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이므로 f(2)>f(3), f(4)>f(1)이고
조건 (나)에서 f(1)0이다.
5
x-p
y
2
O
p
x
Ⅴ05
유리식과
유리함수
01 답 ①
a
x
+
b
x-2
=
4
x(x-2)
의 양변에 x(x-2)를 곱하여 정리하면
a(x-2)+bx=4, (a+b)x-2a=4
위 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b=0, 2a=-4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 b=2
∴ ab=-4
02 답 8
유리함수 y=
3
x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5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는 유리함수
y=
3
x-4
+5의 그래프이다.
이때, 유리함수 y=
+5의 그래프가 점 (5,``a)를 지나므로
3
x-4
a=
3
5-4
+5에서 a=8
03 답 ④
주어진 그림에서 점근선이 x=-1, y=2이므로
y=
k
x+1
0=
k
-2+1
+2 ∴ k=2
따라서 y=
+2=
이고 이 식이
2
x+1
2x+4
x+1
와 같으므로 a=2, b=1, c=1
y=
ax+4
bx+c
∴ a+b+c=4
[다른 풀이]
y=
ax+4
bx+c
의 그래프의 점근선은 x=-
, y=
인데
c
b
a
b
주어진 그래프의 점근선이 x=-1, y=2이므로
c
b
-
=-1,
=2 ∴ b=c, b=
a y ㉠
;2!;
이때, y=
의 그래프가 점 (-2, 0)을 지나므로
a
b
ax+4
bx+c
0=
-2a+4
-2b+c
에서 -2a+4=0 ∴ a=2
㉠에 의하여 b=c=1이므로 `a+b+c=4
04 답 3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함수 y=
5
x
p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이므로
점근선의 방정식은 x=p, y=2이다.
즉, p>0일 때 y=
+2의 그래프는 x>p인 범위에서
5
x-p
제 1 사분면만을 지나고 x1인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y
a
O
a 1
x
1O
a
x
Ú k-3>0, 즉 k>3일 때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제 1, 2, 3`사
Û k-3<0, 즉 k<3일 때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가 모든 사분면을
지나려면 그래프는 그림과 같아야 한다.
x=-3
y
09 답 ②
x=-3, y=1이다.
분면만 지난다.
07 답 ⑤
유리함수 y=
ax
x-1
1-3x
x-a
y
a
-3
Ú 01일 경우
(a-1)(a+3)=21에서
a2+2a-24=0
(a-4)(a+6)=0
∴ a=4 (∵ a>1)
-3
Û a>1
Ú, Û에 의하여 양수 a의 값은 4이다.
0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08 답 2
2x
함수 y=
x-1
=
2
x-1
2
x
과 같다.
®É
4
aÛ`
관계에 의하여
aÛ`+
¾2
aÛ`_
=4에서
4
aÛ`
®É
4
aÛ`
aÛ`+
OP'Ó=
4
aÛ`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2이다.
4=2
¾
®É
'
48 일등급 수학•고등 수학 (하)
1
O
-3
y=1
x
y=
x+k
x+3
k
3
즉, x=0일 때, y<0이어야 하므로
<0에서 k<0
Ú, Û에 의하여 정수 k의 최댓값은 -1이다.
10 답 1
y=
x
x+1
=
(x+1)-1
x+1
=-
1
x+1
+1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y축의 방향으로 n만큼 평행이동하면
y=-
1
x-m+1
+1+n의 그래프가 된다.
이 그래프가 y=
-x+1
x-2
=
-(x-2)-1
x-2
=-
1
x-2
-1의 그래
프와 일치하므로 -m+1=-2, 1+n=-1에서 m=3, n=-2
∴ m+n=1
11 답 ⑤
2x+1
x-1
y=
=
2(x-1)+3
x-1
=
3
x-1
+2
12 답 2
f(x)=
x+b
x+a
2+b
2+a
3+b
3+a
의 그래프가 점 (2, 3)을 지나므로
f(2)=
=3 ∴ 3a-b=-4 ⋯㉠
또, 함수 f(x)의 역함수의 그래프가 점 (2, 3)을 지나므로
함수 f(x)의 그래프는 점 (3, 2)를 지난다.
f(3)=
=2 ∴ 2a-b=-3 ⋯ ㉡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1
∴ a2+b2=2
+2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교점이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두 점근선 x=1, y=2의 교점 (1, 2)
점 A(1, 2)이므로 점 A가 원점에 오도록 함수 y=
2x
x-1
의
를 지나고 기울기가 Ñ1인 직선에 대하여 대칭이다.
즉, 두 직선 y=x+m, y=-x+n은 점 (1, 2)를 지나므로
그래프와 점 A(1, 2)를 평행이동하면 구하는 최솟값은
2=1+m, 2=-1+n에서 m=1, n=3 ∴ m+n=4
[해] 05강_육.indd 48
2017-12-11 오후 3:40:42
13 답 ③
f(h(x))=g(x)에 x=3을 대입하면 f(h(3))=g(3)이다.
f(h(3))=
2h(3)+1
h(3)-1
, g(3)=
3-1
3+1
1
2
=
이므로
2h(3)+1
h(3)-1
1
2
=
에서 h(3)=-1
17 답 ④
x+1
x-1
y=
=
(x-1)+2
x-1
=
2
x-1
+1
따라서 y=
의 그래프는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x+1
x-1
2
x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14 답 ⑤
2x-3
f(x)=
x-2
=
1
x-2
+2이고
( f ç f )(x)=f( f(x))=
=x이므로
2
{
-3
2x-3
x-2 }
2x-3
x-2
-2
y
3
2
1
y=1
y=
x
y=ax
3
2
2
y= x
3
y=
x+1
x-1
O 1
2 3
x
x=1
Ⅴ05
유리식과
유리함수
y=( f ç f ç f )(x)=f(( f ç f )(x))= f(x)=
두 그래프가 만나기 위한 a의 값의 범위는
ÉaÉ
1
x-2
+2
따라서 y= f(x)의 두 점근선은 x=2, y=2이고, 두 점근선의 교
점은 (2, 2)이므로 a=2, b=2 ∴ a+b=4
따라서 M=
, m=
이므로 M-m=
3
2
2
3
3
2
2
3
5
6
y=ax의 그래프는 원점을 지나는 직선이므로 그림에서
의 그래프는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x>2)의 그래프는 그림
(x-2)+1
x-2
=
1
x-2
+1 (x>2)이므로
18 답 5
x-1
x-2
y=
=
y=
x-1
x-2
과 같다. 즉, PAÓ=b=
+1,
1
a-2
PBÓ=a이므로
PAÓ+PBÓ=a+
1
a-2
+1
=a-2+
1
a-2
+3
1
a-2
y=
x-1
x-2
P{a, b}
O
1
2 A
x
y
B
1
1
2
이때, a>2에서 a-2>0,
>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2
O
1
x
관계에 의하여
a-2+
+3¾2
(a-2)_
+3=5
1
a-2
®É
1
a-2
단, 등호는 a-2=
{
1
a-2
일 때 성립
}
15 답 ④
x+2
x-1
y=
=
y=
x+2
x-1
(x-1)+3
x-1
=
3
x-1
+1이므로
3
x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이때, 직선 y=mx+1은 m의 값에 관계없이 점 (0, 1)을 지나므로
함수 y=
의 그래프가 직선 y=mx+1과 만나지 않으려면
x+2
x-1
Ú 직선이 y=1일 때, m=0
Û y=
와 y=mx+1에서
x+2
x-1
{ii}
y
y=
x+2
x-1
=mx+1
x+2
x-1
즉, mx2-mx-3=0의 판별식
{i}
1
-2
을 D라 할 때,
D=m2+12m<0, m(m+12)<0
∴ -120, b>0)
3
a
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또, 점 P(a, b)와 직선 x+y=0 사이의 거리가 3이므로
|a+b|
1Û`+1Û`
=3에서 a+b=3
2`
'
"Ã
∴ a2+b2=(a+b)2-2ab=(3
2)2-2_3=12`
'
19 답 5
APÓ // BCÓ이므로 △APD ∽ △CBD
∴ PDÓ`:`BDÓ=x : 2
이때, △PBC=△ABC이므로
△PCD=
_△ABC에서
x
x+2
y=
3x
x+2 `
(x¾0)
x
A
P
D
y
B
C
2
따라서 a=3, b=0, c=2이므로 a+b+c=3+0+2=5
정답 및 해설 49
Ú, Û에서 구하는 실수 m의 값의 범위는 -120, k>0)의 그래프 위의 점 P(p, q), 점 P에서
-(x-1)+2
x-1
=
2
x-1
-1의 그래프와 평행이동하여
x축에 내린 수선의 발 Q에 대하여 삼각형 OPQ의 넓이는
△OPQ=
pq=
로 일정하다.
k
2
;2!;
겹쳐지는 함수의 그래프는 y=
+q의 꼴이어야 한다.
2
x-p
ㄱ. y=
x+3
x+1
=
x+1+2
x+1
=
2
x+1
+1 (○)
y
k
y= x
A
C
M
O
B D
x
x+
x-
x-
x+
;2!;
;2#;
;3!;
;3%;
=
=
x-
{
;2#;}
+2
2
=
+1 (○)
x-
;2#;
x-
;2#;
x+
{
;3%;}
-2
x+
;3%;
=-
+1 (×)
2
x+
;3%;
함수 y=
의 그래프에서 △OAB=△OCD=
이고
따라서 y=
의 그래프와 평행이동하여 겹쳐지는 함수의 그래
k
x
k
2
23 답 ③
3-x
x-1
y=
=
ㄴ. y=
2x+1
2x-3
=
ㄷ. y=
3x-1
3x+5
=
3-x
x-1
프는 ㄱ, ㄴ이다.
△OAB=△OMB+△OAM y ㉠
△OCD=△OMB+BDCM y ㉡
㉠-㉡을 하면 0=△OAM-BDCM이므로
BDCM=△OAM=
△OAB (∵ AMÓ=BMÓ)
;2!;
=
=4
k
4
∴ k=16
21 답 ④
=2x+1
a+b
a-b
a+b
a-b
22 답 10
=
(a-b)+2b
a-b
=1+
이므로
2b
a-b
∴
a+b
a-b
-
a-b
a+b
=2x+1-
1
2x+1
=
4xÛ`+4x+1-1
2x+1
=
4x(x+1)
2x+1
+
=
3
b
16
a+b
3
16
a
a+b
3(a+b)2=16ab, 3a2-10ab+3b2=0
3(a+b)
ab
에서
=
(3a-b)(a-3b)=0
∴ 3a=b 또는 a=3b
따라서
{
b
a
,
a
b }
의 값은
{
3,
1
3 }
또는
{
1
3
, 3
이므로
}
b
a
a
b
+
=3+
=
∴ 3
1
3
10
3
b
a
{
+
a
b }
=3_
=10
;;Á3¼;;
[다른 풀이]
=
+
3
3
a
b
(a+b)2
ab
(이하 동일)
16
a+b
에서
3(a+b)
ab
=
16
a+b
=
16
3 ,
a2+b2
ab
+2=
16
3
∴
+
=
b
a
a
b
10
3
50 일등급 수학•고등 수학 (하)
24 답 10
x+1
함수 y=
x-2
=
3
x-2
+1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교점 (2, 1)이
원의 중심이므로 원과 함수의 그래프를 모두 x축의 방향으로 -2만
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하여 두 점근선의 교점과 원의
중심이 원점이 되도록 하자.
원 (x-2)2+(y-1)2=r2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
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하면 x2+y2=r2이고 함수 y=
x+1
x-2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
이동하면 y=
-1=
이다.
x+3
x
3
x
y
r
x@+y@=r@
-r
3
A{ }a
a,
M
3 ,
B{ }
a a
xr
O
-r
이때, 평행이동한 원과 함수의 그래프의 교점 중 제 1 사분면에 있는
두 점을 각각 A, B이라 하고 점 A의 좌표를
A
a,
{
3
a }`{
a<
3
a }
이라 하면 점 B의 좌표는 B
3
a
{
,a
이다.
