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상교육

2018년 비상교육 내공의 힘 고등 수학 (하) 답지

반응형

https://fds.flarebrick.com/1JyqaJI9cTBm-igjC4dRR5nPcsHDti6yx

 

2018년 비상교육 내공의 힘 고등 수학 (하).pdf Download | FlareBrick FDS

 

fds.flarebrick.com

더보기

1 강 집합의 뜻과 표현 p. 6 1 1, 2, 3, 6 2 ⑴ A=92, 4, 6, 80 ⑵ A=9x|x는 10보다 작은 짝수0 ⑶ A 2 6 4 8 3 ⑴ 유한집합 ⑵ B=92, 3, 50: 유한집합 ⑶ C=92, 4, 6, 8, y0: 무한집합 ⑷ D=Z: 유한집합 교/과/서/속 핵심 유형 닮은꼴 문제 p. 7 1 ‘큰’, ‘아름다운’, ‘가까운’, ‘유명한’은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그 대상을 분명하게 정할 수 없으므로 집합이 아니다. 따라서 집합인 것은 ⑤이다. 2 ㄴ. ‘높은’은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그 대상을 분명하게 정 할 수 없으므로 집합이 아니다. 따라서 집합이 아닌 것은 ㄴ이다. 3 A=91, 2, 5, 10, 25, 500 ④ 15:A 4 ① - 1 7 {Q ② 0{Q ④ 25 4 {Q ⑤ j3:Q 따라서 옳은 것은 ③이다. 5 ⑴ 9x|x는 -33이어야 하므로 -41, 6-x>1 / 19 a5>11이라고 하면 a5+a5@>132 이것은 ㉠을 만족하지 않으므로 a5=10 a5=10을 ㉠에 대입하면 a3+a3@+10+10@=130 a3@+a3-20=0 {a3+5}{a3-4}=0 / a3=-5 또는 a3=4 그런데 a3은 양의 정수이므로 a3=4 / A=91, 3, 4, 9, 100 10 정답과 해설 이때 a15 이때 2x-1>5에서 x>3 따라서 조건 ~q의 진리집합은 93, 4, 5, 60 5 ⑴ 두 조건 ‘x@-3x+2=0’, ‘x-2=0’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고 하면 x@-3x+2=0에서 {x-1}{x-2}=0 / x=1 또는 x=2 / P=91, 20 x-2=0에서 x=2 / Q=920 따라서 P;Q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각각 P, Q라고 하면 P=96, 12, 18, 24, y0 Q=93, 6, 9, 12, y0 따라서 P[Q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⑵ 두 조건 ‘6의 배수이다.’, ‘3의 배수이다.’의 진리집합을 3 ⑴ 어떤 실수 x에 대하여 |x|<0이다. ⑵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2=1이다. 6 ⑴ 두 조건 ‘x-1<0’, ‘x-2<0’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 라고 하면 IV. 집합과 명제 11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11 2017-11-06 오후 3:20:24 P=9x|x<10 Q=9x|x<20 교/과/서/속 핵심 유형 닮은꼴 문제 p. 27 따라서 P[Q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⑵ [반례] x=j2, y=-j2이면 x+y는 유리수이지만 x, y 는 유리수가 아니다.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1 역: x+y>0이면 x>0이고 y>0이다. (거짓) [반례] x=-1, y=2이면 x+y>0이지만 x<0이고 y>0 이다. 대우: x+y<0이면 x<0 또는 y<0이다. (참) 2 역: x@>y@이면 x>y이다. (거짓) [반례] x=-2, y=1이면 x@>y@이지만 xy이다. 3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고 하면 ⑴ P=92, 4, 6, 8, y0, Q=94, 8, 12, 16, y0 P]Q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⑵ P= x - | x< 3 2 = , Q=9x|x<40 P[Q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⑶ x@=1에서 x=-1 / P=9-1, 10 |x|=1에서 x=-1 / Q=9-1, 10 P=Q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4 ⑴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고 하면 P=91, 2, 3, 4, 6, 120, Q=91, 2, 3, 60 P]Q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⑵ ab=0 a=0 또는 b=0 hjk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⑶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고 하면 x@-4x+3=0에서 {x-1}{x-3}=0 / x=1 또는 x=3 / Q=91, 30 P[Q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5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고 하면 k 2 / P= 2x+k=0에서 x=- k 2 = - - x@-3x-4=0에서 {x+1}{x-4}=0 / x=-1 또는 x=4 / Q=9-1, 40 p가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 되려면 P[Q이어야 하므로 7 ⑴ ‘x@-1>0’의 진리집합을 P라고 하면 x@-1>0에서 {x+1}{x-1}>0 / x<-1 또는 x>1 / P=9x|x<-1 또는 x>10 따라서 P=U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⑵ ‘x@-3x-4=0’의 진리집합을 P라고 하면 x@-3x-4=0에서 {x+1}{x-4}=0 / x=-1 또는 x=4 / P=9-1, 40 따라서 P=Z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8 ⑴ ‘|x-2|>0’의 진리집합을 P라고 하면 P=U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⑵ ‘x@<0’의 진리집합을 P라고 하면 P=Z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6 강 p. 26 1 ⑴ 역: x@=9이면 x=3이다. 대우: x@=9이면 x=3이다. ⑵ 역: x가 4의 약수이면 x는 8의 약수이다. 대우: x가 4의 약수가 아니면 x는 8의 약수가 아니다. 2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고 하면 P=9j30 x@=3에서 x=-j3 / Q=9-j3, j30 / P[Q ⑴ p ⑵ p `jjk` `jjk` 12 정답과 해설 명제의 역과 대우, 필요조건, 충분조건 P=930 q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q이므로 q는 p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 k 2 =-1 또는 - k 2 / k=2 또는 k=-8 =4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12 2017-11-06 오후 3:20:24 6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고 하면 x@-4x-5<0에서 {x+1}{x-5}<0 / -1-1이고 a+2<5 / 10에서 x>1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은 x>1일 때 성립한다. ⑵ x=-1일 때, {x+1}@=0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은 x=-1인 모든 실수 x에 대하 여 성립한다. ⑶ 부등식 |x-1|>0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한다. ⑷ x@-2x-{-1}=x@-2x+1={x-1}@>0 / x@-2x>-1 따라서 부등식 x@-2x>-1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한다. 따라서 절대부등식은 ⑶, ⑷이다. |ab|>ab이므로 2{|ab|-ab}> 0 따라서 {|a|+|b|}@>|a+b|@이므로 |a|+|b|>|a+b| 이때 등호는 |ab|=ab, 즉 ab >0일 때 성립한다. / ㈎ 0 ㈏ {|a|+|b|}@ ㈐ ab >0, jabk>0이므로 [ a+b 2 ]@>{jabk}@임을 보이면 4 a+b 2 된다. a+b 2 ]@-{jabk}@ = a@+2ab+b@ 4 [ -ab = a@+2ab+b@-4ab 4 = a@-2ab+b@ 4 = {a-b}@ 4 >0 a+b 2 ]@>{jabk}@이므로 따라서 [ a+b 2 >jabk 족집게 기출문제 05~07강 p. 30~33 1 ③ 6 ⑤ 11 ② 16 ④ 18 ㈎ 2jb ㈏ b=0 22 ⑤ 23 ㄴ 25 -2 0 , |a+b|> 0 이므로 {|a|+|b|}@ >|a+b|@임을 보이면 된다. {|a|+|b|}@ -|a+b|@ =|a|@+2|a||b|+|b|@-{a+b}@ =a@+2|ab|+b@-a@-2ab-b@ =2{|ab|-ab} p. 29 1 ㄴ. x@=x는 x의 값에 따라 참이 되기도 하고 거짓이 되기 도 하므로 명제가 아니고 조건이다. ㅁ. ‘날씨가 좋다.’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참, 거짓을 판별 할 수 없으므로 명제가 아니다. 따라서 보기 중 명제인 것은 ㄱ, ㄷ, ㄹ이다. 2 ‘적어도 하나는 ~이 아니다.’의 부정은 ‘모두 ~이다.’이므 로 주어진 조건의 부정은 ‘x, y는 모두 0이다.’ 3 {a-b}@+{b-c}@+{c-a}@=0에서 a=b이고 b=c이고 c=a이므로 a=b=c 따라서 이것의 부정은 a=b 또는 b=c 또는 c=a IV. 집합과 명제 13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13 2017-11-06 오후 3:20:24 4 전체집합 U=91, 2, 3, 4, 50에 대하여 두 조건 p, q의 진 리집합을 각각 P, Q라고 하면 x@-x-12=0에서 {x+3}{x-4}=0 / x=-3 또는 x=4 따라서 P=940이므로 PC=91, 2, 3, 50 또 16의 약수는 1, 2, 4, 8, 16이므로 Q=91, 2, 40 따라서 ‘~p이고 q’의 진리집합은 PC5Q=91, 20 5 ① [반례] x=-2이면 x@>1이지만 x<1이다. (거짓) ② ‘2x-1=3’의 진리집합을 P라고 하면 2x=4에서 x=2 / P=920 ‘x@-4=0’의 진리집합을 Q라고 하면 {x+2}{x-2}=0에서 x=-2 또는 x=2 / Q=9-2, 20 P[Q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③ P6QC=QC ④ PC5Q=Q-P=Q ⑤ PC5QC={P6Q}C=∅ {? P6Q=U} 따라서 옳은 것은 ①이다. 8 ㄱ. [반례] 2는 소수이지만 짝수이다. (거짓) ㄴ. x@=2x에서 x=0 또는 x=2 따라서 x=0 또는 x=2이면 x@=2x가 성립한다. (참) ㄷ. [반례] x=0이면 2x+1<5이다. (거짓) ㄹ. 주어진 부등식의 좌변을 변형하면 x@-x+1= x- [ 1 2 ]@+ 3 4 >0 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x@-x+1>0이 성립한다. (참) 따라서 보기 중 참인 명제는 ㄴ, ㄹ이다. 9 주어진 명제의 대우는 ‘~{a=0 또는 b=0}이면 ~{ab=0}이다.’ 즉, ‘a=0이고 b=0이면 ab=0이다.’ ③ [반례] x=j2, y=-j2이면 x, y는 무리수이지만 x+y 10 ① 역: 마름모이면 정사각형이다. (거짓) 대우: 마름모가 아니면 정사각형이 아니다. (참) ④ [반례] x=2, y=-2이면 x+y=0이지만 x@+y@=0이 ② 역: a=2 또는 b=3이면 ab=6이다. (거짓) 는 유리수이다. (거짓) 다. (거짓) [반례] a=1, b=6이면 a=2 또는 b=3이지만 ab=6이 ⑤ [반례] CA=40!, CB=70!, CC=70!이면 △ABC는 이등변삼각형이지만 CA=∠B이다. (거짓) 따라서 참인 명제는 ②이다. 다. 대우: a=2이고 b=3이면 ab=6이다. (참) ③ 역: ab가 정수이면 a+b는 정수이다. (거짓) 6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고 하면 P=9x|-12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2이다. 7 명제 p` 2! `~q가 참이므로 P[QC P-QC=Z / P5Q=∅ 이것을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U P Q ① P5QC=P-Q=P ② PC]Q 14 정답과 해설 [반례] a=2, b= 1 2 이면 ab는 정수이지만 a+b는 정수 가 아니다. 대우: ab가 정수가 아니면 a+b는 정수가 아니다. (거짓) 1 2 , b= 1 2 이면 ab는 정수가 아니지만 a+b는 [반례] a= 정수이다. ④ 역: a=0이고 b=0이면 |a|+|b|=0이다. (참) 대우: a=0 또는 b=0이면 |a|+|b|=0이다. (참) ⑤ 역: x>10이면 x>5이다. (참) 대우: x<10이면 x<5이다. (거짓) [반례] x=7이면 x<10이지만 x>5이다. 따라서 역과 대우가 모두 참인 명제는 ④이다. 11 Q[PC이므로 명제 q `2!` 따라서 이 명제의 대우 p` ~p는 참이다. `~q도 참이다. 2! 12 명제 p ~q `2!` q와 r ~p와 q `2!` `2!` ~q가 모두 참이므로 각각의 대우 ~r도 모두 참이다. `2!` 또 명제 p p `2!` q와 q ~r가 모두 참이므로 명제 `2!` `2!` ~r도 참이고, 이것의 대우 r ~p도 참이다. `2!` 따라서 반드시 참이라고 할 수 없는 명제는 ④이다.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14 2017-11-06 오후 3:20:25 p는 거짓이다. 16 주어진 세 조건을 따라서 p가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이 아닌 a 1 b 3 5 7 x 13 ① p: x=1, q: x=0 또는 x=1 이므로 명제 p q는 참이고, 명제 q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2!