자신의 의사를 분명히 밝히고 있다.

정답과 해설 371

③ 유씨 집안의 부귀를 자랑하는 매파에 대해 사람됨이 미천하다고 하 

③ 이 작품에서는 신분제의 문제점을 다루지 않는다.

며 덕(德)으로써 시집을 가야 한다는 생각을 드러내고 있다.

④ 처첩 간의 갈등을 다루고 있을 뿐 여성이 독립하여 살아야 함을 주장

3  혼인 당사자는 ‘사 소저’로, (가)에서 사 소저는 매파 주씨가 말한 것을 
조목조목 따지며 청혼을 받아들일 수 없는 이유를 직접 밝힌다. 하지만 

(나)에서는 지현이 대신 청혼하러 오자 사 소저가 직접 등장하지 않고 

하지 않는다. 

밖에서 찾지는 않는다.

⑤ 사씨의 고난 과정을 그리고 있기는 하지만 사씨가 삶의 의미를 가정 

소공자 희랑을 대신하여 사 소저의 유모가 말을 전하고 있다.

(다)는 서술자의 편집자적 논평이 드러난 부분으로, 사씨와 교씨의 의



   오답 뜯어보기   ① (가)에서 매파 주씨를 보내 청혼을 거절당했던 유 소 

도를 서술자가 직접적으로 설명하여 사건의 진행 상황을 정리하고, 사

사는 혼인을 성사시키기 위해 두 번째 청혼에서는 지현에게 혼사의 뜻 

건에 대해 직접 평가하고 있다. <보기>의 밑줄 친 부분 또한 서술자의 

을 다시 전해 주기를 부탁하고 있다.

편집자적 논평이 드러난 부분으로, 악이 나면 반벙어리 같은 사람도 말

② (가)의 전달자는 매파 주씨로 사 소저의 외모가 천자 국색이며 재덕

을 물 퍼붓듯 한다는 서술자의 생각을 바탕으로 말수가 적던 부인이 말

이 출중함을 들어 청혼을 하고 있고, (나)의 전달자는 지현으로 사 소저

을 많이 하게 된 상황을 평가하고 있다.

의 아버지인 사 급사의 이름을 높이고 사 소저의 덕행이 뛰어남을 들어 

청혼을 하고 있다.

4  사 소저의 동생이 비록 어린아이지만 집안의 유일한 남자로 집안을 대 
표하는 인물이기 때문에 유모가 안고 손님을 맞이하러 나간 것이다. 이

는 남자만을 가장으로 인정하는 당시의 가부장적 사회 분위기를 보여 

준다.

5  매파는 유씨 집안의 부귀를 내세우며 혼담을 전달하고 있고, 이에 사 소
저는 자신의 가문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내며 거부감을 보인다. 이로 보

아 당시 결혼에서 가문에 대한 고려가 중요하게 작용했음을 알 수 있 

다. 또한 유 소사가 혼인을 청하기 위해 처음에는 매파를 보내고 이후 

에는 지현에게 혼인 의사를 전해 줄 것을 부탁한 데서 인편을 통해 혼인 

의사를 전달하는 당시의 혼인 풍속을 알 수 있다.

6  이 작품의 작가는 고매한 부덕을 지닌 본처 사씨와 간교한 후처 교씨를 
설정하여 그들의 갈등을 다룸으로써 조선 사회 축첩 제도의 불합리성

을 비판하고 있다.

7 < 보기>에서 교씨는 사씨 앞에서는 사씨의 가르침이 옳다고 하며 명심
하겠다고 순종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나)에서는 사씨가 자신을 위협했



다며 거짓으로 사씨를 헐뜯고 있다. 이러한 모습은 말로는 친한 듯하나 

속으로는 해칠 생각을 하고 있다는 ‘구밀복검(口蜜腹劍)’과 어울린다.

   오답 뜯어보기   ① 감탄고토(甘呑苦吐): 달면 삼키고 쓰면 뱉음. 사리에 

옳고 그름을 돌보지 않고, 자기 비위에 맞으면 취하고 싫으면 버린다는 

공간이다.

의미이다.

③ 부화뇌동(附和雷同): 우레 소리에 맞춰 함께한다는 뜻으로, 자신의 

뚜렷한 소신 없이 그저 남이 하는 대로 따라가는 것을 의미한다.

수 있다.

047

운영전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궁녀, 전근대적, 수성궁, 신분적, 자결

142~145쪽

1 ④  2 ②  3 ①  4 안평 대군은 궁녀들을 억압하기도 하고 궁녀들이 
쓴 한시를 칭찬하면서 상을 주는 이중적인 태도를 보인다.  5 운영과 ‘아가씨’
는 둘 다 이별의 상황에 처해 있는데 운영은 저승에서의 재회를 기약하고 있고, 

‘아가씨’는 상대에게 아무런 말도 못했다.  6 ①  7 ⑤  8 ④  9 ②  
10 ④  11 이 글에서는 궁녀의 연애 금지라는 사회적 제약 때문에 운영과 김 진
사가 사랑을 이루지 못하고 죽음으로 생을 마감하므로 비장미가 나타난다.

1  이 글은 주인공 운영이 자신이 겪은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를 직접 전달
하는 방식으로 서술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운영의 억울하고 슬픈 감정이 

독자들에게 생생하게 전달된다. 운영은 과거의 사건을 직접 화법을 사

용하여 전달하고 있을 뿐 사건이나 인물에 대해 분석하거나 평가하지

는 않는다.

(나)의 ‘제 나이가 아직 20도 되지 않은 데다가 다시 부모님도 뵙지 못 

하고 죽는 것이 매우 원통한지라’라는 운영의 말에서 부모님조차 마음 

대로 볼 수 없는 궁궐의 폐쇄적인 성격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운영

을 비롯한 궁녀들에게 궁궐은 감옥이나 다름없는 억압적이고 폐쇄적인 

3  운영은 안평 대군의 궁녀로, 당시 궁녀는 다른 남자와 인연을 맺을 수 
없었다. 즉, 안평 대군은 운영과 김생 사이를 방해하는 장애물이라 할 

④ 방약무인(傍若無人): 곁에 아무도 없는 것처럼 여긴다는 뜻으로, 주 

오답 뜯어보기   ② 운영은 김생을 꾸짖은 것이 아니라 현실적 상황의 한 

위의 다른 사람을 전혀 의식하지 않고 제멋대로 행동하는 것을 이른다.

계 때문에 이별을 고하고 있는 것이다.

⑤ 호가호위(狐假虎威):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려 호기를 부린다 

③ 김생은 운영과의 사랑을 이루고자 하나 현실적 제약 때문에 갈등하 

는 뜻으로, 남의 세력을 빌어 위세를 부림을 의미한다.

고 있는 것이다.

8  사씨는 당시 여성들의 모범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현명하고 유교적 가 
치관을 잘 따르는 인물이다. 따라서 이 작품은 당대의 여성들에게 부덕

자 한 것은 아니다. 

(婦德)을 가르치는 윤리 교과서로서의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사씨가 자신의 결혼을 주체적으로 결정하는 모습을 

를 비난하고 있을 뿐이다.

④ 자란은 운영이 자결하는 것을 막고자 했을 뿐 김생을 옹호하며 돕고 

⑤ 특은 김생과 운영이 함께 도망갈 것을 제안하며 김생의 나약한 태도

보이기는 하지만 이 작품에서 중매결혼의 문제점을 지적하지는 않는

다. 매파의 실언 이후에도 유 소사는 지현을 통해 청혼을 하였으며 사 

4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질서를 존중하는 안평 대군은 궁녀들에게 위압 
적인 자세를 취하지만, 동시에 궁녀들이 쓴 한시를 칭찬하면서 비단을 

상으로 주는 등 온유한 태도를 취하며 이중적인 모습을 보인다.

씨는 이를 수락했다.

372 정답과 해설

정답44과 해설 5  운영은 김 진사와 헤어지는 상황에 처해 있으며, <보기>의 ‘아가씨’도 
사랑하는 임과 헤어지는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 그런데 운영이 김 진사

르는 말이다.

에게 마땅히 저승에서나 서로 만나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며 저승에

서의 재회를 기약하는 것과 달리, <보기>의 ‘아가씨’는 부끄러워서 아무 

말도 못하고 헤어지고 있다. 

10  궁녀들의 말에서 궁녀들은 궁 밖과 격리된 채 살아가도록 규제되었음
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궁궐의 담은 외부 세계를 차단하여 궁녀의 생활

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즉, 궁궐에서 살아가는 궁녀들의 삶은 궁 밖

의 삶과 단절된 채 안평 대군의 절대적인 영향 아래 놓여 있는 것이다. 

6  안평 대군이 서궁의 궁녀들을 문초하며 죽을 때까지 때리라고 명령하 

따라서 궁궐의 담을 넘는다는 것은 안평 대군이 세운 질서를 거스르는 

는 것으로 보아 우유부단한 성격이라고 보기 어렵다.

행동으로 안평 대군의 권위에 대한 도전이라 할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② 은섬의 ‘저희는 한번 깊은 궁궐에 갇힌 이후 그림자 

를 벗하며 외롭게 지내 왔습니다.’라는 말에서 알 수 있다.

③ 운영은 ‘죄 없는 서궁 사람들이 저 때문에 함께 죄를 입게 된 것이 저

의 세 번째 죄’라고 하며 자신 때문에 함께 벌을 받게 된 서궁의 궁녀들

에게 미안함을 느끼고 있다.

④ 은섬이 ‘주군의 위엄이 두려워 이 마음을 굳게 지키다가 말라 죽는 

길뿐입니다.’라고 한 데서 궁녀들이 억압된 궁중 생활에 한이 맺혀 있 

음을 알 수 있다.

⑤ 서궁의 궁녀들이 운영을 감싸고 살리기 위해 애쓰는 것은 같은 처지 

인 운영의 마음을 이해하고 안타까움을 느끼기 때문이다. 

7  소옥은 운영 대신 자신이 죽으려 하고 있으므로 희생적인 태도를 보인
다고 할 수 있다. 완사를 성내에서 하자는 다른 사람의 의견을 따르지 않

은 것은 운영의 처지를 알고 있는 자란이 와서 간절하게 부탁했기 때문

이므로, 소옥의 태도를 독선적이라고 판단한 것은 적절하지 않다. 

8  궁녀들은 초사에서 자신의 한을 드러내며 죽음에 대해서는 오히려 강 
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죽음이 불러올 문제 상황을 제시한 내용은 찾

오답 뜯어보기   ① 자란은 ‘대순, 이비, 목왕, 항우’ 등의 고사를 들어 말

② 비취는 주군의 은혜가 ‘산보다 높고 바다보다도 깊습니다.’라고 표현

을 수 없다.

했다. 

했다.

③ 은섬이 ‘저희는 한번 깊은 궁궐에 갇힌 이후 ~ 질투하는 마음을 견

딜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라고 한 데서 잘 드러난다. 

⑤ 자란이 ‘주군께서는 어찌 운영만이 유독 운우지정(雲雨之情)이 없

다 하십니까?’라고 한 데서 드러난다.

9  안평 대군이 ㉠처럼 말한 이유는 서궁의 궁녀들을 벌함으로써 남궁의 
궁녀들에게 경각심을 심어 주기 위해서이다. 이는 ‘한 사람을 벌주어 백 

사람을 경계한다.’라는 뜻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키

기 위해 본보기로 한 사람에게 엄한 처벌을 하는 일인 ‘일벌백계(一罰

百戒)’와 뜻이 통한다.

으로 이르는 말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타산지석(他山之石): 본이 되지 않은 남의 말이나 행 

동도 자신의 지식과 인격을 수양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비유적 

③ 발본색원(拔本塞源): 좋지 않은 일의 근본 원인이 되는 요소를 완전 

히 없애 버려서 다시는 그러한 일이 생길 수 없도록 한다는 뜻이다.

④ 인과응보(因果應報): 전생에 지은 선악에 따라 현재의 행과 불행이 

있고, 현세에서의 선악의 결과에 따라 내세에서 행과 불행이 있는 일을 

뜻한다. 

⑤ 자승자박(自繩自縛): 자기의 줄로 자기 몸을 옭아 묶는다는 뜻으로, 

자기가 한 말과 행동에 자기 자신이 옭혀 곤란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

11  이 글은 궁녀의 연애 금지라는 사회적 제약 때문에 운영과 김 진사가 사
랑을 이루지 못하고 죽음으로 생을 마감하는 내용이다. <보기>에서 ‘나’

의 실현 의지가 현실적 여건 때문에 좌절될 때 비장미가 나타난다고 했

으므로, 이 글에도 비장미가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048

숙향전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천상계, 지상계, 이원적, 죄, 성취

146~149쪽

1 ⑤  2 ③  3 ①  4 일반적인 영웅 소설은 주인공이 비범한 능력을 지
니지만 <숙향전>은 주인공이 영웅으로서의 능력을 지니지 않는다.  5 ②  
6 ①  7 ④  8 <보기>는 지상계에서 겪고 있는 숙향의 고난이 천상계에서
예정된 것임을 보여 주는 기능을 한다. / <보기>는 지상계에서 겪고 있는 숙향의

고난이 천상계에서의 득죄 때문임을 알려 주는 기능을 한다.

1  사향은 숙향에게 두 가지 누명을 씌우는데, 그것은 숙향이 금봉차와 옥
장도를 훔쳤다는 것과 숙향의 방에 외인이 자주 출입한다는 것이다. 즉, 

사향은 거짓으로 숙향이 도둑질을 했다는 누명과, ‘부정한 행실’을 한다

는 누명을 씌우면서도 쫓겨나는 숙향에게는 상대를 위하는 듯이 행동

하므로 음해자이다. 승상은 이에 대해 심판을 내리는 자로서, (다)에서 

사향이 숙향을 문밖으로 내치는 것으로 보아 승상이 숙향을 추방하라

는 지시를 내렸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숙향은 피해자로서 자신이 죄가 

없음을 주장하거나 입증하려고 하기보다는 집을 돌아보며 울며 쫓겨나

고 있다.

2  고전 소설의 적강 화소는 영웅 소설에서 많이 쓰인다. 주인공은 신이한 
능력을 가지고 태어나거나 성장한 이후 신이한 능력을 갖추는 경우가 

많지만, 이 글은 적강 화소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숙향은 자신의 

능력으로 위기를 극복하지 못한다. 제시된 부분에서도 숙향은 월궁항

아의 명을 받은 계집아이들의 도움으로 죽을 고비를 극복하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계집아이들이 숙향에게 ‘귀하신 몸’이라고 하는 이유

는 숙향이 천상계에서 적강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② 천상계와 지상계가 서로 소통하고 있기 때문에 천상의 존재들이 지

상계에서 숙향이 죽으려 하는 것을 알고 나타난 것이다.

④ 지상계의 원리에 따르면 숙향은 물에 뛰어들었으므로 죽어야 마땅 

하나 월궁항아의 명으로 살아나는 것으로 보아, 지상계의 원리보다 천

상계의 원리가 더 우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⑤ <보기>에서 알 수 있듯이 적강 화소는 주인공이 천상계에서 죄를 지 

어 지상계로 적강하는 것이다. 따라서 죄를 지은 데 대한 벌로 지상계로 

내려온 것은 숙향의 의지와 상관없이 일어난 일이다.

정답과 해설 373

3  ⓐ에서 숙향은 위기 앞에서 어찌할 바를 모른 채 도움을 청할 곳도 없는
상황 속에 있다. ‘기호지세(騎虎之勢)’는 범에 올라탄 기세라는 뜻으로

049

홍계월전_ 작자 미상

이미 시작한 일을 그만둘 수 없다는 의미이므로 ⓐ의 상황을 표현하기

키포인트 체크   남장, 남존여비, 봉건적, 가문, 국가

150~153쪽

 오답 뜯어보기   ② 고립무원(孤立無援): 고립되어 도움을 받을 데가 없

③ 혈혈단신(孑孑單身): 의지할 곳이 없는 외로운 홀몸을 뜻한다.

④ 사고무친(四顧無親): 도무지 의지할 사람이 아무도 없음을 뜻한다.

⑤ 진퇴유곡(進退維谷):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꼼짝할 수 없는 궁

에 적절하지 않다.

음을 이른다.

지를 뜻한다.

4  일반적인 영웅 소설에서는 초월적 존재인 주인공이 비범한 능력을 지
니고 있어 자신의 능력으로 위기를 극복한다. 그러나 <숙향전>에서 숙

향은 비범한 능력이 없어 위기에 봉착했을 때 자결을 시도하며 계집아

이, 삽사리, 마고할미 등 천상의 초월적 존재의 도움으로 위기를 극복하

게 된다.

5  <보기>는 <운영전>의 한 부분으로 안평 대군의 궁녀인 운영과 가난한
선비인 김 진사가 어려움 속에서 서로 만나는 장면이다. 운영과 김 진

1 ①  2 ④  3 ⑤  4 주인공의 탄생을 예시하고 있으며, 선녀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주인공이 비범한 인물일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  5 곽 도사가 홍
계월이 5세에 부모와 이별한다고 했으므로 그럴 경우 여자보다는 남자로 살아

가는 것이 수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6 ⑤  7 ②  8 ④  9 보
국은 가부장적 사고를 지닌 남성으로, 홍계월이 여성임이 드러나자 홍계월의 명령

에 불복하며 갈등을 빚고 있다.  10 지체하지 말고 지적할 수 있어야 합니다.

1

‘가세는 요부(饒富)하나 슬하에 일점혈육(一點血肉)이 없어 매일 설워

하더라.’라는 것으로 보아 홍무의 살림은 넉넉했음을 알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② ‘만조백관이 다 시기하야 모함하여, 무죄히 삭탈관직

(削奪官職)하고 고향에 돌아와 농업에 힘쓰니’에서 확인할 수 있다.

③ 양 부인은 선녀가 품에 안기는 꿈을 꾸고 이것을 태몽이라 여겨 자

식을 얻기를 기대한다.

④ 양 부인은 ‘다른 가문의 어진 숙녀를 취하여 후손을 볼진대’라고 말

하며 남편에게 첩을 얻어 자식을 볼 것을 권하고 있다.

⑤ 도사는 홍계월이 5세에 부모와 헤어질 것이며 후에 명망이 천하에

사는 자신들의 애정을 성취하기 위해 여러 가지 위험과 고난을 무릅쓰

가득할 운명이라고 예언하고 있다.

고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이에 비해 이 글에서 숙향은 사랑하는 사

람과 헤어지고 마고할미마저 죽자 외로움을 느껴 자결하려고 하는 나

약한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운영에 비해 숙향이 상대방에게 희생하는

모습은 나타나지 않는다.

2  ㉠은 부인 양씨가 남편 홍 시랑에게 첩을 두어 자식을 얻을 것을 권유
하는 말로, 당시의 사회가 한 남편이 동시에 여러 아내를 둘 수 있는 일

부다처제 사회였음을 보여 준다.

 오답 뜯어보기   ① 운영은 김 진사에게 직접 궁의 담을 타고 들어오라고

말하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숙향은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

3  ㉡에는 홍계월의 외모와 자식을 얻은 기쁨, 아들이 아닌 것에 대한 아쉬
움이 드러날 뿐, 앞으로 닥칠 시련을 암시하는 복선은 드러나지 않는다.

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오답 뜯어보기   ①, ② 얼굴을 도화, 즉 복숭아꽃에 비유하여 그 아름다

④ 이 글에서는 삽사리가 숙향을 돕고 있고, <보기>에서는 자란이 운영

움을 드러내고 월궁항아와 같다고 하여 계월이 비범한 인물임을 나타

을 돕고 있다.

내고 있다.

⑤ <보기>에서 김 진사가 늦은 밤 담을 타고 넘어가 운영과 사랑을 나누

③ 자식을 얻었으나 남자아이가 아님을 한탄하는 것으로 보아 남존여

는 것은 그들의 애정을 방해하는 안평 대군이라는 존재가 있기 때문이

비 사상을 엿볼 수 있다.

다. 이 글의 숙향과 이선도 가연을 맺고 서로 그리워하지만 함께하지 못

④ 월궁항아는 ‘달에 있는 궁에 산다는 선녀’를 가리키는 말로, 도교 사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애정 성취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상의 영향을 받은 표현이다.

있다.

6

[A]는 숙향의 고난을 알게 된 이선이 삽사리 편에 보낸 편지의 내용이

4  부인은 천상에서 내려온 선녀가 찾아와 부인의 댁으로 가라고 지시를
받았다며 자신의 품에 안기는 꿈을 꾼다. 그리고 태기가 있어 열 달 후

다. 숙향을 사랑하는 이선이 자신의 과거 급제를 기다려 달라는 내용을

에 홍계월을 낳았으니 이는 태몽에 해당한다. 이러한 꿈은 홍계월이 천

적어 숙향에 대한 자신의 사랑을 전하면서, 자신을 믿어 줄 것을 부탁하

상에서 내려온 비범한 인물임을 보여 준다.

고 있다. 즉, 과거에 급제하여 숙향을 찾아가겠다는 자신의 뜻을 직접적

으로 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낭자의 이렇듯한 괴로움이 모두 나로

말미암은 것이오.’라고 함으로써 숙향이 처한 부정적인 상황에 대한 원

인을 자신에게로 돌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7  ㉣은 숙향이 자결하려는 순간에 삽사리가 등장하는 부분으로, 삽사리
가 나타남으로써 숙향은 목숨을 구하게 된다. 따라서 숙향의 신변에 위

험이 닥칠 것을 예고하는 것은 아니다.

8

(다)에서 숙향이 쓴 봉서는 자신을 돌봐 주던 마고할미가 죽자 낙심하

5  홍 시랑은 홍계월이 5세에 부모와 이별한다는 곽 도사의 말을 듣고 혹시
나 일어날지도 모르는 일에 대비하고 있다. 남자의 옷을 입혀 홍계월에

게 글을 가르치는 것은 여자로서 살아가는 것보다 남자로 위장하여 살

아가는 것이 위기에 처했을 때 더 도움이 되리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

러한 생각은 당대에 만연했던 남존여비 사상을 보여 주면서 여성보다는

남성으로서의 삶이 살아가기에 더 수월했음을 짐작할 수 있게 해 준다.

6  이 글은 중국을 배경으로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다. 홍계월은 봉건적 가
치관에 맞서는 새로운 여성상을 보여 주는 인물이지만 민족적 영웅은

여 자신의 처지를 한탄하는 내용의 글로, 숙향이 지상계에서 겪고 있는

아니다. 따라서 이 글은 민족의 자존심 회복과는 연관성이 없다.

고난에 해당한다. <보기>에서 옥황상제는 숙향이 천상계에서 죄를 지

 오답 뜯어보기   ② 이 글은 홍계월이라는 영웅적인 면모를 지닌 여성이

어 지상계로 쫓겨 갔으며, 그곳에서 여러 고난을 겪게 됨을 알려 주고

주인공이므로 여성 영웅 소설에 해당한다.

③ 주인공 홍계월이 남장을 함으로써 어려움을 극복하고 벼슬에 나아

있다.

374 정답과 해설

정답44과 해설 갈 수 있었으며 대장군이 되는 출세도 가능했다는 점에서, 남장이 사건

   오답 뜯어보기   ① 소대성이 조영을 물리치고 떠난 이후까지 시간의 흐

의 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름에 따라 사건이 진행되고 있다. 

④ 외적의 침략으로 인한 갈등이 있기는 하지만 작품 전개상 주된 갈등 

② 소대성이 복수하지 않고 이 승상의 집을 떠나기로 결심하는 혼잣말 

은 홍계월과 보국 사이의 갈등이다.

이 (가)에 제시되어 있다. 

7  홍계월은 보국이 군령을 제대로 지키지 않은 것이 여자인 자신에게 명
령을 받는 것에 대한 불만 때문임을 알고 있었다. 그렇기에 몸이 좋지 

않아 군령을 게을리했다고 말하는 보국의 변명을 내심 우습게 생각하

는 것이다. 따라서 보국이 군령을 지키지 않은 이유를 알 수 없어 홍계

월이 더욱 호령했다는 설명은 적절하지 않다.



(가)의 ‘원수 내심은 우스우나 겉으로는 호령하기를’은 서술자가 직접 

서술한 부분으로 보국을 혼내는 홍계월의 심리를 드러내고 있다(ㄷ). 

또한 홍계월과 보국의 대화를 통해 두 사람이 처한 상황과 내면 심리를 

드러내고 있다(ㅁ).

9  보국은 홍계월이 평국이라는 이름으로 남장을 하고 있을 때에는 아무
런 갈등을 일으키지 않았지만 홍계월이 여자임이 밝혀지자 태도가 바

뀌게 된다. 이는 여자는 남자에게 순종해야 한다는 가부장적 사고 때문

이라고 할 수 있다.

③ 이생의 뉘우침과 왕 부인의 기쁨 등을 (나)에서 서술자가 직접 제시

⑤ 조영이 소대성을 피하지 않고 맞서겠다고 생각하는 내용이 (가)에 

하고 있다. 

제시되어 있다.

6  이생은 소대성이 사라진 것을 알고 처음에는 뒷일을 염려하나, 소생이 
스스로 나간 것으로 하면 된다는 정생의 말을 듣고 이를 따르고 있으므

로, 구체적인 대비책을 세웠다고 볼 수 없다.

7  주인(이 승상)의 은혜를 생각하는 정이 깊다고 노래하고 있으므로, ‘은 
덕을 입은 고마움이 마음 깊이 새겨져 잊히지 아니함.’을 뜻하는 ‘각골

난망(刻骨難忘)’이 가장 적절하다.

   오답 뜯어보기   ② 막역지우(莫逆之友): 참된 마음으로 서로 거역할 수 

없이 매우 친한 벗을 말한다. 

③ 반포지효(反哺之孝): 자식이 자라서 부모를 봉양함을 의미한다. 

④ 사고무친(四顧無親): 친척이 없어 의지할 곳 없이 외로운 처지를 의 

10  이 글의 홍계월은 남자인 보국보다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며 남편의 잘
못을 지적하고 있는 반면, <보기>의 인물은 남편의 뜻을 어기지 않고 순

미한다.

⑤ 수구초심(首丘初心): 여우가 죽을 때 고향 쪽으로 머리를 둔다는 뜻 

종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홍계월은 <보기>의 인물에게 남

으로 고향을 생각하는 마음을 말한다.

편일지라도 잘못된 점이 있다면 이를 지적해야 한다고 충고할 수 있다.

050

소대성전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인간, 겉모습, 이원적, 무술, 황제

154~157쪽

1 ④  2 ⑤  3 ②  4 ④  5 ④  6 ③  7 ①  8 ⑤  9 소대
성을 죽이러 온 자객 조영이 소대성에게 칼을 던지는 장면

1  소대성이 자신을 찾아온 검객 조영 앞에서 도술을 부리는 장면에서 전

기적(傳奇的) 요소가 드러난다.

● 우의적 소재

지식

‘우의(寓意)’란 다른 사물에 빗대어 비유적인 뜻을 나타내거나 풍자하는 것을 말한다.

우화 소설에서 주로 드러나는 수법이다.

2  ㉤은 소대성이 겁 없이 자신을 죽이려 덤비는 조영의 어리석음을 꾸짖 
기 위해 하는 말이다. 이러한 문맥을 고려하지 않은 채 소대성이 조영 

을 동정하고 있다고 이해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3  이 글은 소대성이 지닌 남다른 재주(㉮)를 유일하게 알아주던 인물이자 
그의 양육자이기도 한 이 승상(㉯)의 죽음이 계기가 되어, 소대성의 재

주를 알지 못하는 왕 부인과 이생 등이 소대성을 없앨 계략을 꾸밈으로

써 소대성에게 위기(㉰)가 닥치는 장면이다.

4  승상이 죽은 뒤 왕 부인과 그의 아들들이 소대성을 미워하며 소대성을 
암살할 계략을 세우고 있다. 소대성은 이러한 상황에 대해 자신의 신세

를 한탄하고 있다.

8  이별시의 3~4행에는 승상이 죽은 후 왕 부인 등의 미움을 받게 된 자신
의 처지에 대한 소대성의 인식이 드러나며(ㄹ), 5~7행에는 자객을 죽

인 후 승상의 집을 떠나게 되는 과정이 압축적으로 제시되어 있다(ㄷ).

9  ㉠은 소설의 내용이 흥미진진할 때, 즉 청중이 이어질 이야기를 궁금해
할 만한 대목에서 사용해야 가장 효과적일 것이다. 이 글에서는 자객이 

소대성을 죽이러 온 대목이 가장 흥미진진한 부분이므로, 소대성을 죽

이러 온 조영이 소대성을 향해 칼을 던지는 장면이 가장 적절할 것이다.

051

유충렬전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대립, 충성, 충신, 도술, 반란군

158~161쪽

1 ②  2 ③  3 ①  4 ②  5 대조법을 사용하여 의미를 선명하게 하고
있다. / 직유법을 사용하여 듣는 이의 이해를 돕고 있다. / 설의법을 사용하여 주

장을 강조하고 있다.  6 ⑤  7 ④  8 ③  9 ④

1  천자는 유심이 적 가달과 내통했다는 정한담과 최일귀의 모함을 듣고 
유심의 목을 벨 것을 허락했으므로 그의 충성심을 이해한다고 보기 어

렵다. 또한 천자는 평소 남적이 강성해지고 있음을 근심했고, ‘폐하의 

위엄이 남방에 가득할 것’이라는 정한담의 말에 기병을 허락했으므로 

백성을 위해 기병했다고 할 수 없다.

2  정한담과 최일귀가 천자에게 남적 토벌을 건의하자 천자가 이를 허락 
하지만 유심은 반대한다. 그리고 정한담과 최일귀가 천자에게 유심이 

적과 내통했다고 고변하여 유심의 목을 벨 것을 청하자 천자가 이를 허

정답과 해설 375

5  이 글에서 배경 묘사가 복선의 역할을 하는 부분은 찾을 수 없다.

락하지만 왕공렬은 이에 반대한다.







[A]는 정한담이 천자에게 고한 내용이다. 그런데 정한담은 천자에게 먼

를 빼앗아 천자의 자리에 오르려 하고 있다.

저 공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말은 하지 않았으므로 ①은 적

⑤ 원수는 천자를 구하기 위해 자신의 모든 힘을 쏟고 있다. 이는 천자

절하지 않다.

를 지켜야 한다는 충성심에서 나온 행동으로 볼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④ 제후국이 천자의 나라에 조공을 바치는 것으로 보 

아, 천자의 나라와 제후국의 역학 관계를 알 수 있다. 

⑤ ‘천자 매일 남적이 강성함을 근심하더니’에서 천자의 염려를 알 수 

있고, ‘대희 왈’이라고 한 것에서 문제를 해결할 기대감에 차 있음을 알 

수 있다.

‘누이 좋고 매부 좋다.’는 어떤 일에 있어 서로 다 이롭고 좋음을 비유적

으로 이르는 말이므로, 두 인물 모두에게 이로운 ㉠의 상황에 해당하는 

속담이라고 할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③, ④, ⑤ 모두 ‘일석이조’의 의미를 지니지만, 두 인

물 모두에게 이로운 것이 아니라, 한 인물이 두 가지 이득을 보는 것을 

나타낸 것이어서 적절하지 않다.

