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좋은책신사고

2018년 좋은책신사고 일품 고등 기하와 벡터 ( 517제 ) 답지

반응형

fds.flarebrick.com/1MFDSsm1GSitf3mdmSsXUd30ubp0B-kcS

 

2018년 좋은책신사고 일품 고등 기하와 벡터 ( 517제 ).pdf Download | FlareBrick FDS

 

fds.flarebrick.com

더보기

E0429_일품기벡_정(001-005) 2015.4.29 2:42 PM 페이지1 SinsagoHitec 기하와 벡터 정답 및 풀이 Ⅰ 평면 곡선 Ⅱ 평면벡터 Ⅲ 공간도형과 공간벡터 6 33 58 E0429_일품기벡_정(001-005) 2015.4.29 2:42 PM 페이지2 SinsagoHitec Ⅰ 평면 곡선 01 이차곡선 076 4+2'∂10 080 ② 077 ② 078 ② 079 '3 본책 8쪽 ~ 11쪽 001 ④ 002 ;2#; 003 ④ 004 9 005 13 006 4 007 ③ 008 ④ 009 12 010 12 011 ④ 012 20'∂21 013 -56 014 ④ 015 ;2&; 016 ④ 017 ④ 018 280 019 ;2!; 020 8 021 ③ 022 ② 023 ③ 024 ① 081 ④ 082 ② 083 2 086 ⑤ 087 -2 088 ③ 091 ③ 096 4'2 092 ③ 097 ③ 093 ② 098 8 본책 21쪽 ~ 24쪽 084 9 089 '∂17 094 ④ 099 '5 085 ② 090 ③ 095 -2 100 ⑤ 101 ;1%0!; 102 ③ 103 -;2!; 104 ④ 105 ① 025 96 026 ③ 030 11 031 ⑤ 035 ② 036 24 027 ⑤ 032 8'2 037 ③ 028 ④ 033 ① 038 16 040 ;4$1); 041 ③ 042 6 043 ② 본책 12쪽 ~ 15쪽 029 169 034 153 039 30 044 ;2&; 045 ③ 046 7 047 9 048 ④ 049 ③ 050 ① 056 24 051 72 052 3 053 ② 054 ④ 055 ① 본책 16쪽 106 ⑤ 107 128 108 ⑤ 109 ③ 110 14 111 8 본책 25쪽 112 ① 113 2 114 ④ 115 ⑤ 117 ④ 118 20 119 68 122 ② 123 26 127 -5 132 26 137 ④ 128 ③ 133 '∂10 138 9 142 17 143 ④ 124 8'2 129 ① 134 ② 139 2'6 144 20p 본책 26쪽 ~ 30쪽 116 4'3 120 ;2(; 125 16 130 ② 135 ③ 140 ② 121 '3 126 12 131 15 136 47 141 ③ 02 평면 곡선의 접선 Ⅱ 평면벡터 03 벡터의 연산 057 ② 058 36 059 ① 062 ③ 063 ② 064 4 067 ④ 068 3 069 ③ 본책 17쪽 ~ 20쪽 060 ③ 065 ③ 070 :¡5¶: 061 9 066 ③ 071 ⑤ 072 ④ 073 1 074 ③ 075 ⑤ 155 ③ 145 6 146 5 147 16 148 ⑤ 150 ④ 151 ② 152 4 153 9 149 ② 154 32 본책 32쪽 ~ 33쪽 2 정답 및 풀이 E0429_일품기벡_정(001-005) 2015.4.29 2:42 PM 페이지3 SinsagoHitec 156 12 157 ③ 158 ④ 159 ⑤ 160 ⑤ 236 ④ 237 3 238 56 239 ③ 240 ⑤ 본책 34쪽 ~ 36쪽 본책 47쪽 161 1 162 ;3%; 163 ① 164 -;3!; 165 ⑤ 241 77 166 0 167 168 ① 169 ② 170 2 '2 5 171 5 172 ② 173 21 174 ② 175 76 176 18 177 ④ 178 40 05 평면 운동 본책 37쪽 179 248 본책 48쪽 ~ 49쪽 242 48 243 16m 244 ④ 245 ② 246 ④ 247 ① 248 4p 249 ③ 250 40 km 251 ④ 252 36 253 ③ 04 평면벡터의 성분과 내적 254 4 255 ③ 256 ⑤ 257 ⑤ 258 18 본책 38쪽 ~ 41쪽 259 3'5 260 261 80초 262 ① 1 "√1+e¤ 263 ② 264 ⑤ 265 19 266 ④ 본책 50쪽 ~ 51쪽 180 ④ 181 0 185 33 186 ⑤ 190 ⑤ 191 5 195 15 196 ⑤ 200 ③ 201 ③ 182 ① 187 ⑤ 192 ③ 197 ④ 202 ① 183 2 188 ② 193 ② 198 ③ 184 ③ 189 2 194 ③ 199 ② 267 ④ 268 ⑤ 269 ;8!; 270 70 271 ③ 본책 52쪽 본책 42쪽 ~ 46쪽 203 ⑤ 204 2 205 ① 206 ③ 207 6 208 9 209 ;7*; 210 ③ 211 6 212 ;4&; 213 ① 214 ③ 215 ② 216 1+3'3 2 217 ③ 218 7 219 30 220 ③ 221 22 222 ③ 223 ;3*; 224 ;4!; 225 -;3!; 226 ② 227 - '∂15 6 228 ② 229 ④ 230 3 231 ④ 232 ④ 233 ① 234 ⑤ 235 4 301 8 본책 53쪽 ~ 57쪽 272 29 273 ⑤ 274 9 277 ④ 278 3 279 ③ 282 ② 283 (9, -10) 286 4 287 ④ 288 32 275 ⑤ 280 ② 284 ⑤ 289 14 291 ④ 292 12 293 ② 294 ③ 296 ⑤ 297 30 298 2p 299 1 276 10 281 ② 285 ⑤ 290 '5p 295 ;4%; 300 ⑤ 빠른 정답 찾기 3 E0429_일품기벡_정(001-005) 2015.4.29 2:42 PM 페이지4 SinsagoHitec Ⅲ 공간도형과 공간벡터 06 공간도형 363 ② 364 (-1, 0, 0) 365 (4, 3, 1) 366 ⑤ 367 ① 368 0 369 ① 370 ② 371 ② 372 ③ 373 (x-3)¤ +(y+4)¤ +z¤ =25 374 ③ 375 ② 376 ;7$; 302 ⑤ 303 ⑤ 304 20 305 6 306 ③ 본책 60쪽 ~ 64쪽 307 ③ 308 4 309 모서리 CH, 모서리 DI, 모서리 EJ 310 면 ABD, 면 BCD 311 ⑤ 312 ② 313 6 377 2 378 (6, 5, '3) 379 -8-'2 314 풀이 58쪽 315 ③ 316 ㈎ ⊥ ㈏ ⊥ 380 ④ 381 ⑤ 382 ④ 383 ③ 317 ④ 318 7 319 ① 320 321 ② 385 ① 386 ① 387 4 388 4'5 '7 2 322 ④ 327 ③ 323 2'3 328 '3 3 324 20'3 325 12 cm 326 ;3“; 390 ④ 391 (y-4)¤ +(z+5'3)¤ =91 또는 (y-4)¤ +(z-5'3)¤ =91 394 '∂122 392 ① 393 ① 본책 73쪽 ~ 75쪽 384 ;3$; 389 ③ 본책 65쪽 ~ 68쪽 본책 76쪽 329 ② 330 6 331 ① 332 ⑤ 333 ③ 395 ⑤ 396 ② 397 40 398 4 399 ③ 334 8 335 ① 336 337 ④ 338 60° 400 ④ 401 18 2'6 5 339 ③ 340 ㈎ AC(cid:100)㈏ BDF 341 ③ 342 '3 343 ① 348 ④ 344 ④ '2 2 349 345 :¡5™: 346 ;3!; 347 -;3!; 350 ② 351 ③ 352 150 353 ③ 354 15 355 ④ 356 ① 357 19 본책 77쪽 ~ 78쪽 08 공간벡터 본책 69쪽 402 ④ 403 ④ 404 7 405 -1 406 ① 407 ① 408 ④ 409 3 410 ② 411 ;5$; 412 p¯=(3'3, 3'3, 3'3), p¯=(-3'3, -3'3, -3'3) 본책 70쪽 ~ 72쪽 413 ⑤ 414 ④ 415 2'∂14 416 ⑤ 417 6'6 418 '∂182 7 419 15 420 ④ 421 ② 422 ;1∞8; 본책 79쪽 ~ 80쪽 359 ③ 360 (0, 1, 0) 361 -4 362 ② 423 107 424 ④ 425 6 358 3 07 공간좌표 4 정답 및 풀이 E0429_일품기벡_정(001-005) 2015.4.29 2:42 PM 페이지5 SinsagoHitec 426 12 427 ④ 428 ③ 429 ② 430 ④ 431 5 511 21 512 ③ 513 ;3!; 514 21 515 50 본책 81쪽 501 -10 502 -11 503 ⑤ 506 ① 507 ③ 508 ③ 504 ② 509 ③ 505 ⑤ 510 ② 516 ④ 517 11 09 도형의 방정식 본책 82쪽 ~ 85쪽 432 -6 433 ③ 437 4 442 1 438 2 443 ① 434 ⑤ 439 ⑤ 444 ⑤ 435 ② 440 1 445 -8 436 5 441 ② 446 2x-2y+z-2=0 447 ① 448 ① 449 6 451 1 452 ③ 453 2'5 454 ④ 450 9'2 2 455 ③ 본책 86쪽 ~ 89쪽 456 3 457 15 458 ② 459 ⑤ 460 ③ 461 ⑤ 462 ⑤ 463 16 464 ③ 465 -;3!; 466 '6 18 467 2 468 ③ 469 '∂11 470 4 471 4'5 472 ④ 473 ③ 474 ;1!8!; 475 ③ 476 3p 477 35p 478 ⑤ 479 ④ 480 ③ 481 70 482 ② 483 ⑤ 484 ② 485 7 486 ① 본책 90쪽 487 ③ 488 ② 489 20 490 ④ 492 50'∂41 41 493 8'3 3 494 8'3 495 ③ 본책 91쪽 ~ 95쪽 491 3'3 496 2 497 139 498 16 499 ② 500 ② 빠른 정답 찾기 5 E0429_일품기벡_정(006-032) 2015.4.29 2:43 PM 페이지6 SinsagoHitec (cid:8951) ④ 원의 반지름의 길이 Ⅰ 평면 곡선 01 이차곡선 본책 8쪽 001 포물선 y¤ =4px의 꼭짓점의 좌표는 (0, 0)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x=-p이므로 꼭짓점과 준선 사이의 거리는 p이다. ∴ p=4 즉 포물선의 방정식은 y¤ =4¥4x, 즉 y¤ =16x (4, 8), (4, -8) 따라서 구하는 거리는 8-(-8)=16 x=4를 y¤ =16x에 대입하면 y=—8이므로 직선 x=4 와 포물선 y¤ =16x가 만나는 두 점의 좌표는 002 y¤ =-8x=4¥(-2)x에서 초점은 F(-2, 0) x¤ =6y=4¥;2#;y에서 초점은(cid:100)(cid:100)F'{0, ;2#;} 따라서 △OFF'의 넓이는 ;2!;¥2¥;2#;=;2#; (cid:8951) ;2#; 003 점 P의 자취는 원의 중심 (-3, 0)을 초점으로 하고 직선 x=3을 준선으로 하는 포물선이므로 l의 방 정식은 y¤ =4¥(-3)x, 즉 y¤ =-12x 원 (x+3)¤ +y¤ =16과 포물선 l의 교점의 x좌표는 (x+3)¤ -12x=16,(cid:100)(cid:100)x¤ -6x-7=0 004 두 점 A, B의 x좌표를 각각 x¡, x™라 하면 AC”+BD”=x¡+x™=5 이때 포물선 y¤ =8x=4¥2x의 초점을 F라 하면F(2, 0) 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x=-2이므로 AF”=x¡+2, BF”=x™+2 ∴ AB”=AF”+BF” ∴ AB”=x¡+x™+4=9 (cid:8951) 9 005 두 점 P, Q의 x좌표를 각각 a, b라 하면 a+b 2 =;2&;(cid:100)(cid:100)∴ a+b=7 포물선 y¤ =12x=4¥3x의 초점을 F라 하면 F(3, 0)이 고, 준선의 방정식은 x=-3이다. 6 정답 및 풀이 y N Q y@=12x a F 3 b O x -3 M P 한편 직선 y=k(x-3)은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3, 0) 을 지나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 이 두 점 P, Q에서 준선에 내 린 수선의 발을 각각 M, N이 라 하면 PQ”=PF”+FQ”=P’M”+QN” =(3+a)+(3+b) =6+a+b=13 (cid:8951) 13 006 y¤ =12x=4¥3x에서 점 A(3, 0)은 주어진 포 물선의 초점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x=-3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C에 서 포물선의 준선 x=-3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CH”=CA”=4 이므로 원은 직선 x=-3 y O C4 4 H -3 A{3, 0} x y@=12x ① 포물선 y¤ =4px의 초 과 접한다. 점의 좌표는 (cid:100) (cid:100)(p, 0) 점의 좌표는 (cid:100) (cid:100)(0, p) ② 포물선 x¤ =4py의 초 -3+4=1이므로 x=1을 y¤ =12x에 대입하면 따라서 점 C의 x좌표는 y=2'3 (∵ y>0) ∴ C(1, 2'3) 즉 주어진 원의 방정식은 (x-1)¤ +(y-2'3)¤ =16 y=0을 위의 식에 대입하면 (x-1)¤ =4,(cid:100)(cid:100)x-1=—2 ∴ x=-1 또는 x=3 따라서 원이 x축과 만나는 두 점의 좌표는 (-1, 0), (3, 0) 이므로 원이 x축에 의하여 잘린 현의 길이는 3-(-1)=4 (cid:8951) 4 007 주어진 타원의 방정식을 + =1 x¤ a¤ y¤ b¤ (a>b>0)이라 하면 장축의 길이가 12이므로 "√6¤ -4¤ =2'5이므로 초점의 좌표는 (2'5, 0), (-2'5, 0) 따라서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2'5-(-2'5)=4'5 (cid:8951) ③ + =1 (a>b>0) x¤ a¤ y¤ b¤ 로 놓는다. 2a=12(cid:100)(cid:100)∴ a=6 단축의 길이가 8이므로 2b=8(cid:100)(cid:100)∴ b=4 008 주어진 타원의 방정식을 + =1 x¤ a¤ y¤ b¤ (a>b>0)이라 하면 장축의 길이는 2a이고, 타원 위의 점 P와 두 초 점 F, F'에 대하여 PF”+PF'”=(장축의 길이) PF”+PF'” ="√(-2'3)¤ +"√(-3-3)¤ +√(-2'3)¤ =2'3+4'3=6'3 (x+1)(x-7)=0(cid:100)(cid:100)∴ x=-1 (∵ x…0) x=-1을 y¤ =-12x에 대입하면 y=—2'3이므로 두 점 A, B의 좌표는 y¤ =-12x에서 y¤ æ0 이므로 (cid:100)-12xæ0(cid:100)∴ x…0 (-1, 2'3), (-1, -2'3 ) (cid:100)(cid:100)∴ AB”=2'3-(-2'3)=4'3 (cid:8951) ④ 초점이 x축 위에 있으 므로 타원의 방정식을 E0429_일품기벡_정(006-032) 2015.4.29 2:43 PM 페이지7 SinsagoHitec 이므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2a=6'3(cid:100)(cid:100)∴ a=3'3 a¤ -b¤ =3¤ 에서(cid:100)(cid:100)b¤ =(3'3)¤ -3¤ =18 ∴ b=3'2 (∵ b>0) 따라서 타원의 단축의 길이는(cid:100)(cid:100)2b=6'2 (cid:8951) ④ 타원의 방정식을 + =1 (a>b>0) x¤ a¤ y¤ b¤ 이라 하면 초점의 좌표가 (3, 0), (-3, 0)이므로 a¤ -b¤ =3¤ 에서(cid:100)(cid:100)b¤ =a¤ -9 또 타원이 점 P(3, 2'3)을 지나므로 yy ㉠(cid:100)(cid:100) 3¤ a¤ + (2'3)¤ b¤ =1(cid:100)(cid:100)∴ 9b¤ +12a¤ =a¤ b¤ ㉠을 위의 식에 대입하면 9(a¤ -9)+12a¤ =a¤ (a¤ -9) a› -30a¤ +81=0,(cid:100)(cid:100)(a¤ -27)(a¤ -3)=0 ∴ a¤ =27, b¤ =18 (∵ ㉠) a>b>0이므로(cid:100)(cid:100)a=3'3, b=3'2 따라서 타원의 단축의 길이는(cid:100)(cid:100)2b=6'2 009 타원 3x¤ +5y¤ =30, 즉 + =1의 초점 x¤ 10 y¤ 6 의 좌표는(cid:100)(cid:100)(2, 0), (-2, 0) 타원 5x¤ +2y¤ =30, 즉 + =1의 초점의 좌표는 x¤ 6 y¤ 15 (0, 3), (0, -3) 따라서 네 점 (2, 0), (-2, 0), (0, 3), (0, -3)을 꼭짓점으로 하는 사각형의 넓이는 ;2!;¥4¥6=12 모이다. 주어진 사각형은 네 변의 길이가 모두 같으므로 마름 010 타원 + =1의 장축의 길이는 10이므로 y¤ a¤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cid:100)(cid:100)PF”+PF'”=10 x¤ 25 이때 PF”:PF'”=2:3이므로(cid:100)(cid:100)PF”=4, PF'”=6 직각삼각형 PF'F에서(cid:100)(cid:100)F'F”="√6¤ +4¤ =2'∂13 또 F("√25-a¤ , 0), F'(-"√25-a¤ , 0)이므로 F'F”=2"√25-a¤ 따라서 2"√25-a¤ =2'∂13에서 25-a¤ =13(cid:100)(cid:100)∴ a¤ =12 (cid:8951) 12 y¤ 011 타원 + =1의 초점의 좌표는 20 x¤ 36 F(4, 0), F'(-4, 0) 이고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PF”+PF'”=2¥6=12 x¤ +y¤ -8x=0에서(cid:100)(cid:100)(x-4)¤ +y¤ =16 즉 주어진 원의 중심은 F(4, 0)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4 이다. PF”는 원의 반지름이다. PF'”-PF”=4 (cid:8951) ④ 따라서 PF”=4, PF'”=12-4=8이므로 본책 8쪽``…``10쪽 두 삼각형의 높이가 같 으므로 넓이의 비는 밑 변의 길이의 비와 같다. 012 주어진 타원의 초점을 F(c, 0), F'(-c, 0) (c>0)이라 하면 △PF'F:△PFA=4:3에서 (cid:100)(cid:100)F’F'”:FA”=4:3,(cid:100)(cid:100)2c:(a-c)=4:3 6c=4(a-c)(cid:100)(cid:100)∴ 5c=2a yy ㉠(cid:100)(cid:100) 선 곡 면 평 Ⅰ 이때 △PF'F의 둘레의 길이가 28이므로 (P’F'”+PF”)+F’F'”=2a+2c=28 ∴ a+c=14 yy ㉡(cid:100)(cid:100) ㉠에서(cid:100)b¤ =a¤ -9>0 (cid:100)∴ a¤ >9 타원 + =1의 x¤ a¤ y¤ b¤ 초점의 좌표는 ① a>b>0일 때, (cid:100) (cid:100)(—"√a¤ -b¤ , 0) ② b>a>0일 때, (cid:100) (cid:100)(0, —"√b¤ -a¤ ) (cid:8951) 12 y¤ 쌍곡선의 방정식을 - =1 (a>0, b>0)이라 하 b¤ x¤ a¤ ㉠, ㉡을 연립하여 풀면(cid:100)(cid:100)a=10, c=4 a¤ -b¤ =c¤ 에서(cid:100)(cid:100)b¤ =10¤ -4¤ =84 ∴ b=2'∂21 (∵ b>0) (cid:100)(cid:100)∴ ab=20'∂21 (cid:8951) 20'∂21 013 쌍곡선의 방정식을 - =-1 x¤ a¤ (a>0, b>0)이라 하면 주축의 길이는 2b이므로 쌍곡 y¤ b¤ 선의 정의에 의하여(cid:100)(cid:100)2b=6(cid:100)(cid:100)∴ b=3 a¤ +b¤ =4¤ 에서(cid:100)(cid:100)a¤ =4¤ -3¤ =7 따라서 쌍곡선의 방정식은 x¤ 7 y¤ 9 - =-1(cid:100)(cid:100)∴ 9x¤ -7y¤ =-63 즉 p=7, q=-63이므로(cid:100)(cid:100)p+q=-56 (cid:8951) -56 y¤ 014 타원 + =1의 초점의 좌표는 7 x¤ 16 (3, 0), (-3, 0) 면 주축의 길이가 4이므로 2a=4(cid:100)(cid:100)∴ a=2 a¤ +b¤ =3¤ 에서(cid:100)(cid:100)b¤ =3¤ -2¤ =5 따라서 쌍곡선의 방정식은 x¤ 4 y¤ - =1 5 y=5를 위의 식에 대입하면 x¤ 4 -5=1,(cid:100)(cid:100)x¤ =24(cid:100)(cid:100)∴ x=—2'6 즉 두 교점의 좌표는 (2'6, 5), (-2'6, 5)이므로 구 하는 거리는 2'6-(-2'6)=4'6 (cid:8951) ④ 015 쌍곡선 x¤ -y¤ =7, 즉 x¤ 7 y¤ 7 - =1의 점근선 의 방정식은 y=-x y y=x A P{4,`3} F' O B F x x@ 7 y@ - =1 7 y=— x '7 '7 ∴ y=—x Ⅰ. 평면 곡선 7 E0429_일품기벡_정(006-032) 2015.4.29 2:43 PM 페이지8 SinsagoHitec 점 P(4, 3)에서 직선 y=x, 즉 x-y=0에 내린 수선 점 P(4, 3)에서 직선 y=-x, 즉 x+y=0에 내린 수 의 발을 A라 하면 AP”= |4-3| "√1¤ +(-1)¤ = '2 2 선의 발을 B라 하면 BP”= |4+3| "√1¤ +1¤ 따라서 구하는 사각형의 넓이는 7'2 2 = '2 2 ¥ 7'2 2 =;2&; + =1의 초점의 좌표는 016 타원 x¤ 100 y¤ 36 (8, 0), (-8, 0) x¤ 이므로 쌍곡선 - =1에서 a¤ a¤ +b¤ =64 y¤ b¤ yy ㉠(cid:100)(cid:100)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는 2a이고, |PF”-P’F'”|=8이므 로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2a=8(cid:100)(cid:100)∴ a=4 a=4를 ㉠에 대입하면(cid:100)(cid:100)b¤ =64-16=48 (cid:100)(cid:100)∴ b=4'3 (∵ b>0) ∴ ab=16'3 (cid:8951) ④ y¤ 017 쌍곡선 - =1의 주축의 길이는 20 x¤ 16 2¥4=8 이므로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PF'”-PF”=8 QF”-QF'”=8 ㉠+㉡을 하면 yy ㉠(cid:100)(cid:100) yy ㉡(cid:100)(cid:100) (PF'”-PF”)+(QF”-QF'”)=16 ∴ PF'”+QF”=PF”+QF'”+16 ∴ PF'”+QF”=13+16=29 (cid:8951) ④ y¤ 018 쌍곡선 - =1의 초점의 좌표는 11 x¤ 25 (-6, 0), (6, 0) 이므로(cid:100)(cid:100)F’F'”=12 △PF'F의 둘레의 길이가 40이므로 PF”+F’F'”+P’F'”=40 ∴ PF”+P’F'”=28 또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는 2¥5=10이므로 쌍곡선의 yy ㉠(cid:100)(cid:100) |P’F'”-PF”|=10 yy ㉡(cid:100)(cid:100) |PF” ¤ -P’F'” ¤ |=|(PF”+PF”'’)(PF”-PF”'’)| 정의에 의하여 ㉠, ㉡에서 8 정답 및 풀이 (cid:8772)AOBP는 직사각형 이다. (cid:8951) ;2&; 이다. x¤ ① 쌍곡선 - =1 a¤ y¤ b¤ (cid:100) 의 초점의 좌표는 (cid:100) (cid:100)(—"√a¤ +b¤ , 0) x¤ a¤ y¤ b¤ ② 쌍곡선 - =-1 (cid:100) 의 초점의 좌표는 (cid:100) (cid:100)(0, —"√a¤ +b¤ ) 019 x¤ +2x-2y+5=0에서 (x+1)¤ =2(y-2) 즉 주어진 포물선은 포물선 x¤ =2y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초점의 좌표는 {0-1, ;2!;+2}, 즉 {-1, ;2%;}, 꼭 짓점의 좌표는 (-1, 2)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y=;2#; 한편 초점에서 포물선 위의 점 P에 이르는 거리는 점 P 에서 준선에 이르는 거리와 같으므로 점 {-1, ;2%;}, 즉 초점에서 포물선에 이르는 최단 거리는 포물선의 꼭짓점 (-1, 2)와 준선y=;2#; 사이의 거리인 ;2!;과 같다. (cid:8951) ;2!; 020 타원 (x+1)¤ 9 + (y-4)¤ 5 =1은 타원 x¤ 9 y¤ 5 + =1을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 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초점의 좌표는 ("√9-5-1, 4), (-"√9-5-1, 4), 즉 (1, 4), (-3, 4) ∴ △OFF'=;2!;¥4¥4=8 (cid:8951) 8 021 쌍곡선 (x-2)¤ 9 -(y+1)¤ =1은 쌍곡선 x¤ 9 -y¤ =1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ㄱ. 쌍곡선 -y¤ =1의 주축의 길이가 2¥3=6이므로 ㄱ. 주어진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도 6이다. ㄴ. 쌍곡선 -y¤ =1의 초점의 좌표가 ('∂10, 0), ㄴ. (-'∂10, 0)이므로 주어진 쌍곡선의 초점의 좌표는 ㄴ. (cid:100)(cid:100)('∂10+2, -1), (-'∂10+2, -1) ㄷ. 쌍곡선 -y¤ =1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x¤ 9 x¤ 9 x¤ 9 (cid:100)(cid:100)y=;3!;x, y=-;3!;x 이므로 주어진 쌍곡선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cid:100)(cid:100)y=;3!;(x-2)-1, y=-;3!;(x-2)-1 (cid:100)(cid:100)∴ y=;3!;x-;3%;, y=-;3!;x-;3!; 따라서 두 점근선의 y절편의 합은 (cid:100)(cid:100)-;3%;+{-;3!;}=-2 =28¥10=280 (cid:8951) 280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cid:8951) ③ E0429_일품기벡_정(006-032) 2015.4.29 2:43 PM 페이지9 SinsagoHitec 022 (k+1)x¤ +(2k-8)y¤ +3x-5=0이 쌍곡선 을 나타내려면 (k+1)(2k-8)<0(cid:100)(cid:100)∴ -1n>0)이라 하면 2m=4(cid:100)(cid:100)∴ m=2 m¤ -n¤ =1¤ 에서(cid:100)(cid:100)n¤ =2¤ -1=3 따라서 타원의 방정식은 (x-1)¤ 4 + (y+1)¤ 3 =1 3(x-1)¤ +4(y+1)¤ =12 ∴ 3x¤ +4y¤ -6x+8y-5=0 즉 a=-6, b=8, c=-5이므로 a-b+c=-19 (cid:8951) ① 025 F(p, 0)이므로 x=p를 y¤ =4px에 대입하면 포물선 y¤ =4px (p>0)의 초점은 y¤ =4p¤ (cid:100)(cid:100)∴ y=2p 또는 y=-2p ● 20% 즉 A(p, 2p), B(p, -2p)이므로 두 점 A, B에서 준선 x=-p에 내린 수선의 발은 각각 C(-p, 2p), D(-p, -2p)이다. ● 20% (cid:8772)ACDB에서 AC”=BD”=p-(-p)=2p, AB”=CD”=2p-(-2p)=4p 이므로 (cid:8772)ACDB의 둘레의 길이는 2(2p+4p)=24'3(cid:100)(cid:100)∴ p=2'3 따라서 (cid:8772)ACDB의 넓이는 2p¥4p=4'3¥8'3=96 ● 30% ● 30% (cid:8951) 96 PH”=FH”이므로 |a+1|="√(-1-1)¤ +b¤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a¤ +2a+1=4+b¤ yy ㉠(cid:100)(cid:100) 이때 점 P는 포물선 y¤ =4x 위의 점이므로 b¤ =4a yy ㉡(cid:100)(cid:100) ㉡을 ㉠에 대입하면(cid:100)(cid:100)a¤ +2a+1=4+4a a¤ -2a-3=0,(cid:100)(cid:100)(a+1)(a-3)=0 ∴ a=3 (∵ a>0) a=3을 ㉡에 대입하면 b¤ =12(cid:100)(cid:100)∴ b=2'3 (∵ b>0) (cid:100)(cid:100)∴ ab=6'3 (cid:8951) ⑤ 028 점 A(1, 0)은 주어진 포물선의 초점이고, 준선 의 방정식은 x=-1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P에 y y@=4x 서 준선 x=-1에 내린 수선 H 의 발을 H라 하면 포물선의 -1 O A B x P 5 Q 정의에 의하여 PH”=PA”=5 이므로 점 P의 x좌표는 -1+5=4 x=4를 y¤ =4x에 대입하면 y¤ =16(cid:100)(cid:100)∴ y=—4 ∴ P(4, 4), Q(4, -4) a라 하면 1+a 2 =4(cid:100)(cid:100)∴ a=7 즉 B(7, 0)이므로(cid:100)(cid:100)AB”=7-1=6 따라서 (cid:8772)PAQB의 넓이는 ;2!;¥6¥8=24 (cid:8951) ④ 029 y¤ =8x=4¥2x에서 점 A(2, 0)은 주어진 포물 선의 초점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x=-2이다. 이때 AP”=8이므로 점 P와 준선 사이의 거리는 8이다. 점 P의 좌표를 (6, a)라 하면(cid:100)(cid:100)a¤ =8¥6=48 ∴ PR”=8-2=6 ∴ a=4'3 (∵ a>0) Ⅰ. 평면 곡선 9 마름모의 대각선은 서로 를 수직이등분한다. 이때 AB”와 PQ”의 중점이 일치하므로 점 B의 x좌표를 E0429_일품기벡_정(006-032) 2015.4.29 2:43 PM 페이지10 SinsagoHitec 두 점 A(2, 0), P(6, 4'3)을 지나는 직선 l의 방정식은 (x-2)(cid:100)(cid:100) y= 4'3 6-2 ∴ y='3(x-2) yy ㉠(cid:100)(cid:100) 점 Q는 직선l 위의 점이므로 ㉠을 y¤ =8x에 대입하면 {'3(x-2)}¤ =8x 3x¤ -20x+12=0,(cid:100)(cid:100)(3x-2)(x-6)=0 032 의 길이는 4이다. 원의 넓이가 16p이므로 원의 반지름 두 점(x¡, y¡), (x™, y™)를 이때 원의 지름의 길이와 타원의 단축의 길이가 같으므로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cid:100)y-y¡= (x-x¡) y™-y¡ x™-x¡ 2b=8(cid:100)(cid:100)∴ b=4 ● 40% 또 초점F의 좌표가 (4, 0)이므로 a¤ -b¤ =4¤ 에서 (단, x¡+x™) a¤ =4¤ +4¤ =32(cid:100)(cid:100)∴ a=4'2 (∵ a>0) ● 40% 따라서 타원의 장축의 길이는 ∴ x=;3@; (∵ x<2) x=;3@;를 ㉠에 대입하면(cid:100)(cid:100)y=- 4'3 3 ∴ Q{;3@;, - 4'3 3 } 사다리꼴 PRSQ에서 PR”=6, QS”=;3@;, RS”=4'3+ 4'3 3 = 16'3 3 이므로 (cid:8772)PRSQ의 넓이는 ;2!;¥{6+;3@;}¥ 16'3 3 = 160'3 9 따라서 m=9, n=160이므로 m+n=169 (cid:8951) 169 030 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x=-1이다. 점 A(1, 0)은 주어진 포물선의 초점 ● 20% 오른쪽 그림과 같 이 두 점 P, B에서 준선 x=-1에 내린 수선의 발을 y H' H P B{5,`3} -1 O A{1,`0} x △ABC의 두 변AB, AC의 중점을 각각 M, N 이라 하면 (cid:100)M’N”∥BC”, (cid:100)M’N”=;2!;BC” A 각각 H, H'이라 하면 PA”=PH”이므로 PA”+BP”=PH”+BP” æBH'” =5-(-1)=6 y@=4x B C M N a 2a ● 50% PH”+BP”의 길이는 세 점 H, P, B가 한 직선 위에 있을 때 최소이다. 2a=8'2 033 점 P(a, b)를 지나는 모든 직선이 타원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점 P가 타원의 내부에 있어야 한다. 이때 타원 9x¤ +16y¤ =144, 즉 + =1은 오른쪽 x¤ 16 y¤ 9 그림과 같으므로 a, b가 정 수인 점 P(a, b)의 개수는 5¥5+3¥2=31 y 3 2 1 O -1 -3 -2 -1 -3 -4 -2 1 2 3 4 x 034 M’N”=;2!; F’F'”, OM”=;2!; P’F'”, ON”=;2!; PF”이므로 MN”+O’M”+ON”=;2!; F’F'”+;2!; P’F'”+;2!; PF” MN”+O’M”+ON”=;2!;( F’F'”+P’F'”+PF”) MN”+O’M”+ON”=;2!;(6+P’F'”+PF”)=12 ∴ P’F'”+PF”=18 ● 40% 따라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장축의 길이가 18이므로 2a=18(cid:100)(cid:100)∴ a=9 a¤ -b¤ =3¤ 에서(cid:100)(cid:100)b¤ =9¤ -3¤ =72 ∴ a¤ +b¤ =153 ● 20% (cid:8951) 8'2 (cid:8951) ① ● 20% ● 30% ● 10% (cid:8951) 153 이때 AB”="√(5-1)¤ +3¤ =5이므로 △ABP의 둘레의 길이는 PA”+AB”+BP”æAB”+BH'”=11 따라서 △ABP의 둘레의 길이의 최솟값은 11이다.● 30% (cid:8951) 11 031 7|x|+5|y|=35에 x=0을 대입하면(cid:100)(cid:100)5|y|=35(cid:100)(cid:100)∴ y=—7 y=0을 대입하면(cid:100)(cid:100)7|x|=35(cid:100)(cid:100)∴ x=—5 즉 네 점 (0, 7), (0, -7), (5, 0), (-5, 0)을 꼭짓 점으로 하는 타원의 방정식을 + =1 (b>a>0) x¤ a¤ y¤ b¤ 이라 하면 a=5, b=7 따라서 초점의 좌표는 (0, 2'6), (0, -2'6 ) 이므로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2'6-(-2'6)=4'6 10 정답 및 풀이 OA”=OB”이므로 (cid:100)△POA=△PBO 035 △POA=△PBO이므로 △POF:△PBA=3:8에서 △POF:△POA=3:4 ∴ OF”:OA”=3:4 OF”=3k(k>0)라 하면OA”=4k이므로 타원의 정의 에 의하여(cid:100)(cid:100)PF'”+PF”=8k △PF'F의 둘레의 길이가 28이므로 PF'”+F'F”+PF”=28 8k+2¥3k=28,(cid:100)(cid:100)14k=28(cid:100)(cid:100)∴ k=2 "√7¤ -5¤ =2'6 (cid:8951) ⑤ 따라서 A(8, 0), F(6, 0)이므로 a=8, b¤ =8¤ -6¤ =28 ∴ a¤ +b¤ =92 (cid:8951) ② E0429_일품기벡_정(006-032) 2015.4.29 2:43 PM 페이지11 SinsagoHitec 036 오른쪽 그림과 같이 초점이 F, F'인 타원의 중심 을 지나는 임의의 직선이 타 원과 만나는 두 점을 각각 P, Q라 하면 두 점P, Q는 타 원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이 y O P F x F' Q 므로 사각형 PF'QF는 평행사변형이다. 