}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점 M의 좌표는
a+
{;2!;{
3
a }
,
;2!;{
a+
3
a }}
이므로
OMÓ=
2_
'
;2!;{
a+
3
a }
= '
a+
2
2 {
3
a }
이고
AMÓ=
a-
;2!;¾¨{
2
3
a }
+
{
3
a
-a
2
}
= '
2
2 ¾¨{
a-
3
a }
2
=- '
2
2 {
a-
3
a }`{
∵ a<
3
a }
[해] 05강_육.indd 50
2017-12-11 오후 3:40:44
한편, 삼각형 OAM의 넓이는 16_
=2이므로
_OMÓ_AMÓ=
_ '
a+
2
2 {
;2!;
;2!;
_
- '
[
2
2 {
a-
3
a }]
=-
aÛ`-
(a2)2+8a2-9=0, (a2+9)(a2-1)=0 ∴ aÛ`=1
;4!;{
9
aÛ` }
=2
;8!;
3
a }
∴ rÛ`=aÛ`+
=1+
=10
9
aÛ`
9
1
25 답 ③
g(x+5)=
f(x+4)
f(x+4)-1
=
g(x)
g(x)-1
g(x)
g(x)-1
f(4)
f(4)-1
-1
=g(x)이므로
=
4
4-1
=
;3$;
g(100)=g(95)=y=g(5)=
26 답 ④
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f{x}
27 답 7
조건 (나)에서 f(f(x))=x이므로 f(x)= f` -1(x)이다.
즉, 함수 y=f(x)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또한, 조건 (가)에서 함수 y=f(x)의 그
y
y=f{x}
y=x
래프가 두 점 (1, 1), (5, 5)를 지나므로
그림과 같이 두 점근선의 교점이 (3, 3)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f(x)=
3x+b
x-3
이고
{5, 5}
{1, 1}
O
x
Ⅴ05
유리식과
유리함수
f(1)=
=1에서 b=-5이므로 f(x)=
3+b
-2
3x-5
x-3
∴ f(4)=
3_4-5
4-3
=7
28 답 21
6x+b
f(x)=
x-a
=
6(x-a)+6a+b
x-a
=
6a+b
x-a
+6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교점은 (a, 6)이다.
한편, y=f -1(x)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교점은 점 (a, 6)을
y
6
2
y
6
2
y
6
2
-10
-6
O-2
2
6
10
x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이므로 (6, a)이고,
또, y=
=a-
이므로 y=
의 그래프의
ax
x+2
2a
x+2
ax
x+2
함수 y=f(x-a)+b의 그래프는 함수 y=f(x)의 그래프를 x축
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와 일
점근선의 방정식은 x=-2, y=a이다.
치하므로 함수 y=f(x-a)+b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교점은
Ú a<0일 때
y=f{x}
이다.
Û a>0일 때
y=f{x}
-10
-6
O-2
2
6
10
x
따라서 두 함수 y=f(x), y=
의 그래프의 교점은 유한개
ax
x+2
-10
-6
-2
O
2
6
10
x
(2a, 6+b)이다.
로 a=3, b=-3
이때,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점 (6, a)와 점 (2a, 6+b)가 같으므
따라서 f(x)=
이므로 f(4)=
6x-3
x-3
6_4-3
4-3
=21
29 답 ①
f(x)=
2x
1+|x-1|
는 다음과 같다.
2
2x
2-x
(x¾1)
(x<1)
=
[
에서 y=f(x)의 그래프
f{x}=
2x
1+|x-1|
-2
21
x
y
2
O
-1
-2
그림과 같이 두 함수 y=f(x), y=
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
ax
x+2
이때, 함수 y=( f½f )(x)=f( f(x))에서 f(x)=t라 하면
수가 무수히 많게 되는 a의 값의 범위는 2ÉaÉ6
-2< f(x)É2이므로 y=f(t)`(-22)
-1 (0Éx<2)
x+2
x-2
(x<0)
[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이므로 함수 y=
|x|-2
|x-2|
의
a=b=-2
∴ ab=4
[다른 풀이]
h(x)=g(x+a)+2에서
x=g(h-1(x)+a)+2
g(h-1(x)+a)=x-2
h-1(x)+a=f(x-2)
h-1(x)=f(x-2)-a=f(x+b)+2`
따라서 a=b=-2이므로 ab=4
y=
|x|-2
|x-2|
-2
1
2
3
x
y
2
1
O
-1
y=mx-3m+2
이때 직선 y=mx-3m+2=m(x-3)+2는 점 (3, 2)를 지나
고 기울기가 m인 직선이므로 함수 y=
의 그래프와 서로
|x|-2
|x-2|
다른 두 점에서 만나기 위한 직선의 기울기 m의 범위는 10이므로 양변에 x1x2를 곱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1+x2=6, x1x2=4이다.
ㄷ. 00일 때
y=-x
y
y=f{x}
O
R
P
xa
Q
P
a,
{
2
a }
, Q(a, -a), R
, -a
이므로
8
a
{-
}
PQÓ=a+
, QRÓ=a+
2
a
8
a
∴ △PQR=
PQÓ_QRÓ
;2!;_
=
;2!;{
a+
2
a }{
a+
8
a }
=
;2!;{
aÛ`+
16
aÛ`
+10
}
¾
2
aÛ`_
;2!;{
¾¨
+10
}
=9
16
aÛ`
(단, 등호는 a=2일 때 성립)
따라서 a=2일 때, 삼각형 PQR의 넓이의 최솟값은 9이다.
Û a<0일 때
P
{
a,
, Q(a, -a), R
{
-
8
a }
2
a
, -a
이므로 Ú과 같은 방법
}
으로 하면 a=-2일 때, 삼각형 PQR의 넓이의 최솟값은 9이
다.
Ú, Û에 의하여 삼각형 PQR의 넓이의 최솟값은 9이다.
35 답 12
직사각형의 각 사분면에 속한 부분의 넓이가 제 1 사분면부터 차례로
3, a, 4, b이고 직사각형의 성질에 의해
a_b=3_4=12
2
t }
4
t }
{
4
t
36 답 ⑤
곡선 y=
2
x
위의 점 P의 좌표를
{
t,
라 하면
OPÓ=PQÓ에서 점 Q의 좌표는 Q
2t,
이므로
0,
B
{
4
t }
, D(2t, 0)이다.
ㄱ. 곡선 위의 점 A의 y좌표가
이므로
4
t
=
2
x
에서
x=
, 즉 A
t
2
t
2
,
4
t }
{
t
2
이때, BAÓ=
, AQÓ=2t-
t이므로
t
2 =
3
2
BAÓ : AQÓ=1 : 3 ⋯ ㉠ (참)
ㄴ. 곡선 위의 점 C의 x좌표가 2t이므로 y=
=
2
2t
1
t
즉, C
2t,
{
1
t }
1
t
이때 DCÓ=
, CQÓ=
-
=
이므로
4
t
1
t
3
t
DCÓ : CQÓ=1 : 3 ⋯ ㉡
㉠, ㉡에서 △QAC∽△QBD이므로 선분 AC와 선분 BD는 평
행하다. (참)
ㄷ. Ú 점 P는 직사각형 OBQD의 대각선 OQ의 중점이므로 대각
선 BD의 중점이다. 따라서 점 P는 직선 BD 위의 점이다.
Û B
0,
, D(2t, 0)에서 직선 BD의 방정식은
Ⅴ05
유리식과
유리함수
=1, 즉
x
2t +
ty
4
=1
{
x
2t +
4
t }
y
4
t
x
2t +
ty
4
직선
=1과 곡선 y=
를 연립하여 y를 소거하면
2
x
x
2t +
t
2x
=1에서 x2-2tx+t2=0
이때, 방정식 x2-2tx+t2=(x-t)2=0은
중근을 가지므로 직선
=1은 곡선 y=
와 접한다.
2
x
Ú, Û에서 직선 BD는 곡선 y=
와 점 P에서 접한다. (참)
x
2t +
ty
4
2
x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37 답 ④
C
D
y
k
a
2
a
1
a
O
A B
P
a 2a
ka
C£
C¡
C™
x
그림과 같이 점 P의 좌표를 P
이라 하면 네 점 A, B, C, D
a,
{
1
a }
의 좌표는 A
{
2a,
1
a }
, B
ka,
{
1
a }
, C
a,
{
k
a }
, D
a,
{
2
a }
이다.
=-
1
aÛ`
-
2
1
a
a
2a-a
-
1
k
a
a
ka-a
ㄱ. (선분 DA의 기울기)=
(선분 CB의 기울기)=
=
1-k
(k-1)aÛ`
=-
1
aÛ`
이므로 선분 DA와 선분 CB는 평행하다. (참)
ㄴ. DAÓ`//`CBÓ이므로
CBÓ
DAÓ
=
PBÓ
PAÓ
=
ka-a
2a-a
=k-1
k=3이면
=3-1=2에서 CBÓ=2DAÓ (거짓)
ㄷ. △PAD=
PAÓ_PDÓ=
a_
;2!;_
1
a =;2!;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CBÓ
DAÓ
;2!;_
정답 및 해설 53
[해] 05강_육.indd 53
2017-12-11 오후 3:40:48
38 답 4
점 A의 좌표를 A
t,
이라 하면 점 B의 좌표는 B
1
t }
{
1
t
{
, t
이다.
}
삼각형 OAB가 정삼각형이므로
OAÓ
2
2
=ABÓ
에서 tÛ`+
1
tÛ`
=
t-
{
Û`
1
t }
+{
1
t
-t
Û`
}
tÛ`+
=2tÛ`+
-4 ∴ tÛ`+
=4
1
tÛ`
2
2
tÛ`
1
tÛ`
즉, OAÓ
=4에서 OAÓ=2이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2이다.
따라서 원의 넓이는 4p이므로 a=4
f -1(1)=
에서 f
=1이므로
;4&;
{;4&;}
1=
b+c
;4&;
a-
;4&;
=
7b+4c
4a-7
4a-7=7b+4c
∴ a-c=7 y ㉢
㉠, ㉡, ㉢을 연립하여 풀면
a=5, c=-2, d=5
∴ a+b+c+d=11
ⓑ
ⓒ
[30%]
[40%]
[30%]
ⓐ
ⓑ
[60%]
[40%]
일등급
| 채점기준 |
ⓐ a, d 사이의 관계식과 b의 값을 구한다.
ⓑ a, c 사이의 관계식을 구한다.
ⓒ 연립방정식을 풀고 a+b+c+d의 값을 구한다.
|x-1|
x+1
의 그래프와 직선
ⓐ
41 답 12
이므로 그래프는 다음과
점 P의 좌표를 P
a,
+1
(a>0), 선분 OA의 중점을
2
a
{
}`
39 답 1
주어진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는 함수 y=
y=k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x-1
x+1
-x+1
x+1
|x-1|
x+1
이때, y=
=
[
(x¾1)
(x<1)
같다.
y
y=
|x-1|
x+1
y=k
1
y=1
-1
O 1
-1
x
y=-1
M(1, 0)이라 하면 삼각형의 중선정리에 의해
2
2
2
OPÓ
+APÓ
=2(PMÓ
+OMÓ
2
)
2
a
{
=2
(a-1)2+
+1
+12
2
}
]
=2
a2+
2
2
a }
{
-2
a-
{
2
a }
+3
]
[
[
=2
a-
[{
=2
a-
[{
2
a }
2
a }
2
+4-2
a-
{
2
a }
+3
]
2
-2
a-
{
2
a }
+7
]
이때, a-
2
OPÓ
+APÓ
=A라 하면
2
a
2
=2(A2-2A+7)=2{(A-1)2+6}
x=-1
ⓑ
따라서 함수 y=
의 그래프와 직선 y=k의 교점의 개수가 2
|x-1|
x+1
이려면 00)
Û`+APÓ
따라서 점 P의 좌표가 (2, 2)일 때 OPÓ
Û`의 최솟값은 12이다.
2
OPÓ
2
+APÓ
의 최솟값
A=1에서 a-
=1, 즉 a2-a-2=0
2
a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x=a, y=-b이므로
a=d y ㉠이고 -b=-3에서 b=3이다.
