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sson Meet My New 01 Classmates 교과서 어휘 다지기 A 01 together B 01 scientist D 01 old E 01 favorite 04 team Step 1 02 enjoy 02 writer 02 helper 02 job 05 planet 03 star 03 friend 03 film 03 field C 01 on weekends 02 dream job 03 in the hospital 교과서 어휘 다지기 01 ⑤ 02 ③ 04 ③ 08 (t)eam Step 2 p.9 03 in the hospital 05 ② 06 play 07 ③ 01 ⑤는 ‘팀 : 함께’의 뜻으로 아무런 관계가 성립하지 않고, 나머지는 모두 ‘동사 : 명사’의 관계인데, 동사와 그 동사에 해당하는 행위자의 관계를 나 타낸다. ① 요리하다 : 요리사 ② 쓰다 : 작가 ③ 돕다 : 돕는 사람 ④ 가르치다 : 교사 02 •내가 저녁을 요리할게. (cook: 요리하다) •그 아이는 그림을 그리고 있다. (picture: 그림) •Jane과 나는 함께 쇼핑을 하러 갔다. (together: 함께) •Tim과 Peter는 학교에서 같은 반이다. (class: 반, 학급) 03 in the hospital: (병원에) 입원 중인 04 ③ favorite(매우 좋아하는)의 영영풀이는 liked more than others of the same kind(같은 종류의 다른 모든 것들보다 선호되는)이 되어야 알맞다. feeling happy or satisfied(행복하고 만족한)는 pleased(기쁜)의 영영풀 이이다. 05 주어진 문장의 밑줄 친 field는 ‘분야’라는 뜻으로 쓰였으므로, 같은 의미로 쓰인 것은 ②이다. ①④는 ‘경기장’, ③⑤는 ‘들판’이라는 뜻으로 쓰였다. Jones 씨는 그의 분야에서 아주 유명하다. ① 모든 선수들이 경기장을 떠났다. ② 우리는 로봇을 많은 분야에서 이용한다. ③ 소들은 들판에서 풀을 먹고 있다. ④ 한국 축구팀은 경기장으로 나왔다. ⑤ 들판 한가운데에 농장이 있다. 하다) 07 •on weekends: 주말마다 •in one’s free time: ~의 여가 시간에 team(팀)이다. 교과서 속 핵심 대화 01 ③ 02 reading 06 •나는 방과 후에 내 친구들과 놀 것이다. (play with: ~와 놀다) • 우리는 종종 공원에서 농구를 한다. (play + 운동 종목: (운동 종목)을 08 ‘스포츠나 게임을 함께 하는 사람들의 집단’의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는 교과서 대화 모두 보기 01 F 02 T 06 T 07 F 03 F 08 F 04 T 09 T pp.12~13 05 F pp.14~16 p.8 교과서 대화 다지기 Step 1 A 01 ( ⓑ ) → ( ⓐ ) → ( ⓒ ) 02 ( ⓒ ) → ⓓ → ( ⓔ ) → ( ⓐ ) → ⓑ 03 ( ⓑ ) → ( ⓓ ) → ( ⓐ ) → ⓒ 04 ( ⓖ ) → ⓓ → ( ⓑ ) → ⓔ → ( ⓐ ) → ( ⓕ ) → ⓒ B 01 this, Pleased to, Nice to 02 my cousin, to, to 03 This is, Pleased, meet, Nice, meet 04 in your free time, enjoy 05 on weekends, playing, What sports, play 06 have a robot, in the hospital, Nice, Pleased, How, enjoy studying, Good 07 to meet, drawing, draw cartoons 08 What, dancing, How about you, drawing 09 This is, to meet you, to meet you 교과서 대화 다지기 01 ① 05 ④ 02 ② 06 ③ Step 2 p.17 03 ④ 04 enjoy cooking 07 to meet[see] 01 ① Good for you.(잘됐다.)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소개에 답하는 표현들이다. 02 좋아하는 것에 대해 말하는 표현인 ‘나는 ~하는 것을 즐긴다.’라는 의미의 「I enjoy + 동명사 ~.」에서 enjoy 다음에 동명사(동사원형-ing)가 들어가야 한다. 03 (I’m) Pleased[Glad / Happy] to meet[see] you.: 만나서 기쁘다. (소개 에 답하는 표현) 04 I enjoy + 동명사 ~.: 나는 ~하는 것을 즐긴다. 05 ‘너는 주말에 무엇을 하니?’라는 A의 말에 ‘내가 가장 좋아하는 책은 ‘어린 왕자’야.’라고 답하는 B의 대답은 자연스럽지 않다. 06 ‘너는 주말마다 무엇을 하니?’라는 질문에 대한 답으로 적절한 것은 좋아하 는 것에 대해 말하는 표현인 ③ ‘나는 운동 하는 것을 즐겨.’가 알맞다. ①은 좋아하는 것을 대답했으므로 질문에 맞지 않고 ②는 과거시제(drew)이 고, ④는 미래시제(will play)이므로 적절하지 않고, ⑤는 조동사 can을 써 서 능력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적절하지 않다. 07 소개에 답하는 표현으로 (I’m) Pleased[Glad / Happy] to meet[see] you.(만나서 기쁘다.)나 (It’s) Nice[Good] to meet[see] you.(만나서 반갑 다.)를 쓸 수 있다. 교과서 속 핵심 문법 01 ④ 02 This is Jenny, my best friend. 교과서 문법 다지기 Step 1 A 01 buying 02 walking 03 drinking 04 taking 05 making[to make] 06 looking pp.18~19 pp.20~21 정답 및 해설 1 pp.10~11 B 01 나의 반려견인 Brady 02 소방관인 나의 삼촌 03 우리 교장 선생님이신 Parker 선생님 04 아름다운 섬인 제주도 05 Ron의 형인 Fred ④ 나는 유명한 영화 배우 Tom Cruise를 보았다. ⑤ 나는 런던, 파리 그리고 로마에서 살고 싶다. 03 동사 stop은 ‘멈추다, 그만두다’라는 뜻으로 동명사를 목적어로 쓰는 동사이다. 04 콤마 뒤에 이어지는 명사구 전체가 spaghetti와 동격 관계를 이루어 06 대단한[위대한] 피겨 스케이팅 선수[피겨 스케이터]인 김연아 spaghetti를 보충 설명한다. C 01 look → looking 02 to paint → painting 05 동사 give up(포기하다)과 mind(싫어하다)는 모두 동명사를 목적어로 쓴다. 03 close → closing 04 to buy → buying 05 making → to make 06 take → taking •나는 아이들을 위한 이야기를 쓰는 것을 포기했다. •창문 좀 열어줄래? D 01 David, Joan’s brother, 02 a lion, the king of the jungle 03 Jejudo, an island in Korea 04 Bulgogi, a Korean traditional dish 05 Flipper, Tom’s goldfish, 06 Yoon’s Kitchen, a popular TV show E 01 I enjoy watching animation movies. 02 Harry postponed cleaning his room. 03 Mr. Owen kept reading the newspaper. 04 Children avoid going to the dentist. 05 My father gave up repairing my bike. 06 I stopped thinking about the test. F 01 Paul, Mina’s best friend, is from Hawaii. 02 Marcy, my younger sister, wants to be a lawyer. 03 I watched Star Wars, a famous SF movie. 04 They visited Rome, a popular city in Italy. 05 Ms. Owen, the baker, loves to make pies. 06 That famous book, Black Beauty, is about a horse. 05 ③ 08 ① 15 ④ 18 ⑤ 교과서 문법 다지기 Step 2 01 ② 02 ⑤ 03 reading 04 ⑤ 06 Canada, a beautiful country 07 ② 09 to play → playing 10 ③, ⑤ 11 ③, ⑤ 12 ①, ③ 14 my friend, draws cartoons 17 enjoys going to other countries 20 my math teacher, lives next door 13 ② 16 ② 19 ③ 서술형 01 (1) kept watching the night sky (2) stopped watering the flowers in the garden 02 Seoul, the capital of Korea, is very crowded. 03 I enjoy playing soccer. 04 a soccer player, is on the field 05 (1) I enjoy going camping on weekends. (2) Dad stopped reading the newspaper. 06 The Little Prince, my favorite book, is very interesting. 06 콤마 뒤에 있는 a beautiful country가 콤마 앞에 있는 Canada를 보충 설 많은 사람들이 아름다운 나라인 캐나다를 방문한다. 명해 주고 있다. 07 ② → cleaning 동사 finish는 ‘끝내다’라는 뜻으로 동명사를 목적어로 쓰는 동사이다. ① 나는 오래된 동전을 모으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 ② Mike는 자신의 방을 치우는 것을 끝냈다. ③ 너는 왜 가수가 되고 싶어하니? ④ Jones 씨는 새 컴퓨터를 사기로 결심했다. ⑤ 학생들은 모형 비행기를 만드는 것을 멈췄다. 08 Mina와 my best friend가 콤마를 사이에 두고 서로 동격 관계를 이루고 있 다. Tokyo와 Japan 사이의 콤마는 큰 지역(Japan) 안의 작은 지역(Tokyo) 을 구분해 주는 역할을 한다. 09 동사 quit은 동명사를 목적어로 쓴다. 10 빈칸 앞에 콤마가 있으므로 빈칸 앞에 나온 명사구 Mr. Rogers를 보충 설명하 는 동격의 명사(구)가 들어가야 적절하다. ③은 명사(구)가 아니라 형용사구 이므로 빈칸에 들어갈 수 없고, ⑤는 동사로 시작되므로 빈칸에 들어갈 수 없다. 11 빈칸 다음에 동명사 목적어가 이어지고 있으므로 동명사를 목적어로 쓰는 동사 finish와 give up이 빈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하다. 아빠는 내 컴퓨터를 고치는 것을 끝마치실[포기하실] 것이다. 12 My mom을 보충 설명하는 명사구로 a doctor at the hospital이 적절한데, 동격 어구가 문장의 중간에 쓰였으므로 a doctor at the hospital의 앞뒤로 13 동사 enjoy는 동명사를 목적어로 쓰므로 ②는 어법상 옳은 문장이다. ①과 ④의 동사 want와 choose는 모두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쓰고, ③과 ⑤의 동 사 keep과 mind는 모두 동명사를 목적어로 쓴다. ① Cindy는 가수가 되기를 원한다. ② 우리는 영화 보러 가기를 즐긴다. ③ 그 소년은 버튼을 누르는 것을 계속했다. ④ 그들은 뉴욕으로 이사하기로 결정할 것이다. ⑤ TV를 꺼도 될까요? 14 ‘내 친구(my friend)’는 Joe를 보충 설명하는 말이므로 콤마를 사용하여 동 격 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명사 Joe가 주어이므로 보충 설명하는 명사구 my friend 앞뒤로 콤마를 넣는다. in one’s free time: ~의 여가 시간에 15 ‘계속하다’라는 뜻의 동사 keep은 동명사를 목적어로 쓰는 동사로, ‘그 수학 문제를 계속해서 풀다’는 keep solving the math problem이 되므로 ⓐ에 16 동사 finish와 enjoy는 동명사를 목적어로 쓰는 동사이므로 세 번째 문장의 to wash는 washing으로, 네 번째 문장의 to learn은 learning이 되어야 는 solving이 적절하다. 어법상 올바르다. pp.22~25 콤마를 넣는다. 01 빈칸 다음에 동명사 목적어가 이어지고 있으므로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쓰는 •우리는 이번 주말에 캠핑을 가기를 원한다. 동사 want는 빈칸에 들어갈 수 없다. •나는 빨간색 신을 사기로 결정했다. 02 ⑤의 콤마는 단순히 나열을 나타내는 콤마이고 나머지는 모두 동격을 나타낸다. •엄마는 설거지를 끝내셨다. ① 나는 나의 반려동물인 Lucky와 조깅을 한다. •나는 외국어 배우는 것을 즐긴다. ② 나의 수학 선생님이신 Cole 선생님은 키가 크다. •그들은 유럽으로 여행가는 것을 계획한다. ③ 나의 여동생인 Alice는 초콜릿 케이크를 좋아한다. •Jack은 크로스워드퍼즐을 푸는 것을 좋아한다. 2 1학년 능률_양현권 17 동사 enjoy는 ‘즐기다’라는 뜻으로 동명사를 목적어로 쓰므로 동사 go를 going으로 바꾼다. 18 ‘유명한 여배우(the famous actress)’는 Audrey Hepburn을 보충 설명 23 my, this class 24 will be, together 하는 말이므로 콤마를 사용하여 동격 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명사 Audrey Hepburn이 주어이고 보충 설명하는 명사구 the famous actress가 문장 교과서 속 기타 지문 중간에 나오므로 콤마를 앞뒤로 넣어야 한다. 01 T 02 T 03 F 04 T 19 동사 keep, stop, enjoy는 모두 동명사를 목적어로 쓰는 동사이다. •Jenny는 자신의 숙제를 계속한다. •그 아이들은 자전거 타는 것을 피한다. •나는 오래된 우표를 모으는 것을 즐긴다. 20 my math teacher는 Mr. Watson을 보충 설명하는 말이므로 콤마를 사용 하여 동격 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명사 Watson이 주어이므로 보충 설명하 는 명사구 my math teacher 앞뒤로 콤마를 넣는다. 나의 수학 선생님인 Watson 선생님은 옆집에 사신다. 서술형 01 (1) 동사 keep(계속해서 ~하다)은 동명사를 목적어로 쓴다. night sky: 밤하늘 (2) 동사 stop(멈추다, 그만두다)은 동명사를 목적어로 쓴다. water the flowers: 꽃에 물을 주다 / in the garden: 정원에 02 명사(Seoul)를 보충 설명하는 명사구(the capital of Korea)를 콤마 뒤에 이어 동격 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보충 설명하는 동격 어구가 문장 중간에 영역별 실력 굳히기 01 ⑤ 06 ③ 10 ② 13 ④ 02 ① 07 on 03 ③ 08 ② 04 (w)riter 05 ⑤ 09 I enjoy writing stories. 11 (P)leased (t)o (m)eet (y)ou 12 ③ 14 ⑤ 15 ④ 16 studying with her friends 19 to answer → answering 17 ⑤ 20 ② 21 Tim, my little brother 22 ② 23 ①, ③ 24 I enjoy going to a theme park. 25 ⑤ 27 Peter, my classmate, raises a pet lizard. 29 (1) ⓐ, Mark kept looking at me. (2) ⓒ, I don’t mind playing soccer in the rain. 쓰였으므로 앞뒤로 콤마를 넣는다. 30 소민이는[그녀는] 영화 보는 것을 즐긴다[(매우) 좋아한다]. 03 What do you enjoy?(너는 무엇을 즐겨 하니?)에 대한 대답은 ‘나는 ~하는 것을 즐긴다.’를 의미하는 「I enjoy + 동명사 ~.」로 할 수 있다. 31 Mark Zuckerberg, our role model 32 ④ 34 ④ 35 The Little Prince 36 ① 04 명사(Joe)를 보충 설명하는 명사구(a soccer player)를 콤마 뒤에 이어 동격 38 ⓐ cooking ⓑ eating 39 ① p.31 pp.32~38 18 ④ 26 ④ 28 ④ 33 ③ 37 ⑤ 42 ③ 45 ③ 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보충 설명하는 동격의 명사구가 문장 중간에 쓰였으 므로 앞뒤로 콤마를 넣는다. 05 동사 enjoy(즐기다)와 stop(멈추다)은 동명사를 목적어로 쓴다. 06 명사구 The Little Prince를 보충 설명하는 명사구 my favorite book을 콤 마 뒤에 붙여서 동격 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보충 설명하는 동격의 명사구가 문장 중간에 쓰였으므로 콤마를 동격의 명사구 앞뒤로 넣는다. → 내가 가장 좋아하는 책인 ‘어린 왕자’는 매우 재미있다. pp.28~30 교과서 본문다지기 A 01 our 04 first 07 is 02 Let us 05 excited 03 I’m 06 writing 08 reading[to read] 09 동격 10 The Little Prince 11 either 12 second 13 watching 14 am going to 16 I am 17 그러나 19 What team 20 함께 15 Its 18 are B 01 class, our, book 02 have fun 03 My name 04 Am, the first 05 excited, enjoy writing 06 dream job is 07 also, reading 08 my favorite book 09 I’m 11 love, pictures 13 Is the second 10 that, too 12 Hi, I’m 14 love stars 15 watching, night sky 16 Someday, will find 17 Its, will be 19 love, too 18 I’m 20 But, favorite, are on 21 This, soccer team 22 What’s, favorite 40 I enjoy watching the night sky. 41 ④ 43 FC Real, my favorite soccer team 44 ③ 01 <보기>는 둘 다 ‘영화’를 나타내는 유의어 관계이다. ⑤ 역시 둘 다 ‘그림’이 라는 뜻을 나타내고 있는 유의어 관계이다. ① 첫 번째의 : 두 번째의 ② 돕다 : 돕는 사람[것], 조수 ③ 쓰다 : 글쓴이, 작가 ④ 친구 : 다정한, 친절한 02 ‘경기장‘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는 field이다. 03 cooker는 ‘요리 기구’라는 뜻이다. 요리사는 cook이나 chef로 나타낸다. 04 이야기, 책, 기사 등을 쓰는 것이 직업인 사람은 writer(작가)이다. 05 ⑤의 star는 ‘스타, 인기 배우[가수]’의 의미로 쓰였지만, 나머지는 모두 ‘별’ 의 의미로 쓰였다. ① 태양은 매우 큰 별이다. ② 한 소녀가 별에게 소원을 빌고 있다. ③ 당신은 시골에서 별을 볼 수 있다. ④ 별이 밤하늘에서 빛났다. ⑤ 그 스타는 자신의 팬들에게 둘러싸여 있다. 06 ⓐ: 다른 모든 것들 앞에 오는: first (첫 번째의) ⓑ: 어떤 것을 매우 좋아하거나 즐기다: love (대단히 좋아하다) 07 on weekends: 주말마다 (= every weekend) 08 A가 B와 C를 소개시켜 주고 있으므로 B와 C는 처음 만난 사이임을 알 수 있 다. 따라서 빈칸에는 만나서 반갑다는 인사말인 Nice to meet you.가 들어 가야 적절하다. ① 잘됐네요 ② 만나서 반갑습니다 ③ 그 말을 들으니 기쁘네요 ④ 저를 소개할게요 ⑤ 그렇게 말하시다니 친절하시군요 09 What do you enjoy?(너는 무엇을 하는 것을 즐기니?)라는 질문에 대한 대 답으로는 좋아하는 것에 대해 말하는 표현인 「I enjoy + 동명사 ~.」(나는 ~ 하는 것을 즐긴다.)가 적절하다. 정답 및 해설 3 10 ② Nice to meet you, Yuna.는 ‘만나서 반가워’라는 뜻으로 소개에 답하는 •나는 영어로 일기를 쓰는 것을 그만둘 수 없다. 표현인 반면, 나머지는 모두 누군가를 소개하는 표현이다. 27 명사(Peter)를 보충 설명하는 명사구(my classmate)를 콤마로 연결하여 ① 이 아이는 내 친구 유나야. ② 만나서 반가워, 유나야. 동격 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동격 어구가 문장 중간에 쓰였으므로 동격 어구 ③ 내 친구 유나를 만났으면 해. ④ 너에게 유나를 소개할게. 앞뒤로 콤마를 넣는다. ⑤ 너에게 유나를 소개하고 싶어. 28 ④의 콤마는 단순히 나열할 때 쓰는 콤마이며, 나머지는 모두 앞의 명사(구) 11 처 음 만 난 사 람 을 소 개 받 았 을 때 소 개 에 답 하 는 표 현 으 로 ( I ’ m ) 를 보충 설명해 주는 동격을 나타내는 콤마로 쓰였다. Pleased[Glad / Happy] to meet[see] you.(만나서 기쁘다.)를 쓸 수 있다. ① 나의 반려견인 Lucky는 항상 짖는다. 12 여가시간에 무엇을 하냐고 묻는 A의 질문에 B가 자신이 즐기는 것을 말한 ② 나의 남동생인 Bill은 괜찮은 이야기를 쓴다. 다음에 이어진 빈칸에서 B가 말한 것에 대해 A가 자신이 즐기는 것에 대 ③ 나는 내 오랜 친구인 Kate에게 메시지를 보냈다. 해 답하고 있으므로 빈칸에는 상대방의 의견에 대해서 묻는 ③ How about ④ Cathy는 오사카, 교토, 고베로 여행갈 것이다. you?(너는 어때?)가 들어가야 적절하다. ① 그것은 무엇이니? ② 어떻게 지내니? ⑤ 형사인 Sherlock Holmes는 유명한 캐릭터이다. 29 동사 keep과 mind는 동명사를 목적어로 쓴다. ④ 너는 만화를 가지고 있니? ⑤ 네가 가장 좋아하는 만화가 무엇이니? ⓐ Mark는 계속 나를 쳐다봤다. (to look → looking) 13 주말에 무엇을 하느냐고 묻는 A의 질문에 대해 그림을 좋아한다고 답하는 B ⓑ 너는 쇼핑가는 것을 즐기니? 의 대답은 자연스럽지 않다. ⓒ 나는 빗속에서 축구하는 것을 싫어하지 않는다. (to play → playing) 14 Pretty good.은 안부를 묻는 인사에 대해 잘 지냈다고 답하는 말이므로, 안 30 I enjoy watching movies.(나는 영화 보는 것을 즐긴다.)에서 소민이가 영 부를 묻는 인사인 How are you? 다음에 들어가야 적절하다. 화 보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5 Neha가 왜 병원에 입원해 있는지에 대해서는 나와 있지 않다. 31 Mark Zuckerberg와 our role model이 콤마로 이어져 서로 동격 관계를 ① → He is an English teacher. ② → It helps Neha to study. ③ → She is in the hospital. 이루고 있다. ① → Our type is I. 32 컴퓨터 과학자가 무슨 일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나와 있지 않다. ⑤ → She enjoys studying with her friends. ② → Our dream job is a computer scientist. 16 What does Neha enjoy?(Neha는 무엇을 하는 것을 즐기니?)라는 질문 ③ → Our role model is Mark Zuckerberg. 으로, 대화에 따르면 Neha는 친구들과 공부하는 것(studying with my ⑤ → He made Facebook. friends)을 즐긴다고 나와 있다. 이때 my를 her로 고치는 것에 주의한다. 33 ⓐ Let’s + 동사원형 ~.: ~하자. 17 인호가 아니라 윤호가 이 선생님에게 자신의 형제인 인호를 소개하고 있다. ⓑ enjoy + 동명사: ~하는 것을 즐기다 (동사 enjoy는 동명사를 목적어 ① Lee 선생님은 윤호를 이미 알고 있다. ② 윤호는 그의 남동생을 소개한다. ③ 인호와 윤호는 형제이다. ④ Lee 선생님은 인호를 오늘 처음 만난다. ⑤ 인호는 윤호에게 Lee 선생님을 소개한다. ⓒ like + 동명사/to부정사: ~하는 것을 좋아하다 (동사 like는 동명사와 to 로 씀) 부정사를 모두 목적어로 씀) 34 ‘무언가에서 즐거움을 느끼다’는 동사 enjoy(즐기다)의 영영풀이에 해당한다. 35 앞에서 Yuna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책이라고 밝힌 ‘어린 왕자’를 가리킨다. 36 ‘어린 왕자’를 좋아한다는 유나의 말 다음에 민수 역시 ‘그 책’을 좋아한다고 18 빈칸에는 앞에 나온 Ms. Brown을 보충 설명하는 동격의 명사(구)가 들어가 야 적절하다. ④는 명사(구)가 아니라 형용사구이므로 빈칸에 들어갈 수 없다. 말하고 있으므로 빈칸에는 ‘또한, 역시’의 의미를 나타내는 too가 들어가야 19 동사 avoid는 동명사를 목적어로 쓴다. John은 내 질문에 대답을 피했다. 적절하다. either는 부정문에 쓰인다. 37 유나가 가장 좋아하는 책이 ‘어린 왕자’라고 말하고 있을 뿐, 유나가 쓴 것은 20 빈칸 다음에 동명사 목적어가 이어지고 있으므로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쓰는 아니다. 동사 want는 빈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하지 않다. 38 enjoy는 동명사(동사원형-ing)를 목적어로 쓰는 동사이므로 괄호 안의 동사 21 ‘내 남동생(my little brother)’은 Tim을 보충 설명하는 말이므로 콤마를 사 에 -ing를 붙여서 동명사로 만든다. 용하여 동격 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22 ② → learning give up은 목적어로 동명사만을 쓴다. ① 나는 이 셔츠를 입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② Mary는 프랑스어를 배우는 것을 그만두었다. ③ Joe는 그의 친구에게 말하는 것을 멈추었다. ④ 그 아이들은 시끄럽게 떠들기 시작했다. 39 ⓐ → the second 문맥상 ‘~ 번째’라는 순서를 나타내는 서수를 써야 한다. 40 동사 enjoy는 목적어로 동명사를 쓴다. 41 바로 앞 문장에 나온 a new star의 이름을 가리키므로 빈칸에는 new star의 소유격이 들어가야 알맞다. 명사의 소유격은 명사에 -’s를 붙여서 만든다. 42 빈칸 앞에는 인호도 별들을 좋아한다는 내용이 나오고, 빈칸 뒤에는 인호가 좋아하는 별들은 하늘이 아니라 축구장에 있다는 내용이 나오므로, 빈칸에 ⑤ 우리는 이번 여름에 유럽에 가기로 계획했다. 