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sson 01 Heart to Heart 06 to, too, music, much 07 like, do, How about you, have, at home 08 How, don’t, for, What subject 04 일요일마다: on Sundays(= every Sunday) 05 dog(개), cat(고양이), tiger(호랑이), pig(돼지)는 모두 짐승(animal)을 가 교과서 문법 다지기 교과서 어휘 다지기 A 01 favorite B 01 love C 01 a lot Step 1 02 subject 02 song D 01 different 02 friendly E 01 cook 04 Sunday 02 show 05 club 03 little 03 great 03 long 03 music 02 every weekend 03 all the time 교과서 어휘 다지기 01 ② 02 ③ Step 2 03 ⑤ 04 on Sundays 또는 every Sunday 05 ③ 06 ⑤ 07 ③ 01 당신이 좋아하고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사람을 ‘친구’라고 한다. ① 학교 ② 친구 ③ 방문객 ④ 클럽 ⑤ 학생 02 post on: ~에 올리다, 게시하다 03 ‘누군가나 무언가를 보거나 듣는 것을 매우 즐기는 사람’은 people(사람들) 이 아닌 fan(팬)의 영영풀이이다. ① 지도 ② 문제 ③ 쓰다 ④ 훌륭한 ⑤ 팬 리키는 단어들이다. 06 동사와 명사로 모두 쓸 수 있는 단어를 골라야 한다. cook: 요리하다 요리사 07 listen to: ~를 듣다 at home: 집에서 교과서 속 핵심 대화 01 My name 02 ④ pp.10~11 교과서 대화 모두 보기 01 F 02 F 06 F 07 F 03 F 08 T pp.12~13 04 F 05 T 교과서 대화 다지기 Step 1 A 01 ( ⓑ ) → ( ⓒ ) → ( ⓐ ) → ( ⓓ ) 02 ( ⓓ ) → ( ⓐ ) → ( ⓒ ) → ⓑ 03 ⓐ → ( ⓒ ) → ( ⓕ ) → ⓔ → ( ⓓ ) → ( ⓖ ) → ⓑ 04 ( ⓔ ) → ( ⓑ ) → ( ⓓ ) → ( ⓒ ) → ⓐ B 01 to, to, too, Do, Not 02 America, from, favorite, so 03 meet, meet, sports, What, favorite 04 from, Who’s, famous, in, see, really, favorite 05 Nice, Nice, My, yellow, blue p.8 교과서 대화 다지기 Step 2 p.17 02 It’s[It is] difficult for me. 03 ⑤ 01 ③ 04 ② 05 ② 06 ④ 07 Who’s the man in the picture? 01 만나서 반갑다는 인사이므로 빈칸에는 Nice, Happy, Pleased, Good, Glad 등이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③의 please를 pleased로 고쳐야 한다. 02 It’s ~.: 그것은 ~이다. difficult: 어려운 for me: 나에게 03 어떤 동물을 가장 좋아하는지 물었으므로 구체적인 동물을 대답한 ⑤가 적 p.9 절하다. 04 Where are you from?은 상대의 출신지를 묻는 표현이므로 I’m from ~. 으 로 답해야 한다. 05 How about you?: 너는 어떠니? 06 be from: ~출신이다 Not really.: 별로. 07 의문사는 의문문에서 제일 앞에 위치한다. in the picture: 사진 속의 교과서 속 핵심 문법 01 ③ 02 ④ pp.18~19 pp.20~21 A 01 is 04 is B 01 goes 04 has C 01 am 04 is D 01 I’m Step 1 02 are 05 are 02 buys 05 makes 02 is 05 are 02 She’s 05 isn’t 03 are 06 are 03 cries 06 does 03 are 06 are 03 You’re 04 I’m not 06 We’re not[We aren’t] E 01 Paul does not[doesn’t] call me. 02 He is not[He’s not / He isn’t] my friend. 03 They are not[aren’t] famous. 04 I do not[don’t] like science fiction. 05 He does not[doesn’t] go to school by bus. 06 They do not[don’t] play soccer after school. 교과서 문법 다지기 Step 2 pp.22~25 01 ③ 06 ④ 08 ⑤ 11 are 02 ④ 03 ② 04 ⑤ 05 ① 07 (1) She’s (2) isn’t (3) They’re 09 ① 12 ④ 13 ③ 10 (1) It’s (2) are (3) are 14 (1) sings (2) buys (3) files (4) fixes (5) walk 15 listen 정답 및 해설 1 pp.14~16 F 01 like 04 isn’t 02 plays 05 drinks 03 is 06 doesn’t listen 은 3인칭 단수이므로 빈칸에 적절하지 않다. 18 우리에게 그것을 요리해 준다 19 일요일마다 02 Susan doesn’t[does not] play badminton in the morning. 02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 일반동사의 부정은 「doesn’t[does not] + 동사원 16 (1) have (2) play (3) studies (4) drinks 17 doesn’t have 18 ② 19 ① 20 ⑤ 서술형 01 (1) They are close friends. (2) We’re not[We aren’t] in the same class. (3) She has a camera. (4) He doesn’t[does not] run fast. 03 Bella does her homework after school. 04 isn’t a school newspaper reporter 05 (1) She goes to the park. (2) You play the violin. (3) He rides a bicycle. (4) My sister washes her hands. 01 주어가 3인칭 단수인 mom(엄마)이므로 대명사 she를 주어로 쓰고, be동 사는 is로 쓴다. 02 일반동사 play 뒤에 -s가 붙었으므로 주어는 3인칭 단수가 되어야 한다. 03 주어인 Mike and Jane은 복수이므로 빈칸에는 are가 와야 한다. 나머지는 모두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is가 적절하다. 04 주 어 가 3 인 칭 단 수 이 며 일 반 동 사 가 쓰 인 문 장 의 부 정 형 은 「 d o e s not[doesn’t] + 동사원형」으로 쓴다. 05 be동사가 are이고 뒤에 복수명사가 나오므로 주어는 복수가 되어야 한다. it 06 주어인 Ben이 3인칭 단수이고 일반동사 live가 쓰인 문장이므로 부정형은 07 ʼ(어포스트로피)를 사용하여 「주어 + be동사」 또는 「be동사 + not」을 줄여 doesn’t live가 적절하다. 쓸 수 있다. 08 ⑤의 is는 ‘(~에) 있다’라는 의미이고, 나머지는 모두 ‘~이다’라는 의미이다. 09 ⓐ는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be동사는 is가 적절하다. ⓑ는 주어가 복수이므로 be동사는 are가 적절하다. 10 (1) ‘그것은 ~이다’라는 의미이므로 It is를 써야 한다. It is의 줄임말은 It’s 이다. (2) 복수명사이므로 are를 쓴다. (3) They는 복수이므로 are를 쓴다. 는 are가 적절하다. 12 be동사의 부정형은 be동사 뒤에 not을 붙여 만든다. 13 It is의 줄임말은 It’s로 나타낸다. Its는 it의 소유격이다. 14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는 대부분의 일반동사 뒤에 -s 나 -es를 붙이며 「자 음 + y」로 끝나는 동사는 y를 i로 고친 후 -es를 붙여 만든다. 15 주어인 They는 복수이므로 동사의 원형을 써야 한다. 16 (1) 일반동사가 쓰인 문장의 부정형은 don’t + 동사원형으로 쓴다. (2) 주어가 복수인 경우 동사원형으로 쓴다. (3) 주어가 3인칭 단수인 경우 자음 + y로 끝나는 동사는 y를 i로 고치고 -es를 붙인다. 의 형태로 부정문을 만든다. 18 am not은 줄여 쓰지 않는다. 19 pretty는 형용사이므로 doesn’t가 아닌 isn’t가 적절하다. 20 ⓐ 주어가 복수이므로 is를 are로 고친다. 2 1학년 동아_윤정미 ⓒ ‘Kevin이 방에 있다.’라는 뜻이므로 be동사를 써야 한다. ⓓ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일반동사 has가 적절하다. 서술형 01 (1) be동사는 ‘~이다’라는 뜻으로 주어가 복수인 경우 are를 쓴다. (2) be동사의 부정은 be동사 뒤에 not을 붙여 만든다. (3) 주어가 3인칭 단수인 경우 have는 has로 바꿔 쓴다. (4)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 일반동사의 부정형은 「doesn’t[does not] + 동사원형」의 형태로 쓴다. 형」의 형태로 쓴다. 03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do를 does로 바꿔 쓴다. do one’s homework: 숙제하다 04 접속사 but이 있으므로 앞 뒤 내용이 반대가 되어야 한다. 나는 학교 신문 기 자라고 했으므로 Sophia는 학교 신문 기자가 아니라는 문장이 되어야 한다. 05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는 일반동사 뒤에 -s나 -es를 붙이고, 나머지는 모두 동사원형으로 쓴다. 교과서 본문다지기 A 01 I’m 04 최고의 07 animals 10 ~의 02 I 05 are 08 It is 11 school’s 03 shows 06 likes 09 We’re 12 함께 15 is 13 rap songs 14 많은 16 loves 17 또한, 역시 pp.28~30 20 is not B 01 am 02 This is 03 shows, and 04 best, is 05 are, different 06 but, likes 07 don’t, them 08 not 09 are, friends 10 love 11 am, of 13 write, together, them 12 school’s 14 many 15 favorite, is 16 little, loves, too 17 on Sundays 18 isn’t, but 교과서 속 기타 지문 영역별 실력 굳히기 p.31 pp.32~38 02 (m)ap 03 ④ 04 all the time 06 on Sundays 또는 every Sunday 09 ② 14 ⑤ 18 ⑤ 10 ③ 15 ③ 19 ① 23 doesn’t play 07 ② 12 ⑤ 21 goes 16 Do you like 11 ② 20 ③ 24 ④ 34 ③ 38 ② 41 ③ 42 ③ 35 ④ 36 rap songs 39 it for us on[every] Sundays[Sunday] 01 ④ 05 ② 08 ③ 13 ④ 17 ④ 22 ④ 33 ④ 37 ③ 40 ④ (4) 주어가 3인칭 단수인 경우 일반동사 뒤에 -s나 -es를 붙인다. 17 주어가 3인칭 단수이고 일반동사가 있는 문장이므로 「doesn’t + 동사원형」 25 She does not live in Seoul now. 26 ②, ④ 27 ④ 28 ③, ⑤ 29 go, goes 30 ② 31 different 32 ② 11 You는 2인칭이고 You and I와 They는 복수이므로 빈칸에 들어갈 be동사 01 T 02 F 03 F all the time은 ‘항상, 늘’의 뜻으로 always로 바꾸어 쓸 수 있다. 내는 접속사 but이 적절하다. 01 ④는 형용사와 부사의 관계이고 나머지 보기들은 형용사와 명사의 관계이다. 여 쓴다. 43 (1) ①, These (2) ④, with 44 every weekend[on weekends] 45 ⑤ ① 어려운 : 어려움 ② 유명한 : 명성 ③ 다정한 : 친구 ④ 훌륭한 : 대단히 ⑤ 과학적인 : 과학 02 어떤 사물의 위치를 보여주는 지역의 이미지 → 지도 03 a lot of: 많은 ① 우리 블로그에 이것을 올려 줘. ② 우리는 주말마다 낚시하러 간다. ③ 드라마 보는 게 어때? ④ 기차에 많은 사람들이 있다. ⑤ 내 이름은 Snow이고 아일랜드 출신이다. 04 Joe와 Tim은 항상 서로 싸운다. 05 fan (스포츠, 음악 등의) 팬, 선풍기 •네 앞에 있는 선풍기를 켜라. •나는 그 야구선수의 팬이다. 06 on Sundays: 일요일마다(= every Sunday) 07 ⓐ at home: 집에 ⓑ listen to: ~를 듣다 •그녀는 보통 집에 머문다. •나의 엄마는 음악을 들으신다. 24 ⓐ 주어가 복수이므로 be동사는 are가 적절하다. ⓑ 일반동사의 부정은 주어가 복수인 경우 「don’t + 동사원형」을 이용하여 쓴다. 25 주어 She는 3인칭 단수이므로 부정문은 「does not + 동사원형」을 이용하 26 ② Jane과 Lara는 복수주어이므로 has는 have로 써야 한다. ④ book은 단수이므로 be동사는 is가 되어야 한다. 27 일반동사의 부정은 주어가 3인칭 단수인 경우 「doesn’t + 동사원형」의 형 태로 써야 한다. 28 ① like → likes ② is → are ④ walks → walk 29 주어가 1인칭인 경우 일반동사의 원형을 쓰고, 주어가 3인칭 단수인 경우 동 사원형에 -s나 -es를 붙여 쓴다. 30 This is는 줄여 쓸 수 없다. 31 빈칸 뒤에 나오는 문장에서 나와 진수의 서로 다른 점을 언급하고 있으므로 서로 ‘다른’의 의미를 가진 different가 적절하다. 32 빈칸 앞의 문장과 뒤에 나오는 문장이 서로 반대의 내용이므로 역접을 나타 33 하준은 진수와 서로 다른 점에 대해 문제가 아니라고 했다. 34 ⓐ of ~: ~의 ⓓ post ~ on: ~을 올리다, 게시하다 35 ④ 주어와 be동사의 줄임말이 아니라 ‘Jane의’이라는 의미의 소유격으로 쓰 였다. 36 랩 음악을 작곡해서 그것들을 올린다고 했으므로 raps songs가 알맞다. 37 단순히 많은 팬들이 있다고 했으며 구체적으로 얼마나 많은 팬들이 있는지 는 알 수 없으므로 ③에 대한 대답은 할 수 없다. 38 단수명사인 스파게티를 대신 받는 대명사 it을 써야 한다. 39 cook ... for ~: ~에게 ...를 요리해 주다 08 ③은 ‘잘 지내고 있다’는 뜻으로 소개하는 말의 대답이 아닌 안부를 묻는 질 문에 적절한 대답이다. 09 좋아하는 음식을 묻는 말의 대답이 와야 하며, My favorite ~ is ....는 on Sundays: 일요일마다 I like … most.로 바꿔 쓸 수 있다. 10 힙합 음악을 좋아하는지 묻는 질문이므로 Yes. It’s my favorite music.(응, 그것은 내가 좋아하는 음악이야.)라고 답한 문장 앞에 들어가야 한다. 40 주어가 복수인 일반동사의 부정은 「don’t + 일반동사」의 형태로 쓴다. 41 나는 스파게티를 좋아하고 수미도 마찬가지로 좋아한다. 42 many는 셀 수 있는 명사 앞에서 ‘많은’의 뜻으로 쓰인다. a lot of는 many 11 이어지는 소녀의 대답에서 그가 가수라고 밝히고 있으므로 누구인지를 묻는 대신에 쓸 수 있는 표현이다. 의문사 who가 적절하다. 43 ① This의 복수형은 These로 쓴다. 12 마지막 문장에서 민호는 음악을 별로 좋아하지 않고 운동, 특히 축구를 좋아 ④ 문맥상 ‘아버지와 함께 배드민턴을 친다’는 뜻이므로 with가 적절하다.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3 ⓒ 안녕, 나는 Mike야. 만나서 반가워. ⓓ 나도 만나서 반가워. 나는 Jenny야. ⓑ 나는 음악을 좋아해. Jenny, 너는 어때? ⓐ 나는 음악을 그렇게 좋아하진 않아. 나는 영화를 좋아해. 14 ② 서로의 이름을 밝힌 상황에서 How about you?(너는 어때?)라고 묻는 15 처음 만난 사이에서 자신을 서로 소개하는 장면이다. 16 일반동사 의문문은 주어 앞에 do[does]를 써서 만든다. 주어가 you이므로 것은 어색하다. do를 쓴다. 17 favorite: 가장 좋아하는 18 be동사가 are이므로 주어는 복수 주어인 ⑤ they가 적절하다. 19 am not은 줄여서 쓸 수 없다. 20 일반동사의 부정은 「don’t[doesn’t] + 동사원형」을 이용하여 쓴다. 따라서 has를 have로 고쳐야 한다. 30 ③ 44 every weekend: 주말마다 (= on weekends) 45 내가 좋아하는 대상인 미나, 배드민턴, 강아지를 소개하는 글이다. 학교 시험 100점 맞기 01 ⑤ 02 ③ 06 ④ 10 ④ 07 ③ 11 ② Step 1 03 ② 08 ① pp.39~43 04 all 05 ①, ③ 09 How[What] about you 12 isn’t 13 ⑤ 14 don’t walk 15 ③ 16 ②, ⑤ 17 ④ 18 ③ 19 ③ 20 ⓐ map ⓑ animals 21 I like music, but Jinsu likes sports. 22 ④ 23 ③ 24 ② 25 a lot of 26 ⑤ 27 ⑤ 28 He isn’t a great cook, but we like his spaghetti. 29 food 21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일반동사 뒤에 -s/-es를 붙인다. go의 3인칭 단수 01 ⑤는 명사와 동작을 행위자의 관계이며, 나머지는 동사와 동작을 하는 행위 형은 goes이다. 자를 나타낸다. 22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do의 3인칭 단수형인 does가 들어가야 한다. ① 쓰다 : 작가 ② 굽다 : 제빵사 do one’s homework: 숙제하다 ③ 경기하다 : 선수 ④ 방문하다 : 방문객 ⑤ 노래 : 가수 23 일반동사의 부정은 주어가 3인칭 단수인 경우 doesn’t + 동사원형으로 02 ③ 다른: 영영풀이의 앞에 not을 써서 ‘다른 사람이나 사물과 같지 않다’의 쓴다. 의미가 되어야 적절하다. 정답 및 해설 3 03 그녀가 좋아하는 ‘과목’은 수학이다. ① 것들 ② 과목 ③ 영화 ④ 과학 ⑤ 운동 04 all the time: 항상 all about: ~의 대부분 05 ‘만나서 반갑다’라는 표현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I’m) Pleased[glad / happy] to meet you. (It’s) Nice[good] to meet you. 20 ③ 22 ④ 25 ④ 28 ③ 30 ⑤ 21 나와 진수가 좋아하는 것이 서로 다르다는 것 23 I am a member of A-Yo. 24 ⑤ 26 ④ 27 (A) → is (B) → loves (C) → cooks 29 I play badminton with my father every weekend. 