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01 plan, out 02 be on stage 03 is going to 04 Which, prefer, good, bad, say that, unhealthy when Lesson 01 What Is Your Color? 교과서 어휘 다지기 A 01 type B 01 friendly Step 1 02 advice 02 wisdom D 01 caring E 01 solve 04 clear 02 inventor 02 try 05 personality 03 prefer 03 activity 03 special 03 tradition 교과서 어휘 다지기 01 curious 02 ② Step 2 p.9 03 on his own 04 ⑤ 05 (p)refer 06 ④ 07 ① 04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01 hungry, Why don’t, good idea, open, They say, serves, Are there, this weekend, say that, special, on, What kind of, People say that 02 Look at, look, Which, like most, like, most, Are they, look p.8 delicious, Which flavor, prefer, prefer 03 How, like, learned a lot, myself, type, What, good at, say that, make, Which, prefer, sure, going to ask 05 which position, sleep, back, What, like, People say that, friendly, How good, say that, best 06 new snack, They say, Would, like to, I’d love, Look at, look, Which one, prefer, Which one, prefer 07 really is, Why don’t we, across, idea, Which flavor, prefer, prefer 교과서 대화 다지기 01 ⑤ 02 ② Step 2 p.17 01 tradition과 traditional은 ‘전통 : 전통의’를 의미하는 ‘명사 : 형용사’ 의 관계이므로 빈칸에는 ‘호기심’을 의미하는 명사 curiosity의 형용사인 03 People say that they are warm and friendly. 05 ⓐ (f)un ⓑ (m)yself ⓒ (g)ood ⓓ (p)refer 04 ① 06 ③ curious(호기심이 많은)가 적절하다. 02 •많은 사람들이 일출을 보고 있다. (look at ~: ~을 보다) • 너는 손으로 물건을 만드는 것을 잘하니? (be good at ~: ~을 잘하다, ~에 능숙하다 ) 03 on one’s own: 혼자서 (= alone) Brown 씨는 혼자서 퀴즈를 풀어야 했다. 04 ⑤ 명확한 메시지를 주는 것은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중요하다. (clear: 분명한, 명확한; (날씨가) 갠, 맑은; 투명한) 05 ‘누군가 또는 어떤 것을 다른 누군가 또는 다른 것보다 더 좋아하다’는 prefer(선호하다)의 영영풀이이다. 06 •오크는 나무의 일종이다. (kind: 유형, 종류) •그의 상상력은 그의 장점이다. (strong point: 장점, 강점) • 그 소녀는 매우 독특한 이름을 갖고 있다. (unique: 독특한, 유일(무이) 한) 01 Which ~ do you prefer?(너는 어느[어떤] ~을 선호하니?)는 주어진 선택 범위에서 어느 것을 선호하는지 묻는 표현이므로 빈칸에는 선호하는 것을 말하는 표현이 들어가는 것이 적절하다. 02 ⓐ What is[are] ~ like?: ~는 어때? ⓑ 의문부사 how + 형용사[부사]: 얼마나 ~한[하게] 03 People say that ~.((사람들이 말하길) ~라고 해.)은 다른 사람 등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진술하는 표현으로, 접속사 that 뒤에는 주어 + 동사의 절이 온다. 04 ① 그 테스트가 어땠냐고 묻는 것이 흐름상 적절하므로 과거의 일에 대한 소 감이나 의견을 묻는 표현인 How did you like ~?(~은 어땠니?, ~이 마음 에 들었니?)를 써야 한다. 05 ⓐ fun: 재미있는 •나는 회의를 위한 완벽한 장소를 찾았다. (setting: 환경, 장소) 07 ⓐ 무언가를 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 direction(지시, 명령) ⓑ 전치사의 목적어가 주어와 동일하므로 재귀대명사 myself가 적절하다. ⓒ be good at ~: ~을 잘하다, ~에 능숙하다 ⓑ 특정한 체계, 경기, 또는 상황에서 누군가가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 Which ~ do you prefer?(너는 어느[어떤] ~을 선호하니?)는 상대방에게 것을 설명하는 진술: rule(규칙, 원칙) 어느 것을 선호하는지 묻는 표현이다. pp.10~11 실히 모르겠다고 답했다. 06 ③ 발명가와 예술가 중 어느 것을 선호하는지 묻는 나라의 물음에 세호는 확 02 prefer 교과서 속 핵심 대화 01 say that 교과서 대화 모두 보기 01 F 02 T 06 T 07 T 교과서 대화 다지기 Step 1 A 01 ⓐ → ( ⓒ ) → ( ⓑ ) → ( ⓓ ) 02 ( ⓒ ) → ( ⓓ ) → ( ⓐ ) → ( ⓑ ) 03 ( ⓓ ) → ( ⓐ ) → ⓒ → ( ⓔ ) → ( ⓑ ) 03 T 04 T 05 T Step 1 pp.20~21 01 Which is 02 us → ourselves pp.18~19 pp.12~13 pp.14~16 교과서 속 핵심 문법 교과서 문법 다지기 A 01 yourself 03 themselves 05 or B 01 Ⅹ 03 Ⅹ 05 02 Which 04 himself 06 her 02 Ⅹ 04 06 정답 및 해설 1 E 01 How → Which 02 you → yourself 적절하다. C 01 of itself 02 Which city 03 talks to himself 04 Between ourselves 05 Which one 06 for yourself D 01 of 03 enjoy 05 Which 02 by 04 help 06 or 03 her → herself 04 it → itself 05 ourselves → themselves 06 nor → or F 01 Which coffee do you want? 02 Which animal escaped from the zoo? 03 Which activity did the children like most? 04 Which is your favorite color? 05 Which song of these would you like to sing? 06 Which do you want to hear first, the bad news or the good news? 08 빈칸에는 ‘어느 것; 어느 ~, 어떤 ~’을 의미하여 정해진 범위나 대상 중 하나 에 관련된 내용을 묻는 의문사 which가 적절하다. •빛과 소리 중 어느 것이 더 빠르게 이동하니? •제가 어느 구역에서 여행 서적을 찾을 수 있나요? 09 주어의 동작이 주어 자신에게 미칠 때, 즉 동사나 전치사의 목적어가 주어와 동일한 경우 재귀 용법의 재귀대명사를 쓴다. by oneself는 ‘혼자서’를 의미 하고, 명령문은 주어 You가 생략된 것이므로 빈칸에는 you의 재귀대명사가 •이 식탁이 너무 무겁기 때문에 너는 그것을 혼자 옮길 수 없다. • 네 친구의 입장이 되어 봐라, 그러면 너는 그를 더 잘 이해할 것이다. (put yourself in one’s shoes: ~의 입장이 되어 보다) 10 ⑤의 himself는 동사 burned의 목적어로 쓰인 재귀 용법의 재귀대명사이 고, 나머지는 모두 재귀대명사를 생략할 수 있는 강조 용법의 재귀대명사 이다. 11 ④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뒤의 명사를 수식하여 ‘어느 ~, 어떤 ~’을 의미하 는 의문형용사 Which가 들어갈 수 있지만, ④는 빈칸 뒤에 부사가 있으므로 Which가 들어갈 수 없다. 12 ② 전치사 for의 목적어는 선물을 주는 대상이어야 하기 때문에 주어 These 와 동일할 수 없으므로 빈칸에는 명사 또는 인칭대명사의 목적격의 형태 13 Which dessert do you prefer 14 make yourself at home 16 ②의 himself는 주어를 강조한 강조 용법으로 쓰여 생략이 가능하다. 나머 교과서 문법 다지기 Step 2 01 ④ 02 ④ 03 ③ 04 ④ 05 ourselves → us[herself] 06 want you → do you want 09 yourself 10 ⑤ 11 ④ 15 ③ 16 ② 17 ① 19 Which subway should we take 서술형 01 Which looks better, this one or that one? 02 Which food do you did like most? 03 Which (ball[one]) is the biggest? 04 (1) His nephew chose the toy car itself. 07 ⑤ 12 ② 18 ② 20 ② pp.22~25 가 적절하다. 13 의문사 which가 있는 일반동사 의문문은 「Which (+ 명사) + do[does / did] + 주어 + 동사원형 ~?」으로 나타낸다. 08 Which 14 make oneself at home: 편히 있다 15 ③ Which로 시작하는 의문문의 끝에 A or B를 붙여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것 을 묻는 선택의문문으로 쓸 수 있다. 지는 모두 동사나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인 재귀 용법의 재귀대명사이므로 생략할 수 없다. 17 ① 의문부사 How는 형용사 또는 부사와 함께 쓰이는데 how 뒤에 명사가 있 으므로 의문형용사 Which 등으로 고쳐야 한다. 18 주어진 문장과 ②의 밑줄 친 부분은 동사의 목적어로 쓰인 재귀 용법의 재귀 대명사이고, 나머지는 모두 주어나 목적어를 강조한 강조 용법의 재귀대명 사이다. 19 의문사 which가 있는 조동사의 의문문은 「Which (+ 명사) + 조동사 + 주 (2) My mother herself cleaned the kitchen[My mother cleaned 어 + 동사원형 ~?」으로 나타낸다. the kitchen herself]. 20 (A) of itself: 저절로 05 (1) |예시답안| The boy is cutting his hair by himself. (B) 의문형용사 which는 뒤의 명사를 수식해 ‘어느 ~, 어떤 ~’을 의미한다. (2) |예시답안| They are pointing at themselves. Which로 시작하는 의문문 끝에 A or B를 붙여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것을 묻는 선택의문문으로 쓸 수 있다. 01 ④ 빈칸에는 빈칸 뒤의 명사를 수식하여 ‘어느 ~, 어떤 ~’을 의미하는 의문형 (C) 문장의 주어가 Sam and Evan이므로 3인칭 복수 대명사인 they의 재 용사 Which가 적절하다. 의문부사 How는 형용사 또는 부사와 함께 쓰 귀대명사 themselves가 적절하다. 서술형 일 수 있다. 02 빈칸 앞에 완전한 절이 있으므로 빈칸에는 주어나 목적어를 강조할 때 강조 하고자 하는 단어 뒤 또는 문장의 끝에 쓰는 재귀대명사가 적절하다. 03 의문형용사 which는 뒤의 명사를 수식해 ‘어느 ~, 어떤 ~’을 의미한다. Which로 시작하는 의문문의 끝에 A or B를 붙여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것을 묻는 선택의문문으로 쓸 수 있다. 04 help oneself (to ~): (~을) 마음껏 먹다 05 주어진 문장의 주어인 Cindy와 목적어가 동일하지 않으므로 재귀대명사인 ourselves를 목적격인 us로 고치거나 재귀대명사 herself로 고쳐야 한다. 06 의문사 which가 있는 일반동사 의문문은 「Which (+ 명사) + do[does / did] + 주어 + 동사원형 ~?」으로 나타낸다. 같은 대상을 나타내는 재귀대명사가 적절하다. 2 2학년 능률_양현권 01 의문문의 주어가 「Which (+ 명사)」일 경우 「Which (+ 명사) + 동사 ~?」로 쓰며, Which로 시작하는 의문문 끝에 A or B를 붙여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것 을 묻는 선택의문문으로 쓸 수 있다. 02 의문사 which가 있는 일반동사 의문문은 「Which (+ 명사) + do[does / did] + 주어 + 동사원형 ~?」으로 나타낸다. 03 ‘어느 것, 어느 사람; 어느 ~, 어떤 ~’을 의미하여 정해진 범위나 대상 중 하 나에 관련된 내용을 묻는 의문사 which를 이용한 의문문으로 쓴다. B가 축 구공이 가장 크다고 답했으므로 빈칸에는 표의 공들 중 어느 공이 가장 큰지 묻는 의문문이 적절하다. 용법의 재귀대명사를 쓴다. 07 빈칸은 동사의 목적어 자리이므로 인칭대명사의 목적격, 명사 또는 주어와 04 주어나 목적어를 강조할 때 강조하고자 하는 단어 뒤 또는 문장의 끝에 강조 05 주어의 동작이 주어 자신에게 미칠 때, 즉 동사나 전치사의 목적어가 주어와 동일한 경우 재귀 용법의 재귀대명사를 쓴다. pp.28~30 05 ~을 잘하다, ~에 능숙하다 06 having 07 ~을 세심하게 계획하다 08 무대에 서다 02 성격 04 ones 10 조건 12 lively 14 지혜 교과서 본문다지기 A 01 무슨 ~, 어떤 ~ 03 어떤 ~, 어느 ~ 09 many 11 재치 있는 13 YOURSELF 17 is 19 yourself 15 무리 지어, 집단으로 16 by yourself 18 ~하는 게 어때? 20 ~을 최대한 활용하다 B 01 Who, What type, have, questions 02 personality test for 03 Which activities, which ones 04 good at 05 having fun, taking chances 06 on my own, following, rules 07 planning, out, pleasing others 08 being on stage, working, directions 09 What, color 10 Circle, most circles 11 What type 12 If, more circles, energizer 13 witty, lively, settings 14 If, more circles, organizer 15 faithful, careful, clear rules 16 KNOWING YOURSELF IS 17 If, more circles, listener 18 warm, caring, in groups 19 If, more circles, curious thinker 20 cool, quiet, on your own 21 What, how much 22 Take, as, try to find 23 Everyone is, has 24 Why don’t you, and 20 Is which job → Which job is 21 Between ourselves 22 ③ 27 ③ 30 ⑤ 34 ⑤ 36 ⑤ 23 ① 24 ⑤ 25 ④ 26 ② 28 Which book do you want to read? 29 ③ 31 How do you like it? 32 ② 33 ④ 35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떤 유형의 사람인가? 37 ⓐ on my own ⓑ being on stage 38 ① 39 (y)ourself 40 ① 41 IS 42 ① 43 ③ 44 your type 45 make the most of 01 ⑤는 ‘전통 : 전통의’를 의미하는 ‘명사 : 형용사’의 관계이고, 나머지는 모두 ‘동사 : 행위자’의 관계이다. ① 생각하다 : 생각하는 사람 ② 자다 : 잠을 자는 사람 ③ 발명하다 : 발명가 ④ 듣다 : 청자, 듣는 사람 02 kind: 유형, 종류 친절한, 다정한 •너는 어떤 종류의 애완동물을 가장 좋아하니? • 그녀가 항상 다른 사람들에게 친절하기 때문에 모두가 그녀를 매우 좋아한다. 03 ⑤ 나의 선생님은 내 장점을 칭찬하셨다. (strong point: 장점, 강점) 04 a lot of: 많은 (= lots of) 05 ② unique(독특한, 유일(무이)한)의 영영풀이는 ‘particularly special or unusual’(특히 특별하거나, 평범하지 않은)이다. 06 ‘사회적 환경에서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하게 만드는 사람의 자질’은 personality(성격, 인격)의 영영풀이이다. 07 •ask A for B: A에게 B를 부탁하다[요청하다] •in groups: 무리 지어, 집단으로 08 People say that ~.((사람들이 말하길) ~라고 해.)은 다른 사람 등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진술할 때 쓰는 표현으로 It is said[believed] that ~. 등으로 09 ① 과학자들은 back position(등이 바닥에 닿는 자세)이 가장 좋은 수면 자 바꿔 쓸 수 있다. 세라고 말했다. 10 ⑤ A가 바다와 계곡 중 어느 것을 더 좋아하는지 물었으므로 B는 자신이 선 호하는 것에 대해 답해야 하는데 이번 여름에 바다에 갈 것이라고 자신의 계획을 답하고 있으므로 어색하다. 11 Which ~ do you prefer?(너는 어느[어떤] ~을 선호하니?)는 상대방에게 어 느 것을 선호하는지 묻는 표현으로, Which do you like better? 등으로 바 꿔 쓸 수 있다. 12 ⓑ 케이크들을 봐! ⓐ 그것들은 맛있게 보여. ⓓ 너는 어떤 케이크를 가장 좋아하니? ⓒ 나는 초콜릿 케이크를 가장 좋아해. 01 T 02 F 03 T 04 F 14 How did you like ~?는 ‘~은 어땠니?, ~이 마음에 들었니?’라는 의미로 과 교과서 속 기타 지문 영역별 실력 굳히기 01 ⑤ 02 ③ 06 (p)ersonality 09 ① 10 ⑤ 03 ⑤ 07 ③ 11 ⑤ 04 a lot of 05 ② 08 is said[believed] that 12 ③ 13 they say that there’s a special dance show 15 ⑤ 18 ④ 16 I learned a lot about myself. 19 me → myself 14 ① 17 ④ 13 ‘(사람들이 말하길) ~라고 해.’라는 의미로 다른 사람 등으로부터 얻은 정보 를 진술할 때 They say that ~.을 쓸 수 있다. 접속사 that 뒤에는 주어 + p.31 동사의 절이 온다. 거의 일에 대한 소감이나 의견을 물을 때 쓰는 표현이다. pp.32~38 15 주어진 문장은 ‘나는 잘 모르겠어.’를 의미하므로 발명가와 예술가 중 어떤 것을 선호하는지 묻는 나라의 물음 뒤에, 선생님께 조언을 부탁할 것이라는 내용 앞에 오는 것이 흐름상 적절하다. 16 동사나 전치사의 목적어가 주어와 동일한 경우에 쓰는 재귀대명사와 과거형 의 동사를 이용하여 영작한다. a lot: 많이 17 ④ 빈칸에는 빈칸 뒤의 명사를 수식하여 ‘어느 ~, 어떤 ~’을 의미하는 의문형 용사 Which가 적절하다. 의문부사 How는 형용사 또는 부사와 함께 쓰 일 수 있다. 정답 및 해설 3 18 빈칸 앞에 완전한 절이 있으므로 빈칸에는 주어나 목적어를 강조할 때 강조 37 ⓓ on one’s own: 혼자서 하고자 하는 단어 뒤 또는 문장의 끝에 쓰는 재귀대명사가 적절하다. 주어 ⓔ be on stage: 무대에 서다 Her son은 인칭대명사 he로 바꿀 수 있으므로 빈칸에는 himself가 들어간다. 38 ⓕ와 ①의 most는 형용사 many의 최상급으로 ‘가장 많은’을 의미한다. ② 19 주어의 동작이 주어 자신에게 미칠 때, 즉 동사나 전치사의 목적어가 주어와 ③은 ‘대부분’을 의미하는 대명사로 쓰였고, ④⑤는 ‘가장’을 의미하여 형용 동일한 경우 재귀 용법의 재귀대명사를 쓴다. 사의 최상급을 만드는 부사로 쓰였다. 20 의문사 which가 쓰인 be동사 의문문은 「Which (+ 명사) + be동사 ~?」로 39 이 글은 ‘나는 누구일까? 나는 어떤 유형의 사람일까?’와 같은 질문에 답하 나타낸다. 21 between ourselves: 우리끼리 이야기인데 22 ③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뒤의 명사를 수식하여 ‘어느 ~, 어떤 ~’을 의미하 기 위해 성격 검사를 받아 보라는 내용이므로 주어진 문장은 성격 검사를 받 음으로써 자신을 더 잘 알게 될 것이라는 내용이 되어야 한다. 40 ①은 ‘~인지 아닌지’를 의미하는 명사절을 접속사이고, ⓐ와 나머지는 모두 는 의문형용사 Which가 들어갈 수 있지만, ③은 빈칸 뒤에 부사가 있으므로 ‘(만약) ~라면’을 의미하여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 접속사이다. Which가 들어갈 수 없다. 23 ①의 ourselves는 전치사 of의 목적어로 쓰인 재귀 용법의 재귀대명사이고, 41 동명사가 주어로 쓰일 경우 3인칭 단수 취급한다. 42 ① 재치 있는 사람은 훌륭한 활력소라고 했고, 호기심이 많은 생각하는 사람 나머지는 모두 주어를 강조한 강조 용법의 재귀대명사이다. 은 차분하고 조용하다고 했다. 24 ⑤의 himself는 전치사 for의 목적어로 쓰인 재귀 용법의 재귀대명사이므로 43 ③ 문맥상 첫 번째 단계로 이 성격 검사를 받으라는 내용이 되어야 하므로 ‘~ 생략할 수 없다. 나머지는 모두 주어를 강조한 강조 용법의 재귀대명사이므 로(서)’를 의미하여 자격이나 기능을 나타내는 전치사 as가 적절하다. 로 생략 가능하다. 44 ‘너의 유형은 무엇이고, 너는 그것이 얼마나 많이 마음에 드니?’라는 의미이 25 ① 전치사 of의 목적어인 it이 주어인 The tree와 동일하므로 재귀대명사 므로 it이 가리키는 것은 ‘너의 유형(your type)’이다. 45 make the most of ~: ~을 최대한 활용하다 itself로 고쳐야 한다. (of itself: 저절로) ② help oneself (to ~): (~을) 마음껏 먹다 ③ 의문사 Which로 시작하는 의문문 끝에 A or B를 붙여 어느 하나를 선택 할 것을 묻는 선택의문문으로 쓸 수 있다. ⑤ 주어 Her family는 3인칭 복수로 취급하는 명사이므로 목적어로 재귀대 명사를 쓸 경우 themselves를 써야 한다. 02 listen to 03 ② 04 quiet 05 ④ 26 ‘혼자, 혼자서’를 의미하는 by oneself를 이용하여 주어진 우리말을 영작하 06 ④ 07 She likes the chocolate flavor most. 08 ③ 학교 시험 100점 맞기 01 ⑤ Step 1 pp.39~43 면 A man is singing on the stage by himself.가 된다. 27 (A) for oneself: 혼자 힘으로, 스스로 (B) 빈칸 뒤의 명사 day를 수식하여 ‘어느 ~, 어떤 ~’을 의미하는 의문형용 사 Which가 적절하다. 격 형태가 적절하다. (C) 전치사 than의 목적어가 주어와 동일하지 않으므로 인칭대명사의 목적 28 의문사 which가 있는 일반동사의 의문문은 「Which (+ 명사) + do[does / did] + 주어 + 동사원형 ~?」으로 나타내며, 동사 want는 to부정사를 목적 어로 취한다. 29 첫 번째 문장의 의문사 Which 뒤에 형용사 tall이 있으므로 Which를 How 09 What type of person are you? 10 ④ 11 ④ 12 ⑤ 13 ② 14 myself → ourselves 15 Which tower is the tallest [Which is the tallest (tower)?] 16 ① 17 ⑤ 18 ① 20 special things about yourself 22 ② 23 ④ 24 direction 25 ③ 27 If you have more circles 29 (b)y (y)ourself 30 ①, ④ 19 ③ 21 ③ 26 ④ 28 ⑤ 로 고쳐야 한다. 다섯 번째 문장의 주어 My uncle and I는 인칭대명사 We 01 please: 기쁘게[즐겁게] 하다 제발, 부디 로 바꿀 수 있으므로 강조 용법의 재귀대명사는 ourselves가 되어야 한다. •나는 나의 부모님을 기쁘게 해 드리기 위해 열심히 공부했다. Which로 시작하는 의문문 끝에 A or B를 붙여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것을 묻 •부디 더 천천히 말해 줄래? 는 선택의문문으로 쓸 수 있으므로 마지막 문장의 and는 or로 고쳐야 한다. 30 빈칸에는 주어인 people과 같은 대상을 지칭하는 말이 들어가야 하는데 주 어 People이 3인칭 복수 명사이므로 재귀대명사 themselves가 적절하다. 31 How do you like ~?는 ‘~은 어때?, ~이 마음에 드니?’라는 의미로 상대방 02 listen to ~: ~을 귀 기울여 듣다 03 ② 주어진 문장은 ‘나는 많은 자유시간이 없다.’의 의미이므로 free는 ‘자유 로운’을 의미한다. free(자유로운)의 영영풀이는 ‘not under the control or in the power of another’(다른 사람의 통제나 권력이 미치지 않는) 의 의견을 물을 때 쓰는 표현이다 32 ① 글쓴이가 괴테이다. ③ 모든 사람들이 글쓴이를 아는지는 알 수 없다. ④ 글쓴이는 자신을 믿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⑤ 글쓴이는 자신의 말을 소개하고 있다. 04 healthy와 unhealthy는 ‘건강한 : 건강하지 못한’을 의미하는 반의어 관 계이므로 빈칸에는 ‘시끄러운’을 의미하는 loud의 반의어인 quiet이 적절 이 적절하다. 하다. 05 ⓐ와 ④의 it은 계절, 날씨, 시간, 요일, 날짜, 거리, 명암 등을 나타낼 때 주어 33 3개 이상의 단어나 구를 연결할 때는 마지막 단어나 구 앞에 and를 쓴다. 명 로 사용하는 비인칭주어이고, 나머지는 모두 대명사이다. 사 dreams, plans, ideas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마지막 명사 ideas 앞에 06 주어진 문장은 ‘너는 어떤 맛을 선호하니?’라는 의미이므로 ‘I prefer the chocolate flavor.’라는 대답 앞인 ④에 들어가는 것이 흐름상 적절하다. 34 ⑤ ‘I’m a stomach sleeper.’를 통해 글쓴이기 배가 바닥에 닿는 자세로 자 07 소녀의 마지막 말에서 초콜릿 맛을 선호한다고 했으므로 소녀가 가장 좋아 and를 쓰는 것이 적절하다. 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am I?를 의미한다. 35 these questions는 앞에 제시된 질문 Who am I? What type of person 하는 아이스크림 맛은 초콜릿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08 ③ 뒤에 이어지는 문장에서 다빈치형 사람들이 훌륭한 발명가와 예술가가 된다고 했으므로 다빈치가 누구인지 묻는 질문은 흐름상 어색하다. What 36 빈칸 다음에 명사가 있고 아래 표에 선택 범위가 있으므로 빈칸에는 의문사 are da-Vinci people good at? 등으로 바꿔야 흐름상 자연스럽다. which가 들어가는 것이 적절하다. 09 의문형용사 what은 뒤의 명사를 수식하여 ‘어떤 ~, 무슨 ~’을 의미한다. 4 2학년 능률_양현권 10 ① 세호가 성격 검사를 받았다. ② 세호가 무엇이 되고 싶어 하는지는 알 수 없다. ③ 세호가 가장 좋아하는 화가가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 학교 시험 100점 맞기 01 take chances Step 2 pp.44~48 02 ③ 03 ③ 04 ③ 06 Sleep scientists say that we become unhealthy ⑤ 나라가 세호에게 선생님께 조언을 구할 것을 제안한 것은 아니다. 11 문장 끝에 pasta or risotto를 붙여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것을 묻는 선택의문 05 ③ 07 ① 문이므로 빈칸에는 의문형용사 Which가 적절하다. 08 ⓐ How did you like the test? 12 ‘~ 자신’을 의미하는 재귀대명사는 주어의 동작이 주어 자신에게 미칠 때, 즉 ⓑ What type of person are you? 