는 역접의 의미를 갖는 But이 들어가야 알맞다. 23 Pico를 보충 설명하는 명사구로 my pet lizard가 적절한데, 동격의 명사구 43 FC Real에 대해 보충 설명하는 명사구 my favorite soccer team을 콤마로 가 문장의 중간에 쓰였으므로 my pet lizard의 앞뒤로 콤마를 넣는다. 연결하여 동격 관계를 만든다. 24 동사 enjoy는 ‘즐기다’라는 뜻으로 동명사를 목적어로 쓴다. 동사 go의 동 44 인호가 마지막에 What’s your favorite team?(당신이 가장 좋아하는 팀 명사형은 going이다. 은 무엇입니까?)라고 선생님에게 가장 좋아하는 팀에 대해 물었으므로, 빈칸 25 ‘유명한 작가(the famous writer)’는 J. K. Rowling을 보충 설명하는 말이 에 들어갈 수 있는 선생님의 댓글로는 ③ Inho, my favorite team is this 므로 콤마를 사용하여 동격 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동격 어구가 문장의 중간 class!(인호야, 내가 가장 좋아하는 팀은 이 반이란다!)가 가장 적절하다. 에 쓰였으므로 보충 설명하는 the famous writer 앞뒤로 콤마를 넣는다. ① 인호야, 나도 별을 매우 좋아해! 26 동사 finish와 stop은 모두 동명사를 목적어로 쓴다. ② 인호야, 나는 B-612 행성을 좋아해! •엄마는 스파게티를 요리하는 것을 끝낼 것이다. ④ 인호야, 지민이와 너는 좋은 친구들이야! 4 1학년 능률_양현권 ⑤ 인호야, 언젠가 우리는 새로운 별을 찾을 거야! 13 빈칸 다음에 동명사 목적어가 이어지고 있으므로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쓰는 45 This is FC Real, my favorite soccer team.에서 인호가 가장 좋아하는 축 동사 expect는 빈칸에 들어갈 수 없다. 14 콤마 뒤에 있는 the class president가 콤마 앞에 있는 Molly를 보충 설명 ⑤ 인호의 선생님은 좋은 축구팀을 만들지 않을 것이다. 이루고 있다. pp.39~43 서 썼다. 유명한 작가인 J. K. Rowling은 자신의 이야기를 스코틀랜드의 에든버러에 04 every 05 ③ 17 동사 avoid(피하다), stop(멈추다), postpone(연기하다, 미루다)은 모두 동 구팀이 FC Real임을 알 수 있다. ① 지민이가 가장 좋아하는 별은 B-612이다. ② 인호는 축구 경기장에 있다. ③ 인호는 FC Real을 아주 좋아한다. ④ 인호의 선생님 또한 FC Real을 좋아한다. 학교 시험 100점 맞기 01 ⑤ 02 ② 06 ⑤ 07 ④ Step 1 03 ③ 08 ② 09 I enjoy studying with my friends. 10 ② 11 to work → working 12 ① 14 Molly, the class president 13 ③ 15 ③ 16 ① 18 keeps complaining about her old bike 17 ③ 19 ④ 20 ④ 21 ⓐ our class book ⓑ The Little Prince 22 ① 23 ④ 24 ⑤ 25 She wants to be a writer and she enjoys reading. 26 ③ 27 ⑤ 30 ② 해 주고 있다. 15 ③ → sleeping 동사 mind(꺼려하다)는 동명사를 목적어로 쓰는 동사이다. 16 J. K. Rowling과 a famous writer가 콤마를 사이에 두고 서로 동격 관계를 18 동사 keep은 ‘계속하다’라는 뜻으로 동명사를 목적어로 쓴다. 따라서 명사를 목적어로 쓰는 동사이다. complain에 -ing를 붙여야 한다. 19 빈칸에는 앞에 나온 명사 Tony Stark를 보충 설명하는 동격의 명사(구)가 들어가야 알맞다. ②는 명사가 아니라 형용사이므로 빈칸에 들어갈 수 없고, ①③⑤는 동사로 시작되므로 빈칸에 들어갈 수 없다. 20 꿈의 직업이 컴퓨터 과학자라고 말하면서 Facebook을 만든 Mark Zuckerberg를 언급하고 있으므로, 이 글의 제목으로는 전체의 내용을 포괄 하는 ④의 ‘우리의 꿈의 직업과 역할 모델’이 가장 적절하다. ① 유형과 직업 ② 꿈의 직업의 유형 21 ⓐ의 This는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our class book(우리의 학급 일지)을 가 리키고, ⓑ의 This는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The Little Prince를 가리킨다. 28 I enjoy watching the night sky. 29 star ③ Mark Zuckerberg의 페이스북 ⑤ 유명한 컴퓨터 과학자 01 <보기>는 둘 다 ‘그림’이라는 뜻으로 유의어 관계이다. ⑤ 역시 ‘단체’라는 뜻 22 ① → have 으로 유의어 관계이다. Let’s + 동사원형 ~.: ~하자. ① 새로운 : 오래된 ② 첫 번째의 : 두 번째의 23 ④ writer(작가)의 영영풀이로는 a person whose job is writing stories, ③ 쓰다 : 작가 ④ 친구 : 다정한 02 in one’s free time ~의 여가 시간에 03 ⓐ field (경기장): 당신이 스포츠를 할 수 있는 구역 ⓑ team (팀): 함께 스포츠나 게임을 하는 사람들의 단체 04 on weekends: 주말마다 (= every weekend) 그 공원은 주말마다 오후 5시에 문을 닫는다. books, articles, etc(직업이 책, 이야기, 기사 등을 쓰는 사람)가 적절하다. someone whose job is to teach in a school, college, etc.(직업이 학교, 대학 등에서 가르치는 사람)은 teacher(교사)에 대한 영영풀이이다. 24 민수가 좋아하는 그림들은 유나가 그린 그림들이 아니라 앞서 나온 ‘어린 왕 자’에 담겨 있는 그림들을 가리킨다. ① 유나는 첫 번째 글쓴이이다. ② 유나는 지금 흥분했다. 05 빈칸 다음에 처음 만난 사이에 하는 인사말이 이어지고 있으므로 빈칸에는 ③ 유나의 꿈의 직업은 작가이다. ④ 유나는 ‘어린 왕자’를 매우 좋아한다. 누군가를 소개시켜 주는 표현이 들어가야 알맞다. ③의 ‘너를 만나서 반가워, 25 to read → reading Rani.’는 처음 만난 사이에 하는 인사말이다. enjoy는 동명사를 목적어로 쓰는 동사이므로 to read를 reading으로 고쳐 ① 이 아이는 내 친구 Rani예요 ② 내 친구 Rani를 만나 보세요 야 한다. want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쓰는 동사이다. ④ 제가 Rani를 소개해 드릴게요 ⑤ 당신에게 Rani를 소개하고 싶어요 26 주어진 문장의 Its name은 지민이 찾아낼 새로운 별의 이름을 가리키므로 06 「I enjoy + 동명사 ~.」(나는 ~하는 것을 즐긴다.)는 좋아하는 것에 대해 말할 주어진 문장이 들어갈 적절한 곳은 ②이다. 27 ⓐ는 밤하늘의 별들, ⓑ는 지민이 찾아낼 새로운 별, ⓒⓓⓔ는 인호가 가장 09 좋아하는 것에 대해 말할 때 「I enjoy + 동명사 ~.」(나는 ~하는 것을 즐긴 ① → Jimin enjoys watching the night sky. 때 쓰는 표현이다. 07 A: 안녕하세요, Lee 선생님. ⓓ 안녕, 윤호야. ⓐ 이 아이는 제 남동생인 인호입니다. ⓑ 안녕, 인호야. 만나서 반갑구나. ⓒ 만나 뵙게 되어 기쁩니다. Lee 선생님. 08 ⓐ in: ~에 / in the hospital: (병원에) 입원 중인 ⓑ for: ~을 위한 / Good for you!: 잘됐다! 다.)를 쓸 수 있다. study with: ~와 공부하다 10 한 호준은 세호의 영어 선생님이신 Mr. Han의 이름이다. 11 동사 finish(끝마치다)는 동명사를 목적어로 쓴다. 12 Rome과 Venice 사이의 콤마는 나열을 하는 것인 반면, 나머지에 쓰인 콤마 는 모두 콤마 뒤의 내용이 앞의 명사(구)를 추가 설명해주는 동격임을 나타 낸다. 좋아하는 축구팀인 FC Real을 가리킨다. 28 to watch → watching 동사 enjoy는 동명사를 목적어로 쓴다. 29 ‘밤에 우리가 하늘에서 빛으로 볼 수 있는 우주의 커다란 불타는 가스 덩어 30 지민이 언젠가 새로운 별을 찾을 것이라고 나와 있을 뿐, 누군가 새로운 별을 리’는 별(star)을 가리킨다. 찾아냈다는 말은 나와 있지 않다. ③ → They are on the soccer field. ④ → His favorite soccer team is FC Real. ⑤ → The teacher’s favorite team is Inho’s class. 학교 시험 100점 맞기 01 ⑤ 02 ② Step 2 pp.44~48 03 ③ 04 (j)ob 05 ④ 정답 및 해설 5 06 ③ 07 I enjoy dancing. 08 ④ 09 ③ 10 She[Neha] enjoys studying with her friends. 11 to borrow → borrowing 14 Harry, a young magician 17 don’t mind paying $100 for 12 ④ 15 ② 18 ③ 20 Our role model is Mark Zuckerberg. 21 ② 13 ③ 16 ⑤ 19 ④ 22 ③ 23 ② 24 ⑤ 25 Their favorite book is The Little Prince. 26 ③ 27 (A) 밤하늘의 별들 (B) (인호가 가장 좋아하는) 축구팀(인) FC Real 28 ③ 29 ③ 30 ④ 01 ⑤ ‘반, 학급 : 급우’는 ‘명사 : 명사’의 관계인 반면, 나머지는 모두 ‘동사 : 명 사’의 관계이다. ① 돕다 : 돕는 사람[것] ② 그리다 : 그림 ③ 쓰다 : 글, 쓰기 ④ 가르치다 : 교사 02 •나는 좋은 성적으로 인해 기쁘다. (pleased: 기쁜) •우리는 거기에 함께 갈 수 있어. (together: 함께) •엄마는 병원에서 도우미로 일하신다. (helper: 돕는 사람[것]) •우리 축구팀이 경기장에 나왔다. (field: 경기장) 03 •on weekends: 주말마다 (= every weekend) •play with: ~와 놀다 04 ‘당신이 돈을 지불받는 규칙적으로 하는 업무’는 직업(job)을 의미한다. 05 「What do you do + 시간 부사구?」(너는 ~ 때에 무엇을 하니?)는 좋아하는 것을 묻는 표현이므로 빈칸에는 자신이 평소에 하거나 좋아하는 것에 대해 답하는 표현이 들어가야 알맞다. ⑤는 ‘나는 내 개를 산책시키고 있어.’라는 의미로현재진행형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빈칸에 알맞지 않다. 06 Pleased to meet you.는 처음 만난 사람을 소개받았을 때 소개에 답하는 표현으로 Nice to meet you.와 바꿔 쓸 수 있다. 07 ‘너는 여가시간에 무엇을 하니?’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는 좋아하는 것에 대해 말하는 표현인 「I enjoy + 동명사 ~.」(나는 ~하는 것을 즐긴다.)가 적절 하다. 동사 dance의 동명사형은 dancing이다. 08 ⓓ How do you do?(처음 뵙겠습니다.)는 처음 만난 사람에게 하는 인사말 이다. 병원에 입원해 있는 Neha가 잘 지내고 있다고 대답하는 것으로 보아 ⓓ에는 안부 인사를 묻는 How are you?(잘 지내니?) 등이 들어가야 알맞다. 09 교실에 있는 로봇은 한 선생님이 아니라 Neha를 돕는 로봇이다. 10 Neha의 마지막 대사 I enjoy studying with my friends.의 주어 I와 소유 격 my를 She[Neha], her로 바꿔주면 된다. 질문: Neha는 무엇을 즐기나요? → 그녀는 그녀의 친구들과 공부하는 것을 즐겨요. 11 동사 postpone(연기하다, 미루다)은 동명사를 목적어로 쓴다. 12 Lucky를 보충 설명하는 명사구로 Ms. Parker’s pet cat이 적절하므로 Lucky와 Ms. Parker’s pet cat의 사이인 ④에 콤마를 넣는다. 13 빈칸 다음에 동명사 목적어가 이어지고 있으므로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쓰는 동사 want, hope, decide, promise는 빈칸에 들어갈 수 없고 동명사를 목 적어로 쓰는 동사 enjoy가 빈칸에 들어가야 알맞다. 14 ‘어린 마법사(a young magician)’는 Harry를 보충 설명하는 말이므로 콤 동사 keep은 ‘계속하다’라는 뜻으로 동명사를 목적어로 쓰는 동사이다. 마를 사용하여 동격 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15 ② to talk → talking ① David는 중국어 배우는 것을 시작했다. ② 그 소녀는 계속해서 아주 시끄럽게 말했다. ③ 우리는 건강한 음식을 먹기로 결심했다. ④ 나는 TV를 너무 많이 보는 것을 피했다. 6 1학년 능률_양현권 ⑤ 나는 바닷가에서 점심을 먹고 싶다. 16 a traditional Mexican dish는 a taco를 보충 설명하는 말이므로 콤마를 사용하여 동격 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명사구를 보충 설명하는 동격 어구가 문장 중간에 쓰였으므로 a traditional Mexican dish 앞뒤로 콤마를 넣는다. 17 동사 mind는 ‘꺼려하다’라는 뜻으로 동명사를 목적어로 쓴다. pay + 비용 + for ~: ~에 …를 지불하다 18 동사 avoid(피하다)와 quit(그만두다)은 모두 동명사를 목적어로 쓴다. 19 빈칸에는 앞에 나온 Mr. Harrison을 보충 설명하는 동격의 명사(구)가 들어 가야 알맞다. ④는 명사(구)가 아니라 동사구이므로 빈칸에 들어갈 수 없다. 20 본문 This is Mark Zuckerberg, our role model. 문장을 통해 우리의 역 할 모델이 Mark Zuckerberg임을 알 수 있다. 6단어로 쓰라고 했으므로 주 어를 He로 하지 않고 Our role model로 해서 문장을 만든다. 21 ‘~하자’를 의미하는 let’s 다음에는 동사원형이 쓰인다. ⓑ를 제외한 나머지 문장들은 어법상 올바르므로 고칠 필요가 없다. 22 (A) enjoy + 동명사: ~하는 것을 즐기다 (B) like + 동명사/to부정사: ~하는 것을 좋아하다 (동사 like는 동명사와 to 부정사를 모두 목적어로 쓴다.) 23 유나가 ‘어린 왕자’를 좋아한다고 말한 다음에 민수가 자신도 그 책을 좋아 한다고 말하고 있으므로 ‘또한, 역시’라는 뜻을 나타내는 too가 빈칸에 들어 가야 적절하다. either도 같은 의미이기는 하지만 부정문에서만 쓸 수 있다. 24 민수가 좋아하는 것은 ‘어린 왕자’와 그 안에 있는 그림들이라고 나와 있다. 25 This is The Little Prince, my favorite book.과 I like that book, too.에 서 유나와 민수가 둘 다 좋아하는 책이 ‘어린 왕자’임을 알 수 있다. 주어가 Yuna and Minsu이므로 they의 소유격인 their를 쓴다. 26 빈칸 ⓒ 다음에 명사가 이어지고 있으므로 빈칸 ⓒ에는 소유격 인칭대명사 Its가 들어가야 알맞다. It’s는 It is의 축약형이다. 27 (A)의 stars는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문장에 the night sky가 나오므로 밤 하늘에 떠 있는 별들임을 알 수 있고, (B)의 stars는 on the soccer field로 보아 축구팀인 FC Real임을 알 수 있다. 28 ‘내가 가장 좋아하는 팀(my favorite team)’은 FC Real을 보충 설명하는 말 이므로 콤마를 사용하여 동격 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29 favorite(매우 좋아하는)의 영영풀이로는 ③‘같은 종류의 다른 모든 것들보 다 더 선호되는’이 가장 적절하다. ① → 다른 모든 것들보다 먼저 오는: first (첫 번째의) ② → 미래의 알려지지 않은 때에: someday (언젠가) ④ → 행복함과 열정을 느끼거나 보여주는: excited (흥분한) ⑤ → 당신이 언급한 것 외에 추가로: also (또한) 30 인호가 무엇이 되고 싶어하는지에 대해서는 나와 있지 않다. ① 미나: 지민이는 별을 매우 좋아해. ② Sam: 지민이는 종종 밤하늘을 봐. ③ Jane: 지민이는 새로운 별을 찾을 거야. ④ Paul: 인호는 축구 선수가 되고 싶어 해. ⑤ Tom: 인호는 가장 좋아하는 축구팀이 있어. pp.49~51 서술형으로 끝내기 01 favorite 02 star 03 ⓐ (I’m) Pleased to meet ⓑ (It’s) Nice to meet 04 ⓐ to meet you ⓑ to meet you ⓒ enjoy studying with my friends 05 I enjoy playing sports. 09 The principal introduced Mr. Lewis, our new history teacher. p.52 06 (1) We don’t mind traveling around the world. (2) I will keep jumping rope every morning. 07 (1) John, Tony’s brother, is a fast runner. (2) I returned the book to Jim, its owner. 08 (1) We finished preparing for the test. (2) I postponed buying a new computer. 10 ⓐ Dave gave up going on a diet. ⓑ I don’t mind getting an A on the test. ⓒ Anne enjoys drawing animals and plants. 11 Helen, my old friend, called me yesterday. 12 I enjoy playing computer games. 13 I enjoy playing baseball in my free time. 14 (1) writing (2) reading (3) writer 15 (1) will be Jimin (2) favorite stars are FC Real 01 ‘같은 종류의 다른 모든 것들보다 더 선호되는’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는 favorite(매우 좋아하는)이다. 02 (1) 구름과 태양과 별이 나타나는 지구 위의 공간: 하늘 (sky) (2) 함께 스포츠나 게임을 하는 사람들의 단체: 팀 (team) (3) 함께 가르침을 받는 한 무리의 학생들: class (반) (4) 다른 모든 것보다 앞에 오는: 첫 번째의 (first) 03 A가 맨 처음에 아빠에게 Rani를 소개해 주고 있으므로 빈칸 ⓐ와 ⓑ에는 처 음 만난 사이에서 나눌 수 있는 인사말이 들어가야 알맞다. 처음 만난 사람을 소개받았을 때 소개에 답하는 표현으로 (I’m) Pleased[Glad / Happy] to meet[see] you.(만나서 기쁘다.)를 쓸 수 있다. 04 ⓐ (I’m) Glad[Happy, Pleased] to meet[see] you.: 너를 만나서 기쁘다. ⓑ (It’s) Nice[Good] to meet[see] you.: 너를 만나서 반가워. ⓒ I enjoy + 동명사: 나는 ~하는 것을 즐긴다 05 처음 A가 B에게 주말에 무엇을 하느냐고 물었고 B가 대답하고 난 다음에 다 시 어떤 스포츠를 하냐고 물었으므로, 빈칸에는 B가 ‘나는 스포츠를 하는 것 을 즐겨.’라고 답하는 것이 들어가야 적절하다. 좋아하는 것에 대해 말할 때 「I enjoy + 동명사 ~.」를 쓸 수 있다. play sports: 스포츠를 하다 06 동사 mind(꺼려하다)와 keep(계속하다)는 동명사를 목적어로 쓴다. 07 (1) ‘Tony의 형제(Tony’s brother)’는 John을 보충 설명하는 말이므로 콤 마를 사용하여 동격 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동격 어구가 문장 중간에 쓰 (2) ‘그것의 주인(its owner)’은 Jim을 보충 설명하는 말이므로 콤마를 사 용하여 동격 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Jim과 보충 설명하는 명사구 its owner 사이에 콤마를 넣는다. 08 동사 finish(끝마치다)와 postpone(연기하다)은 동명사를 목적어로 쓴다. 09 our new history teacher는 Mr. Lewis를 보충 설명하는 말이므로 콤마를 사용하여 동격 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10 동사 give up(포기하다), mind(꺼려하다), enjoy(즐기다)는 모두 to부정사 가 아닌 동명사를 목적어로 쓴다. 11 ‘나의 옛 친구(my old friend)’는 Helen을 보충 설명하는 말이므로 콤마를 사용하여 동격 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동격 어구가 문장 중간에 쓰였으므로 보충 설명하는 명사구 my old friend 앞뒤로 콤마를 넣는다. 14 I enjoy writing. I also like reading. My dream job is a writer.에서 유 나가 좋아하는 것들과 미래 목표를 알 수 있다. 15 Its name will be Jimin.에서 지민이 새로 발견할 별의 이름을, 동아리 활동 을, But my favorite stars are on the soccer field. This is FC Real, my favorite soccer team.에서 인호가 가장 좋아하는 별들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다. 창의 서술형 01 (1) dancing to music (2) drawing pictures (3) playing basketball 02 (1) My bike, the purple one, has a flat tire. (2) Today’s lunch, garlic spaghetti, is very delicious. 03 (1) Josh enjoys going to the movies. (2) I gave up changing my bad habit. 01 동사 enjoy(즐기다), keep(계속하다), mind(꺼려하다)는 모두 동명사를 목 적어로 쓴다. (1) dance to music: 음악에 맞춰 춤추다 (2) draw pictures: 그림을 그리다 (3) play baskbetball: 농구를 하다 02 (A)와 (B)의 내용이 서로 동격 관계의 주어가 되고, (C)의 내용이 서술어 가 되는 형태이다. My bike는 the purple one과 동격 관계이고, Today’s lunch는 garlic spaghetti와 동격 관계임을 알 수 있다. 03 동사 enjoy(즐기다)와 give up(포기하다) 모두 동명사를 목적어로 쓰며, 문 장의 주어에 적절한 인칭대명사를 사용한다. (1)은 6단어로 쓰라고 했으므 로 go to the movies(영화를 보러 가다)를 써야 하고, (2)는 7단어로 써야 하므로 change one’s bad habit(~의 나쁜 습관을 버리다)을 이용하면 된다. p.53~54 교과서 본문손으로 익히기 01 Hi, class! This is our class book. 02 Let’s have fun! 03 Hello! My name is Yuna. 04 Am I the first writer? 05 I’m excited. I enjoy writing. 06 My dream job is a writer. 07 I also like reading. 09 Hi, Yuna. I’m Minsu. 10 I like that book, too. 11 I love the pictures. 12 Hi, Minsu. I’m Jimin. 13 Is the second picture Planet B-612? 14 I love stars. 15 I enjoy watching the night sky. 16 Someday I will find a new star. 17 Its name will be Jimin. 18 Hi, Jimin. I’m Inho. 였으므로 Tony’s brother 앞뒤로 콤마를 넣는다. 08 This is The Little Prince, my favorite book. 12 enjoy는 동명사를 목적어로 쓰므로 play에 -ing 를 붙여서 동명사로 만들어 19 I love stars, too. 준다. 13 ‘야구를 하다’는 play baseball로 나타내는데, 동사 enjoy(즐기다)는 동명 사를 목적어로 쓴다. in my free time은 ‘나의 여가 시간에’라는 뜻이다. 20 But my favorite stars are on the soccer field. 21 This is FC Real, my favorite soccer team. 정답 및 해설 7 22 What’s your favorite team? 23 Inho, my favorite team is this class! 24 We will be a great team together. 8 1학년 능률_양현권 Lesson 02 Fun Plans for Happy Days p.58 교과서 어휘 다지기 A 01 magic B 01 race C 01 sign up D 01 special E 01 welcome 04 next Step 1 02 activity 02 hike 02 trick 05 click 02 in front of 03 have no idea 02 planner 03 outdoor 03 join 03 win 03 club 교과서 어휘 다지기 01 ② 02 ③ 05 in front of 06 ③ Step 2 p.59 03 ③ 07 ② 04 ④ 08 (t)rick 01 ②는 ‘온라인의 : 오프라인의’의 뜻으로 반의어 관계이지만, 나머지는 모두 유의어 관계이다. ① 여행 ③ 특별한 ④ 언급 ⑤ 배낭 02 주어진 영영풀이의 해석은 ‘어떤 단체나 조직의 일원이 되다’로 동사 join(가 입하다)의 뜻을 나타낸다. ① 우리는 학교까지 걷거나 자전거를 탄다. (ride: 타다) ② 우리 야구팀이 이 경기를 이길 것이다. (win: 이기다) ③ 나는 영어 연극반에 가입하고 싶다. (join: 가입하다) ④ 우리는 우리의 실수들로부터 많은 것들을 배운다. (learn: 배우다) ⑤ 군중이 그 영화배우를 따뜻하게 환영했다. (welcome: 환영하다) 03 • 저희 방송반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welcome to ~: (~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어서 오세요 • 나는 호주로 여행을 가고 싶다. take a trip to: ~로 여행을 가다 04 •여기 아래에 서명해 주세요. (sign: 서명하다) •Harry는 기차 시간표를 확인할 것이다. (timetable: 시간표) •나는 독서반의 신입 회원이 되었다. (member: 회원) •거리에 많은 사람들이 있다. (lots of: 많은) 05 in front of: ~의 앞쪽에[앞에] 06 길에서 하는 콘서트는 ‘야외(outdoor)’ 콘서트가 되어야 적절하다. ① David은 종종 온라인 강의를 듣는다. (online: 온라인의) ② 나는 내일을 위한 특별한 계획이 있다. (special: 특별한) ③ 길에서 야외 콘서트가 있다. ④ 누가 다음 대통령이 될 것인가? (next: 다음의) ⑤ 신선한 과일과 채소는 건강에 좋다. (fresh: 신선한) 07 •be interested in: ~에 관심 있다 •campaign for: ~에 찬성하는 캠페인을 하다 08 ‘사람들을 즐겁게 해 주거나 기쁘게 해 주기 위해 누군가가 행하는 솜씨 좋은 행위’의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는 trick(묘기, 속임수)이다. 