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상교육

2019년 비상교육 내공의 힘 수학 2 답지

반응형

fds.flarebrick.com/1O43uQRxC0JJgENepdfrChOU9_2Ku_xai

 

2019년 비상교육 내공의 힘 수학 2.pdf Download | FlareBrick FDS

 

fds.flarebrick.com

더보기

1 강 함수의 극한 p. 6 ⑵ f{x}=2x @이라고 하면 y=f{x}의 y=f{x} 1 ⑴ f{x}=x+5라고 하면 y=f{x}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3이 따라서 x -2일 때, f{x} `! ! 므로 lim -2 x` ! {x+5}=3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x 1일 때, f{x} 2이므로 ! `! 2x @=2 lim 1 x` ! ⑶ f{x}=j-x+2l라고 하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 2일 림과 같다. 따라서 x 2이므로 때, f{x} ` ! ! -2j-x+2l=2 lim x` ! y y=f{x} 5 3 -5 -2 xO y 2 O 1 x y y=f{x} 2 -2 O 2 x ! 2 ⑴ lim x` 2+ ⑵ lim x` 2- ⑶ lim x` 3+ ⑷ lim 3- x` ! ! ! `f{x}=1 `f{x}=1 `f{x}=2 `f{x}=0 1 ⑴ f{x}= x@-8x+12 x-2 라고 하면 x=2일 때, `f{x}= =x-6 {x-2}{x-6} x-2 이므로 y=f{x}의 그래프는 오른 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x 2일 때, f{x} -4이므로 `! ! x@-8x+12 lim x-2 2 x` ! =-4 y O -4 -6 ⑵ f{x}= f{x}= x#-1 x-1 이라고 하면 x=1일 때, {x-1}{x@+x+1} x-1 =x@+x+1 2 y=f{x} 6 x 이므로 y=f{x}의 그래프는 오 1 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x `! 일 때, f{x} x#-1 lim x-1 1 x` ! ! =3 3이므로 y=f{x} y 3 1 O 1 x y O 1 y=f{x} 3 x x x 2 ⑴ f{x}= x@-4x+3 x-1 이라고 하면 x=1일 때, f{x}= =x-3 {x-1}{x-3} x-1 이므로 y=f{x}의 그래프는 오른 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x 1일 때, f{x} -2이므로 `! ! x@-4x+3 lim x-1 1 x` ! =-2 -2 -3 ⑵ f{x}= 이라고 하면 x=1일 때, f{x}= x-1 jxk-1 {jxk-1}{jxk+1} =jxk+1 jxk-1 이므로 y=f{x}의 그래프는 오른 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x 1일 때, f{x} 2이므로 ` ! ! 3 ⑴ f{x}= =2 x-1 lim jxk-1 1 x` ! 1 x 이라고 하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 서 x E일 때, f{x} 0이므로 ! `! 1 x =0 lim x` E 1 x @ ⑵ f{x}= ! 이라고 하면 y=f{x}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x E이 0일 때, f{x} `! 1 므로 lim x @ 0 ! =E ! x` ⑶ f{x}=2x라고 하면 y=f{x}의 그 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y=f{x} y 2 1 O 1 y y=f{x} O y O y y=f{x} x ⑷ f{x}=-x@+1이라고 하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E일 때, 과 같다. 따라서 x f{x} `! -E이므로 ! {-x@+1}=-E lim -E x` ! 4 ⑴ f{x}=2- 1 x 이라고 하면 y=f{x}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x -E일 때, `f{x} 1 x ] 2- =2 -E[ `! lim x` ! 2 ! 이므로 ⑵ f{x}= 이라고 하면 1 {x-1}@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과 같다. 따라서 x `f{x} 1일 때, `! E이므로 ! 1 lim {x-1}@ 1 x` ! =E y=f{x} y 1 O x y=f{x} y=f{x} y 2 x O 2! y=f{x} 1 x y 1 O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1 교/과/서/속 핵심 유형 닮은꼴 문제 p. 7 x `! E일 때, f{x} 2x=E ! lim x` E ! E이므로 O x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1 2018-04-26 오후 1:41:53 ⑶ f{x}=x@+2x+1이라고 하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림과 같다. 따라서 x f{x} lim x` E ! E이므로 ! {x@+2x+1}=E `! E일 때, ⑷ f{x}=-j4-x l라고 하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E일 때, 과 같다. 따라서 x f{x} `! -E이므로 ! {-j4-xl}=-E lim -E x` ! 5 ⑴ lim x` 1+ ! ⑵ lim 1- x` ! `f{x}= lim 1+ `f{x}= lim 1- ! x` x` ! {x+1}=2 {-3x+2}=-1 6 ⑴ lim x` 2+ ! ⑵ lim 2- x` ! `f{x}= lim 2+ `f{x}= lim 2- ! x` x` ! {-3x+5}=-1 {2x@-5}=3 7 lim x` ! |x+3| x+3 -3+ |x+3| lim x+3 x` ! 따라서 lim -3+ =1 x+3 = lim x+3 -3+ x` ! -{x+3} = lim x+3 -3- x` ! `f{x}이므로 극한 lim `f{x}= lim -3 -3- =-1 -3- x` x` x` ! 존재하지 않는다. ! `f{x}는 ! {x-1}{x-4} x-1 {x-4}=-3 {x-1}{x-4} -{x-1} 9-{x-4}0=3 8 lim x @-5x+4 |x-1| 1+ x` ! = lim 1+ x` ! = lim 1+ x` ! = lim 1- x` ! = lim 1- x` ! `f{x}= lim 1- x` ! x@-5x+4 |x-1| lim 1- x` ! 따라서 lim 1+ x` ! 재하지 않는다. `f{x}이므로 극한 lim 1 ! x` `f{x}는 존 2 강 함수의 극한값의 계산 p. 8 1 ⑴ lim 2 x` ! 9 f{x}+2g{x}0 =lim 2 ! x` f{x}+2 lim 2 ! x` g{x} g{x}-1 ⑵ lim f{x} 2 x` ! = =3+2\{-2}=-1 g{x}-1 = -2-1 3 =-1 lim 2 x` ! lim 2 x` ! f{x} 2 정답과 해설 y=f{x} y 1 -1 O x y 4 O x -2 y=f{x} ax-3 2 ⑴ lim x-1 1 ! lim 1 x` ! x` =3에서 lim 1 ! x` {ax-3}=a-3=0 / a=3 {x-1}=0이므로 x+2 x @+3x+a {x @+3x+a}=4-6+a=0 =-1에서 lim -2 ! x` {x+2}=0이므로 ⑵ lim -2 x` ! lim -2 x` ! / a=2 3 lim 1 x` ! lim 1 x` ! {-x@+3x+1}=3, lim 1 ! x` `f{x}=3 {x@-x+3}=3이므로 교/과/서/속 핵심 유형 닮은꼴 문제 p. 9 1 ⑴ lim x` ! -3 x@+5x+6 x+3 ⑵ lim 1 x` ! 1x@+33-2 x-1 {x+3}{x+2} x+3 {x+2} = lim x` -3 ! = lim x` -3 ! =-1 {1x@+33-2}{1x@+33+2} =lim {x-1}{1x@+33+2} 1 x` ! x@-1 =lim {x-1}{1x@+33+2} 1 x` ! {x-1}{x+1} =lim {x-1}{1x@+33+2} 1 x` ! x+1 =lim 1x@+33+2 1 x` ! 1 2 = 1 ⑶ lim x [ 0 x` ! 1+ 1 x-1 ] 1 =lim x - 0 x` ! {x-1}+1 x-1 = 1 =lim x-1 0 x` ! =-1 x #-8 2 ⑴ lim x-2 x` 2 ! {x-2}{x @+2x+4} =lim x-2 2 x` ! =lim x` 2 ! =12 {x@+2x+4} ⑵ lim -2 x` ! 3x+6 jx+3l-1 {3x+6}{jx+3l+1} {jx+3l-1}{jx+3l+1} 3{x+2}{jx+3l+1} x+2 3{jx+3l+1} = lim -2 x` ! = lim -2 x` ! = lim -2 x` ! =6 1 1 ⑶ lim x [ 0 x` ! 1 x+2 + 3x-2 ] {3x-2}+{x+2} {x+2}{3x-2} = 1 =lim x - 0 x` ! 4 =lim {x+2}{3x-2} x` 0 ! =-1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2 2018-04-26 오후 1:41:54 3 ⑴ lim x@-5x+3 6x@+4x-1 E x` ! 1- =lim x` E 6+ ! 5 x + 4 x - 3 x @ 1 x @ = 1 6 ⑵ lim x` E {1x @+8x3-x} ! {1x @+8x3-x}{1x @+8x3+x} 1x @+8x3+x =lim x` E ! =lim x` E ! =lim x` E ! 8x 1x @+8x3+x 8 8 q1+ x e+1 =4 4 ⑴ lim x` ! E 4-3x@ x@-2x+5 =lim x` E 1- ! ⑵ lim x` E {1x@-2x3-1x@+2x3} ! 4 x@ 2 x -3 + 5 x@ =-3 {1x@-2x3-1x@+2x3}{1x@-2x3+1x@+2x3} =lim 1x@-2x3+1x@+2x3 x` E ! -4x =lim 1x@-2x3+1x@+2x3 x` E ! -4 =lim 2 x` E q1- x e+q1+ ! 2 x e =-2 =-3에서 lim 1 ! x` {x-1}=0이므로 {2x@+ax+b}=2+a+b=0 2x@+ax+b 5 lim x-1 x` 1 ! lim x` 1 ! ∴ b=-a-2 yy`㉠ ㉠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2x@+ax-a-2 lim x-1 1 x` ! {x-1}{2x+a+2} =lim x-1 1 x` ! =lim {2x+a+2} 1 x` ! =2+a+2=-3 ∴ a=-7 a=-7을 ㉠에 대입하면 b=5 {x-2}=0이므로 x-2 6 lim jx+al-b {jx+al-b}=j2+al-b=0 =8에서 lim 2 ! x` x` 2 ! lim 2 x` ! ∴ b=j2+al ㉠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yy`㉠ x-2 lim jx+al-j2+al 2 x` ! {x-2}{jx+al+j2+al} =lim {jx+al-j2+al}{jx+al+j2+al} 2 x` ! {x-2}{jx+al+j2+al} =lim x-2 2 x` ! =lim 2 x` ! {jx+al+j2+al} =2j2+al=8 ∴ a=14 a=14를 ㉠에 대입하면 b=4 7 x@+1>0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각 변을 x @+1로 나누면 2x @+x+7 x @+1 2x @+x+1 x @+1 < f{x}< 2x @+x+1 이때 lim x @+1 E ! `f{x}=2 x` lim x` E ! 2x @+x+7 =2, lim x @+1 x` E ! =2이므로 8 x @>0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각 변을 x @으로 나누면 -5x @+8 x @ -5x @+3 x @ < < -5x @+8 =-5, lim x @ E ! x` =-5이므로 `f{x} x @ -5x @+3 x @ =-5 이때 lim x` E ! `f{x} x @ lim x` E ! 계산력 다지기 p. 10~11 ! x @=2 x` 2 ⑵ lim -1 x` ! 1 1 ⑴ lim 2 jx+5l=2 x @+x-6 x+3 {x+3}{x-2} x+3 ⑶ lim -3 x` ! {x-2}=-5 = lim -3 x` ! = lim -3 x` ! x-4 ⑷ lim jx k-2 4 x` ! {jx k+2}{jx k-2} =lim jx k-2 4 x` ! =lim {jx k+2}=4 4 x` ! 2 x-1 ⑸ lim x` E =0 ! =E 1 ⑹ lim |x| 0 x` ! ⑺ lim {x @-4x+5}=E x` E ! ⑻ lim -E x` ! -j8-2xl=-E 2 ⑴ lim f{x}=2 f{x}=0 f{x}=2 -3+ x` ! ⑵ lim x` -2 ! ⑶ lim x` -1- ! ⑷ lim x` 0+ ! ⑸ lim x` 1 ! ⑹ lim x` 2- ! ⑺ lim x` 3+ ! ⑻ lim 4+ x` ! f{x}=3 f{x}=3 f{x}=3 f{x}=1 f{x}=0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3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3 2018-04-26 오후 1:41:54 3 ⑴ lim -2+ f{x}=0 x` ! ⑵ lim x` -1 ! ⑶ lim x` 0 ! ⑷ lim x` 1- ! ⑸ lim x` 1+ ! ⑹ lim x` 2- ! ⑺ lim x` 2+ ! ⑻ lim 3- x` ! f{x}=2 f{x}=0 f{x}=2 f{x}=1 f{x}=1 f{x}=2 f{x}=0 x @+2x-3 4 ⑴ lim x-1 x` 1 ! {x+3}{x-1} x-1 {x+3}=4 =lim 1 x` ! =lim 1 x` ! x @-2x-8 ⑵ lim x #-4x -2 x` ! = lim -2 x` ! {x+2}{x-4} x{x+2}{x-2} = = lim -2 x` ! x-4 x{x-2} 3 -6 4 -2\{-4} {x-3}{x @+3x+9} x-3 {x @+3x+9} =- x #-27 ⑶ lim x-3 3 x` ! =lim 3 x` ! =lim 3 x` ! ⑷ lim -1 x` ! jx+5l-2 x+1 =9+9+9=27 = lim -1 x` ! = lim -1 x` ! = lim -1 x` ! = {jx+5l-2}{jx+5l+2} {x+1}{jx+5l+2} x+5-4 {x+1}{jx+5l+2} 1 jx+5l+2 1 = 4 1 j4+2 {1x @+123-4}{1x @+123+4} =lim {x-2}{1x @+123+4} 2 x` ! x @+12-16 =lim {x-2}{1x @+123+4} 2 x` ! {x+2}{x-2} =lim {x-2}{1x @+123+4} 2 x` ! x+2 =lim 1x @+123+4 2 x` ! 1 2+2 2 j4+12l+4 {2x+6}{1x @+73+4} = lim {1x @+73-4}{1x @+73+4} -3 x` ! {2x+6}{1x @+73+4} = lim x @+7-16 -3 x` ! = = 2{x+3}{1x @+73+4} = lim {x+3}{x-3} -3 x` ! 2{1x @+73+4} = lim x-3 -3 x` ! 2{j9+7l+4} -6 =- = 8 3 ⑸ lim 2 x` ! 1x @+123-4 x-2 2x+6 ⑹ lim 1x @+73-4 -3 x` ! 4 정답과 해설 1 ⑺ lim x [ 0 x` ! 4 2- x+2 ] =lim 0 x` ! 1 x - 2{x+2}-4 x+2 = 2 =lim x+2 0 x` ! =1 1 ⑻ lim x [ 0 x` ! 1 2x+3 1 =lim x - 0 x` ! - 1 5x+3 ] {5x+3}-{2x+3} {2x+3}{5x+3} 1 3 = 3 =lim {2x+3}{5x+3} 0 x` ! = 5 ⑴ lim x` ! E 2x @+3x-5 3x @-x+4 =lim x` E ! ⑵ lim x` E ! 4x+3 x @+2x-1 =lim x` E ! 2+ - 3- + 3 x 1 x 5 x @ 4 x @ = 2 3 4 x + 1+ 2 x 3 x @ 1 x @ - =0 ⑶ lim x` E ! 3x 1x @+63+2 =lim x` E ! q1+ 3 6 x @ e+ 2 x =3 ⑷ lim x` E {14x @+x3-2x} ! {14x @+x3-2x}{14x @+x3+2x} =lim 14x @+x3+2x x` E ! 4x @+x-4x @ =lim 14x @+x3+2x x` E ! x =lim 14x @+x3+2x x` E ! 1 =lim = 1 x` E ! x e+2 q4+ 1 4 ⑸ lim x` E {1x @+4x3-1x @-2x3} ! {1x @+4x3-1x @-2x3}{1x @+4x3+1x @-2x3} =lim 1x @+4x3+1x @-2x3 x` E ! {x @+4x}-{x @-2x} =lim 1x @+4x3+1x @-2x3 x` E ! 6x =lim 1x @+4x3+1x @-2x3 x` E ! 6 =lim x` E ! q1+ 4 x e+q1- 2 x e =3 ! 1 ⑹ lim 3x-19x @-x3+63 x` E 3x+19x @-x3+63 =lim {3x-19x @-x3+63}{3x+19x @-x3+63} x` E ! 3x+19x @-x3+63 =lim 9x @-{9x @-x+6} x` E ! 3x+19x @-x3+63 =lim x-6 x` E ! 3+q9- =lim x` E ! 1- + 6 x @ e =6 1 x 6 x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4 2018-04-26 오후 1:41:55 x @+ax+b 6 ⑴ lim x-2 x` 2 =1에서 lim 2 ! x` {x-2}=0이므로 {x @+ax+b}=4+2a+b=0 ㉠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jx+5l-3 ax+b lim 4 x` ! ! lim 2 x` ! / b=-2a-4 yy ㉠ ㉠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x @+ax+b lim x-2 2 x` ! x @+ax-2a-4 =lim x-2 2 x` ! {x-2}{x+a+2} =lim x-2 2 x` ! =lim {x+a+2} 2 x` ! =a+4=1 / a=-3 a=-3을 ㉠에 대입하면 b=2 {ax+b}=-3a+b=0 ax+b ⑵ lim x @+7x+12 -3 x` ! 이므로 lim -3 x` ! / b=3a yy ㉠ lim -3 x` ! ㉠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ax+b x @+7x+12 ax+3a x @+7x+12 a{x+3} {x+3}{x+4} = lim -3 x` ! = lim -3 x` ! a x+4 = lim -3 x` ! =a=1 =1에서 lim -3 x` ! {x @+7x+12}=0 {x+1}=0이므로 a=1을 ㉠에 대입하면 b=3 ⑶ lim -1 x` ! lim -1 x` ! =4에서 lim -1 x+1 jx+al+b {jx+al+b}=ja-1l+b=0 ! x` yy ㉠ lim -1 x` ! / b=-ja-1l ㉠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x+1 jx+al+b x+1 = lim jx+al-ja-1l -1 {x+1}{jx+al+ja-1l} = lim {jx+al-ja-1l}{jx+al+ja-1l} -1 {x+1}{jx+al+ja-1l} = lim {x+a}-{a-1} -1 ! ! x` x` x` ! ! = lim -1 x` {jx+al+ja-1l} =2ja-1l=4 / a=5 a=5를 ㉠에 대입하면 b=-2 = jx+5l-3 ax+b 1 6 에서 lim {ax+b}=4a+b=0 ! x` 4 ⑷ lim 4 x` ! lim 4 x` ! / b=-4a {jx+5l-3}=0이므로 =lim 4 x` ! jx+5l-3 ax-4a {jx+5l-3}{jx+5l+3} =lim a{x-4}{jx+5l+3} 4 x` ! x+5-9 =lim a{x-4}{jx+5l+3} 4 x` ! = = 1 a{jx+5l+3} =lim 4 x` ! 1 6a 1 6 / a=1 a=1을 ㉠에 대입하면 b=-4 족집게 기출문제 01~02강 p. 12~15 1 ② 6 ④ 11 ③ 2 -3 7 ④ 12 ④ 3 ③ 8 ㄱ, ㄷ 13 -15 4 ⑤ 9 ③ 14 ② 5 ① 10 ⑤ 15 2 16 ③ 17 ④ 18 ⑤ 19 [ 0, 1 4 ] 20 16 21 ⑤ 22 a=0, b=2 23 ⑴ A{k, 3jk k}, B{k, jk k}, C{k, 0} ⑵ 1 3 24 7 8 x #-x @-6x 1 ㄱ. lim x-3 x` 3 ! x{x+2}{x-3} =lim x-3 3 x` ! =lim 3 x` ! x{x+2}=15 ㄴ. lim -1 x` ! 3 |x+1| =E ㄷ. lim x` E ! ㄹ. lim -E x` ! - 2 x-4 ] =0 [ {-j3-xl}=-E 따라서 수렴하는 것은 ㄱ, ㄷ이다. 2 lim x` `f{x}= lim 1+ `f{x}= lim 1- ! x` ! `f{x}- lim 1- x` ! x` 1+ ! lim 1- x` ! ∴ lim 1+ x` ! 9-{x-1}@-10=-1 {x+1}=2 `f{x}=-1-2=-3 3 t-1 t+1 =a로 놓으면 a=1- 2 t+1 t` ! lim t` E ! 4t-1 t+1 E일 때, a` t-1 t+1 ] `f [ ! = lim 1- a` ! 1-이므로 `f{a}=2 =b로 놓으면 b=4- 5 t+1 t` ! lim -E t` ! -E일 때, b` 4t-1 t+1 ] `f [ ! = lim 4+ b` ! 4+이므로 `f{b}=3 yy ㉠ ∴ lim t` E ! `f [ t-1 t+1 ] + lim -E t` ! `f [ 4t-1 t+1 ] =2+3=5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5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5 2018-04-26 오후 1:41:55 4 lim x` ! 4+ lim 4- x` ! x` |x-4| `f{x} = lim x{x-4} 4+ 1 1 = lim 4 x 4+ x` ! = ! x` |x-4| `f{x} = lim x{x-4} 4- 1 x ] = lim [ 4- x` ! - ! = lim 4- x` ! 1 4 =- = lim 4+ x` ! x-4 x{x-4} -{x-4} x{x-4} / lim 4+ x` ! f{x}- lim 4- x` ! `f{x}= 1 4 - - [ 1 4 ] = 1 2 ! [x+1]=1 0+일 때, 10이므로 위의 부등식의 각 변을 3x @+1로 나누면 9{x+1}@ 9{x-1}@ 3x @+1 3x @+1 < 9{x+1}@ =3, lim 3x @+1 E x` ! =3이므로 < 9 f{x}0@ 3x @+1 9{x-1}@ 3x @+1 ! 이때 lim x` E 9 f{x}0@ lim 3x @+1 x` E ! =3 19 두 점 P, Q의 좌표를 P{x, 2x @}, Q{0, y}라고 하자. 두 점 O, P는 원 위의 점이므로 OQ =PQ 에서 OQ @=PQ Z @, y @=x @+{y-2x @}@ Z 1 4 {∵ x=0} 4x @y=4x $+x @ ∴ y=x @+ 점 P가 원점 O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x` 1 4 ] x @+ y=lim x` ! lim 0 x` ! 1 4 = 0[ 0이므로 ! 따라서 점 Q가 한없이 가까워지는 점의 좌표는 [ 0, 1 4 ]이다. 20 ! x` ! 