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상교육

2018년 비상교육 오투 중등 과학 2 - 1 답지

반응형

fds.flarebrick.com/1xh4RKD1NZYZjAHGq_7YlaArxx9mrjkni

 

2018년 비상교육 오투 중등 과학 2 - 1.pdf Download | FlareBrick FDS

 

fds.flarebrick.com

더보기

정답과 해설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1 17. 7. 28. 오전 10:30 ① 황록색, ② 노란색, ③ 보라색, ⑤ 빨간색 8 ⑴ 햇빛을 분광기로 관찰할 때 무지개처럼 나타나 는 연속적인 색의 띠는 연속 스펙트럼이다. 선 스펙트럼은 불꽃 색을 분광기로 관찰할 때 나타난다. ⑵ 물질에 포함된 금속 원소의 종류에 따라 나타나는 선 스펙트 럼이 다르므로 불꽃색이 비슷한 물질은 선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진도 교재 ⇨ 13, 15쪽 구별할 수 있다. ㉡ 칼륨, ㉢ 스트론튬, ㉣ 주황색, ㉤ 황록색, ㉥ 나트륨 7 Zn - - - - ㉠ 산소, 수소, ㉡ 원소 ④ 8 ⑴ × ⑵ × ⑶ ◯ ⑷ ◯ ⑸ ◯ 1 ⑴ ◯ ⑵ ◯ ⑶ × ⑷ ◯ ⑸ ◯ 2 : 수소 기체, 진도 교재 ⇨ 16~17쪽 진도 교재 I 물질의 구성 1 원소 A 연금술사, 보일, 원소, ㉠ 수소, ㉡ , ㉢ 은, 탄소, 철 B 불꽃 반응, 선 스펙트럼 O 1 ⑴ ㉠ ⑵ ㉢ ⑶ ㉣ ⑷ ㉡ 2 ⑴ ◯ ⑵ × ⑶ ◯ ⑷ ◯ ⑸ × 3 ⑴ × ⑵ ◯ ⑶ ◯ ⑷ ◯ 4 ㉠ - - - - , ㉡ , ㉢ 질소, ㉣ 플루오린, ㉤ , ㉥ 나트륨, ㉦ , ㉧ 철, He ㉨ Li 5 ⑴ ㉢ ⑵ ㉣ ⑶ Ne ㉡ ⑷ ㉠ 6 ㉠ 빨간색, Mg 1 ⑴ 탈레스는 모든 물질의 근원은 물이라고 주장하였다. ⑵ 데모크리토스는 물질은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입자로 이루어 져 있다고 주장하였다. ⑶ 아리스토텔레스는 물질은 루어져 있으며, 이 원소들은 4 함, 습함)에 의해 서로 바뀔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4 ⑷ 라부아지에는 실험을 통해 물이 산소와 수소로 분해되는 것 을 확인하여, 물이 원소가 아님을 증명하였다. 가지 원소(물, 불, 흙, 공기)로 이 가지 성질(차가움, 따뜻함, 건조 2 지는 자연에서 발견된 것이고, ⑵, ⑸ 지금까지 알려진 여 가지의 원소 중 가 여 가지는 인공적으로 만든 것 110 92 이다. 20 3 원소 기호를 나타낼 때는 원소 이름의 알파벳에서 첫 글자를 대문자로 나타내고, 첫 글자가 같을 때는 적당한 중간 글자를 택 하여 첫 글자 다음에 소문자로 나타낸다. 따라서 원소의 종류가 다르면 원소 기호가 다르다. ⑴ 현재 사용하는 원소 기호는 베르셀리우스가 제안한 것이다. 5 ⑴ 수소는 가장 가벼운 기체로, 우주왕복선의 연료, 미래의 청정 연료로 이용된다. ⑵ 헬륨은 공기보다 가볍고 불에 타지 않으므로 비행선이나 풍 선 속 기체로 이용된다. ⑶ 산소는 공기의 약 호흡에 이용된다. ⑷ 염소는 살균 작용을 하여 표백제, 살균제, 수돗물 소독에 이 용된다. 를 차지하며, 물질의 연소와 생물의 21 % 6 일부 금속 원소를 포함한 물질을 불꽃 반응시키면 물질 속에 포함된 금속 원소의 특정한 불꽃색이 나타난다. 7 염화 구리(Ⅱ)와 황산 구리(Ⅱ)는 구리에 의해 청록색의 불꽃 색이 나타난다. 02 정답과 해설 : 산소 기체 3 물은 수소와 산소로 분해되므로 원소 A 가 아니다. B ㉠ 같다, ㉡ 금속 원소 1 ⑴ ◯ ⑵ ◯ ⑶ ◯ ⑷ × ⑸ × ⑹ ◯ ⑺ × 2 보라 색 3 염화 스트론튬과 질산 스트론튬은 모두 스트론튬 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1 ⑸ 물을 전기 분해하면 산소 기체와 수소 기체로 분 해되므로 물의 구성 원소는 산소와 수소임을 알 수 있다. ⑶ 실험하는 동안 발생하는 기체의 부피비는 산소 : 수 소 : 이다. =1 2 는 ( 2 로 타는 성질이 있어 성냥불을 가까이 하면 ‘퍽’ 소리를 내며 탄 )극이므로 수소 기체가 발생한다. 수소 기체는 스스 A - 다. 는 ( )극이므로 산소 기체가 발생한다. 산소 기체는 다른 물질이 타는 것을 도와주는 성질이 있어 불씨만 남은 향불을 가 B + 까이 하면 향불이 다시 타오른다. 3 원소는 더 이상 다른 물질로 분해되지 않는, 물질을 이루는 기본 성분이다. 이 실험에서 물은 수소와 산소로 분해되었으므 로 원소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채점 기준 물이 수소와 산소로 분해된다고 옳게 서술한 경우 물이 다른 성분 원소로 분해된다고만 서술한 경우 배점 100 % 50 % ⑷ 시료를 묻힌 니크롬선은 겉불꽃에 넣어 1 불꽃색을 관찰한다. ⑸ 불꽃색이 노란색인 물질은 나트륨을 포함하고 있다. 스트론 튬을 포함하는 물질은 불꽃색이 빨간색이다. ⑺ 불꽃 반응 실험으로는 물질 속에 포함된 일부 금속 원소의 종 류를 확인할 수 있다. 2 염화 칼륨은 칼륨에 의해 보라색의 불꽃색이 나타난다.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2 17. 5. 15. 오후 4:23 3 염화 스트론튬과 질산 스트론튬은 모두 금속 원소인 스트론 튬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두 물질로 불꽃 반응 실험을 하면 스트론튬에 의해 빨간색의 불꽃색이 나타난다. 채점 기준 두 물질이 모두 스트론튬을 포함하기 때문이라고 서술한 경우 두 물질이 같은 원소를 포함하기 때문이라고만 서술한 경우 배점 100 % 50 % 진도 교재 ⇨ 18~21 쪽 01 ④ 02 ⑤ 03 ③ 04 (가) (다) (나) (라) 05 ⑤ 06 ② 07 ④ 08 ⑤ 09 ② 10 ④ 11 산소, - - - 나타낸다. 12 ② 13 ③ 14 ① 15 ① 16 나트륨, 구리 O 17 ③ 18 ③ 19 ④ 20 ③ 21 ③ 22 ⑴ 순수한 물은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전 류가 잘 흐르게 하기 위해서이다. ⑵ ( )극 : 산소, 불씨만 남 은 향불을 가까이 하면 향불이 다시 타오른다. ( + )극 : 수소, 성냥불을 가까이 하면 ‘퍽’ 소리를 내며 탄다. 23 ⑴ 니크 - 롬선에 묻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서이다. ⑵ 염화 나 트륨과 질산 나트륨, 노란색 24 원소 와 원소 , 원소 와 원소 의 선 스펙트럼이 물질 (가)의 선 스펙트럼에 그대 A A C 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C ① 탈레스:모든 물질의 근원은 물이다. 01 ② 엠페도클레스:모든 물질은 물, 불, 흙, 공기의 어져 있다. ③ 보일:모든 물질은 더 이상 분해되지 않는 원소로 이루어져 있다. ⑤ 아리스토텔레스:물질은 지 성질에 의해 서로 바뀔 수 있다. 가지 원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소로 이루 가 4 4 4 02 중세 연금술사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값싼 금속을 금으로 바꾸려는 연구를 하였다. 또한 연금술을 연 원소설에 근거하여 난다. 4 구하면서 새로운 실험 기구가 개발되었다. 03 라부아지에는 물 분해 실험을 통해 물이 원소가 아님을 증 명하였다. 04 물질관을 시대 순으로 나열하면 탈레스의 → 엠페도클레스의 원소설(고대) → 연금술(중세) → 라부아지 원소설(고대) 1 에의 원소설(근대) 이다. 4 05 ①, ② ( 을 가까이 하면 향불이 다시 타오르고, ( + )극에서 발생하는 수 - 소 기체에 성냥불을 가까이 하면 ‘퍽’ 소리를 내며 탄다. ③ 물을 전기 분해하면 ( 산소 기체가 ④ 순수한 물은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물에 수산화 나트륨을 2 넣어 전류가 잘 흐르게 한다. )극에서는 수소 기체가, ( 의 부피비로 발생한다. )극에서는 - + : 1 ⑤ 실험 결과 물이 수소와 산소로 분해되므로 물은 물 질을 이루는 기본 성분이 아님을 알 수 있다. 06 ①, ⑤ 지금까지 알려진 여 가지의 원소 중 가지는 자연에서 발견된 것이고, 여 가지는 인공적으로 만 110 든 것이다. 92 ③ 원소는 다른 종류의 물질로 분해될 수 없다. ④ 원소의 종류가 다르면 다른 성질을 나타낸다. 20 07 원소는 더 이상 다른 물질로 분해되지 않는, 물질을 이루는 기 본 성분이다. 금(ㄱ), 구리(ㄹ), 산소(ㅁ), 수소(ㅅ), 질소(ㅇ)는 원 소이고, 물, 공기, 소금, 이산화 탄소는 원소가 아니다. 08 ⑤ 원소 기호를 나타낼 때 원소 이름의 첫 글자가 같은 경우 적당한 중간 글자를 택하여 첫 글자 다음에 소문자로 09 ③ 염소 ④ 칼슘 Cl - ⑤ 나트륨 - Ca ① 은 , 플루오린 - Ag , 칼륨 F - , 질소 - K , 수은 - Hg - Na N ④ 산소는 공기의 약 10 물질의 연소와 생물의 호흡에 이용된다. 다른 물질과 잘 반응하지 를 차지하는 기체로, - 21 % 않아 과자 봉지나 분유통 속 기체로 이용되는 원소는 질소이다. 11 산소에 대한 설명이며, 산소의 원소 기호는 이다. ② 불꽃 반응 실험으로는 불꽃색이 나타나는 일부 O 12 금속 원소만을 확인할 수 있다. 13 롬선 대신 사용할 수 없다. ③ 구리선은 청록색의 불꽃색이 나타나므로 니크 14 나타난다. ① 질산 바륨은 바륨에 의해 황록색의 불꽃색이 15 서로 다른 종류의 물질이라도 같은 금속 원소를 포함하면 같은 불꽃색이 나타난다. 따라서 같은 금속 원소를 포함한 염화 칼슘과 질산 칼슘은 칼슘에 의해 모두 주황색의 불꽃색이 나타 ② 질산 나트륨:노란색, 염화 바륨 : 황록색 ③ 염화 구리(Ⅱ):청록색, 염화 칼슘 : 주황색 ④ 질산 나트륨:노란색, 질산 구리(Ⅱ):청록색 ⑤ 황산 나트륨:노란색, 염화 스트론튬 ; 빨간색 16 나트륨의 불꽃색은 노란색, 구리의 불꽃색은 청록색이다. 17 염화 칼륨은 염소와 칼륨을 포함하고 있다. 보라색이 어떤 원소의 불꽃색인지 알기 위해서는 염소와 칼륨이 각각 포함된 18 불꽃색이 비슷한 리튬과 스트론튬은 선 스펙트럼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각각의 불꽃색을 분광기로 관찰하여 나타난 선 스펙 트럼으로 두 물질을 구별할 수 있다. 19 ④ 불꽃색이 비슷한 원소라도 원소의 종류가 다르 면 선 스펙트럼에 나타나는 선의 색깔, 위치, 개수, 굵기가 다르다. 정답과 해설 03 )극에서 발생하는 산소 기체에 불씨만 남은 향불 물질의 불꽃색을 확인하여 어느 원소의 영향인지를 찾으면 된다.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3 17. 5. 15. 오후 4:23 진도 교재 20 물질에 여러 가지 금속 원소가 섞여 있는 경우 각 원소의 스펙트럼이 모두 합쳐져서 나타난다. 따라서 원소 와 원소 이다. ㄷ. 과산화 수소를 이루는 원소는 수소, 산소의 종류 2 가 모두 포함된 물질은 두 원소의 스펙트럼이 모두 나타난 물질 B A ㄹ. 수소와 산소는 물질을 이루는 기본 성분이므로, 다른 물질로 (가)와 물질 (라)이다. 분해되지 않는다. 