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ds.flarebrick.com/1SmMfe8S48-lDpwWqkfcm6EHsKmt_I-XD
이책의
정답과 해설
수학 (상)
I 다항식
다항식의 연산
항등식과 나머지정리
인수분해
II
방정식과 부등식
복소수
이차방정식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여러 가지 방정식
연립일차부등식
이차부등식과 연립이차부등식
1
2
3
4
5
6
7
8
9
III
도형의 방정식
10
11
12
13
평면좌표
직선의 방정식
원의 방정식
도형의 이동
002
013
025
037
046
065
078
099
116
133
144
159
179
1 다항식의 연산
본책 8~21쪽
0009
(2x+3)Û`=(2x)Û`+2´2x´3+3Û`
⑴ -xÛ`+(2y+1)x+3yÛ`+5 ⑵ 3yÛ`+5+(2y+1)x-xÛ`
=25xÛ`-4yÛ`
25xÛ`-4yÛ`
개념 마스터
STEP1
0001
⑴ x에 대하여 차수가 높은 항부터 나열하면
-xÛ`+(2y+1)x+3yÛ`+5
⑵ x에 대하여 차수가 낮은 항부터 나열하면
3yÛ`+5+(2y+1)x-xÛ`
0002 4xÛ`+xy+7yÛ`
=4xÛ`+12x+9
4xÛ`+12x+9
0010
(3x-1)Û`=(3x)Û`-2´3x´1+1Û`
=9xÛ`-6x+1
9xÛ`-6x+1
0011
(5x+2y)(5x-2y)=(5x)Û`-(2y)Û`
0012
(x+3)(x-5)=xÛ`+(3-5)x+3´(-5)
=xÛ`-2x-15
xÛ`-2x-15
0003
0004
0005
(xÛ`-3xy+yÛ`)-(-3xÛ`-5xy+4yÛ`)
=xÛ`-3xy+yÛ`+3xÛ`+5xy-4yÛ`
0013
(2x+3)(4x-7)=2´4xÛ`+(-14+12)x+3´(-7)
=4xÛ`+2xy-3yÛ`
4xÛ`+2xy-3yÛ`
=8xÛ`-2x-21
8xÛ`-2x-21
(7xÛ`+xy-yÛ`)+(xy-5yÛ`)-(xÛ`+4xy)
=7xÛ`+xy-yÛ`+xy-5yÛ`-xÛ`-4xy
=6xÛ`-2xy-6yÛ`
6xÛ`-2xy-6yÛ`
=xÛ`+(2y)Û`+(3z)Û`+2´x´2y+2´2y´3z+2´3z´x
=xÛ`+4yÛ`+9zÛ`+4xy+12yz+6zx
xÛ`+4yÛ`+9zÛ`+4xy+12yz+6zx
0014
(x+2y+3z)Û`
-3A+2B=-3(2xÜ`+5xÛ`-3x+2)+2(-xÜ`-4xÛ`+3)
=-6xÜ`-15xÛ`+9x-6-2xÜ`-8xÛ`+6
=-8xÜ`-23xÛ`+9x
-8xÜ`-23xÛ`+9x
0006
5B-(2A+B)
=5B-2A-B=-2A+4B
=-2(2xÜ`+5xÛ`-3x+2)+4(-xÜ`-4xÛ`+3)
=-4xÜ`-10xÛ`+6x-4-4xÜ`-16xÛ`+12
=-8xÜ`-26xÛ`+6x+8
-8xÜ`-26xÛ`+6x+8
0015
(x+2)Ü`=xÜ`+3´xÛ`´2+3´x´2Û`+2Ü`
=xÜ`+6xÛ`+12x+8
xÜ`+6xÛ`+12x+8
0016
(3x-4y)Ü`=(3x)Ü`-3´(3x)Û`´4y+3´3x´(4y)Û`-(4y)Ü`
=27xÜ`-108xÛ`y+144xyÛ`-64yÜ`
27xÜ`-108xÛ`y+144xyÛ`-64yÜ`
0017
(x+2)(xÛ`-2x+4)=xÜ`+2Ü`=xÜ`+8
xÜ`+8
0007
2x(xÛ`+x-4)=2xÜ`+2xÛ`-8x
2xÜ`+2xÛ`-8x
0018
(5x-2)(25xÛ`+10x+4)=(5x)Ü`-2Ü`
=125xÜ`-8
125xÜ`-8
0008
(2a+b)(aÛ`+ab-bÛ`)
0019
(x+2)(x+4)(x+5)
=2aÜ`+2aÛ`b-2abÛ`+aÛ`b+abÛ`-bÜ`
=xÜ`+(2+4+5)xÛ`+(2´4+4´5+5´2)x+2´4´5
=2aÜ`+3aÛ`b-abÛ`-bÜ`
2aÜ`+3aÛ`b-abÛ`-bÜ`
=xÜ`+11xÛ`+38x+40
xÜ`+11xÛ`+38x+40
002 | I . 다항식
정답과 해설0020
(x-y+1)(xÛ`+yÛ`+xy-x+y+1)
={x+(-y)+1}{xÛ`+(-y)Û`+1Û`-x´(-y)-(-y)´1-1´x}
=xÜ`+(-y)Ü`+1Ü`-3´x´(-y)´1
=xÜ`-yÜ`+3xy+1
xÜ`-yÜ`+3xy+1
0021
(9xÛ`+6xy+4yÛ`)(9xÛ`-6xy+4yÛ`)
={(3x)Û`+3x´2y+(2y)Û`}{(3x)Û`-3x´2y+(2y)Û`}
=(3x)Ý`+(3x)Û`(2y)Û`+(2y)Ý`
0028
2x-2
xÛ`+x+2`<Ô2xÜ`+2xÛ`-4x+1
2xÜ`+2xÛ`+4x
2xÜ`-2xÛ`-8x+1
2xÜ`-2xÛ`-2x-4
2xÜ`+2xÛ`-6x+5
∴ 몫:2x-2, 나머지:-6x+5
=81xÝ`+36xÛ`yÛ`+16yÝ`
81xÝ`+36xÛ`yÛ`+16yÝ`
0029 ㈎ 3 ㈏ 3 ㈐ -9 ㈑ -2 ㈒ -10 ㈓ xÛ`-2x-3 ㈔ -10
몫:2x-2, 나머지:-6x+5
1ㅡ
다
항
식
의
연
산
0030
-1
1 -2
-1
1 -6
3 -4
1 -3
4 -2
0031
-2
3
4
-6
0 -5
4 -8
3 -2
4 -13
0032
;2!;
2
2
1 -3 -6
1
1 -1
2 -2 -7
STEP2
0033
계산한다.
3A-2(2A-B)+C
⑴ 7 ⑵ 18
∴ 몫:xÛ`-3x+4, 나머지:2
몫:xÛ`-3x+4, 나머지:2
⑴ 12 ⑵ 40
∴ 몫:3xÛ`-2x+4, 나머지:-13
몫:3xÛ`-2x+4, 나머지:-13
0022
⑴ xÛ`+yÛ`=(x+y)Û`-2xy=3Û`-2´1=7
⑵ xÜ`+yÜ`=(x+y)Ü`-3xy(x+y)
=3Ü`-3´1´3=18
0023
⑴ xÛ`+yÛ`=(x-y)Û`+2xy=4Û`+2´(-2)=12
⑵ xÜ`-yÜ`=(x-y)Ü`+3xy(x-y)
=4Ü`+3´(-2)´4=40
0024
⑴ xÛ`+
=
x+
{
;[!;}
1
xÛ`
Û`-2=4Û`-2=14
⑵
{
x-
;[!;}
x+
{
;[!;}
Û`=
Û`-4=4Û`-4=12
∴ x-
=Ñ2
;[!;
3
'
0025
aÛ`+bÛ`+cÛ` =(a+b+c)Û`-2(ab+bc+ca)
0026 ㈎ 4 ㈏ 4 ㈐ 2
0027
xÛ`-x-2
x+2`<Ô`xÜ`+xÛ`-4x+3
xÜ`+2xÛ`
-xÛ`-4x
-xÛ`-2x
-2x+3
-2x-4
-2x-7
⑴ 14 ⑵ Ñ2
3
'
∴ 몫:2xÛ`+2x-2, 나머지:-7
몫:2xÛ`+2x-2, 나머지:-7
=9Û`-2´8=65
65
유형 마스터
유형 마스터
|전략| 먼저 주어진 식을 간단히 정리한 다음 A, B, C에 각 다항식을 대입하여
=3A-4A+2B+C=-A+2B+C
=-(3xÛ`-2xy+4yÛ`)+2(5xÛ`-3xy+yÛ`)+(-2xÛ`-5yÛ`)
=-3xÛ`+2xy-4yÛ`+10xÛ`-6xy+2yÛ`-2xÛ`-5yÛ`
=5xÛ`-4xy-7yÛ`
①
0034
A-2(X-B)=2A에서
1 다항식의 연산 | 003
∴ 몫:xÛ`-x-2, 나머지:7
몫:xÛ`-x-2, 나머지:7
A-2X+2B=2A, 2X=-A+2B
`X=-
A+B
;2!;
=-
(2xÜ`+4xÛ`-6)+(xÜ`-xÛ`+2x+3)
;2!;
=-xÜ`-2xÛ`+3+xÜ`-xÛ`+2x+3
=-3xÛ`+2x+6
0035
A+B=xÛ`+xy+yÛ`
B+C=4xÛ`-3xy+yÛ`
C+A=-3xÛ`+4yÛ`
㉠+㉡+㉢을 하면
2(A+B+C)=2xÛ`-2xy+6yÛ`
∴ A+B+C=xÛ`-xy+3yÛ`
0036
A∨(B∧C)
0039
(3xÛ`+3x+4)(2xÛ`+kx-7)의 전개식에서 xÛ` 항은
3xÛ`´(-7)+3x´kx+4´2xÛ`=(3k-13)xÛ`
이때, xÛ`의 계수가 5이므로
①
3k-13=5
∴ k=6
0040
(1+x+xÛ`+xÜ`+y+x2018)Û`
=(1+x+xÛ`+xÜ`+y+x2018)(1+x+xÛ`+xÜ`+y+x2018)
yy ㉠
yy ㉡
yy ㉢
④
이 식의 전개식에서 xÞ` 항은
1´xÞ`+x´xÝ`+xÛ`´xÜ`+xÜ`´xÛ`+xÝ`´x+xÞ`´1
=xÞ`+xÞ`+xÞ`+xÞ`+xÞ`+xÞ`=6xÞ``
따라서 xÞ`의 계수는 6이다.
참고 주어진 식의 전개식에서 xÞ`의 계수와
(1+x+xÛ`+xÜ`+xÝ`+xÞ`)(1+x+xÛ`+xÜ`+xÝ`+xÞ`)의 전개식에서 xÞ`의 계
6
①
수는 서로 같다.
0041
=A∨(B-2C)=2A+B-2C
=2(xÛ`-2x+yÛ`)+(3x-y+2yÛ`)-2(3xÛ`+2yÛ`)
=2xÛ`-4x+2yÛ`+3x-y+2yÛ`-6xÛ`-4yÛ`
(1+2x+3xÛ`+4xÜ`)Û`=(1+2x+3xÛ`+4xÜ`)(1+2x+3xÛ`+4xÜ`)
이 식의 전개식에서 xÛ` 항은
1´3xÛ`+2x´2x+3xÛ`´1=3xÛ`+4xÛ`+3xÛ`=10xÛ`
=-4xÛ`-x-y
-4xÛ`-x-y
(1+2x+3xÛ`)Û`=(1+2x+3xÛ`)(1+2x+3xÛ`)
이 식의 전개식에서 xÛ`항은
1´3xÛ`+2x´2x+3xÛ`´1=3xÛ`+4xÛ`+3xÛ`=10xÛ`
따라서 두 다항식 (1+2x+3xÛ`+4xÜ`)Û`, (1+2x+3xÛ`)Û`의 전개식
에서 xÛ`의 계수는 모두 10이므로 주어진 식의 xÛ`의 계수는 0이다.
①
다른 풀이 (1+2x+3xÛ`+4xÜ`)Û`의 전개식에서 xÛ`의 계수는 4xÜ`과 관계
없이 결정되므로 (1+2x+3xÛ`+4xÜ`)Û`과 (1+2x+3xÛ`)Û`의 전개식에서
xÛ`의 계수는 서로 같다.
따라서 주어진 식의 xÛ`의 계수는 0이다.
… ❷
0042
(x+1)(x+2)(x+3)y(x+10)의 전개식에서 xá` 항은
… ❸
xá`´10+xá`´9+xá`´8+y+xá`´2+xá`´1
5x+2
=(1+2+y+8+9+10)xá`=55xá`
따라서 xá`의 계수는 55이다.
③
비율
40 %
40 %
20 %
0043
|전략| 곱셈 공식을 이용하여 좌변의 식을 전개한다.
① (x-1)(x+2)(x-4)
=xÜ`+(-1+2-4)xÛ`+{(-1)´2+2´(-4)+(-4)´(-1)}x
+(-1)´2´(-4)
0037
2A+B=xÛ`+8x-3
A-B=2xÛ`+x-12
㉠+㉡을 하면
yy`㉠
yy`㉡
3A=3xÛ`+9x-15 `∴`A=xÛ`+3x-5
… ❶
이것을 ㉡에 대입하면
(xÛ`+3x-5)-B=2xÛ`+x-12
∴`B =xÛ`+3x-5-(2xÛ`+x-12)
=-xÛ`+2x+7
∴`A+B=xÛ`+3x-5+(-xÛ`+2x+7)
=5x+2
채점 기준
❶ 다항식 A를 구할 수 있다.
❷ 다항식 B를 구할 수 있다.
❸ A+B를 계산할 수 있다.
0038
004 | I . 다항식
|전략| xÜ`항은 (xÜ`항)_(상수항), (xÛ`항)_(x항), (x항)_(xÛ`항)에서 나올 수 있으
=xÜ`-3xÛ`-6x+8
므로 이 항들만 선택하여 곱한다.
(xÜ`+2xÛ`-x+4)(2xÛ`+3x-5)의 전개식에서 xÜ`항은
xÜ`´(-5)+2xÛ`´3x+(-x)´2xÛ`=-5xÜ`+6xÜ`-2xÜ`=-xÜ`
② (a-b)(a+b)(aÛ`+bÛ`)(aÝ`+bÝ`)
=(aÛ`-bÛ`)(aÛ`+bÛ`)(aÝ`+bÝ`)
=(aÝ`-bÝ`)(aÝ`+bÝ`)
따라서 xÜ`의 계수는 -1이다.
-1
=a¡`-b¡`
정답과 해설④ (x-2y)Ü`=xÜ`-3´xÛ`´2y+3´x´(2y)Û`-(2y)Ü`
=xÜ`-6xÛ`y+12xyÛ`-8yÜ`
0049
xÛ`-2x=t로 놓으면
⑤ (x-2)(xÛ`+2x+4)=xÜ`-2Ü`=xÜ`-8
③
(xÛ`-2x+3)(xÛ`-2x-1)
=(t+3)(t-1)=tÛ`+2t-3
=(xÛ`-2x)Û`+2(xÛ`-2x)-3
=xÝ`-4xÜ`+4xÛ`+2xÛ`-4x-3
=(2x)Û`+(-y)Û`+3Û`+2´2x´(-y)+2´(-y)´3+2´3´2x
=xÝ`-4xÜ`+6xÛ`-4x-3
따라서 a=6, b=-4이므로 2a+b=8
8
=4xÛ`+yÛ`-4xy+12x-6y+9
따라서 a=1, b=-4, c=12이므로
0044
(2x-y+3)Û`
a+b+c=9
0045
(x-y)(x+y)(xÛ`-xy+yÛ`)(xÛ`+xy+yÛ`)
={(x-y)(xÛ`+xy+yÛ`)}{(x+y)(xÛ`-xy+yÛ`)}
=(xÜ`-yÜ`)(xÜ`+yÜ`)
=(xÜ`)Û`-(yÜ`)Û`=xß`-yß`
(xÛ`-1)(xÛ`+x+1)(xÛ`-x+1)
=(x-1)(x+1)(xÛ`+x+1)(xÛ`-x+1)
={(x-1)(xÛ`+x+1)}{(x+1)(xÛ`-x+1)}
=(xÜ`-1)(xÜ`+1)
=xß`-1=2-1(∵ xß`=2)
9
0050
(5+3a)Ü`=A, (5-3a)Ü`=B로 놓으면
{(5+3a)Ü`-(5-3a)Ü`}Û`-{(5+3a)Ü`+(5-3a)Ü`}Û`
=(A-B)Û`-(A+B)Û`=-4AB
=-4(5+3a)Ü`(5-3a)Ü`
=-4{(5+3a)(5-3a)}Ü`
①
=-4(25-9aÛ`)Ü`
=-4(25-9´3)Ü` (∵ a=
3)
'
=-4´(-8)=32
0051
|전략| 먼저 곱셈 공식의 변형을 이용하여 xy의 값을 구한다.
xÛ`+yÛ`=(x+y)Û`-2xy에서
4=(2
2)Û`-2xy
∴ xy=2
'
∴ xÜ`+yÜ``=(x+y)Ü`-3xy(x+y)
①
=(2
2)Ü`-3´2´2
2=4
2
'
'
'
④
|전략| 두 일차식의 상수항의 합이 같도록 짝지어 전개한 후 공통부분을 치환한다.
(x+1)(x+2)(x+3)(x+4)
={(x+1)(x+4)}{(x+2)(x+3)}
=(xÛ`+5x+4)(xÛ`+5x+6)
xÛ`+5x=t로 놓으면
(주어진 식) =(t+4)(t+6)=tÛ`+10t+24
=(xÛ`+5x)Û`+10(xÛ`+5x)+24
=xÝ`+10xÜ`+25xÛ`+10xÛ`+50x+24
=xÝ`+10xÜ`+35xÛ`+50x+24
xÝ`+10xÜ`+35xÛ`+50x+24
0052
xÜ`-yÜ`=(x-y)Ü`+3xy(x-y)에서
4=1Ü`+3xy´1
∴ xy=1
∴
+
=
;]{;
;[};
yÛ`+xÛ`
xy
=
(x-y)Û`+2xy
xy
= 1Û`+2´1
1
=3
0053
xÜ`+yÜ`=(x+y)Ü`-3xy(x+y)에서
7=1Ü`-3xy´1
∴ `xy=-2
∴`xÛ`+yÛ`=(x+y)Û`-2xy=1Û`-2´(-2)=5
∴`xÝ`+yÝ`` =(xÛ`+yÛ`)Û`-2xÛ`yÛ`
=5Û`-2´(-2)Û`=17
(a-b+c)(a+b-c)={a-(b-c)}{a+(b-c)}
b-c=t로 놓으면
(주어진 식) =(a-t)(a+t)=aÛ`-tÛ`
=aÛ`-(b-c)Û`
=aÛ`-(bÛ`-2bc+cÛ`)
=aÛ`-bÛ`+2bc-cÛ`
전개한 식을 b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bÛ`+2bc+aÛ`-cÛ`
0054
a=2+
3, b=2-
3에서
'
a+b=4, ab=1
'
∴
b
aÛ`
+ a
bÛ`
(a+b)Ü`-3ab(a+b)
(ab)Û`
=
= bÜ`+aÜ`
aÛ`bÛ`
= 4Ü`-3´1´4
1Û`
=52
③
32
⑤
17
52
1 다항식의 연산 | 005
0046
=1
0047
0048
1ㅡ다항식의 연산0055
식의 값을 구한다.
|전략| 양변을 x로 나누어 x+
;[!;의 값을 구한 후 곱셈 공식의 변형을 이용하여
x+0이므로 xÛ`-3x+1=0의 양변을 x로 나누면
x-3+
;[!;
∴ xÜ`+ 1
xÜ`
=0
∴ x+
=3
;[!;
Ü`-3
{
=
x+
{
;[!;}
x+
;[!;}
=3Ü`-3´3=18
참고 x=0을 xÛ`-3x+1=0에 대입하면 1+0이므로 x+0이다.