06 What do you like?는 상대에게 좋아하는 것을 물을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07 문장의 동사가 없으므로 be동사를 넣고 What’s로 고쳐야 한다. 08 일반동사의 의문문에 대한 긍정의 대답은 Yes, 주어 + do[does].로 한다. 01 country는 ‘나라’라는 의미이고, 그의 하위 분류인 미국은 America로 쓴다. (American: 미국인) 02 <보기>는 ‘좋아하다 : 좋아하지 않다’의 뜻으로 반의어 관계이다. 주어가 I이므로 do가 적절하다. 09 How[What] about you?는 상대의 의향을 묻는 표현이다. 10 지나의 마지막 말에서 ‘강아지가 집에 두 마리 있다.’라고 했다. 11 ‘~이다’라는 의미의 be동사가 들어가야 하며, 주어가 복수이므로 are가 적 12 ‘내 동생 John이 키가 매우 크다.’라는 말은 ‘내 동생 John이 작지 않다.’라 절하다. 는 말과 같은 의미이다. 13 ⑤ The street은 3인칭 단수이므로 be동사는 is가 적절하다. 14 일반동사가 쓰인 문장의 부정은 「don’t + 동사원형」의 형태로 쓴다. 15 My sister doesn’t have breakfast in the morning.이므로 다섯 번째로 오는 단어는 breakfast이다. 16 be동사의 부정문은 be동사 뒤에 not을 붙여 만든다. 일반동사가 쓰인 문장 ① 강한 : 약한 ② 사람들 : 사람 ③ 긴 : 길이 ④ 사랑하다 : 사랑스러운 ⑤ 다른 : 어려운 03 on weekends: 주말마다 04 Sunday(일요일): 토요일 다음과 월요일 전에 오는 날 05 Not really.는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는 뜻이므로 I love it.이 이어지면 어 색하다. 06 B에서 ‘나도 만나서 반가워.’라고 말하는 것으로 보아 서로 처음 만나는 상 황이므로 빈칸에는 만나서 반갑다는 내용이 적절하다. 07 be from: ~출신이다(= come from) 08 몰랐던 사실을 알게 될 때는 I see.라고 말한다. 09 favorite: 가장 좋아하는 의 부정문은 「don’t[doesn’t] + 동사원형」의 형태를 이용하여 쓴다. soccer: 축구 17 ⓐ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동사 뒤에 -s / -es를 붙인다. 특히 ch로 끝나는 10 마지막 민호의 말에서 좋아하는 경기는 축구라고 했다. 동사는 -es를 쓴다. ⓑ 주어가 복수이므로 일반동사의 원형으로 쓴다. ⓒ 일반동사의 부정문은 「don’t[doesn’t] + 동사원형」의 형태를 이용하여 ① 민호는 몇 살인가? ② Jenny는 한국에 언제 오는가? ③ 힙합 가수의 이름은 무엇인가? ④ Jenny가 힙합 음악을 좋아하는 이유는? 쓴다. 만들기 위하여 쓰였다. 18 ⓐⓑⓓ는 ‘~하다’라는 의미의 일반동사로 쓰였고 나머지 보기들은 부정문을 ⑤ 민호는 어떤 종류의 스포츠를 좋아하는가? 19 ③ → friend(친구)의 영영풀이는 a person you don’t know well and 사에 -s/-es를 붙여 써야 한다. like(당신이 잘 알고 좋아하는 사람)이 적절하다. 20 ⓐ는 map을 뜻하고 ⓑ는 animals를 의미한다. 21 like는 일반동사이므로 주어가 1인칭인 경우 동사의 원형을, 주어가 3인칭 have」로 쓴다. 12 주어가 3인칭일 때 be동사는 is가 적절하다. 13 have는 주어가 3인칭 단수인 경우 has로 쓰며 부정문인 경우 「doesn’t + 인 경우 동사에 -s를 붙여 쓴다. 14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be동사는 is가 적절하며 be동사의 부정은 be동사 22 서로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이 다르지만 그것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했으 + not의 형태로, 일반동사의 부정은 doesn’t + 동사원형의 형태로 쓴다. 11 빈칸 뒤에는 동사의 원형이 있고 ④의 My brother는 3인칭 단수이므로 동 므로 ④가 적절하다. 23 ③ schools → school’s ⑤ has → have 24 ⓐ write: ~을 작곡하다; 쓰다 ⓑ post ~ on: ~을 올리다 25 many: 많은 (= a lot of) 26 A-Yo에서 콘서트를 연다는 내용은 본문에서 찾을 수 없다. 27 요일 앞에는 전치사 on을 쓴다. 28 be동사의 부정은 be동사 + not의 형태로 쓰고, 접속사 앞 뒤의 문장의 내 용이 반대일 때는 역접의 접속사 but를 써서 나타낸다. 29 사람이나 짐승이 먹는 것 → food(음식) 30 수미 또한 스파게티를 좋아한다고 했으므로 ③은 옳지 않다. 학교 시험 100점 맞기 01 ③ Step 2 02 ① 03 ② 04 (S)unday 05 ② pp.44~48 06 ④ 07 ② 08 ② 09 My favorite sport is soccer. 12 ① 13 has, have 14 ⑤ 10 ⑤ 15 ③ 11 ③ 16 ③ 17 Kate doesn’t have classes today. 18 ② 19 ①, ④ 15 ③ study는 「자음 + y」로 끝나는 동사이므로 y를 i로 바꾸고 -es를 붙여야 한다. 16 ③은 주어와 be동사 is를 줄여 쓴 것이고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소유를 나타 17 주어가 3인칭 단수인 일반동사의 부정문은 「doesn’t + 동사원형」의 형태를 낸다. 이용하여 쓴다. 18 ⓐ is → are ⓒ has → have ⓓ these → this ⓔ speaks → speak ⓕ grow → grows ⓖ are → is 19 ① This is는 줄여 쓰지 않는다. ④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likes가 되어야 한다. 20 and: 그리고 but: 그러나 수는 동물을 좋아한다. 21 나는 음악을 좋아하는 반면 진수는 운동을 좋아하고 나는 동물이 싫지만 진 22 하준이는 동물을 좋아하지 않지만, 진수는 좋아한다고 했다. 23 of ~: ~의 (어떤 것에 속하거나 일부분을 나타냄) 24 복수명사인 songs를 대신 할 수 있는 대명사 them이 적절하다. 25 글쓴이가 랩 음악을 좋아해서 A-Yo에 가입했고 많은 팬들이 있다고 했으므 로 ④가 적절하다. 4 1학년 동아_윤정미 pleased: 기쁜, 만족하는 ⓒ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be동사는 is가 적절하다. 26 접속사 but이 쓰였으므로 ‘그가 훌륭한 요리사가 아니지만’의 뜻이 문맥상 ⓓ 목적어 자리이므로 목적격 him이 적절하다. 자연스럽다. (is → isn’t) 27 (A)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be동사는 is를 쓴다. (B), (C)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일반동사 뒤에 -s나 -es를 붙여야 한다. 08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부정문은 doesn’t + 동사원형으로 쓴다. 09 주어가 1인칭 또는 복수일 때와 3인칭 단수일 때를 구분하여 쓴다. 10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일반동사 뒤에 -s나 -es를 붙이며 부정문은 28 on Sundays: 일요일마다 (= every Sunday) 29 play + 운동경기: ~를 하다 with ~: ~와 함께 「doesn’t + 동사원형」을 이용하여 쓴다. 11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be동사는 is가 적절하다. 12 (1)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be동사는 is가 적절하다. every weekend: 주말마다(= on weekends) (2)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일반동사 뒤에 -s나 -es를 붙인다. 30 마지막 문장에서 개를 매일(every day) 산책시킨다고 했으므로 ⑤가 적절 (3)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일반동사의 부정문은 「doesn’t + 동사원형」 하다. 서술형으로 끝내기 의 형태를 이용하여 쓴다. (4)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 「자음 + y」로 끝나는 일반동사는 y를 i로 고치 pp.49~51 고 -es를 붙인다. 01 (1) of (2) to (3) at (4) of 13 ⓐ 나와 진수를 뜻하므로 ‘우리’가 되어야 한다. 02 (1) (c)lub (2) (d)ifferent (3) (f)riend (4) (m)usic ⓑ 나와 진수가 서로 다른 점을 얘기하고 있으므로 역접의 접속사 but이 적 03 |예시답안| Glad to meet you. |예시답안| Happy to meet you. |예시답안| Good to meet you. 04 What’s your favorite animal? 05 (1) Not really. (2) She comes from Canada. (3) He likes soccer. 06 is 07 ⓐ a lot of ⓑ are ⓒ is ⓓ him 08 doesn’t wash 09 ⓐ is ⓑ is ⓒ is ⓓ are ⓔ are ⓕ likes ⓖ doesn’t like 10 She likes meat, but she does not[doesn’t] like fish. 11 My favorite color is yellow. 12 (1) His brother is in the playground. (2) Jane often plays the piano. (3) Sera doesn’t have some flowers. (4) A bird flies from the tree. 13 ⓐ We ⓑ but ⓒ loves ⓓ them ⓔ friends 14 |예시답안| 글쓴이는 랩 노래들을 함께 쓰고 블로그에 올리는 활동을 (3) 그는 훌륭한 요리사가 아니다 (그는 요리를 아주 잘하지는 않는다) 하고 있다. 15 (1) spaghetti (2) on Sundays[every Sunday] 01 (1) What kind of ~: 어떤 (종류의) ~ (2) listen to: ~를 듣다 (3) at home: 집에서 (4) a lot of: 많은 02 (1) 동호회 (2) 다른 (3) 친구 (4) 음악 03 만나서 반가워.: (I’m) Pleased[glad / happy] to meet you. (It’s) Nice[good] to meet you. 04 상대에게 좋아하는 동물에 대해 묻는 표현이 들어가야 한다. 05 (1) Not really.는 부정의 말로 ‘별로.’, ‘딱히 그렇지 않다.’의 뜻이다. (2) be from ~: ~출신이다 (= come from) (3) 민호가 가장 좋아하는 운동경기는 축구이다. 06 주어가 3인칭 단수인 경우 be동사는 is가 적절하다. 07 ⓐ a lot of: 많은 ⓑ 주어가 복수이므로 are가 적절하다. 절하다. ⓒ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때 일반동사 뒤에 -s나 -es를 붙인다. ⓓ animals를 의미하므로 복수명사를 대신하는 대명사 them이 적절하다. ⓔ 문장의 주어가 We이므로 복수형인 friends가 적절하다. 14 We write rap songs together and post them on our blog. 15 (1) it은 앞의 명사 spaghetti를 말하는 대명사이다. (2) on Sundays: 일요일마다(= every Sunday) (3) be동사의 부정문이므로 부정으로 해석한다. cook: 요리사 p.52 창의 서술형 01 (1) |예시답안| My name is Seha. (2) |예시답안| I am 14 years old. (3) |예시답안| I live in Seoul. (4) |예시답안| I’m a little shy. (5) |예시답안| My favorite subject is Korean. (6) |예시답안| I usually meet many friends on holiday. |예시답안| Seha. I am 14 years old. I live in Seoul. I’m a little shy. My favorite subject is Korean. I usually meet many friends on holiday. 02 (1) doesn’t go swimming on Sundays (2) don’t take a piano lesson (3) doesn’t like eating meat 01 (1) 네 이름이 무엇이니? (2) 몇 살이니? (3) 어디에 사니? (4) 성격은 어떠니? (5) 좋아하는 과목은 무엇이니? (6) 휴일에는 보통 무엇을 하니? 02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일반동사 뒤에 -s나 -es를 붙인다. 또한 일반동사 가 쓰인 문장의 부정문은 「don’t + 동사원형」 형태를 이용하여 쓰고 주어가 3인칭 단수인 경우에는 「doesn’t + 동사원형」 형태를 이용하여 쓴다. pp.53~54 교과서 본문손으로 익히기 01 I am Song Hajun. 02 This is my heart map. 03 It shows my favorite people and things. 04 My best friend is Kim Jinsu. 05 We are very different. 06 I like music, but Jinsu likes sports. 정답 및 해설 5 07 I don’t like animals, but Jinsu loves them. 08 It’s not a problem. 09 We are good friends. 10 I love rap music. 11 I am a member of A-Yo. 12 It is the school’s rap music club. 13 We write rap songs together and post them on our blog. 14 We have many fans. 15 My favorite food is spaghetti. 16 My little sister Sumi loves it, too. 17 Dad cooks it for us on Sundays. 18 He isn’t a great cook, but we like his spaghetti. 6 1학년 동아_윤정미 Lesson 02 Have Fun at School! 교과서 어휘 다지기 A 01 wear B 01 introduce Step 1 02 story 02 paint D 01 lose E 01 around 04 class 02 safety 02 island 05 world p.58 03 only 03 popular 03 India 03 Internet C 01 find out 02 over there 03 come first 교과서 어휘 다지기 01 ⑤ 02 ③ Step 2 03 ⑤ 05 ⑤ 06 take a walk 07 ③ p.59 04 ② 08 ① 01 India, Korea, Finland, UK는 국가명이고 ⑤country는 ‘국가’라는 의미이다. 02 win(이기다)와 lose(지다)는 반의어 관계이고 나머지는 모두 유의어 관계이다. ① 보다 ② 입다 ④ 이야기 ⑤ 자동차 03 보기와 ⑤의 floor는 ‘층‘을 의미하며 ①②③④는 ’바닥‘을 뜻한다. ⑤ 그 가게는 5층에 있다. 04 act out은 ‘연기하다, 시연하다’라는 의미이다. 05 ‘배우기 위해 학생들이 모이는 때’는 class(수업)에 대한 영영풀이이다. 06 take a walk: 산책하다 (= have a walk) 07 park: 공원; 주차하다 •나는 항상 여기에 내 차를 주차한다. •우리는 매일 저녁 공원에서 조깅한다. 08 책을 빌릴 수 있는 곳으로는 library(도서관)가 적절하다. ② 체육관 ③ 음식점 ④ 주방 ⑤ 서점 교과서 속 핵심 대화 01 ③ 02 David is playing the piano. pp.60~61 pp.62~63 pp.64~66 04 T 05 F 교과서 대화 모두 보기 01 F 02 F 06 F 07 T 03 T 08 F 교과서 대화 다지기 Step 1 A 01 ( ⓓ ) → ( ⓒ ) → ( ⓑ ) → ⓐ 02 ( ⓑ ) → ( ⓐ ) → ( ⓓ ) → ⓒ 04 ( ⓒ ) → ⓓ → ( ⓐ ) → ( ⓑ ) → ( ⓔ ) B 01 What’s, Where, Is, is 02 doing, listening to, in, in 03 She’s in, What’s, there, cooking 04 Where’s, in, there, watching 03 ⓓ → ( ⓒ ) → ( ⓔ ) → ( ⓖ ) → ( ⓐ ) → ⓕ → ( ⓑ ) → ( ⓗ ) 05 Excuse, Do, do, classmate, Where, in, art, painting, on, floor, welcome 06 doing, painting, Where, in 07 over there, What’s, playing, with, see 08 What are, drawing, for, What 09 Do your brother and you go to school every day? 10 ⑤ 12 ④ 17 ① 13 ① 18 ① 14 ③ 15 ②, ⑤ 19 Does, have 01 대답에서 가방의 위치를 말하고 있으므로 가방의 위치를 묻는 질문이 적절 (4) Is my sister doing the dishes? 하다. where는 의문사로 ‘어디에’라는 의미이다. 02 ‘~하고 있다’라는 의미의 「be동사 + 동사원형-ing」의 형태로 답한다. 02 (1) Yes, they do. (2) Yes, she is. 교과서 대화 다지기 Step 2 01 ② 04 ④ 02 I am[I’m] taking a walk. 05 Where is the art room? p.67 03 ③ 06 ② take a walk: 산책하다 03 ⓑ 지수는 어디에 있니? ⓐ 그녀는 저기에 있어. ⓒ 어디? 그녀는 무엇을 있니? ⓔ 그녀는 남동생과 배드민턴을 치고 있는 중이야. ⓓ 아, 보인다. 04 대화 후반부에 Kevin의 엄마가 art room(미술실)이 어디인지 물어보고 있 으므로 앞서 소년은 He is in the art room.이라고 대답해야 적절하다. 05 ‘~은 어디에 있니?’라고 물을 때는 Where is ~?라고 한다. 06 on the second floor: 2층에 11 ③ 16 ③ 20 ② 서술형 01 (1) Does your dad play soccer with you? (2) Does she cook very well? (3) Are they from India? (3) She is listening to music. 03 (1) Is Jane in the classroom? (2) Who is your favorite singer? (3) Do you have breakfast? (4) Does she come to school early? 