즉 FQ”=P’F'”이므로 FP”+FQ”=FP”+P’F'”=8 ∴ F’P˚”=(F’P¡”+F’P¢”)+(F’P™”+F’P∞”) 6 ¡k=1 +(F’P£”+F’P§”) =8+8+8=24 (cid:8951) 24 △POF'과 △QOF에서 F’'O”=FO”, OP”=OQ”, ∠F'OP=∠FOQ 이므로(cid:100)(cid:100)△POF'™△QOF(SAS 합동) 따라서 ∠PF'O=∠QFO, P’F'”=QF”, 즉 한 쌍의 대변이 평행하고 그 길이가 같으므로 (cid:8772)PF'QF는 평행사변형이다. y¤ 037 쌍곡선 - =1의 초점의 좌표는 12 x¤ 4 F(4, 0), F'(-4, 0) 이므로 FF'”=4-(-4)=8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PF'”-PF”=4이므로 PF”=PF'”-4=12-4=8 즉 PF”=F'F”=8이므로 △PF'F는 이등변삼각형이다. 따라서 점 F에서 PF'”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직 각삼각형 PHF에서 ¤ -PH” FH”=" √PF” FH”="√8¤ -6¤ =2'7 (cid:8951) ③ x¤ 16 y¤ 038 쌍곡선 - =1의 초점의 좌표는 k F('ƒ16+k, 0), F'(-'ƒ16+k, 0)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가 2¥4=8이므로 AF'”-AF”=8 yy ㉠(cid:100)(cid:100) 또 △AF'B의 둘레의 길이가 32이므로 yy ㉡(cid:100)(cid:100) 2(AF'”+AF”)=32 ∴ AF'”+AF”=16 ㉠, ㉡을 연립하여 풀면 AF'”=12, AF”=4 즉 A('ƒ16+k, 4)이므로 이것을 주어진 쌍곡선의 방정 식에 대입하면 16+k 16 16 k - =1,(cid:100)(cid:100)1+ 16 - =1 k ;16; 16 k ;16; = ,(cid:100)(cid:100)k¤ =16¤ ∴ k=16 (∵ k>0) (cid:8951) 16 본책 12쪽``…``14쪽 두 직선이 서로 수직이면 두 직선의 기울기의 곱은 -1이다. ;aB; ¥{- ;aB; 039 쌍곡선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y= x, ;aB; y=- x이고 두 점근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aB;}=-1(cid:100)(cid:100)∴ a¤ =b¤ x¤ a¤ y¤ b¤ 점 (4, 1)이 쌍곡선 - =1 위의 점이므로 yy ㉠(cid:100)(cid:100) 선 곡 면 평 Ⅰ ㉠을 ㉡에 대입하면 (cid:100) - =1 1 a¤ (cid:100) =1(cid:100)∴ a¤ =15 16 a¤ 15 a¤ (cid:100)∴ b¤ =15 yy ㉡(cid:100)(cid:100) (cid:8951) 30 x¤ 36 y¤ 5 - =1의 16 a¤ 1 - =1 b¤ ∴ a¤ +b¤ =30 ㉠, ㉡을 연립하여 풀면(cid:100)(cid:100)a¤ =15, b¤ =15 040 쌍곡선 5x¤ -36y¤ =180, 즉 초점의 좌표는 (cid:100)(cid:100)('∂41, 0), (-'∂41, 0) 이므로 구하는 쌍곡선의 방정식을 - =1 x¤ a¤ y¤ b¤ yy ㉠(cid:100)(cid:100) (a>0, b>0)이라 하면 (cid:100)(cid:100)a¤ +b¤ =41 주축의 길이가 10이므로 2a=10(cid:100)(cid:100)∴ a=5 a=5를 ㉠에 대입하면 25+b¤ =41(cid:100)(cid:100)∴ b¤ =16 따라서 쌍곡선의 방정식은 x¤ 25 y¤ - =1 16 이 쌍곡선의 점근선의 방 방정식은 y=—;5$;x이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A(5, 4), B(5, -4) ∴ OA”=OB” ="√5¤ +4¤ ='∂41 이때 △AOB의 넓이는 y= x4 5 y O A Ω 5 x B x=5 y=- x4 5 두 변의 길이가 a, b이고 그 끼인 각의 크기가h인 삼각형의 넓이 (cid:8857) ;2!;ab sin h AF”=BF”, AF'”=BF'” 이므로 △AF'B의 둘레 의 길이는 (cid:100)AF'”+F'B”+BF”+AF” =AF'”+AF'”+AF”+AF” =2(AF'”+AF”) ;2!;¥AB”¥5=;2!;¥O’A”†¥OB”¥sin h ;2!;¥8¥5=;2!;¥'∂41¥'∂41¥sin h ∴ sin h=;4$1); (cid:8951) ;4$1); 원점에서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직각삼각형 AOH에서 4 '∂41 sin ;2Ω;= , cos ;2Ω;= 5 '∂41 ∴ sin h=2 sin ;2Ω; cos ;2Ω;=2¥ 041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P’F'”-PF”=10 QF”'”-QF”=10 ㉠+㉡을 하면 4 '∂41 ¥ 5 '∂41 =;4$1); yy ㉠(cid:100)(cid:100) yy ㉡(cid:100)(cid:100) Ⅰ. 평면 곡선 11 ¤ E0429_일품기벡_정(006-032) 2015.4.29 2:43 PM 페이지12 SinsagoHitec (P’F'” ”+QF”'”)-(PF”+Q’F”)=20 ∴ PF”+Q’F”=(P’F'” ”+Q’F'”)-20 ∴ PF”+Q’F=14+18-20=12 (cid:8951) ③ 쌍곡선 5x¤ -4y¤ =20, 즉 042 x¤ 4 y¤ 5 - =1의 초점의 좌표는 (3, 0), (-3, 0)이므 로 두 점A, D는 쌍곡선의 초점이다. ● 20%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BD”-BA”=4 CD”-CA”=4 yy ㉠(cid:100)(cid:100) yy ㉡(cid:100)(cid:100) △BDC의 둘레의 길이가 20이므로 BD”+CD”+CA”+BA”=20 yy ㉢(cid:100)(cid:100)● 50% ㉢-㉠-㉡을 하면 2(BA”+CA”)=12 ∴ BC”=BA”+CA”=6 ● 30% (cid:8951) 6 043 쌍곡선 - =1의 초점의 좌표는 F(6, 0), x¤ 16 y¤ 20 F'(-6, 0)이고 주축의 길이는 2¥4=8이므로 쌍곡선 의 정의에 의하여 PF'”-PF”=8 ∴ QF'”=PF'”-PQ”=PF'”-PF”=8 따라서 QF”+QF'”=6+8=14이므로 타원의 정의에 의 하여 구하는 타원의 장축의 길이는 14이다. (cid:8951) ② 044 y=x¤ +2ax+b에서 y=(x+a)¤ -a¤ +b, 즉 (x+a)¤ =y+a¤ -b 이므로 주어진 포물선은 포물선 x¤ =y를 x축의 방향으 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a¤ 만큼 평행이동한 것 이다. ● 40% {0, ;4!;}이므로 주어진 포물선의 초점의 좌표는 따라서 -a=;2!;, ;4!;+b-a¤ =4이므로 {-a, ;4!;+b-a¤ } a=-;2!;, b=4 ∴ a+b=;2&; 045 타원의 중심의 좌표가 (5, 3)이므로 장축의 길 이는 10, 단축의 길이는 6이다. 따라서 주어진 타원은 타원 + =1을 x축의 방 x¤ 25 y¤ 9 향으로 5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 므로 타원의 방정식은 12 정답 및 풀이 BF'”+FC”=BC”-FF'” 이고, 타원의 정의에 의 하여 (cid:100)F'A”+FA”=10 (x-5)¤ 25 + (y-3)¤ 9 =1 타원 + =1의 초점의 좌표가 (4, 0), (-4, 0) x¤ 25 y¤ 9 이므로 주어진 타원의 초점의 좌표는 (cid:100)(cid:100)F(4+5, 3), F'(-4+5, 3), 즉 F(9, 3), F'(1, 3) ∴ BF'”+F’'A”+AF”+FC” =(BC”-F’F'”)+(F’'A”+AF”) =(10-8)+10=12 (cid:8951) ③ 046 4x¤ +25y¤ -8x+100y+4=0에서 4(x-1)¤ +25(y+2)¤ =100 ∴ (x-1)¤ 25 + (y+2)¤ 4 =1 즉 주어진 이차곡선은 중심의 좌표가 (1, -2), 장축의 길이가 10, 단축의 길이가 4인 타원이다. ● 30% 오른쪽 그림에서 y -4 O 1 -2 6 x 원이 타원과 서로 다른 네 점 에서 만나려면 원의 지름 2a 는 타원의 단축의 길이보다 길 고 장축의 길이보다 짧아야 하 므로 4<2a<10(cid:100)(cid:100) ∴ 20, 즉 k<12 따라서 자연수 k는 1, 2, 3, y, 11의 11개이다. 12-k<0이면 이차곡 선은 y축에 평행한 주 (cid:8951) ④ 축을 갖는 쌍곡선이다. 049 ㄱ. a=1이면 ㄱ. (cid:100)(cid:100)x¤ +y¤ +bx+2y+1=0 ㄱ. (cid:100)(cid:100)∴ {x+ ;2B;} ¤ +(y+1)¤ = b¤ 4 ㄱ. 이때 >0이므로 주어진 이차곡선은 원이다. b¤ 4 ㄴ. a=0이면(cid:100)(cid:100)y¤ +bx+2y+1=0 ㄴ. (cid:100)(cid:100)∴ (y+1)¤ =-bx ㄴ. 위의 방정식이 나타내는 포물선은 포물선 y¤ =-bx 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ㄴ. b<0일때 포물선 y¤ =-bx는 제1사분면, 제4 사 분면을 지나므로 주어진 이차곡선도 제 1 사분면, 제4 사분면을 지난다. ㄷ. b=2a이면(cid:100)(cid:100)ax¤ +y¤ +2ax+2y+1=0 ㄷ. (cid:100)(cid:100)a(x+1)¤ +(y+1)¤ =a ㄷ. (cid:100)(cid:100)∴ (x+1)¤ + (y+1)¤ a =1 ㄷ. a<0이므로위의 방정식이 나타내는 쌍곡선은 쌍곡 y¤ ㄷ. 선 x¤ + =1, 즉 x¤ - a y¤ -a =1을 x축의 방향으로 =2a ㄷ.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 두 포물선 y¤ =-8x, y¤ =8x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cid:100)P(-a, b) (cid:100)∴ PQ”=a-(-a) 이다. ㄷ. 쌍곡선 x¤ - =1의 초점의 좌표는 y¤ -a ㄷ. (cid:100)(cid:100)('ƒ1-a, 0), (-'ƒ1-a, 0) ㄷ. 이므로 주어진 이차곡선의 초점의 좌표는 ㄷ. (cid:100)(cid:100)('ƒ1-a-1, -1), (-'ƒ1-a-1, -1) ㄷ. 이때 'ƒ1-a-1>0이므로 점 ('ƒ1-a-1, -1)은 제4 사분면 위에 있다.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cid:8951) ③ -a>0이므로 (cid:100)"√1-a>1 (cid:100)∴ "√1-a-1>0 본책 14쪽``…``16쪽 ⁄ a=1, b=-4일 때, ⁄ (cid:100)(cid:100)x¤ +y¤ -4y=0, 즉 x¤ +(y-2)¤ =4 ⁄ 따라서 주어진 이차곡선은 원이다. ¤ a=2, b=-2일 때, ⁄ (cid:100)(cid:100)2x¤ +y¤ -2y=0,(cid:100)(cid:100)2x¤ +(y-1)¤ =1 ⁄ (cid:100)(cid:100)∴ +(y-1)¤ =1 x¤ ;2!; ⁄ 따라서 주어진 이차곡선은 타원이고 장축의 길이는 ⁄ (cid:100)(cid:100)2¥1=2 ‹ a=4, b=-1일 때, ⁄ (cid:100)(cid:100)4x¤ +y¤ -y=0,(cid:100)(cid:100)4x¤ +{y-;2!;} ¤ =;4!; ⁄ 따라서 주어진 이차곡선은 타원이고 장축의 길이는 ⁄ (cid:100)(cid:100)∴ x¤ + {y-;2!;} =1 ;1¡6; ;4!; ⁄ (cid:100)(cid:100)2¥;2!;=1 이상에서 구하는 길이의 합은 2+1=3 (cid:8951) ① 051 포물선 y¤ =-8x=4¥(-2)x의 초점은 F(-2, 0), 준선의 방정식은 x=2이고, 포물선 y¤ =8x=4¥2x의 초점은 F'(2, 0), 준선의 방정식은 x=-2이므로(cid:100)(cid:100)F’F'”=4 Q(a, b)(a>0, b>0)라 하면 PQ”=2a 또 FP”의 길이는 점 P와 준선 x=2 사이의 거리와 같 고, F'Q”의 길이는 점 Q와 준선 x=-2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cid:100)(cid:100)FP”=F’'Q”=a+2 사다리꼴 PFF'Q의 둘레의 길이가 12이므로 2a+2(a+2)+4=12 4a=4(cid:100)(cid:100)∴ a=1 따라서 b¤ =8a=8에서 b=2'2이므로 사다리꼴 PFF'Q의 넓이 S는 S=;2!;¥(2+4)¥2'2=6'2 ∴ S¤ =(6'2)¤ =72 1등급 |비|밀|노|트| (cid:8951) 72 포물선 위의 임의의 점과 초점 사이의 거리를 구할 때에는 포물 선의 정의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050 ax¤ +y¤ +by=0이 타원을 나타내려면 a>0이 어야 하므로 a는 자연수이다. 따라서 ab=-4에서 a=1, b=-4 또는 a=2, b=-2 또는 a=4, b=-1 Ax¤ +By¤ +Cx+Dy+E 이차곡선 =0 이 타원을 나타내면 AB>0이다. 052 포물선 x¤ =8y=4¥2y의 초점은 F(0, 2)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y=-2이다. 이때 AF”, BF”, CF”의 길이는 각각 세 점 A, B, C와 준선 y=-2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Ⅰ. 평면 곡선 13 ¤ E0429_일품기벡_정(006-032) 2015.4.29 2:43 PM 페이지14 SinsagoHitec AF”=k+2, BF”=k+3+2=k+5, CF”=3k+2 따라서 A(2, 4)이고, 타원의 다른 한 초점을 F'이라 하 즉 k+2, k+5, 3k+2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 면 타원의 두 초점은 F(2, 0), F'(-2, 0)이므로 루므로 2(k+5)=(k+2)+(3k+2) 2k+10=4k+4(cid:100)(cid:100)∴ k=3 타원의 장축의 길이는 타 원 위의 한 점에서 두 초 점까지의 거리의 합과 같 (cid:8951) 3 다. 1등급 |비|밀|노|트| 등비중항을 이용한다. 등차수열, 등비수열을 이루는 세 수가 주어지면 각각 등차중항, 세 실수 a, b, c가 이 순서 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면 (cid:100)b= a+c 2 , 즉 (cid:100)2b=a+c 타원 + =1의 x¤ 16 y¤ 12 장축의 길이는 2¥4=8 이므로 (cid:100)F'P”+PF”=8 053 ㄱ. 오른쪽 그림에서 ㄴ. FR”=QR”이므로 ㄴ. (cid:100)(cid:100)FR”+F’'R” y R Q P OF' F 4 l x =QR”+F’'R” æF’'Q” =F’'P”+PF”=8 솟값 8을 갖는다. 타원 밖의 점이다. 선이다. 따라서 점 R가 점P와 일치할 때, FR ”+F’'R”는 최 ㄴ. ㄱ에 의하여 직선 l 위의 점 중 P를 제외한 모든 점 은 점 F와 F'에 이르는 거리의 합이 8보다 크므로 따라서 직선 l은 타원과 오직 한 점에서 만나므로 접 ㄷ. F’'Q”=8이므로 점 Q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이 F'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8인 원이다. aæ0, bæ0이고, 점 P의 좌표가 (0, 2'3)일 때, △PF'O에서 F’'O”=2, OP”=2'3이므로 (cid:100)(cid:100)∠PF'F=;3“; 따라서 점 Q의 자취의 길이는 '3 직선 y= x가 x축 3 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3 3 (cid:100)tan h= (cid:100)∴ h=;6“; (cid:100)(cid:100)8¥;3“;=;3*;p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cid:8951) ② PA”와 PF”는 주어진 원 의 반지름이다. PQ”=AF”+A’F'” PQ="√(2-2)¤ +4¤ +"√(2+2)¤ +4¤ PQ=4+4'2 ∴ △APQ=;2!;¥PQ”¥AF” =;2!;¥(4+4'2)¥4 =8+8'2 055 쌍곡선의 정의 에 의하여 y y=- xÂ3 3 F'Q”=F'P”-PQ” F'Q”=F'P”-PF” F'Q”=2¥2'3 F'Q”=4'3 (cid:8951) ④ y= xÂ3 3 Q P F' O F x π 3 이때 쌍곡선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3 3 x, 즉 y=— x y=— 2 2'3 이므로 직선 PF'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3 3 - 0) 이라 하면 FF'”=8에서(cid:100)(cid:100)c=4 또 PA”=PF”이고 AF'”=4'2이므로 PF'”-PF”=PF'”-PA”=AF'”=4'2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P’F'”-PF”=2a이므로 (cid:8951) ① (cid:8951) 24 반지름의 길이가 r, 중심 각의 크기가 h인 부채꼴 의 호의 길이는 (cid:100)rh 2a=4'2(cid:100)(cid:100)∴ a=2'2 b¤ =c¤ -a¤ 에서(cid:100)(cid:100)b¤ =4¤ -(2'2)¤ =8 ∴ a¤ +2b¤ =(2'2)¤ +16=24 1등급 |비|밀|노|트| 두 점A, B가 직선 l을 사이에 두고 있 을 때, 두 점A, B와 직선 l 위의 점 P 사이의 거리의 합의 최솟값은 AB”의 길 P 이와 같다. 즉 (cid:100)(cid:100)AP”+BP”æA’B” B l A 054 포물선의 초점을 F(p, 0) (p>0)이라 하면 포 물선의 방정식은 이때 포물선과 타원의 교점 A, B의 x좌표가 p이므로 y¤ =4px y¤ =4p¥p (cid:100)(cid:100)∴ y=—2p 14 정답 및 풀이 즉 A(p, 2p), B(p, -2p)이므로 AB”=4p=8(cid:100)(cid:100)∴ p=2 ” E0429_일품기벡_정(006-032) 2015.4.29 2:43 PM 페이지15 SinsagoHitec 02 평면 곡선의 접선 본책 17쪽 057 x¤ +2y¤ -xy-2x-5=0의 양변을 x에 대하 여 미분하면 y=f(x)g(x)이면 (cid:100)y'=f'(x)g(x) +f(x)g'(x) 2x+4y -y-x -2=0 dy dx (x-4y) =2x-y-2 dy dx dy dx dy ∴ = dx 2x-y-2 x-4y (x+4y) 따라서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dy dx = 2-2-2 1-8 =;7@; (cid:8951) ② 058 2'x+'y=7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1 1 'x 2'y dy ∴ =- dx dy ¥ =0 dx 2'y 'x (x+0) 점 (a, b)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3이므로 - =-3 2'b 'a ∴ 3'a-2'b=0 2'a+'b=7 ∴ ab=36 한편 점 (a, b)가 곡선 2'x+'y=7 위의 점이므로 ㉠, ㉡을 연립하여 풀면(cid:100)(cid:100)a=4, b=9 Q(-6, 0) yy ㉠(cid:100)(cid:100) yy ㉡(cid:100)(cid:100) (cid:8951) 36 =-;8&;,(cid:100)(cid:100)32+8a=14a+14 다. (cid:8772)PHQF는 마름모이 - 4+a 2a+2 6a=18(cid:100)(cid:100)∴ a=3 059 x¤ +y¤ +axy+b=0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 분하면 2x+2y +ay+ax =0 dy dx (ax+2y) =-(2x+ay) dy dx dy dx dy ∴ =- dx 2x+ay ax+2y (ax+-2y) dy 점 (2, 1)에서의 의 값이 -;8&;이므로 dx 한편 점 (2, 1)이 곡선 x¤ +y¤ +3xy+b=0 위의 점이 므로(cid:100)(cid:100)4+1+6+b=0(cid:100)(cid:100)∴ b=-11 ∴ a+b=-8 (cid:8951) ① 060 포물선 y¤ =8x 위의 점 A(2, 4)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4y=4(x+2), 즉 y=x+2 이 직선에 수직이고 점 A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4=-(x-2)(cid:100)(cid:100)∴ y=-x+6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y절편은 6이다. (cid:8951) ③ 본책 16쪽``…``18쪽 061 포물선 y¤ =12x 위의 점 (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by=6(x+a), 즉 y= x+ ;b^; :§bÅ: 이므로 x절편은 -a, y절편은 이다. 6a b 따라서 접선과 x축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2!;¥a¥ =;2(;,(cid:100)(cid:100) =;2(; 3a¤ b 6a b 선 곡 면 평 Ⅰ yy ㉠(cid:100)(cid:100) yy ㉡(cid:100)(cid:100) 한편 점 (a, b)가 포물선 y¤ =12x 위의 점이므로 (cid:100)(cid:100)∴ b=;3@;a¤ b¤ =12a ㉠을 ㉡에 대입하면 ¤ =12a,(cid:100)(cid:100);9$;a› =12a {;3@;a¤ } a‹ =27(cid:100)(cid:100)∴ a=3 (∵ a>0) a=3을 ㉠에 대입하면(cid:100)(cid:100)b=6 ∴ a+b=9 (cid:8951) 9 062 포물선 y¤ =6x 위의 점 P(6, 6)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6y=3(x+6), 즉 y=;2!;x+3 이므로 접선이 x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한편 포물선 y¤ =6x=4¥;2#;x에서 초점은 F{;2#;, 0}, 준 선의 방정식은 x=-;2#;이므로 점 P(6, 6)에서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은 H{-;2#;, 6}이다. ∴ PF”=PH”=6+;2#;=:¡2∞:, (cid:100) QH”=æ≠{-;2#;+6} ¤ +6¤ =:¡2∞:, (cid:100) QF”=;2#;-(-6)=:¡2∞: 따라서 (cid:8772)PHQF의 둘레의 길이는 4¥:¡2∞:=30 (cid:8951) ③ 063 포물선 y¤ =4x 위의 점 (x¡, y¡)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y=2(x+x¡), 즉 y= x+ 2 y¡ 2x¡ y¡ 직선 y=;2!;x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2이므로 수직인 두 직선의 기울기 의 곱은-1이다. 2 y¡ =-2(cid:100)(cid:100)∴ y¡=-1 이때 y¡¤ =4x¡이므로 1=4x¡(cid:100)(cid:100)∴ x¡=;4!; Ⅰ. 평면 곡선 15 E0429_일품기벡_정(006-032) 2015.4.29 2:43 PM 페이지16 SinsagoHitec a=-6-;2!;=-:¡2£: (cid:8951) ② 타원 2x¤ +y¤ =6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즉 접선의 방정식은 y=-2x-;2!;이고 이 직선이 점 (3, a)를 지나므로 064 포물선 y¤ =4px와 직선y=2x+3의 교점의 x 좌표는 (2x+3)¤ =4px ∴ 4x¤ +4(3-p)x+9=0 주어진 포물선과 직선은 만나지 않으므로 이 이차방정 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4 D;;={2(3-p)}¤ -4¥9<0,(cid:100)(cid:100)p¤ -6p<0 p(p-6)<0(cid:100)(cid:100)∴ 0b>0)의 초점의 좌 표는 (cid:100)(—"√a¤ -b¤ , 0) y¡y=2(x+x¡) 이 직선이 점 A(0, 2)를 지나므로 2y¡=2x¡(cid:100)(cid:100)∴ x¡=y¡ 이때 y¡¤ =4x¡이므로 x¡¤ =4x¡,(cid:100)(cid:100)x¡(x¡-4)=0 ∴ x¡=0 또는 x¡=4 따라서 두 점 P, Q의 좌표는 (0, 0), (4, 4)이므로 (cid:8951) ③ △APQ의 넓이는 ;2!;¥2¥4=4 16 정답 및 풀이 066 점 (1, a)가 타원 2x¤ +y¤ =6 위의 점이므로 2+a¤ =6,(cid:100)(cid:100)a¤ =4 ∴ a=2 (∵ a>0) 2x+2y=6, 즉 x+y=3 이 직선이 점 (b, 5)를 지나므로 b+5=3(cid:100)(cid:100)∴ b=-2 ∴ a+b=0 (cid:8951) ③ 067 점 P의 좌표를 (x¡, y¡)이라 하면 점 P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x¡x 12 + y¡y 4 =1 12 x¡ y=0일 때x= , x=0 일 때y= 이므로 두 점A , 4 y¡ B의 좌표는 12 x¡ A{ , 0}, B{0, 4 y¡ } 1¥0+3¥ 12 12x¡ x¡= 에서 점 P(x¡, y¡)이 AB”를 1:3으로 내분하므로 4x¡= ,(cid:100)(cid:100)x¡¤ =9(cid:100)(cid:100)∴ x¡=3 (∵ x¡>0) 1+3 36 x¡ 4 y¡ 13 1+3 4 y¡ 1¥ +3¥0 y¡= 에서 4y¡= ,(cid:100)(cid:100)y¡¤ =1(cid:100)(cid:100)∴ y¡=1 (∵ y¡>0) 따라서 A(4, 0), B(0, 4)이므로 AB”="√(-4)¤ +4¤ =4'2 (cid:8951) ④ 068 타원 + =1의 두 초점의 좌표는 x¤ 6 y¤ 3 F('3, 0), F'(-'3, 0) 타원 위의 점 P(2,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2x 6 y 3 + =1, 즉 x+y-3=0 따라서 AF”, A’'F'”의 길이는 각각 두 점 F, F'과 직선 x+y-3=0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 AF”= |'3-3| 'ƒ1¤ +1¤ |-'3-3| 'ƒ1¤ +1¤ ∴ AF”¥A’'F'”= A’'F'”= , 3-'3 '2 3+'3 = '2 3+'3 '2 ¥ 3-'3 '2 =3 (cid:8951) 3 069 타원 + =1 위의 점 (x¡, y¡)에서의 접 x¤ 16 y¤ k 선의 방정식은 x¡x 16 y¡y k + =1, 즉 y=- x+ kx¡ 16y¡ k y¡ E0429_일품기벡_정(006-032) 2015.4.29 2:43 PM 페이지17 SinsagoHitec 이 직선이 직선 x+y=6, 즉 y=-x+6과 일치하므로 - kx¡ 16y¡ =-1, =6 k y¡ ∴ k=6y¡, x¡=;3*; 이때 x¡+y¡=6이므로(cid:100)(cid:100)y¡=6-;3*;=:¡3º: ∴ k=6¥:¡3º:=20 (cid:8951) ③ 070 △ABP의 넓이는 점 P가 타원의 접선 중 직선 y=2x에 평행한 직선 위에 있을 때 최대이다. 타원 x¤ +4y¤ =4 위의 점 (x¡, y¡)에서의 접선의 방정 식은 x¡x+4y¡y=4, 즉 y=- x+ x¡ 4y¡ 1 y¡ △ABP의 밑변을 AB” 라 하면 점P 와 직선 AB 사이의 거리, 즉 높 이가 최대일 때 △ABP 의 넓이가 최대이다. 주어진 쌍곡선의 두 점 근선 y=— x는 서로 수직이므로 △AOB에 서 AO”를 밑변이라 하 면 높이는 BO”이다. 이 직선의 기울기가 2이므로 - =2(cid:100)(cid:100)∴ x¡=-8y¡ x¡ 4y¡ 이때 x¡¤ +4y¡¤ =4이므로 64y¡¤ +4y¡¤ =4,(cid:100)(cid:100)y¡¤ =;1¡7; ∴ y¡=— '∂17 17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cid:100)(cid:100)y=2x—'∂17 두 직선y=2x+' ∂17, y=2x 사이의 거리는 직선 y=2x 위의 한 점 (0, 0)과 직선y=2x+' ∂17, 즉 2x-y+'∂17=0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17| "√2¤ +(-1)¤ =Æ…:¡5¶: 두 직선 y=2x-'∂17, y=2x 사이의 거리도 Æ…:¡5¶:이 므로(cid:100)(cid:100)d=Æ…:¡5¶:(cid:100)(cid:100)∴ d¤ =:¡5¶: (cid:8951) :¡5¶: 071 타원 6x¤ +y¤ =6 위의 점 (x¡, y¡)에서의 접선 의 방정식은 6x¡x+y¡y=6 이 직선이 점 (1, 6)을 지나므로 6x¡+6y¡=6(cid:100)(cid:100)∴ y¡=1-x¡ 이때 6x¡¤ +y¡¤ =6이므로 6x¡¤ +(1-x¡)¤ =6,(cid:100)(cid:100)7x¡¤ -2x¡-5=0 (7x¡+5)(x¡-1)=0 ∴ x¡=-;7%; 또는 x¡=1 따라서 두 접점의 좌표는 {-;7%;, :¡7™:}, (1, 0)이므로 구하는 거리는 æ≠{-;7%;-1} æ≠{-;7%;-1} ¤ +{:¡7™:} ¤ +{:¡7™:} ¤ =æ≠{-:¡7™:} 12'2 ¤ = 7 ¤ +{:¡7™:} 본책 18쪽``…``19쪽 072 쌍곡선 - =1 위의 점 P(5, 3)에서의 x¤ 10 y¤ 6 접선의 방정식은 5x 10 3y 6 - =1, 즉 y=x-2 이므로 이 직선이 x축과 만나는 점은 A(2, 0)이다. 쌍곡선 - =1의 초점은 F(4, 0)이므로 △PAF 선 곡 면 평 Ⅰ x¤ 10 y¤ 6 의 넓이는 ;2!;¥2¥3=3 (cid:8951) ④ 073 쌍곡선 x¤ -y¤ =1 위의 점 (2, '3)에서의 접선 의 방정식은 2x-'3y=1 yy ㉠(cid:100)(cid:100) 쌍곡선의 점근선의 방정식은(cid:100)(cid:100)y=—x y=x를 ㉠에 대입하면 (cid:100)(cid:100)2x-'3x=1,(cid:100)(cid:100)(2-'3)x=1 ∴ x=2+'3 y=-x를 ㉠에 대입하면 (cid:100)(cid:100)2x+'3x=1,(cid:100)(cid:100)(2+'3)x=1 ∴ x=2-'3 따라서 두 점 A, B의 좌표는 (2+'3, 2+'3), (2-'3, -2+'3)이므로 △AOB의 넓이는 ;2!;¥AO”¥BO”=;2!;¥"√2(2+'3)¤ ¥"√2(2-'3)¤ =;2!;¥2¥(2+'3)¥(2-'3) =;2!;¥2¥1=1 (cid:8951) 1 074 타원 + =1 위의 점 P(x¡, y¡)에서의 x¤ 6 y¤ 3 접선의 방정식은 x¡x 6 y¡y 3 + =1, 즉 y=- x+ 이므로 접선의 기울기는(cid:100)(cid:100)- 3 y¡ x¡ 2y¡ x¡ 2y¡ 쌍곡선 -y¤ =1 위의 점 P(x¡, y¡)에서의 접선의 방 정식은 x¤ a¤ x¡x a¤ -y¡y=1, 즉 y= x- 1 y¡ x¡ a¤ y¡ x¡ a¤ y¡ 이므로 접선의 기울기는(cid:100)(cid:100) 두 직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 - =-1 x¡ a¤ y¡ x¡ 2y¡ ¤ =2a¤ (cid:100)(cid:100)∴ =—'2a (∵ a>0) 이때 점 P(x¡, y¡)은 제1사분면 위의 점이고 a>0이므 x¡ y¡ x¡ y¡ } { (cid:8951) ③ Ⅰ. 평면 곡선 17 x¡>0, y¡>0이므로 (cid:8951) ⑤ x¡ (cid:100) >0 y¡ x¡ 로(cid:100)(cid:100) ='2a y¡ ¤ E0429_일품기벡_정(006-032) 2015.4.29 2:43 PM 페이지18 SinsagoHitec 075 쌍곡선 9x¤ -5y¤ =45 위의 점 (x¡, y¡)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9x¡x-5y¡y=45, 즉 y= x- 9x¡ 5y¡ 9 y¡ 이 직선의 기울기가 3이므로 9x¡ 5y¡ =3(cid:100)(cid:100)∴ 3x¡=5y¡ 이때 9x¡¤ -5y¡¤ =45이므로 25y¡¤ -5y¡¤ =45,(cid:100)(cid:100)y¡¤ =;4(; ∴ y¡=—;2#; 의 좌표는 (0, 6), (0, -6) F, F'의 좌표는 ('∂14, 0), (-'∂14, 0) 이므로 구하는 사각형의 넓이는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y=3x—6이므로 두 점 A, B 또 쌍곡선 9x¤ -5y¤ =45, 즉 - =1의 두 초점 x¤ 5 y¤ 9 ;2!;¥{6-(-6)}¥{'∂14-(-'∂14)}=12'∂14 (cid:8951) ⑤ 076 점 P의 좌표를 (x¡, y¡)이라 하면 점 P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3x¡x-5y¡y=30, 즉 y= x- 3x¡ 5y¡ 6 y¡ 이 직선의 기울기가 1이므로 3x¡ 5y¡ =1(cid:100)(cid:100)∴ y¡=;5#;x¡ 이때 3x¡¤ -5y¡¤ =30이므로 3x¡¤ -5¥;2ª5;x¡¤ =30,(cid:100)(cid:100);5^;x¡¤ =30 x¡¤ =25(cid:100)(cid:100)∴ x¡=5 (∵ x¡>0) ∴ y¡=;5#;¥5=3 는 (2, 0)이다.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y=x-2이므로 점 Q의 좌표 이때 쌍곡선 3x¤ -5y¤ =30, 즉 - =1의 초점의 x¤ 10 y¤ 6 좌표는 F(4, 0), F'(-4, 0) 이므로(cid:100)(cid:100)F'Q”=6, QF”=2 또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가 2'∂10이므로 쌍곡선의 정의 에 의하여 PF'”-PF”=2'∂10 ∴ d¡-d™=(PF'”+F'Q”+PQ”) ∴ d¡-d™=-(PQ”+QF”+PF”) ∴ d¡-d™=(PF'”-PF”)+(F'Q”-QF”) ∴ d¡-d™=2'∂10+(6-2) ∴ d¡-d™=4+2'∂10 (cid:8951) 4+2'∂10 18 정답 및 풀이 쌍곡선 - =1의 x¤ a¤ y¤ b¤ 초점의 좌표는 (cid:100)(—"√a¤ +b¤ , 0) △APQ의 넓이는 ;2!;¥10¥5=25 077 쌍곡선 - =-1 위의 점 (x¡, y¡)에서의 x¤ 5 y¤ 6 접선의 방정식은 x¡x 5 - y¡y 6 =-1, 즉 y= x+ 6x¡ 5y¡ 6 y¡ 이 직선이 점 A(0, 1)을 지나므로 1= (cid:100)(cid:100)∴ y¡=6 6 y¡ y¡¤ 이때 - =-1이므로 6 x¡¤ 5 -6=-1,(cid:100)(cid:100)x¡¤ =25 x¡¤ 5 ∴ x¡=—5 따라서 두 점 P, Q의 좌표는 (5, 6), (-5, 6)이므로 078 dx dt dy dt =3t¤ , =2t+a이므로 dy dx = = 2t+a 3t¤ (t+0) dy 12dt dx 143dt t=1일 때 접선의 기울기가 -2이므로 2+a 3 =-2 ∴ a=-8 (cid:8951) ② (cid:8951) ② 079 dx dt =1+ , =1- 이므로 1 t¤ = t¤ -1 t¤ +1 1 t¤ dy dt 1- 1+ 1 13t¤ 1 13t¤ dy dx = dy 12dt dx 143dt = t=a일 때 접선의 기울기가 ;2!;이므로 =;2!;,(cid:100)(cid:100)2a¤ -2=a¤ +1 a¤ -1 a¤ +1 a¤ =3(cid:100)(cid:100)∴ a='3 (∵ a>0) 1 t¤ 1 t¤ x¤ =t¤ + -2, y¤ =t¤ + +2이므로 (cid:8951) '3 위의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y¤ =x¤ +4 2y =2x dy dx dy ∴ = dx = ;]{; t- t+ ;t!; ;t!; = t¤ -1 t¤ +1 080 dx dt dy =3t¤ +6t+3, =2t+2이므로 dt E0429_일품기벡_정(006-032) 2015.4.29 2:43 PM 페이지19 SinsagoHitec dy dx = = 2t+2 3t¤ +6t+3 dy 12dt dx 143dt = 2(t+1) 3(t+1)¤ = 2 3(t+1) (t+-1) x=3일 때,(cid:100)(cid:100)3=t‹ +3t¤ +3t+3 t(t¤ +3t+3)=0(cid:100)(cid:100)∴ t=0 t¤ +3t+3=0의 판별 식을 D라 하면 (cid:100)D=3¤ -4¥1¥3 =-3<0 t=0일 때 y=0이고 =;3@;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이므로 실근을 갖지 않 dy dx y=;3@;(x-3), 즉 y=;3@;x-2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y절편은 -2이다. 