는 선 스펙트럼이 모두 다르게 나타나므로 모두 02 ② 다른 종류의 원소이다. A ̄D ① 불꽃색이 같은 로 다른 종류의 원소이다. D ③ 다른 곳에서 실험해도 원소의 성질은 변하지 않으므로, 원소 는 선 스펙트럼이 다르므로 서 와 C 의 선 스펙트럼은 달라지지 않는다. ④ 여러 종류의 원소가 섞여 있으면 각 원소의 선 스펙트럼이 모 A ̄D 두 합쳐져서 나타난다. ⑤ 선 스펙트럼을 이용하면 불꽃색이 비슷한 원소를 구별할 수 있다. 21 선 스펙트럼은 원소의 종류에 따라 선의 색깔, 개수, 위치, 굵기 등이 다르게 나타난다. ③ 물질 의 선 스펙트럼에 칼슘의 선 스펙트럼만 포함 되므로 물질 에는 칼슘이 들어 있고, 리튬과 스트론튬은 들어 X 있지 않다. X 22 채점 기준 ⑴ ⑵ 전류가 잘 흐르게 하기 위해서라는 내용을 포함하 여 서술한 경우 ( )극과 ( )극에서 발생한 기체와 확인 방법을 모 두 옳게 서술한 경우 + - ( )극과 ( 한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 - )극에서 발생한 기체와 확인 방법 중 ( )극과 ( )극에서 발생한 기체만 옳게 쓴 경우 + - 23 ⑴ 실험 전 니크롬선을 묽은 염산에 담가 불순물을 제거해 야 정확한 불꽃색을 관찰할 수 있다. ⑵ 서로 다른 종류의 물질이라도 같은 금속 원소를 포함하면 같 은 불꽃색이 나타난다. 염화 나트륨과 질산 나트륨은 나트륨에 의해 모두 노란색의 불꽃색이 나타난다. ⑴ 경우 게 쓴 경우 ⑵ 옳게 쓴 경우 정확한 불꽃색을 확인하기 위해서라고 서술한 경우 같은 불꽃색이 나타나는 물질을 모두 고르고, 불꽃색을 옳 같은 불꽃색이 나타나는 물질 또는 불꽃색 중 한 가지만 24 물질에 여러 가지 금속 원소가 섞여 있는 경우 각 원소의 스펙트럼이 모두 합쳐져서 나타난다. 채점 기준 원소 와 를 모두 고르고, 그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원소 A 와 C 만 고른 경우 A C 배점 30 % 70 % 35 % 10 % 배점 50 % 25 % 50 % 25 % 배점 100 % 30 % 채점 기준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라는 내용을 포함하여 서술한 2 원자와 이온 진도 교재 ⇨ 23, 25쪽 C 이온, 양이온, 음이온, ㉠ + - +, ㉡ 철 이온, ㉢ 염화 이온, a 입자설, 연속설, 같, 다르 B 원자, ( ), ( ), 원자 모형 ㉣ - 2 S H 1 ⑴ 입 ⑵ 연 ⑶ 연 ⑷ 입 2 ⑴ × ⑵ ◯ ⑶ ◯ 3 ⑴ ㄹ ⑵ ㄱ ⑶ ㄷ ⑷ ㄴ 4 ㉠ 원자핵, ㉡ 전자 5 ⑴ ⑵ ◯ ⑶ ◯ ⑷ × 6 ㉠ , ㉡ ⑵ ◯ ⑶ ◯ ⑷ × 8 (가) 4 ㉡ -, ㉢ 암모늄 이온, ㉣ 수산화 이온, ㉤ B A ㉦ 구리 이온, ㉧ 산화 이온 10 ⑴ F , ㉣ , ㉢ +, (나) 6 8 2 12 - 9 ㉠ +, ㉥ 7 ⑴ × \ +, -, + K 2 3 + ⑶ CO + ⑵ Ca 2 2 Fe H Li 1 데모크리토스는 물질이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입자(원자)로 이루어져 있다는 입자설을 주장하였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연 진도 교재 ⇨ 21쪽 은 빈 공간이 없으며 물질을 계속 쪼개면 없어진다는 연속설을 ⑷ - F 주장하였다. 01 ① 02 ② 01 ㄱ. 과산화 수소는 물과 산소로 분해되고, 물은 수소와 산 소로 분해되므로 과산화 수소와 물은 원소가 아니다. 다고 주장하였다. 2 보일은 점 줄어드는 것을 통해 공기가 입자와 빈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 자관 속 공기의 부피가 점 자관에 수은을 넣을수록 J J ㄴ. 과산화 수소와 물을 이루는 기본 성분은 수소와 산소로 같다. ⑴ 공기를 이루는 입자의 크기는 변하지 않는다. 04 정답과 해설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4 17. 5. 15. 오후 4:23 ⑴ 원자 질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입자는 원자핵 5 이다. 전자의 질량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작다. ⑷ 원자는 ( 루어져 있다. )전하를 띠는 원자핵과 ( )전하를 띠는 전자로 이 + - 6 원자는 원자핵의 (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즉, 원자는 양성자 수와 전자 수가 같다. )전하량과 전자의 총 ( )전하량이 같아 + - ⑴ 원자가 전자를 잃으면 양이온이 되고, 전자를 얻 7 으면 음이온이 된다. ⑷ 이온은 전자 수와 양성자 수가 다르다. 양이온은 양성자 수가 )전하를 띠고, 음이온은 전자 수가 양성자 전자 수보다 많아 ( 수보다 많아 ( )전하를 띤다. + - 8 (가)에서 는 전자 개를 얻어서 음이온이 된다. 1 A 는 전자 개를 잃어서 양이온이 되고, (나)에서 2 2+)은 우리 몸의 혈액 속 헤모글로빈을 구성 B 10 ⑴ 철 이온( 하며, 혈액 속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⑵ 수소 이온( ⑶ 리튬 이온( ⑷ 플루오린화 이온( 들어 있다. Fe +)은 수소 연료 전지를 만드는 데 이용된다. +)은 휴대 전화, 노트북 등의 전지에 이용된다. -)은 충치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어 치약에 Li H F Li O 1 리튬 원자( )는 원자핵의 전하가 이므로 전자 수는 개이다. 리튬은 족 원소이므로 전자 Li 온이 되기 쉽다. 따라서 리튬 이온( 3 1 개를 잃어 +3 +)의 전자 수는 1 개이다. +1 의 양이 2 산소 원자( )는 원자핵의 전하가 이므로 전자 수는 2 개이다. 산소는 족 원소이므로 전자 O 온이 되기 쉽다. 따라서 산화 이온( 8 16 개를 얻어 +8 2-)의 전자 수는 2 3 마그네슘 원자( )는 원자핵의 전하가 의 음이 개이다. -2 10 이므로 전 자 수는 개이다. 마그네슘은 Mg 의 양이온이 되기 쉽다. 따라서 마그네슘 이온( 족 원소이므로 전자 +12 2 Mg 2 개를 잃어 2+)의 전 12 자 수는 +2 개이다. 10 4 염소 원자( )는 원자핵의 전하가 이므로 전자 수 는 개이다. 염소는 Cl 음이온이 되기 쉽다. 따라서 염화 이온( 족 원소이므로 전자 개를 얻어 +17 -)의 전자 수는 1 의 개 17 Cl -1 18 17 이다. 진도 교재 ⇨ 28~31쪽 01 ③ 02 ③ 03 ② 04 ⑤ 05 ③ 06 ⑤ 07 ④ 08 :원자핵, :전자, :양성자, :중성자 09 ① 10 ⑤ 11 ③ 12 ④ 13 ④ 14 ② A D B C 15 ⑤ 16 ⑤ 17 ② 18 ① 19 ③ 20 ⑤ 21 ③ 22 ⑤ 진도 교재 ⇨ 27쪽 1 ⑴ 모형: +3 +3 +3 +9 +3 +3 +3 +9 +9 +9 +9 +9 23 (가) 물질은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원자로 이 리튬 원자 리튬 이온 리튬 원자 리튬 원자 플루오린 원자 리튬 이온 리튬 이온 플루오린화 이온 ⑵ 식: + - @>A 2 ⑴ 모형: Li Li + +4 +3 +4 +3 리튬 원자 베릴륨 원자 베릴륨 이온 +4 +4 +8 +4 +4 +8 베릴륨 이온 +9 베릴륨 이온 산화 이온 플루오린화 이온 +9 베릴륨 원자 베릴륨 원자 산소 원자 플루오린 원자 - @>A 2- O 리튬 이온 ⑵ 식: 3 ⑴ 모형: O + 2 루어져 있다. (나) 같은 종류의 원자는 크기와 질량이 같고, 다 플루오린 원자 플루오린 원자 플루오린화 이온 플루오린화 이온 른 종류의 원자는 크기와 질량이 다르다. 24 원자핵의 ( )전하량과 전자의 총 ( )전하량이 같기 때문이다. 25 +8 +8 + +8 +8 원자( )가 전자 Mg  Mg + 2 산소 원자 산소 원자 F 1 산화 이온 - 26 ⑴ 해설 참조 ⑵ 플루오린 - 개를 얻어 플루오린화 이온( + 2 -)이 된다. 산화 이온 01 데모크리토스는 물질이 더 이상 쪼개지지 않는 입자인 원 자로 이루어져 있다는 입자설을 주장하였고, 아리스토텔레스는 물질을 쪼개다 보면 결국에는 없어진다는 연속설을 주장하였다. F +12 +4 +12 +4 +12 +12 +17 +8 +12 +12 +17 +8 +17 +17 입자설 (가) +17 +17 베릴륨 원자 마그네슘 원자 베릴륨 이온 마그네슘 이온 ⑵ 식: 마그네슘 원자 마그네슘 원자 산소 원자 염소 원자 @>A 2+ 마그네슘 이온 산화 이온 마그네슘 이온 염화 이온 - 4 ⑴ 모형: Mg Mg + 2 +12 +12 +17 +17 마그네슘 원자 마그네슘 이온 염소 원자 염화 이온 ⑵ 식: - - @>A Cl + Cl 염소 원자 염소 원자 연속설 (나) 염화 이온 염화 이온 더 이상 나눌 수 없다. ? 없어진다. ③ (가)는 입자설, (나)는 연속설을 나타낸 것이다. 02 ① 금속박은 금속박을 이루는 금속 입자보다 얇게 만들 수 없으므로, 일정한 두께까지만 얇게 만들 수 있다. ② 비눗방울 막은 비눗방울 막을 이루는 입자보다 얇게 만들 수 없으므로, 비눗방울을 계속 불면 비눗방울이 커지다가 결국 터 진다. 정답과 해설 05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5 17. 5. 15. 오후 4:24 ④ 풍선을 팽팽하게 불어서 놓아두면 풍선을 이루는 입자 사이 로 공기를 이루는 입자가 빠져나가므로, 풍선의 크기가 점점 작 12 원자 모형의 변천 순서는 돌턴의 ‘공 모형’ → 톰슨의 ‘푸딩 모형’ → 러더퍼드의 ‘행성 모형’ → 보어의 ‘궤도 모형’ → 현대의 진도 교재 와 에탄올 아진다. ⑤ 물 입자가 끼어들어 가므로 물과 에탄올 혼합 용액의 전체 부피는 를 섞으면 큰 입자 사이로 작은 mL 보다 작다. ③ 구리를 계속 쪼개다 보면 구리를 이루는 입자에 도 mL 50 50 mL 100 달하여 더 이상 쪼갤 수 없게 된다. 03 보일은 한쪽이 막힌 혀 있는 공기의 부피가 줄어드는 것을 보고, 공기는 공기를 이루 자관에 수은을 넣을 때 자관 속에 갇 J J 는 입자와 그 입자가 움직일 수 있는 빈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 주장하였다. 04 자들이 일정한 개수비로 결합하여 새로운 물질을 만든다. ⑤ 돌턴의 원자설 중 항에 의하면 서로 다른 원 4 05 ① 원자는 쪼개지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② 원자는 다른 종류의 원자로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④ 원자는 없어지거나 새로 생기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⑤ 서로 다른 원자들이 일정한 개수비로 결합하여 새로운 물질 이 만들어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③ 같은 종류의 원자는 크기와 질량이 같다는 내용에 위배된다. 06 두 수소 원자는 크기와 질량이 같고, 수소 원자와 산소 원 자는 크기와 질량이 다르다는 것을 나타낸 모형이다. 따라서 돌 턴의 원자설 중 같은 종류의 원자는 크기와 질량이 같고, 다른 종류의 원자는 크기와 질량이 다르다는 내용을 설명하는 것이다. 07 ④ 원자의 종류에 따라 양성자 수가 다르다. 08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자핵은 ( 하를 띠는 양성자와 전하를 띠지 않는 중성자로 이루어져 있다. )전 + )전하량이 같으 09 ② 전자는 원자핵 주위를 움직이고 있다. ③ 원자는 원자핵의 ( )전하량과 전자의 총 ( 므로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④ 양성자는 원자핵 속에 있으며 ( ⑤ 중성자는 원자핵 속에 있으며 전하를 띠지 않는다. - )전하를 띤다. + ① 는 원자핵으로, ( + )전하를 띠는 양성자와 전하를 띠지 않는 중성자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원자핵은 ( )전하를 A + 띤다. 