0056
a+
{
;a!;}
Û`=aÛ`+ 1
aÛ`
+2=3+2=5
그런데 a>0이므로 a+
=
5
'
;a!;
Ü`-3
=
a+
{
;a!;}
a+
{
;a!;}
=(
5)Ü`-3´
5=2
5
'
'
'
∴ aÜ`+ 1
aÜ`
0057
x+0이므로 xÛ`-x-1=0의 양변을 x로 나누면
x-1-
=0
∴ x-
=1
;[!;
∴ xÛ`+2x-
+ 1
xÛ`
;[@;
;[!;
=xÛ`+ 1
xÛ`
+2
x-
{
;[!;}
=
x-
{
;[!;}
Û`+2+2
x-
{
;[!;}
=1Û`+2+2´1=5
⑤
0058
|전략| 먼저 곱셈 공식의 변형을 이용하여 ab+bc+ca의 값을 구한다.
(a+b+c)Û`=aÛ`+bÛ`+cÛ`+2(ab+bc+ca)에서
(-1)Û`=5+2(ab+bc+ca) ∴`ab+bc+ca=-2
∴` aÜ`+bÜ`+cÜ`` =(a+b+c)(aÛ`+bÛ`+cÛ`-ab-bc-ca)+3abc
=-1´{5-(-2)}+3´2=-1
②
㉠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aÛ`bÛ`+bÛ`cÛ`+cÛ`aÛ`+2(abÛ`c+abcÛ`+aÛ`bc)=9
aÛ`bÛ`+bÛ`cÛ`+cÛ`aÛ`+2abc(a+b+c)=9
aÛ`bÛ`+bÛ`cÛ`+cÛ`aÛ`+2´1´1=9
∴`aÛ`bÛ`+bÛ`cÛ`+cÛ`aÛ`=7
⑤
❶ ab+bc+c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❷ aÛ`bÛ`+bÛ`cÛ`+cÛ`aÛ`의 값을 구할 수 있다.
0061
a-b=2, b-c=3을 변끼리 더하면 a-c=5
∴ aÛ`+bÛ`+cÛ`-ab-bc-ca
=
(2aÛ`+2bÛ`+2cÛ`-2ab-2bc-2ca)
… ❷
7
비율
40 %
60 %
②
=
{(aÛ`-2ab+bÛ`)+(bÛ`-2bc+cÛ`)+(cÛ`-2ca+aÛ`)}
=
{(a-b)Û`+(b-c)Û`+(c-a)Û`}
=
{2Û`+3Û`+(-5)Û`}=19
19
채점 기준
;2!;
;2!;
;2!;
;2!;
0062
용한다.
|전략| 주어진 식에 (2-1)을 곱하여 곱셈 공식 (a+b)(a-b)=aÛ`-bÛ`을 이
(2+1)(2Û`+1)(2Ý`+1)(2¡`+1)(216+1)
=(2-1)(2+1)(2Û`+1)(2Ý`+1)(2¡`+1)(216+1)
2-1=1
=(2Û`-1)(2Û`+1)(2Ý`+1)(2¡`+1)(216+1)
=(2Ý`-1)(2Ý`+1)(2¡`+1)(216+1)
=(2¡`-1)(2¡`+1)(216+1)
=(216-1)(216+1)
=232-1
④
0059
(a+b+c)Û`=aÛ`+bÛ`+cÛ`+2(ab+bc+ca)에서
0063
100=a로 놓으면
1Û`=2+2(ab+bc+ca) ∴`ab+bc+ca=
-;2!;
aÜ`+bÜ`+cÜ`=(a+b+c)(aÛ`+bÛ`+cÛ`-ab-bc-ca)+3abc에서
3=1´
2-
[
{-;2!;}]
+3abc, 3abc=
;2!;
∴ abc
=;6!;
;6!;
0064
101_(10000-100+1)-99_10101
=(a+1)(aÛ`-a+1)-(a-1)(aÛ`+a+1)
=aÜ`+1-(aÜ`-1)=2
2
9_11_101_10001
=(10-1)(10+1)(100+1)(10000+1)
=(10Û`-1)(10Û`+1)(10Ý`+1)
=(10Ý`-1)(10Ý`+1)
yy`㉠
… ❶
=10¡`-1
②
0060
(a+b+c)Û`=aÛ`+bÛ`+cÛ`+2(ab+bc+ca)에서
1Û`=7+2(ab+bc+ca)
∴`ab+bc+ca=-3
006 | I . 다항식
006 | I . 다항식
정답과 해설이때, (a+b+c)Û`=aÛ`+bÛ`+cÛ`+2(ab+bc+ca)에서
따라서 Q(x)=x-1, R(x)=x-2이므로
7Û`=aÛ`+bÛ`+cÛ`+40
∴ aÛ`+bÛ`+cÛ`=9
∴ ABÓ=
aÛ`+bÛ`+cÛ`=
9=3
"Ã
'
3
Q(2)+R(3)=1+1=2
2
∴`OAÓ
Û`+OBÓ
Û`+OCÓ
Û`=aÛ`+bÛ`+cÛ`
=(a+b+c)Û`-2(ab+bc+ca)
=9Û`-2´26=29
0065
1.002Ü` =(1+0.002)Ü`
=1Ü`+3_1Û`_0.002+3_1_0.002Û`+0.002Ü`
=1+0.006+0.000012+y
=1.006012y
따라서 소수점 아래 첫째, 셋째, 다섯째 자리의 숫자는 각각 0, 6, 1이
므로 구하는 합은 7이다.
7
0066
한 식으로 나타낸다.
|전략| 직육면체의 세 모서리의 길이를 a, b, c라 하고 주어진 조건을 a, b, c에 대
직육면체의 세 모서리의 길이를 각각 a, b, c라 하면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이 28이므로
4(a+b+c)=28
∴ a+b+c=7
또, 직육면체의 겉넓이가 40이므로
2(ab+bc+ca)=40
세 모서리의 길이가 각각 a, b, c인 직육면체에서
⑴ 모서리의 길이의 총합 ⇨ 4(a+b+c)
⑵ 대각선의 길이 ⇨
aÛ`+bÛ`+cÛ`
"Ã
⑶ 겉넓이 ⇨ 2(ab+bc+ca)
⑷ 부피 ⇨ abc
0067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를 a, 세로의 길이를 b라 하면
직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가 19이므로
aÛ`+bÛ`=19Û`=361
또,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가 42이므로
2(a+b)=42
∴ a+b=21
이때, aÛ`+bÛ`=(a+b)Û`-2ab에서
361=21Û`-2ab
∴ ab=40
따라서 직사각형의 넓이는 40이다.
40
채점 기준
0069
❶ a+b+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❷ ab+bc+c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Û`+OCÓ
Û`+OBÓ
❸ OAÓ
Û`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전략| 직접 나눗셈을 하여 몫과 나머지를 구한다.
x-1
xÛ`-2x+2`<ÔxÜ`-3xÛ`+5x-4
xÜ`-2xÛ`+2x
-xÛ`+3x-4
-xÛ`+2x-2
-xÛ`+2x-2
0070
xÛ`+2x-2
2x+2`<Ô2xÜ`+6xÛ`-4x-7
2xÜ`+2xÛ`
2xÜ`+4xÛ`
2xÜ`+4xÛ`+4x
2xÜ`+4xÛ`-4x-7
2xÜ`+4xÛ`-4x-4
2xÜ`+2xÛ`-6x-3
∴ a=2, b=4, c=4, d=7, e=-3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0071
xÛ`-x-5`<Ô2xÜ`-5xÛ`+x-1
2xÜ`-2xÛ`-10x
2x-3
2xÜ`-3xÛ`+11x-1
2xÜ`-3xÛ`+3x+15
2xÜ`-3xÛ`+8x-16
따라서 몫은 2x-3, 나머지는 8x-16이므로
a=2, b=-3, c=8, d=-16
∴ a+b+c+d=-9
0068
세 모서리 OA, OB, OC의 길이를
각각 a, b, c라 하면
OAÓ+OBÓ+OCÓ=9에서
a+b+c=9
ab+
bc+
ca=13
;2!;
;2!;
;2!;
∴`ab+bc+ca=26
△OAB+△OBC+△OCA=13에서
O
a
b
… ❶
A
C
c
0072
B
|전략| 다항식 A를 다항식 B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 나머지를 R라 하면
A=BQ+R이다. (단, (R의 차수)<(B의 차수))
xÜ`-xÛ`-2x+1=A(x+2)+3x-1이므로
A(x+2)=xÜ`-xÛ`-2x+1-(3x-1)
… ❷
=xÜ`-xÛ`-5x+2
1 다항식의 연산 | 007
… ❸
29
비율
30 %
30 %
40 %
⑤
①
1ㅡ다항식의 연산∴ A=(xÜ`-xÛ`-5x+2)Ö(x+2)
∴ 2xÝ`+3xÜ`+2xÛ`+2x-1=(xÛ`+x-1)(2xÛ`+x+3)+2
이때, xÛ`+x-1=0이므로 구하는 식의 값은 2이다.
②
|전략| 다항식 f(x)를 x+
;aB;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R라 할
때, f(x)를 ax+b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a!;
Q(x), 나머지는 R이다.
⑤
f(x)=
x-
Q(x)+R=
(2x-1)Q(x)+R
{
;2!;}
;2!;
=(2x-1)´
Q(x)+R
;2!;
0073
f(x)=(x-1)(3x-4)+5=3xÛ`-7x+9
따라서 f(x)를 2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Q(x), 나머지는 R
;2!;
따라서 f(x)=3xÛ`-7x+9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3x-10,
나머지는 19이다.
몫:3x-10, 나머지:19
=
x-
´5Q(x)+R
{
;5@;}
f(x)=(5x-2)Q(x)+R
=5
x-
Q(x)+R
{
;5@;}
0076
이다.
0077
이다.
채점 기준
①
… ❶
… ❷
… ❸
비율
30 %
50 %
20 %
따라서 f(x)를 x-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5Q(x), 나머지는 R
;5@;
몫:5Q(x), 나머지:R
❶ f(x)를 5x-2에 대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❷ f(x)를 x-
;5@;에 대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❸ f(x)를 x-
;5@;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를 구할 수 있다.
0078
f(x)=(3x-1)Q(x)+R
이 식의 양변에 x를 곱하면
xf(x)=x(3x-1)Q(x)+Rx
=3x
x-
Q(x)+R
x-
{
;3!;}
{
+
R
;3!;
;3!;}
=
x-
{
;3!;}
{3xQ(x)+R}+
R
;3!;
따라서 xf(x)를 x-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3xQ(x)+R,
;3!;
나머지는
R이다.
;3!;
④
0079
|전략| 주어진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몫과 나머지를 구해 본다.
다항식 3xÜ`+axÛ`+bx-6을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를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구하면
xÛ`-3x+1
x+2`<Ô xÜ`-2xÛ`-5x+2
xÜ`+2xÛ`
xÜ`-3xÛ`-5x
xÜ`-3xÛ`-6x
xÜ`-3xÛ`-6x+2
xÜ`-3xÛ`-6x+2
xÜ`-3xÛ`-6x+0
∴ A=xÛ`-3x+1
3x-10
x+1`<Ô 3xÛ`-17x+19
3xÛ`+13x
3xÛ`-10x+19
3xÛ`-10x-10
3xÛ`-10x-19
0074
직육면체의 높이를 A라 하면
(x+1)(x+2)A=2xÜ`+5xÛ`+x-2
∴ A=(2xÜ`+5xÛ`+x-2)Ö(xÛ`+3x+2)
2x-1
xÛ`+3x+2`<Ô 2xÜ`+5xÛ`+4x-2
2xÜ`+6xÛ`+4x
2xÜ`- xÛ`-3x-2
2xÜ`- xÛ`-3x-2
2xÜ`- xÛ`-3x-0
2x+k`(k는 상수)라 하면
(x+1)(x+2)(2x+k)=2xÜ`+5xÛ`+x-2
양변의 상수항을 비교하면
2k=-2
∴ k=-1
따라서 직육면체의 높이는 2x-1이다.
0075
2xÛ`+x+3
xÛ`+x-1`<Ô 2xÝ`+3xÜ`+2xÛ`+2x-1
2xÝ`+2xÜ`-2xÛ`
2xÝ`+2xÜ`+4xÛ`+2x
2xÝ`+2xÜ`+4xÛ`- x
2xÝ`+2xÜ`+3xÛ`+3x-1
2xÝ`+2xÜ`+3xÛ`+3x-3
2xÝ`+2xÜ`+3xÛ`+3x-2
008 | I . 다항식
따라서 직육면체의 높이는 2x-1이다.
2x-1
다른 풀이 2xÜ`+5xÛ`+x-2에서 xÜ`의 계수가 2이므로 구하는 높이를
정답과 해설1ㅡ
다
항
식
의
연
산
-1
3
b
-6
이 식의 전개식에서
-a+3
a-b-3
xÝ` 항은 8xÜ`´6x+(-12xÛ`)´xÛ`=48xÝ`-12xÝ`=36xÝ`
a
-3
3
a-3
b-a+3
a-b-9
이때, k=-1, c=-3, a-3=-1, b-a+3=-5,
a-b-3=d이므로
k=-1, c=-3, a=2, b=-6, d=5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0080
주어진 조립제법에서 미정계수를 구하 2
면 오른쪽과 같으므로
a=1, b=3, c=-2, d=2
∴ a+b+c+d=4
0081
주어진 조립제법에 의하여
x항은 6x´9+(-1)´6x=54x-6x=48x
따라서 xÝ`의 계수는 36, x의 계수는 48이므로
a=36, b=48
∴ a+b=84
③
④
0084
유형 04 공통부분이 있는 식의 전개
|전략| 공통부분이 xÛ`+x가 되도록 두 일차식끼리 적당히 묶어 전개한다.
1
1
3 -2
2
5
10
8
2
16
18
4
(x+2)(x+3)(x-1)(x-2)
={(x+2)(x-1)}{(x+3)(x-2)}
=(xÛ`+x-2)(xÛ`+x-6)
xÛ`+x=t로 놓으면
(주어진 식) =(t-2)(t-6)=tÛ`-8t+12
=(xÛ`+x)Û`-8(xÛ`+x)+12
따라서 a=8, b=12이므로 a+b=20
⑤
f(x)=
x+
(px+q)+r=3
x+
´
(px+q)+r
{
;3@;}
{
;3@;}
;3!;
=(3x+2)
px+
q
}
;3!;
+r
{;3!;
따라서 f(x)를 3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px+
q, 나머지는
;3!;
;3!;
;3!;
r이다.
몫:;3!;
px+
q, 나머지:r
13=4Û`-ab
∴ ab=3
유형 05 곱셈 공식의 변형을 이용한 식의 값 구하기 - 두 문자인 경우
|전략| 먼저 곱셈 공식의 변형을 이용하여 ab의 값을 구한다.
aÛ`+ab+bÛ`=(a+b)Û`-ab에서
∴ aÜ`+bÜ`=(a+b)Ü`-3ab(a+b)
=4Ü`-3´3´4=28
③
|전략| 먼저 주어진 식을 간단히 정리한 다음 A, B, C에 각 다항식을 대입하여
|전략| x+y, xy의 값을 구하고 곱셈 공식의 변형을 이용한다.
유형 05 곱셈 공식의 변형을 이용한 식의 값 구하기 - 두 문자인 경우
내신 마스터
내신 마스터
STEP3
0082
유형 01 다항식의 덧셈과 뺄셈
계산한다.
2(A+B)-{B-(A-C)}
=2A+2B-(B-A+C)
=2A+2B-B+A-C
=3A+B-C
=3(2xÛ`+5xy+yÛ`)+(xÛ`-3xy+2yÛ`)-(-xÛ`+xy-3yÛ`)
=6xÛ`+15xy+3yÛ`+xÛ`-3xy+2yÛ`+xÛ`-xy+3yÛ`
=8xÛ`+11xy+8yÛ`
⑤
0083
유형 02 다항식의 전개식에서 특정항의 계수 구하기
+ 03 곱셈 공식을 이용한 식의 전개
2-1)
=
2-1
'
2-1
'
2+1)(
'
2+1
2+1
x= 1
'
y= 1
'
2-1
=
=
따라서 x+y=2
(
'
(
'
'
'
2-1)(
2+1)
'
2, xy=1이므로
=
2+1
'
xÝ`+xÜ`y+xyÜ`+yÝ` =xÜ`(x+y)+yÜ`(x+y)
=(xÜ`+yÜ`)(x+y)
={(x+y)Ü`-3xy(x+y)}(x+y)
={(2
2)Ü`-3´1´2
2}´2
2
'
'
'
2´2
'
=10
'
2=40
④
0085
0086
0087
|전략| 곱셈 공식을 이용하여 식을 전개하고, xÝ`항과 x항이 나오는 부분만 찾아
계수를 구한다.
(2x-1)Ü`(x+3)Û`=(8xÜ`-12xÛ`+6x-1)(xÛ`+6x+9)
유형 06 곱셈 공식의 변형을 이용한 식의 값 구하기 - xÑ
;[!; 꼴을 포함한 경우
|전략| xÛ`+
1
xÛ`
x+
=
{
;[!;}
Û`-2, xÜ`+
1
xÜ`
x+
=
{
;[!;}
Ü`-3
x+
{
;[!;}임을 이용한다.