동사나 전치사의 목적어가 주어와 동일한 경우에 쓴다. 13 의문사 Which로 시작하는 의문문의 문장 끝에 A or B를 붙여 어느 하나를 ⓒ What are da-Vinci people good at? ⓓ Which one do you prefer? 선택할 것을 묻는 선택의문문으로 쓸 수 있다. 14 주어 Jessie and I는 1인칭 복수 대명사인 We로 바꿀 수 있으므로 재귀대 명사 myself를 ourselves로 고쳐야 한다. 15 ‘어느 것, 어느 사람; 어느 ~, 어떤 ~’을 의미하여 정해진 범위나 대상 중 하 나에 관련된 내용을 묻는 의문사 which를 이용한 의문문을 써야 한다. 괄호 안의 단어가 최상급인 tallest이고, B가 Tokyo Skytree라고 답했으므로 빈 칸에는 어떤 탑이 가장 높은지 묻는 의문문이 들어가야 한다. 의문사 Which 가 있는 be동사 의문문은 Which (+ 명사) + be동사 ~?로 나타낸다. 16 ①의 빈칸 뒤에 명사 socks가 있으므로 빈칸에는 명사를 수식하는 소유격 대명사 또는 형용사가 들어가야 한다. ②③⑤의 빈칸에는 재귀 용법의 재귀 09 ③ 10 ① 11 ①, ⑤ 12 Help yourself 13 Which picture did Lily draw[paint] 14 ③ 15 ④ 16 ② 17 What → Which 18 ①, ③ 19 (a)lone 20 planning things out 21 ⑤ 22 He[Gary] may enjoy being free and having fun, taking chances, being on stage, and playing sports. 23 ④ 24 ④ 25 ② 26 ① 28 Why don’t you listen to yourself 29 ② 27 ④ 30 ③ 대명사가, ④의 빈칸에는 강조 용법의 재귀대명사가 들어갈 수 있다. 17 ⑤ 의문사 Which로 시작하는 의문문 끝에 A or B를 붙여 어느 하나를 선택 01 take chances: 운에 맡기고 해 보다, 모험을 하다 02 •내 취미는 음악 감상이다. (listen to ~: ~을 귀 기울여 듣다) 할 것을 묻는 선택의문문으로 쓸 수 있다. (not → or) • Brain은 그의 방을 청소할 것이다. 18 ①의 itself는 목적어를 강조하는 강조 용법의 재귀대명사이므로 생략할 수 (be going to + 동사원형: ~할 것이다, ~할 예정이다.) 있고, 나머지는 모두 동사 또는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인 재귀 용법의 재귀대 03 ‘무언가가 발생하는 장소 또는 일종의 환경’은 setting(환경, 장소)의 영영풀 명사이므로 생략할 수 없다. 이이다. 19 뒤에 이어지는 내용에서 모든 사람은 특별한 색깔을 가지고 있다고 했으므 04 •너는 답에 동그라미를 그렸니? (circle: 동그라미를 그리다) 로 문맥상 빈칸에는 unique(독특한, 유일(무이)한)가 적절하다. •나는 그녀의 조언을 따르고 싶지 않다. (follow: 따르다; 따라가다) 20 이 글에서 최대한 활용하라고 한 것은 앞에서 언급된 ‘너 자신에 대해 특별한 •그는 영화의 시작을 기억하지 못했다. (beginning: 시작) 것들’(special things about yourself)이다. •너는 더 많은 신체 활동을 해야 한다. (activity: 활동) 21 (A) 뒤의 명사를 수식하여 ‘무슨 ~, 어떤 ~’를 의미하는 의문형용사 What이 05 ⓒ 매우 덥다. 적절하다. ⓐ 응, 정말 그러네. (B) 해당 문장은 ‘너의 색깔은 무엇이니?’의 의미가 적절하므로 ‘무엇’을 의 ⓑ 우리 길 건너 가게에서 아이스크림을 먹는 게 어때? 미하는 의문대명사 what이 적절하다. ⓓ 그거 좋은 생각이야. 너는 어떤 맛을 선호하니? 22 부정대명사 one의 복수형인 ones는 앞에 언급된 셀 수 있는 명사 activities ⓔ 나는 초콜릿 맛을 선호해. 와 같은 종류의 불특정한 대상, 즉 불특정한 활동들을 가리킨다. 06 주어 + say(s) that ~.」(…은 ~라고 말해.)는 어떤 사실에 대해 보고하거나 23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 enjoy 또는 전치사 at의 목적어가 되어야 전달하는 표현이다. 하고, 등위 접속사 and 뒤에 동명사구 having fun이 병렬 연결되어 있으므 07 ①은 ‘언제’를 의미하는 의문사이고 ⓒ와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할 때, ~일 로 be는 동명사 being으로 고쳐야 한다. 때’를 의미하여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이다. 24 ‘무엇을 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은 direction(지시, 명령)의 영영풀이이다. 25 두 번째 표의 초록색 줄의 번호를 첫 번째 표에서 찾으면 5. 혼자서 일하는 08 ⓐ 뒤에 세호가 ‘그것은 정말 재미있었어. 나는 내 자신에 대해 많이 알았어.’ 라고 답했으므로 빈칸에는 ‘그 테스트는 어땠니?’라는 의미의 How did 것, 7. 새로운 것들을 배우는 것, 12. 새로운 양식을 찾는 것, 15. 퍼즐을 푸 you like the test?가 적절하다. 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록색 줄에 가장 많은 동그라미가 있는 사람 ⓑ 뒤에 세호가 ‘나는 다빈치형 사람이야.’라고 답했으므로 빈칸에는 ‘너는 은 위의 활동들을 좋아하거나 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떤 유형의 사람이니?’라는 의미의 What type of person are you?가 26 이 글은 네 가지 유형에 해당하는 사람의 성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므로 빈 적절하다. 칸에는 ‘너는 무슨 유형의 사람이니?’가 적절하다. ⓒ 뒤에 세호가 ‘다빈치형 사람들은 훌륭한 발명가와 예술가가 된대.’라고 27 ‘(만약) ~라면’을 의미하여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if와 ‘더 답했으므로 빈칸에는 ‘다빈치형 사람들은 무엇을 잘하니?’라는 의미의 많은’을 의미하는 more을 이용하여 영작한다. What are da-Vinci people good at?가 적절하다. 28 3인칭 단수 취급하는 동명사 주어와 ‘너 자신’을 의미하는 재귀대명사 ⓓ 뒤에 세호가 ‘나는 확실히 모르겠어. 나는 나의 선생님에게 조언을 좀 부 yourself를 이용하여 주어진 단어들을 순서대로 배열하면 KNOWING 탁할 거야.’라고 답했으므로 빈칸에는 ‘너는 어느 것을 선호하니?’라는 의 YOURSELF IS THE BEGINNING OF ALL WISDOM.이 된다. 미의 Which one do you prefer?가 적절하다. 29 on one’s own은 ‘혼자서’라는 의미로 by oneself로 바꿔 쓸 수 있다. 주어 09 「Be동사 + there ~?」는 ‘~(들)이 있니?’라는 의미로 뒤에 나오는 명사의 수 가 you이므로 재귀대명사는 yourself를 써야 한다. 에 be동사를 일치시킨다. 뒤에 복수 명사 any good programs가 나오므로 30 훌륭한 조직자에 대한 설명인 ‘You are faithful and careful, and you be동사는 Are을 쓴다. work best with clear rules.’를 통해 충실한 사람은 신중하고 분명한 규칙 10 ① it은 이번 주 토요일 청소년 센터에서 있을 인도 춤 공연을 가리키는데, 이 으로 일을 가장 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화에서 소년이 직접 참여한다는 내용은 확인할 수 없다. 정답 및 해설 5 11 ①의 빈칸 앞에 주어가 있고 빈칸 뒤에 동사가 있으므로 빈칸에는 주어를 강 조하는 재귀대명사 myself가 들어갈 수 있다. ⑤의 빈칸은 전치사의 목적어 자리이고, 의미상 주어인 My grandfather의 재귀대명사인 himself가 들어 갈 수 있다. ②의 빈칸에는 목적격 대명사 등이, ③의 빈칸에는 소유격 (대)명 05 |예시답안| Inventors and artists are right jobs for him[Seho]. 06 (1) Which direction are you going (2) talked to herself in the mirror 사가, ④의 빈칸에는 목적격 대명사나 명사 등이 적절하다. 07 ① told ② us ③ the ④ news ⑤ itself 08 (1) I myself saw the terrible accident[I saw the terrible 12 help yourself: 마음껏 먹다 13 의문형용사 which는 뒤의 명사를 수식해 ‘어느 ~, 어떤 ~’을 의미한다. 의문 사 Which로 시작하는 의문문 끝에 A or B를 붙여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것을 묻는 선택의문문으로 쓸 수 있다. 14 ① her → herself ② ourself → ourselves ④ themselves → itself ⑤ her bag is → is her bag 15 ④의 himself는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인 재귀 용법의 재귀대명사이고, 나머 지는 모두 강조 용법의 재귀대명사이다. 16 (A) 괄호 다음에 명사가 있으므로 의문형용사 Which 적절하다. (B) 목적어가 주어와 같으므로 재귀대명사 myself 적절하다. (C) 목적어가 주어와 같지 않으므로 목적격 형태인 him을 골라야 한다. 17 의문사 which는 선택의 범위가 정해져 있는 경우에 쓰며, 의문사 what은 범위가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에 쓴다. accident myself]. (2) Which cell phone do you want to have? 09 (1) enjoyed ourselves (2) I introduced myself 10 (1) My father moved the sofa for himself. (2) Which food has more calories? 11 Which will you eat, salad or cake? 12 believing 13 It[His color] is blue. 14 (1) witty (2) lively 18 빈칸 뒤에 성격 검사에 대한 내용이 이어지므로 빈칸에는 성격 검사를 통해 (3) an organizer 답을 알 수 있는 질문이 적절하다. 19 on ones’ own: 혼자서 (= alone / by oneself) 20 plan ~ out은 ‘~을 세심하게 계획하다’를 의미하는데, 동사 enjoy와 전치사 at의 목적어가 되어야 하므로 plan을 동명사로 쓴다. 21 ⓓ와 ⑤는 ‘동그라미를 그리다’를 의미하는 동사이고, 나머지는 모두 ‘동그 라미, 원’을 의미하는 명사이다. (4) blue (5) cool (6) quiet 이이다. 01 ‘무언가를 알거나 배우기를 열망하는’은 curious(호기심이 많은)의 영영풀 22 Gary의 색깔이 주황색이라고 했으므로 Gary는 1. 자유로운 것과 재미있게 노는 것, 3. 운에 맡기고 해보는 것, 13. 무대에 서는 것, 16. 운동을 하는 것 02 (1) 매우 오래된 풍습, 믿음, 또는 이야기: tradition(전통) (2)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간단하고 직접적인 방법으로 표현된: 을 즐길 것이다. clear(분명한, 명확한) 23 ④ 주어 I와 전치사의 목적어가 동일하지 않으므로 재귀대명사 themselves (3) 활기와 에너지가 넘치는; 활동적이고 외향적인: lively(활기찬, 생기 넘 를 목적격 형태인 them으로 고쳐야 한다. 치는) 24 ‘I’m going to put an art board on the classroom wall.’에서 글쓴이가 03 「Which ~ do you prefer?」(너는 어느[어떤] ~을 선호하니?)는 상대방에게 교실 벽에 미술 게시판을 붙일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느 것을 선호하는지 묻는 표현이다. 25 ②는 충실하고 분명한 규칙으로 일을 가장 잘하는 뛰어난 조직가(excellent organizer)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다. (careless → careful) 04 They say that ~.」((사람들이 말하길) ~라고 해.)은 다른 사람 등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진술하는 표현으로, People say that ~.으로 바꿔 쓸 수 있다. 26 ⓐ 주어가 동명사인 경우 3인칭 단수 취급한다. ⓒ everyone은 3인칭 단수 취급한다. 27 ⓑ와 ④의 as는 ‘~로(서)’를 의미하여 자격이나 기능을 나타내는 전치사로 쓰였고, 나머지는 모두 부사절 접속사로 쓰였다. ①②는 ‘~일 때’, ③은 ‘~할 수록, ~함에 따라’, ⑤는 ‘~ 때문에’를 의미한다. 28 ‘~하는 게 어때?’를 의미하는 「Why don’t you + 동사원형 ~?」과 주어와 전치사의 목적어가 동일할 경우 쓰는 재귀대명사를 이용하여 영작한다. listen to ~: ~을 귀 기울여 듣다 29 따뜻하고 배려하며, 무리 지어서 일을 가장 잘하는 사람은 훌륭한 청자라고 했다. 30 괴테는 사람들이 그들 자신을 알아야 한다고 했으므로 빈칸에는 자신과 관 련된 말인 ‘마법은 너 자신을 믿는 것이다.’이 적절하다. 서술형으로 끝내기 01 curious 02 try 03 Which cake do you prefer? 04 ⓐ they say that there’s a special dance show ⓑ People say that it’s really exciting. 6 2학년 능률_양현권 접속사 that 뒤에는 주어 + 동사의 절이 온다. 05 다빈치형 사람들은 훌륭한 발명가와 예술가가 된다고 했으므로 다빈치형 사 람인 세호에게 발명가와 예술가가 적합한 직업임을 알 수 있다. 06 (1) 의문사 which가 있는 be동사의 의문문은 「Which (+ 명사) + be동사 ~?」 형태로 나타낸다. (2) talk to oneself: 혼잣말을 하다 07 목적어를 강조할 때 목적어 뒤에 강조 용법의 재귀대명사를 쓸 수 있다. 08 (1) 주어를 강조할 때 주어 뒤나 문장 끝에 재귀대명사를 쓸 수 있다. (2) ‘어느 ~, 어떤 ~’을 의미하여 정해진 범위나 대상 중 하나에 관련된 내용 을 묻는 의문형용사 Which를 이용한 의문문을 쓴다. 의문사 which가 있는 일반동사 의문문은 which (+ 명사) + do[does / did] + 주어 + 동사원형 ~?으로 나타내고, 동사 want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것에 유의하여 영작한다. 09 (1) enjoy oneself: 즐겁게 보내다 myself를 이용하여 쓴다. 10 (1) for oneself: 혼자 힘으로, 스스로 로 나타낸다. (2) which food가 의문문의 주어이므로 「Which (+ 명사) + 동사 ~?」 형태 11 여자가 샐러드와 케이크 중 샐러드를 선택하는 그림이 제시되었으므로 빈칸 에는 ‘어느 것; 어느 ~, 어떤 ~’이라는 의미로 정해진 범위나 대상 중 하나에 관련된 내용을 묻는 의문사 which를 이용한 의문문을 써야 한다. pp.49~51 (2) 주어인 I와 동사 introduced의 목적어가 동일하므로 재귀대명사 12 be동사의 보어로 동명사나 to부정사를 쓸 수 있다. 13 다른 사람들을 기쁘게 하는 것을 좋아하는 것은 첫 번째 표의 11번 항목과 일치하고 함께 일하는 것을 좋아한다는 것은 2번 항목과 일치하므로 두 번 rules. 15 You are faithful and careful, and you work best with clear 째 표에서 두 항목은 파란색 선에 포함되어 있다. 16 KNOWING YOURSELF IS THE BEGINNING OF ALL WISDOM. - 14 (1)(2) 주황색 줄에 동그라미가 가장 많은 사람은 재치 있고 놀랄만큼 활동 ARISTOTLE (3) 금색 줄에 동그라미가 가장 많은 사람은 뛰어난 조직가이다. listener. (4) 파란색 줄에 동그라미가 가장 많은 사람은 훌륭한 청자이며 따뜻하며 배 (5)(6) 녹색 줄에 동그라미가 가장 많은 사람은 차분하고 조용한 사색가 thinker. 17 If you have more circles on the blue line, you are a great 18 You are warm and caring, and you work best in groups. 19 If you have more circles on the green line, you are a curious 20 You are cool and quiet, and you work best on your own. 21 What is your type, and how much do you like it? p.52 22 Take this personality test as a first step and try to find your 01 가로 (1) faithful (2) subject 세로 (1) please (2) setting (3) solve true color. 23 Everyone is unique and has a special color. 02 |예시답안| The family are enjoying themselves at the camp. 24 Why don’t you listen to yourself, find special things about |예시답안| The man himself is playing a guitar. yourself, and make the most of them? 적이다. 려심이 많다. 이다. 창의 서술형 01 가로 (1) 어려운 상황에서도 무언가를 계속 하거나 믿다: faithful(충실한) (2) 학교나 대학에서 공부하는 지식 영역: subject(과목) 세로 (1) 누군가를 행복하고 만족하게 하다: please(기쁘게[즐겁게] 하다) (2) 어떤 일이 일어나는 장소나 환경의 종류: setting(환경, 장소) (3) 문제에 대한 답을 찾다: solve(풀다, 해결하다) 02 주어의 동작이 주어 자신에게 미칠 때, 즉 동사나 전치사의 목적어가 주어와 동일한 경우 재귀 용법의 재귀대명사를 쓰고 주어나 목적어를 강조할 때 강 조하고자 하는 단어 뒤 또는 문장의 끝에 강조 용법의 재귀대명사를 쓴다. 01 Who am I? What type of person am I? Do you have these pp.53~54 교과서 본문손으로 익히기 questions? 02 Here we have an interesting personality test for you. 03 Step 1: Which activities do you enjoy, and which ones are you good at? 04 I enjoy ... / I’m good at ... 05 1. being free and having fun. / 2. working with people. / 3. taking chances. / 4. following traditions. 06 5. working on my own. / 6. writing stories. / 7. learning new things. / 8. following the rules. 07 9. making new friends. / 10. planning things out. / 11. pleasing others. / 12. finding new patterns. 08 13. being on stage. / 14. working with directions. / 15. solving puzzles. / 16. playing sports. 09 Step 2: What is your color? 10 *Circle the numbers from Step 1, and find the line with the most circles. 11 Step 3: What type of person are you? 12 If you have more circles on the orange line, you are a wonderful energizer. 13 You are witty and lively, and you work best in game settings. 14 If you have more circles on the gold line, you are an excellent organizer. 정답 및 해설 7 Lesson 02 Old Things, New Art 교과서 어휘 다지기 A 01 around Step 1 02 speech B 01 imagination 02 less C 01 hurry up D 01 useful E 01 old 04 break 02 such as 02 create 02 artwork 05 treasure 03 reuse 03 worried 03 everyday 03 junk 교과서 어휘 다지기 01 ① 02 ④ 08 make good use of 05 ⑤ 06 ④ 07 be able to Step 2 p.59 03 ⑤ 04 ④ 의어 관계이다. ② 종류 ③ 쓰레기 ④ 중고의 ⑤ 유명한 02 break: 휴식 시간 깨뜨리다 •Bob은 휴식 시간 없이 하루 종일 일했다. •나는 집에 들어가기 위해 창문을 깨야 했다. B 01 wrong, worried about, Don’t worry, job, forgot, again, worried about forgetting, look, I’m worried, worry, pass 02 worried about, reuse, good idea, as 03 mess, clean, keep, say that again, Hurry, think, should, p.58 agree, isn’t he, shouldn’t wear, agree 04 Look at, What, good use of, You can, that 05 poster, slogan, More, Less, Where, get, got, doesn’t it, worried about, have to, say that again 03 How do you like 06 really worried, too, should, can say that, Why don’t we 07 wrong, I’m worried, such a, worried, do fine 교과서 대화 다지기 Step 2 p.67 01 ② 05 ② 02 ②, ⑤ 03 ① 04 agree[am] with 06 Junk art uses thrown-away things, doesn’t it? 01 ② 환경 친화적이 돼야 한다는 A의 말에 B가 동의를 나타낸 후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라고 말하는 것은 어색하다. 02 I’m worried about ~.(나는 ~이 걱정돼.)은 걱정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I’m 03 주어진 문장은 ‘무슨 일이니?’를 의미하여 걱정하는 일을 묻는 표현이므로, 웅변대회가 걱정된다는 내용 앞인 ①에 들어가는 것이 적절하다. 04 You can say that again.(네 말이 맞아.)은 상대방의 말에 동의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I agree (with you)., I’m with you., I couldn’t agree more. 등으로 바꿔 쓸 수 있다. 01 ①은 ‘통과하다 : 낙제하다’를 의미하는 반의어 관계이고, 나머지는 모두 유 anxious about ~., I’m concerned about ~. 등으로 바꿔 쓸 수 있다. 03 ⑤ pick up ~: ~을 줍다 04 주어진 문장과 ④의 밑줄 친 object는 ‘물건’을 의미하는 명사로 쓰였다. ①② 05 버려진 물건들을 사용하는 폐품 예술에서 표어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했으므로 ‘더 재사용하고, 덜 낭비하자!’라는 의미의 ②가 가장 적절하다. 는 ‘반대하다’를 의미하는 동사로, ③⑤는 ‘목적’을 의미하는 명사로 쓰였다. 06 콤마(,) 앞 문장이 긍정인 일반동사 현재시제의 부가의문문은 don’t[doesn’t] 05 ⑤ ‘특별한 이유로 물건들을 얻어서 모두 가지고 있다’는 collect(모으다)의 + 주어 ~?로 나타낸다. 영영풀이이다. 적인) 06 • 그녀는 그녀의 예술에 일상적인 물건들을 사용한다. (everyday: 일상 •Ben은 창문 옆에 서있었다. (by: ~ 옆에) •Wendy는 폐품을 다양한 방식으로 재활용한다. (junk: 폐품) •그 배우는 인터뷰 동안 자신의 새 영화에 대해 말했다. (during: ~ 동안) 07 be able to + 동사원형: ~할 수 있다 08 make good use of ~: ~을 잘 활용하다 교과서 속 핵심 문법 01 Was, driven, was driven 02 ④ 교과서 문법 다지기 Step 1 A 01 This table was made by Owen. pp.68~69 pp.70~71 교과서 속 핵심 대화 01 ⑤ 교과서 대화 모두 보기 01 T 02 F 06 F 07 F pp.60~61 02 ③ pp.62~63 B 01 invented 03 F 04 T 05 T 교과서 대화 다지기 Step 1 A 01 ( ⓒ ) → ( ⓑ ) → ( ⓐ ) → ( ⓓ ) 02 ( ⓐ ) → ( ⓓ ) → ( ⓒ ) → ( ⓑ ) 03 ( ⓕ ) → ( ⓔ ) → ⓒ → ( ⓑ ) → ( ⓓ ) → ( ⓐ ) 04 ( ⓓ ) → ⓖ → ( ⓑ ) → ( ⓕ ) → ( ⓔ ) → ( ⓐ ) → ( ⓒ ) pp.64~66 8 2학년 능률_양현권 02 The novel was written by Mr. Wilson. 03 A Christmas carol will be sung by Wendy. 04 Today’s dinner will be prepared by my sister. 05 The two buildings are connected by a passage. 06 Some cookies on the table were eaten by the dog. 03 plays 05 agrees 02 seen 04 washed 06 forgot C 01 이 숙제는 지금 당장 되어야 한다. 02 Emily뿐만 아니라 Jason도 농구를 한다. 03 나는 두통뿐만 아니라 치통도 있다. 04 박물관의 그 조각품은 지난주에 도난 당했다. 05 그녀는 프랑스 음식뿐만 아니라 프랑스 음악도 좋아한다. 06 나는 그들에게 약간의 빵뿐만 아니라 오렌지 주스도 주었다. D 01 eaten by 02 is spoken pp.72~75 13 주어진 우리말이 미래에 대한 예측을 나타내므로 조동사 will을 쓰고, 집은 지어지는 대상이므로 수동태로 써야 한다. 조동사가 있는 수동태는 「조동사 03 will be 04 not, also money 05 not only, quiet 06 not only, but E 01 cleaned → was[is] cleaned 02 is → are 03 is → be 04 are → is 05 broking → broken 06 feed → fed F 01 The piano will be played by Andy. 02 She is not only active but also funny. 03 They visited not only China but Japan. 04 The muffler was made by my mom. 05 This computer can be used by visitors. 06 Not only you but also he wants to buy a new TV. 