` `2!` ② p: x=y, q: x=y 또는 x=-y 이므로 명제 p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q는 참이고 명제 q `2!` `2!` ③ p: x=y, q: x=y 또는 z=0 이므로 명제 p q는 참이고, 명제 q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2!` `2!` p는 거짓이다. p는 거짓이다. 2!` `2!` q는 참 p는 거짓 ④ 명제 p` 명제 q [반례] x=j2, y=-j2이면 x+y는 유리수이지만 x, y 는 무리수이다.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⑤ 명제 p q는 거짓 `2!` [반례] x= 1 2 p는 참 명제 q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2!` 이면 x>0이지만 x<1이다. 것은 ⑤이다. 14 ① p: x=y 또는 x=-y, q: x=-y 이므로 명제 p q는 거짓이고, 명제 q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2!` `2!` p는 참이다. ②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고 하면 P[Q 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③ p: x=0 또는 y=0, q: x=0이고 y=0 이므로 명제 p q는 거짓이고, 명제 q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2!` `2!` ④ p: x>2, q: x<-2 또는 x>2 p는 참이다. q는 참이고, 명제 q 이므로 명제 p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2!` `2!` p는 거짓이다. ⑤ p: x>0, y>0, q: x>0, y>0 q와 q 이므로 명제 p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p가 모두 참이다. `2!` `2!` 따라서 p가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인 것은 ⑤이다. 15 주어진 네 조건을 p: x<-4 또는 -3b, s: x>0 이라 하고, 네 조건 p, q, r, s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 R, S라고 하면 P=9x|x<-4 또는 -3b0, S=9x|x>00 이때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Q[P r는 s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R[S 따라서 Q[P, R[S를 만족하도록 집합 P와 Q, R와 S 를 수직선 위에 각각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P Q P S R a -4 -3 -1 x 0 b x / a<-4, b>0 따라서 a의 최댓값은 -4, b의 최솟값은 0이므로 그 합은 -4+0=-4 p: 10, jak-jb>0이므로 {ja-bl}@>{ja-jb}@임을 보이면 된다. {ja-bl}@-{ja-jb}@ =a-b-{a-2jabk+b} =2jabk-2b = 2jb {ja-jb} 이때 jb>0, ja-jb>0이므로 2jb{ja-jb}>0 따라서 {ja-bl}@>{ja-jb}@이므로 ja-bl>ja-jb 이때 ja=jb이므로 등호는 jb=0, 즉 b=0 일 때 성립한다. / ㈎ 2jb ㈏ b=0 19 a>0, b>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a+ [ 1 b ][ b+ 4 a ] =ab+4+1+ 4 ab =ab+ +5 4 ab 4 ab e+5 >2qab\ =9 따라서 [ a+ [단, 등호는 ab= 4 a ]의 최솟값은 9이다. b+ 1 b ][ 4 ab , 즉 ab=2일 때 성립] IV. 집합과 명제 15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15 2017-11-06 오후 3:20:25 20 a, b, x, y가 실수이므로 코시- 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 @ 현지의 주장이 참인 경우 여 {a@+b@}{x@+y@}>{ax+by}@ 24\54>{ax+by}@, 36@>{ax+by}@ / -36{3x+4y}@ 25a>{3x+4y}@ / -5ja<3x+4y<5ja (단, 등호는 3y=4x일 때 성립) 3x+4y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가 20j2이므로 10ja=20j2, ja=2j2 / a=8 22 ㄱ. [반례] x=j2이면 x@=2이므로 x@{Q이지만 x#=2j2 이므로 x#:Q이다. (거짓) ㄴ. (유리수)_(0이 아닌 유리수)=(유리수)이므로 x{Q이고 x#{Q이면 =x@{Q / { p이고 r}` `q jjk ㄷ. (유리수)_(0이 아닌 유리수)=(유리수)이므로 x# x x# x@ x@{Q이고 x#{Q이면 =x{Q / {q이고 r}` `p jjk 따라서 보기 중 참인 명제는 ㄴ, ㄷ이다. 23 ~q는 p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P[QC / Q[PC ㄱ. x가 집합 Q의 원소가 아니면 x는 집합 P의 원소이다. ㄴ. x가 집합 Q의 원소이면 x는 집합 P의 원소가 아니다. `x{QC이면 x{P이다. `QC[P (거짓) `x{Q이면 x{PC이다. `Q[PC (참) `x{PC이면 x{Q이다. `PC[Q (거짓) hjk hjk hjk hjk hjk hjk 따라서 보기 중 항상 옳은 것은 ㄴ이다. ㄷ. x가 집합 P의 원소가 아니면 x는 집합 Q의 원소이다. 수연이는 도서관에 갔다. 현지는 서점에 가지 않았다. 혜수는 서점에 가지 않았다. 수연 현지 혜수 수연 현지 혜수 F T F F F T 수연이가 도서관에 갔으므로 현지와 혜수 둘 중 한 명 은 서점에 갔어야 하는데 둘 다 서점에 가지 않은 것이 되므로 모순이다. # 혜수의 주장이 참인 경우 수연이는 도서관에 갔다. 현지는 서점에 갔다. 혜수는 서점에 갔다. 현지와 혜수 둘 다 서점에 간 것이 되므로 모순이다. !, @, #에 의하여 도서관, 서점, 체육관에 간 사람은 차례로 혜수, 현지, 수연이다. 25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고 하면 P=9x|a+1-1, a+4<3 / -20} - -x {x<0} 따라서 서로 같은 함수이다. ⑵ 두 함수 f{x}, g{x}의 정의역과 공역은 각각 실수 전체 의 집합이고 x<0일 때, f{x}=g{x}이므로 f=g 따라서 서로 같은 함수가 아니다. 5 주어진 그래프 위에 직선 x=a (a는 정의역의 임의의 원소) 를 그어 교점이 항상 1개인 것을 찾는다. y ㄱ. ㄴ. y O a x O a x ㄷ. y ㄹ. y O a x O a x 따라서 보기 중 함수의 그래프인 것은 ㄱ, ㄷ, ㄹ이다. 6 주어진 그래프 위에 직선 x=a (a는 정의역의 임의의 원소) 를 그어 교점이 항상 1개인 것을 찾는다. y ㄱ. ㄴ. y p. 34 y 4 3 2 1 1 ⑶ 정의역: 91, 2, 30, 공역: 9a, b, c, d0, 치역: 9a, c0 2 ⑴ ⑵ ㄷ. y ㄹ. y 2 O a x O a x O a x y O a x 따라서 보기 중 함수의 그래프인 것은 ㄴ, ㄹ이다. -1 O 1 2 x -2 O x 교/과/서/속 핵심 유형 닮은꼴 문제 p. 35 1 ⑴ 정의역: 9x|x는 실수0, 치역: 9y|y는 실수0 ⑵ 정의역: 9x|x는 실수0, 치역: 9y|y<8인 실수0 2 ⑴ 정의역: 9x|x=0인 실수0, 치역: 9y|y=0인 실수0 ⑵ 정의역: 9x|x는 실수0, 치역: 9y|y>-3인 실수0 9 강 여러 가지 함수와 합성함수 3 ㄱ. f{-1}=-1, g{-1}=1이므로 f=g ㄴ. f{-1}=-2, g{-1}=0이므로 f=g ㄷ. f{-1}=g{-1}=1, f{0}=g{0}=0, f{1}=g{1}=1이므로 f=g 따라서 보기 중 f=g인 것은 ㄷ이다. p. 36 1 ⑴ 정의역에 속하는 임의의 서로 다른 두 원소에 대하여 함 숫값이 항상 다르므로 일대일함수이지만 치역과 공역이 서로 같지 않으므로 일대일대응이 아니다. V. 함수 17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17 2017-11-06 오후 3:20:26 ⑵ 정의역에 속하는 임의의 서로 다른 두 원소에 대하여 함 숫값이 항상 다르므로 일대일함수이고, 치역과 공역이 서로 같으므로 일대일대응이다. ⑶ 2=3이지만 f{2}=f{3}이므로 일대일함수가 아니다. 따라서 일대일함수인 것은 ⑴, ⑵, 일대일대응인 것은 ⑵ 이다. 2 `⑴ { f`J`g}{-1}=f{ g{-1}}=f{1}=1 ⑵ { g`J`f }{-1}=g{ f{-1}}=g{-3}=9 교/과/서/속 핵심 유형 닮은꼴 문제 p. 37 1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를 각각 좌표평면 위에 나타낸 후 직 선 y=a (a는 상수)와의 교점을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ㄱ. ㄴ. y y 2 x y=- x+1 2! a 1 O y a O x a 1 O y a 2 O y=1 x x ㄷ. y=x ㄹ. y=x@+2 ⑴ 일대일대응의 그래프는 공역의 임의의 원소 a에 대하여 직선 y=a와 항상 한 점에서 만나는 그래프이므로 ㄱ, ㄷ이다. ⑵ 항등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y=x이므로 ㄷ이다. ⑶ 상수함수의 그래프는 x축에 평행한 직선이므로 ㄴ이다. 2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를 각각 좌표평면 위에 나타낸 후 직 선 y=a (a는 치역의 임의의 원소)와의 교점이 항상 1개인 것을 찾는다. ㄱ. y y=x@ ㄴ. y=2x-1 a O a y 1 O y a O -1 y O -3 a x x x 2! ㄷ. y=|x-1| ㄹ. 1 x y=-3 따라서 일대일함수인 것은 ㄴ이다. 18 정답과 해설 -2 O 2 x 3 x y O a -6 3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 되려면 치역 y 4 과 공역이 같아야 한다. 따라서 함수 f{x}=ax+b {a>0} 에 대하여 y=f{x}의 그래프는 오른 쪽 그림과 같이 두 점 {-2, 0}, {2, 4}를 지나야 하므로 -2a+b=0 yy`㉠   2a+b=4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2 4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 되려면 치 역과 공역이 같아야 한다. 따라서 함수 f{x}=-x+b에 대 하여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점 {a, 0}, {3, -6}을 지나야 하므로 -a+b=0 yy`㉠ -3+b=-6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3 5 ⑴ { g`J`f }{x} =g{ f{x}} ⑵ { g`J`g}{x} =g{ g{x}} 6 ⑴ { g`J`h}{x} =g{h{x}} =g{x@-1} =3{x@-1}+1 =3x@-3+1 =3x@-2 =g{3x+1} =3{3x+1}+1 =9x+3+1 =9x+4 =g{x@+2} = {x@+2}+1 1 2 = = 1 2 x@+1+1 1 2 x@+2 ⑵ {{ f`J`g}`J`h}{x}=f{ g{h{x}}}이고, ⑴에서 g{h{x}}= 1 2 x@+2이므로 {{ f`J`g}`J`h}{x} =f [ ] 1 2 x@+2 1 2 x@+2 ] -4 =2 [ =x@ =x@+4-4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18 2017-11-06 오후 3:20:26 교/과/서/속 핵심 유형 닮은꼴 문제 p. 39 ⑵ {{ g`J`f }_!`J`g}{2} ={ f _!`J`g_!`J`g}{2} 0 강 역함수 p. 38 1 ⑴ 3 ⑵ { f`J`f _!}{c}=f{ f _!{c}}=f{2}=c ⑶ { f _!`J`f }{1}=f _!{ f{1}}=f _!{b}=1 2 y=x y 4 2 O 2 x 4 y=- x+2 2! 1 ⑴ f{a}=1이므로 2a-3=1 / a=2 ⑵ f{b}=7이므로 2b-3=7 / b=5 2 f{3}=5이므로 3a-2=5 / a= 7 3 g{4}=-2이므로 \4-b=-2 / b=4 1 2 3 ⑴ 함수 y=3x-2는 실수 전체의 집합 R에서 R로의 일대 일대응이므로 역함수가 존재한다. y=3x-2를 x에 대하여 풀면 3x=y+2 / x= 1 3 y+ 2 3 x와 y를 서로 바꾸면 구하는 역함수는 y= 1 3 x+ 2 3 ⑵ 함수 y=- 1 2 x+2는 실수 전체의 집합 R에서 R로의 일대일대응이므로 역함수가 존재한다. y=- 1 2 x+2를 x에 대하여 풀면 1 2 x=-y+2 / x=-2y+4 x와 y를 서로 바꾸면 구하는 역함수는 y=-2x+4 4 ⑴ 함수 y= 3 2 x+4는 실수 전체의 집합 R에서 R로의 일 대일대응이므로 역함수가 존재한다. y= 3 2 x+4를 x에 대하여 풀면 3 2 x=y-4 / x= x와 y를 서로 바꾸면 구하는 역함수는 2 3 y- 8 3 y= 2 3 x- 8 3 ⑵ 함수 y=-2x- 1 3 은 실수 전체의 집합 R에서 R로의 일대일대응이므로 역함수가 존재한다. y=-2x- 2x=-y- 1 3 을 x에 대하여 풀면 1 3 / x=- 1 2 y- 1 6 x와 y를 서로 바꾸면 구하는 역함수는 y=- 1 2 x- 1 6 5 ⑴ { g_!`J`f }{-3} =g_!{ f{-3}} =g_!{-3} g_!{-3}=k (k는 상수)라고 하면 g{k}=-3이므로 1 2 k-4=-3에서 k=2 / g_!{-3}=2 / { g_!`J`f }{-3}=2 =f _!{2} f _!{2}=k (k는 상수)라고 하면 f{k}=2이므로 1 1 2 2 2k+3=2에서 k=- / f _!{2}=- / {{ g`J`f }_!`J`g}{2}=- 1 2 6 ⑴ { f _!`J`g}{2} =f _!{ g{2}} =f _!{4} f _!{4}=k (k는 상수)라고 하면 f{k}=4이므로 k+1=4에서 k=3 / f _!{4}=3 / { f _!`J`g}{2}=3 ⑵ { f`J`{ g`J`f }_!`J`f }{-2} ={ f`J`f _!`J`g_!`J`f }{-2} ={ g_!`J`f }{-2} =g_!{ f{-2}} =g_!{-1} g_!{-1}=k (k는 상수)라고 하면 g{k}=-1이므로 3k-2=-1에서 k= / g_!{-1}= 1 3 / { f`J`{ g`J`f }_!