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ds.flarebrick.com/1AEge4ouXa3NT0rDhWKlgAIfojKbnIVa0
2019년 비상교육 최고득점 중등 수학 2 - 1.pdf Download | FlareBrick FDS
fds.flarebrick.com
191최고득점(2학년) 해설001~040.indd 1
18. 11. 15. 오전 11:16
Ⅰ. 수와 식의 계산
유리수와 순환소수
1
1
7~12쪽
유제1 ②
유제2
3
유제3 ③, ⑤
유제4 정십팔각형
유제5 ④
유제6
147
유제7
6개 유제8 ③
유제9
27
유제10 ⑤
유제11 4
유제12 57
유제13 ①, ⑤ 유제14 3
유제 1
;4!5^;=0.3H5이므로 x=5
즉,
;19{8;=;19%8;=0.0H2H5이므로 구하는 순환마디는 25이다.
유제 5
x
2_3_5_7
;21{0;=
공배수, 즉 21의 배수이어야 한다.
가 유한소수가 되려면 x는 3과 7의
따라서 x의 값이 될 수 있는 가장 작은 자연수는 21이다.
유제 6
,
a
98
=
a
2_7Û`
=
이때
a
60
a
2Û`_3_5
a
2Û`_3_5
a
2_7Û`
이어야 한다.
하고,
가 유한소수가 되려면 a는 3의 배수이어야
가 유한소수가 되려면 a는 7Û`, 즉 49의 배수
따라서 a는 3과 49의 공배수, 즉 147의 배수이므로 구하
는 가장 작은 자연수는 147이다.
유제 7
3
8_x
=
3
2Ü`_x
이므로
x는 2 또는 5로만 이루어진 수이거나 3의 약수이거나 이
들의 곱으로 이루어진 수이어야 한다.
따라서 구하는 x는 2, 3, 4, 5, 6, 8의 6개이다.
유제 2
;3!3)3);=0.H30H0이므로 순환마디를 이루는 숫자의 개수는 3개
이다.
유제 8
따라서 소수점 아래 10번째 자리의 숫자는 10=3_3+1
에서 순환마디의 첫 번째 숫자인 3이므로 a=3
소수점 아래 20번째 자리의 숫자는 20=3_6+2에서 순
환마디의 두 번째 숫자인 0이므로 b=0
∴ a+b=3+0=3
유제 3
주어진 분수를 기약분수로 나타낸 후 분모를 소인수분해하면
①
;3!2!;=
11
2Þ`
(유한소수)
②
;6@5^;=;5@;
(유한소수)
③ -;5!1&;=-;3!;
(순환소수)
④ -;5#0@;=-;2!5^;=-
(유한소수)
16
5Û`
⑤
;2!4);=;1°2;=
5
2Û`_3
(순환소수)
정십이각형:
;1#2);=;2%;(cm)
정십팔각형:
;1#8);=;3%;(cm)
5
2Û`
;2#4);=;4%;=
정이십사각형:
(cm)
정이십오각형:
;2#5);=;5^;(cm)
따라서 순환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은 ③, ⑤이다.
유제 4
만든 정다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각각 다음과 같다.
따라서 한 변의 길이를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없는 정다각형
은 정십팔각형이다.
2
① 0.H10H1=;9!9)9!;
15-1
90
따라서 옳은 것은 ③이다.
④ 0.1H5=
② 1.H2H8=
128-1
99
⑤ 0.H72H8=;9&9@9*;
유제 9
;3!;_
{;1Á0;+;10!0;+;10Á00;+y
}
=;3!;_(0.1+0.01+0.001+y)=;3!;_0.111y
=;3!;_0.H1=;3!;_;9!;=;2Á7;
∴ A=27
유제 10
어떤 수를 x라 하면 0.H2H1_x=1.H9H0
이때 0.H2H1=;9@9!;
, 1.H9H0=
190-1
99
=;;Á9¥9»;;
이므로
;9@9!;_x=;;Á9¥9»;;
따라서 어떤 수는 9이다.