052

임진록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임진왜란, 패배, 승전, 왜국, 항서

162~165쪽

1 ③  2 ②  3 ⑤  4 임진왜란의 치욕을 씻기 위해 왜왕(왜인)에 대한 조
선인의 우월성을 강조하고 있다.  5 ④  6 ④  7 ②  8 왜국에 대한
적개심과 분노  9 패전에 대한 정신적 보상과 민족의 긍지와 자부심 고취

1  병풍의 일만 팔천 칸의 글을 외우거나, 연못 위에 띄운 유리 방석에 앉 
는 것, 사면의 문을 잠그고 불을 지핀 방에서 얼음 빙(氷) 자를 쓰고 추 

위에 떠는 모습은 전기적 요소가 활용된 장면으로 이를 통해 독자의 흥

‘왕실은 미약하고 외적은 강성하니’에서 대조법을 사용하여 의미를 선

명하게 나타내었고, ‘자는 범을 찌름과 같고 드는 토끼를 놓침이라’에서

직유법을 사용하여 듣는 이의 이해를 돕고 있다. 그리고 ‘한낱 새알이 

천 근의 무게를 견디리까?’에서는 설의법을 사용하여 자신의 주장을 강

조하고 있다.

미를 높이고 있다.

술은 적절하지 않다.

2  왜왕은 조선의 패문을 읽고는 조선에 어찌 생불이 있냐며 비웃고 있다. 
따라서 속으로는 두려움을 느끼지만 겉으로 태연한 척한다는 ②의 서

6  정한담이 천자를 쫓는 장면과 유충렬이 적군을 무찌르는 사건은 동시에 
일어나는데, 이를 ‘이때’라는 말로 연결하여 병렬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3  ㉠은 사명당이 초인적인 능력으로 왜왕의 계략을 물리치는 부분으로 
사명당의 영웅적인 면모가 잘 드러나 있다. 사명당은 도술을 부려 별당

을 한기로 가득 차게 만든 것이지 마음을 다스려 화기를 이겨 낸 것이 



‘천자는 백사장에 엎어져 있고 한담이 칼을 들고 천자를 치려 했다.’에

아니다.

서 정한담에게 패한 천자의 무력함과 나약함을 느낄 수 있다(ㄴ). 또한 

   오답 뜯어보기   ① 도술을 부리는 사명당의 신이한 능력을 보여 주고 있 

천사마는 천상에서 내려온 비룡으로 눈 한 번 꿈쩍하는 사이에 변수 가

다. 이는 사명당이 생불임을 증명해 주는 것이다. 

에 다다르는 등 용맹을 떨치고 있음을 알 수 있고(ㄷ), ‘원수가 이때를 당

③ 왜왕과 신하들은 별당을 지으면서 생불이라도 불에 녹을 수밖에 없 

해 평생의 기력을 다해 호통을 지르니’에서 천자를 구하고자 하는 유충

을 것이라며 사명당이 죽을 것을 기대하고 있다. 

렬의 강인한 의지를 엿볼 수 있다(ㄹ).

   오답 뜯어보기   ㄱ. ‘도성에 살기 가득하고 천자의 자미성이 떨어’졌다 

고 했으므로 천기를 살펴보는 호산대의 배경은 오히려 암울한 분위기

로 표현해야 적절하다. 

ㅁ. ‘원수의 호통 소리에 한담의 두 눈이 캄캄하고 두 귀가 멍멍해’에서 

정한담의 겁먹은 모습이 드러나므로 여유와 의연함은 찾을 수 없다.

8  천자가 위험에 빠졌다는 사실은 월색이 희미해지더니 난데없이 빗방울 
이 원수의 면상에 떨어지는 것을 통해 알게 된다. 또한 천자의 자미성 

이 떨어져 변수 가에 비쳐 있는 것을 보고 천자가 위험에 빠졌음을 알 

게 된다. 천자가 위험에 빠진 것을 알게 된 것과 천사마(비룡)는 관련이 

4  왜왕은 사명당이 생불인지 시험하기 위해 병풍 외우기, 못 위 유리 방석
에 앉기, 별당에 불 지피기 등 보통 사람이라면 통과할 수 없는 갖가지 

난관을 설치한다. 그러데 사명당은 이러한 왜왕의 시험을 초인적인 능

력을 발휘하여 거뜬히 통과하고 있다. 이것은 임진왜란의 치욕을 씻으

려는 민중의 의식이 반영된 결과로, 사명당이 왜왕보다 뛰어남을 나타

낸 것이며 사명당으로 상징되는 조선인이 왜왕으로 상징되는 왜인보다 

우월함을 드러내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다.

5  <보기>는 역사적 사건을 사실적으로 기록한 것일 뿐, 집권층에 대한 분
노는 드러나지 않는다. 또한 이 글에서도 집권층에 대한 분노를 직접적

으로 확인할 수는 없다. 오히려 사명당은 왕의 명령을 받아 사신으로 왜

국에 건너가 항복을 받아 내고 있다.

9  원수가 천지를 살펴보고 놀라서 발을 구르는 것은 한담으로 인해 천자
가 위급한 상황에 처해 있음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원수는 천자를 구하

   오답 뜯어보기   ① <보기>는 역사적 사건을 사실적으로 기술한 글이고, 

이 글은 허구화된 소설이므로 극적인 전개를 통해 흥미를 더하고 있다. 

기 위해 다급하게 행동할 뿐 한담에서 속은 것에 대한 분노를 드러내지

② 이 글에서는 왜왕과 사명당의 갈등이 드러나는데, <보기>에서는 이 

오답 뜯어보기   ① 한담은 원수가 금산성에서 적군과 싸우도록 한 뒤 자

③ 이 글에서 사명당은 도술의 힘으로 왜왕의 시험을 모두 물리치는 영 

신은 도성에 와서 천자를 죽이려 하고 있다.

웅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② 천자가 깊이 잠을 자고 있다는 것은 원수에게 한담의 반란군과 맞서 

⑤ 사명당은 이 글에서 왜왕의 항복을 받으면서 형제지국(兄弟之國)의 

싸우는 일을 맡기고 안심하고 있었음을 보여 준다.

예까지 맺게 했고, <보기>에서도 양국 간의 화평을 성공적으로 도출해 

③ 한담은 하늘이 자신을 남경의 천자가 되게 한 것이라며 천자의 옥새

내는 역할을 하고 있다. 

러한 갈등이 드러나지 않는다.

없다.

는 않는다.

376 정답과 해설

정답44과 해설 6  서산 대사가 신이한 능력을 발휘하여 왜국이 거의 함몰될 지경에 이른 
상황으로, 이에 왜왕은 항복하여 위기에서 벗어나고자 하고 있다. 따라

있었음을 추론할 수 있다.

세자와 대군의 말을 통해서도 세자와 대군이 임경업 덕분에 귀국할 수 

서 왜와 조선의 갈등이 심화된다고 보기 어렵다.

③ 호왕은 임경업을 죽이려 하다가 임경업의 충절에 감복하여 임경업

   오답 뜯어보기   ① 서산 대사가 도술을 부려 왜국을 침몰시키려 한 부분

의 소원을 들어주고 있다.

으로 이는 왜왕이 항복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④ 조선의 임금은 임경업이 자신을 해롭게 하더라도 임경업을 해치지 

② ‘어찌 두렵고 겁나지 아니하리오.’에서 서술자의 편집자적 논평이 드

못하게 하겠다고 선언하고 있다. 임금이 임경업의 충절을 굳게 믿고 있

러난다. 

음을 알 수 있다.

③, ⑤ 왜를 침몰시키려는 행동을 통해 독자들이 통쾌함을 느끼고 전쟁

의 상처를 위로받고자 하는 작가의 의도가 반영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7  계속되는 왜왕의 혹독한 시험에도 사명당은 초인적인 능력을 발휘하 
여 위기에서 벗어나고 있다. 왜왕은 자신들이 짜낸 계책이 사명당에게 

아무런 소용이 없음을 느꼈을 것이다. 따라서 ‘온갖 계교를 다 써도 해

결할 방도를 찾지 못한다.’는 ‘백계무책(百計無策)’이 가장 어울리는 반

   오답 뜯어보기   ① 허장성세(虛張聲勢): 실속은 없으면서 큰소리치거

③ 극악무도(極惡無道): 더할 나위 없이 악하고 도리에 완전히 어긋나 

응이다.

나 허세를 부린다는 의미이다. 

있음을 뜻한다. 

④ 사상누각(沙上樓閣): 모래 위에 세운 누각이라는 뜻으로, 기초가 튼 

튼하지 못하여 오래 견디지 못할 일이나 물건을 이르는 말이다.

⑤ 고립무원(孤立無援): 고립되어 구원을 받을 데가 없음을 이른다.

8  사명당이 왜왕에게 인피(人皮)를 요구한 것은 현재의 시각에서 보면 잔
인한 일이지만, 당대의 시대적 상황을 고려할 때 그만큼 왜국에 대한 적

2 ⓐ 는 호왕의 회유에 대하여 임경업이 대응한 내용이지만, ⓑ는 세자와 
대군이 임경업의 귀국을 명령한 것이 아니라 임경업의 빠른 귀국을 기

원하는 말에 대하여 답한 것이다.

3  ㉠에서 ‘세자와 대군을 청하여 보내고’라고 한 것에서 김자점이 세자와 
대군을 언급하고 있으나, 세자와 대군을 임경업과 한통속이라고 생각

하는 근거로 볼 수는 없다. 김자점은 임경업이 자신의 계교를 이루기 위

해 세자와 대군을 청하여 귀국시킨 것이라고 임금에게 모함하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서술자는 ‘호왕’이라는 호칭을, 김자점은 ‘황명’이라

는 말을 사용한 것으로 보아, 서술자는 호왕을 황제로 인정하지 않지만 

김자점은 호왕을 황제로 인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③ 임경업을 가리켜 ‘반신’, ‘대역’이라고 한 것으로 보아 임경업에 대한 

김자점의 적의가 직접 드러났다고 할 수 있다.

④ ‘하늘이 무심하지 아니하사 북경에 잡힌 바 되어’라는 구절에서 김자

점이 임경업이 호국에 붙잡힌 것을 다행으로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⑤ 김자점은 임경업이 도망하여 남경에 간 사실, 북경에 붙잡혔던 사실, 

세자와 대군을 청하여 보낸 사실과 함께 임경업이 조선을 치고자 한다

개심과 분노가 높았음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는 거짓을 섞어서 임금에게 아뢰고 있다.

9  임진왜란은 역사적으로 우리에게 굴욕과 수모를 준 전쟁이다. 이러한 
전쟁을 승리한 전쟁으로 그려 낸 것은 소설적 허구를 통해 패전에 대한 

4  임금은 ‘경업이 비록 과인을 해롭게 하여도’라는 극단적인 상황을 설정
하고 ‘(임경업을) 아무도 해하지 못하리라’라고 말하며 김자점이 반론을 

수모를 정신적으로 보상받으면서 민족의 긍지와 자부심을 높이고자 한 

펼칠 기회를 봉쇄하고 있다.

것이다.

053

임경업전_ 작자 미상

166~169쪽

키포인트 체크   영웅, 간신, 병자호란, 적개심, 충절, 김자점

1 ⑤  2 ⑤  3 ②  4 ⑤  5 호왕이 임경업의 충절에 감복했다.  6 ③  
7 ④  8 ②  9 전기적(비현실적) 사건을 다루고 있다.  10 당시 백성들은
병자호란에서 겪은 치욕을 문학적으로 위로받고자 했다.



(라)에서 임금이 임경업을 역적으로 몰아붙이는 김자점을 엄히 꾸짖자, 

김자점은 임금 앞에서 물러나 동료들과 임경업을 역적으로 잡아 올 것

을 의논했다. 이로 보아  김자점이 권세를 떨쳤으나 임금 앞에서 어명을 

거역할 정도는 아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호왕이 금은을 청한 세자보다도 조선에서 잡혀 온 사

람을 청한 대군을 기특히 여긴 것으로 보아, 호왕은 물질보다도 백성을 

5  이 글에는 임경업과 호왕의 외적 갈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호왕은 
임경업의 용맹을 두려워하여 그를 죽이려 하다가 임경업의 충절에 감

복하여 소원을 들어주고 있다. 따라서 호왕이 임경업의 충절에 감복한 

것을 계기로 임경업과 호왕의 외적 갈등이 해소된다고 할 수 있다.

6  이 글에서 임경업이나 김자점, 임금 등 주요 인물의 외양을 묘사한 부분

은 찾을 수 없다.

오답 뜯어보기   ① 임경업이 압송되는 과정, 임경업과 김자점이 대립하

는 과정에서 인물의 행동이 두드러지며, 임경업과 김자점, 임금 등이 주

고받은 대화를 중심으로 사건이 전개되고 있다.

② 임경업이 전옥에 갇혀 있다가 ‘바로 몸을 날려 입궐’한다는 것은 현실

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므로 이 부분에서 전기적 요소를 확인할 수 있다.

④ 임경업이 임금에게 청죄하면서 자신이 북경에 갇혔다가 귀국하기까

지의 과정을 요약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⑤ ‘산천초목도 따라서 슬퍼하더라.’는 서술자의 주관에 따라 인물이 처

한 상황을 평가한 것으로 편집자적 논평에 해당한다.

중시한다는 점을 추론할 수 있다.

② (가)에서 임경업의 충절에 감복한 호왕이 임경업의 소원대로 세자와 

7  임경업이 청죄하는 말을 들은 임금은 크게 놀라 임경업이 전옥에 갇힌 
연유를 조신에게 알아오도록 했다. 또한 임금은 김자점의 거짓말을 듣

대군을 놓아 보내라 하였으며, (나)에서 ‘임 장군이 아니었던들 우리를 

고도 임경업에 대한 신뢰를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임금이 임경업의 억

위하여 만리타국에 죽기를 돌보지 아니하고 구하는 자 뉘 있으며’라는 

울함을 모른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정답과 해설 377

오답 뜯어보기   ① 임경업이 귀국 도중에 전옥에 갇히고, 김자점 무리에

③ 이 글은 주인공의 고행담과 결연담을 담은 전반부와 영웅적 무용담 

게 무수히 난타질당하여 전옥에 갇혔으므로 난세의 영웅 임경업이 곤

을 담은 후반부로 구성되어 있다.

경에 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④ 충신의 전형적인 인물인 조웅과 천자를 몰아내고 스스로 천자가 된 

② 임금의 명마저 거스르고 충신 임경업을 역적으로 몰아 전옥에 가두

간신 이두병의 갈등이 드러나 있다. 

는 김자점의 행동은 독자가 분노를 느끼게 한다.

⑤ 조웅이 부모의 허락 없이 장 소저와 인연을 맺는 것은 유교 윤리에 

③ 임경업은 전옥 관원이 김자점의 모계를 알릴 때까지 전옥에 갇혀 있

어긋나는 행동이다.

었으며, 임금에게 청죄하고 나온 뒤에도 김자점 무리에게 난타질당하

여 전옥에 갇히고 만다. 이것은 초인적 능력을 지닌 영웅임에도 어처구

니없이 당하기만 하는 임경업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⑤ 임경업의 공을 치하하며 배려하는 임금의 명은 김자점의 위세를 두





(나)에서 동자는 글을 쓰고 떠난 조웅을 철관 도사의 명에 따라 데리러 

가는 역할을 하고 있을 뿐, 동자가 조웅의 존재를 철관 도사에게 알려 주

는 것은 아니다.

려워하는 신하들 때문에 제대로 임경업에게 전달되지 못하고 있다. 자

‘결초보은(結草報恩)’은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겠다는 뜻 

신의 명조차 전달하지 못하는 임금은 무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다. 조웅은 월경 대사에게 도움을 받지만 이 글에서 은혜를 갚겠다는 

8  작가는 병자호란에서 패배한 민족적 치욕을 문학적, 정신적으로나마 
보상받으려는 당시 민중의 심리를 반영하여 이 글을 창작했다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국제 정세를 살피지 못한 집권층, 충신과 간신의 시

비를 가리지 못한 임금을 비판하고 김자점으로 대표되는 간신들이 국

정을 어지럽히는 행위를 고발하고 있다. 이 글에서 백성에 대한 지배층

의 착취와 억압을 직접적으로 고발하는 내용은 찾아볼 수 없다.

9  <보기>에서 박씨는 ‘옥화선을 쥐고 불을 붙이’는 도술을 사용하고 있다. 
즉, 박씨는 영웅으로서 초인적 능력을 발휘하고 있는데, 이러한 영웅의 

초인적 능력은 고전 소설의 비현실적이고 전기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

다. 이 글에서는 임경업이 전옥에 갇혀 있다가 ‘바로 몸을 날려 입궐’한

다는 부분에서 비현실적, 전기적 요소를 확인할 수 있다.

10  <보기>에서는 ‘오랑캐로 여겨 왔던 여진족이 세운 나라에 신(臣)의 예
를 갖추고 임금이 굴욕적인 항복을 한 사실은 조선 사회에 큰 충격을 주

었다.’라고 밝히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백성들은 청에 대한 

적개심과 함께 병자호란의 치욕을 문학적으로나마 위로받고자 했기 때

문에, 〈임경업전〉을 비롯하여 〈박씨전〉, 〈임진록〉과 같은 영웅 군담 소

설을 창작하고 향유했다고 할 수 있다.

생각은 드러나 있지 않으므로 ②는 적절하지 않다.

   오답 뜯어보기   ① 동고동락(同苦同樂): 괴로움도 즐거움도 함께한다

는 뜻으로, ‘네 어디를 갈 양이면 한가지로 할 것이라.’에서 아들과 동고

동락하고자 하는 왕 부인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③ 일취월장(日就月將): 나날이 다달이 자라거나 발전한다는 뜻으로, 

‘도사가 가르치는 ~ 모를 것이 없더라.’에서 확인할 수 있다. 

④ 선견지명(先見之明): 어떤 일이 일어나기 전에 미리 앞을 내다보고 

아는 지혜라는 뜻으로, ‘공자의 환란을 ~ 출세함을 권하며’에서 월관 

대사가 조웅의 앞날을 내다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⑤ 고진감래(苦盡甘來): 고생 끝에 즐거움이 옴을 이르는 말로, 조웅이 

고생하며 애타게 찾던 철관 대사를 마침내 만난 것에서 알 수 있다. 

4  <보기>를 볼 때 산문 문학에 삽입된 시는 인물의 내면 심리를 드러내기
도 하고, 사건의 방향을 암시하기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에는 용

이 못에서 날아오르려 한다고 쓰여 있는데, 여기에서 ‘용’은 ‘조웅’을 상

징하는 것으로, 조웅은 자기 자신을 ‘용’에 비유하여 세상에 나아가려는 

마음을 나타낸 것이다. ‘용이 날아오르는 것’은 출세를 의미하기 때문에 

‘조웅’이 앞으로 세상에 나아가 크게 출세할 것임을 암시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극복해 나간다.

까지 대립한다. 

5  조웅은 초인적인 능력을 지니고 있지 않으며, 고난을 겪을 때마다 월경 
대사, 철관 도사와 같이 초인적인 능력을 지닌 조력자들을 만나 위기를 

   오답 뜯어보기   ① 조웅은 아버지를 죽게 만든 이두병과 원수 관계로 끝 

② 조웅은 학산에서 태자에 대한 충성심을 잃지 않고 태자를 지지하는 

충신들을 만나 기뻐한다.

170~173쪽

⑤ 조웅은 이두병을 징벌하고자 하는 강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054

조웅전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충신, 간신, 자유연애, 도사, 용마, 태자

1 ②  2 ⑤  3 ②  4 ㉠은 세상에 나아가려는 조웅의 마음을 드러내면
서, 동시에 앞으로 조웅이 크게 출세할 것임을 암시한다.  5 ④  6 ④  7 ④  
8 조웅이 악인 이두병의 사신을 죽이고 태자를 구한 뒤, 위왕의 부마가 되었기 때
문이다.  9 조웅이 하늘의 명령을 따르며 하늘의 도움을 받는 존재임을 부각
하기 위해서이다.

1  이 글은 대부분의 군담 소설과는 달리 천상계의 인물인 주인공이 지상

으로 내려왔다는 적강 화소가 나타나지 않는다.

   오답 뜯어보기   ① 이 글은 조웅이라는 인물의 일생을 담은 영웅·군담 

것이다.

소설이다.

378 정답과 해설

6 송 나라의 충신들은 천사(天使)가 조웅에게 죽임을 당한 사실을 듣고 
‘고금에 이런 상쾌한 일이 어디 있으리오?’라고 하며 기쁨을 감추지 못

하고 있다.



(라)에서 조웅은 자신이 그동안 겪었던 일들을 좌중의 여러 사람에게 

요약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8  <보기>의 화자는 악인인 이두병의 사신을 죽이고 태자를 구한 뒤, 위나
라 왕의 부마가 되는 조웅의 영웅적 활약상을 들으며 통쾌함을 느꼈을 

9  조웅은 환란을 피해 하늘의 명만 기다렸다고 하며 하늘의 뜻을 따르고

정답44과 해설 자 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조력자인 철관 도사를 천명 도사로 표현한 

⑤ (가)의 ‘“공형 들라!” / 외는 소리, ~ 등채로 휘닥딱 / “애고 중다.”’ 

것 역시 조웅이 하늘의 뜻에 따르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등에서 짧은 어구나 문장을 사용하여 긴박감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055

춘향전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정절, 신분적, 암행어사

1 ④  2 ⑤  3 ③  4 ㉮에는 판소리 사설체의 문체적 특징이 나타나 있
고, ㉯에는 유사한 문장 구조의 반복으로 운율감이 드러나고 있다.  5 ②  
6 ③  7 ②  8 ②  9 ⓐ는 ‘학정’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A]의 ‘바람, 눈’과
의미가 통한다. ⓑ는 중의적 표현으로 ‘봄바람’과 ‘이몽룡’을 동시에 뜻한다.

1  이 글에는 ‘어사또 마음이 심란하구나.’, ‘어찌 아니 명관인가.’와 같이 

인물이나 사건에 대한 서술자의 개입이 자주 드러난다.

   오답 뜯어보기   ① 어사또, 운봉 등 등장인물의 성격이나 행동을 해학적 

으로 표현하여 웃음을 유발하고 있다. 

② 판소리의 영향을 받은 판소리계 소설로 4·4조의 운율을 지닌 운문 

있다.

● <춘향전>의 표현상 특징

174~177쪽

언어유희

운봉의 갈비를 직신, / “갈비 한 대
먹고 지고.”

예시

특징

지식

사람의  신체 일부인 ‘갈비’와 음
식 ‘갈비’의 동음이의를 사용해 웃
음을 유발함.

사건에 대처하는 인물들의 모습
을 열거하여 내용을 확장·부연하
면서 관객의 흥미를 유도함.

체면을 중시하는 양반들이 엉뚱
한 것을 들고 허둥대는 모습을 열
거와 대구를 통해 묘사함.

일반적인  단어의  위치를  뒤바꾸
어 어사출두에 당황하는  본관의
모습을 우스꽝스럽게 표현함.

확장적 문체

속, ~

• 공방(工房) 불러 포진(鋪陳) 단

•이때에 어사또 군호(軍號)할 제,
~ 햇빛같이 번듯 들어

• 인궤(印櫃) 잃고 과줄 들고, ~

깨지느니 북, 장구라.

• 관청색은 상을 잃고 문짝 이고

“문 들어온다, 바람 닫아라. 물 마
른다, 목 들여라.”

해학적 표현

내달으니,

반어적 문체

“내려오는 관장(官長)마다 개개이
명관이로구나.”

춘향에게 수청을  요구하는 수의
사또의 행태를 비난하는 표현임.

③ <암행어사 설화>, <관탈 민녀 설화> 등과 같은 근원 설화가 바탕에 

6  유교적 질서와 교훈을 담은 내용은 양반층의 취향에 부합하는 내용이

⑤ 어사또의 한시에서 서민들의 삶의 애환과 당대 사회에 대한 비판 의 

다.

   오답 뜯어보기   ⑤ 힘없는 백성으로 대표되는 춘향이 정절을 추구하여 

힘 있는 악인인 변학도에게 승리한다는 의식이 나타나 있다.

2 ㉠ 에서는 사람의 ‘갈비’와 소의 ‘갈비’라는 동음이의어를 이용한 언어유
희가 활용되었다. ⑤ 역시 ‘양반’을 ‘개잘량’이라는 ‘양’ 자에 개다리 소반

이라는 ‘반’ 자를 쓴다고 함으로써 동음이의어를 통한 언어유희를 드러

7  본관 사또의 행동을 우스꽝스럽게 비유하여 웃음을 유발하고 있으며 
단어의 위치를 의도적으로 바꾸는 언어유희를 통해 해학적으로 표현하 

고 있다. 이는 어사가 출두한 긴박한 장면에서 심리적 긴장을 이완시키

체와 산문체가 섞여 있다.

깔려 있다. 

식이 잘 드러나 있다.

내고 있다.

언어유희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시집살이’와 ‘개집살이’의 발음의 유사성을 이용한 

8  ㉡은 이몽룡이 죄인이 춘향임을 알면서도 모르는 체하며 춘향의 절개

는 역할을 한다.

를 시험하기 위해 한 질문이다.

9  ⓐ는 낙엽이 떨어지는 계절이라는 말로 변학도의 학정을 의미한다. [A] 
에서 이와 의미가 유사한 것은 시련과 고통을 의미하는 ‘바람’과 ‘눈’이

다. ⓑ는 중의법이 사용된 것으로, ‘봄바람’이라는 의미와 ‘이몽룡’이라

는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된다.

② 언어 도치에 의한 언어유희이다. 

③ ‘노새 원님’은 ‘노생원님’(나이 많은 양반님)과 발음이 유사한 것을 이

용해 양반을 희화화한 언어유희이다.

④ 유사 음운의 반복에 의한 언어유희이다.

3  ⓒ는 운봉의 제안을 마지못해 받아들이는 본관 사또의 말로, 이몽룡이 
잔치에 끼어드는 것이 못마땅한 본관 사또의 마음이 드러나 있다.

4  ㉮의 ‘~보소’는 판소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설체의 문체이다. 또 ㉯
에는 가렴주구를 비판하는 어사또의 시를 보고 어사출두를 예감한 운

봉이 여러 사람을 불러 단속하는 장면인데, ‘~불러 ~단속’처럼 유사한 

056

심청전_ 작자 미상

178~181쪽

문장 구조를 지닌 어구가 반복되며 운율감이 잘 드러나 있다.

키포인트 체크   동냥젖, 효성, 현실, 환상, 인당수, 용왕

5  이 글에서 서술자가 사건을 요약적으로 제시하는 부분은 나타나지 않

는다.

과장하여 표현하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가)의 ‘강산이 무너지고 ~’에서 암행어사의 위세를 

1 ④  2 ⑤  3 ④  4 심청이 인당수 제물이 되기로 결정한 것은 주변 사람
들의 시선을 의식하거나 강요에 의한 것이 아니라 자발적인 선택이다.  5 ④  
6 ④  7 ③  8 ④  9 심청과 심청의 모친이 모녀 사이임을 확인해 주는 매
개물이다.

③ (나)의  “어 추워라, 문 들어온다, 바람 닫아라. 물 마른다, 목 들여라.”

1  이 글은 인당수 제물이 된 심청이 떠나기 직전의 상황으로 심청의 집이 

에서 언어 도치에 의한 언어유희가 나타나고 있다. 

배경이 되고 있어 공간의 이동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는다.

④ (바)의 ‘이화 춘풍(李花春風) 날 살린다.’에서 ‘이화 춘풍’은 봄바람을 

   오답 뜯어보기   ① 이 부분에서는 전기적인 요소가 나타나지 않고 사건 

의미하는 동시에 이몽룡을 가리키는 중의적 표현이다. 

이 사실적으로 서술되고 있다.

정답과 해설 379

② ‘부녀의 천륜이 중하니 몽조(夢兆)가 어찌 없을쏘냐.’와 같은 편집자

난 일이며, (다)는 용궁에서 죽은 어머니와 만나는 장면으로 비현실 세

적 논평이 나타나 있다. 

계에서 일어난 일이다.

③ 아버지를 두고 떠나야 하는 심청의 슬픔과 딸을 보내야 하는 심 봉 

사의 분노, 애달픔이 직접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⑤ 인당수에 제물로 바쳐지기 위해 배를 타고 떠나기 전의 상황이 시간

의 흐름에 따라 제시되고 있다.

2  이 글에서 심청은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해 인당수 제물로 자신을 
팔았고, <보기>의 평국은 전란에서 나라를 구하기 위해 앞장 서서 나선

다. 이와 같이 심청과 평국은 모두 어려움에 직면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

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모습을 보인다.

   오답 뜯어보기   ② 평국(계월)은 뛰어난 능력을 지녔지만 심청은 평범

④ 심청과 평국(계월) 모두 자신의 처지를 한탄하는 모습을 보이지는 

념이 드러나지 않는다.

한 인물이다. 

않는다.

3  ㉣은 심 봉사가 큰 충격을 받았음을 편집자적 논평을 통해 보여 주는 부

이라 할 수는 없다.

분으로 심 봉사의 독백이 아니다.

7  ㉢은 장 승상 댁 부인이 심청의 죽음을 애통해하는 장면에 대해 서술자 

가 직접 자신의 견해를 드러낸 편집자적 논평에 해당한다.



‘수정궁’은 아버지와 이별을 한 심청이 어머니를 만나는 공간이므로 이

별과 만남의 공간이다. 반면, <보기>의 ‘물’은 임이 빠져 죽은 공간으로 

이별만 존재하는 공간이다.

에는 희생의 의미가 없다. 

   오답 뜯어보기   ① ⓐ는 아버지를 위해 희생하여 가게 된 곳이지만, ⓑ

② ⓐ에는 죽음의 이미지가 있으나, ⓑ에는 부활의 이미지가 없다. 

③ ⓐ에는 유교적 이념의 ‘효(孝)’ 사상이 드러나지만, ⓑ에는 불교적 이

⑤ ⓐ는 심청이 스스로 선택한 공간이지만, ⓑ는 화자가 임을 말리는데

도 건너다 죽게 되는 공간이므로 ⓑ를 타인의 강압에 의해 선택된 공간

9  심청은 어머니의 얼굴을 알지 못하고, 심청의 어머니는 15년 동안 심청
을 만난 적이 없다. 따라서 옥지환은 심청과 심청의 어머니가 모녀 사이

임을 확인해 주는 매개물이라고 할 수 있다.

4  심청은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는 공양미 삼백 석을 마련하기 위해 선인
들에게 자진하여 인당수 제물로 자신의 몸을 판 것이다. 따라서 심 봉사

가 공양미 삼백 석에 자신의 딸을 산 선인들에 적대감을 드러내며 ‘이를 

갈며 죽기로 기를 쓰’자 심청이 ‘아버지, 이 일은 남의 탓이 아니오니 그

리 마옵소서.’라고 말한 것은 아버지를 생각하는 심청의 효심에서 나온 

자발적인 선택이었음을 말한 것이다.

5  이 글에서는 사건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개되고 있어 시간의 역전적 

구성은 드러나지 않는다.

   오답 뜯어보기   ① ‘고운 꽃이 흩어지고 나는 나비 불에 드니’에서 심청

이 처한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057

홍보전_ 작자 미상

② ‘하루는 글 족자에 물이 흐르고 빛이 변하여 검어지니’에서 심청의 

키포인트 체크   탐욕, 부, 신분제, 제비, 패가망신

182~185쪽

죽음을 암시하는 전기적 요소가 드러나고, 용궁에 간 심청이 돌아가신 

어머니를 만나는 비현실적인 내용이 나타난다. 

③ ‘밤은 깊어 삼경인데 ~ 강물에 어리었다.’에서 배경 묘사를 통해 장 

승상 댁 부인의 슬픔을 부각하여 드러내고 있다. 

1 ④  2 ②  3 ①  4 비극적인 상황을 해학적인 표현으로 승화했다.  
5 ②  6 ①  7 ④  8 과장법을 통해 가난한 삶을 해학적으로 묘사함
으로써 독자의 웃음을 유발한다.