`J`f }{-2}= 1 3 7 함수 y= 1 2 x+1의 역함수는 y=2x-2이므로 두 함수의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 그림과 같다. 1 3 y 1 y=x y= x+1 2! -2 O 1 x y=2x-2 -2 V. 함수 19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19 2017-11-06 오후 3:20:27 8 함수 y=-2x+3의 역함수는 y=- 1 2 x+ 3 2 이므로 두 함 수의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 그림과 같다. y=x y 3 y=- x+ 2! 2# 2# O 3 x 2# y=-2x+3 족집게 기출문제 08~10강 2 3 1 ④ 4 9-1, 0, 1, 5, 7, 90 8 ③ 12 ③ 17 ③ 22 2 9 03일 때, f{x}=2x-3이므로 f{4}=2\4-3=5 f{5}=2\5-3=7 f{6}=2\6-3=9 따라서 구하는 치역은 9-1, 0, 1, 5, 7, 90 5 주어진 네 함수 f{x}=x@, g{x}=x#-2x, h{x}=-x, k{x}=2|x|-1 에 정의역의 원소 -1, 0, 1을 각각 대입하면 ㄱ. f{-1}=1, f{0}=0, f{1}=1 ㄴ. g{-1}=1, g{0}=0, g{1}=-1 ㄷ. h{-1}=1, h{0}=0, h{1}=-1 ㄹ. k{-1}=1, k{0}=-1, k{1}=1 이때 g{-1}=h{-1}=1, g{0}=h{0}=0, g{1}=h{1}=-1이므로 g=h 따라서 보기 중 서로 같은 함수는 ㄴ, ㄷ이다. 6 f{1}=g{1}에서 a+b=-5 f{2}=g{2}에서 2a+b=-6 yy`㉠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4 / a-b=3 7 주어진 함수의 대응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 h ㄱ. X -1 ㄷ. X -1 0 1 0 1 Y 0 1 2 Y 0 1 2 ㄴ. ㄹ. X -1 0 1 0 1 X -1 g k Y 0 1 2 Y 0 1 2 ㄱ. f{-1}=f{1}=1이므로 일대일함수가 아니다. ㄹ. k{-1}=k{1}=2이므로 일대일함수가 아니다. 따라서 보기 중 일대일함수인 것은 ㄴ, ㄷ이다.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20 2017-11-06 오후 3:20:27 8 주어진 그래프에 직선 y=a (a는 공역의 임의의 원소)를 그 12 {g`J`f }{x}와 { f`J`g}{x}를 각각 구하면 y O a y a O x x 어 교점이 항상 1개인 것을 찾는다. ① ② y O a ③ y ④ x x O a x ⑤ y a O 따라서 일대일대응의 그래프인 것은 ③이다. 9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 되려면 x의 값이 증가할 때, y의 값 은 항상 증가하거나 항상 감소해야 한다. x<0일 때, f{x}=-x의 그래프는 기울기가 음수이므로 다음 그림과 같이 x>0일 때도 f{x}={a@-2a}x의 그래 프의 기울기가 음수이어야 한다. y=-x y O x y={a@-2a}x 즉, a@-2a<0에서 a{a-2}<0 / 0k0이므로 k> yy`㉠ 1 2 또 일대일대응이 되려면 함수 f 의 치역과 공역이 같아야 하 므로 정의역 9x|x>k0에 대하여 치역도 9y|y>k0이어야 한다. 즉, f{k}=k이므로 k@-k=k, k@-2k=0, k{k-2}=0 / k=0 또는 k=2 ㉠, ㉡에 의하여 k=2 yy`㉡ 22 정답과 해설 18 { f`J`f }{3} =f{ f{3}}=f{6}=12 f -1{-5}=k (k는 상수)라고 하면 ` f{k}=-5 ! k>2일 때 f{k}=2k이므로 2k=-5 / k=- 5 2 그런데 k>2이므로 이는 모순이다. @ k<2일 때 f{k}=-k@+4k이므로 -k@+4k=-5, k@-4k-5=0 {k+1}{k-5}=0 / k=-1 또는 k=5 그런데 k<2이므로 k=-1 !, @에 의하여 k=-1 / f -1{-5}=-1 / { f`J`f }{3}+f -1{-5} =12+{-1}=11 19 { f`J`g`J`h}{x}={ f`J`g}{h{x}}=h{x} 이므로 f`J`g 는 항등함수이다. 이때 f 가 일대일대응이므로 g 는 f 의 역함수이다. 따라서 g{2}=k (k는 상수)라고 하면 f{k}=2이므로 1 2 k+3=2에서 k=-2 / g{2}=-2 20 { f`J`f }-1{c} ={ f -1`J`f -1}{c} =f -1{ f -1{c}} yy`㉠ 이때 f -1{c}=k (k는 상수)라고 하면 f{k}=c y=x y=f{x} y e d c b a O a b c d e x 직선 y=x를 이용하여 y축과 점선이 만나는 점의 y좌표를 구하여 표시하면 위의 그림과 같다. 위의 그래프에서 f{k}=c를 만족하는 k의 값은 k=d / f -1{c}=d 이를 ㉠에 대입하면 { f`J`f }-1{c}=f -1{d} f -1{d}=l (l은 상수)라고 하면 f{l}=d 위의 그래프에서 f{l}=d를 만족하는 l의 값은 l=e / f -1{d}=e / { f`J`f }-1{c}=e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22 2017-11-06 오후 3:20:28 21 2에서 100까지의 짝수 중 2의 배수는 50개, 2@의 배수는 25 개, 2#의 배수는 12개, 2$의 배수는 6개, 2%의 배수는 3개, 2^의 배수는 1개이다. 2와 서로소인 자연수 m에 대하여 2\4\6\y\98\100을 2Y\m 꼴로 나타내면 2\4\6\y\98\100 =2%)\2@%\2!@\2^\2#\2!\m / f{2\4\6\y\98\100} =f{2(&\m} =2(&\m =97 22 f{2}는 2!@!을 10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이므로 2!@!의 일의 자리의 숫자와 같다. 이때 2!=2, 2@=4, 2#=8, 2$=16, 2%=32, 2^=64, y 이므로 2N (n은 자연수)의 일의 자리의 숫자는 2, 4, 8, 6이 이 순서대로 반복된다. 따라서 121=4\30+1에서 2!@!의 일의 자리의 숫자는 2! 의 일의 자리의 숫자와 같으므로 2이다. / f{2}=2 / { f`J`f`J`f }{2} =f{ f{ f{2}}} =f{ f{2}} =f{2} =2 23 함수 g{x}의 함수식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00이므로 x+ 1 x =j5 x x+1 1 x+1 + + 1 x-1 1 x-1 = x{x-1}+x+1 {x+1}{x-1} x-1+x+1 {x+1}{x-1} = {x@+1}{x+1}{x-1} 2x{x+1}{x-1} = x@+1 2x x@+x+1=0에서 x@+1=-x이므로 (주어진 식)= x@+1 2x = -x 2x =- 1 2 9 모든 실수 x, y에 대하여 -3x+ay+b 2x-3y-1 가 항상 일정한 값 k (k는 상수)를 가진다고 하면 -3x+ay+b 2x-3y-1 =k 2x-3y=1이므로 2x-3y-1=0 양변에 2x-3y-1을 곱하면 -3x+ay+b=k{2x-3y-1} {2k+3}x-{3k+a}y-k-b=0 이 등식은 x,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2k+3=0, 3k+a=0, -k-b=0 k=- 세 식을 연립하여 풀면 3 2 9 2 , b= 3 2 , a= / a+b=6 10 y= 2x+1 x+1 = 2{x+1}-1 x+1 1 =- x+1 +2 이므로 y= 1 x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의 그래프는 y=- 2x+1 x+1 y 2 1 O-1 x - 2! 따라서 주어진 유리함수의 그래프는 위의 그림과 같으므로 제4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11 y= 3x x-2 = 3{x-2}+6 x-2 6 = x-2 +3 V. 함수 27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27 2017-11-06 오후 3:20:30 이므로 y= 3x x-2 의 그래프는 y= 6 x 의 그래프를 x축의 방 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y 이때 주어진 유리함수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3 -2 y O -1 x - 2# -4 O 2 x 3 2 1 -3 따라서 -40이어야 하므로 a>-4 yy`㉠ x=0일 때, y<0이어야 하므로 - <0 / a>0 yy`㉡ y=0일 때, x<0이어야 하므로 - <0 / a>0 yy`㉢ a 2 a 2 ㉠, ㉡, ㉢에서 a>0 따라서 정수 a의 최솟값은 1이다. 13 y= -x-3 x+2 = -{x+2}-1 x+2 =- 1 x+2 -1 이므로 y= 1 x 의 그래프를 x축 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x-3 x+2 의 그래프는 y=- 것이다. 28 정답과 해설 y=1이므로 유리함수의 식은 +1 {k<0} yy`㉠ ㉠의 그래프는 점 {0, 2}를 지나므로 y= k x-2 2= k 0-2 +1 / k=-2 k=-2를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y= -2 x-2 +1= x-4 x-2 이 식을 y= ax+b x+c 와 비교하면 a=1, b=-4, c=-2 / abc=8 17 f !{-1}=f{-1}= 1 2 f @{-1}={ f`J`f }{-1}=f{ f{-1}}=f [ 1 2 ] =2 f #{-1}={ f`J`f @}{-1}=f{ f @{-1}}=f{2}=-1 1 2 f ${-1}={ f`J`f #}{-1}=f{ f #{-1}}=f{-1}=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28 2017-11-06 오후 3:20:30 f %{-1}={ f`J`f $}{-1}=f{ f ${-1}}=f [ 1 2 ] =2 따라서 f N{-1}의 함숫값은 1 2 , 2, -1이 이 순서대로 반 f #K"!{-1}= , f #K"@{-1}=2, f #K"#{-1}=-1 (k는 음이 아닌 정수) ⋮ 복되므로 1 2 x@-{m+2}x+3m+1=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고 하면 D<0이어야 하므로 D={m+2}@-4{3m+1}<0 m@-8m<0, m{m-8}<0 / 01 @ 직선 y=mx+1이 점 {3, 2}를 지날 때 2=3m+1 / m= 1 3 1 3 따라서 직선 y=mx+1이 점 {3, 2}를 지나거나 아래 쪽에 있으려면 m< !, @에 의하여 상수 m의 최댓값은 1 3 , 상수 n의 최솟값 은 1이므로 구하는 m의 최댓값과 n의 최솟값의 곱은 1 3 이다. 22 주어진 유리함수의 그래프에서 점근선의 방정식이 x=m, y=n이므로 유리함수의 식은 y= k x-m L= k 0-m +n {k>0} yy`㉠ ㉠의 그래프는 점 {0, L}을 지나므로 +n / k=-m{L-n} 이를 ㉠에 대입하면 -m{L-n} x-m y= +n 이 식을 y= b x-a a=m, b=-m{L-n}, c=n +c와 비교하면 V. 함수 29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29 2017-11-06 오후 3:20:31 2와 -1의 위치와 부호를 바꿈b와 a의 위치와 부호를 바꿈 yy`㉠ yy`㈎ 이므로 점근선의 방정식은 y = x=-1, y=1 bx+1 x-a b{x-a}+ab+1 x-a = = ab+1 x-a +b 이므로 점근선의 방정식은 x=a, y=b yy`㉡ 따라서 ㉠, ㉡으로 둘러싸인 도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이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a+1, b-1 (? a, b는 자연수) 인 직사각형이다. 이 직사각형의 넓이가 11이므로 {a+1}{b-1}=11 yy`㈐ 음이 아닌 정수이다. 따라서 a+1=11, b-1=1이므로 a=10, b=2 / a+b=12 채점 기준 ㈎ y= ㈏ y= x-1 x+1 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bx+1 x-a 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 점근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이 어떤 모양인지 안다. ㈑ a, b의 값을 구한다. ㈒ a+b의 값을 구한다. yy`㈏ y=b y=1 y b 1 O-1 a x x=-1 x=a yy`㈑ yy`㈒ 배점 2점 2점 1점 2점 1점 이때 a, b는 자연수이므로 a+1은 2 이상의 정수, b-1은 ㄱ. m>n이므로 a-c=m-n>0 ㄴ. a=m>0, c=n>0 또 주어진 그래프에서 b>0 / a+b+c>0 ㄷ. ac=mn, b=-m{L-n}=mn-Lm 이때 m>0, L<0에서 Lm<0이므로 mn0이어야 하므로 x>-1 ⑵ 1-x>0이어야 하므로 x<1 2 ⑵, ⑷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30 2017-11-06 오후 3:20:31 1 6 ⑴ 1 x-1x@-13 p. 53 = = x+1x@-13 {x-1x@-13}{x+1x@-13} x+1x@-13 x@-{x@-1) =x+1x@-13 ⑵ j2xk j2x+1l+j2xk = j2xk{j2x+1l-j2xk} {j2x+1l+j2xk}{j2x+1l-j2xk} = 14x@+2x3-2x 2x+1-2x =14x@+2x3-2x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정의역은 7 ⑴ 2x-1>0에서 1 2 x> x - | x> 1 2 = ⑵ 5-x>0에서 x<5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정의역은 9x|x<50 8 ⑴ 3x-6>0에서 x>2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정의역은 9x|x>20 ⑵ 1-x@>0에서 {x+1}{x-1}<0 / -10 yy`㉠ / x>2 j3-xl에서 3-x>0 / x<3 따라서 ㉠, ㉡에서 20 / x<3 jxk에서 x>0 jxk-1=0에서 x=1 ㉠, ㉡, ㉢에서 020, 치역은 9y|y>-20이다. ⑵ y=-j-x+1l+1=-1-{x-1}3+1 따라서 y=-j-x+1l+1의 그 래프는 y=-j-xk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 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 y 1 O 1 x 로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때 정의역은 9x|x<10, 치역은 9y|y<10이다. 2 ⑴ y=2-jx-3l의 그래프는 y=-jxk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 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 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오른쪽 y 2 O 3 7 x 그림과 같다. 