8+일 때, x보다 작은 소수는 2, 3, 5, 7이므로 f{x}=4이고, x>2 f{x}=8이므로 a= lim 8+ x` g{x}= lim 8+ x` f{x}=4 ! 8-일 때, x보다 작은 소수는 2, 3, 5, 7이므로 ! @ x` ! f{x}=4이고, x<2 f{x}=8이므로 b= lim 8- x` g{x}= lim 8- x` ! 1 f{x} = 1 4 ∴ = =16 a b ! 4 1 4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7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7 2018-04-26 오후 1:41:56 Z Z `f{x} x+1 -1 `f{x}=0 ∴ f{-1}=0 =2에서 lim -1 ! x` 21 lim x` ! lim -1 x` ! {x+1}=0이므로 {x-1}=0이므로 =10에서 lim 1 ! `f{x} lim x-1 1 x` ! lim `f{x}=0 ∴ f{1}=0 x` 1 ! 다항함수 g{x}에 대하여 f{x}={x-1}{x+1}g{x}라고 x` 하면 `f{x} lim x+1 -1 x` ! = lim -1 x` ! = lim -1 x` ! ∴ g{-1}=-1 `f{x} lim x-1 1 x` ! {x-1}{x+1}g{x} x+1 {x-1}g{x}=-2g{-1}=2 yy`㉠ {x-1}{x+1}g{x} =lim x-1 1 x` ! =lim 1 x` ! {x+1}g{x}=2g{1}=10 yy`㉡ ∴ g{1}=5 ㉠, ㉡을 모두 만족하는 함수 g{x} 중 차수가 가장 낮은 것 은 일차함수이므로 g{x}=ax+b {a, b는 상수}라고 하면 -a+b=-1, a+b=5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3, b=2 따라서 h{x}={x-1}{x+1}{3x+2}이므로 h{2}=24 채점 기준 ㈎ 세 점 A, B, C의 좌표를 구한다. ㈏ OA , AC ㈐ 극한값을 구한다. , OB 를 k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 BC Z 배점 2점 1점 3점 24 lim x` ! 0 11+x+x@3-{1+ax} x@ 911+x+x @3-{1+ax}0911+x+x @3+{1+ax}0 =lim x@911+x+x@3+{1+ax}0 0 x` ! yy`㈎ {1-a@}x+{1-2a} =lim x{11+x+x@3+1+ax} 0 x` ! 이때 lim 0 ! x` x{11+x+x@3+1+ax}=0이므로 9{1-a@}x+{1-2a}0=1-2a=0 lim 0 x` ! ∴ a= 1 2 ∴ b =lim 0 x ! x` =lim 0 x` 4 ! = 3 8 3 4 x [11+x+x@3+1+ 3 [11+x+x@3+1+ 1 2 x ] 1 2 x ] 22 lim x` x` ! -1+ `f{x}의 값이 존재하려면 lim ! {-x+1} {ax+b}= lim -1- yy`㉠ `f{x}의 값이 존재하려면 x` -1 ! lim x` -1+ ! ∴ -a+b=2 lim 1 x` ! lim x` 1+ ! ∴ a+b=2 ㉠, ㉡을 연립하여 풀면 a=0, b=2 {x@+1}= lim 1- yy`㉡ {ax+b} lim 1+ x` ! ! x` `f{x}= lim `f{x} x` ! -1- ∴ a+b= + = 1 2 3 8 7 8 yy`㈎ `f{x}= lim 1- x` `f{x} ! 채점 기준 ㈎ 주어진 식의 분자를 유리화한다. ㈏ a의 값을 구한다. ㈐ b의 값을 구한다. ㈑ a+b의 값을 구한다. yy`㈏ yy`㈐ yy`㈑ 배점 1점 2점 2점 1점 채점 기준 ㈎ lim f{x}의 값이 존재하기 위한 조건을 이용하여 a, b ㈏ lim f{x}의 값이 존재하기 위한 조건을 이용하여 a, b -1 x` ! 에 대한 식을 세운다. 1 ! x` 에 대한 식을 세운다. ㈐ a, b의 값을 구한다. 23 ⑴ 세 점 A, B, C의 좌표는 A{k, 3jk k}, B{k, jk k}, C{k, 0} OA ⑵ lim OB 0+ k` ! 1k@+9k3-3jk k 1k@+k3-jk k -AC -BC = lim 0+ k` ! = lim 0+ k` ! jk+9l-3 jk+1l-1 {jk+9l-3}{jk+9l+3}{jk+1l+1} = lim {jk+1l-1}{jk+1l+1}{jk+9l+3} 0+ k` ! k{jk+1l+1} 1 = lim = lim 3 k{jk+9l+3} 0+ k` 0+ k` ! ! jk+1l+1 jk+9l+3 = 8 정답과 해설 3 강 함수의 연속 p. 16 1 ㄱ. 함수 f{x}는 x=a에서 정의되지 않으므로 x=a에서 yy`㈏ 불연속이다. f{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x=a에서 불연속이다. ㄴ. lim x` a ! ㄷ. lim a x` ! f{x}= f{a}이므로 x=a에서 불연속이다. 따라서 x=a에서 연속인 함수의 그래프는 ㄹ이다. yy`㈐ 2 ⑴ [2, 7] ⑵ [-3, 1} yy`㈏ yy`㈐ 배점 2점 2점 1점 yy`㈎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8 2018-04-26 오후 1:41:57 Z Z Z Z Z Z Z ㄷ. f{2}=4, lim 2 ! x` f{x}=lim 2 ! x` x@-4 x-2 =lim 2 x` ! {x+2}=4이 f{x}=1, lim 1- x` ! f{x}=1 / lim 1 ! x` f{x}=1 f{x}=f{1}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연 교/과/서/속 핵심 유형 닮은꼴 문제 1 ㄱ. f{2}=0, lim f{x}=lim 2 ! x` 2 x` f{x}=f{2} ! lim 2 x` ! {x@-2x}=0이므로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연속이다. ㄴ. 함수 f{x}는 x=2에서 정의되지 않으므로 x=2에서 불연속이다. 므로 lim 2 x` ! f{x}=f{2}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x=2에서 연속인 함수는 ㄱ, ㄷ이다. 2 ㄱ. f{1}=1, lim 1 x` f{x}=f{1} ! lim 1 x` ! f{x}=lim 1 ! x` 1x@+x-13=1이므로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다. ㄴ. 함수 f{x}는 x=1에서 정의되지 않으므로 x=1에서 # f{3}=3 lim 3+ x` ! 이때 lim 3 ! 속이다. x` x` 4 ! f{1}=1 lim 1+ x` ! 이때 lim 1 ! 속이다. @ f{2}=1 lim 2+ x` ! 이때 lim 2 ! x` 연속이다. p. 17 f{x}=3, lim 3- x` ! f{x}=3 / lim 3 ! x` f{x}=3 f{x}=f{3}이므로 함수 f{x}는 x=3에서 연 ⑴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 점은 x=1, x=2의 2개이다. ⑵ 불연속인 점은 x=1, x=2의 2개이다. f{x}=3, lim 2- x` ! f{x}=3 / lim 2 ! x` f{x}=3 f{x}=f{2}이므로 함수 f{x}는 x=2에서 불 3+ # lim x` ! / lim 3+ f{x}=1, lim 3- f{x}= lim 3- ! x` x` x` ! f{x}=2 f{x} ! 즉, lim 3 x` ! 에서 불연속이다. f{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3 ⑴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 점은 x=3의 1개이다. ⑵ 불연속인 점은 x=2, x=3의 2개이다. 5 ⑴ 함수 y=2x@-x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연속인 구간은 {-E, E} x-3 2x+4 ⑵ 함수 y= 은 x=-2인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 므로 연속인 구간은 {-E, -2}, {-2, E} 6 ⑴ 함수 y=jx-8l 은 x>8인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연속인 구간은 [8, E} 2x+1 x@+9 ⑵ 함수 y= 구간은 {-E, E} 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연속인 7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려면 x=3에서 연속 이어야 하므로 f{x}=f{3} lim 3 x` ! x@+ax-12 ∴ lim x-3 3 x` ! {x-3}=0이므로 ㉠에서 lim 3 ! =b x` yy`㉠ lim x` 3 ! ∴ a=1 a=1을 ㉠에 대입하면 x@+x-12 lim x-3 3 x` ! ∴ b=7 {x-3}{x+4} x-3 {x+4}=b =lim x` 3 ! =lim 3 x` !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9 불연속이다. ㄷ. lim 1+ x` f{x} = lim 1+ x` ! ! lim 1- x` ! f{x} = lim 1- x` ! x@-x |x-1| x{x-1} x-1 = lim x` 1+ ! = lim 1+ x` ! =1 x x@-x |x-1| x{x-1} -{x-1} {-x} = lim x` 1- ! = lim 1- x` ! =-1 f{x}= lim 1- x` f{x} x` ∴ lim 1+ ! 따라서 lim 1 ! x=1에서 불연속이다. ! x` 따라서 x=1에서 연속인 함수는 ㄱ이다. f{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3 ! lim x` 1+ ! ∴ lim 1+ x` ! 즉, lim 1 x` ! f{x}=1, lim 1- f{x}= lim 1- ! x` x` ! f{x}=2 f{x} 에서 불연속이다. 2+ @ lim x` ! / lim 2+ f{x}=2, lim 2- f{x}= lim 2- ! x` x` x` ! f{x}=1 f{x} ! 즉, lim 2 x` ! 에서 불연속이다. f{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2 f{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1 {x@+ax-12}=9+3a-12=0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9 2018-04-26 오후 1:41:57 8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려면 x=1에서 연속 f{x}=f{1} {x@+8x+a}=1+8+a=0 ∴ a=-9 x` 이어야 하므로 lim 1 ! x@+8x+a ∴ lim x-1 1 x` ! {x-1}=0이므로 ㉠에서 lim 1 ! =b x` lim x` 1 ! a=-9를 ㉠에 대입하면 yy`㉠ x@+8x-9 lim x-1 1 x` ! {x-1}{x+9} =lim x-1 x` 1 ! {x+9}=b =lim 1 x` ! ∴ b=10 4 강 연속함수의 성질 p. 18 1 ㄱ. 연속함수의 성질 ⑴, ⑵에 의하여 x=a에서 연속이다. ㄴ. 연속함수의 성질 ⑴, ⑶에 의하여 x=a에서 연속이다. ㄷ. 연속함수의 성질 ⑴, ⑷에 의하여 x=a에서 연속이다. ㄹ. f{a}=0이면 는 x=a에서 정의되지 않으므로 2 g{x} f{x} x=a에서 연속인지 불연속인지 알 수 없다. 따라서 x=a에서 연속인 함수는 ㄱ, ㄴ, ㄷ이다. 2 최댓값: 없다, 최솟값: 0 3 함수 f{x}는 닫힌구간 [0, 3]에서 연속이고 f{0}=4, f{3}=13, 즉 f{0}= f{3}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c}=6인 c가 열린구간 {0, 3}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1 ⑴ f{x}-g{x}=x@+2x+3- 1 x-2 = x#-x-7 x-2 은 x=2인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연속인 구간은 {-E, 2}, {2, E} ⑵ f{x} g{x}= 은 x=2인 모든 실수 x에서 x@+2x+3 x-2 연속이므로 연속인 구간은 {-E, 2}, {2, E} 10 정답과 해설 은 x=2인 모든 실수 x ⑶ = 1 {x@+2x+3}{x-2} g{x} f{x} 에서 연속이므로 연속인 구간은 {-E, 2}, {2, E} f{x} g{x} 이므로 연속인 구간은 {-E, E} ⑷ ={x@+2x+3}{x-2}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 2 ⑴ f{x}+2 g{x}=x-1+2j4-xl 는 x<4인 모든 실수 x 에서 연속이므로 연속인 구간은 {-E, 4] ⑵ f{x} g{x}={x-1}j4-xl 는 x<4인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연속인 구간은 {-E, 4] 는 x=1이고 x<4인 모든 실수 x에서 ⑶ ⑷ = j4-xl x-1 g{x} f{x} 연속이므로 연속인 구간은 {-E, 1}, {1, 4] f{x} g{x} 로 연속인 구간은 {-E, 4} x-1 j4-xl = 은 x<4인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 3 ⑴ f{x} =x@-6x+2={x-3}@-7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f{x}는 닫힌구간 [-1, 4]에서 연속이므로 최댓값 과 최솟값을 갖는다. 따라서 x=-1에서 최댓값은 9, x=3에서 최솟값은 -7이다. ⑵ f{x}= 2x+7 x+2 = 3 x+2 +2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 쪽 그림과 같고 f{x}는 닫힌구간 [-1, 3]에서 연속이므로 최댓값 과 최솟값을 갖는다. 따라서 x=-1에서 최댓값은 5, x=3에서 최솟값은 13 5 이다. 4 ⑴ f{x} =x@-2x+6 ={x-1}@+5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 쪽 그림과 같고 f{x}는 닫힌구 간 [-2, 0]에서 연속이므로 최 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따라서 x=-2에서 최댓값은 14, x=0에서 최솟값은 6이다. ⑵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 른쪽 그림과 같고 f{x}는 닫힌 구간 [-2, 6]에서 연속이므 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따라서 x=-2에서 최댓값은 0, x=6에서 최솟값은 -2이다. y 9 y=f{x} 3 4 x -1 -6 O -7 y 5 2 13 5 -2 y=f{x} -1 O 3 x y=f{x} y 14 6 5 y 1 O -3 -2 -2 6 x y=f{x} 교/과/서/속 핵심 유형 닮은꼴 문제 p. 19 -2 O 1 x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10 2018-04-26 오후 1:41:58 5 f{x}=x#-3x+1이라고 하면 함수 f{x}는 다항함수이므 로 닫힌구간 [-3, 2]에서 연속이고 f{-3}=-17<0, f{2}=3>0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열린구간 {-3, 2}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따라서 방정식 x#-3x+1=0은 열린구간 {-3, 2}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6 f{x}=x#-2x@+7x+5라고 하면 함수 f{x}는 다항함수 이므로 닫힌구간 [-1, 0]에서 연속이고 f{-1}=-5<0, f{0}=5>0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열린구간 {-1, 0}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따라서 방정식 x#-2x@+7x+5=0은 열린구간 {-1, 0}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7 f{x}=x @+x+a라고 하면 함수 f{x}는 다항함수이므로 닫힌구간 [-1, 2]에서 연속이고 f{-1}=1-1+a=a, f{2}=4+2+a=a+6 f{-1}f{2}<0이면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c}=0인 c 가 열린구간 {-1, 2}에 적어도 하나 존재하므로 f{-1}f{2}=a{a+6}<0 / -60일 때 lim 0 x` ! | f{x}|=lim 0 ! x` # f{0}<0일 때 lim 0 x` ! | f{x}|=lim 0 ! x` f{x}=f{0}=| f{0}| 9-f{x}0=-f{0}=| f{0}| !, @, #에 의하여 함수 | f{x}|는 x=0에서 연속 이다. ㄷ. [반례] f{x}= - 1`{x>0} -1`{x<0} 이면 | f{x}|=1이므로 함 수 | f{x}|는 x=0에서 연속이지만 함수 f{x}는 x=0 ④ f{x}g{x} {x#-1}{x@-x+1} f{x}+g{x} x{x@+x-1} 은 (분모)=0이 되는 실수 x에서 정의되지 않으므로 불 = 에서 불연속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이다. 연속이다. ⑤ { f`J`g}{x} g{x} = {x@-x+1}#-1 x@-x+1 에서 x@-x+1= =0이므로 모든 실수 x에 x- [ 1 2 ]@+ 3 4 서 연속이다. 따라서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인 함수가 아닌 것은 ④이다. 15 ① 함수 f{x}=x+5는 닫힌구간 [-1, 0]에서 연속이므로 최대 · 최소 정리에 의하여 최댓값과 최솟값을 모두 갖는다. ② 함수 f{x}= 는 닫힌구간 [-1, 1]에서 연속이므로 x x-2 최대 · 최소 정리에 의하여 최댓값과 최솟값을 모두 갖는다. ③ 반열린 구간 {0, 3]에서 함수 y=f{x} 13 함수 h{x}= f{x} g{x} 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려면 모든 실 수 x에 대하여 g{x}=x@+2ax-2a+3=0이어야 한다. 갖는다.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과 같으므로 f{x}는 x=3에서 최 댓값 1, x=1에서 최솟값 -3을 y 1 -2 -3 O 1 3 x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13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13 2018-04-26 오후 1:41:59 ④ 반열린 구간 [-3, 2}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과 같으므로 f{x}는 x=-3에서 최솟값 0을 갖고 최댓값은 존재 하지 않는다.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과 같으므로 f{x}는 x=2에서 최 댓값 2, 02} 0`{x<2} 1 {x>2} 0 {12} ( \ - \ 9 0 {10, f{3}=27>0, f{4}=69>0 따라서 f{1}f{2}<0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주어 진 방정식의 실근이 존재하는 구간은 {1, 2}이다. 17 함수 f{x}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닫힌구간 [-1, 4]에서 연속이고 f{-1}f{0}<0, f{0}f{1}<0, f{2}f{3}<0, f{3}f{4}<0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0은 열린구 간 {-1, 0}, {0, 1}, {2, 3}, {3, 4}에서 각각 적어도 하 나의 실근을 갖는다. 따라서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1, 4}에서 적어도 4개의 실근을 갖는다. 18 ! a=0일 때 lim a+ x` ! lim x` a- ! 따라서 lim a+ x` ! f{x}f{x-a}= lim 0+ f{x}f{x-a}= lim 0- ! x` x` 9`f{x}0@=49 9`f{x}0@=1 ! f{x}f{x-a}= lim a- x` ! f{x}f{x-a}이므 로 함수 f{x}f{x-a}는 x=a에서 불연속이다. @ a=0일 때 x-a=t로 놓으면 x` a+일 때 t 0+, x` a-일 ! ! ! 때 t lim a+ x` ! 0-이므로 ! f{x}f{x-a} = lim a+ x` ! lim a- x` ! f{x}f{x-a} = lim a- x` f{x}\ lim 0+ t` ! f{t} =f{a}\7=7f{a} f{x}\ lim 0- t` ! =f{a}\1=f{a} ! f{t} 함수 f{x}f{x-a}가 x=a에서 연속이려면 f{x}f{x-a}가 존재해야 하므로 lim x` a ! 7 f{a}=f{a} ∴ f{a}=0 ∴ a=-1, 14 14 정답과 해설 세 함수 y=g{x}+h{x}, y=g{x}h{x}, y=|h{x}|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y 2 O 2 x y 1 O -1 y=g{x}+h{x} y=g{x}h{x} y=|h{x}| y 1 O 21 x 1 2 x 따라서 a1=1, a2=3, a3=3이므로 a1j3} -1 {|x|0이면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g{x}=0은 열린구간 {0, 1}, {1, 2}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 의 실근을 갖는다. 즉, -a@+5a-4>0에서 {a-1}{a-4}<0 ∴ 1 ㄴ. 오른쪽 그림에서 f{b}-f{a} b-a 는 직선 A B의 기울기이고, 직선 AB의 기울기는 직선 y=x의 기울기보다 작으므로 f{b}-f{a} b-a <1 이때 b-a>0이므로 f{b}-f{a}f '{b} 따라서 옳은 것은 ㄷ이다. 20 정답과 해설 9 함수 f{x}는 x=4에서 불연속이고 x=1, x=4에서 미분 가능하지 않으므로 불연속인 점의 개수는 1,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의 개수는 2이다. 따라서 그 합은 1+2=3 10 ㄱ. lim x` 1 ! 속이다. f{1+h}-f{1} lim h 0+ h` ! f{x}=f{1}=0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연 |h@+2h| = lim h 0+ h` ! h@+2h = lim h 0+ h` ! = lim 0+ h` ! {h+2}=2 |h@+2h| h -h@-2h h f{1+h}-f{1} h lim 0- h` ! = lim 0- h` ! = lim 0- h` ! = lim 0- h` ! 따라서 f '{1}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1 {-h-2}=-2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g{x}=g{1}=2이므로 함수 g{x}는 x=1에서 연 ㄴ. lim 1 x` ! 