개의 전자가 움직이고 있다. 이므로 원자핵을 구성 개이고, 원자를 이루는 전자 수는 개이다. +6 10 ①, ②, ③, ④ 원자핵의 전하가 하는 양성자 수는 따라서 전자의 총 전하는 이다. 6 ⑤ 원자핵 주위에서 -6 6 11 ㄱ. (가) 아, 양성자 수는 (다)  ̄ (다)의 원자를 구성하는 원자핵의 ( )전하로 보 개 (나) 개 (가) 개 순이다. + ㄴ. (가) (다) (다)를 구성하는 전자 수는 양성자 수와 마찬가지로 > 7 개 순이다. > (가) 10 개 2 (나) 개  ̄ ㄷ. 원자는 원자핵의 ( 7 > 2 10 > )전하량과 전자의 총 ( )전하 량이 같아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따라서 전하의 총합은 (가) + + 6 -  ̄ (다) 모두 으로 같다. 0 06 정답과 해설 ‘전자 구름 모형’ 순이다. (가)는 러더퍼드가 제안한 모형, (나)는 톰슨이 제안한 모형, (다)는 현대의 모형, (라)는 보어가 제안한 모형, (마)는 돌턴이 제안한 모형이다. 13 ④ ( 고, ( )전하를 띠는 양이온은 양성자 수가 전자 수보다 많 + )전하를 띠는 음이온은 전자 수가 양성자 수보다 많다. ① 이온은 원자가 전자를 잃거나 얻어서 전하를 띠는 - 입자이다. ②, ③ 원자가 전자를 얻으면 ( 원자가 전자를 잃으면 ( ⑤ ( )전하를 띠는 양이온은 ( + )전하를 띠는 음이온이 되고, )전하를 띠는 양이온이 된다. - )전하량이 ( )전하량보다 크다. + 14 구분 + (가) - (나) (다) 모형 +3 +3 +3 +2 +2 +2 +9 +9 +9 원자핵 전하 양성자 수 전자 수 종류 (가) (가) (가) (나) (나) (나) (다) (다) (다) 개 +3 개 3 양이온 2 개 +2 개 2 원자 2 개 +9 개 9 음이온 10 )전하량과 전자의 총 ( )전하량이 같으 - 개를 잃어 형성된 양이온이다. )전하량이 다르므로 다른 원소 ② (나)는 원자핵의 ( 므로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 ① (가)는 원자가 전자 ③ (가)와 (나)는 원자핵의 ( 이다. ④ (다)는 원자가 전자 ⑤ 원자핵의 ( )전하량은 (다) 1 1 + 15 ⑤ 황화 이온( 이온이다. 따라서 원자핵의 ( S 다 작다. 개를 얻어 형성된 음이온이다. (가) (나)이다. + > 2-)은 황 원자가 전자 > 개를 얻어서 형성된 )전하량이 전자의 총 ( )전하량보 2 + - ① 2-은 황화 이온이다. ②, ④ 황 원자의 원자핵 전하는 S 다. 황화 이온( 2-)은 황 원자가 전자 +16 2 개이다. S 황화 이온의 총 전자 수는 ③ 황 원자가 전자 18 핵의 전하는 변하지 않는다. 2 S 이고, 전자 수는 개이 개를 얻어서 형성되므로 16 개를 얻어서 황화 이온( 2-)이 되어도 원자 16 ⑤ 원자가 이온이 될 때 양성자 수는 변하지 않으므로 원자 핵의 ( )전하량은 변하지 않는다. ①, ② (가)에서 는 전자 개를 얻어 A 개 잃어 B 원자는 전자를 는 전자 + (나)에서 ③ B 1 이온보다 전자 수가 ④ 온보다 전자 수가 원자는 전자를 2 개 적다. 1 B A 개 많다. 2 개 얻어 B 17 ㄱ, ㅂ. 원자가 전자 원소는 이다. , 1 H Na 개를 잃어 2+이 되고, -이 된다. 2 A 이온이 되므로 원자는 A 이온이 되므로 A 원자는 A 이 B B 개를 잃어 의 양이온이 되기 쉬운 1 +1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6 17. 5. 15. 오후 4:24 24 원자를 구성하는 양성자 수와 전자 수는 같으므로, 원자핵 의 ( )전하량과 전자의 총 ( )전하량은 같다. + - 채점 기준 제시된 단어를 모두 포함하여 옳게 서술한 경우 제시된 단어를 하나라도 포함하지 않은 경우 25 마그네슘 원자가 전자 슘 이온이 된다. 개를 잃어 의 양이온인 마그네 2 +2 채점 기준 마그네슘 원자가 이온이 되는 과정을 식으로 옳게 나타낸 경우 마그네슘 원자가 이온이 되는 과정을 식으로 옳게 나타내지 않 은 경우 26 ⑴ +9 +9 (가) (나) 채점 기준 ⑴ 플루오린화 이온을 모형으로 옳게 나타낸 경우 플루오린 원자가 플루오린화 이온이 되는 과정을 옳게 서 ⑵ +9 술한 경우 +9 (라) 배점 100 % % 0 배점 % 100 % 0 배점 40 % 60 % ㄴ, ㅁ. 과 는 원자가 전자를 개 얻어 의 음이 F Cl 은 원자가 전자를 1 개 얻어 -1 의 음이온이 되기 온이 되기 쉽다. ㄷ, ㄹ. 와 쉽다. O S 2 -2 18 이온이 형성되는 과정을 식으로 나타낼 때 전자를 잃으면 -를 화살표의 오른쪽 위치에, 전자를 얻으면 -를 화살표의 왼 로 연결한다. 2- 쪽 위치에 쓰고 ② - + + S + 2 Na  Na 2+ Cu  Cu 2+ ③ ④ ⑤ Be  Be -  S - - + + 2 + 2 Li 개 잃어 형성된 이온이다. 개 잃어 형성된 이온이다. 19 이온을 표시할 때 원소 기호의 오른쪽 위의 숫자와 기호는 잃거나 얻은 전자 수와 전하의 종류를 나타낸다. ① ② ③ ④ ⑤ +:전자를 2+:전자를 1 3+:전자를 2-:전자를 3-:전자를 개 잃어 형성된 이온이다. 2 개 얻어 형성된 이온이다. 3 개 얻어 형성된 이온이다. 2 3 20 원자의 경우 양성자 수와 전자 수가 같다. 하지만 양이온은 양성자 수가 전자 수보다 많고, 음이온은 전자 수가 양성자 수보 Ca Al O P 다 많다. 보다 Li +:양이온이고, 전자 수가 개 많으므로 (가) 이다. 2 2+:양이온이고, 양성자 수가 이다. 개 적으므로 (나) 4 =3 1 수보다 Be 2 같으므로 (다) N :원자이고, 양성자 수가 =2 7 -:음이온이고, 전자 수가 =7 개 많으므로 (라) 이다. 보다 F 이다. 10 2+:양이온이고, 양성자 수가 =9 1 개 적으므로 (마) 자 수보다 Mg 이다. 12 개이다. ➡ 전자 수가 양성자 개이다. ➡ 양성자 수와 전자 수가 개이다. ➡ 전자 수가 양성자 수 개이다. ➡ 양성자 수가 전자 수 (다) 개이다. ➡ 전자 수가 양성 01 ② 02 ③ 03 ③ 진도 교재 ⇨ 31쪽 2 ① +은 칼륨 이온, 칼슘 이온은 21 -은 염화 이온이다. 음이온의 이름은 원소 이름 다음에 ‘화 ② 이온’을 붙이며, 원소 이름이 ‘소’로 끝나면 ‘소’는 삭제하고 ‘화 2+이다. Ca K =10 01 ② 돌턴의 원자설 로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값싼 금속으로 금을 만들려고 했던 중 항에 의하면 원자는 다른 종류의 원자 3 세의 연금술은 실패하였다. 22 이온은 플루오린화 이온이다. ⑤ 충치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어 치약에 이용되는 를 돌고 있는 모형을 제안했다. + 이온’을 붙인다. ④ ⑤ 4+은 암모늄 이온이다. 42-은 황산 이온이다. Cl NH SO 23 채점 기준 원자는 더 이상 쪼갤 수 없다는 내용을 포함하여 (가) 서술한 경우 같은 종류의 원자는 크기와 질량이 같고, 다른 종 류의 원자는 크기와 질량이 다르다고 옳게 서술한 경우 (나) 같은 종류의 원자는 크기와 질량이 같다 또는 다 른 종류의 원자는 크기와 질량이 다르다 중 한 가 지만 서술한 경우 배점 40 % 60 % 02 톰슨은 원자의 구성 입자 중 전자를 발견했으며, 원자 내에 )전하를 띠고 있는 ( )전하를 띤 전자가 있고 다른 부분은 ( 모형을 제안했다. 이후 러더퍼드는 원자핵을 발견했으며, 원자 - 의 한가운데 ( )전하를 띤 원자핵이 있고, 전자는 원자핵 주위 + 03 (가)는 베릴륨 이온( 네온 원자( ③ (다)는 양성자 수가 Ne ), (라)는 나트륨 이온( +)이다. O Be 개이므로 원자핵의 전하는 Na 2+), (나)는 산화 이온( 2-), (다)는 이다. ① (가)는 전자를 10 개 잃었으므로 양이온이다. +10 2 개 얻어 형성된 음이온이다. ② (나)는 전자를 ④ (라)는 전자를 2 ⑤ (가)와 (라)는 각각 전자 1 고, (다)는 전자의 이동이 없는 원자이며, (나)는 전자를 2 개 잃어 형성된 양이온이다. 개와 1 개를 잃어 형성된 양이온이 개 얻 2 정답과 해설 07 30 % 어 형성된 음이온이다.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7 17. 5. 15. 오후 4:24 진도 교재 3 물질의 표현과 이온의 반응 진도 교재 ⇨ 33, 35, 37쪽 a 화학식, ㉠ , ㉡ 암모니아, ㉢ , ㉣ , ㉤ 산 2 화 마그네슘, ㉥ 수산화 칼슘 CO 4 CH NaCl B 이온화, ( ), ( ) C 앙금, 앙금, - + , 2 AgCl PbI ⑶ 수소, 산소 ⑷ 1 ⑴ 물 ⑵ ⑸ 2 ⑴ ‑ ㉡ ‑ ② 9 3 , ㉡ ⑵ ‑ ㉠ ‑ ③ ⑶ ‑ ㉢ ‑ ① 3 ㄱ, ㄴ, ㅂ 4 ⑴ ㉠ : , 3 : : ㉡ 네슘 ⑶ ㉠ AgCl , ㉢ 염화 은 ⑵ ㉠ , ㉢ 염화 마그 1 2 , ㉢ 황산 나트륨 5 ⑴ × ⑵ 1 4 + ⑷ ◯ ⑶ ◯ ⑷ ◯ ⑸ × 6 ⑴ SO 1 - ⑹ + 7 ⑴ 염화 이온, 질산 이온 ⑵ OH + ⑵ - ⑶ - ⑸ MgCl , ㉡ NH Na Na 1 2 2 2 4 바륨 이온, 칼륨 이온, 암모늄 이온 8 ㉠ ( 2Na 2Cl - 구리 9 ↓, 흰색 10 ㉠ + - ), ㉡ ( ), ㉢ +, ㉡ + Cl , ㉣ 노란색 11 ⑴ ㄱ ⑵ ㄷ ⑶ ㄴ,  AgCl Ag 2 4 SO + -, ㉢ Ag 2 ㄷ 12 탄산 칼슘 3 CO 4 BaSO 1 물 분자( 이루어지므로 물 분자 2 H 개는 총 개는 총 H O 개의 원자로 이루어진다. 1 3 분자 )는 수소 원자( ) 개와 산소 원자( ) 개로 개의 원자로 이루어지며, 물 2 O 1 2 3 9 2 ⑴ 물 분자( 어진다. ⑵ 질소 분자( ⑶ 염화 수소 분자( 이루어진다. N O H 2)는 질소 원자 2 개로 이루어진다. 1 )는 수소 원자 2 개와 염소 원자 개로 HCl 1 1 3 양이온과 음이온이 결합하여 생성된 물질은 전기적으로 중 성이므로 양이온과 음이온의 전하의 총합이 이다. (양이온 전하×양이온 개수) ㄹ. {( ㅁ. {( ㄷ. {( ) ) } {( + } ) {( } +2 + \1 -1 } ) {( } =0 \2 -1 \1 + =0 \1 -2 \2 + ) +2 +1 (음이온 전하×음이온 개수) 0 이므로 ) } )2이다. =0 ( 2이다. Ca 3이다. OH 이므로 \2 =0 이므로 2 CuCl Na CO 4 이온으로 이루어진 물질은 양이온과 음이온의 전하의 총합 이 되는 개수비(양이온:음이온)로 결합하고 있다. 이온으 이 로 이루어진 물질의 이름을 읽을 때는 음이온의 이름을 먼저 읽 0 고 양이온의 이름을 나중에 읽는다. ⑴ 모든 물질이 물에 녹아 이온화되는 것은 아니다. 5 ⑸ 물질이 이온화되어 생성된 양이온과 음이온의 전하의 총합이 일뿐 수용액에 존재하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개수가 항상 같은 것은 아니다. 0 7 ⑴ 음이온인 염화 이온( 로 이동한다. ⑵ 양이온인 바륨 이온( ( 4+)은 ( )극으로 이동한다. Ba -), 질산 이온( 3-)은 ( )극으 Cl 2+), 칼륨 이온( NO +), 암모늄 이온 + K NH 08 정답과 해설 - 8 이온이 들어 있는 수용액에 전원 장치를 연결하면 양이온은 ( )극으로, 음이온은 ( )극으로 이동한다. + - 9 앙금 생성 반응에서 반응에 참여한 이온만으로 나타낸 화학 반응식을 알짜 이온 반응식이라고 한다. 