⑤ 족자에 물이 흐르고 검어지는 것은 심청이 물에 빠져 죽음을 암시하 

1  이 글은 흥보의 가난이라는 비극적인 상황을 해학적인 표현을 통해 웃 

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나)에서는 장 승상 댁 부인이 심청의 죽음을 슬퍼하며 제사를 지내고 

있다. 그러나 이 행위의 결과로 (다)에서 심청과 심청의 어머니가 만날 

수 있게 된 것은 아니다. (나)와 (다)는 별개의 사건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가)에서 장 승상 댁 부인은 족자가 변하는 것을 보고 

심청이 죽었다고 생각하여, 심청의 혼을 불러 위로하기 위해 (나)에서 

제사를 지낸 것이다. 

음으로 극복하고 있으므로, 비장미가 드러나지 않는다.

   오답 뜯어보기   ①, ③ 판소리가 문자로 정착된 작품이기 때문에 운율이 

느껴지는 부분이 빈번히 나타난다. 

⑤ 판소리는 양반 계층과 평민 계층이 함께 향유했던 대상이다. 이러한 

이유로 <흥보전>에는 한자어나 고사(故事)와 같은 양반 계층의 언어뿐

만 아니라 평민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비속어 등도 함께 쓰이고 

있다.

② ‘뜻밖에 강 가운데로부터 한 줄 ~ 날씨가 화창해지거늘’에서 심청이 

재생했음을 배경 묘사를 통해 드러내고 있으므로 (나)에서는 복선을 통

2 < 보기>의 편지는 18세기 서얼 출신의 문인 이덕무가 이서구에게 보낸 
편지이다. 책을 좋아하는 작가가 동질감을 느끼는 친구에게 궁핍한 삶

해 글의 내용이 반전될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을 하소연한 것인데, 너무 가난하여 《맹자》와 《좌씨전》을 팔아 밥을 먹

③ (다)에서 심청의 어머니는 ‘오늘날 나를 다시 이별하고 너의 부친을 

고 술을 마신 뒤 그 책을 지은 사람들을 찬송했다는 내용이다. 작가는 

다시 만날 줄을 네가 어찌 알겠느냐?’라고 하여 심청이 환생하여 부친

자신의 가난한 삶을 비극적, 절망적으로 표현하여 좌절감을 드러내기

을 다시 만날 것을 암시하고 있다. 

보다는 가난이라는 부정적인 상황에서도 웃음을 잃지 않고 있다. <흥보

⑤ (가), (나)는 장 승상 댁 부인이 심청의 죽음을 생각하며 애통해하는 

전> 역시 자신이 곤장을 맞아야 하는 이유를 장황하게 나열하거나, 상

장면으로 심청이 인당수 제물이 되기 전에 살았던 인간 세상에서 일어

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온갖 것을 사다 달라고 조르는 자식들의 

380 정답과 해설

정답44과 해설 모습에서, 가난의 고통을 직접 드러내기보다는 웃음으로 희화화하여 

186~189쪽

058

토끼전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관료, 서민, 풍자, 간

드러내고 있다.

은 확인할 수 없다.

처지가 부각된다.

을 자아낸다.

3  시선의 이동이란 서술자가 정지된 상태에서 바라보는 대상에 대한 시 
선만 옮겨 가는 것을 일컫는 것으로, [A]에는 대상에 대한 시선의 이동 

   오답 뜯어보기   ② ‘~ 하였으면 ~ 앉아 볼까’, ~ 하여 ~ 앉아 볼까’ 등

에서 동일한 문장 구조를 반복하여 리듬감을 느끼게 한다.

③ 자신이 정승이 되거나 육판서가 되는 일 등은 불가능한 일이기 때문

기 때문이다.

에 자신의 볼기는 곤장을 맞는 데 쓰여야 한다는 말에서 흥보의 궁핍한 

④ ‘볼기’라는 신체 부위에 대해 장황하게 나열하고 있는 상황이 웃음 

나지 않는다.

⑤ ‘자신의 볼기는 매품 파는 데 써야 한다.’라고 요약할 수 있는 말을 불

가능한 상황을 열거함으로써 장황하게 표현하고 있다.

하고 있다.

1 ①  2 ④  3 ③  4 판소리가 소설로 정착하는 과정에서 양반 문화와
평민 문화가 함께 수용되었기 때문이다.   5 용궁은 지배 관료층의 세계를, 육
지는 피지배 서민층의 세계를 의미한다.  6 ③  7 ①  8 ②  9 위기
상황에서 기지를 발휘하여 살아날 방도를 마련했다.  10 자라가 부당한 권력
을 행사했다고 볼 수 없다. 자라는 용왕에게 충성하기 위해 토끼를 잡아 온 것이

1  이 글은 현실을 풍자한 우화 소설이기는 하지만 설득적인 성격은 드러

2  이 글은 우화적 기법을 사용하여 인간 사회의 계층적 측면을 다룸으로 
써 지배층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과 도전이 가져오는 위험 요소를 완화

4  ㉠에서는 흥보가 매품을 팔기로 한 것을 ‘볼기의 구실’이라고 표현하여 
웃음을 자아내고 있으며, ㉡에서는 동생들을 혼내는 듯하다가 더 값비

제도 개혁을 주장하지는 않았다.

오답 뜯어보기   ③ 비유적 표현이 사용된 것은 맞지만, 이를 통해 사회 

싼 물건을 사다 달라고 하는 큰아들의 말이 웃음을 자아낸다. 이와 같은 

[A]에서 토끼는 자신의 나이가 많다는 것을 과시하기 위해 달에 관한 전



표현은 모두 흥보가 처한 비극적인 상황을 웃음으로 승화하는 효과를 

설과 중국 고사의 인물들을 인용하여 허세를 부리고 있다. 따라서 ‘실속

얻고 있다.

5  <보기>는 양반이 지녔던 권위가 약해지는 등 신분 질서가 흔들리던 조 
선 후기의 사회상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문화적 맥락과 관련 

지어 <흥보전>을 이해할 때, 양반임에도 불구하고 매품을 팔러 가는 흥

보의 모습이 제시된 것에서 양반의 권위가 추락한 상황을 해학적으로 

그렸다고 이해할 수 있다.



‘샘물같이 솟아 나오는 눈물 가랑비같이 흩뿌리며 목이 막혀 기절하더

니’에서 비유적 표현이 드러나기는 하나, 이는 흥보의 슬픔이 매우 큼을 

과장하여 표현한 것으로 상황을 사실적으로 드러낸 것은 아니다.

   오답 뜯어보기   ② 마지막 부분 ‘접동 두견 꾀꼬리는 때를 찾아 슬피우

니 뉘 아니 슬퍼하리.’에서 서술자가 개입하여 슬퍼하고 있는 흥보와 흥

보 아내의 정서를 논평하고 있다.

③ (라)의 마지막에 ‘청산은 높이 솟아 있고 온갖 꽃이 화려하고 찬란하

게 피어 있는’ 봄이라는 시간적 배경과 가난을 탄식하고 있는 ‘흥보’, ‘흥

보 아내’의 처지가 대비되어 제시되었다. 

은 없으면서 큰소리치거나 허세를 부린다.’라는 뜻을 지닌 ③이 토끼의 

성격을 드러내는 데 가장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안하무인(眼下無人): 눈 아래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방자하고 교만하여 다른 사람을 업신여김을 뜻한다.

② 교언영색(巧言令色): 아첨하는 말과 알랑거리는 태도를 뜻한다.

④ 표리부동(表裏不同): 마음이 음흉하고 불량하여 겉과 속이 다름을 

의미한다.

이 몹시 좁은 것을 의미한다.

⑤ 정저지와(井底之蛙): ‘우물 안의 개구리’라는 뜻으로, 소견이나 견문

4  판소리는 양반층과 서민층이 함께 즐겼던 문학 양식으로, 판소리 광대
들이 상층(양반)의 말투인 한자어와 하층(평민)의 말투인 비어, 속어 등

을 함께 사용했다. 이러한 판소리가 판소리계 소설에도 영향을 주어 양

반층이 사용한 어려운 한자어가 많이 나타난 것이다.

5 이  글은 동물을 의인화하여 현실을 풍자한 우화 소설로, 용왕은 전형적
인 지배 계급을, 토끼는 피지배층 서민을 상징한다. 따라서 이들의 생활 

④ ‘마음만 옳게 먹고 ~ 장래 한때 볼 것이니’에서 앞으로 흥보에게 좋

공간인 용궁과 육지도 그와 같은 상징적 의미를 가진다.

은 일이 생길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 

⑤ ‘피눈물이 반죽되면 ~ 열녀 설움이요.’에서 원통한 일을 당하거나 

비극적으로 죽은 인물들의 고사를 활용하여 자신의 서러운 마음을 강

조해 드러내고 있다.

7  ㉣의 내용은 집이 너무 작아 아내의 궁둥이가 담 밖으로 나갈 정도이 
며, 그 궁둥이를 동네에서 노는 아이들이 칠 정도라는 것이다. 이는 가 

말이다.

난한 처지를 과장하여 서술하고 있는 부분으로, 가난 때문에 다른 사람

에게 괴롭힘을 받는 처지라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8  이 글에서는 흥보의 비참한 삶을 심각하거나 비극적인 분위기로 몰고 
가지 않고, 서민 특유의 건강한 웃음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처럼 비극적

인 상황을 해학적으로 표현한 것에서 웃음으로 그 상황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도를 엿볼 수 있다.

6  자라는 토끼에게 속았음을 알고 허탈해하고 있다. ③은 애써 이루려던 
일이 실패로 돌아가 어이없이 된 것을 이르는 말로, 자라가 처한 상황을 

나타내기에 적절한 속담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두각을 나타내는 사람이 남에게 미움을 받게 된다는 

② 일이 이미 잘못된 뒤에는 손을 써도 소용이 없음을 비꼬는 말이다.

④ 몹시 고생을 하는 삶에도 좋은 운수가 터질 날이 있다는 말이다.

⑤ 자기의 부담을 덜려고 하다가 다른 일까지도 맡게 된 경우를 비유적

으로 이르는 말이다.

7  ㉡은 이미 죽을 고비를 넘긴 토끼가 독수리에게 붙잡히자 다시 한 번 위
기를 모면하기 위해 둘러댄 수단으로, 독수리로부터 벗어나려는 토끼

에게는 이익이 되지만 독수리에게는 이익이 되지 않는다.

정답과 해설 381

심을 돌리고 있다.

요한 역할을 한다.

나는 부분이다.

오답 뜯어보기  ②  의사 주머니는 독수리의 입장에서는 더 많은 먹이를 

으로 말하고 있으므로 사회적 관계를 중시한다고 볼 수 있다.

얻고자 하는 욕망을, 토끼의 입장에서는 위기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욕

망을 담고 있다.

③ 의사 주머니는 토끼가 독수리에게 잡아먹힐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

해 임기응변으로 꾸며 낸 것으로, 실제로는 ‘꾀주머니’를 뜻한다.

④ 토끼는 의사 주머니를 꾸며 내어 자신을 잡아먹으려는 독수리의 관

3  까투리는 남편 장끼에게 경어체를 사용하여 겸손한 자세로 남편을 존

중하며 말하고 있고, 장끼는 아내 까투리에게 반말체를 사용하여 고압

적인 자세로 아내를 무시하며 말하고 있다.

4  장끼는 콩을 먹지 말라고 만류하는 까투리의 말을 자기 식대로 해석하
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은 사리에 맞지 않은 말을 억지로 끌어다 붙여 

⑤ 의사 주머니는 토끼가 독수리를 속이고 위기에서 벗어나는 데에 중

자기에게 유리하도록 하는 ‘견강부회(牽强附會)’와 같은 상황이다.

8  <보기>와 ⓑ는 서술자가 작품에 직접 개입하는 편집자적 논평이 드러

9  <보기>의 <구토 설화>에서 김춘추는 군사를 요청하러 고구려에 갔다
가 오히려 신라의 땅을 요구하는 고구려 왕에게 붙잡혀 죽을 지경에 처

하지만, 토끼와 같이 거짓말로 고구려 왕을 속이고 무사히 고구려를 탈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오답 뜯어보기   ② 연목구어(緣木求魚):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

하듯 도저히 불가능한 일을 하려고 함을 이르는 말이다.

③ 호가호위(狐假虎威):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려 호기를 부린다

는 뜻으로, 남의 권세를 빌려 위세를 부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④ 목불식정(目不識丁): 아주 간단한 글자인 ‘丁’ 자를 보고도 그것이 

‘고무래’인 줄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글을 읽을 줄 모름. 또는 그런 

⑤ 식자우환(識字憂患): 학식이 있는 것이 도리어 근심을 사게 된다는 

10  힘없는 토끼를 속여서 수궁에 데려간 자라는 용왕에게 충성을 다하는 
긍정적 인물로 평가할 수 있지만, 이를 부당한 권력을 행사한 것으로 보

기는 힘들다. 부당한 권력을 행사하는 것은 토끼의 간을 뺏으려 한 용왕

5  까투리가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고 말하는 모습으로 보아 분명 여권
이 신장된 것이라고 할 수 있지만, 경제적 능력을 앞세우고 있다는 내용

059

장끼전 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가부장적, 남존여비, 콩, 개가

1 ④  2 ③  3 까투리는 장끼를 존중하고 있고, 장끼는 까투리를 무시하고
있다.  4 ①  5 ②  6 ③  7 ⑤  8 장끼를 통해 가부장제 사회에서
의 권위적인 남성을 비판하고, 까투리를 통해 개가 금지라는 당시의 풍속을 비판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평민들이 사용하는 속어나, 재담을 효과적으로 사용

③ 남존여비(男尊女卑) 사상과 여성의 개가(改嫁) 금지 풍습을 풍자하

190~193쪽

④ 까투리는 조선 후기 민중 의식을 대변하는 인물로, 작가는 까투리를 

통해 당대의 유교 윤리를 비판하고 있다.

⑤ 까투리의 충고를 무시하고 욕심을 부리다 화를 자초하는 장끼의 모

습을 통해 타인의 충고를 받아들이고 과욕을 금하라는 교훈을 얻을 수 

말이다.

은 적절하지 않다.

하고 있다.

고 있다.

1 이  글은 판소리계 소설로 운문적 요소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장끼와 까투리의 대화를 통해 경망스러운 장끼와 신

중한 까투리의 성격을 보여 주고 있다.

② 꿩 한 쌍을 의인화하여 내용을 전개하고 있다.

6 < 장끼전>과 <흥보전>은 모두 판소리로 불리다가 국문 소설로 정착된 
판소리계 소설이다. 한자어가 많이 쓰인 것은 판소리를 향유하는 계층

이 양반층으로 확대되면서 그들의 문화를 수용했기 때문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나)는 장끼의 죽음, <보기>는 가난이라는 비극적 상

황을 해학적으로 그리고 있다.

사용되었다.

③ 양반 계층이 주로 향유했던 중국의 고사와 한자어가 많이 사용되었

② (나)와 <보기> 모두 판소리로 불렸기 때문에 낭독에 편한 운문체가 

⑤ 까투리는 긍정적으로, 장끼는 부정적으로 제시하여 남성의 우월 의

식과 권위주의 비판이라는 작가의 생각을 드러내고 있다.

2  까투리는 자신의 생각을 차분하게 말하고 있지만 남편에게 순종적이라
고 보기 어렵고, 계집 다람쥐 역시 남편을 거세게 꾸짖고 있으므로 포용

④ (나)는 장끼와 까투리의 대화를 통해, <보기>는 흥보의 집안 모습을 

서술자의 묘사를 통해 드러내고 있다.

⑤ <보기>는 집이 워낙 좁아 기지개만 켜도 손발이 집 밖으로 나간다는 

설명으로 흥보의 가난을 과장되게 표현한 것이다. 이에 비해 (나)는 장

끼의 죽음을 해학적,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적인 것은 아니다.

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까투리와 계집 다람쥐는 모두 중국의 고사를 인용하

7  <보기>의 서술자는 조선 시대 모든 여자들이 수절하는 것을 비판하며 
‘이 법이 어찌 모든 서민을 위해 만든 것이겠는가.’라고 했으므로 ⑤와 

② 계집 다람쥐는 ‘크게 꾸짖어’ 말하고 있으므로 까투리보다 남편에게 

같은 반응이 가장 적절하다.

더 기세당당하다고 할 수 있다.

배려하며 충고하고 있다.

④ 까투리와 계집 다람쥐는 모두 상황을 적절하게 이해하고 상대방을 

8  여자의 말이라고 까투리를 무시하다가 결국 죽음에 이르는 장끼를 통
해서는 가부장제 사회에서의 권위적인 남성을 비판하고, 장끼가 죽은 

뒤에 개가하는 까투리를 통해서는 개가 금지라는 당시의 풍속을 비판

⑤ 까투리는 남편의 안전을 중시하고 있고, 계집 다람쥐는 신의를 으뜸

하고 있다.

출한다.

이다.

하고 있다.

다.

382 정답과 해설

정답44과 해설 060

광문자전 _ 박지원

키포인트 체크   거지, 신의, 권모술수, 누명

194~197쪽

③ 사람들은 기생집에 찾아온 광문을 처음에는 내쫓으려 하지만 광문

의 당당하면서도 소탈한 태도를 보고 다함께 어울리게 된다.

④ (나)에서 광문은 외모가 추악할뿐더러 말솜씨도 남을 감동시킬 만하

1 ②  2 ③  3 ③  4 ③  5 신분을 중시하는 가치관에서 벗어나 바람
직한 인품을 지닌 새로운 인간형을 제시하고자 했다.  6 ①  7 ④  8 ③  
9 ②

지 못하다고 했다.

⑤ 광문이 결혼을 하지 않으려 한 것은 누구나 잘생긴 얼굴을 좋아하는 

법이고 그것은 여자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1  광문의 행동을 중심으로 인물의 훌륭한 성품을 부각하고 있을 뿐, 동일 

7  이 글에서 광문이 자신의 신분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노력하는 장면은 

사건에 대한 다양한 시각이 제시되고 있지는 않다.

나타나지 않는다.

오답 뜯어보기   ① 병든 아이를 죽였다는 오해와 돈을 훔쳤다는 누명을 

오답 뜯어보기   ③ 광문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것은 그가 의로움, 지혜, 

쓰고도 신의를 지키는 일화 등이 제시되어 있다.

평등한 사고 등을 지닌 훌륭한 인물이기 때문이다.

③ 대화가 일부 있지만, 주로 서술자의 설명에 의해 이야기가 진행되고 

⑤ 광문의 인물됨을 부각하여 당대 사회의 부정적인 모습을 비판하고

④ 광문의 따뜻한 성품, 의로운 면모 등 광문의 인품에 서술의 초점이 

⑤ 광문의 신분과 처지 등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현실감을 드러내고 

있다.

있다.

맞춰지고 있다.

자 한 작가의 의도를 엿볼 수 있다.



[B]에서 광문은 집을 갖지 않는 이유로 자신이 잘 수 있는 남의 집 문간

이 서울에만 팔만 호라고 말하며 욕심 없는 삶의 태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광문이 세상의 인심을 비판하고 있다고 한 ③은 적절하지 않다.

오답 뜯어보기   ①, ② [A]에서 광문은 결혼을 하지 않는 이유로 남자와 

2  광문은 (b)에서 도둑의 누명을 쓰지만 말없이 지낼 뿐이었고, 부자의 처

마찬가지로 여자도 잘생긴 얼굴을 좋아할 것이라는 이유를 들고 있다.

조카가 해명하면서 광문에 대한 부자의 오해가 풀리게 된다.

④, ⑤ 광문은 집을 갖지 않는 이유를 말하며 반드시 자기 집을 갖지 않

오답 뜯어보기  ① (a)에서 광문은 동료 거지들을 피해 어느 집으로 들어

아도 된다는 욕심 없는 태도와 서울 안의 팔만 호가 모두 자신의 집과 

가다가 그 집 개를 놀라게 해서 도둑으로 몰리게 된 것이다.

같다는 호탕한 생각을 드러내고 있다.

② 집주인은 광문의 따뜻한 마음씨와 의로움을 알게 되어 그를 부자에

게 천거한다.

로 생각하게 된다.

④ (b)에서 광문에 대한 부자의 의심은 부자의 처조카에 의해 해소된다.

⑤ 집주인은 (a)를 계기로, 부자는 (b)를 계기로 광문을 의로운 사람으

9  광문은 걸인으로 재자가인(才子佳人)이 아닌 비주류의 인물이다. 이러
한 인물을 주인공으로 한 것은 신분제를 벗어나 다가올 새 시대에 어울

리는 새로운 인간형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광문은 훌륭한 

성품을 가진 인물이므로 잘못된 명성을 얻었다고 볼 수 없다.

오답 뜯어보기   ① 기생집에서 사람들은 광문의 지저분한 외모와 행색

3  광문은 부자가 자신을 꺼려하는 것을 느끼지만 아무 말도 못하고 지내

에 놀라 광문을 쫓아내려 하였다.

며 그만두겠다고도 말하지 못한다. 광문이 그만두지 못한 이유는 자신

③ <보기>의 내용으로 보아 박지원은 명성을 훔치고 가짜 명성으로 다

을 소개해 준 집주인과 자신이 거지임을 알면서도 받아들여 준 약국 부

투는 당시 양반들의 행태를 비판하고자 하는 의도를 지니고 있었음을 

자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고 생각했기 때문으로 추측할 수 있다.

알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② 광문은 자신을 꺼리는 듯한 주인의 태도 때문에 

④, ⑤ 다른 사람에 대한 신의로 빚보증을 서 주고 남녀를 평등하게 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 처했다.

하며 집도 갖지 않으려는 욕심 없는 태도로 살아가는 광문의 행적으로 

④ 부자는 광문이 돈을 훔치지 않았을 수 있다는 여지도 남겨 놓은 신중

인해 명성을 얻게 되었다.

한 성격의 소유자이다.

⑤ 광문은 부자의 태도가 이상해졌음을 눈치채지만 적극적으로 해명하

지도, 그만둔다고 말하지도 않은 채 평소처럼 묵묵히 일만 하며 지냈다.

4  광문이 울면서 중얼거린 이유는 자신의 처지에 대한 서글픔 때문이 아

니라 죽은 아이에 대한 연민과 애도 때문이다.

5  광문은 신분은 천하지만 훌륭한 인품을 지니고 있다. 작가는 이러한 비
천한 신분인 광문의 인품을 부각하고 있는데, 이로 보아 기존의 신분을 

중시하는 가치관에서 벗어난 새로운 인간형을 제시하고자 한 것으로 

이다.

볼 수 있다.



(라)의 광문의 성원이 없으면 기생들의 값이 한 푼어치도 못 나갔다는 

말을 통해 기생들이 광문에게 인정받기를 바라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② 광문의 인간성을 이용해 돈놀이를 한 것이 아니라 광

문이 빚보증을 서면 광문에 대한 신뢰로 담보를 따지지 않고 돈을 내주

었다는 것이다.

061

양반전 _ 박지원

키포인트 체크   경제적, 신분, 양반, 환곡, 매매 증서

198~201쪽

1 ②  2 ③  3 ①  4 양반의 특권  5 ⑤  6 ②  7 ④  8 양반
으로서 누릴 수 있는 권리나 혜택은 없고 지켜야 할 의무만 제시하고 있기 때문

1  이 글은 생활 능력이 없는 무능력한 양반을 통해 무능하고 위선적인 당
대의 양반들을 비판하고 있다. 이 글에서 비판의 대상은 당대의 새로운 

세력으로 등장한 부자가 아니라 양반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이 글은 양반 신분 매매라는 현실의 사건에서 소재를 

취하여 이를 사실적으로 다루고 있다.

③ 이 글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며 사회적 신분 변동이 일어나

는 역사적 상황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정답과 해설 383

④ 이 글은 현실에 대해 날카롭게 풍자하면서 사이사이에 익살스러운 

② ‘변정’은 옳고 그른 것을 따져 일을 바로잡는다는 뜻으로, 여기에서

표현을 더해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는 양반이 규범을 어길 경우 잘잘못을 가려 양반의 신분을 뺏을 수도 있

⑤ 이 글에 등장하는 부자는 조선 후기 자본주의 사회 신흥 세력의 전형

다는 의미이다.

적인 인물로, 새롭게 등장한 계층의 인물이라 할 수 있다.

③ 부자가 양반 신분을 사서 신선놀음을 하듯 특권을 누리며 지내는 것

2  군수가 매매 증서 작성을 제의한 것은 자신의 책임을 면하기 위해서라

기보다는 양반의 특권 의식을 비판하고, 양반이 되어 특권을 누리려는 

부자를 비판하기 위해서이다.

다.



오답 뜯어보기   ① 양반이었던 선비가 자신의 신분을 부자에게 판 뒤 행

(나)를 본 부자는 ‘무어 이익이 있도록 문서를 바꾸어 주옵소서.’라고 말

색과 말투가 달라짐을 통해 알 수 있다.

하고 있다. 즉, 군수가 제시한 증서에 자신이 생각하는 양반의 특권에 

② (나)의 부자의 말에 ‘양반은 아무리 가난해도 늘 존귀하게 대접받고’

관한 내용은 없고 양반으로서 지켜야 할 의무만 제시되어 있자 불만을 

라는 부분을 통해 알 수 있다.

토로한 것이다.

을 기대했음을 알 수 있다.

⑤ 백성을 수탈하는 양반 계층의 횡포를 구체적 사례를 들어 알리고 있

④ 가난한 양반이 매번 이용한 환곡 제도를 통해 알 수 있다.

⑤ 군읍을 순시하며 환곡 장부를 열람한 강원도 감사의 업무를 통해 알 

수 있다.

3  ㉠에서 양반의 부인은 글 읽기는 현실의 궁핍을 해결하는 데 무용지물
(無用之物)이고, 양반은 한 푼어치도 안 된다고 말하고 있다. 이를 볼 

때, 양반의 아내는 양반의 무능력을 비판하고 있는 인물이라 할 수 있

다. <보기>에서도 생업에 힘쓰지 않고 앉아서 글만 읽는 양반의 모습을 

그 처가 비판하고 있다.

4  군수는 겉으로는 양반의 환곡을 갚아 주고 양반 신분을 산 부자를 ‘의로
운 일’, ‘어진 일’을 했다고 칭찬하고 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양반 매

062

예덕선생전 _ 박지원

키포인트 체크   이해타산, 양반, 봉건, 분뇨, 가르침

202~205쪽

1 ②  2 ⑤  3 ⑤  4 ⑤  5 자목은 선귤자가 세상의 이름 있는 사대부
들과 사귀지 않고 신분이 미천한 엄 행수와 교우하는 것을 부끄럽게 여겼기 때문

이다.  6 신분이 미천하지만 덕이 있는 사람과의 사귐  7 ②  8 ④  9 부
당하게 벼슬에 오르고 백성을 착취해 부를 쌓는 양반층을 비판하고 있다.

1  이 글에서는 선귤자와 자목의 대화를 중심으로 사건을 전개하고 있을 

매 증서를 작성하자고 제의함으로써 양반의 특권 의식을 비판하고, 양

뿐, 공간의 이동은 나타나지 않는다.

반의 특권을 누리고 싶어 양반 신분을 산 부자를 비판하는 의도가 숨겨

오답 뜯어보기  ① ‘친구란 함께 살지 않는 처(妻)이고 동기가 아닌 형제

져 있다.

5  부자는 현실적 한계 때문이 아니라 양반의 무능함과 부정함을 깨달았
기 때문에 스스로 양반 되기를 포기한 것이다. 즉, 부자가 양반 신분을 

포기한 이유는 양반이 허례허식에 얽매인 존재이며(A), 신분적 특권을 

이용해 횡포를 일삼는 존재라는 것(C)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⑤

와 같이 (A)와 (C)를 통해 현실적 한계를 느꼈다는 말은 적절하지 않으

며, 부자는 절망하고 있지도 않다.

6  부자가 양반 신분을 산 이유는 단지 자신의 경제력에 걸맞은 신분에 대

라.’와 ‘마치 가려운 곳을 긁어 주는 것 같을 것이다.’에 비유적 표현이 

사용되었다.

③, ④ 선귤자와 자목의 대화에서 엄 행수에 대한 상반된 시각을 엿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두 인물의 성격을 짐작할 수 있다.

⑤ 이 글의 첫 부분에서 엄 행수에 대해 요약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2  모든 사람들이 엄 행수를 예덕 선생이라고 부르는 것은 아니며 선귤자
만이 그를 존경하여 예덕 선생으로 부르고 있을 뿐이다. 마을 사람들은 

그를 엄 행수라고 부른다.

한 욕망 때문으로 정치에 대한 관심은 확인할 수 없다.

3  ㉤은 원한이 있는 사이도 돕다 보면 다시 친해진다는 의미로, 이해관계

오답 뜯어보기   ① 1차 매매 증서를 보고 화를 내는 부자의 말을 통해 양

에 따라 자주 바뀌는 세속의 사귐을 지적한 것이다.

반의 특권 때문에 양반 신분을 산 것임을 알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벗을 부부 관계와 형제 관계에 빗대어 매우 가까운 

③ 양반의 환곡을 갚아 준 부자는 새롭게 등장한 부농층, 신흥 상공인 

사이임을 강조한 말이다.

② 타인을 돕는 일을 하는 사람도 자신의 문제점을 스스로 고치기 어렵

④ 돈으로 양반 신분을 사고파는 모습을 통해 당시의 신분 질서에 동요

다는 의미이다.

⑤ 양반이 자신의 신분을 팔게 된 이유는 현실적으로 환곡을 갚을 능력

이와 같은 것을 친구라 할 수 있는지 묻고 있다.

③ 칭찬과 지적도 적절한 선을 유지하는 세속적인 사귐에 대해 말하며 

④ 선귤자가 자신을 무지한 사람처럼 대하는 것에 대한 자목의 불만이 

계층에 해당한다.

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없었기 때문이다.

7  ㉣은 양반이 무위도식하며 향락에 젖어 생활하는 모습에 해당한다. 이
를 속세를 멀리하고 한가로움을 추구하는 삶으로 이해하는 것은 적절

하지 않다.

오답 뜯어보기   ① 부자가 좌수와 향소의 오른쪽, 즉 좌수와 별감 옆자

리에 위치하고 양반은 공형의 아랫자리에 위치하고 있는 모습에서 두 

사람의 신분이 바뀌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담긴 말이다.

을 알 수 있다.

4  선귤자가 생각하는 훌륭한 사귐은 진실한 마음과 덕으로 사귀는 것임

5  자목은 선귤자가 이름난 사대부들과의 사귐은 거부하고, ‘마을의 상놈
이라 하류(下流)에 처한 역부’인 엄 행수와 교우하는 것을 부끄럽게 여

겨 그의 곁을 떠나겠다고 말한 것이다.

384 정답과 해설

정답44과 해설 6  선귤자는 자목이 엄 행수와의 사귐을 시정잡배와의 사귐으로 여기면서 
부끄러워하는 것을 지적하기 위해 ‘그러면 네가 수치로 여기는 것은 여

는 허생이 자신들의 처지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만 냥으로 나라의 과일값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유통 

기에 있는 것이지 저기에 있는 것이 아니로구나.’라고 말한다. 따라서 

구조의 취약함을 탄식하고 있다.

‘저기’와 대비되는 ‘여기’는 신분이 미천하지만 덕이 있는 사람과의 사귐

② 양반들의 치장에 필요한 말총을 매점매석함으로써 의관 등 겉치레

을 의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를 중시하는 허례허식의 태도를 비판하고 있다.

7  뭇 양반들이 교우 관계를 맺고 싶어 하는 최고의 학자인 선귤자가 최하
층 신분인 엄 행수와 교우한다는 이 작품의 설정에는, 당시 봉건 사회의 

엄격한 신분 체계에 대한 작가의 부정적 인식이 드러나 있다. <보기>의 

‘벗을 사귀는 데 신분의 차이는 고려 대상이 되지 않으며’라는 설명에서

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A]에는 엄 행수의 욕심 없고 소박한 삶이 나타나 있다. 따라서 물고기

가 아닌 무심한 달빛만 싣고 빈 배 저어 오는 무욕(無慾)의 삶을 노래한 

④의 월산 대군의 시조가 엄 행수의 삶의 태도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

오답 뜯어보기   ① 신흠의 시조로, 시름을 해소하고 싶은 소망이 나타나 

다.