04 My parents are eating dinner together. 05 (1) He is making food. (2) She is talking with her friends. (3) They are playing soccer. 교과서 속 핵심 문법 01 ④ 02 are doing 교과서 문법 다지기 Step 1 pp.68~69 01 be동사가 is이므로 주어가 3인칭 단수여야 한다. my teacher는 사람이므 로 사물을 뜻하는 it은 쓸 수 없다. 02 -e로 끝나는 동사는 e를 없애고 -ing를 붙인다. (dance → dancing) 03 주어가 3인칭 단수가 아닐 때 일반동사 부정문은 「do not + 동사원형」 형태 pp.70~71 를 이용하며 의문문은 「Do + 주어 + 동사원형 ~?」으로 쓴다. A 01 Are you hungry? 02 Does she like soccer? 04 -ie로 끝나는 동사는 ie를 y로 고치고 -ing를 붙인다. 03 Is she a teacher? 04 Does John live in Australia? ① listenning → listening ③ swiming → swimming 05 Is this book interesting? 06 Do they take a walk every day? B 01 enjoing → enjoying 02 eatting → eating ④ runing → running ⑤ puting → putting 05 현재진행형의 의문문은 「be동사의 현재형(am, are, is) + 주어 + 동사원 03 Do → Does 05 Is → Do 04 Does → Is 06 Are → Does C 01 you aren’t 02 I am 03 they don’t 04 I do 05 she doesn’t 06 you are D 01 studying 02 cleaning 04 reading 05 lying 03 running 06 dancing E 01 Who is 04 Are 02 Where is 05 Do, like 03 Is 06 Is F 01 What is she doing? 02 She is listening to music. 03 Are they eating breakfast? 04 Minju isn’t[is not] watching TV now. 05 He isn’t[is not] drawing a picture. 06 Is Willy playing the piano in the room? 교과서 문법 다지기 Step 2 01 ④ 02 ⑤ 03 do 04 ② 05 Are you cleaning the room? 06 Does, love 07 ③ 08 ②, ③ 형-ing ~?」로 쓴다. 원형 ~?」 형태로 쓴다. ③이 적절하다. 06 주어인 Mary는 3인칭 단수이므로 일반동사 의문문은 「Does + 주어 + 동사 07 현재진행형으로 대답하고 있으므로 그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묻는 표현인 08 ② happy는 형용사이므로 be동사 의문문의 형태가 적절하다. ③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 의문문은 「Does + 주어 + 동사원형 ~?」이므로 reads가 아닌 read가 적절하다. 09 주어가 복수이므로 일반동사 의문문은 문장 맨 앞에 Do를 써서 만든다. 10 ⓐ 주어가 3인칭 단수인 일반동사 문장이므로 의문문은 「Does + 주어 + 동 ⓑ 주어가 2인칭인 현재진행형 문장이므로 의문문은 「Are + 주어 + 동사원 사원형 ~?」의 형태로 쓴다. 형-ing ~?」의 형태로 쓴다. 11 주어가 복수이고 일반동사 의문문이므로 대답은 긍정인 경우 「Yes, 주어 + do.」, 부정인 경우 「No, 주어 + don’t.」를 쓴다. her sons는 대답할 때 they로 받는다. 12 현재진행형은 「be동사 + 동사원형-ing」의 형태이다. 주어가 3인칭 단수이 pp.72~75 므로 be동사는 is를 쓰고, 동사 cut는 「단모음 + 단자음」으로 끝나는 동사이 므로 마지막 자음을 한 번 더 쓰고 -ing를 붙여야 한다. 13 의문사가 있는 현재진행형의 의문문이므로 「의문사 + be동사 + 주어 + 동 사원형-ing ~?」의 형태로 쓴다. ‘어디’라는 의미이므로 의문사는 where가 적절하다. 정답 및 해설 7 14 현재진행형의 부정문은 「주어 + be동사 + not + 동사원형-ing ~.」의 형태 로 쓴다. ① plays → play ② Do → Is ④ Is → Are ⑤ make → making 15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일반동사 의문문은 「Does + 주어 + 동사원형 27 He’s drawing 28 has, many ~?」으로 쓰며, 긍정의 대답이므로 ⑤의 not은 삭제해야 한다. 16 일반동사 의문문은 「Do[Does] + 주어 + 동사원형 ~?」의 형태로 쓰는데 ③은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Does가 적절하고 나머지는 모두 Do가 적절하다. 교과서 속 기타 지문 17 일반동사의 의문문에서 주어 앞에 Does가 있으므로 주어는 3인칭 단수가 01 F 02 T 03 F 되어야 한다. ① we는 복수이므로 Does가 아닌 Do가 적절하다. 18 현재진행형은 「be동사의 현재형 + 동사원형-ing」로 나타낸다. 19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일반동사 의문문은 「Does + 주어 + 동사원형 01 (i)sland 02 ② 03 ③ 04 take 07 around the world 08 ③ 18 the UK 19 Language Arts 20 acting out, play 21 Do, story 22 a famous 23 in Korea 24 Social Studies 25 We’re doing 26 is drawing, of p.81 pp.82~88 05 ⑤ 09 ⑤ 영역별 실력 굳히기 06 ④ 10 ③ 13 ④ 17 ① 11 ② 14 ⑤ 18 ③ 28 doing, dancing 31 ④ 32 ④ 35 Yes, it is. 36 ① 21 is not studying 22 Does your sister have 23 ③ 24 ④ 25 What do you like? 26 ②, ⑤ 27 ① 30 Why don’t we 12 He is painting a picture. 16 is playing badminton 15 ④ 19 ② 29 ② 33 ② 37 ② 20 ④ 34 ③ 38 ⑤ ① ridings → riding ~?」의 형태로 쓴다. 20 ⓒ knows → know ⓓ Is → Does / teaches → teach ⓖ Do → Does / has → have ⓗ Are you wanting → Do you want 01 일반동사 문장의 의문문은 「Do[Does] + 주어 + 동사원형 ~?」 형태로 쓰고, be동사 문장과 현재진행형 문장의 의문문은 주어와 be동사의 위치를 바꿔 서술형 쓴다. do.」로 쓴다. 로 쓴다. 경우 is를 쓴다. 로 쓴다. ~?」 형태로 쓴다. 02 (1) 주어가 복수인 일반동사 의문문에 대한 긍정의 대답은 「Yes, 주어 + 39 Do you know the story? 40 famous 41 ④ 42 Social Studies class 43 is drawing a map of Dokdo (2) 주어가 3인칭인 be동사 의문문에 대한 긍정의 대답은 「Yes, 주어 + is.」 44 ② 45 ③ (3) 의문사가 의문문은 의문사에 맞는 구체적인 대답을 해야 한다. 현재진행 형으로 물었으므로 대답도 현재진행형으로 한다. 01 물로 둘러싸인 땅 → 섬 02 <보기>는 ‘과목 : 수학’의 뜻으로 앞의 단어가 뒤의 단어의 의미를 포함하는 03 (1) be동사 의문문은 주어와 be동사의 위치를 바꿔 쓰며 주어가 3인칭 단수 관계이다. (2)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은 의문사를 문장 앞에 쓴다. (3) 일반동사 의문문이고 주어가 you이므로 「Do + 주어 + 동사원형 ~?」으 ⑤ 자동차 : 공원 ① 그리다 : 그림 ② 운동[경기] : 크리켓 ③ 안전한 : 안전 ④ 수업 : 학급 친구 (4)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일반동사 의문문은 「Does + 주어 + 동사원형 ⓑ over there: 저쪽에 04 주어가 복수이므로 be동사는 are가 되어야 한다. eat의 -ing형은 eating이다. 05 현재진행형은 「be동사 + 동사원형-ing」로 나타낸다. 03 ⓐ on the Internet: 인터넷 상에서 04 have a walk: 산책하다 (= take a walk) 05 come first: 최우선 고려 사항이다 06 find out: ~을 찾다 act out: 연기하다, 시연하다 pp.78~80 07 around the world: 전 세계의 08 B가 지금 하고 있는 일에 대해 대답하고 있으므로 상대방이 지금 무엇을 하 교과서 본문다지기 A 01 are introducing 02 ~ 하자 04 Physical Education 06 매우 09 making 07 losing 10 Safety 12 United Kingdom 13 acting 15 사회 18 has 16 doing 19 a lot of 03 나라 05 We are 08 목공 11 그래서 14 the story 17 오직, 단지 04 This, PE 07 is losing 08 Where’s 10 next batsman 11 Go 09 over there 12 in Finland 13 Woodshop 14 We’re making 15 Is, safe 16 it is 17 Safety, first, wearing 8 1학년 동아_윤정미 고 있는지를 물어보는 표현이 와야 한다. What is[are] ~ doing?: ~는 무엇을 하니? 09 be동사 뒤에 장소가 오는 경우 ‘~가 있다’의 뜻으로 쓰인다. 10 ⓒ 수미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니? ⓑ 그녀는 음악을 듣고 있어. ⓐ 그녀는 음악실에 있니? ⓓ 아니. 그녀는 교실에 있어. 12 현재 진행 중인 일이므로 「주어 + is[are] + 동사원형-ing ~.」의 형태로 쓴다. 13 Kevin의 어머니가 Kevin을 찾으러 학교에 온 상황이다. 14 Jane이 지금 하고 있는 것을 묻고 있으므로 현재진행형으로 답해야 한다. 15 소년이 소녀가 있는 장소를 대답하고 있으므로 where이 적절하다. where 은 장소를 묻는 의문사로 ‘어디에’라는 뜻이다. B 01 around, are, on 02 Let’s, out 03 in India 11 일반동사 의문문이므로 긍정의 대답은 「Yes, 주어 + do[does].」, 부정의 대 05 playing, now 06 in India 답은 「No, 주어 + don’t[doesn’t].」를 쓴다. 16 현재 진행 중인 일이므로 「주어 + is[are] + 동사원형-ing ~.」의 형태로 쓴다. 17 대답에서 주어가 you이므로 질문에서 주어는 I 또는 we가 되어야 한다. 18 주어가 3인칭 단수인 경우 일반동사 의문문은 「Does + 주어 + 동사원형 ~?」이 된다. 이에 대한 대답으로 긍정인 경우 「Yes, 주어 + does.」로, 부정 인 경우 「No, 주어 + doesn’t.」로 쓴다. 19 주어가 복수일 경우 현재진행형 문장의 be동사는 are를 쓴다. 20 ④의 do는 ‘~ 하다’라는 의미의 일반동사이고 나머지 문장들에 쓰인 do는 의문문이나 부정문을 만들기 위한 조동사이다. 21 현재진행형은 「주어 + is[are] + 동사원형-ing ~.」의 형태로 쓰며, 주어가 3 인칭 단수이므로 be동사는 is가 적절하다. 현재진행형의 부정은 be동사 뒤 22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 일반동사 의문문은 「Does + 주어 + 동사원형 ~?」 에 not을 붙인다. 형태로 쓴다. 23 일반동사의 -ing형을 만들 때 동사가 「단모음 + 단자음」인 경우 마지막 자음 을 한 번 더 쓰고 -ing를 붙인다. (run → running) 24 ⓐ 주어가 3인칭 단수인 경우 일반동사 의문문은 「Does + 주어 + 동사원형 ~?」 형태로 쓴다. ⓑ be동사의 의문문은 주어와 be동사의 위치를 바꿔 쓴다. 주어가 복수이므 로 be동사는 are가 되어야 한다. 25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은 의문사가 문장 맨 앞으로 온다. 26 ② 인지의 의미로 쓰이는 know는 진행형으로 쓸 수 없다. ⑤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의문문은 Does를 써야 한다. 27 be동사가 있으므로 뒤에 일반동사의 원형은 올 수 없다. 28 be동사 is가 있으므로 현재진행형 문장이다. 현재진행형 문장은 「주어 + is[are] + 동사원형-ing ~.」의 형태로 쓴다. 29 ⓐ 주어가 students이므로 be동사는 are가 적절하다. ⓒ 주어가 단수이므로 be동사는 is가 적절하다. 30 Let’s + 동사원형: ~하자(권유) (= How about ~? / Why don’t we ~?) 31 장소를 묻는 질문이므로 장소를 답한 ④ 앞에 오는 것이 문맥상 자연스럽다. 32 Sai의 팀은 현재 지고 있다. (My team is losing.) 33 ⓑ in → by ⓒ is → are ⓔ wear → wearing 34 ⓐ 나라이름 앞에는 전치사 in을 쓴다. ⓑ be in class: 수업 중이다 긍정의 대답이 적절하다. 35 수업이 안전한지 물어보았고, 뒤의 문장에서 안전이 최우선이라고 했으므로 36 결과를 나타내는 접속사 so가 적절하다. (so: 그래서) 37 수업이 언제 끝나는지는 이 글에서 찾을 수 없다. 38 Its는 It의 소유격이다. (Its → It’s) 39 일반동사의 의문문은 주어가 3인칭 단수가 아닐 경우 Do + 주어 + 동사원 40 뒤에 나오는 love story를 수식하는 말로 fame(명사)가 아닌 famous(형용 형 ~?의 형태로 쓴다. 사)가 적절하다. 41 Peter는 ‘로미오와 줄리엣’이라는 작품을 연기(act out)하고 있다. 42 Social Studies class: (교과 과목) 사회 수업 43 is drawing: 그리는 중이다 map of Dokdo: 독도의 지도 어 쓸 수 있다. 45 독도로 가는 방법은 이 글에서 찾을 수 없다. 12 ⑤ 13 ②, ④ 09 ① 14 ④ 10 ① 15 ③ 11 ③ 16 ④ 17 (1) ⓐ, Are they busy at night? (2) ⓑ, Does she know you? (3) ⓕ, Does he get up early? 18 Is 19 ②, ④ 23 Safety comes first 20 ③ 24 ④ 21 team 25 ③ 22 ① 26 ⑤ 27 ② 28 ③ 29 Jiho is drawing a map of Dokdo. 30 ②, ④ 01 •그녀는 반에서 1등이다. •나는 3시 정각에 수학 수업이 있다. 02 사람들이 생각을 나타내기 위해 쓰이는 말의 체계 → 언어 03 보기는 인도와 인도인의 관계이다. ①의 핀란드인은 Finnish이다. ② 한국 : 한국인 ③ 영국 : 영국인 ④ 중국 : 중국인 ⑤ 일본 : 일본인 04 play the piano: 피아노를 연주하다 (악기 이름 앞에는 정관사 the를 쓴다.) 05 진행 중인 행동을 대답하고 있으므로 상대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물어보는 표현이 알맞다. 06 be동사의 의문문은 주어와 be동사의 위치를 바꿔 「Be동사 + 주어 ~?」의 형 태로 쓴다. 대답에서의 주어가 she이므로 ④가 적절하다. 07 사물이나 사람의 위치를 물을 때 ‘Where is[are] ~?’라고 한다. 08 ‘거실에 있니?’라는 말에 ‘아니, 그녀는 화장실에 있어’라고 대답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다. 09 ‘~층에 있다’라는 표현은 전치사 on으로 쓴다. 10 ⓐ는 감사에 대한 대답으로 ‘천만에’의 뜻이다. (= No problem. / My pleasure. / Don’t mention it. / Not at all.) ①은 ‘그것은 옳다’라는 의미이다. 11 art room: 미술실 12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 일반동사 의문문은 「Does + 주어 + 동사원형 ~?」 형태로 쓰고, 긍정의 대답은 Yes, 주어 + does.로 한다. 13 Do로 시작하는 의문문은 주어가 1, 2인칭 또는 복수여야 한다. 14 run은 「단모음+단자음」으로 끝나는 동사이므로 마지막 자음을 한 번 더 쓰 고 -ing를 붙인다. (runing → running) 15 의문사 의문문은 대답에 따라 알맞게 써야 한다. 장소를 물어보는 경우 where를, 무엇인지 물어볼 때는 what을, 누구인지를 물어볼 경우는 who 를 쓴다. 쓴다. 16 현재진행형은 「be동사의 현재형(am, are, is) + 동사원형-ing ~.」의 형태로 17 (1) busy는 형용사이므로 be동사의 의문문으로 써야 한다. they는 복수이 므로 be동사는 are가 적절하다. (2) 인지를 의미하는 know는 진행형으로 쓸 수 없다. 형 ~?」 형태로 쓴다. (3) 주어가 3인칭 단수인 경우 일반동사 의문문은 「Does + 주어 + 동사원 인다. 전치사 on은 ’~위에‘라는 의미이다. 19 ② 주어가 students이므로 be동사는 are가 적절하다. ④ lose의 -ing형은 losing이다. 20 ⓐ on the Internet: 인터넷에서 44 many는 ‘많은’이라는 의미로 셀 수 있는 명사 앞에 쓰이며 a lot of로 바꾸 18 be동사가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구와 함께 쓰이면 ‘~에 있다‘라는 의미로 쓰 학교 시험 100점 맞기 01 ② 02 ④ 05 ③ 06 ④ 07 Where is he? 08 ⑤ 03 ① 04 plays the piano Step 1 pp.89~93 ⓑ find out: ~을 알아내다 21 운동 경기, 게임 등에서 서로 경쟁을 하는 사람들의 그룹 → team 22 Sai가 다음 타자인 Jasper를 응원하고 있으므로 같은 팀임을 알 수 있다. 23 Safety comes first: 안전이 최우선이다 정답 및 해설 9 24 희곡을 연기하는 수업은 문학과 관련한 수업이므로 국어 과목을 뜻하는 태로 쓴다. Language Arts class가 적절하다. 25 본문의 play는 희곡, 연극의 뜻으로 쓰였다. 15 주어가 복수이므로 일반동사의 의문문은 「Do + 주어 + 동사원형 ~?」으로 쓴다. ① 놀다 ② do costume play: 코스프레를 하다 16 현재진행형으로 대답했으므로 질문도 현재진행형 문장으로 쓰는 것이 적절 ③ 희곡 작품 ④ 게임 플레이 하다. (does → is) ⑤ 연주되다 26 로미오와 줄리엣은 유명한(famous) 사랑 이야기이다. 