이때 정의역은 9x|x>30, 치역은 9y|y<20이다. ⑵ y=j6-3xl+1=1-3{x-2}3+1 따라서 y=j6-3xl+1의 그래프 는 y=j-3xk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오른 y 1+16 1 쪽 그림과 같다. 이때 정의역은 9x|x<20, 치역은 9y|y>10이다. O 2 x 3 y=j2-4xl-3=q-4 x- [ 1 2 ]e-3 따라서 y=j2-4xl-3의 그래프는 y=j-4xl의 그래프를 1 2 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 x축의 방향으로 한 것이므로 a= 1 2 , b=-3 4 y=-jkxk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 으로 b만큼 평행이동하면 y=-1k{x-a}3+b=-jkx-akl+b 이 그래프가 y=-j2x-6l+1의 그래프와 일치해야 하므로 k=2, -ak=-6, b=1 / a=3, b=1, k=2 5 주어진 무리함수의 그래프는 y=jaxk {a>0}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 한 것이므로 무리함수의 식은 32 정답과 해설 yy`㉠ y=1a{x+1}3+2 ㉠의 그래프가 점 {0, 3}을 지나므로 3=ja+2, ja=1 / a=1 a=1을 ㉠에 대입하면 y=jx+1l+2` / a=1, b=1, c=2 한 것이므로 무리함수의 식은 y=-1a{x-2}3+2 yy`㉠ ㉠의 그래프가 점 {3, 0}을 지나므로 0=-ja+2, ja=2 / a=4 a=4를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y=-14{x-2}3+2=-j4x-8l+2 / a=4, b=-8, c=2 6 주어진 무리함수의 그래프는 y=-jaxk {a>0}의 그래프 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 족집게 기출문제 13~14강 1 ③ 6 ④ 11 ③ 15 ② 3 ⑤ 8 ⑤ 2 ④ 7 ① 12 제4사분면 16 ① 0, x+2>0, 3-x=0에서 -20, 2-x>0에서 -10, x-3<0이므로 1x@+4x+43+14x@-24x+363 =1{x+2}@3+14{x-3}@3 =|x+2|+2|x-3| =x+2-2{x-3} =-x+8 3 jx+2l - jxk jx+2l+jxk jx+2l-jxk = jx+2l{jx+2l+jxk}-jxk{jx+2l-jxk} {jx+2l-jxk}{jx+2l+jxk} = x+2+1x@+2x3-1x@+2x3+x x+2-x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32 2017-11-06 오후 3:20:32 = 2x+2 2 =x+1 4 x= j2+1 j2-1 / jxk-1 jxk+1 = {j2+1}@ {j2-1}{j2+1} = + jxk+1 jxk-1 =3+2j2 {jxk-1}@+{jxk+1}@ {jxk+1}{jxk-1} 2x+2 x-1 2{3+2j2}+2 3+2j2-1 8+4j2 2+2j2 4j2{j2+1} 2{1+j2} = = = = =2j2 5 y=-jax-3l+4의 그래프가 점 {2, 3}을 지나므로 3=-j2a-3l+4, j2a-3l=1 / a=2 a=2를 주어진 식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y=-j2x-3l+4=-r2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정의역은 x- [ 3 2 ]y+4 x - | x> 3 2 = 6 y=2j2x+1l+3=2r2 x+ [ 1 2 ]y+3 이므로 y=2j2x+1l+3의 그래프는 y=2j2xk의 그래프를 1 2 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 x축의 방향으로 - 한 것이다. 따라서 010이므로 이를 만족하 도록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를 그 리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정의역은 y b O 3 - a x 3 a | x< =, 치역은 9y|y>b0이므로 x - 3 a =-1, b=1 / a=-3, b=1 / ab=-3 8 y=j-2xl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 으로 3만큼 평행이동하면 y=1-2{x-2}3+3 / y=j-2x+4l+3 이 그래프가 y=j-2x+al+b의 그래프와 일치해야 하므 로 a=4, b=3 / ab=12 9 ④ y=j2-xl=1-{x-2}3 이므로 y=j2-xl의 그래프는 y=j-xl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10 y=-jax+al-1=-1a{x+1}3-1 {a=0} 이므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a>0 y a<0 -1 O -1 x y -1 O x -1 ① a>0일 때, 정의역은 9x|x>-10 a<0일 때, 정의역은 9x|x<-10 ② a>0일 때와 a<0일 때 모두 치역은 9y|y<-10 ③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y=-jax+al-1 / y=jax+al+1 ④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y=-1a{-x}+a3-1 / y=-j-ax+al-1 ⑤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y=-jaxk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4 x 것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②이다. 11 주어진 무리함수의 그래프는 y=jaxk {a<0}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yy`㉠ 것이므로 무리함수의 식은 y=1a{x-4}3+2 {a<0} ㉠의 그래프가 점 {0, 4}를 지나므로 4=j-4al+2, j-4al=2 / a=-1 a=-1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y=1-{x-4}3+2=j-x+4l+2 이 식을 y=jax+bl+c와 비교하면 a=-1, b=4, c=2 / abc=-8 V. 함수 33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33 2017-11-06 오후 3:20:32 12 주어진 유리함수의 그래프에서 점근선의 방정식이 x=1, y=2이므로 유리함수의 식은 y= k x-1 +2 {k>0} yy`㉠ ㉠의 그래프가 점 {0, 1}을 지나므로 1= k -1 +2 / k=1 k=1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y= 1 x-1 +2= 2x-1 x-1 이 식을 y= bx+c ax-1 와 비교하면 a=1, b=2, c=-1 따라서 y=jax+bl+c=jx+2l-1 의 그래프는 y=jxk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 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제4 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y 12-1 y= x+2-1 x O -2 -1 13 주어진 이차함수 y=ax@+bx+c의 그래프에서 ! 아래로 볼록하므로 a>0 b @ 축의 방정식은 x=- 2a 이때 축이 y축의 오른쪽에 위치하므로 - b 2a >0 그런데 !에서 a>0이므로 b<0 # y절편이 음수이므로 c<0 [ x+ b c ]y+a y=jcx+bl+a=rc 이므로 y=jcx+bl+a의 그래프는 y=jcxk의 그래프를 x축 b c 만큼, y축의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한 의 방향으로 - 것이다. 따라서 c<0, - <0, a>0이므로 y=jcx+bl+a의 그래 b c 프의 개형으로 알맞은 것은 ⑤이다. 14 y=j2-xl-1을 x에 대하여 풀면 j2-xl=y+1, 2-x={y+1}@ / x=-{y+1}@+2 x와 y를 서로 바꾸면 y=-{x+1}@+2 이때 주어진 무리함수의 정의역은 9x|x<20, 치역은 9y|y>-10이므로 주어진 무리함수의 역함수의 정의역은 9x|x>-10, 치역은 9y|y<20이다. 따라서 구하는 역함수는 y=-{x+1}@+2 {x>-1} 15 `f _!{4}=a에서 f{a}=4이므로 a+2 a-1 =4 / a=2 34 정답과 해설 { f`J`{ g`J`f }_!}{2}=b에서 { f`J`{ g`J`f }_!}{2} ={ f`J`f _!`J`g_!}{2} =g_!{2}=b 따라서 `g{b}=2이므로 j2b-1l=2 / b= / ab=5 5 2 16 두 함수 f 와 f _!는 서로 역함수 관계에 있으므로 두 함수 y=f{x}, y=f _!{x}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 칭이다. 이때 무리함수 f{x}=jx-2l+2는 x의 값이 증가할 때, y 의 값도 증가하므로 두 함수 y=f{x}, y=f _!{x}의 그래프 의 교점은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과 같다. y=jx-2l+2와 y=x에서 y를 소거하면 jx-2l+2=x, jx-2l=x-2 양변을 제곱하면 x-2=x@-4x+4, x@-5x+6=0 {x-2}{x-3}=0 / x=2 또는 x=3 따라서 두 교점 P, Q의 좌표는 P{2, 2}, Q{3, 3} 또는 P{3, 3}, Q{2, 2} / PQ =1{3-2}@+{3-2}@3=j2 17 y=j2x+3l=r2 [ x+ 3 2 ]y의 그래프는 y=j2xk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 3 2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y=j2x+3l의 그래프와 직선 y=x+k가 서로 다른 두 점에 서 만나려면 다음 그림과 같이 직선 y=x+k가 두 직선 ! 과 @ 사이를 지나거나 직선 @일 때이다. y @! 13 O - 2# y=x+k y= 2x+3 x ! y=j2x+3l의 그래프와 직선 y=x+k가 접할 때 j2x+3l=x+k에서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x@+2{k-1}x+k@-3=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고 하면 D 4 -2k+4=0 / k=2 3 2 ={k-1}@-{k@-3}=0 ]을 지날 때 , 0 - @ 직선 y=x+k가 점 [ 3 2 +k / k= 0=- 3 2 !, @에 의하여 3 2 1일 때 `f{x}=jxk+1+{jxk-1}=2jxk !, @에 의하여 y=f{x}의 그래프의 개형으로 알맞은 것 은 ⑤이다. h = - | 4!| 11@+{-1}@3 = j2 8 -4k+1=0 / k= 1 4 OAP의 높이 h는 직선 y=x+ 1 4 위의 점 [ 선 y=x, 즉 x-y=0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s 0, 1 4 ]과 직 또 OA 1 2 \OA =11@+1@3=12이므로 \j2\ j2 \h = = OAP의 넓이의 최댓값은 1 s 8 1 2 8 21 무리함수 y=jkxk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 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하면 y=1k{x-2}3-1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점 {5, 2}를 지나므로 2=j3kk-1, j3kk=3 양변을 제곱하면 3k=9 / k=3 채점 기준 ㈎ 평행이동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함수를 구한다. ㈏ k의 값을 구한다. yy`㈎ yy`㈏ 배점 3점 2점 22 ⑴ y =ja-2xl-1 a 2 ]y-1 x- =r-2 [ 이므로 y=ja-2xl-1의 그래프는 y=j-2xl의 그래프 a 2 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 를 x축의 방향으로 yy`㈎ 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40} j-x-3l {x<0} 이때 y=1|x|-33의 그래프와 직선 y=-x+a가 만나지 않으려면 다음 그림과 같이 직선 y=-x+a가 두 직선 ! 과 @ 사이에 있어야 한다. y y= -x-3` y= x-3` -3 O 3 x @ ! y=-x+a ! y=j-x-3l의 그래프와 직선 y=-x+a가 접할 때 j-x-3l=-x+a에서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x@-{2a-1}x+a@+3=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고 하면 D=9-{2a-1}0@-4{a@+3}=0 -4a-11=0 / a=- 11 4 @ 직선 y=-x+a가 점 {3, 0}을 지날 때 0=-3+a / a=3 !, @에 의하여 - 2이므로 n=9 ⑵ n'1P4=7nP3에서 {n+1}n{n-1}{n-2}=7n{n-1}{n-2} 이때 n>3이므로 양변을 n{n-1}{n-2}로 나누면 n+1=7 ∴ n=6 2 ⑴ 6Pn=120에서 120=6\5\4이므로 n=3 ⑵ nP3 : n'1P3=2 : 3에서 2n'1P3=3nP3 2{n+1}n{n-1}=3n{n-1}{n-2} 이때 n>3이므로 양변을 n{n-1}로 나누면 2{n+1}=3{n-2} ∴ n=8 3 ⑴ 천의 자리에 올 수 있는 숫자는 0을 제외한 4개이다. 나머지 자리에 오는 숫자를 택하는 경우의 수는 천의 자 리에 온 숫자를 제외한 4개의 숫자 중에서 3개를 택하는 순열의 수와 같으므로 4P3=24 따라서 구하는 정수의 개수는 4\24=96 VI. 경우의 수 37 p. 63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37 2017-11-06 오후 3:20:33 ⑵ 일의 자리에 올 수 있는 숫자는 1, 3으로 2개이다. ⑶ 여학생 4명을 일렬로 세우는 경우의 수는 천의 자리에 올 수 있는 숫자는 일의 자리에 온 숫자와 0을 제외한 3개이다. 