ⓐ
또, y=f(x)의 그래프가 점
{
1,
;4!;}
을 지나므로
f(1)=
에서
;4!;
=
;4!;
b+c
a-1
∴ a-4c=13 y ㉡
, a-1=4b+4c
54 일등급 수학•고등 수학 (하)
42 답 ⑤
유리함수 y=
3
x-5
+k의 두 점근선은 x=5, y=k이다.
즉, 유리함수 y=
+k의 그래프는 두 점근선의 교점 (5, k)를
3
x-5
지나고 기울기가 1인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k=5
[해] 05강_육.indd 54
2017-12-11 오후 3:40:49
43 답 ①
방정식 (g½f)(x)=g( f(x))=1이므로
g(x)의 정의에 의해 f(x)는 정수가 되어야 한다.
이때, f(x)=
6x+12
2x-1
=
15
2x-1
15의 약수이어야 한다.
+3이 정수가 되려면 2x-1은
그런데 x가 자연수이므로 2x-1도 자연수이고,
2x-1은 15의 양의 약수이어야 한다.
즉, 2x-1=1 또는 2x-1=3 또는 2x-1=5 또는
2x-1=15이므로 x=1 또는 x=2 또는 x=3 또는 x=8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자연수 x의 개수는 4이다.
44 답 ③
함수 y=f(x)의 그래프는 두 점근선의 교점인 (-a, b)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역함수 y=f -1(x)의 그래프는 점 (b,``-a)에 대하여
46 답 ②
두 양수 a, b에 대하여 두 점 P, Q의 좌표를 각각
P
a,
{
4
a },
Q
-b, -
{
4
b }
라 하면 점 A, B, C, D의 좌표는
A(a, 0), B
0,
, C(-b, 0), D
0, -
4
a }
{
4
b }
{
이때, 육각형 APBCQD의 넓이를 S라 하면
S=OAPB+OCQD+△OBC+△ODA
=a_
+b_
+
_b_
+
_a_
4
b
1
2
4
a
1
2
4
a
4
b
a>0, b>0이므로
>0,
>0에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
=8+2
b
a
+ a
b }
{
에 의하여
b
a
a
b
a
b
b
a
a
b
b
a
b
a
¾¨
{
+
a
b }
+
¾2
_
=2`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
∴ S=8+2
¾8+2_2=12
따라서 육각형 APBCQD의 넓이의 최솟값은 12이다.
Ⅴ05
유리식과
유리함수
대칭이다.
즉, (b, -a)=(2, 1)에서
b=2, a=-1
∴ a+b=(-1)+2=1
45 답 ④
y=-x+3
y
y=f{x}
P
x
2
O 1
47 답 20
y
y=f{x}
k
Q{a, b}
B
C
H
O
A
P
H'
1
l
x
직선 l과 함수 y=f(x)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 중 B가 아닌 점을
Q(a, b)라 하자.
PBÓ=QPÓ=CQÓ y ㉠
두 삼각형 APB, OPQ는 서로 합동이고, S2=2S1이므로
함수 y=
+2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은 x=1, y=2이고
2
x-1
한편, 두 점 Q,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H, H'이라 하
면 두 삼각형 CQH, CPH'은 닮음비가 1`:`2인 닮은 삼각형이고,
직선 x+y-3=0은 점 (1, 2)를 지나므로 이 유리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x+y-3=0에 대하여 대칭이다. 따라서 x>1인 경우만 생각
P(1, k)이므로 b=
=f(a)
k
2
+2
라 하면 점 P와 직선 x+y-3=0 사이의 거리는
}
또한, ㉠에 의하여 C(-3, 0)이고 두 점 C, Q를 지나는
직선 l의 방정식은 kx-4y+3k=0이고 원점과 직선 l 사이의
이고 t>1이므로
거리가 1이므로
유리함수 f(x)=
+2의 그래프 위를 움직이는 점을
2
x-1
해도 된다.
P
t,
{
2
t-1
t+
|
2
t-1
2
'
+2-3
t-1+
|
|
=
2
t-1 |
2
'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t-1)+
¾2
(t-1)_
2
t-1
¾¨
=2
2 이다.
'
따라서 구하는 거리의 최솟값은
=2이다.
2
t-1
|2
2|
'
2
'
+k이므로 a=-1
즉,
k
2
=
k
a-1
-1, k
2 }
∴ Q
{
=1에서 kÛ`=2
|3k|
kÛ`+16
"Ã
∴ 10kÛ`=20
정답 및 해설 55
[해] 05강_육.indd 55
2017-12-13 오전 12:27:55
-p+a=6, b+q=1, a-bp+q(-p+a)=b에서
이 중 가장 작은 값 -2에 대하여 -2=-k이므로 k=2
+b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하면
부분을 직선 y=-k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곡선이다.
즉, y=
+k
-k의 그래프는 y=
의 그래프에서 y<-k인
2
x
|
|
2
x
y
O
-k
x
48 답 6
y=
bx+a
x+a
=
a-ab
x+a
y=
x+b
x+6
=
b-6
x+6
k
x-p
∴ a+b=4+2=6
[다른 풀이]
y=
bx+a
x+a
만큼 평행이동하면
+1의 그래프가 된다.
이때, y=
+q의 그래프는 평행이동하여도 k의 값은 같으므로
a-ab=b-6 ∴ (a+1)(b-1)=5
a, b가 자연수이므로 a+1, b-1은 정수이고
a+1>1이므로 a+1=5, b-1=1에서 a=4, b=2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y축의 방향으로 q
y=
b(x-p)+a
(x-p)+a
+q=
(b+q)x+(a-bp-pq+aq)
x-p+a
의 그래
프가 된다. 이 그래프가 y=
의 그래프와 일치하므로
x+b
x+6
a-bp+6q=b y ㉠
p=a-6, q=1-b를 ㉠에 대입하면 a-b(a-6)+6(1-b)=b
ab-a+b=6 ∴ (a+1)(b-1)=5
a, b가 자연수이므로 a=4, b=2 ∴ a+b=4+2=6
49 답 1
함수 f(x)=
2
x
|
y=
+k
2
x
y=
|
+k
|
2
x
ú
j
j
k
ú
j
j
k
y=
|
+k
-k
|
2
x
56 일등급 수학•고등 수학 (하)
y
k
O
y
O
y
k
x
x
O
x
-k
+k
-k의 그래프를 다음 순서로 그려보자.
|
이 l1, l2이다.
2
x
2
y
한편, 함수 y=
의 그래프와 원 x2+y2=5가 만나는 점 중에서
y좌표가 가장 작은 점의 y좌표가 -k일 때, 함수 y=f(x)의 그래
프와 원 x2+y2=5가 5개의 점에서 만남을 알 수 있다.
y=
에서 x=
를 x2+y2=5에 대입하면
2
x
+y2=5에서 (y2)2-5y2+4=0
4
yÛ`
(y2-1)(y2-4)=0, (y-1)(y+1)(y-2)(y+2)=0
∴ y=Ñ1 또는 y=Ñ2
∴ f(2)=
+2
-2=1
2
2
|
|
50 답 5
함수 y=
nx
x-m
=
mn
x-m
+n의 두 점근선 x=m, y=n의 교점을
P라 하면 P(m, n)이므로 점 P를 지나고 기울기가 1, -1인 직선
l¡
P
y
D
n
B
OA
m
C
x
l™
그림과 같이 직선 l1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A, B라 하고,
직선 l2가 x축, y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C, D라 하면 삼각형 PAC
와 삼각형 PBD는 닮은 삼각형이고 그 닯음비가 n : m이므로
Sx : Sy=n2 : m2
즉, 4 : 1=n2 : m2
∴ n=2m
이때, m, n은 집합 A의 원소이므로 순서쌍 (m, n)은
(1, 2), (2, 4), (3, 6), (4, 8), (5, 10)의 5개이다.
[해] 05강_육.indd 56
2017-12-15 오후 3:17:37
4
ab
+
1
a
1
b
이고
Ⅴ05
유리식과
유리함수
∴ f
{
a+b
2
}
=1-
2
a+b
따라서 2f
{
a+b
2
}
=f(a)에서
2f
{
a+b
2
}
=2-
4
a+b
=2-
f(a)=
-1이므로
㉠에서
=2-
을 대입하면
1
a
=
-1
1
a
1
a
1
b
4
a {
2-
2-
+
1
a
1
a }
1
a
1
a }
2-
2
2
1
a }
{
-5
+3=0
1
a
{
-1
}{
-3
=0
}
{
2
a
∴ a=1 또는 a=
2
3
a=1을 ㉠에 대입하면
1+
=2 ∴ b=1
1
b
즉, a=b=1이므로 01)
Ú 00) y ㉠
따라서 옳은 것은 ㄴ이다.
09 답 ②
ㄱ. a=-1이면 주어진 함수는 y=-
의 그래프는 y=-
-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
-(x-1)+1이고 이 함수
'Ä
y
1
y=
2x-1
x-1
의 그래프는 점
, -1
을 지나므로 y=
2
3
{
}
2x-1
x-1
의
그래프와 y=
2x-a-1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그림과 같이
É
이어야 한다.
'Ä
a
2
2
3
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그래프
O 1
x
∴ aÉ
;3$;
'¶
'Ä
y
1
O
는 그림과 같다. 따라서 그래프는 제`2
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거짓)
ㄴ. a의 값에 관계없이
a(x-1)¾0이므로
-
a(x-1)É0이다. 즉, 함수 y=-
a(x-1)+1의 치역은
'Ä
'Ä
{y|yÉ1}이다. (참)
ㄷ. 함수 y=-
a(x-1)+1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Ä
y= x+1
a<0
1
a>0
x
y=- a{x-1}+1
'§
'Ä
10 답 ⑤
f(x)=
'Ä
f(-1)=
'Ä
ax+b+c가 x=-1에서 최솟값 1을 가지므로
-a+b+c=1 ⋯ ㉠
또, f(1)=3이므로 f(1)=
a+b+c=3 ⋯ ㉡
한편, f(x)=
ax+b+c에서
ax+b¾0이므로
'Ä
'Ä
f(x)의 최솟값은 c이다. ∴ c=1
c=1을 ㉠, ㉡에 대입하면 -a+b=0, a+b=4이고 두 식을 연립
하여 풀면 a=2, b=2이므로 a+b+c=5
11 답 ③
y=
2x-1
x-1
y= 2x-a-1
y
2
2
3
O
1
x
y=-1
-1
a
{ }
, -1
2
Ⅴ06
무리식과
무리함수
12 답 6
y=
ax+b+c에서
ax+b=y-c
'Ä
1
a
∴ x=
(y-c)2-
'Ä
b
a
따라서 y=
ax+b+c의 역함수는
'Ä
(x-c)2-
1
a
y=
b
a
y=ax2+bx+c이므로 계수를 비교하면
x2-
x+
2c
a
1
a
=
c2-b
a
a=
, -
=b,
2c
a
c2-b
a
=c
이고 이 함수가
1
a
1
a
2c
a
이것을 다른 두 식에 대입하면
-
=b에서 b=-2c,
=c에서 b=c2-c
c2-b
a
이 두 식을 연립하면 c2-c=-2c에서
c2+c=0, c(c+1)=0
∴ c=-1 (∵ c+0), b=2 y ㉡
㉠, ㉡에서 a2+b2+c2=6
13 답 ⑤
( f½(g½f)-1½f)(3) =( f½f -1½g
-1½f)(3)
=(g
-1½f)(3)=g
-1( f(3))
-1( f(3))=g
-1(2)
한편, f(3)=
3+1
3-1
-1(2)=a라 하면 g(a)=2에서
=2이므로 g
g
g(a)=
'Ä
2a-1=2, 2a-1=4, 2a=5 ∴ a=
;2%;
∴ ( f½(g½f)-1½f)(3)=g
-1(2)=
;2%;
분수함수 y=
2x-1
x-1
=
2(x-1)+1
x-1
=
1
x-1
+2의 그래프는
점근선이 x=1, y=2이고 점 (0, 1)을 지난다.
또, 무리함수 y=
2x-a-1=
2
¾¨
{
x-
a
2 }
-1은
정의역이
x
[
|
x¾
이고, 치역이 {y|y¾-1}이다.
