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재교육

2020년 천재교육 교과서 다품 고등 수학 기하 답지

반응형

dl.dabji.org/1wJ6Wx7IpXQjlXmeW2NLDChT5vN6SOGTZ

 

교과서 다품 고등 수학 기하.pdf 다운로드 | 답지저장소

 

dl.dabji.org

더보기

정답과 해설

Ⅰ.  이차곡선

Ⅱ.  평면벡터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2

18

35

⑵ 구하는 타원의 방정식을

x2
15a2 +

y2
15b2 =1 (b>a>0)

이라 하면 2b=6에서 b=3
이때 a2=b2-12=32-12=8이므로

구하는 타원의 방정식은

+

=1

x2
158

y2
159

본문 12~13 쪽

5 -1  구하는 쌍곡선의 방정식을

I 이차곡선

01 이차곡선

교과서 개념 확인 테스트
1
1 -1 ⑴ y2=12x  ⑵ x2=-20y
1 -2 ⑴ y2=-16x  ⑵ x2=8y
2 -1 (y-2)2=8(x+1)
2 -2 ⑴ (y+1)2=12(x-2)  ⑵ (x-2)2=8(y+1)

3 -2 ⑴ 

3 -1 

+

=1

x2
1325

y2
159

+

x2
1316
(x-2)2
121125
(x+1)2
12114
y2
x2
159
1316

-

-

x2
154
(x-4)2
121136
(x+3)2
12119

y2
1312

+

+

=1

y2
1312

-

-

4 -1 

4 -2 

5 -1 

6 -1 

6 -2 

=1  ⑵ 

+

=1

x2
158

y2
159

(y+3)2
121116
(y-1)2
12116

=1

=1

y2
1325

x2
125144

=1

=-1

(y+1)2
121125
(y-2)2
12117

5 -2 ⑴ 

=1  ⑵ 

-

=-1

1 -1  ⑴ y2=4px에서 p=3이므로 구하는 포물선의 방정

식은 y2=4_3_x, 즉 y2=12x

⑵ x2=4py에서 p=-5이므로 구하는 포물선의 방

정식은 x2=4_(-5)_y, 즉 x2=-20y

1 -2  ⑴ y2=4px에서 p=-4이므로 구하는 포물선의 방
정식은 y2=4_(-4)_x, 즉 y2=-16x

⑵ x2=4py에서 p=2이므로 구하는 포물선의 방정

식은 x2=4_2_y, 즉 x2=8y

3 -1   구하는 타원의 방정식을

x2
15a2 +

y2
15b2 =1 (a>b>0)이

라 하면 2a=10에서 a=5
이때 b2=a2-42=52-42=9이므로

구하는 타원의 방정식은

+

=1

x2
1225

y2
139

3 -2  ⑴ 구하는 타원의 방정식을

x2
15a2 +

y2
15b2 =1 (a>b>0)

이라 하면 2a=8에서 a=4
이때 b2=a2-22=42-22=12이므로

구하는 타원의 방정식은

+

=1

x2
1316

y2
1312

2    I. 이차곡선

y2
15b2 =1 (a>0, b>0)이라 하면

x2
15a2 -
2a=8에서 a=4
이때 b2=52-a2=52-42=9이므로

구하는 쌍곡선의 방정식은

-

=1

x2
1316

y2
159

5 -2  ⑴ 구하는 쌍곡선의 방정식을
y2
15b2 =1 (a>0, b>0)이라 하면

x2
15a2 -
2a=4에서 a=2
이때 b2=42-a2=42-22=12이므로

구하는 쌍곡선의 방정식은

-

=1

x2
154

y2
1312

⑵ 구하는 쌍곡선의 방정식을

y2
15b2 =-1 (a>0, b>0)이라 하면

x2
15a2 -
2b=10에서 b=5
이때 a2=132-b2=132-52=144이므로

구하는 쌍곡선의 방정식은

-

=-1

x2
124144

y2
1325

기출 기초 테스트 

2
1 -1  초점의 좌표: (2, 0), 준선의 방정식: x=-2, 

본문 14~17 쪽

1 -2 ⑴  초점의 좌표: (-1, 0), 준선의 방정식: x=1, 

그래프는 풀이 참조

그래프는 풀이 참조

⑵  초점의 좌표: (0, 3), 준선의 방정식: y=-3, 

그래프는 풀이 참조
2 -1  (y-3)2=4(x-2) 

 

꼭짓점의 좌표: (2, 3), 초점의 좌표: (3, 3), 
준선의 방정식: x=1
2 -2 ⑴  (y-1)2=-16(x+1) 

 

꼭짓점의 좌표: (-1, 1), 초점의 좌표: (-5, 1), 
준선의 방정식: x=3
⑵  (x+1)2=-8(y-1)  

꼭짓점의 좌표: (-1, 1), 초점의 좌표: (-1, -1), 
준선의 방정식: y=3
3 -1 a=4, m=-2, n=1 
4 -1 초점의 좌표: (0, -3), 준선의 방정식: x=-4

3 -2 a=-4, b=9, n=-1

 

 

 

 

 

4 -2 초점의 좌표: (4, -3), 준선의 방정식: y=1
5 -1  초점의 좌표: (

7, 0), (-

7, 0), 장축의 길이: 8, 

'

'

단축의 길이: 6, 그래프는 풀이 참조

15), 장축의 길이: 10, 



6 -1 

15), (0, -


(y-1)2
16
1112

5 -2 초점의 좌표: (0, 

단축의 길이: 2
10, 그래프는 풀이 참조
(x-2)2
25
1112
꼭짓점의 좌표: (7, 1), (-3, 1), (2, 5), (2, -3)
초점의 좌표: (5, 1), (-1, 1)
장축의 길이: 10, 단축의 길이: 8

=1

+

6 -2 ⑴ 

+

=1

(y+1)2
12
1112

(x-2)2
16
1112
꼭짓점의 좌표:  (6, -1), (-2, -1),   
(2, -1+2

3), (2, -1-2

3)

'

'

⑵ 

'

+

초점의 좌표: (4, -1), (0, -1)
장축의 길이: 8, 단축의 길이: 4
3
(y+1)2
(x-2)2
25
9
1112
1112
꼭짓점의 좌표: (5, -1), (-1, -1), (2, 4), (2, -6)
초점의 좌표: (2, 3), (2, -5)
장축의 길이: 10, 단축의 길이: 6

=1

7 -1 ⑴ m=1, n=2  

7 -2 ⑴ m=-2, n=3  

⑵ 초점의 좌표: (7, 2), (-5, 2), 장축의 길이: 20

⑵ 초점의 좌표: (-2, 3+

5), (-2, 3-

5)

'

'

장축의 길이: 6

8 -1 초점의 좌표: (0, 1+

3), (0, 1-

3)

'

'

8 -2 초점의 좌표: (1+

장축의 길이: 4, 단축의 길이: 2
5, 0), (1-
장축의 길이: 6, 단축의 길이: 4

'

5, 0)

'

9 -1 꼭짓점의 좌표: (2, 0), (-2, 0)
7, 0)

초점의 좌표: (
주축의 길이: 4, 그래프는 풀이 참조

7, 0), (-

'

'

9 -2 꼭짓점의 좌표: (0, 2), (0, -2)

10 -1 



13), (0, -

초점의 좌표: (0, 
13)

주축의 길이: 4, 그래프는 풀이 참조
(y-2)2
(x-3)2
7
9
1112
1112
꼭짓점의 좌표: (6, 2), (0, 2)
초점의 좌표: (7, 2), (-1, 2), 주축의 길이: 6

=1

-

10 -2 ⑴ 

-

=1

(y-2)2
(x+1)2
20
16
14114
14114
꼭짓점의 좌표: (3, 2), (-5, 2)
초점의 좌표: (5, 2), (-7, 2), 주축의 길이: 8
(x+1)2
45
14114
꼭짓점의 좌표: (-1, 8), (-1, -4)
초점의 좌표: (-1, 11), (-1, -7)
주축의 길이: 12

(y-2)2
36
14114

=-1

-

⑵ 

11 -1 점근선의 방정식: y=Ñ

;4#;x, 그래프는 풀이 참조

11 -2 ⑴ 점근선의 방정식: y=Ñ

3x, 그래프는 풀이 참조

'

⑵ 점근선의 방정식: y=Ñx, 그래프는 풀이 참조

1 -1  y2=8x=4_2_x이므로

y

y2=8x

12 -1 중심의 좌표: (2, 0)

꼭짓점의 좌표: (4, 0), (0, 0)
초점의 좌표: (2+

5, 0), (2-

'

5, 0)

'

점근선의 방정식: y=Ñ

(x-2)

;2!;

12 -2 중심의 좌표: (0, 1)

꼭짓점의 좌표: (0, 7), (0, -5)
초점의 좌표: (0, 1+3
점근선의 방정식: y=Ñ2x+1

'

5), (0, 1-3

5)

'

p=2
따라서 주어진 포물선의 초점
의 좌표는 (2, 0)
준선의 방정식은 x=-2
또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1 -2  ⑴ y2=-4x=4_(-1)_x
이므로 p=-1
따라서 주어진 포물선의 초
점의 좌표는 (-1, 0)
준선의 방정식은 x=1
또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⑵ x2=12y=4_3_y이므로 p=3

따라서 주어진 포물
선의 초점의 좌표는
(0, 3)
준선의 방정식은
y=-3
또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2

O

2

x

x=-2

y

y2=-4x

-1

O

1

x

x=1

x2=12y

y

3

O

x

-3

y=-3

2 -1   포물선 y2=4x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
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y-3)2=4(x-2)이다. 이때 꼭짓점, 초점의 좌표
와 준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꼭짓점의 좌표

초점의 좌표

준선의 방정식

y2=4x

(0, 0)

(1, 0)

x=-1

(y-3)2=4(x-2)

(2, 3)

(3, 3)

x=1

참고  포물선을 평행이동하면 그 곡선도 포물선이다. 또 모양과 
크기가 변하지 않으므로 포물선의 방향과 폭은 변하지 않는다.

2 -2  ⑴ 포물선 y2=-16x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
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
은 (y-1)2=-16(x+1)이다. 이때 꼭짓점, 초
점의 좌표와 준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01. 이차곡선   3

y2=-16x

(y-1)2=-16(x+1)

5 -2

=1에서 a2=10, b2=25이므로

꼭짓점의 좌표

초점의 좌표

준선의 방정식

(0, 0)

(-4, 0)

x=4

(-1, 1)

(-5, 1)

x=3

⑵ 포물선 x2=-8y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
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
은 (x+1)2=-8(y-1)이다. 이때 꼭짓점, 초점
의 좌표와 준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x2=-8y

(x+1)2=-8(y-1)

꼭짓점의 좌표

초점의 좌표

준선의 방정식

(0, 0)

(0, -2)

y=2

(-1, 1)

(-1, -1)

y=3

3 -1  y2-4x-2y=7에서
(y-1)2=4(x+2)
이 포물선은 포물선 y2=4x를 x축의 방향으로 -2
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a=4, m=-2, n=1

3 -2   포물선 y2=4x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
으로 n만큼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y-n)2=4(x-2)
양변을 전개하면
y2-2ny+n2=4x-8
y2-4x-2ny+n2+8=0
이 식이 y2+ax+2y+b=0과 같으므로
a=-4, n=-1, b=(-1)2+8=9

4 -1  y2-8x+6y-7=0에서
(y+3)2=8(x+2)
이 포물선은 포물선 y2=8x를 x축의 방향으로 -2만
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초
점의 좌표는 (0, -3), 준선의 방정식은 x=-4

4 -2  x2-8x+8y+24=0에서
(x-4)2=-8(y+1)
이 포물선은 포물선 x2=-8y를 x축의 방향으로 4
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초점의 좌표는 (4, -3), 준선의 방정식은 y=1

5 -1

=1에서 a2=16, b2=9이므로

+

y2
159

x2
1316
c2=a2-b2=16-9=7
따라서 주어진 타원의
초점의 좌표는
7, 0), (-
(
'
장축의 길이는 2a=8
단축의 길이는 2b=6
또 그래프는 오른쪽 그
림과 같다.

7, 0)

'

4    I. 이차곡선

y
3


y2
+   =1
139

x2
1316

-4

O

-'7

4

x

'7

-3

+

y2
1325

15), (0, -

x2
1310
c2=b2-a2=25-10=15
따라서 주어진 타원의
초점의 좌표는
(0,

장축의 길이는
2b=10
단축의 길이는
2a=2
또 그래프는 오른쪽 그
림과 같다.

15)

10





y

5

'¶15

O
-'¶15

-5



x2
1310

y2
+   =1
1325

-'¶10

x

'¶10

6 -1   타원

x2
1325

y2
1316

+

=1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타원의 방정식은
(x-2)2
25
11125
좌표와 장축, 단축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y-1)2
16
11125

+

=1이다. 이때 꼭짓점, 초점의

x2
1325

+

=1

y2
1316

(x-2)2
25
11124

+

(y-1)2
16
11124

=1

꼭짓점의 좌표

(5, 0), (-5, 0)

(0, 4), (0, -4)

(7, 1), (-3, 1)

(2, 5), (2, -3)

초점의 좌표

(3, 0), (-3, 0)

(5, 1), (-1, 1)

장축의 길이

단축의 길이

10

8

10

8

참고  타원을 평행이동하면 그 곡선도 타원이다. 또 모양과 크
기가 변하지 않으므로 타원의 장축과 단축의 길이는 변하지 않
는다.

6 -2  ⑴ 타원

x2
1316

y2
1312

+

=1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

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타원의 방정식은
(x-2)2
16
12114
의 좌표와 장축, 단축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1이다. 이때 꼭짓점, 초점

(y+1)2
12
12114

+

x2
1316

+

=1

y2
1312

(x-2)2
16
11124

+

(y+1)2
12
11124

=1

(4, 0), (-4, 0)

(6, -1), (-2, -1)

(0, 2

'
(0, -2

3),

3)

'

(2, -1+2

'
(2, -1-2

3),

3)

'

꼭짓점의 좌표

초점의 좌표 (2, 0), (-2, 0)

(4, -1), (0, -1)

8

4

3
'

장축의 길이

단축의 길이

8

4

3

'

x2
159

y2
1325

⑵ 타원

+

=1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

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타원의 방정식은
(x-2)2
9
12114
의 좌표와 장축, 단축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1이다. 이때 꼭짓점, 초점

(y+1)2
25
12114

+

x2
159

+

y2
1325

=1 

(3, 0), (-3, 0)

(0, 5), (0, -5)

=1

+

(y+1)2
25
11124

(x-2)2
9
11124
(5, -1), (-1, -1)`
(2, 4), (2, -6)

꼭짓점의 좌표

초점의 좌표 (0, 4), (0, -4)

(2, 3), (2, -5)

장축의 길이

단축의 길이

10

6

10

6





7 -1  ⑴ 타원

+

(y-n)2
64
1112

=1은 타원

(x-1)2
100
1112
y2
1564



+

+

=1에서 a2=100, b2=64이므로

=1을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

x2
125100
향으로 n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 m=1, n=2
y2
x2
1564
125100
c2=a2-b2=100-64=36
즉 위의 타원의 초점의 좌표는 (6, 0), (-6, 0)이
므로 주어진 타원의 초점의 좌표는 (7, 2), (-5, 2)
이다.
또 평행이동하여도 장축의 길이는 변하지 않으므
로 주어진 타원의 장축의 길이는 2_10=20이다.

7 -2  ⑴ 타원

+

(y-3)2
9
1112

=1은 타원

(x+2)2
4
1112
y2
159



+

+

y2
159

=1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1에서 a2=4, b2=9이므로

x2
154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 m=-2, n=3
x2
154
c2=b2-a2=9-4=5
5), (0, -
즉 위의 타원의 초점의 좌표는 (0,
'
이므로 주어진 타원의 초점의 좌표는 (-2, 3+
(-2, 3-
또 평행이동하여도 장축의 길이는 변하지 않으므
로 주어진 타원의 장축의 길이는 2_3=6이다.

5)
'
5),
'

5)이다.

'

8 -1  4x2+y2-2y-3=0에서 4x2+(y-1)2=4

∴ x2+

(y-1)2
4
1112

=1

y2
154

x2+

=1

y2
154

이 타원은 타원 x2+

=1을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초점의 좌표와 장축, 단축의 길
이는 다음과 같다.

초점의 좌표

(0, 

3), (0, -

3)

(0, 1+

'

'

장축의 길이

단축의 길이

4

2

x2+

=1

(y-1)2
4
11124
3), (0, 1-

'

3)

'

4

2

8 -2  4x2+9y2-8x-32=0에서 4(x-1)2+9y2=36



(x-1)2
9
1112

+

=1

y2
154
x2
159

y2
154

이 타원은 타원

+

=1을 x축의 방향으로 1만

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초점의 좌표와 장축, 단축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x2
159

y2
154

+

=1

(

'

5, 0), (-

5, 0)

(1+

'

+

(x-1)2
9
11124

y2
154
5, 0), (1-

'

=1

5, 0)

'

6

4

6

4

초점의 좌표

장축의 길이

단축의 길이

9 -1

-

y2
153

=1에서 a2=4, b2=3이므로

x2
154
c2=a2+b2=4+3=7
따라서 주어진 쌍곡선의 꼭짓점의 좌표는
(2, 0), (-2, 0)
초점의 좌표는
7, 0), (-
(
'
주축의 길이는 2a=4
또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과 같다.

7, 0)

-'7

-2

'

y

O

x2
134

y2
-   =1
133

'7

2

x

9 -2

=-1에서 a2=9, b2=4이므로

-

y2
154

x2
159
c2=a2+b2=9+4=13
따라서 주어진 쌍곡선
의 꼭짓점의 좌표는
(0, 2), (0, -2)
초점의 좌표는
13), (0, -
(0,
13)

주축의 길이는 2b=4
또 그래프는 오른쪽 그
림과 같다.



x2
139

y2
134

-   =-1

x

y

'¶13
2

O

-2

-'¶13

10 -1  쌍곡선

x2
159

y2
157

-

=1을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

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쌍곡선의 방정식은
(x-3)2
9
1112
좌표와 주축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y-2)2
7
1112

=1이다. 이때 꼭짓점, 초점의

-

x2
159

y2
157

-

=1

(x-3)2
9
11124

-

(y-2)2
7
11124

=1

꼭짓점의 좌표

(3, 0), (-3, 0)

(6, 2), (0, 2)

초점의 좌표

(4, 0), (-4, 0)

(7, 2), (-1, 2)

주축의 길이

6

6

참고   쌍곡선을 평행이동하면 그 곡선도 쌍곡선이다. 또 모양과 
크기가 변하지 않으므로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는 변하지 않는다.

01. 이차곡선   5

10 -2  ⑴ 쌍곡선

-

=1을 x축의 방향으로 -1만

x2
1316

y2
1320

12 -1  x2-4y2-4x=0에서 (x-2)2-4y2=4

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쌍곡선의
(y-2)2
20
1112

(x+1)2
16
1112

=1이다. 이때 꼭

방정식은

-

짓점, 초점의 좌표와 주축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x2
1316

-

=1

y2
1320

(x+1)2
16
11124

-

(y-2)2
20
11124

=1

꼭짓점의 좌표 (4, 0), (-4, 0)

(3, 2), (-5, 2)

초점의 좌표 (6, 0), (-6, 0)

(5, 2), (-7, 2)

주축의 길이

8

8

⑵ 쌍곡선

-

=-1을 x축의 방향으로 -1만

x2
1345

y2
1336

정식은

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쌍곡선의 방
(y-2)2
36
1112
짓점, 초점의 좌표와 주축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x+1)2
45
1112

=-1이다. 이때 꼭

-

x2
1345

y2
1336

-

=-1

(x+1)2
45
11124

-

(y-2)2
36
11124

=-1

꼭짓점의 좌표 (0, 6), (0, -6)

(-1, 8), (-1, -4)

초점의 좌표 (0, 9), (0, -9)

(-1, 11), (-1, -7)

주축의 길이

12

12

11 -1

x2
1316

y2
159

-

=1에서

a=4, b=3이므로 점근선
의 방정식은

y=Ñ

x

;4#;

y=-;4#;x

y

y=;4#;x

-4

O

4

x

이때 꼭짓점의 좌표는
(4, 0), (-4, 0)
이므로 그 그래프는 위의 그림과 같다.

x2
1316

y2
-   =1
139

3이므로

'

-

x2
154

=1에서

y2
1312
a=2, b=2
점근선의 방정식은
y=Ñ
3x
이때 꼭짓점의 좌표는
(2, 0), (-2, 0)
이므로 그 그래프는
위의 그림과 같다.
⑵ x2-y2=-1에서

'

x2
134
2

y2
-   =1
1312
x

-2

O

y

1

O

-1

x2-y2=-1
y=x

x

y=-x

a=1, b=1이므로 점근
선의 방정식은
y=Ñx
이때 꼭짓점의 좌표는
(0, 1), (0, -1)이므로
그 그래프는 위의 그림과 같다.

6    I. 이차곡선



(x-2)2
4
1112

-y2=1

x2
154

이 쌍곡선은 쌍곡선

-y2=1을 x축의 방향으로 2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중심, 꼭짓점, 초점의 좌표
와 점근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x2
154

-y2=1

(x-2)2
4
11124

-y2=1

중심의 좌표

(0, 0)

(2, 0)

꼭짓점의 좌표

(2, 0), (-2, 0)

(4, 0), (0, 0)

초점의 좌표

5, 0), (-

5, 0)

(2+

5, 0), (2-

5, 0)

'

'

'

(

'

점근선의 방정식

y=Ñ

x

;2!;

y=Ñ

(x-2)

;2!;

12 -2  4x2-y2+2y+35=0에서 4x2-(y-1)2=-36



-

x2
159

(y-1)2
36
1113

=-1

x2
159

이 쌍곡선은 쌍곡선

y2
1336
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중심, 꼭짓점, 초점의
좌표와 점근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1을 y축의 방향으

-

x2
159

y2
1336

-

=-1

x2
159

-

(y-1)2
36
11124

=-1

중심의 좌표

(0, 0)

(0, 1)

꼭짓점의 좌표

(0, 6), (0, -6)

(0, 7), (0, -5)

초점의 좌표 (0, 3

점근선의 방정식

5), (0, -3

'
y=Ñ2x

'

5) (0, 1+3

5), (0, 1-3

5)

'

'

y=Ñ2x+1

3
01 ③ 
06 ① 
11 16 

02 ⑤ 
07 ③ 
12 ⑤ 

03 ① 
08 ④ 
13 ④ 

04 ② 
09 11 
14 ③

본문 18~21 쪽

05 ④
10 ②

15 x2-

=1 

y2
154

19 160 

20 1 

21 

:°3¤:

16 ⑤ 

17 ② 

18 20

22 초점의 좌표: (-4, 3), 준선의 방정식: x=2
23 2

24 P(5, 4)



'

01  (y-2)2=8x-8에서 (y-2)2=8(x-1)

이 포물선은 포물선 y2=8x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이때 포물선 y2=8x=4_2_x의 초점의 좌표는
(2, 0)이므로 주어진 포물선의 초점의 좌표는 (3, 2)

11 -2  ⑴

y

y=-'3x

y='3x

교과서 기본 테스트

02 y2=4px에서 p=3이므로 구하는 포물선의 방정식은

∴  a=12

y2=12x
포물선 y2=12x의 초점은 x축 위에 있으므로 b=0
또 준선의 방정식은 x=-3이므로 c=-3
∴ a+b+c=12+0+(-3)=9

이때 PHÓ=|a-(-3)|이므로
|a+3|=7
∴ a=4 (∵ a¾0)

03   초점의 좌표가 (-5, 0)이고 준선의 방정식이 x=5
인 포물선의 방정식은 y2=4_(-5)_x, 즉
y2=-20x
이 포물선이 점 (a, 10)을 지나므로
102=-20a
∴ a=-5

04   포물선 위의 임의의 점 P의 좌표를 (x, y), 포물선의
초점 (4, 0)을 F, 점 P에서 직선 x=0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PFÓ=PHÓ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x-4)2+y2=x2
-8x+16+y2=0
∴ y2=8(x-2)

"Ã(x-4)2+y2=|x-0|

다른 풀이

 yy ㉠

포물선의 꼭짓점에서 초점 (4, 0)에 이르는 거리와 준
선 x=0에 이르는 거리는 같으므로 꼭짓점의 좌표는
(2, 0)이다.
이때 주어진 포물선의 준선 x=0이 y축에 평행하므로
구하는 포물선의 방정식을
y2=4p(x-2)
로 놓을 수 있다.
포물선 ㉠은 포물선 y2=4px를 x축의 방향으로 2만
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포물선 ㉠의 초점의 좌표는
(p+2, 0)이다.
즉 p+2=4에서 p=2
따라서 구하는 포물선의 방정식은
y2=4_2_(x-2)
∴ y2=8(x-2)

05  y2=12x=4_3_x이므로

y

y2=12x

P{a,`b}

F

O

3

x

H

p=3
즉 초점의 좌표는 (3, 0), 준선
의 방정식은 x=-3
오른쪽 그림과 같이 포물선 위의
임의의 점 P의 좌표를 (a, b),
포물선의 초점을 F, 점 P에서
직선 x=-3에 내린 수선의 발
을 H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PHÓ=PFÓ=7

-3

x=-3

06   포물선 (y-2)2=16(x+1)은 포물선 y2=16x를 x
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
동한 것이다. 포물선 y2=16x=4_4_x의 초점의
좌표는 (4, 0)이므로 포물선 (y-2)2=16(x+1)의
초점의 좌표는 (3, 2)이다.
이때 포물선 (y-2)2=16(x+1)을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초점의 좌표는 (3+a, 2+b)이고 이 점이 원점과 일
치하므로
3+a=0, 2+b=0에서 a=-3, b=-2
∴ a+b=-3+(-2)=-5

07   두 점으로부터의 거리의 합이 일정한 점들의 집합은

타원이다.