속이다. g{1+h}-g{1} lim h 0+ h` ! {h@+2h+2}-2 = lim h 0+ h` ! lim 0- h` ! g{1+h}-g{1} h {3h+2}-2 h h@+2h = lim h 0+ h` ! = lim {h+2} 0+ h` ! =2 = lim 0- h` ! = lim 0- h` ! =3 3h h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k{x}=k{1}=0이므로 함수 k{x}는 x=1에서 연 ㄷ. lim 1 x` ! 속이다. k{1+h}-k{1} k'{1} =lim h 0 ! h` 따라서 k'{1}이 존재하므로 함수 k{x}는 x=1에서 미 따라서 x = 1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은 함수는 h# =lim h 0 h` ! =lim 0 h` ! h@=0 분가능하다. ㄱ, ㄴ이다. 이므로 f '{0}=3-6-2=-5 O a b x 11 f '{x}={x+1}{x+3}+{x-2}{x+3}+{x-2}{x+1} O a b x 따라서 g '{1}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g{x}는 x=1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20 2018-04-26 오후 1:42:03 17 함수 f{x}가 x=2에서 미분가능하면 x=2에서 연속이고 {x-3}=0이므로 f{x+2}+4 12 lim x-3 =6에서 lim 3 ! x` x` 3 ! lim x` 3 ! ∴ f{5}=-4 이때 x+2=t로 놓으면 x 9 f{x+2}+40=f{5}+4=0 f{x+2}+4 lim x-3 3 x` ! 3일 때, t 5이므로 ! ! f{x+2}-f{5} =lim x-3 3 x` ! f{t}-f{5} =lim t-5 5 t` ! =f '{5}=6 ∴ f{5}+f '{5}=-4+6=2 13 f{x}=1-x+x@-x#+x$-y-x(+x!)이므로 f '{x}=-1+2x-3x@+4x#-y-9x*+10x( ∴ f '{1}=-1+2-3+4-y-9+10=5 14 f{x}=ax@+bx+c { a, b, c는 상수}라고 하면 yy`㉠ yy`㉡ yy`㉢ f '{x}=2ax+b f{1}=4에서 a+b+c=4 f '{1}=1에서 2a+b=1 f '{-1}=-7에서 -2a+b=-7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3 a=2, b=-3을 ㉠에 대입하면 c=5 따라서 f{x}=2x@-3x+5이므로 f{2}=8-6+5=7 15 f{x}=x#+ax@+bx+c { a, b, c는 상수}라고 하면 f '{x}=3x@+2ax+b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x+1}{3x@+2ax+b}=3{x#+ax@+bx+c} 3x#+{2a+3}x@+{2a+b}x+b=3x#+3ax@+3bx+3c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2a+3=3a에서 a=3 2a+b=3b에서 b=a=3 b=3c에서 c= =1 b 3 따라서 f{x}=x#+3x@+3x+1이므로 f{1}=1+3+3+1=8 f{2+3h}-f{2-2h} 16 lim h h` 0 ! f{2+3h}-f{2}+f{2}-f{2-2h} =lim h 0 h` ! f{2+3h}-f{2} =lim 3h 0 h` ! \3+lim 0 ! h` f{2-2h}-f{2} -2h \2 =3 f '{2}+2 f '{2} =5 f '{2} 이때 f '{x}=x$-x@+1이므로 5 f '{2}=5\{16-4+1}=65 f{x}=f{2}에서 x` ! 미분계수 f '{2}가 존재한다. ! x=2에서 연속이므로 f{x}= lim 2- lim x` 2+ ! 4a+b=8-8+8 ∴ 4a+b=8 yy`㉠ @ 미분계수 f '{2}가 존재하므로 f{2+h}-f{2} lim h 0+ h` ! 9a{2+h}@+b0-{4a+b} = lim h 0+ h` ! 4ah+ah@ = lim h h` 0+ ! = lim 0+ h` ! f{2+h}-f{2} lim h 0- h` ! {4a+ah}=4a 9{2+h}#-4{2+h}+80-{4a+b} = lim h 0- h` ! 8h+6h@+h# = lim h h` 0- ! = lim 0- h` ! {8+6h+h@}=8 {∵ ㉠} 즉, 4a=8이므로 a=2 따라서 a=2를 ㉠에 대입하면 b=0이므로 a+b=2 18 f{x}=3xN-5x라고 하면 f{1}=-2이므로 3xN-5x+2 lim x-1 1 x` ! =lim 1 x` ! f{x}-f{1} x-1 =f '{1}=10 이때 f '{x}=3nxN_!-5이므로 f '{1}=3n-5 따라서 3n-5=10이므로 n=5 f{x}-2 19 lim x-3 =2에서 lim x` 3 x` 3 ! 9 f{x}-20=0 ! lim x` 3 ! ∴ f{3}=2 {x-3}=0이므로 f{x}-2 ∴ lim 3 x` ! x-3 =lim ! x` 3 f{x}-f{3} x-3 =f '{3}=2 g{x}-1 lim x-3 =5에서 lim 3 x` ! lim x` 3 ! ∴ g{3}=1 9 g{x}-10=0 ! x` 3 {x-3}=0이므로 g{x}-1 ∴ lim 3 x` ! x-3 =lim ! x` 3 g{x}-g{3} x-3 =g '{3}=5 한편 곱의 미분법에 의하여 9 f{x}g{x}0'=f '{x}g{x}+f{x}g '{x} 따라서 함수 f{x}g{x}의 x=3에서의 미분계수는 f '{3}g{3}+f{3}g '{3}=2\1+2\5=12 II. 미분 21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21 2018-04-26 오후 1:42:03 20 다항식 x!))-100x@+ax-b를 {x-1}@으로 나누었을 때 23 ㄱ. g{x}=f{a}에서 의 몫을 Q{x}라고 하면 x!))-100x@+ax-b ={x-1}@ Q{x}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99+a-b=0 yy`㉠ yy`㉡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100x((-200x+a =2{x-1}Q{x}+{x-1}@ Q'{x} 위의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00+a=0 ∴ a=100 a=100을 ㉡에 대입하면 1-b=0 ∴ b=1 ∴ a+b=101 21 함수 f{x}의 최고차항의 차수와 계수를 각각 m, a {a=0} 라고 하면 도함수 f '{x}의 최고차항의 차수와 계수는 각각 m-1, am이다. {xN-2} f '{x}=f{x}에서 좌변의 최고차항의 차수와 계수 는 각각 n+m-1, am이므로 n+m-1=m, am=a ∴ n=1, m=1 따라서 f{x}=ax+b { a, b는 상수}라고 하면 f{4}=3에서 4a+b=3 ∴ b=-4a+3 이때 f{x}=ax-4a+3이고 f '{x}=a이므로 {x-2}f '{x}=f{x}에 대입하면 {x-2}\a=ax-4a+3 ax-2a=ax-4a+3 ∴ a= 3 2 즉, f{x}= x-3이므로 3 2 f{n} =f{1}= 3 2 \1-3 =- 3 2 22 세 점 A, B, C의 x좌표를 각각 a, b, c라고 하면 f{x}={x-a}{x-b}{x-c} ∴ f '{x} ={x-a}'{x-b}{x-c} +{x-a}{x-b}'{x-c} +{x-a}{x-b}{x-c}' ={x-b}{x-c}+{x-a}{x-c} +{x-a}{x-b} 따라서 곡선 y=f{x} 위의 점 C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c}이므로 f '{c} ={c-a}{c-b} =AC \BC 22 정답과 해설 f{a}+{b-a}f '{x}= f{a} {b-a}f '{x}=0 ∴ f '{x}=0 {∵ b-a>0} 즉, 주어진 그래프에서 곡선 y=f{x}의 접선의 기울기 가 0이 될 때의 x의 값이 2개 존재하므로 g{x}=f{a} 를 만족하는 실수 x의 값이 존재한다. ㄴ. g{b}-f{a} =f{a}+{b-a} f '{b}-f{a} ={b-a} f '{b} 이때 b-a>0이지만 f '{b}는 양 또는 음의 값일 수 있 으므로 항상 {b-a} f '{b}>0, 즉 g{b}>f{a}인 것은 아니다. ㄷ. g{a}-f{b} =f{a}+{b-a}f '{a}-f{b} - f '{a}- ={b-a} f{b}-f{a} b-a 이때 b-a>0이고, 곡선 y=f{x}의 x=a인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x의 값이 a에서 b까지 변할 때의 평균 = 변화율보다 크므로 f '{a}> f{b}-f{a} b-a 따라서 {b-a} f '{a}- - f{b}-f{a} b-a = >0이므로 g{a}>f{b}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24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면 x=1에서 연속이므로 f{x}=f{1}에서 f{x}= lim 1- lim 1+ x` ! 1+a=b+1 ! x` / a=b 또 f '{1}이 존재하므로 yy`㉠ f{1+h}-f{1} lim h 0+ h` ! {1+h}#+a{1+h}@-{1+a} = lim h 0+ h` ! = lim 0+ h` ! =3+2a 9{3+2a}+{3+a}h+h@0 f{1+h}-f{1} lim h 0- h` ! b{1+h}+1-{1+a} = lim h 0- h` ! 에서 3+2a=b yy`㉡ =b {∵ ㉠}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3 ∴ a+b=-6 채점 기준 ㈎ a, b에 대한 식을 세운다. ㈏ a, b의 값을 구한다. ㈐ a+b의 값을 구한다. yy`㈎ yy`㈏ yy`㈐ 배점 3점 1점 1점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22 2018-04-26 오후 1:42:03 Z Z f{x} 26 ⑴ lim x-1 x` 1 =5에서 lim 1 ! x` {x-1}=0이므로 ! lim 1 x` ! f{x}=0 ∴ f{1}=0 yy`㈎ 방정식은 25 f '{x}=-3x@+9이므로 f{1}=4, f '{1}=6 1f{x}3-2 x-1 =lim - 1 x` ! lim 1 x` ! 1f{x}3-2 x-1 yy`㈎ \ 1f{x}3+2 1f{x}3+2 = 1f{x}3+2 = 1 \ 1 \lim 1f{x}3+2 1 x` ! f{x}-4 =lim x-1 - 1 x` ! f{x}-f{1} x-1 =lim 1 x` ! =f '{1}\ =6\ 1 2+2 1 1f{1}3+2 3 = 2 yy`㈏ yy`㈐ 배점 1점 4점 1점 채점 기준 ㈎ f{1}, f '{1}의 값을 구한다. ㈏ 주어진 식을 변형한다. ㈐ 극한값을 구한다. f{x} ∴ lim x-1 1 ! x` f{x}-f{1} =lim x-1 1 x` ! =f '{1} =5 ⑵ f{x}=x#+ax@+b에서 f '{x}=3x@+2ax f{1}=0에서 1+a+b=0 yy`㉠` yy`㈏ f '{1}=5에서 3+2a=5 채점 기준 ㈎ f{1}의 값을 구한다. ㈏ f '{1}의 값을 구한다. ㈐ a, b에 대한 식을 세운다. ㈑ a, b의 값을 구한다. ㈒ a-b의 값을 구한다. 배점 1점 2점 2점 1점 1점 접선의 방정식과 평균값 정리 7 강 p. 34 1 f{x}=x@-3x+7이라고 하면 f '{x}=2x-3 점 {1, 5}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1}=2\1-3=-1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5=-{x-1} ∴ y=-x+6 2 함수 f{x}=-x@+4x는 닫힌구간 [0, 4]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0, 4}에서 미분가능하며 f{0}=f{4}=0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f '{c}=0인 c가 열린구간 {0, 4}에 적 어도 하나 존재한다. `f '{x}=-2x+4이므로 `f '{c}=-2c+4=0 ∴ c=2 교/과/서/속 핵심 유형 닮은꼴 문제 p. 35 1 ⑴ `f{x}=x@-5x+1이라고 하면 f '{x}=2x-5 접점의 좌표를 {t, t@-5t+1}이라고 하면 접선의 기울 기가 -1이므로 `f '{t}=2t-5=-1 ∴ t=2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2, -5}이므로 구하는 접선의 y+5=-{x-2} ∴ y=-x-3 ⑵ `f{x}=x#-4x+2라고 하면 f '{x}=3x@-4 접점의 좌표를 {t, t#-4t+2}라고 하면 접선의 기울기 가 -1이므로 `f '{t}=3t@-4=-1, t@=1 ∴ t=-1 또는 t=1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1, 5} 또는 {1, -1}이므로 2 ⑴ `f{x}=x@-6x+5라고 하면 `f '{x}=2x-6 접점의 좌표를 {t, t@-6t+5}라고 하면 접선의 기울기 가 6이므로 `f '{t}=2t-6=6 ∴ t=6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6, 5}이므로 구하는 접선의 방정 식은 y-5=6{x-6} ∴ y=6x-31 ⑵ `f{x}=-2x#+9x@-6x-5라고 하면 `f '{x}=-6x@+18x-6 접점의 좌표를 {t, -2t #+9t @-6t-5}라고 하면 접선 의 기울기가 6이므로 `f '{t}=-6t@+18t-6=6 t@-3t+2=0, {t-1}{t-2}=0 ∴ t=1 또는 t=2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1, -4} 또는 {2, 3}이므로 구 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4=6{x-1} 또는 y-3=6{x-2} ∴ y=6x-10 또는 y=6x-9 II. 미분 23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2 ∴ a-b=3 yy`㈐ yy`㈑ yy`㈒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5=-{x+1} 또는 y+1=-{x-1} ∴ y=-x+4 또는 y=-x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23 2018-04-26 오후 1:42:04 3 ⑴ f{x}=-2x@+3x라고 하면 f '{x}=-4x+3 접점의 좌표를 {t, -2t@+3t}라고 하면 접선의 기울기 는 f '{t}=-4t+3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2t@+3t}={-4t+3}{x-t} ∴ y={-4t+3}x+2t@ 이 직선이 점 {-1, -3}을 지나므로 -3={-4t+3}\{-1}+2t@ yy`㉠ t@+2t=0, t{t+2}=0 ∴ t=0 또는 t=-2 이것을 ㉠에 대입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3x 또는 y=11x+8 ⑵ f{x}=x#+1이라고 하면 f '{x}=3x@ 접점의 좌표를 {t, t#+1}이라고 하면 접선의 기울기는 `f '{t}=3t@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t#+1}=3t@{x-t} ∴ y=3t@x-2t#+1 yy`㉠ 이 직선이 점 {1, -3}을 지나므로 -3=3t@-2t#+1, 2t#-3t@-4=0 {t-2}{2t@+t+2}=0 ∴ t=2 {∵ 2t@+t+2>0} 이것을 ㉠에 대입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12x-15 f '{x}=2x-2 접점의 좌표를 {t, t@-2t+3}이라고 하면 접선의 기울 기는 f '{t}=2t-2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t@-2t+3}={2t-2}{x-t} ∴ y={2t-2}x-t@+3 이 직선이 점 {-2, 10}을 지나므로 10={2t-2}\{-2}-t@+3 yy`㉠ t@+4t+3=0, {t+3}{t+1}=0 ∴ t=-3 또는 t=-1 이것을 ㉠에 대입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8x-6 또는 y=-4x+2 ⑵ f{x}=-x#+3x-1이라고 하면 f '{x}=-3x@+3 접점의 좌표를 {t, -t#+3t-1}이라고 하면 접선의 기 울기는 f '{t}=-3t@+3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t#+3t-1}={-3t@+3}{x-t} ∴ y={-3t@+3}x+2t#-1 이 직선이 점 {0, 1}을 지나므로 1=2t#-1, t#-1=0, {t-1}{t@+t+1}=0 ∴ t=1 {∵ t@+t+1>0} yy`㉠ 이것을 ㉠에 대입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1 24 정답과 해설 5 f{x}=x#-3x@+x+1이라고 하면 f '{x}=3x@-6x+1 점 {2,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2}=12-12+1=1 이므로 점 {2,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1}=x-2 ∴ y=x-3 곡선 y=x#-3x@+x+1과 접선 y=x-3의 식을 연립하 여 교점의 x좌표를 구하면 x#-3x@+x+1=x-3 x#-3x@+4=0 {x+1}{x-2}@=0 표는 {-1, -4} ∴ x=-1 또는 x=2 즉, 교점의 좌표는 {-1, -4}, {2, -1}이므로 점 P의 좌 6 f{x}=-x#-x@+x+4라고 하면 f '{x}=-3x@-2x+1 점 {1,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1}=-3-2+1=-4 이므로 점 {1,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3=-4{x-1} ∴ y=-4x+7 곡선 y=-x#-x@+x+4와 접선 y=-4x+7의 식을 연 립하여 교점의 x좌표를 구하면 -x#-x@+x+4=-4x+7 {x+3}{x-1}@=0 ∴ x=-3 또는 x=1 즉, 교점의 좌표는 {-3, 19}, {1, 3}이므로 점 P의 좌표는 {-3, 19} 7 함수 f{x}=-x@+6x는 닫힌구간 [-1, 2]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1, 2}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 =`f '{c}인 c가 열린구간 {-1, 2}에 하여 f{2}-f{-1} 2-{-1}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f '{x}=-2x+6이므로 8-{-7} 3 =-2c+6 ∴ c= 1 2 8 함수 f{x}=x#-2x+2는 닫힌구간 [0, 3]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0, 3}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f{3}-f{0} 3-0 =f '{c}인 c가 열린구간 {0, 3}에 적어도 하 나 존재한다. `f '{x}=3x@-2이므로 23-2 3 =3c@-2, c@=3 ∴ c=j3 {∵ 0f{x2} 따라서 함수 f{x}= 1 x 은 열린구간 {0, E}에서 감소한다. ⑵ x10이므로 x2 2 ]@ 3 4 [ `f{x2}-f{x1}<0 ∴ f{x1}>f{x2} 따라서 함수 f{x}=-x#은 열린구간 {-E, E}에서 감소한다. 2 x=a, x=c, x=e의 좌우에서 함수 f{x}가 증가하다가 감 소하므로 f{x}는 x=a, x=c, x=e에서 극대이다. 따라서 극대가 되는 점의 개수는 3이다. 교/과/서/속 핵심 유형 닮은꼴 문제 p. 37 1 ⑴ `f{x}=x#- x@-6x+1에서 3 2 `f '{x}=3x@-3x-6=3{x+1}{x-2} `f '{x}=0에서 x=-1 또는 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f '{x} `f{x} y + ↗ -1 0 y - ↘ 따라서 함수 f{x}는 열린구간 {-E, -1}, {2, E}에 서 증가하고, 열린구간 {-1, 2}에서 감소한다. ⑵ `f{x}=-2x#+6x-7에서 `f '{x}=-6x@+6=-6{x+1}{x-1} `f '{x}=0에서 x=-1 또는 x=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 0 1 0 y + ↗ y - ↘ x `f '{x} `f{x} y - ↘ -1 0 y + ↗ `f '{x}=4x#-8x=4x{x+j2}{x-j2} `f '{x}=0에서 x=-j2 또는 x=0 또는 x=j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 -j2 y + 0 0 0 x `f '{x} - `f{x} ↘ ↗ y - ↘ j2 y + 0 ↗ 따라서 함수 f{x}는 열린구간 {-j2, 0}, {j2, E}에서 증가하고, 열린구간 {-E, -j2}, {0, j2}에서 감소한다. ⑵ `f{x}=x#-6x@+12x+3에서 `f '{x}=3x@-12x+12=3{x-2}@ `f '{x}=0에서 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f '{x} `f{x} y + ↗ 2 0 y + ↗ 이때 f '{2}=0이지만 x=2의 좌우에서 f '{x}>0이므 로 함수 f{x}는 x=2에서 증가한다. 따라서 함수 f{x}는 열린구간 {-E, E}에서 증가한다. 3 ` f '{x}=3x@+2kx+k+6이고 함수 f{x}가 열린구간 {-E, E}에서 증가하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0이어야 하므로 3x@+2kx+k+6>0 즉, 이차방정식 3x@+2kx+k+6=0의 판별식을 D라고 하면 D<0이어야 하므로 D 4 {k+3}{k-6}<0 ∴ -30 ∴ x<6 그런데 x>0이므로 00} 따라서 직선 y=ax+3이 점 {-1, 0}을 지나므로 0=-a+3 ∴ a=3 28 정답과 해설 4 f{x}=x#-x+1이라고 하면 `f '{x}=3x@-1 이때 점 A{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1}=2이므로 직선 L1의 방정식은 y-1=2{x-1} ∴ y=2x-1 또 직선 L1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 1 2 이므로 직선 L2의 방정식은 1 2 y-1=- {x-1} ∴ y=- x+ 1 2 3 2 0, 따라서 B{0, -1}, C [ 3 2 ]이므로 삼각형 ABC의 넓이는 1 2 \ [ 3 2 +1 \1= ] 5 4 5 f{x}=x#+ax+2, g{x}=bx@+3이라고 하면 `f '{x}=3x@+a, g'{x}=2bx 두 곡선이 x=1인 점에서 공통인 접선을 가지므로 `f{1}=g{1}에서 1+a+2=b+3 yy`㉠ `f '{1}=g'{1}에서 3+a=2b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3 따라서 함수 g{x}=3x@+3의 그래프 위의 점 {1, 6}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면 g'{x}=6x에서 g'{1}=6이므로 y-6=6{x-1} ∴ y=6x 좌표이다. 