27 (A) Korea: 한국 / Korean: 한국의, 한국어의 (C) and: ~와, 그리고 / or: 또는 (B) 주어가 3인칭 단수인 경우 has를 쓴다. ⓔ sleep → sleeping ⓗ are playing 28 ③의 do는 일반동사 의문문을 만들 때 사용하는 조동사이고 나머지는 ‘~하다’라는 의미로 쓰였다. find out: ~을 알아보다 29 현재진행형은 be동사의 현재형(am, are, is) + 동사원형-ing로 쓴다. 30 수미와 지호는 사회 수업을 듣고 있고, 지호는 독도 지도를 그리고 있다. 21 현재 진행 중인 일이므로 현재진행형 시제가 되어야 한다. 22 어느 팀이 이길지는 아직 알 수 없다. ① Sai는 어디 출신인가? pp.94~98 ③ 인도인들이 좋아하는 운동 경기는? 17 현재진행형은 「be동사의 현재형(am, are, is) + 동사원형-ing)」의 형태로 나타내며 의문문은 be동사를 주어 앞에 쓴다. 18 ⓐ have → having ⓒ What are → What is 19 around the world: 전 세계에 (= throughout the world) 20 Let’s + 동사원형: ~하자 학교 시험 100점 맞기 01 ① 02 ⑤ Step 2 03 play 04 ③ 06 ④ 07 ③ 08 classmate 10 isn’t → doesn’t 11 ④ 13 Does Henry dance well? 12 ① 14 ④ 05 ② 09 ⑤ 15 Do, like 16 ② 19 ④ 17 Is she going to the hospital? 18 ④ 20 Let’s watch and find out about their classes! 21 ⓒ are playing ⓓ is losing 24 ① 25 so 29 has two big 26 ① 30 ② 22 ② 27 ④ 23 ⑤ 28 ③, ④ 01 우리 팀이 두 골 차이로 지고 있다. ① 지다 ②③④⑤ 잃다 02 •around table: 탁자 주위에 •draw circles: 원을 그리다 •from the library: 도서관으로부터 •Let me introduce ~: ~을 소개할게 03 play: 운동 경기를 하다; 연극; (게임 등을) 하다 04 ⓐ 유명한: unknown → known ⓑ 섬 ⓒ 인기 있는 ⓓ 팀 ⓔ 과제 이라고 묻는다. 06 ⓒ Jenny, 뭐하고 있니? ⓓ 미술 수업 때문에 그림 그리고 있어. ⓐ 무엇을 그리고 있니? ⓑ 자동차를 그리는 중이야. 05 상대방이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물어볼 때는 What is[are] ~ doing? ④ 학생들이 무엇을 소개하는 중인가? ⑤ Jasper는 (경기에서) 어떤 위치에서 뛰고 있는가? 23 목공(wood shop) 수업은 나무를 가지고 여러 물건들을 만들어 보는 수업 이다. ① 책상 ② 탁자 ③ 서랍 ④ 의자 ⑤ 고글; 안경 24 ⓑ 수업이 안전한지 물어보고 있으므로 be동사 뒤에 형용사 보어가 적절하다. ⓒ 주어자리이므로 명사형이 되어야 한다. 25 so: 그래서 (= therefore, thus) 26 act out: 연기하다, 시연하다 27 •Peter는 어디 출신인가? •Peter가 듣고 있는 수업은? •로미오와 줄리엣은 누가 썼나? •Peter는 극 중에서 로미오 역을 연기하고 있는가? (X) •Peter는 수업 중에 무엇을 하고 있는가? 28 ③ 독도의 지도를 그린다는 뜻이므로 전치사 of가 되어야 한다. ④ one이 있으므로 단수 명사가 되어야 한다. 29 형용사가 연속해서 위치하는 경우 ‘숫자 + 크기 + 명사’의 순으로 쓴다. 30 지호는 독도의 지도를 그리는 중이다. pp.99~101 서술형으로 끝내기 01 act out 02 draw 03 a car, art 04 ⓐ Where’s[Where is] she? ⓑ What’s[What is] she doing? 05 (1) She is Kevin’s mother. (2) He is painting a picture. 07 장소를 묻는 말이므로 장소를 대답하는 소년의 말 앞에 와야 적절하다. 08 classmate: 급우, 반 친구 09 Kevin이 언제 미술실에 가는지는 이 대화에서 알 수 없다. 10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 일반동사 의문문에 대한 대답은 긍정인 경우 「Yes, 주어 + does.」로, 부정인 경우 「No, 주어 + doesn’t.」로 쓴다. 11 Jane이 영국 출신인지를 물어보았고, Jane이 호주 출신이라는 대답을 했으 므로 빈칸은 부정의 대답이 들어가야 한다. be동사 의문문에 대한 대답은 부 06 (1) Sam is in the classroom. He is studying hard. (2) Elise is in the kitchen. She is making food. (3) Kevin is in the bedroom. He is sleeping. 07 No, he doesn’t 08 (1) Is she pretty? 정인 경우 「No, 주어 + be동사 + not.」의 형태로 쓴다. (2) Do they speak Korean? 12 ‘그녀가 집에 있니?’라는 의미이므로 be동사 의문문이 되어야 한다. (3) Do you enjoy listening to music? 13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의문문은 「Does + 주어 + 동사원형 ~?」의 형태 09 (1) He is playing the guitar. (4) Does she wear a school uniform? (Does → Is) 로 쓴다. 14 주어인 Mr. Kim은 3인칭 단수이므로 「Does + 주어 + 동사원형 ~?」의 형 10 1학년 동아_윤정미 (2) She is on the stage. (3) No, he isn’t. He is playing the drums. 10 (1) Is she taking a photograph? (2) Does Jane wear blue jeans? (3) Does he have two children? (4) Are you good at playing cricket? 11 Do you clean your room? 12 My dog is playing with a ball. 13 (1) Cricket is very popular in India. (2) Sai is in the PE class. 14 are introducing, is making, is acting out 15 (1) ⓐ This ⓑ doing ⓒ has ⓓ and (2) 지호가 독도의 지도를 잘못 그려서 01 어떤 상황에서 일어난 이야기나 사건을 보여 주는 것 → act out(연기하다) 02 draw 그리다; 끌다 •자를 대고 선을 그려라. •아기들은 사람들의 관심을 끈다. 03 A: Jenny, 뭐하고 있니? B: 미술 수업을 위해 그림을 그리는 중이야. A: 무엇을 그리고 있는 중이니? B: 자동차를 그리고 있어. 14 학생들은 자신의 수업을 소개하고 있다. Anikka는 목공 수업에서 탁자를 만 들고 있고, Peter는 국어 시간에 로미오와 줄리엣을 연기하고 있다. 15 (1) ⓐ 소개할 때는 This is ~를 쓴다. ⓑ 현재진행형이므로 doing이 되어야 한다. ⓒ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have가 아닌 has를 써야 한다. ⓓ ‘두 개의 큰 섬과 많은 작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다’의 뜻이므로 and가 (2) 독도가 2개의 큰 섬과 많은 작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지호는 단지 01 (1) Suji is sleeping under a big umbrella. p.102 적절하다. 하나의 큰 섬만 그리고 있다. 창의 서술형 (2) Yes, they are. (3) They are in the beach. (4) No, he isn’t. 02 (1) |예시답안| Is she playing the piano? (2) |예시답안| Is your father a doctor? (3) |예시답안| What does he do? (4) |예시답안| Does she like pizza? 01 (1) 현재진행형은 be동사의 현재형(am, are, is) + 동사원형-ing로 쓴다. (2) 주어가 3인칭 단수가 아닐 때 일반동사 의문문의 대답은 긍정인 경우 Yes, 주어 + do로 쓴다. → Jenny는 미술 수업을 위해 자동차를 그리고 있다. (3) be동사가 장소의 부사구와 함께 쓰이는 경우 ‘~에 있다’의 뜻이다. 04 ⓐ 대답에서 그녀의 장소를 언급하고 있으므로 그녀의 위치를 묻는 질문이 (4) be동사 의문문의 대답은 부정인 경우 No, 주어 + isn’t.로 쓴다. 되어야 한다. 02 (1) 대답에 be동사 is가 있으므로 주어가 3인칭 단수인 be동사 의문문 또는 ⓑ 그녀가 하고 있는 동작에 대해서 답변하고 있으므로 현재 하고 있는 것이 현재진행형 의문문이 적절하다. (2) 대답에 be동사 is가 있으므로 주어가 3인칭 단수인 be동사 의문문이 적 (2) Kevin은 미술실에서 그림을 그리고 있다. (3) Yes, No로 대답하지 않았으므로 의문사 의문문이 되어야 한다. (4) 대답에 does가 있으므로 주어가 3인칭 단수인 일반동사 의문문이 적절 07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 일반동사 의문문의 대답은 긍정일 때는 「Yes, 주어 + does.」로, 부정일 때는 「No, 주어 + doesn’t.」로 쓴다. 교과서 본문손으로 익히기 pp.103~104 08 (1) be동사 의문문은 주어 앞에 주어와 be동사의 위치를 바꿔 쓰며, 주어가 01 Students around the world are introducing their classes on the 절하다. 하다. Internet. (2)(3) 주어가 3인칭 단수가 아닌 경우 일반동사 의문문은 「Do + 주어 + 동 02 Let’s watch and find out about their classes! (4)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일반동사 의문문은 「Does + 주어 + 동사원형 무엇인지 묻는 질문이 되어야 한다. 05 (1) Baker씨는 Kevin의 엄마이다. 06 be + 장소의 부사구: ~가 ...에 있다 be + 동사원형-ing: ~하는 중이다 3인칭 단수인 경우 is를 쓴다. 사원형 ~?」으로 쓴다. 09 (1) play the guitar: 기타를 연주하다 ~?」으로 쓴다 (2) on: ~ 위에 No, 주어 + be동사 + not.으로 한다. 10 (1) takeing → taking (3) 주어가 3인칭 단수이고 현재진행형으로 물었으므로 부정의 대답은 (2)(3) 주어가 3인칭 단수인 경우 일반동사 의문문은 「Does + 주어 + 동사 10 He’s the next batsman. 03 Hi, I’m Sai in India. 04 This is my PE class. 05 We’re playing cricket now. 06 Cricket is very popular in India. 07 My team is losing. 08 Where’s Jasper? 09 He’s over there. 11 Go, Jasper! 12 Hi! I’m Anikka in Finland. 13 I’m in Woodshop class. 14 We’re making tables now. 15 Is the class safe? 16 Yes, it is. 원형 ~?」으로 쓴다. (4) good은 형용사이므로 be동사의 의문문으로 써야 한다. 11 주어가 you이므로 일반동사 의문문은 「Do + 주어 + 동사원형 ~?」으로 쓴다. 12 현재진행형은 「be동사의 현재형(am, are, is) + 동사원형-ing」로 쓴다. my dog은 3인칭이므로 be동사는 is가 적절하다. 13 (1) 인도에서 크리켓이 매우 인기가 있다. (2) PE class: 체육 수업 17 Safety comes first, so we’re all wearing goggles. 정답 및 해설 11 20 We’re acting out Shakespeare’s play, Romeo and Juliet. 18 Hi, I’m Peter in the UK. 19 I’m in Language Arts class. 21 Do you know the story? 22 It’s a famous love story. 23 Hi, I’m Sumi in Korea. 24 This is my Social Studies class. 25 We’re doing a project about Dokdo. 26 Jiho is drawing a map of Dokdo. 27 Oh, no! He’s drawing only one big island. 28 Dokdo has two big islands and many small islands! 12 1학년 동아_윤정미 Lesson 03 Wisdom in Stories 교과서 어휘 다지기 A 01 just B 01 quiet Step 1 02 help 02 advice D 01 subway 02 fix E 01 please 04 upset 02 donkey 05 follow p.108 03 umbrella 03 wise 03 dirty 03 scene C 01 is, late for 02 do the dishes 03 a little 교과서 어휘 다지기 01 ⑤ 02 ③ 05 right away 06 ④ Step 2 p.109 03 full 07 ⑤ 04 ④ 08 ④ 01 <보기>는 반의어 관계이다. ① 작은 : 큰 ② 아이: 어른 ③ 조용한 : 시끄러운 ④ 더러운 : 깨끗한 ⑤ 지하철 : 역 02 누군가에게 어떻게 하라고 알려 주는 의견이나 제안 → 조언, 충고 03 full: 가득 찬, 배부른 •이 엘리베이터는 가득 찼다. •아니, 괜찮아. 나는 지금 정말 배가 부르다. 04 do[wash] the dishes: 설거지를 하다 05 right away: 즉시 06 animal은 ‘짐승, 동물’의 뜻으로 ⑤의 영영풀이에 not을 추가하여 a living thing that is not a human being or plant이 되어야 한다. 07 give ~ a ride: ~를 태워 주다 08 ① largely → large ② real → really ③ Wise → Wisdom ⑤ sleepy → sleep 교과서 속 핵심 대화 01 ① 02 ⑤ pp.110~111 교과서 대화 모두 보기 01 F 02 T 06 F 07 F 03 F 08 F pp.112~113 04 T 05 F Step 1 pp.114~116 교과서 대화 다지기 A 01 ( ⓑ ) → ( ⓒ ) → ( ⓐ ) 02 ( ⓒ ) → ( ⓐ ) → ( ⓑ ) 03 ⓔ → ( ⓐ ) → ( ⓑ ) → ( ⓕ ) → ⓓ → ( ⓒ ) → ( ⓖ ) 04 ( ⓓ ) → ( ⓐ ) → ( ⓔ ) → ( ⓑ ) → ( ⓒ ) B 01 Can, wash, problem, right 02 favor, clean, but, Why don’t you 03 Excuse, please, for, full, No 04 need, Can, fix, Let’s, can’t, take, to 05 ride, late for, too, by bus, Why don’t, but, too, How 06 are, doing, favor, do the dishes, right, a lot 07 favor, Can, make, be, soon 08 wrong, have, cold 교과서 대화 다지기 Step 2 p.117 01 ③ 04 ④ 02 Can you do me a favor? 03 ③ 05 ①, ④ 06 ⑤ 07 take you to 01 Why don’t you + 동사원형 ~?: ~하는 게 어때? 02 Can you do me a favor?: 부탁 좀 들어줄래? 03 ①, ②, ④는 제안에 수락하는 표현이고 ⑤는 거절의 표현이다. ③은 ‘네가 옳 다.’라는 의미이다. 04 여자: Eric, 뭐 하고 있니? 소년: 그냥 TV 보는 중이에요. 여자: 음, 부탁이 하나 있어. 날 위해 설거지 좀 해줄 수 있을까? 소년: 네. 문제 없어요. 지금 당장 할게요. 여자: 정말 고마워. 05 can대신 조동사 과거형(could, would)을 쓰면 좀 더 공손한 표현이 된다. 06 Why don’t you + 동사원형 ~?: ~하는 게 어때? 07 take A to B: A를 B로 데려가다 교과서 속 핵심 문법 01 ② 02 able 교과서 문법 다지기 A 01 Be 04 eat Step 1 02 take 05 Open 03 use 06 will B 01 Don’t tell a lie. 02 Clean your room. 03 He can play the guitar. 04 Be quiet in the library. 05 Will you be at home today? 06 I will have breakfast at 8. C 01 You will not[won’t] eat some food. 02 Can she play the piano? 03 They cannot[can’t] swim in the sea. 04 Don’t[Never] turn off the light. 05 Open the door quietly. D 01 will be able to 02 Don’t be 04 Get 05 go E 01 Will you watch the movie? 03 will be 06 Don’t 02 They will send me the information. 03 She will tell her sister a funny story. 04 Jane will send the letter. 05 He will not[won’t] come to school today. 06 I will go to the history museum tomorrow. F 01 can 04 be 02 Can 03 Don’t 05 am not able to 06 Are, going to 교과서 문법 다지기 Step 2 pp.122~125 02 ① 03 ③ 04 ⑤ 07 Can she read and write French? 10 Will you get up early tomorrow? 05 ④ 08 ⑤ 11 ④ 14 ④ 12 Fasten your seatbelt, please. 13 be 16 ③ 17 ② 18 is able to 19 ③ 01 ④ 06 ② 09 ① 15 ③ 20 ③ 서술형 01 (1) Don’t be in a hurry. (2) Never drink coffee. (3) Do it yourself. 02 When will the meeting begin? 03 (1) Are, able to (2) isn’t going to (3) will not 04 (1) Don’t turn (2) Don’t litter (3) Don’t take 05 (1) Will you tell me the truth? (2) Can your dog catch a ball? (3) Don’t be afraid of the dog. 06 Be quiet in the library, please. 야 한다. be late for: ~에 늦은 04 ‘절대 ~하지 마라.’는 「Never + 동사원형 ~.」의 형태로 쓴다. 05 미래의 추측을 의미하는 조동사 will은 be going to로 바꾸어 쓸 수 있다. 주어가 복수이므로 be동사는 are가 되어야 한다. 06 부정 명령문은 「Don’t + 동사원형 ~.」