염화 나트륨 수용액과 +)이 반 질산 은 수용액을 섞으면 염화 이온( -)과 은 이온( 응하여 흰색 앙금인 염화 은( )이 생성된다. Cl Ag AgCl -)은 은 이온( +)과 반응하여 흰색 앙금 11 ⑴ 염화 이온( 인 염화 은( ⑵ 카드뮴 이온( AgCl 금인 황화 카드뮴( ⑶ 납 이온( 금인 아이오딘화 납( Ag )이 생성된다. Cl 2+)은 황화 이온( )이 생성된다. Cd S 2+)은 아이오딘화 이온( CdS Pb 하여 검은색 앙금인 황화 납( PbI -)과 반응하여 노란색 앙 2-)과 반응 2)이 생성되고, 황화 이온( I )이 생성된다. S 2-)과 반응하여 노란색 앙 PbS 12 •조개껍데기, 조개 속 진주의 주성분은 탄산 칼슘이다. •석회동굴 속의 종유석과 석순의 주성분은 탄산 칼슘이다. •석회수에 입김을 불어 넣으면 수산화 칼슘과 이산화 탄소가 반응하여 탄산 칼슘이 생성되므로 석회수가 뿌옇게 흐려진다. •지하수를 보일러 용수로 오래 사용하면 가열에 의해 지하수에 녹아 있는 칼슘 이온과 탄산수소 이온이 반응하여 관 안에 관석 (탄산 칼슘)이 쌓이므로 열이 잘 전달되지 않는다. ㉠ ( ), ㉡ ( ) 1 ⑴ ◯ ⑵ × ⑶ ◯ ⑷ ◯ ⑸ ◯ 2 - + - 3 , 과망가니즈산 칼륨의 보라색 성분인 과망가니즈산 이온 B 4 MnO 은 음이온이기 때문이다. ㉠ 색깔 1 ⑴ × ⑵ ◯ ⑶ × ⑷ ◯ ⑸ × 2 탄산 칼슘, 3 염화 칼륨, 칼륨의 불꽃색은 보라색이며, 3 은 이온은 염화 이온과 반응하여 흰색 앙금을 생성하기 CaCO 때문이다. + )전하를 띠는 구리 이온( 2+)은 양이온이므로 ( - +), 구리 이온( )극으로 이동하므로 파란색 성분은 황 2+)이다. )극으 1 ⑴ 파란색이 ( 산 구리(Ⅱ) 수용액에서 ( ⑶ 칼륨 이온( 로 이동한다. ⑷ 질산 이온( ( ⑸ 이온이 들어 있는 수용액에 전원 장치를 연결하면 양이온은 MnO ( Cu 3-), 황산 이온( )극으로 이동하여 전류가 흐른다. 4-)은 음이온이므로 ( NO 42-), 과망가니즈산 이온 )극으로 이동한다. SO Cu - + K )극으로, 음이온은 ( ⑵ 보라색이 ( - 망가니즈산 칼륨 수용액에서 ( + + 온( 4-)이다. - )극으로 이동하므로 보라색 성분은 과 )전하를 띠는 과망가니즈산 이 MnO 2 보라색을 띠는 이온은 과망가니즈산 이온( 4-)이다. MnO )는 수소 원자 개와 산소 원자 개로 이루 진도 교재 ⇨ 38~39쪽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8 17. 5. 15. 오후 4:24 4-)은 음이온이므로 전류를 흘려 3 과망가니즈산 이온( 주면 ( )극으로 이동한다. + MnO 채점 기준 이동하는 방향을 옳게 쓰고,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이동하는 방향만 옳게 쓴 경우 배점 100 % 30 % )이다. AgNO 3) 수용액을 떨어뜨렸을 때 생성된 1 ⑵ 질산 은( 흰색 앙금은 염화 은( ⑷ 나트륨은 노란색, 칼슘은 주황색, 바륨은 황록색, 칼륨은 보 AgCl 라색의 불꽃색이 나타난다. ⑴ 질산 은( 앙금을 생성하지 않고, 은 이온( 3-)은 +)만 음이온과 반응하여 앙금 3) 수용액에서 질산 이온( AgNO NO 을 생성할 수 있다. ⑶ 탄산 나트륨( 금을 생성하지 않고, 탄산 이온( 2 Ag +)은 앙 2+)이나 2+)과 반응하여 앙금을 생성할 수 있다. 칼륨 이온 3) 수용액에서 나트륨 이온( 32-)은 바륨 이온( CO Na Na 칼슘 이온( CO Ba +)은 앙금을 생성하지 않는다. Ca ( ⑸ 미지 수용액( K 떨어뜨리면 염화 은( CaCl 수용액을 떨어뜨리면 탄산 칼슘( AgCl 2 수용액)에 질산 은( )이 생성되고, 탄산 나트륨( AgNO 3)이 생성된다. 3) 수용액을 3) 2 Na CO 2 질산 칼슘( 액이 반응하면 탄산 칼슘( ( Ca NO CaCO 3)2) 수용액과 탄산 나트륨( 2 3) 수용 3)의 흰색 앙금이 생성된다. Na CO CaCO 3 보라색의 불꽃색을 나타내는 양이온에는 칼륨 이온( 있고, 질산 은( +)이 3) 수용액을 떨어뜨렸을 때 흰색 앙금이 생 성되는 음이온에는 염화 이온( AgNO -)이 있다. 채점 기준 Cl 물질의 이름을 옳게 쓰고,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물질의 이름만 옳게 쓴 경우 K 배점 100 % 30 % 01 ⑤ 02 ⑤ 03 ④ 04 ④ 05 ④ 06 물: , 과산화 수소: 07 ③ 08 ③ 09 ③ 2 O 10 수산화 칼슘, 2H 14 ⑤ 15 ③ 16 ③ 17 ③ 18 ( Ca ) O 2 ( 2 2 H )극 + 19 ③ 20 ⑤ 21 ② 22 ② 23 ③ 2 4 SO )극: OH - + -, ( 11 ⑤ 12 ④ 13 ④ : 2 Cu 24 ③ 25 앙금 +, 이온: + 26 ⑤ 27 ⑤ 28 ④ AgCl A B : , 거른 용액 에 들어 있는 양 Na -)은 ( ( 29 나트륨 이온( H +)은 ( )극으로, 염화 이온 )극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전류가 흐른다. 30 ⑴ Na - 구리 이온, ( Cl + )극 ⑵ 과망가니즈산 이온, ( )극 ⑶ 전류가 잘 - 흐르게 하기 위해서이다. 3 1 ⑴ 해설 참조 ⑵ + -, 염화 이온은 질 ↓ 32 + - 2 2 4 +SO 산 은 수용액의 은 이온과 반응하여 흰색의 염화 은 앙금을 Ba  BaSO Cl 4 생성하기 때문이다. 01 음이온을 먼저 읽고, 양이온을 나중에 읽는다. ⑤ 이온으로 이루어진 물질의 화학식을 읽을 때는 02 분자식 앞에 있는 숫자는 분자의 개수, 원소 기호 뒤의 작 3는 질소 원자 은 숫자는 각 원자의 개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개와 수소 원자 개로 이루어진 암모니아 분자 개는 총 ⑤ 암모니아 분자 3 1 03 분자를 이루는 원자의 배열은 화학식으로는 알 수 없고, 분 자 모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1 4 개를 의미한다. 3NH 개의 원자로 이루어진다. 3 개로 이루어진 산소 분자 개를 의미 NH 개이다. 2:산소 원자 개와 수소 원자 1 :수소 원자 2O 3:질소 원자 개를 의미하므로, 원자의 총 개수는 04 ① 하므로, 원자의 총 개수는 2 ② 4 분자 ③ 1 개를 의미하므로, 원자의 총 개수는 소 분자 3HCl 1 4:탄소 원자 ④ 3 분자 2CH 2 ⑤ 2 수소 분자 O 2H 개를 의미하므로, 원자의 총 개수는 4 1 2:수소 원자 개와 산소 원자 1 개와 수소 원자 3 개와 염소 원자 2 2 개를 의미하므로, 원자의 총 개수는 2 개로 이루어진 암모니아 개이다. 개로 이루어진 염화 수 4 개로 이루어진 메테인 개이다. 6 개이다. 개로 이루어진 과산화 10 개이다. 8 ① 암모니아 ‑ 2 2 05 ② 염화 칼슘 ‑ ③ 아이오딘화 납 ‑ CaCl ⑤ 산화 마그네슘 ‑ 2 PbI 3 NH MgO 06 물 분자는 수소 원자 자는 수소 원자 개와 산소 원자 개, 과산화 수소 분 1 개이므로 분자식으로 나타낼 때 앞에 숫자 O O 개와 산소 원자 2 H H 개로 이루어진다. 물 분자는 를 붙인다. O H H 2 ③ 2 4은 탄소 원자( ) ) OC 개로 이루어진 물질이다. O CH 07 2 원자( 2 개와 수소 N H H H H C H H H C 1 -이 되고, 4 H 08 를 잃어 A 원자는 전자 개를 얻어 개 2+이 된다. 이온으로 이루어진 물질은 양이온과 음이 이 되는 개수비로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원자는 전자 A B 2 1 온의 전하의 총합이 B 0 } 의 개수)} {( )× {( )× 이므로 양이온과 음이온 : = 의 개수비는 -1 2는 NaCl : +2 3은 1 이다. AlCl 이다. + 1 : , 2 1 , : 은 1 1 2 09 의 개수비로 결합하여 탄산 나트륨( ③ 나트륨 이온( CuCl 3 1 Na } + =0 , 은 양이온과 음이온의 개수비가 4은 2 : : , 3 2 2 CaSO 1 +)과 탄산 이온( 1 K 1 32-)은 3)을 생성한다. CO 2 CO : 2 1 10 칼슘 이온( 결합하여 수산화 칼슘( Ca ( Na 2+)과 수산화 이온( CO -)은 )2)을 생성한다. OH 1 Ca 11 ⑤ 마그네슘 이온( 개수비로 결합하여 질산 마그네슘( 2+)과 질산 이온( ( OH Mg ① 칼슘 이온( 2+)과 황산 이온( Mg NO 4)을 생성한다. -)이 SO : 수비로 결합하여 황산 칼슘( ② 칼륨 이온( 여 염화 칼륨( K ③ 나트륨 이온( 결합하여 수산화 나트륨( Ca +)과 염화 이온( )을 생성한다. +)과 수산화 이온( CaSO KCl Cl Na 1 1 -)이 )을 생성한다. OH : 의 개수비로 2 3-)은 : 의 3)2)을 생성한다. NO 1 42-)이 : 2 의 개 1 의 개수비로 결합하 1 : 의 개수비로 1 1 NaOH 정답과 해설 09 H Cl H O O H 진도 교재 ⇨ 40~44쪽 {(양이온의 전하×양이온의 개수)} {(음이온의 전하)×(음이온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9 17. 5. 15. 오후 4:24 3+)과 염화 이온( -)이 : 의 개수비로 ③ 혼합 용액에는 앙금 외에도 나트륨 이온( +)과 질 진도 교재 ④ 알루미늄 이온( 결합하여 염화 알루미늄( Al 3)을 생성한다. Cl 1 3 12 의 개수비를 이루며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ㄹ. 염화 나트륨은 염화 이온과 나트륨 이온이 AlCl : 1 1 13 ④ 2 4 + 42- 14 양이온과 음이온의 개수비가 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개수비가 Na SO  2Na : 은 : , 3은 : , 2 + SO 인 물질을 찾는다. , : 1 2 4은 : CaCl 1 2은 4 CuO 의 개수비로 결합하 Cl 2 NH : , 1 고 있다. 1 1 AgNO 1 1 K 2 1 1 SO 15 소금, 바이타민 면 전류가 흐르지만, 설탕, 녹말, 포도당, 에탄올은 물에 녹아 수 , 아세트산은 물에 녹아 수용액 상태가 되 C 용액 상태가 되어도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16 ① (가)에서는 이온들이 강하게 결합하고 있어 이동할 수 없으므로 전원 장치를 연결해도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②, ④ (나)에서 수용액에 양이온 의 개수비로 이온화된다. 으므로, 이 물질은 양이온:음이온 3-으로 이온 ⑤ 질산 칼륨은 물에 녹아 화되므로 질산 칼륨 수용액에 전원 장치를 연결하면 (다)와 같이 4 3 =1 1  K 개가 들어 있 개와 음이온 : 4 + KNO )극으로, 음이온은 ( + NO )극으로 이동한다. 양이온은 ( ③ (다)에서 염화 나트륨 수용액에 전원 장치를 연결하 - 면 양이온은 ( + )극으로, 음이온은 ( )극으로 이동한다. - + )극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아 파란색 성 )전하를 띠는 양이온이다. - 17 ① 파란색이 ( 분은 ( ② 보라색이 ( + ( ④ ( - 은 오른쪽으로, 보라색을 띠는 과망가니즈산 이온( + )극을 서로 바꾸면 파란색을 띠는 구리 이온( )전하를 띠는 과망가니즈산 이온이다. )극과 ( - + )극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아 보라색 성분은 2+) 4-)은 Cu 왼쪽으로 이동한다. ⑤ 순수한 물에서는 전류가 잘 흐르지 않으므로 거름종이에 질 산 칼륨 수용액을 적셔 전류가 잘 흐르게 한다. MnO ③ ( )전하를 띠는 양이온은 ( )극으로, ( )전하를 띠는 음이온은 ( + )극으로 이동한다. 각 이온들은 전하를 띠므로 - - 서서히 이동하지만 색깔을 띠지 않아 눈으로 이온의 이동을 관 + 찰할 수 없다. 42-)으로 이온화된다. 