나머지 자리에 오는 숫자를 택하는 경우의 수는 천의 자 리와 일의 자리에 온 숫자를 제외한 3개 중에서 2개를 4?=24 그 각각에 대하여 여학생 사이사이의 3개의 자리에 남 학생 3명을 세우는 경우의 수는 3?=6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24\6=144 6 ⑴ a와 d를 묶어 한 문자로 생각하면 4개의 문자를 일렬로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4?=24 그 각각에 대하여 a와 d가 서로 자리를 바꾸는 경우의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수는 2?=2 24\2=48 3?=6 ⑵ 세 문자 a, c, e를 일렬로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그 각각에 대하여 세 문자 사이사이와 양 끝의 4개의 자 리에 b, d를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4P2=12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6\12=72 ⑶ 양 끝에 b, c를 일렬로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2?=2 그 각각에 대하여 b, c를 제외한 3개의 문자를 일렬로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3?=6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2\6=12 조합7 강 p. 64 1 ⑴ 6C0\6C6=1\1=1 ⑵ 5C0+4C1+3C3=1+4+1=6 ⑶ 6C2= 6\5 2\1 =15 10\9\8 3\2\1 ⑷ 10C3= =120 2 구하는 방법의 수는 서로 다른 7개 중에서 3개를 택하는 조 합의 수와 같으므로 7\6\5 3\2\1 7C3= =35 택하는 순열의 수와 같으므로 3P2=6 따라서 구하는 정수의 개수는 2\3\6=36 4 ⑴ 만의 자리에 올 수 있는 숫자는 0을 제외한 5개이다. 나머지 자리에 오는 숫자를 택하는 경우의 수는 만의 자 리에 온 숫자를 제외한 5개의 숫자 중에서 4개를 택하는 순열의 수와 같으므로 5P4=120 따라서 구하는 정수의 개수는 5\120=600 ⑵ 일의 자리에 올 수 있는 숫자는 0, 5이다. ! 일의 자리의 숫자가 0인 경우 나머지 자리에 오는 숫자를 택하는 경우의 수는 일 의 자리에 온 숫자를 제외한 5개의 숫자 중에서 4개 를 택하는 순열의 수와 같으므로 5P4=120 @ 일의 자리의 숫자가 5인 경우 만의 자리에 올 수 있는 숫자는 일의 자리에 온 숫자 와 0을 제외한 4개이다. 나머지 자리에 오는 숫자를 택하는 경우의 수는 만 의 자리와 일의 자리에 온 숫자를 제외한 4개의 숫 자 중에서 3개를 택하는 순열의 수와 같으므로 4P3=24 즉, 일의 자리의 숫자가 5인 경우의 수는 4\24=96 !, @에 의하여 구하는 정수의 개수는 120+96=216 5 ⑴ 여학생 4명을 묶어 한 명으로 생각하면 4명을 일렬로 세 우는 경우의 수는 4?=24 그 각각에 대하여 여학생끼리 자리를 바꾸는 경우의 수는 4?=24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24\24=576 ⑵ 여학생 4명을 일렬로 세우는 경우의 수는 4?=24 그 각각에 대하여 여학생 사이사이와 양 끝의 5개의 자 리에 남학생 3명을 세우는 경우의 수는 5P3=60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24\60=1440 38 정답과 해설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38 2017-11-06 오후 3:20:34 교/과/서/속 핵심 유형 닮은꼴 문제 p. 65 = 3 ⑴ 7C5 =7C2 7\6 2\1 ⑵ 8C6 =8C2 8\7 2\1 = =21 =28 4 ⑴ nC8=nCn-8이므로 nCn-8=nC7 즉, n-8=7 ∴ n=15 ⑵ 12Cr=12C2r이므로 r+2r=12 / r=4 1 ⑴ nC2=10에서 n{n-1} 2 =10 n{n-1}=20 n@-n-20=0 {n+4}{n-5}=0 ∴ n=-4 또는 n=5 그런데 n>2이므로 n=5 ⑵ n'2Cn=n'2C[n'2]-n=n'2C2이므로 n'2C2=28 {n+2}{n+1} 2 =28 {n+2}{n+1}=56 n@+3n-54=0 {n+9}{n-6}=0 ∴ n=-9 또는 n=6 그런데 n은 자연수이므로 n=6 2 ⑴ nC3=84에서 n{n-1}{n-2} 6 =84 ⑵ n'3Cn=n'3C[n'3]-n=n'3C3이므로 n'3C3=10 {n+3}{n+2}{n+1} 3\2\1 =10 {n+3}{n+2}{n+1}=60 이때 60=5\4\3이고 n은 자연수이므로 n=2 3 ⑴ 남학생 5명 중에서 3명을 뽑는 경우의 수는 5C3=5C2=10 여학생 6명 중에서 2명을 뽑는 경우의 수는 6C2=15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10\15=150 ⑵ 구하는 경우의 수는 기태와 진희를 제외한 9명 중에서 3 명을 뽑는 조합의 수와 같으므로 9C3=84 4 ⑴ 1학년 학생 4명 중에서 2명을 뽑는 경우의 수는 4C2=6 2학년 학생 6명 중에서 2명을 뽑는 경우의 수는 6C2=15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6\15=90 ⑵ 학생 10명 중에서 4명을 뽑는 경우의 수는 10C4=210 뽑은 학생 4명이 모두 2학년 학생인 경우의 수는 6C4=6C2=15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210-15=195 5 ⑴ 구하는 삼각형의 개수는 서로 다른 8개의 점 중에서 3개 를 택하는 조합의 수와 같으므로 8C3=56 ⑵ 직각삼각형이 되는 경우는 삼각형의 한 변이 원의 지름 인 경우이다. 주어진 8개의 점 중에서 2개의 점을 이어서 만들 수 있 는 원의 지름의 개수는 4 그 각각에 대하여 나머지 6개의 점 중에서 1개의 점을 택하는 경우의 수는 6C1=6 따라서 구하는 직각삼각형의 개수는 4\6=24 4C2=6 의 수는 5C2=10 6\10=60 따라서 구하는 평행사변형의 개수는 VI. 경우의 수 39 n{n-1}{n-2}=504 이때 504=9\8\7이고 n은 3 이상의 자연수이므로 n=9 6 가로 방향의 4개의 평행한 직선 중에서 2개를 택하는 경우 의 수는 세로 방향의 5개의 평행한 직선 중에서 2개를 택하는 경우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39 2017-11-06 오후 3:20:34 계산력 다지기 p. 66~67 1 ⑴ 20 ⑵ 720 ⑶ 6 ⑷ 1 ⑸ 720 8P5 5? ⑹ = 8\7\6\5\4 5\4\3\2\1 =56 2 ⑴ nP2=42에서 n{n-1}=42 n@-n-42=0 {n+6}{n-7}=0 / n=-6 또는 n=7 그런데 n>2이므로 n=7 ⑵ nP2=30에서 n{n-1}=30 n@-n-30=0 {n+5}{n-6}=0 / n=-5 또는 n=6 그런데 n>2이므로 n=6 ⑶ 5Pr=60=5\4\3이므로 r=3 ⑷ 4Pr=12=4\3이므로 r=2 ⑸ n?=6=3\2\1이므로 n=3 ⑹ nP3= =12\11\10이므로 ⑺ n'1P3= \10=10\9\8이므로 n=12 12? 9? 9? 7? n+1=10 / n=9 ⑻ 6Pr\4?=720에서 6Pr\24=720 6Pr=30=6\5 / r=2 3 ⑴ 5?=120 ⑵ 5P2=20 ⑶ 5P2=20 4 ⑴ 10 ⑵ 6 ⑶ 1 ⑷ 15C14=15C1=15 ⑸ 4C2\3C2=6\3=18 8C3 4C1 8C5 4C1 56 4 ⑹ =14 = = 40 정답과 해설 5 ⑴ nC4=nCn-4이므로 nC2=nCn-4 즉, 2=n-4 / n=6 ⑵ 15C2r=15C3r이므로 2r+3r=15 5r=15 / r=3 ⑶ nC2=15에서 n{n-1} 2 =15 n@-n-30=0, {n+5}{n-6}=0 / n=-5 또는 n=6 그런데 n>2이므로 n=6 ⑷ nC3=35에서 n{n-1}{n-2} 3\2\1 =35 n{n-1}{n-2}=210 이때 210=7\6\5이고 n은 3 이상의 자연수이므로 n=7 ⑸ n'2Cn=66에서 n'2C2=66이므로 {n+2}{n+1} 2 n@+3n-130=0 =66 {n+13}{n-10}=0 / n=-13 또는 n=10 그런데 n은 자연수이므로 n=10 ⑹ n'1Cn-1=36에서 n'1C2=36이므로 {n+1}\n 2 n@+n-72=0 =36 {n+9}{n-8}=0 / n=-9 또는 n=8 그런데 n은 자연수이므로 n=8 ⑺ n'2Cn'1=n'2C1=1이므로 nC1+n-1C1=n'2C1 n+{n-1}=n+2 / n=3 ⑻ n-2C2+nC2=n'1C2에서 {n-2}{n-3} 2 + n{n-1} 2 = {n+1}\n 2 양변에 2를 곱하면 정리하면 n@-7n+6=0 {n-1}{n-6}=0 / n=1 또는 n=6 그런데 n>4이므로 n=6 6 ⑴ 5C2=10 ⑵ 6C3=20 ⑶ 10C2\12C2=45\66=2970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40 2017-11-06 오후 3:20:34 족집게 기출문제 15~17강 p. 68~71 2 4 7 ② 12 ① 17 ① 22 ① 3 ③ 1 ③ 8 10 6 ① 13 ④ 11 ② 18 6 16 ④ 21 ② 23 ⑤ 26 ⑴ 0, 2, 4 또는 0, 4, 8 또는 2, 4, 6 또는 4, 6, 8 ⑵ 20 27 dbace 28 18 4 17 9 54 14 ② 19 ⑤ 24 ③ 5 ② 10 ④ 15 ③ 20 ② 25 ① 1 36을 소인수분해하면 36=2@\3@ 즉, 36과 서로소가 아닌 자연수는 2 또는 3을 소인수로 갖 는 자연수이므로 2의 배수 또는 3의 배수이다. 1부터 100까지의 자연수 중에서 2의 배수는 50개, 3의 배 수는 33개이다. 이때 2의 배수이면서 3의 배수인 수, 즉 6의 배수는 16개이 다.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의 개수는 50+33-16=67 2 한 개의 가격이 400원, 800원인 빵을 각각 x개, y개 산다 고 하면 400x+800y=3600 yy`㉠ ∴ x+2y=9 이때 x, y는 자연수이므로 방정식 ㉠을 만족하는 x, y의 값 을 순서쌍 (x, y)로 나타내면 {1, 4}, {3, 3}, {5, 2}, {7, 1} 이므로 구하는 방법의 수는 4이다. 3 네 학생 A, B, C, D의 학생증을 각각 a, b, c, d라고 하 면 네 학생이 모두 자신의 것이 아닌 학생증을 받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A - B - C - D c - - d a c - d - a d - a - c a - d - b b c b a - b - a a - b - a a - b - d c b c d 4 10000원짜리 지폐 1장으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과 5000원 짜리 지폐 2장으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은 같다. 즉, 10000원짜리 지폐 1장을 5000원짜리 지폐 2장으로 생 각하면 구하는 금액의 수는 1000원짜리 지폐 2장, 5000원 짜리 지폐 5장으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의 수와 같다. 1000원짜리 지폐 2장으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은 0원, 1000원, 2000원으로 그 금액의 수는 3 5000원짜리 지폐 5장으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은 0원, 5000원, 10000원, 15000원, 20000원, 25000원으로 그 금 액의 수는 6 이때 0원을 지불하는 경우는 제외하므로 구하는 금액의 수는 3\6-1=17 5 영역 C에 칠할 수 있는 색은 5가지, 영역 A에 칠할 수 있 는 색은 영역 C에 칠한 색을 제외한 4가지, 영역 B에 칠할 수 있는 색은 두 영역 A, C에 칠한 색을 제외한 3가지, 영 역 E에 칠할 수 있는 색은 두 영역 B, C에 칠한 색을 제외 한 3가지, 영역 D에 칠할 수 있는 색은 두 영역 C, E에 칠 한 색을 제외한 3가지이다.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5\4\3\3\3=540 6 540을 소인수분해하면 540=2@\3#\5 즉, 540의 홀수인 약수는 3#\5의 양의 약수와 같다. 이때 3#의 양의 약수는 1, 3, 3@, 3#으로 4개, 5의 양의 약수 는 1, 5로 2개이다. 따라서 구하는 홀수인 약수의 개수는 4\2=8 7 {x+y}@{a+b+c}={x@+2xy+y@}{a+b+c} yy ㉠ 두 다항식 x@+2xy+y@, a+b+c의 항의 개수는 각각 3 따라서 ㉠의 전개식에서 서로 다른 항의 개수는 3\3=9 8 n명 중에서 3명을 택하는 순열의 수가 720이므로 nP3=720 n{n-1}{n-2}=720 이때 720=10\9\8이고 n은 3 이상의 자연수이므로 n=10 9 5`7 3?=6 6 7 4?=24 4?=24 꼴인 자연수의 개수는 꼴인 자연수의 개수는 꼴인 자연수의 개수는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9이다.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의 개수는 6+24+24=54 VI. 경우의 수 41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41 2017-11-06 오후 3:20:34 10 ! 20대 참가자가 첫 번째와 마지막 무대에 오르는 경우 20대 참가자 3명 중에서 2명을 뽑아 첫 번째와 마지막 13 선수 9명의 순서를 정하는 방법의 수는 선수 9명을 일렬로 세우는 경우의 수와 같다. 무대에 세우는 경우의 수는 3P2=6 나머지 참가자 4명을 무대에 세우는 경우의 수는 4?=24 즉, 20대 참가자가 첫 번째와 마지막 무대에 오르는 경 우의 수는 6\24=144 @ 30대 참가자가 첫 번째와 마지막 무대에 오르는 경우 30대 참가자 2명을 첫 번째와 마지막 무대에 세우는 경 우의 수는 2?=2 나머지 참가자 4명을 무대에 세우는 경우의 수는 4?=24 즉, 30대 참가자가 첫 번째와 마지막 무대에 오르는 경 우의 수는 2\24=48 !, @에 의하여 구하는 방법의 수는 144+48=192 11 부부끼리 묶어 한 사람으로 생각하면 3명이 일렬로 앉는 방 법의 수는 부부끼리 서로 자리를 바꾸는 방법의 수는 각각 3?=6 2?=2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6\2\2\2=48 12 ! 수학책 사이에 과학책 2권만 꽂는 경우 수학책 2권과 그 사이의 과학책 2권을 묶어 1권으로 생 각하면 2권을 일렬로 꽂는 방법의 수는 2?