는다. dy dx =-4 (cid:8951) ② 081 곡선 x¤ -y¤ +2x-y=0과 직선 y=x+1의 교 점의 x좌표는 x¤ -(x+1)¤ +2x-(x+1)=0 ∴ x=-2 x=-2를 y=x+1에 대입하면(cid:100)(cid:100)y=-1 따라서 교점의 좌표는 (-2, -1)이다. x¤ -y¤ +2x-y=0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x-2y +2- =0 dy dx dy dx dy (2y+1) =2x+2 dx dy ∴ = dx 2x+2 2y+1 {y+-;2!;} 위의 식에 x=-2, y=-1을 대입하면 dy dx = -4+2 -2+1 =2 (cid:8951) ④ 082 x¤ -2xy+2y¤ -5=0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 분하면 dy 2x-2y-2x +4y =0 dx dy dx dy 2(x-2y) =2(x-y) dx dy ∴ = dx x-y x-2y (x+2y) 곡선 위의 점 (x¡, y¡)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2일 때, =2,(cid:100)(cid:100)x¡-y¡=2x¡-4y¡ x¡-y¡ x¡-2y¡ ∴ x¡=3y¡ 이때 x¡¤ -2x¡y¡+2y¡¤ -5=0이므로 9y¡¤ -6y¡¤ +2y¡¤ -5=0 5y¡¤ =5(cid:100)(cid:100)∴ y¡=—1 두 직선 l, m의 방정식은 y-1=2(x-3), 즉 2x-y-5=0 y+1=2(x+3), 즉 2x-y+5=0 즉 두 점A, B의 좌표는 (3, 1), (-3, -1)이므로 FQ”⊥l이고 직선 l의 기울기가 ;2!;이므로 직선 FQ의 기울기는 -2이다. (cid:8951) ② 선 곡 면 평 Ⅰ 본책 20쪽``…``21쪽 두 직선l, m 사이의 거리는 직선 2x-y-5=0 위의 점 (0, -5)와 직선2x-y+5=0 사이의 거리와 같으 므로 |5+5| "√2¤ +(-1)¤ =2'5 083 대하여 미분하면 ax¤ +bxy+x‹ 'y=3의 양변을 x에 dy 2ax+by+bx +3x¤ 'y+x‹ ¥ dx 1 2'y dy ¥ =0 dx 점 (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4이므로 2a+b-4b+3-2=0 ∴ 2a-3b=-1 yy ㉠(cid:100)(cid:100)● 40% 점 (1, 1)이 곡선ax¤ +bxy+x‹ 'y=3 위에 있으므로 a+b+1=3(cid:100)(cid:100)∴ a+b=2 yy ㉡(cid:100)(cid:100)● 30%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1 ∴ a¤ +b¤ =2 ● 30% (cid:8951) 2 ● 50% ● 10% (cid:8951) 9 084 y¤ =ax=4¥ x에서 준선의 방정식 ;4A; 은 x=- 이므로 점 P(4a, 2a)와 준선 사이의 거리는 ;4A; 4a+ =17,(cid:100)(cid:100):¡4¶:a=17(cid:100)(cid:100)∴ a=4 ● 40% 따라서 포물선의 방정식은 y¤ =4x이고, 이 포물선 위의 ;4A; 점 P(16, 8)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8y=2(x+16)(cid:100)(cid:100)∴ y=;4!;x+4 이 직선이 점 (4, b)를 지나므로 b=;4!;¥4+4=5 ∴ a+b=9 085 포물선 y¤ =4x와 직선y=x의 교점의 x좌표는 x¤ =4x,(cid:100)(cid:100)x(x-4)=0 ∴ x=4 (∵ x>0) 따라서 P(4, 4)이므로 포물선 y¤ =4x 위의 점 P(4, 4)에서의 접선 l의 방정식은 4y=2(x+4), 즉 y=;2!;x+2 이때 포물선 y¤ =4x의 초점은 F(1, 0)이고 직선 FQ 의 기울기는 -2이므로 직선 FQ의 방정식은 y=-2(x-1), 즉 y=-2x+2 직선 l과 직선 y=-2x+2의 교점 Q의 x좌표는 ;2!;x+2=-2x+2,(cid:100)(cid:100);2%;x=0 ∴ x=0 따라서 점 Q의 좌표는 (0, 2)이다. Ⅰ. 평면 곡선 19 E0429_일품기벡_정(006-032) 2015.4.29 2:43 PM 페이지20 SinsagoHitec ;2!;¥PQ”¥QR”=;2!;¥2'5¥ 2'5 3 =:¡3º: (cid:8951) ②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8p 또 직선 y=-2x+2와 직선 y=x의 교점 R의 x좌표는 -2x+2=x(cid:100)(cid:100)∴ x=;3@; 따라서 점 R의 좌표는 {;3@;, ;3@;}이다. 이때 PQ”="√(-4)¤ +(2-4)¤ =2'5, ¤ +{;3@;-2} QR”=æ≠{;3@;} ¤ = 2'5 3 이므로 직각삼각형 PQR의 넓이는 086 ㄱ. 포물선 y¤ =4px의 준선의 방정식은 x=-p ㄴ. 이므로 (cid:100)(cid:100)PF”=PH”=x¡-(-p)=x¡+p ㄴ. 점 P(x¡, y¡)에서의 접선 l의 방정식은 (cid:100)(cid:100)y¡y=2p(x+x¡), 즉 ㄴ. (cid:100)(cid:100)y= x+ 2p y¡ 2px¡ y¡ yy ㉠(cid:100)(cid:100) 이므로 직선 PQ의 기울기는(cid:100)(cid:100) 2p y¡ H(-p, y¡), F(p, 0)이므로 직선 HF의 기울기는 (cid:100)(cid:100) 0-y¡ p-(-p) =- y¡ 2p 두 직선PQ, HF의 기울기의 곱은 (cid:100)(cid:100) ¥{- }=-1 y¡ 2p 2p y¡ 이므로(cid:100)(cid:100)PQ”⊥HF” ㄷ. y=0을 ㉠에 대입하면 x=-x¡이므로 ㄷ. (cid:100)(cid:100)Q(-x¡, 0) (cid:100)(cid:100)∴ QF”=p-(-x¡)=x¡+p 087 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포물선 y¤ =16x 위의 점 (x¡, y¡)에 y¡y=8(x+x¡), 즉 y= x+ ● 20% 8 y¡ 8x¡ y¡ 이 직선이 점 (-2, 0)을 지나므로 8x¡ 0=- + (cid:100)(cid:100)∴ x¡=2 y¡ 16 y¡ 이때 y¡¤ =16x¡이므로 y¡¤ =16¥2=32 ∴ y¡=—4'2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y=—'2(x+2) 이므로 두 접선의 기울기의 곱은 (cid:100)(cid:100)'2¥(-'2)=-2 20 정답 및 풀이 088 포물선 y¤ =4px 위의 점 (x¡, y¡)에서의 접선 의 방정식은 y¡y=2p(x+x¡) 이 직선이 점 A(-2, 1)을 지나므로 y¡=2p(-2+x¡)(cid:100)(cid:100)∴ 2px¡=y¡+4p 이때 y¡¤ =4px¡이므로 y¡¤ =2(y¡+4p)(cid:100)(cid:100)∴ y¡¤ -2y¡-8p=0 이 이차방정식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을 a, b라 하면 근과 또 접선y¡y=2p(x+x¡) 의 기울기는 각각 , 이 2p a 2p b (cid:8951) ③ 점 P의 좌표를 (x¡, y¡)이라 하면 점 고 두 접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2p a 2p b ¥ =-1,(cid:100)(cid:100)4p¤ =-ab 4p¤ =8p,(cid:100)(cid:100)4p(p-2)=0 ∴ p=2(∵ p>0) 089 P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y=x+x¡ 이 직선이 점 (0, 2)를 지나므로 2y¡=x¡ 이때 y¡¤ =2x¡이므로 y¡¤ =4y¡,(cid:100)(cid:100)y¡(y¡-4)=0 ∴ y¡=4 (∵ y¡>0) ∴ x¡=2y¡=8 즉 점P의 좌표는 (8, 4)이고 점 P에서의 접선의 방정 ● 40% 식은 이는 y-4=-4(x-8), 즉 y=-4x+36 ● 40% 즉 C(9, 0)이므로 구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 CP”="√(8-9)¤ +4¤ ='∂17 ● 20% (cid:8951) '∂17 090 △PFA의 넓이는 점 P가 포물선의 접선 중 직 선 AF와 평행한 직선 위에 있을 때 최대이다. 포물선 y¤ =8x=4¥2x의 초점은 F(2, 0)이므로 AF”="√(2-6)¤ +(-2)¤ =2'5 점 P의 좌표를 (x¡, y¡)이라 하면 점 P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y=4(x+x¡), 즉 y= x+ 4 y¡ 4x¡ y¡ ● 40% ● 40% (cid:8951) -2 직선 AF의 기울기는 2-0 6-2 =;2!; 이 직선의 기울기가 ;2!;이므로 따라서 PF”=QF”이므로 △PQF는 이등변삼각형 4y=x+8, 즉 y=;4!;x+2 이다. 이상에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원의 접선은 그 접점을 지나는 반지름과 서로 수 (cid:8951) ⑤ 직이다. 정식은 따라서 직선 CP의 기울기는 -4이므로 직선 CP의 방 E0429_일품기벡_정(006-032) 2015.4.29 2:43 PM 페이지21 SinsagoHitec 4 y¡ =;2!;(cid:100)(cid:100)∴ y¡=8 이때 y¡¤ =8x¡이므로 64=8x¡(cid:100)(cid:100)∴ x¡=8 즉 점 P의 좌표는 (8, 8)이고 직선 AF의 방정식은 y=;2!;(x-2), 즉 x-2y-2=0 이므로 점 P(8, 8)과 직선 AF 사이의 거리는 |8-16-2| "√1¤ +(-2)¤ =2'5 따라서 구하는 넓이의 최댓값은 ;2!;¥2'5¥2'5=10 (cid:8951) ③ 091 타원 4x¤ +y¤ =4 위의 점 P(a, b)에서의 접선의 방정 식은 4ax+by=4 y=0일 때x= , x=0일 때 ;a!; y= 이므로 두 점 A, B의 좌표 ;b$; 는 A{;a!; , 0}, B{0, ;b$;} △OAP의 넓이는(cid:100)(cid:100);2!;¥ ¥b= ;a!; △OPB의 넓이는(cid:100)(cid:100);2!;¥ ¥a= ;b$; △OAP:△OPB=2:1에서 b 2a 2a b : =2:1 b 2a b 2a 2a b 4a b = (cid:100)(cid:100)∴ b¤ =8a¤ 이때 4a¤ +b¤ =4이므로 직선 y=x가 x축의 양 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는 45°이므로 (cid:100)∠AOB=∠AOC y 4 B b O P{a,`b} A 1 a x 4x@+y@=4 4a¤ +8a¤ =4,(cid:100)(cid:100)12a¤ =4(cid:100)(cid:100)∴ a¤ =;3!; 따라서 b¤ =8¥;3!;=;3*;이므로 a¤ +b¤ =3 (cid:8951) ③ △OAP:△OPB=2:1이므로 AP”:PB”=2:1 즉 점 P(a, b)는 AB”를 2:1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a= 2¥0+1¥ 2+1 ;a!; 에서 3a= (cid:100)(cid:100)∴ a¤ =;3!; ;a!; b= 2¥ +1¥0 ;b$; 2+1 에서 (cid:100)(cid:100)∴ b¤ =;3*; 3b= ;b*; ∴ a¤ +b¤ =3 두 양수a, b에 대하여 (cid:100) a+b 2 æ'∂ab, 즉 (cid:100)a+bæ2'∂ab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 선 곡 면 평 Ⅰ 본책 21쪽``…``22쪽 x¤ 092 직선 y=x와 타원 + =1의 교점 A의 x 12 y¤ 6 좌표는 x¤ 12 x¤ 6 + =1,(cid:100)(cid:100)x¤ =4 ∴ x=2 (∵ x>0) 따라서 타원 위의 점 A(2,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2x 12 2y 6 + =1, 즉 + =1 x 6 y 3 이므로(cid:100)(cid:100)B(6, 0), C(0, 3) 오른쪽 그림에서 직선 OA 는 ∠COB의 이등분선이므 로 △OBC에서 AB”:AC”=OB”:OC” =6:3 =2:1 1등급 |비|밀|노|트| 삼각형의 내각의 이등분선의 성질 △ABC에서 ∠A의 이등분선이 BC”와 만나는 점을 D라 하면 (cid:100)(cid:100)AB”:AC”=BD”:CD” y 3 C O y=x A B 6 x (cid:8951) ③ A B C D 093 P(x¡, y¡)이라 하면 점P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y=1, 즉 x¡x+4y¡y-4=0 x¡x 4 이므로 OH”= |-4| "√x¡¤ +(4y¡)¤ 이때 +y¡¤ =1이므로 x¡¤ 4 x¡¤ =4-4y¡¤ 직각삼각형 OPH에서 ¤ -OH” ¤ =OP” PH” = 4 "√x¡¤ +16y¡¤ yy ㉠(cid:100)(cid:100) =x¡¤ +y¡¤ - 16 x¡¤ +16y¡¤ =4-4y¡¤ +y¡¤ - 16 4-4y¡¤ +16y¡¤ (∵ ㉠) =4-3y¡¤ - 4 1+3y¡¤ =5-{1+3y¡¤ + …5-2æ≠(1+3y¡¤ )¥ } 4 1+3y¡¤ 4 1+3y¡¤ '3 3 =1 {단, 등호는 y¡= 일 때 성립} 따라서 PH”의 길이의 최댓값은 1이다. (cid:8951) ② Ⅰ. 평면 곡선 21 ¤ E0429_일품기벡_정(006-032) 2015.4.29 2:43 PM 페이지22 SinsagoHitec 094 y-2x=k (k는 상수)로 놓으면 직선 y-2x=k, 즉 y=2x+k가 주어진 타원과 접할 때 k는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갖는다. 타원 + =1 위의 점 (x¡, y¡)에서의 접선의 방정 x¤ 12 y¤ 8 식은 x¡x 12 y¡y 8 + =1, 즉 y=- x+ 2x¡ 3y¡ 8 y¡ 이 직선의 기울기가 2이므로 - =2(cid:100)(cid:100)∴ x¡=-3y¡ 2x¡ 3y¡ y¡¤ 이때 + =1이므로 8 x¡¤ 12 3y¡¤ 4 + =1,(cid:100)(cid:100)y¡¤ =;7*; y¡¤ 8 2'∂14 7 ∴ y¡=—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 6'∂14 7 , – 2'∂14 7 } (복호동순) 이므로 k의 최댓값 M과 최솟값 m은 -2¥{- M= 2'∂14 7 2'∂14 7 ∴ M-m=4'∂14 m=- -2¥ 6'∂14 7 6'∂14 7 }=2'∂14 =-2'∂14 타원 x¤ +2y¤ =8 위의 점 (a, b)에 095 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ax+2by=8 이 직선이 점 (-1, 4)를 지나므로 -a+8b=8(cid:100)(cid:100)∴ a=8b-8 ● 30% 이때 a¤ +2b¤ =8이므로 (8b-8)¤ +2b¤ =8,(cid:100)(cid:100)33b¤ -64b+28=0 (3b-2)(11b-14)=0(cid:100)(cid:100) ∴ b=;3@; 또는 b=;1!1$; ● 30% 그런데 접선 l의 기울기가 양수이므로 (cid:8951) ④ ● 30% ● 10% (cid:8951) -2 ab<0 b=;3@;일 때 ab<0이므로 a=8¥;3@;-8=-;3*; ∴ a+b=-2 x¤ a¤ +y¤ =1 22 정답 및 풀이 점 (x¡, y¡)은 직선 AC, 즉 y=-x+3 위 의 점이다. >0이므로 접선은 점 ;2B; 근선 y=-;2!;x와 수직 이다. 접선 ax+2by=8, 즉 x+ 의 기울 y=- ;b$; ;2Åb; 기가 양수이려면 (cid:100)- >0(cid:100)∴ ab<0 ;2Åb; △AFB와 △AF'B'에서 (cid:100)∠FBA=∠F'B'A =90°, (cid:100)∠FAB=∠F'AB' (맞꼭지각) 이므로 (cid:100)△AFBª△AF'B' 타원과 직선 AC의 접점의 좌표를 (x¡, y¡)이라 하면 점 (x¡, y¡)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x¡x a¤ +y¡y=1 이 직선이 점 A(0, 3)을 지나므로 3y¡=1(cid:100)(cid:100)∴ y¡=;3!; 이때 y¡=-x¡+3이므로 ;3!;=-x¡+3(cid:100)(cid:100)∴ x¡=;3*; 또 +y¡¤ =1이므로 x¡¤ a¤ +;9!;=1,(cid:100)(cid:100)64+a¤ =9a¤ 64 9a¤ a¤ =8(cid:100)(cid:100)∴ a=2'2 (∵ a>0) 따라서 구하는 장축의 길이는(cid:100)(cid:100)2¥2'2=4'2 (cid:8951) 4'2 타원 +y¤ =1은 직선 AB, 즉 y=x+3 x¤ a¤ 에 접하므로 y=x+3을 타원의 방정식에 대입하면 +(x+3)¤ =1 x¤ a¤ ∴ (a¤ +1)x¤ +6a¤ x+8a¤ =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4 =(3a¤ )¤ -(a¤ +1)¥8a¤ =0 a› -8a¤ =0,(cid:100)(cid:100)a¤ (a¤ -8)=0 a¤ =8 (∵ a>0)(cid:100)(cid:100)∴ a=2'2 (∵ a>0) 따라서 구하는 장축의 길이는(cid:100)(cid:100)2¥2'2=4'2 097 쌍곡선 2x¤ -8y¤ =a, 즉 - =1의 점근 x¤ ;2A; y¤ ;8A; 선의 방정식은 y=— x, 즉 y=—;2!;x æ;8A; æ;2A; 한편 쌍곡선 2x¤ -8y¤ =a 위의 점 {b, ;2!;}에서의 접선 의 방정식은 2bx-4y=a, 즉 y= x- ;2B; ;4A; 이므로 ¥{-;2!;}=-1에서(cid:100)(cid:100)b=4 ;2B; 이때 점 {4, ;2!;}은 쌍곡선 2x¤ -8y¤ =a 위의 점이므로 32-2=a(cid:100)(cid:100)∴ a=30 ∴ a+b=34 (cid:8951) ③ 096 주어진 타원의 단축의 길이가 2이므로 장축의 길이를 2a (a>0)라 하면 타원의 방정식은 098 △AFB:△AF'B'=1:9이므로 △AFBª△AF'B'(AA 닮음)이고 (AA 닮음) AF”:A’F'”=1:3 ● 20% E0429_일품기벡_정(006-032) 2015.4.29 2:43 PM 페이지23 SinsagoHitec 쌍곡선 - =1의 초점은 F(4, 0), x¤ 10 y¤ 6 F'(-4, 0)이므로(cid:100)(cid:100)F’F'”=8 따라서 AF”=8¥;4!;=2이므로 점 A의 좌표는 (2, 0) 이다. ● 30% 한편 점 P(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ax 10 by - =1 6 이직선이점A(2, 0)을지나므로 =1(cid:100)(cid:100)∴ a=5 ;5A; a¤ 10 b¤ 이때 - =1이므로 6 ;2%;- =1,(cid:100)(cid:100) =;2#; b¤ 6 b¤ 6 b¤ =9(cid:100)(cid:100)∴ b=3 (∵ b>0) ∴ a+b=8 099 의 최솟값은 기울기가 2인 쌍곡선의 접선과 직선 점 P와 직선 y=2x+3 사이의 거리 y=2x+3 사이의 거리와 같다. ● 20% 점 P(x¡, y¡)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2x¡x-y¡y=4, 즉 y= x- 2x¡ y¡ 4 y¡ 이 직선의 기울기가 2이므로 2x¡ y¡ =2(cid:100)(cid:100)∴ x¡=y¡ 이때 2x¡¤ -y¡¤ =4이므로 2x¡¤ -x¡¤ =4,(cid:100)(cid:100)x¡¤ =4 ∴ x¡=2 (∵ x¡>0) 으므로 |4-2+3| "√2¤ +(-1)¤ ='5 따라서 구하는 거리의 최솟값은 점 P(2, 2) 와 직선 y=2x+3, 즉 2x-y+3=0 사이의 거리와 같 ● 40% ● 10% (cid:8951) 8 ● 50% ● 30% (cid:8951) '5 선 곡 면 평 Ⅰ 본책 23쪽``…``24쪽 (cid:100)(cid:100)∴ a=5 (∵ b+0) 이때 2a¤ -5b¤ =10이므로 50-5b¤ =10,(cid:100)(cid:100)b¤ =8 (cid:100)(cid:100)∴ b=2'2 (∵ b>0) 따라서 점 P(5, 2'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2¥5x-5¥2'2y=10 (cid:100)(cid:100)∴ x-'2y=1 점 Q에서의 접선은 직선 ㉢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yy ㉣(cid:100)(cid:100) yy ㉢(cid:100)(cid:100) x+'2y=1 ㉢, ㉣을 연립하여 풀면(cid:100)(cid:100)x=1, y=0 따라서 두 접선의 교점의 좌표는 (1, 0)이다. (cid:8951) ⑤ 1등급 |비|밀|노|트| 원 위의 점(a, b) 에서의 접선과 수직이고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은 이 원의 중심을 지난다. 101 쌍곡선과 원의 접점 (x¡, y¡)에서의 접선의 방 정식은 x¡x-5y¡y=1, 즉 y= x- x¡ 5y¡ 1 5y¡ 이 직선과 두 점A(0, 3), (x¡, y¡) 을 지나는 직선은 =-1,(cid:100)(cid:100)y¡-3=-5y¡ 서로 수직이므로 x¡ 5y¡ ¥ y¡-3 x¡ 6y¡=3(cid:100)(cid:100)∴ y¡=;2!; 이때 x¡¤ -5y¡¤ =1이므로 x¡¤ -5¥;4!;=1,(cid:100)(cid:100)x¡¤ =;4(;(cid:100)(cid:100)∴ x¡=—;2#; 따라서 두 점 P, Q의 좌표는 P{;2#;, ;2!;}, Q{-;2#;, ;2!;} 이므로 두 점 P, Q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각각 ;2#;x-;2%;y=1, -;2#;x-;2%;y=1 ∴ 3x-5y=2, 3x+5y=-2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cid:100)(cid:100)x=0, y=-;5@; 즉 점 B의 좌표는 {0, -;5@;}이므로 (cid:8772)AQBP=2△ABP (cid:8772)AQBP=2¥{;2!;¥:¡5¶:¥;2#;}=;1%0!; (cid:8951) ;1%0!; 100 점 P의 좌표를 (a, b)라 하면 점P에서의 접선 의 방정식은 2ax-5by=10 2a ∴ y= x-;b@; 5b yy ㉠(cid:100)(cid:100) 두 점P, Q는 y축에 대 하여 대칭이므로 (cid:100)△AQB=△APB 점 P(a, b)를 지나고 직선 ㉠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5b y-b=- (x-a) 2a (cid:100)(cid:100)∴ y=- x+;2&;b 5b 2a 직선 ㉡은 원의 중심 (7, 0)을 지나므로 0=- 35b 2a +;2&;b,(cid:100)(cid:100) =b 5b a AB”=3-{-;5@;} =:¡5¶: 102 쌍곡선 x¤ -9y¤ =9 위의 점 (x¡, y¡)에서의 접 선의 방정식은 x¡x-9y¡y=9 yy ㉡(cid:100)(cid:100) 이 직선이 점 (1, 0)을 지나므로(cid:100)(cid:100)x¡=9 이때 x¡¤ -9y¡¤ =9이므로 81-9y¡¤ =9,(cid:100)(cid:100)y¡¤ =8(cid:100)(cid:100)∴ y¡=—2'2 즉 접선의 방정식은 Ⅰ. 평면 곡선 23 E0429_일품기벡_정(006-032) 2015.4.29 2:43 PM 페이지24 SinsagoHitec dy dx = = e† +3e3t+5e5t+y+(2n-1)e(2n-1)t e† +2e2t+3e3t+y+nent dy 12dt dx 143dt n ¡k=1 (2k-1) n(n+1) 2 -n =2¥ =n¤ 따라서 t=0일 때 접선의 기울기는 g(n)= 1+3+5+y+(2n-1) 1+2+3+y+n g(n)= = 2n n+1 n¤ n(n+1) 143112 2 9x-18'2y=9 또는 9x+18'2y=9 이므로 직선 l의 방정식은 9x-18'2y=9, 즉 x-2'2y-1=0 따라서 점(n, 0)과직선x-2'2y-1=0 사이의거리는 d«= |n-1| "√1¤ +(-2'2)¤ = |n-1| 3 d«æ4에서 |n-1| 3 æ4,(cid:100)(cid:100)|n-1|æ12 ∴ næ13 (∵ n은 2 이상의 자연수) 따라서 n의 최솟값은 13이다. (cid:8951) ③ 103 dx dt dy dt =1-e† , =1-cos t이므로 dy dx = = 1-cos t 1-e† (t+0) dy 12dt dx 143dt ∴ lim 0 t ⁄ ;t!; dy ¥ = dx lim 0 t ⁄ ;t!; ¥ = ¥ = ;t!; ;t!; lim 0 t ⁄ lim 0 t ⁄ ¥ 1-cos t 1-e† 1-cos¤ t t(1+cos t)(1-e† ) sin¤ t t¤ (1+cos t)¥ 1-e† 1431t ∴ ∴ ∴ ∴ 104 dx dt = 2 (t+1)¤ dy , = dt t¤ +2t+2 (t+1)¤ 이므로 dy dx = dy 12dt dx 143dt = t¤ +2t+2 12111 (t+1)¤ 2 14311(t+1)¤ = t¤ +2t+2 2 따라서 t=n일 때 접선의 기울기는 f(n)= n¤ +2n+2 2 ∴ f(n)= 8 ¡n=1 n¤ +2n+2 2 8 ¡n=1 8 ¡n=1 = {;2!;n¤ +n+1} 8¥9¥17 8¥9 6 2 =;2!;¥ + +8 =102+36+8 =146 =e† +2e2t+3e3t+y+nent, =e† +3e3t+5e5t+y+(2n-1)e(2n-1)t이므로 105 dx dt dy dt 24 정답 및 풀이 ¥ = ;t!; lim 0 t ⁄ sin¤ t t¤ ¥ 1 1+cos t ¥ t 1-e† ¥ =1¥;2!;¥(-1)=-;2!; ;t!; (cid:8951) -;2!; sin x x e≈ -1 x =1 =1 lim 0 x ⁄ lim 0 x ⁄ n ¡k=1 n ¡k=1 k= n(n+1) 2 k¤ = n(n+1)(2n+1) 6 (cid:8951) ④ g(n)=;5(;에서(cid:100)(cid:100) =;5(;,(cid:100)(cid:100)10n=9n+9 2n n+1 ∴ n=9 (cid:8951) ① 106 접선 l의 방정식은 y¡y=2p(x+x¡) 이므로 접선 l과 x축의 교 점을 B라 하면 B(-x¡, 0)(cid:100)(cid:100) ∴ BF”=x¡+p y A{x¡,`y¡} C l y=y¡ Ω 30æ B O F{p,`0} x x=-p y@=4px 주어진 포물선의 준선은 x=-p이므로 준선과 직선 y=y¡과의 교점을 C라 하면(cid:100)(cid:100)C(-p, y¡) 이때 y¡¤ =4px¡이므로 BC”="√(-p+x¡)¤ +y¡¤ ="√(-p+x¡)¤ +4px¡ ="√(x¡+p)¤ =x¡+p ∴ BF”=BC”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AC”=AF”이므로 △ABF™△ABC ∴ h=∠BAC=∠BAF=30° (cid:8951) ⑤ 준선은 x=-p이고, 점 A에서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C라 하면(cid:100)(cid:100)AC”=x¡+p AF”=AC”이므로(cid:100)(cid:100)AF”=x¡+p=BF” 따라서 △ABF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ABF=30° ∴ h=∠ABF=30° (엇각) △ABF와 △ABC에서 BF”=BC”, AF”=AC”, AB”는 공통 이므로 △ABF™△ABC (SSS 합동)이다. 이때 AF”=BF”=x¡+p이므로(cid:100)(cid:100)AC”=AF”=BF”=BC” 따라서 △ABF와 △ABC는 모두 이등변삼각형이다. {x+7}@+y@=1 Q 107 점 Q의 좌표를 (x¡, y¡)이라 하면 접선 l의 방정식은 y¡y=x+x¡, 즉 x-y¡y+x¡=0 C -7 P l y O x y@=2x 직선 l이 원(x+7)¤ +y¤ =1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C(-7, 0)과 직선 x-y¡y+x¡=0 사이의 거리는 원 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다. E0429_일품기벡_정(006-032) 2015.4.29 2:43 PM 페이지25 SinsagoHitec |-7+x¡| "√1¤ +(-y¡)¤ 이때 y¡¤ =2x¡이므로 =1,(cid:100)(cid:100)|x¡-7|="√1+y¡¤ |x¡-7|="√1+2x¡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x¡¤ -16x¡+48=0 (x¡-4)(x¡-12)=0 ∴ x¡=4 또는 x¡=12 따라서 점 Q의 좌표는 (4, 2'2)이므로 직각삼각형 CPQ에서 PQ” ¤ -CP” ¤ =CQ” ={(4+7)¤ +(2'2)¤ }-1¤ =128 x¡=4이면 y¡=—2'2, x¡=12이면 y¡=—2'6 이고 y¡y=x+x¡, 즉 y= x+ 에서 1 y¡ x¡ y¡ y¡=2'2일 때 기울기가 가장 크다. (cid:8951) 128 108 ㄱ. 점 P의 좌표를 (x¡, y¡)이라 하면 점 P에서 ㄴ. 의 접선l¡의 방정식은 ㄴ. (cid:100)(cid:100) + =1(cid:100)(cid:100)∴ m¡=- x¡x 16 y¡y 7 ㄴ. 점 P에서의 접선 l™의 방정식은 ㄴ. (cid:100)(cid:100)y¡y=2p(x+x¡)(cid:100)(cid:100)∴ m™= 7x¡ 16y¡ 2p y¡ ㄴ. 이때 y¡¤ =4px¡이므로 ㄴ. (cid:100)(cid:100)m¡m™=- ㄴ. (cid:100)(cid:100)m¡m™=- 7x¡ 16y¡ 2p y¡ ¥ =- 7px¡ 8y¡¤ 7px¡ 8¥4px¡ =-;3¶2; ㄴ. 즉 m¡m™의 값은p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다. ㄴ. 접선 l™의 방정식 y¡y=2p(x+x¡)에서 y=0일 때 x=-x¡이므로 점 B의 좌표는 (-x¡, 0)이다. ㄴ. 타원 + =1의 초점의 좌표는 x¤ 16 y¤ 7 ㄴ. (cid:100)(cid:100)(3, 0), (-3, 0) ㄴ. 이고 x¡>0이므로 ㄴ. (cid:100)(cid:100)-x¡=-3(cid:100)(cid:100)∴ x¡=3 ㄴ. x¡=3을 + =1에 대입하면 x¡¤ 16 y¡¤ 7 y¡¤ ㄴ. (cid:100)(cid:100);1ª6;+ =1,(cid:100)(cid:100)y¡¤ =;1$6(; 7 ㄴ. (cid:100)(cid:100)∴ y¡=;4&; (∵ y¡>0) ㄴ. (cid:100)(cid:100)∴ m¡=- =- =-;4#; 7x¡ 16y¡ 7¥3 16¥;4&; y¡y 7 x¡x 16 + ㄷ. 접선 l¡의 방정식 =1에서 y=0일 때 ㄷ. x= 이므로 점 A의 좌표는 { , 0}이다. 16 x¡ 16 x¡ ㄷ. (cid:100)(cid:100)∴ AB”= -(-x¡) 16 x¡ 16 ∴ AB”= +x¡æ2æ≠ x¡ 16 x¡ ¥x¡=8 선 곡 면 평 Ⅰ 본책 24쪽``…``25쪽 ㄷ. 이때 등호는 =x¡, 즉 x¡=4일 때 성립하지만 16 x¡ ㄷ. 08이다. 이상에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cid:8951) ⑤ 109 쌍곡선 3x¤ -y¤ =3 위의 점 P(a, b)에서의 접 선의 방정식은 3ax-by=3 ;a!; y=0일 때 x= 이므로 점 A의 좌표는 {;a!; , 0}이다. 또 쌍곡선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y=—'3x이므로 기울 기가 양수인 점근선 y='3x와 직선l 의 교점의 x좌 표는 3ax-'3bx=3,(cid:100)(cid:100)(3a-'3b)x=3 ∴ x= ∴ B{ 3 3a-'3b 3 , 3a-'3b 3'3 3a-'3b } S(a)=;2!;¥ 이때 3a¤ -b¤ =3이므로(cid:100)(cid:100)b="√3a¤ -3 (∵ b>0) 따라서 △OAB의 넓이는 3'3 3a-'3b '3 2a(a-"√a¤ -1) S(a)= S(a)= ;a!; ∴ ¥ lim ¶ a ⁄ '3 2a(a-"√a¤ -1) '3(a+"√a¤ -1) 2a{a¤ -(a¤ -1)} '3a+"√3a¤ -3 2a 3 14a¤ '3+æ≠3- 2 lim ¶ a ⁄ lim ¶ a ⁄ lim ¶ a ⁄ S(a)= S(a)= S(a)= lim ¶ a ⁄ S(a)='3 ∴ ∴ ∴ ∴ (cid:8951) ③ 110 타원 x¤ +3y¤ =12 위의 점 (x¡, y¡)에서의 접선 의 방정식은 x¡x+3y¡y=12 이 직선이 점 P(6, -2)를 지나므로 6x¡-6y¡=12(cid:100)(cid:100)∴ y¡=x¡-2 이때 x¡¤ +3y¡¤ =12이므로 x¡¤ +3(x¡-2)¤ =12,(cid:100)(cid:100)x¡¤ -3x¡=0 x¡(x¡-3)=0(cid:100)(cid:100)∴ x¡=0 또는 x¡=3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0, -2), (3, 1)이므로 접선의 +x¡에서 x¡>0이 y=-2 또는 x+y=4 므로 산술평균과 기하 평균의 관계가 성립한 직선 l이 y축과 만나는 점을 Q(0, k)라 하면 점Q에서 두 직선 y=-2, x+y=4에 이르는 거리가 서로 같으 16 x¡ 다. 방정식은 므로 Ⅰ. 