'Ä
a
2 ]
14 답 ③
f -1(
'Ä
x+a-1)=x+b에서 f(x+b)=
'Ä
이때, f(1)=0이므로 x=1-b를 대입하면
x+a-1
f(1)=
1-b+a-1에서 0=
1-b+a-1
'Ä
a-b+1=1, a-b+1=1
'Ä
'Ä
∴ a-b=0
정답 및 해설 59
[해] 06강_육.indd 59
2017-12-11 오후 3:43:12
3
x
ABÓ=BCÓ에서
tÛ`=3t ∴ t=2`(∵ t>0)
;2#;
15 답 ②
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2 3
y=2 3-x
y=2 x-3
O
3
x
17 답 4
두 함수 y=
'Ä
|x|-1+1, y=a-|x|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인 함
수이다. 따라서 두 함수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고 두
교점 사이의 거리가 4이므로 두 점의 좌표를 (-2, k), (2, k)라 할
수 있다. 즉, x=2일 때 두 함수의 함숫값이 같으므로
|2|-1+1=a-|2|에서 2=a-2 ∴ a=4
'Ä
이때, 함수 g(x)=mx+2의 그래프는 점 (0, 2)를 지나고 기울기
가 m인 직선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g(x)가 서
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경우이다.
18 답 40
함수 y=
∴ n=3
y=2 3-x
y
2
O
2 3
y=2 x-3
{iii}
{ii}
{i}
Ú 직선 y=g(x)가 점 (3, 0)을 지나는 경우
0=3m+2에서 m=-
;3@;
Û 직선 y=g(x)가 x축에 평행인 경우 m=0
Ü 직선 y=g(x)가 곡선 y=2
x-3에 접하는 경우
'Ä
2
x-3=mx+2에서 4(x-3)=(mx+2)2
'Ä
m2x2+4(m-1)x+16=0
D
4
=4(m-1)2-16m2=0에서 3m2+2m-1=0
(3m-1)(m+1)=0 ∴ m=
또는 m=-1
;3!;
그런데 접하려면 m>0이어야 하므로 m=
;3!;
Ú~Ü에 의하여 S=-
+0+
=-
;3@;
;3!;
;3!;
∴ n_S=3_
=-1
{-;3!;}
16 답 ①
무리함수 y=
'§
x의 그래프와
직선 y=
(x+2)를 좌표평면
;2!;
위에 나타내면 그림과 같다.
점 P의 y좌표를 k라 하면
-2
Ú 점 P의 x좌표는
y
k
O
1
y= {x+2}
1
2
y= x
P
Q
x
k=
(x+2)에서 x=2k-2
;2!;
Û 점 Q의 x좌표는 k=
x 에서 x=k2
'§
그림에서 점 Q의 x좌표가 점 P의 x좌표보다 크므로 Ú, Û에서
PQÓ=k2-(2k-2)=(k-1)2+1
따라서 선분 PQ의 길이의 최솟값은 k=1일 때 1이다.
60 일등급 수학•고등 수학 (하)
x의 그래프 위의 점 A의 좌표를 A(t2, t) (t>0)라 하면
'§
점 B, C, D의 좌표는 각각 B
tÛ`
2
{-
, C
, t
}
{-
, D(tÛ`, -2t)
, -2t
}
tÛ`
2
이다.
점 D의 좌표를 y=-
kx에 대입하면 -2t=-
kt2 ∴ k=4
'¶
"
또한, 사각형 ABCD가 정사각형이므로
따라서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ABÓ=
_2Û`=6이므로
;2#;
정사각형의 넓이는 S=36
∴ k+S=40
19 답 6
주어진 도형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시켜 넓이를 구해도 마
두 함수 y=
3x, y=2x-3의 역함수를 구하면
'¶
y=
3x에서 x=
yÛ`이므로 y=
xÛ` (x¾0)
'¶
;3!;
;3!;
y=2x-3에서 x=
(y+3)이므로 y=
x+
;2!;
;2!;
;2#;
두 역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의 좌표를 구하기 위해 연립하면
, 2x2-3x-9=0, (2x+3)(x-3)=0
x2=
x+
;2#;
;2!;
;3!;
∴ x=3 (∵ x¾0)
즉, 교점의 좌표는 (3, 3)이다.
두 역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을 P, 점 P에서 x축과 y축에 내린 수선
의 발을 각각 H, T라 하고 직선 y=
x+
이 x축과 만나는 점을
;2!;
;2#;
Q라 하여 좌표평면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 x@{x 0}
1
3
y
T
3
P{3, 3}
H
3
x
1
y= x+
2
3
2
Q
-3
O
따라서 구하는 영역의 넓이를 S라 하면
S=△PQH-
PTOH=
_6_3-
;3!;
;2!;
_32=6
;3!;
이 이차방정식이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찬가지이다.
[해] 06강_육.indd 60
2017-12-11 오후 3:43:13
24 답 15
함수 f(x)가 일대일대응이 되기 위해서는 곡선
y=-(x-a)2+b`(x¾4)가 점 (4, 3)을 지나야 하고,
곡선 y=-(x-a)2+b가 직선 x=a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aÉ4이
(∵ x=
5)
'
어야 한다.
20 답 ④
x-2
x+2+
x-2
x+2-
'Ä
'Ä
'Ä
'Ä
=
=
=
=
'Ä
xÛ`-4
x+2+
x-2)Û`
(
'Ä
(x+2)-(x-2)
2x+2
"Ã
4
5+2
4
5+2
4
5+1
2
5-4
= '
'Ä
'
'
2
2
21 답 ⑤
x2-4=
a2+2+
=a2-2+
{
{
y2-4=
b2+2+
-4
-4
a-
{
2
1
a }
=b2-2+
b-
{
2
1
b }
1
a2 }
1
a2 =
1
b2 }
1
b2 =
1
b `
y2-4
"Ã
, b<
xy-
"Ã
=
a+
b+
1
a
x2-4
1
a }{
1
a }{
1
a }{
{
{
{
=2
ab+
{
1
ab }
1
b }
1
b }
1
b }
=
a+
b+
-
a-
b-
=
a+
b+
+
a-
b-
-
¾¨{
a-
2
1
a }
b-
¾¨{
2
1
b }
1
a ||
1
a }{
1
b |
1
b }
|
{
이때, a>
(∵ a>1, 00)
'
Ú, Û에 의하여 두 함수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k의 범위는 4Ék<4
2이므로
'
16Ék2<32에서 a=16, b=32
∴ b-a=32-16=16`
[다른 풀이]
Û y=-2
4-x+k에서 k-y=2
4-x
'Ä
'Ä
이것은 함수 y=2
x의 x에 4-x를, y에 k-y를 대입한 것이므
로 함수 y=2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다.
'§
x를 점
{
'§
2,
k
2 }
가 직선 x=2 위에 있으므로 두 곡선이 접할 때의
2,
점
{
k
2 }
접점의 x좌표도 2이다.
즉, -2
4-2+k=2
2에서 k=4
2
'
'
'Ä
26 답 9
주어진 그래프는 꼭짓점이 (-3, 5)인 이차함수의 일부이므로
y=k(x+3)2+5 (x¾-3)이고 점 (0, 2)를 지나므로
2=k(0+3)2+5에서 9k=-3 ∴ k=-
;3!;
즉, 주어진 그래프의 함수식은
y=-
(x+3)2+5 (x¾-3)이고 이 함수의 역함수는
;3!;
(x+3)2=-3(y-5)에서
x+3=
-3y+15 (∵ x¾-3)
'Ä
-3y+15-3
∴ x=
'Ä
y=
-3x+15-3이다.
'Ä
따라서 a=-3, b=15, c=-3이므로 a+b+c=9
'Ä
27 답 2
함수 y=f(x)와 y=g(x)는 역함수 관계이므로 두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xÛ`
2
xÛ`
2
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정수 k의 개수를 구하는 것과 같다.
x¾0이므로 x에 대한 방정식 f(x)=2x가 음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면 된다.
f(x)=2x에서
+k=2x ∴ x2-4x+2k=0 y ㉠
62 일등급 수학•고등 수학 (하)
a+b=4¾0, ab=2k¾0
∴ k¾0
Û ㉠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D
4
=4-2k>0
∴ k<2
Ú, Û에 의하여 0Ék<2
따라서 정수 k는 0, 1의 2개이다.
28 답 ④
무리함수 y=
'Ä
다.
2x-5+k는 x의 값이 증가할 때, y의 값도 증가하
는 함수이므로 함수 y=
프의 교점은 함수 y=
'Ä
2x-5+k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의 그래
'Ä
2x-5+k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이
한편, 함수 y=
2x-5+k의 그래프는 함수 y=
2x-5의 그래프
'Ä
를 y축의 방향으로 k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두 교점 A, B에 대
하여 선분 AB의 길이가 최대일 때는 그림과 같이 y=
2x-5+k
'Ä
'Ä
의 그래프의 시작점이 직선 y=x 위의 점일 때이다.
y
k
A
5
2
'Ä
O
;2%;
y=x
B
y= 2x-5+k
y= 2x-5
x
;2%;
'Ä
;2%;
2
2x-5=2x-5
'Ä
여기서
'Ä
2x-5=t라 하면
2t=t2, t(t-2)=0 ∴ t=0 또는 t=2
즉,
2x-5=0 또는
2x-5=2에서
'Ä
'Ä
;2%;
x=
또는 x=
;2(;
따라서 선분 AB의 길이가 최대일 때 두 점 A, B의 좌표는
29 답 ②
함수 f(x)의 역함수가 존재하므로 함수 f(x)는 일대일대응이다.
x¾1에서 함수 y=
의 그래프는 점근선이
-3x+1
x+1
직선 y=
x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은 y=2x이므
;2!;
로 함수 f(x)=
+k`(x¾0)의 그래프와 직선 y=2x가 서로 다
이므로 선분 AB의 길이의 최댓값은
A
{;2%;, ;2%;}
{;2(;, ;2(;}
, B
2
¾¨{;2(;-;2%;}
+{;2(;-;2%;}
'Ä
2
=
4+4=2
2
'
즉, 주어진 그래프가 나타내는 함수의 역함수 y=
ax+b+c는
직선 y=x의 또 다른 교점은
2x-5+
=x에서
따라서 이때의 k의 값은
이고 함수 y=
2x-5+
의 그래프와
[해] 06강_육.indd 62
2017-12-11 오후 3:43:15
x=-1, y=-3이고 점 (1, -1)을 지나는 그래프로 x의 값이 증
가하면 y의 값은 감소하는 함수이고, x<1에서
무리함수 y=
1-x+k도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은 감소하는
'Ä
함수이므로 f(x)는 실수 전체의 범위에서 감소하는 함수이다.
y
2
1
´3
´2
y=g{x}
y=f{x}
y=f{x-2}
따라서 함수 f(x)가 일대일대응이려면 무리함수
1-x+k의 그래프가 점 (1, -1)을 지나야 한다.
y=
'Ä
즉, -1=
'Ä
1-1+k에서 k=-1
따라서 f(x)=
1-x-1 (x<1)
'Ä
-3x+1
x+1
f -1( f -1(a))=3이면 f( f(3))=a이므로
(x¾1)
이고
[
a=f( f(3))=f(-2)=
3-1
'
-2
O
1
2
x
Ú y=g(x)의 그래프가 두 점 (1, 1), (2, 2)를 지날 때,
g(1)+g(2)=1+2=3
Û y=g(x)의 그래프가 두 점 (1,
'§
3 ), (2,
2 )를 지날 때,
'§
g(1)+g(2)=
3+
2
'§
'§
Ü y=g(x)의 그래프가 두 점 (1,
'§
3 ), (2, 2)를 지날 때,
g(1)+g(2)=
3+2
'§
이때,
3+2>3이고
3+2>
3+
2이므로
'§
'§
'§
'§
3+2이다.
g(1)+g(2)의 최댓값은
'§
Ⅴ06
무리식과
무리함수
30 답 ④
9-
함수 y=
[
-
'Ä
(x¾1)
9
x
8-8x (x<1)
의 그래프와 기울기가 1이고 y절편이
k인 직선 y=x+k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는 경우는 다음 그림
2x이고, x<0일 때 y=0이므로
과 같이 직선 y=x+k가 두 접선 Ú, Û 사이에 있을 때이다.