=2 수학책끼리, 과학책끼리 서로 자리를 바꾸는 방법의 수 는 각각 2?=2 즉, 수학책 사이에 과학책 2권만 꽂는 방법의 수는 2\2\2=8 수학책 2권을 양 끝에 꽂는 방법의 수는 2?=2 나머지 3권을 일렬로 꽂는 방법의 수는 3?=6 즉, 수학책 사이에 과학책 2권, 사회책 1권을 꽂는 방법 의 수는 2\6=12 !, @에 의하여 구하는 방법의 수는 8+12=20 42 정답과 해설 오른손 타자인 주장을 맨 앞에 세우는 방법의 수는 나머지 오른손 타자 5명을 주장 뒤로 일렬로 세우는 방법의 왼손 타자 3명을 오른손 타자 사이사이와 맨 뒤의 6개의 자 리에 세우는 방법의 수는 6P3=120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1\120\120=14400 14 6개의 문자를 일렬로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4개의 자음 L, M, N, D 중에서 양 끝에 오는 2개의 자음 을 택하는 경우의 수는 그 각각에 대하여 나머지 4개를 일렬로 배열하는 경우의 수 1 수는 5?=120 6?=720 4P2=12 는 4?=24 즉, 양 끝에 모두 자음이 오는 경우의 수는 12\24=288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720-288=432 15 ① nC0=1, nCn=1이므로 nC0=nCn ② nCr= nPr r? 이므로 nPr=nCr\r? ③, ④ nCr=nCn-r이므로 n'1Cr=n'1Cn'1-r ⑤ n\n-1Cr-1 =n\ {n-1}? {r-1}?{n-r}? = n? {r-1}?{n-r}? r\nCr=r\ n? r?{n-r}? / n\n-1Cr-1=r\nCr = n? {r-1}?{n-r}? 16 n'3Cn'1=28에서 n'3Cn'1=n'3C[n'3]-[n'1]=n'3C2이므로 n'3C2=28 {n+3}{n+2} 2 =28 n@+5n-50=0 {n+10}{n-5}=0 ∴ n=-10 또는 n=5 @ 수학책 사이에 과학책 2권, 사회책 1권을 꽂는 경우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이다.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42 2017-11-06 오후 3:20:34 이때 n은 자연수이므로 n=5 등식 11Cr'2=11C3r-3에서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경우로 나누 개수는 8C2=28 21 8개의 꼭짓점 중에서 2개를 연결하여 만들 수 있는 선분의 @ 11Cr'2=11C11-[r'2]=11C9-r=11C3r-3이므로 어 생각할 수 있다. ! r+2=3r-3이면 r= 5 2 9-r=3r-3이면 4r=12 ∴ r=3 그런데 r는 자연수이므로 r=3 / n+r=5+3=8 17 A 음식점에서 주문하는 방법의 수는 3C2\2C1=3C1\2C1=3\2=6 B 음식점에서 주문하는 방법의 수는 4C2\4C1=6\4=24 C 음식점에서 주문하는 방법의 수는 2C2\5C1=1\5=5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6+24+5=35 의 수와 같으므로 4C2=6 19 15명 중에서 4명을 뽑는 방법의 수는 15C4=1365 4명을 모두 여자로 뽑는 방법의 수는 ` 6C4=6C2=15 4명을 모두 남자로 뽑는 방법의 수는 `9C4=126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1365-{15+126}=1224 18 구하는 집합의 개수는 집합 A의 원소 중에서 6의 약수, 즉 1, 2, 3, 6을 제외한 원소 4, 5, 7, 8에서 2개를 뽑는 조합 이때 팔각형의 변의 개수는 8이다. 따라서 구하는 대각선의 개수는 28-8=20 22 7개의 점 중에서 3개를 택하는 방법의 수는 7C3=35 반원의 지름 위의 4개의 점 중에서 3개를 택하는 방법의 수는 4C3=4C1=4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의 개수는 35-4=31 23 같은 학년 학생이 앉는 자리를 같은 색으로 나타내어 좌석 6개를 3개의 영역으로 나누면 같은 학년 학생끼리 앞뒤로 앉거나 옆으로 나란히 앉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3가지 경우 가 있다. ! F1 F1 F1 F2 F2 F2 F3 F3 F3 G1 G1 G1 G2 G2 G2 G3 G3 G3 @ F1 F1 F1 F2 F2 F2 F3 F3 F3 G1 G1 G1 G2 G2 G2 G3 G3 G3 # F1 F1 F1 F2 F2 F2 F3 F3 F3 G1 G1 G1 G2 G2 G2 G3 G3 G3 영역에 앉는 방법의 수는 3?=6 방법의 수는 각각 2?=2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3\6\2\2\2=144 같은 학년 학생을 묶어 한 사람으로 생각하면 3명이 3개의 그 각각에 대하여 같은 학년 학생끼리 서로 자리를 바꾸는 성은이와 희근이를 한 사람으로 생각하면 4명을 일렬로 세 붙여야 한다. 20 성은이와 희근이를 포함하여 5명을 뽑는 방법의 수는 성은 이와 희근이를 제외한 7명 중에서 3명을 뽑는 방법의 수와 같으므로 7C3=35 4?=24 2?=2 우는 방법의 수는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35\24\2=1680 성은이와 희근이가 서로 자리를 바꾸는 방법의 수는 24 조건 ㈎에 의하여 먼저 ♡ 모양이 그려진 타일 9장을 배열 한 다음 그 사이사이와 양 끝에 ♥ 모양이 그려진 타일을 배 열하면 된다. ! 맨 앞에 ♡ 모양이 그려진 타일을 붙이는 경우 조건 ㈏에 의하여 맨 뒤에는 ♥ 모양이 그려진 타일을 ♡∨♡∨♡∨♡∨♡∨♡∨♡∨♡∨♡♥ 위의 그림에서 ∨ 자리에 ♥ 모양이 그려진 타일을 붙 이면 되므로 ♥ 모양이 그려진 타일을 붙이는 방법의 수는 ♡ 모양이 그려진 타일 사이사이의 8개의 자리 중 에서 3개를 택하는 방법의 수와 같다. / 8C3=56 VI. 경우의 수 43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43 2017-11-06 오후 3:20:35 27 a로 시작하는 문자열의 개수는 4?=24 b로 시작하는 문자열의 개수는 4?=24 c로 시작하는 문자열의 개수는 4?=24 da로 시작하는 문자열의 개수는 3?=6 즉, a로 시작하는 문자열부터 da로 시작하는 문자열까지의 yy`㈎ 총 개수는 24+24+24+6=78 따라서 79번째에 오는 문자열은 dbace이다. yy`㈏ yy`㈐ 채점 기준 ㈎ a, b, c로 시작하는 문자열의 개수를 각각 구한다. ㈏ da로 시작하는 문자열까지의 총 개수를 구한다. ㈐ 79번째에 오는 문자열을 구한다. 배점 3점 2점 2점 28 조건 ㈎를 만족하려면 집합 Y의 8개의 원소 중에서 5개를 뽑아 작은 수부터 집합 X의 원소에 차례로 대응시키면 된다. f X -2 -1 0 1 2 Y 1 3 5 7 9 11 13 15 그런데 조건 ㈏에서 f{0}=7이므로 위의 그림과 같이 집합 Y의 원소 1, 3, 5 중에서 2개를 뽑아 작은 수부터 집합 X 의 원소 -2, -1에 차례로 대응시키고, 집합 Y의 원소 9, 11, 13, 15 중에서 2개를 뽑아 작은 수부터 집합 X의 원소 1, 2에 차례로 대응시키면 된다. 집합 Y의 원소 1, 3, 5 중에서 2개를 뽑는 방법의 수는 3C2=3C1=3 yy`㈎ 집합 Y의 원소 9, 11, 13, 15 중에서 2개를 뽑는 방법의 수 는 4C2=6 따라서 구하는 함수 f의 개수는 3\6=18 채점 기준 ㈎ 원소 -2, -1에 대응시키는 방법의 수를 구한다. ㈏ 원소 1, 2에 대응시키는 방법의 수를 구한다. ㈐ 함수 f 의 개수를 구한다. yy`㈏ yy`㈐ 배점 3점 3점 2점 @ 맨 앞에 ♥ 모양이 그려진 타일을 붙이는 경우 ♥♡∨♡∨♡∨♡∨♡∨♡∨♡∨♡∨♡∨ 위의 그림에서 ∨ 자리에 ♥ 모양의 타일을 붙이면 되 므로 ♥ 모양이 그려진 타일을 붙이는 방법의 수는 ♡ 모양이 그려진 타일 사이사이와 맨 끝의 9개의 자리 중 에서 3개를 택하는 방법의 수와 같다. / 9C3=84 !, @에 의하여 구하는 방법의 수는 56+84=140 25 다음 그림과 같이 두 선분 L, m을 연장하여 큰 정사각형을 만들자. m L 이때 가로 방향의 선분 6개 중에서 2개, 세로 방향의 선분 6 개 중에서 2개를 택하면 한 개의 직사각형이 결정되므로 직 사각형의 개수는 6C2\6C2=225 이때 색칠한 정사각형을 포함하는 직사각형을 만드는 경우 의 수는 가로, 세로 방향의 선분을 2개씩 택할 때, 두 선분 L, m이 포함되는 경우의 수와 같으므로 5C1\5C1=25 따라서 구하는 직사각형의 개수는 225-25=200 26 ⑴ 3의 배수가 되려면 각 자리의 숫자의 합이 3의 배수이어 야 한다. 5개의 숫자 0, 2, 4, 6, 8 중에서 서로 다른 3개를 택할 때, 그 합이 3의 배수인 경우는 다음과 같다. 0, 2, 4 또는 0, 4, 8 또는 2, 4, 6 또는 4, 6, 8 yy`㈎ ⑵ ! 0, 2, 4로 만들 수 있는 세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 0, 4, 8로 만들 수 있는 세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 2, 4, 6으로 만들 수 있는 세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2\2?=4 2\2?=4 3?=6 3?=6 $ 4, 6, 8로 만들 수 있는 세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yy`㈏ !~$에 의하여 3의 배수인 세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yy`㈐ 4+4+6+6=20 채점 기준 ㈎ 3의 배수가 되도록 3개의 숫자를 택하는 경우를 모두 ㈏ 각 경우에서 만들 수 있는 세 자리 자연수의 개수를 구 구한다. 한다. ㈐ 3의 배수인 세 자리 자연수의 개수를 구한다. 배점 2점 4점 1점 44 정답과 해설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44 2017-11-06 오후 3:20:35 01~02강 내공 점검 1 ④ 6 ④ 11 0 2 ③ 7 ⑤ 12 37 3 ② 8 ③ 13 9 4 ④ 9 ⑤ p. 74~75 5 ② 10 ② 1 ① 91, 2, 3, y, 90 ② 911, 12, 13, y0 ③ Z ④ ‘조금 큰’은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그 대상을 분명하게 정할 수 없으므로 집합이 아니다. ⑤ 99, 110 따라서 집합이 아닌 것은 ④이다. 내공 점검 7 ⑤ 91, 2, 30;A 8 -1{A이므로 -1{B / a-1=-1 또는 2a+3=-1 ! a-1=-1일 때, a=0이므로 A=9-1, 20, B=9-1, 2, 30 / A[B @ 2a+3=-1일 때, a=-2이므로 A=9-1, 00, B=9-3, -1, 20 / A;B !, @에 의하여 a=0 / B=9-1, 2, 30 따라서 집합 B의 모든 원소의 합은 -1+2+3=4 2 ㄱ. 9x|x=2n-1, n은 정수0=9y, -3, -1, 1, 3, y0 ㄴ. 9x|x=2k+1, k는 음이 아닌 정수0=91, 3, 5, y0 ㄷ. 9x|x는 2의 배수보다 1이 큰 자연수0=93, 5, 7, y0 ㄹ. 9x|x는 홀수가 아닌 자연수0=92, 4, 6, y0 ㅁ. 9x|x는 2로 나누어떨어지지 않는 자연수0=91, 3, 5, y0 따라서 보기 중 서로 같은 집합은 ㄴ, ㅁ이다. 9 a=0이므로 a+1=1, 2a+1=1, 3-a=3 따라서 3-a=1이므로 a=2 이때 A=91, 3, 50, B=91, 3, 50이므로 A=B / a=2 3 X=92, 4, 5, 8, 100 / n{X}=5 4 ③ A=92, 3, 5, 70이므로 n{A}=4 ④ n{91, 20}-n{Z}=2-0=2 ⑤ B=94, 5, 6, 7, 8, 9, 10, 110이므로 n{B}=8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5 조건 ㈎에서 1{A이고, 조건 ㈏에서 x{A이면 2x+1{A이므로 2\1+1=3{A 3{A이면 2\3+1=7{A 7{A이면 2\7+1=15{A (ㄴ) ⋮ 한편 x{A이면 2x+1{A이므로 2x+1{A이면 2{2x+1}+1=4x+3{A (ㄷ) 따라서 보기 중 옳은 것은 ㄴ, ㄷ이다. 6 X[A이고 A;X인 집합 X는 집합 A의 진부분집합이다. A=9x||x|<2, x는 정수0에서 A=9-2, -1, 0, 1, 20 따라서 집합 X의 개수는 2%-1=31 10 집합 A=9a, b, c, d, e, f 0의 부분집합 중 원소 f 는 반드 시 포함하고 원소 a, b는 포함하지 않는 집합은 집합 A에 서 원소 a, b, f 를 제외한 집합 9c, d, e0의 부분집합에 원 소 f를 넣은 것과 같으므로 구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8 11 A=9-1, 0, 1, 20이므로 yy`㈎ n{A}=4 B=9x|x는 4의 양의 약수0=91, 2, 40이므로 yy`㈏ n{B}=3 C=9x+y|x{A, y{B0=90, 1, 2, 3, 4, 5, 60이므로 yy`㈐ n{C}=7 yy`㈑ / n{A}+n{B}-n{C}=4+3-7=0 채점 기준 ㈎ n{A}를 구한다. ㈏ n{B}를 구한다. ㈐ n{C}를 구한다. ㈑ n{A}+n{B}-n{C}의 값을 구한다. 배점 2점 3점 3점 2점 12 집합 A=91, 3, 5, 70의 부분집합 중 가장 작은 원소가 1인 부분집합의 개수는 집합 A의 부분집합 중 1을 반드시 포함 하는 집합의 개수와 같으므로 2$_!=8 yy`㈎ 집합 A=91, 3, 5, 70의 부분집합 중 가장 작은 원소가 3인 부분집합의 개수는 집합 93, 5, 70의 부분집합 중 3을 반드 시 포함하는 집합의 개수와 같으므로 2#_!=4 yy`㈏ 내공 점검 45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45 2017-11-06 오후 3:20:35 집합 A=91, 3, 5, 70의 부분집합 중 가장 작은 원소가 5인 부분집합의 개수는 집합 95, 70의 부분집합 중 5를 반드시 포함하는 집합의 개수와 같으므로 2@_!=2 집합 A=91, 3, 5, 70의 부분집합 중 가장 작은 원소가 7인 부분집합은 집합 970뿐이므로 개수는 1 yy`㈑ yy㈐ 따라서 각 집합에서 가장 작은 원소를 모두 더한 값은 1\8+3\4+5\2+7\1=37 yy`㈒ 채점 기준 ㈎ 가장 작은 원소가 1인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한다. ㈏ 가장 작은 원소가 3인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한다. ㈐ 가장 작은 원소가 5인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한다. ㈑ 가장 작은 원소가 7인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한다. ㈒ 각 집합에서 가장 작은 원소를 모두 더한 값을 구한다. 