구하는 타원의 방정식을

x2
15a2 +

y2
15b2 =1 (a>b>0)이

라 하면 2a=6에서 a=3
이때 b2=a2-22=32-22=5이므로

구하는 타원의 방정식은

+

=1

x2
159

y2
155

=1

y2
154
4-1),



08  4x2+y2=4의 양변을 4로 나누면 x2+
4-1), (0, -
3)

ㄱ. 초점의 좌표는 (0,

3), (0, -
'

즉 (0,
'



ㄴ. 꼭짓점의 좌표는 (Ñ1, 0), (0, Ñ2)
ㄷ. 장축의 길이는 2b=2_2=4
ㄹ. 단축의 길이는 2a=2_1=2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ㄹ이다.

09   타원

(x-1)2
1112a

+

(y+3)2
7
1112

=1은 타원

+

=1을

x2
15a

y2
157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
이동한 것이다.
x2
15a

=1의 초점의 좌표는

y2
157

타원

+

=1의 초점의 좌표는

(

+


타원

a-7, 0), (-
(x-1)2
1112a

a-7, 0)이므로

(y+3)2
7
1112
a-7, -3), (1-

a-7, -3)
(1+
이때 주어진 타원의 두 초점의 좌표가
(3, -3), (-1, -3)이므로
1+

a-7=-1







a-7=3, 1-

a-7=2, a-7=4


∴ a=11

01. 이차곡선   7

10   타원

+

=1의

y2
x2
152
158
초점의 좌표는
8-2, 0),
(

8-2, 0),
(-

즉 F(
6, 0),
'
F'(-
6, 0)이므로
'
FF'Ó=2_
6
6=2
'
따라서 삼각형 PF'F의 넓이는

-2'2

'

F'

y

'2

O

-'2

_2

6_1=

;2!;

'

6
'

11   두 점 F, F'이 타원의 초점이고, 두 점 A, B가 타원 위

의 점이므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AFÓ+AF'Ó=BFÓ+BF'Ó=(장축의 길이)=8
따라서 삼각형 AF'B의 둘레의 길이는
AF'Ó+BF'Ó+ABÓ=AF'Ó+BF'Ó+(AFÓ+BFÓ)


=(AFÓ+AF'Ó)+(BFÓ+BF'Ó)
=8+8=16

12  5x2+9y2-18y-36=0에서 5x2+9(y-1)2=45



+

x2
159

=1

(y-1)2
5
1112
(y-1)2
5
1112

+

타원

x2
159

x2
159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1은 타원

y2
155

타원

+

=1의 초점의 좌표는

x2
159

y2
155

+

=1을 y축의





9-5, 0), (-

9-5 , 0), 즉 (2, 0), (-2, 0)

(
이고, 평행이동하여도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변하지
않으므로 주어진 타원의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p=4
또 평행이동하여도 장축, 단축의 길이는 변하지 않으
므로 주어진 타원의 장축의 길이는 q=2_3=6
단축의 길이는 r=2_
'
∴ p+q+r =4+6+2
'
5
'

5=2
5

=10+2

5


'

13  구하는 쌍곡선의 방정식을

y2
15b2 =-1 (a>0, b>0)이라 하면 주축의 길이

x2
15a2 -
가 4이므로 2b=4에서 b=2
이때 a2=32-b2=32-22=5이므로
구하는 쌍곡선의 방정식은
x2
155

y2
154

=-1

-



또 점근선의 방정식이 y=x, y=-x이므로

=1

;aB;

P{2,`1}

x

F

2'2
y2
+   =1
152

x2
158

yy ㉡
∴ a=b
㉠, ㉡을 연립하여 풀면

a2=

, b2=

;2!;

;2!;

따라서 구하는 쌍곡선의 방정식은
2x2-2y2=1

15   두 직선 y=2x, y=-2x를 점근선으로 하고 점 (1, 0)
을 지나는 쌍곡선은 주축이 x축 위에 있으므로 구하는
쌍곡선의 방정식을
y2
x2
15b2 =1 (a>0, b>0)이라 하자.
15a2 -
점근선의 방정식이 y=2x, y=-2x이므로

=2

;aB;

∴ b=2a

 yy ㉠

1
또 점 (1, 0)이 쌍곡선 위의 점이므로
15a2 =1

∴ a=1 (∵ a>0)
a=1을 ㉠에 대입하면 b=2
따라서 구하는 쌍곡선의 방정식은

x2-

=1

y2
154

16  점근선의 방정식이 y=Ñ

;aB;

x이므로 두 점근선이 서로

수직이려면

_

-

{

;aB;

;aB;}

=-1

∴ b2=a2

또 쌍곡선

yy ㉠

x2
15a2 -

y2
15b2 =1이 점 (3, 1)을 지나므로

1
15b2 =1 yy ㉡

∴ 

9
15a2 -

12
15b2 =1

32
15a2 -
㉠, ㉡을 연립하여 풀면 a2=8
∴ a=2
2 (∵ a>0)
따라서 주축의 길이는
2a=2_2

2=4

'

'

2
'

17  y2=-12x=4_(-3)_x이므로 포물선의 초점의
=1의 한

좌표는 (-3, 0)이고, 이 점이 타원

x2
15a +

y2
153

초점이므로 다른 한 초점의 좌표는 (3, 0)이다.
따라서 32=a-3이므로
a=9+3=12

14  구하는 쌍곡선의 방정식을

y2
15b2 =1 (a>0, b>0)이라 하면 초점의 좌표가

x2
15a2 -
(1, 0), (-1, 0)이므로
a2+b2=1 yy ㉠

+

=1의 초점의 좌표는

x2
y2
1325
1316
25-16), (0, -

18  타원
(0,

즉 (0, 3), (0, -3)이므로 두 점 A(0, 3),
R(0, -3)은 모두 타원의 초점이다.

25-16),



8    I. 이차곡선



y2
+   =1
1325

P

y
5

x2
1316

A{0,`3}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점 P, Q를 잡으면 타원
의 정의에 의하여
PAÓ+PRÓ
=QAÓ+QRÓ
=(장축의 길이)
=10
따라서 삼각형 PQR의
둘레의 길이는
PQÓ+QRÓ+PRÓ=(PAÓ+QAÓ)+QRÓ+PRÓ

-4
Q

-5



O

4

R{0,`-3}

x



=(PAÓ+PRÓ)+(QAÓ+QRÓ)
=10+10=20



-

y2
159

16+9, 0),

x2
1316
16+9, 0), (-

=1의 초점의 좌표는

19  쌍곡선
(

즉 F(5, 0), F'(-5, 0)
∴ FF'Ó=10
그런데 주축의 길이는 2a=8이므로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PF'Ó-PFÓ|=8이다.
이때 삼각형 PF'F의 둘레의 길이가 30이므로
PF'Ó+FF'Ó+PFÓ=30에서
PF'Ó+PFÓ=30-FF'Ó



=30-10
=20
2
-PF'Ó

2

∴ |PFÓ

| =|PFÓ+PF'Ó|_|PFÓ-PF'Ó|  
=20_8
=160



20  쌍곡선

x2
15p

-

(y-r)2
1112q

=-1을 y축의 방향으로 -r

만큼 평행이동한 것은 쌍곡선

-

=-1이다.

x2
15p

y2
15q

q=6에서 q=9

이때 주축의 길이가 6이므로 2
또 두 초점의 좌표 (0, 7), (0, -1)을 y축의 방향으로
-r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각각 (0, 7-r),
(0, -1-r)이다.

'

한편 쌍곡선

-

=-1의 중심의 좌표, 즉 두 점

x2
15p

y2
15q

(0, 7-r), (0, -1-r)의 중점의 좌표가 (0, 0)이
므로
(7-r)+(-1-r)
2
111111112
∴ r=3

=0, 3-r=0



=-1의 두 초점의 좌표는

-

x2
15p

따라서 쌍곡선

y2
15q
(0, 4), (0, -4)이므로
42=p+9
∴  p=7
∴ p-q+r =7-9+3

=1





-

y2
x2
157
159
9+7, 0), (-

=1의 초점의 좌표는

9+7, 0), 즉 F(4, 0), F'(-4, 0)

21  쌍곡선
(

∴ FF'Ó=8
또 점 F를 지나고 x축에 수직인 직선 x=4와 쌍곡선
의 교점 A, B의 좌표는
42
159

=1에서 y=Ñ

y2
157

이므로

-

;3&;

4,

A
{

;3&;}

, B
{

4, -

;3&;}

∴ ABÓ=

:Á3¢:

따라서 삼각형 AF'B의 넓이는

_

;2!;

:Á3¢:

_8=

:°3¤:

22   포물선 (y-3)2=-12(x+1)은 포물선 y2=-12x
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포물선 y2=-12x=4_(-3)_x의 초점의
좌표가 (-3, 0)이고, 준선의 방정식이 x=3이므로
주어진 포물선의 초점의 좌표는 (-4, 3)이고, 준선
의 방정식은 x=2이다.

23  4x2+8y2=32에서

+

y2
154

x2
158
8-4, 0), 즉 (2, 0), (-2, 0)

=1의 초점의 좌표는

8-4, 0), (-

(

이 두 점을 초점으로 하고 단축의 길이가 2인 타원의



방정식을

y2
15b2 =1 (a>b>0)이라 하면

x2
15a2 +
2b=2에서 b=1
이때 a2=b2+22=12+22=5이므로 타원의 방정식은
x2
15
따라서 구하는 장축의 길이는 2_

+y2=1

5=2

5

'

'

-

y2
x2
154
155
5+4, 0), (-

=1의 초점의 좌표는

24  쌍곡선
(

∴ FF'Ó=6
사각형 F'QFP의 넓이가 24이므로 삼각형 PF'F의 넓

5+4, 0), 즉 F(3, 0), F'(-3, 0)



이는

_24=12이다.

;2!;

이때 제1사분면에 있는 쌍곡선 위의 점 P의 좌표를
(p, q)라 하면 삼각형 PF'F의 넓이는

_FF'Ó_q=

_6_q=3q

;2!;

;2!;
즉 3q=12에서 q=4
또 점 P(p, 4)가 주어진 쌍곡선 위의 점이므로
p2
155
∴ p=5 (∵ p>0)
따라서 구하는 점 P의 좌표는 (5, 4)이다.

=1, p2=25

42
154

-

01. 이차곡선   9

이때 b2=102-a2=102-82=36이므로 구하는 쌍
곡선의 방정식은
y2
x2
1336
1364

=1

-



y

x2
1364

y2
-    =1
1336
P

C{10,`6'5}

y=3'5

x

A{-10,`0}

-8

O

8

B{10,`0}

점 P는 B 관측소와 C 관측소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
으므로 두 점 B(10, 0), C(10, 6
5)의 수직이등분
선 위에 있다. 이때 선분 BC의 수직이등분선의 방정

'

식은 y=3

5이므로 점 P는 두 방정식

'
5의 교점들 중 제2사분면에 위치한 점이다.

=1

-

x2
1364

y2
1336

'

-

과 y=3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5)2
x2
(3
'
36
1364
1115
∴ x=-12 (∵ x<0)
따라서 조난 지점 P의 좌표는
(-12, 3

=1, x2=144

5)



'

4  ⑴ 배와 두 기지 사이의 거리의 차가 항상 40 km로 일
정하므로 배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이차곡선은 쌍
곡선이다.  
두 기지 A, B가 100 km 떨어져 있으므로
A(-50, 0), B(50, 0)
배의 위치를 P라 하면 점 P는 두 초점 A, B로부터의
거리의 차가 40인 쌍곡선 위의 점이다. 이 쌍곡선의





방정식을

x2
15a2 -

y2
15b2 =1 (a>0, b>0)이라 하면

2a=40에서 a=20
이때 b2=502-a2=502-202=2100이므로 구하는
쌍곡선의 방정식은
y2
x2
2100
133400
13334

=1

-

⑵ 점 (-40, a)는 쌍곡선

=1 위의 점이

x2
133400

-

y2
2100
13334

므로
(-40)2
400
1112
a2=6300
∴ a=30

-

a2
2100
13334

=1

7 (∵ a>0)

'

본문 22~23 쪽

창의력·융합형·서술형·코딩
1 ⑴ y2=64x  ⑵ C

2 ⑴ 

+

=1  ⑵ 40 cm

x2
124225
x2
1364
x2
124400

y2
124625
y2
1336
y2
2100
115

3 ⑴ 

-

=1  ⑵ P(-12, 3

5)

'

4 ⑴ 

-

=1  ⑵ 30

7
'

1  ⑴ A 지점을 원점으로 하면 초점인 P 지점의 좌표는

(16, 0)
y2=4px에서 p=16이므로 구하는 포물선의 방정식
은 y2=4_16_x, 즉 y2=64x

⑵ 매점의 위치를 X라 하
고, 점 X에서 준선에 내
린 수선의 발을 H라 하
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
하여 HXÓ=PXÓ이므로
PXÓ+QXÓ

y

X

H

O

P

y@=64x

Q

x

x=-16

=HXÓ+QXÓ
즉 세 점 H, X, Q가 한
직선 위에 있어야 PXÓ+QXÓ의 값이 최소가 되므로
매점의 위치로 적절한 지점은 C이다.

2  ⑴ 장축의 길이가 50, 단축의 길이가 30인 타원의 방정

식을

x2
15a2 +

y2
15b2 =1 (b>a>0)이라 하면
2b=50에서 b=25, 2a=30에서 a=15
따라서 구하는 타원의 방정식은
x2
132225

y2
132625

=1

+

⑵ 충격파 발사 장치에서 결석까지의 거리는 타원의 두

초점 사이의 거리와 같다.

+

y2
x2
132225
132625
625-225), (0, -

타원

=1의 초점의 좌표는



625-225),

(0,

즉 (0, 20), (0, -20)
따라서 타원의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20-(-20)|=40
이므로 충격파 발사 장치에서 결석까지의 거리는
40 cm이다.

3  ⑴ 조난 지점을 P라 하면 점 P는 B 관측소보다 A 관측
소에 16 km만큼 더 가까이 있으므로 두 점
A(-10, 0), B(10, 0)을 초점으로 하고 두 초점으
로부터의 거리의 차가 16인 쌍곡선 위의 점이다. 이
y2
15b2 =1 (a>0, b>0)이라

쌍곡선의 방정식을

x2
15a2 -



하면
2a=16에서 a=8

10    I. 이차곡선

02 이차곡선과 직선

본문 26~27 쪽

교과서 개념 확인 테스트

1
1 -1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1 -2 ⑴ 한 점에서 만난다. (접한다. )  ⑵ 만나지 않는다.
2 -1 y=2x+2 
3 -1 y=-x-1 
4 -1 y=-2xÑ5 

2 -2 y=3x-1
3 -2 y=x+2
4 -2 y=xÑ3

5 -1 y=-

x+2 

;2!;

5 -2 y=x+4

6 -1 ⑴ y=xÑ1  ⑵ y=x-1

6 -2 ⑴ y=-xÑ2  ⑵ y=-

x+

;4!;

;2#;

1 -1  y=x+2를 y2=-4x에 대입하면

(x+2)2=-4x
∴ x2+8x+4=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144
따라서 주어진 포물선과 직선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42-1_4=12>0

1 -2  ⑴ y=-x-3을 4x2+5y2=20에 대입하면

4x2+5(-x-3)2=20
∴ 9x2+30x+25=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144
따라서 주어진 타원과 직선은 한 점에서 만난다.
(접한다. )

⑵ x+y=1, 즉 y=-x+1을 5x2-3y2=-15에

=152-9_25=0

대입하면
5x2-3(-x+1)2=-15
∴ x2+3x+6=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32-4_1_6=-15<0
따라서 주어진 쌍곡선과 직선은 만나지 않는다.

2 -1 y2=16x=4_4_x에서 p=4이므로 기울기가 2인

접선의 방정식은

y=2x+

∴  y=2x+2


;2$;

울기가 3인 접선의 방정식은

y=3x+

∴  y=3x-1

-3
1243



2 -2 y2=-12x=4_(-3)_x에서 p=-3이므로 기

3 -1 y2=4x=4_1_x에서 p=1이므로 포물선


y2=4x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2y=2_1_(x+1)

∴  y=-x-1

3 -2 x2=-8y=4_(-2)_y에서 p=-2이므로 포물
선 x2=-8y 위의 점 (-4, -2)에서의 접선의 방정
식은
-4x=2_(-2)_{y+(-2)}
∴ y=x+2

4 -1   타원

x2
156

+y2=1에서 a2=6, b2=1이므로 기울기가

-2인 접선의 방정식은

y=-2xÑ
∴ y=-2xÑ5

"Ã6_(-2)2+1

4 -2   타원 2x2+4y2=12, 즉

=1에서 a2=6,

x2
146

+

y2
143

b2=3이므로 기울기가 1인 접선의 방정식은
y=xÑ

"Ã6_12+3

∴ y=xÑ3

+

=1 위의 점 (2, 1)에서의 접선의 방정

5 -1   타원

x2
158

y2
142

식은
2_x
11358

+

1_y
1132

=1

∴  y=-

x+2

;2!;

5 -2  타원 3x2+y2=12, 즉

+

x2
144

y2
1312
(-1,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3_y
(-1)_x
12
4
1135
11112

=1

+

∴  y=x+4

=1 위의 점

6 -1  ⑴ 쌍곡선

=1에서 a2=4, b2=3이므로 기

-

x2
144

y2
143
울기가 1인 접선의 방정식은
"Ã4_12-3
y2
x2
-
144
145

y=xÑ

∴  y=xÑ1

방정식은
5_x
11355

-

4_y
11354

=1

∴  y=x-1

⑵ 쌍곡선

=1 위의 점 (5, 4)에서의 접선의

6 -2  ⑴ 쌍곡선 7x2-3y2=-21, 즉

x2
143

y2
147

-

=-1에서

a2=3, b2=7이므로 기울기가 -1인 접선의 방정
식은
y=-xÑ
∴ y=-xÑ2

"Ã7-3_(-1)2



=-1 위의

x2
1312

⑵ 쌍곡선 x2-4y2=-12, 즉

y2
153
점 (-2,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2_y
(-2)_x
1133
12
11113

=-1

-

-



∴ y=-

x+

;4!;

;2#;

02. 이차곡선과 직선   11

본문 28~29 쪽

기출 기초 테스트 

2
1 -1 ⑴ k>-1  ⑵ k=-1  ⑶ k<-1
1 -2 ⑴ 풀이 참조  ⑵ 풀이 참조
2 -1 6  
3 -1 y=2x+2  
4 -1 y=2xÑ4  
5 -1 y=x-5   

2 -2 2
3 -2 1
4 -2 y=3xÑ7
5 -2 y=2x-6

5
'

6 -1 y=-xÑ2 

6 -2 y=

xÑ3

;2!;

따라서 주어진 쌍곡선과 직선의 위치 관계는 다음
과 같다.
Ú D>0, 즉 -6(k-2)>0에서 k<2일 때, 서

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Û D=0, 즉 -6(k-2)=0에서 k=2일 때, 한

점에서 만난다. (접한다. )

Ü D<0, 즉 -6(k-2)<0에서 k>2일 때, 만

나지 않는다.

1 -1  y=-x+k를 y2=4x에 대입하면

2 -1  y2=-4x=4_(-1)_x에서 p=-1이므로 기울

기가

인 접선의 방정식은

;3!;

y=

x+

;3!;



∴  y=

x-3

;3!;

-1
142
;3!;

;3!;

이때 직선 y=

x-3이 점 (a, -1)을 지나므로

⑴ 포물선과 직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1=

a-3

∴  a=6

;3!;

=4(k+1)=0이어야 하므로 k=-1

접선의 방정식은

2 -2 y2=32x=4_8_x에서 p=8이므로 기울기가 2인

(-x+k)2=4x
∴ x2-2(k+2)x+k2=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144 

={-(k+2)}2-1_k2=4k+4



=4(k+1)

=4(k+1)>0이어야 하므로 k>-1

⑵ 포물선과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려면

⑶ 포물선과 직선이 만나지 않으려면

=4(k+1)<0이어야 하므로 k<-1

D
144

D
144

D
144

1 -2  ⑴ y=-x+k를 x2+

=1에 대입하면

y2
143

x2+

(-x+k)2
3
141112

=1

∴ 4x2-2kx+k2-3=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144 

=(-k)2-4(k2-3)=-3k2+12

=-3(k+2)(k-2)



따라서 주어진 타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는 다음과
같다.
Ú D>0, 즉 -3(k+2)(k-2)>0에서



-2<k<2일 때,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Û D=0, 즉 -3(k+2)(k-2)=0에서

k=Ñ2일 때, 한 점에서 만난다. (접한다. )

Ü D<0, 즉 -3(k+2)(k-2)<0에서

k<-2 또는 k>2일 때, 만나지 않는다.

