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ds.flarebrick.com/1SQ1aGV4qqif7CqeNpseZUYPnvKrY45a-
정답과
해설
수학의 힘 유형 β
I함수의 극한과 연속
II미분
III적분
1
2
함수의 극한
함수의 연속
002
016
3
4
5
6
미분계수와 도함수
도함수의 활용 ⑴
도함수의 활용 ⑵
도함수의 활용 ⑶
030
045
061
079
부정적분
정적분
7
8
9
정적분의 활용
095
106
120
1
함수의 극한
본책 6쪽~22쪽
으로 놓으면 y=f(x)의 그래프
`
y=f(x)
0007 ¦
f(x)=2xÛ
에서
lim
¦
x
Ú
=¦
2xÛ
`
STEP1
기초
Build
0001 1
f(x)=2x+1로 놓으면 y=f(x)의 그래
프에서 x의 값이 0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1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lim
0
x
Ú
(2x+1)=1
0008 -¦
f(x)=x-2로 놓으면 y=f(x)의 그래프에서
lim
-¦
x
Ú
(x-2)=-¦
y
1
O
y=f(x)
x
f(x)=1+
으로 놓으면 y=f(x)의
y=f(x)
`
0002 2
f(x)=xÛ
-2로 놓으면 y=f(x)의 그
래프에서 x의 값이 2에 한없이 가까워
질 때, f(x)의 값은 2에 한없이 가까워
지므로
lim
(xÛ
2
x
Ú
-2)=2
`
y
2
O
-2
x
2
y=f(x)
0009 1
3
x-2
그래프에서
1+
lim
x
Ú
¦{
3
x-2 }
=1
0003 1
-2
x-1
f(x)=
lim
-1
x
Ú
-2
x-1
=1
로 놓으면 y=f(x)의 그래
y
프에서 x의 값이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1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y=f(x)
1
1
x
-1
O
0010 0
3
1-x
f(x)=
프에서
lim
-¦
x
Ú
3
1-x
=0
으로 놓으면 y=f(x)의 그래
'Ä
0004 2
f(x)=
x+1로 놓으면 y=f(x)의 그
래프에서 x의 값이 3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2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lim
3
x
Ú
x+1=2
'Ä
y=f(x)
y
2
1
-1
O
x
3
0011 ⑴ -1 ⑵ 2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
로
⑴ lim
1-
x
⑵ lim
1+
x
f(x)=-1
f(x)=2
Ú
Ú
y
2
O
-1
y=f(x)
1
x
y
O
y
O
-2
y
1
O
x
y=f(x)
x
2
2
x
y
3
x
O 1
y=f(x)
0005 ¦
1
xÛ`
f(x)=1+
로 놓으면
y=f(x)의 그래프에서
1
xÛ` }
=¦
lim
x
Ú
1+
0{
0006 -¦
f(x)=-
로 놓으면
1
|x|
y=f(x)의 그래프에서
1
|x| }
=-¦
lim
x
Ú
-
0{
002 |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y
1
O
y
O
y=f(x)
x
x
y=f(x)
Ú
Ú
f(x)=1
f(x)=0
f(x)=0
0012 풀이 참조
⑴ lim
1-
x
⑵ lim
1+
x
⑶ lim
2-
x
⑷ lim
2+
x
Ú
⑸ lim
f(x)=0
1
x
Ú
⑹ lim
2-
x
Ú
는다.