1 다항식의 연산 | 009
=
x+
;[!;}
Û`-2=5Û`-2=23
=
x+
Ü`-3
x+
{
;[!;}
;[!;}
=5Ü`-3´5=110
따라서 a=23, b=110이므로 a+b=133
④
xÛ`+
1
xÛ`
xÜ`+ 1
xÜ`
{
{
0088
유형 07 곱셈 공식의 변형을 이용한 식의 값 구하기 - 세 문자인 경우
|전략|
+
;a!;
+
=
;c!;
;b!;
ab+bc+ca
abc
ab+bc+ca, abc의 값을 구한다.
(a+b+c)Û`=aÛ`+bÛ`+cÛ`+2(ab+bc+ca)에서
5Û`=9+2(ab+bc+ca)
∴ ab+bc+ca=8
+
= ab+bc+ca
abc
;c!;
에서
∴ abc=4
+
;a!;
;b!;
2= 8
abc
∴ aÜ`+bÜ`+cÜ` =(a+b+c)(aÛ`+bÛ`+cÛ`-ab-bc-ca)+3abc
=5´(9-8)+3´4=17
②
0091
유형 08 곱셈 공식을 이용한 수의 계산
|전략| 201Û`=(200+1)Û`, 98_102=(100-2)(100+2)이므로 곱셈 공식
(a+b)Û`=aÛ`+2ab+bÛ`, (a+b)(a-b)=aÛ`-bÛ`을 이용한다.
201Û`+98_102=(200+1)Û`+(100-2)(100+2)
=40000+400+1+10000-4
=50397
이므로 다섯 자리 자연수이다.
0092
유형 09 곱셈 공식의 도형에의 응용
식을 간단히 한다.
|전략| 공통부분이 생기도록 적당히 항을 묶은 후 곱셈 공식을 이용하여 주어진
(a-b+c)(a-b-c)=(a+b+c)(c-b-a)에서
{(a-b)+c}{(a-b)-c}={c+(a+b)}{c-(a+b)}
(a-b)Û`-cÛ`=cÛ`-(a+b)Û`
aÛ`-2ab+bÛ`-cÛ`=cÛ`-(aÛ`+2ab+bÛ`)
이므로 주어진 조건식에서
∴ n=5
②
유형 07 곱셈 공식의 변형을 이용한 식의 값 구하기 - 세 문자인 경우
2aÛ`+2bÛ`=2cÛ`
∴ aÛ`+bÛ`=cÛ`
|전략| aÛ`+bÛ`+cÛ`+ab+bc+ca=
{(a+b)Û`+(b+c)Û`+(c+a)Û`}임을
;2!;
따라서 주어진 삼각형은 빗변의 길이가 c인 직각삼각형이다. ④
{(aÛ`+2ab+bÛ`)+(bÛ`+2bc+cÛ`)+(cÛ`+2ca+aÛ`)}
|전략| 다항식 A를 다항식 B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 나머지를 R라 하면
0093
유형 11 다항식의 나눗셈 - A=BQ+R
A=BQ+R이다. (단, ( R의 차수)<( B의 차수))
xÝ`+xÜ`+2xÛ`+x+2=A(xÛ`-1)+2x+5이므로
A(xÛ`-1)=xÝ`+xÜ`+2xÛ`+x+2-(2x+5)
②
∴ A=(xÝ`+xÜ`+2xÛ`-x-3)Ö(xÛ`-1)
=xÝ`+xÜ`+2xÛ`-x-3
xÛ`+x+3
xÛ`-1`<ÔxÝ`+xÜ`+2xÛ`-x-3
xÝ`-xÜ`-2xÛ`
xÝ`-xÜ`+3xÛ`-x
xÝ`-xÜ`+3xÛ`-x
xÝ`-xÜ`+3xÛ`-x-3
xÝ`-xÜ`+3xÛ`-x-3
xÝ`-xÜ`+3xÛ`-x-0
0094
유형 12 몫과 나머지의 변형
(4-1)을 곱하여 곱셈 공식 (a+b)(a-b)=aÛ`-bÛ`을
(4-1)=1
;3!;
∴ A=xÛ`+x+3
①
0089
;2!;
=
;2!;
;2!;
;2!;
;2!;
0090
;3!;
;3!;
;3!;
;3!;
이용한다.
aÛ`+bÛ`+cÛ`+ab+bc+ca
=
(2aÛ`+2bÛ`+2cÛ`+2ab+2bc+2ca)
=
{(a+b)Û`+(b+c)Û`+(c+a)Û`}
=
{(2-
3)Û`+(2+
3)Û`+3Û`}
'
'
'
'
=
(7-4
3+7+4
3+9)=
:ª2£:
유형 08 곱셈 공식을 이용한 수의 계산
|전략| 주어진 식에 ;3!;
이용한다.
(4+1)(4Û`+1)(4Ý`+1)(4¡`+1)
=
(4-1)(4+1)(4Û`+1)(4Ý`+1)(4¡`+1)
=
(4Û`-1)(4Û`+1)(4Ý`+1)(4¡`+1)
=
(4Ý`-1)(4Ý`+1)(4¡`+1)
=
(4¡`-1)(4¡`+1)
(416-1)=
=
;3!;
232-1
3
010 | I . 다항식
따라서 a=3, b=32이므로 a+b=35
③
때, f(x)를 ax+b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a!; Q(x), 나머지는 R이다.
|전략| 다항식 f(x)를 x+
;aB;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Q(x), 나머지를 R라 할
정답과 해설다.
0095
;3!;
f(x)=(ax+b)Q(x)+R=a
x+
Q(x)+R
{
;aB;}
0097
=
x+
´aQ(x)+R
{
;aB;}
따라서 f(x)를 x+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aQ(x), 나머지는 R이
;aB;
유형 05 곱셈 공식의 변형을 이용한 식의 값 구하기 - 두 문자인 경우
|전략| 먼저 곱셈 공식의 변형을 이용하여 aÛ`+bÛ`, xÛ`+yÛ`의 값을 구한다.
aÛ`+bÛ` =(a+b)Û`-2ab
=(-1)Û`-2´(-1)=3
④
xÛ`+yÛ` =(x-y)Û`+2xy
=3Û`+2´3=15
∴ (ax+by)(bx+ay)=abxÛ`+aÛ`xy+bÛ`xy+abyÛ`
=ab(xÛ`+yÛ`)+xy(aÛ`+bÛ`)
=(-1)´15+3´3=-6
유형 13 조립제법을 이용한 다항식의 나눗셈
|전략| 주어진 다항식을 x-
;3!;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를 조립제법을 이
용하여 구하고, 이를 변형하여 3x-1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를 구한다.
채점 기준
❶ aÛ`+bÛ`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❷ xÛ`+yÛ`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❸ (ax+by)(bx+ay)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
3
5 -11
2
1
2 -3
6 -9 -1
∴ 3xÜ`+5xÛ`-11x+2=
x-
(3xÛ`+6x-9)-1
0098
{
{
;3!;}
;3!;}
=
x-
´3(xÛ`+2x-3)-1
유형 09 곱셈 공식의 도형에의 응용
|전략| 직육면체의 세 모서리의 길이를 a, b, c라 하고 주어진 조건을 a, b, c에 대
=(3x-1)(xÛ`+2x-3)-1
한 식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QÁ(x)=3xÛ`+6x-9, RÁ=-1,
Qª(x)=xÛ`+2x-3, Rª=-1이므로
QÁ(x)Rª+Qª(x)RÁ
=(3xÛ`+6x-9)´(-1)+(xÛ`+2x-3)´(-1)
=-3xÛ`-6x+9-xÛ`-2x+3
=-4xÛ`-8x+12
ABÓ=a, BCÓ=b, BFÓ=c라 하면
직육면체의 겉넓이가 42이므로
2(ab+bc+ca)=42
∴ ab+bc+ca=21
△BGD의 세 변의 길이의 제곱의 합은 DBÓ
Û`+BGÓ
Û`+GDÓ
… ❶
Û`=44이므로
(aÛ`+bÛ`)+(bÛ`+cÛ`)+(cÛ`+aÛ`)=44
②
∴ aÛ`+bÛ`+cÛ`=22
이때, (a+b+c)Û`=aÛ`+bÛ`+cÛ`+2(ab+bc+ca)에서
(a+b+c)Û`=22+2´21=64
∴ a+b+c=8 (∵ a+b+c>0)
0096
따라서 직육면체의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은 4(a+b+c)이므로
유형 02 다항식의 전개식에서 특정항의 계수 구하기
4(a+b+c)=4´8=32
|전략| xÜ`항과 x항이 나오는 부분만 찾아 구한 계수가 각각 5, 4임을 이용하여 상
수 m, n의 값을 구한다.
(xÛ`+mx+2n)(2xÛ`-3x+n)의 전개식에서
xÜ`항은 xÛ`´(-3x)+mx´2xÛ`=(-3+2m)xÜ`
이때, xÜ`의 계수가 5이므로
-3+2m=5
∴ m=4
또, x항은 mx´n+2n´(-3x)=(mn-6n)x
이때, x의 계수가 4이므로
mn-6n=4, 4n-6n=4
∴ n=-2
∴ m-2n=4-2´(-2)=8
채점 기준
❶ xÜ`항에서 m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❷ x항에서 n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❸ m-2n의 값을 구할 수 있다.
… ❶
… ❷
… ❸
8
배점
2점
3점
1점
채점 기준
❶ ab+bc+c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❷ aÛ`+bÛ`+cÛ`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❸ a+b+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❹ 직육면체의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을 구할 수 있다.
0099
유형 06 곱셈 공식의 변형을 이용한 식의 값 구하기 - xÑ
;[!; 꼴을 포함한 경우
|전략| 양변을 x로 나누어 x+
;[!;의 값을 구한 후 곱셈 공식의 변형을 이용하여
식의 값을 구한다.
⑴ x+0이므로 xÛ`-4x+1=0의 양변을 x로 나누면
x-4+
=0
∴ x+
=4
;[!;
;[!;
1 다항식의 연산 | 011
… ❶
… ❷
… ❸
-6
배점
2점
2점
3점
… ❷
… ❸
… ❹
32
배점
2점
2점
2점
1점
1ㅡ다항식의 연산|전략| 다항식의 나눗셈은 각 다항식을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자연수의 나눗셈
abÛ`=75=3´5Û`이고, a, b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므로
⑵xÛ`+ 1
xÛ`
xÜ`+ 1
xÜ`
=
x+
{
;[!;}
Û`-2=4Û`-2=14
x+
=
{
;[!;}
Ü`-3
x+
{
;[!;}
=4Ü`-3´4=52
⑶ x+2xÛ`+3xÜ`+
2
=
x+
{
;[!;}+
xÛ` }
=4+2´14+3´52=188
{
+ 3
xÜ`
;[!;
+ 2
xÛ`
xÛ`+ 1
+3
{
xÜ`+ 1
xÜ` }
채점 기준
⑴ x+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⑵ xÛ`+ 1
xÛ`
, xÜ`+ 1
xÜ`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⑶ x+2xÛ`+3xÜ`+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 2
xÛ`
+ 3
xÜ`
;[!;
0100
유형 10 다항식의 나눗셈 - 몫과 나머지
+ 11 다항식의 나눗셈 - A=BQ+R
과 같은 방법으로 한다.
⑴ A=(x+1)(x+2)+3=xÛ`+3x+5
⑵ B=(x+1)(3x-1)+5=3xÛ`+2x+4
⑶xA+B =x(xÛ`+3x+5)+(3xÛ`+2x+4)
=xÜ`+3xÛ`+5x+3xÛ`+2x+4
=xÜ`+6xÛ`+7x+4
이므로
x+7
xÛ`-x+1`<ÔxÜ`+6xÛ`+7x+4
xÜ`-6xÛ`+6x
xÜ`+7xÛ`+6x+4
xÜ`+7xÛ`-7x+7
xÜ`+7xÛ`=13x-3
풀이 참조
0102
∴ (입체도형의 부피)
=(x+4)Ü`-{3xÛ`(x+4)-2xÜ`}
=xÜ`+12xÛ`+48x+64-(3xÜ`+12xÛ`-2xÜ`)
=48x+64
따라서 a=48, b=64이므로 a+b=112
②
참고 구멍 부분의 부피는 한 변의 길이가 x인 정사각형을 밑면으로 하고, 높이
가 x+4인 정사각기둥 3개의 부피에서 중복된 부분인 한 모서리의 길이가 x인
정육면체의 부피를 두 번 빼주어 구할 수 있다.
|전략| 처음 정육면체의 부피와 부피가 75인 직육면체의 부피를 각각 a, b에 대
한 식으로 나타낸다.
처음 정육면체의 부피는
(a+2b)Ü`=aÜ`+6aÛ`b+12abÛ`+8bÜ`
yy ㉠
이때, a, b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므로 ㉠에서 aÜ`, aÛ`b, abÛ`, bÜ`은 모두 다
른 값이다. 즉, ㉠에서 27개의 작은 직육면체 중 부피가 aÜ`인 것은 1
개, aÛ`b인 것은 6개, abÛ`인 것은 12개, bÜ`인 것은 8개이다.
따라서 부피가 75인 작은 직육면체는 12개이므로
abÛ`=75
a=3, b=5
∴ b-a=2
②
주의 75=75´1Û`에서 a0이므로 ac+bd=3
3
⑶ xA+B를 xÛ`-x+1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를 구할 수 있다.
|전략| 주어진 세 식을 변끼리 더하여 a+b+c, ab+bc+ca의 값을 구한 후 곱
a+3b=4ab, b+3c=4bc, c+3a=4ca를 변끼리 더하면
|전략| 정육면체의 부피에서 정육면체를 관통하는 구멍, 즉 3개의 정사각기둥의
부피를 빼서 주어진 입체도형의 부피를 구한다.
정육면체의 부피는 (x+4)Ü`
={(a+b+c)Û`-2(ab+bc+ca)}-(ab+bc+ca)
=(a+b+c)Û`-3(ab+bc+ca)
정육면체를 관통하는 구멍 한 개의 부피는 xÛ`(x+4)
=3Û`-3´3=0
0
지는 13x-3이다.
채점 기준
⑴ 다항식 A를 구할 수 있다.
⑵ 다항식 B를 구할 수 있다.
창의·융합 교과서 속 심화문제
0101
012 | I . 다항식
배점
3점
4점
3점
배점
4점
4점
4점
정답과 해설∴ (a+b)(b+c)(c+a)=2a´2a´2a=8aÜ``
ㅁ. 주어진 식의 좌변을 전개하여 정리하면
=8´2=16
(x+1)Û`+(x-1)=xÛ`+2x+1+x-1
④
0105
|전략| 곱셈 공식의 변형을 이용하여 a, b, c 사이의 관계식을 구한다.
(a+b+c)(aÛ`+bÛ`+cÛ`-ab-bc-ca)=aÜ`+bÜ`+cÜ`-3abc에서
(a+b+c)(aÛ`+bÛ`+cÛ`-ab-bc-ca)=6-3´2=0
그런데 a+b+c+0이므로
aÛ`+bÛ`+cÛ`-ab-bc-ca=0
즉,
{(a-b)Û`+(b-c)Û`+(c-a)Û`}=0이므로
;2!;
a-b=0, b-c=0, c-a=0
∴ a=b=c
이때, abc=2이므로 aÜ`=2
0106
라 하면
|전략| 세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a, b, c로 놓고,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a+b+c, ab+bc+ca의 값을 구한다.
세 정사각형 OABC, ODEF, OGHI의 한 변의 길이를 각각 a, b, c
△OCD=
absin30ù=
ab´
=
ab
;4!;
;2!;
;2!;
△OFG=
bcsin30ù=
bc´
=
bc
;4!;
;2!;
;2!;
△OIA=
casin30ù=
ca´
=
ca
;4!;
;2!;
;2!;
;2!;
;2!;
;2!;
∴ △OCD+△OFG+△OIA=
ab+
bc+
;4!;
;4!;
ca
;4!;
=
;4!;
(ab+bc+ca)
;4!;
이때, 세 삼각형의 넓이의 합이 20이므로
(ab+bc+ca)=20
∴ ab+bc+ca=80
또, 세 정사각형의 둘레의 길이의 합이 80이므로
4a+4b+4c=80
∴ a+b+c=20
따라서 세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은
aÛ`+bÛ`+cÛ` =(a+b+c)Û`-2(ab+bc+ca)
2 항등식과 나머지정리
본책 24~35쪽
개념 마스터
STEP1
0107
ㄴ. 주어진 식의 좌변을 전개하여 정리하면
3(x-1)+2=3x-1
이므로 x의 값에 관계없이 등식이 항상 성립한다.
=xÛ`+3x
이므로 x의 값에 관계없이 등식이 항상 성립한다.
따라서 항등식은 ㄴ, ㅁ이다.
ㄴ, ㅁ
0108
주어진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3=a+b, 1=b
∴ a=2, b=1
0109
ax+b(x-1)=(a+b)x-b이므로
(a+b)x-b=3x+1
이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b=3, -b=1
∴ a=4, b=-1
0110
주어진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1=1, a+b=0, c-2=1
∴ a=2, b=-2, c=3
a=2, b=1
a=4, b=-1
a=2, b=-2, c=3
=20Û`-2´80=240
240
삼각형 ABC에서 두 변의 길이가 각각 b, c이고 그 끼인각이 ∠A일 때, 삼각
각형 ABC의 넓이 S는 다음과 같다.
삼각형의 넓이
⑴ ∠A가 예각일 때
C
b
A
B
H
c
⑵ ∠A가 둔각일 때
C
b
H
A
c
B
S=
bcsinA
;2!;
S=
bcsin(180ù-A)
;2!;
0111
주어진 식의 우변을 전개하면
xÛ`+c(x+2)+1=xÛ`+cx+2c+1이므로
axÛ`-3x+b-1=xÛ`+cx+2c+1
이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1, -3=c, b-1=2c+1
∴ a=1, b=-4, c=-3
a=1, b=-4, c=-3
0112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0, x=1, x=2를 각각 대입하면
1=-c, 1=b, 3=2a+2b+c
∴ a=1, b=1, c=-1
a=1, b=1, c=-1
2 항등식과 나머지정리 | 013
2ㅡ항등식과 나머지 정리 ∴ a=-1, b=2, c=4
a=-1, b=2, c=4
xÜ`-ax+b=(xÛ`-x+1)f(x)+x+2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0121
|전략| 주어진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의 차수가 같아야 한다.
즉, f(x)가 x에 대한 일차식이어야 하므로 f(x)=x+c로 놓는다.
f(x)는 x에 대한 일차식이어야 한다.