∴ x=;;Á9¥9»;;_;2(1(;=9
유제 11
;3!;<0.Hx<;2!;
이므로
에서 0.Hx=;9{;
2x
18
, 즉
;3!;<;9{;<;2!;
<;1»8;
따라서 6<2x<9이므로 구하는 한 자리의 자연수 x의 값
;1¤8;<
은 4이다.
[다른 풀이]
;3!;=0.333y, 0.Hx=0.xxxy,
;2!;=0.5이므로
에서 0.333y<0.xxxy<0.5
;3!;<0.Hx<;2!;
이때 x는 한 자리의 자연수이므로 x=4
191최고득점(2학년) 해설001~040.indd 2
18. 11. 15. 오전 11:16
정답과 해설유제 12
2.0H8=
208-20
90
=;;Á9¥0¥;;=;4(5$;
2.0H8_
=(0.H6)Û`에서
이므로
, 0.H6=;9^;=;3@;
n
m
{;3@;}
=
Û`
n
m
n
m
;4(5$;_
n
m
∴
=;9$;
;4(5$;_
=;9$;_;9$4%;=;4!7);
이때 m, n은 서로소이므로 m=47, n=10
∴ m+n=47+10=57
4
;4!;_(0.8+0.04+0.008+0.0004+y)
=;4!;_0.8484y
=;4!;_0.H8H4=;4!;_;9*9$;=;3¦3;
이때 a, b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므로 a=33, b=7
∴ a+b=33+7=40
유제 13
② 정수가 아닌 유리수를 소수로 나타내면 유한소수 또는
5
;1£1»0;=a+0.0H5에서
;1£1»0;=a+;9°0;
순환소수가 된다.
③ 무한소수 중 순환소수는 유리수이다.
④ 유리수 중 순환소수는 무한소수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①, ⑤이다.
∴ a=;1£1»0;-;9°0;=;9@9(0^;=0.2H9H8
따라서 순환소수 a의 순환마디는 98이므로 순환마디를 이루
는 모든 숫자의 합은 9+8=17
유제 14
;5!7(;=;3!;=0.333y으로 무한소수이므로 19 · 57=2
6
1.H2=1.222y>1.2이므로
;2!5*;=;1¦0ª0;=0.72로 유한소수이므로 18 · 25=1
∴ (19 · 57)+(18 · 25)=2+1=3
1.H2a-1.2a=0.H1에서
;;Á9Á;;a-;1!0@;a=;9!;
110a-108a=10, 2a=10 ∴ a=5
7
<1, 6>=0.H1+0.0H6=;9!;+;9¤0;=;9!0^;
이므로
16_A=;9!0^;
에서 A=;9Á0;
<1, 8>=0.H1+0.0H8=;9!;+;9¥0;=;9!0*;
이므로
2
1 ②
5 ④
2 ④
6 ③
3 ③
7 ②
4 ②
8 ②, ③
13~14쪽
18_B=;9!0*;
에서 B=;9Á0;
∴ A+B=;9Á0;+;9Á0;=;9ª0;=0.0H2
1
;1°3;=0.H38461H5이므로 순환마디를 이루는 숫자의 개수는 6개
이다. 이때 30=6_5이므로 소수점 아래 첫째 자리부터 소수
점 아래 30번째 자리까지 순환마디가 5번 반복된다.
따라서 구하는 숫자의 합은
(3+8+4+6+1+5)_5=27_5=135
2
㈐에서
;70{0;=
x
2Û`_5Û`_7
이어야 한다.
가 유한소수가 되려면 x는 7의 배수
3
그런데 ㈎에서 x는 11의 배수이므로 x는 7과 11의 공배수,
즉 77의 배수이다.