32 답 ③
x¾0일 때 y=
'¶
y=
x+|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Ä
y
y
9
{ii}
y=9-
9
x
{i}
x
1
O
y=- 8-8x
Ú -
8-8x=x+k에서 8-8x=x2+2kx+k2
'Ä
x2+2(k+4)x+k2-8=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k+4)2-(k2-8)=8k+24=0에서 k=-3
DÁ
4
9
x
Û 9-
=x+k에서 9x-9=xÛ`+kx `
xÛ`+(k-9)x+9=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Dª =(k-9)2-36=k2-18k+45`
=(k-15)(k-3)=0
에서 k=3 (∵ 그래프에서 00
Û 직선 y=k(x+2)가 점 (1, 1)을 지날 때, 1=3k에서
k=
;3!;
Ú, Û에서 구하는 k의 값의 범위는
00이므로 a=2이다.
그래프와 무연근
=(99-1Û`)+(99-2Û`)+y+(99-9Û`)
=99_9-(1Û`+2Û`+y+9Û`)= 606
(나)
따라서 p=99, q=606, f(7)=99-7Û`=50이므로
일등급
p+q+f(7)=99+606+50=755`
방정식 ㉠에서 실근은 하나 더 있지만 필요로 하는 근을 구했기에 더 이
상 찾는 것은 무의미하다. 이전 교육과정에서는 이런 근을 방정식을 변
형하면서 생긴 원래의 방정식과는 관계가 없는 근(무연근)이라 했다.
37 답 ⑤
조건 (가)에서 -1ÉxÉ1일 때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 1]
과 같다. 조건 (나)에서 y=f(x)가 주기가 2인 주기함수이므로 그래
프는 [그림 2]와 같다.
35 답 ④
y=1-
"Ã
양변을 제곱하면
(y-1)Û`=1-xÛ`
1-xÛ`에서 y-1=-
1-xÛ`
"Ã
∴ xÛ`+(y-1)Û`=1 (yÉ1)
따라서 y=1-
1-xÛ`의 그래프는 원 xÛ`+(y-1)Û`=1에서
"Ã
yÉ1인 부분이므로 다음 그림과 같다.
y=1- 1-x@
y
2
1
-3
-1
O
1
3
5
x
y=k{x+2}
-2
-1
O
1
x
이때, 직선 x-ny+2=0, 즉 y=
(x+2)는
y=k(x+2)는 k의 값에 관계없이 점 (-2, 0)을 지나는 직선이
점 (-2, 0)을 지나고 기울기가
인 직선이므로
고, 주어진 곡선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n=1, 2, 3 y일 때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64 일등급 수학•고등 수학 (하)
y
1
-1
O
1
x
[그림 1]
y
1
[그림 2]
1
n
1
n
[해] 06강_육.indd 64
2017-12-11 오후 3:43:17
y
1
n=1
n=2
n=3
n=4
n=5
-3
-1-2
O
1
3
5
x
| 채점기준 |
ⓐ 두 함수 f(x), g(x)가 역함수 관계임을 파악한다.
ⓑ 두 함수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는 조건을 구한다.
ⓒ k의 값의 범위를 구하고 모든 정수 k의 값의 합을 구한다.
[30%]
[40%]
[30%]
ㄱ. g(1)=1, g(2)=2, g(3)=3, y에서
g(n)=n y ㉠이다. ∴ g(3)=3 (참)
ㄴ. f(2)=1, f(3)=0, f(4)=1, f(5)=0, y이고,
g(2)=2, g(3)=3, g(4)=4, g(5)=5, y이므로
n¾2일 때, f(n)0)
243
25
따라서 정삼각형 ABC의 한 변의 길이는
ABÓ=2
k=2
'
243
25
¾¨
=2_
9
3
'
5
=
3
18
'
5
xÛ`+
k`(x¾0)의 역함수는
;4!;
;4!;
39 답 6
함수 f(x)=
g(`x)=
4x-k이다.
'Ä
에 있다.
즉,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의 교점은 직선 y=x 위
즉, 두 함수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xÛ`+
k=x에서 xÛ`-4x+k=0이 음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
;4!;
;4!;
k¾0,
=(-2)Û`-k>0이어야 한다.
D
4
즉, 0Ék<4이므로 모든 정수 k는 0, 1, 2, 3으로 구하는 합은
0+1+2+3=6이다.
ⓐ
ⓑ
ⓒ
40 답 40
y
C
y=2 x
B
y=m{x+2}
A
-2
O
D
E
x
Ⅴ06
무리식과
무리함수
두 점 B, C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D, E라 하면
ABÓ=BCÓ에서 ACÓ=2ABÓ이고 두 삼각형 ABD, ACE가 닮음이
므로 CEÓ=2BDÓ이다.
두 점 B, C의 y좌표를 각각 k, 2k`(k>0)라 하고
y=m(x+2)와 y=2
x, 즉
yÛ`=x를 연립하면
'§
;4!;
y=m
yÛ`+2
에서 이차방정식 myÛ`-4y+8m=0의 두 근이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k+2k=
, k_2k=8이므로 k=2`(∵ k>0)이고
{;4!;
}
k, 2k이다.
4
m
m=
이다.
;3@;
∴ 60m=60_
=40
;3@;
| 채점기준 |
ⓐ 두 선분 CE, BD의 길이 사이의 관계식을 구한다.
ⓑ k의 값을 구하기 위하여 방정식을 세운다.
ⓒ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k, m의 값을 각각 구하고 60m의 값을 구한
ⓐ
ⓑ
ⓒ
[30%]
[40%]
[30%]
다.
[다른 풀이]
ABÓ=BCÓ이므로 ADÓ=DEÓ이고 직선 l은 m의 값에 관계없이
점 A(-2, 0)을 지나므로 점 B의 x좌표를 k`(k>0)라 하면
ADÓ=k+2에서 DEÓ=k+2이다.
즉, 점 E의 x좌표는 k+(k+2)=2k+2이므로
두 점 B, C의 y좌표는 각각` 2
k, 2
2k+2이다.
이때, 2BDÓ=CEÓ이므로 4
4k=2k+2, 2k=2
'
k=2
'Ä
2k+2에서
'
'Ä
∴ k=1
울기는
m=
2-0
1-(-2)
=
;3@;
∴ 60m=40
정답 및 해설 65
을 가져야 하므로 xÛ`-4x+k=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즉, 점 B의 좌표는 (1, 2)이므로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 l의 기
[해] 06강_육.indd 65
2017-12-11 오후 3:43:17
B
'
41 답 27
y
A
y= 2x
y= 2{x-4}
C
O
4
x
43 답 ④
a, d=
b=
'
'
c에서 a=bÛ`, c=dÛ`
또, 주어진 조건에서
=1이므로
b+d
2
(직선 PQ의 기울기)=
d-b
c-a
=
d-b
dÛ`-bÛ`
=
1
d+b
=
;2!;
곡선 y=
2x 위의 점 A의 좌표는 A(4, 2
2)이고 점 B의 좌표를
'
2(x-4) 위의 점 C의 좌표를
'¶
B(2bÛ`, 2b), 곡선 y=
'Ä
C(2cÛ`+4, 2c)(c>0)라 하자.
44 답 ②
함수 y=f(x)의 그래프가 점 B를 지날 때의 k의 값은
1=
7-k에서 k=6이다. 즉, k>6이면 함수 y=f(x)의 그래프
'Ä
이때, 두 점 A, C의 중점의 좌표는 (cÛ`+4, c+
2)이고
는 삼각형 ABC와 만나지 않는다.
두 점 O, B의 중점의 좌표는 (bÛ`, b)인데 사각형 OABC가 평행사
변형이므로 두 선분 OB, AC의 중점이 일치한다.
ⓐ
또, f(x)=
x-k의 역함수는 f -1(x)=xÛ`+k (x¾0)이고
'Ä
역함수 y=f -1(x)의 그래프가 점 A를 지날 때의 k의 값은
bÛ`=cÛ`+4에서 bÛ`-cÛ`=4이고 b=c+
2에서
6=1Û`+k에서 k=5이다. 즉, k>5이면 y=f -1(x)의 그래프는 삼
b-c=
2 y ㉠이다.
'
각형 ABC와 만나지 않는다.
bÛ`-cÛ`=(b-c)(b+c)=4에 b-c=
2를 대입하면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와 역함수 y=f -1(x)의 그래프가
'
'
삼각형 ABC와 동시에 만나도록 하는 실수 k의 최댓값은 5이다.
ⓑ
ⓒ
[40%]
[30%]
[30%]
2(b+c)=4 ∴ b+c=2
2 y ㉡
'
㉠, ㉡을 연립하여 풀면 b=
이므로 점 B의 좌표는
'
2
3
'
2
B(9, 3
2)이다.
'
Û`=(9-4)Û`+(3
∴ ABÓ
2-2
2)Û`=25+2=27
'
'
| 채점기준 |
ⓐ 두 선분 AC, OB의 중점이 일치함을 파악한다.
ⓑ 두 선분의 중점이 일치함을 이용하여 관계식을 세운다.
ⓒ ABÓ
Û`의 값을 구한다.
무리함수의 그래프 위의 점의 표현
일등급
㉠, ㉡에서 두 점 B, C의 좌표를 B(b,
'¶
2b), C(c,
'Ä
2(c-4))라 하면
계산 과정이 복잡해진다. 무리함수에서 문자를 이용해 좌표를 설정할
때는 근호 안이 완전제곱이 되도록 하는 문자를 좌표로 설정하면 계산
과정이 간단해진다.
42 답 ③
별 A, B의 표면 온도를 각각 TA, TB, 반지름의 길이를 각각 RA, RB,
광도를 각각 LA, LB라 하면 TA=
TB이고 RA=36RB이다.
;2!;
TAÛ`=
1
RA ¾¨
LA
4pr
에서
TB}
{;2!;
2
=
1
36RB ¾¨
LA
4pr
∴
TBÛ`=
;4!;
36RB ¾¨
1
LA
4pr
y ㉠
또, TBÛ`=
1
RB ¾¨
LB
4pr
y ㉡이므로 ㉠z㉡을 하면
LA
LB
에서
LA
LB
¾¨
=9
;4!;=;3Á6;¾¨
∴
LA
LB
=81
LA
LB
66 일등급 수학•고등 수학 (하)
45 답 16
두 점 A, B의 좌표는 각각 A(`a,
점 C의 y좌표는 점 B의 y좌표와 같으므로
x=
3a에서 x=3a
'¶
'
따라서 두 점 C, D의 좌표는 각각 C(`3a,
a), B(`a,
3a )이고
'¶
'
이때, 두 점 A, D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가
이므로
;4!;
3
a
a-
'
'
3a-a
=
a
에서 '
a
;4!;
=
,
;4!;
=
,
a=4
;4!;
'
1
a
'
3a ), D(`3a, 3
a)이다.
'
'¶
∴ a=16
46 답 6
y=
ax+b+c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y-3=
a(x+4)+b+c에서 y=
a(x+4)+b+c+3
'Ä
이 그래프를 다시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y=
a(-x+4)+b+c+3에서 y=
-ax+4a+b+c+3
'Ä
'Ä
'Ä
'Ä
이 함수가 y=
-2x+9+6과 같으므로
'Ä
-a=-2에서 a=2, 4a+b=8+b=9에서 b=1,
c+3=6에서 c=3이다.
∴ a+b+c=6
47 답 10
함수 y=
'
x의 그래프는 함수 y=xÛ` (xÉ0)의 그래프를 y축에 대
하여 대칭이동한 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그래프와 일치
따라서 그림과 같이 S'의 부분과 S"의 부분의 넓이는 서로 같다.
이때, LA=kLB에서
=k이므로 k=81
하고 점 A는 같은 방법의 대칭이동으로 점 B로 이동한다.
[해] 06강_육.indd 66
2017-12-11 오후 3:43:18
A
S'
y
O
B
S''
x
따라서 구하는 부분의 넓이를 S라 하면 S의 값은 삼각형 OBA의
넓이와 같다.