⑵ y=3x-2를 3x2-y2=k에 대입하면

3x2-(3x-2)2=k
∴ 6x2-12x+k+4=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144 

=(-6)2-6(k+4)=-6k+12

=-6(k-2)

12    I. 이차곡선

y=2x+

∴  y=2x+4


;2*;

이때 직선 y=2x+4와 x축, y축이 만나는 두 점은
A(-2, 0), B(0, 4)이므로
ABÓ="Ã

{0-(-2)}2+(4-0)2=2

5
'

3 -1  y2=16x에 x=1을 대입하면

∴  y=-4 또는 y=4

y2=16
따라서 포물선 y2=16x와 직선 x=1의 교점 중 제1
사분면 위에 있는 교점의 좌표는 (1, 4)
y2=16x=4_4_x에서 p=4이므로 포물선
y2=16x 위의 점 (1, 4)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4y=2_4_(x+1)
∴ y=2x+2

3 -2 y2=-8x=4_(-2)_x에서 p=-2이므로 포물
선 y2=-8x 위의 점 (-2, 4)에서의 접선의 방정
식은
4y=2_(-2)_{x+(-2)}
∴ y=-x+2
이때 직선 y=-x+2가 점 (1, a)를 지나므로
a=-1+2=1





4 -1  타원 4x2+3y2=12, 즉

x2
143

y2
144

+

=1에서

a2=3, b2=4

이때 타원

+

=1에 접하고 직선 y=2x+5에

x2
143

y2
144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는 2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
식은

y=2xÑ

"Ã3_22+4



∴ y=2xÑ4

6 -2  쌍곡선 5x2-2y2=-20, 즉

-

=-1에서

x2
144

y2
1410

a2=4, b2=10
x2
144

이때 쌍곡선

y2
1410

-

=-1에 접하고 직선

y=-2x+1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이므로 구

;2!;

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



10-4_

;2!;

®É

{;2!;}

2





∴ y=

xÑ3

;2!;

4 -2  타원

=1에서 a2=5, b2=4

x2
145

+

y2
144
x2
145

y2
144

이때 타원

+

=1에 접하고 직선 y=-

x+2

;3!;

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3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3xÑ

"Ã5_32+4



∴ y=3xÑ7

5 -1

y

'5
1
-1
-'5

O

4

x

-2'5

x@+4y@=20

-2'5

점 (4, a)가 타원 x2+4y2=20 위의 점이므로
42+4a2=20, a2=1
이때 점 (4,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양수이므
x2
1320

로 타원 x2+4y2=20, 즉

∴  a=Ñ1

=1 위의 점

y2
145

+

(4,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4_x
11320
∴ y=x-5

(-1)_y
5
11115

=1

+



5 -2  점 (2, -2)가 타원 ax2+y2=12 위의 점이므로

a_22+(-2)2=12, 4a=8

따라서 타원 2x2+y2=12, 즉

∴  a=2
y2
x2
1412
146
(2,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2_x
1416
∴ y=2x-6

(-2)_y
12
141112

=1

+

+



=1 위의 점

6 -1  쌍곡선

=1에서 a2=13, b2=9

x2
1313

-

y2
159
x2
1313

y2
159

이때 쌍곡선

-

=1에 접하고 직선 y=-x+3

에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는 -1이므로 구하는 직선
의 방정식은

y=-xÑ
∴ y=-xÑ2

"Ã13_(-1)2-9

교과서 기본 테스트

본문 30~33 쪽

3
01 ② 
05 2 
09 ① 

02 k<-4 또는 k>4  03 ① 
08 (2
5, 4
07 ⑤ 
06 ③ 
12 (-2, 
11 ④ 
10 ② 
'

'

'
2)

04 ④
5)

13 y=

xÑ2 

;2#;

14 ⑤ 

15 ③ 

16 ②

17 (0, 4)  18 3 

19 ① 

20 5 

21 

:ª4°:

22 k>20  23  '

24 3

2
124

 

01  y=x-k를 y2=8x에 대입하면

(x-k)2=8x
∴ x2-2(k+4)x+k2=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144 

={-(k+4)}2-1_k2=8k+16  

=8(k+2)

이때 포물선과 직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D>0이어야 하므로
8(k+2)>0

∴  k>-2

02  y=2x-k를 4x2+y2=8에 대입하면

4x2+(2x-k)2=8
∴ 8x2-4kx+k2-8=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144 

=(-2k)2-8_(k2-8)=-4k2+64

=-4(k+4)(k-4)



이때 타원과 직선이 만나지 않으려면 D<0이어야 하
므로
-4(k+4)(k-4)<0
∴ k<-4 또는 k>4

02. 이차곡선과 직선   13

03  y=-x+3을 2x2-y2=k에 대입하면

2x2-(-x+3)2=k
∴ x2+6x-9-k=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144
이때 쌍곡선과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려면 D=0이어
야 하므로
k+18=0

=32-1_(-9-k)=k+18

∴  k=-18

04 y2=12x=4_3_x이므로 초점의 좌표는 (3, 0)이
다. 기울기가 1인 직선의 방정식을 y=x+k라 하고,
이 식을 y2=12x에 대입하면
(x+k)2=12x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144 

=(k-6)2-1_k2=-12k+36

∴  x2+2(k-6)x+k2=0



=-12(k-3)

∴  k=3

이때 포물선과 직선이 접하려면 D=0이어야 하므로
-12(k-3)=0
따라서 접선 y=x+3, 즉 x-y+3=0과 점 (3, 0)
사이의 거리는
|3-0+3|
111121

2
'

=3

"Ã12+(-1)2 =

6
12'2

05 y2=-8x=4_(-2)_x에서 p=-2이므로 기울

기가 -1인 접선의 방정식은

y=-x+

∴  y=-x+2

-2
11-1



따라서 주어진 포물선에 접하
고 기울기가 -1인 직선과 x
축, y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오른쪽 그림에서 색칠
한 부분의 넓이이므로

_2_2=2

;2!;

y

2

O

2

-2

x

y=-x+2

y2=-8x

06  타원 4x2+5y2=20, 즉

x2
145

y2
144

+

=1에서

a2=5, b2=4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가 45ù인 직선의

기울기는 tan45ù=1이므로 타원

x2
155
하고 기울기가 1인 직선의 방정식은

y2
154

+

=1에 접

y=xÑ

"Ã5_12+4

∴  y=xÑ3

07   기울기가
'

3인 직선의 방정식을 y=

3x+k라 하고,

'

이 식을 x2+3y2=30에 대입하면
x2+3(
3x+k)2=30
'
∴ 10x2+6

3kx+3k2-30=0
'

14    I. 이차곡선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144 

3k)2-10_(3k2-30)=-3k2+300  
'

=(3

=-3(k+10)(k-10)

∴  k=Ñ10
3x+10, y=

이때 타원과 직선이 접하려면 D=0이어야 하므로
-3(k+10)(k-10)=0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y=
이고,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직선 y=
점 (0, 10)과 직선 y=
'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
3_0-10-10|
'
141111112
"Ã(

3)2+(-1)2 =

3x-10, 즉
'

3x-10
3x+10 위의
'
3x-y-10=0

=10

:ª2¼:

'

'

'

=1 위의 점 P의 좌표를 (a, b)라

x2
154

y2
1320

-

08   쌍곡선
하면
a2
154
또 점 P(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ax
124

=1, 즉 y=

by
1220

5a
12b

20
12b

b2
1320

=1

x-

-

-

∴  5a2-b2=20 yy ㉠

yy ㉡

이때 접선의 기울기가

이므로

;2%;



;2%;

=

∴  b=2a

5a
143b
㉡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5a2-(2a)2=20, a2=20
∴ a=2
a=2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2

5를 ㉡에 대입하면 b=4
5, 4

5 (∵ a>0)

'

'

5
'
5)이다.
'

'

09 y2=8x=4_2_x에서 p=2이므로 포물선 y2=8x

위의 점 (2, -4)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4y=2_2_(x+2)
한편 x2=ay=4_

_y에서 p=

∴  y=-x-2

;4A;

이므로 초점의

;4A;

좌표는
{

0,

;4A;}

이고, 이 점을 직선 y=-x-2가 지나

므로

;4A;

=-2

∴  a=-8

10 y2=4x=4_1_x에서 p=1이므로 초점의 좌표는
(1, 0)이다. 이때 초점을 지나면서 y축에 평행한 직선
은 x=1이므로 이 직선과 주어진 포물선의 교점의 좌
표를 (1, a)라 하면
a2=4에서 a=Ñ2
즉 P(1, 2), Q(1, -2)라 하면 점 P(1, 2)에서의 접
선의 방정식은
2y=2_1_(x+1)
∴  y=x+1
점 Q(1,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2y=2_1_(x+1)

∴  y=-x-1

ax
128

+

by
124

=1

_{x+(-2)}

∴ y=-x+2

따라서 두 접선 y=x+1, y=-x-1의 교점의 좌표
는 x+1=-x-1, 2x=-2에서 x=-1, y=0이
므로 (-1, 0)이다.

y-(-1)=

(x-1)



;4!;

∴ y=

x-

;4!;

;4%;

+

=1 위의 점이므로

15  y2=-8x=4_(-2)_x에서 p=-2이다.

11  점 (a, b)는 타원
b2
149

a2
1416

=1

+

x2
1416

y2
149

 yy ㉠

또 점 (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1이

ax
1216

by
129

∴  a=2

+

=1

고, 이 직선의 x절편이 8이므로
b_0
a_8
14319
143116
a=2를 ㉠에 대입하면
22
b2
1416
149
∴ a2b2=22_

∴  b2=

=27

=1

:ª4¦:

+

:ª4¦:

+

=1 위의 점 P의 좌표를 (a, b)라 하면

y2
154

12  타원
a2
158

+

x2
158
b2
154

=1

 yy ㉠

또 점 P(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2이므로

'
∴  b=

2
'

'

+

=1

이고, 이 직선의 y절편이 2
b_2
2
a_0
143114
14318
2를 ㉠에 대입하면
b=
a2
148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2,
'

2)2
(
'
14124

=1, a2=4

+

'

2)이다.

∴  a=-2 (∵ a<0)

=1 위의 점 (3, 2)에서의 접선의 방정

13  타원

식은

+

x2
1318
3_x
11218

y2
158

+

=1

 ∴ y=-

x+4

;3@;

2_y
1128
x2
154

-

y2
155

따라서 쌍곡선

=1에 접하고 직선

y=-

x+4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이므로 구

;2#;

;3@;

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



4_

;2#;

®É

{;2#;}

-5

∴  y=

xÑ2

;2#;

2

14  쌍곡선 4x2-y2=3, 즉

-

=1 위의 점

x2
142
;4#;

y2
153

P(1,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1_x
1422
;4#;

(-1)_y
141113

=1

-

∴  y=-4x+3

따라서 점 P(1, -1)을 지나고 직선 y=-4x+3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

;4!;\

정식은

yy ㉡

2=-8x1

접점의 좌표를 (x1, y1)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y1y=2_(-2)_(x+x1)
이때 이 접선이 점 (4, -2)를 지나므로
y1_(-2)=2_(-2)_(4+x1)
y1=2x1+8 yy ㉠
또 접점 (x1, y1)이 포물선 y2=-8x 위의 점이므로
y1
㉠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2+10x1+16=0, (x1+2)(x1+8)=0
x1
∴ x1=-2, y1=4 또는 x1=-8, y1=-8
이때 점 (-2, 4)에서의 접
선의 기울기가 음수이므로
x1=-2, y1=4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
정식은
4_y=2_(-2)

y2=-8x

-8

-2

-2

O

y

4

4

x

-8

16  y2=x=4_

;4!;

_x에서

p=

이므로 기울기가 m인

{a,`1}

;4!;

접선의 방정식은

y=mx+

1
1254m

이 접선이 점 (a, 1)을 지나
므로

y

;4!;

O

x

y2=x

1=ma+

1
1254m
∴ 4am2-4m+1=0
이차방정식 ㉠의 두 근을 m1, m2라 하면 m1, m2는 각
각 두 접선의 기울기이고, 두 접선이 수직이므로
m1m2=-1
이차방정식 ㉠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yy ㉠

m1m2=

=-1

1
124a

∴ a=-

;4!;

다른 풀이
임의의 한 점 A에서 포물선에 그은 두 접선이 수직이
면 점 A는 포물선의 준선 위에 있다.

포물선 y2=x의 준선은 x=-

이고 점 (a, 1)에서

;4!;

포물선에 그은 두 접선이 수직이므로 점 (a, 1)은 준선
위에 있다.

∴ a=-

;4!;

02. 이차곡선과 직선   15

17   타원 4x2+y2=8, 즉

+

=1의 접점의 좌표를

20  쌍곡선 3x2-y2=3, 즉 x2-

=1 위의 점 (p,q)에

x2
142

y2
148

+

=1

y1y
1428

(x1, y1)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x1x
1422
이때 이 접선이 점 (1, 6)을 지나므로
x1_1
14212

y1_6
14218

=1

+

;2#;

y1+2 yy ㉠

x1=-
또 접점 (x1, y1)이 타원 4x2+y2=8 위의 점이므로
yy ㉡
4x1
㉠ 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5y1

2-12y1+4=0, (y1-2)(5y1-2)=0

2+y1

2=8

∴ x1=-1, y1=2 또는 x1=

, y1=

;5&;

;5@;

이때 점 (-1, 2)에서의 접
선의 기울기가 양수이므로
x1=-1, y1=2
즉 기울기가 양수인 접선의
방정식은
(-1)_x
2
11112
∴ y=2x+4
따라서 직선 y=2x+4와 y
축이  만나는  점의  좌표는
(0, 4)이다.

2_y
1138

=1

+

y

{1,`6}

4x2+y2=8

2'2
2

;5@;
O-1

'2

x

;5&;

-'2

-2'2

18   타원

x2
153

+

y2
156

=1에서 a2=3, b2=6이므로 기울기가

1인 접선의 방정식은
"Ã3_12+6

∴  y=xÑ3

y=xÑ
이 접선이 제1사분면 위에 있는 점 (2k, k)를 지나므로
k=2kÑ3

∴  k=3 (∵ k>0)

19   타원

x2
154

+y2=1에서 a2=4, b2=1이므로 기울기가

m인 접선의 방정식은

"Ã4m2+1
y=mxÑ
이 접선이 점 (1, 3)을 지나므로

3=mÑ

"Ã4m2+1

"Ã4m2+1

3-m=Ñ
양변을 제곱하면
(3-m)2=4m2+1
∴ 3m2+6m-8=0
이 이차방정식의 두 근이 각각 두 접선의 기울기 m1,
m2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m1+m2=-

=-2

;3^;

16    I. 이차곡선

y2
153
qy
133

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px-

=1

이때 이 접선이 점 (1, 1)을 지나므로

p_1-

=1, 3p-q=3

q_1
1123

yy ㉠

q=3p-3
또 접점 (p,q)가 쌍곡선 3x2-y2=3 위의 점이므로
3p2-q2=3 yy ㉡
㉠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p2-3p+2=0, (p-1)(p-2)=0
∴ p=1, q=0 또는 p=2, q=3
그런데 p, q는 0이 아닌 상수이므로 p=2, q=3이다.
∴ p+q=2+3=5

21   쌍곡선 x2-5y2=5, 즉

-y2=1의 접점의 좌표를

x2
155

-y1y=1

(x1, y1)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x1x
1235
이때 이 접선이 점 P(0, 2)를 지나므로
x1_0
11245

-y1_2=1

;2!;

yy ㉠

y1=-
또 접점 (x1, y1)이 쌍곡선 x2-5y2=5 위의 점이므로
x1
㉠을 ㉡에 대입하면

2=5 yy ㉡

2-5y1

x1

2-5_

-

{

;2!;}

2

=5, x1

2=

:ª4°:

∴ x1=-

, y1=-

또는 x1=

, y1=-

;2%;

;2!;

;2%;

;2!;

따라서 두 점 A, B의 좌표는

-

, -

,
{;2%;

, -

;2%;

{
;2!;}
;2!;}
이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PAB=

_5_

;2!;

;2%;

=

:ª4°:

P{0,`2}

y

O

-;2!;

-;2%;

A

;2%;

B

x

22  y=x-5를 4x2+y2=k에 대입하면

4x2+(x-5)2=k
∴ 5x2-10x+25-k=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144 

=(-5)2-5_(25-k)=5k-100

=5(k-20)

이때 타원과 직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D>0이어야 하므로
5(k-20)>0

∴  k>20

23   포물선 y2=2x 위의 점과 직선 y=-x-1 사이의 거
리의 최솟값은 기울기가 -1인 포물선의 접선과 직선
y=-x-1 사이의 거리와 같다.

1  ⑴ 호수의 둘레를 나타내는 타원의 방정식을

y2
14b2 =1 (b>a>0)이라 하면 장축의 길이가 4,

24   쌍곡선

=-1에서 a2=7, b2=16이므로 기

y2=2x=4_

;2!;

인 접선의 방정식은

_x에서 p=

이므로 기울기가 -1

;2!;

y=-x+ ;2!;
11-1



∴  y=-x-

;2!;

따라서 직선 y=-x-

;2!;}
y=-x-1, 즉 x+y+1=0 사이의 거리는

;2!;

위의 점
{

0, -

과 직선

0-

+1

|
|
;2!;
14221125

12+12 = ;2!;

2
142
'



= '

2
124

-

x2
147

y2
1416
울기가 m인 접선의 방정식은
"Ã16-7m2
y=mxÑ
이 접선이 점 F(p, 0)을 지나므로
"Ã16-7m2
"Ã16-7m2

0=pmÑ

pm=Ñ
양변을 제곱하면
p2m2=16-7m2
∴ (p2+7)m2-16=0
이차방정식 ㉠의 두 근을 m1, m2라 하면 m1, m2는 각
각 두 접선의 기울기이고, 두 접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m1m2=-1
이차방정식 ㉠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yy ㉠

m1m2=

=-1

-16
p2+7
1125

p2+7=16, p2=9
∴ p=3 (∵ p>0)

x2
14a2 +
단축의 길이가 2
2a=2
'
∴ a=
'
따라서 구하는 타원의 방정식은

'
2, 2b=4
2, b=2

2이므로





x2
2)2+
1135
(
'
x2

152

+

y2
1422 =1
y2
154

=1

⑵ 타원 모양의 호수의 둘레와 도로가 접하는 지점의 좌

표가 (m, n)이므로 타원

+

=1 위의 점

x2
142

y2
144

+

=1

=1

ny
134

∴  y=

 yy ㉠

(m, n)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mx
1252
x=0을 ㉠에 대입하면
4
ny
1n
134
y=0을 ㉠에 대입하면
2
mx
15m
1252
이때 타원 모양의 호수의 둘레에 접하는 도로로 둘러
4
1n

싸인 부분은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각각 2_

∴  x=

2
15m

, 2_

=1

인 마름모이고, 그 넓이가 8

2이므로

'

_

;2!;

4
15m

_

∴ mn=

8
1n =8
16
118
2
'

=

2
'

2
'

y2
14b2 =1 (a>b>0)이라 하면

x2
14a2 +
3, 단축의 길이가 8이므로

2  ⑴ 타원의 방정식을
장축의 길이가 8
2a=8
'
∴ a=4
따라서 구하는 타원의 방정식은

'
3, 2b=8
3, b=4

'



⑵ 타원

=1 위의 점 P의 y좌표가 -2이므로

+



=1

y2
x2
3)2 +
1542 =1
1115
(4
'
y2
x2
1316
1348
y2
x2
1348
1316
(-2)2
x2
1348
16
14312
∴ x=6 (∵ x>0)
따라서 타원 위의 점 P의 좌표는 (6, -2)이다.

=1, x2=36

+

+

y2
14316

+

x2
1348
의 방정식은
6_x
143148
∴ y=x-8

+

(-2)_y
16
1431213

=1

02. 이차곡선과 직선   17

2 ⑴ 

+

=1  ⑵ (6, -2)  ⑶ y=x-8

⑶ 타원

=1 위의 점 P(6, -2)에서의 접선

창의력·융합형·서술형·코딩

본문 34~35 쪽

1 ⑴ 

+

=1  ⑵ 

2
'

x2
132
x2
1348

y2
134
y2
1316

;2!;

3 ⑴ l: y=

x+4, Q(-8, 0)  ⑵ 풀이 참조  

⑶ (2, 0), 초점의 좌표와 점 R의 좌표는 같다.
4 ⑴ 2x-3y=-5  ⑵ P(5, 5), Q(-1, 1)  ⑶ 5

3  ⑴ y2=8x=4_2_x에서 p=2이므로 포물선 y2=8x

위의 점 P(8, 8)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8y=2_2_(x+8)

∴  y=

x+4

;2!;

이때 점 Q는 직선 l과 x축의 교점이므로 y=0을 대
입하면

II 평면벡터

03 벡터의 연산

h

l

P

R

8

x

y2=8x

0=

x+4

∴  x=-8

;2!;

따라서 점 Q의 좌표는 (-8, 0)이다.
y

⑵ 오른쪽 그림과 같이

h

8

h

Q

∠RPQ=h라 하면 입
사각과 반사각의 크기
는 같으므로
∠PQR=h이다.
따라서 삼각형 PQR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QRÓ=PRÓ
이때 점 R의 좌표를 (a, 0)이라 하면
2

O

2
이므로

=PRÓ

QRÓ=PRÓ에서 QRÓ
(a+8)2=(a-8)2+(-8)2, 32a=64
∴ a=2
따라서 점 R의 좌표는 (2, 0)이다.

⑶ y2=8x=4_2_x에서 p=2이므로 포물선 y2=8x

의 초점의 좌표는 (2, 0)이다.
따라서 포물선 y2=8x의 초점의 좌표와 점 R의 좌표
는 같다.

4  ⑴ 쌍곡선 x2-y2=-5, 즉

-

=-1 위의 점

x2
155

y2
155

⑵ 쌍곡선

-

-

=-1

y2
155

3_y
1125

=-1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2,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2_x
1125
∴ 2x-3y=-5
x2
155
y=x, y=-x이다.
점 P는 직선 2x-3y=-5와 y=x의 교점이므로
2x-3x=-5, x=5
또 점 Q는 직선 2x-3y=-5와 y=-x의 교점이
므로
2x+3x=-5, x=-1
2, OQÓ=

2이고, 두 점근선 y=x, y=-x

∴  Q(-1, 1)

∴  P(5, 5)

가 서로 수직이므로 직각삼각형 OPQ의 넓이는

⑶ OPÓ=5

'

'

_OPÓ_OQÓ=

_5

2_

2=5

;2!;

'

;2!;

'

y

Q

O

{2,`3}

P

x

y=-x

2x-3y=-5
y=x

x2-y2=-5

18    I. 이차곡선

본문 40~41 쪽

3  ⑵ 2

'

1 -2 ⑴ 

교과서 개념 확인 테스트

1
1 -1 ⑴ 3  ⑵ 5  
2 -1 ⑴ CD³  ⑵ -ED³
2 -2 ⑴ FO³, OÕC², ED³  ⑵ BC³, AO³, OD³, FÕE²
3 -1 ⑴ DA³  ⑵ CÕB² 
4 -1 풀이 참조   
5 -1 5aø+2bø 
 
6 -1 15 

 

3 -2 ⑴ CA³  ⑵ 0ø
4 -2 풀이 참조
5 -2 ⑴ 3aø+bø  ⑵ -aø-bø
6 -2 6

1 -1  ⑴ |BA³|=BAÓ=CDÓ=3
⑵ |BD³|=BDÓ=

42+32=5
Á°

1 -2  ⑴ 오른쪽 그림의 △ACF에서

A

F

|AC³|=FCÓ_sin 60ù
이때 세 대각선의 교점을 O
라 하면 FOÓ=OCÓ=1이므
로 FÕCÕ=2

1

B

60æ

O

E

C

D

∴ |AC³|=2_ '

3
122
⑵ 위의 그림에서 AOÓ=ODÓ=1이므로

=

'

3

ADÓ=2

∴  |AD³|=2

2 -1   서로 같은 벡터는 시점의 위치에 관계없이 그 크기와

방향이 각각 같은 벡터이다.
⑴ AB³와 서로 같은 벡터는 CD³이다.
⑵ BÕC²와 서로 같은 벡터는 -ED³이다.

2 -2  ⑴ AB³와 서로 같은 벡터는 FÕO², OÕC², ED³이다.

⑵ AD³와 방향이 같은 벡터는 BÕC², AO³, OD³, FÕE²이다.