77_2=154
이때 ㈏에서 x는 세 자리의 자연수이므로 x의 최솟값은
3
a
2Û`_3_5
;60;=
한다. 이때 100이므로 A=4xÝ`yß`
따라서 P=4, Q=4, R=6이므로
P+Q+R=4+4+6=14
유제 14
Q-3P =(2a-3b+1)-3(-a+5b)
=2a-3b+1+3a-15b
=5a-18b+1
따라서 l=5, m=-18, n=1이므로
l+m+n=5+(-18)+1=-12
유제 15
A+(2xÛ`+3x-5)=3xÛ`+2x+1이므로
A =3xÛ`+2x+1-(2xÛ`+3x-5)
=3xÛ`+2x+1-2xÛ`-3x+5=xÛ`-x+6
B-(xÛ`-7x-9)=xÛ`+6x+10이므로
B =xÛ`+6x+10+(xÛ`-7x-9)=2xÛ`-x+1
∴ A-B =(xÛ`-x+6)-(2xÛ`-x+1)
=xÛ`-x+6-2xÛ`+x-1
=-xÛ`+5
유제 16
A=
-xÛ`yÜ`+4xÜ`yÜ`-6xÛ`yÝ`
xÛ`yÛ`
=-y+4xy-6yÛ`
B=4xy-4xyÛ`+6y-6yÛ`
∴ B-A
=(4xy-4xyÛ`+6y-6yÛ`)-(-y+4xy-6yÛ`)
=4xy-4xyÛ`+6y-6yÛ`+y-4xy+6yÛ`
=-4xyÛ`+7y
유제 17
A=-2x, B =(2xÛ`-4xÜ`)_
=3x-6xÛ`
3
2x
∴ A_BÖ(-3x)=(-2x)_(3x-6xÛ`)Ö(-3x)
=(-6xÛ`+12xÜ`)Ö(-3x)
=
-6xÛ`+12xÜ`
-3x
=2x-4xÛ`
=-
{:Á2Á:}
11Û`
=-
11Û`
4
Ö11Û`=-;4!;
따라서 a=-4, b=2이므로
a+b=-4+2=-2
Ⅰ. 수와 식의 계산
5
191최고득점(2학년) 해설001~040.indd 5
18. 11. 15. 오전 11:16
2
1 ⑤
5 ①, ④
9 ②
2 ③
6 ③
10 ②
3 ④
7 ③
11 ②
4 ⑤
8 ④
12 ④
26~28쪽
6
2Ú`Þ`_15Ý`
12Ý`
=
2Ú`Þ`_(3_5)Ý`
(2Û`_3)Ý`
2Ú`Þ`_3Ý`_5Ý`
2¡`_3Ý`
=2Ü`_2Ý`_5Ý`=2Ü`_(2_5)Ý`
=
=2à`_5Ý`
=8_10Ý`
2Ú`Þ`_15Ý`
12Ý`
따라서
은 1+4=5(자리)의 자연수이다.
1
10_12_14_16_18_20
=(2_5)_(2Û`_3)_(2_7)_2Ý`_(2_3Û`)_(2Û`_5)
=211_3Ü`_5Û`_7
따라서 211_3Ü`_5Û`_7=2a_3b_5c_7d이므로
a=11, b=3, c=2, d=1
∴ a+b+c+d=11+3+2+1=17
24a-2
2a+2 =24a-2-(a+2)=23a-4
(22)2a-1
42a-1
2a+2 =
2a+2 =
즉, 23a-4=32에서 23a-4=2Þ`이므로
3a-4=5 ∴ a=3
(32)2b
92b
3b+1 =
3b+1 =
즉, 33b-1=243에서 33b-1=3Þ`이므로
3b-1=5 ∴ b=2
34b
3b+1 =34b-(b+1)=33b-1
∴ a+b=3+2=5
2¡`-(2Ý`+2Þ`+2ß`+2à`)
=28-27-26-25-24=2_27-2à`-26-25-24
=27-26-25-24=2_26-26-25-24
=26-25-24=2_25-25-24
=25-2Ý`=2_2Ý`-2Ý`
=2Ý`
a=22x-1=
이므로 22x=2a
22x
2
∴ 64x=(2ß`)x=26x=(22x)Ü`=(2a)Ü`=8aÜ`
① (-1)2n_(-1)n+1_(-1)n+2=(-1)4n+3
이때 4n+3은 홀수이므로 (-1)4n+3=-1
∴ (-1)2n_(-1)n+1_(-1)n+2=-1
② 3à`Ö3x=
에서
1
81
1
3x-7 =
1
3Ý`
이므로
x-7=4 ∴ x=11
③ 16ß`=(2Ý`)ß`=224=(2Ü`)¡`에서 2Ü`=A이므로 16ß`=A¡`
④ 2Ü`_9x=72y에서 2Ü`_(32)x=(2Ü`_3Û`)y`
∴ 2Ü`_32x=23y_32y
2Ü`=23y에서 3=3y이므로 y=1
32x=32y에서 2x=2y이므로 x=1
∴ x+y=1+1=2
⑤ 355=(3Þ`)11, 533=(5Ü`)11에서 3Þ`>5Ü`이므로 355>533
따라서 옳은 것은 ①, ④이다.