이때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점 {-2, f{-2}}, {3, f{3}}을 지나는 직선과 평행한 접선을 6개 그릴 수 있으므로 상수 c의 개수는 6이다. y y=f{x} -2 O 3 x 7 x10이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f '{x}=0의 판 별식을 D라고 하면 =a@+3a<0 D 4 a{a+3}<0 ∴ -34 따라서 상수 a의 최솟값은 4이다. y=f '{x} 1 3@ 2 x 10 f{x}=x#+ax@+bx-100에서 `f '{x}=3x@+2ax+b 함수 f{x}가 x=-5와 x=1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f '{-5}=0, f '{1}=0 75-10a+b=0, 3+2a+b=0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6, b=-15 따라서 f{x}=x#+6x@-15x-100이므로 구하는 극댓값은 `f{-5}=-125+150+75-100=0 11 f{x}=2x#-3ax@-12a@x에서 `f '{x}=6x@-6ax-12a@=6{x+a}{x-2a} `f '{x}=0에서 x=-a 또는 x=2a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f '{x} `f{x} y + ↗ -a 0 7a# y - ↘ 2a 0 -20a# y + ↗ 함수 f{x}의 극댓값은 f{-a}=7a#, 극솟값은 `f{2a}=-20a#이다. 이때 극댓값과 극솟값의 차가 1이므로 7a#-{-20a#}=1 a#= ∴ a= 1 27 1 3 12 삼차함수 f{x}=ax#+bx@+cx+d의 그래프에서 x ! E이므로 a>0 일 때, f{x} 또 x=0일 때 y축의 음의 부분과 만나므로 d<0 곡선 y=f{x}의 접선의 기울기가 0이 되는 접점의 x좌표 가 방정식 f '{x}=0의 실근과 같으므로 방정식 f '{x}=0 E ! 의 두 실근은 서로 다른 양수이다. `f '{x}=3ax@+2bx+c=0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의 합)=- >0, (두 근의 곱)= >0 2b 3a c 3a 이때 a>0이므로 b<0, c>0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13 f{x}=x#+ax@+bx+c에서 f '{x}=3x@+2ax+b 함수 y=f '{x}의 그래프에서 f '{0}=0, f '{2}=0이므로 b=0, 12+4a+b=0 ∴ a=-3, b=0 ∴ f{x}=x#-3x@+c 이때 함수 f{x}는 x=0에서 극대이고 극댓값이 3이므로 `f{0}=c=3 따라서 f{x}=x#-3x@+3이고 x=2에서 극소이므로 극솟 값은 `f{2}=8-12+3=-1 14 ㄱ. 열린구간 {-3, -2}에서 f '{x}>0이므로 함수 f{x}는 열린구간 {-3, -2}에서 증가한다. ㄴ. 열린구간 {4, 6}에서 f '{x}>0이므로 함수 f{x}는 열 린구간 {4, 6}에서 증가한다. ㄷ. `f '{-2}=0이고 x=-2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므로 함수 f{x}는 x=-2에서 극 대이다. 는다. ㄹ. `f '{4}=0이지만 x=4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바 뀌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4에서 극값을 갖지 않 ㅁ. 함수 f{x}는 x=-2에서 극대이고 x=1에서 극소이므 로 극값은 2개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15 함수 y=f '{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가 -2, 3이므로 f '{x}=0에서 x=-2 또는 x=3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f '{x} `f{x} y - ↘ -2 0 y + ↗ 3 0 y + ↗ 즉, 함수 f{x}는 x<-2에서 감소하고 x>-2에서 증가 하며 x=-2에서 극소이다. 또 x=3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바뀌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3에서 극값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가 될 수 있는 것은 ③이다. II. 미분 29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29 2018-04-26 오후 1:42:05 16 f '{x}=6x@+6{a-1}x+6이고,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으려면 이차방정식 f '{x}=0이 중근 또는 허근을 가져야 하므로 판별식을 D라고 하면 D 4 {a+1}{a-3}<0 ∴ -10 ∴ a>-3 2 1 x @ f '{-1}=a-9<0 ∴ a<9 # f '{2}=a<0 $ 이차함수 y=f '{x}의 축의 방정식은 x=1이므로 축은 y=f '{x} 열린구간 {-1, 2}에 있다. !~$에 의하여 a의 값의 범위는 -30} t `f '{t} `f{t} y - ↘ 1 0 90 극소 y + ↗ 30 정답과 해설 따라서 함수 f{t}는 t=1에서 최소이므로 구하는 최솟값은 f{1}=90 20 직육면체의 밑면인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x, 직육면체 의 높이를 y라고 하면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이 36이므로 9 2 ] 8x+4y=36 ∴ y=9-2x [단, 0 @ 4{x-1}{x@+x+a}=0이 한 실근과 중근을 갖는 경우 이차방정식 x@+x+a=0이 x=1을 근으로 갖거나 1이 아닌 실수를 중근으로 가져야 한다. 1+1+a=0 ∴ a=-2 z 이차방정식 x@+x+a=0이 x=1을 근으로 가질 때 x 이차방정식 x@+x+a=0이 1이 아닌 실수를 중근 으로 가질 때 판별식을 D라고 하면 D=1-4a=0 ∴ a= 1 4 !, @에 의하여 상수 a의 값의 범위는 1 a=-2 또는 a> 4 따라서 상수 a의 최솟값은 -2이다.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30 2018-04-26 오후 1:42:06 Z Z 따라서 S{a}는 a= 2 3 에서 최대이므로 겹치는 부분의 넓이 따라서 a= 1 9 , b=3이므로 ab= 1 3 yy`㈑ 22 정사각형 EFGH의 두 대각선의 교점의 좌표를 {a, a@}이 라고 하면 두 정사각형이 겹치는 부분의 넓이 S{a}는 S{a} = - - a- [ 1 2 1 2 ]=-[ a@+ 1 2 ] - 1 2 = ={1-a}a@ 1 2 0이므로 함수 f{x}는 x=4에서 최댓값 b, x=3 에서 최솟값 -27a+b를 갖는다. b=3, -27a+b=0 yy`㈐ yy`㈏ 채점 기준 ㈎ `f '{x}를 구한다. ㈏ `함수 f{x}의 증가, 감소를 표로 나타낸다. ㈐ a, b에 대한 식을 세운다. ㈑ ab의 값을 구한다. 26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뿔에 내접하 는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 를 x cm, 높이를 y cm라고 하면 6 : 18=x : {18-y}, 18-y=3x ∴ y=-3x+18 {단, 00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은 한 실근과 두 허근을 갖는다. 2 ⑴ f{x}=x#-3x+7이라고 하면 f '{x}=3x@-3=3{x+1}{x-1} f '{x}=0에서 x=-1 또는 x=1 x>-1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f '{x} `f{x} -1 0 9 f{x}>0이다. y - ↘ 1 0 5 극소 y + ↗ 교/과/서/속 핵심 유형 닮은꼴 문제 p. 45 1 주어진 방정식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함수 y=x#-6x@+9x의 그래프와 직선 y=a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f{x}=x#-6x@+9x라고 하면 `f '{x}=3x@-12x+9=3{x-1}{x-3} 32 정답과 해설 `f '{x}=0에서 x=1 또는 x=3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f '{x} `f{x} y + ↗ 1 0 4 극대 y - ↘ 3 0 0 극소 y + ↗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y=f{x}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0-1일 때, 함수 f{x}는 x=1에서 최솟값 5를 갖는다. ⑵ x>-1일 때, 함수 f{x}의 최솟값은 5이고 5>0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도록 하는 실수 a의 값 따라서 x>-1일 때, 부등식 x#-3x+7>0이 성립한다. 의 범위는 324 4 1 O -2 x -3 2x#+x@-3x+4=-2x@+9x+a에서 2x#+3x@-12x+4-a=0 f{x}=2x#+3x@-12x+4-a라고 하면 f '{x}=6x@+6x-12=6{x+2}{x-1} f '{x}=0에서 x=-2 또는 x=1 삼차방정식 f{x}=0이 한 실근과 두 허근을 가지려면 (극댓값)\(극솟값)>0, 즉 f{-2}f{1}>0이어야 하므로 {24-a}{-3-a}>0 {a+3}{a-24}>0 / a<-3 또는 a>24 4 두 곡선 y=x#-2x@-5x+7, y=x@+4x+a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방정식 x#-2x@-5x+7=x@+4x+a, 즉 x#-3x@-9x+7=a가 중근과 다른 한 실근을 가져야 한다. f{x}=x#-3x@-9x+7이라고 하면 f '{x} =3x@-6x-9 =3{x+1}{x-3} f '{x}=0에서 x=-1 또는 x=3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f '{x} `f{x} y + ↗ -1 0 12 극대 y - ↘ 3 0 -20 극소 y + ↗ -20 x#-2x@-5x+7=x@+4x+a에서 x#-3x@-9x+7-a=0 f{x}=x#-3x@-9x+7-a라고 하면 f '{x}=3x@-6x-9=3{x+1}{x-3} f '{x}=0에서 x=-1 또는 x=3 삼차방정식 f{x}=0이 중근과 다른 한 실근을 가지려면 (극댓값)\(극솟값)=0, 즉 f{-1}f{3}=0이어야 하므로 {12-a}{-20-a}=0, {a+20}{a-12}=0 / a=-20 또는 a=12 5 f{x}=2x#+3x@-12x+7이라고 하면 `f '{x}=6x@+6x-12=6{x+2}{x-1} `f '{x}=0에서 x=1 {∵ x>0} x>0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 과 같다. x `f '{x} `f{x} 한다. 0 - 7 y - ↘ 1 0 0 극소 y + ↗ x>0일 때, 함수 f{x}의 최솟값은 f{1}=0이고, f{1}>0 이므로 f{x}>0이다. 따라서 x>0일 때, 부등식 2x#+3x@-12x+7>0이 성립 6 x$+4x@+9>-2x@+16x에서 x$+6x@-16x+9>0 f{x}=x$+6x@-16x+9라고 하면 `f '{x} =4x#+12x-16=4{x-1}{x@+x+4} `f '{x}=0에서 x=1 {∵ x@+x+4>0}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f '{x} `f{x} y - ↘ 1 0 0 극소 y + ↗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함수 f{x}의 최솟값은 f{1}=0이고, f{1}>0이므로 f{x}>0이다. 따라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x$+4x@+9>-2x@+16x가 성립한다. II. 미분 33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33 2018-04-26 오후 1:42:07 7 함수 y=f{x}의 그래프가 함수 y=g{x}의 그래프보다 항 상 위쪽에 있으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g{x}, 즉 f{x}-g{x}>0이어야 한다. h{x}=f{x}-g{x}라고 하면 h{x}=x$-3x#+2x-{x#+2x+k}=x$-4x#-k / h'{x}=4x#-12x@=4x@{x-3} h'{x}=0에서 x=0 또는 x=3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h'{x} `h{x} y - ↘ 0 0 -k y - ↘ 3 0 -27-k 극소 y + ↗ 따라서 함수 h{x}의 최솟값은 h{3}=-27-k이므로 모 든 실수 x에 대하여 h{x}>0이 성립하려면 -27-k>0 / k<-27 8 닫힌구간 [0, 4]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가 함수 y=g{x}의 그래프보다 아래쪽에 있다는 것은 함수 y=g{x} 의 그래프가 함수 y=f{x}의 그래프보다 위쪽에 있다는 것 과 같다. 즉, 닫힌구간 [0, 4]에서 g{x}-f{x}>0이어야 한다. h{x}=g{x}-f{x}라고 하면 h{x} =3x#+x@-12x+k-{x#-2x@+24x} =2x#+3x@-36x+k / h'{x}=6x@+6x-36=6{x+3}{x-2} h'{x}=0에서 x=2 {? 00이 성립하려면 k-44>0 / k>44 따라서 자연수 k의 최솟값은 45이다. 1 강 속도와 가속도 p. 46 1 v= =3t@-6, a= =6t dx dt dv dt 34 정답과 해설 2 ⑴ l=3+2t dl dt =2 ⑵ ⑷ dS dt 8\5+12=52 ⑶ S={3+2t}{3+2t}=4t@+12t+9 =8t+12이므로 시각 t=5에서의 S의 변화율은 교/과/서/속 핵심 유형 닮은꼴 문제 p. 47 1 ⑴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 가속도를 a라고 하면 v= =-3t@+18t-24, a= =-6t+18 따라서 시각 t=1에서의 점 P의 속도와 가속도는 각각 v=-3+18-24=-9, a=-6+18=12 ⑵ 운동 방향이 바뀌는 순간의 속도는 0이므로 v=-3t@+18t-24=0에서 -3{t-2}{t-4}=0 ∴ t=2 또는 t=4 따라서 점 P의 운동 방향이 처음으로 바뀌는 시각은 2이다. 2 ⑴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 가속도를 a라고 하면 v= =3t@-6t-9, a= =6t-6 dx dt dv dt dx dt dv dt 따라서 시각 t=5에서의 점 P의 속도와 가속도는 각각 v=75-30-9=36, a=30-6=24 ⑵ 운동 방향이 바뀌는 순간의 속도는 0이므로 v=3t@-6t-9=0에서 3{t+1}{t-3}=0 ∴ t=3 {∵ t>0} 따라서 점 P가 운동 방향을 바꿀 때의 위치는 t=3에서 의 점 P의 위치이므로 x=3#-3\3@-9\3+4=-23 3 ㄱ. 30, 20이므로 점 P는 움직이는 방향을 t=2, t=5에서 2 번 바꾼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34 2018-04-26 오후 1:42:07 ㄷ. t=a에서 v>0, t=c에서 v<0이므로 t=a일 때와 t=c일 때의 점 P의 운동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족집게 기출문제 10~11강 p. 48~51 4 ㄱ. 00, b0} 따라서 물체가 다시 지면에 떨어지는 순간의 속도 v는 v =20-10\4=-20 {m/s} 6 자동차가 제동이 걸린 지 t초 후의 속도를 v m/s라고 하면 v= =30-6t dx dt 자동차가 정지할 때의 속도는 0이므로 30-6t=0 / t=5 따라서 자동차가 정지할 때까지 걸린 시간은 5초이므로 자 동차가 움직인 거리 x는 x=30\5-3\5@=75 {m} 7 t초 후의 가로의 길이는 5+t, 세로의 길이는 5+2t이므로 t초 후의 이 사각형의 넓이를 S라고 하면 S ={5+t}{5+2t}=25+15t+2t@ 즉, t초 후의 이 사각형의 넓이의 변화율은 dS dt =15+4t 따라서 10초 후의 이 사각형의 넓이의 변화율은 15+4\10=55 8 t초 후의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는 {4+2t} cm이므 로 t초 후의 이 정육면체의 부피를 V cm#라고 하면 V={4+2t}# 즉, t초 후의 이 정육면체의 부피의 변화율은 dV dt =3{4+2t}@\2=6{4+2t}@ 따라서 3초 후의 이 정육면체의 부피의 변화율은 6{4+2\3}@=600 {cm#/s} 1 ③ 4 ㄱ, ㄴ 9 ③ 14 ① 19 0-16 7 a>-4 8 ④ 13 ① 12 ② 11 ④ 18 ⑤ 16 ② 17 ⑤ 20 ㄱ, ㄴ, ㄷ 21 ④ 23 ⑴ v=4t-5, a=4 ⑵ 7 1 주어진 방정식에서 2x#-3x@-12x+4=a이므로 이 방정 식의 실근의 개수는 함수 y=2x#-3x@-12x+4의 그래프 와 직선 y=a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f{x}=2x#-3x@-12x+4라고 하면 `f '{x} =6x@-6x-12 =6{x+1}{x-2} `f '{x}=0에서 x=-1 또는 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f '{x} f{x} y + ↗ -1 0 11 극대 y - ↘ 이때 함수 y = f { x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한 실근 과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a<-16 또는 a>11 따라서 p=-16, q=11이므로 p+q=-5 y + ↗ 2 0 -16 극소 y y=f{x} 11 y=a 4 2 -1 O x -16 y=a 2 주어진 방정식에서 2x$-4x@+5=-a이므로 이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는 함수 y=2x$-4x@+5의 그래프와 직선 y=-a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f{x}=2x$-4x@+5라고 하면 `f '{x}=8x#-8x=8x{x+1}{x-1} `f '{x}=0에서 x=-1 또는 x=0 또는 x=1 II. 미분 35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35 2018-04-26 오후 1:42:07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5 f{x}=x$-4x#+a라고 하면 이때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 y y=f{x} 7 h{x}=f{x}-g{x}라고 하면 `f '{x} - x `f{x} y -1 y 0 + 3 극소 ↘ ↗ 0 0 5 극대 y - ↘ 1 0 3 극소 y + ↗ 이때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 y=f{x} 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서로 다른 네 실근을 갖도록 하는 실수 a의 y 5 3 y=-a -1 O 1 x 값의 범위는 3<-a<5 ∴ -50이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a-27>0 ∴ a>27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27이다. 6 f{x}=x#-9x@+24x+k라고 하면 f '{x}=3x@-18x+24=3{x-2}{x-4} x>4에서 f '{x}=0인 x의 값이 없으므로 함수 f{x}는 최 솟값이 없다. 그런데 x>4에서 f '{x}>0이므로 함수 f{x}는 x>4에서 증가한다. 따라서 x>4일 때, f{x}>0이 성립하려면 f{4}>0이어야 하므로 f{4}=4#-9\4@+24\4+k=k+16>0 / k>-16 h{x} =2x#+3x@-{x#-a}=x#+3x@+a ∴ h'{x}=3x@+6x=3x{x+2} 열린구간 {1, 3}에서 h'{x}=0인 x의 값이 없으므로 함수 h{x}는 최솟값이 없다. 그런데 열린구간 {1, 3}에서 h'{x}>0이므로 함수 h{x} 는 열린구간 {1, 3}에서 증가한다. 따라서 열린구간 {1, 3}에서 h{x}>0, 즉 f{x}>g{x}를 만족하려면 h{1}>0이어야 하므로 1+3+a>0 ∴ a>-4 8 함수 y=f{x}의 그래프가 함수 y=g{x}의 그래프보다 항 상 아래쪽에 있으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0이어야 한다. h{x}=g{x}-f{x}라고 하면 h{x} =2x#+4x@-25x+k-{x#+x@+20x+1} =x#+3x@-45x+k-1 / h'{x}=3x@+6x-45=3{x+5}{x-3} h'{x}=0에서 x=-5 또는 x=3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h'{x} h{x} y + ↗ -5 0 k+174 극대 y - ↘ 3 0 k-82 극소 y + ↗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36 2018-04-26 오후 1:42:08 따라서 함수 h{x}의 최솟값은 h{3}=k-82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h{x}>0이 성립하려면 h{3}=k-82>0 / k>82 따라서 자연수 k의 최솟값은 83이다. ㉠, ㉡을 연립하여 풀면 m=-6, n=9 ∴ v=3t@-12t+9=3{t-1}{t-3}, a=6t-12 9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 가속도를 a라고 하면 dx dt dx dt v= =-3t@+6t, a= =-6t+6 dv dt 점 P의 가속도가 0이면 -6t+6=0 / t=1 따라서 t=1일 때의 점 P의 위치 x는 x=-1+3+4=6 10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라고 하면 v= =6t@-12t-1=6{t-1}@-7 00에 서 속도 v의 부호가 두 번째로 바뀌는 것은 t=4일 때이므 로 이때의 점 P의 가속도 a는 a=6\4-18=6 12 두 점 P, Q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각각 vp, vq라고 하면 vp=3t@-6t+1, vq=-t+3 두 점 P, Q의 속도가 같아지는 순간은 vp=vq일 때이므로 3t@-6t+1=-t+3, 3t@-5t-2=0 {3t+1}{t-2}=0 ∴ t=2 {∵ t>0} 따라서 t=2일 때, xp=8-12+2+2=0, xq=-2+6-1=3 이므로 두 점 P, Q 사이의 거리는 3이다. 13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 가속도를 a라고 하면 v=3t@+2mt+n, a=6t+2m 점 P는 t=1에서 운동 방향을 바꾸므로 t=1에서 v=0이다. 3+2m+n=0 yy`㉠ 또 t=1에서의 위치가 8이므로 1+m+n+4=8 yy`㉡ 따라서 점 P가 t=1 이외에 운동 방향을 바꾸는 시각은 v=0에서 t=3이므로 이때의 가속도 a는 a=18-12=6 14 ㄱ. e0, df에서 v>0 이므로 점 P는 움직이는 방향을 t=d, t=f에서 두 번 바꾼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이다. 15 로켓의 t초 후의 속도를 v m/s라고 하면 v= =10-10t dh dt 최고 높이에 도달했을 때, v=0이므로 10-10t=0 ∴ t=1 따라서 로켓의 최고 높이 h는 h=10-5=5 {m} 16 사람이 1 m/s의 속도로 움직이므로 t초 동안 움직인 거리 는 t m이다. 