3 -1  ⑴ CA³+DC³=DC³+CA³=DÕA³

⑵ AB³+DÕA³+CD³ =(DÕA³+AB³)+CD³ 



=DB³+CD³  
=CD³+DB³  
=CB³

3 -2  ⑴ BÕA³+CB³=CB³+BÕA³=CA³

⑵ AB³+BC³+CD³+DÕA³ 

=(AB³+BC³)+(CD³+DÕA³)
=AC³+CÕA³
=0ø





4 -1



aø-bø

-bø

다른 풀이
평행사변형을 이용하여 aø-bø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ø-bø

-bø



4 -2  ⑴

 ⑵



aø-bø

-bø

-bø



aø-bø

5 -1  2(aø+4bø)-3(-aø+2bø)
=2aø+8bø+3aø-6bø
=(2+3)aø+(8-6)bø
=5aø+2bø



5 -2  ⑴ 2(2aø-bø)-(aø-3bø)



=4aø-2bø-aø+3bø
=(4-1)aø+(-2+3)bø 
=3aø+bø

⑵ 3(aø-bø+2cø)-2(2aø-bø+3cø)
=3aø-3bø+6cø-4aø+2bø-6cø
=(3-4)aø+(-3+2)bø+(6-6)cø
=-aø-bø





6 -1  두 벡터 2aø-5bø, -6aø+mbø가 서로 평행하므로
-6aø+mbø=k(2aø-5bø) (단, k는 0이 아닌 실수)
-6aø+mbø=2kaø-5kbø
두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6=2k, m=-5k
∴ k=-3, m=15

6 -2  두 벡터 3aø-bø와 maø-2bø가 서로 평행하므로
maø-2bø=k(3aø-bø) (단, k는 0이 아닌 실수)
maø-2bø=3kaø-kbø
두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m=3k, -2=-k
∴ k=2, m=6

기출 기초 테스트 

본문 42~43 쪽

2
1 -1 풀이 참조   
2 -1 aø-bø  
3 -1 2  
4 -1 3aø-bø 
5 -1 2aø-3bø 
 
6 -1 풀이 참조   

 

1 -2 풀이 참조
2 -2 bø-aø
3 -2 ⑴ 4  ⑵ 2
4 -2 7aø-2bø
5 -2 ⑴ aø-3bø  ⑵ -10aø+4bø
6 -2 풀이 참조

1 -1  AB³+CD³ =(AD³+DB³)+(CB³+BD³)
=AD³+CB³+(DB³+BD³)  
=AD³+CB³+0ø
=AD³+CB³



따라서 AB³+CD³=AD³+CB³가 성립한다.



1 -2  aø+bø+cø=AB³+BC³+CA³ 
=(AB³+BC³)+CA³
=AC³+CA³

=0ø

2 -1  CD³=BÕA³=OÕA³-OB³=aø-bø

2 -2  CD³=BE³=AE³-AB³=bø-aø

3 -1  |AB³+BC³-CD³| =|(AB³+BC³)-CD³|



=|AC³-CD³|
=|AC³+DC³|
=|FD³+DC³|
=|FC³|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세 대각선
의 교점을 O라 하면
FOÓ=OCÓ=1이므로 FCÓ=2
∴ |FC³|=2
∴ |AB³+BC³-CD³| =|FC³|

1

B

A

F

E

O

C

D

=2

3 -2  ⑴ |AB³+AE³|=|AB³+BD³|=|AD³|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세 대각
A
선의 교점을 O라 하면

AOÓ=ODÓ=2이므로

ADÓ=2
∴ |AD³|=4
∴ |AB³+AE³|=|AD³|=4

B

C

2

F

D

E

⑵ |AB³+CD³-ED³| =|AB³+(CD³+DE³)|



=|AB³+CE³|
=|AB³+BÕF²|
=|AF³|

이때 AFÓ=2이므로
|AB³+CD³-ED³|=|AF³|=2

03. 벡터의 연산   19







O




4 -1  2(aø+2bø)-(-aø+5bø)
=2aø+4bø+aø-5bø
=(2+1)aø+(4-5)bø
=3aø-bø

4 -2  2(aø+3bø)-3(-aø+2bø)+2(aø-bø)
=2aø+6bø+3aø-6bø+2aø-2bø
=(2+3+2)aø+(6-6-2)bø
=7aø-2bø

5 -1  aø+3bø+2xø=5aø-3bø에서
2xø=5aø-3bø-aø-3bø

=(5-1)aø+(-3-3)bø
=4aø-6bø
∴ xø=2aø-3bø





5 -2  ⑴ aø+2bø+3xø=4aø-7bø에서



3xø=4aø-7bø-aø-2bø


=(4-1)aø+(-7-2)bø
=3aø-9bø
∴ xø=aø-3bø

⑵ 4aø+3xø=2(xø-3aø+2bø)에서

4aø+3xø=2xø-6aø+4bø
3xø-2xø=-6aø+4bø-4aø
(3-2)xø=(-6-4)aø+4bø
∴ xø=-10aø+4bø

6 -1  AB³, AC³를 각각 aø, bø로 나타내면
AB³=OB³-OA³=2bø-aø
AC³=OC³-OA³



=(-aø+4bø)-aø 
=-2aø+4bø

=2(2bø-aø)

즉 AC³=2AB³
따라서 세 점 A, B, C는 한 직선 위에 있다.

6 -2  AB³, AC³를 각각 aø, bø로 나타내면

AB³=OB³-OA³



=(4aø-bø)-(2aø+3bø)
=2aø-4bø
AC³=OC³-OA³



=(-aø+9bø)-(2aø+3bø)
=-3aø+6bø





=-

(2aø-4bø)

;2#;

즉 AC³=-

AB³

;2#;

따라서 세 점 A, B, C는 한 직선 위에 있다.

20    II. 평면벡터

교과서 기본 테스트

3
01 ⑴ AF³, BO³, CD³  ⑵ BÕE², CÕF², DÕA³, EÕB², FÕC²
03 ① 
02 ③ 
07 2 
08 -4 
10 ⑴ 7aø-bø  ⑵ -aø+3bø-2cø 

04 ④ 
09 ③

11 4aø+4bø

05 ① 

12 ⑤ 

13 xø+yø=

aø+

 bø  14 ②

15 p=1, q=-5 
19 6 
22 -7aø+3bø 
24 풀이 참조

20 2

'



;7!;

;7$;
16 ③ 
21 평행사변형
23 m=3, n=2

17 ① 

본문 44~47 쪽

06 

2
'

18 4

01  ⑴ OE³와 서로 같은 벡터는 AF³, BO³, CD³이다.

⑵ ADÓ=BEÓ=CFÓ=2이므로 AD³와 크기가 같은 벡

터는 BE³, CÕF², DÕA³, EB³, FÕC²이다.

02  BC³=AC³-AB³=bø-aø

03  -bø+cø=CA³+AD³



=CD³
=-AB³
=-aø

04  ① AO³=BC³=bø

② AC³=AB³+BC³=aø+bø
③ AD³=2AO³=2BC³=2bø
④ BO³=AO³-AB³=BC³-AB³=bø-aø
⑤ DE³=BA³=-aø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05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세 대각선

A

F

의 교점을 O라 하면
CE³=CF³+FE³

=2CO³+FE³
=2BA³+BC³
=-2aø+bø





B





E

O

C

D

06  |AB³+AC³+AD³| =|DC³+AC³+AD³|




=|(AD³+DC³)+AC³|
=|AC³+AC³|
=2|AC³|



|AB³+AC³+AD³|=4에서 2|AC³|=4
∴ |AC³|=2
정사각형 ABCD의 한 변의 길이를 a라 하면

Á°

'

a2+a2=

ACÓ=
2a
이때 ACÓ=2이므로
'
∴ a=
2
'
따라서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

2a=2

2이다.

ㄷ. AB³+BC³+CA³=(AB³+BC³)+CA³

16 maø+nbø=(n-m)aø+(m+1)bø에서 두 벡터가 서






07  |cø-aø+bø| =|CD³-AB³

³+BC³|




=|(BC³+CD³)-AB³|
=|BD³+BÕA³|
=|BD³+DE³|
=|BE³|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세 대각선
의 교점을 O라 하면
BOÓ=OEÓ=1이므로 BÕEÕ=2
∴ |BÕE²
∴ |cø-aø+bø|=|BÕE²|=2

ø|=2

B





A

1

F

O



C

D

08  DE³=-aø, CD³=

;2!;

BE³이므로

BE³=BC³+CD³+DE³

=bø+

BE³-aø

;2!; 



BE³=bø-aø에서 BE³=-2aø+2bø이므로

;2!; 

m=-2, n=2
∴ mn=-2_2=-4

09  ㄱ. AB³+0ø=AB³

ㄴ. CÕB²+CA³-BA³=CÕB²+(CA³+AB³)





=CÕB²+CÕB²
=2CÕB²





=AC³+CA³ 
=0ø

따라서 옳은 것은 ㄷ이다.

10  ⑴ 2(2aø+bø)+3(aø-bø) =4aø+2bø+3aø-3bø



=7aø-bø



(aø+5bø-cø)-

(5aø+bø+4cø)

;3@;

;3!;

=

aø+

bø-

cø-

aø-

bø-



;3$;

;3!;

;3%;

;3@;

:Á3¼:

;3@;

=-aø+3bø-2cø

11  2(aø-bø)-3(aø-2bø)+5aø
=2aø-2bø-3aø+6bø+5aø
=4aø+4bø

12  2(xø-yø)+3yø=2xø-2yø+3yø
=2xø+yø

=2(3aø-2bø+cø)+(2aø+bø-4cø)
=6aø-4bø+2cø+2aø+bø-4cø
=8aø-3bø-2cø



13  xø+2yø=aø
3xø-yø=bø
㉠+2_㉡을 하면

 yy ㉠
 yy ㉡

7xø=aø+2bø

∴ xø=

aø+

bø

;7@;

;7!;

위의 식을 ㉡에 대입하면

yø=3xø-bø=3

aø+

bø
}

;7@;

-bø

{;7!;

=

aø-

bø

;7!;

;7#;

E

∴ xø+yø=

aø+

bø
}

;7@;

+

{;7#;

aø-

bø
}

;7!;

{;7!;

=

aø+

bø

;7!;

;7$;

14  3(xø+aø+2bø)=2(bø-xø)에서
3xø+3aø+6bø=2bø-2xø
5xø=-3aø-4bø

∴ xø=-

aø-

bø

;5$;

;5#;

15  AB³=OB³-OÕA³



=(2aø-bø)-(aø+4bø)
=aø-5bø



이때 AB³=paø+qbø이므로
p=1, q=-5

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m=n-m, n=m+1
∴ 2m=n, n=m+1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m=1, n=2이므로
m+n=1+2=3

17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에 있으려면

AC³=kAB³ (k+0)인 실수 k가 존재해야 한다.

AB³=OB³-OÕA³

=(2aø-bø)-(aø+bø)
=aø-2bø
AC³=OC³-OÕA³



=(6aø+mbø)-(aø+bø)
=5aø+(m-1)bø

∴ 5aø+(m-1)bø=kaø-2kbø
두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5=k, m-1=-2k
∴ k=5, m=-9

18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에 있으려면

AC³=kAB³ (k+0)인 실수 k가 존재해야 한다.

AB³=OB³-OÕA³

=(aø-bø)-(2aø+bø)
=-aø-2bø

03. 벡터의 연산   21







AC³=OC³-OÕA³



=(maø+5bø)-(2aø+bø)
=(m-2)aø+4bø



∴ (m-2)aø+4bø=-kaø-2kbø
두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m-2=-k, 4=-2k
∴ k=-2, m=4

24  pø+qø=(3aø+2bø)+(2aø-bø)=5aø+bø
2qø+rø=2(2aø-bø)+(-9aø+bø)



=-5aø-bø
=-(5aø+bø)





이때 pø+qø=-(2qø+rø)이므로 p²+q²=k(2qø+rø)를
만족시키는 0이 아닌 실수 k가 존재한다.
따라서 두 벡터 p²+q², 2q²+r²는 서로 평행하다.

19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에 있으려면

AC³=kAB³ (k+0)인 실수 k가 존재해야 한다.

AB³=OB³-OA³

=2bø-(-3aø)
=3aø+2bø
AC³=OC³-OÕA³





=m(aø+bø)-(-3aø)
=(m+3)aø+mbø



∴ (m+3)aø+mbø=3kaø+2kbø
두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m+3=3k, m=2k
∴ k=3, m=6

20  AB³-AP³=PÕB²이므로

|AB³-AP³|=|PÕB²|=PÕBÕ
PÕBÕ의 길이는 점 P가 점 D에 위치할 때 최대이므로
구하는 최댓값은
"Ã22+22=2

2
'

21  PA³+PÕC²=PÕB²+PD³에서
PÕA³-PÕB²=PD³-PÕC²
따라서 BÕAÓ=CDÓ, BÕAÓ∥CDÓ이므로 사각형 ABCD
는 한 쌍의 대변이 평행하고 그 길이가 같다. 즉 사각
형 ABCD는 평행사변형이다.

∴  BÕA³=CD³

22  3(aø+bø+xø)=2(3bø-2aø)+2xø에서
3aø+3bø+3xø=6bø-4aø+2xø
3xø-2xø=6bø-4aø-3aø-3bø
(3-2)xø=(-4-3)aø+(6-3)bø
∴ xø=-7aø+3bø

23  3xø-yø=-aø yy ㉠
yy ㉡

5xø-2yø=bø
2_㉠-㉡을 하면
xø=-2aø-bø
위의 식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yø=-5aø-3bø
∴ xø-yø=(-2aø-bø)-(-5aø-3bø)



=3aø+2bø
이때 xø-yø=maø+nbø이므로
m=3, n=2

22    II. 평면벡터

창의력·융합형·서술형·코딩

본문 48~49 쪽

1 ⑴ ㈎: 2, ㈏: 3  ⑵ 풀이 참조
2 ⑴ 북동쪽  ⑵ 10 km/h
3 ⑴ 풀이 참조  ⑵ 풀이 참조
2 N  ⑵ 풀이 참조
4 ⑴ 2000

'

1  ⑴ cø=2aø+3bø이므로 ㈎, ㈏에 알맞은 수는 각각 2, 3

이다.

⑵ 다음 그림과 같이 서로 평행하지 않고 영벡터가 아닌
두 벡터 aø, bø에 대하여 aø, bø, cø의 시점을 일치시키면 cø
를 두 벡터 aø, bø의 실수배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3bø







-2aø

이때 cø=-2aø-3bø이다.

2  ⑴ 다음 그림과 같이 혜진이가 걸어가면서 민희를 바라
볼 때, 민희는 북동쪽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민희





혜진

B

O

민희

⑵ 혜진이가 걸어가면서 민희
를 바라볼 때 느끼는 민희의
속력은 오른쪽 그림에서
|AB³|
이때 t시간 동안 혜진이가
움직인 거리는 6t km, 민희가 움직인 거리는 8t km
이므로

혜진

A

=

|AB³|=

|OÕA³|2+|OB³|2
ÚÞ
(6t)2+(8t)2=10t (km)
¿¹
따라서 t시간 후의 혜진이와 민희 사이의 거리는
10t km이므로 구하는 속력은 10 km/h이다.

ø
3  ⑴ 자동차의 밖에서 바라볼 때, 자동차에서 쏜 공은 그

대로 제자리에 멈추어 떨어진다.

04 평면벡터의 성분과 내적

⑵ 자동차의 속도를 aø라 하고, 자동차가 달리는 반대 방
향으로 쏜 공의 속도를 bø라 하면 aø와 bø는 크기는 같
고 방향이 반대이므로 aø+bø=0ø이다.
따라서 자동차에서 쏜 공은 자동차의 밖에서 바라볼
때, 그대로 제자리에 멈추어 떨어진다.



4  ⑴ 오른쪽 그림에서
CA³+CB³=CD³
삼각형 ACB는 직각이등
변삼각형이므로 |CD³|는
정사각형 ACBD의 대각
선의 길이이다.
∴ |CD³| =

2_2000

A

B

90æ

C

D

'
=2000

'

2 (N)
따라서 배 C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2000

2N이다.
⑵ h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CD³|는 커진다. 즉 배 C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가 커지므로 속력은 빨라진다. 한
편 h=180ù일 때는 두 배 A, B가 같은 크기의 힘으
로 반대 방향으로 배 C를 끌기 때문에 배 C에 작용하
는 힘의 크기는 0이므로 배 C는 움직이지 않는다.

'

1

교과서 개념 확인 테스트

본문 52~53 쪽

1 -1 

aø+

bø  

;3!;

;3@;

1 -2 -2aø+3bø

2 -1  ⑴ aø=eøÁ+3eªÕ

ø, bø=-2eÁÕ

ø 
ø+eªÕ

2 -2  ⑴ aø=-3eÁø

⑵ aø=(1, 3), bø=(-2, 1)
Õ, bø=2eÁø
⑵ aø=(-3, 2), bø=(2, 3)

Õ+2eªø

Õ+3eªø
Õ 

3 -1 ⑴ (-6, 2)  ⑵ (5, 7)
3 -2 ⑴ (2, -2)  ⑵ (-7, 4)
4 -1 ⑴ 20  ⑵ 10  ⑶ 0 
5 -1 ⑴ 0  ⑵ -3 
6 -1 -9 

 

3  ⑵ 3

2  ⑶ -3

'

'

4 -2 ⑴ 3
5 -2 ⑴ 7  ⑵ 4
6 -2 8

1 -1   점 P는 선분 AB를 1`:`2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그 위

치벡터 pø는

pø=

1_bø+2_aø
1+2
131111

=

aø+



;3!;

;3@;

치벡터 qø는

qø=

3_bø-2_aø
3-2
131111

=-2aø+3bø

1 -2   점 Q는 선분 AB를 3`:`2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그 위

2 -1  ⑴ aø=eÁø
⑵ aø=eÁø

Õ+3eªø
Õ+3eªø

Õ+eªø

Õ, bø=-2eÁø
Õ를 성분으로 나타내면 (1, 3)

bø=-2eÁø

Õ+eªø

Õ를 성분으로 나타내면 (-2, 1)

2 -2  ⑴ aø=-3eÁø

Õ
Õ+2eªø

Õ+3eªø

bø의 시점이 원점이 되도록 평행이동하면
bø=2eÁø
⑵ aø=-3eÁø
bø=2eÁø

Õ를 성분으로 나타내면 (2, 3)

Õ+3eªø

Õ+2eªø

Õ를 성분으로 나타내면 (-3, 2)

3 -1  ⑴ -2aø=-2(3, -1)=(-6, 2)
⑵ aø+2bø=(3, -1)+2(1, 4)
=(3, -1)+(2, 8)
=(5, 7)





3 -2  ⑴ 2aø+bø-3cø

=2(1, -2)+(3, 2)-3(1, 0)
=(2, -4)+(3, 2)+(-3, 0)
=(2, -2)

⑵ 2(aø-bø)+3(cø-2aø)
=-4aø-2bø+3cø
=-4(1, -2)-2(3, 2)+3(1, 0)
=(-4, 8)+(-6, -4)+(3, 0)
=(-7, 4)

04. 평면벡터의 성분과 내적   23

Õ
Õ
 

'

7 -1 ⑴ -2  ⑵ 3 

8 -1 2
9 -1 ⑴ 15  ⑵ 12 
10 -1 45ù 
11 -1 (
'
'
11 -2 (3, 4) 또는 (-3, -4)

 
2) 또는 (-

2, -

'

2, 

2)

'

7 -2 ⑴ -12  ⑵ 14
5
8 -2 
'
9 -2 ⑴ 2  ⑵ 7
10 -2 ⑴ 45ù  ⑵ 120ù

12 -1 

  

;2#;

12 -2 

:Á7¦:

1 -1  ⑴ 선분 AB를 2`:`1로 내분하는 점의 위치벡터는

⑵ 선분 AB를 2`:`1로 외분하는 점의 위치벡터는

2_bø+1_aø
2+1
131111

=

aø+


;3@;

;3!;

2_bø-1_aø
2-1
131111

=-aø+2bø

1 -2  ⑴ 선분 AB를 5`:`4로 내분하는 점의 위치벡터는

⑵ 선분 AB를 5`:`4로 외분하는 점의 위치벡터는

5_bø+4_aø
5+4
131111

=

aø+


;9%;

;9$;

5_bø-4_aø
5-4
131111

=-4aø+5bø

2 -1  ⑴ aø=(2, 1)=2(1, 0)+(0, 1)=2eÁø

Õ+eªø
⑵ bø=(3, -2)=3(1, 0)-2(0, 1)=3eÁø
⑶ cø=(-4, 0)=-4(1, 0)=-4eÁø
⑷ dø=(0, 3)=3(0, 1)=3eªø

Õ-2eªø

2 -2  ⑴ aø=3eÁø
⑵ bø=-eÁø
⑶ cø=5eÁø
⑷ dø=-7eªø

Õ-4eªø
Õ+3eªø

Õ=3(1, 0)-4(0, 1)=(3, -4)
Õ=-(1, 0)+3(0, 1)=(-1, 3)

Õ=5(1, 0)=(5, 0)

Õ=-7(0, 1)=(0, -7)

3 -1  AB³=OB³-OA³=(2, 1)-(1, 3)=(1, -2)
1Û`+(-2)Û`=

∴ |AB³|=



5
'

3 -2  ⑴ AB³=OB³-OA³=(2, 3)-(1, 0)=(1, 3)
1Û`+3Û`=

∴ |AB³|=

10


⑵ AB³=OB³-OA³=(0, 2)-(4, -1)=(-4, 3)





∴ |AB³|=

(-4)Û`+3Û`=5



4 -1  aø=bø이므로 (x+2, 5-y)=(7-y, -x+4)에서
∴  x+y=5

x+2=7-y
5-y=-x+4
㉠, ㉡을 연립하여 풀면 x=2, y=3

yy ㉠
∴  x-y=-1 yy ㉡

4 -1  ⑴ aø º bø=|aø||bø|cos 0ù=4_5_1=20
⑵ aø º bø=|aø||bø|cos 60ù=4_5_

=10

;2!;

⑶ aø º bø=|aø||bø|cos 90ù=4_5_0=0

4 -2  ⑴ aø º bø=|aø||bø|cos 30ù

=2_3_ '

3
'
⑵ aø º bø=|aø||bø|cos 45ù

=3

3
132

=2_3_ '

2
132
⑶ aø º bø=-|aø||bø|cos(180ù-120ù)

2
'

=3

=-|aø||bø|cos 60ù

=-2_3_

=-3

;2!;

5 -1  ⑴ aø º bø=2_2+4_(-1)=0

⑵ aø º bø=0_4+(-3)_1=-3

5 -2  ⑴ aø º bø=2_5+3_(-1)=7
⑵ aø º bø=1_4+(-2)_0=4

6 -1 aø⊥bø이므로 aø º bø=0에서

2_x+3_6=0, 2x=-18
∴ x=-9



6 -2 aø⊥bø이므로 aø º bø=0에서


(-4)_8+y_4=0, 4y=32
∴ y=8







2

기출 기초 테스트 

1 -1 ⑴ 

aø+

bø  ⑵ -aø+2bø

;3!;

;3@;

본문 54~57 쪽

1 -2 ⑴ 

aø+

bø  ⑵ -4aø+5bø

;9%;

Õ+eªø

Õ  ⑵ 3eÁø

Õ  ⑶ -4eÁø

;9$;
2 -1 ⑴ 2eÁø
Õ-2eªø
2 -2 ⑴ (3, -4)  ⑵ (-1, 3)  ⑶ (5, 0)  ⑷ (0, -7)
³=(1, -2), |AB³|=
3 -1 AB³
5
'
3 -2  ⑴ AB³=(1, 3), |AB³|=
10 
⑵ AB³=(-4, 3), |AB³|=5

Õ  ⑷ 3eªø



 

4 -1 x=2, y=3
4 -2 ⑴ x=-3, y=4  ⑵ x=2, y=1
5 -1 ⑴ (11, 2)  ⑵ (15, -18)
5 -2 ⑴ (9, -2)  ⑵ (-6, 5)
6 -1 2aø-bø 
 

24    II. 평면벡터

6 -2 ⑴ 3aø+2bø  ⑵ aø+2bø

2x=-6, 4=y
∴ x=-3, y=4

4 -2  ⑴ aø=bø이므로 (2x, 4)=(-6, y)에서

Õ
ø
ø
Õ
Õ
Õ
Õ
⑵ aø=bø이므로 (2x-y, 3y)=(x+y, 2x-1)에서

2x-y=x+y
3y=2x-1
㉠, ㉡을 연립하여 풀면 x=2, y=1

∴  x-2y=0 yy ㉠
yy ㉡

∴  2x-3y=1

5 -1  ⑴ 2aø+bø=2(5, 2)+(1, -2)=(11, 2)
⑵ 4(aø+bø)-3(aø-2bø) =aø+10bø


=1이므로

;2!;