교과서 문법 다지기 01 ③ 02 ③ 05 was invented by 08 ④ 09 ③ Step 2 03 ③ 06 ⑤ 10 ② 07 likes → like 04 ③ 11 ④ 12 not only listening, but also 13 will be built 14 ④ 15 not only, but also 16 ① was ② not ③ solved ④ by ⑤ him 18 not only rude but also selfish 19 ② 17 ⑤ 20 ③ 서술형 01 (1) Was the tower built by Tom? a song. 02 (1) Cell phones are used by many people. (2) The two islands will be connected by a bridge. 03 (1) ⓑ, The work should be done by Wendy. (2) ⓓ, Not only he but also they don’t eat spicy food. 04 (1) The baby should be taken to a hospital. (2) This sofa looks not only comfortable but also expensive. (3) Mary enjoys not only dancing but also listening to music. 09 ⓐ 거울(The mirror)은 깨지는 대상이므로 「be동사 + 과거분사」 형태의 수 동태가 되도록 과거분사인 broken이 적절하다. ⓑ ‘A뿐만 아니라 B도’를 의미하는 상관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에서 A와 B는 문법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써야 하므로 cooking과 같은 동명사 형태인 eating이 적절하다. 10 ② 웹사이트(This website)는 방문되는 대상이므로 「be동사 + 과거분사」 형태의 수동태로 써야 한다. (visiting → visited) 11 ‘A뿐만 아니라 B도’를 의미하는 상관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가 주 어에 쓰일 때 B에 동사의 수를 일치시켜야 하므로 주어진 문장을 영작하면 Not only the students but also Mr. Kim likes to go on a field trip. 이 된다. 12 ‘A뿐만 아니라 B도’를 의미하는 상관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의 A와 B는 문법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써야 하는데 B 자리에 동명사가 쓰였으므로 A도 동명사의 형태로 써야 한다. + be + 과거분사」의 형태로 나타낸다. 14 조동사가 있는 수동태는 「조동사 + be + 과거분사 (+ by + 행위자)」의 형 태로 나타내므로 첫 번째 문장은 The wall will be painted by my dad.가 된다. not only A but also B가 주어에 쓰일 경우 B에 동사의 수를 일치시 키므로 두 번째 문장은 Not only you but also your friends are brave.가 된다. 15 두 문장은 각각 ‘Ben은 피아노를 연주한다.’와 ‘Ben은 또한 기타를 연주한 다.’를 의미하므로, 상관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A뿐만 아니라 B도) 를 이용하여 ‘Ben은 피아노뿐만 아니라 기타도 연주한다.’를 의미하는 한 문 장으로 바꿔 쓸 수 있다. 형태로 나타낸다. 17 (A) not only A but also B의 A와 B는 문법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써야 하 는데, but also 다음에 과거동사 drank가 쓰였으므로 ate가 적절하다. (B) 주어 The city가 나뉘는 대상이므로 동사가 「be동사 + 과거분사」 형태 의 수동태가 되도록 과거분사인 divided가 적절하다. (C) not only A but also B의 A와 B는 문법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써야 하는 데, decided의 목적어인 to buy와 병렬관계이므로 to write가 적절하다. 18 상관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는 ‘A뿐만 아니라 B도’를 의미한다. 19 ① wrote → written (2) Kate is good at not only playing the piano but also singing 16 수동태의 부정문은 「주어 + be동사 + not + 과거분사 (+ by + 행위자).」의 05 The car was repaired by him yesterday. ③ is → was ④ discovered → was discovered by 01 The shoes가 주어이고 문장 끝에 「by + 행위자」가 있으므로 주어가 어 ⑤ is → are 떤 행위의 영향을 받을 때 쓰는 수동태를 써야 한다. 조동사가 있는 수동 20 두 번째 문장의 주어인 The window는 닦이는 대상이므로 수동태로 쓰여 태는 「조동사 + be + 과거분사」 형태로 나타내므로 빈칸에는 과거분사인 야 한다. 따라서 clean을 과거분사 cleaned로 고쳐야 한다. 네 번째 문장의 designed가 적절하다. 02 상관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는 ‘A뿐만 아니라 B도’를 의미한다. 03 조동사가 있는 수동태는 「조동사 + be + 과거분사 (+ by + 행위자)」의 형태 서술형 not only A but also B의 A와 B는 문법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써야 하므로 snowing을 rained와 같이 동사의 과거형인 snowed로 고쳐야 한다. 로 쓰므로 ③의 using은 과거분사인 used로 고쳐야 한다. 01 (1) 주어인 the tower는 지어지는 대상이므로 「Be동사 + 주어 + 과거분사 04 ①②④⑤는 모두 과거분사로 be동사인 was 뒤에 쓰여 수동태로 이룰 수 (+ by + 행위자)?」 형태의 수동태 의문문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build 있는 반면 ③은 동사원형이므로 빈칸에 적절하지 않다. ②의 read는 동사 를 built로 고쳐야 한다. read의 과거분사이다. (2) not only A but also B의 A와 B는 문법적으로 동일한 형태여야 하므로 05 수동태는 「be동사 + 과거분사 (+ by + 행위자)」로 나타낸다. 06 ‘A뿐만 아니라 B도’의 의미는 상관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로 나타낼 sing을 playing과 같이 동명사 singing으로 고쳐야 한다. 02 (1) 사용되는 대상인 cell phones를 주어로 쓰고, 「be동사 + 과거분사 (+ 수 있다. by + 행위자)」 형태의 수동태로 쓴다. 07 not only A but also B가 주어에 쓰일 경우 B에 동사의 수를 일치시켜야 하 (2) 연결되는 대상인 the two islands를 주어로 쓰고, 「조동사 + be + 과 므로, 복수 명사인 other friends에 맞춰 동사 likes를 like로 고쳐야 한다. 거분사 (+ by + 행위자)」 형태의 수동태로 쓴다. 08 not only A but also B는 ‘A뿐만 아니라 B도’를 의미하는 상관접속사로, B 03 ⓑ 주어 The work가 행위의 주체인 Wendy에 의해 되는 것이므로 수동태 as well as A로 바꿔 쓸 수 있다. 로 쓰여야 한다. 따라서 doing을 done으로 고쳐야 한다. 정답 및 해설 9 ⓓ not only A but also B가 주어에 쓰일 경우 B에 동사의 수를 일치시켜야 하므로 doesn’t를 don’t로 고쳐야 한다. 04 (1) 주어인 The baby는 병원에 데려가지는 대상이므로 수동태를 써야 하는 데 조동사 should가 있으므로 동사를 「조동사 + be + 과거분사」의 형 영역별 실력 굳히기 01 create 02 ② (2) ‘A뿐만 아니라 B도’를 의미하는 상관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를 13 We should keep our classroom clean. 태로 쓴다. 이용하여 영작한다. (3) not only A but also B에서 A와 B는 문법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써야 하 는데 동사 enjoy는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므로 A와 B를 각각 dancing 과 listening으로 바꿔 써야 한다. 05 수동태를 이용해야 하므로 고쳐지는 대상인 the car를 주어로 쓴다. 과거시 제를 나타내는 부사 yesterday가 있으므로 「was[were] + 과거분사」 형태 의 과거시제 수동태로 쓰고, 「by + 명사[대명사의 목적격]」으로 행위의 주체 를 나타낸다. 교과서 본문다지기 A 01 조동사, be동사, 과거분사 05 was created 06 목적, 부사적 pp.78~80 44 ④ 45 ⑤ pp.82~88 05 ③ 10 ④ 15 ③ 19 ⑤ 23 ③ 06 ③ 11 ⑤ 03 ① 07 ③ 12 ④ 04 Why don’t we 08 ① 09 ④ 16 the waste problem 17 ⑤ 20 ④ 21 not only skiing but 24 Not only I but also Jessica enjoys 25 finish → be finished 26 ④ 27 ④ 30 ④ 29 She is loved by many people. 31 Give, and 32 ④ 33 ③ 34 Art can be made 36 everyday 37 ⑤ 38 ④ 39 ④ 41 (1) pieces of paper (2) bits of wood 42 because it looked like rubbish 43 Use your imagination and create something new. 14 ④ 18 ③ 22 ⑤ 28 ① 35 ③ 40 ③ 01 save와 waste는 ‘절약하다 : 낭비하다’를 의미하는 반의어 관계이므로, 빈 칸에는 destroy(파괴하다)의 반의어인 create(창조[창작]하다)가 적절하다. 02 How do you like ~?: ~은 어떠니? A: 네 새 자전거는 어떠니? B: 응, 그것은 매우 좋아. 나는 그것이 매우 마음에 들어. 03 ‘시험, 검사 등에서 요구되는 기준을 달성하다’는 pass(통과[합격]하다)의 영영풀이이다. 04 Why don’t we + 동사원형 ~?: 우리 ~하는 게 어때? 05 ③의 break는 ‘깨뜨리다’를 의미하는 동사로 쓰였고, 나머지는 모두 ‘휴식 시간’을 의미하는 명사로 쓰였다. 06 ⓐ look like + 명사: ~처럼 보이다 ⓑ such as ~: ~와 같은 •그 여자는 패션모델처럼 보였다. •그는 개와 고양이와 같은 동물들을 매우 좋아한다. 07 ③ ‘우리는 불을 끌 때 에너지를 낭비한다.’는 의미는 적절하지 않으므로 ‘우 리는 불을 끌 때 에너지를 절약한다.’는 의미가 되도록 waste를 save(절 약하다)와 같은 단어로 바꾸는 것이 적절하다. 08 주어진 우리말에 맞도록 괄호 안의 단어들을 순서대로 배열하면 We can reuse bottles as flower vases.이므로 다섯 번째로 오는 것은 as이다. 09 ⓐ와 ④의 밑줄 친 부분은 ‘~하기 위해’를 의미하여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의 to부정사이다. ①③⑤는 명사적 용법, ②는 형용사적 용법으로 쓰였다. 10 감탄문(정말 ~하구나! ): What a(n) + 형용사 + 명사 (+ 주어 + 동사)! 11 I’m worried about ~.(나는 ~이 걱정돼.)은 걱정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I’m anxious about ~., I’m concerned about ~. 등으로 바꿔 쓸 수 있다. 12 앞에서 중고품들을 재사용해야 한다고 했으므로 빈칸에는 종이 가방을 쓰레 기봉투로 재사용하자는 내용의 ④가 적절하다. 13 의무를 나타내는 조동사 should는 ‘~해야 한다’를 의미하여, 뒤에 동사원형 이 온다. keep + 목적어 + 목적격 보어(형용사)는 ‘~을 …하게 유지하다’ 를 의미한다. 14 ④ ‘~해야 한다’를 의미하는 have to 뒤에는 동사원형이 와야 한다. (→ do) 15 콤마(,) 앞 문장이 긍정인 일반동사 현재시제의 부가의문문은 don’t[doesn’t] + 주어~?로 나타낸다. 부가의문문의 주어는 대명사로 쓴다. 02 조각품 04 ~와 같은 08 lots of 10 ~을 줍다 12 to create 14 B as well as A 16 ~ 밖으로 18 old things 20 -thing, -body, -one B 01 be made, all kinds 02 sculptures, are, made from, such as 03 made 07 ~ 동안 09 creating 11 A뿐만 아니라 B도 13 버려진 15 to take 17 ~처럼 보이다 19 동사원형 03 How, artwork 04 created by 05 used, to make 06 During, there, useful 07 stop creating, picked up 08 not only, but also, imagination 09 was created 10 objects, artwork 11 often said 12 not, pieces of paper but 13 glued, nailed, style 14 In, moved 15 was able to, looked like 16 What, things 17 artwork, out of 18 Use, imagination, new 19 trash, treasure 교과서 속 기타 지문 p.81 16 it은 앞 문장의 the waste problem을 가리킨다. 17 그것(쓰레기 문제)에 대해 무언가 해야 한다는 나라의 말에 세호가 You can 01 F 02 T 03 T say that again.(네 말이 맞아.)이라고 했으므로 ⑤는 이 대화의 내용과 일 치하지 않는다. 10 2학년 능률_양현권 18 주어 Our teacher가 존경 받는 대상이고 문장의 끝에 「by + 행위자」가 있 39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는 예술에 유용한 것들이 많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으므로 동사는 「be동사 + 과거분사」 형태의 수동태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Picasso는 예술 작품을 창작하는 것을 멈출 수 없어서 낡은 폐품을 주웠다 빈칸에는 과거분사 respected가 적절하다. 고 했으므로 ④는 이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다. 19 상관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는 ‘A뿐만 아니라 B도’를 의미한다. 20 ④ 수동태의 의문문은 「Be동사 + 주어 + 과거분사 (+ by + 행위자)?」로 나 40 빈칸 앞에 be동사 + 과거분사 형태의 수동태가 있고, Kurt Schwitters가 작품을 만들기 위해 버려진 물건들을 사용했다는 뒤 문장의 내용을 통해 예 타내므로 동사의 과거형인 sang을 동사 sing의 과거분사인 sung으로 술 작품을 만든 사람이 Kurt Schwitters라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빈칸에는 고쳐야 한다. 수동태 문장에서 행위의 주체를 나타내는 전치사 by가 적절하다. 21 ‘A뿐만 아니라 B도’를 의미하는 상관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에서 A 41 they는 Schwitters가 거리를 걸으며 모았던 종잇조각들과 나무 조각들을 와 B는 문법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써야 하므로 not only 뒤에는 swimming 가리킨다. 과 같은 동명사 skiing을 써야 한다. 42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 because와 ‘~처럼 보이다’를 의미하는 look like 22 ⑤ 수동태의 부정문은 「주어 + be동사 + not + 과거분사 (+ by + 행위자).」 + 명사를 이용하여 영작한다. 의 형태로 나타내므로 bake를 과거분사인 baked로 고쳐야 한다. 43 -thing, -body, -one으로 끝나는 (대)명사는 형용사가 뒤에서 수식하므로 23 ⓐ 주어 The elevator가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는 대상이므로 동사는 「be동 new something을 something new로 고쳐야 한다. 사 + 과거분사」 형태의 수동태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빈칸에는 과거분사 44 앞에서 상상력을 사용하여 낡은 물건들로 새로운 예술 작품을 만들 수 있다 인 used가 적절하다. 고 했으므로 빈칸이 포함된 문장이 ‘한 사람의 쓰레기는 다른 사람의 보물이 ⓑ not only A but also B의 A와 B는 문법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써야 하므 다!’라는 의미가 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로 cooking과 같은 형태인 동명사 playing이 적절하다. 45 ⑤ 마지막 문단의 ‘He was able to take his famous work out of 24 ‘A뿐만 아니라 B도’를 의미하는 상관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가 주어 Germany’를 통해 그가 자신의 유명한 작품을 독일 밖으로 가지고 나갔 에 쓰일 경우 B에 동사의 수를 일치시켜야 하므로, 3인칭 단수인 Jessica에 음을 알 수 있다. 맞춰 동사를 enjoys로 써야 한다. 25 주어 The homework는 끝내지게 되는 대상이므로 수동태 문장으로 써야 한다. 조동사가 있는 수동태는 「조동사 + be + 과거분사」의 형태로 나타내 므로 finish를 be finished로 고쳐야 한다. 26 ‘A뿐만 아니라 B도’를 의미하는 상관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는 B as well as A로 바꿔 쓸 수 있다. 따라서 ④에 들어갈 말은 as이다. 학교 시험 100점 맞기 01 ① 02 made from Step 1 27 수동태는 be동사 + 과거분사 (+ by + 행위자)의 형태로 나타내는데, 이때 05 ④ 06 idea 07 ④ 동작의 주체가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거나 불분명할 경우 by + 행위자를 09 You’re such a good speaker. pp.89~93 04 ⑤ 03 ② 08 ④ 생략할 수 있다. 28 ② cuted → cut ④ was → were ③ sharing → shared ⑤ exercising → exercises 29 주어 She가 사랑 받는 대상이므로 동사를 「be동사 + 과거분사」 형태의 수 동태로 쓰고 이어서 행위의 주체를 「by + 명사」로 쓴다. 30 ② call은 ‘부르다’의 의미로 쓰였으므로 수동태로 쓰인 is called는 ‘불리다’ 31 give + 간접목적어 + 직접목적어는 ‘~에게 …을 주다’를 의미하고, 명령 문, and ~.는 ‘…해라, 그러면 ~할 것이다.’를 의미한다. 32 ⓐ ‘~하기 위해’를 의미하여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의 to부정사가 적 를 의미한다. 절하다. 10 ⓐ going to be late ⓑ we should have longer lunch breaks 11 ③ 12 as well as 13 ③ 14 ③ 15 Not only sandwiches but also a cup is on the table. 16 ③ 17 This letter was not sent by Jackson. 18 ④ 19 Art can be made out of all kinds of old things around us. 20 ③ 24 ⑤ 28 ② 21 ③ 22 ③ 23 ⓑ to make ⓒ creating 25 imagination 26 ③ 27 ④ 29 ③ 30 ⑤ ⓑ 앞에 clothes의 예로 든 것이 skirts이므로 ‘~와 같은’을 의미하는 전치 01 ①은 ‘엉망인 상태 : 지저분한’을 의미하는 ‘명사 : 형용사’의 관계이고, 나머 사 such as가 적절하다. for example과 for instance는 ‘예를 들어’를 지는 모두 ‘동사 : 명사’의 관계이다. 의미하는 부사이므로 빈칸에 적절하지 않다. ② 창작[창조]하다 : 창조, 창작 ③ 동의하다 : 동의 33 낡은 물건으로 예술 작품을 만드는 예를 Pablo Picasso의 ‘황소의 머리’를 ④ 모으다, 수집하다 : 수집 ⑤ 상상(력) : 상상하다 통해 설명하고 있으므로 이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② ‘낡은 물건 02 be made from ~: ~으로 만들어지다 03 ① 창문을 닦자. (clean: 청소하다, 닦다) 34 주어인 예술(Art)은 만들어지는 대상이므로 수동태를 사용해야 한다. ‘~할 네 방은 매우 깨끗하다. (clean: 깨끗한) 수 있다’를 의미하는 조동사 can을 포함하여 「조동사 + be + 과거분사」의 ② 나는 내 좌석을 찾을 수 없었다. (seat: 좌석) 들, 새로운 예술’이다. 형태로 쓴다. 나는 차의 뒷좌석에 내 지갑을 두고 왔다. (seat: 좌석) 35 ③ 앞 문장의 this artwork를 가리키는 주어 It은 창작되는 대상이므로 동 ③ 너는 어떤 종류의 음악을 좋아하니? (kind: 종류) 사는 수동태(be동사 + 과거분사)로 쓰여야 한다. 따라서 created는 was 나는 새로운 선생님이 친절하다고 들었다. (kind: 친절한) created로 고쳐야 한다. ④ 우리는 표지판를 나무에 못으로 고정할 것이다. (nail: 못으로 고정하다) 36 ‘ 매 우 흔 하 거 나 완 전 히 평 범 하 고 종 종 그 다 지 흥 미 롭 지 않 은 ’ 은 Dan은 바닥에 있는 못을 밟았다. (nail: 못) everyday(일상적인)의 영영풀이이다. ⑤ 강한 접착제를 사용할 때 조심해라. (glue: 접착제) 37 ⑤의 to부정사는 동사의 목적어로 쓰인 명사적 용법이고, ⓑ와 나머지는 모 너는 사진을 종이에 붙여야 한다. (glue: (접착제로) 붙이다) 두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이다. 04 ⓐ ‘원하는 것을 하거나 달성하는 것을 도와주는’은 useful(유용한)의 영영 38 ‘A뿐만 아니라 B도’를 의미하는 not only A but also B를 이용하여 영작한다. 풀이이다. 정답 및 해설 11 ⓑ ‘어떤 것이나 어떤 사람을 둘러싸거나 모든 측면에’는 around(~ 주위에) ⓒ 동사 stop은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여 ‘~을 멈추다’를 의미하므로 의 영영풀이이다. creating으로 쓰는 것이 적절하다. 05 나라는 폐품 예술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더 재사용하고, 덜 낭비하자!’라는 24 (A) such as ~: ~와 같은 표어를 만들었고, ④ 다음 문장에서 그것(쓰레기 문제)에 대해 무언가 해야 (B) 연도 앞에는 전치사 in을 쓴다. 한다고 말했으므로 ‘나는 쓰레기 문제에 관심이 없어.’라고 말하는 것은 흐 름상 어색하다. 25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하는 능력’은 imagination(상상력)의 영영풀이이다. 26 ③ Kurt Schwitters는 예술 작품을 만들기 위해 버려진 물건들을 사용했고, 06 세호가 나라에게 포스터의 표어에 대한 아이디어를 어디에서 얻었냐고 물었 Rubbish라는 새로운 양식의 예술을 창조했다고 했으므로 낡은 물건들이 으므로 it은 idea를 가리킨다. 07 ⓑ 그는 슬리퍼를 신고 있어, 그렇지 않니? ⓒ 응, 맞아. ⓓ 나는 동의해. ⓐ 우리는 학교 정원에서 슬리퍼를 신으면 안 돼. 08 ④ Don’t worry too much.는 ‘너무 많이 걱정하지 마.’라는 의미로, 이때 too는 ‘너무’라는 의미이다. 09 such a(n) + 형용사 + 명사는 ‘정말 ~한 …’을 의미한다. 다섯 단어로 영 작해야 하므로 주어 You와 be동사 are을 축약하여 쓴다. 10 ⓐ be going to + 동사원형: ~할 예정이다 ⓑ 의무를 나타내는 조동사 should 뒤에는 동사원형이 오고, have의 목적 어로 longer lunch break를 쓴다. 11 수동태 문장에서 행위의 주체를 「by + 행위자」로 나타내므로 by는 행위자 인 many people 앞인 ③에 들어가는 것이 적절하다. 12 ‘A뿐만 아니라 B도’를 의미하는 상관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는 B as well as A로 바꿔 쓸 수 있다. 13 주어 The puppy는 길러지는 대상이고, 문장 끝에 「by + 행위자」가 있으므 로 동사는 「be동사 + 과거분사」 형태의 수동태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빈칸 에는 과거분사 raised가 적절하다. 14 수동태 문장의 주어인 The house는 능동태 문장의 목적어가 되고 수동태 예술에 나쁘다고 말하는 것은 흐름상 어색하다. 27 ‘A뿐만 아니라 B도’를 의미하는 상관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는 B as well as A로 바꿔 쓸 수 있다. 28 them은 앞 문장의 old things를 가리킨다. 29 상상력을 사용하여 주위에 있는 낡은 물건들로 새로운 예술 작품을 만들 수 있다고 했으므로 빈칸에는 ③ ‘그림이나 고문서와 같이 매우 귀중하고 중요 한 물건’을 의미하는 treasure(보물)이 적절하다. 30 ⑤ 이 글에서 Kurt Schwitters가 만든 예술 작품의 제목은 확인할 수 없다. ① Schwitters는 예술 작품을 어떻게 만들었는가? → 종잇조각들과 나무 조 각들을 판자에 붙여 못으로 고정했다. ② Schwitters는 거리에서 무엇을 모았는가? → 종잇조각들과 나무 조각들 ③ Schwitters의 새로운 예술 양식의 이름은 무엇인가? → Rubbish ④ 우리는 새로운 것을 창작하기 위해 무엇을 사용해야 하는가? → 상상력 학교 시험 100점 맞기 01 famous 02 ② Step 2 pp.94~98 03 ③ 04 ② 05 ③, ④, ⑤ 06 can’t[couldn’t] agree 07 ⓐ to bring ⓑ forgetting 08 ③ 09 ① 12 is learned by 10 ④ 13 ③ 11 ④ 14 ②, ⑤ 문장의 행위자인 the architect는 능동태 문장의 주어가 되며 수동태 문장과 15 shoot → shooting 16 driving → driven 17 ⑤ 능동태 문장의 시제는 동일해야 한다. 18 ③ 19 ③ 20 ④ 15 ‘A뿐만 아니라 B도’를 의미하는 상관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가 주어 21 ⓔ, there were not a lot of useful things 에 쓰일 경우 동사의 수를 B에 일치시킨다. 23 Picasso couldn’t stop creating artwork 16 ③ 동사 happen은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동사이므로 수동태로 쓸 수 25 ② 26 ⑤ 27 old 22 ④ 24 ② 없다. (was happened → happened) 17 수동태의 부정문은 「주어 + be동사 + not + 과거분사 (+ by + 행위자).」