교과서 속 핵심 대화 01 ⑤ 02 interested pp.60~61 교과서 대화 모두 보기 01 F 02 T 06 T 07 F 03 F 08 T 04 T 09 F 교과서 대화 다지기 Step 1 A 01 ( ⓒ ) → ( ⓐ ) → ( ⓑ ) 02 ( ⓓ ) → ( ⓐ ) → ( ⓔ ) → ⓑ → ( ⓒ ) 03 ( ⓒ ) → ⓑ → ( ⓓ ) → ( ⓐ ) pp.62~63 05 T 07 상대방의 관심사에 대해 물을 때는 What are you interested in?(너는 무 엇에 관심이 있니?)을 쓸 수 있고, 무언가에 대한 관심을 나타낼 때 「I’m interested in + (동)명사 ~.」(나는 ~(하는) 것에 관심이 있어.)를 쓸 수 있다. pp.64~66 교과서 속 핵심 문법 01 Are, going 02 ⑤ 교과서 문법 다지기 Step 1 pp.68~69 pp.70~71 04 ( ⓔ ) → ( ⓓ ) → ( ⓕ ) → ⓑ → ( ⓖ ) → ( ⓐ ) → ⓒ A 01 to come 02 helping 03 to get B 01 Are, going to, I am, you, to, timetable, I’m, to, on, What, 04 to do 05 to go 06 speaking going, for, going to 02 are, after school, play soccer 03 interested in, interested, comic books, Are, in, I am, What books, in, She’s, in 04 What are, in, interested, about, interested 05 Which club, join, going to, What, no idea, in, Let’s, together, there, Lots, for, for, sounds exciting 06 My name, after school, I’m, live, go, enjoy playing 07 Welcome to, going to, going to, What, this weekend 08 going, this Saturday, to go, What, there, member of, I’m not 09 Which, are, going, to join, Are, in, am 교과서 대화 다지기 01 ③ 05 ⑤ 02 ④ 06 ⑤ Step 2 p.67 03 ① 04 going to go 07 interested 01 「What are you going to do?」는 ‘너는 무엇을 할 거니?’라는 뜻으로 의도 를 묻는 표현이다. 02 A는 B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책에 대해 묻고 있으므로 B는 관심을 가지고 있거나 좋아하는 책에 대해 말해야 적절하다. ④는 ‘저는 만화책을 좀 가지고 있어요.’라는 의미로 빈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하지 않다. 답하는 것은 어색하다. ② A: 유진이는 어떤 책에 관심이 있니? B: 그녀는 과학책에 관심이 있어. ③ A: 너는 어떤 동아리에 가입할 거야? B: 나는 컴퓨터 동아리에 가입할 거야. ④ A: 너는 컴퓨터에 흥미가 있니? B: 응. ⑤ A: 너는 시간표를 만들 거니, 준하야? B: 응. 나는 그것을 벽에 걸 거야. 04 I’m going to + 동사원형 ~.: 나는 ~할 거야. 05 B의 대답인 Yes, I am.은 2인칭 Be동사 의문문에 대한 대답이므로 ⑤ ‘너는 역사책에 관심이 있니, 미나야?’가 빈칸에 들어가야 적절하다. ① 너는 역사책을 좋아하니, 미나야? ② 너는 무엇에 흥미가 있니, 미나야? ③ 너는 역사책을 즐겨 보니, 미나야? ④ 너는 무슨 책에 흥미가 있니, 미나야? B 01 네[너의] 친구들은 기다릴 거니 02 너는[너희들은] 갈 거니 03 Harry는 가져올 거니 04 Alex는 배울 거니 05 너는[너희들은] 방문할 거니 06 (그) 아이들은 탈 거니 C 01 to play 02 to hear 04 to become 05 to do D 01 aren’t 02 she isn’t 04 they aren’t 05 isn’t 03 to read 06 to go 03 it is 06 am E 01 answer → to answer 02 travel → to travel 03 meet → to meet 04 stay → to stay 05 moving → to move 06 be → to be F 01 Are, going to study 02 Are, going to buy 03 Are, going to wear 04 Are, going to walk 05 Is, going to bake 06 Is, going to raise 교과서 문법 다지기 Step 2 pp.72~75 01 ⑤ 05 ⑤ 09 ⑤ 13 ④ 16 ② 02 ④ 03 to become 06 Are you going to go 07 ③ 04 ④ 08 ② 10 ⑤ 11 borrowing → to borrow 12 ② 14 Is Tom going to study for the test? 15 ④ 17 hope to improve my English ability 18 No, aren’t 19 ③ 20 ③ 02 (1) Are they going to study Spanish at school? (2) Is Mom going to wash the dishes after dinner? 03 I want to learn magic tricks. 04 is not[isn’t] going to ride a bike 05 (1) I hope to exercise in the morning. (2) John plans[is planning] to travel around the world. 06 (1) Jenny is not[isn’t] going to buy a new T-shirt. (2) Is Jenny going to buy a new T-shirt? ① 나는 만화책을 좋아해. ② 나는 만화책을 (무척) 좋아해. 서술형 ③ 나는 만화책에 빠져 있어. ⑤ 나는 만화책에 흥미가 있어. 03 의도를 묻는 ‘너는 무엇을 할 거니?’에 대해 ‘나는 피아노를 칠 수 있어.’라고 01 (1) decided to take the yoga lesson (2) to get good grades in math 06 무엇을 할 건지를 묻는 질문에 대해 관심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답하는 것은 엄마는 우리를 위해 쿠키를 좀 만들기로 약속하신다. 알맞지 않다. 02 ④ doesn’t → isn’t ① 나는 수영장에 갈 거야. ② 나는 집에서 TV를 볼 거야. 「be going to + 동사원형」의 부정문은 be동사 다음에 not을 써서 「주어 + ③ 나는 축구를 할 거야. ④ 나는 내 방을 치울 계획이야. be동사 + not + going to + 동사원형 ~.」으로 나타낸다. 01 빈칸 다음에 to부정사 목적어가 이어지고 있으므로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쓰 는 동사 promise가 빈칸에 들어가야 적절하다. 정답 및 해설 9 ① Jack은 집에 걸어갈 거니? ② 너는 영화 보러 갈 거니? ③ 우리는 오후 6시에 Ben을 만날 거야. ⑤ Kate와 Anne은 저 케이크를 먹을 것이다. ‘기대하다’라는 뜻의 동사 expect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쓰는 동사이다. 14 ‘(주어)는 ~할 거니?’라는 뜻을 나타낼 때 「be going to + 동사원형」을 써서 「Be동사 + 주어 + going to + 동사원형 ~?」으로 나타낼 수 있다. 15 동사 want, hope, decide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쓰고, 동사 enjoy와 03 동사 hope는 ‘바라다, 희망하다’라는 뜻으로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쓴다. 04 「Be동사 + 주어 + going to + 동사원형 ~?」에서 be동사는 주어의 인칭과 finish는 동명사를 목적어로 쓴다. ① being → to be ② eating → to eat 수에 따라 변화하는데, ④의 주어 your brother는 3인칭 단수이므로 be동 ③ to take → taking ⑤ to make → making 사 Is가 빈칸에 들어가야 하는 반면, 나머지는 모두 주어가 2인칭이거나 3인 16 「be going to + 동사원형」이 쓰인 문장에서 be동사는 주어의 인칭과 수에 칭 복수이므로 Are가 들어가야 한다. ① 너희 부모님은 외식하실 거니? ② 너는 우산을 챙길 거니? ③ 너는 오늘밤 Peter에게 전화할 거니? ④ 네 오빠는 개에게 먹이를 줄 거니? 따라 변화하며, 부정문을 만들 때는 be동사 뒤에 not을 붙이고, 의문문을 만 들 때는 be동사를 주어 앞으로 보내고 문장 끝에 물음표를 붙인다. •나는 햄버거를 먹지 않을 것이다. •너는 옷을 갈아입을 거니? •Tom과 Sara는 케이크를 구울 것이다. (is → are) ⑤ Helen과 Emily는 그 박물관을 방문할 거니? •네 삼촌은 새 집으로 이사를 가실 거래? (Are → Is) 05 동사 want(원하다)와 learn(배우다)은 모두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쓴다. •우리는 다음 주 일요일에 일찍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don’t → aren’t) •우리는 이태리에서 우리의 휴가를 보내기를 원해. •너는 왜 프랑스어를 배우기를 원하니? 17 동사 hope는 ‘바라다, 희망하다’라는 뜻으로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쓴다. 18 be going to를 이용한 의문문에 대한 답은 「Yes, 주어 be동사.」, 「No, 주 06 ‘(주어)는 ~할 거니?’라는 뜻을 나타낼 때 「be going to + 동사원형」을 써서 어 be동사 + not.」으로 나타낸다. 빈칸이 하나이므로 are not의 축약형인 「Be동사 + 주어 + going to + 동사원형 ~?」으로 나타낼 수 있다. aren’t를 쓴다. 07 ③ → to take 19 동사 plan, promise, refuse는 모두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쓰는 동사이다. 동사 decide는 ‘결심하다’라는 뜻으로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쓰는 동사이다. •나는 내 친구들과 해변에 갈 계획이다. 08 ②의 going은 현재 진행 중인 동작을 나타내는 「be동사 + 현재분사」에 해 당하는 반면, 나머지는 모두 미래를 나타내는 「be going to + 동사원형」에 으로 나타낼 수 있다. 서술형 09 빈칸 다음에 to부정사 목적어가 이어지고 있으므로 동명사를 목적어로 쓰는 나타낼 수 있다. 10 「be going to + 동사원형」이 쓰인 문장을 부정문으로 만들 때에는 be동사 뒤에 not을 써서 「주어 + be동사 + not + going to + 동사원형 ~.」의 형태 는 뜻이 되어야 알맞다. ① 나는 내 가족과 캠핑하는 것을 즐긴다. ② 우리는 그 한국 대중 가수를 보기를 원한다. ③ Cathy는 우산을 챙기기로 결심했다. ④ 우리 아버지는 케이크를 사기로 약속하셨다. ⑤ 우리는 그 파티를 준비하는 것을 끝마쳤다. 해당한다. ① 너는 런던에 비행기를 타고 갈 거니? ② 사람들은 경기장으로 들어가고 있다. ③ Alex는 다음 버스를 탈 거니? ④ 나는 오늘 David를 만나지 않을 거야. ⑤ 너는 이번 주말에 우리집에 올 거니? 동사 mind는 빈칸에 들어갈 수 없다. ⑤ doesn’t be → isn’t 로 만든다. ① 나는 TV를 보지 않을 것이다. ② Paul이 버스 정류장으로 걸어갈 거래? ③ 너는 새 컴퓨터 게임을 할 거니? ④ Sam과 Nick은 그들의 친구를 만날 것이다. ⑤ Karen은 방과 후에 숙제를 하지 않을 것이다. ④ → Do (일반동사의 의문문: Do(es) + 주어 + 동사원형 ~?) 진다. ① → am ③ → Is ⑤ → is 하는 단어이므로 arrive가 정답이다. 10 1학년 능률_양현권 •Harry와 Ron은 내년에 만나기로 약속한다. •내 남동생은 내 숙제를 도와주기를 거부한다. 20 ‘(주어)는 ~하지 않을 것이다.’라는 뜻을 나타낼 때는 「주어 + be동사 + not + going to + 동사원형 ~.」 또는 「주어 + will not[won’t] + 동사원형 ~.」 01 (1) 동사 decide(결정하다, 결심하다)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쓴다. take the yoga lesson: 요가 수업을 받다 (2) 동사 hope(바라다, 희망하다)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쓴다. get good grades: 좋은 성적을 받다 in math: 수학에서 02 「be going to + 동사원형」이 쓰인 의문문은 be동사를 주어 앞으로 보내고 문장 끝에 물음표를 붙여 「Be동사 + 주어 + going to + 동사원형 ~?」으로 03 동사 want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쓰므로 want 다음에 to learn이 와야 하 고, 그림을 보면 마술 묘기를 부리고 있으므로 magic tricks를 배우고 싶다 04 ‘(주어)는 ~하지 않을 것이다.’라는 뜻을 나타낼 때는 「주어 + be동사 + not + going to + 동사원형 ~.」으로 나타낼 수 있다. 05 동사 hope와 plan은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쓴다. 06 「be going to + 동사원형」이 쓰인 문장을 부정문으로 만들 때는 be동사 뒤 에 not을 붙이고, 의문문으로 만들 때는 be동사를 주어 앞으로 보내고 문장 끝에 물음표를 붙인다. 03 will, do 06 Come 09 Hiking 12 to enjoy 15 응급 처치 04 monthly 05 to learn 07 부디, 제발 08 Let us 10 We are 13 hiking 16 Our 11 야외[옥외]의 14 backpacking 17 to meet 11 동사 want(원하다)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쓴다. 12 <보기>와 ②에 들어갈 말은 are이다. be going to가 쓰인 문장에서 be동사 는 긍정문, 평서문, 의문문 여부에 상관없이 주어의 인칭과 수에 따라 달라 교과서 본문다지기 A 01 (~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어서 오세요 02 (u)nusual pp.78~80 13 Sue expects to arrive at the station on time.에서 ⓐ는 네 번째에 해당 18 ~의 앞쪽에[앞에] 19 등록하다, 서명하다 20 Will, go B 01 there, Welcome to 02 Here, special, and 03 What, to do this 04 Come, join 05 online and offline 06 also, at, every 07 Do, to learn some 08 to, at, this 09 Please, for 10 We’re, Do, outdoor 11 Do, to enjoy 12 here for 13 go camping, hiking 14 backpacking, first aid 15 first trip, to 16 going, in front of 17 up, at, next 18 Are, to go 교과서 속 기타 지문 영역별 실력 굳히기 01 ③ 06 ④ 02 ② 03 ② 07 a lot of, many 09 I’m going to play soccer. 12 (i)nterested (i)n, (i)nterested (i)n pp.82~88 05 ⑤ 11 ⑤ 14 ① 17 ② 04 up 08 ④ 10 ④ 13 ⑤ 20 ④ 23 ③ 25 ⑤ 26 ④ 27 Is Joan going to run 28 ③ 29 (1) ⓐ Are you going to sing a song for us? (2) ⓑ Is Dad going to cook dinner tonight? (3) ⓒ They are not[aren’t] going to take the subway. 30 join the singing club 31 the Music Room, 4[four] p.m. 32 ④ 33 ② 37 do a magic show 35 ②, ③ 39 ② 36 ② 40 ② 34 ④ 38 ④ 43 ④ 42 ④ 44 Are you going to go 41 ② 45 ⑤ ④ 어딘가에 받아들여지거나 원해지는: welcome (환영받는) ⑤ 어떤 활동에 참여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만나는 한 무리의 사람들: club (동아리) 04 •우리는 수영반에 등록할 것이다. (sign up: 등록하다, 서명하다) •Jason은 오늘 아침 10시에 일어났다. (wake up: 깨다, 정신을 차리다) 05 first aid: 응급 처치 ① 그 노인은 묘기를 부리고 있다. ② 너는 온라인에서 기타 수업을 들을 수 있다. ③ 나는 언젠가 마술쇼를 할 것이다. ④ 나는 컴퓨터 게임에 대해 전혀 모른다. ⑤ 요즈음 응급 처치 수업이 인기가 있다. 06 ④에는 timetable(시간표)이 들어가서 ‘시간표의 첫 번째 수업은 수학이다.’ 가 되어야 적절하다. ① 어떤 사람들은 시골에서 살고 싶어 한다. (live in: ~에 살다) ② 자전거 타기는 재미있고 건강에 좋은 활동이다. (activity: 활동) ③ Ben은 축구 동아리의 회원이다. (member: 회원) ⑤ 우리 중식당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welcome to: (~에 오신 것을) 환 영합니다) 07 lots of는 ‘많은’이라는 뜻으로 a lot of와 바꿔 쓸 수 있으며, 셀 수 있는 명 사의 복수형 앞에서는 many로, 셀 수 없는 명사 앞에서는 much로 바꿔 쓸 수 있다. 뒤에 오는 명사 pop songs가 복수이므로 many를 쓴다 08 「I’m interested in + (동)명사 ~.」는 ‘나는 ~에 관심이 있어.’라는 뜻으로 수 있다. 10 관심사에 대해 묻는 표현에 대한 대답으로는 「I’m into + (동)명사 ~.」, 「I like[enjoy] + (동)명사 ~.」, 「I’m interested in + (동)명사 ~.」, 「I have[take] an interest in + (동)명사 ~.」를 써서 자신의 관심부를 나타낼 수 있다. ④ ‘나는 컴퓨터 게임을 할 거야.’는 의도를 나타내는 표현이다. ① 나는 농구에 빠졌어. ② 나는 영화 보는 것을 즐겨. ③ 나는 요리에 관심이 있어. ④ 나는 컴퓨터 게임을 할 거야. ⑤ 나는 만화 그리는 것에 관심이 있어. ② 나는 컴퓨터 동아리에 가입해야 해. ③ 나는 컴퓨터 동아리에 가입하기를 기대해. ④ 나는 컴퓨터 동아리에 가입해서 기뻐. ⑤ 나는 컴퓨터 동아리에 가입할 계획이야. 12 ‘나는 ~에 관심이 있어.’라는 뜻을 나타낼 때 「I’m interested in + (동)명사 ~.」를 쓸 수 있다. 13 시간표를 만들 거냐고 미래의 의도를 묻는 A의 질문에 대해 그렇다고 긍정의 대답을 한 다음, 이미 한 시간 전에 벽에 그것을 붙였다고 답하는 B의 대답은 자연스럽지 않다. 동사 put의 과거형은 현재형과 동일한 형태로 put이 된다. 14 What about you?는 상대방의 의견을 묻는 표현이므로, 세호가 자신의 미 래 계획에 대해 말하고 나서 나라의 미래 계획을 묻기에 적절한 ①에 들어가 15 ④ 16 campaign for, (they) work for 11 의도를 나타내는 「I’m going to + 동사원형 ~.」은 「I’m planning to + 동 18 arriving → to arrive 19 ④ 21 I am not going to eat 22 ③ 24 to play ① 나는 컴퓨터 동아리에 가입할 수 있어. 사원형 ~.」으로 바꿔 쓸 수 있다. 01 F 02 F 03 T 04 F 09 ‘나는 ~할 거야.’라는 의도를 나타낼 때 「I’m going to + 동사원형 ~.을 쓸 p.81 관심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01 <보기>는 둘 다 ‘여행’이라는 뜻을 가진 유의어 관계로, 둘 다 ‘특별한’이라는 야 알맞다. 뜻을 가진 ③과 관계가 같다. ① 승자 : 패자 ② 온라인의 : 오프라인의 ④ 타다 : 타기 ⑤ 배낭 : 배낭여행자 02 campaign for: ~에 찬성하는 캠페인을 하다 03 ② special(특별한)의 영영풀이가 ‘보통이거나 평범한 것과 다른’의 의미로 가장 적절하다. ① 깨끗하고 순수한: fresh (신선한) 15 ‘독도 사랑’은 반크를 위해 일한다고 나와 있을 뿐, 반크가 조직한 동아리인 지는 알 수 없다. 말하고 있다. 16 ‘독도 사랑’은 독도를 위한 캠페인을 벌이고 반크를 위해 일한다고 세호가 17 이번 토요일에 무엇을 할 것인지 묻는 말에 답하는 ⓑ가 처음에 오고, ⓑ의 마지막 질문에 대한 답을 말하는 ⓐ가 이어진 다음 ⓒ가 이어지는 것이 자 연스럽다. ⓑ의 the basketball club이 ⓐ의 there로 이어지고 ⓒ의 the ③ 건물 밖에서 사용되거나 일어나거나 위치한: outdoor (야외의) club과 마지막 문장의 it이 이어진다. 정답 및 해설 11 18 동사 expect(기대하다)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쓴다. 38 Here we have two special clubs: Magic World and Backpackers.에 그들은 공항에 일찍 도착하기를 기대했다. 서 이 글을 쓴 목적이 ④ ‘학교 동아리들을 홍보’하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19 be going to의 의문문: Be동사 + 주어 + going to + 동사원형 ~? 20 빈칸 다음에 to부정사가 이어지고 있으므로 목적어로 동명사를 쓰는 동사 enjoy는 빈칸에 들어갈 수 없다. 활동을 병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0 ② → to enjoy 39 We enjoy magic tricks online and offline.에서 온라인 활동과 오프라인 21 ‘~하지 않을 것이다’라는 뜻을 나타낼 때 「be going to + 동사원형」을 써서 want + to부정사: ~하기를 원하다, ~하고 싶어 하다 「주어 + be동사 + not + going to + 동사원형 ~.」으로 나타낼 수 있다. 41 ‘건물 밖에서 행해지거나, 사용되거나, 위치해 있는’이라는 뜻의 단어는 22 ③ → to build 동사 hope(바라다, 희망하다)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쓴다. ① 나는 라디오를 듣는 것을 즐긴다. ② 우리는 싱가포르로 여행을 갈 계획이다. ③ 그들은 새 병원을 짓기를 바란다. ④ 나는 햄버거와 프렌치프라이를 먹기를 원해. ⑤ 우리는 엄마에게 생일 선물로 스카프를 드리기로 결정했다. 23 「Be동사 + 주어 + going to + 동사원형 ~?」에서 Be동사는 주어의 인칭과 수에 따라 변화한다. ③의 주어 Jennifer는 3인칭 단수이므로 be동사 Is가 들어가야 적절하고, 나머지는 모두 2인칭 단수 주어이거나 복수 주어이므로 be동사 Are가 들어가야 적절하다. 24 동사 expect(기대하다)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쓴다. 25 ‘(주어)는 ~할 것이다.’라는 뜻으로 의도나 미래의 예정된 계획을 나타낼 때 「주어 + be동사 + going to + 동사원형 ~.」을 쓸 수 있다. 26 동사 decide(결정하다, 결심하다)와 expect(기대하다)는 모두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쓴다. •우리 삼촌은 앵무새를 기르기로 결심했다. • 나는 그 콘서트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를 기대한다. have a good time: 즐거운 시간을 보내다. outdoor(야외의)이다. 42 (A) to: (이동 방향을 나타내어) ~로[에] (C) at: (때의 한 점·시각·시절 등) ~에 43 in front of: ~의 앞쪽에[앞에] 44 Be동사 + 주어 + going to + 동사원형 ~?: (주어)는 ~할 거니? 45 매주 동아리가 모이는 요일에 대해서는 나와 있지 않다. 학교 시험 100점 맞기 01 indoor 02 ③, ⑤ Step 1 04 ③ 03 ② 05 ⑤ 06 ④ 07 going to join 08 ④ 10 Dokdo Sarang 11 reading → read 14 promised to meet Beth 09 ③ 12 ④ 15 ⑤ 13 ④ 16 ② 19 ③, ⑤ 17 ③ 20 ③ 18 We expect to move out next month. 21 ③ 22 ⑤ pp.89~93 23 What are you going to do this Friday? 24 want to learn 25 ③ 26 ⑤ 27 ⑤ 28 ③ 29 ④ 30 rock-climbing 27 ‘(주어)는 ~할 거니?’라는 뜻으로 상대방의 의도나 미래의 예정된 계획을 물 01 winner(승자)와 loser(패자)는 서로 반의어 관계이므로 빈칸에는 을 때 「Be동사 + 주어 + going to + 동사원형 ~?」을 쓸 수 있다. Joan은 3 outdoor(야외의)의 반의어인 indoor(실내의)이 들어가야 적절하다. 인칭 단수 주어이므로 be동사 Is를 쓴다. 02 lots of는 ‘많은’이라는 뜻으로 a lot of와 바꿔 쓸 수 있으며, 복수 명사 앞에 28 동사 want(원하다), promise(약속하다), plan(계획하다)은 모두 to부정사 서는 many로, 셀 수 없는 명사 앞에서는 much로 바꿔 쓸 수 있다. rides는 를 목적어로 쓴다. •Jason은 직소 퍼즐을 하기를 원한다. •나는 너의 고양이를 돌보는 것을 약속해. 