있다.

④ 허생이 돈을 마련하겠다고 언약하고 내려가자 군도들은 그를 미친

놈이라고 비웃었다. 그러나 허생이 실제로 돈을 마련하여 오자 군도들

은 허생이 능력 있는 인물임을 확인하고 그를 장군이라고 부르고 있다.

⑤ 나라에서 해결하지 못한 군도 문제를 해결한 허생의 영웅적 면모를 

엿볼 수 있다.

4  허생은 경제적 궁핍 때문에 도적이 된 양민들을 빈 섬으로 데리고 가서 
농사를 짓고 가정을 꾸리는 평범한 삶을 누리게 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빈 섬은 허생이 이상국을 건설하는 무대라고 할 수 있다.

5  과일은 주로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하는 물건이고 말총은 양반들이 머리를 
싸맬 때 사용하는 물건으로, 이들은 예와 의관을 중시하는 양반들이 아

무리 비싸도 반드시 사야 하는 물건들이다. 즉 <보기>에서 말한 가격 외

② 윤선도의 시조 <오우가(五友歌)> 중 한 수로, 대나무의 겸허함과 절

의 요인이 작용하는 물건들이기 때문에 아무리 비싸도 물건들이 팔린 것

개를 예찬하고 있다.

이다.

③ 이황의 시조로, 학문 수양에 전념할 것을 다짐하고 있다.

⑤ 김유기의 시조로, 입신양명(立身揚名)의 포부를 드러내고 있다.

6  이완이 ⓐ와 ⓑ의 계책을 실천하기 어렵다고 말하자 허생은 ‘가장 쉬운 
일이 있는데, 네가 능히 할 수 있겠느냐?’라고 물은 후 ⓒ를 제시하고 있

9  <보기>는 <양반전>의 일부로 부당한 방법으로 벼슬에 오르고 백성을 
착취하여 부를 쌓는 양반을 ‘도둑놈’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에서는 부

다. 그러나 이완은 ⓒ 역시 실천하기 어렵다고 말한다. 이로 보아 허생

은 ⓒ가 가장 실천하기 쉬운 계책이라 여기고 있으며 이완은 ⓐ~ⓒ 모

당한 방법으로 만종의 녹봉을 얻어서는 안 되고 정당한 노력 없이 부자

두 실천하기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보기>와 ㉠에서는 공통적

오답 뜯어보기  ② ⓐ~ⓒ의 시급함의 정도는 나타나지 않는다.

으로 매관매직을 일삼고 백성을 착취하는 당시 지배층(양반층)을 풍자

③ 이완은 ⓐ~ⓒ 모두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말하고 있다.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063

허생전 _ 박지원

키포인트 체크   실학사상, 비판, 변 부자, 이완

206~209쪽

1 ③  2 ③  3 ③  4 ③  5 예와 의관을 중시하는 양반들에게 가격 외
의 요인이 작용하는 물건들이기 때문이다.  6 ①  7 ④  8 ②  9 이
완은 지배 계층의 입장을 대변하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10 독자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허생의 제안이 현실적으로 받아들여지기 어려웠음을 드러낸다.



(나)에서 군도들도 감히 나가 활동을 못했다는 내용으로 보아, 당시에 

치안이 허술했다고 판단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오답 뜯어보기   ① 허생이 과일과 말총을 매점매석하여 큰돈을 벌었다

는 내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④, ⑤ 가정을 이루고 농사지으며 살고 싶어 하는 백성들이 경제적으로 

궁핍하여 도적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  허생이 군도들에게 돈을 준 이유는 그들을 빈 섬으로 이주시켜서 평범
한 삶을 살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따라서 허생을 재력으로 군도들의 환

심을 사고자 한 계산적인 인물로 평가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3  ㉢ 뒤에 이어지는 대화에서 알 수 있듯이, 군도들이 어이없이 웃은 이유

고 있다.

④ ⓐ~ⓒ를 단계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보기 어렵다.

⑤ ⓐ~ⓒ는 모두 지배 계층의 과제이다.

7  <보기>는 고등학교 국어 수업 시간에 <허생전>을 능동적으로 수용해
가는 학생들의 모습을 그린 일기 형식의 소설이다. <보기>의 선생님은 

허생이 어디론가 떠난 것을 불만스런 현실과 그 현실을 지배하는 사람

들에게 졌다고 평가하고 있다. 즉, 선생님은 잘못된 현실을 개혁하는 지

식인의 행동을 촉구하는 입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선생님의 입장

에서는 시사 삼책이 거절당하자 종적을 감춘 것에 대해 해결책을 제시

하기는 하나 이를 실행하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았다고 허생을 비판할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⑤ 명분을 중시한 것은 이 대장이지 허생이 아니다.

8  이완은 허생의 시사 일책을 듣고 한참 생각하더니 ‘어렵습니다.’라고 예
의를 갖추어 말했으므로, 허생의 말을 가볍게 무시했다는 ②의 설명은 

적절하지 않다. 허생은 자신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지배층의 무

9 이 완은 지배 계층의 입장을 대변하는 인물로 집권층의 입장을 고려해
야 하기 때문에 급진적인 허생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

10  이 글은 허생이 잠적한 것으로 끝을 맺고 있는데, 이를 통해 여운을 남
겨 독자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한편, 허생이 제안한 시사 삼책이 급진적

인 것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움을 간접적으로 드러내

정답과 해설 385

② 안성은 삼남의 길목이라는 내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능에 답답함을 느꼈을 뿐이다.

064

호질 _ 박지원

키포인트 체크   표리부동, 실학사상, 범, 꾸지람

210~213쪽

않겠는가?’, ‘~ 대적(大賊)이 아니겠는가?’ 등에서 설의법을 활용하여

인간의 부도덕성을 비판하고 있다.

③ 범을 의인화하여 인간의 부정적 속성을 비판하고 있다.

④ 인간과 범의 본성을 대조하여 인간의 부도덕성을 지적하고 있다.

1 ③  2 ③  3 ②  4 ⑤  5 점잖은 북곽 선생이 과부와 밀회를 나누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6 사대부의 위선적인 모습
을 풍자하기 위한 것이다.  7 ⑤  8 ①  9 ②  10 ②  11 북곽 선
생으로 대표되는 양반 사대부 계층의 삶을 비판

1  동리자의 다섯 아들은 동리자와 밀회를 나누는 북곽 선생을 보고도 그

의 사회적 명성에 집착하여 위선적 실체를 파악하지 못하고 단지 둔갑

한 여우라고만 생각하는 어리석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북곽 선생은 위선에 가득찬 사대부의 모습을 보이고

② 동리자는 수절 과부라는 칭송을 받고 있다.

④ 동리자의 아들들이 동리자의 개가를 원하지 않는지는 나타나 있지

⑤ 북곽 선생과 동리자의 대화는 밀회를 나누는 부도덕한 연인의 모습

있다.

않다.

이다.

2  작가는 유학자로 존경받는 북곽 선생과 열녀로 추앙받는 동리자의 표
리부동하고 위선적인 행동을 통해 당대 사대부 계층의 부패한 도덕성

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다.

3  북곽 선생은 높은 학식을 가진 선비로 추앙받는 것과 달리 동리자와 밀
회를 즐기고 있고, 동리자는 열녀로 칭송받는 것과 달리 성이 다른 다섯

아들을 두고 있다. 따라서 이들에게 어울리는 말은 겉과 속이 서로 다름

을 이르는 양두구육(羊頭狗肉)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지성감천(至誠感天): 무엇이든 정성껏 하면 하늘이

움직여 좋은 결과를 맺는다는 뜻이다.

③ 천의무봉(天衣無縫): 일부러 꾸민 데 없이 자연스럽고 아름다우면

서 완전함을 이르는 말이다.

④ 천생연분(天生緣分): 하늘이 정해 준 연분을 의미한다.

⑤ 동병상련(同病相憐):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

김을 의미한다.

4  북곽 선생은 동리자와의 밀회 장면을 동리자의 다섯 아들에게 들키자
자신의 위신과 체면을 생각하여 동리자의 아들들이 자신을 알아보지

못하도록 이상한 모습으로 허둥지둥 달아나고 있다.

5  동리자의 아들들이 자신들의 어머니와 밀회를 즐기는 북곽 선생을 보
면서도 그를 여우라고 판단한 이면에는 북곽 선생이 이름 높은 학자라

는 사실이 크게 작용했다.

6  작가는 위선적인 사대부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는 북곽 선생을 똥구덩
이에 빠지게 함으로써 사대부들의 부정적인 모습을 희화화하면서 풍자

8  범은 비현실적 세계의 존재이기는 하지만 풍자의 대상은 아니다. 풍자
의 대상은 북곽 선생이며 범은 북곽 선생을 풍자하는 주체이다.

오답 뜯어보기   ② 범은 작가 의식을 대변하는 인물로, 작가는 범의 입

을 빌려 현실의 모순을 비판하고 있다.

③, ④ 범은 사대부로 대표되는 인간의 표리부동함을 비판하면서 현실

사회의 본질과 모순을 꿰뚫어 보고 있다.

⑤ 범은 객관적 관찰자로서 동리자의 아들들이나 농부와는 다르게 현

실을 올바르게 파악하며 인간 사회의 부정적 속성을 고발하고 있다.

9  <보기>는 탐관오리(양반)의 이중적 태도를 풍자한 시조로, ‘두터비(두
꺼비)’는 탐관오리나 양반 계층을, ‘리’는 그들에게 수탈당하는 약자

인 백성을 상징한다. 또 ‘백송골(白松骨)’은 ‘두터비’ 위에 군림하는 중

앙 관리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이때 풍자 대상인 ‘두터비’는 약자에

게 강하고 강자 앞에서 약한 모습을 보이는 이중적 태도를 보이고 있는

데, 이러한 태도는 범에게 목숨을 구걸하다가 농부에게는 위엄을 보이

는 북곽 선생의 태도 변화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북곽 선생과 두터비 모두 비판의 대상으로 위기를 지

혜롭게 극복하는 모습은 나타나지 않는다.

③ 두터비는 탐관오리를 의인화한 인물로, 강자 앞에서 약한 모습을 보

이는 점을 풍자하고 있다. 인간의 탐욕을 지적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④ 두터비 역시 작가가 비판하는 부정적인 대상이다.

⑤ 북곽 선생과 두터비는 모두 작가가 비판하고 있는 풍자의 대상이다.

이 글에서 작가 의식을 대변하고 있는 인물은 범이다.

10  ㉡은 북곽 선생이 범에게 목숨을 구걸하고 있는 상황으로, 북곽 선생의

비굴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표면적으로는 똥을 뒤집어 쓴 모습을 가리키지만 그

이면에 겉과 속이 다른 북곽 선생의 위선을 비웃는 뜻이 담겨 있다.

③ 인간들이 겉으로는 오륜과 사강을 말하지만 실천이 뒤따르지 않음

을 비판하고 있다.

④ 돈을 형님이라 부르며 따르는 것은 지나친 배금주의를 드러낸 것이다.

⑤ 범에게 목숨을 구걸하던 북곽 선생은 범이 사라지고 농부를 만나자

다시 위선적 행동을 보이고 있다.

11  북곽 선생은 고매한 인품으로 추앙받지만 실상은 동리자와 밀회를 즐
기는 부도덕한 인물이다. 반면에 농부는 농사를 짓기 위해 새벽 일찍부

터 부지런하게 밭을 갈러 가는 성실한 인물이다. 작가는 이러한 두 인물

의 삶의 태도를 대조함으로써 북곽 선생으로 대표되는 양반 사대부 계

7  이 글에서는 함축적 표현을 사용하여 사건의 내용을 암시하는 부분은

214~217쪽

오답 뜯어보기  ①  ‘유(儒)는 유(諛)라 하더니’라는 범의 말에서 ‘유(儒)’

는 선비, 학자를 뜻하고, ‘유(諛)’는 아첨하는 말을 의미한다. ‘유(儒)’와

‘유(諛)’라는 동음이의어를 활용하여 북곽 선생을 풍자한 것이다.

② 범은 ‘범의 세계에서는 ~ 어질지 않느냐?’, ‘~ 거대한 도둑이 되지

1 ③  2 ③  3 ①  4 ⑤  5 호조로부터 빌려온 돈을 모두 탕진했기 때
문이다.  6 ⑤  7 ①  8 ①  9 ⑤  10 후세 사람들에게 전하여 본
받도록 권유하기 위해서이다.

층의 삶을 비판하고 있다.

065

이춘풍전 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가부장적, 남성, 비장 

하고 있다.

찾을 수 없다.

386 정답과 해설

정답44과 해설 1  과거와 현재를 교차하는 것은 역순행적 구성에 대한 설명이며, 이 글은

④ (나)에서 이춘풍의 아내는 이춘풍에게 ‘멍청아’라고 말하며 이춘풍을

시간이 흐르는 순서에 따라 전개되는 순행적 구성을 보인다.

직접적으로 풍자하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가)에서 이춘풍의 외양을 구체적으로 묘사하여 이

춘풍이 처한 비참한 상황을 드러내고 있다.

② (가)에서 비장은 이춘풍에게 반말로 꾸짖고 있는 반면, 이춘풍은 비

장에게 높임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④ (나)의 이춘풍의 말에, 이춘풍이 호조의 돈을 빌려 평양에 왔다가 추

월에게 홀려 빈털터리가 되었다는 내용이 요약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⑤ 이 글은 이춘풍과 비장, 추월의 대화를 통해 각각의 인물이 처한 상

황과 인물의 심리 및 정서가 드러나고 있다.

2  이춘풍은 비장에게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며 자포자기하고 있으므로,
자신의 억울함을 비장에게 하소연하고 있다는 설명은 적절하지 않다.

7  판소리계 소설에는 의성어나 의태어를 활용하여 운율감을 높이는 경우

가 많지만, 이 글에서는 의성어나 의태어가 사용되지 않았다.

오답 뜯어보기   ② ‘평양에서 떠날 적에 너더러 이르기를’, ‘이런 거동 볼

작시면, 누가 아니 웃고 볼까’ 등과 같은 4(3)·4조의 운문체와 일반적인

산문체가 함께 나타나고 있다.

③ 이춘풍이 눈치를 보며 흰죽을 먹는 장면에서 자신의 권위가 무너질

까 걱정하는 이춘풍의 모습이 해학적으로 나타나 있다.

④ (나)에서는 서술자가 작품에 개입하여 이춘풍이 아내와 화목하고 즐

겁게 지냈다는 내용을 직접 논평하고 있다.

⑤ 이 글에는 ‘무가내하(無可奈何)’와 같은 한자어와 ‘멍청아’와 같은 비

오답 뜯어보기   ④ 비장이 추월을 꾸짖는 것을 볼 때 비장은 추월이 이

속어가 함께 나타나 있다.

춘풍의 돈을 가져간 사실을 이미 알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3

‘춘풍은 제 아내인 줄 꿈에나 알랴마는 비장이야 모를쏜가.’는 서술자가

작품에 직접 개입하여 이춘풍과 비장의 상황을 직접 서술한 부분이므

8  이춘풍은 자신이 흰죽을 먹고 있는 모습을 아내가 볼까 봐 애를 태우고
있다. 자신이 비굴하게 흰죽을 먹고 있는 모습을 가족들이 보면 가장으

로서의 권위가 추락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춘풍이 애를 태우고 있는 모

습을 나타내기에 적합한 표현은 ‘몹시 두려워 벌벌 떨며 조심함’의 의미

지식

를 지니고 있는 ‘전전긍긍(戰戰兢兢)’이다.

소설에서 서술자가 작중 인물이나 사건, 배경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제시하는 

오답 뜯어보기   ② 호가호위(狐假虎威):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려

것을 말한다. 여기에는 작가 개인의 주관적인 판단이나 평가가 포함된다. 이 때문에 

호기를 부린다는 뜻으로, 남의 권세를 빌려 위세를 부린다는 의미이다.

주로 3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판소리계 소설을 비롯한 고

③ 마이동풍(馬耳東風): 동풍이 말의 귀를 스쳐 간다는 뜻으로, 남의 말

로, 편집자적 논평에 해당한다.

● 편집자적 논평

전 소설에서 자주 찾아볼 수 있다. 

4  이춘풍의 아내는 비장으로 변장하고 평양에 나타나 이춘풍과 추월을

꾸짖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추월은 이춘풍의 돈을 되돌려 주라는 비장의 지시를

수용한 것이지, 이춘풍의 지시를 수용한 것은 아니다.

뜻이다.

이다.

을 귀담아듣지 아니하고 지나쳐 흘려버림을 이르는 말이다.

④ 아연실색(啞然失色): 뜻밖의 일에 얼굴빛이 변할 정도로 놀란다는

⑤ 호각지세(互角之勢): 역량이 서로 비슷비슷한 위세를 의미하는 말

② 이춘풍의 아내가 비장으로 변장하여 이춘풍과 추월의 잘못을 꾸짖

고 있으므로, 비장이 불합리하게 이춘풍과 추월을 억압한다는 설명은

9  아내가 이춘풍에게 흰죽을 먹어 보라고 한 것은 흰죽을 먹음으로써 평
양에서 있었던 일을 상기하게 하여 이춘풍의 잘못을 뉘우치게 하기 위

적절하지 않다.

내용과 관련이 없다.

③ 추월이 자신의 지위를 이춘풍으로부터 인정받는다는 것은 이 글의

④ 이춘풍은 호조로부터 돈을 빌려 평양으로 장사를 하러 왔지만 추월

에게 홀려 돈을 모두 탕진했으므로, 이춘풍이 돈을 빌린 목적을 달성했

다는 설명은 적절하지 않다.

5  이춘풍은 호조로부터 돈을 빌려 장사를 하기 위해 평양으로 왔지만 기
생 추월에게 홀려 돈을 모두 탕진하고, 추월의 집 사환 노릇을 하게 되

었다.

6  이춘풍은 비장이 자신의 아내임을 알고 난 후에도 자기 합리화를 하며
허세를 부리고 있으므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진심으로 용서를 구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10  (다)에서는 이춘풍과 이춘풍의 아내의 사연을 요약적으로 제시하고, 이
러한 사연을 후세에게 전하여 본받고 법으로 삼도록 권유하고 있다.

066

옥루몽 _ 남영로

218~221쪽

키포인트 체크   영웅적, 홍란성, 조선 후기, 양창곡, 꿈, 백옥루

1 ④  2 ①  3 ④  4 강남홍이 살아 있어 다시 만날 것이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5 ①  6 ③  7 ④  8 강남홍을 지상계에
서 천상계로 인도해 주는 기능을 한다.

하고 있다는 설명은 적절하지 않다.

오답 뜯어보기   ① (가)에서 이춘풍의 아내는 다시 비장으로 변신하여

1  전장에서 퇴각한 강남홍은 만왕 나탁에게 명나라 원수를 사로잡을 뻔
했지만 몸이 불편하여 군사들을 퇴각시켰고, 내일 다시 싸워야겠다고

이춘풍이 집으로 돌아온 이후에도 거만하게 굴었던 것에 대해 이춘풍

말했다. 이는 나탁을 안심시키고자 의도적으로 거짓말한 것이다.

을 다시 꾸짖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강남홍은 대결 전에는 양창곡의 정체를 몰랐다.

② (가)에서 이춘풍의 아내가 저녁이 되기를 기다린 것은 이춘풍을 속

② 강남홍과 양창곡은 서로 사랑하는 사이이고, 강남홍이 일부러 싸움

이기 쉬운 시간대를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을 멈추고 퇴각한 것으로 보아 재대결을 제안했다고 볼 수 없다. 즉, 강

③ (나)에서 이춘풍의 아내는 비장의 옷을 벗어 놓고 여자 의복을 입는

남홍은 양창곡에게 삼경에 만나기를 요청하고 있을 뿐 재대결할 것을

것으로 자신의 정체를 이춘풍에게 드러내고 있다.

제안한 것은 아니다.

정답과 해설 387

③ 강남홍은 손삼랑에게 싸움터에서 양창곡을 만난 사실을 이야기했으

어 천상계의 백옥루에 오르게 되고, 자신이 천상계의 존재였음을 알게 

나, 손삼랑에게 미리 명나라 진영으로 잠입하라고 지시하지는 않았다.

된다.

⑤ 양창곡은 본진으로 돌아와 낮에 만난 사람이 진짜 강남홍인지 반신

④ 보살은 도술을 부려 인간인 강남홍을 천상계로 인도하고 다시 인간

반의하고 있을 뿐 적의 습격에 대비하라는 명령을 내리지는 않았다.

계로 돌려보내며 각몽을 유도하는 인물이므로, 강남홍의 조력자이자 

신이한 존재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⑤ 강남홍을 비롯하여 천상계에서 쫓겨 내려온 인물들은 마음대로 천

상계로 되돌아갈 수 없고 속세에서의 연을 다한 후에야 돌아갈 수 있다. 

결국 천상계의 인물들도 하늘이 정해 놓은 인연대로 살아갈 수밖에 없

는 존재들인 것이다.

● 〈옥루몽〉에 나타난 ‘현실 - 꿈 - 현실’의 환몽 구조

지식

현실



현실

명나라 때 문창성과 다섯 선녀가 연꽃을 꺾어 술을 마시며 놀다가 신불에
의해 인간계에 떨어짐.

문창성은 인간 양창곡으로 다시 태어나 파란만장한 인생을 겪음. 이 과정에
서 기생 강남홍과 항주 자사의 딸 윤 소저, 기생 벽성선, 축융국의 공주 일지
련, 황 소저로 환생한 다섯 선녀를 만나 사랑을 나눔.

두 부인과 세 첩을 거느리고 부귀영화를 누리며 살다가 천상에 올라가 선관
이 됨.

7  강남홍은 꿈속에서 보살을 만났을 때 ‘존사(尊師)께서는 누구시며, 인
간의 즐거움이란 것은 무엇을 말씀하시는 겁니까?’라고 물어보았으므

로 강남홍이 보살을 만나는 순간 천상계의 기억을 떠올린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강남홍은 보살의 설명을 들은 후에야 자신이 있는 공간이 

백옥루이고 자신이 천상계의 존재였음을 알게 된다.

8  강남홍의 꿈에 나타난 보살은 손에 들고 있던 석장을 이용하여 도술을 
부린 뒤 강남홍을 지상계에서 천상계로 인도한다. 따라서 석장은 강남

홍을 지상계에서 천상계로 인도해 주는 도구로 볼 수 있다.



(가)에는 서술자가 개입하여 ‘강남홍의 총명으로 어찌 양창곡의 모습을 

몰라보겠는가.’, ‘어찌 생각이나 했겠는가.’처럼 인물에 대한 평가를 직

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3  양창곡은 전쟁터에서 오늘 만난 사람이 진짜 강남홍이라면 잠시 끊어
졌던 인연을 이어갈 수 있어서 좋고, 그녀의 도움으로 쉽게 오랑캐 지역

을 평정할 수 있어서 좋겠다고 생각하고 있다. 즉, 일시에 두 가지 이득

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으므로 일거양득(一擧兩得)이 ㉠

의 상황에 어울리는 말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동분서주(東奔西走): 동쪽으로 뛰고 서쪽으로 뛴다

는 뜻으로, 사방으로 이리저리 몹시 바쁘게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이다.

② 와신상담(臥薪嘗膽): 섶에 누워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

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려고 괴로움과 어려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

으로 이르는 말이다.

③ 설상가상(雪上加霜):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난처한 일이

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말이다.

⑤ 점입가경(漸入佳境): 들어갈수록 점점 재미가 있음. 또는 시간이 지

날수록 하는 짓이나 몰골이 더욱 꼴불견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4  양창곡은 싸움터에서 적군의 장수로 출전한 강남홍을 극적으로 만나게 
된다. 하지만 본진으로 돌아와서도 오늘 만난 인물이 진짜 강남홍인지 억

울하게 죽은 원혼이 나타난 것인지 반신반의하게 된다.  양창곡은 강남홍

이 물에 빠져 죽은 것으로 알고 있으며, 싸움터에서 적군의 장수가 된 강

남홍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5  이 글에는 강남홍이 취봉루에서 꿈을 꾸고 깨는 사건을 통해 장면이 전
환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천상계의 환상적인 분위기가 잘 드러난다. 

또 꿈에 나타난 보살의 외양을 ‘푸른 눈썹에 옥 같은 얼굴을 하고 몸에

는 비단 가사를 걸치고 석장(錫杖)을 짚고 있다가’라고 묘사한 후 도술

을 부리는 모습을 보여 줌으로써 보살이 비범한 능력을 지닌 인물임을 

드러내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ㄷ. 강남홍과 보살이 등장하지만 대립 관계가 아니며, 

꿈을 통해 강남홍이 천상계에서 적강한 인물임을 자각하게 하므로 인

물 간의 갈등이 나타나지 않는다.

067

채봉감별곡 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혼인, 봉건, 전환기, 사랑

222~225쪽

1 ⑤  2 ⑤  3 ③  4 ②  5 ㉠은 작은 단체의 우두머리가 큰 단체의
졸개보다 낫다는 뜻으로, 재상가의 첩보다는 여염집의 부인이 되겠다는 뜻이다.  

6 ④  7 ④  8 ③  9 ⑤  10 이 감사는 이상적이고 바람직한 목민관
으로서의 면모와 송이(채봉)의 괴로움을 해결해 주는 조력자의 면모를 지닌 인물

ㄹ. 인물 간의 대화가 있지만 시련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보여 주는 부분

은 확인할 수 없다.

이다.

6  자신이 천상의 존재임을 깨달은 강남홍은 보살에게 인간 세상에 돌아
가지 않겠다고 말한다. 하지만 보살은 ‘하늘이 정한 인연은 인간의 힘으

1 김  진사 내외는 채봉이 허 판서의 첩으로 가지 않겠다고 단호히 말하는 
데도 불구하고 자식은 부모의 뜻에 따르는 것이라고 하며 자신들의 의

로는 미칠 수 없는 것’이며, ‘40년 뒤에 다시 와서 옥황상제께 조회를 하

지대로 할 것을 강요하고 있다.

고 천상의 즐거움을 누리’라고 말한다. 이로 보아 강남홍이 자신의 존재

오답 뜯어보기   ① 김 진사는 허 판서에게 만 냥을 주고 과천 현감 벼슬

를 자각했다고 해도 인간 세상의 인연을 마치지 못했기 때문에 천상계

자리를 샀다.

로 복귀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② 채봉이 장 선천 부사의 아들과 정혼했다는 사실을 김 진사 부부의 대

오답 뜯어보기  ①  취봉루는 천상계의 선관인 문창성이 죄를 지어 꿈을 

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통해 오게 된 지상계의 공간이자 역시 천상계의 존재였던 강남홍이 머

③ 처음에 부인은 ‘허 판서 아니라 허 정승이라도’ 채봉을 보낼 수 없다

물고 있는 공간이므로, 천상계에서 쫓겨 내려온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고 말하며 김 진사가 정한 혼처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이후에 마

② 강남홍은 꿈을 통해 지상계로 내려왔는데 그 꿈속에서 다시 꿈을 꾸

음을 바꾸었다.

388 정답과 해설

정답44과 해설 ④ 김 진사는 ‘그 거지 다 된 것하고?’라고 말하며 장필성의 집안이 변변

(刻舟求劍)’은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

치 않은 것을 못마땅해하고 있다.

리석음’을 이르는 말로 ㉠의 상황과 어울리지 않는다.

2  김 진사는 벼슬자리를 돈 주고 살 만큼 권력에 대한 욕심을 가지고 있으
며 사윗감의 재력을 따지는 것으로 보아 재력과 권력을 중시하는 인물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세상 물정을 모른다고 보기는 어렵다.

오답 뜯어보기   ① 김 진사의 딸을 첩으로 얻고자 김 진사가 상노에 대

해 한 말을 에둘러 묻는 허 판서의 모습에서 음흉함이 드러난다.

③ 김 진사의 부인은 자식은 부모의 뜻에 따라야 한다고 말하며 채봉이 

자신들의 뜻을 따를 것을 강요하고 있다.

④ 채봉은 자신의 혼사에 대한 생각을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다.

3  김 진사가 서울로 가려는 것은 딸을 허 판서의 첩으로 보내고 과천 현감
이 되기 위해서이다. 이를 통해 당시에 출세를 위해 서울로 가는 사람들

이 많았다고 짐작하기는 어렵다.

오답 뜯어보기   ① 백골난망(白骨難忘): 죽어서 백골이 되어도 잊을 수 

없다는 뜻으로, 남에게 큰 은덕을 입었을 때 고마움의 뜻으로 이르는 말

② 감개무량(感慨無量): 마음속에서 느끼는 감동이나 느낌이 끝이 없

음, 또는 그 감동이나 느낌을 의미한다.

③ 결초보은(結草報恩):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이르

이다.

는 말이다.

④ 난망지은(難忘之恩): 잊을 수 없는 은혜를 이른다.

10  <보기>는 이 감사의 인물됨을 짐작할 수 있는 부분이다. 제시된 내용의 
앞부분에는 백성과 나라에 대한 걱정으로 잠을 이루지 못하는 이 감사

의 모습이 드러나 있고, 뒷부분에는 송이(채봉)의 괴로움과 고민을 알

고자 하며 이를 해결해 주려고 애를 쓰는 이 감사의 모습이 잘 드러나 

4  부모가 정해 준 혼처를 거부하고 스스로 사랑을 쟁취하는 채봉의 모습
은 가부장제의 권위라는 사회적 관습과 지배적 이념의 구속에서 벗어

있다.

나고자 하는 태도로 볼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④ 적절한 설명이지만 근대성과는 관련이 없다.

③ 허 판서와 김 진사의 관계는 서로의 이익이 맞아떨어진 거래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



‘닭의 입이 될지언정 소의 뒤 되기는 바라는 바가 아니’라는 것은 큰 단

체의 졸개보다는 작은 단체의 우두머리가 되겠다는 뜻이며, 이는 문맥

상 허 판서의 첩이 되지 않겠다는 의도에서 한 말이다.

6  매관매직이 성행하고 신분제가 동요하는 조선 말기의 상황이 잘 반영

되어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고난을 극복하여 사랑을 이루는 전통적인 애정 소설

의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 남녀 주인공 사이의 갈등은 보이지 않는다.

② 해학적인 표현은 나타나지 않는다.

③ 다른 고전 소설과 달리 사실적인 내용으로 사건이 전개되고 있다.

⑤ 조력자 이 감사의 도움으로 주인공이 고난을 극복하기는 하지만 영

웅의 일대기 구조를 취하고 있지는 않다.

7  이 감사는 송이(채봉)와의 대화에서 ‘비록 위아래가 있으나’라고 하며 

기존의 신분 제도를 인정하는 모습을 보인다.

8  송이(채봉)와 장필성의 사랑에 장애로 작용한 것은 허 판서의 첩으로 
딸을 보내려는 김 진사의 행동이다. 송이(채봉)가 기생이 된 것은 장필

오답 뜯어보기   ⑤ 송이(채봉)와 장필성은 이 감사의 주선을 통해 다시 

성과 이별한 후의 일이다.

만나 혼인을 하게 된다.