이때, 좌변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f(x)=x+c로 놓으면
xÜ`-ax+b =(xÛ`-x+1)(x+c)+x+2
=xÜ`+(c-1)xÛ`+(2-c)x+c+2
정답과 해설
0113
주어진 등식이 x,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4=3, b-3=-1, c+1=5
0114
a(x+y)-b(x-y)+1=(a-b)x+(a+b)y+1이므로
(a-b)x+(a+b)y+1=3x-5y+c
이 식이 x,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b=3, a+b=-5, 1=c
∴ a=-1, b=-4, c=1
a=-1, b=-4, c=1
0115 ㈎ -
;aB; ㈏ ;aB;
0116
⑴ f(1)=1-2-3+5=1
⑵ f(-2)=-8-8+6+5=-5
0117
⑴ f(2)=16+4-1=19
Û`+2´
⑵ f
=4´
{;2!;}
{;2!;}
;2!;
-1=1+1-1=1
0118
f(x)=xÜ`-kxÛ`+3x-1로 놓으면 f(2)=5이므로
8-4k+6-1=5
∴ k=2
0119
f(x)=2xÜ`-3xÛ`+k로 놓으면 f(-2)=0이므로
-16-12+k=0
∴ k=28
2
28
p+q=0
채점 기준
|전략| 주어진 식의 좌변을 전개하여 정리한 후 양변의 동류항의 계수를 비교한
0124
주어진 식의 좌변을 전개하여 정리하면
(x+a)(bxÛ`-27x+9)=bxÜ`+(ab-27)xÛ`+(9-27a)x+9a
이므로 bxÜ`+(ab-27)xÛ`+(9-27a)x+9a=7xÜ`+cxÛ`-99x+36
이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b=7, ab-27=c, 9-27a=-99, 9a=36
유형 마스터
유형 마스터
STEP2
0120
다.
∴ a=4, b=7, c=1
∴ a+b+c=12
014 | I . 다항식
이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0=c-1, -a=2-c, b=c+2
∴ a=-1, b=3, c=1
∴ ab=-3
0122
ax+by+6
x+2y+2
=k (k는 상수)로 놓으면
ax+by+6=k(x+2y+2)
∴ (a-k)x+(b-2k)y+6-2k=0
이 식이 x,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0123
(x△p)+(3△x)=(y△q)+(2△1)에서
xp+x-p-yq+y+q-2=0
∴ (p+1)x-(q-1)y-(p-q+2)=0
이 식이 x,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p+1=0, q-1=0, p-q+2=0
따라서 p=-1, q=1이므로
❶ 주어진 등식을 x, y에 대하여 정리할 수 있다.
❷ p, q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❸ p+q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전략|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적당한 값을 대입한다.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1=-c
∴ c=1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2=2b
∴ b=1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2=2a
∴ a=-1
⑴ 1 ⑵ -5
a-k=0, b-2k=0, 6-2k=0
∴ k=3, a=3, b=6
∴ b-a=3
⑴ 19 ⑵ 1
(xp-x-p)+(3x-3-x)=(yq-y-q)+(2-2-1)
-3
3
… ❶
… ❷
… ❸
0
비율
50`%
30`%
20`%
12
∴ abc=-1
②
0125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또, ㉡에서 a(x-1)Û`+b(x-1)+c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a(x-1)+b, 나머지는 c이고, a(x-1)+b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
yy ㉠
은 a, 나머지는 b이다.
따라서 조립제법을 반복해서 시행하면 다음과 같다.
c=-4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2b+c=-2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3a+3b+c=2
㉠,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1, c=-4
∴ a+b+c=-2
다른 풀이 ax(x+2)+b(x+2)+c=axÛ`+(2a+b)x+2b+c이므로
axÛ`+(2a+b)x+2b+c=xÛ`+3x-2
이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1, 2a+b=3, 2b+c=-2
∴ a=1, b=1, c=-4
∴ a+b+c=-2
0126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0=1+a+b
∴ a+b=-1
양변에 x=
2, 즉 xÛ`=2를 대입하면
'
0=4+2a+b
∴ 2a+b=-4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2
∴ ab=-6
0127
|전략| 주어진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고, 좌변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이
를 이용하여 a의 값을 먼저 구한다.
xÜ`+2x-1=a(x-1)Ü`+b(x-1)Û`+c(x-1)+d가 x에 대한 항
등식이고 좌변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a=1
즉, xÜ`+2x-1=(x-1)Ü`+b(x-1)Û`+c(x-1)+d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2-1=d
∴ d=2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1=-1+b-c+2
즉, b-c=-2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8+4-1=1+b+c+2
즉, b+c=8
㉠, ㉡을 연립하여 풀면 b=3, c=5
∴ ad+bc=1´2+3´5=17
다른 풀이 f(x)=xÜ`+2x-1이라 하면
f(x)=a(x-1)Ü`+b(x-1)Û`+c(x-1)+d
yy ㉡
yy ㉢
-2
yy ㉠
yy ㉡
②
2 -1
1 -3
3 -2
=d
2
5
=c
0
1
1
1
2
1
3
=b
1
1
1
1
1
1
1
=
a
0128
∴ a=1, b=3, c=5, d=2
∴ ad+bc=17
|전략| 주어진 식을 k에 대하여 정리한 후 항등식의 성질을 이용한다.
주어진 등식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2x-y-3)k+(3x-y-2)=0
이 식이 k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2x-y-3=0, 3x-y-2=0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1, y=-5
∴ xy=5
5
0129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k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xkÛ`+3(-x+y)k-2x+z=2kÛ`-3
이 식이 k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x=2, -x+y=0, -2x+z=-3
따라서 x=2, y=2, z=1이므로
x+y+z=5
⑤
0130
|전략| 2x+y=1을 y에 대하여 정리한 후 주어진 식에 대입하여 항등식의 성질
을 이용한다.
2x+y=1에서 y=1-2x
yy ㉠
이것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2a+b)x-b(1-2x)+2=0
(2a+3b)x-(b-2)=0
yy ㉡
이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2a+3b=0, b-2=0
④
따라서 a=-3, b=2이므로 aÛ`-bÛ`=5
⑤
=(x-1){a(x-1)Û`+b(x-1)+c}+d
=(x-1)[(x-1){a(x-1)+b}+c]+d
yy㉠
yy㉡
0131
x-y=1에서 x=1+y
이것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에서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a(x-1)Û`+b(x-1)+c이
a(1+y)Û`+b(1+y)+yÛ`-2y(1+y)+cy+2=0
고 나머지는 d이다.
(a-1)yÛ`+(2a+b-2+c)y+a+b+2=0
2 항등식과 나머지정리 | 015
2ㅡ항등식과 나머지 정리 0132
|전략|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 x=-1을 각각 대입하고, 두 식을 더하여
이때, 나머지가 0이므로 ax+b+1=0
∴ a=0, b=-1
∴ ab=0
이 식이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1=0, 2a+b-2+c=0, a+b+2=0
∴ a=1, b=-3, c=3
∴ a+b+c=1
a¥+a¤+a¢+aª+a¼의 값을 구한다.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3+2)Ü`=a»+a¥+a¦+y+aÁ+a¼
yy ㉠
(-1+3+2)Ü`=-a»+a¥-a¦+y-aÁ+a¼
yy ㉡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을 하면
4Ü`=2(a¥+a¤+a¢+aª+a¼)
∴ a¥+a¤+a¢+aª+a¼=32
0133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2-1-1)Þ`=aÁ¼+a»+a¥+y+aÁ+a¼
yy ㉠
… ❶
(2+1-1)Þ`=aÁ¼-a»+a¥-y-aÁ+a¼
yy ㉡
… ❷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을 하면
-2Þ`=2(a»+a¦+y+aÁ)
∴ aÁ+a£+y+a»=-16
채점 기준
❶ aÁ¼+a»+a¥+y+a¼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❷ aÁ¼-a»+a¥-y+a¼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❸ aÁ+a£+y+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①
32
… ❸
-16
비율
40`%
40`%
20`%
다른 풀이
xÛ`+x+1
ax+b
x-1
<Ô xÜ` +
xÜ`+xÛ`+
-xÛ`+(a-1)x+b
ax-1
-xÛ`-
ax+b+1
ax
다항식 f(x)를 다항식 g(x)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나머지가 R(x)
이면
f(x)=g(x)Q(x)+R(x) (단, ( g(x)의 차수)>(R(x)의 차수))
이때, f(x)가 n차식, g(x)가 m차식이면 Q(x)는 (n-m)차식이고,
R(x)는 최대 (m-1)차식이다.
0136
xÜ`+axÛ`+b를 xÛ`-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x+c(c는 상수)라
하면
xÜ`+axÛ`+b =(xÛ`-x-2)(x+c)+x+2
=(x+1)(x-2)(x+c)+x+2
이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Ú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a+b=1
∴ a+b=2
Û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8+4a+b=4
∴ 4a+b=-4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4
∴ ab=-8
yy ㉠
yy ㉡
①
0134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22018+1=a2018+a2017+y+aÁ+a¼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2=a¼
∴ a2018+a2017+y+aÁ=22018+1-2=22018-1
0137
xÝ`+axÜ`+bxÛ`-x+2를 xÛ`+2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xÛ`+cx+d (c, d는 상수)라 하면
xÝ`+axÜ`+bxÛ`-x+2
=(xÛ`+2x+3)(xÛ`+cx+d)+3x+8
①
=xÝ`+(2+c)xÜ`+(d+2c+3)xÛ`+(2d+3c+3)x+3d+8
이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0135
|전략| xÜ`의 계수가 1인 삼차식을 xÛ`의 계수가 1인 이차식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
a=2+c, b=d+2c+3, -1=2d+3c+3, 2=3d+8
따라서 a=2, b=1, c=0, d=-2이므로
은 x의 계수가 1인 일차식이다.
b-a=-1
-1
xÜ`+ax+b를 xÛ`+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x+c(c는 상수)라 하면
xÜ`+ax+b =(xÛ`+x+1)(x+c)
=xÜ`+(c+1)xÛ`+(c+1)x+c
이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0=c+1, a=c+1, b=c
따라서 c=-1, a=0, b=-1이므로
ab=0
016 | I . 다항식
0138
|전략| 다항식 f(x)를 x-a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a)임을 이용한다.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3)=2, g(3)=-1
따라서 5f(x)+4g(x)를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5f(3)+4g(3)=5´2+4´(-1)=6
6
0
정답과 해설 f(x)=xÛ`+ax+b에서
f(2)=4+2a+b=2
∴ 2a+b=-2
f(-1)=1-a+b=-4
∴ -a+b=-5
④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4
∴ a+b=-3
yy㉠
yy㉡
③
따라서 (x+1)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0139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2)=8
3f(2)=3´8=24
0140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RÁ=f(a)=aÜ`+aÛ`+2a+1
Rª=f(-a)=-aÜ`+aÛ`-2a+1
이때, RÁ+Rª=6이므로
=2aÛ`+2=6
∴ aÛ`=2
0141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2)+g(2)=-1,{f(2)}Û`+{g(2)}Û`=13
f(2)=a, g(2)=b라 하면
a+b=-1, aÛ`+bÛ`=13
aÛ`+bÛ`=(a+b)Û`-2ab에서
13=(-1)Û`-2ab
∴ ab=-6
RÁ+Rª=(aÜ`+aÛ`+2a+1)+(-aÜ`+aÛ`-2a+1)
f(x)를 xÛ`-6x+8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따라서 f(x)를 x-aÛ`, 즉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x-2)(x-4)Q(x)+ax+b
f(2)=8+4+4+1=17
17
f(2)=2a+b=5
yy㉠, f(4)=4a+b=7
yy㉡
0145
|전략| 다항식 f(x)를 이차식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ax+b (a, b는 상수)
로 놓는다.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2)=5, f(4)=7
R(x)=ax+b`(a, b는 상수)라 하면
f(x)=(xÛ`-6x+8)Q(x)+R(x)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3
따라서 R(x)=x+3이므로 R(2)=5
5
0146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2f(1)=6, 5f(-1)=5
∴ f(1)=3, f(-1)=1
f(x)를 (x+1)(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ax+b`(a, b는 상수)라 하면
f(x)=(x+1)(x-1)Q(x)+ax+b
f(1)=a+b=3
yy㉠, f(-1)=-a+b=1
yy㉡
0147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2)=2, f(2)=-2
다항식 (xÛ`-x+1)f(x)를 xÛ`-4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
머지를 ax+b`(a, b는 상수)라 하면
(xÛ`-x+1)f(x)=(xÛ`-4)Q(x)+ax+b
=(x+2)(x-2)Q(x)+ax+b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7f(-2)=-2a+b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3f(2)=2a+b
∴ -2a+b=14
∴ 2a+b=-6
㉠, ㉡을 연립하여 풀면 a=-5, b=4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5x+4이다.
yy㉠
yy㉡
③
… ❶
… ❷
… ❸
… ❹
-5x+4
비율
30`%
30`%
30`%
10`%
2 항등식과 나머지정리 | 017
따라서 {`f(x)}Ü`+{ g(x)}Ü`을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2)}Ü`+{ g(2)}Ü``=aÜ`+bÜ`=(a+b)Ü`-3ab(a+b)
=(-1)Ü`-3´(-6)´(-1)=-19 -19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2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x+2이다.
0142
|전략| 다항식 f(x)를 x-a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a)임을 이용하여 a,
b의 값을 구한다.
f(x)=axÜ`+2xÛ`+bx-4라 하면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1)=7, f(-2)=4이므로
f(1)=a+2+b-4=7
∴ a+b=9
f(-2)=-8a+8-2b-4=4
∴ 4a+b=0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12
∴ ab=-36
yy㉠
yy㉡
-36
0143
f(x)=xÜ`+axÛ`-4x+5라 하면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2)=f(-1)이어야 하므로
f(2)=8+4a-8+5=4a+5,f(-1)=-1+a+4+5=a+8
즉, 4a+5=a+8에서 3a=3
∴ a=1
④
채점 기준
0144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3f(2)=6, -3f(-1)=12
∴ f(2)=2, f(-1)=-4
❶ f(-2), f(2)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❷ x에 대한 항등식을 세울 수 있다.
❸ a,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❹ (xÛ`-x+1)f(x)를 xÛ`-4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구할 수 있다.
2ㅡ항등식과 나머지 정리 0148
f(x)를 xÛ`+2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Á(x)라 하면
xà`+xÞ`+xÜ`+x=(xÜ`-x)Q(x)+axÛ`+bx+c
=x(x+1)(x-1)Q(x)+axÛ`+bx+c yy㉠
f(x)를 xÛ`+x-6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 ㉢을 연립하여 풀면 a=0, b=4
f(x)를 (xÛ`-1)(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즉, (a-2)xÛ`+(b-1)x+c=(a-2)(xÛ`+x+1)+2x-4
f(x)를 xÛ`-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ª(x)라 하면
f(x)=(xÛ`+2x-3)QÁ(x)+2x+5
=(x+3)(x-1)QÁ(x)+2x+5
∴ f(-3)=-1
f(x)=(xÛ`-x-2)Qª(x)+3x-2
=(x+1)(x-2)Qª(x)+3x-2
∴ f(2)=4
R(x)=ax+b`(a, b는 상수)라 하면
f(x)=(xÛ`+x-6)Q(x)+R(x)
=(x+3)(x-2)Q(x)+ax+b
f(-3)=-3a+b=-1
f(2)=2a+b=4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2
따라서 R(x)=x+2이므로 R(-1)=1
0149
|전략| 다항식 f(x)를 삼차식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axÛ`+bx+c (a, b, c는 상수)로 놓는다.
R(x)=axÛ`+bx+c (a, b, c는 상수)라 하면
f(x)=(xÛ`-1)(x+2)Q(x)+axÛ`+bx+c
이때, f(x)를 xÛ`-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3x-1이므로
axÛ`+bx+c를 xÛ`-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도 3x-1이다.
즉, axÛ`+bx+c=a(xÛ`-1)+3x-1
∴ f(x)=(xÛ`-1)(x+2)Q(x)+a(xÛ`-1)+3x-1 yy㉠
또,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2이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2)=2
㉠에서 f(-2)=3a-7=2이므로 a=3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R(x)=3(xÛ`-1)+3x-1=3xÛ`+3x-4
3xÛ`+3x-4
axÛ`+bx+c를 xÛ`-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3x-1이 되는지 확인해
이차식이므로 xÛ`-1로
나누어진다.
보자.
f(x)=(xÛ`-1)(x+2)Q(x)+axÛ`+bx+c
=(xÛ`-1)(x+2)Q(x)+a(xÛ`-1)+R(x)
=(xÛ`-1){(x+2)Q(x)+a}+3x-1
f(x)를 xÛ`-1로 나누었을 때의 몫
=(xÛ`-1)(x+2)Q(x)+a(xÛ`-1)+3x-1
∴ axÛ`+bx+c=a(xÛ`-1)+3x-1
0150
xà`+xÞ`+xÜ`+x를 xÜ`-x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R(x)=axÛ`+bx+c`(a, b, c는 상수)라 하면
018 | I . 다항식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0=c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1-1-1=a-b+c
c=0이므로 a-b=-4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1+1+1=a+b+c
c=0이므로 a+b=4
따라서 R(x)=4x이므로 R(2)=8
yy㉡
yy㉢
8
yy㉠
yy㉡
yy㉠
yy㉡
1
라 하면
0151
f(x)+2xÛ`+x를 (xÛ`+x+1)(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f(x)+2xÛ`+x=(xÛ`+x+1)(x-1)Q(x)+axÛ`+bx+c
∴ f(x)=(xÛ`+x+1)(x-1)Q(x)+(a-2)xÛ`+(b-1)x+c
이때, f(x)를 xÛ`+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2x-4이므로
(a-2)xÛ`+(b-1)x+c를 xÛ`+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도
2x-4이다.