로 나타낸다. 18 (A) not only A but also B가 주어에 쓰일 경우 B에 동사의 수를 일치시켜 야 하므로 walks가 적절하다. (B) 주어 These shoes는 신겨지는 대상이므로 be동사 + 과거분사」 형태 의 수동태가 되도록 과거분사 worn이 적절하다. (C) not only A but also B의 A와 B는 문법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써야 하므 로, 형용사 beautiful과 같은 형용사 quiet가 적절하다. 19 조동사가 있는 수동태는 조동사 + be + 과거분사로 나타낸다. out of ~: ~으로 20 예술은 우리 주위에 있는 낡은 물건들로 만들어질 수 있고 유명한 조각품과 그림들이 일상적인 물건들로부터 종종 만들어진다고 했으므로 그러한 예시 에 해당하는 ③이 이어지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21 주어진 문장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는 예술에 유용한 것들이 많이 없었 다.’라는 의미이므로, 그런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Picasso는 예술 작품 을 창작하는 것을 멈추지 않고 폐품을 주웠다는 내용 앞인 ③에 들어가는 것 이 적절하다. 28 ⓐ not only pieces of paper but also bits of wood ⓑ He was able to take his famous work 29 ③ 30 ④ 01 waste와 rubbish는 ‘쓰레기’를 의미하는 유의어 관계이므로, 빈칸에는 well-known(유명한)의 유의어인 famous가 적절하다. 02 주어진 문장과 ②의 밑줄 친 by는 ‘~ 옆에’의 의미로 쓰였고, ①은 ‘~에 의 해’, ③④는 ‘~으로’, ⑤는 ‘~까지’의 의미로 쓰였다. 03 ⓐ How do you like ~?: ~은 어떠니? ⓑ Why don’t we + 동사원형 ~?: 우리 ~하는 게 어때? 04 ‘특히 어떤 생각이나 상품을 홍보하는 데 사용되는 짧고 쉽게 기억되는 구 절’은 slogan(표어)의 영영풀이이다. 05 쓰레기 문제가 걱정된다는 A의 말에 B가 동의한 후 중고품들을 재사용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 흐름상 적절하므로 빈칸에는 의무를 나타내는 조동사 must, should, have to 등이 적절하다. 06 You can say that again.(네 말에 동의해., 동감이야.)은 I agree (with you)., I’m with you., I can’t[couldn’t] agree more. 등으로 바꿔 쓸 수 22 수동태는 「be동사 + 과거분사 + by + 행위자」의 형태로 나타내는데, 능동 07 ⓐ ‘가져오는 것을 잊어버렸다’라는 의미가 되도록 bring을 to부정사 형태 태 문장의 시제가 과거이므로 be동사의 과거형을 써야 한다. 23 ⓑ 조각품을 만들기 위해 자전거 안장과 핸들을 사용했다는 의미가 자연스 forget + to부정사: ~할 것을 잊다 (cf. forget + 동명사: ~한 것을 잊다) 러우므로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의 to부정사가 적절하다. ⓑ 전치사 about의 목적어이므로 forget을 동명사 형태로 쓴다. 있다. 로 써야 한다. 12 2학년 능률_양현권 08 ③ Waste는 ‘낭비하다’를 의미하는 동사로 쓰였다. 09 ⓐ 콤 마 ( , ) 앞 문 장 이 긍 정 인 일 반 동 사 현 재 시 제 의 부 가 의 문 문 은 도록 to make가 적절하다. (B) ‘예술 작품을 만들기 위해’를 의미하여 목적을 나타내는 to부정사가 되 don’t[doesn’t] + 주어~?로 나타내므로 it은 문장의 주어인 junk (C) look like ~: ~처럼 보이다 art(폐품 예술)를 가리킨다. ⓑ 앞 문장에서 쓰레기 문제가 걱정된다고 했으므로 it은 the waste 27 ‘오랫동안 존재해왔거나 사용된’은 old(낡은, 오래된)의 영영풀이이다. 28 ⓐ ‘A뿐만 아니라 B도’라는 의미의 not only A but also B를 이용한다. problem(쓰레기 문제)을 가리킨다. ⓑ ‘~할 수 있다’라는 의미의 「be able to + 동사원형」을 이용한다. 10 ⑤ 이 대화에서 누가 버려진 물건들을 사용했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29 버려진 낡은 물건들로 예술 작품을 만든 Kurt Schwitters의 예가 나와 있고, ① 누가 포스터를 만들었는가? → 나라 주위에 있는 낡은 물건들로 어떤 새로운 예술 작품을 만들 수 있는지 물었으 ② 폐품 예술에 무엇이 사용되는가? → 버려진 물건들 므로, 상상력을 사용하여 새로운 것을 창작하라는 내용이 되는 것이 적절하 ③ 세호는 어떤 것에 동의하는가? → 쓰레기 문제에 관해 무언가를 해야 한 다. 다는 미나의 말 30 ④ Kurt Schwitters는 노르웨이로 이주할 때 작품을 독일 밖으로 가지고 갈 ⑤ 나라는 표어의 아이디어를 어디에서 얻었는가? → 폐품 예술 수 있었다고 했으므로, 노르웨이로 이주하기 전에 독일에 살았음을 알 수 11 수동태는 be동사 + 과거분사 (+ by + 행위자)로 나타내는데 주어진 문장 있다. 이 과거시제이고 주어가 복수 명사이므로 were을 이용하여 쓴다. 12 중국어(Chinese)는 배워지는 대상이므로 「be동사 + 과거분사 + by + 행위 자」 형태의 수동태로 쓴다. 서술형으로 끝내기 13 ‘A뿐만 아니라 B도’를 의미하는 상관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를 이 01 glue 용하여 주어진 우리말을 영작하면 Not only the boy but the girl cried.가 02 (1) mess (2) collect (3) treasure 되므로, 빈칸 ⓐ에 들어갈 말은 boy이다. 14 not only A but also B와 B as well as A는 ‘A뿐만 아니라 B도’를 의미하 며, 두 상관접속사가 주어에 쓰일 경우 B에 동사의 수를 일치시켜야 한다. 15 not only A but also B의 A와 B는 문법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써야 하므로 A 의 자리에 있는 동명사 passing과 같이 shoot을 shooting으로 고쳐야 한다. 16 주어인 That car는 운전되는 대상이므로 「조동사 + be + 과거분사」 형태의 조동사가 있는 수동태가 되도록 driving을 driven으로 고쳐야 한다. 17 ⓐ 주어 the meeting은 취소되는 대상이므로 「Be동사 + 주어 + 과거분사 ~?」의 수동태 의문문이 되도록 과거분사 cancelled가 적절하다. ⓑ not only A but also B가 주어에 쓰일 경우 B에 동사의 수를 일치시켜야 03 What a great idea! 04 We can reuse bottles as flower vases. 05 (1) |예시답안| I agree (with you). (2) |예시답안| I’m with you. (3) |예시답안| I can’t[couldn’t] agree more. 06 Not only you but also Emma lives 07 (1) The carrots were eaten by the horses. (2) Was the dinner prepared by Emily? 08 ⓐ The country is visited by many tourists. pp.99~101 하므로 is가 적절하다. ⓑ Not only he but also I am worried about the problem. 18 첫 번째 문장의 주어 your phone number는 바뀌는 대상이므로 「Be ⓒ She is interested in not only learning languages but also 동사 + 주어 + 과거분사 ~?」 형태의 수동태 의문문이 되도록 change를 changed로 고쳐야 한다. 두 번째 문장의 주어 The poem은 쓰이는 대상이 reading books. 09 (1) make → made 므로 「주어 + be동사 + not + 과거분사 ~.」 형태의 수동태 부정문이 되도록 (2) deliciously → delicious wrote를 written으로 고쳐야 한다. 19 ③ 수동태는 주어가 어떤 행위의 영향을 받을 때 쓰는데, 문장의 주어인 We 는 사용되는 대상이 아니라 사용하는 주체이므로 수동태로 쓰는 것은 적 절하지 않다. 따라서 were used를 능동태인 used로 고쳐야 한다. 20 낡은 천으로 Seminole 인디언들은 치마와 같은 옷을 만들고 방글라데시의 사람들은 꽃무늬 조각보를 만든다고 했으므로, 낡은 천으로 유용한 물건들 을 만든다고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21 「there + be동사 + not + 주어」는 ‘~(들)이 없다’라는 의미로, be동사는 뒤 의 주어의 수에 일치시킨다. 주어 a lot of useful things가 복수 명사이므 로 was를 were로 고쳐야 한다. 10 Jay as well as Nancy had a great time. 11 (1) Was the box discovered by (2) Not only you but also she has to go 12 (1) ⓐ was created ⓑ creating ⓒ to create (2) (A) He used not only old things but also his imagination (B) This artwork was created by Kurt Schwitters (3) it looked like rubbish (4) ⓐ from ⓑ new 22 밑줄 친 (A)와 ④의 by는 ‘~에 의해’를 의미하여 행위자를 나타낸다. ①②는 01 (1) 어떤 것에 대해 다른 누군가와 같은 의견을 가지거나 표현하다: ‘~ 옆에’, ③은 ‘(교통 수단을 나타내어) ~으로’, ⑤는 ‘~까지’의 의미로 쓰였다. agree(동의하다) 23 ‘~하는 것을 멈추다’를 의미하는 stop + 동명사와 can의 과거형인 could (2) 특정인에 의해 또는 특정 기간 동안 사용되는 글쓰기, 그리기 등의 전형 를 이용한다. 다섯 단어로 써야 하므로 could not을 couldn’t로 쓴다. 적인 방법: style(양식) 24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는 예술에 유용한 것들이 많이 없어서 그는 낡은 자 전거들과 매트리스 용수철들과 같은 폐품을 주웠다고 했으므로 ‘황소의 머 (3) 쓸모없다고 여겨지거나 가치가 거의 없는 물건들: junk(폐품, 쓰레기) (4) 원하는 것을 하거나 달성하는 것을 도와주는: useful(유용한) 리’를 만드는 데 사용한 자전거 안장과 핸들도 폐품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 02 (1) mess: 어질러진 것, 엉망진창인 상태 서 빈칸에 들어갈 말은 ② ‘낡은 물건들’이다. 25 Picasso는 예술 작품을 만들기 위해 폐품을 주운 것이므로 ②는 글의 내용 (2) collect: 모으다, 수집하다 (3) treasure: 보물 26 (A) 주어인 This artwork는 창작되는 대상이므로 수동태가 되도록 과거분 과 일치하지 않는다. 사인 created가 적절하다. 03 감탄문(정말 ~하구나! ): What a(n) + 형용사 + 명사 (+ 주어 + 동사)! 04 일상적인 물건들을 재사용해야 한다는 B의 말에 A가 병들을 꽃병들로 재사 용할 수 있다고 답했다. 정답 및 해설 13 05 You can say that again.(네 말이 맞아.)은 상대방에게 동의를 나타내는 (2) ‘새로운 것을 만들거나 무언가를 발명하다’는 create(창작[창조]하 표현으로, I agree (with you)., I’m with you., I can’t[couldn’t] agree 다)의 영영풀이이다. more. 등으로 바꿔 쓸 수 있다. 세로 (1) ‘어떤 것에 대해 다른 누군가와 같은 의견을 가지고 있거나 표현하 06 ‘A뿐만 아니라 B도’를 의미하는 상관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가 주어 다’는 agree(동의하다)의 영영풀이이다. 에 쓰일 경우 B에 동사의 수를 일치시킨다. 02 (1) 방을 청소하는 사진이므로, 청소되는 대상인 방을 주어로 하는 수동태 07 (1) 능동태를 수동태로 바꿔 쓸 때 능동태 문장의 주어는 수동태 문장의 행 (be동사 + 과거분사) 문장을 만들 수 있다. 위자가 되고 능동태 문장의 목적어는 수동태 문장의 주어가 된다. 수동 (2) 피아노를 연주하는 사진이므로 연주되는 대상인 피아노를 주어로 하는 태는 be동사 + 과거분사 (+ by + 행위자)의 형태로 나타내며, 능동태 수동태(be동사 + 과거분사) 문장을 만들 수 있다. (2) 수동태의 의문문은 「Be동사 + 주어 + 과거분사 (+ by + 행위자)?」의 형 문장의 시제에 맞춰 쓴다. 태로 나타낸다. 08 ⓐ The country는 방문되는 대상이므로 be동사 + 과거분사의 수동태가 되도록 visiting을 visited로 고쳐야 한다. ⓑ not only A but also B가 주어에 쓰일 경우 B에 동사의 수를 일치시켜야 하므로 are를 am으로 고쳐야 한다. 교과서 본문손으로 익히기 pp.103~104 01 Art can be made out of all kinds of old things around us. 02 Famous sculptures and pictures are often made from everyday things such as cans, bottles, and bits of paper. ⓒ not only A but also B의 A와 B는 문법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써야 하므 로 read를 learning과 같은 동명사 형태인 reading으로 고쳐야 한다. 03 How do you like this artwork? 04 It was created by Pablo Picasso. 09 (1) vegetable pizza와 salad를 가리키는 They는 만들어지는 대상이므로 05 He used a bicycle seat and handlebars to make this sculpture! be동사 + 과거분사의 수동태가 되도록 make를 made로 고쳐야 한다. 06 During World War II, there were not a lot of useful things for (2) not only A but also B의 A와 B는 문법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써야 하므 art. 로 deliciously를 fresh와 같은 형용사 형태인 delicious로 고쳐야 한다. 10 ‘A뿐만 아니라 B도’를 의미하는 상관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는 B as 11 (1) 수동태의 의문문은 「Be동사 + 주어 + 과거분사 + by + 행위자?」의 형 well as A로 바꿔 쓸 수 있다. 태로 나타낸다. (2) ‘A뿐만 아니라 B도’를 의미하는 상관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가 주어에 쓰일 경우 B에 동사의 수를 일치시킨다. 12 (1) ⓐ 주어 It은 앞 문장의 this work를 가리키고 this work는 창작되는 대 상이며, 문장의 시제가 과거가 되어야 하므로 수동태 was created로 07 But Picasso couldn’t stop creating artwork, so he picked up junk such as old bicycles and mattress springs. 08 He used not only old things but also his imagination to create this sculpture in 1942. 09 This artwork was created by Kurt Schwitters. 10 He used thrown-away objects to make artwork. 11 He often said, “Old things are good for art.” 12 Schwitters walked the streets and collected not only pieces of paper but also bits of wood. 고쳐야 한다. 멈추다) ⓑ stop + 동명사: ~하는 것을 멈추다 (cf. stop + to부정사: ~하기 위해 13 He glued and nailed them to a board, and created a new style of art, Rubbish. ⓒ ‘이 조각품을 창작하기 위해’를 의미하여 목적을 나타내는 to부정사가 14 In 1937, he moved to Norway. 되도록 to create로 고쳐야 한다. 15 He was able to take his famous work out of Germany because (2) (A) ‘A뿐만 아니라 B도’를 의미하는 not only A but also B를 이용한다. it looked like rubbish. 16 What old things do you have around you? 17 What new artwork can you make out of them? 18 Use your imagination and create something new. 19 One person’s trash is another’s treasure! (B) 주어 이 예술 작품(This artwork)은 창작된 대상이므로 동사를 수동 태(be동사 + 과거분사)로 쓰고 행위자 Kurt Schwitters는 by 뒤에 쓴다. (3) ‘He was able to take his famous work out of Germany because it looked like rubbish.’를 통해 답을 알 수 있다. (4) ⓐ 예술은 주위에 있는 낡은 물건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는 의미가 되도 록 원료나 재료 등을 나타내는 전치사 from(~으로)이 적절하다. ⓑ 낡은 물건들로 새로운 것을 만들 수 있다는 의미가 되도록 new(새로 운)이 들어가는 것이 적절하다. 창의 서술형 01 가로 (1) treasure (2) create 세로 (1) ag(r)ee 02 (1) |예시답안| The room was cleaned (2) |예시답안| The piano was played p.102 01 가로 (1) ‘ 그 림 이 나 고 대 문 서 같 은 매 우 귀 중 하 고 중 요 한 물 건 ’ 은 treasure(보물)의 영영풀이이다. 14 2학년 능률_양현권 Lesson 03 Go, Team! Step 1 pp.114~116 교과서 대화 다지기 A 01 ( ⓑ ) → ( ⓐ ) → ( ⓒ ) 02 ( ⓒ ) → ( ⓑ ) → ( ⓓ ) → ( ⓐ ) 03 ( ⓐ ) → ( ⓒ ) → ( ⓑ ) → ( ⓓ ) 교과서 어휘 다지기 A 01 hand Step 1 p.108 04 ( ⓓ ) → ( ⓗ ) → ⓑ → ( ⓒ ) → ( ⓐ ) → ⓕ → ( ⓖ )→ ( ⓔ ) B 01 going, trip, looking, to, coming, forward, seeing, can’t 02 surprised 03 player believe, speech contest, finally, am looking, winning B 01 Suddenly 02 safety 03 adapted 02 is coming, wait, Same, forward, doing, forward, doing C 01 do, best 02 between, and 03 at the same time 03 like, What, to do, it’s important to, ready, go, safety, to wear, doing, up, Let, turn off, important, save 04 ready for, I’m looking, winning, What should, do, important, hit 05 think, take, No, not, looking for, to join, aren’t, looking forward to, more important, shot 06 looking forward, to have, teamwork, position, at, same 07 going to join, I’m looking, joining, looking forward, should, to win, it’s important, time 08 go, not clean, Let, get, go, It’s important, enough 09 Look at, festival, looking forward, So, Why don’t 02 ④ sigh(한숨을 쉬다)의 영영풀이는 ‘to breathe in and out making a 03 I think you should take the penalty kick 04 ⑤ long sound, especially because you are bored, disappointed, tired etc.’(특히 지루하거나 실망하거나 피곤하다는 등의 이유로 긴 소리 05 ⑤ 06 ④ 07 ③ 교과서 대화 다지기 01 ② 02 ⑤ Step 2 p.117 D 01 pull E 01 both 04 enough 02 deny 02 hope 05 heart 03 chance 03 coach 교과서 어휘 다지기 01 ⑤ 02 ④ 05 ① 06 ④ Step 2 p.109 03 ③ 07 ③ 04 team player 08 (i)mportant 01 <보기>와 ⑤는 각각 ‘~이라고 생각하다’, ‘결국, 마침내’를 의미하는 유의어 관계이다. ① 이기다 : 지다 (반의어 관계) ② 희망 : 희망에 찬 (명사 : 형용사 관계) ③ 어려운 : 쉬운 (반의어 관계) ④ 걱정하다 : 걱정스러운 (동사 : 형용사 관계) 를 내며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다)가 적절하다. 03 •그는 일자리를 찾기로 결심했다. (look for ~: ~을 찾다) •우리는 콘서트를 기대한다. (look forward to ~: ~을 기대하다) 04 team player: 협동을 잘하는 사람 05 •우리는 춤 동아리에 가입할 것이다. (join: 가입하다) •우리 형은 야구 모자를 모으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 (collect: 모으다) •나는 영화를 볼 때 항상 팝콘을 먹는다. (when: ~할 때, ~일 때) •그는 많은 사람들 앞에서 연설을 했다. (speech: 연설) 06 ④의 밑줄 친 hand는 ‘건네주다’를 의미하는 동사로 쓰였고, 나머지는 모두 ‘손’을 의미하는 명사로 쓰였다. 07 ⓐ have[has] to + 동사원형: ~해야 한다 ⓑ be tied with ~: ~와 동점이다 08 ‘사람들이나 상황에 큰 영향을 미치고; 매우 가치 있는’은 important(중요 한)의 영영풀이이다. 교과서 속 핵심 대화 01 ④ 01 「It is important to + 동사원형 ~.」은 ‘~하는 것은 중요해.’의 의미로, 어떤 생각, 사실, 정보 등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02 ‘나도 그래. 믿기지 않아!’라는 소년의 말이 이어지므로 ‘나는 ~이 기대돼.’ 또는 ‘나는 ~을 기대하고 있어.’를 의미하여 바람이나 소원을 나타내는 I am looking forward to ~.의 표현이 적절하다. 03 동사 think의 목적절인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은 생략할 수 있다. 의 무를 나타내는 조동사 should 뒤에는 동사원형이 온다. take a penalty kick: 페널티 킥을 차다 04 주어진 문장은 ‘정말 훌륭한 슛이야!’라는 의미이므로, 준하가 득점한 이후 에 남호가 준하에게 하는 말인 ⑤에 들어가는 것이 적절하다. 05 콤마 앞(,) 문장이 긍정인 be동사의 부가의문문은 「be동사의 부정형 + 주 어?」로 나타내는데, 주어가 you이고 현재시제이므로 aren’t you가 적절 06 ④ 이 대화에서 준하가 올스타 팀에 들어가는 것을 원하지 않는지는 확인할 하다. 수 없다. pp.110~111 07 ⓑ 너는 야구 경기 준비가 됐니? ⓐ 응, 그래. 나는 그것을 이길 것을 기대하고 있어. 02 ① ⓒ 나도 그래. 그것을 이기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 공을 세게 치는 것이 중요해. 교과서 대화 모두 보기 01 T 02 F 06 T 07 F 03 T 08 T 04 F 09 T pp.112~113 05 T 교과서 속 핵심 문법 01 It, to reach 02 ② pp.118~119 정답 및 해설 15 교과서 문법 다지기 Step 1 pp.120~121 A 01 It is fun to read comic books. 02 It is interesting to study science. 03 It is difficult to hit the ball hard. 04 It was difficult to answer all the questions. 05 It is impossible to get there within an hour. 06 It is not easy to do two things at the same time. B 01 부사 03 형용사 05 부사 02 부사 04 형용사 06 부사 C 01 사람들을 돕는 것은 중요하다. 02 그들은 충분히 일찍 도착했다. 03 그는 내게 충분한 시간을 주지 않았다. 04 나는 그들에게 줄 충분한 연필을 가지고 있다. 05 혼자 공포 영화를 보는 것은 무섭다. 06 토마토 스파게티를 만드는 것은 어렵지 않다. D 01 to play 02 It 04 to watch 06 kind enough 03 light enough 05 late enough E 01 cuts → cut 03 That → It 04 getting → get 05 enough old → old enough 06 enough good → good enough F 01 The land is not good enough for plants. 02 It is not good to exercise too much. 03 It is exciting to travel to other countries. 04 Her bag is big enough for trip. 05 I am not rich enough to buy the house. 04 (1) It was hard to find a parking lot. (2) The question looks easy enough. 05 (1) important to practice every day (2) strong enough to move the table 06 (1) ⓒ, John got up early enough in the morning. (2) ⓓ, It is necessary to have a passport to travel abroad. 01 주어로 쓰인 to부정사(to + 동사원형)가 긴 경우 주어 자리에 형식 주어(가 주어) it을 쓰고 to부정사를 문장의 뒤로 보낸다. 02 enough는 형용사 tall을 수식하는 부사로 쓰여야 하므로 tall의 뒤인 ③에 들어가는 것이 적절하다. 03 부사 enough는 형용사를 뒤에서 수식하므로 safe 뒤에 와야 한다. look + 형용사: ~하게 보이다 04 ④ enough는 형용사 brave를 뒤에서 수식하는 부사이므로 enough brave 를 brave enough로 고쳐야 한다. 05 ④의 밑줄 친 it은 형식 주어(가주어)이고, 나머지는 모두 시간, 날씨, 요일, 날짜, 거리, 명암 등을 나타내는 비인칭주어 it이다. 06 ②의 밑줄 친 enough는 뒤의 명사 clothes를 수식하는 형용사이고, 나머지 는 모두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하는 부사이다. 07 문장 뒤의 to부정사가 진주어로 쓰였으므로 빈칸에는 형식 주어(가주어) It 이 들어가는 것이 적절하다. (가주어) It으로 고쳐야 한다. 09 enough는 형용사 good을 수식하는 부사이므로 good 뒤에 와야 한다. 10 it은 ‘그것’을 의미하는 지시대명사, 시간, 날씨, 거리, 요일, 날짜, 명암 등을 나타내는 비인칭주어, 형식 주어(가주어)로 쓰일 수 있다. 첫 번째 문장의 빈 칸에는 비인칭주어, 두 번째 문장의 빈칸에는 지시대명사, 세 번째 문장의 빈 칸에는 형식 주어(가주어)가 들어간다. 11 형식 주어(가주어) It이 쓰였으므로 문장의 뒤에는 진주어인 to부정사가 와야 한다. 주어진 우리말을 영작하면 It is difficult to solve this math problem.