의 형태로 쓴다. 07 조동사 can의 의문문은 「Can + 주어 + 동사원형 ~?」의 형태로 쓴다. 08 조동사 will의 의문문은 「Will + 주어 + 동사원형 ~?」의 형태로 쓴다. ⑤번에서는 does를 빼야 적절하다. 09 can은 능력 및 허가를 나타낼 수 있다. 주어진 문장의 밑줄 친 can은 허가를 나타내며, ①의 can’t는 능력을 나타낸다. 11 조동사 의문문의 대답은 긍정일 때 「Yes, 주어 + 조동사.」 부정일 때 「No, 주어 + 조동사 + not.」으로 쓴다. 운동을 잘 못한다고 했으므로 부정의 대답 12 명령문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원형으로 문장을 시작한다. please는 문장 앞, 뒤에 쓸 수 있으며 문장 뒤에 쓸 때는 please 앞에 콤마(,)를 찍는다. 13 부정 명령문은 「Don’t + 동사원형 ~.」의 형태이고, 긍정 명령문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원형으로 문장을 시작한다. 조동사 will 뒤에는 동사원형을 써 이 적절하다. 야 한다. 14 부정 명령문은 문장 앞에 Don’t를 쓰는데 문장 맨 앞에 쓰는데 문장 맨 앞에 not의 의미가 포함된 Never가 이미 있으므로 not이 필요 없다. 조동사 will 의 부정은 will 뒤에 not을 써서 나타낸다. 정답 및 해설 13 pp.118~119 01 ‘걱정하지 마라. 괜찮아질 거야.’라는 의미이므로 부정 명령문이 되어야 한 다. 부정 명령문은 「Don’t + 동사원형 ~.」의 형태로 쓴다. 02 조동사 can은 주어의 인칭과 수에 상관 없이 같은 형태로 쓰며 주어가 John 이므로 ⑤의 are는 is가 되어야 적절하다. pp.120~121 03 「Don’t + 동사원형 ~.」의 형태로 쓴다. late는 형용사이므로 be동사가 있어 06 Tony will not[won’t] go to school in the morning. 10 조동사 will의 의문문은 「Will + 주어 + 동사원형 ~?」의 형태로 쓴다. 15 be able to + 동사원형: ~할 수 있다 (= can) 16 ⓐ 명령문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원형으로 시작한다. careful은 형용사이 영역별 실력 굳히기 pp.132~138 므로 be동사가 있어야 한다. ⓑ 부정 명령문은 Don’t 또는 Never를 쓴다. 17 조동사 can의 의문문은 「Can + 주어 + 동사원형 ~?」으로 쓰고, 긍정의 대 답은 「Yes, 주어 + can.」으로, 부정의 대답은 「No, 주어 + can’t.」로 쓴다. 18 능력을 나타내는 조동사 can은 be able to로 바꾸어 쓸 수 있다. 19 부정 명령문은 문장 앞에 Don’t를 쓴다. ① Are → Will ② study → to study ④ solving → solve ⑤ talks → talk 20 ⓒ rude는 형용사이므로 be동사가 필요하다. 부정 명령문은 문장 맨 앞에 Don’t를 쓴다. (rude → be rude) ⓓ 조동사는 -s, -es가 붙지 않으며 조동사 뒤에는 동사원형을 써야 한다. ⓖ will과 can을 연속해서 쓸 수 없다. (won’t can → won’t be able to) (cans → can) 서술형 01 명령문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원형으로 문장을 시작한다. 부정 명령문은 동사원형 앞에 Don’t 또는 never를 붙인다. 02 조동사의 의문문은 「조동사 + 주어 + 동사원형 ~?」의 형태로 쓰며, 의문사 가 있을 때는 문장 맨 앞에 의문사를 쓴다. 03 can은 「be able to + 동사원형」으로 바꿔 쓸 수 있으며 미래의 추측을 의미 하는 will은 「be going to + 동사원형」으로 바꿔 쓸 수 있다. 04 부정 명령문은 「Don’t + 동사원형 ~.」의 형태로 쓴다. 05 (1) 조동사 뒤에는 동사의 원형이 온다. (2) 조동사 can의 의문문은 「Can + 주어 + 동사원형 ~?」의 형태로 쓴다. (3) 부정 명령문은 「Don’t + 동사원형 ~.」의 형태로 쓴다. 06 명령문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원형으로 문장을 시작한다. quiet는 형용사 이므로 be동사가 앞에 와야 한다. please를 문장 앞, 뒤에 쓰게 되면 공손한 부탁이나 요청이 되는데 콤마(,)가 주어졌으므로 문장 뒤에 쓰는 것이 적절 하다. 교과서 본문다지기 A 01 are 02 We will 04 cannot 05 be 07 ~해 주시겠어요? 08 그러나 10 따르다 11 끔찍한 13 two donkeys and three goats 03 약간 06 very 09 them 12 animals 14 cannot 15 심지어, ~조차도 16 정말로 17 is B 01 are 02 come, sit, have 03 a little, can’t ~?) 04 be quiet 05 so 06 please do 07 goes to, wise 08 Can you please 09 big, but, so 10 Do, have 13 follow 11 have five 14 next, run 12 Take, into 15 terrible, and 16 Do, other 17 donkeys, goats 18 Take, into 19 I’ll 22 full 20 runs to 23 can’t 21 upset 24 can’t even 25 take, out of 26 all, are at 27 really, wise 28 is 29 everybody 30 Thank 02 (h)elp 03 ④ 04 right away 06 by bus 07 ③ 11 am late for 08 ⑤ 12 ③ 09 ② 13 ② 16 you do, favor 17 ②, ⑤ 18 ②, ⑤ 20 ③ 21 will not be 22 She cannot[can’t] speak French. 23 ④ 24 are able to, Are, going to 25 ②, ④ 26 ⑤ 29 Don’t make a noise in class. 32 ④ 36 ③ 33 Can I ask you a favor? 37 terrible 38 ⑤ 40 can’t[cannot] 41 |예시답안| 집 안의 모든 동물들을 집 밖으로 데려가라는 것 43 (1) ③, is (2) ⑤, smiles 44 ② 15 ① 19 ① 28 ⑤ 31 ② 35 ⑤ 01 ⑤ 05 ② 10 ② 14 ⑤ 27 ⑤ 30 ④ 34 ① 39 ① 42 ③ 45 ④ 이다. 01 ⑤는 동사와 형용사의 관계이고 나머지 보기들은 형용사와 부사의 관계 ① 조용한 : 조용히 ② 행복한 : 행복하게 ③ 끔찍한 : 끔찍하게 ④ 진짜의 : 진짜로 ⑤ 자다 : 졸린 02 누군가 일을 하는데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돕다 03 take A to B: A를 B로 데리고 가다 04 right away: 즉시(= immediately) 05 have dinner: 저녁을 먹다 have a cold: 감기에 걸리다 •나와 함께 오늘밤 저녁 먹을 수 있을까? •나는 감기에 걸리고 열도 난다. 06 by bus: 버스를 타고 07 Why don’t you ~?: ~하지 그래?, ~해 보는 게 어때? 08 ‘바빠서 도와줄 수 없다’고 했으므로 거절의 표현이 들어가야 한다. 09 can은 조동사로 능력, 허락, 요청, 추측 등의 여러 가지 뜻으로 쓰일 수 있는 데 여기에서는 요청의 뜻으로 쓰였다. 10 Why don’t you + 동사원형~?: ~하는 것이 어때?(= How about + -ing 11 be late for: ~에 늦다 12 버스 대신에 지하철 탈 것을 제안하고 있으므로 지하철의 장점에 해당하는 It’s fast.가 ③에 오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다. 13 take the subway: 지하철을 타다 take A to B: A를 B로 데려가다 14 소녀의 아버지는 소녀를 지하철 역까지만 태워줄 것이다. 15 What’s wrong?은 상대에게 무슨 일이 있는지를 묻는 표현이다. I’m right. 는 ‘내가 옳다’의 뜻으로 대답으로 어색하다. 16 Can you do me a favor?: 부탁 좀 들어줄래? 17 도움 요청에 승낙했으므로 감사의 대답이 적절하다. 18 부정 명령문은 「Don’t[Never] + 동사원형 ~.」의 형태로 쓴다. 19 ①의 be going to는 ‘~에 가고 있는 중이다’라는 의미의 현재진행형이다. pp.128~130 fix: 고치다 •뭐 좀 먹지 그래? •너 내 컴퓨터를 고칠 수 있니? p.131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be going to가 ‘~할 것이다’의 뜻으로 쓰였다. 20 하지만 피아노는 연주할 수 있다고 했으므로 빈칸은 문맥상 부정의 대답이 와야 한다. 교과서 속 기타 지문 01 T 02 F 14 1학년 동아_윤정미 21 조동사 will이 쓰인 문장의 부정문은 주어 + will + not + 동사원형 ~.으 로 쓴다. 22 조동사 can의 부정은 조동사 뒤에 not을 붙인다. 23 명령문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원형으로 시작한다. 문맥상 ‘나를 방해하지 14 ③ 18 ② 15 ④ 19 ⑤ 16 Don’t fight 17 ③ 20 be quiet and just sit down 21 집이 매우 작은 것 22 ⑤ 23 ⑤ 24 ② 말라’는 부정 명령문이 되어야 하므로 do를 don’t로 고쳐야 한다. 25 ⓑ five chickens ⓓ two donkeys and three goats 24 능력을 의미하는 can은 be able to로 바꿔 쓸 수 있다. 미래를 추측하는 26 ① 27 ② will은 be going to로 바꿔 쓸 수 있다. 28 take all the animals out of the house 29 ④ 25 ② 부정 명령문은 동사원형 앞에 Don’t를 붙인다. (Not use → Don’t use) 30 ② ④ 조동사 will이 들어간 문장이므로 과거를 나타내는 yesterday는 적절하 지 않다. 26 can은 능력 및 허가를 나타낼 수 있다. 밑줄 친 can과 ⑤는 허가를 나타내며 ①②③④의 can은 능력을 나타낸다. 27 미래를 나타내는 부사 tomorrow(내일)가 나왔으므로 미래를 나타내는 조동 28 내일 시험이 있는 상황이므로 열심히 공부하라는 뜻의 긍정 명령문이 되어 사 will이 적절하다. 야 한다. (Don’t → 삭제) 29 부정 명령문은 Don’t + 동사원형으로 쓴다. 30 명령문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원형으로 시작한다. quiet는 형용사로 be동 사가 와야 한다. (do → be) 31 To where?: 어디로? 32 집이 좁아 가족 구성원끼리 불편한 상황이다. ① 조용한 ② 매우 좋은 ③ 적극적인 ④ 스트레스 받는 ⑤ 호기심이 많은 33 Can you please help me?: 부탁 좀 들어줄래? (도움 요청) = Can you do me a favor? = Can[Could] I ask you a favor? = Will[Would] you do me a favor? 34 ⓑ ‘대가족이지만 집이 작다’라는 의미이므로 역접의 접속사 but이 적절하다. ⓒ take A into B: A를 B로 데려가다 35 Nasreddin Hodja가 마지막 문장에서 ‘그저 자신의 조언에 따르라’고 했으 므로 ‘닭들을 집안으로 데려가라’라고 말한 구체적인 이유를 답할 수 없다. 36 other + 복수명사: 다른 ~들 37 매우 불쾌한, 당신이 매우 불행하고, 화나고, 무섭게 느끼게 하는 것 → terrible (끔찍한) 38 Nasreddin은 나머지 동물들을 집 밖이 아니라 집 안으로 넣으라고 조언했 다. (Take them all into the house!) 01 훌륭한 감각과 판단을 보여 주는 → 현명한 ② 어리석은 ③ 재미있는 ④ 정직한 ⑤ 바보 같은 02 ③의 영영풀이는 donkey(당나귀)가 아닌 goat(염소)에 관한 설명이다. donkey: an animal that is like a small horse with large ears 03 other: (그 밖의) 다른 other은 복수명사를 수식하며 another은 단수명사와 함께 쓰인다. 04 all: 모든 완전히; 몹시 •그 표는 모두 팔렸다. •모든 학생들이 열심히 공부를 하고 있다. 05 Can you do me a favor?: 부탁 좀 들어줄래?(= Can I ask you a favor?) 06 빈칸에는 제안을 나타내는 표현이 적절하다. Can you ~?는 능력을 묻거나 요청하는 표현이다. 07 give ~ a ride...: ~를 ...까지 태워 주다 08 late는 형용사이므로 be동사가 있어야 한다. (I → I’m) 09 Why don’t you + 동사원형 ~?: ~하는 게 어때? 10 경기장까지 가는데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는 이 대화에서 알 수 없다. 11 명령문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원형으로 시작한다. 빈칸 뒤에 보어가 이어 지므로 be동사가 있어야 한다. 12 미래의 추측을 나타내는 조동사 will은 be going to로 바꾸어 쓸 수 있다. 13 조동사 will은 동사 앞에 쓰여 주어의 의지를 나타낸다. 의문문은 Will + 주 어 + 동사원형 ~?으로 쓰며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은 의문사를 문장 맨 앞에 쓴다. 14 ⓐ 명령문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원형으로 문장을 시작한다. ⓑ 조동사 will 뒤에는 동사원형이 온다. ⓒ be going to: ~할 것이다 15 Is she going to come to the meeting tomorrow?이므로 다섯 번째로 39 Nasreddin의 집에 와서 불평을 얘기하고 있으므로 ①happy(행복한)은 어 오는 단어는 come이다. 색하다. (happy → upset) 40 집에 꽉 차서 잠을 잘 수 없고, 앉을 수도 없다는 뜻이 되어야 문맥상 자연스 16 부정 명령문은 Don’t + 동사원형 ~.으로 쓴다. 17 조동사 can의 의문문은 「Can + 주어 + 동사원형 ~?」의 형태로 쓴다. 18 ⓑ able not → not able 럽다. cannot(= can’t) + 동사원형: ~ 할 수 없다 41 take A out of B: A를 B 밖으로 데려가다 42 be동사가 장소의 부사구와 함께 쓰이면 ‘~가 있다’라는 의미이다. 43 (1) everybody는 단수 취급하므로 단수 동사인 is가 적절하다. (2)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일반동사 뒤에 -s가 붙는다. 44 가족 모두 문제가 해결되어 행복한 상황이므로 ②가 적절하다. ① 화가 난 ② 기쁜 ③ 불안한 ④ 걱정스러운 ⑤ 무관심한 45 아내의 마지막 말에서 Nasreddin에게 감사의 말을 전하고 있다. 학교 시험 100점 맞기 01 ① 02 ② 06 ① 10 ⑤ 07 ① 11 ② 03 ② 08 ② 04 all 05 ④ 09 Why don’t you 12 going to do 13 ③ ⓓ turning → turn 19 have dinner: 저녁 식사를 하다 20 명령문은 동사원형으로 문장을 시작한다. just: (정중하게 요청하거나 양해를 구하거나 할 때) 좀 21 ⓒ의 it은 집이 매우 작은 상황을 의미한다. 22 Hassan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는 이 글에서 알 수 없다. 23 ⓐ 조동사 can은 요청을 나타낼 수 있다. ⓒ 집에 닭들이 함께 들어와 있는 상황이므로 ‘끔찍한‘의 뜻을 가진 형용사 terrible이 적절하다. terribly: 끔찍한 (pleased → please) (animal → animals) ② 명령문은 동사원형으로 문장을 시작한다. (follows → follow) ③ other는 ‘다른’의 뜻으로 복수명사와 함께 쓰인다. 정답 및 해설 15 Step 1 pp.139~143 24 ① 명령문에서 please를 붙이면 공손한 부탁의 뜻이 된다. 25 밑줄 친 ⓑ와 ⓓ는 바로 앞 문장에서 언급한 다섯 마리의 닭과 두 마리의 당 18 ⓓ will you → are you ③ 놀라운 → 충격적인 ④ 실망한 → 지겨운 ⓑ five chickens를 가리키므로 복수명사를 받는 them이 적절하다. 나귀, 세 마리의 염소를 가리킨다. 26 Hassan은 대가족이지만 집이 작다고 했으므로 ①은 적절하지 않다. 27 조동사 뒤에는 동사원형이 온다. (sleeping → sleep) 28 take A out of B: A를 B 밖으로 데려가다 29 모든 문제가 해결되었으므로 감사의 말이 자연스럽다. 30 집이 꽉 차서 화가 났다가 Nasreddin의 조언대로 행동한 후 문제가 해결되 어 행복하다고 했으므로 ②가 적절하다. ① 놀라운 → 긴장한 ② 화가 난 → 행복한 ⑤ 흥미로운 → 만족하는 Step 2 pp.144~148 학교 시험 100점 맞기 01 ④ 02 ⑤ 06 ③ 08 ⑤ 03 ④ 04 scene 05 ⑤ 07 can you please give me a ride to Dream Stadium 09 ② 10 ①, ④ 13 a seat 14 ② 15 ③ 18 ⑤ 19 ③ 20 sit down 21 please do something about it 24 Just follow my advice. 25 ③ 11 ④ 16 ① 22 ③ 26 ① 12 ③ 17 Don’t, be 23 ② 27 ④ 28 ④ 29 ② 30 ⓑ sit ⓒ wise ⓓ happy 01 배부른 : 배고픈 = 아내 : 남편 (반의어 관계) ① 아이 ② 형, 남동생 ③ 가족 ④ 아내 ⑤ 남자 02 ① ~ ④에는 take가 들어가야 하고 ⑤에는 do가 들어가야 적절하다. ① 선택하다 ② 데리고 가다 ③ 가지고 가다 ④ 잡다 ⑤ do the dishes: 설거지를 하다 03 pleased: 기쁜, 즐거운 이는 말) please: 부디, 제발 (남에게 정중하게 무엇을 부탁하거나 하라고 할 때 덧붙 04 연극에서 나누어지는 작은 부분 → 장 05 도움 요청에 대한 거절은 I’d like to, but I can’t.가 적절하다. 06 개를 씻겨 달라는 부탁에 거절했으므로 다른 방법을 제안하는 말이 와야 자 연스럽다. 07 Can you ~?: 해주시겠어요? give ~ a ride (to...): ~를 (...에) 태워 주다 08 지하철 역이 너무 가깝다 → 너무 멀다 (far) 09 ⓑ be late for: ~에 늦다 ⓒ by bus: 버스를 타고 (to → by) 10 소녀는 아버지 차를 타고 지하철 역에 간 다음 지하철을 타고 경기장까지 갈 11 명령문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원형으로 문장을 시작한다. scared는 형용 사이므로 be동사가 있어야 한다. 12 능력은 조동사 can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의문문은 Can + 주어 + 동사원형 것이다. ~?