복수 명사이므로 a lot of나 many와 바꿔 쓸 수 있다. 03 ‘불가능한 일들을 일어나게 만들거나 일어나는 것처럼 보이기 위해 특별한 능력을 가졌거나 사용하는’이라는 뜻의 가진 단어는 ② magic(마술의)다. •Nancy와 Sally는 함께 시험공부를 하기로 계획한다. 04 campaign for: ~에 찬성하는 캠페인을 하다 29 (1)(2) 「be going to + 동사원형」의 의문문: Be동사 + 주어 + going to + ① 민호는 헬스장에 등록할 것이다. (3) 「be going to + 동사원형」의 부정문: 주어 + be동사 + not + going to ③ 그들은 교육을 위해 캠페인을 하기 시작했다. ② 나는 항상 아침 일찍 (잠에서) 깬다. ④ 우리 엄마는 작은 회사를 위해 일하신다. 동사원형 ~? + 동사원형 ~. 30 I want to join the singing club this year.(나는 올해 노래 동호회에 가입 ⑤ 방과 후에 함께 영화 보러 가자. 하고 싶다.)에서 Jane이 올해 하려는 일을 추측할 수 있다. 05 「What are you going to do ~?」는 미래 계획을 묻는 말로 이에 대한 대답 31 이 글은 춤 동아리에서 회원을 모집하기 위해 쓴 글로, 노래와 춤에 관심이 으로는 「I’m going[planning] to + 동사원형 ~.」을 써서 답해야 적절하다. 있는 사람들은 다음 월요일 오후 4시에 음악실로 오라고 말하고 있다. 32 모임에서 어떤 행사들을 하게 되는지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33 welcome to: (~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어서 오세요 34 (A) What + be동사 + 주어 + going to + 동사원형 ~?: (주어)는 무엇을 ~할 ① 나는 지금 학교에 가고 있어. ② 나는 만화책을 읽는 것을 좋아해. ③ 나는 지금 컴퓨터 게임하는 것을 즐겨. ④ 나는 클래식 음악을 듣고 있어. ⑤ 나는 농구 동아리에 갈 거야. 거니? 35 ② → every month (B) want + to부정사: ~하기를 원하다, ~하고 싶어 하다 06 「What + 명사 + are you interested in?」는 ‘너는 무슨 (명사)에 관심[흥 미]이 있니?’라는 뜻으로 상대방의 관심사를 묻는 표현인데, ④는 ‘너는 무슨 every 다음에 때를 나타내는 단수명사가 와서 ‘매~, ~마다’라는 뜻을 나타낸다. 책을 찾고 있니, Tom?’이라는 뜻이므로 바꿔 쓸 수 없다. ③ → some magic tricks 07 ‘나는 ~할 거야.’라는 의도를 나타낼 때「I’m going to + 동사원형 ~.을 쓸 some 다음에는 셀 수 없는 명사나 셀 수 있는 명사의 복수형(tricks)이 와서 수 있다. 어느 동아리에 가입할 것인지 물었으므로 동사 join(가입하다)을 써 ‘조금의 ~’라는 뜻을 나타낸다. 36 ⓑ at: [한 지점을 나타내어] ~에(서) ⓒ at: [때의 한 점·시각·시절 등] ~에 서 답해야 한다. 08 세호와 나라는 가입할 예정인 동아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그들은 무엇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가? 37 ‘마술 세계’는 매달 나눔 양로원에서 마술쇼를 한다고 나와 있다. ① 학교 동아리 축제 ② 독도를 위해 할 일 12 1학년 능률_양현권 ③ 독도를 위한 캠페인 ⑤ 반크의 몇몇 활동들 ⑤ 학생들은 HERE를 클릭함으로써 물주머니 마술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09 ⓒ glad to go to → interested in 26 ⓔ → Are ‘나는 ~에 관심이 있어.’는 「I’m interested in + (동)명사 ~.」 형태로 나타 「be going to + 동사원형」이 쓰인 문장의 의문문은 조동사 do가 아니라 be 낼 수 있다. I’m glad to go to Dokdo, too는 ‘나도 역시 독도에 가게 되어 동사를 주어 앞으로 보내어 「Be동사 + 주어 + going to + 동사원형 ~?」의 기뻐’라는 뜻이다. 형태로 나타낸다. 10 밑줄 친 (A)는 앞에서 세호가 언급한 ‘독도 사랑’이라는 동아리를 가리킨다. 11 be going to 다음에는 동사원형을 써야 한다. 12 ④ → to visit 27 a.m.은 오전을 나타내는 표시이고, p.m.이 오후를 나타내는 표시이다. 28 (A) want + to부정사: ~하기를 원하다, ~하고 싶어 하다 (B) 「go + -ing」(~하러 가다)의 camping과 and로 병렬 연결되어 있으므로 동사 decide(결심하다)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쓴다. 마찬가지로 -ing 형의 hiking이 되어야 한다. 13 ④의 going은 「be동사 + 현재분사(동사원형-ing)」의 현재분사로 ‘가는 중’ (C) 명령문의 동사원형 Sign과 함께 and로 병렬 연결되어 있으므로 동사원 이라는 의미인 반면, 나머지는 모두 미래를 나타내는 「be going to + 동사 형 형태인 join이 되어야 적절하다. 원형」에 쓰이는 going에 해당한다. 29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배낭여행자들의 첫 번째 여행에 참여할지에 대해서는 ① 나는 말을 타지 않을 거야. ② Brian은 필기를 할 거야. 나와 있지 않다. ③ 미나는 쇼핑을 갈 거니? ④ 우리는 버스를 타고 학교에 가고 있어. ① → They go camping and hiking. ⑤ 그들은 강에서 수영을 할 거니? 14 동사 promise(약속하다)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쓴다. 15 ⑤ doesn’t → isn’t ② → They learn backpacking and first aid. ③ → They will meet in front of City Hall Station. ⑤ → They will meet at 10 a.m. 미래의 계획을 나타내는 「주어 + be동사 + going to + 동사원형 ~.」의 부 30 산이나 절벽의 가파른 쪽을 오르는 운동이나 활동: rock-climbing (암벽 정문은 「주어 + be동사 + not + going to + 동사원형 ~.」이다. 등반) ① 너는 택시를 탈 거니? ② 아빠는 새 차를 사실 것이다. ③ Jina는 파란 드레스를 입을 거래? ④ 우리는 산책을 나갈 것이다. ⑤ Sam은 엽서를 쓰지 않을 것이다. 학교 시험 100점 맞기 01 ③ 02 ① Step 2 pp.94~98 03 ② 04 (o)ffline 16 동사 want(원하다)와 plan(계획하다)은 모두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쓴다. 17 ③ Are → Is 05 ① 06 ② 07 I’m interested in cooking. 08 Which club are you going to join 09 ④ 10 ④ 주어진 문장들은 일반동사가 쓰인 문장을 「be going to + 동사원형」으로 바꾼 것이다. ③에서 주어 Jane이 3인칭 단수이므로 be동사 Are를 Is로 고 쳐 써야 알맞다. ① 나는 샤워를 할 거야. ② 우리는 아침을 먹을 거야. ③ Jane은 중국어를 공부할 거니? ④ 너는 잠자리에 일찍 들 거니? ⑤ Ben과 Sam은 TV를 볼 거야. 18 동사 expect는 ‘기대하다’라는 뜻으로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쓴다. 19 미래의 계획을 나타내는 be going to의 의문문에 대한 답은 「Yes, 주어 + be동사.」 또는 「No, 주어 + be동사 + not.」으로 나타낸다. you는 2인칭 단수 (너)이면서 복수(너희)이므로 답할 때 주어는 I도 될 수 있고 we도 될 수 있다. 20 Jane이 어떻게 해야 노래 동아리에 가입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나와 있지 11 getting → to get 14 Is, going to take 17 want to ask 12 ② 15 ② 18 ② 13 ② 16 ⑤ 19 ③ 20 ⑤ 22 ③ 23 What are you going to do 21 ③ 24 ③ 25 Magic World does a magic show at Nanum Nursing Home. 28 그들[배낭여행자들의 회원들]은 다음 주 토요일 오전 10시에 (첫 번째 26 ⑤ 27 ③ 여행을 위해) 만날 것이다. 29 ⑤ 30 ③ 않다. ① → She lives in Toronto. ② → She is interested in music. ④ → She enjoys singing and dancing. ⑤ → She wants to join the singing club. 21 ⓐ welcome to: (~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at: (때의 한 점·시각·시절 등) ~에 ⓒ for: ~을 위한 01 <보기>는 ‘승자 : 패자’라는 뜻으로 반의어 관계이다. ③ ‘야외[옥외]의 : 실내 의’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유의어 관계이다. ① 여행 ② 특별한 ④ 논평, 언급 ⑤ 배낭 02 •독서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여가 활동이다. (activity: 활동) •이 사진에 댓글을 남기려면 여기를 클릭하시오. (comment: 논평, 언급) •나는 저쪽에서 기차 시간표를 확인했다. (timetable: 시간표) •요즘 나는 일찍 일어날 수 없다. (wake: (잠에서) 깨다) 22 주어진 문장의 also(또한, 역시)로 보아, 주어진 문장은 앞서 나온 내용에 추 03 • 나는 노래 학원에 등록할 거야. 가 정보를 제공하는 자리에 위치해야 한다. 따라서 Magic World에서 하는 sign up: 등록하다; 서명하다 일에 대해 알리고 있는 문장 다음인 ⑤에 들어가야 적절하다. • 많은 사람들이 그 뉴스를 보고 있다. 23 this Friday라는 미래 부사구가 있으므로 미래의 예정된 계획을 묻는 「be lots of: 많은 (= a lot of / many / much) going to + 동사원형」을 써서 「What + be동사 + 주어 + going to + 동사 빈칸 뒤의 people이 복수 명사이므로 빈칸에 much는 들어갈 수 없다. 원형 ~?」의 형태가 되어야 올바르다. 04 ‘컴퓨터나, 컴퓨터 통신망이나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의 의미를 가진 24 want + to부정사: ~하기를 원하다, ~하고 싶어 하다 25 ‘마술 세계’ 동아리가 돈을 (벌기) 위해 마술 묘기를 부린다는 말은 나와 있 지 않다. ① 그들은 온라인에서 마술 묘기를 즐긴다. ② 그들은 오프라인에서 마술 묘기를 즐긴다. 단어로는 offline(오프라인의)이 적절하다. 05 「Are you interested in + (동)명사 ~?」(너는 ~(하는 것)에 관심 있니?)는 상대방의 관심사를 묻는 표현으로 「Are you into + (동)명사 ~?」(너는 ~(하 는 것)에 빠져 있니?)와 바꿔 쓸 수 있다. 06 ‘나는 농구 동아리에 갈 거야.’라고 B가 미래의 계획에 대한 의도를 나타내 ④ 그들은 이번 주 금요일에 재능실에서 만난다. 고 있으므로 A의 빈칸에는 상대방의 의도를 묻는 질문이 들어가야 알맞다. 정답 및 해설 13 ②는 ‘이번 토요일에 가는 게 어때?’라는 뜻으로 제안하는 표현이므로 빈칸 ① 어딘가에 받아들여지거나 원해지다: welcome (환영 받는) 에 적절하지 않다. 나머지는 모두 이번 토요일의 계획에 대해 묻고 있다. ② 시골에서 오래 걷다: hike (도보 여행을 가다) 07 ‘나는 ~에 관심이 있어.’는 「I’m interested in + (동)명사 ~.」 형태로 나타 ④ 공부, 경험 등으로 정보나 기술을 얻다: learn (배우다) 08 Which + 명사 + are you going to + 동사원형 ~?: 너는 어떤 (명사)를 할 을 적다: sign (서명하다) 낼 수 있다. 거니? ⑤ 무언가가 써진 것에 동의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거기에 당신의 이름 28 ‘배낭여행자들’의 회원들은 그들의 첫 번째 여행을 위해 다음 토요일 오전 10시에 시청 앞에서 만날 예정이라고 나와 있다. 29 Be동사 + 주어 + going to + 동사원형 ~?: (주어)는 ~할 거니? 30 We go camping and hiking. We learn backpacking and first aid.에 서 Backpackers가 하는 일들이 캠핑과 도보 여행 가기, 배낭여행과 응급 처 09 (A) campaign for: ~에 찬성하는 캠페인을 하다 (B) work for: ~을 위해 일하다 10 VANK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대화에 나와 있지 않다. 11 동사 hope(바라다, 희망하다)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쓴다. 12 ②는 「Do(es) + 주어 + 동사원형 ~?」의 일반동사의 의문문 형태이므로 조 동사 Do가 들어가야 알맞고, 나머지는 모두 「Be동사 + 주어 + going to + 동사원형 ~?」의 형태이므로 be동사가 들어가야 하는데, 주어가 모두 2인칭 단수이거나 복수이므로 be동사 Are가 들어가야 한다. 13 ② → to become 동사 decide는 목적어로 to부정사를 쓴다. 14 「주어 + be동사 + going to + 동사원형 ~.」((주어)는 ~하지 않을 것이다.) 의 의문문은 Be동사 + 주어 + going to + 동사원형 ~?으로 나타낸다. 15 동사 plan과 promise는 모두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쓴다. •우리는 이번 여름휴가로 하와이에 갈 계획이다. •David는 나를 위해 꽃을 좀 사기로 약속했다. 16 ‘(주어)는 ~할 거니?’라는 뜻으로 상대방의 의도나 미래의 예정된 계획을 물 을 때 「be going to + 동사원형」을 써서 「Be동사 + 주어 + going to + 동 사원형 ~?」으로 나타낼 수 있다. 주어가 2인칭 단수 you이므로 be동사 Are 를 쓴다. 17 동사 want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쓴다. 18 ② don’t → aren’t 「주어 + be동사 + going to + 동사원형 ~.」의 부정문은 「주어 + be동사 + not + going to + 동사원형 ~.」이다. 19 빈칸 다음에 to부정사 목적어가 이어지고 있으므로 동명사를 목적어로 쓰는 동사 avoid는 빈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하지 않다. 20 춤 동아리에서 회원을 모집하기 위해 쓴 글로, 모임에서 누가 춤추고 노래하 는지에 대해서는 나와 있지 않다. ② → They will meet at 4 p.m. ③ → They will meet next Friday. ④ → All students can come and join the meeting. 21 and는 ‘~와, 그리고’의 뜻을 나타내는 접속사이다. ‘또는’은 or이다. 22 ③ learning → to learn want + to부정사: ~하기를 원하다, ~하고 싶어 하다 23 ‘(주어)는 무엇을 할 거니?’라는 뜻으로 상대방의 의도나 미래의 예정된 계획 을 물을 때는 의문사 what과 「be going to + 동사원형」을 써서 「What + be동사 + 주어 + going to + 동사원형 ~?」으로 나타낼 수 있다. 24 ‘마술 세계’ 동아리의 회원이 몇 명인지에 대해서는 나와 있지 않다. ① → They do a magic show. ② → They visit there every month. ④ → They will have a meeting at the Talent Room. ⑤ → They will have a meeting this Friday. pp.99~101 치 배우기임을 알 수 있다. 서술형으로 끝내기 01 sign 02 welcome 03 ⓐ Which club are you going to join? ⓑ I’m going to join the computer club. ⓒ Are you interested in computers? 04 ⓐ going to join Dokdo Sarang ⓑ interested in Dokdo 05 What are you interested in? 06 (1) Paul wants to help his classmates. (2) I plan to go shopping with Helen this afternoon. 07 (1) Mr. Parker is going to work in the bank. (2) We aren’t[are not] going to clean the windows. (3) Are you going to read a mystery book? 08 promised to take care of my pet dog 09 (1) We are going to buy some flowers for Mom. (2) Sumi isn’t[is not] going to jog in the morning. 10 ⓐ I decided to go to Anne’s birthday party. ⓑ The man expects to earn lots of money. 11 (1) Are (3) aren’t (2) going to go (4) are going to 12 (1) I want to buy some fresh vegetables. (2) Lots of students hope to get good grades. 13 They do a magic show at Nanum Nursing Home (every month). 14 (1) camping (3) backpacking (2) hiking (4) first (5) Namsan (7) 10 a.m. (6) City Hall Station (8) Saturday 15 I’m interested in dancing club. 01 •보통이거나 평범한 것과 다른: 특별한 (special) •시골에서 오래 걷다: 도보 여행을 가다 (hike) ① → They will meet in the Music Room. ⓒ We wish to speak German at school. 25 We also do a magic show at Nanum Nursing Home every month.에 • 불가능한 일들을 일어나게 만들거나 일어나는 것처럼 보이기 위해 특별한 서 Magic World가 매달 학교가 아닌 나눔 양로원에서 마술쇼를 하고 있음 능력을 가졌거나 사용하는: 마술의 (magic) 을 알 수 있다. 26 ⓔ → at •어떤 단체나 조직의 일원이 되다: 가입하다 (join) → sign (서명하다) 때의 한 점·시각·시절 등을 나타낼 때 ‘~에’라는 뜻의 전치사 at을 쓴다. 27 join(가입하다)의 영영풀이로는 ③의 ‘어떤 단체나 조직의 일원이 되다’가 02 ‘어딘가에 받아들여지거나 원해지는’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는 welcome이다. 03 ⓐ Which + 명사 + are you going to + 동사원형 ~?: 너는 어느 (명사)를 가장 적절하다. ~할 거니? 14 1학년 능률_양현권 ⓑ I’m interested in + (동)명사 ~.: 나는 ~(하는 것)에 관심이 있어. (2) play go: 바둑을 두다 ⓒ Are you interested in + (동)명사 ~?: 너는 ~(하는 것)에 관심 있니? (3) ride a horse: 말을 타다 04 ⓐ I’m going to + 동사원형 ~.: 나는 ~할 거야. 02 (1) 「What + be동사 + 주어 + going to do + 시간 부사구?」((주어)는 ~때 ⓑ I’m interested in + (동)명사 ~.: 나는 ~(하는) 것에 관심이 있어. 에 무엇을 할 거니?)라는 질문에는 「주어 + be동사 + going to + 동사 05 A의 질문에 대한 B의 대답이 자신의 관심사에 대한 표현이므로 A의 빈칸 원형 ~.」((주어)는 ~할 거야.)을 써서 구체적인 미래의 계획에 대해 답한다. 에는 상대방의 관심사가 무엇인지 묻는 질문인 What are you interested (2) 「Be동사 + 주어 + going to + 동사원형 ~?」((주어)는 ~할 거니?)에 대 in?(너는 무엇에 관심이 있니?)이 들어가야 알맞다. 한 대답으로는 긍정일 경우 「Yes, 주어 + be동사.」, 부정일 경우 「No, 06 동사 want(원하다)와 plan(계획하다)은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쓴다. (2)에 주어 + be동사 + not.」으로 답한다. 부정의 대답 뒤에 하려는 것을 구체 서는 동사 plan이 원형으로 쓰였으므로 주어로는 1인칭 단수 I가 오는 것이 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적절하다. (1) Paul은 그의 반 친구들을 돕기를 원한다. (2) 나는 오늘 오후에 Helen과 쇼핑을 갈 계획이다. 03 (1) avoid는 동명사를 목적어로 쓰므로 dinner에 어울리는 동사 eat에 -ing 를 붙여 문장을 만든다. for dinner: 저녁으로 07 ‘~할 것이다’라는 뜻을 나타낼 때 「be going to + 동사원형」을 쓸 수 있다. 나는 저녁으로 라면을 먹는 것을 피한다. 부정문은 「주어 + be동사 + not + going to + 동사원형 ~.」, 의문문은 「Be (2) plan은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쓰므로 games와 어울리는 동사 play에 동사 + 주어 + going to + 동사원형 ~?」으로 나타낼 수 있다. to를 붙여 문장을 만든다. 08 ‘~할 것을 약속하다’는 동사 promise(약속하다)와 to부정사를 이용하여 나 play computer games: 컴퓨터 게임을 하다 타낼 수 있다. take care of: 돌보다 pet dog: 반려견 그는 컴퓨터 게임을 할 계획이다. 교과서 본문손으로 익히기 01 Hi, there! Welcome to School Club Show! 02 H e re w e h a v e t w o s p e c i a l c l u b s : M a g i c Wo r l d a n d p.103~104 Backpackers. 03 Welcome to Magic World! 04 What are you going to do this Friday? 05 Come and join Magic World. 06 We enjoy magic tricks online and offline. 07 We also do a magic show at Nanum Nursing Home every 09 미래의 계획을 나타낼 때 「주어 + be동사 + going to + 동사원형 ~.」을 쓸 수 있으며 부정형은 「주어 + be동사 + not + going to + 동사원형 ~.」이다. 이때 be동사는 주어의 인칭과 수에 따라 변화한다. 10 동사 decide(결심하다), expect(기대하다), wish(소원하다)는 모두 to부정 사를 목적어로 쓴다. 11 ‘~할 것이다’라는 뜻의 「be going to + 동사원형」의 의문문은 「Be동사 + 주어 + going to + 동사원형 ~?」, 부정문은 「주어 + be동사 + not + going to + 동사원형 ~.」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답은 긍정일 경우 「Yes, 주어 + be동사.」, 부정일 경우 「No, 주어 + be동사 + not.」으로 한다. 12 (1) 동사 want(원하다)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쓴다. vegetables 앞에 형 month. 용사 fresh(신선한)를 추가한다. 08 Do you want to learn some magic tricks? (2) 동사 hope(바라다)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쓴다. students 앞에 ‘많은’ 09 Come to the Talent Room at 4 p.m. this Friday! 이란 뜻의 lots of를 추가한다. 10 Please click HERE for Water Bag Magic! 13 We also do a magic show at Nanum Nursing Home every month.에 11 Let’s Go Hiking! 서 마술 세계가 매달 무슨 일을 하는지를 알 수 있다. 14 We go camping and hiking. We learn backpacking and first aid.에 서 동아리 활동을, Our first trip is to Namsan. We’re going to meet in front of City Hall Station. Sign up HERE and join us at 10 a.m. next Saturday.에서 첫 번째 여행의 목적지, 집합 장소, 집합 시간 등을 알 수 있 12 We’re Backpackers. Do you like outdoor sports? 13 Do you want to enjoy fresh air? 14 We’re here for you. 15 We go camping and hiking. 16 We learn backpacking and first aid. 17 Our first trip is to Namsan. 15 주어진 질문은 ‘너는 어떤 동아리에 관심이 있니?’라는 의미로 대답은 ‘나는 ~ 동아리에 관심이 있어.’로 나타낼 수 있다. interested를 이용하여 I am interested in dancing club.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다섯 단어로 쓰라고 하 였으므로 I am의 줄임말인 I’m을 쓴다. 18 We’re going to meet in front of City Hall Station. 19 Sign up HERE and join us at 10 a.m. next Saturday. 20 Are you going to go rock-climbing? 다. 01 (1) to make African masks (2) to play go p.102 창의 서술형 (3) to ride a horse 02 (1) is going to have breakfast (2) is going to watch 03 (1) I avoid eating ramen for dinner. (2) He plans to play computer games. 