[참고] 자연수 a, b, n에 대하여 a+<324>=9+1=10
∴ △AQP=;2!;_a_2b=ab,
△BRQ=;2!;_;2#;a_2b=;2#;ab,
△CSR=;2!;_;2!;a_3b=;4#;ab,
△DPS=;2!;_a_b=;2!;ab
∴ (색칠한 부분의 넓이)
=(직사각형 ABCD의 넓이)
-(△AQP+△BRQ+△CSR+△DPS)
=2a_4b-
ab+;2#;ab+;4#;ab+;2!;ab
{
}
=8ab-;;Á4°;;ab=;;Á4¦;;ab
Ⅰ. 수와 식의 계산
7
191최고득점(2학년) 해설001~040.indd 7
18. 11. 15. 오전 11:16
31~34쪽
06
{(aÞ`bx)Û`Ö(abÜ`)y}Ü`=
a10b2x
ayb3y }
Ü`=
a30b6x
a3yb9y
{
01 ⑤
05 ;2!;
09 3xÜ`yÜ`
13 ②, ③
17 A
02 ⑤
06 ④
10 C
14 1.H4
18 -a
21 4ab-5bÛ`+8bc
서술형 문제 <과정은 풀이 참조>
03 3.H2H6
07 2
04 ③
08 ④
11 -5
12 60xy+4x
15 ③, ⑤
16 -6
19 xÝ`yÝ`개
20 90xß`yÝ`
22 6개
23 0.H0H9, 0.H2H7
24 ;14!4;
25 -6xÛ`+6xy+10yÛ`
01
;7@;=0.H28571H4이므로 순환마디를 이루는 숫자의 개수는 6개
이다.
이때 100=6_16+4이므로 소수점 아래 첫째 자리부터 소
수점 아래 100번째 자리까지는 순환마디가 16번 반복되고,
그 이후에 2, 8, 5, 7이 나온다.
∴ xÁ+xª+x£+y+x100
=(2+8+5+7+1+4)_16+(2+8+5+7)
=27_16+22=454
02
=
7_2
2_5Û`_2
7
2_5Û`
따라서 a=2, b=100, c=0.14이므로
14
2Û`_5Û`
=;1Á0¢0;=0.14
=
bc-a=100_0.14-2=14-2=12
이때
a30b6x
a3yb9y =
a21
b3 이므로
a30-3y=a21에서 30-3y=21
3y=9 ∴ y=3
b9y-6x=b3에서 9y-6x=3
이 식에 y=3을 대입하면
27-6x=3, 6x=24 ∴ x=4
∴ xy=4_3=12
07
8x`:`4x+1=64x`:`162x-1에서
(23)x`:`(22)x+1=(26)x`:`(24)2x-1
23x`:`22x+2=26x`:`28x-4
22x+2_26x=23x_28x-4
따라서 28x+2=211x-4에서 8x+2=11x-4이므로
3x=6 ∴ x=2
[참고] 비례식에서 내항의 곱과 외항의 곱은 같다.