평면 곡선 25 ¤ E0429_일품기벡_정(006-032) 2015.4.29 2:43 PM 페이지26 SinsagoHitec k+2= |k-4| "√1¤ +1¤ 4-k '2 k+2= (∵ -20) 라 하고 점 A에서 B’B'”에 내린 수선의 발을 C라 하면 AB”=AF”+BF”=5k, BC”=B’B'”-A’A'”=3k 직각삼각형 ACB에서 ¤ -BC” AC”=øπAB” 따라서 직선 l의 기울기는 (cid:100)(cid:100) BC” AC” 3k = =;4#; 4k 116 물선의 방정식은 포물선의 초점이 F(3, 0)이므로 포 y¤ =4¥3x, 즉 y¤ =12x ● 20% 점 P의 x좌표가 9이므로 x=9, y=y¡을 y¤ =12x에 대입하면 y¡¤ =12¥9=108(cid:100)(cid:100)∴ y¡=6'3 (∵ y¡>0) 따라서 두 점 P(9, 6'3), F(3, 0)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 6'3-0 9-3 (x-3)(cid:100)(cid:100)∴ x= +3 ● 30% y '3 x= +3을 y¤ =12x에 대입하면 y '3 y¤ =12{ +3},(cid:100)(cid:100)y¤ =4'3y+36 y '3 ∴ y¤ -4'3y-36=0 이 이차방정식의 두 근이 y¡, y™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y¡+y™=4'3 117 두 초점의 좌표를 F(c, 0), F'(-c, 0)(c>0) 이라 하면 직선 PF'의 기울기는 PF” FF'” PF” 2c = =;4#;(cid:100)(cid:100)∴ PF”=;2#;c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PF”+PF'”=2¥4=8이므로 PF'”=8-;2#;c 직각삼각형 PF'F에서 PF'” ¤ =FF'” ¤ +PF” ¤ 이므로 {8-;2#;c} ¤ =(2c)¤ +{;2#;c} ;4(;c¤ -24c+64=4c¤ +;4(;c¤ c¤ +6c-16=0,(cid:100)(cid:100)(c+8)(c-2)=0 ∴ c=2 (∵ c>0) 따라서 16-k=c¤ 에서(cid:100)(cid:100)k=16-2¤ =12 (cid:8951) ④ 타원 + =1의 초점의 좌표는 x¤ 36 y¤ 11 (5, 0), (-5, 0)이므로 두 점 A, B는 타원의 초점 118 이다. OH”=OF”+FH” =3+6=9 이므로 점 H의 x좌표와 점 P의 x좌표는 9이다. 두 삼각형의 높이가 같 으므로 두 삼각형의 넓 이의 비는 밑변의 길이 의 비와 같다. 119 두 초점의 좌표를 F(c, 0), F'(-c, 0)(c>0) 이라 하면 △APA'=3△FPF'에서(cid:100)(cid:100)A’A'”=3F’F'” 즉 2a=3¥2c에서(cid:100)(cid:100)a=3c yy ㉠(cid:100)(cid:100) 또 △FPF'의 둘레의 길이가 16이므로 PF”+P’F'”+F’F'”=2a+2c=16 ∴ a+c=8 yy ㉡(cid:100)(cid:100) ㉠, ㉡을 연립하여 풀면(cid:100)(cid:100)a=6, c=2 c¤ =a¤ -b¤ 에서 b¤ =6¤ -2¤ =32 ∴ a¤ +b¤ =6¤ +32=68 ● 30% ● 20% (cid:8951) 4'3 y¤ -4'3y-36=0에서 (y+2'3)(y-6'3)=0 (cid:100)∴ y=-2'3 또는 (cid:100) y=6'3 점 P에서 두 점C, O에 이르는 거리의 합이 일 정하다. 120 원(x+1)¤ +(y+2)¤ =9 의 중심을 C, 두 원의 접점을 T 라 하면 CP”+OP”=CP”+PT” =3 이므로 점 P의 자취는 두 점 C, O를 초점으로 하는 타원이다. 즉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2a=3이므로 (cid:8951) 68 T x y O -1 C P -2 2c=OC”="√(-1)¤ +(-2)¤ ='5이므로 a=;2#; c= '5 2 c¤ =a¤ -b¤ 에서(cid:100)(cid:100)b¤ =;4(;-;4%;=1 '5 ¤ +1+{ 2 ∴ a¤ +b¤ +c¤ ={;2#;} ¤ =;2(; } (cid:8951) ;2(; 121 하면 두 점P, Q의 x좌표를 각각 a, b라 P(a, a-2), Q(b, b-2) 이므로 선분 PQ의 중점R 의 좌표는 R{ a+b 2 , a+b 2 -2} ● 30% 직선 y=x-2와 타원 + =1의 교점 x¤ m y¤ n Ⅰ. 평면 곡선 27 ● 30% 의 x좌표는 ¤ E0429_일품기벡_정(006-032) 2015.4.29 2:43 PM 페이지28 SinsagoHitec x¤ m + (x-2)¤ n =1, 즉 (m+n)x¤ -4mx+4m-mn=0 16 x =x,(cid:100)(cid:100)x¤ =16(cid:100)(cid:100)∴ x=—4 (cid:100)(cid:100)∴ M(4, 4), N(-4, -4) 의 두 실근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 이때 주어진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는 MN”이므로 쌍곡 이차방정식 ax¤ +bx+c=0의 두 근 을 a, b라 하면 (cid:100)a+b=- , ab= ;aB; ;aC; 선의 정의에 의하여 |PF”-PF'”|=MN”="√(-4-4)¤ +(-4-√4)¤ |PF”-PF'”|=8'2 (cid:8951) 8'2 a+b 2 a+b 2 = 2m m+n , -2= -2n m+n 125 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2FF'”=PF”+PF'” PF”, FF'”, PF'”의 길이가 이 순서대 세 수 a, b, c가 이 순서 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면 ● 30% (cid:8951) '3 (cid:100)b= a+c 2 , 즉 (cid:100)2b=a+c 하여 a+b= 4m m+n (cid:100)(cid:100) -2n 12413m+n 2m 14213m+n n ∴ ='3 m 따라서 점 R의 좌표는(cid:100)(cid:100){ 2m m+n , -2n m+n } ● 40% 즉 직선 OR의 기울기는 =- =tan 120°=-'3 n m y¤ 122 쌍곡선 - =1의 초점의 좌표는 8 x¤ 4 (cid:100)(cid:100)(2'3, 0), (-2'3, 0) 이므로 이 초점을 공유하는 쌍곡선의 방정식을 x¤ a¤ y¤ b¤ - =1(a>0, b>0)이라 하면 a¤ +b¤ =(2'3)¤ =12 이때 점근선의 방정식이 y=— x이므로 ;aB; yy ㉠(cid:100)(cid:100) ;aB;=1(cid:100)(cid:100)∴ a=b a=b를 ㉠에 대입하면 a¤ +a¤ =12,(cid:100)(cid:100)a¤ =6(cid:100)(cid:100)∴ a='6 (∵ a>0) 따라서 구하는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는 2a=2'6 y¤ 123 쌍곡선 - =1의 초점의 좌표는 9 x¤ 16 A(-5, 0), B(5, 0)(cid:100)(cid:100)∴ AB”=10 PA”:PB”=3:1이므로 PA”=3k, PB”=k (k>0)라 하면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PA”-PB”=3k-k=2¥4(cid:100)(cid:100)∴ k=4 따라서 PA”=12, PB”=4이므로 △ABP의 둘레의 길 이는(cid:100)(cid:100)PA”+AB”+PB”=26 (cid:8951) 26 124 쌍곡선 y= 은 직선 16 x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초점을 F(c, c), F'(-c, -c) (c>0)라 하자. 16 쌍곡선 y= 과 직선 y=x x 의 두 교점을 각각 M, N이라 하면 y P M O y=x F y=16 x x N F' 28 정답 및 풀이 y¤ 쌍곡선 - =1의 초점은 20 x¤ 16 F(6, 0), F'(-6, 0) 이므로(cid:100)(cid:100)FF'”=12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 PF”+PF'”=24 yy ㉠(cid:100)(cid:100)● 30% PF'”-PF”=2¥4=8 yy ㉡(cid:100)(cid:100)● 20% ㉠, ㉡을 연립하여 풀면 (cid:100)(cid:100)PF”=8, PF'”=16 ● 30% ● 20% (cid:8951) 16 126 포물선 y¤ =4(x-2)는 포물선 y¤ =4x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이때 포물선 y¤ =4x의 초점의 좌표가 (1, 0)이고 준선 의 방정식이 x=-1이므로 포물선 y¤ =4(x-2)의 초 점은 C(3, 0)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x=1이다. 또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cid:100)(cid:100)AB”-1=AC”=5(cid:100)(cid:100)∴ AB”=6 따라서 점 A의 좌표는 (6, 4), 점 B의 좌표는 (0, 4) △ABC=;2!;¥6¥4=12 (cid:8951) 12 127 9(x-1)¤ +25(y-2)¤ =225에서 (x-1)¤ 25 + (y-2)¤ 9 =1 이 타원의 중심의 좌표가 (1, 2)이고 장축의 길이 가 10, 단축의 길이가 6이 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타원을 x축의 방향으로 y 2 O 1 -1 6 x -6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하면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타원이 된다. 따라서 a=-6, b=1이므로(cid:100)(cid:100)a+b=-5 (cid:8951) -5 128 ax¤ +y¤ +by=0에서 ax¤ +{y+ ;2B;} ¤ ={;2B;} (cid:8951) ② x=6을 y¤ =4(x-2)에 이므로 대입하면 (cid:100)y¤ =16 (cid:100)∴ y=4 (∵ y>0) ¤ E0429_일품기벡_정(006-032) 2015.4.29 2:43 PM 페이지29 SinsagoHitec x¤ ∴ + {y+;2B;} ;a!;{;2B;} {;2B;} =1 yy ㉠(cid:100)(cid:100) ㄱ. a>1이면 {;2B;} ¤ > ;a!;{;2B;} ¤ >0이므로 ㉠은 타원이고, ㄱ. 이 타원은 타원 x¤ y¤ + =1을 y축의 방향 ;a!;{;2B;} {;2B;} ㄱ. 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타원의 장축이 ;2B; ㄱ. y축 위에 놓인다. ㄱ. 따라서 두 초점도 y축 위에 놓인다. ㄴ. 00이므로 ㉠에서 ㄷ. a<0이면 - ;a!;{;2B;} (cid:100)(cid:100) x¤ {y+;2B;} - =-1 - ;a!; {;2B;} {;2B;} 따라서 주축의 길이가 2æ≠{;2B;} ¤ =b인 쌍곡선이다.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cid:8951) ③ 129 x¤ -6x+4y¤ +8y-3=0에서 (x-3)¤ +4(y+1)¤ =16 ∴ (x-3)¤ 16 + (y+1)¤ 4 =1 것이다. 므로 원 (x-3)¤ +(y+1)¤ =n¤ 의 중심이 타원의 중심과 일치하 나지 않는다. ¤ n=2 또는 n=4일 때, 서 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y 1 O -3 ‹ n=3일 때, 서로 다른 네 점에서 만난다. -1 3 7 x 이상에서 5 ¡n=1 f(n)=f(1)+f(2)+f(3)+f(4)+f(5) f(n)=0+2+4+2+0=8 (cid:8951) ① 1등급 |비|밀|노|트| 타원과 원의 중심이 일치할 때, 타원의 장축의 길이를 2a, 단축의 길이를 2b,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① r>a 또는 00) ∴ P(4, 4), Q(0, 2), S(1, 0), R(6, 0) 따라서 PR”="√(6-4)¤ +(-4)¤ =2'5, QS”="√1¤ +(-2)¤ ='5, PQ”="√(-4)¤ +(2-4)¤ =2'5 이므로 (cid:8772)PQSR의 넓이는 132 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포물선 y¤ =16x 위의 점 P(1, 4)에 4y=8(x+1), 즉 y=2x+2 Ⅰ. 평면 곡선 29 (cid:8772)PQSR는 PR”∥QS” 인 사다리꼴이다. ;2!;¥(2'5+'5)¥2'5=15 (cid:8951) 15 따라서 주어진 이차곡선은 타원 + =1을 x축의 x¤ 16 y¤ 4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점 P(x¡, y¡)은 포물선 y¤ =4x 위의 점이므로 (cid:100)y¡¤ =4x¡ (1, 0) ⁄ n=1 또는 n=5일 때, 만 -1 즉 RS”=x¡+1이므로(cid:100)(cid:100)x¡+1=5(cid:100)(cid:100)∴ x¡=4 ¤ ¤ ¤ ¤ ¤ ¤ ¤ ¤ E0429_일품기벡_정(006-032) 2015.4.29 2:43 PM 페이지30 SinsagoHitec 이므로 점 Q의 좌표는(cid:100)(cid:100)(-1, 0) ● 20% 포물선 y¤ =16x의 초점은 F(4, 0)이므로 PQ”="√(-1-1)¤ +(-4)¤ =2'5, QF”=4-(-1)=5, FP”="√(1-4)¤ +4¤ =5 이때 △PQF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PQF의 넓이는 ● 20% 점 (1, 1)은 타원 + =1 위의 점 y¤ b¤ x¤ a¤ 이다. x a¤ b¤ + =1, 즉 y=- x+b¤ yy ㉡(cid:100)(cid:100) a¤ y b¤ 두 직선 ㉠, ㉡이 서로 수직이므로 b¤ a¤ 1 이때 + =1이므로 b¤ 1 2a¤ ;2!;¥{- }=-1,(cid:100)(cid:100)∴ b¤ =2a¤ 1 a¤ 1 a¤ 3 + =1,(cid:100)(cid:100) =1(cid:100)(cid:100)∴ a¤ =;2#; 2a¤ 세 변의 길이가a, b, c 인 △ABC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r일 때, △ABC=;2!;r(a+b+c) 따라서 b¤ =2¥;2#;=3이므로 a¤ +b¤ =;2(; (cid:8951) ③ 136 타원 x¤ + =1과 포물선 y¤ =8x의 교점의 y¤ 3 x좌표는 ;2!;r(2'5+5+5)=;2!;¥5¥4 r(5+'5)=10 ∴ r= = 5-'5 2 10 5+'5 따라서 p=5, q=-1이므로 p¤ +q¤ =5¤ +(-1)¤ =26 ● 40% ● 20% (cid:8951) 26 ● 20% ● 30% ● 30% ● 20% (cid:8951) '∂10 점 A의 좌표를 (x¡, y¡)이라 하면 133 점 A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cid:100)(cid:100)y¡y=2(x+x¡) 이 직선이 점 P(-2, -1)을 지나므로 (cid:100)(cid:100)-y¡=2(-2+x¡) (cid:100)(cid:100)∴ x¡=-;2!;y¡+2 이때 y¡¤ =4x¡이므로 y¡¤ =4¥{-;2!; y¡+2},(cid:100)(cid:100)y¡¤ +2y¡-8=0 (y¡+4)(y¡-2)=0(cid:100)(cid:100)∴ y¡=2 (∵ y¡>0) x¡=-;2!;¥2+2=1이므로 A(1, 2) 한편 포물선 y¤ =4x의 준선의 방정식은 x=-1이므로 H(-1, 2) ∴ PH”="√(-1+2)¤ +(2+1≈)¤ ='∂10 134 점 P의 좌표를 (x¡, y¡)이라 하면 H(x¡, 0)이 므로(cid:100)(cid:100)OH”=x¡ 점 P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cid:100)(cid:100) + =1 x¡x 12 y¡y 3 12 y=0일 때 x= 이므로(cid:100)(cid:100)OQ”= x¡ 12 x¡ ∴ OH”¥OQ”=x¡¥ =12 (cid:8951) ② 12 x¡ 135 포물선 y¤ =x 위의 점 (1, 1)에서의 접선의 방 yy ㉠(cid:100)(cid:100) 타원 + =1 위의 점 (1, 1)에서의 접선의 방정 정식은(cid:100)(cid:100)y=;2!;(x+1) y¤ b¤ x¤ a¤ 식은 30 정답 및 풀이 y¤ =8¥;3!;=;3*;에서 2'6 3 (cid:100)y= (∵ y>0) 포물선 y¤ =8x=4¥2x의 준선 l의 방정식은 x=-2이 고, 점 P에서의 포물선의 접선의 방정식은 x¤ +;3*;x=1,(cid:100)(cid:100)3x¤ +8x-3=0 (x+3)(3x-1)=0 ∴ x=;3!; (∵ x>0) ∴ P{;3!;, 2'6 3 } 2'6 3 y=4{x+;3!;} x=-2일 때, 2'6 3 y=-:™3º:(cid:100)(cid:100)∴ y=- 5'6 3 ∴ A{-2, - 5'6 3 } 점 P에서의 타원의 접선의 방정식은 ;3!;x+ 2'6 9 y=1 x=-2일 때, 2'6 9 y=;3%;(cid:100)(cid:100)∴ y= 5'6 4 ∴ B{-2, ∴ AB”= } 5'6 4 5'6 4 -{- 5'6 3 }= 35'6 12 따라서 p=12, q=35이므로 p+q=47 (cid:8951) 47 137 직선 AC와 타원이 제`2 사분면에서 접하는 점의 좌표를 (x¡, y¡)이라 하면 직선 AC의 방정식은 x¡x 9 + y¡y 5 =1 이 직선이 점 A(-5, 0)을 지나므로 -;9%;x¡=1(cid:100)(cid:100)∴ x¡=-;5(; E0429_일품기벡_정(006-032) 2015.4.29 2:43 PM 페이지31 SinsagoHitec y¡¤ 이때 + =1이므로 5 x¡¤ 9 ;2*5!; 9 y¡¤ 5 + =1,(cid:100)(cid:100) =;2!5^; y¡¤ =:¡5§:(cid:100)(cid:100)∴ y¡= (∵ y¡>0) y¡¤ 5 4'5 5 따라서 직선 AC의 방정식은 4'5 25 -;5!;x+ y=1 x=3일 때, y=1,(cid:100)(cid:100) 4'5 25 y=;5*; -;5#;+ 4'5 25 ∴ y=2'5 따라서 점 C의 좌표는 (3, 2'5)이고, 점 B는 점 C와 x축에대하여대칭이므로점B의좌표는(3, -2'5)이다. (cid:8951) ④ ∴ BC”=2'5-(-2'5)=4'5 직선 y=2x-4'2를 x 축의 방향으로 k만큼 평행이동하면 (cid:100)y=2(x-k)-4'2 =2x-2k-4'2 이때 -2k-4'2<0이 므로 y=2x와 일치하 는 양수k의 값은 존재 2¥3+1¥(-3) 2+1 { , 0}, 즉 (1, 0) 138 쌍곡선 - =1의 초점은 F(3, 0), x¤ 5 y¤ 4 F'(-3, 0)이고, 점 Q가 선분 F'F를 2:1로 내분하 하지 않는다. 므로 점 Q의 좌표는 (1, 0)이다. 쌍곡선 - =1 위의 점 P(a, b)에서의 접선의 x¤ 5 y¤ 4 방정식은 ax 5 by - =1 4 이 직선이 점 Q(1, 0)을 지나므로 =1(cid:100)(cid:100)∴ a=5 b¤ 이때 - =1이므로 4 ;5A; a¤ 5 b¤ 4 ∴ a+b=9 5- =1,(cid:100)(cid:100)b¤ =16(cid:100)(cid:100)∴ b=4 (∵ b>0) (cid:8951) 9 139 y¤ 쌍곡선 - =1 위의 점 2 x¤ 6 P(3,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1 ;2}; :£6”: (cid:100)(cid:100)∴ x-y=2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yy ㉠(cid:100)(cid:100)● 20% '3 y=— x, 즉 y=— x yy ㉡(cid:100)(cid:100)● 20% 3 '2 '6 ㉠, ㉡에서 두 교점 A, B의 x좌표는 '3 3 '3 3 x- x=2에서(cid:100)(cid:100)x= x+ x=2에서(cid:100)(cid:100)x= 즉 두 점 A, B의 좌표는 6 3-'3 6 3+'3 =3+'3 =3-'3 A(3+'3, 1+'3), B(3-'3, 1-'3) ● 40% 본책 29쪽``…``30쪽 따라서 선분 AB의 길이는 AB”="√{3-'3-(3+'3)√}¤ +{1-'3-(1√+'3)}¤ AB”="√(-2'3)¤ +(-√2'3)¤ =2'6 ● 20% (cid:8951) 2'6 선 곡 면 평 Ⅰ 140 쌍곡선 4x¤ -9y¤ =36 위의 점 (x¡, y¡)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4x¡x-9y¡y=36, 즉 y= x- 4x¡ 9y¡ 4 y¡ 이 접선의 기울기가 2이므로 4x¡ 9y¡ =2(cid:100)(cid:100)∴ 2x¡=9y¡ 이때 4x¡¤ -9y¡¤ =36이므로 81y¡¤ -9y¡¤ =36,(cid:100)(cid:100)y¡¤ =;2!; ∴ y¡=— '2 2 즉 접선의 방정식은 y=2x—4'2 k>0이므로 직선 y=2x+4'2를 x축의 방향으로 k만 큼 평행이동하면 직선 y=2x와 일치한다. 따라서 y=2(x-k)+4'2=2x-2k+4'2에서 -2k+4'2=0(cid:100)(cid:100)∴ k=2'2 (cid:8951) ② 141 ㄱ. 쌍곡선 2x¤ -y¤ =4, 즉 - =1의 초 x¤ 2 y¤ 4 ㄱ. 점의 좌표는 ㄴ. (cid:100)(cid:100)('6, 0), (-'6, 0) ㄴ. 쌍곡선 2x¤ -y¤ =4 위의 점 (x¡, y¡)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ㄴ. (cid:100)(cid:100)2x¡x-y¡y=4, 즉 y= x- 2x¡ y¡ ㄴ. 이 직선의 기울기가 '6이므로 '6 2 ㄴ. (cid:100)(cid:100) ='6(cid:100)(cid:100)∴ x¡= y¡ 2x¡ y¡ 4 y¡ ㄴ. 이때 2x¡¤ -y¡¤ =4이므로 ㄴ. (cid:100)(cid:100)3y¡¤ -y¡¤ =4,(cid:100)(cid:100)y¡¤ =2(cid:100)(cid:100)∴ y¡=—'2 ㄴ.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ㄴ. (cid:100)(cid:100)y='6x—2'2 ㄴ. 이므로 접선의 y절편은 —2'2이다. ㄷ. 기울기가 1인 접선의 방정식을 y=x+k라 하면 2x¤ -(x+k)¤ =4에서 (cid:100)(cid:100)x¤ -2kx-k¤ -4=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cid:100)(cid:100);;4 D;;=k¤ +k¤ +4=0(cid:100)(cid:100)∴ k¤ =-2 이를 만족시키는 실수 k의 값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기울기가 1인 접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cid:8951) ③ Ⅰ. 평면 곡선 31 E0429_일품기벡_정(006-032) 2015.4.29 2:43 PM 페이지32 SinsagoHitec ㄴ. (cid:100)(cid:100)∴ y= ¥st+;2!;s=;2!;(s+t) ;2¡s; ㄴ. 따라서 점 R의 y좌표가 ;2!;(s+t)이므로 점 R는 선 ㄴ. 분 PQ의 중점이다. ㄷ. 포물선 y¤ =x=4¥;4!;x의 초점의 좌표는 점 R는 두 직선 l, m 의 교점을 지나고 x축 에 평행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교점과 y좌표 가 같다. ㄴ. {;4!;, 0}이고, 직선 PQ의 방정식은 ㄴ. (cid:100)(cid:100)y-s= (x-s¤ ), 즉 s-t s¤ -t¤ 1 s+t ㄴ. (cid:100)(cid:100)y= (x-s¤ )+s ㄴ. x=;4!;을 위의 식에 대입하면 1 s+t {;4!;-s¤ }+s ㄴ. (cid:100)(cid:100)y= ㄴ. ㄱ에서 st=-;4!;이므로 1 s+t ㄴ. (cid:100)(cid:100)y= (-st-s¤ )+s= -s(s+t) s+t +s ㄴ. (cid:100)(cid:100)y=-s+s=0 ㄴ. 따라서 직선 PQ는 포물선의 초점 {;4!;, 0}을 지난다.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cid:8951) ④ 144 길이를 구한다. 주어진 타원의 성질을 이용하여 F'Q”의 오른쪽 그림과 같 y l 이 직선l과 선분 FQ의 교점 을 M이라 하고, 두 직선 PF, PF'이 직선l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각각 a, b라 하면 주 어진 타원의 성질에 의하여 Q M P å ∫ F' O F x x@ 25 + y@ 9 =1 a=b이고 △PFM™△PQM이므로 ∠QPM=b이다. 따라서 세 점 F', P, Q는 한 직선 위에 있다.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PF'”+PF”=2¥5=10 PF”=PQ”이므로(cid:100)(cid:100)PF'”+PQ”=10 ∴ F'Q”=10 따라서 점 Q가 나타내는 도형은 점 F'을 중심 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10인 원이므로 구하는 도형 의 둘레의 길이는 20p이다. (cid:8951) 20p ㄷ. 쌍곡선 위의 점 (x¡, y¡)에서의 접선의 4 ㄷ. 방정식이 y= x- 이고 이 직선의 기울기가 y¡ 2x¡ y¡ ㄷ. 1이면 ㄷ. (cid:100)(cid:100) =1(cid:100)(cid:100)∴ 2x¡=y¡ 2x¡ y¡ ㄷ. 이때 2x¡¤ -y¡¤ =4이므로 ㄷ. (cid:100)(cid:100)2x¡¤ -4x¡¤ =4(cid:100)(cid:100)∴ x¡¤ =-2 ㄷ. 따라서 실수 x¡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기울기 가 1인 접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142 임을 이용하여 점 C의 좌표를 구한다. 직선 CF와 쌍곡선의 점근선이 서로 수직 쌍곡선 - =1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 4 y¤ 16 y=—;2$;x, 즉 y=—2x 이때 직선 CF는 직선y=2x와 서로 수직이 므로 직선 CF의 기울기는 -;2!;이고, 초점 F의 좌표는 (2'5, 0)이므로 직선 CF의 방정식은 y=-;2!;(x-2'5), 즉 y=-;2!;x+'5 즉 점 C의 좌표는 (0, '5)이므로 OP”=OC”='5 △PF'F에서 F'F”의 중점이 O이므로 PF'”=a, PF”=b 라 하면 a¤ +b¤ =2{('5)¤ +(2'5)¤ }=50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a-b=2¥2=4 143 이용하여 두 직선 l, m의 교점과 점 R의 좌표를 구한다. 포물선 위의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ㄱ. 점 P(s¤ , s)에서의 접선 l의 방정식은 ㄱ. (cid:100)(cid:100)sy=;2!;(x+s¤ ), 즉 y= x+;2!;s ㄱ. 점 Q(t¤ , t)에서의 접선 m의 방정식은 ;2¡s; ㄱ. (cid:100)(cid:100)ty=;2!;(x+t¤ ), 즉 y= ㄱ. l⊥m이므로 x+;2!;t ;2¡t; ㄱ. (cid:100)(cid:100) ¥ ;2¡t; =-1(cid:100)(cid:100)∴ st=-;4!; ;2¡s; ㄴ. 두 직선l, m의 교점의 x좌표는 ㄴ. (cid:100)(cid:100) x+;2!;s= x+;2!;t ;2¡t; ㄴ. (cid:100)(cid:100) x=;2!;(t-s)(cid:100)(cid:100)∴ x=st ;2¡s; t-s 2st 32 정답 및 풀이 △ABC에서 BC”의 중점 을 M이라 할 때, (cid:100)AB” ¤ +AC” =2(AM” ¤ +BM” ¤ ) A 따라서 a¤ +b¤ =(a-b)¤ +2ab에서 50=16+2ab(cid:100)(cid:100)∴ ab=17 ∴ PF”¥PF'”=17 B M C (cid:8951) 17 ¤ E0429_일품기벡_정(033-057) 2015.4.29 2:44 PM 페이지33 SinsagoHitec Ⅱ 평면벡터 03 벡터의 연산 145 △ABC는 한 변의 길이 가 2인 정삼각형이므로 AD”=BE”=CF” '3 AD”= ¥2='3 2 따라서 크기가 '3인 벡터는 (cid:100)(cid:100)AD≥, D’A≥, BE≥, EB≥, CF≥, FC≥ B 의 6개이다. 본책 32쪽 F E A D 146 AC”="√6¤ +8¤ =10이고, 점 M은 직각삼각형 ABC의 외심이므로 |B’M≥|=;2!;AC”=;2!;¥10=5 147 a¯와 시점은 다르지만 서로 같은 벡터는 오른쪽 그림 과 같이11개이다. ∴ m=11 또 b¯와 크기는 같으나 방향이 반 대인 벡터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5개이다. ∴ n=5 ∴ m+n=16 C (cid:8951) 6 (cid:8951) 5 (cid:8951) 16 148 ㄱ. OC≥=-O’A≥=-a¯ ㄴ. AD≥=OD≥-OA≥=-OB≥-O’A≥=-b¯-a¯ ㄷ. CD≥=OD≥-OC≥=-OB≥-(-OA≥)=-b¯+a¯ 이상에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cid:8951) ⑤ 149 a¯+b¯-c¯는 오른쪽 그 림과 같으므로 a b |a¯+b¯-c¯|=2 a b+ - c (cid:8951) ② c- 150 2x¯-3y¯=a¯ x¯-2y¯=b¯ yy ㉠(cid:100)(cid:100) yy ㉡(cid:100)(cid:100) yy ㉢(cid:100)(cid:100) ㉠-㉡_2를 하면(cid:100)(cid:100)y¯=a¯-2b¯ ㉢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cid:100)(cid:100)x¯=2a¯-3b¯ ∴ x¯+2y¯=2a¯-3b¯+2(a¯-2b¯)=4a¯-7b¯ (cid:8951) ④ 151 x¯+3y¯=-a¯+8b¯ 2x¯-y¯=5a¯-5b¯ yy ㉠(cid:100)(cid:100) yy ㉡(cid:100)(cid:100) ㉠_2-㉡을 하면(cid:100)7y¯=-7a¯+21b¯ ∴ y¯=-a¯+3b¯ yy ㉢(cid:100)(cid:100) 본책 30쪽``…``33쪽 ㉢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cid:100)(cid:100)x¯=2a¯-b¯ ∴ x¯+y¯=2a¯-b¯+(-a¯+3b¯)=a¯+2b¯ 오른쪽 그림에서 a¯+2b¯=OC≥이고 한 변의 길 이가 1인 정삼각형의 높이는 '3 2 이므로 |x¯+y¯|=2¥ ='3 '3 2 C B b2 O a A (cid:8951) ② 한 변의 길이가a 인 정삼 각형의 높이는 a이다. '3 2 152 2(2a¯-x¯)-3(b¯-a¯)=-x¯에서 4a¯-2x¯-3b¯+3a¯=-x¯(cid:100)(cid:100)∴ x¯=7a¯-3b¯ 따라서 m=7, n=-3이므로(cid:100)(cid:100)m+n=4 (cid:8951) 4 터 벡 면 평 Ⅱ 직각삼각형의 외심은 빗변 의 중점과 일치한다. 153 AB≥+aBC≥=bAB≥+5AC≥ =bAB≥+5(AB≥+BC≥) =(b+5)AB≥+5BC≥ 세 점A, B, C 가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으므 로 두 벡터 AB≥, BC≥는 평행하지 않다. 두 벡터 AB≥, BC≥는 서로 평행하지 않으므로 1=b+5, a=5(cid:100)(cid:100)∴ a=5, b=-4 ∴ a-b=9 (cid:8951) 9 154 p¯+q¯=0¯에서 la¯+mb¯+(-4a¯+nb¯)=0¯ ∴ (l-4)a¯+(m+n)b¯=0¯ 두 벡터 a¯, b¯가 서로 평행하지 않으므로 (cid:100)(cid:100)l-4=0, m+n=0 ∴ l=4, m=-n 또 두 벡터 q¯, r¯가 서로 평행하므로 (cid:100)(cid:100)q¯=kr¯ (k+0) 라 하면 -4a¯+nb¯=k(na¯-2b¯)이므로 -4=kn, n=-2k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yy ㉠(cid:100)(cid:100) n=-2k를 -4=kn에 대입하면 (cid:100)-4=-2k¤ , k¤ =2 (cid:100)∴ k=—'2 k=—'2, n=–2'2 (복호동순) yy ㉡(cid:100)(cid:100) ㉠, ㉡에서 l=4, m=—2'2, n=–2'2 (복호동순) ∴ l¤ +m¤ +n¤ =16+8+8=32 (cid:8951) 32 155 세 점 P, Q, R가 한 직선 위에 있으려면 PR≥=mPQ≥ (m+0) 가 성립해야 한다. 이때 PR≥=OR≥-OP≥=(kp¯+4q¯)-p¯=(k-1)p¯+4q¯, PQ≥=OQ≥-OP≥=q¯-p¯ 이므로 (k-1)p¯+4q¯=m(q¯-p¯) ∴ (k-1)p¯+4q¯=-mp¯+mq¯ 두 벡터 p¯, q¯가 서로 평행하지 않으므로 k-1=-m, 4=m ∴ k=-3 (cid:8951) ③ Ⅱ. 평면벡터 33 E0429_일품기벡_정(033-057) 2015.4.29 2:45 PM 페이지34 SinsagoHitec 156 단위벡터는 AB≥, BA≥, BC≥, CB≥, CD≥, DC≥ 의 6개이므로(cid:100)(cid:100)m=6 크기가 2인 벡터는 AD≥, BE≥, CF≥, D’A≥, EB≥, FC≥ 의 6개이므로(cid:100)(cid:100)n=6 ∴ m+n=12 AB≥=ED≥, BA≥=DE≥, BC≥=FE≥, CB≥=EF≥, CD≥=AF≥, DC≥=FA≥ (cid:8951) 12 ㄷ. △ABC가 정삼각형이면 정 삼각형의 외접원의 중심은 무게중심과 같으므로 BC”의 중점을 M이라 하면 (cid:100)(cid:100)|AB≥+AC≥|=2|A’M≥| A O M B C (cid:100)(cid:100)|AB≥+AC≥|=2¥;2#;|A’O≥|=|3AO≥|=3 이상에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cid:8951) ⑤ 157 x¯=kAB≥(k<0)인 벡터 x¯는 벡터AB≥와 방향 이 반대인 벡터이다. 이때 세 선분 BA, CG, DF는 서로 평행하므로 벡터 AB≥와 방향이 반대인 벡터는 B’A≥, CG≥, DF≥ 따라서 구하는 원소의 개수는 3이다. (cid:8951) ③ 158 3AB≥-2BC≥+2AC≥ =3AB≥-2(AC≥-AB≥)+2AC≥ =3AB≥-2AC≥+2AB≥+2AC≥ =5AB≥ ∴ |3AB≥-2BC≥+2AC≥| =|5AB≥|=5¥1=5 159 점 A에서 OP”에 내 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OP”=øπ2¤ +(2'3)¤ =4이므 로 △OAP에서 (cid:100)(cid:100);2!;¥2¥2'3=;2!;¥4¥AH” ∴ AH”='3 (cid:8951) ④ O A a 2Â3 2 P 4 H B b 이때 △AHO에서 OH”=øπ(2'3 )¤ -('3 )¤ =3이므로 (cid:100)(cid:100)|OP≥|:|OH≥|=4:3 ∴ OP≥= OH≥=;3$;¥;2!;(a¯+b¯)=;3@;(a¯+b¯) 4 3 △OAP에서(cid:100)(cid:100)OA” (2'3)¤ =OH”¥4(cid:100)(cid:100)∴ OH”=3 ¤ =OH”¥ OP” 160 ㄱ.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 위의 임의의 점 A에 대하 여 O’A≥+OB≥=OC≥를 만족 A 시키는 두 점 B, C가 항상 존재한다. 