배점 2점 2점 2점 2점 2점 13 A[X[B를 만족하는 집합 X는 집합 A의 원소를 모두 yy`㈎ 포함하는 집합 B의 부분집합이다. A=9x|x는 6의 양의 약수0=91, 2, 3, 60이므로 yy`㈏ n{A}=4 B=9x|0-a-2, 즉 a>-1일 때 B=9x|-a-2-5, a<9 / a<3 그런데 a>-1이므로 -1-5, -a-2<9 / a>-5 그런데 a<-1이므로 -53a-10 조건 ~q의 진리집합은 QC이므로 QC=9x|-3-3, 3a-1>3 / 0}이면 ~{x>0이고 y>0}이다.’이므로 ‘x+y<0이면 x<0 또는 y<0이다.’ 4 ㄱ. 역: x+y가 정수이면 x, y는 정수이다. (거짓) ㄴ. 역: ab=0이면 a=0이다. (거짓) [반례] a=2, b=0이면 ab=0이지만 a=0이다. ㄷ. 역: CB=CC이면 삼각형 ABC는 이등변삼각형이다. (참) 따라서 보기의 명제 중 그 역이 참인 것은 ㄷ이다. 5 카드의 한쪽 면에 모음이 적혀 있으면 반대쪽 면에는 짝수 가 적혀 있다고 했으므로 모음이 적혀 있는 카드 e 의 반 대쪽 면을 확인해야 한다. 또 명제가 참이면 그 명제의 대우도 참이므로 카드의 한쪽 면에 홀수가 적혀 있으면 반대쪽 면에는 자음이 적혀 있어 즉, 홀수가 적혀 있는 카드 3 의 반대쪽 면을 확인해야 한다. 따라서 보기 중 반대쪽 면을 확인해야 하는 카드는 ㄴ, 야 한다. ㄹ이다. 48 정답과 해설 6 ①, ② 명제 ~r 이다. 명제 p 명제 p 2! 2! 명제 ~p 2! 짓이다. ~q가 참이므로 그 대우 q r도 참 2! 2! r가 참이므로 삼단논법에 의해 q, q r는 참이다. 2! ~r가 거짓이므로 그 대우 r p는 거 2! 즉, p는 r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③, ④ 명제 ~r ~q가 참이므로 그 대우 q 2! r도 참이 2! 다. 명제 ~q 이다. 2! ~r가 거짓이므로 그 대우 r q도 거짓 2! 즉, q는 r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⑤ p는 r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r는 p이기 위한 필요조 건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①이다. 7 ① p: a=-1 또는 a=1, q: a=1 `q hjj 이므로 p`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② p: a=0, b=0, q: a=0 또는 b=0 q 이므로 p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③ p: a=0 또는 b=0, q: a=0이고 b=0 `jjk` 이므로 p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hjj` q q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④ p ⑤ p: ab>0, q: ab>0이므로 p `hjk` q `hjj`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따라서 p가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지만 필요조건이 아닌 것은 ②이다. U P Q 른쪽 그림과 같다. ① P5Q=Q ② P6Q=P ③ P5QC=P-Q=Z ④ P6QC=U ⑤ PC-Q=PC5QC={P6Q}C=PC 따라서 항상 옳은 것은 ④이다. 9 a@+b@-2{a-b-1} ={a@-2a+1}+{b@+2b+1} ={a-1}@+ {b+1}@ 이때 {a-1}@>0, {b+1}@ >0이므로 a@+b@-2{a-b-1}>0 따라서 a@+b@>2{a-b-1}이다. 이때 등호는 a-1=0, b+1=0, 즉 a=1, b=-1 일 때 성립한다. / ㈎ {b+1}@ ㈏ a=1, b=-1 [반례] x=j2, y=-j2이면 x+y는 정수이지만 x, y 는 정수가 아니다. 8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P]Q 이것을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오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48 2017-11-06 오후 3:20:36 10 x, y는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2@+ {x@+y@}> 2x+ [ 1 2@ ] y 2 ]@ [ 17 4 {x@+y@}>{2j17k}@ / x@+y@>16 따라서 x@+y@의 최솟값은 16이다. [단, 등호는 2y= x 2 일 때 성립] 11 ⑴ ‘자연수 n에 대하여 n이 짝수이면 n@도 짝수이다.’ ⑵ 주어진 명제의 대우가 참임을 보이면 된다. yy`㈎ n이 짝수이면 n=2k (k는 자연수)로 나타낼 수 있다. yy`㈏ 이때 n@={2k}@=4k@=2\2k@이므로 n@은 짝수이다. yy`㈐ 따라서 주어진 명제의 대우가 참이므로 주어진 명제 ‘자 연수 n에 대하여 n@이 홀수이면 n도 홀수이다.’는 참이 yy`㈑ 다. 채점 기준 ㈎ 주어진 명제의 대우를 말한다. ㈏ n을 짝수로 표현한다. ㈐ n@이 짝수임을 보인다. ㈑ 대우를 이용한 증명법을 이용하여 결론을 쓴다. 배점 2점 3점 3점 2점 12 세 조건 p, q, r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 R라고 하면 x@-x-2<0에서 {x+1}{x-2}<0 / -12 따라서 a의 최댓값은 -1, b의 최솟값은 2이므로 yy`㈒ 구하는 합은 -1+2=1 채점 기준 ㈎ 집합 P를 구한다. ㈏ 두 집합 P, Q 사이의 포함 관계를 구한다. ㈐ 두 집합 P, R 사이의 포함 관계를 구한다. ㈑ a, b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 a의 최댓값과 b의 최솟값을 구한다. ㈓ a의 최댓값과 b의 최솟값의 합을 구한다. yy`㈓ 배점 2점 1점 1점 2점 2점 2점 13 x>0일 때, x@+1 x >0, 4x x@+1 >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y = x@+1 x / b=4 + 4x x@+1 >2r x@+1 x \ 4x x@+1 y=4 yy`㈎ yy`㈏ 일 때 성립하므로 = 4x x@+1 이때 등호는 x@+1 x {x@+1}@=4x@, x$-2x@+1=0 {x@-1}@=0, x@=1 / x=-1 또는 x=1 그런데 x>0이므로 x=1 / a=1 / a+b=5 채점 기준 ㈎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한다. ㈏ b의 값을 구한다. ㈐ a의 값을 구한다. ㈑ a+b의 값을 구한다. yy`㈐ yy`㈑ 배점 2점 3점 3점 2점 08~10강 내공 점검 4 ④ 1 ⑤ 6 ③ 9 ③ 11 ⑴ n{A}=24, n{B}=16 ⑵ 34 12 1 2 ③ 7 ⑤ 3 ④ 8 ④ p. 80~81 5 ① 10 ① 13 12 1 ⑤ X의 각 원소 -1, 0, 1에 Y의 원소 3, 1, 2가 하나씩 대응되므로 함수이다. +1, f{-1}= +1, f{0}=1, f{1}= +1, 1 a 1 a 2 f{-2}= 4 a f{2}= 4 a +1 이고, 치역의 모든 원소의 합이 10이므로 10 a \2+1=10, \2+ +1 +1 1 a 4 a [ ] =5 [ ] / a=2 3 ㄱ. f{xy}=f{x}+f{y}에 x=1, y=1을 대입하면 f{1\1}=f{1}+f{1} / f{1}=0 (참) ㄴ. f{2}=2이므로 f{xy}=f{x}+f{y}에 x=2, y= 1 2 을 대입하면 1 2 ] 2\ f [ / f [ 1 2 ] =f{2}+f [ 1 2 ], 0=2+f [ 1 2 ] =-2 (거짓) 내공 점검 49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49 2017-11-06 오후 3:20:37 1 a 을 대 9 g{x}=x+3이므로 ㄷ. a>0이므로 f{xy}=f{x}+f{y}에 x=a, y= 입하면 f [ a\ 1 a ] 1 a ] =f{a}+f [ 1 a ] / f [ 1 a ] 0=f{a}+f [ 따라서 보기 중 옳은 것은 ㄱ, ㄷ이다. =-f{a} (참) 4 f{x}= 2x - -2{a-1}x+2a {x<1} {x>1} 이때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 되려면 x>1일 때 기울기가 양수이므로 x<1일 때도 기울기가 양수이어야 한다. -2{a-1}>0에서 a-1<0 / a<1 5 { f`J`g}{x}=2{-x+k}+1=-2x+2k+1 { g`J`f }{x}=-{2x+1}+k=-2x-1+k 이때 { f`J`g}{x}={ g`J`f }{x}이므로 -2x+2k+1=-2x-1+k / k=-2 6 함수 f 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 f f f X 1 2 3 4 X 1 2 3 4 X 1 2 3 4 X 1 2 3 4 X 1 2 3 4 y 따라서 f ${x}=x이므로 f 2021{1}=f $|%)%"!{1}=f{1}=4, f 2020{4}=f $|%)%{4}=4 / f 2021{1}-f 2020{4}=0 7 f{x}= 1 3 x-1이고 { f J g}{x}=f{ g{x}}=x- 1 3 이므로 g{x}-1=x- 1 3 / g{x}=3x+2 1 3 / g [ 1 3 ] 1 3 =3\ +2=3 8 f [ 2 f _!{x}+ =x에서 x x-1 ] 2 f _!{x}+ =f _!{x} x x-1 x 1-x / f _!{x}= k 1-k / f{2}= 2 3 50 정답과 해설 f{2}=k ( k는 상수)라고 하면 f _!{k}=2이므로 =2, k=2-2k / k= 2 3 { f _!`J`g}{3}=f _!{ g{3}}=f _!{6} 이때 f _!{6}=k ( k는 상수)라고 하면 f{k}=6 ! k>0이면 f{k}=k@+k=6 k@+k-6=0, {k+3}{k-2}=0 / k=-3 또는 k=2 그런데 k>0이므로 k=2 @ k<0이면 f{k}=2k=6 / k=3 그런데 이 값은 k<0을 만족하지 않는다. !, @에 의하여 k=2 / { f _!`J`g}{3}=2 10 y=x y=f{x} y e d c b a O ba c d e x { f _!`J`f _!}{c}=f _!{ f _!{c}}이므로 f _!{c}=m이라고 하면 f{m}=c이므로 m=b f _!{b}=n이라고 하면 f{n}=b이므로 n=a / { f _!`J`f _!}{c} =f _!{ f _!{c}} =f _!{b}=a 11 ⑴ 집합 A는 일대일함수의 집합이므로 yy`㈎ n{A}=4\3\2=24 집합 B의 원소의 개수는 집합 92, 30에서 집합 94, 5, 6, 70로의 함수의 개수와 같으므로 n{B}=4\4=16 yy`㈏ ⑵ 집합 A5B는 f{1}=4를 만족하는 일대일함수의 집합 이므로 집합 A5B의 원소의 개수는 집합 92, 30에서 집합 95, 6, 70로의 일대일함수의 개수와 같다. / n{A5B}=3\2=6 / n{A6B} =n{A}+n{B}-n{A5B} yy`㈐ =24+16-6 =34 채점 기준 ㈎ n{A}를 구한다. ㈏ n{B}를 구한다. ㈐ n{A5B}를 구한다. ㈑ n{A6B}를 구한다. yy`㈑ 배점 3점 3점 2점 2점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50 2017-11-06 오후 3:20:37 { g_!`J`f }_!{-1}=2 / { f _!`J`{ g J f _!}_!}{-1}+{ g_!`J`f }_!{-1} yy`㈏ 2 1- 1 1 1- 1- 1 1-x =1- 1- 12 { f _!`J`{ g J f _!}_!}{-1} ={ f _!`J`f`J`g_!}{-1} =g_!{-1} g_!{-1}=a (a는 상수)라고 하면 g{a}=-1이므로 3a+2=-1 / a=-1 즉, g_!{-1}=-1이므로 =f _!{ g{-1}} =f _!{-1} f _!{-1}=b (b는 상수)라고 하면 f{b}=-1이므로 -2b+3=-1 / b=2 즉, f _!{-1}=2이므로 { f _!`J`{ g J f _!}_!}{-1}=-1 { g_!`J`f }_!{-1} ={ f _!`J`g}{-1} yy`㈎ =-1+2 =1 채점 기준 ㈎ { f _!`J`{ g`J`f _!}_!}{-1}의 값을 구한다. ㈏ { g_!`J`f }_!{-1}의 값을 구한다. ㈐ { f _!`J`{ g`J`f _!}_!}{-1}+{ g_! J`f }_!{-1}의 값 을 구한다. yy`㈐ 배점 4점 4점 2점 13 y=f{x} y=x y=f_!{x} y 2 O -4 -2 2 x -2 -4 yy`㈎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f _!{x}의 그래프 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로 둘러싸인 도형의 yy`㈏ 넓이의 2배이다. 위의 그림과 같이 함수 y=f{x}의 그래프는 직선 y=x와 두 점 {-4, -4}, {2, 2}에서 만나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1 2 2 [ \2\4+ \2\2 =12 ] 1 2 채점 기준 ㈎ y=f{x}의 그래프를 그린다. ㈏ y=f{x}와 y=f _!{x}의 그래프가 직선 y=x에 대 하여 대칭임을 이용한다. ㈐ y=f{x}와 y=f _!