∴ f(x)=(xÛ`+x+1)(x-1)Q(x)+(a-2)(xÛ`+x+1)+2x-4
또,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1이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1)=1
㉡에서 f(1)=3(a-2)-2=1이므로 a=3
이것을 ㉠에 대입하면
xÛ`+(b-1)x+c=xÛ`+x+1+2x-4
=xÛ`+3x-3
이므로
b-1=3, c=-3
∴ b=4, c=-3
∴ a+2b+3c=3+2´4+3´(-3)=2
2
0152
|전략| 다항식 f(ax+b)를 x-a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aa+b)임을
f(x+1)을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이용한다.
f(1+1)=f(2)
f(x)를 xÛ`-4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f(x)=(xÛ`-4)Q(x)-4x+3
=(x+2)(x-2)Q(x)-4x+3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f(2)=-4´2+3=-5
①
정답과 해설0153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25, x-2로 나누었을 때의
0157
f(x)=x2018+x2017-x라 하면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나머지가 18이므로
f(1)=25, f(2)=18
Q(x), 나머지는 f(1)=1이므로
f(x)=(x-1)Q(x)+1
yy㉠
따라서 f(2x-5)+f(x-1)을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Q(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Q(-1)이므로 ㉠의 양변
f(2´3-5)+f(3-1)=f(1)+f(2)
에 x=-1을 대입하면
=25+18=43
43
f(-1)=-2Q(-1)+1
1-1-(-1)=-2Q(-1)+1,2Q(-1)=0
∴ Q(-1)=0
0
0154
f(x+2009)를 x+201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2011+2009)=f(-2)
∴ `f(-2)=-6
f(x+2011)을 x+2009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2009+2011)=f(2)
∴ ` f(2)=6
이때, f(x)=xÛ`+ax+b에서
f(-2)=4-2a+b=-6
f(2)=4+2a+b=6
∴`-2a+b=-10, 2a+b=2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3, b=-4
∴`ab=-12
0155
f(x)+g(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7이므로
f(-2)+g(-2)=7
f(x)-g(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3이므로
f(-2)-g(-2)=3
㉠, ㉡을 연립하여 풀면 f(-2)=5, g(-2)=2
따라서 xf
x
를 x+4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
{;2!;
yy㉠
yy㉡
0156
|전략| 다항식 f(x)를 x-a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나머지가 R이면
f(x)=(x-a)Q(x)+R임을 이용한다.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나머지가 2이므로
f(x)=(x-1)Q(x)+2
yy㉠
또, Q(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나머지가 3
0158
f(x)를 xÛ`+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나머지가 2x-5이
f(x)=(xÛ`+x+1)Q(x)+2x-5
yy㉠
또, Q(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나머지가 4
므로
이므로
Q(x)=(x-1)Q'(x)+4
㉡을 ㉠에 대입하면
=(xÜ`-1)Q'(x)+4xÛ`+6x-1
따라서 R(x)=4xÛ`+6x-1이므로
R(-1)=4-6-1=-3
yy㉡
②
-12
f(x)=(xÛ`+x+1){(x-1)Q'(x)+4}+2x-5
0159
xÜ`-2xÛ`+mx-4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R라 하면
xÜ`-2xÛ`+mx-4=(x-1)Q(x)+R
또, Q(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나머지가
-5이므로
∴ xÜ`-2xÛ`+mx-4=(x-1){(x+1)Q'(x)-5}+R
=(x-1)(x+1)Q'(x)-5(x-1)+R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m-5=R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m-7=10+R
㉠, ㉡을 연립하여 풀면 m=-6, R=-11
yy㉠
yy㉡
-6
-4f
´(-4)
}
{;2!;
=-4f(-2)=-4´5=-20
-20
Q(x)=(x+1)Q'(x)-5
이므로
Q(x)=(x-2)Q'(x)+3
㉡을 ㉠에 대입하면
f(x)=(x-1){(x-2)Q'(x)+3}+2
=(x-1)(x-2)Q'(x)+3x-1
이때, f(2)=5이므로 x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2f(2)=2´5=10
0160
|전략| x=1000이라 하면 x-2=998이므로 x11을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
yy㉡
머지를 이용한다.
f(x)=x11이라 할 때,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2)=211이므로 몫을 Q(x)라 하면
x11=(x-2)Q(x)+211
위의 식의 양변에 x=1000을 대입하면
100011=998Q(1000)+211
10
2 항등식과 나머지정리 | 019
2ㅡ항등식과 나머지 정리 이때, 100011을 998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r라 하면 0Ér<998
이므로
100011 =998Q(1000)+211
=998{Q(1000)+2}+52
0164
f(x-1)f(x+1)이 x-1로 나누어떨어지므로
f(1-1)f(1+1)=0, 즉 f(0)f(2)=0
∴ f(0)=0 또는 f(2)=0
따라서 100011을 998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52이다.
②
이때, f(x)=xÜ`+xÛ`-ax+2에 대하여 f(0)=2이므로 f(2)=0
자연수 a를 자연수 b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 나머지를 r라 하면
자연수의 나눗셈
a=bq+r(0Ér0이므로a=1,b=1,c=-4,d=1
∴ad-bc=1´1-1´(-4)=5
0239
[a,b]+[b,c]+[c,a]
5
xÝ`-4xÜ`+5xÛ`-4x+1=xÛ`
{
x+
;[!;
x+
-3
;[!;
}
}{
xÝ`-4xÜ`+5xÛ`-4x+1=(xÛ`-x+1)(xÛ`-3x+1)
④
0240
주어진식을a에대한내림차순으로정리한후인수분해하면
0235
xÝ`-4xÜ`+5xÛ`-4x+1=xÛ`
{
xÛ`-4x+5-
+
;[$;
1
xÛ` }
xÝ`-4xÜ`+5xÛ`-4x+1=xÛ`
xÛ`+
-4
x+
{
;[!;}
+5
]
xÝ`-4xÜ`+5xÛ`-4x+1=xÛ`
x+
-4
x+
{
;[!;}
+3
]
[
[{
1
xÛ`
;[!;}
2`
-1
0236
xÝ`-2xÜ`-5xÛ`+2x+1=xÛ`
{
xÛ`-2x-5+
+
;[@;
1
xÛ` }
xÝ`-2xÜ`-5xÛ`+2x+1=xÛ`
xÛ`+
-2
x-
{
-5
]
;[!;}
1
xÛ`
[
xÝ`-2xÜ`-5xÛ`+2x+1=xÛ`
x-
`-2
x-
[{
;[!;}
{
-3
]
;[!;}
xÝ`-2xÜ`-5xÛ`+2x+1=xÛ`
{
x-
;[!;
+1
}{
x-
;[!;
-3
}
xÝ`-2xÜ`-5xÛ`+2x+1=(xÛ`+x-1)(xÛ`-3x-1)
④
0237
|전략| 주어진 식을 전개한 후 한 문자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다.
주어진식을a에대한내림차순으로정리한후인수분해하면
aÛ`(b-c)+bÛ`(c-a)+cÛ`(a-b)
=(b-c)aÛ`-(bÛ`-cÛ`)a+bÛ`c-bcÛ`
=(b-c)aÛ`-(b-c)(b+c)a+bc(b-c)
=(b-c){aÛ`-(b+c)a+bc}
=(b-c)(a-b)(a-c)
=-(a-b)(b-c)(c-a)
참고 b나 c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해해도 그 결과는 같다.
③
=ab(a-b)+bc(b-c)+ca(c-a)
=aÛ`b-abÛ`+bc(b-c)+cÛ`a-caÛ`
=(b-c)aÛ`-(bÛ`-cÛ`)a+bc(b-c)
=(b-c)aÛ`-(b+c)(b-c)a+bc(b-c)
=(b-c){aÛ`-(b+c)a+bc}
=(b-c)(a-b)(a-c)
따라서주어진식의인수인것은③이다.
③
(a+b)(b+c)(c+a)+abc
=(ab+ac+bÛ`+bc)(c+a)+abc
=abc+aÛ`b+acÛ`+aÛ`c+bÛ`c+bÛ`a+bcÛ`+abc+abc
=(b+c)aÛ`+(bÛ`+cÛ`+3bc)a+bc(b+c)
={(b+c)a+bc}(a+b+c)
=(ab+bc+ca)(a+b+c)
따라서주어진다항식의인수인것은④이다.
④
다른 풀이 a+b+c=t로 놓으면
a+b=t-c, b+c=t-a, c+a=t-b이므로
(a+b)(b+c)(c+a)+abc
=(t-c)(t-a)(t-b)+abc
=tÜ`-(a+b+c)tÛ`+(ab+bc+ca)t
=(ab+bc+ca)t`(∵ a+b+c=t)
=(a+b+c)(ab+bc+ca)
0241
|전략| 주어진 식을 인수분해한 후 조건을 대입하여 식을 간단히 한다.
ab+c=1에서c=1-ab,ab=1-c
∴2ab-aÛ`b-abÛ`-abc=2ab-aÛ`b-abÛ`-ab(1-ab)
=ab(2-a-b-1+ab)
=ab(1-a-b+ab)
=ab(1-a)(1-b)
=(1-c)(1-a)(1-b)
=(1-a)(1-b)(1-c)
④
0238
주어진식을a에대한내림차순으로정리한후인수분해하면
aÛ`(b+c)+bÛ`(c+a)+cÛ`(a+b)+2abc
=aÛ`(b+c)+bÛ`c+bÛ`a+cÛ`a+cÛ`b+2abc
=(b+c)aÛ`+(bÛ`+cÛ`+2bc)a+bÛ`c+cÛ`b
=(b+c)aÛ`+(b+c)Û`a+bc(b+c)
=(b+c){aÛ`+(b+c)a+bc}
=(b+c)(a+b)(a+c)
=(a+b)(b+c)(c+a)
0242
a+b+c=0에서a=-(b+c)
∴2aÛ`+bc=2{-(b+c)}Û`+bc
∴2aÛ`+bc=2bÛ`+5bc+2cÛ`
∴2aÛ`+bc=(2b+c)(b+2c)
∴2aÛ`+bc=(b+b+c)(b+c+c)
∴2aÛ`+bc=(b-a)(c-a)(∵b+c=-a)
(a+b)(b+c)(c+a)
∴2aÛ`+bc=(a-b)(a-c)
④
3 인수분해 | 029
3ㅡ인수분해2
0243
주어진식을x에대한내림차순으로정리한후인수분해하면
다른 풀이 xÝ`+axÛ`+b가 (x-1)Û`을 인수로 가지므로
xÝ`+axÛ`+b=(x-1)Û`Q(x) 꼴로 나타낼 수 있다.
조립제법에 의하여
1
1
1
1
1
0
1
a
1
1 a+1
1
2
0 1
a+1
b11
a+1a
a+1 a+b+1
a+3
2 a+3
2a+4
⑤
이때, 나머지가 모두 0이므로
`a+b+1=0, 2a+4=0
∴ a=-2, b=1
∴ b-a=3
2xÛ`+xy-yÛ`-7x-y+6
=2xÛ`+(y-7)x-(yÛ`+y-6)
=2xÛ`+(y-7)x-(y+3)(y-2)
={x+(y-2)}{2x-(y+3)}
=(x+y-2)(2x-y-3)
이때,x-y-2=0에서x-2=y,y+2=x
∴(주어진식)=(y+y){2(y+2)-y-3}
=2y(y+1)
다른 풀이 x-y-2=0에서 y=x-2
∴ 2xÛ`+xy-yÛ`-7x-y+6
∴ =2xÛ`+x(x-2)-(x-2)Û`-7x-(x-2)+6
∴ =2xÛ`+xÛ`-2x-xÛ`+4x-4-7x-x+2+6
∴ =2xÛ`-6x+4=2(xÛ`-3x+2)
∴ =2(x-1)(x-2)
∴ =2y(y+1) (∵ x=y+2)
0246
f(x)=2xÜ`+5xÛ`-ax-3이라하면 f(x)가x-1을인수로가지므
로
f(1)=2+5-a-3=0
따라서 f(x)=2xÜ`+5xÛ`-4x-3이므 1
로조립제법을이용하여인수분해하면
∴ a=4
f(x)=(x-1)(2xÛ`+7x+3)
f(x)=(x-1)(x+3)(2x+1)
따라서b=1이므로a+b=5
2
2
5 -4 -3
7 -3
2
7
3 -0
③
다른 풀이 2xÜ`+5xÛ`-ax-3=(x+3)(x-1)(2x+b)에서
2xÜ`+5xÛ`-ax-3=(xÛ`+2x-3)(2x+b)
=2xÜ`+(4+b)xÛ`-(6-2b)x-3b
0244
주어진식을z에대한내림차순으로정리한후인수분해하면
xyz+xÛ`y-xy+x+z-1
=(xy+1)z+(xÛ`y-xy+x-1)
=(xy+1)z+{xy(x-1)+(x-1)}
=(xy+1)z+(x-1)(xy+1)
=(xy+1)(z+x-1)
이때,x+y+z=1에서x+z=1-y
∴(주어진식)=(xy+1)(1-y-1)
=-y(xy+1)
이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5=4+b, a=6-2b, 3=3b
∴ b=1, a=4
∴ a+b=5
⑤
0247
P(x)=xÝ`-xÜ`+3xÛ`+ax+b라하면P(x)가x+1,x-1을인수
0245
|전략| xÝ`+axÛ`+b=(x-1)Û`Q(x)로 놓으면 이 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주어진 식에 x=1을 두 번 대입하여 상수 a, b의 값을 구한다.
로가지므로
P(-1)=1+1+3-a+b=0
f(x)=xÝ`+axÛ`+b라하면 f(x)가(x-1)Û`을인수로가지므로
∴-a+b=-5
f(1)=1+a+b=0
∴b=-a-1
P(1)=1-1+3+a+b=0
yy`㉠
∴a+b=-3
따라서 f(x)=xÝ`+axÛ`-a-1이므로조립제법을이용하여인수분
㉠,㉡을연립하여풀면a=1,b=-4
……㉠
……㉡
따라서P(x)=xÝ`-xÜ`+3xÛ`+x-4이므로조립제법을이용하여인
수분해하면
-1
1 -1
-1
3
2 1-5
1 -4
4
-1
1 -2
5 -4
4
1 -1
0
1 -1
4 -0
∴P(x)=(x+1)(x-1)(xÛ`-x+4)
∴f(x)=xÛ`-x+4
③
∴2a-b+f(1)=2-(-4)+4=10
10
해하면
1
1
1
1
1
0
1
a
1
0 1 -a-1
a+1
a+1
0 1
1 a+1
1
2
a+1
a+3
2 a+3 2a+4
f(x)가(x-1)Û`을인수로가지므로
2a+4=0
∴ a=-2
a=-2를㉠에대입하면b=1
∴b-a=3
030 | I. 다항식
정답과 해설aÜ`+aÛ`b-acÛ`+abÛ`+bÜ`-bcÛ`
=-(a+b)cÛ`+aÜ`+aÛ`b+abÛ`+bÜ`
=-(a+b)cÛ`+aÛ`(a+b)+bÛ`(a+b)
=(a+b)(aÛ`+bÛ`-cÛ`)
즉,(a+b)(aÛ`+bÛ`-cÛ`)=0에서
a>0,b>0이므로a+b+0
∴aÛ`+bÛ`-cÛ`=0
∴ aÛ`+bÛ`=cÛ`
삼각형이다.
0249
주어진식의좌변을인수분해하면
aÜ`+bÜ`+cÜ`-3abc
=(a+b+c)(aÛ`+bÛ`+cÛ`-ab-bc-ca)
a>0,b>0,c>0이므로a+b+c+0
∴(a-b)Û`+(b-c)Û`+(c-a)Û`=0
∴a=b=c
채점 기준
❶ 주어진 식의 좌변을 인수분해 할 수 있다.
❷ a, b, c 사이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다.
❸ 주어진 삼각형의 모양을 판단할 수 있다.
aÛ`(b-c)-bÛ`(a+c)-cÛ`(a-b)+2abc
=(b-c)aÛ`-(bÛ`+cÛ`-2bc)a-bÛ`c+bcÛ`
=(b-c)aÛ`-(b-c)Û`a-bc(b-c)
=(b-c){aÛ`-(b-c)a-bc}
=(b-c)(a-b)(a+c)
즉,(b-c)(a-b)(a+c)=0에서
a>0,c>0이므로a+c+0
∴b-c=0또는a-b=0
∴a=b또는b=c
0248
|전략|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여 a, b, c 사이의 관계식을 구한다.
aÜ`+bÜ`+cÜ`-3abc
aÜ`+bÜ`+cÜ`=3abc에서aÜ`+bÜ`+cÜ`-3abc=0이므로
주어진식의좌변을c에대한내림차순으로정리한후인수분해하면
=(a+b+c)(aÛ`+bÛ`+cÛ`-ab-bc-ca)
따라서주어진조건을만족시키는삼각형은빗변의길이가c인직각
0252
=
(a+b+c){(a-b)Û`+(b-c)Û`+(c-a)Û`}=0
;2!;
그런데a>0,b>0,c>0에서a+b+c+0이므로
(a-b)Û`+(b-c)Û`+(c-a)Û`=0
∴ a=b=c
∴
;aB;
+ 2c
b
+ 3a
c
=1+2+3=6
6
⑤
aÜ`+bÜ`+aÛ`b+abÛ`=(aÜ`+aÛ`b)+(bÜ`+abÛ`)
aÜ`+bÜ`+aÛ`b+abÛ`=aÛ`(a+b)+bÛ`(a+b)
aÜ`+bÜ`+aÛ`b+abÛ`=(a+b)(aÛ`+bÛ`)
aÜ`+bÜ`+aÛ`b+abÛ`=(a+b){(a+b)Û`-2ab}
aÜ`+bÜ`+aÛ`b+abÛ`=3(3Û`-2´2)=15
15
=(a+b+c)´
{(a-b)Û`+(b-c)Û`+(c-a)Û`}
… ❶
;2!;
0253
a-b=3 ……㉠,b-c=1 ……㉡
즉,(a+b+c){(a-b)Û`+(b-c)Û`+(c-a)Û`}=0에서
㉠+㉡에서a-c=4,즉c-a=-4
따라서주어진조건을만족시키는삼각형은정삼각형이다. … ❸
=(-b+c)aÛ`+(b+c)(b-c)a-bc(b-c)
주어진식을a에대한내림차순으로정리한후인수분해하면
abÛ`-aÛ`b+bcÛ`-bÛ`c+caÛ`-cÛ`a
… ❷
=(-b+c)aÛ`+(bÛ`-cÛ`)a-bÛ`c+bcÛ`
0250
주어진식의좌변을a에대한내림차순으로정리한후인수분해하면
정삼각형
=(b-c){-aÛ`+(b+c)a-bc}
=-(b-c)(a-b)(a-c)
=(a-b)(b-c)(c-a)
=3´1´(-4)=-12
비율
40 %
40 %
20 %
0254
a+b+c=0에서b+c=-a,c+a=-b,a+b=-c이므로
aÛ`(b+c)+bÛ`(c+a)+cÛ`(a+b)=-aÜ`-bÜ`-cÜ`
한편,aÜ`+bÜ`+cÜ`-3abc=(a+b+c)(aÛ`+bÛ`+cÛ`-ab-bc-ca)
에서a+b+c=0이므로aÜ`+bÜ`+cÜ`-3abc=0
∴aÜ`+bÜ`+cÜ`=3abc=3´(-3)=-9
∴(주어진식)=-(aÜ`+bÜ`+cÜ`)=9
②
⑤
0255
|전략| 주어진 식을 적당히 변형하여 인수분해 공식 aÛ`-bÛ`=(a+b)(a-b)를
이용한다.
3Û`-5Û`+7Û`-9Û`+11Û`-13Û`+15Û`-17Û`
따라서보기중가능한삼각형은ㄱ,ㄴ이다.
③
=(3+5)(3-5)+(7+9)(7-9)+(11+13)(11-13)
0251
|전략| aÜ`+bÜ`+cÜ`=3abc에서 aÜ`+bÜ`+cÜ`-3abc=0이므로 이 등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한다.