8 -1  aø º bø=|aø||bø|cos60ù=2_1_
|aø+2bø|Û`=(aø+2bø) º (aø+2bø)
=|aø|Û`+4aø º bø+4|bø|Û`
=2Û`+4_1+4_1Û`
=4+4+4=12
12=2

∴|aø+2bø|=



3
'

=(5, 2)+10(1, -2)
=(15, -18)

8 -2  aø º bø=|aø||bø|cos45ù=

2_3_ '

=3이므로

'

2
132









|2aø-bø|Û`=(2aø-bø) º (2aø-bø)
=4|aø|Û`-4aø º bø+|bø|Û`
2)Û`-4_3+3Û`
=4_(
'
=8-12+9=5

∴|2aø-bø|=

5
'

9 -1  ⑴ |aø+bø|Û`=(aø+bø) º (aø+bø)

=|aø|Û`+2aø º bø+|bø|Û`

에서
8Û`=3Û`+2aø º bø+5Û`
∴ aø º bø=15

⑵ |aø-3bø|Û`=(aø-3bø) º (aø-3bø)
=|aø|Û`-6aø º bø+9|bø|Û`
=3Û`-6_15+9_5Û`=144



∴|aø-3bø|=

144=12



9 -2  ⑴ |aø+bø|Û`=(aø+bø) º (aø+bø)

=|aø|Û`+2aø º bø+|bø|Û`

에서
3Û`=1Û`+2aø º bø+2Û`
∴ aø º bø=2

⑵ |3aø+2bø|Û`=(3aø+2bø) º (3aø+2bø)
=9|aø|Û`+12aø º bø+4|bø|Û`

=9_1Û`+12_2+4_2Û`=49

∴|3aø+2bø|=

49=7



10 -1  aø º bø=2_1+1_3=5

두 벡터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 (0ùÉhÉ180ù)라 하
면 aø º bø>0이므로

cosh=

5
2Û`+1Û`
11111123
1Û`+3Û`


∴ h=45ù

= '

2
122

10 -2  ⑴ aø º bø=1_(-2)+2_6=10

두 벡터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 (0ùÉhÉ180ù)라
하면 aø º bø>0이므로
10
1Û`+2Û`
1111111125
(-2)Û`+6Û``


∴ h=45ù

2
122

cosh=

= '

04. 평면벡터의 성분과 내적   25

5 -2  ⑴ aø-2bø+3cø=(2, 1)-2(1, 0)+3(3, -1)
=(9, -2)



⑵ 2(aø+2bø-cø)-(aø+2cø)

=aø+4bø-4cø
=(2, 1)+4(1, 0)-4(3, -1)
=(-6, 5)

6 -1  cø=kaø+lbø라 하면

(5, -6) =k(3, -2)+l(1, 2)
=(3k+l, -2k+2l)


yy ㉠
3k+l=5
-2k+2l=-6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k=2, l=-1이므로
cø=2aø-bø

6 -2  ⑴ cø=kaø+lbø라 하면

(3, 4) =k(-1, 2)+l(3, -1)
=(-k+3l, 2k-l)


-k+3l=3 yy ㉠
yy ㉡
2k-l=4
㉠, ㉡을 연립하여 풀면 k=3, l=2이므로
cø=3aø+2bø

⑵ dø=kaø+lbø라 하면

(5, 0) =k(-1, 2)+l(3, -1)
=(-k+3l, 2k-l)




-k+3l=5 yy ㉠
yy ㉡
2k-l=0
㉠, ㉡을 연립하여 풀면 k=1, l=2이므로
dø=aø+2bø

7 -1  ⑴ aø º bø=2_3+4_(-2)=-2
⑵ aø º bø=0_1+3_1=3

7 -2  ⑴ aø º bø=(-2)_3+3_(-2)=-12

⑵ aø º bø=2_1+(-3)_(-4)=14

⑵ aø º bø=0_

3+1_(-1)=-1

'

두 벡터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 (0ùÉhÉ180ù)라
하면 aø º bø<0이므로

cos(180ù-h)=-

-1
0Û`+1Û`
111111121123
(



3)Û`+(-1)Û`

'

=

;2!;
따라서 180ù-h=60ù이므로 h=120ù

01  AB³-2BC³+3AC³

=(OB³-OÕA³)-2(OC³-OB³)+3(OC³-OÕA³)
=-4OÕA³+3OB³+OC³
=-4aø+3bø+cø

02  점 R는 선분 PQ를 1`:`4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OR³=

1_qø+4_pø
1+4
1111125

=

pø+



;5!;

;5$;

11 -1  bø=(x, y)라 하면 두 벡터 aø, bø가 서로 수직이므로

∴  y=-x yy ㉠
xÛ`+yÛ`=2에서
yy ㉡

aø º bø=1_x+1_y=0에서
x+y=0
이때 |bø|=2이므로

xÛ`+yÛ`=4
㉠을 ㉡에 대입하여 풀면
x=
'
∴ bø=(

2 또는 x=-
'
2) 또는 bø=(-

2, y=-
2, -

2, y=
2,
'

'

'
'

'

2
'
2)

11 -2  bø=(x, y)라 하면 두 벡터 aø, bø가 서로 수직이므로

aø º bø=(-4)_x+3_y=0에서

-4x+3y=0

∴  y=

x yy ㉠

;3$;

xÛ`+yÛ`=5에서

이때 |bø|=5이므로

xÛ`+yÛ`=25
㉠을 ㉡에 대입하여 풀면
x=3, y=4 또는 x=-3, y=-4
∴ bø=(3, 4) 또는 bø=(-3, -4)

yy ㉡

12 -1  두 벡터 aø, bø가 서로 수직이므로 aø º bø=0에서

1_k+3_(1-k)=0    ∴ k=

;2#;

12 -2  2aø-3bø=2(-1, 1)-3(2, 1)=(-8, -1)
kaø+bø=k(-1, 1)+(2, 1)=(-k+2, k+1)
이때 두 벡터 2aø-3bø, kaø+bø가 서로 수직이므로
(2aø-3bø) º (kaø+bø)=0에서
(-8)_(-k+2)+(-1)_(k+1)=0

∴ k=

:Á7¦:

   교과서 기본 테스트
3
01 -4aø+3bø+cø 
04 x=-1, y=2 
07 ② 
08 ③ 
10 (-4, -3) 또는 (4, 5) 
13 4 
12 ④ 

02 ① 
05 ⑤ 
09 ①

14 ① 

본문 58~61 쪽

03 ② 
06 2aø-4bø

11 ⑴ 3  ⑵ -6
15 ⑴ 8  ⑵ 1

16 ② 

21 ④ 

17  '

3
 
1256
22 풀이 참조 

18 12'3  19 
23 2

;5^;

 

20 ①

22  24 3

13





26    II. 평면벡터

03  -3aø+2bø-4cø

=-3(2, 3)+2(-2, -1)-4(1, -3)
=(-14, 1)

04  aø=bø이므로 (x+2, 5-y)=(3-y, -x+2)에서
∴  x+y=1

x+2=3-y
5-y=-x+2
㉠, ㉡을 연립하여 풀면 x=-1, y=2

yy ㉠
∴  x-y=-3 yy ㉡

05  점 D의 좌표를 (x, y)라 하면

AB³=OB³-OÕA³=(0, 3)-(-2, 5)=(2, -2)
CD³=OD³-OC³=(x, y)-(3, 6)=(x-3, y-6)
이때 AB³=CD³이므로 (2, -2)=(x-3, y-6)에서
2=x-3, -2=y-6
따라서 점 D의 좌표는 (5, 4)

∴  x=5, y=4

06  cø=kaø+lbø라 하면

(0, 10) =k(2, 1)+l(1, -2)

=(2k+l, k-2l)


yy ㉠
2k+l=0
k-2l=10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k=2, l=-4이므로
cø=2aø-4bø

07  cø=kaø+lbø라 하면

(6, -1) =k(3, 2)+l(-1, 1)

=(3k-l, 2k+l)

yy ㉠
3k-l=6
2k+l=-1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k=1, l=-3
∴ k+l=1+(-3)=-2

08 OÕA³=(1, 2), BÕA³=(-2, 6), MÓO³=(-x, -y)이

므로
OÕA³+BÕA³+MÓO³=(1, 2)+(-2, 6)+(-x, -y)
=(-1-x, 8-y)

이때 OÕA³+BÕA³+MÓO³=0ø이므로
-1-x=0, 8-y=0에서 x=-1, y=8
∴ x+y=(-1)+8=7

09  -2aø+bø=-2(1, k)+(-2, 3)=(-4, -2k+3)
aø+2bø=(1, k)+2(-2, 3)=(-3, k+6)
이때 -2aø+bø∥aø+2bø이므로
aø+2bø=t(-2aø+bø) (t는 0이 아닌 실수)라 하면
(-3, k+6)=t(-4, -2k+3)
-3=-4t, k+6=-2kt+3t

∴ t=

, k=-

;4#;

;2#;

10  꼭짓점 D의 좌표를 (x, y)라 하면
AÕD³=(x, y-1), BC³=(6, 6)
이때 AÕD³∥BC³이므로 BC³=kAÕD³ (k는 0이 아닌 실수)
라 하면 (6, 6)=k(x, y-1)
6=kx, 6=ky-k
∴ x=y-1
xÛ`+(y-1)Û`=4
또 AÕDÓ=4
양변을 제곱한 후 x=y-1을 대입하면
2(y-1)Û`=32, y2-2y-15=0
(y+3)(y-5)=0
따라서 꼭짓점 D의 좌표는 (-4, -3) 또는 (4, 5)

∴  y=-3 또는 y=5

2이므로


2
'

'

11  ⑴ aø º bø=5_(-1)+(-2)_(-4)=3
⑵ aø º bø=2_(-3)+0_(-2)=-6

16  |aø+bø|=

3의 양변을 제곱하면

'
|aø|Û`+2aø º bø+|bø|Û`=3
1Û`+2aø º bø+2Û`=3
∴ aø º bø=-1

17  |aø+bø|=3의 양변을 제곱하면
|aø|Û`+2aø º bø+|bø|Û`=9
3)Û`+2aø º bø+2Û`=9
(
'
∴ aø º bø=1
이때 aø º bø=|aø||bø|cosh이고, aø º bø>0이므로
1=

3_2_cosh

'

∴ cosh= '

3
126

18  aø º bø=-|aø||bø|cos(180ù-120ù)
=-|aø||bø|cos60ù

=-4_6_

=-12

;2!;

이므로
|3aø-2bø|Û`=(3aø-2bø) º (3aø-2bø)
=9|aø|Û`-12aø º bø+4|bø|Û`
=9_4Û`-12_(-12)+4_6Û`
=144+144+144=432



∴|3aø-2bø|=

432=12



3
'

12  ∠ABC의 크기를 h라 하면

BÕA³ º BC³=|BÕA³||BC³|cosh

이때 cosh=

이므로

|BÕA³|
1125
|BC³|

BÕA³ º BC³=|BÕA³|_|BC³|_

C

4

A

|BÕA³|
1125
|BC³|

h B

3

19 5OP³=3OB³+2OÕA³에서 OP³=

3OB³+2OÕA³
5
1511113

이므로

OP³는 선분 AB를 3`:`2로 내분하는 점 P의 위치벡터
이다. 이때 |AB³|=

3)Û`+1Û`=2이므로

(

|AB³|=

'
_2=

;5#;

;5^;

|AP³|=

;5#;

=|BÕA³|Û`
=3Û`=9

13   두 벡터 aø, bø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AOB=60ù이

므로

aø º bø=|aø||bø|cos60ù=2_4_

=4

;2!;

14  aø º bø=-|aø||bø|cos(180ù-150ù)
=-|aø||bø|cos30ù

=-2

3_2_ '

'

3
122

=-6

15  ⑴ aø º (bø+2cø) =aø º bø+2aø º cø

=2+2_3
=8
⑵ (2bø-cø) º aø=2bø º aø-cø º aø
=2aø º bø-aø º cø
=2_2-3
=1

20  2PA³+PÕB²+PÕC²=AB³에서
2PA³+PÕB²+PÕC²=PÕB²-PA³
3PA³+PÕC²=0ø
즉 PÕC²=-3PA³이므로 세 점
A, P, C는 일직선 위에 있고,
점 P는 선분 AC를 1`:`3으로
내분하는 점이다. 따라서 삼각
형 ABP의 넓이와 삼각형 BCP
의 넓이의 비는 1`:`3이다.

A



P

B

C

21  ∠BOA의 크기를 h라 하면

OÕA³ º OB³=|OÕA³||OB³|cosh 

=4_3_cosh 
=12cosh

이때 OÕA³ º OB³=6이므로 6=12cosh

∴ cosh=

;2!;

이때 sinÛ``h+cosÛ``h=1이므로 sinÛ``h=

;4#;

∴ sin`h= '

(∵ 0ùÉhÉ180ù)

3
122

04. 평면벡터의 성분과 내적   27

따라서 삼각형 OAB의 넓이는

_OÕAÓ_OBÓ_sin`h=

_4_3_ '

;2!;

;2!;

3
122

=3

3
'

1  ⑴ 썰매를 뒤에서 손으로 밀 때 썰매에 작용하는 아빠의

힘의 크기는 |aø|이다.

⑵ 썰매에 줄을 달아 어깨에 둘러메고 끌 때 썰매에 작

22  ⑴ |aø-bø|Û`=(aø-bø) º (aø-bø)


=aø º (aø-bø)-bø º (aø-bø)  
=aø º aø-aø º bø-bø º aø+bø º bø
=aø º aø-aø º bø-aø º bø+bø º bø
=|aø|Û`-2aø º bø+|bø|Û`




⑵ (aø+bø) º (aø-bø) =aø º (aø-bø)+bø º (aø-bø)  
=aø º aø-aø º bø+bø º aø-bø º bø
=aø º aø-aø º bø+aø º bø-bø º bø
=|aø|Û`-|bø|Û`

23  |aø-bø|=2

2의 양변을 제곱하면

'
|aø|Û`-2aø º bø+|bø|Û`=8
1Û`-2aø º bø+3Û`=8
∴ aø º bø=1
이때
|aø+3bø|Û`=|aø|Û`+6aø º bø+9|bø|Û`
=1Û`+6_1+9_3Û`=88



이므로
|aø+3bø|=

88=2

22





24   점 P에서 정삼각형 ABC의 세 꼭짓점에 이르는 거리
가 같으므로 점 P는 정삼각형 ABC의 외심이다.
정삼각형 ABC의 외심 P(2, 3)은 삼각형 ABC의 무
게중심과 같으므로
aø+bø+cø
3
151123
따라서 aø+bø+cø=(6, 9)이므로
|aø+bø+cø|=

6Û`+9Û`=3

=(2, 3)

13




참고   삼각형의 무게중심의 위치벡터
무게중심 G는 삼각형 ABC의 중선을 꼭짓
점으로부터 2:1로 내분하는 점이다. 세 점 
A, B, C의 위치벡터를 각각 aø, bø, cø라 할 때,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 G의 위치벡터를 
gø라 하면

    gø=

aø+bø+cø
11113

A

Gaø

C

B







O

창의력·융합형·서술형·코딩

본문 62~63 쪽

1 ⑴ |aø|  ⑵ |aø|cosh  ⑶ ❶의 방법
2 풀이 참조
3 ⑴ |OÕA³|cosh  ⑵ W=OÕA³ º OB³  ⑶ 20

2
'

4 ⑴ m²=

aø+bø
1122 , nø=

cø+dø
1122    ⑵ AÕD³=dø-aø, BC³=cø-bø  

⑶ 풀이 참조

28    II. 평면벡터

용하는 아빠의 힘의 크기는 |aø|cosh이다.

⑶ 0ÉcoshÉ1이므로 |aø|coshÉ|aø|



즉 같은 시간 동안 ❶의 방법에서 썰매에 작용하는 아
빠의 힘의 크기가 ❷의 방법보다 더 크다.
따라서 ❶의 방법이 썰매를 더 많이 움직이게 한다.



2  ⑴ aø º pø=0에서 두 벡터 aø, pø는 서로
수직이므로 점 P는 ∠AOP=90ù
를 만족시키는 원 위의 점이고, 점
P의 위치를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
과 같다.

⑵ aø º pø>0이므로 두 벡터 aø, pø가 이



O

A

P

P

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0ùÉhÉ90ù이다.



Éaø º pøÉ1에서

É|aø||pø|coshÉ1이고

;2!;

|aø|=|pø|=1이므로

ÉcoshÉ1

;2!;

;2!;

이때 cos60ù=

, cos0ù=1

;2!;

이고 점 O가 원점이므로 점
A의 좌표는 (1, 0)이다. 따
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
은 오른쪽 그림과 같다.

y

P

60æ
60æ

O

1
A

x

P

3  ⑴ 상자의 이동 방향으로 작용한 힘의 크기는 OCÓ이므

로 OCÓ=|OÕA³|cosh

⑵ W=OCÓ_OBÓ

=|OÕA³|cosh_OBÓ
=|OÕA³||OB³|cosh
=OÕA³ º OB³
⑶ W=OÕA³ º OB³

=|OÕA³||OB³|cos45ù
2
122

=5_8_ '

=20

2
'

치벡터는 m²=

aø+bø
2
112

, nø=

cø+dø
2
112

⑵ AÕD³=OD³-OÕA³=dø-aø
BC³=OC³-OB³=cø-bø

⑶ AÕD³+BC³=(dø-aø)+(cø-bø)
=(cø+dø)-(aø+bø)
=2nø-2m²
=2(nø-m²)
=2MòN³
따라서 AÕD³+BC³=2MòN³이다.

4  ⑴ 두 점 M, N은 각각 변 AB, CD의 중점이므로 그 위

05 직선과 원의 방정식

교과서 개념 확인 테스트

본문 66~67 쪽

1

1 -1 

=

y-3
121-1

 

x-2
1212
x-1
121-2

2 -1 

=y-2

1 -2 x=

;5};

=

2 -2 ⑴ 

y-3
x-1
1212
1212
3 -1 -x+2y+9=0 
4 -1 45ù 

 

  ⑵ 

x+1
121-2

=

y-1
121-4
3 -2 3x+y+2=0
4 -2 90ù

5 -1 

 
;2!;

 

6 -1 (x-2)2+(y+3)2=9
6 -2 (x-1)2+y2=25

5 -2 4

1 -1   점 (2, 3)을 지나고 방향벡터가 uø=(2, -1)인 직선

의 방정식은
x-2
12322

y-3
1232-1

=

1 -2   방향벡터가 uø=(1, 5)이므로 점 (0, 0)을 지나고 방

향벡터가 uø=(1, 5)인 직선의 방정식은
x-0
12321

y-0
12325

∴  x=

=

;5};



AB³=(-1, 3)-(1, 2)=(-2, 1)
따라서 점 A(1, 2)를 지나고 방향벡터가
AB³=(-2, 1)인 직선의 방정식은
x-1
1232-2

y-2
12321

x-1
1232-2

=y-2

∴ 

=



2 -2  ⑴ 구하는 직선의 방향벡터는

AB³=(3, 5)-(1, 3)=(2, 2)
따라서 점 A(1, 3)을 지나고 방향벡터가
AB³=(2, 2)인 직선의 방정식은
x-1
12322

y-3
12322
⑵ 구하는 직선의 방향벡터는

=

AB³=(-3, -3)-(-1, 1)=(-2, -4)
따라서 점 A(-1, 1)을 지나고 방향벡터가
AB³=(-2, -4)인 직선의 방정식은
y-1
x-(-1)
1232-4
1232113-2

x+1
1232-2

y-1
1232-4

∴ 

=

=



3 -1   점 (5, -2)를 지나고 법선벡터가 nø=(-1, 2)인 직

선의 방정식은
(-1)_(x-5)+2_{y-(-2)}=0
∴ -x+2y+9=0

3 -2   점 (-2, 4)를 지나고 법선벡터가 nø=(3, 1)인 직선

의 방정식은
3_{x-(-2)}+1_(y-4)=0
∴ 3x+y+2=0

4 -1  두 직선의 방향벡터를 각각 uÕ1ø, uÕ2ø라 하면

uÕ1ø=(1, -3), uÕ2ø=(1, 2)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h이므로
|1_1+(-3)_2|
2
12+22 = '
122
12+(-3)2
1111111125


이때 0ùÉhÉ90ù이므로 h=45ù

cosh=

4 -2  두 직선의 방향벡터를 각각 uÕ1ø, uÕ2ø라 하면

uÕ1ø=(5, 1), uÕ2ø=(1, -5)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h이므로
|5_1+1_(-5)|
12+(-5)2 =0
52+12
12311111123



cosh=

이때 0ùÉhÉ90ù이므로 h=90ù

5 -1  두 직선의 방향벡터를 각각 uÕ1ø, uÕ2ø라 하면

uÕ1ø=(-4, 2), uÕ2ø=(a, 1)
두 직선이 서로 수직이면 uÕ1ø º uÕ2ø=0이므로
(-4)_a+2_1=0

4a=2

∴  a=

;2!;

uÕ1ø=(a, 2), uÕ2ø=(2, 1)
두 직선이 서로 평행하면 uÕ2ø=kuÕ1ø (k는 0이 아닌 실
수)이므로
(2, 1)=k(a, 2)
2=ka, 1=2k

∴ k=

, a=4

;2!;

6 -1   원 위의 임의의 점을 P(x, y)라 하고, 두 점 A, P의
위치벡터를 각각 aø, pø라 하면 반지름의 길이가 3이므
로 |AP³|=|pø-aø|=3
이때 pø-aø=(x-2, y+3)이므로 |pø-aø|2=32에서
(x-2, y+3) º (x-2, y+3)=32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x-2)2+(y+3)2=9

6 -2   원 위의 임의의 점을 P(x, y)라 하고, 두 점 A, P의
위치벡터를 각각 aø, pø라 하면 반지름의 길이가 5이므
로 |AP³|=|pø-aø|=5
이때 pø-aø=(x-1, y)이므로 |pø-aø|2=52에서
(x-1, y) º (x-1, y)=52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x-1)2+y2=25

05. 직선과 원의 방정식   29

2 -1  구하는 직선의 방향벡터는

5 -2  두 직선의 방향벡터를 각각 uÕ1ø, uÕ2ø라 하면

2

기출 기초 테스트 

본문 68~69 쪽

 

=

1 -1 

x-4
1212
x-2
1214

y+3
1213
y-4
1218
3 -1 2x-7y+8=0 

2 -1 

=

 

4 -1  '

5
125

 

 

=

y-5
1212

1 -2 

x+3
121-3
x-1
121-4

2 -2 

=y+5

3 -2 -4x+y+13=0

4 -2  '

2
122

, 평행: -

5 -1 수직: 

;3@;
6 -1 (x-4)2+y2=5 

 
;2#;

5 -2 수직: 12, 평행: -

;4#;

6 -2 (x-3)2+(y-2)2=8

1 -1  직선

=

y+5
12323

의 방향벡터를 uø라 하면

x-1
12322
uø=(2, 3)
따라서 점 (4, -3)을 지나고 방향벡터가 uø=(2, 3)
인 직선의 방정식은
y-(-3)
x-4
3
12322
1232113

x-4
12322

y+3
12323

∴ 

=

=



4 -1  두 직선의 방향벡터를 각각 uÕ1ø, uÕ2ø라 하면
uÕ1ø=(-1, -2), uÕ2ø=(3, -4)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h이므로

cosh=

|(-1)_3+(-2)_(-4)|
(-1)2+(-2)2
32+(-4)2
123111111211112


5
= '
125

4 -2  두 직선의 방향벡터를 각각 uÕ1ø, uÕ2ø라 하면

cosh=

uÕ1ø=(3, 4), uÕ2ø=(-1, 7)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h이므로
|3_(-1)+4_7|
(-1)2+72
32+42
12311111122


2
= '
122

이때 0ùÉhÉ90ù이므로 h=45ù

∴ sinh=sin45ù= '