의 지름이므로 오른쪽 그림에 서 (cid:100)(cid:100)|AB≥+AC≥|=2|AO≥| O O ㄴ. ∠BAC=90°이면 BC”는 원 O B =2 C A 34 정답 및 풀이 △OAB는 OA”=OB”인 (cid:8951) ⑤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점 H는 AB”의 중점이다. (cid:100)∴ OA≥+OB≥=2OH≥ 점 O는 △ACE의 무 게중심이므로 (cid:100)AO”=;3@;AM” (cid:100)∴ AM”=;2#;AO” C B (cid:100)(cid:100)k=;3%; B Q O 2 30æ C A P 161 와 OB”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점 C에서 O’A” P, Q라 하면 OC≥=OP≥+OQ≥ ● 30% ∠AOC=30°, OC”=2이므로 (cid:100)(cid:100)OP”=OC” cos 30°='3, OQ”=CP”=OC” sin 30°=1 즉 OP≥= a¯, OQ≥=;2!; b¯이므로 '3 2 '3 (cid:100)(cid:100)OC≥= a¯+;2!;b¯ 2 '3 따라서 m= , n=;2!; 이므로 2 (cid:100)(cid:100)m¤ +n¤ =1 162 과 같이 정육각형의 세 대각선 오른쪽 그림 AD, BE, CF의 교점을 O라 하 B A F O E 면 (cid:8772)ABOF는 평행사변형이므 로(cid:100)(cid:100)AB≥+AF≥=AO≥ ● 30% M D C ∴ AB≥+2AD≥+AF≥=(AB≥+AF≥)+2AD≥ =AO≥+2AD≥ =AO≥+4AO≥ =5AO≥ 또 CE”의 중점을 M이라 하면 AC≥+AE≥=2A’M≥=2¥;2#;AO≥=3AO≥ 따라서 5AO≥=k¥3AO≥에서 ● 20% ● 30% ● 20% (cid:8951) 1 ● 30% ● 30% ● 10% (cid:8951) ;3%; 163 두 점P, Q 는 직선 AB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PQ”의 중 점을 M이라 하면 점 M은 항상 직선 AB 위에 있다. P C¡ 이때 |AP≥+AQ≥|=2|A’M≥|이 므로 |AP≥+AQ≥|의 값이 최대 C 가 되려면 AM”의 길이가 최대이어야 한다. M' Q C™ C£ B A E0429_일품기벡_정(033-057) 2015.4.29 2:45 PM 페이지35 SinsagoHitec m+n=-;3!; (cid:8951) -;3!; (cid:100) = H’ ’D≥ 이므로 직선 PQ가 두 원 C¡, C™에 모두 접할 때, 직선 PQ와 직선 AB가 만나는 점을 M'이라 하면 BM'”의 길이는 두 원 C¡, C™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다. 한편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 C¡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r+'2r=1 1 '2+1 ∴ r= ='2-1 즉 BM'”=r='2-1이고 r 1 C¡ 45æ AM”…AM'”=2('2-1)+;2!;=2'2-;2#; 이므로 AM”의 길이의 최댓값은 2'2-;2#;이다. 따라서 2|A’M≥|, 즉 |AP≥+AQ≥|의 최댓값은 2{2'2-;2#;}=4'2-3 (cid:8951) ① 164 PQ≥=;3!; DC≥=;3!;(AC≥-AD≥) 164 PQ≥=;3!;(b¯-2a¯)=-;3@;a¯+;3!;b¯ 따라서 m=-;3@;, n=;3!;이므로 165 ㄱ. PA≥+PB≥+PC≥+PD≥=AD≥에서 (cid:100)(cid:100)PA≥+PB≥+PC≥+PD≥=PD≥-PA≥ (cid:100)(cid:100)∴ 2 PA≥+PB≥+PC≥=0¯ ㄴ. 2 PA≥+PB≥+PC≥=0¯에서 (cid:100)(cid:100)2(BA≥-BP≥)+PB≥+(BC≥-BP≥)=0¯ (cid:100)(cid:100)2BA≥+2PB≥+PB≥+BC≥+PB≥=0¯ (cid:100)(cid:100)4PB≥=-2BA≥-BC≥ (cid:100)(cid:100)∴ PB≥=;2!; AB≥-;4!; BC≥=;2!; a¯-;4!; b¯ ㄷ. BC≥=b¯에서 PC≥-PB≥=b¯이므로 166 PA≥+2PB≥+PC≥+2PD≥ =-AP≥+2(AB≥-AP≥)+(AC≥-AP≥) +2(AD≥-AP≥) =2AB≥+AC≥+2AD≥-6AP≥ =2(AB≥+AD≥)+AC≥-6AP≥ =3AC≥-6AP≥ 이므로(cid:100)(cid:100)3AC≥-6AP≥=kAC≥ ∴ AP≥= 3-k 6 AC≥ 본책 34쪽``…``36쪽 <1,(cid:100)(cid:100)0<3-k<6 0< 3-k 6 ∴ -30, n>0 ‹ m<0, n>0 ¤ m>0, n<0 › m<0, n<0 PQ≥=BQ≥-BP≥=;5!;(a¯+b¯)-;4!;a¯=-;2¡0; a¯+;5!; b¯, PC≥=BC≥-BP≥=-;4!; a¯+b¯ 이므로 PC≥=kPQ≥에서 -;4!; a¯+b¯=k{- a¯+;5!; b¯}=- a¯+ b¯ ;5K; 1 20 k 20 즉 - =-;4!;, ;5K;= 1이므로(cid:100)(cid:100)k=5 (cid:8951) 5 k 20 mn<0이면 (cid:100)m>0, n<0 또는 (cid:100)m<0, n>0 따라서 집합 C의 원소가 될 수 있는 벡터는 영역 ¤, ‹ 에 있는 벡터p¯, r¯, u¯의 3개이다. (cid:8951) ②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벡터 e¡≤, e™≤를 잡으면 a¯=e¡≤+e™≤, b¯=e¡≤-e™≤ 즉 e¡≤=;2!;(a¯+b¯), e™≤=;2!;(a¯-b¯)이므로 e™ a b e¡ 172 D’A≥+2DB≥+4DC≥=2AB≥에서 D’A≥+2DB≥+4DC≥=2(AD≥+DB≥) D’A≥-2AD≥=-4DC≥ ∴ 3A’D≥=4DC≥ 따라서 점 D는 AC”를 4:3으 B 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S™ S¡ =;4#; (cid:8951) ② A D C 두 삼각형 ABD, BCD 는 높이가 같으므로 넓 이의 비는 밑변의 길이 의 비와 같다. 즉 (cid:100)S¡:S™=AD”:DC” p¯=e¡≤+2e™≤=;2!;(a¯+b¯)+(a¯-b¯) p¯=;2#;a¯-;2!;b¯ r¯=-2e™≤=-(a¯-b¯)=-a¯+b¯ u¯=2e¡≤-3e™≤=a¯+b¯-;2#;(a¯-b¯) u¯=-;2!;a¯+;2%;b¯ 따라서 집합 C의 원소가 될 수 있는 벡터는 p¯, r¯, u¯의 3개이다. 36 정답 및 풀이 E0429_일품기벡_정(033-057) 2015.4.29 2:45 PM 페이지37 SinsagoHitec 175 |x+y|는 x=A¡’B¢≥, y=C¡’B¢≥일 때 최 댓값을 가지므로 최댓값은 A¡ A™ A£ A¢ B™ B£ B¡ B¢ |x+y|=|A¡’B¢≥+C¡’B¢≥| |x+y|=|B¡’C¢≥+B¡’A¢≥| |x+y|=2|B¡’B¢≥|=6 C¡ C™ C£ C¢ (cid:100)(cid:100)∴ M=6 최댓값은 |x-y|는 x=A¡’B¢≥, y=C¢’B¡≥일 때 최댓값을 가지므로 |x-y|=|A¡’B¢≥-C¢’B¡≥|=|A¡’B¢≥+B¡’C¢≥| |x-y|=|2A¡’B¢≥|=2'ß10 (cid:100)(cid:100)∴ m=2'ß10 ∴ M¤ +m¤ =36+40=76 (cid:8951) 76 176 PC≥=-3PB≥에서 (cid:100)(cid:100)PC”=3PB” ∴ PB”=1, PC”=3 한편 AB≥-BC≥=-BA≥-BC≥ AB≥-BC=-(BA≥+BC≥) AB≥-BC=-BD≥ A D Q B 1 P 3 C 이므로 PQ≥=-kBD≥를 만족시키는 실수 k가 존재하면 두 벡터PQ≥, BD≥ 는 서로 평행하다. ∴QC”=PC”=3 직각삼각형 PCQ에서 PQ”="√3¤ +3¤ =3'2 ∴|PQ≥|¤ =(3'2 )¤ =18 (cid:8951) 18 177 k=1일때,(cid:100)(cid:100)|OQ≥|= |OP≥| |OP≥| =1 k=3일 때,(cid:100)(cid:100)|OQ≥|=3 |OP≥| |OP≥| 즉 OQ≥는 OP≥와 방향은 같고 1…|OQ≥|…3인 벡터이다. =3 원점을 지나는 직선이 원 y (x-2)¤ +y¤ =1과 접하는 점을 각각 P¡, P™라 하고 ∠AOP¡=h라 하면 P¡ Q Ω A 2 P™ O 1 3 x sin h= AP¡” OA” =;2!; ∴ h= ;6“; 본책 36쪽``…``37쪽 1등급 |비|밀|노|트| 벡터의 종점의 자취를 찾을 때에는 먼저 벡터의 방향을 확인하고, 벡터의 크기가 어떻게 변하는지 파악한다. 178 주어진 두 정삼각형의 각 변의 삼등분점을 연결하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합동인 12개의 정삼 O A P 각형이 만들어진다. 어두운 정삼각형의 높이를 h라 하 면 2b-a B Q 터 벡 면 평 Ⅱ 삼각형의 무게중심은 중 선을 꼭짓점으로부터 2:1로 내분한다. |PQ≥|={2+;3@;}h=;3*;h 이때 2b¯-a¯와 PQ≥는 평행하고 |2b¯-a¯|=2h, 즉 h=;2!;|2b¯-a¯| 이므로 PQ≥=;3*;¥;2!;¥(2b¯-a¯)=-;3$; a¯+;3*; b¯ 따라서 s=-;3$;, t=;3*;이므로 10(t-s)=10¥[;3*;-{-;3$;}]=40 (cid:8951) 40 BC”=PB”+PC” BC”=PB”+3PB” BC”=4PB” 이므로(cid:100)PB”=1 179 PQ≥+RQ≥=-(QP≥+QR≥)에서 |PQ≥+RQ≥|=|QP≥+QR≥|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세 점 Q, R, P가 대각선 위에 놓일 때 |PQ≥+RQ≥|는 최댓값을 가지 므로 최댓값은 (cid:100)(cid:100)M=10+6=16 한편 이므로 PQ≥-RQ≥=PQ≥+QR≥=PR≥ |PQ≥-RQ≥|=|PR≥|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점 P, R 가 PR”가 정사각형의 한 변과 수 직이 되도록 놓일 때 |PR≥|는 최솟값을 가지므로 |PR≥|=a라 하면 '2a=4에서 (cid:100)(cid:100)a=2'2 ∴ m=2'2 ∴ M¤ -m¤ =256-8=248 1등급 |비|밀|노|트| Q O R P P O R (cid:8951) 248 Ⅱ. 평면벡터 37 ∠P¡OP™=2h=;3“;이므로 점 Q가 나타내는 도형은 위 의 그림의 어두운 부분과 같다.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2!;¥3¤ ¥;3“;-;2!;¥1¤ ¥;3“;=;3$;p 반지름의 길이가 r, 중심 각의 크기가 h인 부채꼴 의 넓이는 (cid:8951) ④ (cid:100);2!;r¤ h 위에 있다. 두 벡터PQ≥, RQ≥가 같은 방향일 때, | QP≥+QR≥|는 최댓값을 갖 는다. 이때 두 벡터의 종점이 같으므로 세 점 P, Q, R는 일직선 E0429_일품기벡_정(033-057) 2015.4.29 2:45 PM 페이지38 SinsagoHitec 04 평면벡터의 성분과 내적 본책 38쪽 180 두 점 P, Q의 위치벡터를 각각 p¯, q¯라 하면 반원에 대한 원주각의 크 기는 90°이다. OC” :AC” =3:1이므 로 (cid:100)OC”:OA”=3:2 (cid:100)∴ OC” ”=;2#;OA” 185 ∠APB=90°이므로 BP”="√7¤ -4¤ ='∂33 ∠ABP=h라 하면 cos h= BP” AB” BA≥¥ BP≥=|BA≥||BP≥|cos h = '∂33 7 이므로 BA≥¥ BP≥=7_'∂33_ '∂33 7 =33 (cid:8951) 33 186 a¯¥ b¯=(x-3, 2)¥(4-x, 10) =(x-3)(4-x)+20 =-x2+7x+8 이므로 a¯¥ b¯ ¯<0에서 -x2+7x+8<0,(cid:100)(cid:100)x2-7x-8>0 (x+1)(x-8)>0(cid:100)(cid:100)∴ x<-1 또는 x>8 따라서 a¯¥ b¯ ¯<0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x의 최솟값은 9 이다. (cid:8951) ⑤ 187 점 P의 좌표를 (m, 2m¤ )(m은 실수)이라 하면 AB≥=(4, 1), AP≥=(m+1, 2m¤ -3) ∴ AB≥¥AP≥=(4, 1)¥(m+1, 2m¤ -3) =4(m+1)+2m¤ -3 =2m¤ +4m+1 =2(m+1)¤ -1 따라서 AB≥¥AP≥는 m=-1, 즉 P(-1, 2)일 때 최솟 값 -1을 갖는다. (cid:8951) ⑤ 188 |a¯-b¯|¤ =(a¯-b¯)¥(a¯-b¯) =|a¯|¤ -2a¯¥ b¯+|b¯|¤ =1-2a¯¥ b¯+9 즉 6=1-2a¯¥ b¯+9에서(cid:100)(cid:100)a¯¥ b¯=2 ∴ (a¯+2b¯)¥(3a¯-b¯)=3|a¯|¤ +5a¯¥ b¯-2|b¯|¤ =|AB≥|=2 (cid:8951) 2 189 |AB≥|¤ =|OB≥-OA≥|¤ sin¤ h+cos¤ h=1 =3_1¤ +5_2-2_3¤ =-5 (cid:8951) ② 이차방정식 ax¤ +bx+c=0의 두 근 을 a, b라 하면 (cid:100)a+b=- ab= ;aC; ;aB;, =(OB≥-OA≥)¥(OB≥-OA≥) =|OB≥|¤ -2OA≥¥ OB≥+|OA≥|¤ =a¤ -2OA≥¥ OB≥+b¤ 이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8, ab=5 이므로 OA≥¥ OB≥= a¤ +b¤ -|AB≥|¤ 2 (a+b)¤ -2ab-|AB≥|¤ 2 8¤ -2_5-(5'2 )¤ 2 = = =2 (cid:8951) 2 p¯= q¯= 2b¯+a¯ 2+1 4b¯-a¯ 4-1 = a¯+2b¯ 3 , = -a¯+4b¯ 3 이므로 PQ”의 중점 M의 위치벡터 m≤은 m≤= p¯+q¯ 2 =;2!; { a¯+2b¯ 3 -a¯+4b¯ 3 + }=b¯ 따라서 k=0, l=1이므로 (cid:100)(cid:100)k+l=1 (cid:8951) ④ 181 OC≥=;2#; OA≥이므로 2OC” OP≥= ≤+3OB≤ 2+3 =;5@; OC≥+;5#; OB≥ OP≥=;5@;_;2#; OA≥+;5#; OB≥ OP≥=;5#; OA≥+;5#; OB≥ 따라서 m=;5#;, n=;5#;이므로 m-n=0 (cid:8951) 0 182 a¯+tb¯=(-1, -2)+t(2, -2) =(-1+2t, -2-2t) 3(a¯-c¯)=3{(-1, -2)-(2, -4)}=(-9, 6) 따라서 (-1+2t, -2-2t)=(-9, 6)이므로 -1+2t=-9, -2-2t=6 (cid:100)(cid:100)∴ t=-4 (cid:8951) ① 183 AB≥=(-2 cos h, 2 sin h)이므로 |AB≥|="√(-2 cos h)¤ +(2 siç √n h)¤ ="√4(cos¤ h+sin¤ h)=2 이때 |BA≥|=|AB≥|이므로 3|AB≥|-|2BA≥|=3|AB≥|-2|AB≥| 184 c¯=ta¯+(1-t)b¯ =t(1, -2)+(1-t)(2, -3) =(t, -2t)+(2-2t, -3+3t) =(2-t, -3+t) ∴ |c¯|="√(2-t)¤ +(-3+t)¤ ="√2t¤ -10t+13 ¤ +;2!; =æ≠2{t-;2%;} 따라서 벡터 c¯의 크기는 t=;2%;일 때 최솟값 를 갖는 다. (cid:8951) ③ '2 2 38 정답 및 풀이 ” E0429_일품기벡_정(033-057) 2015.4.29 2:45 PM 페이지39 SinsagoHitec 190 |2a¯+b¯|¤ =7¤ 에서 (2a¯+b¯)¥(2a¯+b¯)=49 ∴ 4|a¯|¤ +4a¯¥b¯+|b¯|¤ =49 |2a¯-b¯|¤ =3¤ 에서 (2a¯-b¯)¥(2a¯-b¯)=9 ∴ 4|a¯|¤ -4a¯¥b¯+|b¯|¤ =9 ㉠-㉡을 하면(cid:100)(cid:100)8a¯¥ b¯=40 ∴ a¯¥ b¯ ¯=5 yy ㉠(cid:100)(cid:100) yy ㉡(cid:100)(cid:100) (cid:8951) ⑤ 191 2a¯-b¯=2(1, 0)-(x, -1)=(2-x, 1)이 므로 cos 45°= (2a¯-b¯)¥ c¯ |2a¯-b¯||c¯| cos 45°= cos 45°= (2-x)_2+1_1 "√(2-x)¤ +1¤ "√2¤ +1¤ -2x+5 "√x¤ -4x+5 '5 -2x+5 "√x¤ -4x+5 '5 이므로 2(-2x+5)='∂10"√x¤ -4x+5 4(-2x+5)¤ =10(x¤ -4x+5) '2 즉 = 2 3x¤ -20x+25=0,(cid:100)(cid:100)(3x-5)(x-5)=0 ∴ x=5 (∵ x는 정수) (cid:8951) 5 192 두 벡터a¯, b¯가 서로 수직이므로 a¯¥ b¯=0에서 (x, 4)¥(x, 1-x)=0,(cid:100)(cid:100)x2-4x+4=0 (x-2)2=0(cid:100)(cid:100)∴ x=2 따라서 b¯=(2, -1), c¯=(4, 2)이므로 b¯¥ c¯ |b¯||c¯| = 2_4+(-1)_2 "√42+22 "√22+(-1)2 cos h= cos h= 6 '5'ß20 =;5#; (cid:8951) ③ 193 두 벡터a¯, b¯가 서로 평행하므로 b¯=ka¯(k+0) 라 하면 (1, -3)¥(k, -3k)=20,(cid:100)(cid:100)k+9k=20 x=k, y=-3k a¯¥ b¯=20에서 10k=20(cid:100)(cid:100)∴ k=2 따라서 x=2, y=-6이므로 x+y=-4 본책 38쪽``…``41쪽 195 직선 x-1 2 =y+3의 방향벡터는 (2, 1)이므로 점 P(5, 3)을 지나고 법선벡터가 (2, 1)인 직선의 방 정식은 2(x-5)+(y-3)=0, 즉 2x+y-13=0 따라서 a=2, b=-13이므로 a-b=15 (cid:8951) 15 x=3t-1에서 (cid:100)3t=x+1 (cid:100)∴ t= x+1 3 y=-2t+3에서 (cid:100)2t=-y+3 (cid:100)∴ t= -y+3 2 196 t= x+1 3 , t= -y+3 2 이므로 x+1 3 = -y+3 2 , 즉 x+1 3 = y-3 -2 이 직선의 방향벡터는 (3, -2)이므로 점 P(2, -1) 을 지나고 방향벡터가 (3, -2)인 직선의 방정식은 터 벡 면 평 Ⅱ x-2 3 = y+1 -2 따라서 a=-2, b=-2이므로 ab=4 (cid:8951) ⑤ 197 주어진 두 직선의 방향벡터를 각각 u¯1, u¯2라 하면 u¯1=(1, -3), u¯2=(4, 3) 이므로 cos h= cos h= = |u¯1¥u¯2| |u¯1||u¯2| 5 'ß10_5 = |1_4+(-3)_3| "√42+32 "√12+(-3)2 1 '∂10 ∴ sin h="√1-cos¤ h=æ≠1-{ 2 } 1 '∂10 ∴ sin h= 3'ß10 10 {∵ 00) (cid:8951) ② y A F O{B} -2 G D -2 P x 2 C E 과 일치하도록 주어진 도 M 216 오른쪽 그림과 같 이 꼭짓점 B가 원점, BC”가 x축의 양의 방향, BD”가 y축의 음의 방향 형을 좌표평면에 놓고 정 사각형 BDEC와 합동인 정사각형 FGDB를 그리면 A(1, '3), C(2, 0) DF”의 중점을 M이라 하면 ;2!;BE≥+DP≥=;2!; FD≥+DP≥ ;2!;BE≥+DP≥=M’D≥+DP≥=M’P≥ 이므로 |;2!;BE≥+DP≥|의 최솟값은 |M’P≥|의 최솟값과 같고, |M’P≥|의 최솟값은 점 M(-1, -1)과 직선AC 본책 42쪽``…``44쪽 E(2, -2)에서(cid:100)(cid:100)BE≥=(2, -2) D 직선 AC의 방정식은 y=-'3x+2'3 이므로 점 P의 좌표를 (t, -'3t+2'3 )(1…t…2)이 라 하면 ;2!; BE≥+DP≥=;2!;(2, -2)+(t, -'3t+2'3+2) ;2!; BE≥+DP≥=(t+1, -'3t+2'3+1) ∴ |;2!; BE≥+DP≥| ="√(t+1)¤ +(-√'3t+2'3+1)¤ ="√4t¤ -2(5+√'3 )t+14+4'3 28+6'3 4 1+3'3 2 5+'3 4 5+'3 4 5+'3 4 =æ≠4{t- =æ≠4{t- 일 때, 최솟값 ≠+{ ≠+ } } } 따라서 |;2!;BE≥+DP≥|는 t= 1+3'3 2 을 갖는다. 터 벡 면 평 Ⅱ F 점 M에서 직선 AP에 내린 수선의 발은 선분 AP 위 정육각형의 한 내각의 에 있다. =28+6'3 =1+6'3+27 =1+6'3+(3'3)¤ =(1+3'3)¤ A H 2 B 크기는 (cid:100) 180°_(6-2) 6 =120° 이므로 점 A에서 BF”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cid:100)∠BAH=60°, ∠ABH=30° (cid:100)∴`AH”=1, HF”='3 217 오른쪽 그림과 같이 꼭 짓점 B가 원점, BC”, AB”가 각각 x축, y축의 양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주어진 정사각형 2 y A E 을 좌표평면에 놓으면 O{B} F P D G 2 C x A(0, 2), E(0, 1), F(1, 0), G(2, 1) 이때 직선 AG의 방정식은 y-2= 1-2 2-0 x, 즉 y=-;2!;x+2 이므로 점 P의 좌표를 {t, -;2!;`t+2}(0…t…2)라 하면 EP≥+FP≥={t, -;2!;`t+1}+{t-1, -;2!;`t+2} EP≥+FP=(2t-1, -t+3) ∴ |EP≥+FP≥|="√(2t-1)2+√(-t+3)2 ∴ |EP≥+FP≥|="√5t¤ -10t+10 ∴ |EP≥+FP≥|="√5(t-1)2+5 따라서 |EP≥+FP≥|는 t=1일 때 최솟값 '5를 갖는다. (cid:8951) ③ EF”의 중점을 M이라 하면 (cid:100)(cid:100)M{;2!;, ;2!;} 이때 |EP≥+FP≥|=2|M’P≥|이고 |M’P≥|의 최솟값은 점 M{;2!;, ;2!;}과 직선AG, 즉 x+2y-4=0 사이의 거리 와 같으므로 구하는 최솟값은 2_ |;2!;+1-4| "√12+22 '5 =2_ ='5 2 Ⅱ. 평면벡터 43 사이의 거리와 같다. 이때 직선 AC의 방정식은 0-'3 2-1 y= 이므로 구하는 최솟값은 |-'3-1-2'3| "√('3 )¤ +1¤ (x-2), 즉 '3x+y-2'3=0 |PE≥+PF≥|=2|P’M≥| 이므로 (cid:100)|EP≥+FP≥|=2|M’P≥| = 1+3'3 2 (cid:8951) 1+3'3 2 ¤ ¤ ¤ E0429_일품기벡_정(033-057) 2015.4.29 2:45 PM 페이지44 SinsagoHitec y¤ 25 + =1은 초점 x¤ 4 의 좌표가 (0, -'ß21), (0, 'ß21)이고 장축의 길이가 10, 단축의 길 O 2 3 x 이가 4인 타원이다. y 5 3 Q P -2 -3 -3 -5 ● 30% ● 30% ● 40% (cid:8951) 7 ● 60% ● 10% (cid:8951) 30 218 OB≥¥ OA≥ =|OB≥||OA≥|cos (∠AOB) =|OB≥||OA≥| =|OA≥|2=9 |OA≥| |OB≥| OB≥¥ OC≥=|OB≥||OC≥|cos (∠BOC) OB≥¥ OC≥=|OB≥||OC≥| OB≥¥ OC≥=|OC≥|2=16 |OC≥| |OB ≥| ∴ OB≥¥AC≥=OB≥¥(OC≥-OA≥) =OB≥¥OC≥-OB≥¥OA≥ =16-9=7 219 두 곡선 x¤ +y¤ =9, + =1은 오른 x¤ 4 y¤ 25 쪽 그림과 같으므로 |OP≥|=3, 2…|OQ≥|…5 ● 30% 두 벡터OP≥, OQ ≥가 이 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OP≥¥OQ≥=|OP≥||OQ≥|cos h OP≥¥OQ≥=3|OQ≥|cos h 이므로 |OQ≥|=5, cos h=1일 때 최댓값 15를 갖고, |OQ≥|=5, cos h=-1일 때 최솟값 -15를 갖는다. 따라서 M=15, m=-15이므로 M-m=30 220 < a¯ >= a¯ a¯¥ a¯ = a¯ |a¯|¤ ㄱ. a¯¥< a¯ >=a¯¥ = =1 a¯ |a¯|¤ |a¯|¤ |a¯|¤ a¯ 1333 |a¯|¤ a¯ |1333| |a¯|¤ = =a¯ a¯ 1333 |a¯|¤ |a¯|¤ 1333 |a¯|› a¯ |a¯|¤ >=< (|a¯|¤ +1)a¯ |a¯|¤ > a¯ |a¯|¤ >= ㄴ.<< a¯ >>=< ㄷ. < a¯+< a¯ >>=0) 따라서 점 P는 t=1일 때 출발 후 처음으로 다시 원점을 지나고, t=3일 때 두 번째로 다시 원점을 지난다. 점 P의 시각t 에서의 속도를 v(t), 가속도를 a(t)라 하면 v(t)=f '(t)=4t‹ -9t¤ -2t+3 a(t)=v'(t)=12t¤ -18t-2 따라서 t=1일 때 속도 a와 t=3일 때 가속도 b는 a=4-9-2+3=-4, b=108-54-2=52 ∴ a+b=48 (cid:8951) 48 243 s='t (12-t)=12't-t't이므로 자동차가 제 동을 건 지 t초 후의 속도를 v라하면 = v= 12-3t 12 2't 2't 자동차가 정지할 때의 속도는 0이므로 -;2#;'t = ;dDtS; (cid:100)(cid:100) =0(cid:100)(cid:100)∴ t=4 12-3t 2't 따라서 자동차가 제동을 건 후 4초 동안 움직인 거리는 '4(12-4)=16(m) (cid:8951) 16 m 244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t), 가속도를 a(t)라 하면 v(1)=3-;2!;= ;2%; , a(1)=;8$;=;2!; (cid:8951) ④ =2, =2t-2이므로 점 P의 시각t 에 245 dx dt dy dt 서의 속도를 v¯라 하면 v¯=(2, 2t-2) 따라서 t=2에서의 속도는 v¯=(2, 2)이므로 속력은 |v¯|="√2¤ +2¤ =2'2 (cid:8951) ② =1-2 sin 2t, =-2 cos 2t에서 246 dx dt d¤ x dt¤ dy dt d¤ y dt¤ =-4 cos 2t, =4 sin 2t 이므로 점 P의 시각t에서의 가속도를 a¯라 하면 a¯=(-4 cos 2t, 4 sin 2t) 따라서 t=;4#;p에서의 가속도는 (0, -4)이다. (cid:8951) ④ (cid:8951) 77 f(x), g(x)(g(x)+0)가 미분가능할 때, y= f(x) g(x) 이면 y'= f'(x)g(x)-f(x)g'(x) {g(x)}¤ v(t)=f '(t)=3- a(t)=v'(t)= 2 (t+1)¤ 2¥2(t+1) (t+1)› = 4 (t+1)‹ 따라서 t=1에서의 속도와 가속도는 각각 48 정답 및 풀이 E0429_일품기벡_정(033-057) 2015.4.29 2:45 PM 페이지49 SinsagoHitec 본책 47쪽``…``50쪽 p ;2%; : æ≠{ 0 dx dt ¤ +{ } dy dt ¤ dt } p ;2%; =: 0 ø∑('3 cos t∑-sin t)¤ ∑+(-∑'3 sin t-∑cos t)¤ dt p ;2%; =: 0 2 dt=[2t] =5p 0 p ;2%; (cid:8951) ④ t=2에서의 가속도는 (cid:100)a¯=(12a, -4) dx dt 252 길이는 dy dt =6t, =3-3t¤ 이므로 구하는 곡선의 (cid:100)(cid:100)∴ a=;3!; (∵ a>0) (cid:8951) ① dx dt ¤ +{ } dy dt :)3 æ≠{ ¤ dt=:)3 "√(6t)¤ +(3-3t¤ )¤ dt } 247 dx dt =3at¤ +5, =-4t에서 dy dt d¤ x dt¤ =6at, =-4 d¤ y dt¤ 이므로 점 P의 시각t에서의 가속도를 a¯라 하면 a¯=(6at, -4) 이때 t=2에서의 가속도의 크기가 4'2이므로 øπ(12a)¤ +(-4)¤ =4'2,(cid:100)(cid:100)144a¤ +16=32 a¤ =;9!; 248 시각 t에서의 점 P의 위치를 s(t)라 하면 s(t)=0+:)t 2sin ;2T; dt s(t)=[-4 cos ;2T; 점 P가 원점을 지날 때 s(t)=0이므로 ;2T;]t)=-4 cos +4 -4 cos +4=0,(cid:100)(cid:100)cos =1 ;2T; ;2T; 2p, 4p, 6p, y (∵ t>0) ;2T;= ∴ t = 4p, 8p, 12p, y 따라서 출발 후 처음으로 원점을 지나는 시각은 4p이다. (cid:8951) 4p 249 t=0에서 t= ;3@; p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3@;p : 0 |cos t|dt=: cos t dt-: 0 ;2“; ;3@;p ;2“; cos t dt ;3@;p ;2“; ;2“; 0 =[sin t] -[sin t] '3 =1-{ -1} 2 4-'3 2 = 250 고속열차가 출발한 후 a분 동안 달린 거리는 :)a ;9%; t¤ dt=[ 5 27 t‹ ]a)= a‹ 5 27 5 27 a‹ =5(cid:100)(cid:100)∴ a=3 3분 이후부터 고속열차의 속도는 (cid:100)(cid:100)v(3)= ¥3¤ =5(km/min) ;9%; 이므로 출발한 후 10분 동안 달린 거리는 (cid:100)(cid:100)5+5¥7=40(km) (cid:8951) 40 km 터 벡 면 평 Ⅱ =:)3 "√9(t¤ +1)¤ dt =3:)3 (t¤ +1)dt =3[;3!; t‹ +t]3) =36 (cid:8951) 36 253 f '(x)= e≈ -e—≈ 2 이므로 구하는 곡선의 길이는 :_2@ æ≠1+{ e≈ -e—≈ 2 ¤ dx=:_2@ æ≠{ } e≈ +e—≈ 2 ¤ dx } =:_2@ e≈ +e—≈ 2 dx ]2_@ = ;2!; [ex-e-x 1 e¤ =e¤ - (cid:8951) ③ 두 점P, Q 의 시각t 에서의 속도를 254 각각 v∏, vŒ라 하면 2t t¤ +1 v∏= , vŒ=3t¤ -18t+24 ● 30% 대 방향으로 움직이면 v∏vŒ<0이므로 vŒ=3t¤ -18t+24<0 3(t-2)(t-4)<0(cid:100)(cid:100)∴ 20에서 v∏>0이고 두 점P, Q 가 서로 반 고속열차가 5 km를 달리는 데 걸린 시간은 Q의 위치는 16이므로 점 Q가 움직인 거리는 운동 방향을 바꿀 때의 속도는 0이다. 3분 동안 5 km를 달리 고 7분 동안 5 km/min 의 속도로 달린다. 방정식 g(x)+a=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함수 y=g(x)의 그래프 와 직선y=-a 의 교점 251 dx dt dy ='3 cos t-sin t, =-'3 sin t-cos t dt 이므로 t=0에서 t= p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의 개수와 같다. 5 2 E0429_일품기벡_정(033-057) 2015.4.29 2:45 PM 페이지50 SinsagoHitec y=g{t} 1 t y=-a (cid:8951) ③ 'ƒ2-2 cos t의 값이 최 대이려면 cos t의 값이 최소이어야 하므로 (cid:100)cos t=-1 삼각함수의 합성 (cid:100)a cos h-b sin h ="√a¤ +b¤ cos (h+a) a "√a¤ +b¤ b "√a¤ +b¤ {단, cos a= sin a= , } exy=8에서 8 (cid:100)y= =8e-x e≈ x=t이므로 (cid:100)y=8e-t g '(t)=0에서(cid:100)(cid:100)t=1 (∵ t>0) t 0 g '(t) g(t) y - ↘ 1 0 -8 따라서 y=g(t)의 그래프는 오른 쪽 그림과 같으므로 방정식 ㉠`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양의 근을 가지 려면 (cid:100)(cid:100)-8<-a<0 (cid:100)(cid:100)∴ 00)라 하면 AB≥∥PQ≥이므로 54 정답 및 풀이 a¯=(a¡, a™), b¯=(b¡, b™) 이고 두 벡터 a¯, b¯가 이 루는 각의 크기가 h일 때, (cid:100)a¯¥ b¯ =|a¯||b¯| cos h =a¡b¡+a™b™ PQ≥=k(3, -4)=(3k, -4k) ● 20% 이때 |PQ≥|=10이므로 "√(3k)¤ +(-4k)¤ =10 5k=10(cid:100)(cid:100)∴ k=2 ∴ PQ≥=(6, -8) 한편 점 Q의 좌표를 (x, y)라 하면 PQ≥=(x-3, y+2) 이므로(cid:100)(cid:100)x-3=6, y+2=-8 ● 40% ∴ x=9, y=-10 ● 30% 따라서 점 Q의 좌표는 (9, -10)이다.● 10% (cid:8951) (9, -10) 284 |2a¯-b¯|=6의 양변을 제곱하면 4|a¯|¤ -4a¯¥ b¯+|b¯|¤ =36 36-4a¯¥ b¯+4=36 (cid:100)(cid:100)∴ a¯¥ b¯=1 두 벡터a¯+tb¯, a ¯-b¯가 서로 수직이려면 (a¯+tb¯)¥(a¯-b¯)=0 |a¯|¤ +(t-1)a¯¥ b¯-t|b¯|¤ =0 9+(t-1)-4t=0,(cid:100)(cid:100)-3t+8=0 ∴ t=;3*; (cid:8951) ⑤ 285 BA≥=a¯, BC≥=b¯라 하면 2BC≥+BA≥ 2+1 BD≥= =;3!; a¯+;3@; b¯(cid:100)(cid:100) BE≥=ma¯, BF≥=nb¯ (00) 따라서 두 점P, Q 가 처음 만나는 시각은 t=2이고, 두 번째 만나는 시각은 t=3이다.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도를 v(t), 점 Q의 가속도를 a(t)라 하면 v(t)=f '(t)=2t-2, a(t)=g "(t)=6t-6 |v(2)|=|4-2|=2 |a(3)|=|18-6|=12 56 정답 및 풀이 이므로 두 점 P, Q가 처음으로 만날 때 점 P의 속력은 이고 두 번째로 만날 때 점 Q의 가속도의 크기는 따라서 v(5.5)=-3이 므로 t=5.5에서의 위치보다 원점에서 멀리 있다. (cid:8951) ② (cid:100);2!;_1.5_3=2.25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cid:8951) ⑤ ¤ ¤ ¤ E0429_일품기벡_정(033-057) 2015.4.29 2:45 PM 페이지57 SinsagoHitec 297 A, B의 출발 위치를 각각 0, 30이라 하고, 시 각 t초에서의 A, B의 위치를 각각 f(t), g(t)라 하면 f(t)=:)t tetdt=[tet ]t)-:)t etdt f(t)=tet-[et ]t)=tet-et+1 g(t)=30+:)t 29etdt=30+[29et g(t)=30+(29et-29)=29et+1 f(t)=g(t)에서(cid:100)(cid:100)tet-et+1=29et+1 ]t) (t-30)et=0(cid:100)(cid:100)∴ t=30 ∴ a=30 (cid:8951) 30 298 dx dt dy dt =-2`sin t, =-2`cos t이므로 t=0 에서 t=p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 æ≠{ } +{ dx dt dy dt ¤ dt } =:)» "√(-2 sin t)¤ +√(-2 cos t)¤ dt =:)» 2 dt=[2t]»)=2p (cid:8951) 2p 299 있도록 주어진 식을 변형한다. 내분점과 외분점의 위치벡터를 이용할 수 3PA≥+PB≥+4PC≥=kAB≥에서 (cid:100)(cid:100)3PA≥+PB≥+4PC≥=k(PB≥-PA≥) (cid:100)(cid:100)4PC≥=-(3+k)PA≥+(k-1)PB≥ (cid:100)(cid:100)∴ PC≥=- (1-k)PB≥+(3+k)PA≥ 4 (cid:100) ⁄ k<-3일 때, AB”를 (1-k):(-3-k)로 외분하는 점을 D라 AB”를 (1-k):(3+k)로 내분하는 점을 D'이라 하면 (cid:100)(cid:100)PC≥=-PD≥ ¤ k=-3일 때,(cid:100)(cid:100)PC≥=-PB≥ ‹ -31일 때, 하면 (cid:100)(cid:100)PC≥=-P’D"≥ 중점을 지나는 직선이다. AB”를 (k-1):(3+k)로 외분하는 점을 D"이라 이상에서 점 P의 자취는 CA”의 중점과 CB”의 C PPP P P D'' A D' B D 본책 56쪽``…``57쪽 이때 △PAB의 넓이는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 므로 S(k) S(2k) =1 (cid:8951) 1 PC≥=-PA≥, PC≥=-PB≥, PC≥=-PD≥, PC≥=-P’D'≥, PC≥=-P’D"≥이므로 PC≥는 PA≥, PB≥, PD≥, P’D'≥, P’D"≥과 크 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벡터이다. 이때 세 점 D, D', D"은 모두 직선 AB 위의 점이므로 점 P는 CA”의 중점과 CB”의 중점을 지나는 직선 위의 점이다. 300 른 점 P의 위치를 구한다. 점 P의 위치벡터를 이용하여 t의 값에 따 p¯=(1-t)a¯+tb¯=a¯+t(b¯-a¯) =a¯+tAB≥(cid:100) ㄱ. 점 P가 구간 ㉤에 있도록 하는 t의 값의 범 위는 t>2이다. ㄴ. t<-1이면 점 P는 구간 ㉠에 있다. ㄷ. 