=-2(8+16+24+32)
=-2´80=-160
+(15+17)(15-17)
=(-2)´8+(-2)´16+(-2)´24+(-2)´32
-160
3 인수분해 | 031
3ㅡ인수분해∴
50_51_52_53+1=2651
'Ä
④
xÛ`+8x=t로놓으면
정답과 해설
0256
9999=x로놓으면
9999Ü`+1
9998_9999+1
= xÜ`+1
(x-1)x+1
= (x+1)(xÛ`-x+1)
xÛ`-x+1
=x+1
=9999+1=10000
④
0257
50=n으로놓으면
50_51_52_53+1=n(n+1)(n+2)(n+3)+1
={n(n+3)}{(n+1)(n+2)}+1
=(nÛ`+3n)(nÛ`+3n+2)+1
=(nÛ`+3n)Û`+2(nÛ`+3n)+1
=(nÛ`+3n+1)Û`
=(50Û`+3´50+1)Û`=2651Û`
0258
f(x)=xÝ`+6xÜ`-24xÛ`+26x-9에 대하여 f(1)=0, f(-9)=0
이므로조립제법을이용하여인수분해하면
-1
-9
1
1
6 -24
1
26 -9
9
7 -17
7 -17
9
18 -9
-9
0
1 -2
1 -0
f(x)=(x-1)(x+9)(xÛ`-2x+1)
=(x-1)Ü`(x+9)
∴f(1.1)=(1.1-1)Ü`(1.1+9)
=0.1Ü`_10.1=0.0101
내신 마스터
내신 마스터
STEP3
0259
유형 01 공식을 이용한 인수분해
|전략| 공통인수를 묶어낸 후 인수분해 공식을 적용한다.
①(x-y)xÛ`-(x-y)yÛ`=(x-y)(xÛ`-yÛ`)
=(x-y)(x+y)(x-y)
=(x+y)(x-y)Û`
③27xÜ`-yÜ`=(3x-y)(9xÛ`+3xy+yÛ`)
따라서인수분해가잘못된것은③이다.
032 | I. 다항식
0260
유형 01 공식을 이용한 인수분해
|전략| 인수분해 공식 aÜ`-bÜ`=(a-b)(aÛ`+ab+bÛ`)을 이용한다.
(x-2y)Ü`-125yÜ`
=(x-2y)Ü`-(5y)Ü`
=(x-2y-5y){(x-2y)Û`+(x-2y)´5y+(5y)Û`}
=(x-7y)(xÛ`-4xy+4yÛ`+5xy-10yÛ`+25yÛ`)
=(x-7y)(xÛ`+xy+19yÛ`)
따라서주어진다항식의인수인것은⑤이다.
⑤
0261
인수분해한다.
유형 02 공통부분이 있는 식의 인수분해
|전략| 공통부분이 생기도록 적당히 두 일차식을 묶은 후 공통부분을 치환하여
(xÛ`+4x+3)(xÛ`+12x+35)+15
=(x+1)(x+3)(x+5)(x+7)+15
={(x+1)(x+7)}{(x+3)(x+5)}+15
=(xÛ`+8x+7)(xÛ`+8x+15)+15
(주어진식)=(t+7)(t+15)+15
(주어진식)=tÛ`+22t+120
(주어진식)=(t+12)(t+10)
(주어진식)=(xÛ`+8x+12)(xÛ`+8x+10)
(주어진식)=(x+2)(x+6)(xÛ`+8x+10)
따라서a=6,b=8,c=10이므로
a+b+c=24
④
유형 03 복이차식 (xÝ`+axÛ`+b 꼴)의 인수분해
|전략| 주어진 식에 4xÛ`yÛ`을 더하고 빼서 AÛ`-BÛ` 꼴로 변형하여 인수분해한
xÝ`+4yÝ`=xÝ`+4xÛ`yÛ`+4yÝ`-4xÛ`yÛ`
⑤
xÝ`+4yÛ`=(xÛ`+2yÛ`)Û`-(2xy)Û`
xÝ`+4yÛ`=(xÛ`+2xy+2yÛ`)(xÛ`-2xy+2yÛ`)
따라서a=2,b=2또는a=-2,b=2이므로
aÛ`+bÛ`=4+4=8
②
0262
다.
0263
유형 03 복이차식 (xÝ`+axÛ`+b 꼴)의 인수분해
|전략| xÝ`+5xÛ`+9는 xÛ`항을 적당히 분리하여 AÛ`-BÛ` 꼴로 변형한 후 인수분
해하고, xÝ`+2xÜ`+xÛ`-9는 공통인수 xÛ`을 묶어 인수분해 공식
aÛ`-bÛ`=(a+b)(a-b)를 이용한다.
xÝ`+5xÛ`+9=xÝ`+6xÛ`+9-xÛ`
xÝ`+5xÛ`+9=(xÛ`+3)Û`-xÛ`
③
xÝ`+5xÛ`+9=(xÛ`+x+3)(xÛ`-x+3)
xÝ`+2xÜ`+xÛ`-9=xÛ`(xÛ`+2x+1)-9
xÝ`+2xÜ`+xÛ`-9=xÛ`(x+1)Û`-3Û`
xÝ`+2xÜ`+xÛ`-9={x(x+1)+3}{x(x+1)-3}
xÝ`+2xÜ`+xÛ`-9=(xÛ`+x+3)(xÛ`+x-3)
따라서 두 다항식의 공통인 인수는 xÛ`+x+3이다.
③
=2(x+1)(3x+7)
이때, 주어진 직육면체의 밑면의 한 변의 길이는 x+1, 높이는 x+3
이므로 겉넓이는
2(x+1)Û`+4(x+1)(x+3)
=2(x+1){(x+1)+2(x+3)}
따라서 a=1, b=3, c=7이므로
a+b+c=11
④
유형 04 여러 개의 문자가 포함된 식의 인수분해
|전략| 주어진 식을 차수가 가장 낮은 문자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
⑴ (직육면체의 겉넓이)=2_(밑넓이)+(옆넓이)
⑵ (직육면체의 부피)=(밑넓이)_(높이)
주어진 식을 x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해하면
0264
수분해한다.
2xÛ`+xy-yÛ`+2x-7y-12
=2xÛ`+(y+2)x-(yÛ`+7y+12)
=2xÛ`+(y+2)x-(y+3)(y+4)
={x+(y+3)}{2x-(y+4)}
=(x+y+3)(2x-y-4)
따라서 두 인수의 합은
(x+y+3)+(2x-y-4)=3x-1
①
0265
유형 05 인수정리와 조립제법을 이용한 인수분해
|전략| 식의 값을 0으로 만드는 x의 값을 찾아 인수정리와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을 인수분해한다.
f(x)=2xÝ`+5xÜ`-8xÛ`-17x-6이라 하면 f(-1)=0, f(2)=0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1
-2
2
2
2
5 -8 -17 -6
6
-2 -3
11
0
3 -11 -6
6
14
4
7
3 -0
f(x) =(x+1)(x-2)(2xÛ`+7x+3)
=(x+1)(x-2)(2x+1)(x+3)
따라서 주어진 다항식의 인수인 것은 ②이다.
②
0266
유형 05 인수정리와 조립제법을 이용한 인수분해
|전략| (직육면체의 부피)=(밑넓이)_(높이)이므로 인수정리와 조립제법을 이
0267
유형 06 axÝ`+bxÜ`+cxÛ`+bx+a 꼴의 인수분해
|전략| 주어진 식을 xÛ`으로 묶어낸 후 xÛ`+
1
xÛ`
=
x-
{
;[!;}
`+2임을 이용한다.
xÝ`-xÜ`-4xÛ`+x+1
+ 1
xÛ` }
;[!;
=xÛ`
xÛ`-x-4+
{
xÛ`+ 1
xÛ`
[
=xÛ`
-
x-
{
;[!;}
-4
]
=xÛ`
x-
[{
;[!;}
-
x-
{
;[!;}
-2
]
=xÛ`
x-
{
;[!;
x-
-2
;[!;
}
}{
2`
+1
=(xÛ`+x-1)(xÛ`-2x-1)
따라서 주어진 다항식의 인수인 것은 ①이다.
①
0268
유형 07 순환하는 꼴의 다항식의 인수분해
|전략| 주어진 식을 전개한 후 한 문자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다.
주어진 식을 x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해하면
(x-y)Ü`+(y-z)Ü`+(z-x)Ü`
=(xÜ`-3xÛ`y+3xyÛ`-yÜ`)+(yÜ`-3yÛ`z+3yzÛ`-zÜ`)
+(zÜ`-3zÛ`x+3zxÛ`-xÜ`)
=-3xÛ`y+3xyÛ`-3yÛ`z+3yzÛ`-3zÛ`x+3zxÛ`
=-3(y-z)xÛ`+3(yÛ`-zÛ`)x-3yÛ`z+3yzÛ`
=-3(y-z)xÛ`+3(y+z)(y-z)x-3yz(y-z)
=-3(y-z){xÛ`-(y+z)x+yz}
=-3(y-z)(x-y)(x-z)
=3(x-y)(y-z)(z-x)
②
용하여 부피를 인수분해하고, 밑면의 한 변의 길이와 높이를 구한다.
다른 풀이 x-y=a, y-z=b, z-x=c로 놓으면
f(x)=xÜ`+5xÛ`+7x+3이라 하면 -1
1
a+b+c=0
5
3
7
-1 -4 -3
f(-1)=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
∴ (x-y)Ü`+(y-z)Ü`+(z-x)Ü`
1 -4
3 -0
∴ =aÜ`+bÜ`+cÜ`
하여 인수분해하면
f(x)=(x+1)(xÛ`+4x+3)
f(x)=(x+1)(x+1)(x+3)
f(x)=(x+1)Û`(x+3)
∴ =(a+b+c)(aÛ`+bÛ`+cÛ`-ab-bc-ca)+3abc
∴ =3abc (∵ a+b+c=0)
∴ =3(x-y)(y-z)(z-x)
3 인수분해 | 033
3ㅡ인수분해2
0269
유형 08 인수분해를 이용한 식의 변형 - 조건식이 주어진 경우
|전략| 조건식을 변형하여 주어진 식에 대입한 후 인수분해한다.
x-y+3z=0에서y=x+3z
∴xÛ`+yÛ`+3zx=xÛ`+(x+3z)Û`+3zx
∴xÛ`+yÛ`+3zx=x(x+3z)+(x+3z)Û`
∴xÛ`+yÛ`+3zx=(x+3z)(x+x+3z)
∴xÛ`+yÛ`+3zx=(x+3z)(2x+3z)
∴xÛ`+yÛ`+3zx=y(2x+3z)(∵ y=x+3z)
③
∴
∴
0272
∴
aÜ`+bÜ`+cÜ`
abc
-3= aÜ`+bÜ`+cÜ`-3abc
abc
-3= (a+b+c)(aÛ`+bÛ`+cÛ`-ab-bc-ca)
abc
-3=
2{12-(-4)}
4
=8
②
0270
유형 09 인수정리와 인수분해를 이용하여 미정계수 구하기
|전략| xÜ`-xÛ`+2f(x)=(x-1)(x+a)(x+b)로 놓고 이 식이 x에 대한 항
등식임을 이용한다.
f(x)=ax+b(a,b는상수)라하면
xÜ`-xÛ`+2f(x)=xÜ`-xÛ`+2(ax+b)
=xÜ`-xÛ`+2ax+2b
이식이x-1을인수로가지므로조립제법을이용하면
1
1 -1
1
2a 2b
20 2a
1
0
2a 2a+2b
이때,나머지가0이므로
2a+2b=0
∴ a+b=0
xÜ`-xÛ`+2ax+2b=(x-1)(xÛ`+2a)
따라서(x+a)(x+b)=xÛ`+2a이므로
그런데ab=-2이므로a=-1
이값을㉠에대입하면b=1
∴f(x)=-x+1
다른 풀이
xÜ`-xÛ`+2f(x)=(x-1)(x+a)(x+b)
xÜ`-xÛ`+2f(x)=(x-1){xÛ`+(a+b)x+ab}
2f(x)=-(a+b-ab)x-ab
2f(x)=-2x+2
∴ f(x)=-x+1
유형 12 인수분해를 이용한 수의 계산
|전략| 29를 문자로 치환한 후 인수분해 공식을 이용한다.
29=x로놓으면
29Ý`+29Û`+1
29Û`+29+1
= xÝ`+xÛ`+1
xÛ`+x+1
= (xÛ`+x+1)(xÛ`-x+1)
xÛ`+x+1
=xÛ`-x+1=xÛ`+2x+1-3x
=(x+1)Û`-3x
=(29+1)Û`-3´29
=30Û`-87
∴A=87
0273
유형 12 인수분해를 이용한 수의 계산
|전략| 인수분해 공식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을 인수분해하고, 10과 30 사이의 자
연수 중에서 3ß`-1의 인수를 찾는다.
yy㉠
3ß`-1=(3Ü`)Û`-1
=(3Ü`+1)(3Ü`-1)
=(3+1)(3Û`-3+1)(3-1)(3Û`+3+1)
따라서10과30사이에있는자연수중에서3ß`-1을나누어떨어지도
록하는자연수는13,14,26,28의4개이다.
②
②
0274
주어진식을x에대한내림차순으로정리하면
xÛ`-2xy+yÛ`+ax-4y-5
=xÛ`-(2y-a)x+yÛ`-4y-5
=xÛ`-(2y-a)x+(y+1)(y-5)
주어진식이x,y에대한일차식의곱으로인수분해되려면
-(y+1)-(y-5)=-2y+a
④
… ❶
… ❷
4
배점
4점
3점
0271
유형 11 인수분해를 이용한 식의 값 구하기
|전략| 먼저 인수분해 공식 aÛ`+bÛ`+cÛ`=(a+b+c)Û`-2(ab+bc+ca)를 이
용하여 ab+bc+ca의 값을 구한다.
∴a=4
채점 기준
aÛ`+bÛ`+cÛ`=(a+b+c)Û`-2(ab+bc+ca)에서
❶ 주어진 식을 x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할 수 있다.
12=2Û`-2(ab+bc+ca)
∴ ab+bc+ca=-4
❷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034 | I. 다항식
xÜ`-xÛ`+2f(x)=xÜ`+(a+b-1)xÛ`-(a+b-ab)x-ab
|전략| 주어진 식을 차수가 가장 낮은 문자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
즉, a+b-1=-1에서 a+b=0이고, ab=-2이므로
수분해한다.
유형 04 여러 개의 문자가 포함된 식의 인수분해
xÛ`+(a+b)x+ab=xÛ`+2a에서a+b=0,ab=2a
=4_7_2_13
정답과 해설0275
유형 05 인수정리와 조리제법을 이용한 인수분해
|전략| 인수정리와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을 인수분해하고, f(0)+0,
g(3)+0임을 이용하여 이차식 f(x), g(x)를 구한다.
xÝ`+xÜ`-8xÛ`-12x=x(xÜ`+xÛ`-8x-12)
h(x)=xÜ`+xÛ`-8x-12라하면 -2
1
h(-2)=0이므로조립제법을이용
하여인수분해하면
h(x)=(x+2)(xÛ`-x-6)
=(x+2)(x+2)(x-3)
=(x+2)Û`(x-3)
1 -8 -12
12
2
-2
1 -1 -6 -0
∴xÝ`+xÜ`-8xÛ`-12x=x(x+2)Û`(x-3)
… ❶
f(x),g(x)는각각이차식이고 f(0)+0,g(3)+0이므로 f(x)는
x를인수로갖지않고,g(x)는x-3을인수로갖지않는다.
즉, f(x)=(x+2)(x-3),g(x)=x(x+2)
∴g(1)=3
… ❷
… ❸
3
채점 기준
❶ 주어진 식을 인수분해할 수 있다.
❷ f(x), g(x)를 구할 수 있다.
❸ g(1)의 값을 구할 수 있다.
배점
3점
2점
1점
0276
유형 11 인수분해를 이용한 식의 값 구하기
|전략| x+y, xy의 값을 구하여 주어진 식을 인수분해한 식에 대입한다.
x=1+
3,y=1-
3에서
'
x+y=(1+
3)+(1-
3)=2
'
3)(1-
'
3)=-2
xy=(1+
'
'
'
∴x(yÛ`-2)+y(xÛ`-2)=xyÛ`-2x+yxÛ`-2y
∴x(yÛ`-2)+y(xÛ`-2)=(xyÛ`+xÛ`y)-(2x+2y)
∴x(yÛ`-2)+y(xÛ`-2)=xy(x+y)-2(x+y)
∴x(yÛ`-2)+y(xÛ`-2)=(x+y)(xy-2)
∴x(yÛ`-2)+y(xÛ`-2)=2(-2-2)=-8
❶ x+y, xy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❷ 주어진 식을 인수분해할 수 있다.
채점 기준
0277
⑵P(x)=xÝ`-3xÜ`+3xÛ`+3x-4이므로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
⑴P(-1)=1-a+b-3-4=0
⑴∴-a+b=6
⑴P(1)=1+a+b+3-4=0
⑴∴a+b=0
⑴㉠,㉡을연립하여풀면a=-3,b=3
수분해하면
-1
1 -3
-1
3
4 -7
3 -4
4
-1
1 -4
7 -4
4
1 -3
0
1 -3
4 -0
⑴∴P(x)=(x+1)(x-1)(xÛ`-3x+4)
⑴∴f(x)=xÛ`-3x+4
채점 기준
⑴ 상수 a,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⑵ f(x)를 구할 수 있다.
……㉠
……㉡
풀이 참조
배점
4점
6점
0278
면
유형 10 인수분해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모양 판단하기
|전략|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여 a, b, c 사이의 관계식을 구한다.
⑴주어진식의좌변을c에대한내림차순으로정리한후인수분해하
⑴aÝ`+aÛ`cÛ`+bÛ`cÛ`-bÝ`=(aÛ`+bÛ`)cÛ`+aÝ`-bÝ`
⑴aÝ`+aÛ`cÛ`+bÛ`cÛ`-bÝ`=(aÛ`+bÛ`)cÛ`+(aÛ`+bÛ`)(aÛ`-bÛ`)
… ❶
⑴aÝ`+aÛ`cÛ`+bÛ`cÛ`-bÝ`=(aÛ`+bÛ`)(cÛ`+aÛ`-bÛ`)
⑴즉,(aÛ`+bÛ`)(cÛ`+aÛ`-bÛ`)=0에서
⑴a>0,b>0이므로aÛ`+bÛ`+0
⑴∴cÛ`+aÛ`-bÛ`=0
∴ bÛ`=aÛ`+cÛ`
⑴따라서주어진조건을만족시키는삼각형은빗변의길이가b인직
⑵빗변의길이가b인직각삼각형의넓이는
ac이다.
;2!;
… ❷
… ❸
-8
배점
2점
3점
2점
각삼각형이다.