2
122

1 -2  직선

x+2
1232-3

=

y-1
12322

의 방향벡터를 uø라 하면

uø=(-3, 2)
따라서 점 (-3, 5)를 지나고 방향벡터가
uø=(-3, 2)인 직선의 방정식은
x+3
y-5
x-(-3)
1232-3
12322
1232113-3

y-5
12322

∴ 

=

=



2 -1  구하는 직선의 방향벡터는

AB³=(6, 12)-(2, 4)=(4, 8)
따라서 점 A(2, 4)를 지나고 방향벡터가
AB³=(4, 8)인 직선의 방정식은
x-2
12324

y-4
12328

=

2 -2  구하는 직선의 방향벡터는

AB³=(-3, -4)-(1, -5)=(-4, 1)
따라서 점 A(1, -5)를 지나고 방향벡터가
AB³=(-4, 1)인 직선의 방정식은
x-1
x-1
1232-4
1232-4

y-(-5)
1
1232113

=y+5

∴ 

=



3 -1   점 (3, 2)를 지나고 법선벡터가 nø=(2, -7)인 직선

의 방정식은
2_(x-3)+(-7)_(y-2)=0
∴ 2x-7y+8=0

3 -2   법선벡터가 nø=(-4, 1)이므로 점 (2, -5)를 지나
고 법선벡터가 nø=(-4, 1)인 직선의 방정식은
(-4)_(x-2)+1_{y-(-5)}=0
∴ -4x+y+13=0

30    II. 평면벡터

5 -1  두 직선의 방향벡터를 각각 uÕ1ø, uÕ2ø라 하면

uÕ1ø=(-3, 2), uÕ2ø=(a, 1)
이때 두 직선이 서로 수직이면 uÕ1ø º uÕ2ø=0이므로
-3_a+2_1=0

3a=2

∴  a=

;3@;

또 두 직선이 서로 평행하면 uÕ2ø=kuÕ1ø (k는 0이 아닌
실수)이므로
(a, 1)=k(-3, 2)
a=-3k, 1=2k

∴ k=

, a=-

;2!;

;2#;

5 -2  두 직선의 방향벡터를 각각 uÕ1ø, uÕ2ø라 하면

uÕ1ø=(a, 3), uÕ2ø=(-1, 4)
이때 두 직선이 서로 수직이면 uÕ1ø º uÕ2ø=0이므로
a_(-1)+3_4=0
또 두 직선이 서로 평행하면 uÕ2ø=kuÕ1ø (k는 0이 아닌
실수)이므로
(-1, 4)=k(a, 3)
-1=ak, 4=3k

∴  a=12

∴ k=

, a=-

;3$;

;4#;

6 -1   원 위의 임의의 점 P(x, y)의 위치벡터를 pø, 두 점
A(2, 1), B(6, -1)의 위치벡터를 각각 aø, bø라 하자.
구하는 원의 중심을 C라 하고 점 C의 위치벡터를 cø라

하면 cø=

=(4, 0)

aø+bø
12322

반지름의 길이는
|CA³|=|aø-cø|=|(-2, 1)|=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을 벡터로 나타내면
|pø-cø|=
(x-4)2+y2=5

5이므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5
'

'

6 -2   원 위의 임의의 점 P(x, y)의 위치벡터를 pø, 두 점
A(1, 0), B(5, 4)의 위치벡터를 각각 aø, bø라 하자.
구하는 원의 중심을 C라 하고 점 C의 위치벡터를 cø라

하면 cø=

=(3, 2)

aø+bø
12322

반지름의 길이는
|CA³|=|aø-cø|=|(-2, -2)|=2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을 벡터로 나타내면
|pø-cø|=2
'
(x-3)2+(y-2)2=8

2이므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2
'

3

교과서 기본 테스트

01 ③ 

05 x-y=0 

02 

x-1
1212

=

y-3
121-3 
06 ⑤ 

본문 70~73 쪽

03 ② 

04 (3, -1)

07 ③ 

08 ①

09 ④ 

  11 ③ 

12 ② 

13 

;1!2!0(;

10 

3
1
6
'
11265

14 -3 
15 ⑤ 
18 (x-3)2+(y-2)2=4 
21 중심의 좌표가 (1, -5)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3인 원  

17 2

19 ③ 

16 -6 

20 5p

26

22 

x+4
1212

=

y-3
121-5 

23 a=9, b=

 
;3$;

24 4p

01   점 (2, 0)을 지나고 방향벡터가 uø=(3, -2)인 직선

의 방정식은
y
x-2
123-2
12323

=

02  직선

x-3
12322

=

1-y
12323

의 방향벡터를 uø라 하면

uø=(2, -3)
따라서 점 (1, 3)을 지나고 방향벡터가 uø=(2, -3)
인 직선의 방정식은
x-1
12322

y-3
1232-3

=

03  구하는 직선의 방향벡터를 uø라 하면
uø=(2, 3)-(4, 2)=(-2, 1)
따라서 점 (2, 3)을 지나고 방향벡터가 uø=(-2, 1)
인 직선의 방정식은
x-2
1232-2

y-3
12321

x-2
1232-2

=y-3

∴ 

=



04 2(x-3)=k(y+1), 즉 2(x-3)-k(y+1)=0은
점 (3, -1)을 지나고 법선벡터가 uø=(2, -k)인 직
선이다.
따라서 실수 k의 값에 관계없이 지나는 점의 좌표는
(3, -1)이다.

05   직선 x=

y-1
1232-1

의 방향벡터가 (1, -1)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법선벡터를 nø이라 하면
nø=(1, -1)
따라서 점 (7, 7)을 지나고 법선벡터가 nø=(1, -1)
인 직선의 방정식은
1_(x-7)+(-1)_(y-7)=0
∴ x-y=0

06  직선 3(x-2)=4(y-5), 즉

x-2
12324

=

y-5
12323

의 방향

벡터를 uø라 하면
uø=(4, 3)
점 (2, 3)을 지나고 방향벡터가 uø=(4, 3)인 직선 l
의 방정식은
x-2
12324
따라서 직선 l 위의 점은 (6, 6)이다.

y-3
12323

=

07   점 A(-1, 3)을 지나고 방향벡터가 uø=(2, -1)인

직선의 방정식은

x-(-1)
2
1232113

=

y-3
1232-1

∴ y=-

x+

;2!;

;2%;

yy ㉠

두 점 B(2, 5), C(1, 2)를 지나는 직선의 방향벡터는
BC³=(1, 2)-(2, 5)=(-1, -3)
따라서 점 B(2, 5)를 지나고 방향벡터가
BC³=(-1, -3)인 직선의 방정식은
y-5
x-2
1232-1
1232-3
∴ y=3x-1
㉠, ㉡을 연립하여 풀면 x=1, y=2
즉 두 직선은 점 (1, 2)에서 만나므로 p=1, q=2
∴ p+q=1+2=3

yy ㉡

=

08  직선 x+1=2(y-4), 즉

=y-4의 방향벡터

x+1
12322

를 uø라 하면
uø=(2, 1)
x+1
12322



=y-4=t (t는 실수)라 하면 점 A에서 이

직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H(2t-1, t+4)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AH³=(2t-1, t+4)-(-1, -1)=(2t, t+5)
이때 uø⊥AH³이므로 uø º AH³=0에서
2_2t+1_(t+5)=0
∴  t=-1
5t=-5
즉 수선의 발 H의 좌표는 (-3, 3)이므로
a=-3, b=3
∴ a-b=-3-3=-6

05. 직선과 원의 방정식   31

§
09  직선 AB의 방향벡터는 AB³이므로
AB³=(-1, 2)-(1, 1)=(-2, 1)
직선 BC의 방향벡터는 BC³이므로
BC³=(-6, k)-(-1, 2)=(-5, k-2)
이때 세 점 A, B, C가 일직선 위의 점이므로 AB³와
BC³는 평행하다.
즉 BC³=tAB³ (t는 0이 아닌 실수)이므로
(-5, k-2)=t(-2, 1)
-5=-2t, k-2=t

∴ t=

, k=

;2%;

;2(;

10  두 직선의 방향벡터를 각각 uÕ1ø, uÕ2ø라 하면

uÕ1ø=(3, -2), uÕ2ø=(4, 3)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h이므로
|3_4+(-2)_3|
13
6

42+32 =
65
32+(-2)2
1125
1111111125



cosh=

11  두 직선의 방향벡터를 각각 uÕ1ø, uÕ2ø라 하면

uÕ1ø=(4, 3), uÕ2ø=(7, -1)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h이므로
|4_7+3_(-1)|
2
72+(-1)2 = '
122
42+32
1111111125



cosh=

이때 0ùÉhÉ90ù이므로 h=45ù

12  두 직선의 방향벡터를 각각 uÕ1ø, uÕ2ø라 하면

cos45ù=

uÕ1ø=(1, a), uÕ2ø=(-1, 3)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45ù이므로
|-1+3a|
12+a2
(-1)2+32
1111111124


|-1+3a|
2
'
122
1+a2
11111
0
1
"

|-1+3a|="Ã5a2+5
위 식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2a2-3a-2=0, (2a+1)(a-2)=0
∴ a=2 (∵ a>0)

=

13  두 직선의 방향벡터를 각각 uÕ1ø, uÕ2ø라 하면

uÕ1ø=(a, b), uÕ2ø=(12, 5)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h이므로
|12a+5b|
122+52
a2+b2
123111112



cosh=

12a+5b
a2+b2
11112
13


=

;1!3@;

이때 a>0, b>0이므로
12"Ãa2+b2=12a+5b
위 식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119bÛ`-120ab=0, b(119b-120a)=0
그런데 b는 자연수이므로

119b-120a=0

∴ 

=

a
1b

;1!2!0(;

32    II. 평면벡터

14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의 방향벡터를 uÕ1ø이라 하면

uÕ1ø=AB³=(a-2, 4-a)

=

직선

y-4
12325

의 방향벡터를 uÕ2ø라 하면

x+2
12327
uÕ2ø=(7, 5)
이때 두 직선이 서로 수직이면 uÕ1ø º uÕ2ø=0이므로
(a-2)_7+(4-a)_5=0
2a=-6

∴  a=-3

15  두 직선의 방향벡터를 각각 uÕ1ø, uÕ2ø라 하면
uÕ1ø=(-2, k), uÕ2ø=(k+1, -3)
두 직선이 서로 평행하면 uÕ2ø=tuÕ1ø (t는 0이 아닌 실수)
이므로
(k+1, -3)=t(-2, k)
k+1=-2t yy ㉠
-3=tk
yy ㉡

㉡에서 t=-

을 ㉠에 대입하면 k+1=

;k#;

;k^;

k2+k-6=0
(k+3)(k-2)=0
∴ k=-3 또는 k=2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3+2=-1

16  직선 AB의 방향벡터는 AB³이므로
AB³=(1, 0)-(2, 1)=(-1, -1)
또 직선 CD의 방향벡터는 CD³이므로
CD³=(1, k)-(4, -3)=(-3, k+3)
두 직선이 서로 평행하면 CD³=tAB³ (t는 0이 아닌 실
수)이므로
(-3, k+3)=t(-1, -1)
-3=-t, k+3=-t
∴ t=3, k=-6

17  점 C의 좌표를 (x, y)라 하면

CA³=(2-x, -2-y), CB³=(4-x, 8-y)
CA³ º CB³=(2-x)_(4-x)+




=x2-6x+y2-6y-8

(-2-y)_(8-y)

CA³ º CB³=0에서
x2-6x+y2-6y-8=0
(x-3)2+(y-3)2=26
즉 점 C는 중심의 좌표가
(3, 3)이고 반지름의 길이

26인 원 위의 점이다.

원점 O에서 원의 중심까
지의 거리를 d라 하면 오
른쪽 그림에서 벡터 OC³
의 크기의 최댓값, 최솟
값은 각각

(

26+d,


26+d)+(



y


{x-3}2+{y-3}2=26

C1

3

d

O

C2

3

x

26-d이므로 구하는 합은

26-d)=2

26






18   선분 AB를 2`:`1로 내분하는 점을 C라 하면 그 위치

벡터 cø는

cø=

2_bø+1_aø
2+1
12321131

=

aø+



;3@;

;3!;

따라서 점 (-4, 3)을 지나고 방향벡터가 uø=(2, -5)
인 직선의 방정식은
y-3
1232-5

x-(-4)
2
1232113

y-3
1232-5

x+4
12322

∴ 

=

=



=

(-3, 4)+

(6, 1)

;3@;

;3!;
=(3, 2)
원 위의 임의의 점을 P(x, y)라 하고, 점 P의 위치벡
터를 pø라 하면 반지름의 길이가 2이므로
|CP³|=|pø-cø|=2
이때 pø-cø=(x-3, y-2)이므로 |pø-cø|2=22에서
(x-3, y-2) º (x-3, y-2)=4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x-3)2+(y-2)2=4

19  |OP³-OÕA³|=|OB³-OÕA³|이므로

|AP³|=|AB³|
즉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이 점 A이고 반지름
의 길이가 |AB³|인 원이다.
AB³=(-3, 1)-(2, 5)=(-5, -4)이므로
|AB³|=
Û`+(-4)Û`=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의 넓이는
p_(

(-5)Û

41





41)2=41p


20  점 P(x, y)에 대하여

PA³=OÕA³-OP³=(-2-x, 1-y),
PB³=OB³-OP³=(1-x, -3-y)
이므로
PA³ º PB³=(-2-x, 1-y) º (1-x, -3-y)

=(-2-x)_(1-x)  

=x2+x+y2+2y-5=0

+(1-y)_(-3-y)


{

x+

;2!;}

2

+(y+1)2=

:ª4°:

즉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의 좌표가

-

, -1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

{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의 길이는

;2%;

}

인 원이다.

2p_

=5p

;2%;

21  |pø-cø|=|(x-1, y+5)|=3이므로
(x-1, y+5) º (x-1, y+5)=32
∴ (x-1)2+(y+5)2=9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의 좌표가
(1, -5)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3인 원이다.

23   세 직선 l, m, n의 방향벡터를 각각 uÕ1ø, uÕ2ø, u3²이라 하


uÕ1ø=(2, -3), uÕ2ø=(6, -a), u3²=(2, b)
이때 두 직선 l, m이 서로 평행하므로 uÕ2ø=kuÕ1ø (k는
0이 아닌 실수)에서
(6, -a)=k(2, -3)
6=2k, -a=-3k
∴ k=3, a=9
또 두 직선 l, n이 서로 수직이므로 uÕ1ø º u3²=0에서
(2, -3) º (2, b)=0
2_2+(-3)_b=0

∴ b=

;3$;

24  점 P(x, y)에 대하여

PA³=OÕA³-OP³=(-x, -3-y),
PB³=OB³-OP³=(4-x, 1-y)
이므로
PA³+PB³=(-x, -3-y)+(4-x, 1-y)

=(4-2x, -2-2y)

|PA³+PB³|=4에서

(4-2x)Û`+(-2-2y)Û`=4


위 식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x-2)Û`+(y+1)Û`=4
즉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의 좌표가 (2, -1)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이다.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의 길이는
2p_2=4p

창의력·융합형·서술형·코딩

본문 74~75 쪽

1 ⑴   형욱이의 풀이: ㈎ 3, ㈏ -2, ㈐ 

y-4
121-2
소민이의 풀이: ㈎ 2, ㈏ 3, ㈐ 2x+3y-10=0

x+1
1213

=

 

  ⑵ 풀이 참조
2 ⑴ 2x+3y-7=0  ⑵ (2, 1)  ⑶ 

y-4
y-2
121-2
1212

x-4
121-2
4  ⑴ 중심의 좌표가 (2,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 

x-6
121-2

  ⑶ 90ù

3 ⑴ 

  ⑵ 

=

=

13

 

 

05. 직선과 원의 방정식   33

22   직선 2x-5y+5=0의 법선벡터가 (2, -5)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향벡터를 uø라 하면
uø=(2, -5)

⑵ (2, -1)

3  ⑴ 노란색 당구공이 좌표평면에 대응하는 점을 A, 당구
대와 만나는 점을 B라 하면 A(6, 2), B(4, 4)이므
로 구하는 직선의 방향벡터는
AB³=(4, 4)-(6, 2)=(-2, 2)
따라서 점 A(6, 2)를 지나고 방향벡터가 (-2, 2)
인 직선의 방정식은
x-6
1232-2

y-2
12322

=

⑵ 노란색 당구공이 당구대와 만나는 점은 B(4, 4)이
고, 당구대에 맞은 후 이동 경로 위에 있는 한 점을 C
라 하면 C(2, 2)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향벡터는
BC³=(2, 2)-(4, 4)=(-2, -2)
따라서 점 B(4, 4)를 지나고 방향벡터가 (-2, -2)
인 직선의 방정식은
x-4
1232-2

y-4
1232-2

=

⑶ ⑴에서 구한 직선의 방향벡터는 AB³=(-2, 2), ⑵
에서 구한 직선의 방향벡터는 BC³=(-2, -2)이고
AB³ º BC³=(-2)_(-2)+2_(-2)=0이므로
두 직선은 서로 수직이다.
따라서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90ù이다.

4  ⑴ pø-aø=(x, y)-(1, 0)=(x-1, y),
pø-bø=(x, y)-(3, 0)=(x-3, y)
이므로
(pø-aø) º (pø-bø) =(x-1, y) º (x-3, y)
=(x-1)_(x-3)+y2
=x2-4x+3+y2
=0







∴ (x-2)2+y2=1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의 좌표가  
(2,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이다.

y

2

3



x

B

O

A
1

{x-2}2+y2=1

⑵ |pø|가 최대일 때는 오른
쪽 그림에서 점 P가 점 B
의 위치에 놓일 때이므로
C(3, 0)이다.
이때 점 (3, 0)을 지나면
서 기울기가 1인 직선의
방정식은 y=x-3이고 이 직선과 원이 만나는 점의
x좌표는
(x-2)2+(x-3)2=1에서
x2-5x+6=0, (x-2)(x-3)=0
∴ x=2 또는 x=3
따라서 점 C가 아닌 점의 x좌표가 2이므로 구하는
위치벡터를 성분으로 나타내면 (2, -1)이다.

y=x-3

1  ⑴ 형욱이의 풀이

① 직선 l의 방정식이 x=3t-2, y=-2t-5 (t는

실수)일 때

② t를 소거하면

x+2
12323

=

y+5
1232-2

③ 이때 직선 l의 방향벡터는 ( 3 , -2 )
④ 따라서 직선 m의 방정식은

x-(-1)
3
1232113

=

y-4
1232-2

x+1
12323

=

y-4
1232-2

∴ ㈎ 3, ㈏ -2, ㈐

x+1
12323

=

y-4
1232-2

소민이의 풀이
① 직선 l의 방정식이 4(x+y+5)=2x+y+1일 때
② 위 식을 정리하면 2  x+ 3  y+19=0
③ 이때 직선 l의 법선벡터는 ( 2 ,  3 )
④ 따라서 직선 m의 방정식은

2{x-(-1)}+3(y-4)=0
2x+3y-10=0



=

y-4
1232-2

의 양변에 6을 곱하여 정리하면

∴ ㈎ 2, ㈏ 3, ㈐ 2x+3y-10=0
x+1
12323
2x+3y-10=0
따라서 형욱이가 구한 방정식과 소민이가 구한 방정
식은 같다.

2  ⑴ 직선

의 방향벡터는 (2, 3)이므로 구



=

x-2
12322

y-1
12323
하는 직선의 법선벡터를 nø이라 하면
nø=(2, 3)
따라서 점 A(-1, 3)을 지나고 법선벡터가
nø=(2, 3)인 직선의 방정식은
2{x-(-1)}+3(y-3)=0
∴ 2x+3y-7=0
y-1
x-2
12323
12322
uø=(2, 3)
x-2
12322

의 방향벡터를 uø라 하면

y-1
12323



=

=

⑵ 직선

=t (t는 실수)라 하면 점 A에서

이 직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H(2t+2, 3t+1)로 나
타낼 수 있으므로
AÕH³=(2t+2, 3t+1)-(-1, 3)



=(2t+3, 3t-2)

이때 uø⊥AÕH³이므로 uø º AÕH³=0에서
2_(2t+3)+3_(3t-2)=0
∴  t=0
13t=0
따라서 수선의 발 H의 좌표는 (2, 1)이다.
⑶ AÕH³=(2, 1)-(-1, 3)=(3, -2)이므로

|AÕH³|=

3Û`+(-2)Û`=



3

1
'

34    II. 평면벡터

Œ
III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06 공간도형

교과서 개념 확인 테스트

1
1 -1 ㄱ, ㄴ, ㄹ   
2 -1 모서리 AD, 모서리 AE
2 -2  ⑴ 직선 CG, 직선 DH, 직선 EH, 직선 FG 
 

1 -2 4

⑵ 평면 BFGC, 평면 EFGH 
⑶ 평면 BFGC

본문 80~81 쪽

 

3 -1 45ù 
 
4 -1 풀이 참조   

5 -1 45ù 

 

3 -2 ⑴ 90ù  ⑵ 90ù
4 -2 풀이 참조
3
123

5 -2  '

6 -1 ⑴ 선분 BC  ⑵ 선분 HE  ⑶ 삼각형 CDH
6 -2 ⑴ 점 F  ⑵ 선분 AB  ⑶ 삼각형 DEF

1 -1  ㄱ. 세 점 A, C, E는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세 점이

므로 한 평면을 결정한다.

ㄴ. 직선 AD와 이 직선 위에 있지 않은 한 점 E는 한

평면을 결정한다.

ㄷ. 두 직선 AC와 DE는 꼬인 위치에 있으므로 두
직선 AC와 DE를 포함하는 평면은 존재하지 않
는다.

ㄹ. 두 직선 BC와 DE는 평행하므로 두 직선 BC와

DE는 한 평면을 결정한다.

따라서 한 평면을 결정하는 것은 ㄱ, ㄴ, ㄹ이다.

1 -2  점 D와 윗면의 두 점으로 만들 수 있는 평면의 개수는

3C2=3
윗면의 세 점으로 만들 수 있는 평면의 개수는 1
따라서 구하는 평면의 개수는
3+1=4

3 -1 ADÓ∥ EHÓ이므로 두 직선 AD와 HF가 이루는 각
의 크기는 두 직선 EH와 HF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EFGH는 정사각형이므로 ∠EHF=45ù
따라서 구하는 각의 크기는 45ù이다.

3 -2  ⑴ DÕHÓ∥AEÓ이고 ABÓ⊥AEÓ이므로 ABÓ⊥DÕHÓ이다.
따라서 두 직선 AB와 DH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90ù이다.

⑵ FGÓ∥BCÓ이고 BCHE는 직사각형이므로



BEÓ⊥BCÓ이다. 따라서 BEÓ⊥FGÓ이므로 두 직선
BE와 FG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90ù이다.

4 -1 POÓ⊥a이고 직선 l이 평면 a 위

에 있으므로 POÓ⊥l
또 PHÓ⊥l이므로
(평면 PHO)⊥l
이때 OHÓ는 평면 PHO 위에 있
으므로 OHÓ⊥l
따라서 POÓ⊥a, PHÓ⊥l이면 OHÓ⊥l

a

l

H

P

O

P

4 -2 PHÓ⊥l, OHÓ⊥l이므로
(평면 PHO)⊥l
POÓ는 평면 PHO 위에 있으므
로 POÓ⊥l
또 POÓ⊥OHÓ이고 직선 l과 OHÓ
는 평면 a 위에 있으므로 POÓ⊥a
따라서 PHÓ⊥l, OHÓ⊥l, POÓ⊥OHÓ이면 POÓ⊥a

H

a

l

O

5 -1  두 평면 ABCD와 AFGD에 대하여

ABÓ⊥ADÓ, AFÓ⊥ADÓ
즉 두 평면 ABCD와 AFGD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두 직선 AB와 AF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AEFB는 정사각형이므로∠BAF=45ù
따라서 구하는 각의 크기는 45ù이다.