따라서 ( 4)는 물에 녹아 구리 이온( 2+)과 황 )전하를 띠는 구리 Cu 42-)은 )전하를 띠는 황산 이온( + 18 황산 구리(Ⅱ)( 산 이온( 이온( 2+)은 ( SO )극으로 이동한다. Cu - ( CuSO )극으로, ( - SO + 19 ① 염화 나트륨( 을 혼합하면 염화 이온( ) 수용액과 질산 은( -)과 은 이온( 3) 수용액 +)이 반응하여 흰색 + Cl AgNO AgCl - NaCl )이 생성된다. +과 ↓이다. Cl Ag -이므로 알짜 이온 반응 앙금인 염화 은( ② 앙금을 생성하는 이온은 식은 ④ 혼합 용액에는 나트륨 이온(  AgCl 의 개수비로 존재한다. Na 1 ⑤ 염화 나트륨 대신 염화 칼륨을 사용해도 염화 이온은 그대로 존재하므로 생성되는 앙금의 종류는 같다. +)과 질산 이온( 3-)이 + Cl NO Ag Ag : 1 10 정답과 해설 산 이온( 3-)이 있으므로 전류가 흐른다. Na ( NO 20 질산 납( 을 혼합하면 납 이온( NO Pb 노란색 앙금인 아이오딘화 납( ( 3-)과 칼륨 이온( 3)2) 수용액과 아이오딘화 칼륨( 2+)과 아이오딘화 이온( ) 수용액 -)이 반응하여 2)이 생성된다. 이때 질산 이온 Pb I +)은 반응하지 않고 수용액에 남아 있다. KI PbI ) 수용액을 3) 수용액을 AgNO 2 )이 생성된다. ( K ) 수용액과 질산 은( LiCl 3)2) 수용액과 황화 나트륨( AgCl NO 21 ① 염화 리튬( 혼합하면 흰색 앙금인 염화 은( ③ 질산 납( 혼합하면 검은색 앙금인 황화 납( Pb 3) 수용액과 질산 바륨( ④ 탄산 나트륨( PbS 액을 혼합하면 흰색 앙금인 탄산 바륨( Na ⑤ 황화 나트륨( 을 혼합하면 검은색 앙금인 황화 구리(Ⅱ)( S ② 염화 칼슘( NO 2 CO 2 BaCO ) 수용액과 염화 구리(Ⅱ)( Na 2) 수용액과 질산 칼륨( CuS S )이 생성된다. Na ( 3)이 생성된다. NO Ba )가 생성된다. CuCl 액을 혼합하면 앙금이 생성되지 않는다. CaCl KNO 3)2) 수용 2) 수용액 3) 수용 2 22 (가) 황산 칼륨( 액을 혼합하면 흰색 앙금인 황산 칼슘( (라) 질산 칼슘( SO 3)2) 수용액과 황산 나트륨( 4) 수용액과 염화 칼슘( 4)이 생성된다. CaCl 2 K ( CaSO 액을 혼합하면 흰색 앙금인 황산 칼슘( 4)이 생성된다. Na (나)와 (다)에서는 앙금이 생성되지 않는다. NO SO Ca CaSO 2) 수용 4) 수용 23 ( 24 트륨( ① 황화 아연( )은 흰색 앙금, ② 황화 구리(Ⅱ) 4)은 흰색 앙금, ⑤ )는 검은색 앙금, ④ 황산 바륨( ZnS 2)은 노란색 앙금이다. 아이오딘화 납( CuS BaSO , , PbI 수용액은 각각 염화 칼륨( ) 수용액, 질산 나 A B 3) 수용액, 염화 바륨( C 2) 수용액 중 하나이다. KCl NaNO 구분 수용액 BaCl 수용액 수용액 질산 은 ( 3) 수용액 AgNO A 변화 없음 흰색 앙금 B 생성 +과 반응 하여 앙금 생 Ag 성 ➡ - 흰색 앙금 C 생성 +과 반응 하여 앙금 생 Ag 성 ➡ - - Cl 변화 없음 흰색 앙금 생성 변화 없음 Cl 앙금을 생성 하는 이온 탄산 나트륨 ( 2 3) 수용액 Na CO 앙금을 생성 하는 이온 32-과 반응 하여 앙금 생 CO 성 ➡ 2+ 2 Ba - KCl 물질 - 3 25 NaNO BaCl Na+, Ba2+, Ag+이 들어 있는 수용액 과량의 묽은 염산 (HCl) (거름) + - ↓(흰색) 앙금 A @>A Ag + Cl AgCl 거른 용액 과량의 묽은 황산 (H2SO4) (거름) 앙금 @>A 2+ 2- 4↓(흰색) Ba + SO_4 BaSO 거른 용액 B + +, Na H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10 17. 5. 15. 오후 4:24 은( 은 이온( +)은 염화 이온( )을 생성하므로 앙금 Ag Cl 2+)은 황산 이온( 바륨 이온( AgCl A 4)을 생성하므로 거른 용액 황산 바륨( SO +)이 들어 있다. 또, 거른 용액 )과 묽은 황산( BaSO 은 염산( Na 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으므로 수소 이온( Ba B ( 2 H SO HCl -)과 반응하여 흰색 앙금인 염화 는 이다. 42-)과 반응하여 흰색 앙금인 AgCl 에는 나트륨 이온 에는 과량으로 넣어 준 묽 +)이 반응하 4)의 수소 이온( B +)도 들어 있다. H 26 ⑤ 납 이온( 금인 황화 납( )을 생성한다. Pb S 2+)은 황화 이온( 2-)과 반응하여 검은색 앙 H PbS 27 (가) 염화 바륨( 성할 수 있는 양이온에는 은 이온( 2) 수용액과 반응하여 흰색 앙금을 생 +)이 있고, 음이온에는 탄 BaCl 32-), 황산 이온( 42-)이 있다. Ag (나) 노란색의 불꽃색이 나타나는 금속 양이온은 나트륨 이온 SO 산 이온( CO +)이다. ( Na 28 ① 관석은 지하수에 녹아 있는 칼슘 이온과 탄산수소 이온 이 가열에 의해 반응하여 생성된 흰색 앙금인 탄산 칼슘 3)이 쌓인 것이다. ( ② 석회수에 입김을 불어 넣으면 수산화 칼슘( CaCO 화 탄소( 2)가 반응하여 탄산 칼슘( ( )2)과 이산 3)이 생성되므로 석 Ca OH CO 회수가 뿌옇게 흐려진다. ③ 칼슘 이온( 인 탄산 칼슘( 2+)과 탄산 이온( CaCO 32-)이 반응하여 흰색 앙금 3)이 생성되므로, 칼슘 이온은 탄산 이온으 CO Ca CaCO 로 제거할 수 있다. ⑤ 염화 이온( 화 은( 산 은( AgCl -)과 은 이온( +)이 반응하여 흰색 앙금인 염 )이 생성되므로, 수돗물에 남아 있는 염화 이온은 질 Ag Cl 3) 수용액으로 확인할 수 있다. 2+)과 황화 이온( AgNO ④ 카드뮴 이온( 란색 앙금인 황화 카드뮴( 2+은 있는 Cd 2-)이 반응하여 노 )이 생성되므로, 공장 폐수에 들어 3-) S 2-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질산 이온( 으로는 Cd Cd 29 CdS 2+을 확인할 수 없다. S 채점 기준 전류가 흐르는 이유를 이온의 이동으로 옳게 서술한 경우 전류가 흐르는 이유를 이온의 이동으로 서술하지 않은 100 % 경우 ⑴ ⑵ 30 채점 기준 이온의 이름과 이동 방향을 모두 옳게 쓴 경우 이온의 이름과 이동 방향 중 한 가지만 옳게 쓴 경우 이온의 이름과 이동 방향을 모두 옳게 쓴 경우 이온의 이름과 이동 방향 중 한 가지만 옳게 쓴 경우 Na+ Cl- Na+ Ba2+ ⑶ 거름종이에 적시는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Na+ Cl- 2- SO4 Cl- Na+ BaSO4 Cl- 15 % 40 % 염화 바륨 수용액 황산 나트륨 수용액 혼합 용액 31 ⑴ NO 배점 0 % 배점 30 % 15 % 30 % Ba2+ Cl- Cl- Na+ Na+ 2- SO4 Na+ Cl- Na+ Cl- BaSO4 염화 바륨 수용액 황산 나트륨 수용액 혼합 용액 채점 기준 ⑴ 혼합 용액의 입자 모형을 옳게 그린 경우 ⑵ 알짜 이온 반응식을 옳게 나타낸 경우 32 채점 기준 이온을 옳게 쓰고, 생성된 앙금의 이름을 포함하여 이유 를 옳게 서술한 경우 이온만 옳게 쓴 경우 배점 % 50 % 50 배점 100 % 30 % 진도 교재 ⇨ 44쪽 01 ⑤ 02 ④ 01 ① 철과 같은 금속은 한 종류의 원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 되어 결정을 이루므로 원소 기호와 화학식이 같다. ② 있다. 은 수소와 산소로 이루어져 은 나트륨과 염소, 2 NaCl H O ⑤ 철은 한 종류의 금속 원소가 규칙적으로 무한히 결 합되어 있는 물질이고, 염화 나트륨은 양이온과 음이온이 일정 한 개수비로 결합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물질이므로 분 자식으로 표현할 수 없다. -)이 ( )극으로 이동하고, 납 이온 02 ④ 아이오딘화 이온( ( I 란색 앙금인 아이오딘화 납( Pb 2+)이 ( - ① ( )극으로 이동하므로 중간에서 만나면 반응하여 노 2)이 생성된다. + )극으로 이동하는 이온은 음이온인 질산 이온 3-), 아이오딘화 이온( + ( ② ( NO 온( ⑤ ( 쪽으로 이동하고, (나)에서 Pb - )극으로 이동하는 이온은 양이온인 칼륨 이온( 2+)이다. )극과 ( )극의 위치를 바꾸면 (가)에서 I 2+이 ( - + -이 ( )극인 오른쪽으로 이동한 )극인 왼 + I +), 납 이 K 다. 따라서 두 이온이 만나지 않으므로 앙금이 생성되지 않는다. Pb - PbI -)이다. 진도 교재 ⇨ 45~48쪽 01 ③ 02 ① 03 ① 04 ⑤ 05 ⑤ 06 ② 07 ④ 08 ⑤ 09 ④ 10 ③ 11 ⑤ 12 , 13 ① 14 ② 15 ④ 16 ② 17 ⑤ B + 19 ④ 20 )극 : )극 : +, -, 18 ( C ④ 21 + -, ( - 22 ⑤ Cl NO 2 S 3 - 2 Cu K 23 ⑴ 겉불꽃은 속불꽃보다 온도가 높고 무색 이므로 불꽃색을 관찰하기 좋기 때문이다. ⑵ 분광기를 이용 하여 선 스펙트럼을 비교한다. 24 리튬 원자가 전자 개 를 잃어 의 양이온인 리튬 이온이 된다. 1 - 25 + +1 + 2 Pb 2I @@A a 2 PbI 정답과 해설 11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11 17. 5. 15. 오후 4:24 이며, 산소는 생물의 호 는 원자핵의 ( )전하량 전자의 총 ( )전하량이므로 진도 교재 01 (가)는 탈레스, (나)는 데모크리토스, (다)는 라부아지에, (라)는 아리스토텔레스, (마)는 연금술사가 주장한 물질관이다. 02 전기 분해 실험 장치에 수산화 나트륨을 조금 넣어 녹인 물 )극에서는 산소 기 을 넣고 전류를 흘려 주면 물이 분해되어 ( 체가, ( )극에서는 수소 기체가 발생한다. + ㄱ. 원소는 더 이상 다른 물질로 분해되지 않는, 물질의 기본 성 - 분이다. 하지만 물은 수소와 산소로 분해되므로 원소가 아니다. ㄴ. ( )극에서는 산소 기체가 발생하므로 꺼져가는 향 불을 갖다 대면 다시 타오른다. 불을 가까이 할 때 ‘퍽’ 소리를 내 + 며 타는 기체는 ( ㄷ. ( )극과 ( )극에서 발생하는 수소 기체이다. : )극에서 기체는 - 의 부피비로 발생한다. + - 03 구리, 철, 나트륨, 리튬, 마그네슘, 수은은 원소이며, 물, 1 염화 수소, 산화 철, 과산화 수소는 화합물이다. 2 ① 구리의 원소 기호는 04 통하여 전선으로 이용된다. ② 탄소의 원소 기호는 극으로 이용된다. 산소의 원소 기호는 Cu C 이며, 구리는 전기가 잘 이며, 탄소는 연필심이나 건전지의 전 흡에 관여한다. ③ 수은의 원소 기호는 로 존재하는 금속으로 체온계에 이용된다. 규소의 원소 기호는 이며, 수은은 유일하게 상온에서 액체 O Hg 이며, 규소는 반도체의 회로에 이용된다. ④ 수소의 원소 기호는 왕복선의 연료로 이용된다. H Si 이며, 수소는 가장 가벼운 기체로 우주 05 부 금속 원소를 구별할 수 있다. ㄱ. 불꽃 반응 실험으로는 불꽃색을 나타내는 일 물질 불꽃색 06 ① 질산 칼륨 ③ 탄산 칼슘 ④ 염화 리튬 빨간색 ⑤ 질산 스트론튬 빨간색 보라색 주황색 원소 기호 K Ca Li Sr 07 리튬과 나트륨의 선 스펙트럼이 물질 (가)의 선 스펙트럼에 모두 합쳐져서 나타난다. 따라서 물질 (가)에는 리튬과 나트륨이 포함되어 있다. 08 보일은 사이의 빈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주장하였다. 자관 실험으로 공기가 공기를 이루는 입자와 입자 J ① 보일은 자관 실험으로 입자설을 주장하였다. ②, ③ 연속설에 대한 설명이다. ④ 공기를 이루는 입자의 크기는 변하지 않는다. J 는 원자핵으로, ( )전하를 띤다. 는 전자로, 원자핵 주위를 움직이고 있다. + 이고, 09 ① ② ③, ⑤ B 이다. 따라서 A 의 전하량은 의 수는 개이므로 전하량은 와 이며, 이 입자는 전 A 3 기적으로 중성이다. A -3 0 ④ 에 비해 질량이 매우 크다. 