그림자의 앞끝이 t초 동안 움 직이는 거리를 x m라고 하면 오른쪽 그림에서 ABCT DEC이므로 3.4`:`x=1.7`:`{x-t} s s 1.7x=3.4{x-t} A D 1.7`m 3.4`m l`m C t`mE x`m B x=2{x-t} / x=2t 이때 그림자의 길이를 l m라고 하면 l=CE l =CB =x-t=2t-t=t -BE Z 이므로 따라서 그림자의 길이의 변화율은 dl dt =1 {m/s} II. 미분 37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37 2018-04-26 오후 1:42:08 Z Z 17 t초 후의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6+2t}이므로 t초 후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의 정삼각형의 넓이를 S라고 하면 S= j3 4 {6+2t}@=9j3+6j3t+j3t@ 즉, t초 후의 정삼각형의 넓이의 변화율은 dS dt 따라서 t=10일 때, 정삼각형의 넓이의 변화율은 6j3+2j3\10=26j3 =6j3+2j3t 18 t초 후의 고무 풍선의 반지름의 길이는 {10+t} cm이므로 고무 풍선의 부피를 V cm#라고 하면 4 3 V = p{10+t}#= p{1000+300t+30t@+t#} 4 3 즉, t초 후의 고무 풍선의 부피의 변화율은 dV dt 따라서 t=3일 때, 고무 풍선의 부피의 변화율은 4 3 p{300+180+27}=676p {cm#/s} p{300+60t+3t@} 4 3 = 19 f{x}=x#-6x@이라고 하면 f '{x}=3x@-12x 접점의 좌표를 {t, t#-6t@}이라고 하면 접선의 기울기는 f '{t}=3t@-12t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t#-6t@}={3t@-12t}{x-t} ∴ y={3t@-12t}x-2t#+6t@ 이 직선이 점 {0, a}를 지나므로 a=-2t#+6t@ 이때 점 {0, a}에서 곡선 y=x#-6x@에 그은 서로 다른 접 선이 3개이므로 방정식 a=-2t #+6t @은 서로 다른 세 실 근을 가져야 한다. g{t}=-2t #+6t @이라고 하면 g'{t}=-6t@+12t=-6t{t-2} g'{t}=0에서 t=0 또는 t=2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함수 y=g{t}의 그래프는 오 y=g{t} t g '{t} g{t} y - ↘ 0 0 0 극소 y + ↗ 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방정식 a=-2t #+6t @이 서로 다른 세 실근 을 갖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 는 00에서 만나지 않는다. ㄷ. 0<4a<4, 즉 00} 4 주어진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0=1-2a-9 ∴ a=-4 x 따라서 ? 미분하면 1 `f{x}=2x+8 f{t}`dt=x@+8x-9이므로 양변을 x에 대하여 5 f{t}=t$-t#+2t@+3으로 놓고, 함수 f{t}의 한 부정적분 {t$-t#+2t@+3}`dt f{t}`dt 을 F{t}라고 하면 1 x x-2 ? 2 lim 2 x` ! 1 x x-2 ? 2 =lim 2 x` ! x } 2 F{t} =lim 2 x` ! 1 x-2 { F{x}-F{2} x-2 =F '{2}=f{2} =16-8+8+3=19 =lim 2 x` !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42 2018-04-27 오후 3:56:12 6 f{t}=t#-3t@+t-5로 놓고, 함수 f{t}의 한 부정적분을 F{t}라고 하면 x 1 x@-1 ? 1 1 lim 1 x` ! x x@-1 ? 1 F{x}-F{1} x@-1 1 2 F '{1}= =lim 1 x` ! =lim 1 x` ! 1 2 = {t#-3t@+t-5}`dt F{t} x } 1 1 f{t}`dt=lim x@-1 { x` 1 ! F{x}-F{1} x-1 =lim 1 x` ! \ 1 x+1 f{1}= \{1-3+1-5}=-3 1 2 7 f{x}=4x#-2x+1로 놓고,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고 하면 {4x#-2x+1}`dx lim 0 h` ! 1+h 1+h 1 h ? 1 1 h ? 1 F{1+h}-F{1} h =lim 0 h` ! =lim 0 h` ! f{x}`dx=lim 0 ! h` =4-2+1=3 1+h 1 h { F{x} } 1 =F '{1}=f{1} 8 f{x}=x$-2x@+3x+7로 놓고,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 lim 0 h` ! =lim 0 h` ! =lim 0 h` ! =lim 0 h` ! =lim 0 h` ! 을 F{x}라고 하면 {x$-2x@+3x+7}`dx 3+h 3+h 1 h ? 3-h 1 f{x}`dx=lim h ? 3-h h` 0 ! F{3+h}-F{3-h} h 1 h { F{x} 3+h } 3-h F{3+h}-F{3}+F{3}-F{3-h} h F{3+h}-F{3} h +lim 0 h` ! F{3-h}-F{3} -h =F '{3}+F '{3}=2F '{3}=2f{3} =2\{81-18+9+7}=158 1 ⑴ d dx -? xf{x}`dx = xf{x}=2x@-5x / f{x}=2x-5 =xf{x}이므로 d dx -? 3xf{x}`dx = 3xf{x}=3x@+6x / f{x}=x+2 =3xf{x}이므로 ⑵ d dx d dx ⑶ F{x} =? - {x#+3x+2} dx = =x#+3x+2+C / f{x}=F '{x}=3x@+3 ⑷ F{x} =? - {2x#-5x@+7} dx = =2x#-5x@+7+C / f{x}=F'{x}=6x@-10x 2 ⑴ ? {-x@+5x-4}`dx=- 1 3 5 2 x#+ x@-4x+C ⑵ ? {2x#+3x@-4x+1}`dx= x$+x#-2x@+x+C ⑶ ? {3x+2}{x-3}`dx =? {3x@-7x-6}`dx =x#- x@-6x+C 1 2 7 2 ⑷ ? {2x@-1}{4x+1}`dx =? {8x#+2x@-4x-1}`dx =2x$+ x#-2x@-x+C 2 3 3 ⑴ ? {x+2}@`dx+? {x-2}@`dx =? {x@+4x+4}`dx+? {x@-4x+4}`dx 2 3 =? {2x@+8}`dx= x#+8x+C ⑵ ? x$ x@+1 dx-? 1 x@+1 dx =? x$-1 x@+1 {x@+1}{x@-1} x@+1 dx dx=? 1 3 =? {x@-1}`dx= x#-x+C ⑶ ? x@ x+2 dx+? x-2 x+2 dx =? x@+x-2 x+2 {x+2}{x-1} x+2 dx dx=? 1 2 x@-x+C =? {x-1}`dx= x# x@+2x+4 ⑷ ? dx-? 8 x@+2x+4 dx =? x#-8 x@+2x+4 dx=? {x-2}{x@+2x+4} x@+2x+4 dx =? {x-2}`dx= x@-2x+C 1 2 { 1 } -2 2 } 1 1 4 ⑴ ? -2 {6x+5}`dx= 3x@+5x =8-2=6 2 2 ⑵ ? 1 ⑶ ? 3 -1 ⑷ ? 3 {9x@+4x-2}`dx = 3x#+2x@-2x =28-93=-65 {6x@-8x+3}`dx = 2x#-4x@+3x 2 } 3 -1 } 3 { { { =-9-27=-36 4 5 ⑴ ? 1 {x+4}@`dx-? 1 {6k+9}`dk 4 4 4 =? 1 {x@+8x+16}`dx-? 1 {6x+9}`dx {x@+2x+7}`dx= x#+x@+7x 4 } 1 4 1 3 { 1 =? 196 3 = - =57 25 3 III. 적분 43 계산력 다지기 p. 58~59 {3x@-2x+1}`dx= x#-x@+x =6-1=5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43 2018-04-26 오후 1:42:11 3 3 3 2 2 1 1 2 3 3 5 0 1 3 3 ⑵ ? -2 {3t-2}@`dt+? -2 {12x-8}`dx =? -2 {3x-2}@`dx+? -2 {12x-8}`dx 3 3 3 =? -2 {9x@-12x+4}`dx+? -2 {12x-8}`dx {9x@-4}`dx= =? =69-{-16}=85 -2 3x#-4x { } -2 -1 dx+? 2 dx 1 x@+x+1 2 1 x@+x+1 dx 2 ⑶ ? -1 x# x@+x+1 2 =? -1 x# x@+x+1 x#-1 x@+x+1 =? -1 =? -1 1 ⑷ ? -1 x# x+3 1 dx-? -1 -1 dx=? 1 2 { -1 27 x+3 1 dx-? 1 dx =? -1 x# x+3 dx+? -1 27 x+3 dx {x-1}`dx= x@-x =0- =- 2 } -1 3 2 3 2 2 {x-1}{x@+x+1} x@+x+1 dx =? -1 x#+27 x+3 dx=? -1 1 {x+3}{x@-3x+9} x+3 dx {x@-3x+9}`dx= x#- x@+9x 1 3 { 3 2 1 } -1 -1 =? 47 6 = - - [ 65 6 ] = 56 3 2 6 ⑴ ? -1 {3t@-5}`dt+? 2 {3x@-5}`dx =? -1 {3x@-5}`dx+? 2 {3x@-5}`dx 3 3 { {3x@-5}`dx= x#-5x =12-4=8 =? -1 3 ⑵ ? 2 {4x#+3x@-2x}`dx+? 3 {4s#+3s@-2s}`ds =? 2 {4x#+3x@-2x}`dx+? 3 {4x#+3x@-2x}`dx {4x#+3x@-2x}`dx= x$+x#-x@ 5 } 2 3 } -1 5 5 { =? =725-20=705 2 ⑶ (주어진 식) -1 =? -2 {6x@-2x}`dx+? -1 {6x@-2x}`dx 0 1 1 +? 0 {6x@-2x}`dx =? -2 {6x@-2x}`dx+? 0 {6x@-2x}`dx {6x@-2x}`dx= -2 =? =1-{-20}=21 1 1 2x#-x@ { } -2 ⑷ (주어진 식) =? -3 {5x$+1}`dx+? 1 {5x$+1}`dx 2 2 -3 {5x$+1}`dx= =? =34-{-246}=280 2 x%+x { } -3 44 정답과 해설 7 ⑴ f{t}=t@-2t+3으로 놓고, 함수 f{t}의 한 부정적분을 F{t}라고 하면 x 1 x-1 ? 1 lim 1 x` ! {t@-2t+3}`dt x x` x` 1 F{t} 1 x-1 { =lim 1 ! =lim 1 ! f{t}`dt=lim 1 ! x x-1 ? 1 F{x}-F{1} x-1 =F '{1}=f{1} =1-2+3=2 ⑵ f{t}=t#+t@-3t+1로 놓고, 함수 f{t}의 한 부정적분 } x` 1 을 F{t}라고 하면 lim 3 x` ! 1 x x-3 ? 3 {t#+t@-3t+1}`dt x x` x` 1 F{t} 1 x-3 { =lim 3 ! =lim 3 ! f{t}`dt=lim 3 ! x x-3 ? 3 F{x}-F{3} x-3 =F '{3}=f{3} =27+9-9+1=28 ⑶ f{t}=2t#-t@+2t+4로 놓고, 함수 f{t}의 한 부정적분 } x` 3 {2t#-t@+2t+4}`dt 1 f{t}`dt=lim x@-4 { 2 ! F{x}-F{2} x-2 x` F{t} x } 2 \ 1 x+2 =lim 2 x` ! 1 4 =F '{2}\ f{2}= \{16-4+4+4} 을 F{t}라고 하면 lim 2 x` ! =lim 2 ! x` =lim 2 ! x` 1 x x@-4 ? 2 1 x x@-4 ? 2 F{x}-F{2} x@-4 1 1 4 4 = =5 을 F{t}라고 하면 lim 1 x` ! 1 x x#-1 ? 1 1 {t$-3t@+5t-7}`dt =lim 1 ! x` =lim 1 ! x` x x#-1 ? 1 F{x}-F{1} x#-1 1 f{t}`dt=lim x#-1 { 1 ! F{x}-F{1} x-1 =lim 1 x` ! x` F{t} x } 1 \ 1 x@+x+1 ⑷ f{t}=t$-3t@+5t-7로 놓고, 함수 f{t}의 한 부정적분 =F '{1}\ = f{1} 1 3 1 3 = \{1-3+5-7}=- 1 3 4 3 8 ⑴ f{x}=2x@+x-4로 놓고,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을 {2x@+x-4}`dx f{x}`dx=lim 0 ! h` 2+h 1 h { F{x} } 2 F{x}라고 하면 lim 0 h` ! 2+h 1 h ? 2 2+h h` =lim 0 ! 1 h ? 2 F{2+h}-F{2} h =F '{2}=f{2} =8+2-4=6 =lim 0 ! h`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44 2018-04-26 오후 1:42:11 ⑵ f{x}=-x#+2x@-5x+3으로 놓고,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고 하면 lim 0 h` ! 3-h 1 h ? 3 {-x#+2x@-5x+3}`dx =lim 0 ! h` =lim 0 ! h` 3-h f{x}`dx=lim 0 ! 1 h ? 3 F{3-h}-F{3} h h` =-lim 0 ! h` 3-h 1 h { F{x} } 3 F{3-h}-F{3} -h =-F '{3}=-f{3}=-{-27+18-15+3}=21 ⑶ f{x}=3x#-4x@+x-6으로 놓고, 함수 f{x}의 한 부 정적분을 F{x}라고 하면 lim 0 h` ! 4 1 h ? 4+h {3x#-4x@+x-6}`dx =lim 0 ! h` =lim 0 ! h` 4+h `f{x}`dx=lim 0 ! 4 1 h ? F{4}-F{4+h} h h` 1 h { F{x} 4 } 4+h =-lim 0 ! h` F{4+h}-F{4} h =-F '{4}=-f{4}=-{192-64+4-6}=-126 ⑷ f{x}=x$-2x#+6x-1로 놓고, 함수 f{x}의 한 부정 적분을 F{x}라고 하면 1-h lim 0 h` ! 1 h ? 1+h {x$-2x#+6x-1}`dx =lim 0 ! h` =lim 0 ! h` =lim 0 ! h` 1-h 1+h 1 f{x}`dx=lim h ? 0 ! F{1-h}-F{1+h} h h` 1 h { F{x} 1-h } 1+h F{1-h}-F{1}+F{1}-F{1+h} h h` =-lim 0 ! F{1-h}-F{1} -h F{1+h}-F{1} h =-F '{1}-F '{1}=-2F '{1}=-2f{1} =-2\{1-2+6-1}=-8 -lim 0 h` ! 족집게 기출문제 12~14강 3 ⑤ x@+6x+C 5 3 5 x#+ x$- 1 ① 1 4 8 8 2 ③ 5 2 9 ③ 32 100 9 101 19 4 18 ② 24 8 23 ④ 27 ⑴ f '{x}=12x@-4 ⑵ 1 14 13 15 ① 20 2 25 -4 10 k<0 4 ③ 6 ⑤ 16 11 ① 1 3 21 6 26 -5 p. 60~63 7 23 6 12 ② 17 ② 22 50 1 주어진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x-2}f{x} =-4x#+6x@+4x =-2x{2x+1}{x-2} 따라서 f{x}=-2x{2x+1}이므로 `f{-2}=4\{-3}=-12 2 f{x} =/ - d dx {x@-6x} dx =` =x@-6x+C ={x-3}@-9+C 이때 함수 f{x}는 x=3에서 최소이고 최솟값이 8이므로 -9+C=8 ∴ C=17 따라서 f{x}=x@-6x+17이므로 `f{1}=1-6+17=12 3 f{x} =/ {x@+1}@ x@+x+1 `dx-/ x@ x@+x+1 `dx =/ =/ {x@+1}@-x@ x@+x+1 `dx {x@+x+1}{x@-x+1} x@+x+1 `dx =/ {x@-x+1}`dx = x#- x@+x+C 1 3 1 2 1 3 1 2 이때 곡선 y=f{x}가 점 {0, 0}을 지나므로 C=0 따라서 f{x}= x#- x@+x이고 곡선 y=f{x}가 점 {2, a}를 지나므로 8 3 -2+2= a= 8 3 4 f{x} =/ {1+2x+3x@+y+10x(}`dx =x+x@+x#+y+x!)+C `f{0}=7에서 C=7 따라서 f{x}=x+x@+y+x!)+7이므로 f{1}=10+7=17 5 f '{x}=3x@-10x+5이므로 `f{x} =/ {3x@-10x+5}`dx =x#-5x@+5x+C1 `f{0}=6에서 C1=6 따라서 f{x}=x#-5x@+5x+6이므로 / {x#-5x@+5x+6}`dx = 1 4 5 3 5 2 x$- x#+ x@+6x+C 6 f '{x}=3x@-6x+4이므로 `f{x} =/ {3x@-6x+4}`dx =x#-3x@+4x+C 이때 곡선 y=f{x}가 점 {0, -2}를 지나므로 C=-2 따라서 f{x}=x#-3x@+4x-2이므로 `f{3}=27-27+12-2=10 III. 적분 45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45 2018-04-26 오후 1:42:12 `f{x}=/ 2x`dx=x@+C1 7 ! x>1일 때 @ x<1일 때 `f{x}=/ {x@+x}`dx= x#+ x@+C2 1 3 1 2 !, @에 의하여 f{x}= x@+C1 {x>1} x#+ x@+C2 {x<1} 3! 2! ( - 9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미분가능하면 x=1에서 연 속이므로 lim 1+ x` ! f{x}= lim 1- x` f{x}=f{1} 1+C1= + +C2, C1-C2=- ! 1 2 1 3 1 6 1 6 23 6 8 9 f{x}+g{x}0=2x+1에서 d dx `f{x}+g{x}=x@+x+C1 위의 식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f{0}+g{0}=C1 ∴ C1=0 ∴ f{x}+g{x}=x@+x d dx 9 f{x}g{x}0=3x@-2x+1에서 ``f{x}g{x}=x#-x@+x+C2 10 ` f '{x}=a{x-1}{x-3} {a>0}이라고 하면 f '{2}=-2이므로 -a=-2 ∴ a=2 즉, f '{x}=2x@-8x+6이므로 f{x} =/ {2x@-8x+6}`dx = x#-4x@+6x+C 2 3 `f{0}=0에서 C=0 x#-4x@+6x=kx x#-4x@+{6-k}x=0 2 3 2 3 x 3 따라서 f{x}= x#-4x@+6x이므로 방정식 f{x}=kx는 2 3 이 방정식이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2x@-12x+3{6-k}=0은 허근을 가져야 한다. 위의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고 하면 D 4 ∴ k<0 =36-6{6-k}<0 11 F{x} =/ {-4x+9}`dx =-2x@+9x+C ∴ f{2}-f{0} =4+C1-C2=4- = 92x@-12x+3{6-k}0=0 위의 식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f{0}g{0}=C2 ∴ C2=-1 ∴ f{x}g{x} =x#-x@+x-1={x-1}{x@+1} 이때 f{0}=1, g{0}=-1, f{x}+g{x}=x@+x를 만족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0이려면 이차방정식 F{x}=0 은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2x@+9x+C=0의 판별식을 D라고 하면 D=81+8C<0 해야 하므로 `f{x}=x@+1, g{x}=x-1 ∴ f{3}-g{3}=10-2=8 ∴ C<- 81 8 따라서 F{0}=C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①이다. 9 `f '{x}=ax{x-2} {a>0}라고 하면 12 /2! {4x#+9x@+a}`dx+/5% {2x#-3x@+a}`dx f{x} =/ ax{x-2}`dx=/ {ax@-2ax}`dx = x#-ax@+C a 3 f '{x}=0에서 x=0 또는 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f '{x} `f{x} y + ↗ 0 0 극대 y - ↘ 2 0 극소 y + ↗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이 4, x=2에서 극솟값이 0 이므로 f{0}=4, f{2}=0 8 3 C=4, a-4a+C=0 ∴ C=4, a=3 = x$+3x#+ax }2!+0 { =-36-a=-40 ∴ a=4 x`dx+ x@`dx+ x#`dx 1 1 2 ? 0 1 1 3 ? 0 1 13 ? 0 +y+ 1 1 100 ? 0 x!))`dx = { 1 2 x@ + 1 } 0 1 2 { 1 3 x# + 1 } 0 1 3 { 1 4 1 } 0 x$ +y+ 1 100 { 1 101 x!)! 1 } 0 = + 1 2 1 2\3 + 1 3\4 +y+ 1 100\101 = 1- [ 1 2 ] + [ 1 2 - 1 3 ] + [ 1 3 1 4 ] - +y+ 1 100 [ - 1 101 ] 따라서 f{x}=x#-3x@+4, f '{x}=3x{x-2}이므로 f{1}+f '{3}=2+9=11 =1- 1 101 = 100 101 46 정답과 해설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46 2018-04-26 오후 1:42:12 14 k/aC x`dx-/aB x@`dx=k/bC x`dx에서 18 `f{x}=/0X {t@-2t-3}`dt를 x에 대하여 미분하면 k/aC x`dx-k/bC x`dx=/aB x@`dx k [/aC x`dx+/cB x`dx ] =/aB x@`dx k/aB x`dx=/aB x@`dx k 1 { 2 1 { 3 x@ }aB= 1 2 x# }aB 1 3 k\ {b@-a@}= {b#-a#} 이때 a=b이고 a+b=6, ab=4이므로 k = \ b#-a# b@-a@ = \ 2 3 {b-a}{b@+ab+a@} {b-a}{b+a} = \ b@+ab+a@ b+a = \ 2 3 {a+b}@-ab a+b 2 3 2 3 2 3 = \ 6@-4 6 = 32 9 15 |x-1|+|x-5|= -2x+6 {0 0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1#` |-x@+2x+3|`dx =/-1#` {-x@+2x+3}`dx = - { x#+x@+3x }-1# 1 3 = 32 3 2 ⑴ 곡선 y=-x@-2x+8과 y=-x@-2x+8 y 8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2x+8=0에서 -{x+4}{x-2}=0 / x=-4 또는 x=2 이때 닫힌구간 [-4, 2]에서 -x@-2x+8>0 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4@ |-x@-2x+8|dx =?-4@ {-x@-2x+8}`dx 1 3 ⑵ 곡선 y=x@-4x-5와 x축의 교 = - { x#-x@+8x }-4@ =36 y=x@-4x-5 -4 O 2 x -1 5 x y O -5 점의 x좌표는 x@-4x-5=0에서 {x+1}{x-5}=0 ∴ x=-1 또는 x=5 이때 닫힌구간 [-1, 5]에서 x@-4x-5<0 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1%` |x@-4x-5|`dx =/-1%` {-x@+4x+5}`dx = - { x#+2x@+5x }-1% =36 1 3 점의 x좌표는 x@-4x+3=0에서 {x-1}{x-3}=0 ∴ x=1 또는 x=3 이때 닫힌구간 [-1, 1]에서 x@-4x+3>0이고, 닫힌구간 [1, 3]에서 x@-4x+3<0이므 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1#` |x@-4x+3|`dx 3 -1 O 1 3 x =/-1!