01 동사 want(원하다), plan(계획하다), hope(바라다)는 모두 to부정사를 목 적어로 쓴다. (1) make African masks: 아프리카 가면들을 만들다 정답 및 해설 15 Lesson 03 Thank You, My Family B 01 funny, have to be, theater 02 Can, go to the dentist 03 Let’s, to warm up 04 What, have to do, has to wash 05 something, Why, do the dishes, good 06 don’t, go bike riding, good idea 교과서 어휘 다지기 A 01 Happiness Step 1 p.108 02 wide 03 lie 07 go on a picnic, like B 01 kindness 02 honest 03 attractive 08 to do, don’t, sounds, any ideas, How about, great idea C 01 go on a picnic 02 keep a diary 03 next to 09 have to, Why don’t you, to 10 have to do, think so, will buy, don’t, do that D 01 quiet E 01 voice 02 soft 02 spread 03 present 03 month 04 strange 05 hug 교과서 어휘 다지기 01 ④ 02 ① Step 2 p.109 03 turn off 04 ② 교과서 대화 다지기 Step 2 p.117 01 ① 06 ③ 02 ② 03 ② 04 have to 05 ③ 07 (H)ow (a)bout (d)oing 05 ④ 06 on 07 ④ 08 (s)pread 01 ①은 ‘너는 그 독서 동아리에 가입해야 하니?’로 의무여부를 묻는 표현이고, 01 ④는 둘 다 ‘선물’의 의미로 유의어 관계인 반면, 나머지는 모두 반의어 관계 02 ‘~해야 한다’는 의무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주어 + have[has] to + 동사원 나머지는 모두 상대방에게 제안·권유하는 표현이다. 이다. ① 사다 : 팔다 ② 부드러운 : 단단한 ③ 늦게 : 일찍 ⑤ 쉬운 : 어려운 02 •Steve는 용감한 군인이었다. (brave: 용감한) •어린이 날은 5월에 있다. (May: 5월) 형 ~.」을 쓸 수 있다. 03 「Why don’t you + 동사원형 ~?」(너는 ~하는 게 어때?)은 상대방에게 어떤 것을 제안하거나 권유할 때 쓰는 표현이다. 04 ‘~해야 한다’는 의무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주어 + have[has] to + 동사원 형 ~.」을 쓸 수 있다. •돈이 항상 행복을 가져다주지는 않는다. (happiness: 행복) 05 빈칸에는 자전거를 타러 가자는 의미의 제안이나 권유하는 표현이 들어가야 •그 아기는 한쪽 엄지손가락을 입에 물고 있었다. (thumb: 엄지손가락) 흐름상 자연스러운데 ③은 ‘우리는 언제 자전거 타러 가니?’라는 의미이므로 03 turn off: ~을 끄다 04 ② wide((눈·입 등이) 큰)의 영영풀이는 opened as far as possible(최대 적절하지 않다. 06 의무를 나타내는 「주어 + have[has] to + 동사원형 ~.」((주어)는 ~해야 한 한 벌어져 있는)이 되어야 올바르다. making you smile or laugh(당신을 다.)은 대체로 have to 대신 must를 써서 「주어 + must + 동사원형 ~.」으 미소 짓거나 웃게 만드는)는 funny(웃기는)의 영영풀이이다. 로 나타낼 수 있다. 05 ⓐ run away: 도망치다, 떠나다 ⓑ warm up: 준비 운동을 하다 07 「Why don’t we + 동사원형 ~?」은 「How[What] about + 동사원형-ing?」 (~하는 게 어때?)로 바꿔 쓸 수 있는데, 이때 How[What] about 다음에 동 06 •James와 나는 같은 기차에 탔다. (get on: ~에 타다) 명사를 쓰는 것에 유의한다. •나의 가족은 어제 소풍을 갔다. (go on a picnic: 소풍을 가다) 07 next to: ~ 바로 옆에 08 ‘어떤 것이 많은 사람들에 의해 알려지게 하다’의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는 교과서 속 핵심 문법 01 that 02 have to pp.118~119 spread(퍼뜨리다)의 영영풀이이다. 교과서 속 핵심 대화 01 ⑤ 02 Why don’t pp.110~111 교과서 문법 다지기 A 01 that 04 that Step 1 02 that 05 that pp.120~121 03 that 06 that pp.112~113 B 01 You must do the dishes. 교과서 대화 모두 보기 01 F 02 T 06 T 07 F 03 T 08 T 04 F 09 T 05 F 10 F Step 1 pp.114~116 교과서 대화 다지기 A 01 ( ⓒ ) → ( ⓐ ) → ( ⓑ ) 02 ( ⓑ ) → ( ⓒ ) → ( ⓐ ) 03 ( ⓑ ) → ⓐ → ( ⓓ ) → ( ⓒ ) 04 ⓓ → ( ⓑ ) → ( ⓕ ) → ⓐ → ( ⓒ ) → ( ⓔ ) 02 We must obey the school rules. 03 I must not brush my teeth after meals. 04 I must not wake up early in the morning. 05 I must arrive at the station before 10. 06 She must put trash in the garbage can. C 01 I heard that Brian missed the train. 02 We know that Harry is very brave. 03 I hope that you have a lot of fun. 04 I think that Paul will come tomorrow. 16 1학년 능률_양현권 05 Jenny said that the bag was not hers. 06 I can’t believe that it’s already April. D 01 don’t has (to) → doesn’t have (to) 03 that절이 문장 내에서 목적어 역할을 할 때에는 접속사 that이 생략 가능하다. 04 yesterday라는 과거 부사가 쓰였으므로 조동사 must 대신 had to를 써야 한다. 05 조동사는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을 목적어로 쓸 수 없고 뒤에 동사가 02 musts → must 03 musted → had to 나와야 한다. 04 worrying → worry 05 don’t → not 06 ‘~해야 한다’라는 의무를 나타낼 때 「must + 동사원형」의 형태를 쓸 수 있 06 doesn’t → not E 01 네가 시험에 떨어졌다는 것을 02 내가 내년에 더 잘 할 수 있기를 03 그 TV 쇼가 웃기다고 04 Peter가 채소를 좋아하지 않는다고[않는다는 것을] 05 Joan이 선생님이 되고 싶어 한다고 06 Steve가 실수를 했다고[했다는 것을] F 01 must not make 02 don’t have to buy 03 don’t have to wear 04 must[have to] listen 05 must not drive 06 must[have to] do 교과서 문법 다지기 01 ⑤ 02 ③ Step 2 pp.122~125 03 We know the restaurant is expensive. 04 ⑤ 05 ② 08 ④ 11 ② 06 You must be quiet in the library. 07 ④ 09 that I do well in the test 10 ⑤ 12 ③ 13 ② 16 ③ 17 heard that the test was so difficult 18 (1) Jenny doesn’t have to get up early today. (2) Jenny must not get up early today. 19 ⑤ 20 ③ 서술형 01 (1) I must walk my dog. (2) You must not be late for school. (3) You don’t have to take your umbrella. 02 (1) I learned that Beethoven was a great composer. (2) Mom says that we will visit our uncle next week. 03 must turn off our cell phones 04 (1) I guess that there is a ring in the box. (2) Dad says that he tried to fix the light. 05 (1) You must answer the teacher’s questions. (2) We must not sit too close to the computer. 06 that you didn’t lie to me 다. quiet는 형용사이므로 be동사가 필요하다. 07 ④의 that은 ‘저’를 의미하는 지시형용사이므로 생략할 수 없고, 나머지는 모두 동사의 목적절을 이끄는 명사절 접속사 that이다. ① 나는 내가 해외로 여행할 수 있기를 바란다. ② 우리는 James가 달리기를 잘한다는 것을 안다. ③ David는 친구가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다. ④ Ann, 저 파란 배낭 좀 내게 건네 줘. ⑤ Rose는 내 숙제를 도와줄 수 있다고 말한다. 08 ④의 must는 ‘~임에 틀림없다’라는 추측을 나타내는 조동사로 쓰였고, 나머 지는 모두 ‘~해야 한다’라는 의무를 나타내는 조동사로 쓰였다. ① 너는 네 손을 씻어야 한다. ② 나는 더 많은 야채를 먹어야 한다. ③ Pam은 시험 공부를 해야 한다. ④ Helen은 자신의 시계를 찾아서 기쁜 것이 틀림없다. ⑤ 그 학생들은 그들의 교실을 청소해야 한다. 09 동사 hope는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을 목적어로 쓸 수 있는데, 접속 사 that 다음에는 「주어 + 동사」 형태의 완전한 문장이 이어져야 한다. do well: 잘하다 in the test: 시험에서 + 동사원형」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① 당신은 잔디에 들어가지 않아야 한다. ② 너는 학교에서 싸우면 안 된다. ③ 너는 안전벨트를 매야 한다. ④ 너는 대답할 때 고개를 들어야 한다. ⑤ 너는 수업 중에 휴대 전화를 사용하면 안 된다. 11 that절이 문장 내에서 목적어 역할을 할 때에는 접속사 that이 생략 가능하 다. 12 「must + 동사원형」은 ‘~해야 한다’라는 의미로, have to를 사용해 「have[has] to + 동사원형」으로 바꿔 쓸 수 있다. 13 We both know that Mom and Dad are proud of us.에서 여섯 번째에 오는 단어는 and이다. 접속사 that이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을 끌 수 있 는데, 접속사 that 다음에는 「주어 + 동사」 형태의 완전한 문장이 이어져야 한다. ‘엄마와 아빠’는 등위접속사 and를 이용하여 Mom과 Dad를 병렬 연 be proud of: ~을 자랑스러워하다 14 ‘~해서는 안 된다’라는 의미를 나타낼 때 「must not + 동사원형」으로 나타 결한다. 낼 수 있다. 14 Students must not forget their duties. 15 ② 10 ⑤ must have to → must not ‘~하지 마라.’라는 부정명령문은 ‘~해서는 안 된다.’라는 의미의 「must not 01 빈칸 다음에 「주어 + 동사」 형태의 완전한 문장이 이어지면서 ‘~하는[라는] 15 ②의 that은 ‘저’라는 의미로 black doll을 가리키는 지시형용사이고, 나머 것, ~하다고[라고]’라는 의미로 동사 think의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지는 모두 목적절을 이끄는 명사절 접속사 that이다. 빈칸에는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들어가야 적절하다. 02 ③ don’t must → must not 「must + 동사원형」의 부정형은 「must not + 동사원형」이다. ① 너는 학교에서 싸우면 안 된다. ② Ben은 많은 새로운 단어를 배워야 한다. ③ 우리는 너무 많은 탄산음료를 마시면 안 된다. ④ 내 여동생은 지금 잠자리에 들어야 한다. ⑤ Sally는 은행에 갈 필요가 없다. ① 우리는 원숭이가 바나나를 좋아한다고 믿는다. ② 미나는 선반 위의 저 검정색 인형을 좋아한다. ③ Brian은 해가 동쪽에서 뜬다는 것을 안다. ④ 나는 많은 가게들이 일요일에 닫는다고 생각한다. ⑤ 우리는 우리 조부모님이 건강을 유지하시기를 바란다. 16 「must + 동사원형」은 「have[has] to + 동사원형」으로 바꿔 쓸 수 있으며, 부정형으로는 「must not + 동사원형」이다. 「don’t[doesn’t] have to + 동 사원형」은 ‘~할 필요가 없다’라는 의미이다. 정답 및 해설 17 07 had to say, to 09 in, voice 11 what, all right 13 Saying, easy 08 next to 10 with, eyes 12 ran away 14 for lunch 15 at all, had to say 16 delicious, with, up 17 For, this time, again 18 must give 19 late from work 20 looked, tired 21 hugged, know that, hard for 22 with, smile 23 a thanksgiver now 24 that, spread, this way 교과서 속 기타 지문 01 T 02 F 03 T p.131 pp.132~138 01 happiness 05 ④ 06 ④ 02 ④ 07 do 03 ④ 08 ⑤ 10 Why don’t we go bike riding? 11 ②, ③ 13 must warm up 14 ⑤ 15 Why don’t we get a special present 16 ③ 18 Kate says she eats sandwiches for lunch. 20 I heard that Sue and Jane are neighbors. 04 ③ 09 ③ 12 ④ 17 ⑤ 19 ④ 21 ② 22 ② 24 ② 27 ⑤ 25 ④ 28 ② 23 You must get good marks in the exam. 26 that the two schools are close 29 ⓐ, David must gain some weight. ⓑ, We must not run in the halls. ⓒ, Mom doesn’t have to do the laundry. 30 ⑤ 31 ② 32 I had to do something for my parents. 33 (1) 부모님께 감사함을 말씀드리는 것 (2) 한 달 동안 감사 일기를 쓰는 것 34 ③ 39 ⑤ 43 ③ 35 ④ 40 ⑤ 44 ② 36 ② 37 ④ 38 ④ 41 with two thumbs up 42 ④ 45 She hugged me with a big smile. 20 조동사 must는 ‘~해야 한다’라는 의미로 have to와 바꿔 쓸 수 있으며, 주 어가 3인칭 단수이면 has to, 과거형일 때는 had to로 쓴다. have to 의문 영역별 실력 굳히기 문은 「Do(es) + 주어 + have to + 동사원형 ~?」의 형태로 나타낸다. •당신은 쓰레기를 주워야 합니다. •우리는 지구를 보호해야 하나요? • Anne은 학교에 걸어가면 안 된다. doesn’t must → must not •너는 TV를 너무 많이 보면 안 된다. • Peter는 어제 학교에 걸어가야 했다. must → had to (must의 과거형은 had to이다.) 17 접속사 that은 문장 내에서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을 이끌 수 있다. 나는 시험이 매우 어려웠다고 들었다. 18 「must + 동사원형」의 부정형은 「must not + 동사원형」(~해서는 안 된다) 이며 조금 더 약한 의무를 나타낼 땐 「don’t[doesn’t] have to + 동사원형」 (~할 필요가 없다)을 쓸 수 있다. 19 동사 say는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을 목적어로 쓸 수 있는데, 접속사 that 다음에는 「주어 + 동사」 형태의 완전한 문장이 이어져야 한다. a lot of: 많은 ~ •Janet은 머리를 잘라야 한다. •Rodney는 지난주에 병원에 있어야 했다. •저는 새 드레스를 사야 하나요? 서술형 01 (1) must + 동사원형: ~해야 한다 walk the dog: 개를 산책시키다 (2) must not + 동사원형: ~해서는 안 된다 be late for: ~에 늦다 (3) do(es)n’t have to + 동사원형: ~할 필요가 없다 take an umbrella: 우산을 가져가다 02 접속사 that은 동사의 목적어로 쓰이는 명사절을 이끌 수 있다. (1) 나는 베토벤이 위대한 작곡가였다는 것을 배웠다. (2) 엄마는 우리가 다음 주에 삼촌댁을 방문할 것이라고 말한다. 03 must + 동사원형: ~해야 한다 turn off: ~을 끄다 cell phone: 휴대 전화 04 접속사 that은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을 이끌 수 있다. 05 (1) must + 동사원형: ~해야 한다 (2) must not + 동사원형: ~해서는 안 된다 06 동사 believe는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을 목적어로 쓸 수 있는데, 접 속사 that 다음에는 「주어 + 동사」 형태의 완전한 문장이 이어져야 한다. lie to: ~에게 거짓말을 하다 교과서 본문다지기 A 01 first 02 our 03 한 달 동안 감사일기를 쓰는 것 05 had to 06 sat 04 ninth 07 said 08 For what reason 09 도망치다, 달아나다 10 Saying 11 is 14 ~할 것이다 12 pizza 15 give 13 didn’t 16 thirtieth 20 happiness B 01 some strange 02 have to say, to 03 have to keep, for 04 can, do 05 not really 06 living room 18 1학년 능률_양현권 17 tired 18 목적어, 명사절 19 ~하면서, ~하며 ④ Paul은 오늘 학교에 늦었다. 01 형용사 뒤에 접미사 -ness가 붙어 명사를 만들 수 있다. 형용사 happy는 y pp.128~130 를 i로 바꾼 후 -ness를 붙인다. 02 ‘진실되고 사실을 말하는’에 해당하는 단어는 honest(정직한)이다. ① 열심히 ② 다시 ③ 이상한 ⑤ 행복 03 ④의 late는 ‘늦은’이라는 의미의 형용사로 쓰였고, 나머지는 모두 ‘늦게’라 는 의미의 부사로 쓰였다. ① 나는 밤늦게까지 깨어 있었다. ② 나는 일요일에 늦게까지 잘 수 있다. ③ 우리는 역에 늦게 도착했다. ⑤ 우리 부모님은 매일 밤 늦게까지 일하신다. 04 next to: ~ 바로 옆에 05 •keep a diary: 일기를 쓰다 •take a rest: 쉬다 06 turn off: ~을 끄다 07 •너는 언제 네 숙제를 하니? (do one’s homework: ~의 숙제를 하다) ① 나는 Mary가 노래부르기를 즐긴다고 생각한다. • Anne은 그녀의 어머니를 위해 설거지를 할 것이다. (do the dishes: 설 ② Jamie는 어젯밤 그렇게 많이 먹지 않았다. 거지를 하다) ③ Janet은 그 놀이터가 사람들로 가득하다고 말한다. •나는 일요일마다 빨래를 한다. (do the laundry: 빨래를 하다) ④ 우리는 채소가 건강에 좋다고 믿는다. 08 「Why don’t you + 동사원형 ~?은 「How[What] about + 동사원 ⑤ Peter는 내가 지난주에 새 카메라를 샀다는 것을 안다. 형-ing?」으로 바꿔 쓸 수 있는데, 이때 How[What] about 다음에는 동명사 25 ‘~해서는 안 된다’라는 금지의 의미를 나타낼 때 「must not + 동사원형」의 를 쓰는 것에 유의한다. 형태를 쓸 수 있다. 09 「주어 + have[has] to + 동사원형 ~.」((주어)는 ~해야 한다.)은 의무를 나타 26 명사절 접속사 that이 이끄는 절은 동사의 목적어 역할을 할 수 있다. 6단어 내는 표현이다. 로 쓰라고 했으므로 that을 생략하지 않는다. 10 ‘우리 ~하는 게 어때?’라고 상대방에게 함께 어떤 것을 제안하거나 권유할 27 ⑤ don’t have to → must not 때 「Why don’t we + 동사원형 ~?」을 쓸 수 있다. ‘~하지 마라.’라는 부정명령문은 ‘~해서는 안 된다.’라는 의미의 「must not 11 ‘~해야 한다’는 의무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주어 + have[has] to + 동사원 + 동사원형」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don’t have to는 ‘~할 필요가 없다’의 형 ~.」이나 「주어 + must + 동사원형 ~.」을 쓸 수 있다. 의미이다. 12 Sounds good.과 나머지는 제안이나 권유에 대한 수락의 대답인 반면, ④는 ① 너는 종이와 캔을 재활용해야 한다. ‘나는 안 될 것 같아.’라는 의미의 거절의 대답이므로 바꿔 쓸 수 없다. ② 너는 쓰레기를 버리면 안 된다. 13 의무를 나타내는 「주어 + have[has] to + 동사원형 ~.」은 대체로 「주어 + ③ 너는 외국어를 배워야 한다. must + 동사원형 ~.」으로 나타낼 수 있다. 14 ⓔ → making ④ 너는 네 반 친구에게 친절해야 한다. ⑤ 너는 햇볕을 너무 오래 쐬면 안 된다. How[What] about 다음에는 동사원형이 아니라 동명사를 쓴다. 28 동사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 앞에는 동사가 와 15 Why don’t we + 동사원형 ~?: 우리 ~하는 게 어때? 16 영상 편지를 만드는 게 어떠냐는 나라의 제안에 태호가 좋은 생각이라고 수 야 한다. 조동사 must는 동사 앞에 쓰이므로 목적어를 쓰지 않는다. 29 (1) must + 동사원형: ~해야 한다 락했으므로, 그들은 아빠를 위해 영상 편지를 만들 것이다. (2) must not + 동사원형: ~해서는 안 된다 ① 그들은 아빠를 위해 편지를 쓸 것이다. (3) don’t[doesn’t] have to + 동사원형: ~할 필요가 없다 ② 그들은 아빠를 위해 케이크를 만들어 줄 것이다. 30 We learned that we must protect the environment.에서 여섯 번째 오 ④ 그들은 아빠를 위해 뮤직비디오를 만들어 줄 것이다. 는 단어는 protect이다. ⑤ 그들은 아빠를 위해 특별한 선물을 사 줄 것이다. 동사 learn은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을 목적어로 쓸 수 있는데, 접속 17 엄마의 생신날에 무언가 해야 한다는 주어진 말 다음에, 자신도 그렇게 생각 사 that 다음에는 「주어 + 동사」 형태의 완전한 문장이 이어져야 한다. 한다며 동의하는 ⓒ가 이어지고, 생일 케이크를 살 예정인데 생일 카드를 쓰 protect the environment: 환경을 보호하다 는 건 어떠냐며 제안하는 ⓑ가 이어진 다음, 알았다고 답하는 ⓐ가 이어지는 31 주어진 문장은 ‘그래서 나는 그들을 위해 꽃을 사드렸다.’라는 의미이므로, 것이 대화의 흐름상 자연스럽다. 문맥상 ‘나는 우리 부모님을 위해 무언가를 해야 했다.’라는 문장 다음에 이 18 that절이 문장 내에서 목적어 역할을 할 때에는 접속사 that이 생략 가능하다. 19 「must + 동사원형」은 ‘~해야 한다’라는 의미로, have to를 이용해 「have 어지는 것이 자연스럽다. 32 Today was Parents’ Day.에서 과거의 일임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have to to + 동사원형」으로 바꿔 쓸 수 있다.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has to를 써 역시 과거시제인 had to로 써야 올바르다. 야 한다. 33 밑줄 친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문장 바로 뒤에 이어지는 We have to say Kelly는 새 자전거를 위한 돈을 모아야 한다. thanks to our parents. We also have to keep a thank-you diary for 20 동사 hear의 목적어로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을 써서 문장을 만든다. a month.에서 some strange homework의 내용이 무엇을 가리키는지 알 여덟 단어로 쓰라고 했으므로 that을 생략하지 않는다. 수 있다. 21 yesterday라는 과거 부사가 쓰였으므로 조동사 must 대신 had to를 써야 34 ⓑ for: ~ 동안 한다. ① 너는 네 방을 정리해야 한다. ② 나는 어제 학교에 걸어가야 했다. ③ 너는 창문 밖으로 뛰어야 한다. 35 동명사 주어(Saying thanks)는 단수 취급하므로 단수 동사 is를 써야 올바 ⓓ to: ~으로 르다. 36 ⓐ in: ~(안)에 ④ 우리는 시험 중에 부정 행위를 하면 안 된다. ⓑ in: (방법 등을 나타내어) ~으로 ⑤ 아이들은 벽에 낙서를 하면 안 된다. 37 앞에서 엄마에게 감사하다고 말해야 한다고 했으므로, 엄마에게 감사 인사 22 ②의 that은 ‘저’라는 의미로 funny movie를 가리키는 지시형용사이고, 나 를 하고 있는 (B)가 이어지고 나서, 엄마의 반응이 나오는 (C)가 이어진 다 머지는 모두 목적절을 이끄는 명사절 접속사 that이다. 음, 마지막으로 감사 인사를 하는 것이 쉽지 않음을 깨닫는 (A)가 이어지는 ① 나는 내일 비가 내리지 않기를 바란다. ② 우리는 지난주에 재밌는 영화를 봤다. ③ Alex는 우리가 같은 반이라고 말한다. 것이 글의 흐름상 자연스럽다. 38 next to: ~ 옆에 39 I’m not really a thanksgiver.와 Saying thanks is not so easy!에서 지 ④ 미나는 모든 사람이 실수를 한다는 것을 배웠다. 훈이는 평소에 감사하다는 말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⑤ 우리는 Thomas 선생님이 우리에게 과학을 가르치신다는 것을 안다. 23 ‘~해야 한다’라는 의무의 의미를 나타낼 때 「must + 동사원형」의 형태를 쓸 40 must는 ‘~해야 한다’라는 의무의 의미를 나타내는 조동사이다. 41 ‘~하면서, ~한 채로’라는 의미를 나타낼 때 「with + 명사 + 부사」 형태의 분 24 ②의 that은 ‘그렇게, 그만큼’이라는 의미의 부사이고 나머지는 모두 명사절 42 Then I will make pizza tomorrow again.에서 엄마가 내일 다시 피자를 수 있다. 접속사로 쓰였다. 사구문을 쓸 수 있다. 만들 것임을 추측할 수 있다. 정답 및 해설 19 ① 엄마는 이탈리아 음식을 좋아하신다. ② 지훈이는 점심을 먹지 않는다. ③ 지훈이는 요리를 잘하지 않는다. ④ 엄마는 내일 피자를 만드실 것이다. ‘~하는 게 어때?’