5 -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선분 HF의

D



C

G

B

F

H

h

M

2인 정삼각형이

'

A

2

중점을 M이라 하면
CÕMÓ⊥HFÓ, GÕMÓ⊥HFÓ
두 평면 CHF와 FGH가 이루
는 각의 크기 h는 두 직선 CM
과 GM이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삼각형 CHF는 한 변의 길이가 2
므로

E

(2

2)2=
2)2
CÕMÓ
'
'
따라서 삼각형 CMG에서

=Á°

-

(

6
'

cosh=

GMÓ
11CMÓ

2
= '
12
6
'

= '

3
123

본문 82~83 쪽

 

1 -2 점 G

기출 기초 테스트 

2
1 -1 점 F 
2 -1 직선 AE, 직선 BF, 직선 CG, 직선 DH
2 -2 풀이 참조
3 -1 60ù 
4 -1 ⑴ 

 


2  ⑵ 

3 -2 40ù
4 -2 ABÓ=8, ACÓ=4

5
'

'
 

5 -1 

;3!;
6 -1 30ù 

'
 

 

5 -2 

;3@;
6 -2 8

2
'

06. 공간도형   35

1 -1   평면 EGH는 평면 EFGH와 같으므로 구하는 점은

5 -1   오른쪽 그림과 같이 BCÓ의 중점

A

점 F이다.

점 G이다.

1 -2   평면 ABH는 평면 ABGH와 같으므로 구하는 점은

2 -1   평면 EFGH와 수직인 평면은 평면 AEFB, 평면
BFGC, 평면 DHGC, 평면 AEHD이므로 이 네 평
면 중 두 평면이 만나서 생기는 네 교선 AE, BF,
CG, DH도 평면 EFGH와 수직이다. 따라서 평면
EFGH와 수직인 직선은 직선 AE, 직선 BF, 직선
CG, 직선 DH이다.

2 -2  ACÓ와 BDÓ는 정사각형 ABCD의 대각선이므로

ACÓ⊥BDÓ
또 CGÓ는 평면 ABCD와 수직이고 BDÓ는 평면
ABCD 위에 있으므로
CGÓ⊥BDÓ
㉠, ㉡에 의하여 BDÓ⊥(평면 AGC)

yy ㉠

yy ㉡

3 -1 BEÓ∥CDÓ이므로 두 직선 AC와 BE가 이루는 각의 크
기는 두 직선 AC와 CD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삼각형 ACD는 정삼각형이므로 ∠ACD=60ù
따라서 구하는 각의 크기는 60ù이다.

3 -2 EHÓ∥ADÓ이므로 두 직선 AB와 EH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두 직선 AB와 AD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이때 두 직선 AB와 AD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40ù이
므로 구하는 각의 크기는 40ù이다.

4 -1  ⑴ OCÓ⊥(평면 OAB), CHÓ⊥ABÓ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OHÓ⊥ABÓ
따라서 직각삼각형 OAB의 넓이는

_OAÓ_OBÓ=

_ABÓ_OHÓ

;2!;

;2!;

_2_2=

_2

2_OHÓ

;2!;

'

;2!;
∴ OHÓ=

2
'

있으므로
OCÓ⊥OHÓ
따라서 직각삼각형 OHC에서
CHÓ="Ã22+(

2)2=
'

6
'

4 -2  ADÓ⊥DHÓ, DHÓ⊥BCÓ, BCÓ⊥AHÓ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ADÓ⊥(평면 BCD)
따라서 ADÓ⊥BDÓ이므로 직각삼각형 ABD에서
ABÓ="Ã42+(4
또 ADÓ⊥CDÓ이므로 직각삼각형 ADC에서
ACÓ="Ã42+82=4

3)2=8
'

5
'

36    III.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D

1

2

h

B

H

을 H라 하면
AHÓ⊥BCÓ, HDÓ⊥BCÓ
따라서 두 평면 ABC와 BCD
가 이루는 각의 크기 h는 두 직
선 AH와 DH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두 삼각형 ABC와 BCD는 모두 정삼각형이므로
AHÓ=DHÓ="Ã22-12=
3
'
따라서 삼각형 AH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3)2-22
(
'
3
3_
111111124

3)2+(
2_

cosh=

=

;3!;

'

C

2

1

'

'

h

2

2

4

C

B

E

G

D

H

A

5 -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D
에서 선분 EG에 내린 수
선의 발을 P라 하면
DHÓ⊥(평면 EFGH),
DPÓ⊥EGÓ이므로 삼수선
의 정리에 의하여
HPÓ⊥EGÓ
따라서 두 평면 EFGH와 DEG가 이루는 각의 크기
h는 두 직선 HP와 DP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직각삼각형 HEG에서
EGÓ="Ã22+42=2
이고, 넓이는

5
'

F

P

_EHÓ_HGÓ=

_EGÓ_HPÓ

;2!;

;2!;

_2_4=

_2

5_HPÓ

'

;2!;

∴ HPÓ=

;2!;
5
4
'
115
또 직각삼각형 DHP에서

DPÓ=¾¨ 22+

2

4
5
'
115 }

{

=

6
5
'
115

∴ cosh=

HPÓ
11DPÓ

=

;3@;

A'B'Ó=ABÓ cosh에서
3

3=6cosh

'
cosh= '

3
122

∴ h=30ù

A'B'Ó=ABÓ cosh에서
8=ABÓ cos45ù

8=ABÓ_ '

∴ ABÓ=8

2
1232
2
'

6 -2  직선 AB와 평면 a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⑵ OCÓ⊥(평면 OAB)이고, OHÓ는 평면 OAB 위에

6 -1  직선 AB와 평면 a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Ò
교과서 기본 테스트

본문 84~87 쪽

3
01 ④ 

06 ③ 

10 ⑴ 

3
10

11310

 

07  '

02 ④ 
2
122
7
10

11310 

  ⑵ 

03 ③ 

04 6 

05 ①

08 2



'

09 ⑤

11 



'

12  '

3+
6
3
1112

'

13 ① 

14 ⑴ 선분 DG  ⑵ 삼각형 HEN 15 2

16 30ù

17 ② 

18 ① 

19 

 

;2!;

20 2

6
'

21 

12
5
'
1135 

22  '

3
123

01   꼬인 위치에 있는 두 직선을 포함하는 평면은 존재하

지 않는다.

02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세 점은 한 평면을 결정하므로

구하는 평면의 개수는
4C3=4C1=4

03   모서리 CD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모서리 AE,

모서리 BF, 모서리 EH, 모서리 FG이다.
따라서 모서리 CD와 꼬인 위치에 있지 않은 모서리는
모서리 EF이다.

04   직선 AD와 수직인 면은 면 AEFB, 면 DHGC이므

로 a=2
직선 AD와 꼬인 위치에 있는 직선은 직선 BF, 직선
CG, 직선 EF, 직선 HG이므로 b=4
∴ a+b=6

05  ㄴ. 직선 l과 평면 a는 서로 평행하므로 직선 l은 평면
a 위의 직선 m과 만나지 않는다. 그런데 두 직선 l,
m은 모두 평면 b 위에 있으므로 l∥m이다.

ㄷ. 오른쪽 그림과 같이 l⊥m,

l

l⊥n이지만 두 직선 m, n이
꼬인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

m

ㄹ. 오른쪽 그림과 같이 l∥a,

m∥a이지만 두 직선 l, m이
한 점에서 만날 수도 있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l

a

06 BGÓ∥AÕHÓ이므로 두 직선 AC와 BG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두 직선 AC와 AH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삼각형 AHC는 정삼각형이므로 ∠CAH=60ù
따라서 구하는 각의 크기는 60ù이다.

2
'

07 CFÓ∥DEÓ이므로 두 직선 DM과 CF가 이루는 각의
크기 h는 두 직선 DM과 DE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한편 직각삼각형 AED에서
EDÓ="Ã22+22=2
직각삼각형 EFM에서
EÕMÓ="Ã22+12=
또 BÕMÓ⊥(평면 ABCD)이고 DBÓ가 평면 ABCD 위
에 있으므로
BÕMÓ⊥DBÓ
즉 직각삼각형 DMB에서
2)2+12=3
'

DMÓ=
따라서 삼각형 DEM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5
'

(2

Á°

cosh=

'

2)2+32-(
5)2
(2
'
2_3
2_2
1231111112
'

= '

2
122

08  직각삼각형 PQO에서
PQÓ="Ã22+32=
13
POÓ⊥a, OQÓ⊥ABÓ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PQÓ⊥ABÓ
따라서 직각삼각형 PAQ에서



AQÓ=

52-(

13)2=2


3
'

Á°

09  직각삼각형 PQO에서
OQÓ="Ã52-42=3
POÓ⊥a, PQÓ⊥ABÓ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OQÓ⊥ABÓ
따라서 직각삼각형 OQB에서
OBÓ="Ã32+22=

13



10  ⑴ DHÓ⊥(평면 EFGH), DIò⊥EGÓ이므로 삼수선의



n

m


정리에 의하여
HIò⊥EGÓ
직각삼각형 EGH에서
EGÓ="Ã12+32=
이고, 넓이는

10



_EHÓ_GHÓ=

_EGÓ_HIò

_1_3=

_

10_HIò

;2!;



;2!;

;2!;

;2!;
3
10

11310

∴ HIò=

⑵ 직각삼각형 DHI에서

DIò=¾¨22+

2

3
10

11310 }

{

=

7
10

11310

06. 공간도형   37

Ò
11  POÓ⊥a, OHÓ⊥ABÓ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16  한 변의 길이가 4인 정삼각형의 넓이는

PHÓ⊥ABÓ
직각삼각형 PHO에서
POÓ=OHÓ tan60ù=
이므로

3
'

Á°

12+(

3)2=2
'

PHÓ=
또 직각삼각형 PAO에서
AOÓ=POÓ=
직각삼각형 OAH에서
3)2-12=
AHÓ=
'
따라서 직각삼각형 PAH의 넓이는

(
Á°

3
'

2
'

_AHÓ_PHÓ=

_

2_2=

;2!;

'

2
'

;2!;

3
'

_42=4

3
'
124
두 평면 a, b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평면 a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가 6이므로

4

3 cosh=6, cosh= '

'
∴ h=30ù

3
122

17   단면의 밑면 위로의 정사영은 사각기둥의 밑면인 정

사각형이다.
단면의 넓이를 S, 사각기둥의 밑면의 넓이를 S'이라
하면 S'=S cos45ù이므로

12   꼭짓점 D에서 평면 EFGH에 내린 수선의 발이 H이

므로 ∠DFH=h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 하면

32=S_ '

∴ S=9

2
122
2
'

sinh+cosh=

+

FHÓ
DHÓ
11DFÓ
11DFÓ
2a
a
3a
3a
11'
11'
3+
6
3
123312

+ '

'

=

= '

18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삼각형 ABC의 넓이는

_12= '

3
'
124
따라서 구하는 정사영의 넓이는

3
124

3
'
124

cos60ù= '

_

3
124

= '

3
128

;2!;

13   정삼각형 ACD에서 중선 AM은 선분 CD를 수직이

19  단면의 밑면 위로의 정사영은 원기둥의 밑면인 원이다.

등분하므로
AMÓ⊥CDÓ
yy ㉠
또 정삼각형 BCD에서 중선 BM은 선분 CD를 수직
이등분하므로
BMÓ⊥CDÓ
Ó
㉠, ㉡에 의하여 CDÓ⊥(평면 ABM)
따라서 h=90ù이므로
cosh=cos90ù=0

yy ㉡

15   꼭짓점 A의 평면 BCD 위로의 정사영을 A'이라 하

면 점 A'은 삼각형 BCD의 무게중심이다.

따라서 △A'BC=

△BCD=

△ABC이므로 평면

;3!;

;3!;

ABC와 평면 BCD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cosh=

;3!;

따라서 구하는 정사영의 넓이는

6cosh=6_

=2

;3!;

반지름의 길이가 4인 밑면의 넓이는
p_42=16p
따라서 32pcosh=16p이므로

cosh=

;2!;

A

6

D

B

3

M

3

H

C

3이고, 점 H는 삼각형 BCD

20   점 A에서 모서리 BC에 내린 수
선의 발을 M이라 하면
AÕMÓ⊥BCÓ
AHÓ⊥(평면 BCD), AÕMÓ⊥BCÓ
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HMÓ⊥BCÓ
이때 AÕMÓ=
의 무게중심이므로

62-32=3

'

HMÓ=

DÕMÓ=

AÕMÓ=

;3!;

;3!;

3
'

따라서 직각삼각형 AMH에서
3)2-(
'

3)2=2
'

AHÓ=

6
'

(3

Á°

 

A

참고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A에서 평면
BCD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ABH, △ACH, △ADH는 모두 합동이
므로
BHÓ=CHÓ=DHÓ
즉 점 H는 △BCD의 외심이고, 정삼각형의 외심과 무게중심은 
서로 일치하므로 점 H는 △BCD의 무게중심이다.

H

D

B

C

21  직각삼각형 EFM에서
EMÓ="Ã42+22=2
5
'
DHÓ⊥(평면 EFGH), DÕI
에 의하여
HIÓ⊥EMÓ

⊥EMÓ이므로 삼수선의 정리

38    III.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Õ
Õ
Õ
삼각형 EMH의 넓이는

_EHÓ_EFÓ=

_EMÓ_HIÓ

_4_4=

_2

5_HIÓ

;2!;

'

;2!;

;2!;

;2!;
8
5
'
115

∴ HIÓ=

따라서 직각삼각형 DHI에서

DIÓ=¾¨42+

2

8
5
'
115 }

{

=

12
5
'
1135

22   두 평면 HBC와 ABC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
면 삼각형 ABC의 평면 BCDE 위로의 정사영은 삼
각형 HBC이므로



 yy ㉠

cosh=

△HBC
△ABC
1115

이때

△HBC=

△ABC= '

;4!;
3
124
이므로 ㉠에서

BCDE=

_2_2=1

;4!;

_22=

3
'

= '

cos h=

1
3
12'

3
123
따라서 구하는 정사영의 넓이는
3
123

△HBC_cosh=1_ '

3
123

= '

창의력·융합형·서술형·코딩

본문 88~89 쪽

1 ⑴ 평행하다.  ⑵ 수직이다.  ⑶ 60ù

2 ⑴ 

  ⑵ 15p

;5#;

2

2

3 ⑴ PQÓ=
4 ⑴ 풀이 참조  ⑵ 520 m  ⑶ 480 m

  ⑵ 풀이 참조

+OQÓ

OPÓ

AE

1  ⑴ 야구 방망이의 그림자의 길이가 최대인 경우는 야구

방망이와 운동장 바닥이 평행할 때이다.

⑵ 야구 방망이의 양 끝 점의 그림자가 겹치는 경우는

야구 방망이와 운동장 바닥이 수직일 때이다.

⑶ 야구 방망이와 운동장 바닥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h,
야구 방망이의 길이를 S, 야구 방망이의 그림자의 길
이를 S'이라 하면
S'=Scosh

이때 S'=

S이므로

S=Scosh

;2!;

;2!;

cosh=



;2!;

∴  h=60ù

따라서 야구 방망이와 운동장 바닥이 이루는 각의 크
기는 60ù이다.

h

B

E

4`cm
D

C
4`cm

2  ⑴ 그릇을 기울이면 한쪽 수면이 올 6`cm
라온 만큼 반대쪽 수면은 내려가
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그릇을
기울이기 전의 수면의 지름을
ABÓ, 물이 흘러내리기 직전까지
기울였을 때의 수면의 장축을 CDÓ라 하면
ACÓ=BDÓ=4, DEÓ=8
이때 직각삼각형 CDE에서
CDÓ="Ã62+82=10
지면과 그릇의 밑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h이므로
두 직선 CD와 CE가 이루는 각의 크기도 h이다.

A
6`cm

⑵ 그릇의 밑면의 넓이는 9p이므로 구하는 수면의 넓이

∴ cosh=

CEÓ
11CDÓ

=

;5#;

를 S라 하면
Scosh=9p
9p
cosh
112

∴ S=

=

=15p

9p
123
;5#;

3  ⑴ 직선 OP는 지면과 수직이므로 OPÓ⊥OQÓ

따라서 직각삼각형 PQO에서

PQÓ=

OPÓ

2
+OQÓ

2

AE

⑵ 선분 OP의 길이는 일정하므로 선분 OQ의 길이가

최소일 때 선분 PQ의 길이가 최소가 된다.
따라서 구하는 점 Q의 위치는 점 O에서 직선 l에 내
린 수선의 발이다.

4  ⑴ CDÓ는 지면과 수직이고 ABÓ⊥BCÓ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BDÓ⊥ABÓ 
따라서 삼각형 ABD는 ∠ABD=90ù인 직각삼각형
이다.

⑵ 직각삼각형 ABD에서
BDÓ
11ABÓ

tan(∠DAB)=

=

;3$;

BDÓ
11390



∴  BDÓ=520 (m)

⑶ 직각삼각형 BCD에서

CDÓ=

2

AE

2
BDÓ
-BCÓ
="Ã5202-2002
=480 (m)

06. 공간도형   39

4 -1  ⑴ 선분 AB를 2`:`1로 내분하는 점 P의 좌표는

2_3+1_0
2+1
111112

,

2_(-2)+1_1
2+1
11111112

{

,

본문 92~93 쪽

07 공간좌표

교과서 개념 확인 테스트

1
1 -1 P(2, 0, 0), Q(2, 3, 1), R(0, 3, 1)
1 -2 P(2, -2, 3), Q(2, -2, 0), R(0, 0, 3)
2 -1 ⑴ (2, 3, 0)  ⑵ (0, 0, -1)
2 -2 ⑴ (1, 0, 2)  ⑵ (0, -3, 0)

3 -1 ⑴ 3  ⑵ 5
4 -1 ⑴ P(2, -1, 2)  ⑵ Q(6, -5, 2)
4 -2 ⑴ P(-1, -2, 4)  ⑵ Q(-13, -26, -8)
5 -1  ⑴ (x-3)2+(y+2)2+(z+4)2=16 
 
⑵ (x-2)2+(y+1)2+(z-2)2=9

0
1
3 -2 ⑴ 5  ⑵ 
'

'

5 -2  ⑴ (x+2)2+(y-3)2+z2=1 

 

⑵ (x+1)2+(y-2)2+(z+3)2=24
6 -1 중심의 좌표: (-3, 1, 2), 반지름의 길이: 2
6 -2 중심의 좌표: (1, 3, 0), 반지름의 길이: 1

이므로 구하는 점의 좌표는
(2, 3, 0)

⑵ 점 P에서 z축에 내린 수선의 발은 x좌표와 y좌표

가 모두 0이므로 구하는 점의 좌표는
(0, 0, -1)



참고   수선의 발의 좌표

•좌표공간의 점 A(a, b, c)에서

⑴  x축, y축, z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P, Q, R라 하면  

 

  P(a, 0, 0), Q(0, b, 0), R(0, 0, c)

⑵  xy평면, yz평면, zx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P, Q, R

라 하면 
 

 

  P(a, b, 0), Q(0, b, c), R(a, 0, c)

• 점 A에서 평면 a에 내린 수선의 발은 점 A의 평면 a 위로의 

정사영이므로 수선의 발의 좌표는 정사영의 좌표와 같다.

∴ P(2, -1, 2)

⑵ 선분 AB를 2`:`1로 외분하는 점 Q의 좌표는

2_3-1_0
2-1
111112

,

2_(-2)-1_1
2-1
11111112

{

,

2_2+1_2
2+1
111112

}

2_2-1_2
2-1
111112

}

∴ Q(6, -5, 2)

4 -2  ⑴ 선분 AB를 3`:`2로 내분하는 점 P의 좌표는

3_(-3)+2_2
3+2
11111112

,

3_(-6)+2_4
3+2
11111112

,

{

3_2+2_7
3+2
1231121

}

3_2-2_7
3-2
1231121

}

⑵ 선분 AB를 3`:`2로 외분하는 점 Q의 좌표는

3_(-3)-2_2
3-2
11111112

,

3_(-6)-2_4
3-2
11111112

,

{

∴ Q(-13, -26, -8)

5 -1  ⑴ (x-3)2+(y+2)2+(z+4)2=16

⑵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Ã22+(-1)2+22=3
따라서 구하는 구의 방정식은
(x-2)2+(y+1)2+(z-2)2=9

2 -1  ⑴ 점 P에서 xy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은 z좌표가 0

∴ P(-1, -2, 4)

2 -2  ⑴ 점 P에서 zx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은 y좌표가 0

이므로 구하는 점의 좌표는
(1, 0, 2)

⑵ 점 P에서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은 x좌표와 z좌표

가 모두 0이므로 구하는 점의 좌표는
(0, -3, 0)



5 -2  ⑴ (x+2)2+(y-3)2+z2=1
⑵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Ã(-1-1)2+(2-0)2+(-3-1)2=2
따라서 구하는 구의 방정식은
(x+1)2+(y-2)2+(z+3)2=24

6
'

3 -1  ⑴ ABÓ="Ã(-1-1)2+(3-1)2+{-3-(-4)}2

=3

⑵ OAÓ="Ã32+52+(-4)2
2
'

=5



6 -1  x2+y2+z2+6x-2y-4z+10=0에서
(x+3)2+(y-1)2+(z-2)2=4
따라서 구하는 구의 중심의 좌표는 (-3, 1, 2), 반지
름의 길이는 2이다.

3 -2  ⑴ ABÓ="Ã(-1-3)2+(-2-1)2+{-4-(-4)}2

⑵ ABÓ="Ã(-1-2)2+(2-2)2+(0-1)2



=5

=

10



6 -2  x2+y2+z2-2x-6y+9=0에서
(x-1)2+(y-3)2+z2=1
따라서 구하는 구의 중심의 좌표는 (1, 3, 0), 반지름
의 길이는 1이다.