채점 기준
⑵ 삼각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풀이 참조
배점
8점
4점
❸ ❷의 식에 x+y, xy의 값을 대입하여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⑴ 주어진 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여 삼각형의 모양을 판단할 수 있다.
유형 09 인수정리와 인수분해를 이용하여 미정계수 구하기
|전략| xÝ`+axÜ`+bxÛ`+3x-4=(x+1)(x-1)f(x)는 x에 대한 항등식이
므로 주어진 식에 x=-1, x=1을 각각 대입하여 상수 a, b의 값을 구한다.
⑴P(x)=xÝ`+axÜ`+bxÛ`+3x-4라하면P(x)가x+1,x-1을
각각인수로가지므로
한다.
창의·융합 교과서 속 심화문제
0279
|전략| xÛ`+x-n=(x+a)(x-b) ( a, b는 자연수)를 만족하는 a, b의 값을 구
3 인수분해 | 035
3ㅡ인수분해fÇ(x)=xÛ`+x-n=(x+a)(x-b)(a,b는자연수)에서
xÛ`+x-n=xÛ`+(a-b)x-ab
0282
|전략| 다항식 f(x)가 x-c로 나누어떨어지면 f(c)=0임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을 인수분해한 다음 a, b, c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다.
이때,ab의값은1000이하인자연수이고,a-b=1인a,b의값을구
f(x)=xÜ`-(a+b)xÛ`-(aÛ`+bÛ`)x+aÜ`+bÜ`+aÛ`b+abÛ`이라하면
∴a-b=1,ab=n
해보면다음표와같다.
a
b
ab
2
1
2
3
2
6
4
3
12
y
y
y
31
30
32
31
930
992
따라서1000개의다항식중(x+a)(x-b)꼴로인수분해되는
fÇ(x)의개수는31이다.
③
f(c)=(c-a-b)(cÛ`-aÛ`-bÛ`)=0
다항식 f(x)가x-c로나누어떨어지므로
f(c)=cÜ`-(a+b)cÛ`-(aÛ`+bÛ`)c+aÜ`+bÜ`+aÛ`b+abÛ`
f(c)=cÜ`-(a+b)cÛ`-(aÛ`+bÛ`)c+aÛ`(a+b)+bÛ`(a+b)
f(c)=cÜ`-(a+b)cÛ`-(aÛ`+bÛ`)c+(aÛ`+bÛ`)(a+b)
f(c)=cÛ`{c-(a+b)}+(aÛ`+bÛ`){(a+b)-c}
f(c)=cÛ`(c-a-b)-(aÛ`+bÛ`)(c-a-b)
이때,a,b,c는삼각형의세변의길이이므로c+a+b
즉,cÛ`-aÛ`-bÛ`=0
∴ cÛ`=aÛ`+bÛ`
따라서주어진조건을만족시키는삼각형은빗변의길이가c인직각
삼각형이다.
빗변의 길이가 c인 직각삼각형
인수정리
다항식 `f(x)가 일차식 x-a로 나누어떨어지면 ⇨ f(a)=0
0283
|전략|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a, b, c, d, e, f 사이의 관계식을 구한다.
여덟개의정삼각형모양의면에적힌수의합을구하면
abc+acd+ade+aeb+fbc+fcd+fde+feb=105
a(bc+cd+de+eb)+f(bc+cd+de+eb)=105
(a+f){b(c+e)+d(c+e)}=105
(a+f)(b+d)(c+e)=105
이때,여섯개의꼭짓점에적힌수는모두자연수이고,105=3´5´7
a+b+c+d+e+f=3+5+7=15
15
0284
|전략| 15=A로 놓고 AÜ`+AÛ`-A+2를 인수분해한다.
A=15로놓으면
15Ü`+15Û`-15+2=AÜ`+AÛ`-A+2
f(A)=AÜ`+AÛ`-A+2라하면 -2
1
1 -1
-2
1 -1
2
2 -2
1 -0
0280
|전략| nÝ`-6nÛ`+25의 값이 소수이려면 인수는 1과 자기 자신뿐이어야 한다.
nÝ`-6nÛ`+25=nÝ`+10nÛ`+25-16nÛ`
nÝ`-6nÛ`+25=(nÛ`+5)Û`-(4n)Û`
nÝ`-6nÛ`+25=(nÛ`+4n+5)(nÛ`-4n+5)
이것이소수이므로
nÛ`+4n+5=1또는nÛ`-4n+5=1
이어야한다.즉,
nÛ`+4n+4=(n+2)Û`=0에서n=-2
nÛ`-4n+4=(n-2)Û`=0에서n=2
이때,nÝ`-6nÛ`+25=17로소수가되므로조건을만족시킨다.
따라서구하는정수n은-2,2의2개이다.
2
0281
|전략| 인수정리와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xÜ`+(a-1)xÛ`+(2-a)x-2를 인수
이므로
분해하고, 서로 다른 세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되도록 하는 상수 a의 값을 구
한다.
f(x)=xÜ`+(a-1)xÛ`+(2-a)x-2라하면 f(1)=0이므로조립
제법을이용하여인수분해하면
1
1
1
a-1
11
a1
2-a -2
a1 -2
21 -0
∴ f(x)=(x-1)(xÛ`+ax+2)
이때,xÛ`+ax+2=(x+p)(x+q)(p,q는정수)라하면
f(-2)=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
xÛ`+ax+2=xÛ`+(p+q)x+pq에서
a=p+q
yy㉠,2=pq
yy㉡
그런데㉡에서p=-1,q=-2또는p=-2,q=-1일때는
용하여인수분해하면
f(A)=(A+2)(AÛ`-A+1)
f(A)=(15+2)(15Û`-15+1)
A=15를 대입
f(x)=(x-1)Û`(x-2)가되어 f(x)가서로다른세일차식의곱으
f(A)=17_211=a_b
로인수분해된다는조건을만족하지않는다.
따라서p=1,q=2또는p=2,q=1이므로㉠에서
이때,a,b는자연수이고17과211은소수이므로
a=17,b=211또는a=211,b=17
3
∴a+b=228
228
a=1+2=3
036 | I. 다항식
정답과 해설4 복소수
본책 52~61쪽
0298
개념 마스터
STEP1
0285 실수부분 : 0, 허수부분 : 6
0286 실수부분 : -3, 허수부분 :
'
5
0287 실수부분 : ;2&;, 허수부분 : -
;2#;
0288 실수부분 : 2-
3, 허수부분 : 0
'
0289 ㄱ, ㄴ, ㅁ, ㅂ
0290
(x+2y)-4i=-1+2yi에서
x+2y=-1,2y=-4
∴x=3,y=-2
0291
(2x-y)+(x+3y)i=4-5i에서
2x-y=4,x+3y=-5
∴x=1,y=-2
0292
3+2iÓ=3-2i
0293
5Õ=5
0294
-3iÓ=3i
0295
4i-
'
0296
0297
(3+i)(2-i)=6-3i+2i-iÛ`=6-i-(-1)
=7-i
7-i
0299
1+i
1+3i
=
(1+i)(1-3i)
(1+3i)(1-3i)
= 1-3i+i-3iÛ`
1-9iÛ`
=
4-2i
10
=
-
i
;5!;
;5@;
;5@;
-
i
;5!;
0300
⑴xÛ`+yÛ`=(1+i)Û`+(1-i)Û`=2i-2i=0
⑵
+
=
;]!;
;[!;
+
1
1-i
=
1-i+1+i
(1+i)(1-i)
1
1+i
2
1-i Û`
⑵
+
=
;]!;
;[!;
=
=1
;2@;
다른 풀이 x=1+i, y=1-i이므로
x+y=(1+i)+(1-i)=2, xy=(1+i)(1-i)=2
⑴ xÛ`+yÛ`=(x+y)Û`-2xy=2Û`-2´2=0
⑴ 0 ⑵ 1
x=3, y=-2
⑵
+
=
1
x
1
y
x+y
xy
=
=1
;2@;
0301
i¡`=(iÝ`)Û``=1
x=1, y=-2
0302
(-i)Þ`=-iÞ`=-iÝ`´i=-i
3-2i
0303
i50=(iÝ`)12´iÛ`=1´(-1)=-1
5
0304
i100+i200=(iÝ`)25+(iÝ`)50=1+1=2
1
-i
-1
2
3i
'
4i
i
;5#;
4 복소수 | 037
2Ó=-
2+4iÓ=-
2-4i
'
'
-4i-
2
'
0306
-16=
6i=4i
1
'¶
'
(5-2i)+(3+4i)=(5+3)+(-2+4)i
=8+2i
8+2i
-18=-
8i=-3
1
2i
'
'
-3
2i
'
(2-i)-(-3+4i)=(2+3)+(-1-4)i
=5-5i
5-5i
-
=
®É;2»5;
i=
i
;5#;
;2»5;
®É
3i
0305
-3=
3i
'
'¶
0307
-
'¶
0308
4ㅡ복소수§
§
정답과 해설
0309
Ñ
'¶
-2=Ñ
2i
'
a의 제곱근
곱근이라 한다.
-16=Ñ
6i=Ñ4i
1
'
-12=
3i´
1
2i=
3
6iÛ`=-6
'
'
'
0310
Ñ
'¶
0311
-3
'¶
'Ä
0312
2
'
-3
'¶
2
3i
= '
'
= '
'
2i
3i Û`
6
=- '
3
i
0316
Ñ
2i
'
(1+2i)(2-
3i)Û`(2+
3i)Û`
'
'
=(1+2i){(2-
'
=(1+2i)(4+3)Û`
3i)(2+
3i)}Û`
'
실수 a에 대하여 제곱하여 a가 되는 수, 즉 xÛ`=a를 만족시키는 x를 a의 제
=49+98i
따라서a=49,b=98이므로
a-b=-49
-49
Ñ4i
-6
6
- '
3
i
0317
2-
2+
3i
3i
'
'
+
+
+
2+
2-
3i
3i
'
'
=
(2-
'
(2+
4-4
'
=
3i)Û`
'
3i)
'
3i)Û`+(2+
3i)(2-
'
3i-3+4+4
4+3
'
3i-3
=
;7@;
①
0318
(2+i)◎(4-i)=(2+i)+(4-i)-2(2+i)(4-i)
=6-2(8-2i+4i+1)
=6-18-4i
=-12-4i
따라서구하는허수부분은-4이다.
①
0319
|전략| x=a+bi (a, b는 실수)가 주어지고 x에 대한 식의 값을 구할 때에는
x-a=bi로 변형한 후 양변을 제곱하여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을 만든다.
x=
3+i
2
에서2x-3=i
유형 마스터
유형 마스터
STEP2
0313
①5-2i의실수부분은5이고,허수부분은-2이다.
②모든실수는복소수에포함되므로0도복소수이다.
③1+2i는순허수가아니다.
④a=2i,b=0이면a+bi=2i는순허수이다.
a가 실수라는 조건이 없으므로 허수일 수도 있다.
⑤
0314
|전략| 허수 중에서 실수부분이 0인 허수가 순허수이다.
허수는-i,1+3i,
2i,2-
i이고,이중순허수는-i,
2i이므로
양변을제곱하면4xÛ`-12x+9=-1
'
;4#;
'
보기중순허수가아닌허수는1+3i,2-
i의2개이다.
2
;4#;
4xÛ`-12x=-10
∴2xÛ`-6x=-5
∴6xÛ`-18x+14=3(2xÛ`-6x)+14
=3´(-5)+14=-1
-1
0315
|전략| 복소수의 곱셈은 i를 문자처럼 생각하여 전개한 후 iÛ`=-1임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복소수의 나눗셈은 분모, 분자에 분모의 켤레복소수를 곱하여 계산한
다.
(2+3i)(5-i)+
=10-2i+15i+3+
2(-3+2i)
1+i
2(-3+2i)(1-i)
(1+i)(1-i)
=13+13i+
2(-3+3i+2i+2)
2
=13+13i-1+5i
=12+18i
따라서a=12,b=18이므로
a+b=30
038 | II. 방정식과 부등식
038 | II. 방정식과 부등식
0320
a+b=(2+i)+(2-i)=4
ab=(2+i)(2-i)=5
∴
+
=
b
a
a
b
aÛ`+bÛ`
ab
=
(a+b)Û`-2ab
ab
∴ + =
4Û`-2´5
5
=
;5^;
다른 풀이
+
=
a
b
2-i
2+i
+
2+i
2-i
= (2-i)Û`+(2+i)Û`
(2+i)(2-i)
b
a
30
=
3-4i+3+4i
5
=
;5^;
;5^;
§
0321
|전략| 복소수 a+bi (a, b는 실수)가 순허수이면 a=0, b+0이다.
(1+i)xÛ`+(3-i)x+2(1-i)
=xÛ`+xÛ`i+3x-xi+2-2i
=(xÛ`+3x+2)+(xÛ`-x-2)i
이복소수가순허수가되려면
xÛ`+3x+2=0
yy㉠,xÛ`-x-2+0
yy㉡
㉠에서(x+1)(x+2)=0
∴ x=-1또는x=-2
㉡에서(x+1)(x-2)+0
∴ x+-1,x+2
따라서구하는x의값은x=-2
0322
z=i(x-2i)Û`=i(xÛ`-4xi-4)
=4x+(xÛ`-4)i
z가실수가되려면
xÛ`-4=0,(x+2)(x-2)=0
∴ x=-2또는x=2
이때,음수x의값이a이므로a=-2
또,x=-2를z=4x+(xÛ`-4)i에대입하면
z=-8,즉b=-8
∴a-b=-2-(-8)=6
채점 기준
❶ z를 (실수부분)+(허수부분) i로 나타낼 수 있다.
❷ a,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❸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0323
zÛ`이실수가되려면z는실수이거나순허수이어야한다.
z=a(1+i)-3(1-i)=(a-3)+(a+3)i에서
Úz가실수일때
a+3=0
∴ a=-3
Ûz가순허수일때
a-3=0이고a+3+0
∴ a=3
따라서모든실수a의값의합은-3+3=0
②
다른 풀이 zÛ`=(a-3)Û`+2(a-3)(a+3)i-(a+3)Û
zÛ`이 실수가 되려면
2(a-3)(a+3)=0
∴ a=-3 또는 a=3
따라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3+3=0
0324
z=aÛ`(1-2i)+a(1+i)-(2-i)
=aÛ`-2aÛ`i+a+ai-2+i
=(aÛ`+a-2)+(-2aÛ`+a+1)i
… ❶
… ❷
… ❸
6
비율
30`%
60`%
10`%
㉠에서(a+2)(a-1)=0
∴ a=-2또는a=1
㉡에서(2a+1)(a-1)+0
∴ a+-
,a+1
;2!;
따라서구하는a의값은a=-2
①
「복소수 z에 대하여 zÛ`이 음의 실수이면 z는 순허수이다.」를 설명하여 보자.
z=a+bi (a, b는 실수)라 하면
zÛ`=(a+bi)Û`=aÛ`-bÛ`+2abi
zÛ`이 음의 실수가 되려면
aÛ`-bÛ`<0 yy ㉠, 2ab=0 yy ㉡
-2
㉡에서 a=0 또는 b=0
이때, b=0이면 ㉠에서 aÛ`<0이 되어 성립하지 않는다. (∵ aÛ`¾0)
따라서 a=0이고 ㉠에서 -bÛ`<0이므로 b+0
즉, a=0, b+0이므로 z는 순허수이다.
0325
|전략| a+bi=c+di (a, b, c, d는 실수)이면 a=c, b=d이다.
= x(1-i)+y(1+i)
(1+i)(1-i)
= (x+y)+(-x+y)i
2
(1+2i)x+(2-i)y=-5+10i에서
x+2xi+2y-yi=-5+10i
(x+2y)+(2x-y)i=-5+10i
복소수가서로같을조건에의하여
x+2y=-5,2x-y=10
두식을연립하여풀면x=3,y=-4
∴x+y=-1
0326
x
1+i
즉,
+ y
1-i
+ -x+y
2
x+y
2
i=3-i이므로
(x+y)+(-x+y)i=6-2i
복소수가서로같을조건에의하여
x+y=6,-x+y=-2
두식을연립하여풀면x=4,y=2
∴xy=8
채점 기준
❶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실수부분)+(허수부분) i로 나타낼 수 있다.
❷ x, y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❸ xy의 값을 구할 수 있다.
0327
xÛ`+yÛ`i+x+yi-2-6i=0에서
(xÛ`+x-2)+(yÛ`+y-6)i=0
②
… ❶
… ❷
… ❸
8
비율
40`%
40`%
20`%
4 복소수 | 039
zÛ`이음의실수가되려면z는순허수이어야하므로
복소수가서로같을조건에의하여
aÛ`+a-2=0
yy㉠,-2aÛ`+a+1+0
yy㉡
xÛ`+x-2=0,yÛ`+y-6=0
4ㅡ복소수xÛ`+x-2=0에서(x+2)(x-1)=0
∴x=-2또는x=1
yÛ`+y-6=0에서(y+3)(y-2)=0
∴`y=-3또는y=2
따라서x+y의값이될수있는것은
-2-3=-5,-2+2=0,1-3=-2,1+2=3
⑤
0328
|전략| z=a+bi, z ®=a-bi (a, b는 실수)로 놓고 주어진 보기의 식을 계산하여
본다.
z=a+bi(a,b는실수)라하면z Õ=a-bi이므로
∴ a=0
ㄱ.a+bi=-(a-bi)에서2a=0
0331
|전략| 주어진 식을 간단히 정리한 후 a, b의 값을 대입한다.
aaÕ+aÕb+abÕ+bbÕ=aÕ(a+b)+bÕ(a+b)
=(a+b)(aÕ+bÕ)
=(a+b)(a+bÓ)
이때,a=-1+2i,b=2-i이므로
a+b=1+i,a+bÓ=1-i
∴(주어진식)=(1+i)(1-i)=2
①
0332
zÁÕ-zªÕ=zÁ-zªÓ=3+2i이므로zÁ-zª=3-2i
따라서z=bi이므로z는순허수이다.
zÁÕ´zªÕ=zÁzªÓ=6+i이므로zÁzª=6-i
ㄴ.(a+bi)-(a-bi)=0에서2bi=0
∴ b=0
∴(2zÁ+1)(2zª-1)=4zÁzª-2(zÁ-zª)-1
따라서z=a이므로z는실수이다.
=4(6-i)-2(3-2i)-1
ㄷ.z=i이면zÛ`=-1로실수이지만(z+1)Û`=(i+1)Û`=2i이므로
=17
허수이다.
따라서옳은것은ㄴ이다.
②
0329
z=a+bi(a,b는실수)라하면zÕ=a-bi이므로
ㄱ.(z+1)(zÕ+1)=zzÕ+z+zÕ+1
ㄴ.(z+1)(zÕ-1)=zzÕ-z+zÕ-1
=(a+bi)(a-bi)+a+bi+a-bi+1
=aÛ`+bÛ`+2a+1(실수)
=(a+bi)(a-bi)-(a+bi)+a-bi-1
=aÛ`+bÛ`-1-2bi
ㄴ.이때,b+0이면실수가아니다.