라는 제안이나 권유의 표현으로 Why + don’t + we + 동 사원형 ~?이나 「How[What] about + 동사원형-ing?」를 쓸 수 있다. 10 나라와 태호는 아버지의 생일에 아버지를 위해 무엇을 할지에 대한 대화를 나누고 있다. ⑤ 지훈이는 항상 자신의 엄마에게 거짓말을 한다. 43 ‘많은 노력이나 열정을 가지고’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는 hard(열심히)의 영 영풀이이다. 11 조동사 must는 주어의 인칭과 수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다. 12 ⑤ 의 t h a t 은 t h e n ew s 를 보 충 설 명 하 는 명 사 절 t h e re w a s a n earthquake를 이끄는 동격의 that이고, 나머지는 모두 동사의 목적절을 이 44 밑줄 친 (A)는 목적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인데, ②의 that은 ‘저’라는 의미 끄는 명사절 접속사 that이다. 로 명사 book을 수식하는 지시형용사이므로 쓰임이 다르다. ① 나는 John의 개가 아주 귀엽다고 생각한다. ① 우리는 네가 옳다는 것을 안다. ② Joan은 어제 그 책을 읽었다. ③ Paul은 Lisa가 그를 좋아한다고 믿는다. ④ 그들은 그녀가 매우 친절하다고 생각한다. ⑤ 나는 네가 규칙적으로 운동하기를 바란다. ② Tony는 Steve가 아주 용감하다고 믿는다. ③ 우리는 Anne이 곧 나아지기를 바란다. ④ Tim은 낙타가 사막에 사는 동물이라고 배웠다. ⑤ 우리는 지진이 있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13 ③의 must는 ‘~임에 틀림없다’라는 추측을 나타내는 조동사로 쓰였고, 나머 45 ‘~하면서’를 나타내는 with를 이용한 동시 동작을 나타내는 구 with a big 지는 모두 ‘~해야 한다’라는 의무를 나타내는 조동사로 쓰였다. smile을 ‘그녀가 나를 안아주었다’인 She hugged 뒤에 연결하여 영작한 ① 너는 비밀을 지켜야 해. 다. 과거이므로 hug의 과거형 hugged로 쓰는 것에 유의한다. ② 아빠는 이번 주말에 일하셔야 한다. 학교 시험 100점 맞기 01 ④ 02 ③ Step 1 pp.139~143 06 How[What] about 07 ③ 08 have to 09 ⑤ 그 기상 캐스터는 오늘 오후에 비가 올 것이라고 말한다. 03 (h)ug 04 ② 05 ① 14 동사 say는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을 목적어로 쓸 수 있다. ③ 그 소년들은 지금 배고픈 것이 분명하다. ④ 우리는 항상 가난한 사람들을 도와야 한다. ⑤ 우리는 그 게임에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 15 ④ has → have ‘(주어)가 ~해야 하니?’라고 물을 때 「Do(es) + 주어+ have to + 동사원형 18 I think that math is a difficult subject. 19 ③, ④ 10 ⑤ 11 musts → must 14 that it will rain 15 ④ 20 ⑤ 21 ③ 24 Saying thanks is 22 ② 25 ③ 27 I must give honest thanks. 12 ⑤ 16 ③ 23 ④ 26 ③ 28 ③ 13 ③ 17 ④ 29 ① 30 ⑤ 계이다. ~?」의 형태로 나타낸다. ① 너는 나를 기다릴 필요가 없다. ② 우리는 여기서 크게 말하면 안 된다. ③ 너는 수업에 네 책을 들고 와야 한다. ④ Lisa는 오늘 치과에 가야 하니? ⑤ 우리는 컴퓨터 게임을 너무 많이 해서는 안 된다. 16 ③ → this ice cream is delicious 01 ④는 둘 다 ‘어려운’의 의미로 유의어 관계인 반면, 나머지는 모두 반의어 관 동사 know는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을 목적어로 쓸 수 있는데, 접속 ① 조용한 : 시끄러운 ② 늦게 : 일찍 ③ 폭이 넓은 : 좁은 ⑤ 정직한 : 부정직한 사 that 다음에는 「주어 + 동사」 형태의 완전한 문장이 이어져야 한다. ③은 동사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완전한 문장이 아니므로 빈칸에 들어갈 수 없다. 17 ‘~하지 마.’라는 부정명령문은 ‘~해서는 안 된다.’라는 의미의 「must not + 02 run away: 도망치다, 떠나다 03 ‘당신이 좋아하거나 사랑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당신의 팔을 누군가에 게 두르고 꽉 잡다’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로는 hug(꼭 껴안다)가 적절하다. 동사원형」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① 너는 잠자리를 정돈해야 한다. ② 너는 TV를 많이 보면 안 된다. 04 ②에서 present는 ‘현재의’라는 의미의 형용사로 쓰였다. ① 나는 잠시 쉬어야 해. ② 현재 시간은 10시이다. ③ 그 자는 가위 바로 옆에 있다. ④ 많은 아이들이 스쿨 버스에 탔다. ③ 너는 학교에 버스를 타고 가야 한다. ④ 너는 단 것을 너무 많이 먹으면 안 된다. ⑤ 너는 꽃을 꺾으면 안 된다. 18 I think(나는 생각한다) 다음에 동사 think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 접 속사 that이 이끄는 절, math is a difficult subject.(수학은 어려운 과목이 ⑤ 나는 오늘부터 일찍 일어나기 시작했다. 다.)를 붙이면 된다. 05 「Why don’t we + 동사원형 ~?」(우리 ~하는 게 어때?)은 「Let’s + 동사원 19 ‘~해야 한다’라는 뜻을 나타낼 때 「must + 동사원형」 또는 「have[has] to 형 ~.」(우리 ~하자.)으로 바꿔 쓸 수 있다. + 동사원형」을 쓸 수 있다. 06 「Why don’t you + 동사원형 ~?」(너는 ~하는 게 어때?)은 「How[What] 20 ⑤ bored → happy about + 동사원형-ing?」(~하는 게 어때?)으로 바꿔 쓸 수 있다. 앞에서 글쓴이가 부모님께 어버이날을 맞아 선물을 사고 감사의 인사를 전 07 수영장에서 수영하기 전에 준비 운동을 하고 있는 그림이므로 빈칸에는 ‘우 했는데 부모님이 지루했다는 내용은 적절하지 않다. 리는 먼저 준비 운동을 해야 한다.’가 들어가야 적절하다. ① 우리는 일어나야 해. ② 우리는 조용해야 해. 21 주어진 문장의 also(또한)로 보아, 주어진 문장은 앞서 나온 내용에 추가 정 보를 제공하는 자리에 위치해야 한다. 따라서 some strange homework의 ④ 우리는 조깅을 시작해야 해. ⑤ 우리는 화장실을 치워야 해. 내용을 알려 주고 있는 문장 다음인 ③에 들어가야 적절하다. 08 ‘~해야 한다’라는 의미의 의무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주어 + have[has] to 22 ⓐ in: (방법 등을 나타내어) ~으로 + 동사원형 ~.」나 「주어 + must + 동사원형 ~.」을 쓸 수 있다. ⓑ with: (표정·동작을 나타내는 부사구를 이끌어) ~하면서, ~하며 09 ⓔ How do we → Why don’t we 또는 do we make → about making ⓒ to: ~으로 20 1학년 능률_양현권 23 지훈이에게서 갑자기 감사하다는 말을 들은 엄마가 지훈이에게 괜찮으냐며 ④ 우리는 극장에서 조용하고 싶다. 되묻는 것으로 보아 놀랐음을 알 수 있다. ⑤ 우리는 극장에서 조용할 것이다. 24 ‘~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나타낼 때 동명사 주어를 쓸 수 있다. 동사 say의 06 자전거를 타고 있는 그림이므로 빈칸에는 ② ‘우리 자전거 타러 가는 게 어 동명사형은 -ing를 붙여서 saying이 된다. thanks는 동명사 saying의 목적 때?’가 들어가야 알맞다. 어가 된다. 동명사 주어는 단수 취급하므로 be동사의 단수형인 is를 써서 문 ① 우리 설거지하는 게 어때? 25 지훈의 어머니가 거실에서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나와 있지 ④ 우리 가족 나무를 심는 게 어때? ③ 우리 시험 공부 하는 게 어때? ⑤ 우리 영화보러 가는 게 어때? 장을 완성한다. 않다. ① → He has to say thanks to his parents. ② → He has to keep a thank-you diary for a month. 07 주어 + have[has] to + 동사원형 ~.: (주어)는 ~해야 한다. 08 ‘너는 ~하는 게 어때?’라는 의미로 제안하거나 권유할 때 「Why don’t you ④ → He said thanks to her mother in the living room. + 동사원형 ~?」을 쓸 수 있다. ⑤ → He thinks it is not so easy. 09 주어진 문장은 ‘무슨 아이디어가 있니?’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의견을 묻는 26 빈칸 앞의 내용과 뒤의 내용이 서로 상반되는 의미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빈 표현이므로, 빈칸 다음에 상대방이 자신의 의견을 나타내야 한다. 따라서 주 칸에는 역접의 접속사 but이 들어가야 적절하다. 어진 문장은 ‘영상 편지를 만드는 게 어때?’라는 의견을 제시하는 문장 바로 27 ‘~해야 한다’라는 의무의 의미는 조동사 must를 써서 「must + 동사원형」 앞인 ④에 들어가야 적절하다. 28 I didn’t like it at all로 보아, 지훈이는 엄마가 만들어 주신 피자가 맘에 들 게 어때?)라고 제안하고 있다. 의 형태로 나타낸다. 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므로 late가 알맞다. 10 나라는 태호에게 How about making a video letter?(영상 편지를 만드는 11 동사 know의 목적어로는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이 올 수 있는데, 12 ④의 must는 ‘~임에 틀림없다’라는 추측을 나타내는 조동사로 쓰였고, 나머 29 ⓐ late는 ‘늦게’라는 의미의 부사이고 lately는 ‘최근에’라는 의미의 부사이 that절 다음에는 「주어 + 동사」 형태의 완전한 문장이 이어져야 한다. ⓑ 동사 look 다음에는 형용사가 쓰여서 ‘~하게 보이다’라는 의미를 나타낸 지는 모두 ‘~해야 한다’라는 의무를 나타내는 조동사로 쓰였다. 다. 주어가 피곤함을 느끼므로 형용사 tired가 알맞다. ① 너는 규칙적으로 운동해야 한다. 30 마지막의 I am a thanksgiver now. I think I can spread happiness ② 나는 새 컴퓨터를 사야 한다. this way.에서 감사하다는 말을 함으로써 행복을 전파할 수 있다는 것이 이 ③ Parker 씨는 지금 피곤한 것이 분명하다. pp.144~148 13 ②의 that은 ‘저’를 나타내는 지시형용사이고 나머지는 모두 동사의 목적어 글의 요지임을 알 수 있다. 학교 시험 100점 맞기 01 ④ 02 ③ Step 2 06 ② 07 have to do something 08 (w)hy (d)on’t (y)ou (w)rite 11 know that the library closes 14 have to wear 15 ③ 18 ④ 23 ④ 28 ④ 19 ③ 24 ② 29 that 20 ④ 25 ② 30 ⑤ 03 get 04 ③ 05 ③ 09 ④ 12 ③ 16 ③ 21 ④ 26 ③ 10 ③ 13 ② 22 strange 27 honest ④ 우리 삼촌은 밤늦게까지 일하셔야 한다. ⑤ 학생들은 많은 책을 읽어야 한다. 역할을 하는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다. ① Doris는 자신이 가수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② 나는 저 파란색 타이를 맨 남자를 안다. ③ 사람들은 그 소년이 천재라고 믿는다. ④ 엄마는 우리가 아빠를 기다려야 한다고 말하신다. ⑤ 나는 이 신발이 너무 비싸다고 생각한다. 형」으로 바꿔 쓸 수 있다. 나는 읽을 때 안경을 써야 한다. 15 ③ → our neighbors are very friendly 17 Sam says that he knows the answer to the question. 14 「must + 동사원형」은 ‘~해야 한다’라는 의미로, 「have[has] to + 동사원 01 <보기>는 ‘행복한 : 행복’이라는 의미로 ‘형용사 : 명사’의 관계이다. ④ 역시 다음에는 「주어 + 동사」 형태의 완전한 문장이 이어져야 한다. ‘정직한 : 정직’이라는 의미로 ‘형용사 : 명사’의 관계이다. ①②는 ‘동사 : 명 ③은 동사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완전한 문장이 아니므로 빈칸에 들어갈 수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이 동사의 목적어로 올 수 있는데, 접속사 that 사’의 관계이고, ③⑤는 ‘동사 : 형용사’의 관계이다. 없다. ① 거짓말하다 : 거짓말 ② 느끼다 : 느낌 ① (나는) 모든 사람이 일찍 도착했다고 (생각한다.) ③ 행동하다 : 활동적인 ⑤ 말하다 : 수다스러운 ② (나는) 내가 버스에서 내 펜을 잃어버렸다고 (생각한다.) 02 •이 TV 쇼는 정말 웃긴다. (funny: 웃기는) ③ (나는) 우리 이웃이 매우 친절하다고 (생각한다.) •아빠가 나를 미소로 맞이해 주셨다. (smile: 미소) ④ (나는) Joe가 종종 밤에 수영을 한다고 (생각한다.) •나는 Keira를 위해 생일 선물을 샀다. (present: 선물) ⑤ (나는) 그 비행기가 몇 분 전에 착륙했다고 (생각한다.) •땅이 비가 온 뒤에 부드러웠다. (soft: 부드러운) 16 ‘~해서는 안 된다’라는 금지의 의미를 나타낼 때 「must not + 동사원형」을 03 •나는 내일 오전 6시에 일어나야 한다. (get up: 일어나다) 쓸 수 있다. •제가 어디에서 지하철을 탈 수 있을까요? (get on: ~에 타다) 17 동사 say는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을 목적어로 쓸 수 있다. 열 단어로 04 ‘무언가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는 ③ know(알 쓰라고 했으므로 that을 생략하지 않는다. 다)이다. 18 ④ to take → take 05 의무를 나타내는 「주어 + have[has] to + 동사원형 ~.」은 have to 대신 조동사 must 다음에는 동사원형이 와야 한다. must를 써서 「주어 + must + 동사원형 ~.」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① 제가 그 책을 사야 하나요? ① 우리는 극장에서 조용할 수 있다. ② 우리는 극장에서 조용할 것이다. ② 너는 수업 중에 껌을 씹으면 안 된다. ③ Mark는 저녁 값을 지불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 및 해설 21 20 글쓴이가 몇 송이의 꽃을 샀는지에 대해서는 나와 있지 않다. ⓒ I had to work late yesterday evening. ④ 너는 매일 샤워를 해야 한다. ⑤ 아이들은 어른에게 무례해서는 안 된다. 19 ③의 that은 ‘저’라는 의미로 green apple을 가리키는 지시형용사이고, 나 머지는 모두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을 이끄는 명사절 접속사 that이다. ① 나는 어젯밤 비가 내린 것을 안다. ② Beth는 UFO가 있다고 믿는다. ③ 나는 바구니의 저 녹색 사과를 좋아한다. ④ 나는 우리가 아침을 굶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⑤ Brian은 오늘 아침 날씨가 좋았다고 말한다. ① → It is May 8th. ② → He or she had to do something for his or her parents. ③ → He or she said “Thank you.” ⑤ → They felt happy. 21 오늘 받은 조금 이상한 숙제가 어떤 것들인지에 관해 소개하고 있다가 갑자 기 ‘어버이날이 다가오고 있다’고 말하는 것은 글의 흐름상 어색하다. 22 ‘특히 이해하거나 설명하기 어려운 방식으로 독특하거나 놀라운’이라는 의 미를 가진 영어 단어는 strange(이상한)이다. 23 wide는 ‘(눈·입 등이) 큰’의 의미를 나타내는 형용사로 with wide eyes는 ‘눈이 휘둥그레져서’라는 의미가 된다. 24 고맙다는 말을 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 지훈이므로 ‘감사하다고 말하는 것 은 쉽지(easy) 않다’가 되어야 적절하다. 25 I sat next to her.에서 지훈이 엄마 옆에 앉았음을 알 수 있다. 26 과거 상황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조동사 must 대신 had to를 써야 한다. 27 진실되고 사실을 말하는: honest (정직한) 엄마가 요리해 주신 피자가 맘에 들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지훈이 맛있다 며 감사 인사를 하는 바람에 내일 또 다시 그 피자를 먹게 되었으므로 ‘정직 한(honest) 감사 인사’를 드려야 한다는 결론이 되어야 적절하다. 28 ⓐ의 late는 동사 come을 수식하고 있으므로 ‘늦게’라는 의미의 부사로 쓰 였고, ⓒ의 hard도 동사 work를 수식하고 있으므로 ‘열심히’라는 의미의 부 사로 쓰였다. ‘최근에’는 lately이다. 29 동사 know와 think 뒤에 각각 완전한 문장이 이어지면서 ‘~하는[라는] 것, ~하다고[라고]’라는 의미로 동사의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빈칸에는 동사 know와 think의 목적절을 이끄는 명사절 접속사 that이 들어가야 적 절하다. (2) You must not do the laundry after 11 p.m. (3) Dad doesn’t have to drive me to the station. 07 (1) I didn’t know that you liked to cook. (2) People say that we will have rain tonight. 08 has to buy a new Korean dictionary 09 I think that this book is really boring. 10 ⓐ You must buy a new cell phone. ⓑ Jason doesn’t have to wait in line. 11 that she will be late 12 (1) You must read Rowling’s new book. (2) Lisa doesn’t have to water these flowers. 13 ⓑ, I had to say thanks to her. 14 ⓐ I didn’t like it at all, but I had to say thanks. ⓑ I said with two thumbs up. 15 She[Mom] hugged him[the writer] with a big smile. 01 (1) 진실하고 사실을 말하는: 정직한 (honest) (2) 다시 한 번: 다시 (again) (3) (어떤 것을) 많은 사람들에 의해 알려지게 하다: 퍼뜨리다 (spread) (4) 쉬거나 자야 할 필요성을 느끼는: 피곤한 (tired) → hard(열심히) 02 (1) next to: ~ 옆에 (2) go to the dentist: 치과에 가다 03 주어 + have[has] to + 동사원형 ~.: (주어)는 ~해야 한다. (= 주어 + must + 동사원형 ~.) 04 Why don’t you + 동사원형 ~?: 너는 ~하는 게 어때? 05 ⓐ have to + 동사원형: ~해야 한다 ⓑ Why don’t we + 동사원형 ~?: 우리 ~하는 게 어때? ⓒ How[What] about + -ing?: ~하는 게 어때? 06 (1) must + 동사원형: ~해야 한다 on the phone: 전화 상에서 (2) must not + 동사원형: ~해서는 안 된다 do the laundry: 빨래를 하다 30 지훈이의 엄마가 활짝 웃은 이유는 자신의 일을 끝내서가 아니라 지훈이가 (3) don’t[doesn’t] have to + 동사원형: ~할 필요가 없다 감사 인사를 하며 그녀를 껴안아 주었기 때문이다. drive A to B: A를 B에 태워다 주다 ① 지훈이의 엄마는 직장을 다닌다. ② 지훈이의 엄마는 퇴근 후 피곤하셨다. ③ 지훈이는 엄마를 집에서 안아드렸다. ④ 지훈이는 엄마께 감사하다고 말했다. 서술형으로 끝내기 01 hard 02 (1) next to (2) go to the dentist 03 We have to warm up first. 04 Why don’t you go on a picnic? 05 ⓐ have to do something ⓑ don’t we get a special present ⓒ about making a video letter 06 (1) You must speak politely on the phone. 22 1학년 능률_양현권 07 동사 know와 say는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을 목적어로 쓸 수 있다. (1) 나는 네가 요리하는 것을 좋아하는지 몰랐다. (2) 사람들은 오늘 비가 올 것이라고 말한다. 08 ‘~해야 한다’는 have to를 사용해 「have[has] to + 동사원형」으로 나타낼 pp.149~151 09 동사 think의 목적어로 명사절 접속사 that이 이끄는 절 that this book is boring을 쓰면 된다. 여덟 단어로 쓰라고 했으므로 접속사 that을 생략하지 수 있다. 않고 쓴다. 10 (1) must + 동사원형: ~해야 한다 (2) don’t[doesn’t] have to + 동사원형: ~할 필요가 없다 주어가 3인칭 단수일 경우 doesn’t have to를 쓴다. (3) 과거 부사구(yesterday evening)가 쓰였으므로 ‘~해야 했다’라는 의미 로 「had to + 동사원형」을 써야 한다. 11 ‘그녀가 오늘 모임에 늦을 것’이라는 의미로 동사 think의 목적어 역할을 하 고 있으므로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을 써서 「that + 주어 + 동사」 형 태로 나타내야 알맞다. be late for: ~에 늦다 12 (1) must + 동사원형: ~해야 한다 03 질문이 ‘그림에서 무엇을 배웠나요?’이므로 질문에 쓰인 learn을 이용하여 (2) do(es)n’t have to + 동사원형: ~할 필요가 없다 ‘나는 배웠다’를 의미하는 I learned로 시작한 뒤 learned의 목적어로 쓰이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doesn’t have to를 쓴다. 는 접속사 that이 이끄는 절인 that we must be honest를 뒤에 붙이면 된 13 과거의 일을 이야기하고 있으므로 ⓑ의 must를 had to로 바꿔야 한다. 14 ⓐ ‘나는 그것을 좋아하지 않았다’와 ‘하지만 나는 감사함을 말해야 했다’의 두 절을 접속사 but으로 연결해 준다. ‘~했어야 했다’는 과거의 의무를 나 타내므로 have to의 과거형인 had to를 쓴다. at all: (부정문에서) 전혀, 조금도 ⓑ with: ~한 채로 15 엄마는 글쓴이가 고맙다고 인사를 하자 크게 미소 지으며 그를 안아주었다. ‘~한 채로’를 의미하는 with를 써서 답한다. 다. honest는 형용사이므로 be동사를 형용사 앞에 쓰는 것에 유의한다. 교과서 본문손으로 익히기 01 Today we got some strange homework. 02 We have to say thanks to our parents. 03 We also have to keep a thank-you diary for a month. p.153~154 04 How can I do it? 05 I’m not really a thanksgiver. 06 Mom was in the living room. 07 I had to say thanks to her. 08 I sat next to her. 창의 서술형 01 (1) |예시답안| has to be on time for class. (2) |예시답안| must not skip the classes. 09 “Thank you, Mom,” I said in a soft voice. p.152 10 She looked at me with wide eyes. 11 “For what? Are you all right, Jihun?” she asked. 12 I ran away to my room. 02 (1) You must read English newspapers. 또는 You must go to 13 Phew! Saying thanks is not so easy! the movies with us. 14 Mom cooked pizza for lunch. (2) You don’t have to go to the movies with us. 또는 You don’t 15 I didn’t like it at all, but I had to say thanks. 01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has to를 쓴다. must는 주어의 인칭에 상관없이 will make pizza tomorrow again.” have to read English newspapers. 03 I learned that we must be honest. 뒤에 동사원형을 쓴다. (1) Ally는 수업에 제 시간에 와야 한다. (2) Ally는 수업을 빼먹으면 안 된다. 02 <보기>에서 이용하지 않은 나머지 표현들 모두 서로 연결하면 의미가 통하 므로 You must와 You don’t have to 뒤에 go to the movies with us와 read English newspapers를 붙여서 문장을 만든다. (1) 너는 영어 신문을 읽어야 한다. / 너는 우리와 영화를 보러 가야 한다. (2) 너는 우리와 영화를 보러 갈 필요가 없다. / 너는 영어 신문을 읽을 필요 가 없다. 16 “Thank you, Mom. It’s so delicious,” I said with two thumbs up. 17 Mom didn’t say “For what?” this time, but she said, “Then I 18 Uh-oh. I must give honest thanks. 