● 혼사 장애 구조 

지식



남녀의 혼사 과정에서 갈등이 발생하는 구조

구조

장애 유발(이별의 동기) - 분리와 시련 - 귀환과 재결합

장애 원인 부모의 반대, 사회 관습의 장벽, 전란 등

작품

<운영전>, <숙향전>, <춘향전>, <숙영낭자전> 등

9  송이(채봉)와 장필성은 이 감사에 대한 무한한 감사의 마음을 드러내고 
있으며, 오랫동안 그리던 상대를 만난 것에 기뻐하고 있다. ‘각주구검

정답과 해설 389

규중칠우쟁론기 _ 작자 미상

232~235쪽

물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1  이 글에서는 공치사를 늘어 놓는 의인화된 사물의 모습을 풍자하고 있

일에 대해 꾸중을 듣고 대화를 중단하게 된다.

2  수필·평론

074

키포인트 체크   공치사, 불평, 직분, 의인화

1 ③  2 ③  3 ③   4 자기 공로를 드러내기 위해 상대를 폄하하고 있다.  
5 ②  6 ⑤  7  ②  8 잘못한 점은 즉시 반성

을 뿐 인물의 일대기에 대한 서술은 드러나지 않는다.

오답 뜯어보기   ① 이 글은 국문으로 쓰인 내간체 수필로, 주로 여성들

이 창작하고 향유했다고 알려져 있다.

②, ④ 바느질 도구들을 의인화하여 각자 자신의 공을 자랑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방식으로 서술하고 있다. 이는 곧 자기 자랑만 내세우는 당대

인들의 세태를 반영하여 풍자한 것이라 볼 수 있다.

⑤ 각 인물들(의인화된 사물들)의 이름은 바느질 도구의 명칭의 발음,

생김새, 쓰임새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2  <보기>에서는 오케스트라 연주에서 자신이 맡은 연주의 본분을 다하여
전체 연주와 조화를 이루려는 자세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보기>에서 칭찬이나 혹평 모두 ‘내’가 아닌 ‘우리’가 받는다고 했으므

로, <보기>의 관점에서는 지은 옷에 문제가 생겼을 때 실수를 일으킨 개

인이 아닌 규중 칠우 전체가 함께 책임지는 자세를 지녀야 한다고 충고

할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보기>의 ‘한 멤버가 된다는 것만도 참으로 행복한

일이다.’에서 이끌어 낼 수 있다

②, ④ <보기>의 ‘각자의 맡은 바 기능이 전체 효과에 종합적으로 기여

된다는 것은 의의 깊은 일이다.’에서 이끌어 낼 수 있다.

⑤ <보기>의 ‘서로 없어서는 안 된다는 신뢰감이 거기에 있고’에서 이끌

3  골무의 별명은 ‘감토 할미’이며 감투와 유사한 생김새에서 지어지게 되

어 낼 수 있다.

었다.

오답 뜯어보기  ① 자 - 척 부인 - 한자의 발음

② 인두 - 인화 부인 - 쓰임새

④ 가위 - 교두 각시 - 생김새

⑤ 다리미 - 울 랑자 - 한자에서 따옴, 쓰임새

6  규중 부인은 규중 칠우가 바느질을 하는 데 들인 공을 모두 자신의 공으
로 돌리고 있다는 점에서 부하들이 낸 의견을 자신이 사용하는 ③의 인

7  ㉡은 칠우의 공치사를 들은 부인이 그 공은 사람에게서 나오는 것이라
며 칠우를 꾸중하고 다시 잠이 드는 부분이다. 이후 대화의 쟁점은 각자

의 공치사가 아닌 규중 부인에 대한 불평으로 전환된다. ㉢은 잠들었던

규중 부인이 다시 잠에서 깨어나는 부분으로, 이후 규중 칠우는 블평한

8  감토 할미는 규중 부인의 꾸중을 듣고 규중 칠우를 대표하여 잘못된 점
을 겸허히 인정하고 용서를 구한다는 점에서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를

보여 주는 인물로 평가될 수 있다.

원이 엄마의 한글 편지 _ 이응태의 부인

236~237쪽

075

키포인트 체크   사별, 꿈, 사랑

1 ②  2 ②  3 ⑤  4 헤어진 임을 꿈속에서 다시 만나고자 한다.

1  이 글은 죽은 남편을 그리워하는 아내의 마음이 잘 드러난 한글 편지로,
남편과의 대화를 회상하며 즐거웠던 결혼 시절의 기억을 떠올리는 한

편, 뱃속의 아이를 걱정하는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가)와 (나)의 내용

에서 글쓴이와 남편이 서로 마음을 터놓고 지냈음을 알 수 있으므로 ②

와 같은 반응은 적절하지 않다.

오답 뜯어보기  ① 전반적으로 높임말이 쓰였다.

③ (라)의 ‘당신 내 뱃속의 자식 낳으면 보고 말할 것 있다 하고 그렇게

가시니’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다.

④ 이 글에는 죽은 남편을 향한 아내의 절절한 그리움이 표출되어 있다.

⑤ (라)에서 유복자의 앞날을 걱정하는 어머니의 마음을 알 수 있다.

2  <보기>에서 화자는 새에 자신의 감정을 이입하여 한의 정서를 효과적
으로 표현하고 있지만, 이 글에서는 감정이 이입된 대상물이 제시되지

않는다.

한 그리움이 표현되어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이 글과 <보기>에는 모두 먼저 떠난 임에 대한 절절

③ 이 글의 작가와 <보기>의 화자는 모두 여성으로, 임에 대한 애절한

4

[A]에서 세요 각시는 자신의 공로 덕분에 척 부인과 교두 각시가 재단을

그리움과 임을 잃은 비통한 심정을 드러내고 있다.

잘 할 수 있었음을 말하면서 둘의 공을 폄하하고 자기의 공로를 내세우

④ ‘그대 하늘 끝 호올로 가신 임아.’라는 표현을 통해 <보기>의 화자 역

고 있다.

시 이 글의 작가와 마찬가지로 먼저 떠난 임을 그리워하고 있음을 알 수

5  부인이 가위를 들어서 살피고 문고리에 걸어 놓는 것은 바늘이 없어졌

을 때 바늘을 찾기 위한 행동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마름질을 하기 위해 가장 먼저 자를 찾는다고 했다.

③ 세요 낭자는 규중 부인이 바느질이 잘되지 않으면 자신의 허리를 부

러뜨려 화로에 넣는다고 말했다.

있다.

있다.

● 서정주, <귀촉도(歸蜀途)>

•갈래: 자유시, 서정시

④ 세요 낭자가 부인의 손톱 밑을 찌르려 하지만 감토 할미(골무)가 만

•제재: 귀촉도

⑤ 두 글 모두 임의 부재, 이별의 정한이라는 우리 문학의 전통을 잇고

지식

⑤ 인화 부인은 부인이 굳은 것을 깨뜨릴 때는 항상 자신을 시킨다고 말

류한다는 진술이 있다.

했다.

390 정답과 해설

•주제: 임에 대한 그리움과 정한(情恨)

• 감상: 전통적 소재를 빌려 떠나간 임에 대한 화자의 애틋한 마음을 표현한 시이다. 

‘귀촉도’는 흔히 소쩍새, 접동새로 불리는 새로, 이 작품에서는 사랑하는 임의 죽음

에 대한 한(恨)을 상징하고 있다.    

정답44과 해설 3  ㉤은 남편은 저승에 있고 자신은 이승에 있으므로 살아서 다시 만날 수 
없어 슬픔과 그리움만 더한다는 의미이므로, ‘마음에서 마음으로 통한

4 이  글은 임금을 모시던 궁녀가 쓴 것으로 추측된다. 26, 27일의 일기가 
성밖의 일을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임금에게 보고된 내용을 기록한 것

다’는 의미인 이심전심(以心傳心)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으로, 같은 사건을 성 안과 밖의 시각에서 대비하여 서술하고 있는 것은 

오답 뜯어보기   ① 머리가 하얗게 셀 때까지 함께 행복하게 살자는 말로 

아니다.

‘백년해로(百年偕老)’와 의미가 통한다.

② 다른 어떤 부부보다도 서로를 아끼고 사랑했음이 드러나 있다.

③ 죽은 남편에게 빨리 가고 싶다는 것은 남편이 없는 삶은 의미가 없으

므로 따라 죽고 싶다는 뜻으로, 그만큼 남편에 대한 사랑이 깊었음을 드

러내는 것이다.

이 드러난 표현이다.

④ 뱃속에 있는 아이도 보지 못하고 세상을 떠난 남편에 대한 안타까움



‘이 편지 자세히 보시고 내 꿈에 와서 당신 모습 자세히 보여 주시고 또 

말해 주세요.’에서 알 수 있듯이 이 글의 작가는 꿈속에서라도 남편을 

만나기를 바라고 있다. 그리고 <보기>에서도 ‘만날 길은 꿈길밖에 없는

데’와 ‘다음날 밤 꿈에는’을 통해 꿈속에서 임을 만나고자 하는 염원을 

드러내고 있다.

076

산성일기 _ 어느 궁녀

키포인트 체크   남한산성, 객관적, 피란, 일기

238~239쪽

이다.

1 ⑤  2 ②  3 ①  4 ③  5 일기 형식을 띠고 있지만 역사적 사건을
사실적이고 객관적으로 서술하고 있기 때문이다.

1  작가는 역사적 사실을 최대한 객관적인 입장에서 기록했다. 사건에 대
한 작가의 감상을 서술하는 데 치중하지 않았으며 제시된 사건과 그에 

대한 서술을 통해 작가의 시각을 파악할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병자호란 당시의 역사적 사실을 한글로 기록하고 있

는 유일한 자료이다.

을 알 수 있다.

② 각각의 기록에 날짜를 먼저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일기 형식임

③ 병자호란이라는 당대의 시대적 상황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5  이 글은 일기 형식으로 쓰여 있어 사적인 기록으로 볼 수 있기는 하나, 
작가의 주관적인 생각보다는 병자호란이 일어난 동안 남한산성에서 벌

어진 일들을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기록하고 있어 당시의 상황을 이

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077

서포만필 _ 김만중

키포인트 체크   정철, 우리말, 인용

1 ④  2 ②  3 ②  4 ④

240~241쪽

1  서민들의 진솔한 감정이 담긴 작품을 좋은 문학으로 볼 수 있기는 하지
만, 이 글에서 서민들의 진솔한 감정이 나타나야 좋은 문학이라는 내용

은 제시되지 않는다. 이 글에서 나무꾼이나 물 긷는 아낙네들의 노래를 

가치 있게 본 까닭은 그것이 자기 말, 즉 우리말로 표현된 것이기 때문

오답 뜯어보기   ① 문학은 내용과 형식이 조화를 이루면 천지를 감동시

키고 귀신과도 통할 수 있다고 했다.

② ‘사람의 마음이 입으로 표현된 것이 말이요, 말의 가락이 있는 것이 

시가문부(詩歌文賦)’라고 했다. 또한 사방의 말이 같지는 않다고 했다.

③ 자기 나라 말에 따라서 가락을 맞추면 좋은 시가 되어 천지를 감동시

킬 수 있다고 보았다.

드러나 있다.

⑤ 좋은 문학이 갖추어야 할 요건이나 송강의 문학을 평가한 데서 국문

으로 된 문학이 진정한 문학이라는 주체적 자각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2  이 작품의 작가는 우리말로 표현된 문학 작품이 진정한 문학이라고 주
장하고 있다. 〈보기〉의 작가는 우리 가곡이 방언을 사용하고 간혹 한문

④ 사신으로 간 이경직, 김신국, 전투에서 패한 김류 등 실존 인물의 이

자를 섞었는데 모두 언문으로 유포되었다고 하며 그 가곡이 들을 만한 

름을 직접 밝혀 서술하고 있다.

것이 있다고 하여 우리말로 된 우리 문학에 대한 긍지를 드러내고 있다.

2  청군의 적장이 선물을 거절한 것은 성안 사람들의 처지를 안타깝게 생
각해서가 아니라 약탈을 일삼아 풍족하게 지내고 있는 자신들의 처지

3  <관동별곡>을 칠언시로 번역하였지만 아름답게 될 수 없었던 이유는 
뜻을 얻을 뿐 그 말의 가락을 얻지 못했기 때문(ⓐ)이며 이는 한문이 우

와 비교하며 성안의 상황을 비꼬기 위해서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27일 일기의 내용에서 알  수 있다.

③ 큰비가 내려 얼어 죽는 군사가 많았다는 사실을 24일의 일기에서 알 

수 있다.

리말의 묘미를 제대로 살려 내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4  이 글의 작가는 한글로 쓴 문학 작품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송강의 가
사를 극찬했다. 작가의 이러한 태도를 볼 때 작가가 <보기>를 극찬한 이

유는 임의 소식을 알고 싶어 하는 화자의 심정을 우리말로 진솔하게 표

④ 25일의 일기에서 사신을 보내는 것이 욕된 일임을 알면서도 화친을 

현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위해 선물을 보냈음을 알 수 있다.

전투에서 패했음을 알 수 있다.

⑤ 28일의 일기에서 청군의 유인책을 파악하지 못한 김류의 지휘 탓에 

3  24일의 일기에는 전쟁으로 인한 고통을 자신의 탓으로 돌리며 하늘에 
이에 대한 용서를 구하여 백성을 구원하고자 하는 임금의 행동이 드러

나 있다. 이러한 내용을 기록한 의도는 백성을 생각하는 임금의 마음을 

보여 주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078

요로원야화기 _ 박두세

키포인트 체크   시골, 정치 제도, 대화

242~243쪽

1 ②  2 ⑤  3 ②  4 봉건적 사회 구조를 유지하기

정답과 해설 391

1  작가는 당대 사회 현실을 주관적인 태도로 비판하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이 글은 ‘나’의 이야기가 중심이 되어 작가의 생각을

2  작가는 처음에는 이가 빠져 겪는 불편함을 호소하며 무기력하게 지내
다가 어느 순간 자신을 성찰하면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살아갈 것을 다

드러내고 있다.

태를 비판하고 있다.

③, ④ 이 글은 서울 양반인 객을 풍자 대상으로 삼아 당대의 풍속과 세

의 ‘전화위복(轉禍爲福)’과 의미가 통한다.

⑤ ‘나’와 객, 두 사람의 대화를 통해 사건을 순차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저 생각한다는 의미이다.

2  <보기>의 ‘또 다른 농부’는 인물의 말투를 듣고 양반이라고 판단한 것이

아니라 손길을 보고 양반이라고 판단했다.

오답 뜯어보기   ③ 이 글에는 언어유희가 나타나지 않지만, <보기>는

‘볏, 성엣장, 양지머리’ 등의 언어유희를 통해 웃음을 유발하고 있다.

④ 이 글에서 객은 ‘나’의 행색이 초췌한 것을 우습게 여기며 거드름을

피우고 있고, <보기>의 다른 농부는 인물을 행색으로 판단하여 비렁뱅

이 녀석이라고 하면서 우습게 여기고 있다.

3  ㉠은 객이 ‘나’가 어리석은 사람인 줄 알았다가 자신이 도리어 욕을 보게
된 것을 깨닫는 부분이므로 ‘제 꾀에 제가 넘어간’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자기에게만 이롭도록 일을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③ 남의 덕을 보려다가 뜻대로 안 되고 결국 제 돈을 쓰게 되었다는 말

이르는 말이다.

이다.

짐하고 있다. 이는 ‘재앙과 환난이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된다.’라는 의미

오답 뜯어보기  ① 견리사의(見利思義): 눈앞의 이익을 보면 의리를 먼

② 결자해지(結者解之): 맺은 사람이 풀어야 한다는 뜻으로, 자기가 저

지른 일은 자기가 해결해야 함을 이르는 말이다.

③ 기사회생(起死回生): 거의 죽을 뻔하다가 도로 살아난다는 의미이

⑤ 절차탁마(切磋琢磨): 옥이나 돌 등을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는 뜻으

로, 부지런히 학문과 덕행을 닦음을 이르는 말이다.

3  작가가 자신을 돌아보며 반성한 내용은 자신의 나이는 생각하지 않고
무리하게 행동해 왔다는 것이다. 이러한 반성을 통해 스스로의 처지를

인정하고 이에 맞는 생활을 해야겠다는 결심에 이르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⑤ 깨달음을 통해 얻게 된 인식의 전환과 관련이 있으나

작가가 부드러운 음식을 먹고 소리 내지 않고 글을 읽겠다는 각오를 한

것은 아니다. 그렇게 해야만 하는 늙음의 상태를 받아들이고 있을 뿐이

다.

다.

④ 언제나 남의 논에 있는 모가 더 커 보인다는 뜻으로, 무엇이든 남의

물건이나 재물은 좋아 보이고 탐이 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4  작가는 주자는 나이가 들어서 오히려 더 바람직한 생활을 할 수 있었다
는 예를 들고 있다. 이는 작가가 맞이한 상황과 비슷한 경우의 예로, 결

⑤ 아무리 제갈량만큼 꾀가 있고 재주가 있더라도 어찌할 도리가 없음

국 주자의 사례는 자신의 상황과 처지, 그리고 깨달음의 모습에 정당성

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을 부여하고 설득력을 얻기 위한 장치라고 볼 수 있다.

4  이 글이 쓰인 조선 시대에는 양반과 상민의 신분 차이가 있었다. 양반의
말과 상민의 말이 다른 것은 당대의 신분 제도가 엄격했음을 의미하며,

5  작가는 자신이 늙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고 활발하게 행동하는 모습
을 보였지만 이가 빠진 것을 계기로 나이가 들었음을 인정하고 이를 긍

봉건적 신분 질서가 언어에 그대로 반영되었음을 보여 준다. 이처럼 신

정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그러나 <보기>의 화자는 늙기를 거부하며 늙

분에 따라 언어를 철저하게 구별한 것은 사용하는 언어로 그 사람의 신

음을 피하기 위해 온갖 노력을 하다가 결국은 세월을 피할 수 없음을 깨

분을 판단하고, 봉건적 사회 구조를 계속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방편으

닫고 한탄하고 있다.

로 작용했다.

지식

● 우탁의 시조

•갈래: 평시조, 단시조

•성격: 직서적, 해학적

•주제: 늙음에 대한 한탄

079

낙치설 _ 김창흡

키포인트 체크   이, 수용, 깨달음, 인용

244~245쪽

•특징: 추상적인 대상을 시각화함.   

늙는 길 세월(추상적) → 길(구체적, 감각적)

오는 백발 늙음(추상적) → 백발(구체적, 감각적)

1 ①  2 ④  3 ①  4 ②  5 이 글의 작가는 늙는 것을 자연스러운 일
로 여기고 편하게 받아들이고 있지만, <보기>의 화자는 늙음을 막기 위해 온갖 노

력을 기울여도 막지 못함을 한탄하고 있다.

1  나이가 들어 앞니가 하나 빠지게 된 일을 통해 과거를 성찰하고 반성하

며 새로운 각오와 결심을 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080

의산문답 _ 홍대용

오답 뜯어보기   ②, ③ 작가의 관심과 성찰의 영역은 자기 자신에게 국

키포인트 체크   가치, 인간 중심적, 대화

246~247쪽

한되어 있을 뿐, 자기 개인의 범주를 벗어난 인간관계에서의 갈등이나

사회적 현실에 대한 비판은 드러나지 않는다.

④ 이 글에서는 남들이 지닌 통념과 다르게 생활했던 작가가 깨달음을

1 ②  2 ④  3 ②  4 ④  5 실옹은 만물이 모두 동등하다고 생각하지
만, 허자는 만물 중 사람만이 귀하다고 생각한다. 

얻은 후 오히려 그 통념을 존중하게 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⑤ 개인의 체험에서 깨달은 바를 그대로 표현하고 있을 뿐 인간사 전반

1  이 글에 등장하는 실옹과 허자는 가상의 인물로, 실옹은 새로운 학문을
받아들인 실학자를, 허자는 주자 성리학에 사로잡혀 있던 당대의 유학

에 적용하는 내용은 제시되지 않는다.

자를 상징한다.

392 정답과 해설

정답44과 해설 오답 뜯어보기   ① 실옹과 허자가 서로 묻고 답하면서 깨달음을 드러내

③ ‘식물 < 동물 < 인간’의 순으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관점이 드러

고 있다.

난다.

③ 실옹은 작가의 생각을 대변하는 인물로, 인간의 관점에서 만물을 바

⑤ 자연을 인간이 마음대로 이용해도 되는 존재라는 인간 중심적 사고

라보는 인간 중심적 사고를 비판하고 인간과 만물이 동등하다는 생각

방식이 드러난다.

을 뚜렷이 드러내고 있다.

④ 실옹이 인간 중심적 사고방식을 지닌 허자를 깨우치는 과정을 통해 

인간과 만물이 동등하다는 교훈을 전달하고 있다.

⑤ 실옹은 인간과 만물이 동등하다는 상대적 가치관을 지닌 반면, 허자

는 인간이 가장 존귀하다는 인간 중심적 가치관을 지니고 있다.

지식

● 인간 중심주의

인간이 세상의 중심이라고 보는 관점으로, 인간의 가치만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인간

의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본다. 인간 이외의 다른 존재들은 인간의 목적을 이루기 위

한 수단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자연을 인간을 위한 도구로 인식하게 하여 현재 인류

가 처한 환경 문제에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평가된다.

5 허 자는 사람이 만물과 다르다고 생각하고 사람만을 귀하게 여기는 인
간 중심적인 태도를 보이지만, 실옹은 이러한 허자의 태도를 비판하며 

사람과 만물이 동등하다고 말하고 있다.

081

동명일기 _ 의유당

키포인트 체크   일출, 관조, 직유법

248~251쪽

1 ③  2 ②  3 ④  4 ⑤  5 ②  6 ⑤  7 대상을 세밀하게 관찰
하여 섬세하고 사실적으로 묘사했다.

1  사군의 말을 직접 인용하고 있으나 묻고 답하는 대화체로 구성되어 있

2  허자는 봉황, 용, 시초와 울금초 역시 금수와 초목의 한계를 벗어날 수 
없다고 말했으며, 이들이 금수나 초목 중에서 특별히 귀하다고 여기는 

내용은 드러나지 않는다.

지는 않다.

오답 뜯어보기   ① 사람의 몸과 만물의 차이 중 하나로 사람이 태어날 

오답 뜯어보기  ① 예리한 관찰력과 섬세한 표현이 나타난다.

때 정혈의 교감으로 태를 이루고 달이 차면 나온다고 했다.

② 월출의 변화 과정을 시각적 이미지와 직유법을 사용하여 생동감 있

② 금수와 초목은 지혜, 깨달음, 예법, 의리가 없으므로 사람이 귀하다

게 묘사했다.

고 했다.

④ 월출과 일출을 보지 못할까 봐 초조해하는 마음과, 월출을 본 뒤의 

③ (가)에서 사람의 몸과 만물의 차이를 이야기했으며, (나)에서 사람, 

감흥이 자세하게 드러나 있다.

금수, 초목 중에 오직 사람이 귀하다고 했다.

⑤ (라)에서 복식, 의장, 예약, 병형이 없는 금수, 초목이 어찌 사람과 마

찬가지라 할 수 있느냐고 묻고 있다.

3  실옹은 허자의 답변을 반박하며 잘못을 일깨우고 있다. 실옹이 허자의 

말에 공감을 표현한 부분은 찾아볼 수 없다. 

오답 뜯어보기   ① ‘하물며 금수와 다를 것이 있겠는가?’, ‘너는 어찌해

⑤ 순우리말을 사용해 여러 가지 비유와 묘사를 활용해 표현했다.



(다)의 ‘사군이 세록지신(世祿之臣)으로 ~ 성주(聖主)의 은혜 아닌 것

이 있으리오.’에서 드러나듯이 작가는 달을 보며 임금의 은혜를 생각하

고 있고, <보기>의 화자는 ‘일이 됴흔 세계(世界) 대되 다 뵈고져.’에

서 알 수 있듯이 달을 보며 백성들에게 선정을 베풀 것을 생각하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이 글과 <보기> 모두 월출 장면을 보고 느낀 감흥이 

서 하늘의 입장에서 만물을 보지 않고 오히려 사람의 입장에서 만물을 

나타나 있다.

보느냐?’ 등에서 질문의 형식을 활용하여 전하고자 하는 의미를 강조하

③ 이 글의 ‘관동별곡을 시키니, 소리 높고 맑아 집에 앉아 듣는 것보다 

여 드러내고 있다.

다.

깨달음을 주고 있다.

③ (마)에서 ‘성인(聖人)은 만물(萬物)을 스승으로 삼는다.’라는 말을 인

용하여 사람이 만물의 도움을 받았다는 자신의 생각을 뒷받침하고 있

④ 사람의 몸이 만물과 다른 점과 귀하고 천함에 등급이 있는지를 묻고 

허자의 생각을 들은 뒤 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여 허자에게 

⑤ 사람, 금수, 초목 중 오직 사람이 귀하다는 말과 금수와 초목은 인(仁)

과 지(知), 복식이나 의장, 예약이나 병형이 없다는 말에 봉황, 용, 시초

와 울금초, 소나무와 잣나무의 사례를 제시해 허자의 생각을 반박했다. 

또한, 옛사람이 세상을 다스릴 때 만물의 도움을 받은 것의 구체적인 사

례도 제시하였다.

더욱 신기롭더라.’에서 <보기>가 노래로 불렸음을 알 수 있다.

⑤ 이 글의 작가는 남편, 시숙, 비복, 기생 등 여러 사람과 함께 달맞이를 

하고 있으나, <보기>에는 화자 외의 다른 인물이 등장하지 않는다.

3  ㉡에서 글쓴이는 모든 것이 임금님의 은혜라고 말하고 있으며, ④에서
도 자연에서 한가하게 살아가는 것이 임금님의 은혜라는 태도를 드러

내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⑤ 강호한정의 태도를 보이고 있다.

② 자신의 신념대로 행동하겠다는 삶의 태도를 보이고 있다.

③ 매화에 대한 예찬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4  이 글에서 일출의 장관을 칭송하고 있기는 하지만 대상의 재주는 나타나
지 않고, <보기>에서는 대상, 즉 바늘의 재주가 뛰어남이 드러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보기>에서는 바늘에 인격을 부여하여 의인화하고 

4  이 글에서는 실옹의 말을 통해 사람이 만물과 동등하다는 생각을 드러
내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사람이 자연을 지배하는 존재가 아니라 자연

있다.

을 구성하는 하나의 일원이라는 생각과 통한다.

오답 뜯어보기   ①, ② 사람이 만물과 차이가 있으며 우월하다는 관점이 

드러난다.

② 이 글에서는 활유법을 사용하여 해를 역동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③ <보기>의 화자는 부러진 바늘에 대한 애틋한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④ 이 글과 <보기> 모두 직유법을 사용하여 대상을 구체적으로 묘사하

고 있다.

정답과 해설 393

5  해돋이 과정에서 ‘그 위로 작은 회오리밤 같은 것이 붉기가 호박(琥珀)
구슬 같고’, ‘밤 같던 기운이 해 되어 차차 커가며, 큰 쟁반만 하여’, ‘쟁반

083

옛사람의 독서 일기 _ 유만주

254~255쪽

키포인트 체크   독서, 비판, 책 바보, 노비

같은 것이 수레바퀴 같아서’ 등 해를 보이는 크기에 따라 ‘회오리밤 →

큰 쟁반 → 수레바퀴’에 비유하고 있다. ‘큰 실오라기’, ‘손바닥 너비’, ‘항

아리’, ‘독’ 등은 해가 아니라 해의 붉은 기운을 나타낸 표현이다.

6  이 글에서는 일출의 광경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고 있고, 작가도 일출의
아름다움에 감탄하고 있기 때문에, 슬프고 애절한 음악보다는 밝고 웅

장한 배경 음악이 어울린다.

7  이 글의 (다)에서는 일출의 장관을 일출의 진행 과정에 따라 세세하게
나누어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보기>의 서술자는 메밀꽃 핀 메밀

밭에 달빛이 비추고 메밀밭 사이의 좁은 길로 세 사람이 걸어가는 모습

을 생생하고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따라서 (다)와 <보기> 모두 대

상을 세밀하게 관찰하여 그림을 그리듯이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묘사의

표현 방법을 사용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1 ⑤  2 ②  3 ④  4 ②  5 중국 사람들은 책이 누구로부터 전해졌고 
책을 누가 평비하며 읽었는지 알려 주기 위해서 책에 장서인을 찍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그 책이 자신의 소유임을 밝히기 위해서 장서인을 찍는다.

1  이 글에서 작가가 다른 책의 내용을 인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드러낸 부

분은 나타나지 않는다.

아 내용을 전개하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이 글은 책과 독서에 관한 작가의 생각을 제재로 삼

② (나)에서 작가는 장서인을 찍는 행위에 대해 우리나라 사람들과 중

국인들의 태도를 대조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③ 이 글에서는 책을 혼자서만 소유하고 다른 사람과 나누지 않는 것은

어리석은 행위라고 단정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④ (나)에서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사실을 의문문의 형식으로 표현하는

설의법을 사용하여 사사로운 마음으로 책을 소장하려는 태도를 비판적

으로 서술하고 있다.

082

이름 없는 꽃 _ 신경준

키포인트 체크   꽃, 이름, 실질, 사례

2

(가)의 마지막 문단에서 집에 책이 한 권도 없어도 좋으며, 모은 책을 다

흩어 버려도 좋다고 말하고 있다.

252~253쪽

오답 뜯어보기   ① (가)에서 책을 혼자서만 소유하고 다른 사람과 나누

지 않는 사람은 책 바보이며 이는 어리석은 행동이라고 서술하고 있다.

③ (나)에서 우리나라 사람과 중국인이 장서인을 찍는 행위의 의도가

1 ①  2 ③  3 ④  4 이름은 아름답지 않아도 되고 없어도 된다.

서로 다르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1  작가는 자연물인 꽃을 보며 느낀 점, 즉 사물의 참된 가치가 사물의 이
름이 아닌 사물의 본질에 있다는 교훈을 독자에게 전달하고 있다. 따라

서 자연을 통해 알게 된 삶의 이치를 독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

로 이 글을 썼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2  이 글의 작가는 사물에 이름을 꼭 붙일 필요가 없음을 주장하기 위해 음

식, 옷, 생선 등의 사례를 활용하고 있다.

3

[A]는 이름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작가의 주장을 반박하기 위

해 ‘어떤 이’가 한 말이고, [B]는 ‘어떤 이’의 반대 의견을 재반박하여 상

대방을 설득하기 위한 작가의 발언이다.

④ (다)에는 요즘 어린애들이 욕심을 내고 빨리 읽으려 하는 것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이 드러나 있다.

⑤ (가)의 세 번째 문단에서 훌륭한 서화나 멋진 책을 혼자 구경하며 걱

정만 하는 것을 사소한 물건의 노비가 되는 것이라 말하고 있다.

3

4

(다)에서 작가는 책을 빨리 읽기 위해 욕심을 내는 것은 세상에 널리 퍼

진 폐해라고 했다. <보기>의 ‘나’는 책을 많이 읽기 위해 속독을 했는데

이는 작가가 제시한 올바른 독서 자세와 거리가 있다.

(가)에서 작가는 만 권의 책을 쌓아 두고 있더라도 문장과 학문에 뜻이

없다면 무용지물이라 했고, 비록 책 한 질 없더라도 글을 읽고자 하는

정성이 있다면 멋진 책이 절로 눈앞에 올 것이라 했다. 따라서 만 권의

책이 있더라도 글을 읽고자 하는 정성이 없다면 무용지물이라고 보는

4  이 글에서 작가는 사물의 이름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본질(실질)이 중
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주제를 드러내는 과정에서 자신의 주장

것이 적절하다.

을 뒷받침하기 위해 초나라 어부와 굴원의 고사를 활용하고 있다. 이들

오답 뜯어보기   ① 책이 없더라도 글을 읽고자 하는 정성이 있으면 멋진

의 이야기를 통해 작가는 ‘(이름이) 아름다워도 되고 천해도 된다면 꼭

책이 절로 눈앞에 올 것이라 했으므로, 만 권의 책이 글을 읽고자 하는

아름답기를 생각할 필요가 있겠는가?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된다면 없는

정성의 필수 요소라고 보기 어렵다.