이 되므로 ④의 solving를 solve로 고쳐야 한다. 12 (A) 문장 뒤에 진주어인 to부정사가 있으므로 형식 주어(가주어) It이 적절하다. 02 enough great → great enough 08 to hit the ball hard는 진주어이므로 주어 자리에 있는 That을 형식 주어 06 It is dangerous to drive a car on a snowy day. (B) 부사 enough는 부사를 뒤에서 수식하므로 well enough가 적절하다. (C) 주어 자리에 형식 주어(가주어) It이 있으므로 진주어인 to부정사(to + 교과서 문법 다지기 Step 2 pp.122~125 01 It, to play 02 ③ 03 ③ 04 ④ 05 ④ 사 is와 big 사이에 not을 써서 부정문으로 쓴다. 06 ② 07 ② 08 That → It 15 to부정사(to + 동사원형)가 주어인 문장은 to부정사를 문장의 뒤로 보내고 09 enough good → good enough 10 ① 11 ④ 주어 자리에 형식 주어(가주어) it을 써서 나타낼 수 있다. 14 부사 enough가 형용사 big을 수식하도록 big 뒤에 enough를 쓰고, be동 13 주어 자리에 형식 주어(가주어) It을 쓰고 진주어인 to부정사를 문장의 뒤로 16 첫 번째 문장의 빈칸에 들어갈 말은 진주어인 to keep a diary이고, 두 번째 문장의 빈칸은 부사 enough가 부사 hard를 수식하도록 you worked hard 동사원형)가 적절하다. 보내 문장을 완성한다. 12 ③ 13 It is important to 14 This house is not big enough 15 ② 16 ② 17 ③ 18 ④ 19 It is possible to save energy. 20 This bed is big enough for adults. 서술형 01 (1) It is not difficult to buy a ticket online. 02 (1) It is natural to feel sleepy at this time. (2) He is not smart enough to understand the book. 03 (1) Is the water warm enough? (2) It is dangerous to drive fast at night. 16 2학년 능률_양현권 enough로 쓴다. 17 ① enough long → long enough ② enough high → high enough ④ going → go ⑤ enough small → small enough 칭주어, ⓒⓓ는 형식 주어(가주어), ⓔ는 대명사이다. 19 it이 주어져 있으므로 형식 주어(가주어) it과 to부정사인 진주어를 이용하여 영작한다. 20 부사 enough가 형용사 big을 수식해야 하므로 주어와 동사인 This bed is 뒤에 big enough를 쓰고 마지막에 for adults를 쓴다. (2) It is interesting to learn about different cultures. 18 ⓐⓑ의 밑줄 친 It은 시간, 날씨, 요일, 날짜, 거리, 명암 등을 나타내는 비인 pp.128~130 02 ~에게 …을 건네주다 16 What a shot! 17 ⓐ Let me get you a mask ⓑ is not clean enough 01 진주어인 to부정사를 문장의 뒤에 쓰고 주어 자리에 형식 주어(가주어) it을 18 It’s important, Don’t, know, when 서술형 써서 나타낸다. (2) 주어 자리에 형식 주어(가주어) it을 쓰고 진주어인 to부정사를 문장 뒤 26 played, won, game, Congratulations 02 (1) 주어 자리에 형식 주어(가주어) It이 있으므로 to feeling을 진주어인 to (2) 부사 enough가 형용사 smart를 뒤에서 수식하도록 enough smart를 부정사의 형태로 고쳐야 한다. smart enough로 고쳐야 한다. 03 (1) be동사의 의문문은 「Be동사 + 주어 ~?」로 나타내고, 부사 enough는 형용사를 뒤에서 수식하므로 enough를 warm 뒤에 쓴다. 에 쓴다. 하여 영작한다. 04 (1) it이 주어져 있으므로 형식 주어(가주어) it과 진주어인 to부정사를 이용 (2) 부사 enough는 형용사를 뒤에서 수식하므로 easy 뒤에 쓴다. 「look + 형용사」는 ‘~하게 보이다’를 의미한다. 05 (1) It이 주어져 있으므로 문장 뒤에 진주어를 to부정사의 형태로 쓴다. (2) 「형용사[부사] + enough to + 동사원형」은 ‘...할 만큼 충분히 ~한[하 06 ⓒ 부사 enough는 부사를 뒤에서 수식하므로 enough early를 early ⓓ 문장 뒤에 진주어인 to부정사가 있으므로 That을 형식 주어(가주어) It으 게]’을 의미한다. enough로 고쳐야 한다. 로 고쳐야 한다. 교과서 본문다지기 A 01 끝나다 03 ~대로, ~와 같이 05 ~하는 게 어때? 07 명사절 09 to be 11 are 13 ~해야 한다 15 득점하다 04 공석, 빈자리 06 saw 08 단수 명사 10 A와 B 사이에 12 to pick 14 정말 ~한 … 16 ~이든 아니든 17 형식 주어(가주어) 18 giving 19 ~에게 미안한 마음이 들다 20 최선을 다하다 B 01 over, won, players 02 While, locker, handed, card 03 had, list, on 04 As, opening, senior, coach 05 pick, for, Check, name 06 looked, list, name 07 sighed, put, next 08 deny, good enough 09 collected every, from 10 hopes, high, wanted, on 11 coach, tie between 12 leaped, surprised that, tied 13 both, enough, to pick, to, pick 14 walked, to, Congratulations 15 such a, makes, baskets 16 course, does 17 whether, better, not 19 out of 20 felt like, shout, Then 21 Suddenly, sorry 22 guess, care, picked, for 23 smiled, picked 24 surprised 25 your best, team 27 Adapted, by 교과서 속 기타 지문 01 F 02 F 03 T p.131 영역별 실력 굳히기 pp.132~138 01 ⑤ 06 ① 11 ③ 15 ⑤ 02 ④ 03 at last 04 ② 05 turn off 07 (h)ope 08 ③ 12 at the same time 09 ② 13 ① 10 ④ 14 ③ 18 This room is large enough for five people. 19 ② 20 The pot is not cool enough. 21 It is fun to have a party with friends. 23 ③ 28 ⑤ 31 ② 24 ② 29 ③ 32 ⑤ 25 ① 26 ③ 30 Do you want to be a team player? 33 ⓑ surprised ⓒ are 34 it’s hard to pick just one player 35 ④ 36 ④ 37 list 38 He couldn’t deny that Michael was good enough 39 ④ 40 ② 41 ③ 42 ⑤ 43 ③ 44 You always do your best, and you’re a team player. 22 ② 27 ③ 45 ④ 01 ⑤는 ‘기회’를 의미하는 유의어 관계이고, 나머지는 모두 반의어 관계이다. ① 당기다 : 밀다 ② 쉬운 : 어려운 ③ 부정하다 : 인정하다 ④ ~를 가지고 : ~ 없이 02 •벤치 옆에 있는 고양이를 봐. (look at ~: ~을 보다) •나는 일자리를 찾을 계획이었다. (look for ~: ~을 찾다) 03 finally: 마침내, 결국 (= at last) 04 주어진 문장과 ②의 밑줄 친 부분은 ‘절약하다’의 의미로 쓰였다. ①③⑤는 ‘구하다’의 의미로, ④는 ‘(돈을) 모으다, 저축하다’의 의미로 쓰였다. 05 turn off ~: ~을 끄다 06 ①의 밑줄 친 hard는 모두 ‘세게’를 의미하는 부사로 쓰였다. ② 그 아기는 많은 돌봄이 필요하다. (care: 돌봄) 그녀는 그 일에 대해 신경 쓰지 않는다. (care: 신경 쓰다) ③ 미래에 대한 너의 희망은 뭐니? (hope: 희망) 그들은 다음 달에 우리를 방문하기를 희망한다. (hope: 바라다) ④ 나는 두 팀이 다시 동점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tie: 동점을 이루다) 정답 및 해설 17 내 여동생은 아빠를 위해 실크 넥타이를 샀다. (tie: 넥타이) 26 to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는 일반적으로 「for + 목적격[명사]」을 쓰고, 사람 ⑤ 내가 집에 늦게 올 때 엄마는 내게 소리치신다. (shout: 소리치다) 의 성격이나 성질을 나타내는 형용사와 함께 쓰일 경우 「of + 목적격[명사]」 그는 관중들로부터 환호성을 들었다. (shout: 환호성) 을 쓴다. ③의 빈칸 앞에 사람의 성격을 나타내는 형용사 kind가 있으므로 07 ‘당신이 원하는 무언가가 일어나기를 바라는 믿음’은 hope(희망)의 영영풀 ③의 빈칸에는 of가 들어가고, 나머지는 모두 for이 들어간다. 27 주어로 쓰인 to부정사가 긴 경우 주어 자리에 형식 주어(가주어) it을 쓰므 08 ③ 앞 문장에서 불을 끄겠다고 했으므로 빈칸에는 에너지를 아끼는 것이 중 로 두 번째 문장의 That을 It으로 고쳐야 한다. 부사 enough는 ‘충분히’ 요하다고 말하는 것이 적절하다. 의 의미로 형용사나 부사를 뒤에서 수식하므로 네 번째 문장의 enough 09 소년이 영어를 잘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고 했고 소녀가 영어를 매일 사용하 comfortable을 comfortable enough로 고쳐야 한다. 는 것이 중요하다고 답했으므로 빈칸에는 무엇을 해야 하냐고 묻는 것이 적 28 형식 주어(가주어)와 진주어를 이용하여 주어진 우리말을 영작하면 It is not 이이다. 절하다. safe to swim in the river.가 된다. 따라서 ⑤의 swimming을 swim으로 10 I am looking forward to ~.(나는 ~이 기대돼.)는 바람이나 소원을 나타내 고쳐야 한다. 는 표현으로, 「I can’t wait to + 동사원형 ~.」 등으로 바꿔 쓸 수 있다. 29 ⓐ 빈칸 뒤의 내용이 패스하는 것과 슛 하는 것을 연습하는 이유에 해당하므 11 (A) 뒤의 명사 team을 수식하여 ‘무슨 ~, 어떤 ~’을 의미하는 의문형용사가 로 이유를 나타내는 부사절 접속사 because(~ 때문에)가 적절하다. 적절하다. ⓑ 앞 문장에서 좋은 팀워크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으므로, 좋은 팀워크 (B) 동시에 함께 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는 B의 대답으로 보아 경 없이(without) 경기에서 이기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 흐름상 자연스럽다. 기를 이기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묻는 것이 적절하므로 의문사 30 일반동사 현재시제의 의문문은 「Do[Does] + 주어 + 동사원형 ~?」으로 나 What이 적절하다. 12 at the same time: 동시에 13 ⓒ I’m also looking forward to it.(나도 그것이 기대돼.)이라는 A의 말에 타내고, 동사 want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한다. team player: 협동을 잘하는 사람 31 ② 다음 문장에서 모든 선수들이 시니어 팀에 들어가기를 원했다고 했으 서 it은 단체 줄넘기를 가리키므로, A도 단체 줄넘기에 참가할 것을 알 수 므로 모든 사람들의 희망이 낮았다는 내용은 흐름상 어색하다. 따라서 있다. low(낮은)를 high((양이나 정도가) 큰, 높은) 등으로 바꿔야 한다. ⓓ B의 마지막 말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동시에 함께 뛰는 것이 중요하다고 32 한 명만 골라야 하는 상황에서 Scottie와 Michael이 동점이기 때문에 코치 생각한다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14 ⓑ N-Boys가 학교 축제에 오니, 지민아? ⓐ 응, 맞아. 나는 그들을 볼 것이 정말 기대돼! ⓒ 나도 그래. 나는 그게 믿기지 않아! 가 한 명의 선수만 뽑는 것이 어렵다고 말하는 내용이 적절하므로 빈칸에 들 어갈 말은 ‘경기나 대회에서 두 명이나 그 이상의 선수가 같은 점수를 가진 상황’을 의미하는 tie(동점)이다. 33 ⓑ be surprised that + 주어 + 동사: ~가 …하다는 것에 놀라다 15 ⑤ 준하가 경기에서 이기는 것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페널티킥을 차는 것을 ⓒ both는 ‘둘 다’를 의미하여 복수 취급한다. 해보겠다고 말하는 것이 흐름상 자연스러우므로 ‘포기하다’를 의미하는 34 주어 자리에 형식 주어(가주어) it을 쓰고, 진주어인 to부정사를 문장의 뒤로 give up을 ‘해 보다, 시도해 보다’를 의미하는 go for it 등으로 바꾸는 것 보낸다. 이 적절하다. 16 감탄문은 「What a(n) (+ 형용사) + 명사 (+ 주어 + 동사)!」 또는 「How + 35 ④ Why don’t you + 동사원형 ~?: 하는 게 어때? (→ pick) 36 ④의 while은 ‘~인 반면에’의 의미로 쓰였고, ⓐ와 나머지 보기는 모두 ‘~하 형용사[부사] (+ 주어 + 동사)!」로 나타내는데, 형용사가 생략된 a shot이 있 는 동안’의 의미로 쓰였다. 으므로 What 감탄문으로 쓰는 것이 적절하다. 37 ‘예를 들어 기억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 보통 다른 이름, 숫자 등의 아래에 17 ⓐ ‘내가 ~할게.’를 의미하는 「Let me + 동사원형 ~.」과 ‘~에게 …을 가져 쓰여 있는 일련의 이름들, 숫자들’은 list(목록)의 영영풀이이다. 다주다’를 의미하는 「수여동사 get + 간접목적어 + 직접목적어」를 이용 38 동사 deny의 목적절인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 뒤에 「주어 + 동사」의 한다. 절이 오도록 배열한다. 부사 enough는 형용사 good을 뒤에서 수식한다. ⓑ 부사 enough는 형용사를 뒤에서 수식한다. 39 ④ 카드에는 시니어 팀으로 갈 선수를 뽑기 위한 주니어 팀 선수들의 명단이 18 ‘충분히’를 의미하는 부사 enough가 형용사 large를 뒤에서 수식하도록 있었다. large enough의 순서로 쓴다. 40 「such a(n) + 형용사 + 명사」는 ‘정말 ~한 …’을 의미한다. 부사 very는 형 19 주어로 쓰인 to부정사(to + 동사원형)가 긴 경우 주어 자리에 형식 주어(가 용사 앞에서 수식한다. 주어) it을 쓰고 진주어인 to부정사를 문장의 뒤로 보낸다. 20 부사 enough가 형용사 cool을 뒤에서 수식하도록 cool enough의 순서로 41 ⓐⓒⓓ는 Michael을 가리키고, ⓑⓔⓕ는 Scottie를 가리킨다. 42 ⑤의 it은 ‘그것’을 의미하는 대명사이고, 나머지는 모두 형식 주어(가주어) 쓴다. (가주어) it을 쓴다. 21 진주어인 to부정사(to + 동사원형)를 문장 뒤에 쓰고 주어 자리에 형식 주어 43 feel like + 동사원형-ing: ~하고 싶다 give a shout: 환호하다, 외치다 22 ⓐⓓ의 밑줄 친 enough는 형용사 또는 부사를 수식하는 부사이고, ⓑⓒⓔ 44 빈도부사 always는 일반동사인 do 앞에 쓰고, 등위 접속사 and로 절과 절 는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이다. 을 연결하여 영작한다. 23 주어진 문장과 ③의 밑줄 친 It은 형식 주어(가주어)이고, ①은 날짜를 나타 do one’s best: 최선을 다하다 내는 비인칭주어, ②④⑤는 대명사이다. team player: 협동을 잘하는 사람 24 ⓐ 부사 enough는 형용사를 뒤에서 수식하므로 easy enough의 형태가 적 45 ④ 이 글에서 시니어 팀에서의 Scottie의 포지션은 알 수 없다. 이다. ⓑ 주어 자리에 형식 주어(가주어) It이 있으므로 to부정사 형태의 진주어가 ② 코치는 무엇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가? → 팀을 위해 뛰는 것 ① 누가 가장 많이 득점하는가? → Michael ③ 누가 시니어팀에 Michael을 뽑았는가? → Scottie 절하다. 적절하다. 25 ① 부사 enough는 형용사를 뒤에서 수식하므로 enough cheap을 cheap ⑤ Scottie가 방에서 나온 후 무엇을 하고 싶었는가? → 크고 행복한 환호성 enough로 고쳐야 한다. 을 지르는 것 18 2학년 능률_양현권 Step 1 pp.139~143 14 ‘날씨가 벙어리장갑을 낄 만큼 충분히 춥지 않다.’의 의미가 되는 것이 자연 스러우므로, enough가 부사로 쓰여 형용사 cold를 수식하도록 ③에 들어가 학교 시험 100점 맞기 01 ② 02 ③ 06 How about you? 10 ③ 13 ② 16 ③ 11 ① 14 ③ 03 ③ 07 ① 04 safety 05 ④ 08 ⑤ 09 ③ 12 He was kind enough to 15 It is exciting to visit New York. 17 (1) ⓐ, It is impossible to beat them. (2) ⓑ, The movie is great enough. 18 ④ 19 the coach handed every boy a card 20 As you all know 21 ② 22 ⑤ 23 ③ 24 ③ 25 ② 26 whether there’s a player in a better position or not 27 ② 28 ② 29 ② 30 team player 15 it이 주어져 있으므로 주어 자리에 형식 주어(가주어) it을, 진주어 자리에 to 는 것이 적절하다. 부정사를 써서 영작한다. 16 ⓑⓒⓔ의 밑줄 친 enough는 형용사를 수식하는 부사이고, ⓐⓓⓕ의 enough는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이다. 17 ⓐ 주어 자리에 형식 주어(가주어) It이 있으므로 beat을 진주어인 to부정사 형태가 되도록 to beat으로 고쳐야 한다. ⓑ enough는 형용사 great을 수식하는 부사이므로 great 뒤에 와야 한다. 18 ‘획득할 수 있는 직업 또는 직책’은 opening(공석)의 영영풀이이다. 19 수여동사 hand는 「hand + 간접목적어(~에게) + 직접목적어(…을)」의 형태 로 쓰여 ‘~에게 …을 건네주다’를 의미한다. 20 접속사 as는 ‘~대로, ~와 같이’를 의미하고, 뒤에 「주어 + 동사」의 절이 이어 진다. 21 ② every 뒤에는 단수 명사가 와야 한다. (→ card) 22 코치가 모든 소년에게 시니어팀에 들어갈 선수를 뽑게 했고 Michael과 Scottie 간의 득표수가 동점이어서 코치가 한 사람만 뽑는 것이 어렵다고 말 하는 것이 흐름상 적절하므로 ‘A와 B 사이에’를 의미하는 「between A and 23 ③의 밑줄 친 enough는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이고, ⓒ와 나머지는 모두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하는 부사이다. 24 ③ He was surprised that he was tied with Michael.에서 Scottie가 Michael과 동점이라는 사실에 놀란 것을 알 수 있다. 25 ② 뒤 문장에서 Michael이 득점을 가장 많이 한다고 했으므로, bad를 good 등으로 바꾸는 것이 적절하다. 26 ‘~이든 아니든’을 의미하는 「whether ~ or not」과, ‘~이 있다’를 의미하는 「there is + 단수 명사」를 이용한다. 27 주어 자리에는 형식 주어(가주어) It이 오고, 진주어 to play for the team 28 ⓑ feel like + 동사원형-ing: ~하고 싶다 29 주어진 문장은 ‘갑자기 Scottie는 그에게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는 의미이 므로, Scottie가 크고 행복한 환호성을 지르고 싶었을 때 Michael을 본 내 용 뒤, Scottie가 Michael을 뽑았다는 말 앞인 ②에 오는 것이 적절하다. 30 ‘개인의 성공보다는 그룹이나 팀이 성공하도록 돕는 것에 더 신경 쓰는 사 람’은 team player(협동을 잘하는 사람)의 영영풀이이다. Step 2 pp.144~148 03 score 04 ② 05 You are looking forward to winning this match, aren’t you? 학교 시험 100점 맞기 01 ⑤ 02 ③ 06 (1) having → have (2) saving → save 01 ⓐ ‘두 사람이나 두 물건 모두’는 both(둘 다)의 영영풀이이다. ⓑ ‘받아들일 수 있는 정도로, 하지만 엄청난 정도는 아닌’은 enough(충분 02 adapted: 각색된 03 ③은 ‘어려운’을 의미하는 형용사로 쓰였고, 나머지는 모두 ‘세게’를 의미하 B」의 형태가 적절하다. 히)의 영영풀이이다. 는 부사로 쓰였다. 로 빈칸에는 로봇 축제에 가고 싶어하는 내용이 들어가야 한다. 따라서 ‘나도 그래.’라는 의미의 So am I.가 적절하다. 은 문장 뒤로 보낸다. 04 deny와 admit은 ‘부정하다 : 인정하다’를 의미하는 반의어 관계이므로, 빈 칸에는 danger(위험)의 반의어인 safety(안전)가 적절하다. 05 주어진 문장은 ‘이기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라는 의미로, (이기기 위해) 동시에 함께 뛰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는 B의 말 앞인 ④에 들어가 는 것이 적절하다. 06 How about you?: 너는 어때? 07 ① 로봇 축제가 기대된다는 소녀의 말에 소년이 함께 가는 것을 제안했으므 So + be동사[조동사] + 주어.: ~도 또한 그렇다. 08 ① should는 조동사이므로 뒤에 동사원형이 와야 한다. (→ take) ② 콤마(,) 앞 문장이 긍정인 be동사의 부가의문문은 「be동사의 부정형 + 주어?」로 나타낸다. (→ aren’t) ③ look forward to 뒤에는 명사나 동명사가 와야 한다. (→ winning) ④ 진주어인 to부정사를 대신하여 쓰는 형식 주어(가주어)는 it으로 쓴다. (→ It’s) 09 ③ 이 대화에서 축구 경기가 어디에서 열리는지는 알 수 없다. ① 누가 페널티킥을 찼는가? → 준하 ② 준하는 어떻게 득점했는가? → 페널티킥을 찼다 ④ 남호는 어느 팀에 들어가길 원하는가? → All-Star Team ⑤ 준하와 남호는 무엇을 기대하는가? → 축구 경기에서 이기는 것 10 주어진 문장과 ③의 밑줄 친 It은 형식 주어(가주어)이고, ①은 날씨를 나타 07 ④ 08 ② 09 that we jump 내는 비인칭주어, ②④⑤는 대명사이다. 10 She gives a mask to him[She gives him a mask]. 11 ② 11 주어인 to부정사가 문장의 뒤로 이동했으므로 주어 자리에는 형식 주어(가 12 ② 13 ③ 주어) It이 적절하다. 12 ‘충분히’를 의미하는 부사 enough는 형용사나 부사를 뒤에서 수식하며, 「형 용사[부사] + enough to + 동사원형」은 ‘…할 만큼 충분히 ~한[하게]’을 의 미한다. 13 ① believing → believe ③ That → It ④ enough good → good enough ⑤ enough comfortable → comfortable enough 14 He knows well enough about the event. 16 ③ 19 ③ 17 slowly enough to understand 20 ② 21 (d)eny 15 ⑤ 18 ⑤ 22 He was surprised that he was tied with Michael. 23 both are wonderful enough for the senior team 24 ⑤ 25 ② 26 ④ 27 ④ 28 player 29 ② 30 ⓐ shooting ⓑ to have 정답 및 해설 19 01 ⑤는 ‘중요한 : 중요성’을 의미하는 ‘형용사 : 명사’의 관계이고, 나머지는 모 19 ⓐ 선수들이 탈의실에 있던 동안 코치가 카드를 건네주었다는 내용이 자연 두 유의어 관계이다. ① 경기, 시합 ② ~이라고 생각하다 ③ 마침내, 결국 ④ 기회 02 •be over: 끝나다 •look for ~: ~을 찾다 영영풀이이다. 스러우므로 While(~하는 동안)이 적절하다. ⓑ ‘너희 모두 아는 대로’의 의미가 되도록 As(~대로, ~와 같이)가 적절하다. 20 주어진 문장은 ‘그 팀에 들어갈 선수 한 명을 뽑는 게 어떠니?’의 의미이므 로, 시니어팀에 한 명의 공석이 있다는 내용 뒤, 명단에 있는 이름 한 개에 체 크를 하라는 코치의 말 앞인 ②에 오는 것이 흐름상 적절하다. 21 ‘무언가를 인정하거나 받아들이기를 거부하다’는 deny(부정하다)의 영영풀 이이다. 를 이용하여 순서대로 배열한다. be tied with ~: ~와 동점이다 쓰여야 한다. 로 고쳐야 한다. 다. 03 ‘대회, 스포츠 또는 경기에서 점수, 골 등을 획득하다’는 score(득점하다)의 22 ‘~가 …하다는 것에 놀라다’를 의미하는 be surprised that + 주어 + 동사 04 •우리는 진실을 부정할 수 없다. (deny: 부정하다) •내 심장은 두려움으로 뛰기 시작했다. (heart: 심장) •너는 잘할 테니 걱정하지 마. (worry: 걱정하다) 23 부사 enough는 형용사를 뒤에서 수식한다. 24 ⓒ와 ⑤의 밑줄 친 It은 형식 주어(가주어)이다. ①④는 요일이나 날씨를 나 •이 위치에서 너는 그 탑을 볼 수 있다. (position: 위치, 자리) 타내는 비인칭주어, ②③은 ‘그것’을 의미하는 대명사이다. 05 ‘~을 기대하다’를 의미하는 「look forward to + (동)명사」와 be동사의 부 25 ② 이 글에서 코치가 왜 Scottie를 뽑았는지는 알 수 없다. 가의문문을 이용하여 단어들을 배열한다. 콤마(,) 앞 문장이 긍정인 be동사 ① Scottie의 심장은 왜 뛰었는가? → 자신과 Michael이 동점이었기 때문 의 부가의문문은 「be동사의 부정형 + 주어?」로 나타낸다. 에 06 (1) 형식 주어(가주어) it이 쓰였으므로 진주어인 to부정사(to + 동사원형)가 ③ 누가 시니어팀에 들어가길 원했는가? → 모든 소년 ④ 코치는 몇 몇의 사람을 뽑을 수 있었는가? → 한 명 (2) 등위 접속사 and에 의해 stay와 병렬 연결되어 있으므로 동사원형 형태 ⑤ 코치가 Scottie를 뽑은 후 뭐라고 말했는가? → Scottie에게 축하한다고 말했다 하다. 07 줄에 매달려 버티거나 당기는 경기는 줄다리기이다. 08 ⓐ 「be going to + 동사원형」은 ‘~할 예정이다’를 의미한다. 26 문장 끝에 or not이 있고 더 좋은 위치에 선수가 있든 없든 슛을 한다는 의미 가 적절하므로 부사절 접속사 whether가 적절하다. ⓑ ‘경기에서 이기기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니?’의 의미가 되어야 하므 whether ~ or not: ~이든 아니든 로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의 to부정사(to + 동사원형)가 되어야 한 27 (A) 주어 자리에 형식 주어(가주어) It이 있으므로 진주어인 to play가 적절 09 「It is important to + 동사원형 ~.」(~하는 것은 중요해.)은 어떤 생각, 사실, (B) feel like + 동사원형-ing: ~하고 싶다 정보를 강조하는 표현으로, 「It is important that + 주어 + 동사 ~.」 등으 (C) 주어인 Scottie가 감정을 느끼는 대상이므로 과거분사 형태의 감정형용 로 바꿔 쓸 수 있다. 사가 적절하다. 10 ‘Let me get you a mask.’(네게 마스크를 가져다 줄게.)라는 여자의 말을 28 부정대명사 one은 앞에 언급된 셀 수 있는 명사와 같은 종류의 불특정한 대 통해 여자가 소년에게 준 것이 마스크임을 알 수 있다. 수여동사 give는 주 상을 가리키는데, 여기에서는 앞에서 언급된 player를 가리킨다. 