` {x@-4x+3}`dx+/1# {-x@+4x-3}`dx = x#-2x@+3x }-1! + { - x#+2x@-3x }1# 1 3 1 { 3 20 3 = + =8 4 3 III. 적분 49 y=x@+4x y 3 ⑴ 곡선 y=x@-4x+3과 x축의 교 y y=x@-4x+3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49 2018-04-26 오후 1:42:14 에서 -2 O 2 6 x {x#-2x@-5x+6}`dx 닫힌구간 [1, 3]에서 -x#+2x@+5x-6>0이므로 구 하는 도형의 넓이는 |-x#+2x@+5x-6|dx 3 ? -2 1 =? -2 3 +? 1 {-x#+2x@+5x-6}`dx + - { 1 4 x$+ x#+ x@-6x 2 3 5 2 3 } 1 y=x#-6x@-4x+24 = x$- x#- x@+6x 1 4 { 2 3 5 2 1 } -2 ⑵ 곡선 y=x#-6x@-4x+24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6x@-4x+24=0 y 24 {x+2}{x-2}{x-6} =0 / x=-2 또는 x=2 또는 x=6 이때 닫힌구간 [-2, 2]에서 x#-6x@-4x+24>0이고, 닫힌구간 [2, 6]에서 x#-6x@-4x+24<0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6 ? -2 2 =? -2 |x#-6x@-4x+24|`dx {x#-6x@-4x+24}`dx = x$-2x#-2x@+24x 1 4 { =64+64=128 +? 2 6 2 } -2 + - { 1 4 4 ⑴ 곡선 y = x @ - 5 x + 4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5x+4=0 에서 {x-1}{x-4}=0 ∴ x=1 또는 x=4 이때 닫힌구간 [1, 4]에서 y=x@-5x+4 y 4 O 1 4 5 x x@-5x+4< 0이고, 닫힌구간 [4, 5]에서 x@-5x+4>0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x#+6x@+4x-24}`dx 1 5 ⑴ ? -1 {x$+x#+x@+x+1}`dx =? -1 {x$+x@+1}`dx+? -1 {x#+x}`dx 1 x$+2x#+2x@-24x 6 } 2 {x$+x@+1}`dx+0 x%+ x#+x 1 3 1 } 0 ⑵ ? -2 {x%-5x$+4x-2}`dx =? -2 {x%-5x$+4x-2}`dx {x%-5x$+4x-2}`dx {x%-5x$+4x-2}`dx 0 -? 2 2 +? 0 2 /1% |x@-5x+4|`dx =? -2 {x%-5x$+4x-2}`dx =/1$ {-x@+5x-4}`dx+/4% {x@-5x+4}`dx =? -2 {-5x$-2}`dx+? -2 {x%+4x}`dx + 1 { 3 x#- x@+4x }4% 5 2 = - { x#+ 1 3 + = 11 6 = 9 2 ⑵ 곡선 5 2 x@-4x }1$ 19 3 y=-x#+2x@+5x-6 과 x축의 교점의 x좌 y 표는 -2 O 1 3 x -6 y=-x#+2x@+5x-6 이때 닫힌구간 [-2, 1]에서 -x#+2x@+5x-6<0이고, -x#+2x@+5x-6=0 에서 {x+2}{x-1}{x-3} =0 / x=-2 또는 x=1 또는 x=3 50 정답과 해설 2 =2? 0 {-5x$-2}`dx+0 =2 -x%-2x =-72 { 2 } 0 1 6 ⑴ ? -1 x@{x+1}#`dx =? -1 {x%+3x$+3x#+x@}`dx =? -1 {3x$+x@}`dx+? -1 {x%+3x#}`dx 1 {3x$+x@}`dx+0 x%+ x# 1 3 1 } 0 1 0 =2? 3 5 =2 { = 28 15 = 63 4 + 16 3 = 253 12 1 1 0 =2? 1 5 =2 { = 46 15 0 0 2 2 1 1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50 2018-04-26 오후 1:42:14 2 ⑵ ? -3 {10x$+11x#-6x@+3}`dx =? -3 {10x$+11x#-6x@+3}`dx 2 -? 3 {10t$+11t#-6t@+3}`dt 3 +? 2 {10x$+11x#-6x@+3}`dx 2 3 3 =? -3 {10x$+11x#-6x@+3}`dx =? -3 {10x$-6x@+3}`dx+? -3 11x#`dx 3 3 =2? 0 {10x$-6x@+3}`dx+0 =2 2x%-2x#+3x =882 { 3 } 0 6 강 정적분의 활용(2) p. 66 1 닫힌구간 [0, 3]에서 -x@+4x+1>x@-2x+1이므로 구 하는 도형의 넓이는 /0# 9{-x@+4x+1}-{x@-2x+1}0`dx =/0# {-2x@+6x}`dx= - { x#+3x@ }0#=9 2 3 2 ⑴ t=0에서 t=c까지 점 P의 위치의 변화량은 /0A v{t}`dt+/aB v{t}`dt+/bC v{t}`dt =S1+{-S2}+S3=10+{-20}+5=-5 ⑵ t=0에서 t=c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0A |v{t}|`dt+/aB |v{t}|`dt+/bC |v{t}|`dt =S1+S2+S3=10+20+5=35 교/과/서/속 핵심 유형 닮은꼴 문제 1 ⑴ 곡선 y=x@-x-6과 직선 y=x+2의 교점의 x좌표는 x@-x-6=x+2에서 {x+2}{x-4}=0 ∴ x=-2 또는 x=4 이때 닫힌구간 [-2, 4]에서 x+2>x@-x-6이므로 구하 는 도형의 넓이는 p. 67 y y=x@-x-6 y=x+2 4 x -2 2 O -6 /-2$` 9{x+2}-{x@-x-6}0`dx =/-2$` {-x@+2x+8}`dx = - { x#+x@+8x }-2$ 1 3 =36 ⑵ 두 곡선 y=x@-6x+8, y=-x@+4x의 교점의 x좌표는 x@-6x+8=-x@+4x에서 2{x-1}{x-4}=0 ∴ x=1 또는 x=4 이때 닫힌구간 [1, 4]에서 -x@+4x> x@-6x+8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1$ 9{-x@+4x}-{x@-6x+8}0`dx =/1$ {-2x@+10x-8}`dx = - { x#+5x@-8x }1$=9 2 3 y y=x@-6x+8 O 1 x4 y=-x@+4x 2 ⑴ 곡선 y=x@-2x-3과 직선 y=-x+3의 교점의 x좌표는 x@-2x-3=-x+3에서 {x+2}{x-3}=0 ∴ x=-2 또는 x=3 이때 닫힌구간 [-2, 3]에서 -x+3>x@-2x-3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y y=x@-2x-3 3 3 -2 O -3 x y=-x+3 /-2# 9{-x+3}-{x@-2x-3}0`dx =/-2# {-x@+x+6}`dx = - x#+ { x@+6x }-2# ` = 1 3 1 2 125 6 ⑵ 두 곡선 y=x@-7x, y=-x@-3x+6의 교점의 x좌표는 x@-7x=-x@-3x+6에서 2{x+1}{x-3}=0 ∴ x=-1 또는 x=3 이때 닫힌구간 [-1, 3]에서 -x@-3x+6>x@-7x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1#` 9{-x@-3x+6}-{x@-7x}0`dx =/-1#` {-2x@+4x+6}`dx = - { x#+2x@+6x }-1# `= 2 3 64 3 y y=x@-7x -1 6 3 O x y=-x@-3x+6 III. 적분 51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51 2018-04-26 오후 1:42:15 3 f{x}=x#-6x@+10x라고 하면 f '{x}=3x@-12x+10 점 {1, 5}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1}=1 점 {1, 5}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5=x-1 / y=x+4 곡선 y=x#-6x@+10x와 직선 y=x+4의 교점의 x좌표는 x#-6x@+10x=x+4, x#-6x@+9x-4=0 {x-1}@{x-4}=0 / x=1 {중근} 또는 x=4 y y=x#-6x@+10x t#-3t@+8t }0# 1 { 3 5 ⑴ 5+/0# {t@-6t+8}`dt =5+ =5+6 =11 1 { 3 ⑵ /1# {t@-6t+8}`dt= ⑶ 10이고, 2x#-6x@+10x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1$ 9{x+4}-{x#-6x@+10x}0dx =/1$ {-x#+6x@-9x+4}`dx x$+2x#- x@+4x }1$ 9 2 = - { 1 4 = 27 4 4 f{x}=x#+2x@+x+2라고 하면 f '{x}=3x@+4x+1 점 {0,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0}=1 점 {0,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2=x / y=x+2 곡선 y=x#+2x@+x+2와 직선 y=x+2의 교점의 x좌표는 x#+2x@+x+2=x+2에서 x#+2x@=0 x@{x+2}=0 / x=-2 또는 x=0 (중근) y y=x#+2x@+x+2 y=x+2 2 -2 O x 하는 도형의 넓이는 /-2) 9{x#+2x@+x+2}-{x+2}0`dx =/-2) {x#+2x@}`dx = 1 { 4 x$+ 2 3 x# }-2) = 4 3 52 정답과 해설 1 3 - { t#+3t@-8t }2# = 1 3 { = + 4 3 t#-3t@+8t }1@+ 2 3 =2 6 ⑴ 4+/0% {3t@-12t}`dt =4+ t#-6t@ }0% { =4+{-25} =-21 ⑵ /2% {3t@-12t}`dt= ⑶ 20이므로 t#-6t@ }2%=-9 { 시각 t=2에서 t=5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2% |3t@-12t|`dt =/2$ {-3t@+12t}`dt+/4% {3t@-12t}`dt = -t#+6t@ }2$+ { t#-6t@ }4% { =16+7 =23 7 물체가 최고 지점에 도달할 때의 속도는 0이므로 v{t}=30-10t=0에서 t=3 따라서 t=3일 때, 물체가 최고 지점에 도달하게 되므로 구 하는 높이는 10+/0# {30-10t}`dt =10+ 30t-5t@ { }0#=55 {m} 치는 0이므로 405+/0A {-10t}`dt=0 405+ -5t@ }0A=0 { 405-5a@=0, a@=81 / a=9 {? a>0} 따라서 물체가 땅에 떨어질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9초이다. 닫힌구간 [-2, 0]에서 x#+2x@+x+2>x+2이므로 구 8 a초 후에 물체가 땅에 떨어진다고 하면 그때의 물체의 위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52 2018-04-26 오후 1:42:15 족집게 기출문제 15~16강 1 ⑤ 6 ⑤ 11 ① 16 ⑤ 7 2 ④ 2 3 12 ① 3 ③ 2 3 8 - 13 ⑤ 17 510 m 18 12 21 ⑴ 36 ⑵ 108 22 1 9 4 ③ 11 34 14 ② 3 2 23 4초 19 p. 68~71 5 ① 10 16 15 ③ 20 ② 1 /-2@` 9 f{x}+g{x}0`dx =/-2@` f{x}`dx+/-2@` g{x}`dx =2/0@ f{x}`dx+0 =2\5+0=10 2 곡선 y=x#-x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x#-x=x에서 x{x+j2}{x-j2}=0 ∴ x=-j2 또는 x=0 또는 x=j2 y y=x#-x y=x -1 -j2 j2 O 1 x 이때 닫힌구간 [-j2, 0]에서 x#-x>x이고, 닫힌구간 [0, j2 ]에서 x>x#-x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j /-j2 @ |{x#-x}-x|`dx =/-j2) ` 9{x#-x}-x0`dx+/0 @ 9x-{x#-x}0`dx j =/-j2) ` {x#-2x}`dx+/0 1 4 x$-x@ }-j2) + 1 4 { { = - j x$+x@ }0 @ j @ {-x#+2x}`dx =1+1=2 y y=x@+2 3 2 1 -1 O x y=-2x+1 3 y=x@+2에서 y'=2x이므로 점 {-1,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3=-2{x+1} ∴ y=-2x+1 이때 닫힌구간 [-1, 0]에서 x@+2>-2x+1 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1)` 9{x@+2}-{-2x+1}0`dx =/-1)` {x@+2x+1}`dx = 1 { 3 x#+x@+x }-1)`= 1 3 4 곡선 y=-2x@+4kx와 x축의 교 점의 x좌표는 -2x@+4kx=0에서 -2x{x-2k}=0 y O y=-2x@+4kx ∴ x=0 또는 x=2k 이때 닫힌구간 [0, 2k]에서 -2x@+4kx>0이고, 곡선 y=-2x@+4k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72이 2k x 므로 /0@K {-2x@+4kx}`dx = - { x#+2kx@ }0@K 2 3 8 3 = k#=72 k#=27 ∴ k=3 5 곡선 y=-x@+4와 x축의 교점 의 x좌표는 -x@+4=0에서 -{x+2}{x-2}=0 ∴ x=-2 또는 x=2 이때 닫힌구간 [-2, 2]에서 -x@+4>0이므로 곡선 y=-x@+4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1이라고 하면 y=ax@ y 4 S2 S1 -2 O x2 y=-x@+4 S1 =/-2@` {-x@+4}`dx =2/0@ {-x@+4}`dx =2 - { x#+4x }0@ 1 3 = 32 3 두 곡선 y=-x@+4, y=ax@의 교점의 x좌표는 -x@+4=ax@에서 {a+1}x@=4 ∴ x=- 또는 x= 2 2 ja+1l ja+1l 2 }에서 -x@+4>ax@이 - , 이때 닫힌구간 { ja+1l 므로 두 곡선 y=-x@+4, y=ax@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를 S2라고 하면 2 ja+1l 2 ja+1l 9{-x@+4}-ax@0`dx S2=/- 2 ja+1l 2 ja+1l 9-{a+1}x@+40`dx S2=/- 2 ja+1l 2 S2=2/0 ja+1l 9-{a+1}x@+40`dx S2=2 - { a+1 3 x#+4x }0 2 ja+1l S2= 32 3ja+1l 이때 S1=4S2이므로 32 3 ja+1l=4 ∴ a=15 =4\ 32 3ja+1l III. 적분 53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53 2018-04-26 오후 1:42:15 6 곡선 y=x@{x-a}{x-b}=x$-{a+b}x#+abx@과 x축 으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가 같으므로 1 10 ? -1 1 f{x}`dx =? -1 x@`dx= 1 { 3 1 x# } -1 = 2 3 이때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2} /0B 9x$-{a+b}x#+abx@0`dx=0 1 4 b%- x$+ x%- ab 3 a+b 4 {a+b}\b$+ 1 x# }0B=0 { 5 1 1 3 5 이때 b=0이므로 양변을 b$으로 나누어 정리하면 12b-15{a+b}+20a=0 5 3 5a-3b=0 ∴ b a = ab$=0 7 A : B=1 : 2에서 B=2A y=x@-2x+p 곡선 y=x@-2x+p는 직선 x=1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오른쪽 그 림에서 빗금친 부분의 넓이는 1 2 B=A y p A O 따라서 곡선 y=x@-2x+p와 x 축, y축 및 직선 x=1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가 같으 므로 1 /0! {x@-2x+p}`dx=0, { 3 x#-x@+px }0!=0 - +p=0 ∴ p= 2 3 2 3 8 f{x}=x#, g{x}=x@+1이라 하고, 두 곡선의 교점의 x좌 표를 x=k라고 하자. 닫힌구간 [0, k]에서 g{x}> f{x}이고, 닫힌구간 [k, 2] 에서 `f{x}>g{x}이므로 B-A =/k@ 9 f{x}-g{x}0`dx-/0K 9 g{x}-f{x}0`dx =/k@ 9 f{x}-g{x}0`dx+/0K 9 f{x}-g{x}0`dx =/0@ 9 f{x}-g{x}0`dx =/0@ {x#-x@-1}`dx = { 1 4 x$- x#-x 1 3 }0@=- 2 3 9 두 곡선의 교점의 x좌표는 xN=xN"!에서 xN{x-1}=0 ∴ x=0 또는 x=1 이때 닫힌구간 [0, 1]에서 xN>xN"!이므로 Sn =/0! {xN-xN"!}`dx = 1 n+1 { xN"!- 1 n+2 xN"@ }0! = 1 n+1 - 1 n+2 ∴ S2+S3+S4+y+S100 1 4 ] 1 5 ] = 1 3 1 4 - + - [ [ +y+ 1 101 - 1 102 ] [ = - 1 3 1 102 = 11 34 54 정답과 해설 이므로 /1$( f{x}`dx =/1# f{x}`dx+/3% f{x}`dx+/5& f{x}`dx =/1# f{x}`dx+/1# f{x}`dx+/1# f{x}`dx +y+/47$( f{x}`dx +y+/1# f{x}`dx =24/1# f{x}`dx=24/-1! f{x}`dx=24\ 2 3 =16 x B x=1 11 두 곡선 y=f{x}, y=g{x}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 로 오른쪽 그림에서 색칠한 두 y=f{x} y=x y 9 부분의 넓이는 같다. /2( g{x}`dx =2\9-1\2-/1@ f{x}`dx =16-/1@ {x#+1}`dx 2 1 -1 O 21 -1 1 4 { 19 4 45 4 = =16- x$+x }1@=16- 12 `f{x}={x+3}{x-3}{x+jk k}{x-jk k} 이때 0a} t=10 따라서 열차가 제동을 건 지 10초 후에 정지하므로 정지할 ∴ lim a` E ` ! PQ a 1{b-a}@+{b@-a@}@3 a 때까지 움직인 거리는 /0!) |30-3t|`dt =/0!) {30-3t}`dt = 30t- { t@ }0 !)=150 {m} 16 물이 수도관을 따라 흘러나온 길이를 L이라고 하면 L=/0^ {8t-t@}`dt= 4t@- { t# }0^=72 따라서 흘러나온 물의 양은 (수도관의 단면의 넓이)\(물이 흘러나온 길이) =p\2@\72=288p 3 2 1 3 17 엘리베이터가 1층에서 출발하여 맨 위층까지 올라가는 데 걸리는 시간을 a초라 하고, 출발한 지 t초 후의 속도를 v{t}라고 하면 가속도는 v'{t}이므로 ( v'{t}= - 9 5 {0 x이고, 닫힌구 간 [1, 2]에서 x>x#-3x@+3x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 2 {/0! 9{x#-3x@+3x}-x0`dx 이는 +/1@ 9x-{x#-3x@+3x}0`dx } =2 =2 - /0! {x#-3x@+2x}`dx+/1@ {-x#+3x@-2x}`dx = 1 4 x$+x#-x@ }1@ 1 { 4 { - x$-x#+x@ }0!+2 1 2 =1 = + 1 2 채점 기준 ㈎ 구하는 도형의 넓이가 곡선 y=f{x}와 직선 y=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의 2배임을 안다. ㈏ 곡선 y=f{x}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를 구한다. ㈐ 두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한다. 23 두 점 P, Q의 시각 t에서의 속도는 `f{t}=2t-2, g{t}=-t+4 yy`㈎ 두 점 P, Q의 시각 t에서의 위치를 각각 xp, xq라고 하면 yy`㈐ 배점 2점 2점 3점 xp =/ {2t-2}`dt =t@-2t+C1 xq =/ {-t+4}`dt =- t@+4t+C2 1 2 t=0일 때 xp=0, xq=0이므로 C1=0, C2=0 ∴ xp=t@-2t, xq=- t@+4t yy`㈏ 1 2 이때 두 점 P, Q가 만나는 시각은 xp=xq일 때이므로 t@-2t=- t@+4t 1 2 t{t-4}=0 ∴ t=4 {∵ t>0} 따라서 두 점 P, Q가 출발한 후 다시 만나는 시각은 4초 후 이다. 채점 기준 ㈎ 두 점 P, Q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구한다. ㈏ 두 점 P, Q의 시각 t에서의 위치를 구한다. ㈐ 두 점 P, Q가 다시 만나는 시각을 구한다. yy`㈐ 배점 2점 2점 2점 21 ⑴ 곡선 y=-x@+6x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6x=0에서 -x{x-6}=0 ∴ x=0 또는 x=6 이때 닫힌구간 [0, 6]에서 -x@+6x>0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0^ {-x@+6x}`dx = - { x#+3x@ }0^ 1 3 =36 ⑵ 곡선 y=-x@+6x와 직선 y=mx의 교점의 x좌표는 -x@+6x=mx에서 x{x+m-6}=0 ∴ x=0 또는 x=6-m 이때 닫힌구간 [0, 6-m]에서 -x@+6x> mx이므로 곡선 y=-x@+6x와 직선 yy`㈎ y=mx O 6-m x 6 y=-x@+6x y=m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0^_M 9{-x@+6x}-mx0`dx =/0^_M 9-x@+{6-m}x0`dx = - { 1 3 x#+ 6-m 2 x@ }0^_M = {6-m}# 6 yy`㈏ 이때 곡선 y=-x@+6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 이가 직선 y=mx에 의하여 이등분되므로 {6-m}# 6 \36 1 2 = ∴ {6-m}#=108 yy`㈐ 채점 기준 ㈎ 곡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한다. ㈏ 곡선과 직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m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 {6-m}#의 값을 구한다. 배점 2점 3점 1점 y 22 두 곡선 y=f{x}, y=g{x}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 므로 구하는 넓이는 곡선 y=f{x}와 직선 y=x로 둘러싸 yy`㈎ 인 도형의 넓이의 2배이다. 곡선 y=f{x}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x#-3x@+3x=x x{x-1}{x-2}=0 ∴ x=0 또는 x=1 또는 x=2 yy`㈏ y=f{x} y=x y=g{x} y 2 1 O 1 2 x 56 정답과 해설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56 2018-04-26 오후 1:42:17 내공 점검 01~02강 내공 점검 1 2 6 ⑤ 11 ② 2 ④ 4 3 12 3 7 p. 74~75 5 ④ 10 ① 3 -2 8 3 4 ① 9 ④ 13 ⑴ b=-a ⑵ 32 14 3 1 lim x` ! 