것도 정말 괜찮은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작가가 초나라 어

③ 글을 읽고자 하는 정성이 있으면 훌륭한 책이 눈앞에 올 것이라고 했

부와 굴원의 이야기를 통해 전달하려는 것은 이름은 아름답지 않아도

을 뿐 만 권의 책을 얻을 수 있는지는 알 수 없다.

되고 없어도 된다는 생각이다.

● 〈이름 없는 꽃〉에 반영된 실학적 사고

④ 작가는 ‘만 권의 책을 쌓아 두고 있다 할지라도 문장과 학문에 뜻이

지식

없다면’이라고 가정하고 있으므로, 역으로 만 권의 책과 글을 읽고자 하

는 정성을 함께 가질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⑤ 만 권의 책을 소유하는 것은 작가가 추구하는 책을 대하는 자세와 거

조선 시대의 사대부들은 사물의 실질보다는 관념적인 명분을 중요하게 여겼다. 그런

데 조선 후기가 되면서 명분과 같은 허울에만 빠지지 말고 사물의 실질에 주목하고 

실생활의 가치에 더 힘써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이것이 바로 실학의 

리가 멀다.

근간이 되는 사고이다. 이름보다는 실질을 주목하라는 주장이 나타난 이 글은 이러

한 점에서 실학적 사고를 담아낸 글이라고 할 수 있다.  

5

(나)에서 작가는 책에 장서인을 찍는 행위에 대해 우리나라 사람들의

의도와 중국인들의 의도를 대조하여 설명하고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

394 정답과 해설

정답44과 해설 은 책을 소장하는 것을 근본으로 삼으므로, 그 책이 자신의 소유임을 드

이 나서 우는 것이라고 잘못 해석하고 있다고 했다.

러내기 위해 장서인을 찍는다고 했다. 반면 중국인들은 책을 유통하는 

⑤ 칠정 중 어느 정으로 울어야 하느냐는 정 진사의 물음에 작가는 갓난

것을 근본으로 삼으므로, 그 책이 누구로부터 전해졌고 누가 평비하며 

아기가 세상에 나왔을 때의 정을 예로 들어 기쁨과 즐거움으로 울어야 

읽었는지를 알려 주기 위해 장서인을 찍는다고 했다.

함을 이야기하고 있다.

084

통곡할 만한 자리 _ 박지원

키포인트 체크   요동, 울음, 문답, 해석

1 ①  2 ⑤  3 울음과 웃음 모두 사람의 지극한 감정이 이치에 맞게 터져나
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4 ⑴ 울음 ⑵ 억압받고 있다가 자유롭게 표출되는 감
정이다.  5 ②  6 ①  7 ①  8 ⑤  9 청나라의 새로운 문물과 넓은
땅  10 칠정(七情) 중 어느 정으로 울어야 하는지를 물음.

1  작가는 요동 벌판의 광활함을 보고 인간이란 왜소한 존재라고 여기고 
큰 감동을 받는다. 그러나 자연과 대비하여 인간사의 무상함을 드러내

6  작가는 ㉠에 대해 대답하면서, 갓난아이가 세상에 처음 태어났을 때 우
는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갓난아이는 어둡고 좁은 엄마 뱃속에서 넓은 

세상으로 나와 부모와 친척들을 보고 기쁘고 즐거워 우는 것이므로, ㉠

256~259쪽

에 대한 대답은 희(喜)와 락(樂)이라고 할 수 있다.

7  ㉡은 광명을 볼 수 있는 바깥세상과 차단된 폐쇄적인 공간, 즉 성리학에 

갇혀 있는 조선 사회의 폐쇄성을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8  작가는 광활한 요동 벌판에 이르러 전망이 탁 트인 넓은 세계를 만나는 
기쁨을 갓난아이가 세상에 태어난 기쁨과 즐거움에 빗대어 말하며 ‘한

바탕 통곡할 만한 자리’라고 말하고 있는데, ㉢은 바로 작가가 넓은 세

계를 만나는 기쁨을 표현한 부분으로 작가의 넓고 큰 기상이 드러나고 

있다. 그러므로 ㉢에서 엿볼 수 있는 작가의 기질은 ‘활달한 기질’을 나

타내는 ‘호연지기(浩然之氣)’가 적절하다.

오답 뜯어보기   ① 기고만장(氣高萬丈): 우쭐하여 뽐내는 기세가 대단

지는 않았다.

했다.

오답 뜯어보기   ② 작가는 인간은 희로애락애오욕의 모든 감정이 극에 

함을 이르는 말이다.

달하면 울음이 나오는 것이니, 북받쳐 나오는 감정이 이치에 맞아 터지

② 안하무인(眼下無人): 눈 아래에 보이는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방자

는 것은 웃음과 다를 바가 없다는 논리를 제시하여 울음을 새롭게 해석

하고 교만하여 다른 사람을 업신여김을 이르는 말이다.

③ 작가는 요동 벌판의 광활함을 보고 현기증이 날 듯했다고 말하고 있

는데, 이는 작가의 심리적 충격이 매우 큼을 드러낸 것이다.

④ 천하의 장관을 보면 감탄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작가는 한바탕 울어 

볼 만하다고 표현하여 기존의 인식과 다른 발상을 보여 주고 있다.

⑤ ‘삼류하(三流河)’, ‘냉정(冷井)’ 등과 같은 지명과 작가 일행이 가마와 

말을 타고 이동하고 있다는 내용에서 이 글이 여행기임을 알 수 있다.

한다.

이른다.

2  통곡에 대한 작가의 창의적 발상이 청나라를 여행하는 도중 요동 벌판
을 본 것을 계기로 겉으로 표현되었을 뿐, 한바탕 울어 볼 만한 감정을 

청나라에서만 느낄 수 있는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나)의 ‘복받쳐 나오는 감정이 ~ 웃음과 뭐 다르리오?’에서 작가가 울

음과 웃음이 같다고 말한 이유를 알 수 있다.

4  이 글의 작가는 ‘울음’을 칠정이 극에 달하여 복받쳐 나오는 감정이라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이는 <보기>에서 말하는 ‘카타르시스’에 해당된

다. ‘카타르시스’ 역시 무의식적으로 억압받던 감정이 자유롭게 표출되

어 나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 ‘카타르시스’의 

의미로 사용되는 어휘는 ‘울음’이며, 공통점은 ‘억압받다가 자유롭게 터

져 나오는 감정’이라고 볼 수 있다.

5  작가는 통곡할 만한 자리로 비로봉 꼭대기에서 동해 바다를 바라보는 
곳, 황해도 장연의 금사 바닷가, 그리고 요동 벌판 등을 꼽고 있는데, 그

중에서 어떤 곳이 최고의 장소인지 특별히 지정하여 말하지는 않았다.

오답 뜯어보기   ① 정 진사가 두 번째 질문에서 칠정(七情) 가운데 어느 

정으로 울어야 하는지를 묻고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다.

③ 유아독존(唯我獨尊): 세상에서 자기만 잘났다고 뽐내는 태도를 뜻

④ 천방지축(天方地軸): 몹시 급하게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습을 

9  작가는 갓난아이가 엄마 뱃속에서 나온 기쁨과 즐거움을 드러내기 위
해 한바탕 운다고 했는데, 이러한 모습은 조선의 협소함 속에서 갇혀 살

다가 광활한 요동 벌판을 보고 한바탕 울음을 울 자리라고 생각하고 있

는 작가의 모습과 닮아 있다. 여기서 ‘탁 트인 넓은 곳’은 청나라의 새로

운 문물과 넓은 땅을 비유한 표현이다.

10 정 진사는 울음이 인간의 모든 감정이 극에 달했을 때 터지는 것이라는 
작가의 말을 듣고 그 말에 공감하며 수용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에 

자신도 한바탕 통곡을 할 것인데 칠정(七情) 중 어떤 정에 따라 울어야 

하는지 작가에게 묻고 있다.

085

일야구도하기 _ 박지원

키포인트 체크   강, 흐름, 소리, 역동

260~263쪽

1 ⑤  2 ③  3 ③  4 ①  5 ①  6 ④  7 ①  8 ‘마음이 어두운
자’는 외물에 현혹되지 않는 초연한 태도를 지닌 사람이고, ‘귀와 눈만을 믿는 자’

는 외물에 현혹되어 사물의 본질을 깨닫지 못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1  대상의 속성을 점점 강하거나 크게 표현하는 방법은 점층법이다. 이 글
에서 ‘우는 듯, 소리치는 듯, 바쁘게 호령하는 듯’과 같이 열거법은 사용

③ 작가는 요동 벌판은 사방에 한 점 산이 없고 비바람만이 창망하기 때

되었으나 점층법은 사용되지 않았다.

문에 한번 통곡할 만한 자리라고 말하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물이 흐르는 모양을 역동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④ 일부 사람들은 갓난아이가 세상에 태어날 때 우는 울음을 슬프고 성

② 물에 인격을 부여하여 표현하고 있다.

정답과 해설 395

③ 청각적 이미지와 시각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생생함을 더하고 있다.

(耳目)에 구애됨이 없는 사람이다. 이는 외물에 감정이 휩쓸리지 않는 

④ ‘~듯’과 같은 직접 연결어로 결합하여 물소리를 다양하게 비유하고 

초연한 마음 자세를 지닌 사람을 의미한다. 하지만 ‘귀와 눈만을 믿는 

있다.

자’는 소리와 빛과 같은 외계(外界) 현상에 쉽게 현혹되어 참소리와 참

모습을 가려내지 못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2  이 글에서 작가는 ‘산중의 내 집 문 앞에는 큰 시내가 있어 ~거기(車騎)
와 포고(砲鼓)의 소리를 듣게 되어 드디어 귀에 젖어 버렸다.’라고 했으

므로, 요란한 물소리가 귀에 익숙해진 상태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작가는 강을 아홉 번 건넌 경험이 있고, ‘주옹’은 물에 

띄운 조각배에서 지내고 있다.

② 작가는 듣는 이의 마음가짐에 따라 강물 소리가 다르게 들린다고 했

고, 주옹은 ‘사람의 마음이란 다잡기와 느슨해짐이 무상(無常)하니’라

며 이어서 자신이 평탄한 땅 위에서 살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여, 마음가

짐을 잘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을 말하고 있다.

④ 주옹은 두려워서 조심하면 위태로움을 면하여 오히려 더 안전할 수 

있다고 했다.

⑤ 작가는 마음에 따라 물소리가 달리 들린다고 말하고 있다.

086

상기 _ 박지원

키포인트 체크   코끼리, 하늘, 문답법

264~265쪽

1 ①  2 ⑤  3 ⑤  4 ④  5 일부분의 내용을 전체로 확장하는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1  작가는 열하의 행궁 서쪽에서 코끼리 두 마리가 움직이는 모습을 보고 

크게 놀랐는데, 이 경험을 토대로 글을 작성하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② 작가는 문답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는 실제로 사람

들과 대화한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일반적인 통념을 바탕으로 작성한 



[A]에서 작가는 소리를 들을 때 다양한 느낌이 연상되는 이유은 결국 듣

것이다. 

는 이의 마음가짐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즉, 귀를 통해 들리는 

③ 코끼리가 코로 호랑이를 죽일 수 있다는 것은 언급되어 있으나, 그것

소리를 있는 그대로 듣지 않고 주체의 생각에 따라 판단하고 있음에도, 

을 작가가 직접 봤는지는 알 수 없다.

이를 알지 못한 채 소리에 투영된 자신의 생각을 소리의 본질이라 믿는 

④ 작가가 동해에서 본 것은 그 정체가 무엇인지 분명하게 언급되지 않

것은 외물에 구애된 어리석은 생각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았다. 따라서 파도 위에 말이 서 있었다고 확신할 수 없다.  

4  ㉠은 목숨이 위태로운 급박한 상황에서 나온 말로, 거의 죽게 되어 곧 
숨이 끊어질 지경에 이름을 뜻하는 명재경각(命在頃刻)과 그 의미가 

유사하다.

요절하는 일이 많음을 뜻한다.

오답 뜯어보기   ② 미인박명(美人薄命): 미인은 불행하거나 병약하여 

⑤ 작가가 코끼리가 엄니 때문에 식사에 곤란을 겪을 것이라고 추측하

고 있을 뿐, 그 모습을 실제로 본 것은 아니다.

2  코끼리라는 존재가 당시 조선 사람들에게 다소 신비롭고 환상적인 소
재임은 분명하다. 하지만 코끼리는 현실에 존재하는 동물이다. 따라서 

비현실적인 내용에 해당하는 전기적(傳奇的) 요소라고 보기는 어렵다.

오답 뜯어보기   ① 북경, 열하 등 중국의 구체적인 지명을 제시하여 내

③ 절치부심(切齒腐心): 이를 갈고 마음을 썩이다는 의미로, 대단히 분

하게 여기고 마음을 썩임을 뜻한다.

용의 사실성을 높이고 있다. 

④ 사면초가(四面楚歌): 아무에게도 도움을 받지 못하는, 외롭고 곤란

② 자신이 묻고 이에 대한 답도 자신이 스스로 제시하면서 문답법을 사

한 지경에 빠진 형편을 이른다.

용했다.

⑤ 고립무원(孤立無援): 고립되어 구원을 받을 데가 없음을 뜻한다.

③ 자신의 주장에 대한 사람들의 통념을 제시하고, 또 이에 대한 자신의 

5  이 글은 추상적인 개념을 논리적으로 해석한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경
험을 통해 깨달은 바를 서술한 것으로, 교훈적이며 설득력이 강하다.



(가)에서 먼저 ‘요동 들은 평평하고 넓기 때문에 물소리가 크게 울지 않

는 것’이라는 사람들의 편견이 제시되고, 이에 대해 작가는 체험을 근거

로 낮과 밤에 물소리가 다르게 들리는 이유를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나)에서 그러한 체험을 통해 깨달음을 얻은 뒤 강을 건널 때에 두려움

이 없어지고 평정심을 유지할 수 있었음이 드러나 있다. 그러나 IV-1과 

같이 ‘큰 소리를 내며 흐르는 강물을 좋아하게 되었다.’라는 내용은 제

시되지 않았다.

7 이  글의 작가는 눈에 보이거나 귀에 들리는 대상에 휘둘리지 말고 마음
을 다스리는 것이 인생을 살아가는 바른 태도라고 역설하고 있다. 이러

한 관점에서 본다면, ①과 같이 두꺼운 책은 읽기 어려울 것이라 미리 

판단하고 겁을 먹는 대신 자신의 마음을 다스려 묵묵히 책을 읽어 나가

는 태도가 외물에 현혹되지 않은 바람직한 삶의 자세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396 정답과 해설

반박과 재반박을 드러내고 있다.

④ 코끼리의 외양을 묘사하는 부분에서 코끼리를 소, 당나귀, 낙타 등에 

비유하고 있으며, ‘소의 몸뚱이에 당나귀 꼬리요, 낙타의 무릎에 호랑이 

발굽이요’와 같은 부분에서 대구가 나타난다. 

3  <보기>를 보면 박지원의 〈상기〉가 창작되었던 시기의 사회에서는 하늘
의 이치를 절대화하여 인간과 자연의 모든 것을 이와 결부시켰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글에서 작가는 사람들이 하늘이 낸 이치로 세상의 모

든 사물을 판단하는 것을 비판하고 있다. 따라서 작가가 비판하고자 하

는 것은 모든 것을 하늘의 이치로 판단하는 획일적 사고방식이다. 

4  작가는 코끼리가 움직이는 모습을 보며 그 기괴함에 크게 놀랐다. 그러
면서 동해에서 봤던 어떤 것을 떠올리고 있는데, 그것도 기괴한 모습으

로 작가의 머릿속에 남아 있었다. 따라서 작가가 동해에서의 일을 떠올

린 것은 코끼리를 보고 받은 충격과 비슷한 느낌의 경험이 생각났기 때

문이다. 

라 북경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작가가 난생처음으로 코끼리를 본 곳은 열하가 아니



‘마음이 어두운 자’는 자신의 마음을 고요하게 가라앉히는 사람, 이목

② 우리나라 동해에서 코끼리를 볼 수 있었다는 내용은 나타나지 않는

정답44과 해설 다.

아의 내면, 즉 참된 ‘나’로, 세속적 현실을 좇는 ‘나’가 세상의 바람에 흔

③ 열하 행궁에서 코끼리를 볼 때의 날씨는 이 글에 언급되어 있지 않으

들리고 미혹에 빠지려고 할 때 중심을 잡아 줄 수 있는 든든한 기둥과 

며, 날씨 때문에 동해에서의 일을 떠올린 것도 아니다.  

같은 것이다. 이처럼 작가는 ‘나’의 두 가지 의미를 대비하여 참된 ‘나(본

⑤ 작가는 과거 동해에서 본 것이 물고기인지 산짐승인지 알지 못한다

질적 자아)’를 지키는 것이 중요함을 말하고 있다.

고 서술하고 있다.

5 ㉡ 에서는 코끼리 전체 몸뚱이에서 가장 작은 것을 가지고 보면 이렇게 
엉터리 비교가 나온다고 말하며, 사물의 일부분을 전체로 일반화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하고 있다. <보기>에서도 사람들은 자신들이 

만진 것이 전체의 일부분임에도, 이를 전체로 일반화하는 오류를 범하

고 있다. 즉, <보기>에 나타난 문제점은 일부분의 내용을 전체로 확장

하는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임을 알 수 있다. 

087

수오재기 _ 정약용

키포인트 체크   수오재, 나, 본질적, 대화

1 ⑤  2 ②  3 ③  4 ㉠: 참된 ‘나’, ㉡: 참된 ‘나’를 지키는 일이 중요하다

1  이 글에서 큰형님과 둘째 형님을 언급하고는 있지만, 작가가 초점을 맞

추고 있는 것은 작가 자신의 삶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④ 큰형님이 자신의 집에 ‘수오재’라는 이름을 붙인 

088

포화옥기 _ 이학규

키포인트 체크   노비, 여관, 만족

268~269쪽

266~267쪽

1 ①  2 ①  3 ②  4 주어진 운명에 순응하기만 하는 것은 현실을 합리
화하는 무기력한 삶의 자세이다. / 어려운 현실 상황에 안주하지 말고 이를 개선

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1 이  글은 유배지에서 고통스러운 삶을 살고 있던 ‘나’가 나그네로부터 어
떤 노비의 이야기를 듣고, 힘든 상황을 견딜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깨달

음을 얻게 된 과정을 보여 주고 있다.

것에 의문을 가졌다가 그 의미를 깨닫게 된 경험을 이야기하며 교훈을 

● 이학규의 문학관

전하고 있다.

(記)’라고 할 수 있다.

② 이 글은 경험에 따른 자신의 깨달음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

이학규는 유배지에서 오직 문학 작품 창작에 전념했는데, 당시 강진에 유배되어 있

던 정약용의 현실주의적 문학 세계에 공감하고, 유배지에 살고 있는 민중들의 생활

양상과 감정을 작품에 수용했다. 이를 통해 그는 사실적인 표현과 현실적인 내용의

작품을 남겨 다산 정약용과 더불어 19세기 전반기를 대표하는 남인계 문인으로 평

③ 작가는 과거 공부와 벼슬길에 빠져 자신을 돌아보지 못하고 지내다 

귀양을 가게 된 과거에 대해서 반성하고 있다.

가받고 있다.

● 한문 수필의 종류

한문 수필의 양식에는 논(論), 기(記), 서(序), 설(說) 등이 있다.

논(論)

지금의 논설문에 해당한다. 주로 사리를 판단하여 옳고 그름을 밝히는 문체
이다. 논리를 세워 분석하는 것이 핵심이다.

서(序)

설(說)

사물의 발단과 끝맺음을 적은 글로 서문(序文) 또는 서(敍)라고도 한다. 원래
작가 자신이나 작가와 관련된 사람이 저작물의 의도와 성립 경과를 소개, 논
평하여 책머리 또는 책 끝에 붙이는 문장을 뜻했으나, 후에 전체 사물의 발단,
시말을 질서 정연하게 서술하는 단독 문장으로 발전했다.

대체로 구체적인 사물에 관해 자기의 의견을 서술하면서, 사리를 설명하여
나가는 한문 수필 갈래를 칭한다. 사물에 대한 해석이나 사물과 관련된 서술
을 통해 자신의 깨달음이나 삶의 교훈을 드러낸다.

2 이  글은 ‘나와 굳게 맺어져 있어 어디로 가겠는가?’, ‘너는 무엇 때문에 
여기까지 왔느냐?’ 등 스스로 질문을 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 가

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다.

3  <보기>는 지조 있는 삶을 강조하는 글이다. <보기>의 주인은 깨끗한 선
비로 지내려 했으나 가난 때문에 벼슬아치가 되었다가 죽음에 처하고 

지식

2  이 땅에서의 삶에 대해 이 글의 노비는 나그네가 잠시 머무는 ‘여관’으
로 생각하고 있고, <보기>의 ‘나’는 ‘소풍’으로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이 

두 사람 모두 현실을 ‘이 땅은 잠깐 머물다가 가는 곳’으로 인식하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 천상병, <귀천(歸天)>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독백적, 관조적, 낙천적

•주제: 죽음에 대한 정신적 승화와 삶에 대한 달관

• 감상: 생명의 유한성을 인식하고, 삶에 대한 달관과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드

러낸 작품이다. 언젠가 다가올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없고, 두고 가야 할 세상에 미

련도 집착도 없는 무욕의 경지를 드러내고 있는데, 이는 화자가 지상에서의 삶을

‘소풍’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에서 잘 표현되어 있다.



‘나’는 열악한 주거 환경을 신경 쓰다 마음과 몸에 병을 얻었다. 반면 노

비는 ‘나’보다 열악한 환경에도 만족하며 지내 걱정이 없을 뿐더러 건강

하게 오래 산다. 나그네는 이러한 노비의 예화를 들어 주어진 삶에 만족

만다. 즉, <보기>의 주인은 배고픔(가난)이라는 한순간의 괴로움을 참

하며 살아가는 태도가 필요함을 깨우쳐 주고자 한 것이다.

지 못하고 지조를 버린 사람이다. 이런 행동을 한 주인의 <수오재기>에

서 말하는 ‘나를 잃은 자’라고 할 수 있다.

4  이 글에서 작가는 ‘나’와 ‘또 하나의 나’를 구분하여 ‘현상적 자아’와 ‘본
질적 자아’로 제시하고 있다. ‘본질적 자아’는 간직하고 지켜 내야 할 자

4  카네기는 어려운 집안 형편에도 불구하고 근면함과 성실함으로 주어진 
운명을 개척한 사람이다. 따라서 주어진 운명에 순응하는 노비의 태도

에 대해 어려운 현실 상황에 안주하지 말고 그것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

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평가할 것이다.

지식

지식

정답과 해설 397

089

한중록 _ 혜경궁 홍씨

키포인트 체크   사도 세자, 혜경궁 홍씨, 자결, 세손, 궁중, 내간체

1 ⑤  2 ②  3 ⑤  4 곤룡포를 벗고  5 임금이 세자를 죽일 정도로 당
시 정쟁이 심각했다.  6 ①  7 ⑤  8 ③  9 ⑤  10 세손의 목숨을
보전하기 위해서이다.

1  혜경궁 홍씨는 남편 사도 세자가 죽음을 맞이하는 과정을 어쩔 수 없이 
받아들이면서 비통해하고 있다. 이러한 태도는 중립적인 입장과는 거

270~273쪽

기>에서도 사도 세자는 자결하라는 명령을 따르지 않다가 임금이 칼을 

들고 자결을 재촉하자 자결하려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② 이 글에서는 혜경궁 홍씨의 주관적인 시각으로 임오

옥을 바라보고 있으나, <보기>에서는 보다 객관적인 시각으로 임오옥

을 서술하고 있다. 

③ 이 글과 달리 <보기>에서는 신만, 홍봉한, 정휘량, 이이장, 한광조, 

김성응과 같은 인물의 실명이 등장하고 있다.

④ 이 글과 <보기>는 모두 사도 세자가 폐위되고 뒤주에 갇혀 죽임을 당

한 임오옥을 다루고 있다.

리가 멀다.

후에 회고하여 기록한 것이다.

기술하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혜경궁 홍씨가 20대 후반에 경험한 임오옥을 60세 이

8  오빠와 ‘서로 붙들고 망극 통곡’한 것, ‘허다한 상하 내인이 다 뒤를 따르
며 통곡’한 것으로 보아, 오빠와 많은 내인이 혜경궁 홍씨의 처지를 이

② 서술자는 임오옥이 벌어지는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관찰하여 

해해 주고 있다.

③ 대상을 직접 드러내기보다는 우회적으로 표현하는 전아하고 품위 

남편 사도 세자의 처지를 운명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있는 궁중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② (라)의 ‘처분이 이러하시니 죄인의 처자가 편안히 대궐에 있기도 황

④ 서술자는 상황이 전개됨에 따라 ‘눈물 흘림. → 흉독함을 서러워함. 

송하옵고, 세손을 오래 밖에 두기는 귀중한 몸이 어찌 될지 두렵사오니’

→ 천지 망극하고 가슴이 찢어짐.’ 등의 정서를 드러내고 있다.

에서 자신과 아들(세손)의 앞날을 걱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다)의 ‘하늘이 어찌 이토록 하신고.’에서 뒤주에 갇힌 

2  선희궁은 편지에서 나라의 평안과 세손의 보존을 위해 아들 세도 세자
의 죄를 영조에게 고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있다. 여기서 선희궁은 자신

의 슬픔을 억누르는 비장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④ (나)의 ‘가슴을 두드려 아무리 한들 어찌하리오.’에서 남편의 죽음을 

앞두고 아무것도 할 수 없어 무력감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⑤ (다)의 ‘당신 용력(勇力)과 장한 기운으로 뒤주에 들라 하신들 아무

쪼록 아니 드시지, 어찌 마침내 들어가시던고.’에서 마침내 뒤주에 들어



‘내 차마 그 아내로 이 일을 옳다고는 못 하나 어쩔 수 없는 일이라.’라는 

간 남편을 원망하는 혜경궁 홍씨의 심정을 짐작할 수 있다.

문장을 통해, 혜경궁 홍씨는 선희궁이 영조에게 사도 세자의 죄를 고한 

것을 옳지 않다고 생각했음을 알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선희궁은 사도 세자의 생모임에도 대의를 위해 영조

에게 사도 세자를 대처분하라고 고하고 있다.

② 이 글에서도 영조는 사도 세자를 대처분하라는 선희궁의 말을 들은 

뒤 창덕궁 거둥령을 내리고, 선희궁은 혼절하고 만다. 따라서 창덕궁 거

둥령은 영조의 중대한 결정이 임박했음을 알려 준다. 실제로 영조는 중

요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 아버지 숙종의 어진을 모신 창덕궁 선원전을 

방문했다.

에 갇혀 죽음을 맞이했다.

③ 사도 세자는 영조의 대처분에 따라 세자의 지위에서 폐위되고 뒤주

④ 선희궁은 영조에게 사도 세자를 대처분하라고 고하면서 ‘세손을 건

져’ 종사를 평안히 하라고 하여, 세손을 살리려고 애쓰고 있다.

한다.



(바)에서 혜경궁 홍씨는 절망감에 자결하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깊은 슬픔에 몸조차 제대로 가누지 못하는, 겨우 목숨만 붙어 있는 상태

이다. 그러므로 ‘죽지도 살지도 아니하고 겨우 목숨만 붙어 있음.’을 의

미하는 ‘불생불멸(不生不滅)’ 또는 ‘불생불사(不生不死)’가 적절하다.

오답 뜯어보기   ① 은인자중(隱忍自重): 마음속에 감추어 참고 견디면

서 몸가짐을 신중하게 행동함을 뜻한다.

② 대경실색(大驚失色): 몹시 놀라 얼굴빛이 하얗게 질림을 뜻한다.

③ 풍전등화(風前燈火): 바람 앞의 등불이라는 뜻으로, 사물이 매우 위

태로운 처지에 놓여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사물이 덧없음

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서도 사용된다.

④ 진퇴양난(進退兩難):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어려운 처지를 뜻

10  남편 사도 세자가 죄를 지어 죽을 처지에 몰린 상황에서 죄인의 아들인 
세손마저 목숨을 장담할 수 없으므로, 혜경궁 홍씨는 세손을 살리기 위

해 출궁을 결심한 것이다.



‘곤룡포’는 임금이나 세자, 세손이 입는 의복의 하나를 뜻하는 말로, ‘곤

룡포를 벗었다’는 것은 사도 세자가 왕세자의 신분을 잃었음을 우회적

으로 표현한 것이다.

5  <보기>에서는 역사가들이 서로 대립하여 정쟁을 벌였던 노론과 소론이 
영조와 세자 간의 불신을 부추겼고, 그 때문에 사도 세자가 희생당했다

고 생각해 왔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영조는 세자가 죽은 직후에 세자를 

복위하고 ‘사도’라는 시호를 내렸음을 밝히고 있다. 이를 통해 영조가 

세자를 뒤주에 가둬 죽인 것을 후회했으며, 노론과 소론의 정쟁이 심각

하여 영조의 올바르고 정확한 판단을 방해했음을 추론할 수 있다.

6  일기 형식의 대표작은 〈계축일기(癸丑日記)〉이며, 〈한중록〉은 회고록

의 형식으로 기록되었다.

7  이 글에서 사도 세자는 자결하라는 영조의 명령을 거부하고 있다. <보

398 정답과 해설

090

조침문 _ 유씨 부인

키포인트 체크   바늘, 애통, 의인화, 제문

274~277쪽

1 ⑤  2 ④  3 ②  4 ②  5 바늘을 잃은 애통하고 안타까운(부러진 바
늘에 대한 애정과 슬픈)  6 ③  7 ⑤  8 ③  9 작가가 바늘을 사람처
럼 친숙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드러내어 부러진 바늘에 대한 안타까움과 추모의

정이 절실하게 느껴지게 한다.

정답44과 해설 1  이 글은 바늘을 앞에 두고 대화하듯이 진술하면서 바늘에 대한 작가의 
애정을 드러내고 있지만, 묻고 답하는 형식의 구성은 사용되지 않았다.

오답 뜯어보기   ① 바늘을 의인화하여 무생물인 대상과의 심리적 거리

이는 고려의 가전체 문학과도 연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 다양한 표현 기법의 사용: 바늘에 대한 애정을 영탄, 대구, 열거, 직유 등 다양한 표

현 방법을 사용하여 나타냄으로써 작가의 개성적이고 빼어난 문장 실력을 보여 준

다.

를 줄이고 있다.

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② ‘오호 통재라’ 등의 영탄적 어조를 통해 슬프고 애통한 감정을 직접

③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글인 제문의 형식을 사용해 부러진 바늘에 대

한 애도를 표현함으로써 내용과 형식의 유기성을 확보하고 있다.

④ ‘아깝다 바늘이여, 어여쁘다 바늘이여’, ‘물중(物中)의 명물(名物)이

요, 철중(鐵中)의 쟁쟁(錚錚)이라.’와 같이 3·4조의 운문적 표현도 나

타나고 있다.



‘동네 장인(匠人)에게 때이련들 어찌 능히 때일손가.’는 부러진 바늘을 

장인에게 보여도 땜질하기가 어렵다는 의미로, 작가가 바늘을 땜질하

는 장면을 찍기 위해 장소를 섭외하는 것은 글의 내용상 불필요하다.

오답 뜯어보기   ① 바늘이 부러진 때는 초겨울의 저녁 ‘희미한 등잔 아

래’이므로 배경을 어둡게 할 필요가 있고, 작가는 생계를 위해 바느질을 

했으므로 피곤한 표정을 보이는 것이 적절하다.