어 + 동사 + 간접목적어 + 직접목적어의 4형식 또는 주어 + 동사 + 직접 29 ② 이 글에서 Michael이 몇 점을 득점했는지는 알 수 없다. 목적어 + to + 간접목적어의 3형식으로 쓸 수 있다. ① Scottie는 Michael에게 어떤 감정을 느꼈는가? → 미안함 11 to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는 일반적으로 「for + 목적격[명사]」을 쓰고, 사람 ③ 글의 원작은 무엇인가? → Fern Simms의 ‘All-Star Team’ 의 성격이나 성질을 나타내는 형용사와 함께 쓰일 경우 「of + 목적격[명사]」 ④ Michael은 시니어 팀으로 누구를 뽑았는가? → Scottie 을 쓴다. 빈칸 앞에 사람의 성격을 나타내는 형용사 careless(부주의한)가 ⑤ Scottie는 방에서 걸어 나왔을 때 무엇을 하고 싶었는가? → 크고 행복한 있으므로 빈칸에는 of가 적절하다. 환호성을 지르고 싶었다 12 ②의 밑줄 친 enough는 명사 food를 수식하는 형용사이고, 나머지는 모두 30 ⓐ 동사 practice는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고, 목적어 passing과 등위접속 형용사 또는 부사를 수식하는 부사이다. 사 and로 병렬 연결되어 있으므로 동명사 shooting이 적절하다. 13 (A)(B) 문장의 뒤에 진주어인 to부정사가 있으므로 (A)에는 형식 주어(가주 ⓑ 주어인 It이 형식 주어(가주어)이므로 진주어인 to부정사의 형태가 적절 어) It이, (B)에는 to travel이 적절하다. 하다. (C) ‘충분히’를 의미하는 부사 enough는 형용사나 부사를 뒤에서 수식하므 로 sharp enough가 적절하다. 14 부사 well은 동사 knows를 수식하므로 knows 뒤에 쓰고, 부사 enough는 부사를 뒤에서 수식하므로 부사 well 뒤에 쓴다. 15 ① playing → play ② break → to break ③ enough fast → fast enough ④ enough easily → easily enough 서술형으로 끝내기 01 hard 02 (1) pull (2) score (3) opening 03 (S)ame (h)ere pp.149~151 04 It’s important to wear a mask when the air is clean enough. 05 But you are looking for a chance to join the All-Star Team, 16 ‘…할 만큼 ~한[하게]’을 의미하는 형용사[부사] + enough to + 동사원 aren’t you? 형을 이용하여 주어진 우리말을 영작하면 Lily studied hard enough to 06 is necessary to set a goal pass the test.가 된다. 17 형용사[부사] + enough to + 동사원형: …할 만큼 충분히 ~한[하게] 18 ⓐⓑ의 밑줄 친 It은 각각 날씨와 명암을 나타내는 비인칭주어이고, ⓒⓔ는 형식 주어(가주어), ⓓ는 대명사이다. 07 (1) It (2) to go (3) to express 08 enough great → great enough 09 It is not good to skip breakfast. 20 2학년 능률_양현권 10 (1) Is your tea warm enough? (2) The streets are not wide enough. (3) The directions were clear enough for me. 11 It is kind of you to help your friend. 12 (1) is nice to see you again (2) is rich enough to buy the house (2) ⓔ, He couldn’t deny that Michael was good enough for the every boy a card. senior team. 14 both are wonderful enough for the senior team 15 ⓐ He felt like giving a loud and happy shout. ⓑ You always do your best, and you’re a team player. 15 ⓐ feel like + 동사원형-ing: ~하고 싶다 give a shout: 환호하다, 외치다 ⓑ 빈도 부사 always는 일반동사 앞에 쓰고, 두 절을 등위 접속사 and로 연 결하여 나타낸다. do one’s best: 최선을 다하다 team player: 협동을 잘하는 사람 창의 서술형 01 가로 (1) suddenl(y) 세로 (1) e(n)ough weekend. 02 |예시답안| I’m looking forward to visiting my friend this 03 |예시답안| She is tall enough to reach the top shelf. 13 (1) ⓑ, While they were in the locker room, the coach handed p.152 01 (1) 어떤 것을 손으로 누군가에게 주다: hand(건네주다) (2) 스포츠에서 사람이나 팀을 훈련시키는 사람: coach((스포츠 팀의) 코치) 히)의 영영풀이이다. 01 (1) ‘재빠르고 뜻밖에’는 suddenly(갑자기)의 영영풀이이다. (2) ‘받아들일 수 있는 정도로, 하지만 엄청난 정도는 아닌’은 enough(충분 (3) 어떤 것이 중요하고 걱정할 만하다고 느끼다: care(신경 쓰다) (4) 무언가를 인정하거나 받아들이기를 거부하다: deny(부정하다) 02 (1) 이 소파를 문 쪽으로 끌자. (pull: 끌다) (2) 그녀는 대회에서 매우 높은 점수를 받았다. (score: 점수) (3) 그 회사에 관리자 한 명의 공석이 있다. (opening: 공석) 03 Same here.은 ‘나도 마찬가지야.’를 의미하여 상대방의 의견에 동의를 나 타내는 표현이다. 04 「It is important to + 동사원형~.」은 ‘~하는 것은 중요하다.’의 의미로, 생 각이나 사실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부사 enough는 형용사를 뒤에서 수식하 며 ‘~일 때’를 의미하는 접속사 when 뒤에는 주어 + 동사의 절이 온다. 05 준호는 남호가 페널티 킥을 차야 한다고 생각했고, 그 이유는 남호가 올스타 팀에 들어갈 기회를 바라고 있기 때문이다. 02 ‘나는 ~이 기대돼.’ 또는 ‘나는 ~을 기대하고 있어.’라는 의미의 「I am looking forward to ~.」를 이용하여 바람이나 소원을 나타낼 수 있다. 전치 사 to 뒤에는 명사나 동명사가 와야 한다. 질문: 너는 이번 주말에 무엇을 기대하고 있니? 03 부사 enough는 형용사를 뒤에서 수식하므로 tall enough의 순서로 쓰고, 「형용사[부사] + enough to + 동사원형」(…할 만큼 충분히 ~한[하게])을 이 01 The game was over. The junior team won it, and all the players pp.153~154 용해서 묘사할 수 있다. 교과서 본문손으로 익히기 were happy. boy a card. 06 주어로 쓰인 to부정사(to + 동사원형)가 긴 경우 주어 자리에 형식 주어(가 02 While they were in the locker room, the coach handed every 주어) it을 쓰고 to부정사를 문장의 뒤로 보낸다. 07 주어로 쓰인 to부정사(to + 동사원형)가 긴 경우 주어 자리에 형식 주어(가 03 It had a list of the players on the junior team. 주어) it을 쓰고 to부정사를 문장의 뒤로 보낼 수 있다. 04 “As you all know, we have an opening for a player on the 08 부사 enough는 형용사를 뒤에서 수식하므로 enough great를 great senior team,” said the coach. 09 it이 주어져 있으므로 주어 자리에 형식 주어(가주어) it을 쓰고 문장의 뒤에 on the list.” enough로 고쳐야 한다. 진주어인 to부정사를 쓴다. 10 (1) be동사의 의문문은 Be동사 + 주어 ~?로 나타내고, 부사 enough가 형용사 warm을 뒤에서 수식하도록 배열한다. (2) be동사의 부정문은 주어 + be동사 + not ~.으로 나타내고, 부사 enough가 형용사 wide를 뒤에서 수식하도록 배열한다. (3) 부사 enough가 형용사 clear를 뒤에서 수식하도록 배열한다. 05 “Why don’t you pick a player for the team? Check one name 06 Scottie looked at the list and saw his name. 07 Then he sighed and put a check next to Michael’s name. 08 He couldn’t deny that Michael was good enough for the senior team. 09 The coach collected every card from the boys. 10 Everyone’s hopes were high. They all wanted to be on the 11 it이 주어져 있으므로 주어 자리에 형식 주어(가주어) It을 쓰고, 진주어인 to 부정사는 문장에 뒤에 쓴다. kind는 사람의 성격을 나타내는 형용사이므로 senior team. to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는 「of + 목적격」으로 쓴다. 11 The coach looked up and said, “Well, it’s a tie between 12 (1) 빈칸 앞에 가주어 It이 있으므로 문장의 뒤에 진주어인 to부정사를 써서 Michael and Scottie.” (2) 「형용사[부사] + enough to + 동사원형」은 ‘...할 만큼 충분히 ~한[하 Michael. 나타낸다. 게]’을 의미한다. 13 ⓑ every 뒤에는 단수 명사가 와야 한다. ⓔ 부사 enough는 형용사 good을 뒤에서 수식해야 한다. 14 ‘둘 다’를 의미하는 both는 복수로 취급하므로 be를 are로 바꿔 쓰고, 부사 enough는 형용사 wonderful을 뒤에서 수식하도록 wonderful enough 순서로 배열한다. 12 Scottie’s heart leaped. He was surprised that he was tied with 13 “Well,” said the coach, “both are wonderful enough for the senior team, and it’s hard to pick just one player. But I have 14 T h e n t h e c o a c h w a l k e d o v e r t o S c o t t i e a n d s a i d , to, so I’ll pick Scottie.” “Congratulations!” 정답 및 해설 21 15 “Thank you, but Michael is such a good shot. He makes the 21 Suddenly Scottie felt sorry for him. most baskets,” said Scottie. 16 “Of course, he does,” said the coach. 22 “I guess you don’t care, but I picked you for the senior team,” said Scottie. 17 “But he shoots whether there’s a player in a better position or 23 Michael smiled. “You know what? I picked YOU.” not. 24 Scottie was surprised. “You did?” 18 It’s important to play for the team! Don’t worry. I know a good 25 “Yeah. You always do your best, and you’re a team player. player when I see one.” 19 Scottie walked out of the room. 26 Today you played for the team, and we won the game. Congratulations!” 20 He felt like giving a loud and happy shout. Then he saw Michael. 27 Adapted from All-Star Team by Fern Simms 22 2학년 능률_양현권 X-10 Step 2 01 1. G: I’m hungry. What Is Your Color? Lesson 01 교과서 어휘 다시 쓰기 A 01 유형, 종류 03 활동 05 전통 02 성격, 인격 04 자유로운; 무료의 06 따르다; 따라가다 07 기쁘게[즐겁게] 하다; 제발, 부디 08 지시, 명령; 방향 09 활력을 주는 사람 10 멋진; 차분한, 침착한; 시원한 11 활기찬, 생기 넘치는 12 환경, 장소 13 훌륭한, 뛰어난 14 조직하는 사람 p.2 Sunday. B: Me, too. Why don’t we go to Sweet Snack? G: That’s a good idea. But is it open today? B: Yes, it is. They say that it serves special pancakes on 2. G: Are there any good programs this weekend? B: Well, they say that there’s a special dance show at the Youth Center on Saturday. G: What kind of dance show is it? B: It’s an Indian dance show. People say that it’s really exciting. 02 1. G: Look at the cakes! B: They look yummy. G: Which cake do you like most? B: I like the chocolate cake most. 2. B: Are they new ice cream flavors? G: Yes, they are. They look delicious. B: Which flavor do you prefer? G: I prefer the strawberry flavor. 03 Nara: How did you like the test? Seho: It was really fun. I learned a lot about myself. Nara: What type of person are you? Seho: I’m a da-Vinci-type person. Nara: That sounds cool. What are da-Vinci people good at? Seho: They say that da-Vinci people make good inventors and 15 충실한 17 배려하는, 보살피는 19 독특한, 유일(무이)한 B 01 rule 03 circle 05 clear 07 listener 09 thoughtful 11 try 13 inventor 15 sure 17 sleeper 19 position 16 시작 18 조용한 20 특별한 02 solve 04 careful 06 wisdom 08 curious 10 witty 12 true 14 artist 16 advice 18 like 20 kind 03 운에 맡기고 해 보다, 모험을 하다 04 혼자서 05 ~을 세심하게 계획하다 06 무대에 서다 artists. advice. C 01 ~을 잘하다, ~에 능숙하다 02 재미있게 놀다 Nara: Which one do you prefer? Seho: I’m not sure. I’m going to ask my teacher for some 07 우리 ~하는 게 어때? 08 ~할 것이다, ~할 예정이다 04 W: Which sleeping position do you prefer? Some positions are good, and some are bad. Sleep scientists say that we become unhealthy when we sleep in a bad position. 교과서 대화 다시 쓰기 Step 1 pp.3~6 05 A: In which position do you sleep? B: I sleep in the back position. A: What are back sleepers like? 01 hungry, Why don’t we, good idea, open, They say that, Are B: People say that they are warm and friendly. there, they say that, kind, People say that A: How good is that position for your health? 02 Look at, Which cake do you, most, flavors, look delicious, B: Scientists say that it’s the best position for sleeping. Which flavor, prefer, I prefer 06 1. G: Is that a new snack shop? 03 How, like, a lot, myself, What type, good at, They say that, B: Yes, it is. They say that it has delicious pancakes. Which one, prefer, ask, for G: I’m hungry. Would you like to get some pancakes at the 04 Which sleeping position, prefer, Sleep scientists say that, shop? unhealthy B: Sure, I’d love to. 05 In which position, back position, back sleepers, People say 2. G: Look at those nice suitcases! that, How good, Scientists say that B: They look great. 06 new, They say that, Would you like to, love to, Look at, Which G: Which one do you prefer? one, prefer, prefer, Which one, prefer, prefer B: I prefer the black one. Which one do you prefer? 07 It’s, really, Why don’t we, across, street, Which flavor, prefer, G: I prefer the white one. prefer, flavor 07 G: It’s very hot. 정답 및 해설 23 B: Yeah, it really is. street? G: Why don’t we get some ice cream at the shop across the B: That’s a good idea. Which flavor do you prefer? G: I prefer the chocolate flavor. 15 faithful and careful, best with 16 BEGINNING OF ALL WISDOM 17 more circles, a great listener 18 warm, caring, and, in groups 19 If, have more circles on, curious 20 cool and quiet, best, own 21 What is your, much, like pp.7~16 22 personality, as, first step, true color 23 Everyone is unique, color 24 Why don’t you, yourself, yourself, make, of 교과서 본문 다시 쓰기 Step 1 01 What type, person, have 02 Here, have, personality 03 activities, ones are, good at 04 good at 05 being, having, taking, traditions 06 own, writing, learning, following 07 making, friends, out, patterns 08 on, directions, puzzles, sports 09 your color 10 Circle, and find, most 11 What, person, you 12 If, have, on, are 13 lively, in, settings 14 If, have more, organizer 15 careful, work best with 16 KNOWING, IS, BEGINNING 17 have, on, blue, listener 18 you work best 19 more, green, curious thinker 20 on your own 21 type, how much, like 22 Take, as, and try, find 23 unique and, special 24 don’t, listen, find, make, most Step 2 01 Who am, am I, these questions 02 interesting personality test for 03 Which activities, enjoy, which ones, at 04 enjoy, good at 05 and, working with, following traditions 06 on, own, new things, rules 07 new, planning things, pleasing, patterns 08 being, working with, solving, playing 09 What is, color 10 from, line with, most circles 11 What type of person 12 circles, you are a, energizer 13 You are witty, work best 14 If you, more, an excellent 24 2학년 능률_양현권 Step 3 01 Who, What type of, Do you have 02 Here we have, interesting personality test 03 Which activities, and which ones are, good 04 enjoy, I’m good at 05 free, fun, working, taking chances, traditions 06 working, my, writing, learning new things, following 07 making, planning, out, others, new patterns 08 on stage, with directions, puzzles, sports 09 What is your color 10 Circle, numbers, and find, line, most circles 11 What type of person are 12 If you have more, on, wonderful energizer 13 witty, lively, work best in, settings 14 If, more, gold line, an excellent organizer 15 faithful, careful, work best with clear rules 16 KNOWING YOURSELF IS, BEGINNING, ALL 17 If, have, on the blue line, listener 18 warm, caring, work best in groups 19 If you have, you are, curious thinker 20 cool and quiet, best on your own 21 What, type, how much, you like 22 Take, personality test as, try to find, true 23 Everyone is unique, has, special 24 listen to yourself, find special things, make, most of Step 4 questions? 01 Who am I? What type of person am I? Do you have these 02 Here we have an interesting personality test for you. 03 Which activities do you enjoy, and which ones are you good at? 04 I enjoy ... / I’m good at ... 05 being free and having fun. / working with people. / taking chances. / following traditions. 06 working on my own. / writing stories. / learning new things. / 07 making new friends. / planning things out. / pleasing others. following the rules. / finding new patterns. 08 being on stage. / working with directions. / solving puzzles. / 14 If you have more circles on the gold line, you are an excellent playing sports. 09 What is your color? most circles. 11 What type of person are you? wonderful energizer. 10 Circle the numbers from Step 1, and find the line with the rules. 15 You are faithful and careful, and you work best with clear 16 KNOWING YOURSELF IS THE BEGINNING OF ALL WISDOM. - 12 If you have more circles on the orange line, you are a 17 If you have more circles on the blue line, you are a great 13 You are witty and lively, and you work best in game settings. 18 You are warm and caring, and you work best in groups. 14 If you have more circles on the gold line, you are an excellent 19 If you have more circles on the green line, you are a curious organizer. ARISTOTEL listener. thinker. 15 You are faithful and careful, and you work best with clear 20 You are cool and quiet, and you work best on your own. 21 What is your type, and how much do you like it? 16 KNOWING YOURSELF IS THE BEGINNING OF ALL WISDOM. 22 Take this personality test as a first step and try to find your 17 If you have more circles on the blue line, you are a great true color. 18 You are warm and caring, and you work best in groups. 24 Why don’t you listen to yourself, find special things about 19 If you have more circles on the green line, you are a curious yourself, and make the most of them? 23 Everyone is unique and has a special color. 20 You are cool and quiet, and you work best on your own. 21 What is your type, and how much do you like it? 22 Take this personality test as a first step and try to find your 23 Everyone is unique and has a special color. 24 Why don’t you listen to yourself, find special things about yourself, and make the most of them? listener. 교과서 핵심문장 Review A 01 I’m going to ask my teacher for some advice. 