1 f{x}+lim 2 ! x` x+2 {x@-3x}+lim x-1 2 ! x` x` g{x} =lim 1 ! =-2+4 =2 2 lim x` ! 2 f{x}=lim 2 ! x` {ax+b}=10이므로 2a+b=10 yy`㉠ f{x}의 값이 존재하므로 lim 1 x` ! lim 1+ x` ! lim x` 1+ ! ∴ a+b=7 f{x}= lim 1- x` f{x} ! {ax+b}= lim 1- ! yy`㉡ x` {5x+2}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4 ∴ ab=12 3 f{x}=t로 놓으면 x `!` lim 1- x` ! f{x}- lim 3+ x` ! 3+일 때, t 3+이므로 `!` f{x}- lim 3+ t` ! f{t} f{ f{x}} = lim x` 1- ! =1-3 =-2 4 x-2=t로 놓으면 x `!` `f{t} `f{x-2} =lim lim t x-2 0 t` 2 x` ! ! =a 2일 때, t 0이므로 `!` `f{x} 즉, lim x 0 x` ! =a이므로 3x+f{x} lim 2x+f{x} 0 x` ! =lim 0 x` ! = 3+a 2+a =4 3+ 2+ f{x} x f{x} x 3+a=8+4a -3a=5 ∴ a=- 5 3 5 ④ lim x` ! E x+1 jxk+1 jxk+ =lim x` E 1+ ! 1 jxk 1 jxk =E x@-x 6 ㄱ. lim x#-1 x` 1 ! =lim 1 x` ! x{x-1} {x-1}{x@+x+1} x =lim x@+x+1 1 x` ! 1 3 = x- ㄴ. lim 0 x` x+ ! 1 x 1 x =lim 0 x` ! x@-1 x@+1 =-1 ㄷ. lim x` E ! {j2x+4l-j2x+1l} x` ! {j2x+4l-j2x+1l}{j2x+4l+j2x+1l} =lim j2x+4l+j2x+1l E =0 3 =lim j2x+4l+j2x+1l E 따라서 극한값이 존재하는 것은 ㄱ, ㄴ, ㄷ이다. ! x` xf{x}-3x 7 lim x#-x@-2x x` 2 ! x9 f{x}-30 =lim x{x+1}{x-2} 2 x` ! f{x}-3 =lim {x+1}{x-2} 2 x` ! f{x}-3 =lim 2 x` ! ! x` 2 1 x-2 \lim x+1 =4\ = 1 3 4 3 8 x=-t로 놓으면 x -E일 때, t E이므로 `!` lim -E x` ! =lim t` E ! `!` {14x@-3ax3+2x} {14t@+at3-2t} {14t@+at3-2t}{14t@+at3+2t} =lim 14t@+at3+2t t` E ! at =lim 14t@+at3+2t t` E ! 1 a 2 4 = = ∴ a=2 x#-a# ∴ lim x@-a@ a x` ! {x-2}{x@+2x+4} {x-2}{x+2} x#-2# =lim =lim x@-2@ 2 x` 2 x` ! ! x@+2x+4 =lim x+2 2 x` ! =3 =1이므로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2인 =-4에서 lim -1 {x@-x-2}=0이므로 x` ! 9 lim x` `f{x} 2x@+x+2 E ! 이차함수이다. `f{x} -1 x@-x-2 -1 f{x}=0 lim x` ! lim x` ! ∴ f{-1}=0 `f{x} x@-x-2 lim x` ! -1 `f{x}=2{x+1}{x+a} {a는 상수}라고 하면 -1 = lim x` ! 2{x+1}{x+a} {x+1}{x-2} 2{x+a} = lim x-2 x` ! 2{-1+a} -3 =-4 -1 = ∴ a=7 따라서 f{x}=2{x+1}{x+7}이므로 `f{1}=32 내공 점검 57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57 2018-04-26 오후 1:42:17 a f{x}=a, lim a 9 g{x}-f{x}0=b {a, b는 실수}라고 x` ! 10 ㄱ. lim x` ! 하면 a g{x} lim x` ! =lim ! =lim ! x` =b+a x` a 9 g{x}-f{x}+f{x}0 a 9 g{x}-f{x}0+lim x` a f{x} ! ㄴ. [반례] `f{x}=g{x}= - 1 {x>0} -1 {x<0} 이면 lim x` ! 0 f{x}g{x}=1이지만 lim 0 f{x}와 lim 0 g{x}의 값은 x` x` ! ! 모두 존재하지 않는다. ㄷ. [반례] `f{x}= , g{x}= 이면 모든 실수 x 1 x@+2 1 x@+1 에 대하여 f{x}1일 때, x-1>0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각 변을 x-1 로 나누면 x@+2x-3 x-1 < `f{x} x-1 < 2x@-2 x-1 x@+2x-3 lim x-1 1+ x` ! {x+3}{x-1} = lim x-1 x` 1+ ! = lim 1+ x` ! {x+3}=4 2x@-2 lim x-1 1+ x` ! 2{x+1}{x-1} x-1 1+ 1+ 2{x+1}=4 `f{x} x-1 1+ =4 = lim x` ! = lim x` ! ∴ lim x` ! 12 lim x` ! 2+ {x-a}=2-a<2이므로 x` ! f{ f{x}}=3-a 2+ f{x}= lim 2+ f{ f{x}}={2-a}@-1=a@-4a+3 2- {x@-1}=3>2이므로 2- f{x}= lim x` ! lim x` ! lim x` ! lim 2- x` ! f{ f{x}}의 값이 존재하기 위해서는 lim x` 2 ! lim x` x` ! ! a@-4a+3=3-a 2+ f{ f{x}}= lim 2- f{ f{x}}이어야 하므로 a@-3a=0, a{a-3}=0 ∴ a=3 {∵ a>0} 채점 기준 ㈎ lim ㈏ lim x` ! x` ! 2+ f{ f{x}}의 값을 a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2- f{ f{x}}의 값을 a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 양수 a의 값을 구한다. 58 정답과 해설 yy`㈎ yy`㈏ yy`㈐ 배점 3점 3점 4점 yy`㈏ yy`㈐ 배점 5점 6점 1점 yy`㈎ yy`㈏ 배점 5점 7점 ajx-2l+b 13 ⑴ lim 3` x-3 {ajx-2l+b}=a+b=0 =2에서 lim 3 ! x` x` ! lim 3 x` ! ∴ b=-a {x-3}=0이므로 yy`㈎ ⑵ lim x` ! ajx-2l+b 3` x-3 ajx-2l-a =lim 3 x-3 x` ! a{jx-2l-1} =lim 3 x-3 x` ! a{jx-2l-1}{jx-2l+1} =lim 3 {x-3}{jx-2l+1} x` ! a a =lim 3 2 jx-2l+1 x` ! ∴ a=4, b=-4 ∴ a@+b@=32 =2 = 채점 기준 ㈎ b를 a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 a, b의 값을 구한다. ㈐ a@+b@의 값을 구한다. 14 2f{x}-3g{x}=h{x} yy ㉠ 라고 하면 /x\, h{x}=2이고, lim 이므로 E ! x` h{x} `f{x} =0 lim E x` ! ㉠에서 3g{x}=2f{x}-h{x}이므로 f{x}=E {또는 -E} 8f{x}-3g{x} 3g{x} lim E x` ! =lim E x` ! =lim E x` ! 6f{x}+h{x} 2f{x}-h{x} h{x} f{x} h{x} f{x} 2- 6+ =3 채점 기준 ㈎ 2f{x}-3g{x}=h{x}로 놓고 lim 의 값을 구 h{x} `f{x} E x` ! 한다. ㈏ lim x` ! E 8f{x}-3g{x} `3g{x} 의 값을 구한다. 03~04강 내공 점검 1 ② 6 ④ 11 157 2 ㄱ, ㄷ 7 ① 12 3개 3 ⑤ 8 ④ 4 ③ 9 ④ p. 76~77 5 ⑤ 10 -6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58 2018-04-26 오후 1:42:18 1 ㄱ. lim f{x}=lim 0 ! x` {x@+1}=1 x` 0 ! 이때 lim 0 ! x` 연속이다. f{x}=f{0}이므로 함수 f{x}는 x=0에서 불 ㄴ. lim 0+ x` ! lim 0- x` ! ∴ lim 0 ! x` g{x}= lim 0+ g{x}= lim 0- ! x` x` {|x|+3}= lim 0+ {|x|+3}= lim 0- ! x` x` ! ! g{x}=3 {x+3}=3 {-x+3}=3 g{x}=g{0}이므로 함수 g{x}는 x=0에서 이때 lim 0 ! x` 연속이다. ㄷ. lim 0+ x` ! |x| h{x}= lim x 0+ x` ! = lim 0+ x` ! x x =1 lim 0- x` ! |x| h{x}= lim x 0- -x x h{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h{x}는 = lim 0- x` ! =-1 ! x` 따라서 lim 0 ! x=0에서 불연속이다. x` 따라서 x=0에서 연속인 함수는 ㄴ이다. 2 ㄱ. lim f{x}=1 f{x}=1, lim 0- x` x` ! 0+ x` f{x}=1 ! ∴ lim 0 ! f{x}=1, lim 1- f{x}= lim 1- ! 즉, lim 1+ ㄴ. lim 1+ x` ! x` x` x` ! ! 서 불연속이다. f{x}=0 f{x}이므로 함수 f{x}는 x=1에 f{x}=3 ㄷ. ! lim x` -1+ f{x}=0, lim x` -1- f{x}= lim -1- x=-1에서 불연속이다. ! 즉, lim x` ! -1+ ! ! x` @ f{0}=1, lim f{x}=1에서 lim 0 !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다. ! x` x` 0 f{x}이므로 함수 f{x}는 f{x}=f{0}이므로 ㄴ과 !, @에 의하여 함수 f{x}가 불연속인 점은 x=-1, x=1의 2개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3 함수 f{x}가 x=2에서 연속이려면 lim f{x}=f{2}이어야 x` ! 2 하므로 1x@+3a3=j4+3al=a lim x` 2 ! 4+3a=a@, a@-3a-4=0 {a+1}{a-4}=0 ∴ a=4 {∵ a>0} 4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면 a- f{x} lim x` ! lim x` ! a+ f{x}= lim a+ f{x} = lim ! ! x` x` a+ =a@+3a-7 {[x]@+3[x]-7} lim x` ! a- f{x} = lim x` a- {[x]@+3[x]-7} ={a-1}@+3{a-1}-7 ! 따라서 a@+3a-7={a-1}@+3{a-1}-7이므로 2a+2=0 ∴ a=-1 5 f{x} =1- x- 1 1 x- 2 x =1- 1 x x@-2 x- =1- x@-2 x#-3x 따라서 x=0, x@-2=0, x#-3x=0일 때, 함수 f{x}가 정의되지 않으므로 불연속이 되는 x의 값은 -j3, -j2, 0, j2, j3의 5개이다. 6 ! 함수 f{x}는 x=0에서 불연속이므로 함수 f{ f{x}}는 `f{x}=0을 만족하는 x=-2와 x=2에서 불연속이다. 한편 f{x}=t로 놓으면 x x ! 0+이므로 0+일 때 t -2+, ! 0-일 때 t f{ f{x}}= lim -2+ ! f{t}=0 f{ f{x}}= lim 0+ f{t}=-2 t` ! t` ! ! lim 0+ x` ! lim 0- x` ! 즉, lim 0 ! x` f{ f{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 f{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따라서 함수 f{ f{x}}가 불연속인 점은 3개이므로 a=3 @ 함수 g{x}는 x=-1에서 불연속이므로 함수 g{`f{x}} 는 f{x}=-1을 만족하는 x의 값에서 불연속이다. 이때 함수 y=f{x}의 그래프에서 f{x}=-1을 만족하 는 x의 값은 2개이다. 한편 !에서와 같이 f{x}=t로 놓으면 g{t}=-1 g{ f{x}}= lim -2+ t` ! g{ f{x}}= lim 0+ t` ! g{t}=2 lim 0+ x` ! lim 0- x` ! 즉, lim 0 ! x` g{ f{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g{`f{x}} 는 x=0에서 불연속이다. 따라서 함수 g{ f{x}}가 불연속인 점은 3개이므로 b=3 !, @에 의하여 a+b=6 7 x=1일 때, f{x}= 2x@+2x+a x-1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lim 1 x` ! f{x}=f{1} =f{1} yy`㉠ 2x@+2x+a lim x-1 1 x` ! ㉠에서 lim 1 ! x` lim x` 1 ! ∴ a=-4 {x-1}=0이므로 {2x@+2x+a}=4+a=0 a=-4를 ㉠에 대입하면 2x@+2x-4 lim x-1 1 x` ! 2{x+2}{x-1} x-1 =lim x` 1 ! =lim 1 x` ! =6=f{1} 2{x+2} ∴ a+f{1}=-4+6=2 내공 점검 59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59 2018-04-26 오후 1:42:18 8 가 연속함수이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0이 g{x} `f{x} 어야 한다. 즉, 방정식 f{x}=0의 실근이 존재하지 않아야 하므로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고 하면 D=a@-8<0 ∴ -2j20 g{1}=f{1}-1=-4-1=-5<0 g{2}=2f{2}-7=2\5-7=3>0 이때 g{0}g{1}<0, g{1}g{2}<0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g{x}=0은 열린구간 {0, 1}, {1, 2}에서 각 yy`㈎ 각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또 g{-1}=0이므로 실근 x=-1을 갖는다. 따라서 방정식 xf{x}=2x@-1은 닫힌구간 [-1, 2]에서 적어도 3개의 실근을 갖는다. yy`㈏ 채점 기준 ㈎ g{x}=xf{x}-2x@+1로 놓고 g{-1}, g{0}, g{1}, g{2}의 부호를 구한다. ㈏ 사잇값의 정리를 이용하여 주어진 방정식이 적어도 몇 개의 실근을 갖는지 구한다. 배점 4점 6점 05~06강 내공 점검 1 ② 6 ③ 11 13 4 5 3 ④ 2 ⑤ 7 ① 9 10 8 5 12 ⑴ -1 ⑵ f '{x}=4-2x p. 78~79 5 ② 10 ⑤ 13 -18 1 x의 값이 0에서 2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f{2}-f{0} 2-0 = `4a+2 2 =2a+1 `f '{x}=3x@+2ax-3이므로 x=-1에서의 미분계수는 `f '{-1}=-2a 따라서 2a+1=-2a이므로 a=- 1 4 2 lim 0 h` ! `f{3}-f{3-2h} `f{3-2h}-f{3} h =2 lim 0 h` ! -2h =2 f '{3}=2\1=2 `f{x@}-f{1} `f{x@}-f{1} 3 lim 1 x` ! x-1 =lim 1 x` ! =lim 1 x` ! `f{x@}-f{1} x-1 x@-1 =f '{1}\2=4 \ x+1 x+1 \{x+1} 따라서 곡선 y=f{x} 위의 점 {1, f{1}}에서의 접선의 기 ∴ f '{1}=2 울기는 f '{1}=2이다. 4 함수 f{x}는 x=-1, x=2에서 불연속이므로 또 함수 f{x}는 x=-1, x=1, x=2에서 미분가능하지 m=2 않으므로 n=3 ∴ m+n=2+3=5 5 ㄱ. lim 0+ h` ! `f{0+h}-f{0} `f{0+h}-f{0} lim 0- h` ! h[h] = lim 0+ h` ! = lim 0- h` ! h h h[h] = lim 0+ [h]=0 h` ! = lim 0- [h]=-1 h` ! 따라서 f '{0}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0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g{0+h}-g{0} ㄴ. lim 0+ h` ! g{0+h}-g{0} lim 0- h` ! = lim 0+ h` ! h-|h| h h-h =0 h-|h| h h+h =2 = lim 0+ h` ! h = lim 0- h` ! = lim 0- h` ! h 따라서 g '{0}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g{x}는 x=0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ㄷ. lim 0+ h` ! lim 0- h` ! k{0+h}-k{0} h|h| = lim 0+ h h` ! = lim 0+ h=0 h` ! k{0+h}-k{0} h|h| = lim 0- h h` ! = lim 0- {-h}=0 h` ! 따라서 k'{0}=0이므로 함수 k{x}는 x=0에서 미분 가능하다. 따라서 x=0에서 미분가능한 함수는 ㄷ이다. h h h h h h 6 f '{x}=1+2x+3x@+y+10x(이므로 f '{1}=1+2+3+y+10=55 f '{-1}=1-2+3-4+y+9-10=-5 ∴ f '{1}+f '{-1}=55-5=50 7 함수 f{x}가 x=2에서 미분가능하면 x=2에서 연속이므로 `f{2}=lim 2 f{x}에서 x` ! 2a+b=4-4+6 / 2a+b=6 yy`㉠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60 2018-04-26 오후 1:42:19 2 lim 0 h` `f{3}-f{3-2h} h ! =2 lim 0 h` ! `f{3-2h}-f{3} -2h =2 f '{3}=2\1=2 3 lim 1 x` `f{x@}-f{1} x-1 ! =lim 1 x` ! `f{x@}-f{1} x-1 `f{x@}-f{1} x@-1 =f '{1}\2=4 =lim 1 x` ! \ x+1 x+1 \{x+1} ∴ f '{1}=2 따라서 곡선 y=f{x} 위의 점 {1, f{1}}에서의 접선의 기 울기는 f '{1}=2이다. 4 함수 f{x}는 x=-1, x=2에서 불연속이므로 m=2 또 함수 f{x}는 x=-1, x=1, x=2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으므로 n=3 ∴ m+n=2+3=5 5 ㄱ. lim 0+ h` ! `f{0+h}-f{0} h `f{0+h}-f{0} h h[h] h h[h] h 0- = lim lim 0- [h]=-1 h` h` ! ! 따라서 f '{0}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0 = lim h` ! 0- = lim h` ! 0+ = lim h` ! 0+ [h]=0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ㄴ. lim h` 0+ ! g{0+h}-g{0} h = lim h` ! 0+ = lim h` ! 0+ h-|h| h h-h h =0 h-|h| h h+h h g{0+h}-g{0} h lim h` ! 0- = lim h` ! 0- = lim h` ! 따라서 g '{0}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g{x}는 x=0 0- =2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ㄷ. lim h` 0+ ! k{0+h}-k{0} h k{0+h}-k{0} h h|h| h h|h| h = lim h` ! 0+ = lim h` ! 0+ h=0 0- lim = lim 0- {-h}=0 h` h` ! ! 따라서 k'{0}=0이므로 함수 k{x}는 x=0에서 미분 = lim h` ! 0- 가능하다. 따라서 x=0에서 미분가능한 함수는 ㄷ이다. 6 f '{x}=1+2x+3x@+y+10x(이므로 f '{1}=1+2+3+y+10=55 f '{-1}=1-2+3-4+y+9-10=-5 ∴ f '{1}+f '{-1}=55-5=50 7 함수 f{x}가 x=2에서 미분가능하면 x=2에서 연속이므로 `f{2}=lim ! x` 2 f{x}에서 2a+b=4-4+6 / 2a+b=6 yy`㉠ 또 f '{2}가 존재하므로 f{2+h}-f{2} h f{2+h}-f{2} h lim h` ! 0+ lim h` ! 0- = lim h` ! 0+ = lim h` ! 0- =2 a{2+h}+b-{2a+b} h =a {2+h}@-2{2+h}+6-6 h / a=2 a=2를 ㉠에 대입하면 4+b=6 ∴ b=2 따라서 f{x}= - `f{3}=6+2=8 {x>2} 2x+2 x@-2x+6 {x<2} 이므로 8 f{x}=x&-2x^+3x%-2x$+x#이라고 하면 f{1}=1 f '{x}=7x^-12x%+15x$-8x#+3x@ ∴ lim 1 x` ! x&-2x^+3x%-2x$+x#-1 x-1 =lim 1 x` ! f{x}-1 x-1 f{x}-f{1} x-1 =f '{1}=7-12+15-8+3=5 =lim 1 x` ! f{x}-1 x-2 9 lim 2 2 9 f{x}-10=f{2}-1=0 =3에서 lim ! x` x` ! lim x` ! ∴ f{2}=1 2 {x-2}=0이므로 ∴ lim 2 x` ! f{x}-1 x-2 f{x}-f{2} x-2 =lim 2 x` ! =f '{2}=3 g{x}-3 x-2 =1에서 lim ! lim 2 x` ! 2 9 g{x}-30=g{2}-3=0 lim x` ! ∴ g{2}=3 x` 2 {x-2}=0이므로 ∴ lim 2 x` ! g{x}-3 x-2 g{x}-g{2} x-2 =lim 2 x` ! =g '{2}=1 h'{x}=f '{x}g{x}+f{x}g '{x}이므로 h'{2} =f '{2}g{2}+f{2}g '{2} =3\3+1\1=10 10 다항식 x%-23x@+ax+b를 {x-2}@으로 나누었을 때의 yy ㉠ 몫을 Q{x}라고 하면 x%-23x@+ax+b={x-2}@ Q{x}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32-92+2a+b=0 / 2a+b=60 yy ㉡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5x$-46x+a=2{x-2}Q{x}+{x-2}@ Q'{x} 위의 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80-92+a=0 / a=12 a=12를 ㉡에 대입하면 24+b=60 / b=36 / a+b=12+36=48 내공 점검 61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61 2018-04-26 오후 1:42:19 11 f{1}=2, g{1}=2이므로 `f{1+2h}-g{1-h} h lim 0 h` ! 9 f{1+2h}-20-9 g{1-h}-20 =lim 0 h h` ! `f{1+2h}-f{1} h =lim 0 h` ! -lim 0 h` ! g{1-h}-g{1} h g{1-h}-g{1} -h +lim 0 h` ! =2 lim 0 h` ! `f{1+2h}-f{1} 2h =2 f '{1}+g'{1} 이때 f '{x}=1+2x, g'{x}=3x@+4x#이므로 `f '{1}=3, g'{1}=7 `f{1+2h}-g{1-h} h ∴ lim 0 h` ! =2 f '{1}+g'{1} =2\3+7 =13 채점 기준 ㈎ `f{1}, g{1}의 값을 구한다. ㈏ 주어진 극한값을 미분계수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 `f '{1}, g'{1}의 값을 구한다. ㈑ 주어진 극한값을 구한다. 12 ⑴ `f{x+y}=f{x}+f{y}-2xy+1의 양변에 x=0, y=0 을 대입하면 `f{0}=f{0}+f{0}+1 ∴ f{0}=-1 ⑵ `f '{x} =lim 0 ! h` `f{x+h}-f{x} h 9 f{x}+f{h}-2xh+10-f{x} h `f{h}+1 h -2x = `f{0+h}-f{0} h -2x =lim 0 h` ! =lim h` ! 