f(x)=0
x
Ú
Ú
0013 -1
lim
1
x
Ú
(x-2)=1-2=-1
f(x)+ lim
2+
f(x)이므로 lim
2
Ú
x
f(x)의 값은 존재하지 않
+1)=2(-2Û
+1)=-6
`
=
-3
-1
=3
-3x+1=
-3´(-1)+1=2
"Ã
(x-2)(x+3)
x-2
(x+3)=5
=lim
2
x
Ú
=lim
2
x
Ú
=lim
1
x
Ú
=lim
1
x
Ú
(x-1)(xÛ
+x+1)
`
x-1
(xÛ
+x+1)=3
`
=lim
2
x
Ú
=lim
2
x
Ú
x(x-2)
(x+1)(x-2)
x
x+1
=
;3@;
0014 -6
lim
x(-xÛ
`
2
x
Ú
0015 3
x-3
xÛ`-1
lim
0
x
Ú
0016 2
lim
x
Ú
-1'Ä
0017 5
xÛ
lim
2
x
Ú
`
+x-6
x-2
0018 3
xÜ
-1
`
x-1
lim
1
x
Ú
0019 ;3@;
xÛ`-2x
xÛ`-x-2
lim
2
x
Ú
0020 ;2!;
'Ä
x+3-1
x+2
lim
-2
x
Ú
0021 2
x
x+1-1
lim
0
x
Ú
'Ä
= lim
-2
x
Ú
= lim
-2
x
Ú
= lim
-2
x
Ú
(
'Ä
x+3-1)(
(x+2)(
'Ä
x+2
x+3+1)
'Ä
x+3+1)
'Ä
(x+2)(
1
x+3+1
'Ä
x+3+1)
=
1
1+1
'
=
;2!;
x(
x+1+1)
x+1+1)
=lim
0
x
Ú
=lim
0
x
Ú
=lim
0
x
Ú
'Ä
x+1-1)(
'Ä
x+1+1)
(
'Ä
x(
'Ä
x
(
x+1+1)=2
'Ä
0022 0
lim
¦
x
Ú
3x+2
2xÛ`-3x+1
= lim
¦
x
Ú
+
;[#;
2
xÛ`
2-
+
;[#;
1
xÛ`
=0
0023 ¦
xÛ
+5
`
x+1
lim
¦
x
Ú
= lim
¦
x
Ú
x+
;[%;
1+
;[!;
=¦
0024 5
lim
¦
x
Ú
5xÛ`+x+1
xÛ`+2
= lim
¦
x
Ú
5+
+
;[!;
1
xÛ`
1+
2
xÛ`
=5
0025 ;5*;
lim
-¦
x
Ú
8x+9
5x+7
= lim
-¦
x
Ú
8+
;[(;
5+
;[&;
=
;5*;
0026 -3
lim
¦
x
Ú
1-3xÛ
`
(x+1)Û
`
= lim
¦
x
Ú
= lim
¦
x
Ú
1-3xÛ`
xÛ`+2x+1
1
xÛ`
-3
1+
+
;[@;
1
xÛ`
=-3
0027 0
(
lim
¦
x
Ú
'Ä
x+2-
x-2)= lim
¦
Ú
x
'Ä
x-2
x+2-x+2
x+2+
4
x+2+
'Ä
x-2
'Ä
'Ä
'Ä
=0
= lim
¦
x
Ú
0028 2
lim
¦
x
Ú
(
xÛ
+4x-x)= lim
¦
Ú
x
`
"Ã
+4x-xÛ
xÛ
`
`
+4x+x
xÛ
"Ã
"Ã
`
`
4x
4
xÛ
+4x+x
1+
+1
;[$;
®É
=2
= lim
¦
x
Ú
= lim
¦
x
Ú
0029 -1
lim
0
x
Ú
;[!;{
1+
1
x-1 }
=lim
0
x
Ú
;[!;
´ x
x-1
=lim
0
x
Ú
1
x-1
=-1
0030 -8
lim
¦
x
Ú
2x
{
1- x+1
x-3 }
= lim
¦
x
Ú
2x´
-4
x-3
8x
x-3
= lim
¦
x
-
Ú
=-8
0031 a=3, b=3
x
-1일 때 (분모)
2Ú
(분자)
2Ú
0이다. 즉, lim
-1
x
Ú
2Ú
∴ b=a
위의 식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a(x+1)
x+1
ax+a
x+1
= lim
-1
x
Ú
lim
-1
x
Ú
∴ a=3, b=3
=a=3
0032 a=0, b=-1
x
2Ú
1일 때 (분자)
0이다.
+ax+b)=0이므로 1+a+b=0
2Ú
(분모)
즉, lim
1
x
Ú
∴ b=-a-1
위의 식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2Ú
(xÛ
`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ax+b)=0이므로 -a+b=0
0이고 0이 아닌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1 함수의 극한 | 003
함수의 극한1
lim
1
x
Ú
x-1
xÛ`+ax-a-1
=lim
1
x
Ú
x-1
(x-1)(x+a+1)
∴ a=0, b=-1
=lim
1
x
Ú
1
x+a+1
=
1
a+2
=
;2!;
-1)=-1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
0033 -1
lim
(-xÛ
`
0
x
Ú
대소 관계에서 lim
0
Ú
x
-1)=-1, lim
0
x
Ú
f(x)=-1
(2xÛ
`
0034 ;5@;
2x+3
5x+2
lim
¦
x
Ú
= lim
¦
x
Ú
2x+7
5x+1
=
;5@;
에서 lim
¦
x
Ú
f(x)=
;5@;
STEP2
유형
Drill
유형 01
함수의 극한값이 존재하기 위한 조건
본책 10쪽
우극한과 좌극한을 각각 구하여 비교한다.
⑴ 두 값이 같으면 극한값이 존재한다.
⑵ 두 값이 다르거나 수렴하지 않으면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f(x)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f(x)=1
f(x)=¦이므로 lim
0
Ú
0035 ㄴ, ㄹ
ㄱ. lim
0
x
Ú
ㄴ. lim
1-
x
ㄷ. lim
3-
x
하지 않는다.