② 작가가 평소 바늘을 보관하던 바늘집은 은으로 만든 데다가 겉에는 

2  작가는 가산이 빈궁하여 바느질로 생계를 이어 가고 있어 바늘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갖고 있다. 그러나 세상 사람들이 바늘을 귀하게 여기지 

오색으로 파란을 놓은 것이다.

③ 제문은 죽은 이를 추모하는 것이므로 화려한 옷을 입기보다는 검소

않는 것을 비판하지는 않는다.

한 옷을 입어야 한다.

3  ㉠은 ‘쇠 가운데 으뜸’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이와 의미가 통하는 것은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말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

④ 누비며, 호며, 감치며, 박으며, 공그리는 장면을 구체적으로 보여 주

기 위해 클로즈업해서 찍는 것은 적절하다.

난 인물을 의미하는 ‘군계일학(群鷄一鶴)’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계란유골(鷄卵有骨): 운수가 나쁜 사람은 모처럼 좋

8  작가는 오랫동안 같이한 바늘을 잃고 애통한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이
렇게 볼 때 작가와 유사한 심정이 드러난 것은 ③의 임제의 시조로, 화

은 기회를 만나도 역시 일이 잘 안됨을 이르는 말이다.

자는 죽은 이(황진이)의 죽음을 애통해하면서 인생무상(人生無常)을 

③ 아치고절(雅致高節): 아담한 풍치나 높은 절개라는 뜻으로, 매화를 

드러내고 있다.

이르는 말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서경덕의 시조로, 그리운 사람을 향한 기다림과 안타

④ 천의무봉(天衣無縫): 일부러 꾸민 데 없이 자연스럽고 아름다우면

까움의 심정이 드러나 있다.

서 완전 무결함을 이르는 말이다.

② 기녀 명옥의 시조로, 주체할 수 없이 쌓인 그리움을 꿈속에서나마 풀

⑤ 화룡점정(畵龍點睛): 무슨 일을 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부분을 완성

어 보겠다는 간절한 소망이 담겨 있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④ 이정보의 시조로, 국화를 의인화해서 그 절개를 찬양하고 있다.

⑤ 봉림 대군이 병자호란의 패전으로 소현 세자와 함께 볼모가 되어 심

양으로 끌려갈 때 부른 시조로, 춥고도 먼 타국 땅으로 끌려가는 봉림  

대군의 처연한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9  대상을 의인화하면 대상과 정서적 교감을 나눌 수 있다. 이 글에서도 바
늘의 의인화는 작가가 바늘을 사람처럼 친숙하고 기댈 수 있는 대상으

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효과가 있다.

4  ⓑ는 임금의 명을 받들었다는 의미로, 작가의 시삼촌이 동지상사로 임

명을 받았다는 뜻이다.

5  바늘과 함께 동고동락하면서 바늘로 생계를 잇고 있었던 작가의 입장
에서 볼 때, 바늘이 부러진 것은 사람이 죽은 일에 비할 만큼 매우 슬프

고 안타까운 일이었을 것이다. 따라서 작가는 이러한 마음을 효과적으

로 부각하기 위해 제문 형식을 취해 바늘을 애도하고 있는 것이다.

6  과거의 일을 회상하는 장면이 나오고는 있지만, 이러한 내용이 탈속적

(속세를 벗어난 것)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오답 뜯어보기   ① 작가가 일상생활에서 늘상 접하고 사는 바늘을 소재

로 삼아 내용을 전개하고 있다.

② 이 글과 가전체는 의인화라는 표현 기법 면에서 서로 통하는 부분이 

있다.

했다.

④ 작가는 섬세하고 다정다감한 문체로 바늘에 대한 애정을 표현하며 

바늘을 잃은 슬픔을 극대화하고 있다.

⑤ 바늘이 부러질 때의 상황을 ‘지끈동’이라는 의태어를 사용하여 표현

지식

● <조침문>에 드러난 작가의 개성

추모의 정을 드러냈다.

• 제문 형식의 글: 죽은 사람을 추모하는 제문 형식을 차용하여 바늘에 대한 애정과

• 사물의 의인화: 바늘을 의인화하여 바늘과 함께한 긴 세월을 회고하고 있다. 이를

통해 대상과의 친밀함을 강조하고, 대상을 잃은 슬픔을 실감 나게 표현하고 있다.

정답과 해설 399

3  판소리

095

흥보가 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형제, 권선징악, 금은보화

낼 수 있다는 조언을 건넬 수 있을 것이다.

282~285쪽

9  흥보는 돈의 이중적인 성격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돈으로 무엇이든 
사고팔 수 있기에 부자건 가난한 사람이건 모두가 돈을 좋아하며 흥보 

또한 돈을 반기고 있지만, 그만큼 돈이 가진 위력도 알고 있기에 냉소적

이고 비판적인 태도도 함께 지니고 있다.

1 ③  2 ③  3 ④  4 진양조는 가장 느린 장단으로, 속상하고 애절한 흥
보의 마음을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5 ‘창’은 청자에게 심리적 긴장감을 불러
일으키고 ‘아니리’는 청자의 긴장감을 이완시킨다.  6 ⑤  7 ④  8 ④  
9 모두 ‘잘난 돈’을 갖고자 한다고 표현하며 돈을 반기면서도 ‘생살지권(生殺之
權)을 가진 돈’, ‘부귀공명이 붙은 돈’에 대해 냉소적이고 비판적인 시각도 가지고

있다.

1  흥보는 놀보 내외에게 매를 맞고 쫓겨났음에도 마누라에게는 형님 댁
에서 전곡을 많이 주었으나 집에 돌아오는 길에 도적에게 빼앗기고 매

를 맞은 것이라고 하며 놀보 내외를 두둔하였다.



[A]의 ‘잘살기 내 복이요 못살기도 니 팔자.’라는 말을 통해 인생의 수복

이 하늘에 달려 있다는 운명론적 태도를 읽어 낼 수 있으며, 볏섬도 뒤

주 안에 있고, 천록방 금궤 안에 떼돈도 들어 있지만 흥보에게 줄 것은 

없다는 말을 통해 도와줄 형편은 되지만 도와주고 싶지 않은 놀보의 생

다.

각을 파악할 수 있다.

096

적벽가 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용맹, 고통, 혼비백산

286~289쪽

1 ⑤  2 ②  3 ①  4 ③  5 전쟁이 끝나 하루빨리 어머님, 아버님 곁
으로 돌아가 가족과 함께 살기  6 ②  7 ④  8 ②  9 조조를 조롱함
으로써 골계미를 드러내고 있다.

1  이 글은 전장에 나온 군사들이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설움을 토로하고 
있는 장면으로, 시선의 빠른 이동에 따른 긴장감 조성은 나타나지 않는

오답 뜯어보기   ① 군사들이 고향의 부모와 처자를 그리워하는 심리를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3 ㉠ 은 ‘벰’과 ‘뱀’의 유사한 발음을 이용한 언어유희가 사용된 부분으로, 

② 군사들의 대화 중간에 해설에 해당하는 아니리를 제시하여 대화와 

이와 같은 표현은 판소리의 해학성을 높여 준다.

서술이 교차되고 있다.

4  ㉡은 진양조로 가장 느린 장단이다. 흥보가 놀보 아내에게 뺨을 맞고 쫓
겨나는 장면에서 진양조의 느린 장단은 흥보의 속상하고 애절한 마음

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에 적절하다.

5  자진모리장단은 급박한 상황이 진전되는 장면이나 격동적 장면에서 쓰
이는 빠른 장단이다. <보기>의 밑줄 친 부분에서처럼 흥보가 놀보에게 

쫓겨나는 장면을 자진모리장단의 ‘창’으로 부르면 청자는 긴장감을 느

끼게 되고, 그 이후 장면을 ‘아니리’로 부르면 상대적으로 청자의 긴장

감이 이완된다. 판소리에서는 이러한 효과를 주기 위해 ‘창’과 ‘아니리’

를 교차하여 부른다.

6  <흥보가>는 판소리로 구연되기 때문에 생생한 구어를 사용하며 현재 

시제를 사용하여 생동감 있게 전개된다.

③ ‘노래 불러 춤추는 놈 ~ 턱 꿰인 놈’이 이에 해당한다.

④ 조조가 전장에서 패할 것을 암시하는 ‘병노즉장위불행(兵老則將爲

不幸)이라.’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나)의 군사는 부모를 그리워하며 느끼는 설움을, (다)의 군사는 아내를 

그리워하며 느끼는 설움을 주로 토로하고 있는데, 이들의 소망은 전쟁

이 끝나고 집으로 돌아가 각자의 가족들과 상봉하는 것이므로 모두 같

은 소망을 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자신의 설움을 들어 보라고 하면서 각자가 설움을 말

하고 있다.

③, ⑤ <삼국지연의>가 영웅을 중심으로 한 전쟁의 이야기를 생동감 있

게 그려 냈다면, <적벽가>는 민중 중심의 무명의 군사 이야기를 중심으

로 하여 그들의 설움을 제시함으로써 지배 계층에 대한 비판적 의식을 

오답 뜯어보기  ① 3·4조, 4·4조의 운문과 산문이 혼합되어 사용된다.

드러내고 있다.

② 서민적 표현과 양반의 한문 투가 섞여 사용되어 처음에는 서민층에 

④ ‘노래 불러 춤추는 놈, ~ 아이고, 울음을 우니,’에서 볼 수 있듯이 군

서만 향유되던 판소리가 점차 그 영역을 넓혀 갔음을 알 수 있다.

사들의 각양각색의 모습을 희화화하여 표현하고 있다.

③ 전라도 사투리를 구사하여 현장감을 높이고 있다.

7  흥보의 아내가 박에서 쌀과 돈이 나오자 쌀을 부어 보며 좋아하는 것은 
가난하고 어려운 형편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재물이 나왔기 때문이다. 이

3  ㉠은 하루에도 열두 번 부모를 생각한다는 뜻으로, 부모에 대한 그리움
을 드러낸 표현이다. ①은 윤선도의 <견회요> 중 4수로, 귀양을 간 화자

가 고향의 부모를 그리워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를 두고 황금만능주의적 가치관을 가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오답 뜯어보기  ② 유응부의 시조로, 세조의 횡포에 대한 비판과 인재가 

오답 뜯어보기   ③ 흥보가 어려울 때 도와주지 않고 자신을 쫓아냈던 놀

희생되는 것에 대한 걱정이 드러나 있다.

보를 불러오라고 하는 것에서 우애를 중시하는 인물임을 알 수 있다.

③ 서경덕의 시조로, 임을 기다리는 심정을 드러내고 있다.

⑤ 궤짝을 갖다 버리라고 하는 흥보에게 양심에 걸릴 것이 없으면 한번 

④ 이개의 시조로, 촛불을 통해 단종과 이별한 슬픔을 표현하고 있다.

열어 보자고 말하는 것에서 적극적으로 행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⑤ 김상헌의 시조로, 병자호란 때 청나라에 볼모로 끌려가는 안타까운 

8  <보기>에서 흥부 부부는 박을 가르기 전 가난한 상황에서도 웃음을 잃
지 않고 소박한 행복을 느끼고 있다. 따라서 <보기>의 화자는 궁핍한 현

4 ⓒ  ‘출문망(出門望)’은 ‘문밖에 나와 바라봄.’의 뜻으로 부모가 문밖에서 

실을 탄식하고 있는 ㉠(흥보 아내)에게 사랑과 웃음으로 어려움을 이겨

자식을 기다린다는 의미이다.

심정을 드러내고 있다.

400 정답과 해설

정답44과 해설 5 

(나)에는 전장에 나간 자식을 그리며 기다리고 있을 부모님을 생각하는 

군사의 마음이 나타나 있다. 따라서 어서 전쟁이 끝나 부모와 만나기를 

1  춘향이 다른 여러 기생들의 사례를 든 것은 그들도 정절을 지켜 후세의 
칭송을 받고 있음을 보여 주어 자신의 행위가 정당함을 드러내기 위한 

바라는 내용이 들어가는 것이 적절하다.

것이지 자신이 그들보다 우월함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 아니다.

6  이 글은 전쟁에 패하고 도망 중인 조조의 상황을 희화화하여 풍자하고 
있다. 따라서 사건을 다양한 시각으로 그리고 있다는 설명은 적절하지 



[A]에 앞으로 어떤 일이 있을지를 예상한 발언은 나타나지 않는다.

오답 뜯어보기  ①  ‘어이 모르시오?’, ‘충이 없소 열녀가 없소?’, ‘수절에

도 위아래가 있소?’, ‘두 임금을 섬기려오?’ 등에 설의적 표현이 사용되

오답 뜯어보기   ① 도망 중인 조조가 상황에 맞지 않게 술안주 이야기를 

었다.

하고 정욱은 이를 비웃고 있다.

② ‘청주 기생 매월이’, ‘안동 기생 일지홍이’, ‘선천 기생’ 등의 과거 사례

③ 조조가 도망가는 상황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진행되고 있다.

를 활용하고 있다.

④ 주유와 공명을 비웃으며 안심하던 조조가 조자룡을 만나면서 다시 

④ ‘사또도 국운이 ~ 두 임금을 섬기려오?’라고 하여 자신이 정절을 지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키는 일을 사또가 임금을 섬기는 일에 비유하고 있다.

⑤ (나)의 ‘새타령’에 드러난 새들을 통해 죽은 병사들의 원한을 보여 주

⑤ ‘충신은 불사이군(不事二君)이요, 열녀불경이부절(烈女不更二夫

節)’이라는 관용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설득력을 높이고 있다.

7  까마귀가 ‘들판 대로를 마다하고 심산 숲속에’서 우는 것은 조조가 전쟁
에서 패한 뒤 이리저리 숨어 도망할 수밖에 없는 처지를 상징하고 있다. 

3  변학도가 춘향의 읍소를 물리치고 사령을 대령하라고 명령하는 것은 
물리적인 힘을 동원하여 춘향을 굴복시키고자 하는 의도를 보여 주는 

따라서 이를 군사들이 부모를 그리워하는 상황으로 보는 것은 적절하

부분으로 그의 포악한 성격을 드러냄과 동시에 위기감을 부각하는 계

않다.

고 있다.

지 않다.

기가 된다.

8  ㉡은 생사가 위태로운 순간에도 술안주 이야기나 떠올리는 조조의 경
박한 모습을 비웃고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정욱이 조조의 의견에 적극

4 < 보기>는 편집자적 논평에 대한 설명이다. (나)에서 서술자는 ‘이렇듯 
말을 ~ 좋을 것을’이라고 하며 작품 속 상황에 직접 개입하여 안타까움

적으로 동조한다고 보기 어렵다.

을 드러내고 있다.

9  이 글에서 정욱은 자신의 상관인 조조의 부정적인 면모를 비판하고 조

롱함으로써 골계미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5  표면적으로 춘향의 정절을 기리고 있으나 해학과 풍자에 의한 골계미
가 주로 나타나는 작품으로 백성을 계도하려는 의도를 지녔다고 보기

지식

는 어렵다.

종류

의미

예시

오하고 절개를 지키고자 다짐하는 내용을 담은 ④ 정몽주의 시조에서 

● 미적 범주(미의식)

•있는 것: 현실, 현상을 의미함.

•있어야 할 것: 당위, 이상을 의미함.

숭고미

비장미

우아미

골계미

있어야 할 것을 중심으로 있는 것을
통합하는 태도. 경건하고 엄숙한 분
위기를 자아냄.

월명사의 <제망매가>에서 있어야 할
것(미타찰에서 누이와의 재회)을 중
심으로 있는 것(누이의 죽음)을 받아
들임.

있어야 할 것을 긍정하고 있는 것을
부정하는 태도. 슬픈 분위기를 자아
냄.

이육사의  <교목>에서  있어야  할  것
(독립)을  긍정하고 있는  것(일제  강
점)을 부정함.

있는 것을 중심으로 있어야 할 것을
융합하는 태도. 조화로운 분위기를
자아냄.

대부분의 자연  친화가  나타난  작품
에서 있는 것(자연을 완상함.)을 중심
으로 있어야 할 것(자연의 아름다움)
을 융합하는 태도

있는 것을 긍정하고 있어야 할 것을
부정하는 태도. 풍자나 해학의 수법
으로 우스꽝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냄.

<적벽가>에서  있는  것(조조의  경박
함.)을 긍정하고 있어야 할 것(상관인
조조의 근엄함)을 부정함.

6  춘향은 자신이 죽더라도 정절을 굽힐 수 없다는 단호하고 강경한 태도, 
즉 일편단심(一片丹心)을 보여 주고 있다. 이와 같은 태도는 죽음을 각

발견할 수 있다.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황진이의 시조로, 이별의 회한과 그리움을 나타내고 

② 유응부의 시조로, 세조의 횡포에 대한 비판과 인재가 희생당하는 것

에 대한 걱정을 담고 있다.

③ 왕방연의 시조로, 임금을 이별한 애절한 마음을 담고 있다.

⑤ 성혼의 시조로, 자연을 벗 삼아 사는 즐거움을 말하고 있다.

7  ㉠은 ‘오’라는 유사 음운을 반복하는 언어유희가 사용된 부분이다. ④에

서도 ‘반’이라는 유사 음운을 언어유희에 활용하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② 언어 도치를 통한 언어유희에 해당한다.

③ 이 도령의 ‘이(李)’가 ‘이(二)’와 음이 같은 것을 활용해 ‘삼(三)’ 도령

이라는 표현을 이끌어 내고 있으므로, 동음이의어를 이용한 언어유희

에 해당한다.

097

춘향가 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탐관오리, 자유연애, 절개

1 ③  2 ③  3 ⑤  4 이렇듯 말을 하니, 기특다 칭찬하고 그만 내보냈으
면 관청과 동네에 아무 일이 없어 좋을 것을,  5 ④  6 ④  7 ④  8 춘
향의 천한 신분 때문에 억울한 일을 당한다고 생각하여 안쓰러워한다.

290~293쪽

⑤ ‘성엣장’은 ‘기온이 영하일 때 유리나 벽 등에 수증기가 허옇게 얼어

붙은 서릿발’이라는 뜻과 ‘쟁기의 윗머리에서 앞으로 길게 뻗은 나무’라

는 뜻으로 동음이의어를 활용한 언어유희에 해당한다.



[A]에서 집장사령은 춘향이 서녀이자 기생이라는 낮은 신분 때문에 변

학도에게 억울한 일을 당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자신의 임무이기 때문

에 변학도의 부정한 명령을 거부할 수는 없지만, 춘향의 처지를 안쓰럽

게 생각하여 춘향에게 가급적 피해가 적게 하려는 마음이 드러난다.

정답과 해설 401

4  민속극

100

봉산 탈춤 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비판, 풍자, 무지

1 ⑤  2 ③  3 ⑤  4 관객이나 악공이 극 중에 참여하기도 한다.  5 ④  
6 ②  7 ②  8 ④  9 서민 계층이 양반 계층을 자유롭게 비판할 수 있도
록 익명성을 보장하는 기능을 한다.

1  <보기>의 ‘양반 삼 형제는 무식을 드러내며’와 ‘취발이에게 돈을 받고 
그를 풀어 준다.’라는 내용에서, 이 글이 양반 계층의 무능과 부정부패

에 대한 비판 의식을 주제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96~299쪽

한 행동이라고 해석하기는 어렵다.

다. 그러나 말뚝이가 민요를 부르는 것은 양반들의 시조창 놀이를 비웃

고 깎아내리려는 의도일 뿐 이것이 양반들의 놀이 문화를 교정하기 위

   오답 뜯어보기   ① <보기>에 따르면 풍자의 근본적 의도는 바람직한 사 

회를 이루고자 하는 것이므로, 양반의 무능하고 부패한 모습을 풍자한 

이 작품 역시 그러한 의도를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② 풍자는 당대 독자에게 쉽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수준에서 이루어진 

다고 했으므로, 이 작품 역시 양반에 대한 풍자와 관련한 추가 설명이 

필요치 않았을 것이라 추론할 수 있다.

③ (가)에서는 말뚝이가 양반을 직접 조롱하여, (다)와 (라)에서는 양반

의 무지한 모습을 묘사하여 양반을 풍자하고 있다. 

⑤ (다)와 (라)에서는 양반들의 엉터리 글자 놀이를 통해 그들의 무지를 

2  말뚝이의 조롱을 듣고 양반이 호통을 치면 말뚝이가 이에 대해 변명하

드러내면서 웃음을 유발하고 있다.

고 양반이 속아 넘어가 안심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3  ㉠은 동음이의어를 활용한 언어유희이다. ⑤에서는 ‘두 남편’을 뜻하는 
이부(二夫)와 ‘이씨 성의 남편’을 뜻하는 이부(李夫)가 동음이의어임을 

활용한 언어유희가 나타나 있다.

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담배를 쇠털에 비유하면서 꿀물에다가 적셨다고 과 

9  조선 시대에는 폐쇄적인 신분 사회의 특성상 상류층인 양반을 자유롭
게 비판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배우들이 탈을 씀으로써 익명성을 보

장하여 양반에 대한 비판과 풍자를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해 주었을 것

장하여 표현하고 있다. 

② 새처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는 표현이다. 실제로는 마구간을 묘사한 

것으로 양반을 조롱하는 표현이다.

③ 죄가 많다는 것을 산에 비유하여 과장하고 있다.

④ 시아버지, 남편, 자식을 새에 비유하면서 이를 나열하는 열거법을 사

용하고 있다.

4 ⓐ 는 탈춤을 구경하고 있는 관객들에게 하는 말로, 극을 진행하는 과정
에서 관객들에게 직접 이야기함으로써 관객을 극의 진행에 참여시키는 

101

강령 탈춤 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주체적, 갈등, 악공

300~301쪽

1 ③  2 ④  3 ①  4 탈춤은 극과 더불어 노래와 춤이 어우러지는 종합
예술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는 악공에게 하는 말로, 악공이 악기만 연주하

는 역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극의 진행에 직접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1  탈춤은 양반과 평민이 함께 향유했던 예술 양식이기 때문에 속담이나 
관용구, 비속어 등의 서민적 표현뿐만 아니라, 양반 취향의 한문 투 표

있다.

현도 함께 쓰인다.

5  이 글은 전통 민속극으로, 서양 연극과 달리 극 중에 관객이나 악공 등 

제삼자가 개입할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과장된 표현을 통해 양반과 말뚝이의 갈등을 제시하 

여 웃음을 유발하고 양반을 풍자하고 있다. 

② (나)~(라)에서 양반들의 엉터리 글자 놀이를 제시하여 양반의 무지

함을 폭로하고 허위를 풍자하고 있다.

③ 서민의 언어인 비속어와 양반의 언어인 한자어가 혼용되어 있다. 

⑤ 양반들은 시대적 흐름을 감지하지 못하고 낡은 권위주의만을 고집 

하는 데 비해 말뚝이는 시대의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다. 이를 통 

해 양반들이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은 서민의 실체를 인정하고 대등한 

   오답 뜯어보기   ① ‘어둠침침 야삼경(夜三更)에 불현듯이 보고지고 대

한 칠 년 왕가뭄에 빗발같이 보고지고’ 등 대구와 반복을 통해 리듬감을 

살리고 있다.

극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② 악공인 장구잽이는 극에 개입하여 인물들의 만남을 매개하는 등 적

④ <이별가>, <보고지고 타령> 등 음악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⑤ ‘전송춘(餞送春)에 낙화(落花) 이별 강수원함정(江樹遠含情)’의 시 

구를 인용하여 영감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하고 있다. 

2  이 글의 할멈이 영감을 찾으면서 악공(장구잽이)과 나누는 대화의 내용 
이 <보기>의 악공(장구잽이)과 영감의 대화에서도 유사하게 반복된다. 

권리를 인정하면서 협동하는 길이라는 점을 암시하고 있다.

이는 구비 전승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비슷한 대화 구조를 반복하는 

6  이 글은 당시 사회상을 반영한 전통 가면극으로, 이 글이 시대적 갈등 

과 분열을 불러왔다는 인식은 적절하지 않다.

7  이 글에서 각 과장은 다른 과장과 인과적 관계가 없이 독립적으로 구성 
되는데, 이러한 옴니버스식 구성은 <봉산 탈춤>을 비롯한 민속극의 특 

징이다.

402 정답과 해설

8  <보기>에 따르면 말뚝이가 양반을 풍자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양반의 
부정적 속성을 교정하여 바람직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에 해당한

탈춤 특유의 재담 구조이다.

3  ㉠에서는 할멈이 영감의 외모를 과장하여 해학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보기> 역시 시집살이의 고단한 삶 때문에 변한 자신의 용모를 ‘비사리

춤’, ‘오리발’ 등에 빗대어 과장되게 묘사하여 재미있게 표현하고 있다.

4  ⓐ는 악공이 할멈에게 <보고지고 타령>을 부르도록 유도하는 부분으

로, 이를 통해 탈춤에서 음악적 요소가 서사적 진행만큼이나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는 춤을 추며 인물이 퇴장하는 장면으로 극의 요소

정답44과 해설 에 춤이 포함됨을 보여 준다. 따라서 탈춤이 종합 예술의 성격을 지님을 

서 알 수 있다.

알 수 있다.

7  말뚝이탈에 붙어 있는 금종이는 말뚝이의 외양을 두드러지게 하려는 
것으로, 말뚝이가 지배 계층에 맞서 승리할 인물이라는 것을 드러내는 

장치로 볼 만한 근거가 되지 않는다.

102

양주 별산대놀이 _ 작자 미상

302~305쪽

키포인트 체크   우회적, 직접적, 서민, 조롱

8  이 글에서 쇠뚝이가 신분 상승의 욕망을 가지고 있다고 짐작할 만한 내용
은 찾아볼 수 없으며, 오히려 양반 계층을 조롱하며 풍자하는 모습이 주

1 ⑤  2 ③  3 양반들의 부정부패가 만연한 당시 사회를 비판하고자 했다.  
4 ①  5 ①  6 ③  7 ⑤  8 ①  9 ⑤  10 서민 계층뿐만 아니라
양반 계층에서도 이 작품을 향유했음

1  이 글은 인물의 언행을 통해 등장인물의 심리를 드러내고 있으며, 인물 

의 내면 심리를 직접적으로 묘사하여 전달하지는 않는다.

2  <보기>에서는 정면에만 관객이 위치하는 오늘날의 일반 연극 무대와 다
른, 사면에 관객이 위치하는 마당극 무대의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일반 

로 드러난다.

9  샌님은 아무 조건 없이 말뚝이를 용서해 준 것이 아니라, 돈을 탐내어 

말뚝이를 처벌하지 않기로 한 것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제대로 된 옷도 사지 못하고 빌려 입는 모습에서 경

제적으로 몰락한 양반 계층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② 쇠뚝이가 ‘아번’이라는 가명을 제시한 것은 샌님으로 하여금 자신을 

아버지라 부르게 하려는 수작이다. 

③ 샌님은 어쩔 수 없이 쇠뚝이를 아버지라 부른 분노를 자신의 하인인 

연극은 무대 좌우로 등장인물이 등퇴장하고 관객과 무대 사이에 막을 

말뚝이에게 풀고 있다. 

설치함으로써 장면을 전환할 수 있다. 그러나 관객이 사면에 위치하는 

④ 말뚝이는 처음에는 열 냥을 제시했다가, 다시 스무 냥을 주겠다고 하

마당극에서는 배우의 설명이나 가상의 행동으로 장면이 전환되거나 공

여 샌님이 자신의 권위를 포기하도록 유혹하고 있다.

간이 설정되었다고 가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 장면에서 쇠뚝이가 의

막을 정하는 듯한 흉내를 내는 모습을 보여 줌으로써, 관객은 의막이 설

치되었다고 동의하게 된다.

3  청편지는 어떤 일을 하는 데 권세 있는 사람에게 부탁하여 그 힘을 빌리
는 편지로, 당시 양반들의 부정부패한 모습을 드러내는 소재이다. 따라

서 청편지는 부정부패가 만연한 당시 사회상을 비판하고자 한 작가의 

의도가 반영된 소재라 할 수 있다.

4  이전 과장에서 취발이 역을 맡았던 인물이 갑자기 쇠뚝이로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각 과장의 내용이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임을 알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② 극 중 인물들이 실제 연희된 산대굿을 구경했다는 것 

으로 보아 산대굿을 하는 공연 장소와 극이 진행되는 극 중 장소가 일 

치함을 알 수 있다.

10  성격이 다른 두 언어, 즉 서민들의 일상적 비속어와 어려운 한자어가 혼
재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서민 계층과 양반 계층 모두 이 작품을 향유했

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103

하회 별신굿 탈놀이 _ 작자 미상

306~309쪽

키포인트 체크   표리부동, 조화, 무지

1 ③  2 ④  3 ④  4 ③  5 언행이 자유로운 낮은 신분의 여성일 것이
다.  6 ④  7 ⑤  8 ③  9 ②  10 양반의 무지함을 비판하고 있다.

③ 쇠뚝이가 악공에게 음악을 연주하게 하는 것으로 보아 악공의 극 중 

1  이 탈놀이는 마을 제의에서 양반과 서민이 함께 즐긴 놀이이기는 하지 

개입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만, 공연은 전적으로 서민에 의해 이루어졌다.

④ 특별한 장치 없이 인물의 행동에 의해 의막이라는 공간이 설정되는 

것에서 알 수 있다. 

⑤ 음악과 춤을 통해 극에 흥미를 더하고 있다.



[A]에서 초랭이와 부네는 인간 본연의 감정에 솔직하고 자유롭게 행동 

하는 서민 계층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등장인물의 부정적인 

모습이 부각된다고는 볼 수 없다.

5  ⓐ는 샌님이 묵어야 할 의막을 묘사하고 있는 것으로, ‘말뚝’, ‘문은 하
늘로’ 등의 표현에서 쇠뚝이가 샌님의 의막을 돼지우리로 정했음을 알 

   오답 뜯어보기   ① 지시문만으로 내용을 전달하는 [A]에 비해 <보기>는 

인물의 대사로 상황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수 있다. 이는 쇠뚝이와 말뚝이가 양반을 돼지와 같은 존재로 보며 조

②, ③ [A]는 행동으로만 극이 진행되기 때문에 독자에 따라 받아들이

롱하고 있는 것이다.

는 정도가 다를 수 있다. 또한 행동에서 의미를 찾아야 하므로 적극적으

6  조선 후기에 경제적으로 몰락하는 양반이 생겨나면서 부를 축적한 평
민 계층이 나타나기는 했지만, 이 글에 그러한 인물은 등장하지 않는다.

   오답 뜯어보기   ① (다)에서 말뚝이를 매로 치라는 양반의 명령에 복종

하는 쇠뚝이의 모습에서 양반의 권위가 아직 남아 있던 시기임을 알 수 

로 감상해야 극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⑤ [A]에서 초랭이의 손을 때리려다 그만두는 부네의 행동을 통해 초랭

이가 자신을 함부로 대하는 것을 대수롭지 않게 여김을 드러내어 부네

가 비교적 언행이 자유로운 낮은 신분의 여성임을 더 잘 드러낸다.

있다.

② 조선 후기는 서민 의식이 성장하던 시기로, 말뚝이와 쇠뚝이는 서민

3  양반과 선비는 중과 각시의 애정 행각을 못마땅해하다가, 부네가 나타 
나자 그녀를 차지하기 위해 서로에게 속임수를 쓰는 것까지도 불사한

을 대표하는 전형적인 인물이다.

다. 이러한 언행으로 볼 때, 양반과 선비는 겉으로는 점잖은 체하지만 

④, ⑤ 샌님이 돈을 탐내어 말뚝이를 벌하려던 것을 없던 일로 하는 데

젊고 아름다운 이성에게 정신을 쏟음을 알 수 있다.