{x}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한다. 11~12강 내공 점검 1 ③ 6 ② 11 -1 또는 2 2 ② 7 ① p. 82~83 5 ② 10 ⑤ 3 ⑤ 8 ③ 12 4 4 ④ 9 ① 13 -10 1 x+2 x-3 + x-5 x@-x-6 = x+2 x-3 + x-5 {x-3}{x+2} = {x+2}@+x-5 {x-3}{x+2} = x@+5x-1 {x-3}{x+2} 따라서 x@+5x-1 {x-3}{x+2} = x@+ax+b {x-3}{x+2} 이므로 a=5, b=-1 / a+b=4 1 1 -x 1-x 1 1-x x =1- 1+ =1- 1 1 x =1-x 3 1 ab + + = 1 ca a+b+c abc 1 bc =0이므로 a+b+c=0 yy ㉠ a@+1 bc + b@+1 ca + c@+1 ab = {a@+1}a+{b@+1}b+{c@+1}c abc = a#+b#+c#+a+b+c abc = a#+b#+c# abc (? ㉠) = {a+b+c}{a@+b@+c@-ab-bc-ca}+3abc abc = 3abc abc (? ㉠) =3 4 2x=3y, 5y=4z에서 yy`㈐ 배점 3점 3점 4점 x= 3 2 y, z= 3 2 y`:`y`:` 5 4 y이므로 5 4 y=6`:`4`:`5 x`:`y`:`z= x=6k, y=4k, z=5k{k>0}라고 하면 3x-2y+4z x+y+z = 18k-8k+20k 6k+4k+5k 30k 15k =2 = 내공 점검 51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51 2017-11-06 오후 3:20:37 x 2 3$ y O -2 -3 x 1-2x x 1-2x 1- = x 1-3x f #{x}={ f`J`f @}{x}= ⋮ / f !)){x}= x 1-100x ax+b cx+1 이므로 = 따라서 x 1-100x a=1, b=0, c=-100 / ab+c=-100 10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가 점 {1, 1}을 지나므로 5 y= -3x+4 x-2 = -3{x-2}-2 x-2 =- 2 x-2 -3 이므로 y= -3x+4 x-2 의 그래프는 y=- 2 x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 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3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제2사 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6 x@-5x+4>0에서 {x-1}{x-4}>0 / x<1 또는 x>4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정의역은 9x|x<1 또는 x>40 x-3+7 x-3 7 x-3 이므로 x<1 또는 x>4에서 x+4 x-3 y= = = +1 y = x+4 x-3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x=4일 때, M=8 x=1일 때, m=- 5 2 / M+m= 11 2 7 ㄱ. y= 2{x-1}+1 x-1 = ㄴ. y= 2{x-1}+2 x-1 = 1 x-1 2 x-1 +2 +2 ㄷ. y= 2x-1+1 2x-1 = 1 2x-1 +1 y 8 1 O - 2% -4 1 3 4 x a+b 3 =1 / a+b=3 yy`㉠ y= ax+b x+2 를 x에 대하여 풀면 y{x+2}=ax+b {y-a}x=-2y+b / x= -2y+b y-a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2x+b x-a / f _!{x}= -2x+b x-a 이때 f _!{x}=f{x}이므로 = ax+b x+2 -2x+b x-a / a=-2 a=-2를 ㉠에 대입하면 b=5 / b-a=7 따라서 보기의 유리함수 중 그 그래프를 평행이동하여 유 리함수 y= 1 x 의 그래프와 겹쳐질 수 있는 것은 ㄱ이다. 8 y= ax-1 x+2 = a{x+2}-2a-1 x+2 = -2a-1 x+2 +a 이므로 주어진 유리함수의 그래프는 점 {-2, a}에 대하여 대칭이다. 점 {-2, a}는 두 직선 y=x+b, y=-x+2의 교점이므로 a=-2+b, a=-{-2}+2 / a=4, b=6 / a+b=10 9 f !{x}=f{x}= x 1-x f @{x}={ f`J`f }{x}= x 1-x x 1-x 1- = x 1-2x 52 정답과 해설 11 = a+2b 3c 2b+3c a 3c+a 2b 에서 a+2b=3ck, 2b+3c=ak, 3c+a=2bk yy ㉠ =k = yy`㈎ yy`㈏ 위 세 식을 변끼리 더하면 2{a+2b+3c}={a+2b+3c}k ! a+2b+3c=0일 때 k=2 @ a+2b+3c=0일 때 에 대입하면 a+2b=-3c, 2b+3c=-a, 3c+a=-2b이므로 ㉠ k=-1 yy`㈐ !, @에 의하여 구하는 실수 k의 값은 -1 또는 2이다. 채점 기준 ㈎ 주어진 식을 정리하여 k에 대한 등식을 만든다. ㈏ a+2b+3c=0일 때, k의 값을 구한다. ㈐ a+2b+3c=0일 때, k의 값을 구한다. 배점 2점 4점 4점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52 2017-11-06 오후 3:20:38 y= x+a x-1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y축의 방향 -1의 그래프와 일치해야 하므로 12 y = = {x-1}+a+1 x-1 x+a x-1 a+1 x-1 1-x x+1 2 x+1 = +1 y = = -{x+1}+2 x+1 = -1 으로 n만큼 평행이동하면 y= a+1 x-m-1 +1+n 이 그래프가 y= 2 x+1 a+1=2, -m-1=1, 1+n=-1 / a=1, m=-2, n=-2 / amn=4 채점 기준 +q 꼴로 변형한다. +q 꼴로 변형한다. ㈏ y= ㈎ y= k x-p x+a x-1 를 y= k 1-x x+1 를 y= x-p ㈐ a, m, n의 값을 구한다. ㈑ amn의 값을 구한다. -3{x-2}-1 x-2 13 y = 5-3x x-2 = 1 x-2 =- -3 이므로 점근선의 방정식은 y = x=2, y=-3 ax-2 2x+b a 2 = {2x+b}- -2 ab 2 2x+b +2 ab 2 2x+b + a 2 =- 이므로 점근선의 방정식은 x=- , y= b 2 a 2 b 2 - =2, a 2 / a=-6, b=-4 =-3 / a+b=-10 두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점근선이 서로 일치하므로 채점 기준 ㈎ y= ㈏ y= 5-3x x-2 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ax-2 2x+b 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 a, b의 값을 구한다. ㈑ a+b의 값을 구한다. yy`㈎ yy`㈏ yy`㈐ yy`㈑ 배점 2점 2점 4점 2점 yy`㈎ yy`㈏ yy`㈐ yy`㈑ 배점 3점 4점 2점 1점 13~14강 내공 점검 2 ④ 1 ② 6 ⑤ 7 ③ 11 j5-2 12 21 3 ③ 8 ③ 13 6 p. 84~85 4 ② 9 ⑤ 5 ① 10 ④ 1 f{n}=j2n+1l+j2n-1l이므로 1 f{n} = 1 j2n+1l+j2n-1l = j2n+1l-j2n-1l 2 / + 1 f{1} = j3-j1 2 1 f{2} + 1 f{3} + j5-j3 2 +y+ + j7-j5 2 1 f{60} +y+ j121l-j119l 2 = -j1+j121l 2 = -1+11 2 = =5 10 2 2 ! 8+2x-x@>0에서 x@-2x-8<0 {x+2}{x-4}<0 / -20}의 그래프를 x 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yy`㉠ 것이므로 무리함수의 식은 y=1a{x+2}3+1 {a>0} ㉠의 그래프가 점 {0, 3}을 지나므로 3=j2ak+1, j2ak=2 / a=2 a=2를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y=12{x+2}3+1=j2x+4l+1 이 식을 y=jax+bl+c와 비교하면 a=2, b=4, c=1 / abc=8 8 { f`J`{g`J`f }_!`J`f }{3} ={ f`J`f _!`J`g_!`J`f }{3} ={g_!`J`f }{3} =g_!{ f{3}} =g_!{3} g_!{3}=k ( k는 상수)라고 하면 g{k}=3이므로 j3k-6l=3, 3k-6=9 / k=5 / { f`J`{g`J`f }_!`J`f }{3}=5 9 두 함수는 서로 역함수 관계에 있으므로 두 함수의 그래프 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이때 무리함수 y=2jx+1l-1은 x의 값이 증가할 때 y의 값 도 증가하므로 두 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은 y=2jx+1l-1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과 같다. 2jx+1l-1=x에서 2jx+1l=x+1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x@-2x-3=0 {x+1}{x-3}=0 / x=-1 또는 x=3 따라서 주어진 두 함수의 그래프는 두 점 {-1, -1}, {3, 3}에서 만나므로 두 교점 사이의 거리는 1{3+1}@+{3+1}@3=4j2 10 y=j9-3xl=1-3{x-3}3이므로 이 함수의 그래프는 y=j-3xl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 이고, y=-x+k는 기울기가 -1이고 y절편이 k인 직선 이다. 54 정답과 해설 !@ y y= 9-3x 3 O 3 x y=-x+k ! y=j9-3xl의 그래프와 직선 y=-x+k가 접할 때 j9-3xl=-x+k에서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x@+{3-2k}x+k@-9=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고 하면 D={3-2k}@-4{k@-9}=0 / k= 15 4 @ 직선 y=-x+k가 점 {3, 0}을 지날 때 0=-3+k / k=3 따라서 함수 y=j9-3xl의 그래프와 직선 y=-x+k가 서 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기 위한 상수 k의 값의 범위는 3y>0} / jx k-jy k jx k+jy k = {jx k-jy k}@ {jx k+jy k}{jx k-jy k} x+y-2jxyk x-y 2j5-2j4 2 =j5-2 = = 채점 기준 ㈎ x-y의 값을 구한다. ㈏ jx k-jy k jx k+jy k ㈐ jx k-jy k jx k+jy k 의 값을 구한다. 의 분모를 유리화한다. yy`㈎ yy`㈏ yy`㈐ 배점 4점 4점 2점 12 y=-j6-xl-5=-1-{x-6}3-5 이므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y=-j-xk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6만큼, y축의 방향으로 -5만큼 평행이동 한 것이다. a0이므로 x=2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P{2, 2} / △ABP =△AOB+△AOP+△BOP =△AOB+2△AOP = 1 2 \2\2+2\ [ 1 2 \2\2 ] =6 채점 기준 ㈎ 두 점 A, B의 좌표를 구한다. ㈏ 점 P의 좌표를 구한다. ㈐ △ABP의 넓이를 구한다. yy`㈏ yy`㈐ 배점 3점 4점 3점 15~17강 내공 점검 p. 86~87 1 ② 6 ① 11 17 2 ⑤ 7 ② 12 33 3 ③ 8 ③ 13 5명 4 ② 9 ④ 5 ③ 10 ① 1 1부터 50까지의 자연수 중에서 2의 배수는 25개, 5의 배수 는 10개이다. 이때 2의 배수이면서 5의 배수, 즉 10의 배수는 5개이다.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의 개수는 25+10-5=30 2 2a1=a2+a3일 때, a1의 값에 따른 a2, a3의 값을 순서쌍 {a2, a3}으로 나타내면 ! a1=1, 즉 a2+a3=2인 경우 {1, 1}이므로 그 경우의 수는 1 @ a1=2, 즉 a2+a3=4인 경우 $ a1=4, 즉 a2+a3=8인 경우 {2, 6}, {3, 5}, {4, 4}, {5, 3}, {6, 2}이므로 그 경우 의 수는 5 % a1=5, 즉 a2+a3=10인 경우 {4, 6}, {5, 5}, {6, 4}이므로 그 경우의 수는 3 ^ a1=6, 즉 a2+a3=12인 경우 {6, 6}이므로 그 경우의 수는 1 !~^에 의하여 구하는 경우의 수는 1+3+5+5+3+1=18 3 ! A` `B` `C` ! ! ! 2\2\1=4` @ A` ! `C` ! `B` ! 3\2\3=18` `D로 가는 방법의 수는 `D로 가는 방법의 수는 !, @에 의하여 구하는 방법의 수는 4+18=22 4 D 칸에 올 수 있는 수는 2, 4, 6이므로 3개이다. 그 각각에 대하여 D 칸에 적은 수를 제외한 나머지 5개의 수 중에서 3개를 택하여 3개의 칸 A, B, C에 적는 방법의 수는 5P3=60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3\60=180 5 부모를 한 사람으로 생각하면 4명이 일렬로 버스에 타는 경 우의 수는 4?=24 그 각각에 대하여 부모가 서로 순서를 바꾸어 타는 경우의 수는 2?=2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24\2=48 6 조건 ㈎, ㈏를 만족하는 f{1}, f{2}, f{3}의 값은 f{1}=2, f{2}=3, f{3}=6 또는 f{1}=3, f{2}=2, f{3}=6 이므로 그 개수는 2 그 각각에 대하여 일대일대응인 함수 f의 개수는 3?=6 따라서 구하는 함수 f의 개수는 2\6=12 7 서로 평행한 두 직선 위의 점을 하나씩 택하여 연결하면 하 나의 직선을 만들 수 있으므로 6C1\9C1=6\9=54 주어진 두 직선을 포함하면 구하는 직선의 개수는 54+2=56 내공 점검 55 {1, 3}, {2, 2}, {3, 1}이므로 그 경우의 수는 3 # a1=3, 즉 a2+a3=6인 경우 {1, 5}, {2, 4}, {3, 3}, {4, 2}, {5, 1}이므로 그 경우 의 수는 5 8 ! 10C2r=10Cr'4에서 2r=r+4 ∴ r=4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55 2017-11-06 오후 3:20:39 @ 10Cr'4=10C10-[r'4]=10C6-r이므로 10C2r=10C6-r에서 2r=6-r ∴ r=2 !, @에 의하여 구하는 모든 정수 r의 값의 합은 4+2=6 9 생활 공예반 6개 중에서 2개를 택하는 방법의 수는 6C2=15 손뜨개반 4개 중에서 2개를 택하는 방법의 수는 4C2=6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15\6=90 10 구하는 자연수의 개수는 8개의 1을 일렬로 배열한 후, 1 사 이사이와 맨 끝의 8개의 자리에 4개의 0을 배열하는 경우 의 수와 같으므로 8C4=70 11 첫 번째로 꺼낸 공에 적힌 수를 a, 두 번째로 꺼낸 공에 적 힌 수를 b라고 하면 ab가 4의 배수인 경우는 다음과 같이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 a가 짝수인 경우 a가 2 또는 6이면 그 각각에 대하여 b가 될 수 있는 수 는 2, 4, 6으로 3개이다. 또 a가 4이면 b가 될 수 있는 수는 1, 2, 3, 4, 5, 6, 7 로 7개이다. 즉, 두 수 중 한 수가 짝수일 때, 두 수의 곱이 4의 배수 그런데 n>3이므로 yy`㈏ 33이므로 부등식 ㉠의 양변을 n{n-1}로 나누면 n-2<6, 즉 n<8 56 정답과 해설 18고등수학(하)_내공의힘_해설(001~056)OK.indd 56 2017-11-06 오후 3:20:3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