ㄷ.(2z+1)(zÕ+1)-z=2zzÕ+2z+zÕ+1-z
=2zzÕ+z+zÕ+1
=2(a+bi)(a-bi)+a+bi+a-bi+1
=2(aÛ`+bÛ`)+2a+1(실수)
따라서항상실수인것은ㄱ,ㄷ이다.
③
0330
|전략| 허수 z에 대하여 복소수 f(z)가 실수이면 f(z)는 그 켤레복소수
{ f(z)}Ó와 같다. 즉, {f(z)}Ó=f(z)이다.
복소수
이실수이므로
1
1-zÛ`
É{
,
=
1-zÛ`Ó
= 1
1
1-zÛ`
∴ (z-z Õ)(z+zÕ)=0
1
1
1-zÛ` }
1-zÛ`
1-zÛ`=1-zÛ`Ó,1-zÛ`=1-z ÕÛ`
zÛ`-z ÕÛ`=0
그런데z는허수이므로z+zÕ
∴z+zÕ=0
이때,z=a+bi(a,b는실수)라하면zÕ=a-bi이므로
z+zÕ=2a=0
따라서z의실수부분은0이다.
∴ a=0
040 | II. 방정식과 부등식
0333
z= wÕ+1
2w-1
∴zzÕ= 2-
'
1+2
'
2i
∴zzÕ= 2-
'
2i
1+2
'
다른 풀이 zÕ=Ð{
wÕ+1
2w-1
zzÕ=
´
2i
2i
= 2-
'
1+2
'
= 2-
'
1+2
'
2i
2i
2i+1
2i)-1
2i
2i
= 1-
'
2(1+
'
2-
'
1+2
'
2i
´ 2+
'
2i
1-2
'
´Ð{
2i
2i }
= 4+2
1+8
=
;3@;
´
2-
'
1+2
'
2iÓ
2iÓ
wÕ+1
2w-1 }
=
wÕ+1Ó
2w-1Ó
=
w+1
2wÕ-1
에서
w+1
2wÕ-1
=
wwÕ+w+wÕ+1
4wwÕ-2(w+wÕ)+1
이때, w+wÕ=(1+
2i)+(1-
2i)=2,
wwÕ=(1+
'
(주어진 식)=
'
2i)(1-
'
'
2i)=3이므로
3+2+1
4´3-2´2+1
=
;3@;
0334
aaÕ=3,bbÕ=3에서a= 3
aÕ
,b= 3
bÕ
a+b=6i에서
3
aÕ
+ 3
bÕ
=6i
3(aÕ+bÕ)
aÕ´bÕ
=6i,3(a+bÓ)=6iabÓ
3´6iò=6iabÓ,3´(-6i)=6iabÓ
abÓ=-3 ∴ab=-3
∴
1
a
+ 1
b
=
a+b
ab
= 6i
-3
=-2i
다른 풀이 aaÕ=3, bbÕ=3에서
=
1
a
a Õ
,
3
1
b
=
b Õ
3
∴
+
=
+
1
a
1
b
b Õ
3
=
a Õ+b Õ
3
=
a+bÓ
3
0
∴ + =
=
=-2i
-6i
3
a Õ
3
6iÕ
3
②
;3@;
-2i
정답과 해설0335
|전략| z=a+bi (a, b는 실수)로 놓고 주어진 식에 대입한 후 복소수가 서로 같
을 조건을 이용하여 a, b의 값을 구한다.
z=a+bi(a,b는실수)라하면z Õ=a-bi이므로
즉,z=1+i이므로
zÛ`=(1+i)Û`=1+2i-1=2i
zÝ`=zÛ`´zÛ`=2i´2i=-4
z¡`=zÝ`´zÝ`=(-4)´(-4)=16
(1+2i)z+3z Õi=6i+2에서
(1+2i)(a+bi)+3(a-bi)i=6i+2
a+bi+2ai-2b+3ai+3b=2+6i
(a+b)+(5a+b)i=2+6i
복소수가서로같을조건에의하여
a+b=2,5a+b=6
두식을연립하여풀면a=1,b=1
∴z=1+i
④
0336
z=a+bi (a,b는실수)라하면z Õ=a-bi이므로
z+z Õ=(a+bi)+(a-bi)=2a=8
∴ a=4
zz Õ=(a+bi)(a-bi)=aÛ`+bÛ`=16+bÛ`=16
bÛ`=0
∴ b=0
따라서z=4이므로
z
1-i
= 4(1+i)
(1-i)(1+i)
=2+2i
⑤
z+zi=(a+bi)+(a+bi)i=a+bi+ai-b
0337
z=a+bi (a,b는실수)라하면
=(a-b)+(a+b)i
이므로
z+ziÓ=(a-b)-(a+b)i=1-i
복소수가서로같을조건에의하여
a-b=1,a+b=1
두식을연립하여풀면a=1,b=0
따라서z=1이므로z+
=1+1=2
;z!;
2
따라서zÇ`이양수가되는자연수n의최솟값은8이다.
채점 기준
❶ z=a+bi로 놓고 주어진 등식에 대입하여 식을 정리할 수 있다.
❷ a,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❸ zÇ`이 양수가 되는 자연수 n의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 ❸
8
비율
40`%
30`%
30`%
0339
|전략| 음이 아닌 정수 n에 대하여 i4n+1=i, i4n+2=-1, i4n+3=-i, i4n+4=1
임을 이용한다.
1+i+iÛ`+iÜ`+y+i3050
=(1+i+iÛ`+iÜ`)+(iÝ`+iÞ`+iß`+ià`)+y+i3048+i3049+i3050
=(1+i-1-i)+(1+i-1-i)+y+1+i-1
=i
i
1
i
0340
+ 1
i Û`
+ 1
i Û`
1
i
=
{
+ 1
i Ü`
+ 1
i Ü`
+ 1
i Ý`
+ 1
+y+ 1
i 102
+y+
i Ý` }
1
i 97 + 1
i 98 + 1
i 99 + 1
i 100 }
{
=+ 1
i 101 + 1
i 102
-1- 1
i
=
{
1
i
= 1
i
-1=-1-i
+1
+y+
}
1
i
-1- 1
i
{
+1
+ 1
i
}
-1
따라서a=-1,b=-1이므로
a+b=-2
-2
0338
z=a+bi(a,b는실수)라하면zÕ=a-bi이므로
(2+i)z+(3-2i)zÕ=2-2i에서
(2+i)(a+bi)+(3-2i)(a-bi)=2-2i
2a+2bi+ai-b+3a-3bi-2ai-2b=2-2i
(5a-3b)-(a+b)i=2-2i
복소수가서로같을조건에의하여
5a-3b=2,a+b=2
두식을연립하면풀면a=1,b=1
… ❶
… ❷
0341
|전략|
1+i
1-i
=i,
1+i
1-i
1-i
1+i
= (1+i)Û`
(1-i)(1+i)
=-i 임을 이용한다.
= 2i
2
=i
1-i
1+i
= (1-i)Û`
(1+i)(1-i)
= -2i
2
=-i
1000
∴
{
1+i
1-i }
+
{
1-i
1+i }
1010
=i1000+(-i)1010
=(iÝ`)250+{(-i)Ý`}252´(-i)Û`
=1+iÛ`
=1+(-1)=0
④
4 복소수 | 041
4ㅡ복소수0342
(1-i)300={(1-i)Û`}150=(-2i)150
=(-2)150´i4´37+2=-2150
(1+i)300={(1+i)Û`}150=(2i)150
=2150´i4´37+2=-2150
0346
-3
'
'¶
1
2+
-3
'Ä
'¶
=
3i´2
3+
3i´2
'
'
'
3
12
-3
2
1
-12+ '¶
'
3i
3
3i+ '
2
'
'
+ '
'Ä-
3
3i
+ '
2
'
∴(1-i)300-(1+i)300=-2150-(-2150)=0
0
=6i-6+
i-
i
;2!;
;2!;
0343
zÛ`=
{
= 2i
2
1+i
2 }
'
2`
∴1+z+zÛ`+y+z¡`
=i이므로zÝ`=-1
=(1+z+zÛ`+zÜ`)+zÝ`(1+z+zÛ`+zÜ`)+z¡`
=(1+z+i+zi)-(1+z+i+zi)+z¡`
=z¡`=(zÛ`)Ý`=iÝ`
=1
다른 풀이 zÛ`=i이므로
1+zÛ`+zÝ`+zß`=1+i-1-i=0
∴1+z+zÛ`+y+z¡`
=(1+zÛ`+zÝ`+zß`)+z(1+zÛ`+zÝ`+zß`)+z¡`
=z¡`=1
0344
1
따라서-6+6i=a+bi이므로
=-6+6i
a=-6,b=6
∴a+b=0
채점 기준
❶ 주어진 식의 좌변을 간단히 할 수 있다.
❷ a,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❸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0347
|전략| 음수의 제곱근의 성질을 이용한다.
a
b
'
'
①
"
②
'
=-
이므로a>0,b<0
®;bA;
a
bÛ`=
'
b=
a´
"Å
b
a
a
'
'
bÛ`=-b
a
'
bÛ`=|b|=-b
"
③-a<0,-b>0이므로
'¶
④ab<0이므로|ab|=-ab
-a
'¶
|전략|
=-i,
=i 임을 이용하여 f(n)을 간단히 한 후
1-i
1+i
1+i
1-i
f(1)+f(2)+f(3)+y+f(100)의 값을 구한다.
-b=
-a)´(-b)=
(
b
a
"
'
⑤a-b>0이므로|a-b|=a-b
③
1-i
1+i
= (1-i)Û`
(1+i)(1-i)
= -2i
2
=-i
1+i
1-i
= (1+i)Û`
(1-i)(1+i)
= 2i
2
=i
∴ f(n)=
4n
1-i
1+i }
{
-
{
2n
1+i
1-i }
∴ f(n)=(-i)4n-i 2n=1-(-1)Ç``
f(1)+f(2)+f(3)+y+f(100)
=2+0+2+y+0
=2´50=100
즉,n이짝수일때 f(n)=0이고,n이홀수일때 f(n)=2이므로
-a=
ai (a>0)임을 이용하여 음수의 제곱근을 허수단위 i를 사용하
0iÛ`=-
1
0
'
-2)Û``=
-2
'¶
'¶
-2=
2i´
2i=-2
'
'
0345
|전략|
'¶
여 나타낸다.
'
-5=
①
'¶
②
'¶
③(-
-2
'¶
-5
'
'
-2)Û`=(
0=
2
2i´
'
5i´2
'
'
1
5i=
'
5=10i
'¶
8
-2
=
8
=
④ '
'¶
⑤ '¶-
2
'
2
2
'
2i
'
2
2i
'
2
'
'¶
= 2
i
=2i
=-2i
042 | II. 방정식과 부등식
0348
a
b
'
'
∴
"
=-
이므로a>0,b<0
®;bA;
a-b)Û`+|a|-
(
bÛ`=|a-b|+|a|-|b|
"
=a-b+a-(-b)
=2a
100
a
b이므로a<0,b<0
0349
a
b=-
'
'
'
ㄱ.a+b<0
=
®;aB;
b
a
ㄴ. '
'
aÛ`
ㄷ.
"Å
"Å
bÛ`=|a|´|b|=(-a)´(-b)=ab
ㄹ.a+b<0이므로|a+b|=-a-b
|a|+|b|=-a-b
∴|a+b|=|a|+|b|
③
ㅁ.-a>0,b<0이므로
'¶
'Ä
따라서옳은것은ㄱ,ㄹ의2개이다.
-a
b=
'
-ab
… ❶
… ❷
… ❸
0
비율
60`%
30`%
10`%
③
②
정답과 해설
Å
Ã
Ã
내신 마스터
내신 마스터
STEP3
0350
0353
유형 04 복소수가 실수 또는 순허수가 될 조건
|전략| 복소수 z에 대하여 zÛ`이 양의 실수이면 z는 0이 아닌 실수이어야 한다.
유형 02 복소수의 사칙연산
|전략| 복소수의 나눗셈은 분모, 분자에 분모의 켤레복소수를 곱하여 계산한다.
z =(a+2i)(1-2i)=a-2ai+2i+4
=(a+4)-2(a-1)i
3-2i+ 1-2i
1-i
+3i+ -1+2i
1+i
=3-2i+
(1-2i)(1+i)
(1-i)(1+i)
+3i+
(-1+2i)(1-i)
(1+i)(1-i)
=3-2i+
+3i+
3-i
2
1+3i
2
=5+2i
0351
유형 02 복소수의 사칙연산
|전략| 규칙을 찾아 주어진 등식을 간단히 한다.
f(1, 2)= 1-2i
1+2i
, f(2, 4)=
2-4i
2+4i
= 1-2i
1+2i
, y,
f(5, 10)=
이때,
1-2i
1+2i
5-10i
= 1-2i
5+10i
1+2i
= (1-2i)Û`
(1+2i)(1-2i)
(주어진 식)=5´
=-3-4i
-3-4i
5
= -3-4i
5
이므로
다른 풀이 `f(a, b)=
a-bi
a+bi
=
(a-bi)Û`
(a+bi)(a-bi)
이때, b=2a이면
=
aÛ`-bÛ`
aÛ`+bÛ`
-
2ab
aÛ`+bÛ`
i
`f(a, 2a)=
aÛ`-(2a)Û`
aÛ`+(2a)Û`
-
4aÛ`
aÛ`+(2a)Û`
i=
-3-4i
5
(∵ a+0)
∴ f(1, 2)=f(2, 4)=y=f(5, 10)=
-3-4i
5
∴ (주어진 식)=5´
=-3-4i
-3-4i
5
0352
한다.
x+y=
3i
1+
'
2
+
3i
1-
'
2
=1
xy=
3i
1+
'
2
´
3i
1-
'
2
=
=1
;4$;
∴ xÛ`-xy+yÛ` =(x+y)Û`-3xy
=1Û`-3´1=-2
(cid:9000) ②
다른 풀이
xÛ`-xy+yÛ`=
3i
1+
'
2
{
-
}
`
3i
1+
'
2
´
3i
1-
'
2
+
{
3i
1-
'
2
}
`
xÛ`-xy+yÛ`=
-2+2
3i
'
4
-
+
;4$;
-2-2
3i
'
=-2
4
zÛ`이 양의 실수가 되려면 z는 0이 아닌 실수이어야 하므로
a+4+0, a-1=0
∴ a=1
(cid:9000) ⑤
(cid:9000) ⑤
0354
유형 05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
|전략| 좌변을 정리하여 a+bi 꼴로 나타낸 후
a+bi=c+di ( a, b, c, d는 실수)이면 a=c, b=d임을 이용한다.
(x+i)(2i-y)+(2y-x)i=2+4i에서
2xi-xy-2-yi+2yi-xi=2+4i
-xy-2+xi+yi=2+4i
(-xy-2)+(x+y)i=2+4i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xy-2=2, x+y=4
∴ xy=-4, x+y=4
(cid:9000) ①
∴
+
;[!;
;]!;
= x+y
xy
= 4
-4
=-1
(cid:9000) ②
0355
용한다.
유형 06 켤레복소수의 성질
|전략| a=a+bi ( a, b는 실수)로 놓고 복소수의 연산과 켤레복소수의 성질을 이
ㄱ. a=i이면 a-a Õ=i-(-i)=2i이므로 허수이다.
ㄴ. a=a+bi(a, b는 실수)라 하면 a Õ=a-bi이므로
aa Õ=(a+bi)(a-bi)=aÛ`+bÛ`=0
따라서 a=b=0이므로 a=0
ㄷ. a=0이면 aÛ`-aÛ`Õ=0이므로 실수이다.
4ㅡ
복
소
수
0356
유형 07 켤레복소수의 성질을 이용한 연산
|전략| 주어진 식을 간단히 정리한 후 a+b와 a+bÓ의 값을 대입한다.
aa Õ+a Õb+abÕ+bbÕ =a Õ(a+b)+bÕ(a+b)
=(a+b)(a Õ+bÕ)
=(a+b)(a+bÓ)
=(3+
5i)(3-
5i)
'
'
=14
(cid:9000) ③
4 복소수 | 043
유형 03 복소수가 주어질 때의 식의 값
|전략| x, y가 서로 켤레복소수이므로 x+y, xy의 값을 이용하여 식의 값을 구
따라서 옳은 것은 ㄴ이다.
(cid:9000) ②
2
2
0357
유형 04 복소수가 실수 또는 순허수가 될 조건
+ 08 z=a+bi로 놓고 조건을 만족시키는 복소수 z 구하기
+
;z@;에 대입한 식이 실수이려면
|전략| z=a+bi (a, b는 실수, b+0)로 놓고 ;2Z;
허수부분이 0이어야 한다.
z=a+bi (a,b는실수,b+0)라하면
+ 2
+
a+bi
= a+bi
2
= a+bi
2
= a+bi
2
;2Z;
;z@;
+
;2Z;
;z@;
+
;2Z;
;z@;
+ 2(a-bi)
(a+bi)(a-bi)
+ 2a-2bi
aÛ`+bÛ`
+
=
;z@;
;2Z;
{;2A;+
2a
aÛ`+bÛ` }
+
{;2B;-
2b
aÛ`+bÛ` }
i
이때,
+
가실수이려면
;z@;
;2Z;
- 2b
;2B;
aÛ`+bÛ`
=0
∴ aÛ`+bÛ`=4
∴zz Õ=(a+bi)(a-bi)=aÛ`+bÛ`=4
④
ai (a>0)임을 이용하여 음수의 제곱근을 허수단위 i를 사용하
0360
유형 11 음수의 제곱근의 계산
|전략|
'¶
여 나타낸다.
-a=
'
0 0
∴ a>3
-3a+21>0
∴ a<7
-
중심의 좌표가
{
;2!;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 OÁ의 방정식은
, 0
}
원 OÁ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 Oª의 방정식은
2`
-x+
+yÛ`=1
∴
{
x-;2!;}
+yÛ`=1
원 OÁ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원 O£의 방정식은
2`
x+
{
;2!;}
+yÛ`=1
{
[
;2!;}
2`
;2!;]
2`
2`
13 도형의 이동 | 191
따라서 3
'천재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년 천재교육 G코치 (Grammar Coach) Level 2 답지 (0) | 2020.08.11 |
---|---|
2016년 천재교육 G코치 (Grammar Coach) Level 1 답지 (0) | 2020.08.11 |
2019년 천재교육 셀파 생명과학 1 답지 (0) | 2020.08.11 |
2019년 천재교육 셀파 물리 1 답지 (0) | 2020.08.11 |
2019년 천재교육 짤강 고등 수학 1 답지 (0) | 2020.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