점 Q의 위치벡터를 q¯라 하고, PQ”의 중점 M의 위치벡터를 m≤이라 하면 (cid:100)(cid:100)p¯=a¯+t¡AB≥, q¯=a¯+t™AB≥ 이므로 (cid:100)(cid:100)m≤= p¯+q¯ 2 = 2a¯+(t¡+t™)AB≥ 2 (cid:100)(cid:100)m=a¯+ t¡+t™ 2 AB≥ 터 벡 면 평 Ⅱ 이때 00, n>0일 때, AB” 를 m:n으로 내분하는 점 C의 위 치벡터를 나타낸다. ¤ m>0, n<0일 때, AB” 를 m:(-n) 으로 외분하는 점 C 의 위치벡터를 나타 낸다. 8초에 1바퀴씩 회전하 므로 1초에 = 만 2p 8 p 4 큼씩 회전한다. 301 낸다. p 4 이므로 d¤ x dt¤ p¤ = sin 8 p 4 t, d¤ y dt¤ p¤ =- cos 8 p 4 t 따라서 점 P의 가속도의 크기는 æ≠{ } +{ d¤ y dt¤ } d¤ x dt¤ p¤ 8 p¤ 8 } =æ≠{ sin =æ–{ = ∴ n=8 p 4 p¤ 8 p¤ ≠ +{- cos 8 p 4 t} t} (cid:8951) 8 Ⅱ. 평면벡터 57 ¤ ¤ ¤ ¤ ¤ ¤ E0429_일품기벡_정(058-071) 2015.4.29 2:46 PM 페이지58 SinsagoHitec 본책 60쪽 모서리 AB와 한 점에서 만나는 면은 Ⅲ 공간도형과 공간벡터 06 공간도형 302 ⑤ 오른쪽 그림과 같이 (cid:100) 꼬인 위치에 있는 두 직선은 한 평면을 결정하지 않는다. (cid:8951) ⑤ 303 ① 세 점 A, B, G는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세 (cid:100) 점이므로 한 평면을 결정한다. ② 직선 AE와 이 직선 위에 있지 않은 한 점 C는 한 평 ③ 직선 AC와 직선 EG는 서로 평행하므로 한 평면을 ④ 직선 AE와 직선 EG는 점 E에서 만나므로 한 평면 면을 결정한다. 결정한다. 을 결정한다. ⑤ 직선 AB와 직선 EG는 꼬인 위치에 있으므로 두 직 선 AB와 EG를 포함하는 평면은 존재하지 않는다. 두 점 P, Q는 각각 BM”, DM” 위에 있다. 2:1 직선 BD를 포함하고 직선 PQ를 포함하지 않는 면은 직선 PQ와 평행하다. 304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서로 다른 세 점은 한 평 면을 결정하므로 6개의 점 중에서 3개를 택하면 한 평면 이 결정된다. (cid:100)(cid:100)∴ §C£= =20 6¥5¥4 3¥2¥1 305 직선 AB와 만나는 직선은 직선 AF, 직선 AG, 직선 BC, 직선 BH, 직선 CD, 직선 EF의 6개이다. (cid:8951) ⑤ (cid:8951) 20 (cid:8951) 6 306 모서리 AB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모서 리 CG, 모서리 DH, 모서리 EH, 모서리 FG의 4개이 다. 마찬가지로 직육면체의 각 모서리마다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4개씩 존재하므로 (cid:100)(cid:100)12_4=48(쌍) 이때 각 경우는 한 번씩 중복되므로 (cid:100)(cid:100);2!;_48=24(쌍) (cid:8951) ③ 308 모서리 AB를 포함하는 면은 면 ABCD, 면 AEFB의 2개(cid:100)(cid:100)∴ a=2 면 AEHD, 면 BFGC의 2개(cid:100)(cid:100)∴ b=2 ∴ a+b=4 (cid:8951) 4 309 (cid:8951) 모서리 CH, 모서리 DI, 모서리 EJ 310 오른쪽 그림과 같이 AC” 의 중점을 M이라 하면 두 점 P, Q가 각각 △ABC, △ACD의 무게중심이므로 두 직선 PQ, B BD는 평면MBD 위에 있다. 이때 BP”:PM”=DQ”:QM”이 므로 두 직선PQ, BD는 평행하다. 따라서 직선 PQ와 평행한 면은 QM P D A C 면 ABD, 면 BCD (cid:8951) 면 ABD, 면 BCD 311 ㄱ. 모서리 AB와 평행한 모서리는 ㄴ. (cid:100)(cid:100)모서리 DC, 모서리 EF, 모서리 HG ㄴ. 의 3개이다. ㄴ. 모서리 AD와 평행한 면은 ㄴ. (cid:100)(cid:100)면 BFGC, 면 EFGH ㄴ. 의 2개이다. ㄷ. 면 AEHD와 평행한 면은 면 BFGC의 1개이다. 이상에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cid:8951) ⑤ 312 두 평면ACD, BCD의 교선은 직선 CD이다. 직선 CD와 한 점에서 만나는 면은 면 ABC, 면 ABD의 2개(cid:100)(cid:100)∴ a=2 또 직선CD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모서리 AB의 1개(cid:100)(cid:100)∴ b=1 ∴ a+b=3 (cid:8951) ② 직육면체의 모서리의 개수 313 두 평면 AEGC, AFGD의 교선은 직선 AG이 므로 이 직선과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모서리 BC, 모서리 BF, 모서리 CD, 모서리 DH, 모서리 EF, 모서리 EH 의 6개이다. (cid:8951) 6 314 두 평면a, b는 평행하므로 만나지 않는다. 이 때 직선l은 평면a 위에 있고 직선 m은 평면 b 위에 있 으므로 두 직선 l, m도 만나지 않는다. 그런데 두 직선 l, m은 모두 한 평면 c 위에 있으므로 l∥m이다. (cid:8951) 풀이 참조 (cid:8951) ③ 315 ⁄ AC”⊥AE”이므로 직선 AE와 평행한 직선 ¤ BF, 직선 CG, 직선 DH는 모두 직선AC와 수직이다. 307 △ABC에서 두 점 M, N은 각각 AB”, AC”의 중점이므로 직선 MN과 직선 BC는 서로 평행하다. △ABC의 두 변AB, AC의 중점을 각각 M, N 또 (cid:8772)BCDE에서 두 직선 BC, ED는 서로 평행하므로 직선 MN과 직선ED도 서로 평행하다. 직선 MN과 네 직선 AD, AE, BE, CD는 서로 만나 지도 않고 평행하지도 않으므로 꼬인 위치에 있다. 이라 하면 (cid:100)MN”∥BC”, (cid:100)MN”=;2!;BC” A a 2a M N B C (cid:100)(cid:100)∴ a=2 (cid:100)(cid:100)∴ b=4 (cid:100)(cid:100)∴ ab=8 58 정답 및 풀이 E0429_일품기벡_정(058-071) 2015.4.29 2:46 PM 페이지59 SinsagoHitec ¤ AC”⊥BD”이므로 직선 BD와 평행한 직선 FH도 직 선 AC와 수직이다. ‹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합동인 정육면체를 이어 붙여 직육면 체를 만들면 DF”∥AK”이므 로 두 직선AC, DF가 이루 는 각의 크기는 두 직선 AC, AK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C G D B L H F K A E I J ‹ 이때 정육면체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 하면 ‹ (cid:100)(cid:100)AC”='2a, AK”='3a, CK”='5a ‹ 이므로 △AKC에서 ‹ (cid:100)(cid:100)CK” ‹ 즉 △AKC는 ∠CAK=90°인 직각삼각형이다. ‹ (cid:100)(cid:100)∴ AC”⊥DF” ‹ 같은 방법으로 하면(cid:100)(cid:100)AC”⊥BH” ¤ +AK” ¤ =AC” 이상에서 구하는 직선의 개수는 (cid:100)(cid:100)4+2+2=8 (cid:8951) ③ 316 직선 l과 평면 a의 교점을 O라 하면 두 직선 m, n을 점 O를 지나는 두 직선 m', n'으로 각각 평행이동 할 수 있다. 이때 두 직선 m', n'은 평면a 위의 평행하지 않은 두 직선이고 m' ⊥ l, n' ⊥ l이다. 한편 m, n은 임의의 직선이므로 직선 l은 평면a 위의 모든 직선과 수직이다. ∴ l⊥a ∴ ㈎ ⊥ ㈏ ⊥ 317 △ABC와 △BCD는 모두 정삼각형이고, BM”=MC”이므로 AM”, DM”은 각각 △ABC, △BCD 의 중선이다. ∴ BC”⊥AM”, BC”⊥DM” 따라서 BC”와 평면 AMD는 수직이므로 BC”와 평면 AMD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90°이다. (cid:8951) ④ 318 PQ”⊥a, QR”⊥AB”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 하여(cid:100)(cid:100)PR”⊥AB” 직각삼각형 PRQ에서 PR”="√4¤ +3¤ =5 따라서 직각삼각형 ARP에서 AP”=øπ(2'6)¤ +5¤ =7 (cid:8951) 7 319 DH”⊥(평면 EFGH), DP”⊥EG”이므로 삼수선 의 정리에 의하여(cid:100)(cid:100)HP”⊥EG” 직각삼각형 EGH에서 EG”="√1¤ +2¤ ='5이므로 ;2!;¥1¥2=;2!;¥'5¥HP” △EGH =;2!;¥EH”¥HG” =;2!;¥EG”¥HP” 본책 60쪽``…``63쪽 ∴ HP”= = 2 '5 따라서 직각삼각형 DHP에서 2'5 5 DP”=æ≠3¤ +{ 2'5 5 ¤ = } 7'5 5 (cid:8951) ① 320 OC”=OA”=1이므로(cid:100)(cid:100)OB”='3 직각삼각형 OAB에서 AB”="√1¤ +('3)¤ =2 점 O에서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3 2 ;2!;¥1¥'3=;2!;¥2¥OH”(cid:100)(cid:100)∴ OH”= 이때 CO”⊥(평면 OAB), OH”⊥AB”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cid:100)(cid:100)CH”⊥AB” 따라서 직각삼각형 OCH에서 '7 2 CH”=æ≠1¤ +{ ¤ = } '3 2 ∴ △ABC=;2!;¥2¥ = '7 2 '7 2 (cid:8951) '7 2 321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B 에서 AC”에 내린 수선의 발을 M 이라 하면 AC”⊥BM”, AC”⊥FM” D M Ω B H C G A E 이므로 두 평면 ABCD와 AFC F 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BM”과 FM”이 이루는 각의 크 기와 같다. ∴ h=∠BMF 직각삼각형 BMF에서 터 벡 간 공 과 형 도 간 공 Ⅲ △ABC이므로 △ABC=△AFC cos h '3 4 ;2!;¥2¥2= ¥(2'2)¤ cos h 2=2'3 cos h(cid:100)(cid:100)∴ cos h= '3 3 322 오른쪽 그림과 같이 BC” 의 중점을 M이라 하면 AM”⊥BC”, DM”⊥BC” 이므로 두 평면 ABC, BCD가 B 이루는 각의 크기는 AM”과 DM”이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 h=∠AMD A D Ω H M C 점 A에서 평면 BCD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점 H는 △BCD의 무게중심이므로 Ⅲ. 공간도형과 공간벡터 59 (cid:8951) ㈎ ⊥(cid:100)㈏ ⊥ (cid:8772)ABCD는 정사각형 이므로 BM”='2, FM”="√2¤ +('2)¤ ='6 (cid:100)BM”=;2!;BD”='2 이므로 △MFB에서 (cid:100)FM”=" √BF” ¤ +BM” cos h= BM” FM” '2 = = '6 '3 3 (cid:8951) ② △AFC의 밑면ABCD 위로의 정사영은 ¤ ¤ E0429_일품기벡_정(058-071) 2015.4.29 2:46 PM 페이지60 SinsagoHitec cos h= MH” AM” = ;3!;DM” AM” =;3!; (∵ DM”=AM”) S cos 60°=a¤ ,(cid:100)(cid:100);2!;S=a¤ ∴ S=2a¤ (cid:8951) ④ D A M H C 32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A에서 평면 BCD에 내린 수선 의 발을 H라 하면 AD”의 평면 BCD 위로의 정사영은 HD”이 B 다. M이라 하면 이때 점 H는 △BCD의 무게중심이므로 BC”의 중점을 HD”=;3@; DM”=;3@;¥ ¥6=2'3 '3 2 (cid:8951) 2'3 324 오른쪽 그림에서 타원의 장축 AB의 밑면 위로의 정사영은 CD”이므 로 타원의 장축의 길이를 2a라 하면 2a cos 60°=20(cid:100)(cid:100)∴ a=20 타원의 단축의 길이를 2b라 하면 단축 의 길이가 원기둥의 밑면의 지름의 길 이와 같으므로 2b=20(cid:100)(cid:100)∴ b=10 l A 30æ B D 60æ C 10 따라서 구하는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2"√a¤ -b¤ =2"√20¤ -10¤ =20'3 (cid:8951) 20'3 325 막대기의 길이를 x cm라 하면 x=24 tan 30°=8'3 이때 그림자가 생기지 않으려 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막대 기를 지면과 30°의 각을 이루 도록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구하는 정사영의 길 이는 x`cm 30æ 24`cm 30æ 8'3 cos 30°=8'3¥ =12(cm) (cid:8951) 12 cm '3 2 326 △ABC의 세 변의 길이가 각각 3, 4, 5이므로 △ABC는 빗변의 길이가 5인 직각삼각형이다. ∴ △ABC=;2!;¥3¥4=6 이때 두 평면 a, b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라 하면 △A'B'C'=△ABC cos h에서 3=6 cos h,(cid:100)(cid:100)cos h=;2!; ∴ h=;3“; {∵ 0b>0)에 대하여 ① 장축의 길이: 2a ② 단축의 길이: 2b ③ 초점의 좌표: (cid:100) (—"√a¤ -b¤ , 0) (cid:8951) ③ D 328 (cid:8772)BCDE의 두 대각 선 BD, CE의 교점을 M이라 하면 △ABE의 평면 BCDE 위로의 정사영은 △MBE이 A E M B C 다. 이때 평면 ABE와 평면 BCDE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MBE=△ABE cos h이므로 cos h= △MBE △ABE = ;4!;¥2¤ '3 4 12 ¥2¤ = '3 3 따라서 도형 F'의 넓이를 S라 하면 S=△MBE cos h=1¥ = '3 3 '3 3 (cid:8951) '3 3 329 결정되는 평면의 개수가 최대이려면 네 점 A, B, C, D가 모두 두 직선 l, m 위에 있지 않고, 한 직 선과 한 점으로 만들어지는 평면 위에 나머지 세 점이 있지 않아야 한다. ⁄ 두 직선l, m 으로 만들 수 있는 평면의 개수는 1이다. ¤ 두 직선 l, m 중 한 직선과 네 점 A, B, C, D 중 한 점으로 만들 수 있는 평면의 개수는 ⁄ (cid:100)(cid:100)2¥4=8 ‹ 다섯 개의 점 O, A, B, C, D 중 세 점으로 만들 수 있는 평면의 개수는 ⁄ (cid:100)(cid:100)∞C£=10 이상에서 구하는 평면의 최대 개수는 1+8+10=19 (cid:8951) ② 330 ⁄ 세 꼭짓점 B, C, D로 만들 수 있는 평면은 ¤ (cid:100)(cid:100)평면 BCD ¤ AE”와 AC”로 만들 수 있는 평면은(cid:100)(cid:100)평면 AEC ‹ AE”와 꼭짓점 B로 만들 수 있는 평면은 ¤ (cid:100)(cid:100)평면 ABE AE”와 꼭짓점 D로 만들 수 있는 평면은 ¤ (cid:100)(cid:100)평면 AED ¤ (cid:100)(cid:100)평면 ABC AC”와 꼭짓점 B로 만들 수 있는 평면은 AC”와 꼭짓점 D로 만들 수 있는 평면은 ¤ (cid:100)(cid:100)평면 ACD 이상에서 구하는 평면의 개수는 1+1+4=6 (cid:8951) 6 AE”와 AC”, AE”와 꼭짓점 C로 만들 수 있는 평면은 평면 AEC로 서로 같은 평면이다. 또 꼭짓점 C는 AC” 위 에 있으므로 AC”와 꼭짓점 C로는 평면을 만들 수 없다. E0429_일품기벡_정(058-071) 2015.4.29 2:46 PM 페이지61 SinsagoHitec 이상에서 서로 만나는 직선끼리 짝지은 것은 ㄴ뿐이다. 이므로 이등변삼각형 AMC의 꼭짓점 M에서 AC”에 내 (cid:8951) ① 린 수선의 발을 P라 하면 AP”=;2!;AC”='2a MP”="√AM” ¤ -AP” ¤ ="√('5a)¤ -('2a)¤ ='3a 따라서 직각삼각형 AMP에서 본책 63쪽``…``66쪽 1등급 |비|밀|노|트| 직선과 평면의 위치 관계에 대한 문제는 정육면체의 면과 모서리 의 관계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336 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두 직선 CM, AM이 이루는 각 AM”∥DN”이므로 두 직선 CM, DN 의 크기와 같다. ∴ h=∠AMC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2a라 하면 ● 20% AC”=2'2a, AM”=CM”='5a sin ;2Ω;= cos ;2Ω;= , = = '∂10 5 AP” AM” '2a '5a '3a '5a ∴ sin h=2 sin ;2Ω; cos ;2Ω; MP” AM” '∂15 5 = = ∴ sin h=2¥ '∂10 5 '∂15 ¥= 5 2'6 5 터 벡 간 공 과 형 도 간 공 Ⅲ ● 50% ● 30% (cid:8951) 2'6 5 337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 CD”의 중점을 각각 M, N 이라 하면 △MCD는 MC”=MD” 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CD”⊥M’N”(cid:100) A M B D N C 같은 방법으로 하면(cid:100)(cid:100)AB”⊥M’N”(cid:100) 따라서 PQ”의 길이의 최솟값은 MN”의 길이와 같다. '3 2 이때 BM”=1, BN”= ¥2='3이므로 직각삼각형 BNM에서 MN”="√('3)¤ -1¤ ='2 1등급 |비|밀|노|트| (cid:8951) ④ 꼬인 위치에 있는 두 직선 위에 있는 두 점 사이의 거리가 최소 가 되는 것은 두 점을 이은 직선이 꼬인 위치에 있는 두 직선과 모두 수직이 될 때이다. 331 ㄱ. 네 점P, Q, S, U 에 대하여 세 점P, Q, S ㄱ. 를 지나는 평면이 점 U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직선 PQ와 직선SU 는 꼬인 위치에 있다. ㄴ. PQ”∥BC”, TU”∥BC”이므로(cid:100)(cid:100)PQ”∥TU” 또 PQ”=TU”=;2!; BC”이므로 (cid:8772) PQTU는 평행사변 형이다. ㄱ. 따라서 직선 PT와 직선 QU는 한 점에서 만난다. ㄷ. 네 점 T, U, R, S에 대하여 세 점 R, T, U를 지나 는 평면이 점 S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직선 TU와 직 선 RS는 꼬인 위치에 있다. 332 ㄱ. 모서리 BC와 평행한 평면은 ㄴ. (cid:100)(cid:100)평면 AED, 평면 EFD ㄴ. 의 2개이다. ㄴ. 평면 ABC와 평행한 모서리는 ㄴ. (cid:100)(cid:100)모서리 DE, 모서리 EF, 모서리 FD ㄴ. 의 3개이다. ㄷ. 모서리 AB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ㄴ. (cid:100)(cid:100)모서리 CD, 모서리 CF, 모서리 DE, 모서리 EF ㄴ. 의 4개이다. 이상에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cid:8951) ⑤ 333 평면 AHG는 꼭짓점 B를 지나므로 평면 AHGB 와 평행한 모서리는 평면 ABC와 평면DEF 는 서로 평행하므로 평 면 DEF 위의 모든 직 선은 평면 ABC와 평 행하다. sin 2a=2sin a cos a cos 2a=cos¤ a-sin¤ a tan 2a= 2 tan a 1-tan¤ a 모서리 DC, 모서리 EF 의 2개이다. 평면 AHG와 평면 AHGB는같은평면이다. (cid:8951) ③ 334 평면 CIJD와 평면GHIJKL의 교선은 직선 IJ 이므로 직선 IJ와 꼬인 위치에 있는 직선은 직선 AB, 직선 BC, 직선 DE, 직선 EF, 직선 AG, 직선 BH, 직선 EK, 직선 FL 의 8개이다. 335 ㄱ. 오른쪽 그림과 같이 l∥m, ㄴ. l∥n이면 m∥n이다. ㄴ. 오른쪽 그림과 같이 l∥a, l∥b ㄴ. 이지만 두 평면a , b가 만날 수 도 있다. (cid:8951) 8 m n ∫ l l l å å ㄷ. 오른쪽 그림과 같이 l∥a, m∥a m ㄴ. 이지만 두 직선 l, m이 한 점에 서 만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뿐이다. (cid:8951) ① △ABC, △AEB는 모 두 ∠B=90°인 직각이등 변삼각형이므로 (cid:100)AB”=BC”, AB”=BE” 338 림과 같이 AB”⊥BE”가 되도록 오른쪽 그 직선 AD 위에 점 E를 잡으면 AB”=BC”, AB”=BE” ∴ BC”=BE” y ㉠(cid:100)(cid:100) å 45æ A 45æ C B ∫ E D ● 30% Ⅲ. 공간도형과 공간벡터 61 E0429_일품기벡_정(058-071) 2015.4.29 2:46 PM 페이지62 SinsagoHitec AB”=a라 하면 (cid:100)(cid:100)AC”=AE”='2a ㉠에서 △CEB는 ∠B=90°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 yy ㉡(cid:100)(cid:100)● 20% 므로 CE”='2a ㉡, ㉢에서 △AEC는 정삼각형이므로 yy ㉢(cid:100)(cid:100)● 20% ∠CAE=60° ∴ ∠CAD=60° 339 ㄱ. 오른쪽 그림과 같이 l⊥a, ㄴ. l⊥b이면 a∥b이다. l ㄴ. 오른쪽 그림과 같이 l⊥a, m⊥a ㄴ. 이면 l∥m이다. ㄷ. 오른쪽 그림과 같이 l⊥a, m∥a 이지만 두 직선 l, m이 꼬인 위 치에 있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 30% (cid:8951) 60° m l m l (cid:8951) ③ ∫ å å å 340 정사각형의 두 대각선은 서로 수직이므로 (직선 AC)⊥(직선 BD) yy ㉠(cid:100)(cid:100) 또 평면 ABCD와 직선BF 가 수직이므로 (직선 AC )⊥(직선 BF) yy ㉡(cid:100)(cid:100) ㉠, ㉡에서(cid:100)(cid:100)(직선 AC)⊥(평면 BDF ) ∴ (직선 AC)⊥(직선 DF) ∴ ㈎ AC ㈏ BDF (cid:8951) ㈎ AC ㈏ BDF 341 PO”⊥a이고, 직선l은 평면 a에 포함되므로 (cid:100)(cid:100)PO”⊥l yy ㄱ(cid:100)(cid:100) 한편 OH”⊥l이므로 직선 l은 PO”와 OH”를 포함하는 평 yy ㄴ(cid:100)(cid:100) 면 PHO와 수직이다. 이때 PH”는 평면PHO에 포함되므로 (cid:100)(cid:100)PH”⊥l yy ㄱ(cid:100)(cid:100) 이상에서 위의 증명 과정에 이용된 성질은 ㄱ, ㄴ이다. (cid:8951) ③ J I 2 K O M H 342 CI’⊥(평면 GHIJKL), CM”⊥HK”이므로 삼수선의 정리 에 의하여 MI”⊥HK”이다. 즉 오른쪽 그림의 정육각형에서 △OHI는 정삼각형이므로 '3 2 MI”= ¥2='3 (cid:8951) '3 L G 62 정답 및 풀이 34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l 위의 한 점 A에서 두 å A l 직선 XY, m에 내린 수선의 X P 45æ 발을 각각 B, C라 하면 AB”⊥b, AC”⊥m이므로 삼 60æ C m ∫ B Y PB”=a라 하면 직각삼각형 APB에서 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BC”⊥m P’A”='2a 직각삼각형 BPC에서 PC”=PB” cos 60°=;2!;a 따라서 직각삼각형 APC에서 cos h= PC” P’A” = a ;2!; '2a = '2 4 1등급 |비|밀|노|트| 삼수선의 정리를 이용하여 두 직선 l, m을 포함하는 평면 위에 삼각형을 만들어 두 직선 l, m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구한다. 이때 두 평면 a, b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두 직선 l, m이 이루 는 각의 크기와 같지 않음에 주의한다. P 5 O 5Â2 A 4 å Q B 344 PO”⊥a, OQ”⊥AB” 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 여(cid:100)(cid:100)PQ”⊥AB” 직각삼각형 AQP에서 (cid:100)(cid:100)PQ”=øπ(5'2)¤ -4¤ ='∂34 따라서 직각삼각형 PQO에서 (cid:100)(cid:100)OQ”=øπ('∂34)¤ -5¤ =3 345 정리에 의하여 AC”⊥CD” 직각삼각형 ABC에서 AC”="√4¤ +3¤ =5 직각삼각형 BCD에서 CD”="√5¤ -3¤ =4 ∴ △ACD=;2!;¥4¥5=10 AB”⊥a, BC”⊥CD”이므로 삼수선의 이때 점 B와 평면ACD 사이의 거리를 h라 하면 삼각뿔 A-BCD의 부피에서 ;3!;¥△BCD¥AB”=;3!;¥△ACD¥h ;3!;¥{;2!;¥3¥4}¥4=;3!;¥10¥h :¡3º:h=8(cid:100)(cid:100)∴ h=:¡5™: (cid:8951) ① (cid:8951) ④ ● 20% ● 40% ● 40% (cid:8951) :¡5™: 직선 l이 평면a 에 수직 이면 직선 l은 평면a 위 의 모든 직선과 수직이다. E0429_일품기벡_정(058-071) 2015.4.29 2:46 PM 페이지63 SinsagoHitec 두 점 A, G에서 DE”에 내린 수선의 발이 일치 하려면 (cid:100)AD”=AE” 이어야 하고, 이때의 수 선의 발은 DE”의 중점 ● 20% 이다. 346 이 △ABC의 무게중심 G와 일치하므로 점 A의 평면 BCED 위로의 정사영 AD”=AE” ● 30% 또 DE”의 중점을 M이라 하면 AM”⊥DE”, MG”⊥DE” 이므로 두 평면 ADE, BCED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AM”과 MG”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 h=∠AMG 정삼각형 ABC에서 AM”+MG”=;3@;¥ ¥6=2'3 yy ㉠(cid:100)(cid:100) '3 2 직각삼각형 AMG에서(cid:100)(cid:100)AM” ¤ -MG” (AM”+MG”)(AM”-MG”)=('6)¤ 2'3(AM”-MG”)=6 ∴ AM”-MG”='3 ¤ =AG” yy ㉡(cid:100)(cid:100)● 30% ㉠, ㉡을 연립하여 풀면 3'3 AM”= , MG”= 2 '3 2 ∴ cos h= MG” AM” =;3!; 점 P는 OA”를 1:3으 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cid:100)AP”:PO”=3:1 (cid:100)∴ AP”:AO”=3:4 ● 20%(cid:100)(cid:8951) ;3!; 347 을 M이라 하면 BC”의 중점 A’M”⊥BC”, F’M”⊥BC” 이므로 두 평면 ABC, BCF 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AM”과 FM”이이루는각의크기와같다. (cid:100)(cid:100)∴ h=∠AMF B Ω M A E H C F 정팔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 하면 ● 30% A’M”=F’M”= a '3 2 직각삼각형 AMH에서 점 A에서 평면 BCDE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점 Q는 OB”를 3:1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cid:100)∴ BQ”:BO”=1:4 MQ” =P'Q'” =AB”-(AP'”+BQ'”) =8-(3+1) =4 cos ;2Ω;= MH” AM” = = '3 3 ;2A; '3 2 143 a ∴ cos h=2cos¤ ;2Ω;-1 ∴ cos h=2¥{ -1=-;3!; } '3 3 ● 40% ● 30% (cid:8951) -;3!; 348 AD”⊥△BCD, BC”⊥BD”이므로 삼수선의 정 리에 의하여(cid:100)(cid:100)AB”⊥BC” 직각삼각형 ABC에서(cid:100)(cid:100)AC”= 한편 AD”⊥△BCD에서 "√24¤ +7¤ =25 BD”⊥AD”, CD”⊥AD” 이므로 두 평면 ABD, ACD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터 벡 간 공 과 형 도 간 공 Ⅲ 본책 66쪽``…``68쪽 ∴ h=∠BDC 직각삼각형 ACD에서(cid:100)(cid:100)CD” = 따라서 직각삼각형 BCD에서 "√25¤ -15¤ =20 sin h= BC” CD” =;2¶0 (cid:8951) ④ 349 같이 두 점 P, Q의 밑면 위로의 오른쪽 그림과 정사영을 각각 P', Q', 점 Q를 지 O P M 나고 P'Q'”에 평행한 직선이 PP'” 과 만나는 점을 M이라 하면 PQ” Ω Q B A HP' Q' 와 원뿔의 밑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PQ”, MQ”가 이 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 h=∠PQM 점 O에서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APP'ª△AOH (AA 닮음)이므로 AP'”:AH”=AP”:AO”에서(cid:100)(cid:100)AP'”:4=3:4 ● 30% PP'”:OH”=AP”:AO”에서(cid:100)(cid:100)PP'”:8=3:4 △BQQ'ª△BOH (AA 닮음)이므로 BQ'”:BH”=BQ”:BO”에서(cid:100)(cid:100)BQ'”:4=1:4 ∴ AP'”=3 ∴ PP'”=6 ∴ BQ'”=1 ∴ QQ'”=2 PM”=PP'”-QQ'”=6-2=4이므로 직각삼 각형 PMQ에서 PQ”="√ PM” ∴ sin h= ¤ +MQ” PM” PQ” = ¤ ="√4¤ +4¤ =4'2 '2 2 350 [그림 1]과 같이 점 F에서 선분 BC와 평면BCD 에 내린 B E 30æ G [그림 1] EG”=EF” cos 30° EG”=2¥ ='3 '3 2 FG”=EF” sin 30°=2¥;2!;=1 FH”⊥(평면 BCD), FG”⊥BC”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cid:100)(cid:100)GH”⊥BC” 한편 [그림 2]에서 평면 ABC와 A 평면 BCD가 이루는 각의 크기 를 h라 하고, 점 A에서 평면 BCD에 내린 수선의 발을 I라 B 하면 점 I는 △BCD의 무게중 D Ω I M C [그림 2] Ⅲ. 공간도형과 공간벡터 63 ● 40% ● 30% (cid:8951) '2 2 F H C cos 2h=cos¤ h-sin¤ h 수선의 발을 각각 G, H라 하면 =2 cos¤ h-1 =1-2 sin¤ h BD”와 CD”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심이므로 D (cid:100)BQ”:QO”=1:3 QQ'”:OH”=BQ”:BO”에서(cid:100)(cid:100)QQ'”:8=1:4 ¤ ¤ E0429_일품기벡_정(058-071) 2015.4.29 2:46 PM 페이지64 SinsagoHitec h=∠BAF cos h= AF” AB” = ;2!;a '2a = '2 4 (cid:8951) ③ (cid:100)(cid:100)cos h= ;3!; D’M” =;3!; (∵ AM”=DM”) AM” 이때 두 평면 ABC와 BCD가 이루는 각의 크기 h는 MI” A’M” = [그림 1]에서 두 선분 FG와 GH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으므로 h=∠FGH 따라서 cos h= GH” FG” =;3!;이므로 (cid:100)(cid:100)GH”=;3!; (∵ FG”=1) 형 EGH에서 EH”=øπEG” ¤ +GH” EH”=æ≠('3)¤ +{;3!;} ¤ = 2'7 3 EF”의 평면 BCD 위로의 정사영은 EH”이므로 직각삼각 (cid:8951) ② EF”의 평면BCD 위로의 정사영의 길이를 EF” cos h=;3!;EF”로 계산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351 AM”이 평면a 위에 오 도록 △ABC를 평행이동시키 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å B Ω M A B' 이때 BB'”⊥a, BM”⊥AM”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 하여(cid:100)(cid:100)B'M”⊥AM” 즉 평면 ABC와 평면 a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BM”과 B'M”이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 h=∠BMB' 직각삼각형 ABB'에서(cid:100)(cid:100)BB'”="√8¤ -7¤ ='∂15 직각삼각형 BMB'에서(cid:100)(cid:100)B'M”="√4¤ -('∂15)¤ =1 ∴ cos h= B'M” BM” =;4!; 352 평면 a와 이루는 각의 크 햇빛이 기가 30°이므로 햇빛은 평 ∫ 면 b와 수직으로 만난다. 60æ ● 20% l 120æ 평면 a에 생긴 그림자의 넓이를 S¡이라 하면 S¡ cos 60°=;2!;_p_10¤ ;2!;S¡=50p(cid:100)(cid:100)∴ S¡=100p S™=;2!;_p_10¤ =50p 따라서 그림자의 넓이의 합은 S¡+S™=150p ∴ a=150 64 정답 및 풀이 AB'”=A'B'”=7 BM”=;2!;BC”=4 (cid:8951) ③ △PBQ는 PB”=PQ”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PM”은 BQ”의 수직이등 분선이다. BC”="√1¤ +('3)¤ =2 BM”=;2!;BQ”= '6 2 △ABC의 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N이라 하면 (cid:100)AB”¥AC”=BC”¥AN” (cid:100)1¥'3=2¥AN” '3 (cid:100)∴ AN”= 2 (cid:100)∴ PH”=AN”= '3 2 ● 30% ● 30% ● 20% (cid:8951) 150 353 AD”를 접는 선으로 하여 △ABD와 △ADC가 수직이 되도록 접으면 오른 쪽 그림과 같이 △ABD와 △ADC는 서로 수직인 두 평면 위에 놓인다. E B D C 45æ A 60æ F 이때 점 B에서 직선 AD에 내린 수선의 발을 E라 하고 점 E에서 AC”에 내린 수선의 발을 F라 하면 BE”⊥(평면 ADC), EF”⊥AC” 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cid:100)(cid:100)BF”⊥AC” AE”=a라 하면 직각삼각형 ABE에서 AB”='2a 직각삼각형 AEF에서 AF”=AE” cos 60°=;2!;a 따라서 직각삼각형 AFB에서 이때 CA”='3이므로 (cid:8772)ACQP는 직사각형이다. D E P 2 Ω H B M C F Q 354 직각삼각형 ABP에서(cid:100)(cid:100) PB”="√1¤ +('2)¤ ='3 ∴ PQ”=PB”='3 ∴ CQ”=AP”='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P 에서 평면 BCFE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BQ”의 중 A 점을 M이라 하면 PH”⊥(평면 BCFE), PM”⊥BQ” 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HM”⊥BQ” ∴ h=∠PMH 직각삼각형 BCQ에서 BQ”="√2¤ +('2)¤ ='6 이므로 직각삼각형 PBM에서 PM”=æ≠('3)¤ -{ '6 2 ¤ = } '6 2 '3 2 HM”=æ≠{ ∴ cos h= '6 2 ¤ -{ } HM” PM” = ¤ = } '3 2 '3 2 '2 2 '2 2 ∴ 30 cos¤ h=30¥{ =15 } (cid:8951) 15 å HM”이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즉 두 평면PBQ, BCFE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PM”과 또 평면 b에 생긴 그림자의 넓이를 S™라 하면 이때 PH”= 이므로 직각삼각형 PHM에서 ¤ ¤ E0429_일품기벡_정(058-071) 2015.4.29 2:46 PM 페이지65 SinsagoHitec 본책 68쪽``…``69쪽 1등급 |비|밀|노|트| 리하다. 