의 전하의 총합은 B +3 B 는 A B 10 원자가 전기적으로 중성인 이유는 원자핵의 ( 전자의 총 ( )전하량이 같기 때문이다. 원자핵에서 ( + 띠는 입자는 양성자이므로, 양성자와 전자의 수는 같다. + - )전하량과 )전하를 12 정답과 해설 11 ⑤ 양성자 수는 (가) 개 (나) 개 (다) 개 순이다. 구분 (가) 9 < 10 (나) < 11 (다) 모형 +9 +9 +9 +10 +10 +10 +11 +11 +11 원자핵의 전하 양성자 수(개) 전자 수(개) +9 9 10 +10 10 10 +11 11 10 전하량 비교 입자의 종류 원자핵의 ( 전하량 의 총 ( ) 전자 + )전하량 < 음이온 - 원자핵의 ( 전하량 의 총 ( ) 전자 + )전하량 = 원자 - 원자핵의 ( 전하량 의 총 ( ) 전자 + )전하량 > 양이온 - ① (가)는 양성자 수 전자 수이므로 음이온이다. ②, ④ (나)는 원자로,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 12 원자, 와 A 므로 음이온, B C 는 원자핵의 ( + 는 원자핵의 ( + )전하량 = )전하량 < 전자의 총 ( - 전자의 총 ( - )전하량이 )전하량 이므로 양이온이다. D + > - 의 음이온이 되는 과정을 나타 2 -2 개를 얻어 2-:전자 -:전자 개를 얻어 형성된 이온이다. 13 원자가 전자 낸 모형이므로, 이에 해당하는 이온식을 찾는다. ① ② ③ ④ ⑤ 개를 얻어 형성된 이온이다. 2 -:전자 1 2+:전자 개를 잃어 형성된 이온이다. 1 +:전자 개를 잃어 형성된 이온이다. 2 개를 얻어 형성된 이온이다. OH Ca O F 1 ① 칼슘 이온: + K 14 ③ 칼륨 이온: @>A ④ 플루오린화 이온: ⑤ 염화 이온: K K - F + - - Ca + @>A - @>A @>A F 2+ - Ca - + 2 개를 화학식으로 나타내면 Cl 2 이다. Cl + 15 ①, ② 물 분자 ③, ⑤ 물 분자 지며, 3 개는 수소 원자 개와 산소 원자 3H 개의 원자로 이루어진다. 1 개의 물 분자는 총 2 1 ④ 물 분자를 이루는 원자는 수소와 산소 두 종류이다. 개로 이루어 O 3 9 2)은 2+: - : 의 개수비로 결 ① 염화 리튬( )은 CaCl Ca Cl =1 - 2 : +: 의 개수비로 결 16 ② 염화 칼슘( 합한다. CaO 합한다. ③ 산화 칼슘( 한다. ④ 산화 마그네슘( 합한다. ⑤ 수산화 나트륨( 결합한다. 17 : 1 2 LiCl )은 Li 2+: Cl 2- =1 : 1 의 개수비로 결합 Ca )은 O 2+: =1 2- 1 : 의 개수비로 결 MgO Mg )은 O +: =1 - 1 : 의 개수비로 NaOH Na OH =1 1 ⑤ 2은 칼슘 이온( 2+)과 염화 이온( -)이 의 개수비로 결합하여 생성되어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Cl CaCl Ca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12 17. 5. 15. 오후 4:24 18 이온이 들어 있는 수용액에 전류를 흘려 주면 양이온은 )극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염화 이온 ( )극으로, 음이온은 ( -), 질산 이온( 2+), 칼륨 이온( 3-)은 ( + +)은 ( NO ( - ( Cl )극으로 이동하고, 구리 이온 )극으로 이동한다. + K +)과 염화 이온( - -)이 반응하여 흰색 앙금인 Cu 19 은 이온( 염화 은( AgCl )이 생성된다. Ag Cl Na+ Cl- Cl- Na+ Ag+ - NO3 ? - NO3 Ag+ - NO3 Na+ - NO3 Na+ AgCl AgCl (가) (나) (다) ④ 질산 이온( 3-)은 앙금을 생성하지 않는 이온으 로, 반응에 참여하지 않으므로 (나)와 (다)에서 개수가 같다. NO 20 ㄴ. (다)에서 황산 이온( 하여 흰색 앙금인 황산 칼슘( 42-)과 칼슘 이온( 4)이 생성된다. Ca SO 2+)이 반응 ㄱ. (가)에서는 앙금이 생성되지 않으며, (나)에서는 흰 CaSO 4)이 생성된다. 색 앙금인 황산 바륨( BaSO 2+) 이온과 황화 이온( 21 납( )이 생성된다. 또한 카드뮴 이온( 인 황화 납( Pb 2-)이 반응하면 노란색 앙금인 황화 카드뮴( 2-)이 반응하면 검은색 앙금 2+)과 황화 )이 생성 이온( S PbS 된다. S 2+)과 탄산 이온( 22 ① 조개 속의 진주는 칼슘 이온( 이 반응하여 생성된 탄산 칼슘( -)은 은 이온( ② 염화 이온( 화 은( Ag ③ 지하수를 보일러 용수로 오래 사용하면 보일러 관 안에 관석 이 생겨 열이 잘 전달되지 않는다. 관석은 지하수에 녹아 있는 +)과 반응하여 흰색 앙금인 염 3)이 주성분이다. Ca )이 생성된다. CaCO AgCl 32-) CO Cl 칼슘 이온과 탄산수소 이온이 가열에 의해 반응하여 생성된 흰 색 앙금인 탄산 칼슘( ④ 위나 장을 검사하기 위해 바륨( 4)을 복용한다. CaCO X 3)이 쌓인 것이다. 선 촬영을 할 때 조영제인 황산 ⑤ 지하수에 녹아 있는 칼슘 이온과 마그네슘 이온은 BaSO 탄산 이온으로 제거할 수 있다. 23 24 25 채점 기준 겉불꽃의 온도와 색깔을 모두 언급하여 옳게 서술 ⑴ 한 경우 불꽃색을 관찰하기 좋다고만 서술한 경우 ⑵ 선 스펙트럼을 언급하여 옳게 서술한 경우 채점 기준 전자의 개수, 양이온이 된다는 내용을 포함하여 옳게 서 술한 경우 전자를 잃고 이온이 된다고만 서술한 경우 채점 기준 알짜 이온 반응식을 옳게 나타낸 경우 알짜 이온 반응식을 옳게 나타내지 않은 경우 배점 50 % 25 % 50 % 배점 100 % 50 % 배점 100 % 0 % II 빛과 파동 1 빛과 색 진도 교재 ⇨ 53쪽 A 직진, 반사 B 분산, 합성, 빨간, 초록, 파란, 반사, 투과 1 빛의 직진 2 ㉠ 광원, ㉡ 반사 3 ㉠ 빨간색, ㉡ 초록 색, ㉢ 파란색 4 ⑴ 노란색 ⑵ 자홍색 ⑶ 청록색 5 ㄴ, ㄹ, ㅁ, ㅂ 6 ⑴ 빨간, 초록 ⑵ 파란 ⑶ 빨간, 초록 1 빛은 직진하기 때문에 빛이 나아가는 길에 물체가 있으면 빛 이 물체에 막혀 나아가지 못하므로 물체의 뒤쪽에 그림자가 생 긴다. 3 빛이 굴절하는 정도는 빨간색 파란색 순이다. 따 라서 가장 작게 굴절하는 ㉠이 빨간색, 가장 크게 굴절하는 ㉢이 파란색이다. 초록색 < < Cd CdS 5 ㄷ. 무지개는 햇빛이 공기 중의 작은 물방울에서 분산되어 나타 ㄱ. 일식은 빛의 직진에 의한 현상이다. 나는 현상이다. 6 ⑴ 햇빛 아래에서 빨간색 꽃과 초록색 잎은 각각 물체가 반 사하는 빛의 색인 빨간색, 초록색으로 보인다. ⑵ 파란색 유리는 파란색 빛만 투과(통과)시키고 나머지 빛은 흡 수한다. ⑶ 노란색 조명 아래에서 빨간색 사과는 빨간색 빛만 반사하고, 초록색 잎은 초록색 빛만 반사한다. 진도 교재 ⇨ 54 쪽 1 ㉠ 빨간색, ㉡ 초록색, ㉢ 파란색, ㉣ 초록색, ㉤ 검은 색, ㉥ 파란색 2 •노란색 조명 : 노란색 조명을 빨간색 옷에 비추면 빨간색 빛만 반사하여 빨간색으로 보인다. •파란색 조명 : 파란색 조명을 빨간색 옷에 비추면 반사하는 빛이 없으므로 검은색으로 보인다. 1 ㉠ 노란색(빨간색 초록색) 조명에서 빨간색 사과는 빨 + 간색 빛만 반사하므로 빨간색으로 보인다. ㉡ 청록색(초록색 반사하므로 초록색으로 보인다. ㉢ 자홍색(빨간색 반사하므로 파란색으로 보인다. + + 파란색) 조명에서 초록색 잎은 초록색 빛만 파란색) 조명에서 파란색 공은 파란색 빛만 정답과 해설 13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13 17. 5. 15. 오후 4:24 진도 교재 ⇨ 55~57 쪽 빨간색 초록색 노란색 + = 진도 교재 ㉣ 노란색 바나나는 빛의 한다. 따라서 초록색 조명에서 노란색 바나나는 초록색 빛만 반 원색 중 빨간색과 초록색 빛을 반사 3 사하므로 초록색으로 보인다. ㉤ 청록색 옷은 빛의 따라서 빨간색 조명에서 청록색 옷은 반사하는 빛이 없으므로 원색 중 초록색과 파란색 빛을 반사한다. 3 검은색으로 보인다. ㉥ 자홍색 상자는 빛의 다. 따라서 파란색 조명에서 자홍색 상자는 파란색 빛만 반사하 원색 중 빨간색과 파란색 빛을 반사한 3 므로 파란색으로 보인다. 2 노란색 빛은 빨간색과 초록색 빛이 합성된 빛이다. 채점 기준 노란색, 파란색 조명에서 보이는 옷의 색과 이유를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두 가지 조명 중 한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배점 % 100 50 % 01 ①, ③ 02 ⑤ 03 ④ 04 ⑤ 05 ⑤ 06 ② 07 ④ 08 ④ 09 ② 10 ③ 11 ⑤ 12 ② 13 ④ 14 ⑤ 15 광원에서 나온 빛이 책에서 반사된 후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책을 볼 수 있다. 16 빛의 색에 따 라 굴절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17 ⑴ •꽃의 색 : 검은색 •이유 : 빨간색 꽃에 초록색 조명을 비추면 초록색 빛 ⑵ •잎의 색 : 초록색 •이유 : 초록색 잎에 초록색 조명을 비추면 초록색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초록색으로 보인다. 18 •색 : : 빨간색, : 빨간색, : 검은색 •이유 : 노란 색 물체는 빨간색 조명 아래에서 빨간색 빛만 반사하므로 빨 A B C 간색으로 보인다. 파란색 조명 아래에서는 반사하는 빛이 없 어서 검은색으로 보인다. ① 달은 태양 빛을 반사시켜 빛을 내는 물체이므 01 로 광원이 아니다. ③ 거울은 빛을 반사시켜 물체의 모습을 비추어 보는 물체이므로 광원이 아니다. 02 빛은 한 물질 내에서 곧게 나아가는 성질이 있는데, 이를 빛의 직진이라고 한다. ⑤ 프리즘을 통과한 햇빛이 무지개 빛으로 나누어지는 것은 빛의 분산에 의한 현상이다. 03 물체가 보이는 이유는 광원에서 나온 빛이 물체에서 반사 되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이다. 04 ① 햇빛과 같은 백색광을 프리즘에 통과시키면 분산되어 여러 가지 색의 빛으로 나누어진다. 14 정답과 해설 A 는 가장 크게 굴절 는 가장 작게 굴절하는 빨간색 빛, ②, ③ 하는 보라색 빛이다. ④ 햇빛이 프리즘으로 들어갈 때와 공기 중으로 나올 때 굴절한다. ⑤ 프리즘의 얇은 쪽에서는 빛이 작게 굴절하고 두꺼운 쪽에서는 빛이 크게 굴절한다. 따라서 프리즘을 거꾸로 놓아 두 B 꺼운 쪽이 위로 가면 크게 굴절하는 가 작게 굴절하는 보다 위쪽에 나타난다. B A ① 빛은 합성할수록 밝아진다. 원색은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이다. 05 ② 빛의 ③ 빛의 3 ④ 빨간색과 파란색을 합성하면 자홍색이 된다. 3 원색을 모두 합성하면 흰색(백색광)이 된다. 06 자홍색 + = 파란색 D B 빨간색 파란색 A C 빨간색 초록색 초록색 파란색 청록색 + 빨간색 초록색 흰색(백색광) + = + 파란색 = 07 배우들은 흰 옷을 입고 있으므로 관객들이 볼 때는 배우들 의 옷이 옷에 비춰준 조명들이 합성된 색으로 보인다. 빨간색과 파란색을 합성하면 자홍색이 되고, 초록색과 파란색을 합성하면 청록색이 된다. 빛의 원색인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을 모두 합 성하면 흰색이 된다. 3 08 ①, ②, ③ 빛의 성색을 합성하면 백색광이 된다. (보색 관계) 3 ⑤ 빛의 원색이므로 합성하면 백색광이 된다. 원색 중 한 가지 색과 나머지 두 색의 합 원색 중에서 파란색이 빠져있기 때문에 빨간 ④ 빛의 3 3 09 ② 무지개는 빛의 분산에 의한 현상이다. 10 팽이를 빠르게 돌렸을 때 보이는 색은 윗면에 칠해진 색의 빛이 합성된 색이다. 