08
a=2x+1에서 a=2_2x이므로 2x=;2A;
b=3x+1에서 b=3_3x이므로 3x=;3B;
∴ 36x=(2Û`_3Û`)x=22x_32x=(2x)Û`_(3x)Û``
Û`=
Û`_
=
_
=
aÛ`
4
bÛ`
9
aÛ`bÛ`
36
{;2A;}
{;3B;}
09
(-3xß`yÜ`)ÖA=AÛ`Ö(-9xÜ`yß`)에서
-3xß`yÜ`
A
AÛ`
-9xÜ`yß`
이므로
=
AÜ`=-3xß`yÜ`_(-9xÜ`yß`)=27xá`yá`=(3xÜ`yÜ`)Ü`
∴ A=3xÜ`yÜ`
03
민이는 분자를 잘못 보았으므로 3.H1H7=
317-3
99
=;;£9Á9¢;;
에서
10
A의 계산 결과는
처음 기약분수의 분모는 99이다.
지연이는 분모를 잘못 보았으므로 0.35H8=
에서 처음 기약분수의 분자는 323이다.
358-35
900
=;;9#0@0#;
(-3x)_(-y)_(-2x)_(-x)=6xÜ`y
B의 계산 결과는
6xÛ`_2xyÖx_(-4y) =6xÛ`_2xy_;[!;_(-4y)
따라서 처음 기약분수는
이므로
=3.H2H6
;;£9ª9£;;
;;£9ª9£;;
04
0.H4x+1.H9=3.H3에서
;9$;x+;;Á9¥;;=;;£9¼;;
4x=12 ∴ x=3
즉, 0.0HxÉ
É
;9};
;[!;
에서 0.0H3É
É
이므로
;9};
;3!;
É
;9£0;
10y
90
É
;9#0);
, 3É10yÉ30 ∴
ÉyÉ3
;1£0;
따라서 자연수 y의 값은 1, 2, 3이므로 구하는 합은
1+2+3=6
05
-
[{
xÛ`
2 }
Û`
]
Û`=
{
xÝ`
4 }
Û`=
x¡`
16
따라서 a=;1Á6;
, m=8이므로
am=;1Á6;_8=;2!;
8
=-48xÛ`yÛ`
C의 계산 결과는
(x+2y)_2x-3xy =2xÛ`+4xy-3xy
=2xÛ`+xy
D의 계산 결과는
xyÖ(-y)+y+2x =xy_
+y+2x
-;]!;}
{
=-x+y+2x
=x+y
따라서 도착점의 칸에 2xÛ`+xy를 적는 학생은 C이다.
11
xÛ`-3x+5+;2!;A=3xÛ`-2x+4에서
;2!;A =3xÛ`-2x+4-(xÛ`-3x+5)
=3xÛ`-2x+4-xÛ`+3x-5=2xÛ`+x-1
∴ A=2(2xÛ`+x-1)=4xÛ`+2x-2
191최고득점(2학년) 해설001~040.indd 8
18. 11. 15. 오전 11:16
정답과 해설따라서 바르게 계산하면
xÛ`-3x+5-2(4xÛ`+2x-2) =xÛ`-3x+5-8xÛ`-4x+4
=-7xÛ`-7x+9
즉, -7xÛ`-7x+9=axÛ`+bx+c이므로
a=-7, b=-7, c=9
∴ a+b+c=-7+(-7)+9=-5
15
;5Ó6;=
x
2Ü`_7
또
;5Ó6;=;]#;
한다.
가 유한소수가 되려면 x는 7의 배수이어야 한다.
에서 56과 3은 서로소이므로 x는 3의 배수이어야
따라서 x는 3과 7의 공배수, 즉 21의 배수이어야 한다.