ㄹ. 1Éa<3인 실수 a에 대하여 lim
a
Ú
f(x)=1, lim
1+
f(x)=0, lim
3+
x
x
x
Ú
Ú
Ú
Ú
x
f(x)=1이므로 lim
1
Ú
f(x)=1이므로 lim
3
Ú
x
x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ㄹ이다.
f(x)의 값은 항상 존재한다.
f(x)=¦에서 ¦는 일정한 값이 아닌 한없이 커지는 상태를
f(x)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1-x)=-¦이므로 lim
¥
Ú
x
(1-x)의 값은 존재하지 않
y
4
y=f(x)
-1
O
x
로 놓으면 y=f(x)의 그
ㄴ. f(x)=
∴ lim
¦
4x
x+1
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4x
x+1
Ú
|x-2|= lim
ㄷ. lim
2-
2-
x
Ú
|x-2|= lim
lim
2+
2+
x
Ú
이므로 lim
2
Ú
x
Ú
|x-2|=0
=4
x
x
x
Ú
{-(x-2)}=0
(x-2)=0
004 |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참고
ㄱ. lim
0
x
Ú
나타내므로 lim
0
Ú
x
0036 ②
ㄱ. lim
¥
x
는다.
Ú
-(x+2)(x-2)
x-2
{-(x+2)}=-4
|xÛ
-4|
`
x-2
ㄹ. lim
2-
x
Ú
|xÛ
-4|
`
x-2
lim
2+
x
Ú
|xÛ
= lim
2-
x
Ú
= lim
2-
x
Ú
= lim
2+
x
Ú
-4|
이므로 lim
2
Ú
`
x-2
따라서 극한값이 존재하는 것은 ㄴ, ㄷ이다.
x
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x+2)(x-2)
x-2
= lim
2+
x
Ú
(x+2)=4
0037 11
x
-2-
lim
Ú
lim
Ú
-2+
x
이때, lim
-2
x
Ú
이어야 하므로
8+2a+b=-3
f(x)= lim
(2xÛ
-ax+b)=8+2a+b
f(x)= lim
(x-1)=-3
`
x
-2-
Ú
x
-2+
Ú
f(x)의 값이 존재하려면
f(x)= lim
f(x)
lim
Ú
-2-
x
x
-2+
Ú
∴ -2a-b=11
0038 p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f(x)= lim
p- {|;@;
x
Ú
x
|
-2
=0
}
-p
f(x)= lim
p+
x
{;{;
+1
=2
}
Ú
f(x)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lim
p-
x
Ú
lim
p+
x
Ú
이므로 lim
p
Ú
x
∴ a=p
y=f(x)
p
x
y
2
O
-2
0039 ②
lim
0
x
Ú
=1+2+(-1)=2
f(x)+ lim
1-
x
Ú
f(x)+lim
2
Ú
x
f(x)
0040 ④
a>2에서
|x-a|-(a-1)
x-1
lim
1
x
Ú
=lim
1
x
Ú
=lim
1
x
Ú
-x+a-(a-1)
x-1
-x+1
x-1
=-1
0041 0
lim
1-
x
Ú
lim
1+
x
Ú
f(x)= lim
1-
x
f(x)= lim
1+
x
Ú
Ú
(x-1)(x-2)
-(x-1)
(x-1)(x-2)
x-1
= lim
1-
x
Ú
= lim
1+
x
Ú
-(x-2)=1
(x-2)=-1
이므로 p=1, q=-1
∴ p+q=0
유형 02
함수의 극한값 구하기
본책 10쪽
⑴ lim
a+
x
Ú
f(x)= lim
a-
x
f(x)=L
HjK
⑵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함수는 절댓값 기호 안의 식의 값이 0이 되는 x
Ú
f(x)=L
lim
a
x
Ú
f(x)의 값은 존재
의 값을 기준으로 구간을 나누어 함수의 식을 구한 후 극한값을 구한다.
0042 ⑤
1-x=t로 놓으면 x
f(1-x)= lim
lim
0-
1+
x
Ú
∴ lim
1+
x
t
Ú
f(x)f(1-x)= lim
1+
2Ú
f(t)=2
x
Ú
Ú
=1´2=2
1+일 때 t
0-이므로
2Ú
f(x)´ lim
1+
x
Ú
f(1-x)
0043 -3
정의역에 속하는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따라서 -2ÉxÉ2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 lim
f(x)
x
Ú
f(x)+ lim
2-
=-1+(-2)=-3
-1-2
-1+
2
1
O
x
x
y
1
2
Ú
-1
-2
유형 03
합성함수의 극한값 구하기
본책 11쪽
g(f(x))의 값은 f(x)=t로 놓고 다음을 이용하여 구한다.