그러므로 흰색에 가깝게 보이려면 보색 관 계이거나 빛의 원색인 색이 칠해져 있어야 한다. ㄴ. 청록색과 빨간색은 보색 관계이다. ㄷ. 빛의 3 원색이다. ㄱ. 자홍색과 보색 관계인 색은 초록색이다. 3 ㄹ. 빛의 원색 중에서 파란색이 빠져 있다. 3 11 ①, ② 모든 빛을 반사하면 흰색으로 보이고, 모든 빛을 흡 수하면 반사하는 빛이 없으므로 검은색으로 보인다. ③ 파란색 운동화는 파란색 빛만 반사한다. ④ 물체에 조명을 비추면 조명의 색 중 물체에서 반사된 빛으로 보이므로 조명에 따라 물체의 색이 다르게 보인다. ⑤ 노란색 셀로판지는 빨간색 빛과 초록색 빛을 투과시 킨다. 12 (가) 빨간색 조명을 빨간색 사과에 비추면 빨간색 빛만 반 사하여 빨간색으로 보인다. (나) 파란색 조명을 빨간색 사과에 비추면 반사할 빨간색 빛이 없으므로 검은색으로 보인다. 을 흡수하여 반사하는 빛이 없기 때문에 검은색으로 보인다. 색 빛과 노란색 빛을 합성해도 백색광이 되지 않는다.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14 17. 5. 15. 오후 4:24 (다) 노란색 조명은 빨간색과 초록색 빛이 합성된 빛이다. 노란 색 조명을 빨간색 사과에 비추면 빨간색 빛만 반사하여 빨간색 ④ 우리 눈에 들어오는 무지개 빛은 여러 개의 물방울 에서 굴절 → 반사 → 굴절된 빛으로, 두 번의 굴절과 한 번의 반 으로 보인다. 사가 일어난다. 13 ④ 노란색 빛은 빨간색 빛과 초록색 빛으로 이루 어져 있으므로 노란색 조명 아래에서 빨간색 장미는 빨간색 빛 02 ㄷ. 빛의 져 있어야 흰색을 표현할 수 있다. 3 원색인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 화소가 모두 켜 을 반사하여 빨간색으로, 초록색 잎은 초록색 빛을 반사하여 초 ㄱ. 화소는 빛의 원색인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으로 록색으로 보인다. 14 투명한 물체를 통해 볼 때는 물체가 투과시키는 빛의 색으 로 보인다. 사과에서 반사된 빨간색 빛은 초록색 셀로판지를 투 이루어져 있다. 3 ㄴ. 노란색은 빨간색과 초록색 빛이 합성된 빛이므로 노란색 꽃 잎 부분은 빨간색과 초록색 화소의 불이 켜져 있다. 과하지 못하므로 사과는 검은색으로 보인다. 노란색의 바나나는 빨간색 빛과 초록색 빛을 반사시키는데 그 중 초록색 빛만 셀로 03 그림자는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 빛 중 하나가 도달하지 않 는 빨간색 빛 는 곳에 생긴다. 는 초록색 빛, 는 파란색 빛, 판지를 투과해 초록색으로 보이게 된다. 15 16 제시된 단어 개를 모두 포함하여 옳게 서술한 경우 제시된 단어 중 개만 포함하여 서술한 경우 채점 기준 채점 기준 5 3 빛의 색에 따라 굴절하는 정도가 다르다고 서술한 경우 빛이 굴절해서라고 서술한 경우 17 빨간색 꽃은 빨간색 빛만 반사하고, 초록색 잎은 초록색 빛만 반사한다. 채점 기준 ⑴ ⑵ 꽃의 색과 이유를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꽃의 색이 검은색이라고만 쓴 경우 잎의 색과 이유를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잎의 색이 초록색이라고만 쓴 경우 18 빨간색과 파란색 빛이 동시에 비춰지는 색 옷은 빨간색 빛만 반사할 수 있다. B 지점에서도 노란 채점 기준 각 지점에서 보이는 색과 그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각 지점 중 옳게 쓴 한 지점당 부분 배점 배점 100 % 60 % 배점 100 % 50 % 배점 % 50 % 20 50 % 20 % 배점 100 % 20 % 이 도달하지 못해 생기는 그림자이다. 그림자의 색은 도달하지 B C A 않은 빛을 제외한 나머지 두 빛의 합성색이다. •그림자 빨간색 초록색 노란색 •그림자 A= 빨간색 파란색 + = 자홍색 •그림자 초록색 파란색 청록색 B= C= + + = =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 파란색 빛 가려짐 → 노란색으로 보임 A B 초록색 빛 가려짐 → 자홍색으로 보임 물체 C 빨간색 빛 가려짐 → 청록색으로 보임 2 빛의 반사와 굴절 a 반사, , 정반사, 난반사 B 평면, 볼록, 작고, 오목, 크고, 작고 = C 굴절, 속력 D 볼록, 크고, 작고, 오목, 작고 진도 교재 ⇨ 59, 61쪽 진도 교재 ⇨ 57쪽 01 ④ 02 ② 03 ③ )이 더 크게 굴절한다. 01 ① 무지개는 태양의 반대편에 생기므로 태양을 등지고 서 있어야 무지개를 볼 수 있다. ② 햇빛이 물방울로 들어갈 때나 나올 때 빨간색( ( ③ 햇빛이 공기 중의 물방울을 지날 때 분산되므로 물방울이 프 A 리즘 역할을 한다. ⑤ 하나의 물방울에서 분산되어 나오는 여러 색의 빛 중 한 가지 색의 빛만 우리 눈에 들어온다. 위쪽 물방울에서는 빨간색, 아래 )보다 보라색 B 쪽 물방울에서는 보라색 빛이 눈에 들어와서 무지개가 보인다. 1 ⑴ •입사각: •반사각: ⑵ 2 ⑴ × ⑵ ◯ ⑶ ◯ ⑷ × 3 B 4 ㉠ 퍼지게 하는, ㉡ 작고, ㉢ 모 C 60* 으는, ㉣ 거꾸로 선 5 ⑴ ㄱ, ㅁ, ㅂ ⑵ ㄴ, ㄷ, ㄹ 6 ⑴ cm 30 × ⑵ × ⑶ ◯ ⑷ ◯ ⑸ × 7 8 ㄱ, ㄹ 9 ②, ④ 10 ⑴ 오목 ⑵ 볼록 ⑶ 오목 ⑷ 볼록 ⑸ 오목 B 1 ⑴ 입사각은 법선과 입사 광선이 이루는 각이므로 반사각은 법선과 반사 광선이 이루는 각이므로 ⑵ ∠ 반사각의 크기는 항상 같으므로 반사각 °이므로 입사각 이다. 는 가 는 ° ° B °이다. 입사각과 이고, A 30 B 90 -30 C C °이다. =60 60 2 ⑵ 거울과 같이 매끄러운 표면에서는 (가)와 같은 정반사가 일어난다. 정답과 해설 15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15 17. 5. 15. 오후 4:24 ⑶ (나)와 같이 빛이 여러 방향으로 난반사하면 물체를 어느 방 향에서나 볼 수 있다. 1 ⑵ 반사 법칙에 의해 입사각과 반사각의 크기 는 항상 같아 입사각이 커질수록 반사각도 커진다. 빛이 굴절할 진도 교재 ⑴ (가)와 같이 빛이 일정한 방향으로 반사하는 것은 정 반사, (나)와 같이 빛이 여러 방향으로 반사하는 것은 난반사 이다. ⑷ 정반사와 난반사 모두에서 반사 법칙은 성립한다. 3 상에서 거울까지의 거리는 물체에서 거울까지의 거리와 같다. 5 ⑴ 볼록거울은 넓은 범위를 볼 수 있어 편의점의 감시거울, 도로의 안전거울, 자동차의 오른쪽 측면거울 등으로 이용한다. ⑵ ㄴ, ㄹ. 오목거울은 빛을 모아주는 특징이 있어 태양열 조리 기, 성화 채화 거울 등으로 이용한다. ㄷ. 오목거울은 빛을 한 방향으로 나아가게 하는 특징이 있어 자 동차 전조등으로 이용한다. ⑴ 굴절각은 굴절 광선과 법선이 이루는 각이다. 6 ⑵ 속력이 빠른 물질에서 느린 물질로 빛이 진행할 때는 입사각이 굴절각보다 크고, 속력이 느린 물질에서 빠른 물질로 빛이 진행 할 때는 굴절각이 입사각보다 크다. ⑸ 입사각이 같은 경우 굴절각이 작을수록 빛이 굴절하는 정도가 크다. 7 공기 중에서 물속으로 빛이 진행할 때에는 속력이 느린 물 쪽으로 빛이 굴절하므로 굴절각이 입사각보다 작아진다. 8 사에 의한 현상이다. ㄴ. 거울에 물체의 상이 비쳐 보이는 것은 빛의 반 ㄷ. 그림자는 빛이 물체에 막혀 물체 뒤쪽에 도달하지 못해 생기 는 것으로, 빛의 직진에 의한 현상이다. 9 빛이 진행하다가 렌즈를 만나면 렌즈의 두꺼운 쪽으로 굴절 한다. 따라서 볼록렌즈는 빛을 한 곳으로 모으고, 오목렌즈는 빛을 바깥쪽으로 퍼지게 한다. 볼록렌즈 오목렌즈 10 ⑴, ⑶ 볼록거울과 오목렌즈는 빛을 퍼지게 하고, 물체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실물보다 작고 바로 선 상이 생긴다. ⑵, ⑷ 오목거울과 볼록렌즈는 빛을 모아주고, 물체가 거울이나 렌즈와 가까이 있을 때 실물보다 큰 상이 생긴다. ⑸ 먼 곳이 잘 보이지 않는 시력 이상은 근시이다. 근시는 상이 망막 앞에 맺히므로 오목렌즈로 빛을 퍼지게 하여 상이 망막에 맺히게 한다. 때도 입사각이 커지면 굴절각은 커진다. ⑶ 공기 중에서보다 물속에서 빛의 속력이 느리고, 빛은 속력이 느 린 쪽으로 꺾인다. ⑷ 입사각이 같아도 빛이 입사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굴절각 의 크기는 다르다. 2 입사각, 반사각, 굴절각은 모두 광선과 법선이 이루는 각이다. 채점 기준 입사각, 반사각, 굴절각을 모두 옳게 짝지은 경우 두 가지만 옳게 짝지은 경우 한 가지만 옳게 짝지은 경우 3 반사 법칙에 의해 입사각과 반사각은 같고, 공기 중에서 물 로 입사할 때 굴절각은 입사각보다 작다. 채점 기준 입사각, 반사각, 굴절각의 관계를 모두 옳게 나타낸 경우 입사각과 반사각이 같은 것만 옳게 나타낸 경우 배점 100 % 60 % 30 % 배점 100 % 50 % 진도 교재 ⇨ 64~67쪽 01 ① 02 ① 03 ①, ④ 04 ③ 05 ③ 06 ② 07 ④ 08 ④ 09 ④ 10 ② 11 ② 12 ⑤ 13 ③ 14 ④ 15 ③ 16 ② 17 ⑤ 18 ⑤ 19 ① 20 ① 21 ⑤ 22 ⑴ •입사각 : •반사각 : ⑵ 빛이 반사할 때 입사 광선, 반사 광선, 법선은 한 평면 위에 있다. 30* 30* 입사각과 반사각의 크기는 항상 같다. 23 •거울의 종류 : 볼록거울 •이유 : 볼록거울을 이용하면 넓은 범위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24 물질에 따라 빛의 진행 속력이 다르기 때문이다. 25 해설 참조, 작고 거꾸로 선 상이 생긴다. 와 는 입사각, 는 반사각을 나타내므로 반사 법칙에 01 ②, ③ 의 크기는 항상 같다. 의해 B ④ 법선은 반사면인 거울 면과 수직인 선이다. ⑤ 입사각과 반사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입사각이 커지면 반사각도 커진다. B C C 사각은 이다. A 40° 50° 02 거울 에서의 입사각은 A 반사각도 B 이다. 40° 90°-40°=50° 에서의 입사각이 이고 반사각이 이므로 거울 50° 이다. 따라서 거울 에서의 50° 90°-50°=40° B 진도 교재 ⇨ 62 쪽 ① 가 이면 입사각은 이므로 반 ㉠ 반사, ㉡ 같다, ㉢ 굴절, ㉣ 커진다 1 ⑴ ◯ ⑵ × ⑶ × ⑷ × 2 ⑴ ⑵ ⑶ 3 입사각 반사각 굴절각 B C F = > 16 정답과 해설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16 17. 5. 15. 오후 4:24 03 ② (가)는 울퉁불퉁한 표면에서의 난반사이고, (나)는 매끄 러운 표면에서의 정반사이다. ③ 반사 법칙은 정반사와 난반사에서 모두 성립한다. ⑤ 영화관의 스크린은 (가)와 같이 표면이 울퉁불퉁하여 빛이 여러 방향으로 반사되므로 여러 방향에서 볼 수 있다. ① (가)는 반사면이 울퉁불퉁하여 반사면에 입사한 각 각의 광선의 입사각이 다르므로 반사각도 서로 다르다. ④ 잔잔한 수면에서는 (나)와 같은 정반사가 일어난다. 04 평면거울에 의한 상은 좌우가 바뀌어 보인다. 평면거울 05 평면거울에 비추어 볼 때 강아지에서 거울까지의 거리는 거울에서 상까지의 거리와 같다. 거울에서 상까지의 거리는 이므로 강아지와 상 사이의 거리는 이다. 06 아지와 크기가 같다. ② 평면거울에 비추어 본 강아지의 상은 실제 강 m+1 m=2 m 1 07 그림에서 거울에 생긴 상은 실물보다 작고 바로 선 상이다. 