0 - =lim 0 h` ! =f '{0}-2x =4-2x 채점 기준 ㈎ `f{0}의 값을 구한다. ㈏ `f '{x}를 도함수의 정의와 주어진 식을 이용하여 나타 낸다. ㈐ `f '{x}를 구한다. 13 f '{x}= 2{3x@-4}{5x#+x@} +{2x-1}\6x\{5x#+x@} +{2x-1}{3x@-4}{15x@+2x} 이므로 f '{1}=2\{-1}\6+1\6\6+1\{-1}\17=7 yy`㈎ f '{-1} =2\{-1}\{-4}+{-3}\{-6}\{-4} yy`㈏ +{-3}\{-1}\13 =-25 ∴ f '{1}+f '{-1}=7-25=-18 62 정답과 해설 yy`㈎ yy`㈏ yy`㈐ yy`㈑ 배점 2점 4점 2점 2점 yy`㈎ yy`㈏ yy`㈐ 배점 3점 4점 3점 채점 기준 ㈎ f '{x}를 구한다. ㈏ f '{1}의 값을 구한다. ㈐ f '{-1}의 값을 구한다. ㈑ f '{1}+f '{-1}의 값을 구한다. 배점 3점 3점 3점 1점 07~09강 내공 점검 3 ② 2 6 1 2 6 ② 8 ③ 7 ① 9 a<-4 또는 a>2 10 ⑤ 13 77 p. 80~81 4 ④ 5 ⑤ 11 -16 12 -56 1 f{x}=x#-3x@+2x+1이라고 하면 f '{x}=3x@-6x+2 접선의 기울기가 2이므로 3x@-6x+2=2에서 3x@-6x=0 3x{x-2}=0 ∴ x=0 또는 x=2 따라서 P{0, 1}, Q{2, 1} 또는 P{2, 1}, Q{0, 1}이므로 P =2 Q 2 f{x}={2x+3}{x@+1}이라고 하면 f '{x}=6x@+6x+2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1}=2이므로 접 선의 방정식은 y-2=2{x+1} ∴ y=2x+4 따라서 a=2, b=4이므로 a+b=6 3 f{x}=x#-3x@+x+2라고 하면 f '{x}=3x@-6x+1 접점의 좌표를 {t, t #-3t @+t+2}라고 하면 접선의 기울 기는 f '{t}=3t@-6t+1이므로 접선 L의 방정식은 y-{t#-3t@+t+2}={3t@-6t+1}{x-t} ∴ y={3t@-6t+1}x-2t#+3t@+2 이 접선이 점 {1, 3}을 지나므로 3=-2t#+6t@-6t+3 2t{t@-3t+3}=0 yy`㉠ ∴ t=0 {∵ t@-3t+3>0} t=0을 ㉠에 대입하면 접선 L의 방정식은 y=x+2 따라서 원점 O에서 직선 x-y+2=0까지의 거리는 yy`㈐ yy`㈑ 2 j1+1l =j2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62 2018-04-26 오후 1:42:19 X Z 4 함수 f{x}={x-2}{x@+2x}=x#-4x는 닫힌구간 [0, 2]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0, 2}에서 미분가능하며 f{0}=f{2}=0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f '{c}=0인 c가 열린구간 {0, 2}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f '{x}=3x@-4이므로 f '{c}=3c@-4=0 따라서 c@= 4 3 이므로 c= 2j3 3 {∵ 00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극값을 갖지 솟값을 갖는다. 않는다. ㄷ. `f '{5}=0이지만 x=5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바뀌 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5에서 극값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이다. 8 f{x}=2x#+ax@+bx+4에서 `f '{x}=6x@+2ax+b 함수 f{x}가 x=-1에서 극댓값 8을 가지므로 `f{-1}=8, f '{-1}=0 `f{-1}=8에서 -2+a-b+4=8 yy`㉠ `f '{-1}=0에서 6-2a+b=0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0, b=-6 즉, f{x}=2x#-6x+4이므로 `f '{x}=6x@-6=6{x+1}{x-1} `f '{x}=0에서 x=-1 또는 x=1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소이므로 극솟값은 `f{1}=2-6+4=0 9 f '{x}=9x@+4{a+1}x+4이고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 져야 하므로 판별식을 D라고 하면 D 4 a@+2a-8>0, {a+4}{a-2}>0 ∴ a<-4 또는 a>2 =4{a+1}@-36>0 10 f{x}=4x#-3x@-6x+2에서 `f '{x}=12x@-6x-6=6{2x+1}{x-1} `f '{x}=0에서 1 2 또는 x=1 x=- 닫힌구간 [-1, 1]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f '{x} -1 + `f{x} 1 y + ↗ - 1 2 0 15 4 극대 y - ↘ 1 0 -3 따라서 함수 f{x}는 x=- 1 2 에서 최댓값 15 4 , x=1에서 최솟값 -3을 가지므로 M= 15 4 , m=-3 ∴ M+m= 3 4 11 f{x}=x#-3x@+{k+3}x-3, g{x}=x@-2x+3이라고 하면 f '{x}=3x@-6x+k+3, g '{x}=2x-2 두 곡선이 x=t인 점에서 접한다고 하면 ! x=t인 점에서 두 곡선이 만나므로 f{t}=g{t} t#-3t @+{k+3}t-3=t @-2t+3 ∴ t#-4t @+{k+5}t-6=0 @ x=t인 점에서의 두 곡선의 접선의 기울기가 같으므로 yy`㉠ yy`㉡ yy`㈎ f '{t}=g '{t} 3t @-6t+k+3=2t-2 ∴ k=-3t @+8t-5 ㉡을 ㉠에 대입하면 t#-4t @+{-3t @+8t-5+5}t-6=0 t#-2t @+3=0, {t+1}{t @-3t+3}=0 ∴ t=-1 {∵ t @-3t+3>0} t=-1을 ㉡에 대입하면 k=-3-8-5=-16 채점 기준 ㈎ 두 곡선이 x=t인 점에서 접한다고 놓고 t, k 사이의 관계식을 세운다. ㈏ t의 값을 구한다. ㈐ k의 값을 구한다. yy`㈏ yy`㈐ 배점 4점 4점 2점 내공 점검 63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63 2018-04-26 오후 1:42:20 12 f{x}=2ax#-3ax@에서 f '{x}=6ax@-6ax=6ax{x-1} f '{x}=0에서 x=0 또는 x=1 a>0이므로 닫힌구간 [-2, 2]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2 y + `f '{x} + `f{x} -28a ↗ 0 0 0 극대 y - ↘ 1 0 -a 극소 y + ↗ 2 + 4a 이때 a>0이므로 함수 f{x}의 최댓값은 4a, 최솟값은 -28a이다. 즉, 함수 f{x}의 최댓값은 8이므로 4a=8 ∴ a=2 따라서 함수 f{x}의 최솟값은 -28a=-28\2=-56 yy`㈎ yy`㈏ yy`㈐ 채점 기준 ㈎ 함수 f{x}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a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 a의 값을 구한다. ㈐ 함수 f{x}의 최솟값을 구한다. 배점 6점 2점 2점 13 BP PC =x {00이므로 t=1일 때와 t=4일 때의 운동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ㄷ이다. 3 f{x}=x#-6x@+9x+a라고 하면 7 t초 후의 공의 속도를 v m/s라고 하면 f '{x}=3x@-12x+9=3{x-1}{x-3} f '{x}=0에서 x=1 {∵ 0g{x}이어야 하므로 f{x}-g{x}>0이어야 한다. h{x}=f{x}-g{x}라고 하면 h{x}=x$-4x#-2x@+12x+a h'{x} =4x#-12x@-4x+12 =4{x+1}{x-1}{x-3} h'{x}=0에서 x=-1 또는 x=1 또는 x=3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h '{x} - h{x} y -1 y + 0 1 y 0 + ↘ a-9 ↗ a+7 ↘ a-9 ↗ y - 3 0 함수 h{x}는 x=-1 또는 x=3에서 최솟값 a-9를 가지 므로 h{x}>0이려면 a-9>0 ∴ a>9 따라서 정수 a의 최솟값은 10이다. 5 점 M의 시각 t에서의 위치를 xm이라고 하면 {2t#-7t@}+{-t@+8t} 2 xm = =t#-4t@+4t 점 M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라고 하면 v= dxm dt =3t@-8t+4={3t-2}{t-2} v=0에서 t= 2 3 또는 t=2 8 t초 후의 두 점 A, B의 좌표는 각각 {2t, 0}, {0, 2t}이므 v = dx dt =20-10t 최고 높이에서 공의 속도는 0 m/s이므로 v=20-10t=0 ∴ t=2 따라서 공이 도달하는 최고 높이는 x =30+20\2-5\2@ =50 {m} =l이라고 하면 로 선분 AB의 중점의 좌표는 C{t, t} OC l=1t @+t @3=j2t {∵ t>0} 따라서 OC dl dt 의 길이의 변화율은 =j2 원의 넓이를 S cm@라고 하면 S=p{2t}@=4pt@ ∴ dS dt =8pt 9 t초 후의 가장 바깥쪽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2t cm이므로 따라서 t=5일 때, 가장 바깥쪽 원의 넓이의 변화율은 8p\5=40p {cm@/s} 10 t초 후의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는 {4+t} cm, 높 이는 {6+2t} cm이다. t초 후의 원기둥의 부피를 V cm#라고 하면 V =p{4+t}@{6+2t}=2p{4+t}@{3+t} 시각 t에 대한 부피 V의 변화율은 dV dt =4p{4+t}{3+t}+2p{4+t}@ =2p{4+t}{6+2t+4+t} =2p{4+t}{10+3t} 6+2t=16에서 t=5 내공 점검 65 2 따라서 점 M이 처음으로 운동 방향을 바꾸는 시각은 3 이다. 따라서 t=5일 때, 원기둥의 부피의 변화율은 2p\{4+5}\{10+15}=450p {cm#/s}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65 2018-04-26 오후 1:42:20 Z Z 11 f{x}=x#-3x@-24x+k라고 하면 f '{x} =3x@-6x-24 =3{x+2}{x-4} x>4에서 f '{x}=0인 x의 값이 없으므로 함수 f{x}는 최 솟값이 없다. 그런데 x>4에서 f '{x}>0이므로 함수 f{x}는 x>4에서 yy`㈎ 증가한다. 따라서 x>4일 때, f{x}>0이 성립하려면 f{4}>0이어야 yy`㈏ 하므로 f{4}=4#-3\4@-24\4+k=k-80>0 ∴ k>80 따라서 k의 최솟값은 80이다. 채점 기준 ㈎ 함수 f{x}의 최솟값이 없음을 안다. ㈏ 함수 f{x}가 x>4에서 증가함을 안다. ㈐ k의 최솟값을 구한다. yy`㈐ 배점 2점 2점 6점 12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 가속도를 a라고 하면 v=3t@+2mt+n, a=6t+2m t=3일 때, 점 P의 속도는 0, 가속도는 8이므로 27+6m+n=0, 18+2m=8 yy`㈎ yy`㈏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m=-5, n=3 따라서 v=3t@-10t+3이므로 t=5일 때, 점 P의 속도는 3\5@-10\5+3=28 yy`㈐ yy`㈑ 채점 기준 ㈎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와 가속도를 구한다. ㈏ m, n에 대한 식을 세운다. ㈐ m, n의 값을 구한다. ㈑ t=5일 때, 점 P의 속도를 구한다. 배점 3점 2점 2점 3점 13 t초 후의 풍선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고 하면 r=4+0.2t 풍선의 반지름의 길이가 6 cm가 될 때의 시각은 4+0.2t=6에서 t=10 풍선의 겉넓이를 S cm@라고 하면 S=4p{4+0.2t}@ 시각 t에 대한 겉넓이 S의 변화율은 dS dt =8p{4+0.2t}\0.2 =1.6p{4+0.2t} 따라서 t=10일 때, 풍선의 겉넓이의 변화율은 1.6p{4+0.2\10}=9.6p {cm@/s} yy`㈎ yy`㈏ yy`㈐ 채점 기준 ㈎ 풍선의 반지름의 길이가 6 cm가 될 때의 시각을 구한다. ㈏ 시각 t에 대한 겉넓이 S의 변화율을 구한다. ㈐ t=10일 때, 풍선의 겉넓이의 변화율을 구한다. 배점 3점 4점 3점 66 정답과 해설 12~14강 내공 점검 1 ② 6 ③ 11 29 2 ① 5 2 12 32 7 3 ⑤ 8 ④ 13 4 p. 84~85 5 ③ 10 ② 4 1 9 ① 1 `주어진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x#-6x@+8x+2 ∴ f{2}=8-24+16+2=2 2 f '{x}=3x@-6x+a이므로 `f{x} =/ {3x@-6x+a}`dx=x#-3x@+ax+C 이때 곡선 y=f{x}가 점 {1, 0}을 지나므로 1-3+a+C=0 yy`㉠ 또 점 {-1, 0}을 지나므로 -1-3-a+C=0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1, C=3 즉, f{x}=x#-3x@-x+3={x+1}{x-1}{x-3}이므 로 방정식 f{x}=0의 근은 x=-1 또는 x=1 또는 x=3 / -1\1\3=-3 3 주어진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6x=f{x}+x f '{x}+6x@-6x xf '{x}=-6x@+12x ∴ f '{x}=-6x+12 위의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적분하면 `f{x}=/ {-6x+12}`dx=-3x@+12x+C `f{0}=3에서 C=3 따라서 f{x}=-3x@+12x+3=-3{x-2}@+15이므로 x=2에서 최댓값 15를 갖는다. 4 /-a@A {3x@+2x}`dx = x#+x@ }-a@A { ={8a#+4a@}-{-a#+a@} =9a#+3a@ 9a#+3a@=12이므로 3a#+a@-4=0, {a-1}{3a@+4a+4}=0 ∴ a=1 {∵ a는 실수} 5 /1$ f{x}`dx-/2$ f{x}`dx+/0! f{x}`dx =/1$ f{x}`dx+/4@ f{x}`dx+/0! f{x}`dx =/1@ f{x}`dx+/0! f{x}`dx =/0@ f{x}`dx=/0@ {x#-2}`dx = 1 { 4 x$-2x }0@=0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66 2018-04-26 오후 1:42:21 6 4 ?n=1 an =/0! | f{x}|`dx+/1@ | f{x}|`dx+/2# | f{x}|`dx +/3$ | f{x}|`dx 이때 닫힌구간 [0, 2]에서 3x@-6x<0이고, 닫힌구간 [2, 4]에서 3x@-6x>0이므로 4 ?n=1 an =/0@ | f{x}|`dx+/2$ | f{x}|`dx 9 주어진 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0=8-4a ∴ a=2 /2X t f{t}`dt=x#-2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x f{x}=3x@-4x 따라서 f{x}=3x-4이므로 f{1}=3-4=-1 =/0@ {-3x@+6x}`dx+/2$ {3x@-6x}`dx 10 주어진 식에서 x#-3x@ }2$ { = -x#+3x@ }0@+ { =4+20 =24 x+1 {-2-x#+2x@ y y=x@-2x O-1 2 x y=-x#+2x@ 이고, 닫힌구간 [0, 2]에서 -x#+2x@>x@-2x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1) 9{x@-2x}-{-x#+2x@}0`dx +/0@ 9{-x#+2x@}-{x@-2x}0`dx =/-1) {x#-x@-2x}`dx+/0@ {-x#+x@+2x}`dx = 1 { 4 = 5 12 x$- 1 3 + = 8 3 x#-x@ }-1) + 37 12 - { 1 4 x$+ x#+x@ }0@ 1 3 5 f{x}=x@-x+1이라고 하면 f '{x}=2x-1 점 {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1}=1 점 {1,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x 곡선 y=x@-x+1과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x@-x+1=x에서 x@-2x+1=0, {x-1}@=0 ∴ x=1 (중근) 닫힌구간 [0, 1]에서 x@-x+1>x O y 1 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y=x@-x+1 y=x 1 x O 21 x /0! 9{x@-x+1}-x0`dx =/0! {x@-2x+1}`dx 1 3 x#-x@+x 1 { 3 }0!= =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68 2018-04-26 오후 1:42:21 6 방정식 f{x}=g{x}, 즉 f{x}-g{x}=0의 해가 -1, 1, 2 9 00이고, 1g{x}이므로 S1 =/-1! 9 f{x}-g{x}0`dx =/-1! a{x#-2x@-x+2}`dx =a/-1! {x#-x}`dx+a/-1! {-2x@+2}`dx =0+2a/0! {-2x@+2}`dx =2a - { x#+2x }0! 2 3 16 3 = a= 8 3 ∴ a=2 닫힌구간 [1, 2]에서 g{x}>f{x}이므로 S2 =/1@ 9 g{x}-f{x}0`dx =/1@ 9-2{x#-2x@-x+2}0`dx =-2 x$- x#- 2 3 1 2 x@+2x }1@ 1 { 4 = 5 6 7 a초 후에 물체가 땅에 떨어진다고 하면 그때의 물체의 위 치는 0이므로 500+/0A {-10t}`dt=0 500+ -5t @ }0A=0 { 500-5a@=0 a@=100 ∴ a=10 {∵ a>0} 따라서 물체가 땅에 떨어질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10초이다. 8 t=0에서의 점 P의 위치를 a라고 하면 - x{t} =a+/0T [ 1 10 =a+ { - 3 10 t@+3t dt ]` t#+ 3 2 t@ }0T =- t#+ t@+a 1 10 3 2 3 10 x'{t}=v{t}=- t@+3t=0에서 - 3 10 t{t-10}=0 ∴ t=0 또는 t=10 따라서 x{t}는 t=10에서 최댓값 50+a를 가지므로 50+a=58 ∴ a=8 /0@ |2-2t#|`dt =/0! {2-2t#}`dt+/1@ {-2+2t#}`dt = 2t- { t$ }0!+ { -2t+ t$ }1@ 1 2 1 2 = + 3 2 11 2 =7 1 2 1 2 1 2 1 2 10 ㄱ. 출발 후 2초 동안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2\2=2 \2\1=1 출발 후 2초 동안 점 Q가 움직인 거리는 따라서 출발 후 2초 동안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점 Q가 움직인 거리의 2배이다. ㄴ. t=4일 때, 두 점 P, Q의 속도는 1로 같다. ㄷ. 출발한 지 6초 후 점 P의 위치는 \6\2=6 출발한 지 6초 후 점 Q의 위치는 \2\1+2\1+ \{1+2}\2=6 1 2 따라서 위치가 같으므로 t=6일 때, 두 점 P, Q는 만난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11 곡선 y=x{x-2}{x-a}와 x y y=x{x-2}{x-a} O 2 a x yy`㈏ 축의 교점의 x좌표는 x{x-2}{x-a}=0에서 x=0 또는 x=2 또는 x=a 곡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두 도 yy`㈎ 형의 넓이가 같으므로 /0A x{x-2}{x-a}`dx=0 /0A 9x#-{a+2}x@+2ax0`dx=0 1 { 4 x$- a+2 3 x#+ax@ }0A=0 - 1 12 a$+ a#=0 1 3 a$-4a#=0 a#{a-4}=0 ∴ a=4 {∵ a>2} 채점 기준 ㈎ 주어진 곡선과 x축의 교점의 x좌표를 구한다. ㈏ 곡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가 같음을 이 용하여 식을 세운다. ㈐ a의 값을 구한다. yy`㈐ 배점 4점 2점 4점 내공 점검 69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69 2018-04-26 오후 1:42:22 12 ⑴ `f{x}= x#-2x@+3x+2에서 1 3 `f '{x}=x@-4x+3 이때 f '{0}=3이므로 접선 L의 방정식은 y-2=3x ∴ y=3x+2 곡선 y=f{x}와 직선 L의 교점의 x좌표는 x#-2x@+3x+2=3x+2 1 3 13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t}라고 하면 v{t} =/ {6t-14}`dt =3t@-14t+C1 yy`㈎ v{0}=10이므로 C1=10 ∴ v{t}=3t@-14t+10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를 x{t}라고 하면 yy`㈎ x@{x-6}=0 ∴ x=0 또는 x=6 1 3 따라서 곡선 y=f{x}와 직선 L의 교점 중 접점이 아닌 점의 x좌표는 6이다. ⑵ 닫힌구간 [0, 6]에서 3x+2>f{x} yy`㈏ y=3x+2 y 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0^ 9{3x+2}-f{x}0`dx 1 3 x#+2x@ dx - ]` =/0^ [ 1 12 = - { =36 x$+ x# }0^ 2 3 yy`㈐ 채점 기준 y=f{x} 2 O 6 x ㈎ 접선 L의 방정식을 구한다. ㈏ 곡선 y=f{x}와 직선 L의 교점 중 접점이 아닌 점의 x ㈐ 곡선 y=f{x}와 직선 L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 좌표를 구한다. 한다. 배점 3점 2점 5점 x{t} =/ {3t@-14t+10}`dt =t#-7t@+10t+C2 x{0}=0이므로 C2=0 ∴ x{t}=t#-7t@+10t x{t}=t#-7t@+10t=0에서 t{t-2}{t-5}=0 ∴ t=0 또는 t=2 또는 t=5 따라서 점 P가 출발한 후 원점으로 처음 돌아오는 것은 2 yy`㈏ 초 후이다. 채점 기준 ㈎ 속도 v{t}를 구한다. ㈏ 위치 x{t}를 구한다. ㈐ 점 P가 출발한 후 원점으로 처음 돌아오는 시각을 구 한다. yy`㈐ 배점 4점 4점 2점 70 정답과 해설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70 2018-04-26 오후 1:42:22 memo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71 2018-04-26 오후 1:42:22 memo 19고등(수학2)_내공_해설(01~72)-OK.indd 72 2018-04-26 오후 1:42: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