이때 1ÉxÉ100이므로 x=21, 42, 63, 84
12
(cid:20)(cid:90)
(cid:18)(cid:19)(cid:90)(cid:14)(cid:20)(cid:90)(cid:9)(cid:30)(cid:26)(cid:90)(cid:10)
(cid:20)(cid:89)
㉠
(cid:25)(cid:89)
㉡
(cid:25)(cid:89)(cid:14)(cid:20)(cid:89)(cid:14)(cid:21)(cid:89)(cid:9)(cid:30)(cid:89)(cid:10)
(cid:20)(cid:89)
(cid:21)(cid:89)
(cid:21)
(cid:18)(cid:19)(cid:90)(cid:14)(cid:20)(cid:90)(cid:14)(cid:21)
(cid:9)(cid:30)(cid:26)(cid:90)(cid:14)(cid:21)(cid:10)
(cid:18)(cid:19)(cid:90)
Ú x=21일 때,
;5@6!;=;8#;
Û x=42일 때,
;5$6@;=;4#;
Ü x=63일 때,
;5^6#;=;8(;
Ý x=84일 때,
;5*6$;=;2#;
주어진 도형의 넓이는 위의 그림과 같이 큰 직사각형의 넓이
에서 직사각형 ㉠, ㉡의 넓이를 뺀 것과 같으므로
또는 x=84, y=2
∴ x+y=29, 46, 86
(구하는 도형의 넓이) =(큰 직사각형의 넓이)
따라서 x+y의 값이 될 수 없는 것은 ③, ⑤이다.
Ú ~ Ý에 의해 x=21, y=8 또는 x=42, y=4
-(직사각형 ㉠의 넓이)
-(직사각형 ㉡의 넓이)
=12y_8x-9y_3x-(9y-4)_x
=96xy-27xy-9xy+4x
=60xy+4x
(cid:25)(cid:89)(cid:14)(cid:20)(cid:89)(cid:14)(cid:21)(cid:89)(cid:9)(cid:30)(cid:89)(cid:10)
(cid:18)(cid:19)(cid:90)(cid:14)(cid:20)(cid:90)(cid:14)(cid:21)(cid:9)(cid:30)(cid:26)(cid:90)(cid:14)(cid:21)(cid:10)
㉢
(cid:21)(cid:89)
[다른 풀이]
(cid:20)(cid:90)
(cid:20)(cid:89)
(cid:25)(cid:89)
㉠
(cid:25)(cid:89)(cid:14)(cid:20)(cid:89)(cid:9)(cid:30)(cid:22)(cid:89)(cid:10)
(cid:21)
㉡
(cid:18)(cid:19)(cid:90)
주어진 도형의 넓이는 위의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 ㉠, ㉡, ㉢
의 넓이를 더한 것과 같으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
= (직사각형 ㉠의 넓이)+(직사각형 ㉡의 넓이)
+(직사각형 ㉢의 넓이)
=3y_8x+4_5x+(9y-4)_4x
=24xy+20x+36xy-16x
=60xy+4x
13
① 무한소수 중 순환소수는 유리수이다.
④, ⑤ 기약분수로 나타내었을 때, 분모의 소인수가 2 또는 5
뿐이면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②, ③이다.
3_7
2a
14
이 순환소수가 되려면 기약분수로 나타내었을 때,
;2@a!;=
분모에 2 또는 5 이외의 소인수가 있어야 한다.
이때 a는 15보다 작은 자연수이므로 a=9, 11, 13
따라서 a의 최댓값은 13, 최솟값은 9이므로
M=13, m=9 ∴
M
m
=;;Á9£;;=1.H4
16
주어진 식의 분모, 분자에 각각 a를 곱하면
aÜ`+aÞ`
a-aÜ`
=
(aÜ`+aÞ`)_a
(a-aÜ`)_a
=
aÝ`+aß`
aÛ`-aÝ`
=
(aÛ`)Û`+(aÛ`)Ü`
aÛ`-(aÛ`)Û`
=
2Û`+2Ü`
2-2Û`
=
4+8
2-4
=
12
-2
=-6
17
두 신문지 A, B의 두께를 a`(a>0)라 하자.
A는 절반씩 한 번 접을 때마다 그 두께가 2배씩 두꺼워진다.
즉, A를 한 번, 두 번, 세 번, y 접으면 그 두께는
a_2, a_2Û`, a_2Ü`, y이므로 40번 접으면 그 두께는
a_240이다.