19 Mom came home late from work. 20 She looked very tired. 21 I hugged her, and I said, “Thank you, Mom. I know that you work hard for us. 22 She hugged me with a big smile. 23 I am a thanksgiver now. 24 I think that I can spread happiness this way. 정답 및 해설 23 Meet My New Classmates X-10 p.2 03 A: Hello, Ms. Lee. This is my friend, Jisu. B: Pleased to meet you, Ms. Lee. C: Nice to meet you, Jisu. 04 B: Mina, what do you do in your free time? G: I enjoy cooking. 05 G: Junha, what do you do on weekends? B: I enjoy playing sports. G: What sports do you play? B: I play baseball and tennis. 11 돕는 것[사람], 조수 12 별, 스타, 인기 배우[가수] now. Lesson 01 교과서 어휘 다시 쓰기 A 01 또한, 역시 03 신이 난, 흥분한 17 경기장; 들판; 분야 19 요리하다; 요리사 B 01 great 05 언젠가 07 반, 학급 09 만나다 13 팀, 단체 15 사촌 04 name 07 little 10 friend 13 everyone 16 like 19 movie 교과서 대화 다시 쓰기 Step 1 02 춤추다 04 왕자 06 쓴 사람, 작가 08 기쁜 10 첫 번째의 14 또한, 역시 16 딸 18 하늘 20 찾다 02 cartoon 05 hospital 08 watch 11 read 14 teacher 17 planet 20 together 03 scientist 06 picture 09 painter 12 favorite 15 hobby 18 enjoy C 01 장점 02 재미있게 놀다, 흥겨워하다 03 꿈의 직업, 미래 직업 04 ~의 여가 시간에 05 주말마다 07 (병원에) 입원 중인 06 밤하늘 08 여가 시간 01 my classmate, Pleased to meet, to meet 02 Hello, This is, cousin, Pleased, meet, Nice, meet 03 my friend, to meet you, to meet you 04 what do, do in, free, enjoy cooking 05 what, do, weekends, enjoy, sports, What sports, play, baseball 06 English teacher, robot, class, helper robot, hospital, Nice, Pleased, How are, Pretty, enjoy, with, for 08 What, do, free time, dancing, about, drawing cartoons 09 Hello, This, my brother, Nice to, Pleased to Step 2 01 B: Dad, this is my classmate, Rani. G: Pleased to meet you, Mr. Lee. M: Hi, Rani. Nice to meet you. 02 B: Hello, Ms. Park. This is my cousin, Mira. G: Pleased to meet you, Ms. Park. W: Nice to meet you, Mira. 24 1학년 능률_양현권 pp.3~6 교과서 본문 다시 쓰기 pp.7~16 06 Mr. Han: Hello, I’m your English teacher, Han Hojun. Oh, we have a robot in the class! Seho : This is a helper robot for Neha. She is in the hospital Mr. Han: Nice to meet you, Neha. Neha : (On the screen) Pleased to meet you, Mr. Han. Mr. Han: How are you, Neha? Neha : Pretty good. I enjoy studying with my friends. Mr. Han: Good for you! 07 G: Pleased to meet you, everyone. I’m Mira. I enjoy drawing. I can draw cartoons for our class. 08 A: What do you do in your free time? B: I enjoy dancing. How about you? A: I enjoy drawing cartoons. 09 B1: Hello, Ms. Lee. W: Hi, Yunho. B1: This is my brother, Inho. W: Hi, Inho. Nice to meet you. B2: Pleased to meet you, Ms. Lee. Step 1 01 class, class book 03 Hello, My name 05 excited, enjoy 07 also like 09 Hi, I’m 11 the pictures 13 second picture 17 Its name, be 19 stars, too 02 Let’s, fun 04 first writer 06 My dream job 08 This, favorite book 10 like, book 12 Hi, I’m 14 love stars 18 Hi, I’m 20 But, favorite, soccer field 21 This, my favorite soccer 22 your favorite 23 my favorite team 24 will, great, together Step 2 01 Hi, This, class book 02 have fun 03 My name 04 Am, first writer 05 excited, enjoy writing 06 dream job, writer 07 like reading 08 This, my favorite book 07 Pleased to, everyone, enjoy drawing, can draw, our class 15 enjoy watching, night 16 Someday, new star 09 Hi, I’m 11 love, pictures 13 Is, second picture 10 like, book, too 12 Hi, I’m 14 love stars 15 enjoy, night sky 16 Someday, will, new star 17 Its name will 19 love stars 18 Hi, I’m 20 my favorite stars, soccer field 21 my favorite soccer team 22 your favorite team 23 my favorite team, class 24 will, great team Step 3 01 Hi, This, our class book 02 Let’s have 03 Hello, My name is 04 Am, the first writer 05 I’m excited, enjoy writing 06 My dream job, writer 07 also like reading 08 This, Little Prince, my favorite book 09 Hi, I’m 10 like that book, too 11 love the pictures 12 Hi, I’m 13 Is, second picture Planet 14 love stars 15 enjoy watching, night sky 16 Someday, will find, new star 17 Its name will be 18 Hi, I’m 19 love stars, too 20 But my favorite stars, on, soccer field 21 This is, my favorite soccer team 22 What’s, favorite team 23 my favorite team, this class 24 will be, great team together Step 4 01 Hi, class! This is our class book. 02 Let’s have fun! 03 Hello! My name is Yuna. 04 Am I the first writer? 05 I’m excited. I enjoy writing. 06 My dream job is a writer. 07 I also like reading. 09 Hi, Yuna. I’m Minsu. 10 I like that book, too. 11 I love the pictures. 12 Hi, Minsu. I’m Jimin. 08 This is The Little Prince, my favorite book. 13 Is the second picture Planet B-612? 14 I love stars. 15 I enjoy watching the night sky. 16 Someday I will find a new star. 17 Its name will be Jimin. 18 Hi, Jimin. I’m Inho. 19 I love stars, too. 20 But my favorite stars are on the soccer field. 21 This is FC Real, my favorite soccer team. 22 What’s your favorite team? 23 Inho, my favorite team is this class! 24 We will be a great team together. Step 5 01 Hi, class! This is our class book. 02 Let’s have fun! 03 Hello! My name is Yuna. 04 Am I the first writer? 05 I’m excited. I enjoy writing. 06 My dream job is a writer. 07 I also like reading. 09 Hi, Yuna. I’m Minsu. 10 I like that book, too. 11 I love the pictures. 12 Hi, Minsu. I’m Jimin. 08 This is The Little Prince, my favorite book. 13 Is the second picture Planet B-612? 14 I love stars. 15 I enjoy watching the night sky. 16 Someday I will find a new star. 17 Its name will be Jimin. 18 Hi, Jimin. I’m Inho. 19 I love stars, too. 20 But my favorite stars are on the soccer field. 21 This is FC Real, my favorite soccer team. 22 What’s your favorite team? 23 Inho, my favorite team is this class! 24 We will be a great team together. 교과서 핵심문장 Review A 01 Nice to meet you. 02 Let’s have fun. 03 Am I the first writer? 04 Pleased to meet you. 05 I enjoy watching the night sky. 06 But my favorite stars are on the soccer field. B 01 I enjoy studying with my friends. 02 Mina, what do you do in your free time? 03 I also like reading[to read]. 04 This is The Little Prince, my favorite book. 05 Is the second picture Planet B-612? 06 This is FC Real, my favorite soccer team. p.17 정답 및 해설 25 Fun Plans for Happy Days 01 1. G: Are you going to clean the windows, Jiho? Step 2 B: Yes, I am. 2. G: Are you going to make a timetable, Junha? p.18 B: Yes. I’m going to put it on the wall. 3. B: What are you going to do for our classroom, Nami? Lesson 02 교과서 어휘 다시 쓰기 A 01 클럽, 동아리 05 이기다 07 방, -실; 공간 09 세계, 세상 15 온라인의[으로] 17 캠핑, 야영 19 자다 B 01 air 04 timetable 07 comment 13 campaign 16 station 19 member C 01 많은 ~ 03 응급 처치 교과서 대화 다시 쓰기 Step 1 03 도보 여행을 가다 04 (컴퓨터 마우스를) 누르다, 클릭하다 11 마술[마법]의; 마술[마법] 12 놓다, 두다 13 (깨끗이) 닦다, 청소하다 14 타다 02 벽 06 주말 08 배낭을 지고 걷다; 배낭 10 함께, 같이 16 아프리카의 18 여행 20 춤추다; 춤 03 special 06 activity 09 fresh 15 mask 18 welcome 02 plan 05 wake 08 race 14 sign 17 learn 20 trick 10 join 11 rock-climbing 12 outdoor 02 등록하다, 가입하다; 서명하다 04 ~에 관심 있다 05 (~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어서 오세요 06 ~의 앞쪽에[앞에] 07 ~을 위해 캠페인[운동]을 하다 08 양로원 G: I’m going to draw pictures. 02 A: What are you going to do after school? B: I’m going to play soccer. 03 1. G: What books are you interested in, Tom? B: I’m interested in comic books. 2. B: Are you interested in history books, Mina? G: Yes, I am. 3. B: What books is Yujin interested in? G: She’s interested in science books. 04 A: What are you interested in ? B: I’m interested in cooking. How about you? A: I’m interested in robots. 05 Nara : Which club are you going to join, Seho? Seho: I’m going to join Dokdo Sarang. What about you? Nara : Well, I have no idea. But I’m interested in Dokdo, too. Seho: Let’s join the club together, Nara. Nara : What do they do there? Seho: Lots of things. They campaign for Dokdo. They also Nara : That sounds exciting. I’ll join the club with you. 06 1. B: My name is Bihong. I live in Shanghai. I play go after work for VANK. school. 2. G: I’m Stacy. I live in Melbourne. I go horse riding. 3. B: I’m Rodrigo. I live in Buenos Aires. I enjoy playing soccer. Today we’re going to talk about our weekend plans. I’m going to draw pictures in the park. What are you going to do this weekend? 08 G: What are you going to do this Saturday? B: I’m going to go to the basketball club. What are you going pp.19~22 07 B: Hello, everyone! Welcome to Student Radio. 01 Are, to clean, windows, I am, Are, make a timetable, put, on, wall, are, going to do, our classroom, to draw pictures 02 What, going to do after school, going to, soccer 03 What books are, interested in, interested in comic books, Are interested in history books, I am, What books is, interested in, to do? interested in science books 04 are, interested in, in cooking, How about you, in robots 05 Which club, What, have, interested in, Let’s, together, What, Lots of, campaign, work, sounds, join, with 06 My name, play, after school, I’m, live, go, riding, in, enjoy 07 everyone, Welcome, talk about, weekend plans, draw pictures, playing park, going, this G: I’m going to go there, too. B: Are you a member of the club? G: No, I’m not. But I’m going to join it. 09 A: Which club are you going to join? B: I’m going to join the computer club. A: Are you interested in computers? B: Yes, I am. 08 What, going, this, going, basketball club, What, going, going, too, a member of, not, But, join 09 Which club, join, join, computer club, interested in computers, 교과서 본문 다시 쓰기 Step 1 pp.23~32 am 01 there, to, Show 02 have two special clubs 26 1학년 능률_양현권 03 are, going, do this Friday 04 Come and join 02 H e re w e h a v e t w o s p e c i a l c l u b s : M a g i c Wo r l d a n d 05 enjoy magic, online, offine 06 do, magic show at, month Backpackers. 07 want, some magic tricks 08 Come, at, Friday 03 What are you going to do this Friday? 09 click HERE for 10 We’re, like outdoor sports 04 Come and join Magic World. 11 want, enjoy fresh air 12 here, you 05 We enjoy magic tricks online and offline. 13 camping and hiking 14 learn backpacking, first aid 06 We also do a magic show at Nanum Nursing Home every 15 Our, trip is to 17 Sign up, join us 16 meet in front of, Station 18 going, go rock-climbing month. Step 2 01 there, Welcome, School Club Show 02 Here, have, special clubs, Backpackers 03 are, going to do this Friday 04 Come and join, World 05 magic tricks online and offline 06 do, magic show at, every month 07 want to learn, magic tricks 08 Come to, at, this Friday 09 Please click, for, Magic 10 Backpackers, like outdoor sports 11 want to enjoy fresh air 12 for you 13 camping and hiking 14 learn backpacking, first aid 15 Our first trip, to 16 going, meet in front of, Station 17 Sign up, join, at, next 18 Are, going, go rock-climbing Step 3 01 there, Welcome to School Club Show 02 Here, have two special clubs, Magic World, Backpackers 03 What are, going to do this Friday 04 Come, join Magic World 05 enjoy magic tricks online, offline 06 also do, magic show at, Nursing Home, month 07 Do, want to learn some, tricks 08 Come to, Room at, this Friday 09 Please click HERE for, Magic 10 Backpackers, Do, like outdoor sports 11 Do, want to enjoy fresh air 12 here for you 13 go camping and hiking 14 learn backpacking and first aid 15 Our first trip is to 16 going to meet in front of, Station 17 Sign up, join us at, next Saturday 18 Are, going to go rock-climbing Step 4 01 Hi, there! Welcome to School Club Show! 07 Do you want to learn some magic tricks? 08 Come to the Talent Room at 4 p.m. this Friday! 09 Please click HERE for Water Bag Magic! 10 We’re Backpackers. Do you like outdoor sports? 11 Do you want to enjoy fresh air? 12 We’re here for you. 13 We go camping and hiking. 14 We learn backpacking and first aid. 15 Our first trip is to Namsan. 16 We’re going to meet in front of City Hall Station. 17 Sign up HERE and join us at 10 a.m. next Saturday. 18 Are you going to go rock-climbing? Step 5 01 Hi, there! Welcome to School Club Show! 02 H e re w e h a v e t w o s p e c i a l c l u b s : M a g i c Wo r l d a n d 07 We also do a magic show at Nanum Nursing Home every Backpackers. 03 Welcome to Magic World! 04 What are you going to do this Friday? 05 Come and join Magic World. 06 We enjoy magic tricks online and offline. month. 08 Do you want to learn some magic tricks? 09 Come to the Talent Room at 4 p.m. this Friday! 10 Please click HERE for Water Bag Magic! 11 Let’s Go Hiking! 12 We’re Backpackers. Do you like outdoor sports? 13 Do you want to enjoy fresh air? 14 We’re here for you. 15 We go camping and hiking. 16 We learn backpacking and first aid. 17 Our first trip is to Namsan. 18 We’re going to meet in front of City Hall Station. 19 Sign up HERE and join us at 10 a.m. next Saturday. 20 Are you going to go rock-climbing? 교과서 핵심문장 Review A 01 What are you interested in? 02 I’m going to join Dokdo Sarang. 03 Are you going to clean the windows, Jiho? 04 What are you going to do this Friday? p.33 정답 및 해설 27 05 Do you want to learn some magic tricks? 06 We learn backpacking and first aid. B 01 Which club are you going to join, Seho? 02 Let’s join the club together, Nara. 03 Do you want to enjoy fresh air? 04 We go camping and hiking. 05 We’re going to meet in front of City Hall Station. 06 Sign up HERE and join us at 10 a.m. next Saturday. 