lim
a+
x
Ú
⑴ x
2Ú
lim
a+
x
Ú
⑵ x
2Ú
lim
a+
x
Ú
⑶ x
2Ú
lim
a+
x
Ú
a+일 때, t
2Ú
g(f(x))= lim
b+
t
a+일 때, t
2Ú
g(f(x))= lim
b-
Ú
t
Ú
b+이면
g(t)
b-이면
g(t)
a+일 때, t=b이면
g(f(x))=g(b)
0044 ㄴ, ㄷ
ㄱ. g(x)=t로 놓으면 x
f(g(x))= lim
0+
ㄴ. f(x)=t로 놓으면 x
g(f(x))= lim
lim
1
x
Ú
Ú
t
lim
1-
x
Ú
∴ lim
1-
x
Ú
g(f(x))=g(0)
1일 때 t
0+이므로
2Ú
f(t)=1
2Ú
1-일 때 t
2-이므로
2Ú
g(t)=1이고, g(0)=1
2Ú
t
2-
Ú
2+일 때 t
1+이므로
2Ú
ㄷ. g(x)=t로 놓으면 x
f(g(x))= lim
2Ú
f(t)=1
lim
2+
x
Ú
t
1+
Ú
ㄹ. lim
1-
x
f(x)=2이므로 g{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Ú
lim
1-
x
Ú
f(x)
=g(2)=1
}
1+일 때
0045 ⑤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
다.
f(x)=t로 놓으면 x
1+이므로
t
2Ú
f(f(x))= lim
lim
1+
1+
x
Ú
1-일 때 t
또, x
2Ú
f(f(x))= lim
lim
0+
1-
x
Ú
∴ lim
1+
x
f(f(x))+ lim
1-
2Ú
f(t)=1
0+이므로
f(t)=1
2Ú
f(f(x))=1+1=2
x
Ú
Ú
t
t
Ú
Ú
y=f(x)
y
1
O
1
x
y=f(x)
-1
O
1
x
y
1
-1
1-일 때
0046 1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f(x)=t로 놓으면 x
t
2Ú
lim
1-
x
Ú
또, x
lim
0+
x
Ú
∴ lim
1-
x
-1+이므로
f(f(x))= lim
-1+
0+일 때 t
2Ú
f(f(x))= lim
0-
t
f(f(x))- lim
0+
2Ú
f(t)=0
0-이므로
f(t)=1
2Ú
x
Ú
Ú
t
Ú
Ú
0047 -2
f(f(x))=1-0=1
f(x)=t로 놓으면 x
-
+일 때 t
-1+이므로
2Ú
f(f(x))= lim
-1+
t
Ú
;2#;
f(t)= lim
-1+
t
Ú
2Ú
(tÛ
`
lim
-
;2#;
Ú
x
+
-t-k)=2-k
또, x
-
-일 때 t
-1-이므로
2Ú
;2#;
lim
-
;2#;
Ú
x
-
f(f(x))= lim
-1-
t
Ú
2Ú
f(t)= lim
-1-
t
Ú
(2t+2)=0
f(f(x))의 값이 존재하므로
이때, lim
-
;2#;
x
Ú
2-k=0
따라서 x
lim
0
x
Ú
0048 4
t
t-1
t
2Ú
f
{
lim
¦
t
Ú
-2t+2
2t+1
∴ k=2
0일 때 t
-2이므로
2Ú
f(f(x))= lim
-2
t
Ú
2Ú
f(t)= lim
-2
t
Ú
(2t+2)=-2
=m으로 놓으면 m=1+
에서
1
t-1
¦일 때 m
t
t-1 }
2Ú
= lim
1+
m
Ú
1+이므로
f(m)=3
=n으로 놓으면 n=-1+
3
2t+1
에서
-1+이므로
t
2Ú
f
{
lim
¦
t
Ú
∴ lim
¦
t
Ú
2Ú
¦일 때 n
-2t+2
2t+1 }
t
t-1 }
f
{
= lim
n
Ú
-1+
f(n)=1
+lim
¦
t
Ú
f
{
-2t+2
2t+1 }
=3+1=4
유형 04
가우스 기호를 포함한 함수의 극한값 구하기
본책 12쪽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일 때, 정수 n에 대하여
⑴ nÉx
'천재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천재교육 유형 해결의 법칙 고등 미적분 답지 (0) | 2020.08.10 |
---|---|
2019년 천재교육 수학의 힘 유형 베타 확률과 통계 답지 (0) | 2020.08.10 |
2019년 천재교육 수학의 힘 개념 알파 확률과 통계 답지 (0) | 2020.08.10 |
2019년 천재교육 셀파 화학 1 답지 (0) | 2020.08.10 |
2019년 천재교육 셀파 세계사 답지 (0) | 2020.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