B는 삼등분씩 한 번 접을 때마다 그 두께가 3배씩 두꺼워진다.
즉, B를 한 번, 두 번, 세 번, y 접으면 그 두께는
a_3, a_3Û`, a_3Ü`, y이므로 20번 접으면 그 두께는
a_320이다.
이때 240=(22)20=420이므로 420>320에서 240>320
즉, a_240>a_320
따라서 신문지 A를 접은 것이 더 두껍다.
18
n이 짝수이면 n+1은 홀수, n+2는 짝수이므로
(-1)n+1a2n+1Ö(-1)n+2a2n=-a2n+1Öa2n
=-
a2n+1
a2n =-a`
19
만들 수 있는 가능한 한 작은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는
xÜ`yÛ`, xÛ`yÝ`, yÞ`의 최소공배수이다.
이때 x, y는 서로소이므로 xÜ`yÛ`, xÛ`yÝ`, yÞ`의 최소공배수는
따라서 필요한 직육면체 모양의 블록의 개수는
(xÜ`yÞ`ÖxÜ`yÛ`)_(xÜ`yÞ`ÖxÛ`yÝ`)_(xÜ`yÞ`ÖyÞ`)
xÜ`yÞ`이다.
=yÜ`_xy_xÜ`
=xÝ`yÝ`(개)
Ⅰ. 수와 식의 계산
9
191최고득점(2학년) 해설001~040.indd 9
18. 11. 15. 오전 11:16
24
aß`+aß`+aß`
(2b)ß`+(2b)ß`
_
b¡`+b¡`+b¡`+b¡`
a12
4b¡`
a12
4b¡`
a12
=
3aß`
2(2b)ß`
_
_
=
=
3aß`
128bß`
3bÛ`
32aß`
이때 aÛ`=3, bÛ`=2이므로
3bÛ`
32aß`
=
3bÛ`
32(aÛ`)Ü`
=
3_2
32_3Ü`
=;14!4;
채점 요소
ⅰ 주어진 식을 간단히 하기
ⅱ 주어진 식의 값 구하기
… ⅰ
… ⅱ
비율
50 %
50 %
… ⅲ
… ⅳ
비율
30 %
30 %
20 %
25
정육면체의 마주 보는 면에 적힌 두 다항식의 합을 구하면
A+F =(xÛ`-3xy+5yÛ`)+(-2xÛ`+7xy-yÛ`)
=-xÛ`+4xy+4yÛ`
… ⅰ
즉, C+E=-xÛ`+4xy+4yÛ`이므로
C+(4xÛ`+8xy-2yÛ`)=-xÛ`+4xy+4yÛ`에서
C =-xÛ`+4xy+4yÛ`-(4xÛ`+8xy-2yÛ`)
=-xÛ`+4xy+4yÛ`-4xÛ`-8xy+2yÛ`
=-5xÛ`-4xy+6yÛ`
… ⅱ
또 B+D=-xÛ`+4xy+4yÛ`이므로
-6xy+D=-xÛ`+4xy+4yÛ`에서
D =-xÛ`+4xy+4yÛ`+6xy
=-xÛ`+10xy+4yÛ`
=-6xÛ`+6xy+10yÛ`
채점 요소
ⅱ 다항식 C 구하기
ⅲ 다항식 D 구하기
ⅳ C+D를 간단히 하기
∴ C+D =(-5xÛ`-4xy+6yÛ`)+(-xÛ`+10xy+4yÛ`)
ⅰ 정육면체의 마주 보는 면에 적힌 두 다항식의 합 구하기 20 %
20
A△2x=A_(2x)Û`=A_4xÛ`이므로
A_4xÛ`=20xÝ`y에서
A=
20xÝ`y
4xÛ`
=5xÛ`y
2y▽B=(2y)Û`_B=4yÛ`_B이므로
4yÛ`_B=24xyÜ`에서
B=
=6xy
24xyÜ`
4yÛ`
Ö 5
BÛ`
AÛ`
2
∴
=
(5xÛ`y)Û`
2
Ö
5
(6xy)Û`
=
25xÝ`yÛ`
2
_
36xÛ`yÛ`
5
=90xß`yÝ``
21
△EDB와 △ECB에서
BEÓ는 공통, ∠EBD=∠EBC, ∠DEB=∠CEB
∴ △EDBª△ECB`(ASA 합동)
따라서 ∠BDE=∠BCE=90ù, EDÓ=ECÓ=2b이므로
△ABE=;2!;_ABÓ_EDÓ
=;2!;_(4a-5b+8c)_2b
=4ab-5bÛ`+8bc
22
이 유한소수가 되려면
7
2Û`_5_a
a는 소인수가 2이거나 5로만 이루어진 수이거나 7의 약수이
거나 이들의 곱으로 이루어진 수이어야 한다.