02 Everyone is unique and has a special color. p.17 03 KNOWING YOURSELF IS THE BEGINNING OF ALL WISDOM. 04 If you have more circles on the blue line, you are a great 05 Circle the numbers from Step 1, and find the line with the most circles. B 01 They look delicious. 02 I learned a lot about myself. 03 What are back sleepers like? 05 Why don’t you listen to yourself, find special things about yourself, and make the most of them? 02 Here we have an interesting personality test for you. 04 Which activities do you enjoy, and which ones are you 03 Step 1: Which activities do you enjoy, and which ones are you good at? organizer. rules. listener. thinker. true color. Step 5 questions? 01 Who am I? What type of person am I? Do you have these good at? 04 I enjoy ... / I’m good at ... 05 1. being free and having fun. / 2. working with people. / 3. taking chances. / 4. following traditions. 06 5. working on my own. / 6. writing stories. / 7. learning new things. / 8. following the rules. 07 9. making new friends. / 10. planning things out. / 11. pleasing others. / 12. finding new patterns. 08 13. being on stage. / 14. working with directions. / 15. solving puzzles. / 16. playing sports. 09 Step 2: What is your color? 10 *Circle the numbers from Step 1, and find the line with the most circles. 11 Step 3: What type of person are you? 12 If you have more circles on the orange line, you are a wonderful energizer. 13 You are witty and lively, and you work best in game settings. 정답 및 해설 25 19 휴식 시간; 깨뜨리다 20 더 적게; 더 적은[작은] B: Let’s clean it up. We should keep our classroom clean. Old Things, New Art 02 폐품, 쓰레기 03 낡은, 오래된; 늙은 04 이사하다, 이동하다; 옮기다 05 (접착제로) 붙이다; 접착제 06 ~ 주위에 11 유지하다; 지키다 12 다른 사람[것]; 또 하나의 08 ~로서 10 못으로 고정하다; 못; 손톱 14 양식; 방식; 유행 16 어질러진 것, 엉망인 상태 18 좌석, 안장; 앉히다 02 reuse 04 pass 06 treasure 08 speech 10 useful 12 waste 14 board 16 worried 18 sculpture 20 vase Lesson 02 교과서 어휘 다시 쓰기 A 01 초조한, 불안한 07 종류; 친절한 09 예술 작품 13 대회, 시합 15 매우; 그러한 17 동의하다 B 01 used 03 create 05 presentation 07 object 09 during 11 piece 13 everyday 15 slogan 17 clean 19 imagination 02 ~와 같은 03 ~을 보다 04 ~을 잘 활용하다 05 ~처럼 보이다 06 ~은 어떠니? 07 서두르다 08 ~할 수 있다 교과서 대화 다시 쓰기 Step 1 Step 2 01 1. G: What’s wrong, Seho? B: I’m worried about my science presentation. G: Don’t worry too much. You’ll do a good job. p.18 2. B: Oops. I forgot to bring your book. G: No, not again, Namho! B: I’m sorry. I’m really worried about forgetting things. 3. B: You look unhappy, Sumi. G: I’m worried about the test. B: Don’t worry too much. You will pass. 02 A: I’m worried about the waste problem. B: Me, too. We should reuse everyday things. A: That’s a good idea. We can reuse bottles as flower vases. 03 1. G: Look at this mess! G: You can say that again. 2. G: Hurry up! We’re going to be late. B: I think we should have longer lunch breaks. G: Well, I don’t agree. 3. B: He’s wearing his slippers, isn’t he? B: We shouldn’t wear slippers in the school garden. 04 A: Look at the lion! The artist used old tires to make the G: Yes, he is. G: I agree. artwork. things. A: You can say that again. 05 Seho: Is this your poster for the art contest, Nara? Nara: Yes, it is, Seho. Seho: I like your slogan, “Reuse More, Waste Less!” Where did you get that idea? Nara: I got it from junk art. Seho: Junk art uses thrown-away things, doesn’t it? Nara: Yes, it does. I’m worried about the waste problem. We pp.19~22 Seho: You can say that again. have to do something about it. 01 wrong, worried about, Don’t worry, to bring, worried, forgetting, look, worried, too much 02 worried, waste, should, everyday, reuse, as 06 A: I’m really worried about the trash problem. B: Me, too. We should reuse used things. A: You can say that again. Why don’t we reuse paper bags as trash bags? 03 mess, clean, up, keep, say, going to, longer, breaks, don’t, B: That’s a good idea. wearing, isn’t, shouldn’t wear, agree 04 old, to make, What, make, use of, again 07 G: You look nervous, Minho. What’s wrong? B: I’m worried about the speech contest. 05 contest, Reuse, Less, Where, from, thrown-away, doesn’t, G: Don’t worry too much. You’re such a good speaker. worried about, have to, can 06 worried, used, You can, Why don’t, as, idea B: Thank you, but I feel worried. G: Don’t be nervous. You’ll do fine. 07 nervous, wrong, worried, contest, such a, feel, be, do fine B: Thank you. 26 2학년 능률_양현권 C 01 (재료 등을 나타내어) ~으로; ~ 밖으로 B: What a great idea! We should make good use of used 교과서 본문 다시 쓰기 Step 1 01 can, made, kinds 02 sculptures, made from, as, bits 03 How, like 04 was created 05 used, seat, to make 06 During, were, lot, useful Step 4 pp.23~32 16 What old things, have around 17 What new, can, out of 18 Use, imagination, create something new 19 One, trash, another’s treasure 07 stop creating, picked, such as 08 not only, also, to, in 01 Art can be made out of all kinds of old things around us. 09 was, by 10 thrown-away, make 02 Famous sculptures and pictures are often made from everyday 11 Old, good for 12 collected, pieces, but also things such as cans, bottles, and bits of paper. 13 glued, nailed, to, created, style 14 In, moved 15 to take, out, because, like 16 old things, around 03 How do you like this artwork? 04 It was created by Pablo Picasso. 18 imagination, create, new 05 He used a bicycle seat and handlebars to make this sculpture! 17 new, can, out 19 trash, treasure Step 2 01 can, made, of, kinds, around 02 often made, everyday things, bits of 03 How, like, artwork 04 was created by 05 used, and, to make, sculpture 06 there were, of useful, for 07 stop creating, picked, junk such as 08 used not only, also, imagination to 09 artwork was created 10 thrown-away objects to make 11 often, Old, good for 12 collected, only pieces, but also bits 13 glued, nailed, and created, new, of 14 In, moved to 15 able to take, work out, because, like 16 old things, have around 17 new, can, out of 18 Use, imagination, create, new 19 trash, another’s treasure Step 3 01 can be made, of, kinds, around 02 Famous sculptures, are, made from, such as 03 How do, like, artwork 04 It was created by 05 used, seat and, to make, sculpture 06 During, there were not, lot, useful 07 couldn’t stop creating, picked up, such as, mattress 08 not only, but also, imagination to create, in 09 This, was created by 10 used thrown-away objects, make 11 often, Old things, for art 12 collected not only pieces, but also bits 13 glued and nailed, created, new style, art 14 In, he moved to 06 During World War II, there were not a lot of useful things for art. 07 But Picasso couldn’t stop creating artwork, so he picked up junk such as old bicycles and mattress springs. 08 H e used not only old things but also his imagination to create this sculpture in 1942. 09 This artwork was created by Kurt Schwitters. 10 He used thrown-away objects to make artwork. 11 He often said, “Old things are good for art.” 12 Schwitters walked the streets and collected not only pieces of paper but also bits of wood. 13 He glued and nailed them to a board, and created a new style of art, Rubbish. 14 In 1937, he moved to Norway. 15 He was able to take his famous work out of Germany because it looked like rubbish. 16 What old things do you have around you? 17 What new artwork can you make out of them? 18 Use your imagination and create something new. 19 One person’s trash is another’s treasure! 01 Art can be made out of all kinds of old things around us. 02 Famous sculptures and pictures are often made from everyday things such as cans, bottles, and bits of paper. 03 How do you like this artwork? 04 It was created by Pablo Picasso. 05 He used a bicycle seat and handlebars to make this sculpture! 06 During World War II, there were not a lot of useful things for Step 5 art. 07 But Picasso couldn’t stop creating artwork, so he picked up junk such as old bicycles and mattress springs. 08 He used not only old things but also his imagination to create this sculpture in 1942. 09 This artwork was created by Kurt Schwitters. 10 He used thrown-away objects to make artwork. 11 He often said, “Old things are good for art.” 12 Schwitters walked the streets and collected not only pieces of 정답 및 해설 27 15 was able to take, out of, because, looked like paper but also bits of wood. 13 He glued and nailed them to a board, and created a new style of art, Rubbish. 14 In 1937, he moved to Norway. 15 He was able to take his famous work out of Germany because it looked like rubbish. 16 What old things do you have around you? 17 What new artwork can you make out of them? 18 Use your imagination and create something new. 19 One person’s trash is another’s treasure! 교과서 핵심문장 Review A 01 I forgot to bring your book. p.33 02 I’m worried about my science presentation. 03 Art can be made out of all kinds of old things around us. 04 He was able to take his famous work out of Germany because it looked like rubbish. 05 But Picasso couldn’t stop creating artwork, so he picked up junk such as old bicycles and mattress springs. B 01 You’re such a good speaker. 02 Junk art uses thrown-away things, doesn’t it? 03 Use your imagination and create something new. 04 During World War II, there were not a lot of useful things for art. 05 He used not only old things but also his imagination to create this sculpture in 1942. 28 2학년 능률_양현권 Lesson Go, Team! 03 교과서 어휘 다시 쓰기 A 01 절약하다, 아끼다; (돈을) 모으다, 저축하다; 구하다 p.34 02 준비가 된 03 아직도, 여전히 04 희망; 바라다 05 건네주다; 손 06 (가슴이) 뛰다 07 ~하면; ~할 때, ~일 때 08 세게; 열심히; 어려운 09 환호성; 고함; 소리치다 10 선수 11 경기, 시합 12 둘 다 15 부정하다 16 밧줄 13 참가하다, 가입하다 14 ~대로, ~와 같이; ~ 때문에; ~일 때; ~로서 17 모으다, 수집하다 18 슛을 쏘는 사람, 사수; 슛; 발사 19 마침내, 결국 20 동점; 넥타이; 동점을 이루다; (끈 등으로) 묶다 B 01 position 03 enough 05 opening 07 pull 09 score 11 adapted 13 whether 15 sign 17 list 19 heart C 01 ~와 동점이다 03 내가 ~할게. 02 chance 04 without 06 suddenly 08 pick 10 guess 12 surprised 14 while 16 teamwork 18 worry 20 important 02 ~하고 싶다 04 동시에 05 ~을 바라다; ~을 찾다 06 ~을 기대하다 07 최선을 다하다 08 (전력을 다해) 해보다, 시도해 보다 교과서 대화 다시 쓰기 Step 1 pp.35~38 01 going to, school trip, looking forward to, coming, looking forward to seeing, can’t believe, have, contest, forward to winning, prize 02 can’t wait, Same, forward to doing, forward to doing 03 like, What, need to, it’s, to use, ready, safety, important to, 06 M: You are looking forward to winning this match, aren’t you? still, Hurry, turn off, It’s important to Well, in this match, it’s important to have good teamwork. 04 ready for, I’m looking forward, too, to win, It’s, to hit When the team leader shouts “hang,” stay in your position 05 think, should take, No, looking for, to join, aren’t you, looking and save your energy. When the leader shouts “pull,” then forward to winning, more, to win, for, scores, What a pull the rope together at the same time. 06 looking forward, winning, aren’t, it’s important to, shouts, 07 A: What team sport are you going to join on School Sports position, save, pull, at, same time Day? 07 What, going to join, forward to joining, How, looking forward, B: I’m looking forward to joining the group jump rope game. to win, it’s, together at, time How about you? 08 ready, Let’s, clean, Let, get, you go, It’s important to, enough A: I’m also looking forward to it. What should we do to win the 09 There is, looking forward to, am, Why don’t, Sounds game? 01 1. G: You know what, Minho? We are going to go to Jeju for W: Here you go. It’s important to wear a mask when the air is Step 2 our school trip. B: Yes, I know. I’m really looking forward to it! 2. B: Are the N-Boys coming to the school festival, Jimin? G: Yes, they are. I’m really looking forward to seeing them! B: Me, too. I can’t believe it! 3. B: Sumi, we are going to have an English speech contest G: Wow, we are finally having it. I am looking forward to next Friday. winning a prize! 02 A: School Sports Day is coming soon! I can’t wait. B: Same here. What are you looking forward to doing? A: I’m looking forward to doing a group dance. 03 1. B: I want to be a good English speaker like you. What do I need to do? G: Well, it’s important to use English every day. 2. B: I am ready to go bike riding. G: Wait, safety first. It’s important to wear gloves. 3. B: What are you still doing in the classroom? Hurry up! G: Just a minute. Let me turn off the lights. It’s important to save energy. 04 A: Are you ready for the baseball game? B: Yes, I am. I’m looking forward to winning it. A: Me, too. What should we do to win it? B: It’s important to hit the ball hard. B: I think it’s important to jump together at the same time. 08 B: Mom, I’m ready. Let’s go. W: Wait, the air is not clean today. Let me get you a mask. B: Thanks, Mom. not clean enough. 09 B: Look at this. There is a robot festival this weekend! G: Yes, I know. I’m looking forward to it! B: So am I. Why don’t we go there together? G: Sounds great! 교과서 본문 다시 쓰기 Step 1 pp.39~48 01 game, won, players, happy 02 While, locker, handed, boy 03 list, players on 04 As, know, have, opening 05 Why, pick, Check, name 06 looked at, name 07 sighed, next to 09 every card from 08 deny that, good enough 10 hopes, wanted to 11 looked up, between, and 12 leaped, surprised, tied with 13 wonderful enough, it’s, pick, so 14 walked over 15 such, good, makes, baskets 16 course, does 17 shoots whether there’s, better 18 important to, worry, know, one 20 like giving, shout, Then 22 guess, don’t care, picked 24 surprised, did 25 always, best, player 26 Today, played for, won 19 walked out 21 Suddenly, felt 23 smiled, what 27 Adapted from 05 Junha: Namho, I think you should take the penalty kick. Namho: No way! You are the penalty taker, not me. Step 2 Junha: But you are looking for a chance to join the All-Star Team, aren’t you? Namho: Yes, I am. But we are looking forward to winning the 03 list, players on, junior match, and you are the best kicker. Junha: All right. It’s more important to win it, and I’ll go for it. (Junha scores on the penalty kick.) Namho: What a shot! You did it, Junha! Junha: No, WE did it! 01 game, over, won, all, happy 02 locker room, handed every boy 04 As, know, have, opening, senior 05 Why don’t, pick, Check, name, list 06 looked at, saw, name 07 sighed, put, next to 08 deny that, good enough for 정답 및 해설 29 18 It’s important to, worry, know, when, one on the list.” 13 both, wonderful enough, it’s hard to, But, have to 09 collected every card from 10 hopes, high, wanted to be 11 looked up, tie between, and 12 leaped, surprised that, tied with 14 walked over, said 15 such a good, most baskets 16 course, he does 17 shoots whether, better, or not 19 walked out of 20 felt like giving, shout, Then 21 Suddenly, felt sorry 22 guess, care, picked, for, said 23 smiled, know what 24 was surprised, did 25 always do, best, team player 26 played for, team, won, Congratulations 27 Adapted from, by Step 3 01 game, over, won, all, were happy 02 While, were in, handed every boy, card 03 had, list, players on, junior 04 As, know, have, opening for, senior 05 Why don’t you pick, Check, name on, list 06 looked at, list, saw, name 07 sighed, put, check next to 08 couldn’t deny that, was good enough 09 coach collected every card from 10 hopes were high, wanted to be on 11 looked up, said, a tie between, and 12 heart leaped, surprised that, was tied with 13 both are wonderful enough, it’s, to pick, have to, so, pick 14 walked over to, said 15 such a good shot, makes, most baskets 16 Of course, he does 17 shoots whether, better position or not 18 It’s important to play, Don’t worry, know, when, one 19 walked out of, room 20 felt like giving, loud, shout, Then 21 Suddenly, felt sorry for 22 guess, don’t care, picked, for, senior 23 smiled, know what, picked 24 was surprised, You did 25 always do your best, team player 26 played for, team, we won, game 27 Adapted from, by 30 2학년 능률_양현권 01 The game was over. The junior team won it, and all the players 02 While they were in the locker room, the coach handed every Step 4 were happy. boy a card. 03 It had a list of the players on the junior team. 04 “As you all know, we have an opening for a player on the senior team,” said the coach. 