이때, 삼각형 OBA에서 밑변을 선분 AB라 하면 높이는 원점과 직
선 x+3y-10=0 사이의 거리이다.
ABÓ=
(4+2)Û`+(2-4)Û`=2
10`이고 높이는
"Ã
|0+3_0-10|
1Û`+3Û`
"Ã
'¶
=
10`이므로
'¶
S=
_
10_2
10=10
;2!;
'¶
'¶
[다른 풀이]
y=f{x}
y
A
C
x>3일 때,
=k에서 b가 정수이므로 k는 유리수이다.
xÉ3일 때,
3-a+2=k에서 a가 정수이고 k가 유리수이므로
2b
b-2
'Ä
그래프에서 k는 20이므로 M=
3+2
5
6
'
따라서 M+m=
3+2
5
6
'
+
=
+
;5$;
;5!;
;5@;'
6이므로
p=
, q=
이다.
;5$;
;5@;
∴ 100(p+q)=100_
=120
;5^;
51 답 85
함수 y=
'Ä
x+16의 그래프는 함수 y=
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
으로 -16만큼 평행이동한 것이고, 함수 y=-
x+4의 그래프는
함수 y=-
x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것이
'
므로 두 함수의 그래프와 x축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내부 또는 그 경
'
'
계는 [그림 1]과 같다.
y
4
O
y
4
O
x
16
y=- x+4
[그림 1]
y= x+16
㉠
㉡
㉢
[그림 2]
x
16
y=- x+4
-16
-16
이때, 함수 y=-
x+4의 그래프는 함수 y=
x+16의 그래프를
'
'Ä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x축의 방향으로 16만큼, y축의 방향으
로 4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그림 2]와 같이 함수 y=
x+16의
'Ä
그래프와 x축, y축으로 둘러싸인 영역 ㉠의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의 개수는 함수 y=-
x+4의 그래프와 두 직선 x=16,
'
y=4로 둘러싸인 영역 ㉢의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의 개
수와 같다.
와 같다.
따라서 영역 ㉠과 영역 ㉡의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의 개
수는 영역 ㉡과 영역 ㉢의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의 개수
Û y=1일 때, x의 값은 -15, -14, -13, y, 9의 25개
Ü y=2일 때, x의 값은 -12, -11, -10, y, 4의 17개
Ý y=3일 때, x의 값은 -7, -6, -5, y, 1의 9개
Þ y=4일 때, x의 값은 0의 1개
Ú~Þ에 의하여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의 개수는
33+25+17+9+1=85이다.
52 답 3
함수 y=g(x)의 그래프는 [그림 1]과 같다.
y=g{x}
y
2
1
-1
O
1
x
[그림 1]
y
1
y
1
-1
y={ f©g}{x}
-1
O
1
x
[그림 2]
또, 함수 y=( f½f½g)(x)=|( f½g)(x)-1|의 그래프는
[그림 3]과 같이 함수 y=( f½g)(x)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후 x축의 아래쪽 부분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
동한 그래프이다.
y={ f©f©g}{x}
-2
-1
O
1
2
x
[그림 3]
따라서 구하는 두 영역의 넓이의 합은 평행한 두 변의 길이가 각각
2, 4이고 높이가 1인 사다리꼴의 넓이이다.
x축 위의 정수인 점은 0, 1, y, 16으로 17개, y축 위의 정수인 점은
0, 1, y, 4로 5개이므로 구하는 점의 개수는 17_5=85이다.
∴ A+B=
_(2+4)_1=3
;2!;
68 일등급 수학•고등 수학 (하)
[해] 06강_육.indd 68
2017-12-11 오후 3:43:20
53 답 4
y=x+|x-n|=
2x-n (x¾n)
(x0이므로
n<0 ∴ n=-12
Ý y=2x-n과 y=
x+6 의 그래프가 접할 때,
2x-n=
x+6에서 4xÛ`-4nx+nÛ`=x+6
'Ä
'Ä
4xÛ`-(4n+1)x+nÛ`-6=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4n+1)Û`-16(nÛ`-6)=0에서 8n+97=0
∴ n=-
;;»8¦;;
따라서 합의 법칙에 의하여 9+9=18(가지)
Û ab가 홀수인 경우
a도 홀수이고 b도 홀수이어야 하므로
3_3=9(가지)
이때, a+b와 ab가 모두 홀수인 경우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구하는 순서쌍 (a, b)의 개수는 합의 법칙에 의하여
18+9=27
02 답 24
1, 2의 2가지
Ú 백의 자리의 수를 정하는 방법
Û 십의 자리의 수를 정하는 방법
1, 2, 3, 4 중 백의 자리의 수를 제외한 3가지
Ü 일의 자리의 수를 정하는 방법
1, 2, 3, 4, 5, 6 중 백의 자리와 십의 자리의 수를 제외한 4가지
따라서 곱의 법칙에 의하여 구하는 세 자리의 수의 개수는
Ü, Ý에서 구하는 n의 값의 범위는 -
0이어야 한다.
[해] 07~08강-육.indd 72
2017-12-11 오후 3:43:47
즉, D=a2-4b>0에서 a2>4b`
Ü {5, 52}, {6, 62}, {7, 72}, {10, 102}에서 서로 다른 두 수 a, b
위 식을 만족시키는 a, b의 순서쌍 (a, b)를 구하면
를 정하는 경우의 수는 각각 2이므로 2_4=8
Ú a=3일 때, b=1, 2
Û a=4일 때, b=1, 2, 3
Ü a=5일 때, b=1, 2, 3, 4, 5, 6
Ý a=6일 때, b=1, 2, 3, 4, 5, 6
Ú~Ý에 의하여 구하는 순서쌍 (a, b)의 개수는
2+3+6+6=17
22 답 70
f(x)=a7x7+a6x6+y+a1x+a0 (ai=1 또는 ai=-1이고,
i=0, 1, 2, y, 7)이라 하면
f(-1)=a0-a1+a2-a3+y-a7=0이므로
a0+a2+a4+a6=a1+a3+a5+a7
즉, (짝수차항의 계수의 합)=(홀수차항의 계수의 합)이어야 한다.
Ú 4=4일 때, 1_1=1
Û 2=2일 때, 4_4=16
Ü 0=0일 때, 6_6=36
Ý -2=-2일 때, 4_4=16
Þ -4=-4일 때, 1_1=1
23 답 202
그림과 같다.
Ú~Þ에 의하여 구하는 경우의 수는 1+16+36+16+1=70
모든 사분원의 길이는 같으므로 주어진 그림을 단순화시키면 다음
1
21
A
4
40
1
1
10
101
B
202
10
101
1
21
1
1
Ú~Ü에 의하여 순서쌍 (a, b)의 개수는
30+12+8=50
25 답 42
처음에 1단을 오르고 남은 (n-1)개의 계단을 오르는 방법은
f(n-1)가지이고, 처음에 2단을 오르고 남은 (n-2)개의 계단을
오르는 방법은 f(n-2)가지이다.
이때, 이 두 경우는 동시에 일어날 수 없으므로
f(n)=f(n-1)+f(n-2)
1단의 계단을 오르는 방법은 1가지
2단의 계단을 오르는 방법은 (1단, 1단), (2단)의 2가지이므로
Ⅵ 07
경우의 수
(가)
(나)
f(1)=1, f(2)=2
f(3)=f(2)+f(1)= 3
f(4)=f(3)+f(2)= 5
f(5)=f(4)+f(3)=8
f(6)=f(5)+f(4)=13
f(7)=f(6)+f(5)=21
∴ f(8)=f(7)+f(6)= 34
(다)
즉, a=3, b=5, c=34이므로
a+b+c=3+5+34=42
26 답 ④
다음과 같이 갑의 경로를 기준으로 경우를 나누어 생각하자.
Ú 갑이 A`
C`
B로 가는 경우
Ú
갑의 경로의 방법의 수는 4_2=8
Ú
을의 경로의 방법의 수는 (3_1)+(2_3)=9
갑과 을이 동시에 진행하므로 곱의 법칙에 의하여
구하는 방법의 수는 8_9=72
Û 갑이 A`
D`
B로 가는 경우
Ú
갑의 경로의 방법의 수는 2_3=6
Ú
을의 경로의 방법의 수는 (4_2)+(1_2)=10
갑과 을이 동시에 진행하므로 곱의 법칙에 의하여
구하는 방법의 수는 6_10=60
Ú, Û는 동시에 일어날 수 없으므로 합의 법칙에 의하여
변이 1개인 것은 그대로, 변이 2개인 것은 2배로 하여 경우의 수를
더해 가면 된다.
따라서 최단거리로 가는 전체 경우의 수는 202이다.
24 답 ②
am=bn이므로 a와 b의 소인수는 서로 같아야 한다.
수가 2개 이상인 집합을 모두 구하면
{2, 22, 23, 24, 25, 26}, {3, 32, 33, 34}, {5, 52},
{6, 62}, {7, 72}, {10, 102}
2부터 100까지의 자연수에서 소인수가 같은 수의 집합 중 원소의 개
72+60=132
27 답 ②
420=22_3_5_7이므로 420=a_b`(a, b는 서로소)라 하면 소
Ú {2, 22, 23, 24, 25, 26}에서 서로 다른 두 수 a, b를 정하는 경우
인수 2, 3, 5, 7은 a나 b 중 한 군데에만 들어가야 한다.
이때, 2Û`이 들어간 수를 a라 하면 3이 들어갈 곳을 정하는 경우의 수
Û {3, 32, 33, 34}에서 서로 다른 두 수 a, b를 정하는 경우의 수는
는 a 또는 b의 2가지이고, 마찬가지로 5와 7이 들어갈 곳을 정하는
의 수는 6_5=30
4_3=12
경우의 수는 각각 2가지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2_2_2=8
정답 및 해설 73
[해] 07~08강-육.indd 73
2017-12-11 오후 3:43:48
28 답 ⑤
만의 자리에 올 수 있는 숫자는 1, 2, 3, y, 9의 9개이고, 천의 자리
와 백의 자리에 올 수 있는 숫자는 0, 1, 2, 3, y, 9의 10개이다. 한
편, 십의 자리와 일의 자리의 숫자는 각각 천의 자리, 만의 자리의 숫
자와 서로 같으므로 구하는 자연수의 개수는 9_10_10=900이다.
29 답 308
그림과 같이 A지점에서 P지점까지의 경로의 수와
P지점에서 B지점까지의 경로의 수를 각각 구해 보자.
14P
P
5
5
3
1
9
4
1
2
2
1
1
A 1
1
2
1
4
6
1
6
16
22 B
Ú 일의 자리의 수가 0인 경우
R0에서 나머지 2개를 택하여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2
R1, R2에서 하나씩 택하여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2_2_2=8
∴ 8+2=10
Û 일의 자리의 수가 2인 경우
R0, R1에서 하나씩 택하여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3_2_2=12
이때, 백의 자리의 수가 0인 경우의 수가 2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12-2=10
Ü 일의 자리의 수가 4인 경우
일의 자리의 수가 2인 경우의 수와 같으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10
Ý 일의 자리의 수가 6인 경우
따라서 A지점에서 출발하여 B지점에 도착하는 경로의 수는 곱의 법
칙에 의하여 14_22=308이다.
R0에서 나머지 2개를 택하여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1
R1, R2에서 하나씩 택하여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30 답 ②
각 자리의 숫자를 a, b, c, d라 하면 a b
c d 에서
10+10+10+9=39
Ú~Ý에 의하여 구하는 세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2_2_2=8
∴ 8+1=9
a는 2, 3, 4, 5 중에서, d는 0, 2, 4, 6, 8 중에서 택할 수 있다.
{2, 3, 4, 5};{0, 2, 4, 6, 8}={2, 4}이므로
Ú a<{2, 4}일 때,
a를 정하는 방법의 수는 2
d를 정하는 방법의 수는 a를 제외한 4
b, c를 정하는 경우의 수는 0~9 중 a, d를 제외한 나머지 8개의
수에서 서로 다른 두 수를 배열하면 되므로 방법의 수는
8_7=56
∴ 2_4_56=448
Û a<{3, 5}일 때,
a를 정하는 방법의 수는 2
d를 정하는 방법의 수는 5
8_7=56
∴ 2_5_56=560
b, c를 정하는 경우의 수는 0~9 중 a, d를 제외한 나머지 8개의
수에서 서로 다른 두 수를 배열하면 되므로 방법의 수는
Ú, Û에 의하여 구하는 수의 개수는 448+560=1008이다.