… ⅰ
따라서 a의 값이 될 수 있는 한 자리의 자연수는
1, 2, 4, 5, 7, 8이므로
6개이다.
채점 요소
ⅰ a에 대한 조건 설명하기
ⅱ a의 값이 될 수 있는 한 자리의 자연수 구하기
ⅲ a의 값이 될 수 있는 한 자리의 자연수의 개수 구하기
… ⅱ
… ⅲ
비율
50 %
30 %
20 %
23
0.HaHb=
10a+b
99
, 0.HbHa=
10b+a
99
이때 두 순환소수의 합이 1-0.H4=1-;9$;=;9%;
10b+a
99
10a+b
99
11a+11b=55 ∴ a+b=5
0.HaHb+0.HbHa=1-0.H4에서
+
=;9%;
이므로 … ⅰ
그런데 a>b이므로 a=3, b=2 또는 a=4, b=1
… ⅱ
-
=
=0.H0H9
0.H3H2-0.H2H3=
㈎ a=3, b=2일 때
32
99
㈏ a=4, b=1일 때
41
99
0.H4H1-0.H1H4=
23
99
14
99
9
99
27
99
㈎, ㈏에 의해 두 순환소수의 차는
0.H0H9 또는 0.H2H7이다.
-
=
=0.H2H7
채점 요소
ⅰ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
ⅱ a, b의 값 구하기
ⅲ 두 순환소수의 차를 순환소수로 나타내기
10
… ⅲ
비율
20 %
40 %
40 %
191최고득점(2학년) 해설001~040.indd 10
18. 11. 15. 오전 11:16
정답과 해설Ⅱ. 부등식
일차부등식
1
1
Ü a=3일 때, a-3=0이므로
0_x>4의 꼴이 되어 해가 없다.
유제 7
ax-2(x-1)>2a-1에서 (a-2)x>2a-3
이때 주어진 부등식의 해가 x<3이므로
37~41쪽
a-2>0
따라서 x>
2a-3
a-2
2a-3=3a-6 ∴ a=3
에서
2a-3
a-2
=3이므로
유제1 ②, ⑤
유제2 ⑴ -11<3x-5É4 ⑵ -13É-5x+2<12
유제3 ③
유제4 x¾
;;Á4°;;
유제5 ①, ③
a-3<0
유제6 풀이 참조
유제7 ③
유제8
2
유제9 ③
유제10 -3
유제 1
② a>b에서 5a>5b이므로 5a-c>5b-c
⑤ a=2, b=-5이면 a>b이지만 -aÛ`>-bÛ`
유제 2
⑴ -2
'비상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비상교육 한끝 중등 국어 통합 2 답지 (0) | 2020.08.13 |
---|---|
2019년 비상교육 한끝 중등 국어 교과서 2 - 1 답지 (0) | 2020.08.13 |
2019년 비상교육 중학 영어 듣기모의고사 22회 중 3 답지 (1) | 2020.08.13 |
2019년 비상교육 중학 영어 듣기모의고사 22회 중 2 답지 (0) | 2020.08.13 |
2019년 비상교육 중학 영어 듣기모의고사 22회 중 1 답지 (0) | 2020.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