일치한다. 정사면체와 관련된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기억하면 편 ① 한 꼭짓점에서 밑면에 내린 수선의 발은 밑면의 무게중심과 ② 두 면이 이루는 각h에 대하여 cos h=;3!;이다. 357 구하는 수면의 넓이는 오른 쪽 그림의 어두운 부분의 넓이와 같 다. 이때 수면과 밑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cid:100)(cid:100)cos h= 3 "√3¤ +4¤ 구하는 수면의 넓이를 S라 하면 =;5#; S cos h=p¥{;2#;} ¤ ,(cid:100)(cid:100);5#;S=;4(;p 3 Ω 4 터 벡 간 공 과 형 도 간 공 (cid:8951) 19 Ⅲ (cid:8951) ④ 따라서 a=4, b=15이므로 ∴ S=:¡4∞:p (cid:100)(cid:100)a+b=19 1등급 |비|밀|노|트| 수면을 포함한 평면을 a, 밑면을 포함한 평면을 b라 할 때, 수면 의 평면b 위로의 정사영은 밑면이 된다. 이때 밑면의 평면 a 위로의 정사영이 수면이라고 생각하지 않도 록 주의한다. 직각삼각형 BCE에서 (cid:100)EC”="√2¤ -1¤ ='3 직각삼각형 ECG에서 (cid:100)EG”="√('3)¤ -1¤ ='2 따라서 EF”=FG”=1, EG”='2이므로 △EFG 는 빗변이 EG”인 직각 이등변삼각형이다. 358 구의 중심을 지나면서 평 면 BCDE에 평행한 평면이 구를 자른 단면은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이다. 이때 이 원을 꼭짓점A 에 원의 중심이 놓이도록 평행하게 이동하면 구의 그림자의 넓이의 B 합은 원이 사각뿔의 4개의 옆면에 생기는 그림자의 넓이의 합과 같다. A E 4 D C 355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A에서 밑면에 내린 수선 의 발을B, 직선 l과 평면 a 가 만나는 점을 C라 하면 직 선 BC는 원기둥의 밑면의 접 선이다. l å A 8 H 45æ C 4 B O 따라서 OB”⊥BC”, OB”⊥AB”이므로 OB”⊥(평면 ABC) 이때 점 B에서 직선 l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OB”⊥(평면 ABC), BH”⊥l 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OH”⊥l 이때 즉 OH”의 길이는 점 O와 직선l 사이의 거리와 같다. BC”=AB”="√8¤ -4¤ =4'3, '2 BH”=BC” sin 45°=4'3¥ =2'6 2 이므로 직각삼각형 HBO에서 OH”="√(2'6)¤ +4¤ =2'∂10 356 ㄱ. EF”∥AC”이고 HG”∥AC”이므로 ㄱ. (cid:100)(cid:100)EF”∥HG” ㄱ. 또 EF”=HG”=;2!; AC”이므로 (cid:8772)EFGH는 평행사변 ㄱ. 형이다. ㄱ. 따라서 네 점 E, F, G, H는 한 평면 위에 있다. ㄴ. EF”=;2!;AC”=1, FG”=;2!;BD”=1이므로 직각삼각 ㄴ. 형 EFG의넓이는 ㄴ. (cid:100)(cid:100);2!;¥1¥1=;2!; ㄷ. △BCD의 무게중심을 M이 라 하면 꼭짓점 A의 평면 BCD 위로의 정사영은 △BCD의 무게중심과 같으 B 므로 AB”의 평면BCD 위로 의 정사영은 MB”이다. A E M FE' C H D G 즉 점 E의 평면BCD 위로의 정사영 E'은 MB” ”의 중점이고 △EFG의 평면BCD 위로의 정사영은 △E'FG다. 이때 (cid:100)(cid:100)E’'F”∥CM”, (cid:100)(cid:100)E’'F”=;2!;CM”=;2!;¥{;3@;¥ '3 2 '3 ¥2}= , 3 ㄷ. (cid:100)(cid:100)FG”∥BD”, FG”=;2!; BD”=;2!;¥2=1 ㄷ. 이고, BD”⊥CM”에서 FG”⊥E'F”이므로 '3 3 ㄷ. (cid:100)(cid:100)△E'FG=;2!;¥E’'F”¥FG”=;2!;¥ ¥1= '3 6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뿐이다. (cid:8951) ① 정사각형 BCDE의 두 대각선의 교점을 H라 하면 △ABC의 평면 BCDE 위로의 정사영 은 △HBC이다. 원과 평면 ABC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h는 두 평면 ABC, BCDE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이때 정삼각형 ABC의 넓이는 ¥4¤ =4'3이고 정사 '3 4 각형 BCDE의 넓이는 16이므로 cos h= 4 4'3 = '3 3 따라서 구하는 그림자의 넓이의 합을 S라 하면 '3 p=S cos h= S(cid:100)(cid:100)∴ S='3p 3 따라서 a='3이므로(cid:100)(cid:100)a¤ =3 (cid:8951) 3 Ⅲ. 공간도형과 공간벡터 65 E0429_일품기벡_정(058-071) 2015.4.29 2:46 PM 페이지66 SinsagoHitec 07 공간좌표 359 주어진 직육면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A(0, 0, 1), B(3, 0, 1), C(0, 2, 1), D(3, 0, 0), 1 z A O 본책 70쪽 C F 2 P{3,`2,`1} y E B D x 3 E(3, 2, 0), F(0, 2, 0) 따라서 a+b+c의 값이 최대인 점은 E(3, 2, 0)이므 로 구하는 최댓값은 5이다. (cid:8951) ③ 360 점 P(-2, 1, 3)과 xy평면에 대하여 대칭인 점은 Q(-2, 1, -3)이므로 점 Q에서 y축에 내린 수 선의 발의 좌표는 (0, 1, 0)이다. (cid:8951) (0, 1, 0) 361 점 P(2, a, b)와 z축에 대하여 대칭인 점은 Q(-2, -a, b)이므로 -a=0(cid:100)(cid:100)∴ a=0 점 P(2, a, b)에서 yz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은 H(0, a, b)이므로 b=-4 ∴ a+b=-4 (cid:8951) -4 362 PA”="√1¤ +(a-1)¤ ="√a¤ -2a+2, PB”="√2¤ +1¤ ='5 이때 PA”=2PB”이므로 "√a¤ -2a+2=2'5 ∴ a¤ -2a-18=0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2이다. (cid:8951) ② 363 점 P(5, 3, -4)와 yz평면에 대하여 대칭인 점은 점 Q(1, -1, 2)와 x축에 대하여 대칭인 점은 P'(-5, 3, -4) Q'(1, 1, -2) ’Q'”="√ ∴ P’'’ =2'∂11 √(1+5)¤ +(1-√3)¤ √+(-2+4)¤ (cid:8951) ② 364 점 R의 좌표를 (a, 0, 0)이라 하면 PR” QR” ¤ =(a-2)¤ +(-1)¤ +(-2)¤ =a¤ -4a+9 ¤ =(a+3)¤ +(-3)¤ +(-1)¤ =a¤ +6a+19 ¤ 이므로 ¤ =QR” PR”=QR”에서 PR” a¤ -4a+9=a¤ +6a+19 10a=-10(cid:100)(cid:100)∴ a=-1 66 정답 및 풀이 365 AB”를 3:1로 내분하는 점 C의 좌표는 3¥3+1¥3 3+1 3¥1+1¥5 3+1 3¥5+1¥1 3+1 , , { } ∴ C(4, 3, 2) 두 점A(x¡, y¡, z¡), B(x™, y™, z™)에 대하여 AB”의 중점의 좌표는 (cid:100){ x¡+x™ 2 , y¡+y™ 2 , (cid:100) z¡+z™ 2 } 따라서 점 D의 좌표는 (4, 3, 0)이므로 CD”의 중점의 좌표는 4+4 2 { , 3+3 2 , 2+0 2 }, 즉 (4, 3, 1) (cid:8951) (4, 3, 1) 점 (a, b, c)를 좌표평면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의 좌표는 ① xy평면 (cid:8857) (a, b, -c) ② yz평면 (cid:8857) (-a, b, c) ③ zx평면 (cid:8857) (a, -b, c) 366 점 A(2, 3, 4)와 x축에 대하여 대칭인 점은 점 A(2, 3, 4)와 yz평면에 대하여 대칭인 점은 따라서 PQ”를 2:1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2¥3-1¥(-3) 2-1 , P(2, -3, -4) Q(-2, 3, 4) { 2¥(-2)-1¥2 2-1 2¥4-1¥(-4) 2-1 , } ∴ (-6, 9, 12) (cid:8951) ⑤ 367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1-2+a 3 { , 2+3+b 3 , 3+4+c 3 } 이 점이 원점과 일치하므로 a-1 3 =0, =0, b+5 3 c+7 3 =0 따라서 a=1, b=-5, c=-7이므로 (cid:100)(cid:100)a+b+c=-11 (cid:8951) ① 이 구가 원점을 지나므로 (-2)¤ +3¤ +(-1)¤ =r¤ (cid:100)(cid:100)∴ r¤ =14 따라서 구의 방정식은 (x-2)¤ +(y+3)¤ +(z-1)¤ =14 즉 x¤ +y¤ +z¤ -4x+6y-2z=0이므로 (cid:100)(cid:100)a=-4, b=6, c=-2, d=0 ∴ a+b+c+d=0 (cid:8951) 0 369 주어진 구의중심은 AB”의중점이므로그좌표는 (cid:100)(cid:100){ -2+6 2 , -4+2 , 2 6+6 2 }, 즉 (2, -1, 6) 또 AB”가 구의 지름이므로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2!;AB”=;2!;"√(6+2)¤ +(2+4)¤ +√(6-6)¤ =5 따라서 구의 방정식은 (x-2)¤ +(y+1)¤ +(z-6)¤ =5¤ 이차방정식 ax¤ +bx+c=0의 두 근 을 a, b라 하면 (cid:100)a+b=- , ab= ;aB; ;aC; 368 구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구의 중심의 좌 표가 (2, -3, 1)이므로 주어진 구의 방정식은 (x-2)¤ +(y+3)¤ +(z-1)¤ =r¤ (cid:100)(cid:100) ∴ R(-1, 0, 0) (cid:8951) (-1, 0, 0) 이므로 ’ E0429_일품기벡_정(058-071) 2015.4.29 2:46 PM 페이지67 SinsagoHitec a=2, b=-1, c=6, r=5 ∴ a+b+c+r=12 1등급 |비|밀|노|트| 두 점 A, B를 지름의 양 끝 점으로 하는 원 또는 구의 중심은 AB”의 중점과 일치하고, 반지름의 길이는 ;2!;AB”와 같다. (cid:8951) ① CH”=3 점 (a, b, c)와 yz평면 사이의 거리는 |a|와 같 다. 직각삼각형 ACH에서 AC”="ç4¤ +3¤ =5 따라서 구하는 구의 방정식은 (x-3)¤ +(y+4)¤ +z¤ =25 본책 70쪽``…``72쪽 또 주어진 구의 중심과 yz평면 사이의 거리는 3이므로 구가 점 (1, 2, 3)을 지 나므로 구의 중심의 x 좌표, y좌표, z좌표는 모두 양수이다. 두점(2, 6, 5), (7, 2, 8) 사이의 거리로 구할 수도 있다. 370 xy평면, yz평면, zx평면에 동시에 접하고 반지 름의 길이가 r인 구의 방정식은 두 구의 반지름의 길이를 각각 r¡, r™라 하면 이차방정 (x-r)¤ +(y-r)¤ +(z-r)¤ =r¤ 이 구가 점 (1, 2, 3)을 지나므로 (1-r)¤ +(2-r)¤ +(3-r)¤ =r¤ ∴ r¤ -6r+7=0 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r¡+r™=6, r¡r™=7 따라서 두 구의 부피의 합은 ;3$;pr¡‹ +;3$;pr™‹ =;3$;p(r¡‹ +r™‹ ) =;3$;p{(r¡+r™)‹ -3r¡r™(r¡+r™)} =;3$;p(6‹ -3¥7¥6)=120p (cid:8951) ② 371 zx평면 위의 점은 y좌표가 0이므로 주어진 구의 방정식에 y=0을 대입하면 x¤ +(0-3)¤ +z¤ =16(cid:100)(cid:100)∴ x¤ +z¤ =7 따라서 a=0, b=0, c=0, r='7이므로 a+b+c+r='7 (cid:8951) ② 372 구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구의 중심의 좌 표가 (2, 6, 5)이므로 주어진 구의 방정식은 (x-2)¤ +(y-6)¤ +(z-5)¤ =r¤ 이 구가 점 (7, 2, 8)을 지나므로 (7-2)¤ +(2-6)¤ +(8-5)¤ =r¤ (cid:100)(cid:100)∴ r¤ =50 즉 구의 방정식은 (x-2)¤ +(y-6)¤ +(z-5)¤ =50 xy평면 위의 점은 z좌표가 0이므로 위의 식에 z=0을 대입하면 (x-2)¤ +(y-6)¤ =25 따라서 구하는 원의 둘레의 길이는 2p¥5=10p (cid:8951) ③ 373 오른쪽 그림과 같이 구 의 중심을 C, 점 C에서 yz평면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구와 yz평면의 교선 위의 한 점을 A yz평면 라 하면 p¥AH” ¤ =16p(cid:100)(cid:100)∴ AH”=4 C 3 H A 4 터 벡 간 공 과 형 도 간 공 Ⅲ (cid:8951) (x-3)¤ +(y+4)¤ +z¤ =25 구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구의 중심의 좌표가 (3, -4, 0)이므로 주어진 구의 방정식은 (x-3)¤ +(y+4)¤ +z¤ =r¤ yz평면 위의 점은 x좌표가 0이므로 위의 식에 x=0을 대입하면 (y+4)¤ +z¤ =r¤ -9 이때 r¤ -9=16에서(cid:100)(cid:100)r¤ =25 ∴ (x-3)¤ +(y+4)¤ +z¤ =25 374 x¤ +y¤ +z¤ -2x+4y-4z+a=0에서 (cid:100)(cid:100)(x-1)¤ +(y+2)¤ +(z-2)¤ =9-a x¤ +y¤ +z¤ +2x-2z-2=0에서 (x+1)¤ +y¤ +(z-1)¤ =4 따라서 두 구의 중심의 좌표가 각각 (1, -2, 2), (-1, 0, 1) 이므로 두 구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1-1)¤ +(0+2)√ ¤ +(1-2)¤ =3 두 구가 외접하려면 두 구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이 중심 사이의 거리와 같아야 하므로 '∂9-a+2=3,(cid:100)(cid:100)'∂9-a=1 9-a=1(cid:100)(cid:100)∴ a=8 (cid:8951) ③ 375 x¤ +y¤ +z¤ -2x-4y+6z+5=0에서 (x-1)¤ +(y-2)¤ +(z+3)¤ =9 x¤ +y¤ +z¤ -2x+4y=a에서 (x-1)¤ +(y+2)¤ +z¤ =a+5 따라서 두 구의 중심의 좌표가 각각 (1, 2, -3), (1, -2, 0) 이므로 두 구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ø∑(1-1)¤ +π(-2-2)¤ +(0+3)¤ =5 두 구가 내접하려면 두 구의 반지름의 길이의 차가 중심 사이의 거리와 같아야 하므로 |'∂a+5-3|=5,(cid:100)(cid:100)'∂a+5-3=—5 ∴ '∂a+5=8 (∵ '∂a+5>0) 따라서 두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각각 3, 8이므로 구하 는 곱은 24이다. (cid:8951) ② 376 x¤ +y¤ +z¤ +4x-12y+6z+40=0에서 (cid:100)(cid:100)(x+2)¤ +(y-6)¤ +(z+3)¤ =9 두 구의 중심을 각각 C, C'이라 하면 C(0, 0, 0), C'(-2, 6, -3) Ⅲ. 공간도형과 공간벡터 67 E0429_일품기벡_정(058-071) 2015.4.29 2:46 PM 페이지68 SinsagoHitec 즉 점P는 C’C'”을 4:3으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그 좌 따라서a=0, b=0, c=-6, d=-5, 점 A(0, 0, 6)과 xy평면에 대하여 대칭인 점의 좌표는 점 B(5, '2, 3)과 z축에 대하여 대칭인 점의 좌표는 (0, 0, -6) (-5, -'2, 3) 점 P가 CC'” 위에 있고, CP”=4, C'P”=3이므로 점 P는 CC'”을 4:3으 로 내분하는 점이다. e=-'2, f=3이므로 a+b+c+d+e+f=-8-'2 ● 30% ● 20% (cid:8951) -8-'2 이므로 두 구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C’C'”=øπ(-2)¤ +6¤ +(-3)¤ =7 이때 C’C'”은 두 구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과 같으므로 두 구는 외접한다. 표는 (cid:100)(cid:100)a+b+c=;7$; 1등급 |비|밀|노|트| P{ 4¥(-2)+3¥0 4+3 , 4¥6+3¥0 4+3 , 4¥(-3)+3¥0 4+3 } ∴ P{-;7*;, :™7¢:, -:¡7™:} 따라서 a=-;7*;, b=:™7¢:, c=-:¡7™:이므로 두 구(x-a¡)¤ +(y-b¡)¤ +(z-c¡)¤ =r¡¤ , (x-a™)¤ +(y-b™)¤ +(z-c™)¤ =r™¤ 이 외접할 때 접점의 좌표 는 두 점 (a¡, b¡, c¡), (a™, b™, c™)를 이은 선분을 r¡:r™ (r¡>0, r™>0)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와 같다. (cid:8951) 2 F C y 377 점 P의 좌표는 (2a, 2a, a)이므로 점 P와 원점 에 대하여 대칭인 점의 좌표는 (-2a, -2a, -a)이다. 따라서 l=-2a, m=-2a, n=-a이므로 lm+n=14에서 -2a¥(-2a)-a=14 4a¤ -a-14=0,(cid:100)(cid:100)(4a+7)(a-2)=0 (cid:100)(cid:100)∴ a=2 (∵ a>0) 378 ∠GOA=90°이므로 평행사변형 OCFG는 yz평 면 위에 있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꼭짓점 E에서 xy평면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 면 ∠EBH=60°이므로 z G 60æ E O D 2 6 A 4 B H x BH”=EB” cos 60°=2¥;2!;=1, EH”=EB” sin 60°=2¥ ='3 '3 2 또 OA”=6이므로 꼭짓점 E의 좌표는 (6, 4+1, '3), 즉 (6, 5, '3 ) (cid:8951) (6, 5, '3) 379 므로 점 A의 z좌표도 양수이다. 조건 ㈎에서 점 B의 z좌표가 양수이 ● 20% OA”=6이므로 점 A의 좌표는 조건 ㈏에 의하여 점 B의 좌표를 (5, '2, k) (k>0)라 하고 점 B에서 OA”에 내린 수선의 발을 M이라 하면 (0, 0, 6) M(0, 0, k) 이때 OM”=;2!;OA”=3이므로(cid:100)(cid:100)k=3 ● 30% 68 정답 및 풀이 (cid:8951) ;7$; 두 양수 a, b에 대하여 (cid:100) a+b 2 æ'∂ab, 즉 (cid:100)a+bæ2'∂ab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 의하여 ∠EBH=∠DAB =∠GOC =60° 380 PQ”="√(b-a)¤ +(b+a)√ ="√2a¤ +2b¤ +1 ¤ +(2-1)¤ 이때 a>0, b>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2a¤ +2b¤ +1æ2"√2a¤ ¥2b¤ +1 =4ab+1=4¥2+1=9 따라서 PQ”의 길이의 최솟값은 3이다. (cid:8951) ④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 381 AB”="√(4-2)¤ +(5-1√)¤ +(1+3)¤ =6 두 점 A, B의 xy평면 위로의 정사영은 각각(cid:100)(cid:100) A'(2, 1, 0), B'(4, 5, 0) 이므로(cid:100)(cid:100)A'B'”="√(4-2)¤ +(5-1)¤ =2'5 따라서 A’'’B'”=AB” cos h에서 A’'’B'” AB” cos h= '5 3 = (cid:8951) ⑤ 382 a>0에서 두 점 A, B의 z좌표의 부호가 같으 므로 두 점은 좌표공간에서 xy평면을 기준으로 같은 쪽 점 A와 xy평면에 대하여 대칭인 점을 A'이라 하면 에 있다. A'(1, 3, -8) 오른쪽 그림에서 AP”+BP” =A’'P”+BP” æA’'B” =øπ(3-1)¤ +(4-3)¤ =øπa¤ +16a+69 A B P xy π+(a+8)¤ A' 따라서 øπa¤ +16a+69=3'∂14이므로 a¤ +16a-57=0,(cid:100)(cid:100)(a+19)(a-3)=0 ∴ a=3 (∵ a>0) (cid:8951) ④ 1등급 |비|밀|노|트| 두 점 A, B와 평면 a 위의 한 점 P에 대하여 AP”+BP”의 최솟 값은 ① 두 점 A, B가 평면 a에 대하여 서로 다른 쪽에 있으면 (cid:8857) AB”의 길이와 같다. ② 두 점 A, B가 평면 a에 대하여 같은 쪽에 있으면 (cid:8857) 두 점 중 한 점과 평면a에 대하여 대칭인 점을 찾아 ①을 이용한다. E0429_일품기벡_정(058-071) 2015.4.29 2:46 PM 페이지69 SinsagoHitec 383 직선 AB와 x축은 서로 평행하므로 한 평면을 결정한다. 이 평면에서 두 점 A, B는 x축을 기준으로 같은 쪽에 있다. 점 A와 x축에 대하여 대칭인 점을 A'이라 하면 A'(1, -1, -1) 오른쪽 그림에서 AP”+BP” =A'P”+BP” æA'B” =øπ(-4-1)¤ +(1+1)π ='∂33 A' A P ¤ +(1+1)¤ 384 에서 yz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 두 점A , B 을 각각C, D라 하면 (cid:100)(cid:100)AC”=|-3a|=3a, C yz평면 D P BD”=|3a|=3a ● 30% A 이때 △ACP™△BDP(ASA 합동)이므로 AP”=BP” 즉 점 P는 AB”의 중점이므로 P{ -3a+3a 2 , 2a+(-a) 2 , a+4a } 2 ∴ P{0, ;2A; , ;2%;a} 평면의 결정 조건 ① 한 직선 위에 있지 않 은 세 점 ② 한 직선과 그 위에 있 지 않은 한 점 ③ 한 점에서 만나는 두 직선 ④ 평행한 두 직선 △ACP와 △BDP에서 (cid:100)AC”=BD”, (cid:100)∠ACP=∠BDP =90°, (cid:100)∠PAC =90°-∠APC =90°-∠BPD =∠PBD ∴ a=0, b=;2A; , c=;2%;a 이때 a+b+c=4이므로 ● 50% 이므로 (cid:100)△ACP™△BDP (ASA 합동) +;2%;a=4,(cid:100)(cid:100)3a=4 ;2A; ∴ a=;3$; x B (cid:8951) ③ B ● 20% (cid:8951) ;3$; 385 O’A”="√1¤ +3¤ +3¤ ='∂19, OB”="√2¤ +(-5)¤ +3¤ ='∂38이므로 OA”:OB”=1:'2 오른쪽 그림의 △OAB에서 OA”:OB”=AC”:BC” =1:'2 C{ 즉 점 C는 AB”를 1:'2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1¥2+'2¥1 1+'2 2+'2 1+'2 따라서 a+b+c= ∴ C{ , , 7'2 1+'2 p=14, q=-7 (cid:100)(cid:100)∴ p+q=7 O C Â19° A Â38° B 1¥3+'2¥3 1+'2 } , 1¥(-5)+'2¥3 1+'2 , -5+3'2 1+'2 3+3'2 1+'2 } =14-7'2이므로 터 벡 간 공 과 형 도 간 공 Ⅲ 본책 72쪽``…``75쪽 1등급 |비|밀|노|트| 삼각형의 내각의 이등분선의 성질을 이용하는 문제는 두 점 사이 의 거리, 선분의 내분점과 외분점에 관련된 문제에서 자주 쓰이 므로 반드시 기억하도록 한다. 오른쪽 그림의 △ABC에서 ∠BAD=∠CAD이면 (cid:100)(cid:100)AB”:AC”=BD”:CD” A B D C 386 AB”를 2:1로 내분하는 점의 y좌표가 0이므로 2¥4+1¥a 2+1 =0,(cid:100)(cid:100)8+a=0(cid:100)(cid:100)∴ a=-8 AB”를 1:3으로 내분하는 점의 z좌표가 0이므로 1¥b+3¥(-1) 1+3 ∴ a+b=-5 =0,(cid:100)(cid:100)b-3=0(cid:100)(cid:100)∴ b=3 (cid:8951) ① 387 AP”=;5@;AB”에서(cid:100)(cid:100)5AP”=2AB” ∴ AP”:AB”=2:5 즉 점 P는 AB”를 2:3으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P{ 2¥(-1)+3¥3 2+3 , 2¥0+3¥(-1) 2+3 , 2¥5+3¥2 2+3 } ∴ P{;5&;, -;5#;, :¡5§:} 따라서 a=;5&;, b=-;5#;, c=:¡5§:이므로 a+b+c=4 (cid:8951) 4 AP”:AB”=2:5에서 점 B는 AP”를 5:3으로 외분하 는 점임을 이용하여 점 P의 좌표를 구할 수도 있다. 388 중심의 좌표가 (2, 5, -1)이고 zx평면에 접하 는 구의 방정식은 (x-2)¤ +(y-5)¤ +(z+1)¤ =25 y축 위의 점은x좌표와 z좌표가 모두 0이므로 위의 식 에 x=0, z=0을 대입하면 (-2)¤ +(y-5)¤ +1¤ =25,(cid:100)(cid:100)(y-5)¤ =20 y-5=—2'5(cid:100)(cid:100)∴ y=5—2'5 따라서 두 점 A, B의 좌표는 (0, 5+2'5, 0), (0, 5-2'5, 0)이므로 AB”=5+2'5-(5-2'5)=4'5 (cid:8951) 4'5 389 두 구C¡, C™ 의 xy평면 위로의 정사영의 방정 식은 각각 (x-a-1)¤ +y¤ =25, (x-1)¤ +(y-2)¤ =16 이 두 원의 중심의 좌표가 각각 (a+1, 0, 0), (1, 2, 0)이므로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a¤ +4 두 원이 외접하려면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이 중심 Ⅲ. 공간도형과 공간벡터 69 (cid:8951) ① 사이의 거리와 같아야 하므로 E0429_일품기벡_정(058-071) 2015.4.29 2:46 PM 페이지70 SinsagoHitec (cid:8951) ③ yz평면 위에 있는 원이 y축에 접하면 반지름의 길이는 |(중심의 z좌 표)|와 같다. xy평면 위의 점은 z좌 표가 0이므로 주어진 구 의 방정식에 z=0을 대 입한다. "√a¤ +4=5+4,(cid:100)(cid:100)a¤ +4=81 ∴ a¤ =77 또 구 C™의 yz평면 위로의 정사영의 방정식은 (y-2)¤ +(z-b)¤ =16 이 원이 y축과 접하므로 |b|=4(cid:100)(cid:100)∴ b¤ =16 ∴ a¤ +b¤ =93 390 x¤ +y¤ +z¤ -4x-8y-4z+8=0에서 (x-2)¤ +(y-4)¤ +(z-2)¤ =16 이므로 주어진 구의 중심의 좌표는 (2, 4, 2)이고 반지 름의 길이는 4이다. 원뿔의 밑면이 xy평면 위에 있으므로 밑면인 원의 방정 식은 (x-2)¤ +(y-4)¤ =12 즉 주어진 구의 중심을 C, 점 C 에서 xy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 을 H라 하면 오른쪽 그림에서 CH”="√4¤ -(2'3)¤ =2 따라서 구하는 원뿔의 부피는 4 C 4 2Â3 H ;3!;¥p¥(2'3)¤ ¥6=24p (cid:8951) ④ 391 면 구의 방정식은 구의 중심의 좌표를 (3, 4, a)라 하 (x-3)¤ +(y-4)¤ +(z-a)¤ =100 ● 30% xy평면 위의 점은 z좌표가 0이므로 위의 식 에 z=0을 대입하면 (x-3)¤ +(y-4)¤ =100-a¤ 이 식이 (x-3)¤ +(y-4)¤ =25와 같으므로 100-a¤ =25,(cid:100)(cid:100)a¤ =75 ∴ a=—5'3 따라서 주어진 구의 방정식은 (x-3)¤ +(y-4)¤ +(z—5'3 )¤ =100 ● 40% yz평면 위의 점은 x좌표가 0이므로 위의 식 에 x=0을 대입하면 구하는 교선의 방정식은 (y-4)¤ +(z+5'3)¤ =91 또는 (y-4)¤ +(z-5'3)¤ =91 ● 30% (cid:8951) (y-4)¤ +(z+5'3)¤ =91 또는 (y-4)¤ +(z-5'3)¤ =91 A O B 392 1¤ +2¤ +3¤ =14<25 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A는 구 x¤ +y¤ +z¤ =25 의 내부에 있다. 즉 구와 평면의 교선 위의 한 점을 B라 하면 구와 평면이 70 정답 및 풀이 이때 O’A”=øπ1¤ +2¤ +3¤ ='∂14, OB”=5이므로 (cid:100)(cid:100)AB”="√5¤ -('∂14)¤ ='∂11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p¥('∂11)¤ =11p (cid:8951) ① 393 집합 A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의 좌표가 (0, 0,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3인 구이고, 집합 B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의 좌표가 (a, b, c)이고 반지름 의 길이가 2인 구이므로 두 구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øπa¤ +b¤ +c¤ 이때 A;B+Δ에서 두 구가 만나야 하므로 3-2…øπa¤ +b¤ +c¤ …3+2 ∴ 1…a¤ +b¤ +c¤ …25 따라서 점 (a, b, c)의 자취는 중심의 좌표가 (0, 0,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구와 중심의 좌표가 (0, 0,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5인 구의 사이 및 각각 의 구의 구면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부피는 (cid:100)(cid:100);3$;p¥5‹ -;3$;p¥1‹ = p 496 3 (cid:8951) ① 394 의 방정식은 주어진 두 구의 교선을 포함하는 구 (x¤ +y¤ +z¤ -2x-6y-4z-22) +k(x¤ +y¤ +z¤ +2x+4y+6z-11)=0 (k+-1) 이 구가 원점을 지나므로 x=0, y=0, yy ㉠(cid:100)(cid:100)● 40% z=0을 ㉠에 대입하면 -22-11k=0(cid:100)(cid:100)∴ k=-2 ● 30% k=-2를 ㉠에 대입하면 x¤ +y¤ +z¤ +6x+14y+16z=0 ∴ (x+3)¤ +(y+7)¤ +(z+8)¤ =122 ● 20% 따라서 구하는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122 ● 10% 이다. 395 △OPQ에서 OP”를 밑변으로 하면 높이는 z축 과 점Q 사이의 거리이고 OP”=2이므로 △OPQ=4에 서 z축과 점 Q 사이의 거리는 4이다. 따라서 점 Q가 나타내는 도형 의 방정식은 x¤ +y¤ =16, -2…z…2 이므로 점 Q가 나타내는 도형 은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4이고 중심의 x (cid:8951) '∂122 z 2 4 O -2 y 만나서 생기는 도형은 반지름이 AB”인 원이다. (cid:8951) ⑤ 좌표가 각각 (0, 0, -2), (0, 0, 2), 높이가 4인 원기 (원기둥의 옆넓이) 둥의 옆면이다. =(밑면의 둘레의 길이) _(원기둥의 높이)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2p¥4¥4=32p E0429_일품기벡_정(058-071) 2015.4.29 2:46 PM 페이지71 SinsagoHitec (cid:8951) 4 터 벡 간 공 과 형 도 간 공 Ⅲ 본책 75쪽``…``76쪽 398 P(2 sin a cos b, 2 cos a cos b, 2 sin b)에서 x=2 sin a cos b, y=2 cos a cos b, z=2 sin b 라 하면(cid:100)(cid:100) x¤ +y¤ +z¤ =4 sin¤ a cos¤ b+4 cos¤ a cos¤ b+4 sin¤ b =4 cos¤ b(sin¤ a+cos¤ a)+4 sin¤ b =4 cos¤ b+4 sin¤ b =4(sin¤ b+cos¤ b)=4 ∴ x¤ +y¤ +z¤ =4 yy ㉠(cid:100)(cid:100) 즉 점 P의 자취는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 이때 yz평면 위의 점은 x좌표가 0이므로 x=0을 ㉠에 인 구이다. 