31 답 ③
6=2_3이므로 3의 배수인 짝수의 개수를 구하면 된다.
3으로 나눈 나머지가 i인 집합을 Ri라 하면
R0={0, 3, 6}, R1={1, 4}, R2={2, 5}
자릿수의 합이 3의 배수이면 그 수는 3의 배수이므로
32 답 ①
a=b로 놓으면 2a+c=24에서 c는 짝수이다.
c=2일 때, a=b=11
c=4일 때, a=b=10
c=6일 때, a=b=9
c=8일 때, a=b=8
c=10일 때, a=b=7
c¾12이면 a=bÉ6이 되어 삼각형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이등변삼각형의 개수는 5이다.
[다른 풀이]
a¾b¾c라 하여도 문제의 일반성을 잃지 않는다.
삼각형의 두 변의 길이의 합은 나머지 한 변의 길이보다 커야 하므로
b+c>a에서 2a0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ax2+bx+c>0이 항상 성립하려면
이차방정식 ax2+bx+c=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D=b2-4ac<0, 즉 b2<4ac이어야
한다.
이때, a, b, c의 순서쌍 (a, b, c)의
전체 개수는 5_4_3=60이고,
b2¾4ac를 만족시키는 a, b, c의 순서
쌍 (a, b, c)의 개수는 그림의 수형도
와 같이 14이다.
따라서 구하는 a, b, c의 순서쌍
(a, b, c)의 개수는 60-14=46이다.
b
3
4
5
a
7
8
9
a
1
2
1
2
3
1
2
3
4
b
7
8
7
6
9
8
7
6
c
2
1
2
3
1
1
2
3
4
1
3
1
2
1
c
6
4
5
6
2
3
4
5
b2<4ac가 성립하는 순서쌍 (a, b, c)의 개수를 구하면
b=1일 때, a, c를 정하는 방법의 수는 4_3=12
b=2일 때, b=1일 때와 마찬가지로 4_3=12
b=3일 때, (1, 4), (1, 5), (2, 4), (2,`5), (4, 1), (4, 2),
(4, 5), (5, 1), (5, 2), (5,`4)의 10가지
b=5일 때, (2, 4), (3, 4), (4, 2), (4,``3)의 4가지
따라서 순서쌍 (a, b, c)의 개수는 12+12+10+8+4=46
40 답 ③
20Ö3=6.666y
20Ö2=10이므로 가장 긴 변의 길이
는 7 이상 10 미만이다.
이때,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a, b, c
라 하고, a¾b¾c라고 해도 일반성을
잃지 않으므로 오른쪽 수형도와 같이
구하는 삼각형의 개수는 8가지이다.
상품 100개를 10개씩, 5개씩 포장하고 남은 것은 모두 낱개 포장하
면 되므로 포장단위가 큰 것부터 차례로 조사하자.
ⓐ
10개씩 포장한 개수를 a개, 5개씩 포장한 개수를 b개라 하면 가능한
41 답 121
순서쌍 (a, b)는
(10, 0) ⇨ 1가지
(9, 0), (9, 1), (9, 2) ⇨ 3가지
(8, 0), (8, 1), (8, 2), (8, 3), (8, 4) ⇨ 5가지
⋮
[해] 07~08강-육.indd 76
2017-12-11 오후 3:43:50
(1, 0), (1, 1), (1, 2), y, (1, 17), (1, 18) ⇨ 19가지
C 에는 A , B 에 사용된 수를 제외한 4가지이므로 경우의 수는
(0, 0), (0, 1), (0, 2), y, (0, 19), (0, 20) ⇨ 21가지
ⓑ
5_5_4=100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1+3+5+y+17+19+21
=(1+19)+(3+17)+y+(9+11)+21
=20_5+21=121
ⓐ 무엇을 기준으로 경우를 나눌지 생각한다.
ⓑ 모든 경우를 빠짐없이 나열한다.
ⓒ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한다.
| 채점기준 |
ⓒ
[1 0%]
[50%]
[40%]
상품 100개를 10개씩, 5개씩 포장하고 남은 것은 모두 낱개 포장하
[다른 풀이]
면 된다.
이때, 10개씩 포장한 개수를 a개, 5개씩 포장한 개수를 b개라 하면
10a+5bÉ100, 0ÉaÉ10, b¾0에서 0ÉbÉ2(10-a)이므로
1
2
Ⅵ 07
경우의 수
Ú~Ü에 의하여 구하는 경우의 수는
3_100=300
| 채점기준 |
ⓐ 천의 자리와 십의 자리의 수가 같은 경우의 수를 구한다.
ⓑ 천의 자리와 일의 자리의 수가 같은 경우의 수를 구한다.
ⓒ 백의 자리와 일의 자리의 수가 같은 경우의 수를 구한다.
ⓓ 전체 경우의 수를 구한다.
43 답 40
Ú a1의 경우의 수 : 먼저 1에서 2로 가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 수
형도와 같이 4가지이다.
3
5
6
4
5
9
7
4
8
8
7
5
7
9
8
4
4
6
9
7
5
3
a1=4_2=8
없으므로 a2=0
지이다.
또한, 1에서 4로 가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4가지이므로
Û a2의 경우의 수 : 2에서 시작하는 경우 모든 정사각형을 지날 수
Ü a5의 경우의 수 : 5에서 2로 가는 경우는 다음 수형도와 같이 2가
5
2
1
3
4
6
7
9
8
8
9
7
6
4
3
1
또한, 5에서 4, 6, 8로 가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각각 2가지씩이
므로 a5=2_4=8
한편, 대칭성에 의해 a1=a3=a7=a9이고
a2=a4=a6=a8이므로
a1+a2+y+a8+a9=4a1+4a2+a5=32+0+8=40
ⓓ
| 채점기준 |
ⓒ
ⓓ
[30%]
[30%]
[ 30%]
[ 1 0%]
ⓐ
ⓑ
ⓒ
[25%]
[25%]
[ 25%]
[ 25%]
ⓐ a1의 값을 구한다.
ⓑ a2의 값을 구한다.
ⓒ a5의 값을 구한다.
44 답 18
만의 자리 숫자와 일의 자리 숫자가 1인 경우는 수형도와 같다.
1
2
3
1
3
1
2
2
3
2
2
3
3
1
1
1
1
1
1
따라서 만의 자리 숫자와 일의 자리 숫자가 1인 경우의 수는 6이고
만의 자리 숫자와 일의 자리 숫자가 2 또는 3인 경우의 수도 1인 경
우의 수와 같으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6_3=18이다.
정답 및 해설 77
42 답 300
사용되는 숫자는 세 종류이므로 어느 한 숫자는 2번 사용되어야 한다.
a=0일 때, b는 0, 1, 2, y, 20의 21가지
a=1일 때, b는 0, 1, 2, y, 18의 19가지
a=2일 때, b는 0, 1, 2, y, 16의 17가지
⋮
a=9일 때, b는 0, 1, 2의 3가지
a=10일 때, b는 0의 1가지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1+3+5+y+17+19+21
=(1+19)+(3+17)+y+(9+11)+21
=20_5+21=121
Ú 천의 자리와 십의 자리의 수가 같은,
즉 A B A C 꼴인 경우
A 에는 0이 올 수 없으므로 5가지,
B 에는 A 에 사용된 수를 제외한 5가지,
5_5_4=100
Û 천의 자리와 일의 자리의 수가 같은,
즉 A B C A 꼴인 경우
A 에는 0이 올 수 없으므로 5가지,
5_5_4=100
Ü 백의 자리와 일의 자리의 수가 같은,
즉 A B C B 꼴인 경우
A 에는 0이 올 수 없으므로 5가지,
B 에는 A 에 사용된 수를 제외한 5가지,
B 에는 A 에 사용된 수를 제외한 5가지,
C 에는 A , B 에 사용된 수를 제외한 4가지이므로 경우의 수는
ⓐ
ⓑ
C 에는 A , B 에 사용된 수를 제외한 4가지이므로 경우의 수는
ⓓ a1+a2+y+a8+a9의 값을 구한다.
[해] 07~08강-육.indd 77
2017-12-11 오후 3:43:51
45 답 ②
f(1)=a, f(2)=b라 하면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a, b의 순서
48 답 64
집합 X={-3, -2, -1, 1, 2, 3}에 대하여 함수 f(x)가 X에서
쌍 (a, b)의 개수는
Ú a+b=4일 때
(1, 3), (2, 2), (3, 1)의 3개
Û a+b=8일 때
(2, 6), (3, 5), (4, 4), (5, 3), (6, 2)의 5개
X로의 함수이고 조건 (가)의
| f(x)+f(-x)|=1에서 f(x)+f(-x)=1 또는
f(x)+f(-x)=-1이므로 x>0인 X의 원소 x에 대하여 다음
이 성립한다.
Ú f(x)=1일 때
Ü a+b=12일 때 (6, 6)의 1개
f(x)+f(-x)=-1에서 f(-x)=-2`
Ú~Ü에 의하여 구하는 함수 f의 개수는 9이다.
Û f(x)=2일 때
f(x)+f(-x)=-1에서 f(-x)=-3 또는
f(x)+f(-x)=1에서 f(-x)=-1`
Ü f(x)=3일 때
f(x)+f(-x)=1에서 f(-x)=-2`
따라서 f(1)과 f(-1)을 대응시키는 경우의 수는 4이고,
f(2)와 f(-2)를 대응시키는 경우의 수와 f(3)과 f(-3)을 대
응시키는 경우의 수도 각각 4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x)
46 답 20
Ú 꽃병 A에 장미를 꽂은 경우
꽃병 B에 꽂을 꽃 9송이 중 카네이션이 a송이, 백합이 b송이라
하면 0ÉaÉ6, 0ÉbÉ8이므로
(a, b)로 가능한 경우의 수는 (1, 8), (2, 7), (3, 6), (4, 5),
(5, 4), (6, 3)의 6이다.
Û 꽃병 A에 카네이션을 꽂은 경우
꽃병 B에 꽂을 꽃 9송이 중 장미가 a송이, 백합이 b송이라 하면
0ÉaÉ8, 0ÉbÉ8이므로
(a, b)로 가능한 경우의 수는 (1, 8), (2, 7), (3, 6), (4, 5),
(5, 4), (6, 3), (7, 2), (8, 1)의 8이다.
Ü 꽃병 A에 백합을 꽂은 경우
의 개수는
4_4_4=64
49 답 ②
먼저 1000은 조건 (가)를 만족시키지 않으므로 제외한 후,
1부터 999까지의 자연수에서 생각하자.
꽃병 B에 꽂을 꽃 9송이 중 장미가 a송이, 카네이션이 b송이라
두 조건 (가)와 (다)에 의하여 일의 자리의 수는 1, 3, 7, 9 중 하나이
하면 0ÉaÉ8, 0ÉbÉ6이므로
다.
(a, b)로 가능한 경우의 수는 (3, 6), (4, 5), (5, 4), (6, 3),
이때, 두 조건 (가)와 (다)를 만족시키는 1부터 999까지의 자연수의
(7, 2), (8, 1)의 6이다.
Ú~Ü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6+8+6=20이다.
개수는 10_10_4=400
한편, 조건 (나)에서 각 자리의 수의 합이 3의 배수가 아니므로 전체
400개 중에서 각 자리 수의 합이 3의 배수인 수를 제외하면 된다.
47 답 ⑤
A, B, C 3명의 아이에게 나누어 준 사탕의 개수를 각각 a, b, c라 하
0~9까지의 수를 3으로 나눈 나머지가
0인 수는 0, 3, 6, 9의 4개, 1인 수는 1, 4, 7의 3개,
고 사탕 5개를 3명의 아이에게 1개 이상씩 나누어 주는 경우를 a, b, c
2인 수는 2, 5, 8의 3개이므로 백의 자리의 수, 십의 자리의 수를 3
의 순서쌍 (a, b, c)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이 6가지 경우가 있다.