으로 쓴다. 13 sit down: 앉다(= take a seat) 14 만지거나, 전화하거나, 먹고 마시거나, 플래쉬를 터트리거나 벽에 기대지 말 라고 했으므로 해당 장소로 박물관이 가장 적절하다. 15 조동사 will 다음에는 동사원형이 와야 한다. 16 ②③④⑤는 요청을 나타내며 ①은 미래를 나타낸다. 17 명령문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원형으로 문장을 시작한다. happy는 형용사 이므로 be동사가 있어야 한다. 16 1학년 동아_윤정미 ⓔ do Kevin → Kevin do ⓕ doing → to do 19 a little: 약간 20 명령문은 동사원형으로 문장을 시작한다. 21 명령문은 동사원형으로 문장을 시작하고 please를 명령문 앞이나 뒤에 쓰 면 공손한 부탁의 뜻이 된다. 22 딸1의 대화에서 집이 작아서 불만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3 ⓐ ‘대가족이지만 집이 작다’라는 말이 되어야 자연스럽다. 24 명령문은 동사원형으로 문장을 시작한다. 25 동물들을 집 안으로 들이라는 Nasreddin의 조언에 Hassan이 what이라고 되묻고 있으므로 ‘당황스런’ 감정을 느꼈을 것이다. ① 행복한 ② 슬픈 ③ 당황한 ④ 외로운 ⑤ 무서운 26 be동사 뒤에는 형용사가 와야 한다. (terribly → terrible) 27 여러 개를 나열할 때는 마지막 단어 앞에 접속사 and를 쓴다. 28 Nasreddin은 당나귀 두 마리와 염소 세 마리를 집 안에 넣으라고 했고 Hassan은 그렇게 하겠다고 했다. 29 빈칸 다음에 나오는 내용에서 잠을 잘 수도 앉을 수도 없다고 했으므로 빈칸 에는 full(가득 찬)이 적절하다. 30 ⓑ 조동사 다음에는 동사원형이 온다. ⓒ 명사 man을 수식하는 형용사가 되어야 한다. ⓓ be동사 뒤에는 보어자리이므로 형용사가 와야 한다. 보어자리에 부사는 pp.149~151 04 (1) She asked her father to give her a ride to Dream Stadium. 올 수 없다. 서술형으로 끝내기 01 (1) give, ride (2) a lot (3) have[catch, get] a cold 02 do 03 ⓐ what are you doing ⓑ I need a favor ⓒ No problem. (2) How[What] about 05 |예시답안| I’m sorry, but I can’t. |예시답안| I’m afraid, I can’t. |예시답안| I’d like to, but I can’t. 06 (1) Be quiet. (2) Don’t use cell phones. (3) Don’t be late for class. (4) Don’t run. 07 (1) Will he go to the zoo tomorrow? (2) He won’t[will not] go to the zoo tomorrow. 08 She is not[isn’t] able to speak Chinese. 09 (1) Never swim in this river. (2) Can he still hear your voice? (3) We are going to read the book. (4) She will take a picture today. 10 Turn off the light at night. 11 I’m going to visit my grandparents. 14 |예시답안| 집이 꽉 차서 잘 수도, 앉을 수도 없었기 때문에 (3) Jiho is going to read a novel. 03 ⓐ 현재진행형의 대답이므로 현재진행형으로 물어야 한다. ⓑ 도움을 요청할 때 쓸 수 있는 표현이다. ⓒ 도움 요청에 대한 승낙의 표현이 들어가야 한다. 04 (1) 소녀는 아버지에게 경기장까지 태워달라는 부탁을 한다. (2) How[What] about + -ing ~?: ~하는 것이 어때? (제안) 05 도움을 요청하는 말에 대한 거절의 표현이 들어가야 한다. 06 명령문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원형으로 문장을 시작한다. 부정 명령문은 동사원형 앞에 Don’t를 쓴다. 07 (1) 조동사 will의 의문문은 「Will + 주어 + 동사원형 ~?」의 형태로 쓴다. 12 Good. Take them into the house! / What? (2) 조동사 will의 부정문은 주어 + won’t[will not] + 동사원형 ~.의 형 13 Just follow my advice! 12 Don’t ride a bike. 13 ⓐ helping → help ⓑ big a → a big ⓒ Are → Do ⓓ Takes → Take ⓔ advise → advice 15 (1) ⓐ wise ⓑ large (2) everybody is happy 01 (1) give ~ a ride: ~를 태워 주다 (2) a lot: 많이 (3) have[catch, get] a cold: 감기에 걸리다 02 do the dishes: 설거지를 하다 do one’s homework: 숙제를 하다 do a favor: 부탁을 들어주다 •날 위해 설거지 좀 해 줘. •그녀는 숙제를 할 것이다. •내 부탁 좀 들어줄래? 태로 쓴다. 08 be able to의 부정문은 be동사 뒤에 not을 붙인다. 09 (1) 명령문은 동사원형으로 문장을 시작한다. (2) Can + 주어 + 동사원형 ~?: ~할 수 있니? (3) be going to + 동사원형: ~할 예정이다 (4) 조동사 다음에는 동사원형이 온다. 10 turn off: 끄다 at night: 밤에 11 be going to + 동사원형: ~할 것이다 12 자전거 금지 표지판이므로 부정 명령문으로 써야 한다. 13 ⓐ Can + 주어 + 동사원형 ~?: ~할 수 있니? ⓑ 관사가 형용사 보다 앞에 위치한다. ⓒ 일반동사 의문문은 do를 사용하여 의문문을 만든다. ⓓ 명령문은 동사원형으로 문장을 시작한다. ⓔ advise는 동사이므로 명사로 고쳐야 한다. 14 (1) |예시답안| 집이 꽉 차서 잘 수도, 앉을 수도 없었기 때문에 (2) can’t는 be not able to로 바꾸어 쓸 수 있다. 15 (1) wise: 현명한 large: 넓은 (2) everybody: 모든 사람 (단수 취급) 창의 서술형 01 (1) Don’t speak loudly. Don’t use a cell phone. (2) Don’t eat or drink. Offer seats to the elderly. (3) Don’t throw away trash. Don’t pick flowers. 02 (1) Jiho is going to go shopping. (2) Yes, he will. 01 부정 명령문은 Don’t 뒤에 동사원형을 쓰고 긍정 명령문은 동사원형으로 문 장을 시작한다. 02 (1) go shopping: 쇼핑하러 가다 (2) 조동사 will 의문문이므로 긍정의 대답은 Yes, 주어 + will.로 한다. (3) 일요일에 하는 일을 묻고 있다. read a novel: 소설책을 읽다. 교과서 본문손으로 익히기 pp.153~154 01 Hassan and his family are in the house. 02 Kids, come and sit down. We’ll have dinner. 03 Brother, move a little! I can’t sit. / To where? 04 Kids, be quiet and just sit down! 05 Mom, our house is so small! 06 Dad, please do something about it. / Hmm... 07 The next day, Hassan goes to Nasreddin Hodja, a wise man. 08 You’re a wise man. Can you please help me? 09 I have a big family, but my house is so small. 10 Hmm. Do you have chickens? 11 Chickens? Yes. I have five chickens. 14 The next morning, Hassan and his wife run to Nasreddin’s house. 15 It’s terrible now. Me, my wife, four kids, and five chickens ... 16 Do you have other animals? 17 Well, we have two donkeys and three goats. 18 Take them all into the house! 19 But ... OK, I’ll do that. 20 The next morning, Hassan runs to Nasreddin’s house again with his wife and daughters. 21 They are upset. 22 Our house is so full. 23 We can’t sleep. 24 We can’t even sit. 25 Good! Now, take all the animals out of the house. 26 The next morning, Hassan and all his family are at Nasreddin’s house. 27 Nasreddin, you’re really a wise man! 28 Now our house is very large. 29 Now everybody is happy. p.152 30 Yes. Thank you so much. (Nasreddin just smiles.) 정답 및 해설 17 X-10 G: Hi, I’m Mina from Korea. Nice to meet you, too. B: My favorite subject is science. What’s your favorite subject? Heart to Heart p.2 17 좋은, 즐거운, 멋진 18 좋은; 즐거운 19 최고의, 제일 좋은; 가장 20 과목; 주제 Lesson 01 교과서 어휘 다시 쓰기 A 01 듣다 03 보여 주다 05 올리다; 우편 07 좋아하다 09 곡, 노래 11 동호회, 클럽 13 언니; 누나; 여동생 15 지도 B 01 science 03 country 05 heart 07 America 09 movie 11 soccer 13 together 15 different 17 difficult 19 long C 01 많은 03 항상, 늘 05 집에서 07 ~ 출신이다 교과서 대화 다시 쓰기 Step 1 01 Nice, Glad, too, Do, Not 02 만나다 04 쓰다, 작성하다 06 요리하다; 요리사 08 물건, 것 10 꼬리 12 수학 14 음식 16 어린; 작은 02 member 04 animal 06 problem 08 people 10 Sunday 12 friend 14 brown 16 favorite 18 famous 20 strong 02 ~은 어때? 04 ~을 듣다 06 주말마다 02 from, meet, from, Nice, subject, math, fun 03 Nice, Nice, sports, like, favorite, is 04 to meet, from, in, famous, I see, do, Do, too, Not, favorite 05 meet, Nice, too, favorite color, What’s, blue 06 meet, Nice to, too, music, How, don’t, much 07 do, do, favorite, How, What’s, at home 08 math, about, math, for, What, It’s Step 2 01 B: Hi, I’m Ted. Nice to meet you. G: Hi, I’m Jessica. Glad to meet you, too. B: I love baseball. Do you like baseball, too? G: Not really. I like soccer. 18 1학년 동아_윤정미 G: It’s math. It’s so fun. 03 A: Hi, I’m Minji. Nice to meet you. B: Hi, I’m Ted. Nice to meet you, too. A: I like sports. What do you like? B: I like music. My favorite singer is Blue Rain. 04 B: Hi, I’m Kim Minho. Nice to meet you. G: Hi, I’m Jenny Parker and I’m from Canada. B: Who’s the man in the picture? G: He’s famous hip hop singer in my country. B: I see. So, do you like hip hop music? G: Yes. It’s my favorite music. Do you like music, too? B: Not really. I like sports. My favorite sport is soccer. 05 A: Hi, I’m Minho. Nice to meet you. B: Hi, I’m Jenny. Nice to meet you, too. A: My favorite color is yellow. What’s your favorite color? B: It’s blue. 06 B: Hi, I’m Mike. Nice to meet you. G: Nice to meet you, too. I’m Jenny. B: I like music. How about you, Jenny? G: I don’t like music much. I like movies. 07 G: Sam, do you like animals? B: Yes, I do. G: What’s your favorite animal? animal? G: I love dogs. I have two dogs at home. 08 G: I like math. How about you? B: I don’t like math. It’s difficult for me. B: I like English. It’s my favorite subject. B: Oh, I love cats. How about you, Jina? What’s your favorite 02 This is 04 best, is 06 like, but, likes 08 not, problem 10 love, music 12 It, music 교과서 본문 다시 쓰기 Step 1 01 I am 03 shows, and 05 We, different 07 like, but, them 09 are, friends 11 am, of 13 write, together, post them 14 have many 15 favorite, is 17 cooks, for, on 16 little, loves, too 18 isn’t, great, but, his Step 2 01 I am 03 shows, favorite, and 04 My best, is 02 This is, heart 08 ~을 ...에 올리다 G: What subject do you like? pp.3~6 pp.7~16 02 B: Hi, I’m Chris and I’m from America. Nice to meet you. 05 We are, different 06 like, but, likes 07 don’t like, but them 08 It’s not, problem 03 It shows my favorite people and things. 09 are, friends 11 am, member of 10 love, music 12 It, school’s, club 04 My best friend is Kim Jinsu. 05 We are very different. 13 write, together, them on 14 have many 06 I like music, but Jinsu likes sports. 15 My favorite, is 16 little, loves, too 07 I don’t like animals, but Jinsu loves them. 17 cooks, for, on Sundays 18 isn’t, cook, but, spaghetti Step 3 01 I am Song Hajun 02 This is my heart 03 shows, favorite, and things 04 My best friend is 05 We are, different 06 like, but, likes sports 07 don’t like animals, but, loves them 08 It’s not, problem 09 are good friends 10 love rap music 11 am a member of 12 It, school’s, music club 13 write, songs together, post them on our 14 have many fans 15 My favorite, is spaghetti 16 little sister, loves, too 17 Dad cooks, for, on Sundays 18 He isn’t, cook, but, like, spaghetti Step 4 01 I am Song Hajun. 02 This is my heart map. 04 My best friend is Kim Jinsu. 05 We are very different. 06 I like music, but Jinsu likes sports. 07 I don’t like animals, but Jinsu loves them. 08 It’s not a problem. 09 We are good friends. 10 I love rap music. 11 I am a member of A-Yo. 12 It is the school’s rap music club. 13 We write rap songs together and post them on our blog. 14 We have many fans. 15 My favorite food is spaghetti. 16 My little sister Sumi loves it, too. 17 Dad cooks it for us on Sundays. 18 He isn’t a great cook, but we like his spaghetti. Step 5 01 I am Song Hajun. 02 This is my heart map. 08 It’s not a problem. 09 We are good friends. 10 I love rap music. 11 I am a member of A-Yo. 12 It is the school’s rap music club. 13 We write rap songs together and post them on our blog. 14 We have many fans. 15 My favorite food is spaghetti. 16 My little sister Sumi loves it, too. 17 Dad cooks it for us on Sundays. 18 He isn’t a great cook, but we like his spaghetti. 교과서 핵심문장 Review A 01 Nice to meet you. 02 I am a member of A-Yo. 03 I have two dogs at home. p.17 04 It shows my favorite people and things. 