28 1학년 능률_양현권 Thank You, My Family p.34 Lesson 03 교과서 어휘 다시 쓰기 A 01 숙제 03 늦게; 늦은 05 앉다 07 사다 09 내일 B 01 delicious 15 일기(장) 17 목소리 04 hug 07 letter 10 get 13 weather 16 theater 19 parent 교과서 대화 다시 쓰기 Step 1 02 쉬운 04 느끼다[들다] 06 이상한, 낯선 08 선물; 현재의; 출석한 10 편지; 글자, 문자 16 자전거 18 눈(동자) 11 열심히; 단단한, 딱딱한 12 피곤한, 피로한 13 감사하는 사람 14 미소; 미소 짓다 19 (눈·입 등이) 큰, 폭이 넓은 20 달리다[뛰다] 08 happiness 09 soft 02 thumb 05 quiet 11 month 14 lie 17 May 20 honest 03 poor 06 again 12 funny 15 birthday 18 spread C 01 도망치다, 떠나다 02 소풍을 가다 03 준비 운동을 하다 04 ~ 바로 옆에 05 쉬다 06 일어나다 07 ~을 끄다 08 ~에 타다 pp.35~38 01 this movie, so funny, have to, quiet in the theater 02 Can, play basketball with, Sorry, can’t, have to, to the dentist 03 jump into, pool, Wait, have to warm up first 04 What does, have to, has to wash the dishes 05 Today, birthday, have to do, for, Sure, Why don’t, the dishes, Sounds idea 06 weather, so nice today, it is, Why don’t, bike riding, a good 07 Why don’t, go on, That sounds, good idea 08 this Friday, birthday, have to, something, Why don’t, special present, sounds good, any, How, video letter, great 09 Parents’ Day, coming, do something, Why don’t, use, Make, video letter, send, love to, parents 10 birthday, have to, for, think, too, buy, birthday cake, Why don’t, write, card, do that Step 2 01 B: Dad, this movie is so funny! M: Ssshhh... We have to be quiet in the theater. 05 G: Today is Mom’s birthday. We have to do something for her. 09 Thank, said, a soft voice 09 W: Parents’ Day is coming. Yes, you have to do something. 23 am, thanksgiver now Why don’t you use the Happy Video app? 24 think, can spread happiness, way 02 G: Can you play basketball with me? B: Sorry, I can’t. I have to go to the dentist. 03 B: Let’s jump into the pool. G: Wait! We have to warm up first. 04 A: What does your dad have to do? B: He has to wash the dishes. B: Sure. Why don’t we do the dishes? G: Sounds good. 06 G: The weather is so nice today. B: Yes, it is. Why don’t we go bike riding? G: That’s a good idea! 07 A: Why don’t you go on a picnic? B: That sounds like a good idea. 08 Nara : Is this Friday Dad’s birthday? Taeho: Yes, it is. We have to do something for him. Nara : Sure. Why don’t we get a special present for him? Taeho: That sounds good. Do you have any ideas? Nara : How about making a video letter? Taeho: Hey, that’s a great idea. Make a video letter and send your love to your parents! 10 G: It’s Mom’s birthday. We have to do something for her. B: Right, I think so, too. G: I will buy a birthday cake. Why don’t you write a thank-you card? B: Okay, I’ll do that. 교과서 본문 다시 쓰기 Step 1 pp.39~48 01 Today, some, homework 02 say thanks to, parents 03 also, to keep, for, month 04 How can, it 05 really a thanksgiver 06 in the living room 07 to say thanks to her 08 next to her 09 Thank, said in, soft 10 at, with wide eyes 11 For, Are, all right, asked 12 ran away, room 13 Saying, is not, easy 14 cooked pizza, lunch 15 didn’t, at all, to say thanks 16 Thank, so, said, thumbs up 17 didn’t, what, said, will make, again 18 give honest thanks 19 came home, from 20 very tired 21 hugged, said, Thank, that, work hard 22 hugged, a big smile 23 am a thanksgiver 24 that, can spread happiness Step 2 01 Today, got, strange homework 02 have to, thanks, our parents 03 also have to, diary, a month 04 How, do it 05 not, a thanksgiver 06 was in, living 07 had to, thanks to 08 sat next to 10 looked at, wide eyes 11 For what, Are, right, asked 12 ran away, my 13 Saying thanks, not, easy 14 cooked, for lunch 15 didn’t like, but, had to 16 Thank, so delicious, said, two thumbs 17 didn’t say, For what, said, make, tomorrow 18 must, honest thanks 19 came, late from work 20 looked very tired 21 hugged, said, Thank, know, work, for 22 hugged, with a big smile Step 3 01 Today, got some strange homework 02 have to say thanks to, parents 03 also have, keep, thank-you, for a month 04 How can, do it 05 not really, thanksgiver 06 was in, living room 07 had to say thanks to 08 sat next to her 09 Thank you, said in, soft voice 10 looked at, with wide eyes 11 For what, Are, all right, asked 12 ran away to, room 13 Saying thanks, not so easy 14 cooked pizza for lunch 15 didn’t like, at all, but, had to, thanks 16 Thank you, so delicious, said with two thumbs 17 didn’t say, For what, this time, but, said, will make, tomorrow again 18 must give honest thanks 19 came home late from work 20 looked very tired 21 hugged, and, said, Thank, know that, work hard for 22 hugged me with, big smile 23 am a thanksgiver 24 think, can spread happiness this way 정답 및 해설 29 03 We also have to keep a thank-you diary for a month. 21 I hugged her, and I said, “Thank you, Mom. I know that you Step 4 01 Today we got some strange homework. 02 We have to say thanks to our parents. 04 How can I do it? 05 I’m not really a thanksgiver. 06 Mom was in the living room. 07 I had to say thanks to her. 08 I sat next to her. 09 “Thank you, Mom,” I said in a soft voice. 10 She looked at me with wide eyes. 11 “For what? Are you all right, Jihun?” she asked. 12 I ran away to my room. 13 Phew! Saying thanks is not so easy! 14 Mom cooked pizza for lunch. 15 I didn’t like it at all, but I had to say thanks. 16 “Thank you, Mom. It’s so delicious,” I said with two thumbs up. 17 Mom didn’t say “For what?” this time, but she said, “Then I will make pizza tomorrow again.” 18 Uh-oh. I must give honest thanks. 19 Mom came home late from work. 20 She looked very tired. 21 I hugged her, and I said, “Thank you, Mom. I know that you work hard for us.” 22 She hugged me with a big smile. 23 I am a thanksgiver now. 24 I think that I can spread happiness this way. Step 5 01 Today we got some strange homework. 02 We have to say thanks to our parents. 03 We also have to keep a thank-you diary for a month. 04 How can I do it? 05 I’m not really a thanksgiver. 06 Mom was in the living room. 07 I had to say thanks to her. 08 I sat next to her. 09 “Thank you, Mom,” I said in a soft voice. 10 She looked at me with wide eyes. 11 “For what? Are you all right, Jihun?” she asked. 12 I ran away to my room. 13 Phew! Saying thanks is not so easy! 14 Mom cooked pizza for lunch. 15 I didn’t like it at all, but I had to say thanks. 18 Uh-oh. I must give honest thanks. 19 Mom came home late from work. 20 She looked very tired. work hard for us.” 22 She hugged me with a big smile. 23 I am a thanksgiver now. 24 I think that I can spread happiness this way. 교과서 핵심문장 Review A 01 She looked very tired. 02 What does your dad have to do? 03 How about making a video letter? 04 We have to do something for him. 05 Saying thanks is not so easy! 06 I didn’t like it at all, but I had to say thanks. B 01 We have to be quiet in the theater. 02 I must give honest thanks. 03 I know that you work hard for us. 04 We have to say thanks to our parents. 05 Why don’t we get a special present for him? 06 I think that I can spread happiness this way. p.49 최종점검 모의고사 Lesson 01 pp.52~55 01 (f)avorite 02 ② 03 I enjoy playing sports. 04 ② 05 ② 06 ③ 09 to play → playing 12 Ace, my pet dog 16 ③ 17 ② 07 ③ 10 ⑤ 13 ② 18 ② 08 ⑤ 11 ④ 14 어린 왕자 15 ③ 19 FC Real, my favorite soccer team 20 ⑤ 01 같은 종류의 다른 모든 것들보다 더 선호되는: favorite (매우 좋아하는) 02 ⓐ in the hospital: (병원에) 입원 중인 ⓑ on weekends: 주말마다 03 ‘나는 ~하는 것을 즐긴다.’라는 뜻으로 좋아하는 것에 대해 말할 때 동사 enjoy를 써서 「I enjoy + 동명사 ~.」로 말할 수 있다. 동사 play의 동명사형 은 playing이다. 04 Pleased to meet you.는 처음 만난 사람을 소개받았을 때 소개에 답하는 표현으로 Nice to meet you.와 바꿔 쓸 수 있다. ① 또 보자 ③ 저를 소개할게요 ④ 그 말을 들으니 기뻐 ⑤ 그렇게 말하다니 친절하군요 05 누가 로봇을 만들었는지에 대해서는 나와 있지 않다. ① → He is a teacher. ③ → It is for Neha. 16 “Thank you, Mom. It’s so delicious,” I said with two thumbs ④ → She is in the hospital. up. 17 Mom didn’t say “For what?” this time, but she said, “Then I will make pizza tomorrow again.” ⑤ → She enjoys studying with her friends. 06 빈칸 다음에 처음 만난 사이에 하는 인사말이 이어지고 있으므로 빈칸에는 누군가를 소개시켜 주는 표현이 들어가야 알맞다. ③은 ‘너를 만나서 반가 워, 지수야.’라는 뜻으로 처음 만난 사이에 하는 인사말이다. 30 1학년 능률_양현권 07 동사 finish(끝내다), avoid(피하다), postpone(연기하다, 미루다)은 모두 05 세호와 나라가 아니라 ‘독도 사랑’이 독도를 위한 캠페인을 벌인다고 나와 동명사를 목적어로 쓰는 동사이다. 있다. 08 O. Henry’s famous story는 The Last Leaf를 보충 설명하는 말이므로 콤 06 ‘나는 축구를 할 거야.’라고 B가 미래의 계획에 대한 의도를 나타내고 있으 마를 사용하여 동격 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므로 A의 빈칸에는 상대방의 의도를 묻는 질문이 들어가야 알맞다. ④는 ‘이 09 동사 finish(끝마치다)는 동명사를 목적어로 쓴다. 10 ⑤에 있는 콤마는 나열할 때 쓰이는 것이고, 나머지는 모두 동격을 나타내는 에 적절하지 않다. 번 주 토요일에 거기 가는 게 어때?’라는 뜻으로 제안하는 표현이므로 빈칸 07 동사 plan, decide, promise는 모두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쓰는 동사이다. 08 「Be동사 + 주어 + going to + 동사원형 ~?」에서 be동사는 주어의 인칭과 콤마이다. 11 ④ → playing 태로 씀) 동사 mind(꺼려하다)는 동명사를 목적어로 쓰는 동사이다. 수에 따라 변화하는데, ②의 주어 your sister는 3인칭 단수이므로 be동사 12 ‘나의 반려견(my pet dog)’은 Ace를 보충 설명하는 말이므로 콤마를 사용 Is가 빈칸에 들어가야 하는 반면, 나머지는 모두 주어가 2인칭 단수이거나 3 하여 동격 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13 (A) excited: 신이 난, 흥분된 (감정을 느끼는 수동의 의미일 때 과거분사 형 인칭 복수이므로 be동사 Are가 들어가야 한다. 09 동사 want(원하다)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쓴다. 10 ⑤ doesn’t → isn’t (B) enjoy + 동명사: ~하는 것을 즐기다 (동사 enjoy는 동명사를 목적어로 씀) 「be going to + 동사원형」의 부정문은 be동사 다음에 not을 써서 「주어 + (C) too: (긍정문에서) 또한, 역시 (부정문에서는 either를 사용함) be동사 + not + going to + 동사원형 ~.」((주어)는 ~하지 않을 것이다.)으 14 앞에서 Yuna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책이라고 밝힌 ‘어린 왕자’를 가리킨다. 15 유나의 장래 희망 직업이 작가라고 나와 있을 뿐, 유나가 좋아하는 작가가 누 로 나타낸다. 11 빈칸 다음에 to부정사 목적어가 이어지고 있으므로 동명사를 목적어로 쓰는 구인지에 대해서는 나와 있지 않다. 동사 enjoys는 빈칸에 들어갈 수 없다. ① → 유나 ② → 작가 ④ → 어린왕자 ⑤ → 어린왕자 12 ‘~하지 않을 것이다’라는 뜻을 나타낼 때 「be going to + 동사원형」을 써서 16 소민이가 어떤 영화를 가장 좋아하는지에 대해서는 나와 있지 않다. 「주어 + be동사 + not + going to + 동사원형 ~.」으로 나타낼 수 있다. ① → It’s a blog. ② → It’s Somin’s blog. ④ → She enjoys watching movies. ⑤ → Her dream job is a movie director. 13 welcome to: (~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어서 오세요 14 동사 want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쓰는 동사이다. 15 한 가지 마술 묘기를 배우는 데 얼마의 시간이 걸리는지에 대해서는 나와 있 지 않다. 17 동사 enjoy는 동명사를 목적어로 쓰는 동사이므로 빈칸에는 watching이 ① → They are Magic World and Backpackers. 들어가야 적절하다. ② → They enjoy magic tricks and do a magic show. 18 field(경기장)의 영영풀이로는 ② ‘당신이 운동을 할 수 있는 구역’이 가장 적 ③ → At Nanum Nursing Home. 19 FC Real과 my favorite soccer team이 콤마로 이어져 서로 동격 관계를 16 Jane이 좋아하는 노래에 대해서는 나와 있지 않다. ④ → They visit there every month. ① → 토론토 ② → 음악 절하다. 이루고 있다. 20 인호의 선생님은 가장 좋아하는 팀이 이 학급이라고 말했을 뿐, 축구팀을 만 ③ → 노래하기와 춤추기 ⑤ → 노래 동아리 들 것이라고는 말하지 않았다. 17 등위접속사 and를 사이에 두고 동사 go에 camping과 병렬 연결되어 있으 Lesson 02 pp.56~59 01 special 02 ① 03 interested 04 ⑤ 최종점검 모의고사 05 ③ 06 ④ 09 getting → to get 14 ④, want to learn 18 ② 19 ④ 12 Harry is not going to borrow books 13 ② 07 ② 10 ⑤ 15 ⑤ 20 ⑤ 08 ② 11 ④ 16 ④ 17 ② 므로 hike의 동명사형인 hiking이 들어가야 적절하다. 18 first aid: 응급 처치 19 이 글은 ‘배낭 여행자들’이라는 학교 동아리에서 신입 회원을 모집하기 위해 홍보하는 글이므로 ‘이 글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에 대한 대답으로 ④ ‘배낭 여행자들에 신입회원을 초대하기 위한 것이다.’가 적절하다. ① 배낭을 지고 걷는 것을 위한 것이다. ② 시청에 가는 방법을 배우기 위한 것이다. ③ 토요일에 즐거운 활동을 하기 위한 것이다. ⑤ 새로운 학교 동아리에 가입하는 방법을 가르치기 위한 것이다. 20 Our first trip is to Namsan. We’re going to meet in front of City Hall Station.에서 첫 번째 여행지가 시청이 아니라 남산임을 알 수 있다. 시청으 01 trip과 journey는 모두 ‘여행’이라는 뜻의 동의어 관계이므로 빈칸에는 로 여행을 가는 것이 아니라 시청역에서 만나서 간다. special(특별한)의 동의어인 unusual이 들어가야 적절하다. 02 • 우리는 세계 평화를 위해 캠페인을 벌일 것이다. (campaign for: ~에 찬성 하는 캠페인을 하다) • 암벽 등반은 흥미진진한 활동이다. (activity: 활동) 최종점검 모의고사 01 (h)onest 02 ④ Lesson 03 pp.60~63 • 학생들은 새 시간표를 확인하고 각 수업에 적절한 책을 가져가야 한다. 03 Why don’t you go on a picnic? 04 ② 05 ② (timetable: 시간표) • 경기장에 많은 사람들이 있다. (lots of: 많은) 03 ‘~에 관심이 있다’라는 뜻을 나타낼 때 「be interested in + (동)명사 ~.」를 쓸 수 있다. 04 의도를 나타내는 「I’m going to + 동사원형 ~.」(나는 ~할 거야.)은 「I’m planning to + 동사원형 ~.」으로 바꿔 쓸 수 있다. 06 ③ 07 ⑤ 08 ③ 09 I think that vegetables are good for health. 10 ④ 11 ② 14 ② 19 happiness 12 must wear a uniform 13 ③, had to 15 ⑤ 17 ④ 18 ⑤ 16 ⑤ 20 ② 정답 및 해설 31 01 ‘진실되고 사실을 말하는’에 해당하는 단어는 honest(정직한)의 영영풀이 10 ‘~해서는 안 된다’라는 금지의 뜻을 나타낼 때 「must not + 동사원형」을 이다. 02 warm up: 준비 운동을 하다 ① 어젯밤 이상한 일이 생겼다. ② 나는 화분에 꽃을 좀 심을 거야. ③ Sally와 나는 같은 기차를 탈 것이다. ④ 먼저, 너는 준비 운동을 해야 한다. ⑤ 학생들은 자신의 휴대 전화를 꺼야 한다. 쓸 수 있다. don’t have to는 ‘~할 필요가 없다’의 의미이다. 11 의견, 생각, 희망 등을 나타내는 동사 say, think, know, hope, believe 등 은 that절을 목적어로 쓸 수 있다. must는 조동사이므로 뒤에 동사가 와야 한다. 수 있다. 12 ‘~해야 한다’라는 의무의 뜻을 나타낼 때 「must + 동사원형」의 형태를 쓸 13 앞 문장인 Mom was in the living room.으로 과거의 상황임을 알 수 있다. 03 ‘너는 ~하는 게 어때?’라고 상대방에게 어떤 것을 제안하거나 권유할 때 have to의 과거형은 had to이다. 「Why don’t you + 동사원형 ~?」을 쓸 수 있다. 04 ⓑ → don’t 14 next to: ~ 바로 옆에 15 첫 번째 단락에서 글쓴이가 평소 감사 인사를 하는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알 Why don’t we + 동사원형 ~?: 우리 ~하는 게 어때? 수 있는데, 두 번째 단락에서 글쓴이가 엄마에게 감사 인사를 한 뒤 두 눈이 05 아빠의 특별한 생신 선물에 대해 이야기 하던 중 영상 편지를 만드는 게 어떠 휘둥그레져서 괜찮냐고 물었으므로 엄마가 놀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글쓴 냐는 나라의 제안에 태호가 좋은 생각이라고 했으므로, 그들은 아빠를 위해 이가 엄마에게 감사 인사를 하고 난 후 방으로 도망쳤으므로 글쓴이가 당황 영상 편지를 만들 것이다. 했음을 알 수 있다. 06 의무를 나타내는 「주어 + have[has] to + 동사원형 ~.」((주어)는 ~해야 한 16 ‘~하면서, ~한 채로’라는 뜻을 나타낼 때 「with + 명사 + 부사」 형태의 분사 다.)은 have to 대신 must를 써서 「주어 + must + 동사원형 ~.」으로 나타 구문을 쓸 수 있다. 낼 수도 있다. 할 수 있다. 07 ⑤의 that은 ‘저’를 뜻하는 지시형용사이므로 생략할 수 없다. 나머지는 모 지훈이 거짓 감사 인사를 하는 바람에 곤란하게 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두 동사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절을 이끄는 명사절 접속사 that이므로 생략 18 동사 know와 think 뒤에 각각 「주어 + 동사」를 갖춘 절이 이어지면서 ‘~하 는[라는] 것, ~하다고[라고]’라는 뜻으로 동사의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으므 08 ③의 must는 ‘~임에 틀림없다’라는 추측을 나타내는 조동사로 쓰였고, 나머 로, 빈칸에는 동사 know와 think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절을 이끄는 명사절 지는 모두 ‘~해야 한다’라는 의무를 나타내는 조동사로 쓰였다. 접속사 that이 들어가야 적절하다. 17 I must give honest thanks.(나는 정직한 감사 인사를 드려야 한다.)에서 ① 너는 지금 잠자리에 들어야 한다. ② 아버지는 오늘밤 일을 끝마쳐야 한다. ③ 그 작은 소년은 천재인 것이 분명하다. ④ 우리는 나쁜 말을 사용하면 안 된다. ⑤ 학생들은 교실에서 조용해야 한다. 09 what → that 동사 think의 목적어로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이 올 수 있다. 19 행복한 감정: happiness (행복) 20 지훈이의 엄마가 어디에서 일하는지에 대해서는 나와 있지 않다. ① → Yes, she is. ③ → Yes, she did. ④ → Yes, she did. ⑤ → He hugged her and said thanks to her. 32 1학년 능률_양현권
'백발백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발백중 100발 100중 예상문제집 중1 1학기 중간고사 영어 동아(이병민) 답지 (2019) (0) | 2020.08.13 |
---|---|
백발백중 100발 100중 예상문제집 중1 1학기 중간고사 영어 동아(윤정미) 답지 (2019) (0) | 2020.08.13 |
백발백중 100발 100중 예상문제집 중1 1학기 중간고사 영어 능률(김성곤) 답지 (2019) (0) | 2020.08.13 |
백발백중 100발 100중 예상문제집 중1 1학기 중간고사 영어 금성(최인철) 답지 (2019) (0) | 2020.08.13 |
백발백중 100발 100중 예상문제집 중1 1학기 중간고사 영어 YBM(송미정) 답지 (2019) (0) | 2020.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