으로 나눈 나머지를 각각 a, b라 하면
Ú (1, 1, 3)
Û (1, 3, 1)
Ü (3, 1, 1)
Ý (1, 2, 2)
Þ (2, 1, 2)
ß (2, 2, 1)
Ú 1일 때
(a, b)가 (2, 0)인 경우의 수는 3×4=12
(1, 1)인 경우의 수는 3×3=9
(0, 2)인 경우의 수는 4×3=12
따라서 이때의 경우의 수는
12+9+12=33
Ú~Ü의 경우 1개의 사탕을 받은 2명의 아이에게 초콜릿 5개를 1
Û 3일 때
개 이상씩 나누어 주는 경우는 (1, 4), (2, 3), (3, 2), (4, 1)의 4
(a, b)가 (0, 0)인 경우의 수는 4×4=16
가지이므로 이때의 경우의 수는 3_4=12
(1, 2)인 경우의 수는 3×3=9
Ý~ß의 경우 1개의 사탕을 받은 아이가 1명이므로 그 아이에게
(2, 1)인 경우의 수는 3×3=9
초콜릿 5개를 모두 주므로 이때의 경우의 수는 3_1=3
따라서 이때의 경우의 수는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12+3=15이다.
16+9+9=34
78 일등급 수학•고등 수학 (하)
[해] 07~08강-육.indd 78
2017-12-11 오후 3:43:52
Ú의 경우와 같으므로 이때의 경우의 수는 33
배열 방법은 1가지이고 1의 개수는 0이므로
Û의 경우와 같으므로 이때의 경우의 수는 34
Ú~Ý에 의하여 각 자리의 수의 합이 3의 배수인 수의 개수는
배열 방법은 2가지이고 1의 개수는 1이므로
33+34+33+34=134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이때의 경우의 수는 2_2=4이다.
Ú (5)일 경우의 수
이때의 경우의 수는 1이다.
Û (4+1)일 경우의 수
Ü 7일 때
Ý 9일 때
400-134=266
[다른 풀이]
배수도 아닌 수이다.
Ⅵ 07
경우의 수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수는 홀수이면서 3의 배수가 아니고 5의
즉, 구하는 경우의 수는 1부터 1000까지의 자연수 1000개 중 홀수
의 개수에서 홀수인 3의 배수의 개수와 홀수인 5의 배수의 개수를
빼고 홀수인 15의 배수의 개수를 더하면 된다.
이때, 1에서 1000까지의 자연수 중 홀수의 개수는 500, 홀수인 3의
배수의 개수는 167, 홀수인 5의 배수의 개수는 100, 홀수인 15의 배
수의 개수는 33개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500-167-100+33=266
50 답 126
는 경우는
Ú 서로 다른 세 수로 이루어진 세 자리 자연수 중 조건을 만족시키
(1, 2, 3), (1, 3, 4), (1, 4, 5), (1, 5, 6), (1, 6, 7),
(1, 7, 8), (1, 8, 9), (2, 3, 5), (2, 4, 6), (2, 5, 7),
(2, 6, 8), (2, 7, 9), (3, 4, 7), (3, 5, 8), (3, 6, 9),
(4, 5, 9)의 16가지이고, 각 경우에 자리를 바꾸는 경우의 수가
3_2_1=6이므로 구하는 자연수의 개수는 16×6=96
Û 두 수가 같은 세 자리 자연수 중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1, 1, 0), (2, 2, 0), (3, 3, 0), (4, 4, 0), (5, 5, 0),
(6, 6, 0), (7, 7, 0), (8, 8, 0), (9, 9, 0), (1, 1, 2),
(2, 2, 4), (3, 3, 6), (4, 4, 8)의 13가지이고,
각 경우에 자리를 바꾸는 경우의 수는 3가지이다.
이때, 0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맨 첫 자리에 0이 올 수 없으므로
구하는 자연수의 개수는 13×3-9=30
Ú, Û에 의하여 구하는 자연수의 개수는 96+30=126이다.
51 답 89
Ü (3+2)일 경우의 수
배열 방법은 2가지이고 1의 개수는 0이므로
이때의 경우의 수는 2이다.
Ý (3+1+1)일 경우의 수
배열 방법은 3가지이고 1의 개수는 2이므로
이때의 경우의 수는 3_2_2=12이다.
Þ (2+2+1)일 경우의 수
배열 방법은 3가지이고 1의 개수는 1이므로
이때의 경우의 수는 3_2=6이다.
ß (2+1+1+1)일 경우의 수
배열 방법은 4가지이고 1의 개수는 3이므로
이때의 경우의 수는 4_2_2_2=32이다.
à (1+1+1+1+1)일 경우의 수
배열 방법은 1가지이고 1의 개수는 5이므로
이때의 경우의 수는 2_2_2_2_2=32이다.
Ú~à에 의하여 구하는 경우의 수는
1+4+2+12+6+32+32=89
52 답 ③
a1이 최소이고, b4가 최대이므로 a1=1, b4=8로 결정된다.
Ú 2=b1일 때
남은 수 중에서 3이 최소이므로 3=a2이어야 한다.
1
2
3
b2
a3
b3
a4
8
있으므로 2가지
여기서 4=b2이면 5=a3이어야 하고, a4에는 6 또는 7이 올 수
한편, 4=a3이면 a4에는 5 또는 6 또는 7이 올 수 있으므로 3가지
따라서 이때의 경우의 수는 2+3=5이다.
Û 2=a2일 때
이웃하는 두 점 사이의 거리를 1이라 하면 전체 5의 거리를 날아가
거나 걸어가는 방법의 수를 구하는 것이다.
1
b1
2
b2
a3
b3
a4
8
이때, 5를 1개 이상의 자연수의 합으로 나타내는 방법은
3은 b1 또는 a3에 들어갈 수 있다.
(5), (4+1), (3+2), (3+1+1), (2+2+1),
3=b1일 경우 Ú의 경우와 같으므로 5가지
(2+1+1+1), (1+1+1+1+1)
3=a3일 경우, a4에는 4, 5, 6, 7 중 하나가 올 수 있으므로 4가지
의 7가지이다.
따라서 이때의 경우의 수는 5+4=9이다.
각 경우에서 2 이상의 수는 날아서만 가는 한 가지 방법만 존재하고,
Ú, Û에 의하여 구하는 경우의 수는 5+9=14이다.
1은 걸어가거나 날아가는 두 가지 방법이 존재하므로
정답 및 해설 79
[해] 07~08강-육.indd 79
2017-12-11 오후 3:43:53
오른쪽 그림과 같은 도로망에서 점 P에서
Q
처음 나온 숫자가 n일 때 탁자에 배열되는 카드의 모든 경우의 수를
[다른 풀이]
an이라 하면
an+1=a1+a2+y+an이다.
이때, a1=1, a2=a1=1이므로
a3=a1+a2=1+1=2
a4=a1+a2+a3=1+1+2=4
a5=a1+a2+a3+a4=1+1+2+4=8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a1+a2+a3+a4+a5=1+1+2+4+8=16
3
1
2
[그림 1]
54 답 30
갈림길에서 각각의 경로를 →, ↗, ↖라 하면
조건 (가)에 의하여 →, ↗, ↖를 각각 2개씩 배열해야 된다.
또한, 처음에 ↖는 나올 수 없고 각 갈림길까지 나온 →의 개수는
↖의 개수보다 크거나 같아야 하므로
조건 (나)에 의하여 →, ↖을 각각 2개씩 배열하는 방법은
→ → ↖ ↖, → ↖ → ↖의 2가지이다.
따라서 전체 경로의 수는
→ → ↖ ↖ ,
→ ↖ → ↖
에서 5개의 의 자리에 ↗을 1개 또는 2개 배열하면 된다.
이때, ↗를 에 2개 배열하는 방법이 5가지, 1개씩 두 군데 넣는 방
법이 10가지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2_(5+10)=30
[다른 풀이]
점 Q로 가는 최단 경로의 방법에서 → 방향
을 차례로 ai, ↑ 방향을 차례로 bi에 대응시
키면 구하고자 하는 배열의 수와 일대일대
응이 된다.
예를 들어 [그림 1]의 경로는
1
3
2
5
4
6
7
8
에 대응된다.
P
P
따라서 구하는 배열의 수는 [그림 2]에서
14가지이다.
Q
8
7
Q
14
9
4
1
6
5
4
5
5
3
2
2
1
P
1
1
1
[그림 2]
53 답 ②
Ú 처음 꺼낸 카드의 숫자가 1인 경우의 수
다. 따라서 이때의 경우의 수는 1이다.
Û 처음 꺼낸 카드의 숫자가 2인 경우의 수
이후 꺼낸 카드는 모두 1보다 크므로 나머지 카드는 모두 버려진
수형도를 그리면 오른쪽과 같으므로 이때의 경우의 2
1
수는 1이다.
Ü 처음 꺼낸 카드의 숫자가 3인 경우의 수
수형도를 그리면 오른쪽과 같으므로 이때의 경
우의 수는 2이다.
Ý 처음 꺼낸 카드의 숫자가 4인 경우의 수
수형도를 그리면 오른쪽과 같으므로 이
때의 경우의 수는 4이다.
Þ 처음 꺼낸 카드의 숫자가 5인 경우의 수
수형도를 그리면 오른쪽과 같으므
로 이때의 경우의 수는 8이다.
5
3
1
2
3
1
1
2
1
2
3
1
2
1
1
2
1
1
1
2
1
1
1
4
1
2
3
4
Ú~Þ에 의하여 구하는 경우의 수는 1+1+2+4+8=16
80 일등급 수학•고등 수학 (하)
[해] 07~08강-육.indd 80
2017-12-11 오후 3:43:53
08 순열과 조합
문제편
92P
04 답 ④
01 답 ②
백의 자리에는 0이 아닌 1, 2, 3, 4, 5의 다섯 개의 숫자를 사용할 수
있고, 십의 자리와 일의 자리에는 백의 자리에 사용하지 않은 다섯
개의 숫자 중 2개의 수를 나열하면 된다. 따라서 구하는 세 자리의
자연수의 개수는 5_5P2=100
02 답 3
n+1P3=nP3+knP2에서
(n+1)n(n-1)=n(n-1)(n-2)+kn(n-1)
Ú n(n-1)=0일 때,
(좌변)=(우변)=0이므로 항상 성립한다.
Û n(n-1)+0일 때,
양변을 n(n-1)로 나누면 n+1=n-2+k ∴ k=3
Ú, Û에 의하여 k=3일 때, 주어진 등식은 n의 값에 관계없이 항
상 성립한다.
[다른 풀이]
n+1P3=nP3+knP2에서
먼저 남학생 5명을 일렬로 앉히는 방법의 수는 5!
다음과 같이 남학생의 사이사이와 양 끝에 여학생 3명을 일렬로 앉
히는 방법의 수는 6P3
1
2
3
4
5
6
곱의 법칙에 의하여 구하는 방법의 수는 5!_6P3=14400
05 답 4
10Cr+1=10C2r가 성립할 조건은 r+1=2r 또는 r+1+2r=10
Ú r+1=2r에서 r=1
Û r+1+2r=10에서 r=3
따라서 모든 r의 값의 합은 1+3=4
Ⅵ 08
순열과 조합
06 답 ③
2부터 9까지의 8개의 자연수 중에서 3개의 수를 선택한 후
선택된 세 수를 작은 수부터 a, b, c라 하면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세 자리의 자연수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구하는 세 자리의 자연수의 개수는 8C3=56
(n+1)n(n-1)=n(n-1)(n-2)+kn(n-1)
(n+1)n(n-1)-n(n-1)(n-2)-kn(n-1)=0
07 답 ⑤
n(n-1){(n+1)-(n-2)-k}=0
∴ n(n-1)(3-k)=0
각 호텔에 배정된 인원이 다르기 때문에 10명을 2명, 5명, 3명으로
나누면 호텔 배정은 자동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항상 성립하도록 하는 자연수 k의
따라서 배정하는 방법의 수는
값은 3이다.
순열의 수의 성질
nPr에서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