05 I like music, but Jinsu likes sports. 06 We write rap songs together and post them on our blog. B 01 We have many fans. 02 My favorite singer is Blue Rain. 03 My favorite food is spaghetti. 04 Hi, I’m Chris and I am from America. 05 I don’t like animals, but Jinsu loves them. 정답 및 해설 19 03 It shows my favorite people and things. 06 He isn’t[is not] a great cook, but we like his spaghetti. Have Fun at School! p.18 02 그리다; 칠하다 04 지다; 잃다 05 착용하다, 끼다; 입다 06 공원; 주차하다 07 수업; 학급; 계층 08 식탁, 탁자 15 경기를 하다; 희곡; 연극 16 오직, 단지 10 인도 12 체육관 14 팀, 단체 18 작은 20 소개하다 02 project 04 picture 06 next 08 language 10 badminton 12 world 14 batsman 16 Korea 18 second 20 popular Lesson 02 교과서 어휘 다시 쓰기 A 01 가지다; 먹다 03 그리다; 끌다 09 이야기 11 지도 13 층; 바닥 17 안전 19 보다, 지켜보다 B 01 cricket 03 classroom 05 classmate 07 library 09 woodshop 11 island 13 lunchtime 15 student 17 around 19 famous 교과서 대화 다시 쓰기 Step 1 C 01 전 세계에서 02 저쪽에; 저기에서는 03 인터넷 상에서 04 알아내다 05 연기하다, 시연하다 06 최우선 고려 사항이다 07 산책하다 08 설거지를 하다 pp.19~22 01 What’s, doing, playing basketball, Where, Is, gym, Yes 02 What’s, doing now, listening to, Is, in the music, her classroom 03 Where’s, She’s, cooking classroom, What’s, doing, cooking 04 Where’s, in the library, What’s, doing, watching 05 Excuse, Do, know, do, classmate, Where, art room, painting, picture, art room, on, second floor, You’re welcome 06 What’s, doing, painting, picture, Where, He’s 07 Where’s, over there, What’s, playing, with, see 08 What, doing, drawing, for, art class, drawing, drawing, car Step 2 01 G: What’s Dasom doing? B: She’s playing basketball. G: Where is she? Is she in the gym? B: Yes, she is. 02 G: What’s Sumi doing now? 20 1학년 동아_윤정미 B: She’s listening to music. G: Is she in the music room? B: No, she’s in her classroom. 03 G: Where’s Yuna? B: She’s in the cooking classroom. G: What’s she doing there? B: She’s cooking spaghetti. 04 A: Where’s Eric? B: He’s in the library. A: What’s he doing there? B: He’s watching a DVD. 05 W: Excuse me. Do you know Kevin Baker? B: Yes, I do. He’s my classmate. W: Oh, good. Where is he? I’m Kevin’s mother. B: He’s in the art room. He’s painting a picture. W: Where’s the art room? B: It’s on the second floor. W: OK. Thanks. B: You’re welcome, Mrs. Baker. 06 A: What’s Eric doing? B: He’s painting a picture. A: Where is he? B: He’s in the park. 07 G: Where’s Jisu? B: She’s over there. G: Where? What’s she doing? B: She’s playing badminton with her brother. G: Oh, I see her. 08 B: Jenny, What are you doing? G: I’m drawing a picture for my art class. B: What are you drawing? G: I’m drawing a car. 교과서 본문 다시 쓰기 Step 1 pp.23~32 01 around, are introducing, on 02 Let’s, find out, classes 03 in India 04 This, P.E. 05 playing cricket now 06 popular in India 07 My, is losing 09 over there 11 Go, Jasper 08 Where’s Jasper 10 the next batsman 12 in Finland 13 in Woodshop class 14 making tables 15 class safe 17 Safety, first, wearing 16 it is 18 I’m, in 19 in, class 21 know, story 23 in Korea 25 We’re, project 20 acting out, play 22 famous, story 24 my, class 26 is drawing, map 27 drawing only one 28 has, big, small Step 2 02 Let’s watch and find out about their classes! 01 Students around, are introducing, classes on 20 We’re acting out Shakespeare’s play, Romeo and Juliet. 01 Students around, introducing, on 02 Let’s watch, out about 03 I’m, in India 04 This, PE class 06 is very, in India 08 Where’s 05 playing cricket now 07 My, is losing 09 over there 10 the next batsman 11 Go 12 I’m, in Finland 13 in Woodshop 14 We’re making, now 15 Is, safe 16 it is 18 in the UK 20 acting out, play 22 a famous, story 17 Safety, first, we’re, wearing 19 Language Arts 21 Do, know, story 23 in Korea 24 my Social Studies 25 We’re doing 26 is drawing, map of 27 He’s drawing, big 28 has, islands, many Step 3 02 Let’s watch, find out about 03 Hi, I’m, in India 04 This, my PE class 05 playing cricket now 06 is very popular in India 07 My, is losing 08 Where’s 09 over there 10 the next batsman 11 Go 12 I’m, in Finland 13 in Woodshop class 14 We’re making, now 15 Is, class safe 16 it is 18 in the UK 19 Language Arts class 20 We’re acting out, play 21 Do you know, story 22 a famous love story 23 in Korea 24 my Social Studies class 25 We’re doing, project 26 is drawing, map of 27 He’s drawing only, big 17 Safety, first, we’re, wearing goggles 03 Hi, I’m Sai in India. 04 This is my PE class. 05 We’re playing cricket now. 06 Cricket is very popular in India. 07 My team is losing. 08 Where’s Jasper? 09 He’s over there. 10 He’s the next batsman. 11 Go, Jasper! 12 Hi! I’m Anikka in Finland. 13 I’m in Woodshop class. 14 We’re making tables now. 15 Is the class safe? 16 Yes, it is. 18 Hi, I’m Peter in the UK. 19 I’m in Language Arts class. 21 Do you know the story? 22 It’s a famous love story. 23 Hi, I’m Sumi in Korea. 24 This is my Social Studies class. 25 We’re doing a project about Dokdo. 26 Jiho is drawing a map of Dokdo. 17 Safety comes first, so we’re all wearing goggles. 27 Oh, no! He’s drawing only one big island. 28 Dokdo has two big islands and many small islands! Step 5 Internet. 01 Students around the world are introducing their classes on the 02 Let’s watch and find out about their classes! 03 Hi, I’m Sai in India. 04 This is my PE class. 05 We’re playing cricket now. 06 Cricket is very popular in India. 07 My team is losing. 08 Where’s Jasper? 09 He’s over there. 10 He’s the next batsman. 11 Go, Jasper! 12 Hi! I’m Anikka in Finland. 13 I’m in Woodshop class. 14 We’re making tables now. 15 Is the class safe? 16 Yes, it is. 18 Hi, I’m Peter in the UK. 19 I’m in Language Arts class. 28 has, islands, many small islands 01 Students around the world are introducing their classes on the Step 4 Internet. 17 Safety comes first, so we’re all wearing goggles. 20 We’re acting out Shakespeare’s play, Romeo and Juliet. 정답 및 해설 21 21 Do you know the story? 22 It’s a famous love story. 23 Hi, I’m Sumi in Korea. 24 This is my Social Studies class. 25 We’re doing a project about Dokdo. 26 Jiho is drawing a map of Dokdo. 27 Oh, no! He’s drawing only one big island. 28 Dokdo has two big islands and many small islands! 교과서 핵심문장 Review A 01 My team is losing. 02 She’s playing basketball. 03 What’s Sumi doing now? 04 We’re making tables now. 05 Let’s watch and find out about their classes! 06 Students around the world are introducing their classes on the Internet. B 01 Is the class safe? 02 What is he doing there? 03 Cricket is very popular in India. 04 Jiho is drawing a map of Dokdo. 05 She’s playing badminton with her brother. 06 Dokdo has two big islands and many small islands! Wisdom in Stories p.34 02 (연극) 장, 무대; 상황; 풍경 03 저녁 식사; (하루의 주요) 식사 04 심지어, ~ 조차 05 가득한, 빈 공간이 없는; 배부른 06 가족 p.33 10 끔찍한, 소름 끼치는 Lesson 03 교과서 어휘 다시 쓰기 A 01 (그 밖의) 다른 07 경기장 09 그저, 단지 11 다시, 한 번 더 13 당나귀 15 데리고 가다; 잡다 17 짐승, 동물 19 딸 B 01 please 03 wife 05 really 07 sit 09 umbrella 11 smile 13 small 15 quiet 17 house 19 wise C 01 ~에 늦다 03 설거지를 하다 05 감기에 걸리다 07 다음날 08 고치다 12 닭 14 더러운 16 돕다 18 따르다; 따라가다 20 모두, 누구든지 02 favor 04 kid 06 something 08 goat 10 move 12 sleep 14 advice 16 subway 18 large 20 upset 02 즉시 04 ~를 ...까지 태워 주다 06 A를 B 밖으로 데려가다 08 ~하는 게 어때? 교과서 대화 다시 쓰기 Step 1 01 Can, wash, dirty, problem, wash, right 02 favor, clean, living, but, don’t you 03 Can, please, for, full, No pp.35~38 04 need, please fix, Let’s, can’t, Why, take, to, will 05 give, ride, late, can’t, too, by bus, Why don’t you, but, too far, 06 are, doing, watching, favor, do the dishes, No, right, a lot 07 This, favor, Can, make, for, be, soon 08 wrong, sick, have, cold take, How Step 2 01 M: Can you please wash the dog? He’s dirty. G: No problem. I’ll wash him right away. 02 W: I need a favor. Can you please clean the living room? 22 1학년 동아_윤정미 B: Sorry, but I’m studying now. Why don’t you ask Jim? 03 a little, can’t, where 04 be quiet, sit down W: OK. I’ll do that. 05 our, so small 06 please do something, it 03 G: Excuse me. Can you please open the gate for me? My hands 07 goes to, a wise man 08 wise, Can you please, me are full. M: No problem. G: Thank you. bike shop? G: OK, I will. 09 have, big, but, so 10 Do you have 11 have five 13 follow, advice 12 Take, into the house 14 next, his, run 04 G: Ted, I need a favor. Can you please fix my bike? 15 terrible, four kids, and 16 Do, have other B: Let’s see. I’m sorry, but I can’t. Why don’t you take it to the 17 two donkeys, three goats 18 Take, into, house 05 G: Dad, can you please give me a ride to Dream Stadium? I’m late for a baseball game. 25 take all, out of 26 all, family are at M: Sorry, I can’t. I have a business meeting, and I’m late, too. 27 really, wise man 28 is, large 29 everybody, happy 30 Thank, much 19 I’ll do 21 are upset 23 can’t sleep 20 morning, runs to, again 22 is, full 24 can’t even W: Well, I need a favor. Can you please do the dishes for me. 05 our, is so small G: That’s OK. I’ll go by bus. M: Why don’t you take the subway? It’s fast. G: I know, but the subway station is too far. M: I can take you to the subway station. How about that? G: That’s great. Thanks, Dad. 06 W: Eric, what are you doing? B: I’m just watching TV. B: OK. No problem. I’ll do it right away. W: Thanks a lot. 07 B: Hi, Mom. This is John. I need a favor. I’m hungry. Can you please make a sandwich for me? I’ll be home soon. Thank you, mom. 08 G: What’s wrong, Jinsu? B: I’m very sick. I have a cold. 