40    III.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
본문 94~97 쪽

⑵ ABÓ="Ã(-4+5)2+(-2+1)2+(5-5)2



=

2
'

기출 기초 테스트 

2
1 -1 ⑴ (0, 3, -5)  ⑵ (-1, -3, 5)
1 -2 ⑴ (-1, 0, 0)  ⑵ (-1, 2, -3)
2 -1 ⑴ 
'
3 -1 1, 5 
4 -1 (1, 0, 0), (5, 0, 0) 
5 -1 P(4, 0, 0)  

1
6 -1 2
 
'

3  ⑵ 5 
 

7 -1 (-2, 3, -2) 

2
'

3  ⑵ 

2 -2 ⑴ 2
'
3 -2 -10
4 -2 (0, -1, 0), (0, 3, 0)
5 -2 P(0, 3, 0)
6 -2 6

, -

, 3
}

;2!;

;2&;

-
7 -2 
{
8 -2 

9 -2 2

 

35

8 -1 9 
9 -1 3  
10 -1 중심의 좌표: (3, -1, 3), 반지름의 길이: 7
10 -2 (x-2)2+y2+(z-2)2=6
11 -1 3
 
12 -1 x2+y2+z2-4x+2z=0
12 -2 x2+y2+z2+2x-4y+4z=0

11 -2 9



'

1 -1  ⑴ 점 P에서 yz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은 x좌표가 0

이므로 구하는 점의 좌표는
(0, 3, -5)

⑵ 점 P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y좌표와 z
좌표의 부호만 바뀌므로 구하는 점의 좌표는
(-1, -3, 5)

참고   점의 대칭이동
좌표공간의 점 A(a, b, c)를
⑴  x축, y축, z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각각 P, Q, R라 하

면   
 

  P(a, -b, -c), Q(-a, b, -c), R(-a, -b, c)
⑵  xy평면, yz평면, zx평면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각각 P, 

Q, R라 하면 
 

 

  P(a, b, -c), Q(-a, b, c), R(a, -b, c)

⑶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P라 하면 

 

 

  P(-a, -b, -c)

1 -2  ⑴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은 y좌표와 z좌표
가 모두 0이므로 구하는 점의 좌표는
(-1, 0, 0)

⑵ 점 P를 xy평면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z좌표

의 부호만 바뀌므로 구하는 점의 좌표는
(-1, 2, -3)

2 -1  ⑴ ABÓ="Ã(2-1)2+(1-2)2+(3-4)2

⑵ ABÓ="Ã(-4+1)2+(-2-2)2+(3-3)2

2 -2  ⑴ ABÓ="Ã(2-0)2+(0-2)2+(2-4)2

=

3
'

=5

=2

3
'

3 -1  ABÓ="Ã(5-1)2+(-2-2)2+(a-3)2

="Ãa2-6a+41
"Ãa2-6a+41=6이므로

a2-6a+41=36, a2-6a+5=0
(a-1)(a-5)=0
∴ a=1 또는 a=5

3 -2  ABÓ="Ã(3+1)2+(-1-2)2+(a+5)2

="Ãa2+10a+50
"Ãa2+10a+50=5

2이므로

a2+10a+50=50, a2+10a=0
a(a+10)=0
∴ a=-10 (∵ a<0)

'

4 -1  x축 위의 점의 좌표를 (a, 0, 0)이라 하면

"Ã(a-3)2+(-1)2+22=3
a2-6a+14=9, a2-6a+5=0
(a-1)(a-5)=0
∴ a=1 또는 a=5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1, 0, 0), (5, 0, 0)

4 -2  y축 위의 점의 좌표를 (0, a, 0)이라 하면

"Ã22+(a-1)2+(-4)2=2
6
'
a2-2a+21=24, a2-2a-3=0
(a+1)(a-3)=0
∴ a=-1 또는 a=3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0, -1, 0), (0, 3, 0)







5 -1  점 P의 좌표를 (a, 0, 0)이라 하면



BÕPÕ

APÓ

2
=(a-2)2+42+(-3)2
=a2-4a+29
2
=(a+1)2+(-2)2
=a2+2a+5
이때 APÓ=BÕPÕ에서 APÓ
a2-4a+29=a2+2a+5
6a=24
∴  a=4
따라서 구하는 점 P의 좌표는
(4, 0, 0)

=BÕPÕ

2

2

이므로

07. 공간좌표   41

§




BÕPÕ

APÓ

5 -2  점 P의 좌표를 (0, a, 0)이라 하면
2
=(-3)2+(a+1)2+(-2)2
=a2+2a+14
2
=(-2)2+(a-3)2+(-5)2
=a2-6a+38
이때 APÓ=BÕPÕ에서 APÓ
a2+2a+14=a2-6a+38
8a=24
∴  a=3
따라서 구하는 점 P의 좌표는
(0, 3, 0)

=BÕPÕ

2

2

이므로

6 -1  Q(1, 2, -3), R(-1, -2, 3)이므로

QRÓ="Ã(-1-1)2+(-2-2)2+(3+3)2



=2

14



6 -2  Q(-2, -2, -1), R(2, 2, 1)이므로
QRÓ="Ã(2+2)2+(2+2)2+(1+1)2



=6

7 -1  선분 AB를 2`:`1로 내분하는 점 P의 좌표는

2_(-1)+1_2
2+1
123112111

,

2_3+1_3
2+1
1231121

{

,

2_(-3)+1_(-6)
2+1
12311211111

}

∴ P(0, 3, -4)
선분 AB를 2`:`1로 외분하는 점 Q의 좌표는

2_(-1)-1_2
2-1
123112111

,

2_3-1_3
2-1
1231121

{

,

2_(-3)-1_(-6)
2-1
12311211111

}

∴ Q(-4, 3, 0)
따라서 선분 PQ의 중점의 좌표는

0-4
12322

3+3
,
12322

-4+0
,
123212



}

{

∴  (-2, 3, -2)

7 -2  선분 AB를 1`:`2로 내분하는 점 P의 좌표는

1_(-4)+2_2
1+2
123112111

,

1_(-1)+2_5
1+2
123112111

{

,

∴ P(0, 3, 3)
선분 AB를 3`:`1로 외분하는 점 Q의 좌표는

3_(-4)-1_2
3-1
123112111

,

3_(-1)-1_5
3-1
123112111

{

,

1_3+2_3
1+2
1231121

}

3_3-1_3
3-1
1231121

}

∴ Q(-7, -4, 3)

42    III.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따라서 선분 PQ의 중점의 좌표는

0-7
12322

3-4
,
12322

3+3
,
12322 }



{

∴ 
{

-

;2&;

, -

;2!;

, 3

}

8 -1  선분 AC의 중점의 좌표는
3+5
,
12322

4-3
{
}
12322
선분 BD의 중점의 좌표는
2+b
,
12322

-3+8
,
123212



∴ 

, 4,

{;2!;

;2%;}

4+c
,
12322 }

-1+a
{
123212
평행사변형 ABCD에서 선분 AC의 중점과 선분
BD의 중점이 일치하므로
4+c
-1+a
123212
12322
따라서 a=2, b=6, c=1이므로
a+b+c=9

2+b
,
12322

=4,

=

=

;2!;

;2%;

8 -2   점 D의 좌표를 (a, b, c)라 하면 선분 BD의 중점의

5+b
,
12322

-1+c
,
123212

좌표는
2+a
}
{
12322
선분 BD의 중점과 두 대각선의 교점 (1, 3, -2)가
일치하므로
2+a
12322
∴ a=0, b=1, c=-3
따라서 A(1, 4, 2), D(0, 1, -3)이므로
ADÓ="Ã(0-1)2+(1-4)2+(-3-2)2

-1+c
123212

5+b
12322

=-2

=1,

=3,



=

35



9 -1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 G의 좌표는

2+0+4
3
123212

}

,

,

0+1-1
3
11123

-1+1+3
{
3
1232112
∴ G(1, 0, 2)
따라서 a=1, b=0, c=2이므로
a+b+c=3

참고   삼각형의 무게중심
좌표공간에서 세 점 A(x1, y1, z1), B(x2, y2, z2), C(x3, y3, z3)
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 G의 좌표는

 

 

x1+x2+x3

111113

y1+y2+y3
3
111125

z1+z2+z3

}
3
111125

{

9 -2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3+5+c
3
11123

2+0+a
11113
2+a
12323

5-1+b
3
11123
4+b
,
12323

8+c
,
12323 }


{

,

,

{

}

=1,

이 점이 점 G(1, 2, 3)과 일치하므로
2+a
12323
따라서 a=1, b=2, c=1이므로
abc=2

4+b
12323

8+c
12323

=2,

=3

10 -1  선분 AB의 중점의 좌표는
-4+2
,
123212

9-3
,
12322 }

1+5
12322



∴  (3, -1, 3)

{
따라서 구하는 구의 중심의 좌표는 (3, -1, 3)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Ã(3-1)2+(-1+4)2+(3-9)2=7

10 -2  선분 AB의 중점의 좌표는
1-1
12322

0+4
,
12322 }

1+3
12322

,



∴  (2, 0, 2)

{
따라서 구의 중심의 좌표는 (2, 0, 2)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Ã(2-1)2+(0-1)2+(2-0)2=
이므로 구하는 구의 방정식은
(x-2)2+y2+(z-2)2=6

6
'

11 -1  x2+y2+z2+2x+4y-14z+10=0에서
(x+1)2+(y+2)2+(z-7)2=44
따라서 구의 중심의 좌표는 (-1, -2, 7)이므로 구
의 중심과 원점 사이의 거리는
"Ã(-1)2+(-2)2+72=3

6
'

11 -2  x2+y2+z2-4x-8y+6z+k=0에서

29-k이다.

(x-2)2+(y-4)2+(z+3)2=29-k
이므로 구의 중심의 좌표는 (2, 4, -3)이고, 반지름
의 길이는

구의 중심에서 z축에 내린 수선의 발의 좌표는
(0, 0, -3)
이때 반지름의 길이는 구의 중심과 수선의 발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반지름의 길이는
"Ã22+42+(-3+3)2=2
따라서
29-k=2

∴ k=9

5이므로 29-k=20

5
'

'

yy ㉠
4-2C+D=0
yy ㉡
1+1+B-C+D=0
4+1+1+2A+B+C+D=0 yy ㉢
㉠, ㉡, ㉢에 D=0을 대입하면
C=2, B-C=-2, 2A+B+C=-6
∴ A=-4, B=0, C=2
따라서 구하는 구의 방정식은
x2+y2+z2-4x+2z=0

12 -2  구의 방정식을

x2+y2+z2+Ax+By+Cz+D=0이라 하고 주
어진 네 점의 좌표를 각각 대입하면
D=0
yy ㉠
1+1+A-C+D=0
1+4+1-A+2B+C+D=0 yy ㉡
yy ㉢
1+9+A+3B+D=0
㉠, ㉡, ㉢에 D=0을 대입하면
A-C=-2, A-2B-C=6, A+3B=-10
∴ A=2, B=-4, C=4
따라서 구하는 구의 방정식은
x2+y2+z2+2x-4y+4z=0

3
01 ⑤ 
05 ① 
10 ⑤ 

15 

{;3@;
19 ① 
23 2 

교과서 기본 테스트

본문 98~101 쪽

02 (-3, 2, -3) 
07 ④ 
06 ④ 
12 9 
11 ④ 

03 12 
08 ③ 
13 ② 

04 3
2
09 3
'
14 ⑤ 

, 2, 

 

;3*;}

20 4 
24 2

2
'

16 ③ 

17 ④ 

18 ②

21 ③ 

22 C(-5, 0, 0)

01   점 P를 xy평면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z좌표의 부

호만 바뀌므로 구하는 점의 좌표는
(3, 5, 4)



02 P(-2, 3, -4), Q(-4, 1, -2)이므로 선분 PQ의

중점의 좌표는

-2-4
123212

,

3+1
12322

-4-2
,
123212

{

}   

∴ (-3, 2, -3)

12 -1  구의 방정식을

x2+y2+z2+Ax+By+Cz+D=0이라 하고 주
어진 네 점의 좌표를 각각 대입하면
D=0

03  점 A는 선분 PQ의 중점이다.
선분 PQ의 중점의 좌표는
2+b
,
12322

3+c
,
12322 }

-1+a
123212

{

07. 공간좌표   43

=3,

이 점이 점 A(3, 1, 4)와 일치하므로
3+c
2+b
-1+a
123212
12322
12322
따라서 a=7, b=0, c=5이므로
a+b+c=12

=1,

=4

04  P'(2, 0, 1)에서 a=2, b=0, c=1이므로

a+b+c=3

05  M(3, -2, 0), N(0, -2, 1)이므로

MNÓ="Ã(0-3)2+(-2+2)2+(1-0)2



=

10





BÕPÕ

APÓ

06  점 P의 좌표를 (0, 0, a)라 하면
2
=(-1)2+12+(a+1)2  
=a2+2a+3
2
=12+(-2)2+(a-2)2
=a2-4a+9
2
=BÕPÕ
APÓ=BÕPÕ에서 APÓ
a2+2a+3=a2-4a+9
6a=6
 ∴ a=1
따라서 구하는 점 P의 좌표는
(0, 0, 1)

2
이므로

07  ABÓ="Ã(-3)2+42=5
BCÓ="Ã(-4)2+42=4
2
'
CAÓ="Ã32+(-4)2=5
오른쪽 그림과 같이 이등변삼각
형 ABC의 점 A에서 선분 BC
에 내린 수선의 발 H에 대하여
BHÓ=2
직각삼각형 ABH에서
2)2=
AHÓ="Ã52-(2
'
∴ △ABC=
_4

1
'
2_

2
'

7

7

1
'

'

;2!;
=2

4

3
'

08  점 P의 좌표를 (0, b, c)라 하면

2

OPÓ
APÓ

BPÓ

=b2+c2
2 =(0-1)2+(b-2)2+(c-1)2
=b2+c2-4b-2c+6
2
=(0+1)2+(b-0)2+(c-1)2
=b2+c2-2c+2





44    III.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5

5

B

C

A

H
4'2

2
=APÓ

2
이므로

 yy ㉠

이때 OPÓ
b2+c2=b2+c2-4b-2c+6
2b+c-3=0
2
2
또 OPÓ
=BPÓ
이므로
b2+c2=b2+c2-2c+2
c-1=0
c=1을 ㉠에 대입하면 b=1
따라서 구하는 점 P의 좌표는
(0, 1, 1)

∴  c=1

09   점 A와 x축에 대하여 대칭인

B

점을 A'이라 하면
A'(1, 0, -1)
이때 APÓ=A'PÓ이므로
APÓ+PBÓ=A'PÓ+PBÓ

P

¾A'BÓ
="Ã(-2-1)2+(2+1)2
=3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3

2
'

2
'





A

x

A'

10  선분 AB를 2`:`1로 내분하는 점 P의 좌표는

,

2_(-2)+1_1
2+1
1232112112

2_2+1_5
{
2+1
12321122
∴ P(3, -1, 2)
선분 AB를 4`:`3으로 외분하는 점 Q의 좌표는

2_1+1_4
2+1
12321122

,

}

4_(-2)-3_1
4-3
1232112112

,

4_1-3_4
4-3
12321122

}

,

4_2-3_5
{
4-3
12321122
∴ Q(-7, -11, -8)
∴ PQÓ=

=10

3
'

"Ã(-7-3)2+(-11+1)2+(-8-2)2

11  선분 AB를 1`:`2로 내분하는 점 P의 좌표는
,

1_(-2)+2_1
1+2
1232112112

1_4+2_4
1+2
12321122

,

{

∴ P(0, 4, -1)
선분 AB를 2`:`1로 외분하는 점 Q의 좌표는

2_(-2)-1_1
2-1
1232112112

,

2_4-1_4
2-1
12321122

{

,

1_3+2_(-3)
1+2
1232112112

}

2_3-1_(-3)
2-1
1232112112

}

∴ Q(-5, 4, 9)
즉 선분 PQ의 중점의 좌표는

0-5
12322

4+4
,
12322

-1+9
,
123212



}

{

∴ 
{

-

;2%;

, 4, 4

}

§
§
§
따라서 a=-

, b=4, c=4이므로

;2%;

a+b+c=

:Á2Á:

점 (1, 3, 4)에서 xy평면, yz평면, zx평면에 각각 내
린 수선의 발 P, Q, R의 좌표는
P(1, 3, 0), Q(0, 3, 4), R(1, 0, 4)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 PQR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1+0+1
3
1232132

,

3+3+0
3
1232132

,

0+4+4
3
1232132

}

{

∴ 
{

-1, 2,

;2&;}



{;3@;

, 2,

;3*;}

12  선분 AC의 중점의 좌표는


1+6
-1+5
2-4
,
,
{
12322 }
123212
12322
선분 BD의 중점의 좌표는
2+b
,
12322

1+c
,
12322 }

-3+a
{
123212
평행사변형 ABCD에서 선분 AC의 중점과 선분 BD
의 중점이 일치하므로
2+b
-3+a
123212
12322
따라서 a=1, b=2, c=6이므로
a+b+c=9

1+c
12322

=-1,

=2,

=

;2&;

16 yz평면에 접하는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중심의 x좌표
의 절댓값과 같으므로 반지름의 길이는 4이다.
따라서 구하는 구의 방정식은
(x+4)2+(y-1)2+(z+3)2=16
∴ x2+y2+z2+8x-2y+6z+10=0

17   구 (x-3)2+y2+(z+4)2=4의 중심의 좌표는

(3, 0, -4)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2이다.
두 구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Ã(3-1)2+(0-4)2+(-4-0)2=6
따라서 구하는 반지름의 길이
를 r라 하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구가 외접하므로
2+r=6

∴  r=4

2

6

r

18 yz평면 위의 점은 x좌표가 0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에

x=0을 대입하면
y2+z2+2y-8=0
∴ (y+1)2+z2=9
따라서 주어진 구와 yz평면이 만나서 생기는 도형은
중심의 좌표가 (0, -1,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3인
원이므로 구하는 길이는
2p_3=6p

19 xy평면, yz평면, zx평면에 동시에 접하는 구의 반지

름의 길이를 r라 하면 구의 방정식은
(x-r)2+(y-r)2+(z-r)2=r2
이 구가 점 (2, 4, 2)를 지나므로
(2-r)2+(4-r)2+(2-r)2=r2
r2-8r+12=0, (r-2)(r-6)=0
∴ r=2 또는 r=6
따라서 구하는 반지름의 길이는 2

20  x2+y2+z2-2x+6y-4z=0에서
(x-1)2+(y+3)2+(z-2)2=14
이므로 주어진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14

07. 공간좌표   45

13  선분 OB의 중점의 좌표는

1,

,
;2A;}

;2#;

{
선분 AC의 중점의 좌표는
1-3
,
12322 }

-2+c
,
123212

-1+b
123212

{


{

-1+b
123212

-2+c
,
123212

, -1

}

평행사변형 OABC에서 선분 OB의 중점과 선분 AC
의 중점이 일치하므로
-2+c
-1+b
123212
123212
따라서 a=-2, b=3, c=5이므로
a+b+c=6

, -1=

=1,

=

;2#;

;2A;

14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2+3+c
3
1232132

,

{

a+5+1
3
1232132
a+6
12323

,

0+b-2
3
1232132
c+5
,
12323 }

b-2
,
12323


{

}

=1,

이 점이 점 G(1, -2, 2)와 일치하므로
a+6
12323
따라서 a=-3, b=-4, c=1이므로
abc=12

c+5
12323

b-2
12323

=-2,

=2

15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3+5+4
3
1232132

5-1+5
3
1232132

,

,

}

2+0+1
{
3
1232132
∴ (1, 3, 4)

=0, -4m+2n=0

-4m+2n
1232121m+n
n
12m =2



24 xy평면 위의 점은 z좌표가 0이므로 주어진 구의 방정

식에 z=0을 대입하면
(x-2)2+(y+1)2=9
즉 주어진 구와 xy평면의 교선은 중심의 좌표가
(2, -1,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3인 원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의
중심을 C라 하고, 점
A(-1, 3, 2)에서 xy평
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하면 H(-1, 3, 0)이므로

A

H

C

P



xy평면

APÓ=

PHÓ

=

PHÓ

AE

AE

2

2

+AHÓ
2
+4

이때 PHÓ¾CHÓ-3=5-3=2이므로
4+4=2
APÓ¾
2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2

2이다.



'

'

30


P

또 주어진 구의 중심을 C라 하면 C(1, -3, 2)이므로
ACÓ="Ã(1-3)2+(-3-2)2+(2-1)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A(3, 2, 1)에서 구에 그은
접선의 접점을 P라 하면
△APC는 직각삼각형이므
로 구하는 접선의 길이는
APÓ="Ã(

14)2=4


30)2-(


 '¶14

 '¶30

A

C

21  x2+y2+z2-2x+2y-47=0에서
(x-1)2+(y+1)2+z2=49
x2+y2+z2-14x-10y-6z+58=0에서
(x-7)2+(y-5)2+(z-3)2=25 yy ㉡

yy ㉠

7

x

A

P

H

5

B

9-x

위의 그림과 같이 구 ㉠의 중심을 A, 구 ㉡의 중심을
B, 두 구가 만나서 생기는 원 위의 한 점을 P, 점 P에
서 선분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A(1, -1, 0), B(7, 5, 3)
∴ ABÓ="Ã(7-1)2+(5+1)2+(3-0)2



=9

AHÓ=x라 하면 HBÓ=9-x이므로
PHÓ="Ã72-x2="Ã52-(9-x)2
49-x2=-x2+18x-56

18x=105

∴  x=

:£6°: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선분 PH의 길이
와 같으므로

"Ã72-x2=

¾¨

72-

{:£6°:}

2

=

7
11

1126

22  점 C의 좌표를 (a, 0, 0)이라 하면

2

2

=(2-1)2+(1-4)2+(-5+3)2=14
=(a-2)2+(-1)2+52=a2-4a+30
=(1-a)2+42+(-3)2=a2-2a+26

ABÓ
2
BCÓ
CAÓ
2
+CAÓ
직각삼각형 ABC에서 ABÓ
14+(a2-2a+26)=a2-4a+30
2a=-10
따라서 구하는 점 C의 좌표는
(-5, 0, 0)

∴  a=-5

2
=BCÓ

2

창의력·융합형·서술형·코딩

본문 102~103 쪽

1
'

1
1 ⑴ 풀이 참조  ⑵ 
2 ⑴ M(200, 200, 0)  
⑵ A(200, 200, 100
7
100
'
3
1113

200, 200, 
{

1
'
1

⑶ P

7)

}

3, 0, 2

3 ⑴ 3  
⑵ (
'
6)2=9
3)2+y2+(z-2
⑶ (x-
'
'
3  ⑶ 3p
4 ⑴ 1  ⑵ 2

6)

'

'

이므로

1  ⑴ 좌표축을 오른쪽 그림과 같

z

이 설정하면
A(2, -1, 1),
B(-1, 0, 2)

B

A

O

x

y



23   선분 AB를 m`:`n으로 내분하는 점은 xy평면 위의
점이므로 z좌표가 0이다. 이때 내분점의 z좌표가
m_(-4)+n_2
m+n
11111111

이므로

⑵ ABÓ="Ã(-1-2)2+(0+1)2+(2-1)2

=

1

1
'

참고   ⑴에서 좌표축을 다르게 설정하여도 두 지점 A, B 사이의 
거리는 같다.

46    III.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Œ
Œ
Œ
Œ
2  ⑴ 점 M은 밑면인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중점이다. 즉
두 점 (0, 0, 0), (400, 400, 0)의 중점과 일치하므로
구하는 점 M의 좌표는

이때 ∠PTC=∠POQ=90ù이고 ∠P는 공통이므
로 △PTC와 △POQ는 닮은 도형이다. 따라서
PTÓ`:`PCÓ=POÓ`:`PQÓ

3`:`2=3`:`PQÓ

'
∴ PQÓ=2

3
'

⑶ 직각삼각형 POQ에서

2

2

OQÓ=
=

PQÓ
A E
"Ã(2

-POÓ
3)2-32=
'
따라서 그림자는 반지름의 길이가
하는 그림자의 넓이는
3)2=3p
p_(
'

3
'

'

3인 원이므로 구

}

, 0

,
{:¢;2);¼:
:¢;2);¼:
∴ M(200, 200, 0)
⑵ OMÓ="Ã2002+2002=200

2
'
이므로 직각삼각형 OMA에서
AMÓ="Ã5002-(200
따라서 구하는 점 A의 좌표는
(200, 200, 100

7)

'

1

'

2)2=100

7
1
'

⑶ 점 P는 선분 AM을 2`:`1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점 P

의 좌표는

2_200+1_200
2+1
1232121112

,

2_200+1_200
2+1
1232121112

,

{

7
2_0+1_100
2+1
12321211121

'

1

}

∴ P
{

200, 200,

1

100
7
'
3
123212

}

3  ⑴ 구의 지름의 길이는 두 점 (0, -3, 0), (0, 3, 0) 사
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구하는 반지름의 길이는
;2!;"Ã(3+3)2=3

⑵ 두 번째 층에 놓인 구의 중심의 좌표를 (a, b, c)라 하
3, 0, 0),

'

면 점 (a, b, c)와 세 점 (0, -3, 0), (3
(0, 3, 0) 사이의 거리가 모두 6이므로
"Ãa2+(b+3)2+c2=6
yy ㉠
3)2+b2+c2=6 yy ㉡
"Ã(a-3
'
"Ãa2+(b-3)2+c2=6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b=0
b=0을 ㉠,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a2+c2=27, a2-6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
따라서 구하는 구의 중심의 좌표는
(

3a+c2=9
'

6 (∵ c>0)

3, c=2

3, 0, 2

6)

'

'

'

'

⑶ 두 번째 층에 놓인 구의 중심의 좌표는 (

6)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3이므로 구하는 구의 방정식은
(x-

6)2=9
3)2+y2+(z-2
'
'

3, 0, 2

'

'

4  ⑴ x2+y2+z2-2z=0에서
x2+y2+(z-1)2=1
따라서 구하는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1

⑵ 오른쪽 그림과 같이 구의 중심을 C,
구와 빛을 나타내는 직선의 접점을
T라 하면

PTÓ=

2
-TCÓ

2

CPÓ
A E
22-12=


3
'

=

P



T

1

2

C
1
O

Q

07. 공간좌표   47

Œ
Œ
§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