05 “Why don’t you pick a player for the team? Check one name 06 Scottie looked at the list and saw his name. 07 Then he sighed and put a check next to Michael’s name. 08 He couldn’t deny that Michael was good enough for the senior 09 The coach collected every card from the boys. 10 Everyone’s hopes were high. They all wanted to be on the 11 The coach looked up and said, “Well, it’s a tie between 12 Scottie’s heart leaped. He was surprised that he was tied with 13 “Well,” said the coach, “both are wonderful enough for the senior team, and it’s hard to pick just one player. But I have team. senior team. Michael and Scottie.” Michael. to, so I’ll pick Scottie.” “Congratulations!” 14 T h e n t h e c o a c h w a l k e d o v e r t o S c o t t i e a n d s a i d , 15 “Thank you, but Michael is such a good shot. He makes the most baskets,” said Scottie. 16 “Of course, he does,” said the coach. 17 “But he shoots whether there’s a player in a better position or not. 18 It’s important to play for the team! Don’t worry. I know a good 20 He felt like giving a loud and happy shout. Then he saw player when I see one.” 19 Scottie walked out of the room. Michael. 21 Suddenly Scottie felt sorry for him. 22 “I guess you don’t care, but I picked you for the senior team,” said Scottie. 23 Michael smiled. “You know what? I picked YOU.” 24 Scottie was surprised. “You did?” 25 “Yeah. You always do your best, and you’re a team player. 26 Today you played for the team, and we won the game. Congratulations!” 27 Adapted from All-Star Team by Fern Simms 01 The game was over. The junior team won it, and all the players Step 5 were happy. 02 While they were in the locker room, the coach handed every B 01 Why don’t we go there together? boy a card. 03 It had a list of the players on the junior team. 02 Thank you, but Michael is such a good shot. 03 The coach collected every card from the boys. 04 “As you all know, we have an opening for a player on the 04 You are looking forward to winning this match, aren’t you? senior team,” said the coach. 05 He couldn’t deny that Michael was good enough for the 05 “Why don’t you pick a player for the team? Check one name senior team. on the list.” team. senior team. 06 Scottie looked at the list and saw his name. 07 Then he sighed and put a check next to Michael’s name. 08 He couldn’t deny that Michael was good enough for the senior 09 The coach collected every card from the boys. 10 Everyone’s hopes were high. They all wanted to be on the 11 The coach looked up and said, “Well, it’s a tie between 최종점검 모의고사 Lesson 01 pp.52~55 01 ③ 02 direction 03 ① 04 It is said[believed] that 05 ③ 06 세호가 발명가와 화가 중 무엇을 선호하는지 확신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07 ④ 10 ④ 08 ①, ⑤ 09 Which subjects do you do well in? 11 ⑤ 12 ③ 13 ②, ③ 14 ③ 15 Knowing yourself is the beginning of all wisdom. 16 ② 17 (1) blue (2) lively (3) faithful (4) gold 18 ② Michael and Scottie.” Michael. to, so I’ll pick Scottie.” “Congratulations!” 12 Scottie’s heart leaped. He was surprised that he was tied with 19 personality 20 ② 13 “Well,” said the coach, “both are wonderful enough for the senior team, and it’s hard to pick just one player. But I have 01 <보기>의 wisdom과 wise는 ‘지혜, 슬기 : 지혜로운, 슬기로운’을 의미하는 ‘명사 : 형용사’의 관계로, ‘활동 : 활동적인’을 의미하는 ③과 동일한 관계이 14 T h e n t h e c o a c h w a l k e d o v e r t o S c o t t i e a n d s a i d , 15 “Thank you, but Michael is such a good shot. He makes the most baskets,” said Scottie. 16 “Of course, he does,” said the coach. 다. ① 살다 : 활기[생기] 넘치는 ② 조언하다 : 조언, 충고 ④ 특별한 : 보통의, 평범한 ⑤ 시작하다 : 시작 02 ‘무언가를 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direction(지시, 명령)의 영영풀이이다. 03 빈칸 다음에 소녀가 자신이 선호하는 맛을 답했으므로 빈칸에는 아이스크림 맛에 대한 선호를 묻는 표현이 들어가야 한다. Which ~ do you prefer?(너 는 어느[어떤] ~을 선호하니?)는 주어진 선택 범위에서 어느 것을 선호하는 17 “But he shoots whether there’s a player in a better position or 지 묻는 표현이다. not. 04 They say that ~.(~라고 해.)은 다른 사람 등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진술하 18 It’s important to play for the team! Don’t worry. I know a good 는 표현으로, It is said[believed] that ~. 등으로 바꿔 쓸 수 있다. 20 He felt like giving a loud and happy shout. Then he saw player when I see one.” 19 Scottie walked out of the room. Michael. 21 Suddenly Scottie felt sorry for him. 05 ③ ‘다빈치형 사람들은 무엇을 잘하니?’라는 의미가 되어야 하므로 ‘무엇’을 의미하는 의문대명사 What이 적절하다. 06 발명가와 화가 중 어떤 것을 선호하는지 묻는 나라의 질문에 세호가 확실히 모르겠다고 말하며 선생님께 조언을 구할 것이라고 했다. 07 주어의 동작이 주어 자신에게 미칠 때, 즉 동사나 전치사의 목적어가 주어 와 동일한 경우에 재귀 용법의 재귀대명사를 쓴다. you의 재귀대명사는 22 “I guess you don’t care, but I picked you for the senior team,” yourself이다. said Scottie. 23 Michael smiled. “You know what? I picked YOU.” 24 Scottie was surprised. “You did?” 25 “Yeah. You always do your best, and you’re a team player. 26 Today you played for the team, and we won the game. Congratulations!” 08 ①과 ⑤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뒤의 명사를 수식하여 ‘어느 ~, 어떤 ~’을 의미하는 의문형용사 Which가 들어갈 수 있지만 ①의 빈칸 뒤에는 형용사 가, ⑤의 빈칸 뒤에는 부사가 있으므로 Which가 들어갈 수 없다. 09 의문사 which가 있는 일반동사 의문문은 「Which (+ 명사) + do[does / did] + 주어 + 동사원형 ~?」으로 나타낸다. do well in ~: ~을 잘하다, ~에서 좋은 성적을 받다 27 Adapted from All-Star Team by Fern Simms 10 (A) 의문사 which는 선택의 범위가 정해져 있는 경우에 쓰며, 의문사 what 교과서 핵심문장 Review A 01 It’s important to play for the team! 02 I am looking forward to winning a prize! 03 They all wanted to be on the senior team. 04 He makes the most baskets,” said Scottie. 05 He felt like giving a loud and happy shout. 은 범위가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에 쓴다. 뒤에 the right one or the p.49 (B) 주어 she와 전치사 of의 목적어가 동일하므로 재귀 용법의 재귀대명사 left one이라는 선택 범위가 있으므로 Which가 적절하다 (C) 주어 my friend와 전치사의 for의 목적어가 동일하지 않으므로 목적격 가 적절하다. 형태인 me가 적절하다. 11 ⑤의 myself는 주어를 강조하는 강조 용법의 재귀대명사이므로 생략할 수 있다. 나머지는 모두 동사나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인 재귀 용법의 재귀대명 사이므로 생략할 수 없다. 정답 및 해설 31 12 ③ 주어 My brother and sister은 인칭대명사 They로 바꿀 수 있으므로 주 06 ② 이 대화에서 세호의 표어는 언급되지 않았다. 어를 강조하는 재귀대명사는 themselves가 적절하다. ① 나라의 표어는 무엇인가? → “Reuse More, Waste Less!” 13 ①에는 myself, ②에는 them, ③에는 me, ④에는 yourself, ⑤에는 ③ 폐품 예술은 무엇을 이용하는가?→ 버려진 물건들 ourselves가 적절하다. ④ 포스터는 무엇을 위해 만들어졌는가? → 미술 대회 14 ③의 cool은 ‘차분한, 침착한’을 의미하는 형용사로 쓰였다. 15 동명사 주어는 3인칭 단수 취급하고, 재귀대명사는 ‘~ 자신’을 의미한다. 16 ⓑ everyone은 3인칭 단수 취급한다. ⑤ 세호는 쓰레기 문제에 대한 나라의 말에 동의하는가? → 그렇다 07 주어 The sculpture은 옮겨지는 대상이고 빈칸 뒤에 「by + 행위자」가 있으 므로 수동태 문장이 되어야 한다. 수동태는 「be동사 + 과거분사」의 형태로 ⓒ make the most of ~: ~을 최대한 활용하다 쓰는데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③ was moved가 적절하다. 17 (1) 파란색 줄에 가장 많은 동그라미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훌륭한 청자로 08 ‘A뿐만 아니라 B도’를 의미하는 상관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는 B as 따뜻하고 배려심이 많다. well as A로 바꿔 쓸 수 있다. (2) 주황색 줄에 가장 많은 동그라미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훌륭한 활력소로 09 조동사가 있는 수동태는 「조동사 + be + 과거분사」의 형태로 나타내므로 첫 (3)(4) 금색 줄에 가장 많은 동그라미를 가지고 있은 사람은 충실하고 신중 but also B가 주어에 쓰일 경우 B에 동사의 수를 일치시키므로 두 번째 문 번째 문장은 The machine can be stopped by her.이 된다. not only A 재치 있고 활기차다. 하다. 장은 Not only I but also he speaks English.가 된다. 18 ② 앞에 언급된 셀 수 있는 명사 activities와 같은 종류의 불특정한 대상을 10 ⓑ 수동태의 부정문은 「주어 + be동사 + not + 과거분사 ~.」의 형태로 쓴 가리키는 부정대명사이므로 복수형 ones로 고쳐야 한다. 다. 19 ‘사람이 사회적 환경에서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하는 사람의 자질’은 ⓓ not only A but also B가 주어에 쓰일 경우 B에 동사의 수를 일치시키는 personality(성격, 인격)의 영영풀이이다. 20 on one’s own: 혼자서 (= alone) 최종점검 모의고사 Lesson 02 pp.56~59 02 ④ 05 ③ 03 anxious[concerned] about 06 ② 07 ③ 08 ⑤ 01 ⑤ 04 ④ 09 ③ 10 (1) ⓑ, They are not[aren’t] found in the deep sea. (2) ⓓ, Not only reading books but also watching TV is my 11 They will be invited to the party. 12 ③ 13 ④ hobby. 14 artwork 15 ④ 16 He used not only old things but also his imagination to create this sculpture in 1942. 17 (A) was created (B) created (C) looked like (D) something new 01 ⑤는 ‘대회, 시합’을 의미하는 유의어 관계이고, 나머지는 모두 반의어 관계 이다. ① 늙은 : 어린 ② 깨끗한 : 더러운 ③ 유용한 : 쓸모없는 ④ 동의하다 : 동의하지 않다 02 •Anne은 목 주위에 스카프를 둘렀다. (around: ~ 주위에) •이곳은 겨울 동안 눈이 많이 온다. (during: ~ 동안) •그 연극은 Shakespeare에 의해 쓰였다. (by: ~에 의해) •그들은 Steven을 새로운 팀장으로 뽑았다. (as: ~로서) 데, B에 해당하는 동명사 watching은 주어로 쓰일 때 단수 취급하므로 are를 is로 고쳐야 한다. 11 주어 They가 초대되는 대상이므로 수동태 문장으로 쓴다. 조동사가 있는 수 동태는 「조동사 + be + 과거분사」로 나타낸다. 12 ⓐ 수동태의 의문문은 「Be동사 + 주어 + 과거분사 ~?」로 나타내므로 play 를 과거분사 played로 고쳐야 한다. ⓒ 조동사가 있는 수동태는 「조동사 + be + 과거분사」로 나타내므로 taking을 과거분사 taken으로 고쳐야 한다. ⓓ not only A but also B가 주어에 쓰일 경우 B에 동사의 수를 일치시켜야 하므로 is를 are로 고쳐야 한다. ⓕ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동사는 수동태로 쓸 수 없으므로 was appeared는 appeared로 고쳐야 한다. 13 빈칸 뒤에 ‘~와 같은’을 의미하는 such as로 빈칸의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 으므로 빈칸에는 캔, 병, 종이를 포함할 수 있는 everyday things(일상용 14 ‘예술가들에 의해 만들어진 그림들과 다른 물건들’은 artwork(예술 작품)의 품)가 적절하다. 영영풀이이다. 폐품을 주웠다’는 내용이 뒤에 이어지므로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예술에 쓸모없는 것들이 많이 없었다는 내용은 어색하다. useless를 useful(유 용한)과 같은 단어로 바꾸는 것이 흐름상 적절하다. 16 ‘A뿐만 아니라 B도’를 의미하는 상관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와 목적 을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의 to부정사를 이용한다. 연도 앞에는 전치사 in을 17 (A) 주어 This artwork는 창작되는 대상이고 빈칸 뒤에 행위의 주체를 나타 내는 「by + 명사」가 있으므로 빈칸에는 수동태가 적절하다. (B) 문장의 시제가 과거이므로 과거형인 created가 적절하다. (C) 뒤에 명사 rubbish가 있으므로 looked like가 적절하다. (cf. look + 형용사: ~처럼 보이다) 쓴다. 18 ⑤ 19 ④ 20 ② 15 ④ ‘하지만 Picasso는 예술 작품을 창작하는 것을 멈출 수 없었고, 그래서 03 I’m worried about ~.(나는 ~이 걱정돼.)은 걱정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I’m (D) -thing, -body, -one으로 끝나는 (대)명사는 형용사가 뒤에서 수식하므 anxious about ~., I’m concerned about ~. 등으로 바꿔 쓸 수 있다. 로 something new가 적절하다. 04 ⓐ 나라가 ‘나는 그것을 폐품 예술에서 얻었어.’라고 답했으므로, 세호가 그 18 out of ~는 ‘~으로’ 또는 ‘~ 밖으로’ 등을 의미하는데, ⑤가 포함된 문장은 아이디어를 어디에서(Where) 얻었는지 묻는 것이 적절하다. ‘당신은 그것들로 어떤 새로운 예술 작품을 만들 수 있는가?’라는 의미이므 ⓑ 콤 마 ( , ) 앞 문 장 이 긍 정 인 일 반 동 사 현 재 시 제 의 부 가 의 문 문 은 로 ⑤ out of는 재료 등을 나타내는 ‘~으로’의 의미로 쓰였다. don’t[doesn’t] + 주어~?로 나타낸다. 주어 Junk art(it)가 3인칭 단수 19 밑줄 친 ⓑ는 ‘한 사람의 쓰레기는 다른 사람의 보물이다!’라는 의미로, 이므로 doesn’t가 적절하다. Schwitters가 거리를 걸으며 주운 종잇조각들과 나무 조각들로 예술 작품 05 밑줄 친 ⓒ와 ③의 waste는 ‘쓰레기’를 의미하는 명사로 쓰였고, 나머지는 을 만든 것과 같이 낡고 버려진 물건을 사용하여 가치 있는 물건을 만들 수 모두 ‘낭비하다’를 의미하는 동사로 쓰였다.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32 2학년 능률_양현권 20 ② 이 글에서 Schwitters가 이주한 이유는 확인할 수 없다. ① → 1937년에 노르웨이로 이주했다. 07 Why don’t we + 동사원형 ~?: 우리 ~하는 게 어때? 08 주어 ‘프랑스어를 배우는 것’을 to부정사 형태로 쓰고 뒤에 동사와 형용사 보 ③ → Rubbish라는 새로운 양식의 예술을 창조했다. 어를 쓰거나, 주어 자리에 형식 주어(가주어) It을 쓰고 진주어인 to부정사를 ④ → 낡은 물건들은 예술에 좋다고 말했다. ⑤ → 종잇조각들과 나무 조각들을 사용했다. 최종점검 모의고사 Lesson 03 pp.60~63 01 (w)orry 02 ③ 03 ④ 04 aren’t you 05 But we are looking forward to winning the match, and you are the best kicker. 07 Why don’t we go there together? 08 ②, ③ 10 ② 11 ① 12 Jay is strong enough to lift the box. 13 ③ 14 ② 15 being → to be 16 ③ 17 ④ 18 ⓐ is such a good shot ⓑ It’s important to play 19 ③ 06 ② 09 ④ 20 ③ 문장 뒤로 보내어 나타낼 수 있다. 09 ④의 밑줄 친 It은 대명사이고, 나머지는 모두 형식 주어(가주어)이다. 10 형식 주어(가주어) it과 진주어인 to부정사를 이용하여 주어진 단어들을 순 서대로 배열하면 It is dangerous to play on the road.가 되므로 여섯 번 째로 오는 단어는 on이다. 11 ⓑ enough old → old enough ⓒ enough warm → warm enough ⓓ That → It 12 ‘충분히’를 의미하는 부사 enough는 형용사를 뒤에서 수식하며, 「형용사 [부사] + enough to + 동사원형」은 ‘…할 만큼 충분히 ~한[하게]’을 의미한 다. 13 ③에서 as는 ‘~ 때문에’가 아닌 ‘~대로, ~와 같이’의 의미로 쓰였다. 14 ②의 밑줄 친 enough는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이고, ⓐ와 나머지는 모두 형용사 또는 부사를 수식하는 부사이다. 15 want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이므로 being을 to be로 고쳐야 16 ③ 이 글에서 코치의 이름은 언급되지 않았다. ① → 주니어팀이 이겼다. ② → Michael과 Scottie가 동점이다. ⑤ → 탈의실에서 투표를 했다. 17 Scottie와 Michael 두 명 모두 훌륭해서 한 명만 뽑기 어렵지만 뽑아야만 하기 때문에 Scottie를 뽑겠다는 내용이므로, ④가 적절하다. ‘~해야 한다’ 를 의미하는 have to는 must와 바꿔 쓸 수 있다. 01 ‘일어날지도 모르는 불쾌한 일이나 당신이 가지고 있는 문제들에 대해 계속 한다. 생각하다’는 worry(걱정하다)의 영영풀이이다. 02 ⓐ look for ~: ~을 찾다 ⓑ hand: 건네주다 A: 너는 무엇을 하고 있니? A: 여기 내가 하나 찾았어. B: 오, 그것을 내게 건네줄래? 03 ④ go for it: (전력을 다해) 해 보다, 시도해 보다 04 콤마 앞(,) 문장이 긍정인 be동사의 부가의문문은 「be동사의 부정형 + 주 B: 나는 큰 그릇을 찾고 있어. 나는 빵을 만들기 위해 그것이 필요해. ④ → 시니어팀에는 한 명의 공석이 있다. 어?」로 나타내는데, 현재시제이고 주어가 you이므로 be동사의 부정형은 18 (1) such a(n) + 형용사 + 명사: 정말 ~한 … aren’t가 적절하다. (2) 주어 자리에 형식 주어(가주어) It을 쓰고 진주어인 to play for the 05 I am looking forward to ~.(나는 ~이 기대돼.)는 바람이나 소원을 나타내 team을 문장 뒤로 보낸다. 는 표현으로, 전치사 to 뒤에는 명사나 동명사가 온다. 따라서 win을 동명사 19 ③ 주어인 Scottie가 놀람의 감정을 느끼는 대상이므로 과거분사형의 감정 winning으로 고쳐야 한다. 형용사 surprised가 되어야 한다. 06 「I am looking forward to ~.」(나는 ~이 기대돼.)는 바람이나 소원을 나타 20 ③ ‘You always do your best, and you’re a team player.’라는 내는 표현으로 「I can’t wait for ~.」(나는 ~이 기다려진다.) 등으로 바꿔 쓸 Michael의 말에서 Michael이 Scottie가 협동을 잘하는 사람이라고 생 수 있다. 각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답 및 해설 33
'백발백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발백중 100발 100중 예상문제집 중2 1학기 중간고사 동아(이병민) 답지 (2019) (0) | 2020.08.13 |
---|---|
백발백중 100발 100중 예상문제집 중2 1학기 중간고사 동아(윤정미) 답지 (2019) (0) | 2020.08.13 |
백발백중 100발 100중 예상문제집 중2 1학기 중간고사 능률(김성곤) 답지 (2019) (0) | 2020.08.13 |
백발백중 100발 100중 예상문제집 중2 1학기 중간고사 금성(최인철) 답지 (2019) (0) | 2020.08.13 |
백발백중 100발 100중 예상문제집 중2 1학기 중간고사 YBM(송미정) 답지 (2019) (0) | 2020.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