교과서 본문 다시 쓰기 Step 1 pp.39~48 01 his, are, house 02 come, sit, have 03 a little, can’t, where 04 be quiet, sit down 05 our, so 06 please do, about 07 next, goes to, wise 08 a, Can you please 09 have, big, but so 10 Do, have chickens 11 have five 13 follow, advice 12 Take them into 14 next, wife run, house 15 terrible, wife, four 16 Do, have other 17 two donkeys, goats 18 Take, into the 19 I’ll do 21 are upset 23 can’t sleep 20 morning, runs to, again 22 is so full 24 can’t even 25 take, animals out of 26 next, all, are at 27 really, wise man 28 our, is, large 29 everybody is happy 30 Thank, much Step 2 Step 3 01 his family are in, house 02 come, sit down, have dinner 03 move a little, can’t, where 04 be quiet, just sit down 06 please do something about it 07 next, goes to, a wise man 08 a wise, Can you please, me 09 have, big, but, is so small 10 Do you have chickens 11 have five chickens 12 Take them into the house 13 follow my advice 14 next, his wife run, house 15 terrible, my wife, four kids, and 16 Do, have other animals 17 have two donkeys, three goats 18 Take them, into, house 19 I’ll do that 21 are upset 22 house is, full 23 We can’t sleep 24 can’t even sit 25 take all, animals out of 26 next, all his family are at 27 really a wise man 28 Now, is very large 29 everybody is happy 30 Thank, so much 20 next morning, runs to, house again, daughters 01 his family are, house 02 come, sit down, dinner 02 Kids, come and sit down. We’ll have dinner. Step 4 01 Hassan and his family are in the house. 정답 및 해설 23 18 Take them all into the house! 19 But ... OK, I’ll do that. with his wife and daughters. 21 They are upset. 22 Our house is so full. 23 We can’t sleep. 24 We can’t even sit. 03 Brother, move a little! I can’t sit. / To where? 17 Well, we have two donkeys and three goats. 04 Kids, be quiet and just sit down! 05 Mom, our house is so small! 18 Take them all into the house! 19 But ... OK, I’ll do that. 06 Dad, please do something about it. / Hmm... 20 The next morning, Hassan runs to Nasreddin’s house again 07 The next day, Hassan goes to Nasreddin Hodja, a wise man. with his wife and daughters. 08 You’re a wise man. Can you please help me? 09 I have a big family, but my house is so small. 10 Hmm. Do you have chickens? 11 Chickens? Yes. I have five chickens. 21 They are upset. 22 Our house is so full. 23 We can’t sleep. 24 We can’t even sit. 12 Good. Take them into the house! / What? 25 Good! Now, take all the animals out of the house. 13 Just follow my advice! 26 The next morning, Hassan and all his family are at Nasreddin’s 14 The next morning, Hassan and his wife run to Nasreddin’s house. house. 27 Nasreddin, you’re really a wise man! 15 It’s terrible now. Me, my wife, four kids, and five chickens ... 28 Now our house is very large. 16 Do you have other animals? 29 Now everybody is happy. 17 Well, we have two donkeys and three goats. 30 Yes. Thank you so much. (Nasreddin just smiles.) 20 The next morning, Hassan runs to Nasreddin’s house again p.49 교과서 핵심문장 Review A 01 They are upset. 02 Now everybody is happy. 03 Our house is so full. 04 Do you have other animals? 25 Good! Now, take all the animals out of the house. 26 The next morning, Hassan and all his family are at Nasreddin’s B 01 Just follow my advice! 05 Why don’t you take it to the bike shop? 06 Hassan and all his family are at Nasreddin’s house. house. 27 Nasreddin, you’re really a wise man! 28 Now our house is very large. 29 Now everybody is happy. 30 Yes. Thank you so much. / Nasreddin just smiles. Step 5 01 Hassan and his family are in the house. 02 Kids, come and sit down. We’ll have dinner. 03 Brother, move a little! I can’t sit. / To where? 04 Kids, be quiet and just sit down! 05 Mom, our house is so small! 06 Dad, please do something about it. / Hmm... 07 The next day, Hassan goes to Nasreddin Hodja, a wise man. 08 You’re a wise man. Can you please help me? 09 I have a big family, but my house is so small. 10 Hmm. Do you have chickens? 11 Chickens? Yes. I have five chickens. 12 Good. Take them into the house! / What? 13 Just follow my advice! 02 Can you please do the dishes for me? 03 Why don’t you take the subway? 04 Kids, be quiet and just sit down! 05 Hassan and his wife run to Nasreddin’s house. 06 It’s terrible now. 최종점검 모의고사 Lesson 01 pp.52~55 01 ④ 06 I see. 11 ④ 16 ⑤ 02 ② 07 ② 12 ④ 03 like 04 ②, ⑤ 08 ④ 13 ③ 09 ③ 14 ② 05 ⑤ 10 ④ 15 ① 17 ⓐ A-Yo ⓓ spaghetti 18 We write rap songs together and post them on our blog. 19 ④, ⑤ 20 ⓐ T ⓑ T ⓒ F ⓓ T ⓔ F ⓕ F 01 ⓐ heart: 마음 ⓑ subject: 과목 •그는 겉보기에는 거칠지만 마음은 순하다. •체육은 내게 중요한 과목이다. 02 ②의 영영풀이는 선풍기를 뜻한다. 예문의 fan은 어떤 사람, 사물을 보거나 듣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을 뜻한다. 14 The next morning, Hassan and his wife run to Nasreddin’s fan: a person who enjoys watching or listening to somebody or house. 15 It’s terrible now. Me, my wife, four kids, and five chickens ... 16 Do you have other animals? something very much ① 동호회, 클럽 ② 팬 ③ 훌륭한 ④ 올리다 ⑤ 쓰다 03 look like: ~처럼 보이다, like + 명사: ~처럼, like: 좋아하다 •그것은 딸기같이 보인다. 24 1학년 동아_윤정미 04 서로 처음 만나는 상황이므로 빈칸에는 만나서 반갑다는 표현이 적절하다. ② 잃어버리다 ③ (시계가) 늦게 가다 •그는 진실처럼 농담을 한다. •너는 동물을 좋아하니? ① meeting → to meet ③ please → pleased ④ Sorry → Nice[good] 이 먼저 와야 한다. Not really.: 별로 그렇지는 않다. 01 사람들이 생각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말의 체계 → 언어 02 보기와 ①은 ‘지다’의 뜻으로 쓰였다. ④ 길을 잃다 ⑤ 잃다 03 act out: 연기하다, 시연하다 04 ⓔ 지수는 어디에 있니? ⓓ 어디? 그녀는 뭐하고 있니? ⓑ 그녀는 남동생과 배드민턴을 치고 있어. ⓒ 아, 보인다. 05 음악을 좋아하는지 묻는 질문에, 운동을 좋아한다고 했으므로 부정의 대답 ⓐ 저쪽에 있어. 06 I see.: 알겠어. 그렇군. 07 My favorite sport is soccer.라고 했으므로 민호가 좋아하는 운동은 축구 08 ④는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be동사는 is가 되어야 한다. 나머지는 모두 임을 알 수 있다. are가 들어간다. 09 (A) 주어가 복수이므로 are를 쓴다. 05 Do you know ~?로 물었으므로 Yes, I do.의 대답 앞에 위치해야 한다. 06 You’re welcome.: 천만에요. 07 현재진행형으로 물었으므로 현재진행형으로 대답해야 한다. 08 주어가 3인칭 단수가 아닐 때 일반동사 의문문은 「Do + 주어 + 동사원형 ~?」 부정문은 「주어 + do not + 동사원형 ~.」으로 쓴다. (B)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 일반동사 부정문은 「주어 + doesn’t + 동사원 do the dishes: 설거지하다 형 ~.」으로 쓴다. 09 현재진행형은 「be동사의 현재형(am, are, is) + 동사원형-ing」로 나타낸다. (C)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 일반동사 뒤에 -s나 -es를 붙이는데 「자음 + y」 (reads → reading) 로 끝나는 동사는 y를 i로 고치고 -es를 붙인다. 10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일반동사 의문문은 「Does + 주어 + 동사원형 10 She often eats out with her family. ~?」으로 쓴다. eat out: 외식하다 with: ~와 함께 11 동사의 -ing형을 만들 때 동사가 「단모음 + 단자음」인 경우 마지막 자음을 한 번 더 쓰고 -ing를 붙인다. (begin → beginning) 11 have는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 has로 쓰며 부정문은 주어 + doesn’t + 12 (A) 주어가 3인칭 단수인 경우 일반동사 의문문은 「Does + 주어 + 동사원 동사원형 ~.으로 쓴다. 형 ~?」이 된다. 12 They are의 줄임말은 They’re이며 am not은 줄여 쓰지 않는다. 13 ① show → shows ⑤ Its → It’s 14 ‘나와 진수가 서로 좋아하는 것이 다르다’라는 내용이 이어지고 있으므로 (B) busy가 형용사이므로 be동사 의문문이 되어야 한다. be동사 의문문은 「be동사 + 주어 ~?」의 형태로 쓴다. (C) now가 있으므로 현재진행형이 되어야 한다. 현재진행형은 「be동사 + 18 post on: ~를 올리다 19 셀 수 있는 명사 앞에서 ‘많은’의 뜻으로 many를 쓰며, a lot of, lots of와 (B) so: 그래서 ‘다른’이 적절하다. ① 같은 ② 다른 ③ 비슷한 ④ 친절한 ⑤ 좋은 15 ⓑ 주어가 3인칭 단수인 경우 일반동사 뒤에 -s나 -es를 붙인다. ⓒ 일반동사 부정문은 주어 + don’t + 동사원형 ~.이다. 16 하준이는 동물을 좋아하지 않고, 진수는 동물을 좋아한다. 17 ⓐ It은 바로 앞 문장의 A-Yo를 가리킨다. ⓓ it은 spaghetti를 가리킨다. 바꿔 쓸 수 있다. ⑤ much는 셀 수 없는 명사 앞에 쓴다. 20 ⓐ 하준은 랩 음악을 좋아한다. ⓒ 하준은 밥을 먹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 하준의 여동생은 스파게티를 좋아한다. ⓔ 하준의 아빠는 일요일마다 피자를 만드신다. ⓕ 하준은 아빠가 만든 음식을 좋아하지 않는다. 동사원형 + -ing」로 나타낸다. 13 around the world: 전 세계의 on the Internet: 인터넷에서 14 위치를 대답하고 있으므로 의문사 where이 적절하다. (→ Where’s Jasper?) 15 Physical Education (= PE): 체육 16 인도에서 인기 있는 스포츠는 크리켓이다. 17 (A) safe가 형용사이므로 be동사 의문문이 되어야 한다. (C) many는 셀 수 있는 명사 앞에서 ‘많은’의 뜻으로 쓰인다. 18 ‘~하고 있는 중이다’의 현재진행형 문장이므로 draw를 is drawing으로 써 야 한다. 계의 수업’이 적절하다. 20 •Peter는 무슨 수업을 듣고 있는가? •Peter는 어디 출신인가? •지호는 무엇을 그리고 있는가? • ‘로미오와 줄리엣’은 누가 쓴 희곡인가? •Anikka는 목공 수업에서 무엇을 쓰고 있는가? ⓑ 하준은 학교의 랩 음악 동호회에 소속되어 있다. 19 학생들이 자신의 수업시간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므로 글의 제목으로 ‘전 세 Lesson 02 pp.56~59 03 ④ 07 ⑤ 11 ③ 04 ⑤ 08 do 12 ③ 05 ① 09 ② 13 around the world, on the Internet 14 ⑤ 15 ⑤ 18 Jiho is drawing a map of Dokdo. 최종점검 모의고사 01 ③ 02 ① 06 You’re welcome 10 Does, have 16 ② 19 ③ 17 ④ 20 ⑤ 최종점검 모의고사 01 ② 02 ② 06 right away Lesson 03 pp.60~63 03 ② 07 ④ 04 ④ 05 ③ 08 Please go to bed early. 09 ④ 14 ② 10 ⑤ 15 ③ 11 won’t go 12 ② 16 ⑤ 17 ② 13 ③ 18 ① 19 Now, take all the animals out of the house. 20 ②, ⑤ 정답 및 해설 25 01 ②는 유의어 관계이며 나머지 보기들은 반의어 관계이다. ①~④의 can은 허가를 나타낸다. ① 큰 : 작은 ② 고치다 : 고치다 ③ 행복한 : 불행한 ④ 조용한 : 시끄러운 ⑤ 더러운 : 깨끗한 11 조동사 will의 부정은 「주어 + won’t + 동사원형 ~.」으로 쓴다. 12 ⓑ can → be able to (조동사 두 개를 연달아 쓸 수 없다.) 02 ② ‘(그녀의) 조언’이라는 의미로 명사가 와야 하므로 advice가 되어야 한다. ⓔ To take → Take advise: 충고하다 advice: 충고 03 ⓐ 동물, 짐승 ⓑ 호의 ⓒ 장면, 무대 ⓓ 현명한 (bad → good) ⓔ 역 04 ①, ②는 제안에 수락하는 표현이고 ③, ⑤는 거절의 표현이다. ④는 감사에 대한 대답이다. 05 ⓐ는 상대에게 부탁을 요청하는 표현이다. ③은 상대에게 도움을 제안하는 13 Hassan은 대가족이지만 집이 작아서 현자에게 조언을 구하고 있다. (small →big, big → small) 14 be + 형용사: ~해라 (명령문) just: 그냥, 좀 (요청하거나 양해를 구할 때) 15 Hassan은 닭 다섯 마리를 가지고 있다. 16 현재 Hassan이 자신의 상황을 언급하고 현인이 추가적으로 동물들을 집 안 표현이다. (= Let me help you.) 으로 들이라는 조언을 하고 있다. 06 right away: 즉시 07 이 대화에서 여자는 소년에게 설거지부탁을 하고 있다. do the dishes: 설거지하다 17 문제 해결이 되지 않았고 현자의 조언에 못미더운 감정이다. ① 즐거운 ② 실망한 ③ 지루한 ④ 신나는 ⑤ 기운 나는 18 ⓐ 집이 많은 동물로 인해 꽉 차버린 상황이므로 full이 적절하다. 08 명령문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원형으로 문장을 시작한다. please는 문장 ⓒ 집의 동물들을 모두 밖으로 뺀 후 작다고 생각했던 집이 크게 여겨지고 있 앞, 뒤에 쓸 수 있는데 문장 뒤에 올 때는 please 앞에 콤마(,)를 쓴다. 으므로 large가 적절하다. 09 ⓐ 명령문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원형으로 문장을 시작한다. ⓑ 부정 명령문은 Don’t 또는 Never를 쓴다. 19 take A out of B: A를 B 밖으로 데려가다 20 ① sleepy → sleep ③ wisely → wise ④ are → is 10 can은 능력 및 허가를 나타낼 수 있다. 밑줄 친 can과 ⑤는 능력을 나타내며 26 1학년 동아_윤정미
'백발백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발백중 100발 100중 예상문제집 중1 1학기 중간고사 영어 미래엔(최연희) 답지 (2019) (0) | 2020.08.13 |
---|---|
백발백중 100발 100중 예상문제집 중1 1학기 중간고사 영어 동아(이병민) 답지 (2019) (0) | 2020.08.13 |
백발백중 100발 100중 예상문제집 중1 1학기 중간고사 영어 능률(양현권) 답지 (2019) (0) | 2020.08.13 |
백발백중 100발 100중 예상문제집 중1 1학기 중간고사 영어 능률(김성곤) 답지 (2019) (0) | 2020.08.13 |
백발백중 100발 100중 예상문제집 중1 1학기 중간고사 영어 금성(최인철) 답지 (2019) (0) | 2020.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