정답과 해설 403

4  이 글에서 부네는 선비와 양반 사이를 오가며 양쪽의 호감을 사려 하고 
있다. 이러한 부네의 모습은 자기에게 이익이 되면 지조 없이 이편에 붙

은 이에 지지 않기 위해 그 두 배인 팔서육경을 읽었다고 하는데, 팔서

육경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인 초랭이가 육경에 대해 말하자 양반은 자

었다 저편에 붙었다 하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말인 ‘간에 붙었

신도 이를 잘 알고 있는 양 뽐냄으로써 스스로 무식을 폭로하게 되고, 

다 쓸개에 붙었다 한다.’와 가장 어울린다.

이를 통해 양반의 무지함을 비판하고 있다. 또한 <보기>에서는 서방과 

오답 뜯어보기   ① 어떤 일을 하려는데 뜻하지 않은 일을 공교롭게 당함 

생원이 운자를 내어 시조를 짓고 있는데, 그렇게 지은 시조가 엉터리임

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을 볼 때 <보기> 역시 양반의 무지함을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② 값어치를 모르는 사람에게는 보물도 아무 소용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④ 자기는 도저히 할 처지가 아닌데도 남이 하는 짓을 덩달아 흉내 내 

다가 웃음거리가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⑤ 자기 허물은 생각하지 않고 도리어 남의 허물만 나무라는 경우를 비

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5  부네는 지배 계층인 양반과 선비에게 반말로 응대하고, 공공연한 장소 
에서 어울려 춤을 추기도 한다. 이러한 언행으로 보아 부네는 예의범절

의 제약이 있는 여염집 여자가 아니라 언행이 자유로운 낮은 신분의 여

성임을 알 수 있다.

6 < 하회 별신굿 탈놀이>는 지배 계층에 대한 민중의 비판 의식을 표출하는 
수단이었으나, 이는 공동체 유지의 차원에서 지배 계층의 묵인 혹은 지

104

꼭두각시놀음 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횡포, 언어, 치도

1 ④  2 ③  3 ③  4 ④  5 ④

310~311쪽

1  <꼭두각시놀음>은 조선 후기 유랑 연예인 집단인 남사당패가 공연한 
인형극으로 서민층을 중심으로 연희되었으며, 서민 대중의 욕구를 충

족시켜 주었던 공연이다.

2  이 글에는 ‘박간지 망간지’, ‘길 닦은 놈’, ‘우는 거여’ 등의 사투리와 비속

원하에 이루어진 것이므로 계층 간의 갈등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다고 

어, 언어유희의 해학적인 표현이 많이 드러난다.

보기는 어렵다.

7  부네는 양반에게 반말을 하고, 양반과 선비 사이를 오가며 희롱하면서 
양반들을 조롱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부네가 양반들의 학식과 인품 

을 존경한다는 내용은 적절하지 않다.

8  이 글에서 양반과 선비는 도덕군자인 체하다가 양기에 좋다는 말에 쇠 
불알을 서로 차지하려고 다투고 있다. 이러한 모습은 겉과 속이 다름을 

3  평안 감사 마당에서는 백성을 괴롭히는 평안 감사의 죽음을 우스꽝스 
럽게 표현하여 백성들에게 횡포를 부리는 탐관오리를 풍자하고 있다.

4  ㉠의 ‘박간지 망간지’는 동음을 연속시킨 언어유희로, 이와 같은 표현 

은 ④의 ‘노중, 망중, 백중’에서 잘 드러난다.

   오답 뜯어보기   ① 이항복이 지은 시조의 초장으로 전체적인 내용을 고

려할 때 비유적인 표현이 사용되었다. 

이르는 말인 ‘표리부동(表裏不同)’으로 나타내기에 적절하다.

②, ③ 반복적 표현이 나타난다. 

오답 뜯어보기   ① 교언영색(巧言令色): 남의 환심을 사기 위해 아첨하

⑤ ‘무르익은 대초빛, 배미 잔등’ 등에 비유한 표현이 사용되었다.

는 말과 보기 좋게 꾸미는 낯빛을 이르는 말이다. 

② 구밀복검(口蜜腹劍): 겉으로는 달콤함과 웃음으로 친한 척하지만, 

속으로는 은근히 해칠 생각을 품고 있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④ 근묵자흑(近墨者黑): 나쁜 사람과 가까이 지내면 나쁜 버릇에 물들

기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⑤ 우유부단(優柔不斷): 결단력이 부족함을 이르는 말이다.

5  평안 감사가 죽었음에도 불구하고 남의 일이라 그리 슬퍼하지 않는 박 
첨지의 언행은 ‘자기와 아무런 이해관계도 없는 남의 불행을 구경거리

로 여긴다.’는 뜻의 ‘남의 소 들고 뛰는 건 구경거리’라는 속담으로 비판

할 수 있다.

유를 붙일 수 있다는 말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아무리 큰 잘못을 저지른 사람도 그것을 변명하고 이 

9  ㉠에서 양반은 선비의 말에 쓰인 한자어(사서삼경)의 발음에 주목하여 
언어유희를 사용하고 있다. ②에서도 ‘남편’을 뜻하는 ‘서방’과 발음이 

으로 이르는 말이다.

② 자기의 부담을 덜려고 하다가 다른 일까지도 맡게 된 경우를 비유적 

같은 ‘서쪽 방향’을 뜻하는 ‘서(西)방’을 활용하여 그와 연관된 ‘남(南)방’

③ 수단이나 방법은 어찌 되었든 간에 목적만 이루면 된다는 말이다. 

을 제시하고 있다.

⑤ 아무리 궁하거나 다급한 경우라도 체면을 깎는 짓은 하지 않는다는 

오답 뜯어보기   ① <수궁가>에서 인용한 것으로, 동일한 구절을 반복하

말이다.

③ <심청전>에서 인용한 것으로, 열거의 표현 방법이 나타난다.

④ 황진이의 시조로, 추상적인 시간을 구체적인 사물로 형상화한 표현 

⑤ <봉산 탈춤>에서 인용한 것으로, 비속어와 과장된 표현이 활용되었

고 있다.

방법이다. 

다.

10  사서삼경(四書三經)은 사서와 삼경을 이르는 말로, 옛 성현들의 말씀
을 담은 경전과 경서를 말한다. 선비가 사서삼경을 읽었다고 하자 양반

404 정답과 해설

정답44과 해설 5  설화·무가

109

이야기 주머니 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방해, 소통, 주머니

1 ③  2 ⑤  3 ①  4 ①  5 화자가 이전에 들은 이야기를 전달해 주기 
때문이다. / 이야기를 하는 과정에서 상대방의 반응을 듣기 때문이다. 

1  이 글에 해학적인 표현이나 대상에 대한 풍자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

는다.

316~317쪽

오답 뜯어보기   ①, ⑤ ‘~라네’, ‘~라구’ 등의 구어체를 활용하여 청자

앞에서 직접 구연하는 듯한 느낌이 들도록 표현하고 있다.

② ‘우정’, ‘옇단(옇다)’ 등의 방언을 찾아볼 수 있다.

③ ‘인지’와 같이 의미를 전달하는 데 꼭 필요하지 않은 군더더기 말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1  예스러운 형식을 따른 문체보다는 청자를 앞에 두고 민담을 구연한 것

을 그대로 옮겨 적은 만큼 구어체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2  전설의 주인공 중에 비범한 인물이 많다고는 했으나, 장재 첨지는 인색
하고 욕심이 많은 인물로 비범한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오답 뜯어보기   ①, ② 이 글은 ‘이야기’ 자체를 소재로 삼아 의인화하여

오답 뜯어보기   ① 전설이 지역 단위로 전승된다고 하였으므로 용소가

표현하고 있는 민담이다.

있는 장연읍을 중심으로 주변 지역에서 전승되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④ ‘그전엔 왜 가마에다 이렇게 가야 되잖아요.’, ‘게서 귀를 이렇게 찌우

있다.

들으니깐’, ‘이렇게 잎이 피어 늘어지게 하고 돌배가 이렇게 매달리고

③ 선한 인물이었지만 금기를 지키지 못해 벌을 받은 며느리는 인간의

허먼’에서 알 수 있다.

한계를 드러내는 비극적 인물이라 할 수 있다.

⑤ 이 글은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를 구연하여 전달한 것이다.

④ 용소와 며느리바위는 이 전설의 증거물로 이야기의 신빙성, 진실성

2  도령은 자신이 들은 이야기를 종이에 적어 이야기 주머니에 넣고 풀어
놓지 않는데, 이는 이야기의 본질인 소통을 방해하는 행동이다. 따라서

갇혀 있던 이야기들이 도령에게 불만을 품고 도령을 해칠 계획을 꾀하

게 된 것이다.

● 신화, 전설, 민담

3  이 글에서 드러내고자 하는 핵심 내용은 이야기가 소통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돈이 유통되어야만 돈의 본질이 드러난다는 의미인 ①

의 속담과 발상이 유사하다.

결할 수 있다는 말이다.

오답 뜯어보기   ② 말만 잘하면 어려운 일이나 불가능해 보이는 일도 해

③ 아무리 좋은 조건이 마련되었거나 손쉬운 일이라도 힘을 들여 이용

을 뒷받침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⑤ ‘옛날 옛적 얘기’라고 하여 시간적 배경은 명확하지 않지만 공간적

배경은 ‘장연읍’이라고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다.

지식

신화

전설

민담

•태초의 신성한 장소
• 우주나 국가 등의 포괄적

• 구체적인 시간과 장소
• 바위,  연못  등  개별적인 

인 증거

증거

• 신적인 인물이 비현실적
인 능력을 발휘하여 업적
을 이룸.

• 비범한 인물이 등장하나 
세계와의 대결에서 패배
함.

• 뚜렷한 시간과 장소가 제

시되지 않음.

• 뚜렷한 증거물이 없음.
• 평범한 인물이 등장하여 

운명을 개척해 나감.

하지 않으면 안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④ 아무도 안 듣는 데서라도 말조심해야 한다는 말이다.

3  <보기>에서 쑥과 마늘을 먹고 백 일 동안 햇빛을 보지 말라는 것은 곰과
범이 지켜야 할 금기에 해당한다. 이 글에서 도승은 봉변을 당한 자신에

⑤ 남에게 은혜를 입고서도 그 고마움을 모르고 생트집을 잡음을 이르

게 쌀을 준 며느리에게 어떤 소리가 나도 절대 뒤를 돌아보지 말라는 금

4  ㉠에서는 청자에게 경어를 쓰고 있으나, 뒤 문장에서는 반말을 쓰고 있

다. 일관성 없는 존대 표현은 이 글이 구연한 것을 그대로 채록한 글임

을 보여 준다. 따라서 청자가 다수라서 경어를 사용했다는 것은 적절하

5  구전 문학은 그 특성상 이야기를 들은 사람(청자)이 다시 이야기를 전
해 주는 사람(화자)이 되어 또 다른 사람(청자)에게 자신이 들은 이야기

를 전달하게 된다. 또한 이야기를 전달하는 화자는 말을 하면서 동시에

이야기를 듣는 상대방의 반응을 살피고 그들의 말을 듣는 청자이기도

기를 제시했다.

오답 뜯어보기   ① 용소의 내력에 대해 이야기한 부분이다.

② 장재 첨지의 인물됨을 설명한 부분이다.

③ 중들이 일은 않고 무위도식한다고 비난하는 말로 중들에 대한 장재

첨지의 관점을 드러내는 부분이다.

⑤ 용소의 깊이를 과장하여 표현한 부분이다.

4  장재 첨지의 집터가 용소가 되는 벌을 받은 것은 장재 첨지가 도승에게
패악을 부렸기 때문이고, 며느리가 바위가 된 것은 도승이 일러 준 금기

를 어기고 뒤를 돌아보았기 때문이다.

111

나무꾼과 선녀 _ 작자 미상

320~321쪽

용소와 며느리바위 _ 작자 미상

318~319쪽

키포인트 체크   나무꾼, 호기심, 천상, 금기

키포인트 체크   장재 첨지, 용소, 며느리바위, 집터, 화석

1 ②  2 ④  3 ②  4 천상계와 지상계를 왕래할 수 있는 수단(도구)이다.

1 ④  2 ②  3 ④  4 ⑴ 장재 첨지가 도승에게 악행을 부림.(장재 첨지가 
도승의 바랑에 쇠똥을 넣음.) ⑵ 며느리가 뒤돌아보지 말라는 금기를 어김.

1  구비 전승되었던 민담에는 구연자의 언어 습관이 잘 드러나 있다. 이 글
에서도 군말과 사투리, ‘-는디’와 같은 특정 어미가 사용되었으며, 문

정답과 해설 405

는 말이다.

지 않다.

하다.

110

장 성분의 위치가 바뀌거나 음성 상징어가 많이 사용되는 등 청자에게 

1  이 글은 죽은 사람의 영혼을 저승으로 인도하고자 행해지는 오구굿에

이야기를 들려주는 어투가 잘 드러나 있어서 구비 문학의 특징을 엿볼 

서 가창되는 구비 문학 작품이다.

수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바리공주의 고난과 그 극복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지식

②, ⑤ 어떤 한 창작자가 아닌 여러 사람의 입을 통해 구비 전승된 작품

● 구비 문학(口碑文學)의 변이와 적층성(積層性)

이야기의 전승 과정에서 변형과 확장의 주체는 구연자(口演者)인 이야기꾼이다. 이

야기꾼은 상상력을 발휘하여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오늘날의 소설가와 구별

되지만, 이야기의 전달자로 국한되지 않고 창조적인 작가의 역할도 수행한다. 이야

기는 옮겨지는 과정에서 보태지기도 하고 떨어져 나가기도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입에서 입으로 전달되는 문학을 가리켜 구비 문학이라고 한다.

2  나무꾼은 처남이 제시한 과제를 받고 해결할 방도를 찾지 못해 끙끙 앓
고, 그때마다 아내인 선녀의 도움으로 무사히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나

무꾼이 아내가 당부한 금기(활촉을 절대로 끌러 보지 말 것)를 어겨 활

촉을 빼앗기기도 했지만 선녀가 나무꾼을 못마땅하게 여기는 모습은 

있다.

보이지 않는다.

3  나무꾼은 토끼의 행방을 묻는 포수들에게 의뭉스러운 태도를 취하며 
선의의 거짓말을 하여 토끼의 생명을 구해 준다. 포수들에게 화를 내는 

모습은 이 글에서 확인할 수 없다.

오답 뜯어보기   ① 이 글에서 토끼가 나무꾼에게 도와 달라고 애원하므

사하다.

으로, 지역이나 구연자에 따라 내용의 차이가 드러난다.

④ 여성인 바리공주가 중심인물이지만, 여성이 사회를 주도하던 시대

에 출현한 것은 아니다.



(나)에서 비정상적인 출생에 대한 내용은 드러나지 않는다.

오답 뜯어보기  ① ‘국왕의 세자이옵더니’라고 왕의 자녀임을 밝히는 바

리공주의 말에서 확인할 수 있다.

② 바리공주가 지팡이를 한 번 휘둘러 천 리를 간다는 내용에서 알 수 

④, ⑤ 석가세존의 ‘너를 대양 서촌(大洋西村)에 버렸을 때에 / 너의 잔

명(殘命)을 구해 주었거든’에서 알 수 있다.

3  <보기>의 물고기와 자라는 주몽이 고난을 극복하게 해 주는 조력자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석가세존이 바리공주에게 라화를 주어 

바리공주가 대해를 무사히 건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유

로 적절한 장면이다.

③ 목숨을 구한 토끼가 나무꾼에게 ‘총각님, 참 고맙습니다.’라고 인사

4  〈바리데기 신화〉의 이야기 구조는 영웅의 일대기 구조를 따르고 있지
만 일반적인 영웅 소설에서 주인공이 뛰어난 능력을 바탕으로 고난을 

하므로 연신 고맙다고 인사하는 모습은 적절한 장면이다.

극복하는 것에 반해, 바리공주는 희생정신과 강인한 의지로 고난을 극

④ 나무꾼은 처남으로부터 어려운 과제를 받고 난 후 밤새 끙끙 앓았으

복한다.

므로 밤새 잠 못 이루는 나무꾼의 모습은 적절한 장면이다.

⑤ 나무꾼은 하늘에서 가족들과 살면서도 고향을 잊지 못해 항상 콧노

래를 불렀다고 했으므로 적절한 장면이다.

5  이 글은 무당이 굿을 하면서 부른 노래이므로 서민의 감정을 드러내는 

비속어가 사용되기는 어렵다.

오답 뜯어보기  ①  ‘라화’, ‘서방 정토’, ‘극락세계’, ‘승하’ 등의 어휘를 통

4  허리띠는 선녀가 지상계로 내려왔다가 다시 천상계로 갈 수 있는 도구
인데, 나무꾼이 그 허리띠를 감추었기 때문에 선녀는 천상계로 복귀하

해 확인할 수 있다.

② 바리공주의 행적에 대한 서술과 무상 신선에 대한 묘사, 바리공주와 

지 못하고 지상계에 남아 나무꾼과 결혼하게 된다. 또 나무꾼은 비루먹

무상 신선의 대화 등이 골고루 드러나 있다.

은 말을 타고 천상계에서 지상계로 내려오지만 호박나물을 먹지 말라

는 금기를 어겨 말이 죽음으로써 결국 천상계로 가지 못하게 된다.



(나)에서 바리공주는 무상 신선을 처음 보고 ‘무서웁고 끔찍하여 물러

지식

나’고 있으므로 ⑤의 내용은 적절하지 않다.

● 금기와 금기의 위반에 따른 결과

오답 뜯어보기   ① 부모의 죽음을 암시하는 꿈을 꾸고 서둘러 돌아가고 

금기

금기의 위반

결과

지상계

아들 넷을 낳기 전에는
선녀에게  허리띠를  돌
려 주어서는 안 됨.

호박나물을  먹으면  안
됨.

아들 셋을 낳은 뒤 선녀
에게 허리띠를 돌려 줌. 나무꾼이  지상계에  홀

로 남겨짐.

호박나물을 먹음.

천상계

오는 길에 화살촉을 꺼
내 보아서는 안 됨.

호기심  때문에  화살촉
을 꺼내 봄.

나무꾼이  과제를  완벽
하게 해결하지 못함.

있다.

알 수 있다.

② 무상 신선의 요구대로 9년 동안 일하고 일곱 자식을 낳아 준 것에서 

③ 부모를 살리기 위해 온갖 고난을 받아들이며 극복하고 있다.

④ 무상 신선의 어려운 부탁을 별말 없이 모두 받아들이고 있다.

7  <바리데기 신화>의 ‘여성의 수난과 극복’ 화소는 당대 사회의 억압으로 
인한 버려짐, 자기희생과 노력을 통해 업적을 성취하는 것으로 나타난

다. 그런데 <구운몽>에서 난양 공주가 겪은 어려움은 당대 사회의 억압

이나 불합리와 거리가 멀고, 그 극복에 있어서도 고난이나 희생이 나타

바리데기 신화 _ 작자 미상

322~325쪽

난다고 보기 어렵다.

키포인트 체크   효심, 장애, 남성, 무상 신선

1 ③  2 ③  3 ④  4 일반적인 영웅 소설에서 영웅의 뛰어난 능력을 강
조하는 것과 달리 〈바리데기 신화〉에서는 이타적 행동과 희생정신, 고난을 견디

는 강인한 정신력을 부각한다.  5 ④  6 ⑤  7 ⑤  8 ④  9 죽지 않
고 영원히 살고 싶어 하는 바람이 반영되어 있다.

8  ㉣에서 은바리가 깨지고 은수저가 부러진 것은 바리공주의 부모가 죽

었음을 암시하는 부분으로, 이를 통해 항상 부모를 걱정하는 바리공주

의 지극한 효심을 알 수 있다.

9  바리공주는 약을 구하여 죽은 부모를 살리고, 죽은 사람의 혼을 저승으



112

406 정답과 해설

정답44과 해설 로 인도하는 무조신이 된다. 무당은 죽은 사람의 혼령을 위로하는 굿에

해와 달을 하나씩 쏘아 부수고 있다.

서 이러한 과정을 읊음으로써 이승에 남은 사람들을 위로하며, 죽지 않

④ 대별과 소별은 천지왕이 내어 준 무쇠 활과 화살로 해와 달을 하나씩 

고 영원히 살고 싶어 했던 당대 민중의 소망을 반영하고 있다.

사라지게 했다.

지식

⑤ 대별과 소별이 해와 달을 떨어뜨려 세상은 사람들이 깃들어 살 만한 

곳이 되었다.

● 통과 제의

통과 제의는 새로운 세상으로 나아가기 위해 꼭 거쳐야 할 관문과 같은 것이다. 이를

테면 <단군 신화>에서 곰은 사람이 되기 위해 백 일이라는 시간 동안 마늘과 쑥을 먹

으며 햇빛을 보지 않는 관문을 거쳐 사람이 되고, <심청전>의 심청은 인당수에 빠지

는 과정을 거쳐 황후가 된다.

326~327쪽

의식과 분수를 넘어서는 욕심에 대한 경계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4  대별과 소별이 해와 달을 쏘아 부서지게 한 것은 인간의 진취적인 모습
과 도전 정신을 보여 주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행동을 통해 천지왕의 

아들로 인정을 받게 되는 한편, 사람들이 잘 살 수 있게 만들었을 뿐, 이

로 인해 둘의 사이가 벌어진 것은 아니다.

오답 뜯어보기   ①, ② 소별이 잘못된 방법으로 이승을 차지함으로써 이

승에 악행이 끊이지 않았다는 것을 통해 혼란스러운 현실에 대한 비판 

③ 이야기를 통해 천지의 생성과 우주의 기원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⑤ 용맹과 지략이 아니라 정성과 사랑이 필요한 생명을 키우는 시합을 

통해 이승을 다스릴 인물을 결정하는 것은 그러한 인물이 이승을 다스

려야 한다는 생각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5  대별은 소별에게 세상을 자애로 다스리라는 당부를 하고 저승으로 떠
나고 있으며, 소별은 이승의 혼란을 바로잡기 위해 위계를 엄격히 세우

고 죄를 지은 자를 무서운 형벌로 다스리고 있다.

114

제석본풀이 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강인, 삼신, 쌀

328~331쪽

지식

1 ④  2 ⑤  3 ⑤  4 ④  5 삼한 세준을 태이러 왔는데  6 ⑤  
7 ②  8 ②  9 천상계의 존재인 아버지와 지상계의 존재인 어머니가 결합
하여 후계자가 탄생하는 과정을 보여 준다.

1  무녀는 ‘참 이 스님에 거동 보소’와 같이 작품 내용에 개입하여 자신의 

주관을 밝히기도 한다.

오답 뜯어보기   ① 당금애기가 삼신할머니가 되는 과정을 그린 서사 무

가로 신화적 성격을 지니면서, 영웅 서사 구조 및 스님이 당금애기를 잉

태시키는 과정을 통해 흥미를 유발하고 있다.

② 우리나라의 고대 건국 신화에서 보이는 천부지모형(天父地母型) 신

화의 성격을 지닌다.

③ ‘우리 절에’와 같은 데서 구연 과정의 실수가 드러난다.

2  본문은 스님이 당금애기에게 잠겼던 고방문을 열어 놨으니 동냥을 달
라고 말하는 장면으로 시작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의 앞 장면에는 당금

113

천지왕본풀이 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자애, 질서, 저승, 이승

1 ③  2 ④  3 ③  4 ④  5 대별은 세상을 자애로 다스리려고 하는 반
면, 소별은 세상을 엄하고 무섭게 다스리고 있다.

1  이 글은 창세 신화로 세상이 만들어진 내력이나 우주와 자연의 기원에 
대해 밝히고 있을 뿐, 나라를 건국한 과정이나 애국심을 고취하는 내용

은 드러나지 않는다.

기원을 설명하고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창세 신화로 천지가 생겨나고 해와 달, 별이 생겨난 

② 굿의 초입부에서 천지의 내력을 설명하는 대목에서 불린다.

④ 천지왕의 업적, 대별과 소별이 신이 되는 과정을 드러내고 있다.

⑤ 서사 무가로 굿에서 불리면서 구비 전승되어 왔으며 다양한 이본이 

존재한다.

● 서사 무가

굿에서 무당이 구연하는 이야기나 노래를 말한다. 소설이나 설화와 같이 인물이 등

장하고 인물이 겪는 사건을 중심으로 한 줄거리를 갖추고 있다. 신의 유래를 설명한

다는 특징이 있어 ‘본풀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2  천지왕은 자신을 찾아온 대별과 소별이 자식인지 확인하기 위해 활과 
화살을 주며 시험했지만 이들이 해와 달을 쏘아 떨어뜨린 후에는 이승

과 저승을 다스리는 일을 맡기려 하고 있다. 꽃을 피우게 한 것은 이승

과 저승을 누가 다스릴 것인지 결정하기 위해 한 것이지 대별과 소별의 

능력을 믿지 못해 시험한 것이 아니다.

오답 뜯어보기   ① (나)에서 대별의 꽃나무가 소별의 것보다 더 잘 자랐

음이 드러나 있다.

라고 자랑스럽게 말하고 있다.

② (나)에서 소별은 꽃을 바꿔서 경쟁에서 이긴 뒤 이승이 자신의 차지

③ (가)에서 해와 달이 하나씩 부서져 사라지자 세상이 사람이 살 만한 

애기가 고방문이 잠겨 스님에게 동냥을 줄 수 없다고 말하는 내용이 있

곳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⑤ 천지왕은 이승과 저승을 나누는 판가름을 정성과 사랑이 있어야 할 

수 있는 생명을 키우는 시합으로 하여, 꽃을 훌륭히 피운 사람이 이승을 

맡도록 했다.

3  ㉠은 해가 질 때까지 시간을 끌어야 한다는 스님의 생각으로, 스님은 시
간을 끌기 위해 여러 가지 의도적인 행동을 한다. ⓔ는 당금애기가 이러

한 스님의 의도를 눈치채지 못하고 흘린 쌀을 비로 쓸어 담자고 몸종인 

3  대별과 소별이 해와 달을 하나씩 쏘아 떨어뜨리는 일을 하게 된 것은 천
지왕이 자신의 자식임을 증명해 보이라고 했기 때문이다. 해와 달을 쏘

옥단춘에게 하는 말이다.

오답 뜯어보기   ①, ② 아버님의 쌀독과 당금애기의 쌀독에 각각 청룡과 

는 과제를 통해 대별과 소별을 경쟁시키지는 않았다.

거미를 두어 쌀을 퍼 가지 못하게 하여 시간을 끌려는 스님의 의도가 담

오답 뜯어보기   ①, ② 대별과 소별이 천지왕의 자식임을 증명하기 위해 

겨 있다.

정답과 해설 407

③, ④ 쌀을 받는 시주 자루에 일부러 구멍을 뚫어 바닥에 쌀을 흘림으

여자임을 알고도 모른 체한 것은 아니다.

로써 시간을 끌려는 스님의 의도가 담겨 있다.

오답 뜯어보기   ① 문 도령의 의심이나 오줌 내갈기기 내기 등 정체가 

② ‘구부로 치도로’, ‘댕깁니까?’와 같이 지역색이 드러나는 방언을 많이 

③ 문 도령이 아버지의 편지를 받고 집으로 돌아가겠다고 하는 모습에

4  이 글에서는 ‘잽이’가 악사의 역할을 하고 있는데, 잽이가 무녀의 생각

에 대해 해설하는 부분은 나타나지 않는다. 

오답 뜯어보기   ① 삼신할머니가 되는 당금애기에 대한 내용을 노래하

고 있다.

찾아볼 수 있다. 

있다.

다.

만나러 온 것이다.

③ 장고잽이는 잠깐 장고를 두드리다가 이내 멈추는 행위를 반복하고 

⑤ 잽이는 무녀의 노래 중간중간에 ‘야’라는 탄성을 반복하여 지르고 있



(가)의 마지막 부분에 ‘삼한 세준을 태이러 왔는데’를 통해 스님이 온 목

적을 알 수 있다. 즉, 스님은 삼한 세존을 태어나게 하고자 당금애기를 

들통날 위기를 잘 모면하는 모습을 볼 때, 자청비의 위기 대처 능력이 

② 자청비는 문 도령에게 남동생을 소개해 주겠다고 하고 자신이 남장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을 한 후 문 도령을 따라나섰다.

서 알 수 있다.

⑤ 문 도령이 글공부를 그만두겠다고 하자 자청비도 글공부를 그만두

겠다고 말하는 모습에서 애초에 자청비가 글공부하러 온 목적이 문 도

령에게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A]에서 자청비는 문 도령을 속여 문 도령이 젓가락에 신경 쓰느라 잠을 

잘 수 없게 하여, 여자임을 들키지 않고 학문에서 문 도령을 이겼다. 그

리고 <보기>에서 탈해왕은 호공의 집이 살 만한 곳임을 알고 숫돌과 숯

을 파묻는 꾀를 사용하여 원하는 대로 일을 성취했다.

오답 뜯어보기   ②, ③ 자청비가 아닌 탈해왕에게 해당하는 내용이다.

6  이 글은 당금애기가 삼신할머니가 되는 과정을 담고 있는 작품으로, 평

④ 자청비와 탈해왕에게 모두 해당하는 내용이다.

범한 인간의 고난 극복에 관한 이야기와는 거리가 멀다.

⑤ 자청비는 젓가락에 관한 일 외에도 자신의 정체와 관련하여 서당 사

7  당금애기는 아들만 아홉을 낳고 딸을 낳고 싶어 하는 당금애기의 부모
가 산천에 간절히 기도를 드려 겨우 태어났으므로, 부모가 딸을 원하지 

으로써 많은 이를 속였다.

람들을 모두 속였고, 탈해왕 또한 자신의 속임수를 재판의 증거로 삼음

4  상황 1에서는 문 도령이 지상계에 있지만, 상황 2에서는 문 도령이 천상
계에 올라가 있다. 옥황의 아들인 문 도령은 원래 천상의 존재이지만 지

상계에 내려와 있다가 부친인 옥황이 보낸 편지를 보고 천상계로 다시 

올라가고 있다.

않는 상황에서 태어났다는 말은 적절하지 않다.

8  ㉡은 당금애기의 말이고, 나머지는 스님의 직접 발화 또는 간접 발화이

9  이 글은 천신계의 남성 도승과 지신계의 여성 당금애기가 결합하여 새
로운 제석신을 생산하는 신화이다. <보기>에도 천상계의 존재인 환웅

과 지상계의 존재인 웅녀의 결합으로 단군 왕검이 탄생하는 과정이 드

다.

러나 있다.

115

세경본풀이 _ 작자 미상

키포인트 체크   꾀, 제주, 남장, 편지

332~333쪽

1 ⑤  2 ④  3 ①  4 천상의 옥황이 보낸 편지가 문 도령이 천상으로 올
라가는 계기가 되고 있다.

1  민중의 염원을 반영하는 구비 문학의 특성을 감안할 때, 이 글은 소극적
인 삶을 살아가던 당시 여성들의 이상과 염원을 담은 이야기로 보는 것

이 적절하다. 자청비는 위기 대처 능력이 뛰어난 지혜로운 여성으로 남

장을 하고 글공부를 하며, 문 도령과 겨뤄 이기지만 남성 중심 사회를 

변화시키기 위해 저항하는 모습을 보인다고 할 수는 없다.

오답 뜯어보기   ① 구연을 통해 구전된 작품으로, 자청비의 출생, 문 도

령과의 만남과 글공부 등의 과정을 그리고 있다.

②, ③ 제주도에서 농사가 잘되고 가축이 번성하기를 기원하는 목적으

로 큰굿을 할 때 구연되었던 무가이다.

④ 무가로 구연되기 적합한 구어체로 이루어져 있다.

2  문 도령은 자청 도령이 여자라는 것을 의심하기는 했지만 자청 도령이 

408 정답과 해설

정답44과 해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