대입하면 y¤ +z¤ =4 p¥2¤ =4p 이므로(cid:100)(cid:100)a=4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399 xy평면, yz평면, zx평면에 모두 접하고 중심의 좌표가 모두 양수인 두 구의 반지름의 길이를 각각 r, r' (r>r')이라 하면 두 구의 중심의 좌표를 각각 C(r, r, r), C'(r', r', r')으로 놓을 수 있다. π +(r-r')¤ ∴ CC'”=øπ(r-r')¤ +(r-r')¤ ='3(r-r') (∵ r>r') 이때 두 구의 중심C, C'의 xy 평면 위로의 정사영을 각각 H, C' H' Ω xy C H H(r, r, 0), H'(r', r', 0) H'이라 하면 이므로 H’H'” =øπ(r-r')¤ +(r-r')¤ ='2(r-r') 따라서 HH'”=CC'” cos h이므로 '2(r-r')='3(r-r') cos h ∴ cos h= '6 3 좌표공간에서 두 선분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구할 때, 두 선분이 만나지 않으면 한 선분을 평행이동하여 두 선분의 한쪽 끝 점이 일치하도록 만든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평행한 Q Q Q 두 직선l, m에 대하여 직선 l 위 의 임의의 한 점 Q와 직선m 사 4 이의 거리가 일정함을 이용하면 점 Q는 z축에 평행하고 z축으로 부터의 거리가 4인 직선 위에 있 O 2 P l m 음을 알 수 있다. 1등급 |비|밀|노|트| 좌표공간에서 점 P(x, y, z)가 다음과 같을 때, 점 P의 자취는 ① x¤ +y¤ +z¤ =r¤ (r>0) (cid:8857) 반지름의 길이가 r인 구 ② x¤ +y¤ =r¤ (r>0), a…z…b (a0), a…x…b (a0), a…y…b (a0) 즉 =y= ;3{; z-1 2 x=3t, y=t, z=2t+1 =t (t는 실수)로 놓으면 이므로 직선 l¡ 위의 점의 좌표는 (3t, t, 2t+1)로 놓 을 수 있다. 이때 직선 l¡은 t>0이면 영역 S(1), -;2!;0의 세 가지 경우로 나눈다. 82 정답 및 풀이 461 점 A(2, 0, 1)에서 직선 l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y-4= =t (t는 실수)로 놓 x+1 2 z-5 -3 (cid:100)(cid:100)x=2t-1, y=t+4, z=-3t+5 이므로 H(2t-1, t+4, -3t+5)로 놓을 수 있다. AH≥=(2t-3, t+4, -3t+4) yy ㉠(cid:100)(cid:100) 이고 직선 l의 방향벡터를 u¯라 하면 u¯=(2, 1, -3) AH≥⊥u¯이므로 AH≥¥ u¯=0에서 2(2t-3)+(t+4)-3(-3t+4)=0 14t-14=0(cid:100)(cid:100)∴ t=1 t=1을 ㉠에 대입하면 AH≥=(-1, 5, 1)이므로 |AH≥|="√(-1)¤ +5¤ +1¤ =3'3 직선 l 위의 점 P가 |AP≥|…6을 만족시키므로 (cid:100)(cid:100)|HP≥|…3 따라서 AP”가 나타내는 도형의 넓이는 밑변의 길이가 6이고 높 이가 3'3인 삼각형의 넓이와 같으므로 ;2!;_6_3'3=9'3 A 6 3Â3 6 l P 3 3 H (cid:8951) ⑤ 462 P(2s, s+1, s-1)에서 x=2s, y=s+1, z=s-1 이므로 도형 F는 직선 ;2{; Q(t, t-1, 2t+1)에서 =y-1=z+1이다. x=t, y=t-1, z=2t+1 이므로 도형 G는 직선x=y+1= 이다. z-1 2 ㄱ. 직선 F 위의 점 (2s, s+1, s-1)의 좌표를 직선 G의 방정식 x=y+1= 에 대입하면 (cid:100)(cid:100)2s=s+2= s-2 2 2s=s+2에서(cid:100)(cid:100)s=2 z-1 2 s-2 2 그러나 s=2는 s+2= 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두 직선 F, G는 만나지 않고 평행하지도 않 으므로 같은 평면 위에 있지 않다. ㄴ. 직선 PQ가 원점을 지나려면 어떤 실수 s, t에 대하 여 OP≥=kOQ≥ (k+0)이어야 하므로 (cid:100)(cid:100)(2s, s+1, s-1)=k(t, t-1, 2t+1) 이때 s=t=0, k=-1이면 ㉠이 성립한다. 따라서 어떤 실수 s, t에 대하여 직선 PQ는 원점을 yy ㉠(cid:100)(cid:100) 지난다. ㄷ. 직선 PQ의 방향벡터는 으면 이때 2a+b+3c=0 y ㉠ 3a+2b+c=0 y ㉡ [ ㉠_2-㉡을 하면 (cid:100)a+5c=0 (cid:100)∴ a=-5c 이것을 ㉠에 대입하면 (cid:100)-10c+b+3c=0 (cid:100)∴ b=7c 직선 F의 방향벡터는 (2, 1, 1)이고 직선 G 의 방향벡터는 (1, 1, 2) 이므로 두 직선 F, G 는 평행하지 않다. 2s=kt를 (cid:100)s+1=kt-k, (cid:100)s-1=2kt+k 에 각각 대입하면 y㉢(cid:100) (cid:100)s=k+1 (cid:100)3s=-k-1 y ㉣(cid:100) ㉢, ㉣을 연립하여 풀면 (cid:100)s=0, k=-1 (cid:100)∴ t=0 E0429_일품기벡_정(072-096) 2015.4.29 2:48 PM 페이지83 SinsagoHitec (cid:100)(cid:100)PQ≥=(t-2s, t-s-2, 2t-s+2) x축의 방향벡터를 u¯라 하면(cid:100)(cid:100)u¯=(1, 0, 0) 직선 PQ가 x축에 평행하려면(cid:100)(cid:100)PQ≥∥u¯ 어떤 실수 s, t에 대하여 PQ≥=lu¯ (l+0)라 하면 (cid:100)(cid:100)(t-2s, t-s-2, 2t-s+2)=l(1, 0, 0) 이때 t=-4, s=-6, l=8이면 ㉡이 성립한다. 따라서 어떤 실수 s, t에 대하여 직선 PQ는 x축과 yy ㉡(cid:100)(cid:100) 평행하다.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cid:8951) ⑤ 직선 PQ가 원점O 를 지난다. 세 점O, P, Q가 한 직선 위에 있다 . OP≥∥OQ≥ OP≥=kOQ≥ (k+0) x-1= 2-y 3 = ;4Z; =t (t는 실수)로 HjjK HjjK HjjK 463 놓으면 x=t+1, y=2-3t, z=4t(cid:100)(cid:100) 이것을 직선 l™의 방정식에 대입하면 (cid:100)(cid:100) =1-3t=2-4t(cid:100)(cid:100)∴ t=1 t-5 2 (cid:100)(cid:100)∴ P(2, -1, 4) ● 30% 이때 x축을 포함하는 평면은 원점을 지나므로 (cid:100)(cid:100)c=0 ∴ ax+by+z=0 yy ㉠(cid:100)(cid:100) x축의 방향벡터를 u¯, 평면 ㉠의 법선벡터를 n’ ¯이라 하면 u¯=(1, 0, 0), n’ ¯=(a, b, 1) 평면 ㉠이 x축을 포함하므로 u¯⊥n’ ¯에서(cid:100)(cid:100)u¯¥ n’ ¯=0 따라서 점 P(2, -1, 4)는 평면by+z=0 위의 점이 (cid:100)(cid:100)∴ a=0(cid:100)(cid:100) 므로 -b+4=0(cid:100)(cid:100)∴ b=4 ∴ a¤ +b¤ +c¤ =16 ● 30% ● 30% ● 10% (cid:8951) 16 464 평면 a의 방정식을 ax+by+cz+d=0으로 놓 으면 평면 a의 법선벡터는 (a, b, c)이다. 이때 xy평면, yz평면, zx평면의 법선벡터는 각각 (0, 0, 1), (1, 0, 0), (0, 1, 0)이므로 평면 a가 xy 평면, yz평면, zx평면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각각 h¡, h™, h£, 구하는 정사영의 넓이를 S'이라 하면 S 2 S 4 =S`cosh¡, 즉 =S =S`cosh™, 즉 =S S 2 S 4 S'=S`cos h£, 즉 S'=S |c| "√a¤ +b¤ +c¤ |a| "√a¤ +b¤ +c¤ |b| "√a¤ +b¤ +c¤ y ㉠(cid:100)(cid:100) y ㉡(cid:100)(cid:100) y ㉢(cid:100)(cid:100) ㉠, ㉡, ㉢의 각 변을 제곱하여 변끼리 더하면 본책 86쪽``…``88쪽 S¤ 4 S¤ 16 + +(S')¤ =S¤ (S')¤ =;1!6!;S¤ (cid:100)(cid:100)∴ S'= '∂11 4 S (cid:8951) ③ 두 평면x+3y+' 6z-1=0, 465 ax-y+'6z+1=0의 법선벡터를 각각 n’¡≤, n’™≤라 하고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n’¡≤=(1, 3, '6), n’™≤=(a, -1, '6 ) 이므로 cos h= |n’¡≤¥ n’™≤| |n’¡≤||n’™≤| cos h= cos h= |1_a+3_(-1)+'6_'6| "√1¤ +3¤ +('6 )¤ "√a¤ +(-1)¤ +('6)¤ |a+3| 4"√a¤ +7 ● 50%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의 넓이는 4p, 정사 영의 넓이는 p이므로 =;4!; 4pcos h=p,(cid:100)(cid:100) |a+3| 4"√a¤ +7 |a+3|="√a¤ +7,(cid:100)(cid:100)a¤ +6a+9=a¤ +7 6a=-2(cid:100)(cid:100)∴ a=-;3!; 터 벡 간 공 과 형 도 간 공 Ⅲ ● 50% (cid:8951) -;3!; 466 x-1=2-y= =t (t는 실수)로 놓으면 2-z 3 (cid:100)(cid:100)x=t+1, y=2-t, z=2-3t 이것을 직선 l™의 방정식에 대입하면(cid:100)(cid:100) t+5 5 = 2-t 2 ∴ P(1, 2, 2) =3t+1(cid:100)(cid:100)∴ t=0 또 평면 a의 법선벡터를 n¯=(a, b, c)라 하면 벡터 n¯ 은 두 직선 l¡, l™의 방향벡터와 각각 수직이므로 (a, b, c)¥(1, -1, -3)=0, (a, b, c)¥(5, 2, -1)=0 a-b-3c=0, 5a+2b-c=0 ∴ b=-2a, c=a 따라서 n¯=(a, -2a, a), 즉 n¯=(1, -2, 1)이므로 sin h=cos {;2“;-h}= |OP≥¥ n¯| |OP≥||n¯| sin h= sin h= |1_1+2_(-2)+2_1| "√1¤ +2¤ +2¤ "√1¤ +(-2)¤ +1¤ 1 '6 = 18 3'6 (cid:8951) '6 18 467 b의 법선벡터를 각각 n’¡≤, n’™≤라 하면 직선 l의 방향벡터를 u¯, 두 평면 a, u¯=(1, 2, 1), n’¡≤=(2, -1, 1), n’™≤=(a, b, c) t-s-2=0 y ㉤ 2t-s+2=0 y ㉥ [ ㉥-㉤을 하면 (cid:100)t+4=0(cid:100)∴ t=-4 이것을 ㉤에 대입하면 (cid:100)-4-s-2=0 (cid:100)∴ s=-6 t=-4, s=-6을 t-2s=l에 대입하면 (cid:100)l=-4+12=8 a-b-3c=0 y ㉠ 5a+2b-c=0 y ㉡ [ ㉠_2+㉡을 하면 (cid:100)7a-7c=0 (cid:100)∴ c=a 이것을 ㉠에 대입하면 (cid:100)a-b-3a=0 (cid:100)∴ b=-2a 평면 a 위의 넓이가 S인 도형의 평면 b 위로의 정 사영의 넓이를 S'이라 할 때, 두 평면a, b가 이루 는 각의 크기를h라 하면 (cid:100)S'=S cos h 평면 b의 법선벡터는 평면 b 위의 모든 직선 과 수직이다. 직선 l이 평면 b에 포함되므로 u¯⊥n’™≤에서 (cid:100)(cid:100)u¯¥ n’™≤=0 Ⅲ. 공간도형과 공간벡터 83 E0429_일품기벡_정(072-096) 2015.4.29 2:48 PM 페이지84 SinsagoHitec ∴ a+2b+c=0 yy ㉠(cid:100)(cid:100) 으로 놓고 세 점 O, A, B의 좌표를 각각 대입하면 또 a⊥b에서 n’¡≤⊥n’™≤이므로(cid:100)(cid:100)n’¡≤¥n’™≤=0 d=0, 2b+d=0, 2a+3b+2c+d=0 ∴ 2a-b+c=0 yy ㉡(cid:100)(cid:100) (cid:100)(cid:100)∴ b=0, c=-a, d=0 ㉠, ㉡을 연립하면(cid:100)(cid:100)a=3b, c=-5b 세 점 O, A, B를 지나는 평면의 방정식은 ∴ b: 3bx+by-5bz-20=0 ● 60% ax-az=0, 즉 x-z=0 ㉡-㉠을 하면 (cid:100)a-3b=0 (cid:100)∴ a=3b (cid:100)3b+2b+c=0 (cid:100)∴ c=-5b 이것을 ㉠에 대입하면 라 하면 이때 직선 l이 평면 b 위에 있으므로 직선 l 위의 점 (1, 2, 3)은 평면b 위에 있다. 즉 3b+2b-15b-20=0에서(cid:100)(cid:100)b=-2 ● 20% 따라서 b: -6x-2y+10z-20=0이므로 (cid:100)(cid:100)a=-6, b=-2, c=10 ∴ a+b+c=2 ● 20% (cid:8951) 2 468 점 C¡에서 평면 b에 내린 수 선의 발을 H라 하면 두 평면a , b 사 이의 거리는 평면 a 위의 한 점 (0, 0, 2)와 평면 b 사이의 거리와 C¡ 같으므로 H 60æ C™ C¡H”= |4+5| "√1¤ +(-2)¤ +2¤ =3 △C¡HC™에서(cid:100)(cid:100)C¡C™”= (cid:8951) ③ 3 sin 60° =2'3 469 평면 a의 법선벡터를 n¯, 직선 l의 방향벡터를 u¯ 라 하면 n¯=(1, 1, -3), u¯=(a, b, c)이므로 cos(90°-30°)= |n¯¥ u¯| |n¯||u¯| |1_a+1_b+(-3)_c| "√1¤ +1¤ +(-3)¤ "√a¤ +b¤ +c¤ = = |a+b-3c| '∂11 "√a¤ +b¤ +c¤ 이므로 즉 ;2!;= |a+b-3c| '∂11 "√a¤ +b¤ +c¤ '∂11 2 |a+b-3c| "√a¤ +b¤ +c¤ 이때 평면 b의 방정식은 = (cid:100)(cid:100)a(x-0)+b(y-0)+c(z-0)=0 (cid:100)(cid:100)∴ ax+by+cz=0 따라서 점 (2, 2, -6)과 평면b 사이의 거리는 |2a+2b-6c| "√a¤ +b¤ +c¤ = 2|a+b-3c| "√a¤ +b¤ +c¤ '∂11 2 ='∂11 =2_ 이때 점 C(-1, 4, 5)와 평면x-z=0 사이의 거리를 h h= |-1-5| "√1¤ +0¤ +(-1)¤ 따라서 삼각뿔 O-ABC의 부피는 =3'2 ;3!;_△OAB_h=;3!;_;2!;_OA”_BH”_h ;3!;_△OAB_h=;3!;_;2!;_2_2'2_3'2 ;3!;_△OAB_h=4 (cid:8951) 4 471 림과 같이 주어진 정육면체를 오른쪽 그 z A C O D x B y ● 30% 이때 세 점 A, B, C를 지나는 평면의 방정 좌표공간에 놓으면 A(5, 0, 10), B(5, 10, 10), C(0, 5, 0), D(10, 5, 0) 식을 ax+by+cz+d=0 으로 놓고 세 점 A, B, C의 좌표를 각각 대입하면 5a+10c+d=0, 5a+10b+10c+d=0, 5b+d=0 ∴ a=-2c, b=0, d=0 세 점 A, B, C를 지나는 평면의 방정식은 -2cx+cz=0, 즉 2x-z=0(cid:100)(cid:100) ● 50% 따라서 점 D(10, 5, 0)과 평면 2x-z=0 사이의 거리는 |20| "√2¤ +0¤ +(-1)¤ =4'5 ● 20% (cid:8951) 4'5 5a+10c+d=0, 5a+10b+10c+d=0 이므로 (cid:100)10b=0(cid:100)∴`b=0 따라서 d=0이므로 (cid:100)5a+10c=0 (cid:100)∴`a=-2c 평면 b는 직선l 과 수 직이므로 평면 b의 법 선벡터는 u¯=(a, b, c) 이다. 직선 OA는 y축과 일치 (cid:8951) '∂11 한다. 472 x+y z+3 =k(k는 실수)라 하면 x+y=k(z+3) ∴ x+y-kz-3k=0 (cid:100)(cid:100) 점 (a, b, c)에서 다음에 점 P가 주어진 구 위의 점이므로 이 평면과 주어진 구가 C 내린 수선의 발의 좌표는 만나야 한다. 이때 구의 중심 (0, 0, 0)과 평면 x+y-kz-3k=0 사 470 점 B(2, 3, 2)에서 직선 OA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H(0, 3, 0)이므로 z B BH”="√2¤ +0¤ +2¤ =2'2 세 점 O, A, B를 지나는 평면의 방정식을 ax+by+cz+d=0 x O HA y ① x축: (a, 0, 0) ② y축: (0, b, 0) ③ z축: (0, 0, c) ④ xy평면: (a, b, 0) ⑤ yz평면: (0, b, c) ⑥ zx평면: (a, 0, c) 이의 거리는 |-3k| "√1¤ +1¤ +(-k)¤ = |3k| "√k¤ +2 이고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2'2이므로 84 정답 및 풀이 E0429_일품기벡_정(072-096) 2015.4.29 2:48 PM 페이지85 SinsagoHitec |3k| 9k¤ …2'2,(cid:100)(cid:100) k¤ +2 "√k¤ +2 9k¤ …8k¤ +16,(cid:100)(cid:100)k¤ …16 ∴ -4…k…4 …8 따라서 M=4, m=-4이므로 M¤ +m¤ =4¤ +(-4)¤ =32 (cid:8951) ④ 473 두 평면 a, b의 교선을 포함하는 평면 c의 방정 식은 2x+y-z+2+k(x-y+z-3)=0 (k는 실수) ∴ (2+k)x+(1-k)y+(k-1)z+2-3k=0 평면 c의 법선벡터를 n¯, 직선 =y+2=1-z의 1-x 4 방향벡터를 u¯라 하면 n¯=(2+k, 1-k, k-1), u¯=(-4, 1, -1) n¯∥u¯이므로 n¯=tu¯ (t+0)라 하면 (2+k, 1-k, k-1)=t(-4, 1, -1) ∴ 2+k=-4t, 1-k=t, k-1=-t 위의 세 식을 연립하여 풀면(cid:100)(cid:100)k=2, t=-1 즉 평면c의 방정식은 4x-y+z-4=0이므로 평면 c 가 x축, z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각각 (cid:100)(cid:100)(1, 0, 0), (0, 0, 4) 따라서 구하는 두 점 사이의 거리는 "√(-1)¤ +4¤ ='∂17 474 평면 a의 방정식을 ax+by+cz+d=0으로 놓 고 세 점 O, A, B의 좌표를 각각 대입하면 d=0, 2a+2b+d=0, 3a+3c+d=0 ∴ b=-a, c=-a, d=0 평면 a의 방정식은 ax-ay-az=0, 즉 x-y-z=0 또 점 P(1, 1, 2)를 지나고 평면 a에 수직인 직선의 방 정식은 x-1 1 = y-1 -1 = z-2 -1 , 즉 x-1=1-y=2-z x-1=1-y=2-z=t(t는 실수)로 놓으면 x=t+1, y=-t+1, z=-t+2 이므로 H(t+1, -t+1, -t+2)로 놓을 수 있다. 이때 점 H는 평면 a 위의 점이므로 t+1-(-t+1)-(-t+2)=0 (cid:100)(cid:100)3t=2(cid:100)(cid:100)∴ t=;3@; 즉 H {;3%;, ;3!;, ;3$;}이므로 OH≥=aO’A≥+b OB≥에서 {;3%;, ;3!;, ;3$;}=a(2, 2, 0)+b(3, 0, 3) {;3%;, ;3!;, ;3$;}=(2a+3b, 2a, 3b) 따라서 2a+3b=;3%;, 2a=;3!;, 3b=;3$;이므로 a=;6!;, b=;9$;(cid:100)(cid:100)∴ a+b=;1!8!; (cid:8951) ;1!8!; AB”="√(-2)¤ +4¤ =2'5 AH”=;2!;AC”='2 x축 위의 점은 (cid:100)(y좌표)=(z좌표) =0 (cid:100) 점 P(1, 1, 2)를 지나 고 방향벡터가 (1, -1, -1)인 직선 본책 88쪽``…``89쪽 475 두 구 C¡, C™의 중심은 각각 C¡(0, -3, -1), C™(4, -1, 3) C¡C™”의 중점을 M이라 하면(cid:100)(cid:100)M(2, -2, 1) 이때 C’¡C™≥=(4, 2, 4)이므로 점 M을 지나고 벡터 C’¡C™≥에 수직인 평면 a의 방정식은 4(x-2)+2(y+2)+4(z-1)=0 ∴ 2x+y+2z-4=0 평면 a가 x축, y축, z축과 만 나는 점이 각각 A, B, C이 므로 A(2, 0, 0), B(0, 4, 0), C(0, 0, 2) z C H O A x B y 따라서 △ABC는 AB”=BC”=2'5인 이등변삼각형이 므로 점 B에서 A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 -AH” AC”="√(-2)¤ +2¤ =2'2, BH”=øπAB” ∴ △ABC=;2!;_2'2_3'2=6 평면 a에 대하여 대칭인 두 구는 반지름의 길이가 같 ¤ ="√(2'5)¤ -('2)¤ =3'2 (cid:8951) ③ 고 중심이 평면 a에 대하여 대칭이다. 터 벡 간 공 과 형 도 간 공 Ⅲ 이 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 a와 구가 만나서 생기는 원 의 반지름의 길이는 '∂33이므로 그 넓이는 (cid:100)(cid:100)p_('∂33 )¤ =33p 두 평면 a, b의 법선벡터를 각각 n’¡≤, n’™≤라 하고 두 평면 a, b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라 하면 ● 30% n’¡≤=(1, -1, 3), n’™≤=(1, 3, 1)이므로 cos h= |n’¡≤¥n’™≤| |n’¡≤||n’™≤| cos h= |1_1+(-1)_3+3_1| "√1¤ +(-1)¤ +3¤ "√1¤ +3¤ +1¤ cos h=;1¡1;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33p cos h=33p_;1¡1;=3p ● 50% ● 20% (cid:8951) 3p 477 P(a, b, c)라 하면 점 A의 평면a 위로의 정사영을 AP≥=(a-3, b-4, c-5) 평면 a의 법선벡터를 n¯이라 하면(cid:100)(cid:100)n¯=(1, 2, 2) AP≥∥n¯이므로 AP≥=tn¯(t+0)이라 하면 a-3=t, b-4=2t, c-5=2t ∴ a=t+3, b=2t+4, c=2t+5 ● 20% Ⅲ. 공간도형과 공간벡터 85 (cid:8951) ③ z축 위의 점은 (cid:100)(x좌표)=(y좌표) 476 =0 x¤ +(y+2)¤ +(z-3)¤ =33 x¤ +y¤ +z¤ +4y-6z-20=0에서 15일품기하벡터3단해(72~96)OK 2015.8.19 4:10 PM 페이지86 SinsagoHitec A{1,`2,`3} P π 3 r Ω R F C{0,`0,`1} 두 변의 길이가 a, b이고 그 끼인 각의 크기가 h인 삼각형의 넓이는 (cid:100);2!;absin h △CPQ=;2!;|CP≥||CQ≥|sin h '∂14 9 2'∂14 9 = r¤ △CPQ=;2!; r¤ _ '∂14 9 ∴ a= (cid:8951) ④ 즉 P(t+3, 2t+4, 2t+5)이고, 점 P는 평면 a 위에 있으므로 (t+3)+2(2t+4)+2(2t+5)-3=0 9t+18=0(cid:100)(cid:100)∴ t=-2 ∴ P(1, 0, 1) ● 30% 이때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AP”의 길이와 같으므로 "√(1-3)¤ +(√0-4)¤ +(1-5)¤ =6 즉 구의 방정식은 (x-1)¤ +y¤ +(z-1)¤ =36이므로 이 구가 xy평면과 만나서 생기는 도형의 방정식은 (x-1)¤ +y¤ =35 ● 40% 따라서 구하는 도형은 반지름의 길이가 '∂35 인 원이므로 그 넓이는 p_('ß35)¤ =35p ● 10% (cid:8951) 35p 478 구 x¤ +y¤ +(z-1)¤ =9 의 중심을 C(0, 0, 1), 점 A(1, 2, 3)에서 거리가 p인 구 위의 점을 P, 부채꼴 CAP의 중 심각의 크기를 h라 하면 p=3h(cid:100)(cid:100)∴ h=;3“; 를 r라 하면 r=3 sin ;3“;= 3'3 2 이때 도형 F는 원이므로 원의 중심을 R, 반지름의 길이 따라서 도형 F는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이므로 원 3'3 2 의 넓이는 3'3 2 p_{ ¤ =:™4¶:p } 또 도형 F를 포함하는 평면의 법선벡터는 CA≥=(1, 2, 2) 이고 xy평면의 법선벡터를 n¯, 두 평면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이라 하면 n¯=(0, 0, 1)이므로 |CA≥¥ n¯| |CA≥||n¯| cos h'= cos h'= |1_0+2_0+2_1| "√1¤ +2¤ +2¤ "√0¤ +0¤ +1¤ =;3@; 따라서 구하는 정사영의 넓이는 (cid:8951) ⑤ :™4¶:p_;3@;=;2(;p 1등급 |비|밀|노|트| 도형 F의 평면 a 위로의 정사영 문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해 결한다. ⁄ 도형 F가 어떤 도형인지 파악하고 넓이를 구한다. ¤ 도형 F를 포함한 평면과 평면 a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라 할 때, cos h의 값을 구한다. ‹ ⁄, ¤를 이용하여 도형 F의 평면a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를 구한다. 86 정답 및 풀이 z=0을 구의 방정식에 대입한다. 반지름의 길이가 r, 중심 각의 크기가 h인 부채꼴의 호의 길이를 l이라 하면 (cid:100)l=rh OB≥=(1, 1, 1)이므로 벡터 OB≥는 평면 x+y+z=3에 수직이다. 479 오른쪽 그림과 같이 ∠PCQ=h라 하고 두 평면 a, b의 법선벡터를 각각 n’¡≤, n’™≤라 하면 n’¡≤=(2, -4, 5), n’™≤=(4, 2, -5) n’¡≤, n’™≤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h 또는 p-h이므로 |cos h|= |n’¡≤¥ n’™≤| |n’¡≤||n’™≤| å P Q Ω C ∫ |cos h|= |2_4+(-4)_2+5_(-5)| "√2¤ +(-4)¤ +5¤ "√4¤ +2¤ +(-5)¤ |cos h|=;9%; 따라서 sin h=æ≠1-{;9%;} = 2'∂14 9 이므로 480 |OA≥|=1을 만족시키는 점 A가 나타내는 도형 은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구이고, |BC≥|=1을 만족시키는 평면 x+y+z=3 위의 점 C 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이 점 B(1, 1, 1)이고 반지름 의 길이가 1인 원이다. 이때 원점 O에서 평면 x+y+z=3에 내린 수선의 발 이 점 B(1, 1, 1)이므로 원점 O와 평면 x+y+z=3 사이의 거리는 OB”="√1¤ +1¤ +1¤ ='3, BQ”=1 따라서 PQ”의 길이가 최대, 최소가 되 도록 하는 점 P를 각각 P¡, P™라 하면 P¡Q”=QO”+OP¡” ¤ +BQ” ¤ +1 =øπ OB” =øπ('3)¤ +1¤ +1 =2+1=3 P¡ 1 O ´3 B P™ Q P™Q” =QO”-OP™”=øπ OB” ¤ +BQ” =øπ('3)¤ +1¤ -1=2-1=1 ¤ -1 이므로 P¡Q”_P™Q”=3 (cid:8951) ③ 481 직선 l 위의 점을 P(a, b, c)(a>0)라 하면 직선 l의 yz평면 위로의 정사영의 방정식이 3y+2z=0, x=0 이므로(cid:100)(cid:100)3b+2c=0(cid:100)(cid:100)∴ b=-;3@;c(cid:100)(cid:100) 또 직선l의 zx평면 위로의 정사영의 방정식이 2x-z=0, y=0 이므로(cid:100)(cid:100)2a-c=0(cid:100)(cid:100)∴ a=;2!;c(cid:100)(cid:100) ¤ E0429_일품기벡_정(072-096) 2015.4.29 2:48 PM 페이지87 SinsagoHitec 즉 P{;2!;c, -;3@;c, c}이므로 원점을 지나는 직선 l의 방 향벡터는(cid:100)(cid:100)(3, -4, 6) 이때 x축의 방향벡터는 (1, 0, 0)이므로 cos h= |3_1+(-4)_0+6_0| "√3¤ +(-4)¤ +6¤ "√1¤ +0¤ +0¤ 따라서 cos¤ h=;6ª1;이므로(cid:100)(cid:100)p=61, q=9 = 3 '∂61 (cid:8951) 70 ∴ p+q=70 1등급 |비|밀|노|트| ① x축의 방향벡터, yz평면의 법선벡터 (cid:8857) (1, 0, 0) ② y축의 방향벡터, zx평면의 법선벡터 (cid:8857) (0, 1, 0) ③ z축의 방향벡터, xy평면의 법선벡터 (cid:8857) (0, 0, 1) 482 A(3, 3, 3'∂14 ), C(6, 6, 0), D(0, 6, 0)이므로 , M{ 3+6 3 3+6+6 3 ∴ M(3, 5, '∂14 ) , 3'∂14 3 } 따라서 두 점 B(6, 0, 0), M(3, 5, '∂14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x-6 3-6 y = = 5 , 즉 6-x 3 z '∂14 =t (t는 실수)로 놓으면 y = = 5 z '∂14 6-x 3 y = = 5 z '∂14 x=-3t+6, y=5t, z='∂14t 이므로 P(-3t+6, 5t, '∂14t)로 놓을 수 있다. 이때 E(0, 0, 0)이므로 PE≥¥ PC≥ =(3t-6, -5t, -'∂14t)¥(3t, -5t+6, -'∂14t) =3t(3t-6)-5t(-5t+6)-'∂14t_(-'∂14t) =9t¤ -18t+25t¤ -30t+14t¤ =48t¤ -48t=48{t-;2!;} ¤ -12 따라서 PE≥¥ PC≥는 t=;2!;일 때 최솟값 -12를 갖고, 이 때의 점 P의 좌표는 {;2(;, ;2%;, (cid:100)(cid:100)a=;2(;, b=;2%;, c= '∂14 2 '∂14 2 }이므로 ∴ a+b=7 (cid:8951) ② 483 C¡: x¤ C™: x¤ +y¤ +z¤ -4z=21 ¤ +y¤ +z¤ -2x-4y=17 yy ㉠(cid:100)(cid:100) yy ㉡(cid:100)(cid:100) ㉠-㉡을 하면(cid:100)(cid:100)-2x-4y+4z=-4 ∴ x+2y-2z-2=0 즉 두 구가 만나서 생기는 원을 포함하는 평면을 a라 하 면 평면a의 방정식은 x+2y-2z-2=0이다. 이때 ㉠에서(cid:100)(cid:100)(x-1)¤ +(y-2)¤ +z¤ =22(cid:100)(cid:100) ㉡에서(cid:100)(cid:100)x¤ +y¤ +(z-2)¤ =25 본책 89쪽``…``90쪽 두 구 C¡, C™의 중심을 각각 C¡, C™라 하면 C¡(1, 2, 0), C™(0, 0, 2) 두 점 C¡, C™와 평면a 사이의 거리를 각각 h¡, h™라 하면 h¡= |1+4-2| "√1¤ +2¤ +(-2)¤ |-4-2| "√1¤ +2¤ +(-2)¤ 따라서 평면 a와 두 구 위의 h™= 점 P까지의 거리의 최댓값 =1, =2 은 (cid:100)(cid:100)2+5=7 이때 두 구 C¡, C™가 만나 서 생기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r="√5¤ -2¤ ='∂21 이므로 원뿔의 부피의 최댓값은 Â22° 1 C¡ r 2 C™ 5 5 P 점 A에서 (cid:8772)BCDE에 내린 수선의 발은 (cid:8772)BCDE의 두 대각선 의 교점과 같다. 이때 (cid:8772)BCDE의 두 대각선 의 교점의 좌표는 (3, 3, 0)이고, 사각뿔 의 높이가 3'ß14이므로 (cid:100)A(3, 3, 3'ß14) ;3!;_p_('∂21)¤ _7=49p (cid:8951) ⑤ 1등급 |비|밀|노|트| 구 C의 반지름의 길이를 r, 구 C의 중심과 평면 a 사이 의 거리를 d라 할 때, 평면 a 와 구 C 위의 한 점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은 r+d이다. r d C å 터 벡 간 공 과 형 도 간 공 Ⅲ 484 x¤ +y¤ +z¤ -2x+4y-20=0에서 (x-1)¤ +(y+2)¤ +z¤ =25 이므로 이 구의 중심은 C(1, -2, 0)이고 반지름의 길 이는 5이다. ∠ACB=h라 하면 C’A≥¥ CB≥=|C’A≥||CB≥|cos h =5_5_cos h =25 cos h 이므로 C’A≥¥CB≥는 cos h가 최소일 때 최솟값을 갖는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cos h 가 최소일 때는 두 점 A, B 가 구와 평면이 만나서 생 기는 원의 지름의 양 끝 점 일 때이므로 구의 중심 C{1,`-2,`0} 5 Ω A H B C(1, -2, 0)에서 평면 2x-y-2z+8=0에 내린 수 선의 발을 H라 하면 CH”= =4 ∴ cos h=2 cos¤ -1 |2+2+8| "√2¤ +(-1)¤ +(-2)¤ h 2 ¤ -1=;2¶5; ∴ cos h=2_{;5$;} 따라서 CA≥¥CB≥의 최솟값은 25 cos h=25_;2¶5;=7 (cid:8951) ② Ⅲ. 공간도형과 공간벡터 87 00,(cid:100)(cid:100)a¤ <:™2¡: '∂42 2 '∂42 2 0) ∴ [ r ]=7 또는 [ r ]=8 따라서 구하는 모든 [ r ]의 값의 합은 (cid:100)(cid:100)7+8=15 88 정답 및 풀이 ▶ 본책 91쪽 487 PQ”의 길이는 PQ”⊥BD”, PQ”⊥AG”일 때 최소 이다. 오른쪽 그림에서 CG”⊥(평면 BCD)이므로 (cid:100)(cid:100)BD”⊥CG” 또 BD”⊥AC”이므로 BD”⊥(평면 AGC) D Q H C G P B F A 4 E AC”와 BD”의 교점을 P라 하고 점P에서 AG”에 내린 수 선의 발을 Q라 하면 PQ”⊥BD”, PQ”⊥A’G” △AGC에서 ∠CAG=h라 하면 '3 3 sin h= CG” AG” = = 4 4'3 따라서 PQ”의 길이의 최솟값은 △APQ에서 PQ”=AP” sin h '3 3 PQ”=2'2_ = 2'6 3 (cid:8951) ③ 488 (cid:8772)ABFD는 마름모이므로 AB”∥DF”이다. 즉 두 직선 AB와 CF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두 직선 DF 와 CF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고 △CFD는 정삼각형 이므로(cid:100)(cid:100)h¡=60° 또 두 직선AB 와 EF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두 직선 DF와 EF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고 △DEF는 정삼 각형이므로(cid:100)(cid:100)h™=60° ∴ cos(h¡+h™)=cos 120°=-;2!; (cid:8951) ② 489 원뿔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는 8, 높이는 "√16¤ -8¤ =8'3이고 원기둥의 밑면의 지름의 길이는 4, 높이는 4'3이므로 원뿔의 꼭짓점에서 밑면에 내린 수선 의 발은 원기둥의 밑면인 원 위의 한 점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은 단면에서 원뿔의 밑면의 중심을 D라 하고, 점 C에서 OD”에 내린 16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구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 면 △OAD에서 A r 8 O Â34 H C Ω P D 4 Â34 B ;2!;_8_8'3=;2!;r(16+8+8'3 ) 8'3=(3+'3 )r ∴ r= 8'3 3+'3 =4'3-4 또 CH”=2, PH”=4'3-(4'3-4)=4이므로 (cid:100)(cid:100)tan h= =2 PH” CH” 세 변의 길이가a, b, c인 △ABC의 내접원의 반지 름의 길이가 r일 때, (cid:100)△ABC =;2!;r(a+b+c) (cid:8951) ① ∴ 10 tan h=20 (cid:8951) 20 E0429_일품기벡_정(072-096) 2015.4.29 2:48 PM 페이지89 SinsagoHitec '3 2 '3 2 (cid:100);2#; { 2n-1 } =;2#;_ _{ = 3'3 4 {;4#;} n-1 '3 2 2n-2 } 494 AB”가 xy평면과 평행하므로 두 점 A, B의 z좌 표는 서로 같다. 즉 A(-2, 2'3, k), B(2, 2'3, k) 라 하면 △OAB의 무게중심의 z좌표가 4이므로 k+k 3 =4(cid:100)(cid:100)∴ k=6 -1r')인 두 구의 중 심 사이의 거리를 d라 할 때, 두 구가 교선이 원이 되게 만나려면 (cid:100)r-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