따라서 물체 앞에 놓인 거울이 볼록거울임을 알 수 있다. ① 볼록거울은 평행하게 입사한 빛을 초점에서 나온 것처럼 퍼 지게 하는 특징이 있다. ②, ⑤ 볼록거울은 평면거울보다 넓은 범위를 비출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오른쪽 측면거울, 도로의 안전거울, 편의점의 감시거울 등으로 이용한다. ③ 볼록거울로 물체를 보면 거리에 관계없이 항상 실물보다 작고 바로 선 상이 보인다. 꾸로 선 상이 보이는 것은 오목거울이다. 08 ① (가)는 거울 면이 볼록하고, 빛을 퍼지게 하므로 볼록거울 이다. (나)는 거울 면이 오목하고 빛을 모아주므로 오목거울이다. ② 볼록거울은 물체와 거울 사이의 거리에 관계없이 항상 작고 바로 선 상이 생긴다. ③ 거울에서 반사된 빛이 모이는 한 점을 초점이라고 한다. ⑤ 오목거울은 물체가 거울과 가까이 있을 때에는 실물보다 크고 바로 선 상이 생기고, 멀리 있을 때에는 실물보다 작고 거꾸로 선 상이 생긴다. ④ 자동차 전조등은 빛을 한 방향으로 멀리 나아가게 해야 하므로 오목거울인 (나)와 같은 거울을 이용한다. 보다 큰 상이 생긴다. 2 개를 이용한다. 10 ① 잠수함의 잠망경은 실물과 같은 모습을 보기 위해 평면 거울 ③ 편의점의 감시거울은 넓은 범위를 살펴보아야 하므로 볼록거 울을 이용한다. ④ 치과용 거울은 치아에 가까이 대고 볼 때 치아가 확대되어 보 여야 하므로 오목거울을 이용한다. ⑤ 등대의 반사판은 한 점에서 나온 빛이 한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오목거울을 이용한다. m 1 B=C>F 13 ③ 입사각이 같을 때 굴절하는 정도가 클수록 속력이 느리 다. 공기 중에서 입사한 빛이 물보다 유리에서 더 크게 굴절하였 ② 태양열 조리기는 빛을 한 곳으로 모으는 오목거울을 이용한다. 11 빛이 진행하다가 다른 물질을 만나 속력이 느려지면 입사 각보다 굴절각이 작아지지만 반대로 속력이 빨라지면 입사각보 다 굴절각이 커진다. 12 ⑤ 빛은 다른 물질로 진행할 때 속력이 느려지는 쪽으로 굴 절하게 된다. 물 쪽으로 진행 방향이 굴절되었으므로 물속에서 의 속력이 공기 중에서보다 느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① 법선과 입사광선 사이의 각인 가 입사각이다. ② 입사각이 커지면 굴절각도 커진다. ③, ④ 반사 법칙에 의해 입사각과 반사각의 크기는 같다. 공기 중에서 물로 입사했으므로 굴절각은 입사각보다 작다. 따라서 B 이다. 으므로 유리에서의 속력이 물에서의 속력보다 더 느리다. ① (가)와 (나)에서 입사각보다 굴절각이 더 작다. ② 굴절각은 (가)가 (나)보다 더 크다. ④ 빛의 속력은 공기 때보다 공기 중에서 유리로 진행할 때 속력의 차이가 더 커서 더 유리이다. 공기 중에서 물로 진행할 물 > > 크게 굴절했다. ⑤ 물질에 따라 빛의 속력이 다르기 때문에 빛이 굴절한다. 14 물속의 물고기를 물 밖에서 보면 빛이 굴절되기 때문에 실 제 위치보다 떠 보인다. 그러므로 물고기를 잡을 때는 보이는 위 치보다 아래쪽을 향해 작살을 던져야 한다. ② 빛의 속력은 물속보다 물 밖에서 빠르다. ③ 빛의 굴절 때문에 물고기는 실제보다 떠 보인다. ⑤ 레이저는 빛이므로 물속에 들어가며 굴절한다. 따라서 보이 는 위치를 향해 쏘아야 한다. 15 ③ 빛의 반사(정반사)에 의한 현상이다. 16 빛이 물속에서 공기 중으로 굴절하여 나올 때 굴절각이 입사각보다 크다. 굴절각 입사각 17 ⑤ (가)는 볼록렌즈로, 물체가 가까울 때에는 크고 바로 선 상, 멀 때에는 작고 거꾸로 선 상이 보인다. 따라서 상의 크기는 ① (가)는 볼록렌즈, (나)는 오목렌즈이다. ② (가)의 볼록렌즈로 가까이 있는 물체를 보면 실물보다 크고 바로 선 상이 보인다. ③ 원시 교정용 안경은 볼록렌즈인 (가)를 이용하여 만든다. ④ (나)와 같은 오목렌즈로 물체를 보면 항상 실물보다 작고 바 로 선 상이 보인다. 18 렌즈와 인형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도 거리에 관계없이 항상 실물보다 작고 바로 선 상이 보이므로 오목렌즈이다. ① 오목렌즈는 근시안을 교정하는 데 쓰인다. ② 오목렌즈는 가운데가 가장자리보다 얇다. 정답과 해설 17 09 얼굴과 거울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 때 평면거울은 얼굴과 같은 크기의 상, 볼록거울은 얼굴보다 작은 상, 오목거울은 얼굴 오목거울과 비슷하다. ④ 거울에서 멀리 있는 물체를 볼 때 실물보다 작고 거 ① 물고기는 보이는 위치보다 아래쪽에 있다.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17 17. 5. 15. 오후 4:24 진도 교재 ③ 오목렌즈는 볼록거울처럼 평행한 빛을 퍼지게 한다. ④ 망원경이나 현미경에서 상을 확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볼 록렌즈이다. 19 상이 망막의 앞에 맺히는 눈의 이상은 근시이다. 근시는 오 목렌즈로 만든 안경으로 빛을 퍼지게 하여 상이 망막에 맺히도 록 교정한다. 20 ① 오목거울과 볼록렌즈는 빛을 한 점에 모은다. ④ 볼록거울과 오목렌즈는 빛을 퍼지게 한다. 21 ③ 물체에서 나온 빛이 렌즈에서 굴절된 후 만나는 곳에 물 체의 상이 생긴다. ⑤ 볼록렌즈와 물체가 멀리 있는 경우 물체보다 작고 거꾸로 선 상이 생긴다. 22 ⑴ ∠ 사할 때 입사각과 반사각의 크기는 같으므로 반사각은 라면 입사각은 가 90*-60*=30* A 60* 이다. 빛이 반 채점 기준 입사각과 반사각을 모두 옳게 구한 경우 ⑴ 입사각만 옳게 구한 경우 제시된 단어를 모두 포함하여 반사 법칙을 모두 옳게 서 ⑵ 술한 경우 입사각과 반사각이 같다고만 서술한 경우 % 23 볼록거울은 넓은 범위를 한눈에 보아야 할 때 사용한다. 50 채점 기준 거울의 종류를 옳게 쓰고, 볼록거울을 이용하면 넓은 범위를 거울의 종류를 옳게 쓰고, 볼록거울의 상은 실물보다 작게 보 볼 수 있다고 서술한 경우 이기 때문이라고 서술한 경우 거울의 종류만 옳게 쓴 경우 난다. 채점 기준 빛의 진행 속력을 언급하여 옳게 서술한 경우 다른 물질로 진행하기 때문이라고만 쓴 경우 25 렌즈의 축과 평행하게 들어간 빛은 초점을 지나고, 렌즈의 중심을 향해 들어간 빛은 직진하도록 그린다. 두 광선이 만나는 지점에 물체의 상이 생긴다. 물체가 초점보다 멀리 있으므로 작 고 거꾸로 선 상이 생긴다. A 초점 초점 의 상 A 채점 기준 상을 작도하고 상의 크기와 모양을 옳게 서술한 경우 작도만 하거나 생기는 상의 크기와 모양만 서술한 경우 상의 크기와 모양 중 하나만 서술한 경우 이다 30* 배점 % 30 15 % 70 % 배점 % 100 70 % 50 % 배점 100 % 30 % 배점 % 100 % 50 30 % 18 정답과 해설 진도 교재 ⇨ 67쪽 01 ② 02 ③ 03 ④ 01 ① 빛이 공기 중에서 물속으로 입사할 때 입사각 는 굴절각 보다 크다. A 와 반사각 ③ 반사 법칙에 의해 입사각 B ④, ⑤ 빛이 물속에서 공기 중으로 입사할 때 속력이 느린 물 쪽 는 굴절각 으로 굴절하므로 입사각 ② 입사각 의 크기는 같다. 도 커진다. 보다 작다. 가 커지면 굴절각 F D E C • 물 → 공기: 입사각 굴절각 E< F A B 굴절각 F 입사각 A • 공기 → 물: 입사각 굴절각 A> B 굴절각 B D C 입사각 • 거울에서 반사: 입사각 반사각 입사각 E 반사각 거울 D 02 입사각이 같을 때 굴절각이 작을수록 굴절하는 정도가 큰 물 순이다. 빛의 것이므로 굴절하는 정도는 다이아몬드 유리 C= 속력은 굴절하는 정도가 작은 매질일수록 빠르므로 물 유리 > > 다이아몬드 순이다. > > 03 빛의 속력은 공기 중보다 유리에서 더 느리다. 빛은 속력이 느린 쪽으로 꺾이므로 유리 쪽으로 꺾이게 된다. 따라서 빛이 공 기 중에서 유리로 진행할 때는 굴절각이 입사각보다 작고 ( ), 유리에서 공기 중으로 진행할 때는 굴절각이 입사각보 다 크다( a>b ). c > ⑶ 2 Hz > 24 빛이 한 물질에서 다른 물질로 진행할 때 빛의 진행 속력이 다르면 두 물질의 경계면에서 진행 방향이 꺾이는 굴절이 일어 유리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18 17. 5. 15. 오후 4:24 ° °이고, 반사각은 입사각과 크기가 같으므로 07 ⑤ 08 ② 09 ① 10 ⑤ 11 ② 12 ② 1 질이 없는 진공에서는 전달되지 않는다. ① 소리는 매질을 통해서만 전달되는 파동으로, 매 2 ⑵ 빛, 전파 등은 매질 없이도 전달된다. ⑷ 파동이 전파될 때 매질은 제자리에서 진동만 한다. 3 ⑴ 마루는 가장 높은 곳이므로 ⑵ 골은 가장 낮은 곳이므로 이다. B ⑶ 파장은 이웃한 마루와 마루 사이의 거리이므로 ⑷ 진폭은 진동의 중심에서 마루 또는 골까지의 수직 거리이므로 이다. 이다. C E 이다. F 4 ⑴ 진폭은 진동 중심에서 마루나 골까지의 수직 거리이므로 이다. 파장은 이웃한 마루(골)와 마루(골) 사이의 거리이므로 이다. cm 2 ⑵ 파동이 4 이므로 주기는 cm A 초이다. B 1 에서 까지 파장 이동하는 동안 걸린 시간이 초 5 •주기 . 초 •진동수 =2 7 입사각은 파동의 진행 방향과 법선이 이루는 각으로 =0 5 Hz ° 주기 = 1 초 . = 1 0 5 2 초 (회) = 20 40 법선 =40 50 입사각 -50 8 파장이 길수록 물결파의 속 력이 빠르다. 그리고 물의 깊이 반사 가 깊을수록 물결파의 속력이 빠 각 의 파장이 의 파장보 르다. 다 길므로 A 의 속력이 B 의 속 A 파장 40 입사각 굴절각 진행 방향 경계면 력보다 빠르고, 물의 깊이도 가 보다 깊다. A B A B ⑴ 진공은 매질이 없어 소리가 전달되지 않는다. 10 ⑶ 소리는 입자의 진동에 의해 전달되므로 액체나 기체보다 입자 사이 거리가 가까운 고체에서 가장 빠르게 전달된다. ⑸ 소리의 이다. 요소는 소리의 크기, 소리의 높낮이, 소리의 맵시 3 11 ⑴ 가로축이 시간이므로 이웃한 마루와 마루 사이의 거리는 주기이다. 진동수는 주기의 역수와 같으므로 주기가 짧을수록 진동수가 크다. 따라서 진동수가 가장 큰 소리는 (다)이다. ⑵, ⑷ 진폭이 가장 큰 것은 (라)이고, 진폭이 가장 작은 것은 (가)이다. 진폭이 클수록 큰 소리가 나므로 가장 큰 소리는 (라) 이고, 가장 작은 소리는 (가)이다. ⑶ 진동수가 작을수록 낮은 소리가 난다. 진동수가 가장 작은 것은 주기가 가장 긴 (나)이다. 2 °이다. 90 B 파장 1 ⑵ 물결파가 반사될 때 물결파의 파장, 진동 수, 속력은 변함없다. ⑶ 유리판이 깔린 곳에서 물의 깊이가 얕아진다. ⑸ 물결파의 진동수는 파원에 의해 결정되므로 유리판 위에서 물결파가 굴절해도 변함없다. 2 유리판 위를 지날 때 물결파의 속력이 달라져서 굴절한다. 채점 기준 파동의 굴절이라고 옳게 서술한 경우 3 유리판 위를 지날 때 물의 깊이가 얕아지고 속력이 느려진다. 채점 기준 물결파의 속력이 느려진다고 옳게 서술한 경우 배점 100 % 배점 100 % 01 ② 02 ⑤ 03 ④ 04 ②, ⑤ 05 ③ 06 ① 진도 교재 ⇨ 73~77쪽 13 ⑤ 14 ④ 15 ⑤ 16 ③ 17 ④ 18 ⑤ 19 ③ 20 ④ 21 ⑤ 22 ③ 23 ⑤ 24 ③ 25 •파동의 종류:(가) 종파, (나) 횡파 •구별 하는 기준:종파는 파동의 진행 방향과 매질의 진동 방향이 나란하고, 횡파는 파동의 진행 방향과 매질의 진동 방향이 수 직이다. 26 ⑴ 진폭: , 파장: ⑵ 주기: 초, 진동수: . (3) 속력 10 cm 파장 진동수 cm 8 × . 4 0 / 25 27 물결파의 파장이 짧아지고, 속력은 느려 Hz \ 25 진다. 물의 깊이가 얕아졌기 때문이다. 28 소리는 온도 Hz=2 가 낮을수록 속력이 느리다. 낮 동안은 지면보다 상공의 온도 =8 cm cm = 0 s 가 낮아 소리가 위로 굴절한다. 29 •큰 소리:(가), 진폭 이 클수록 큰 소리가 나기 때문이다. •높은 소리:(다), 진동수 가 클수록 높은 소리가 나기 때문이다. 01 ② 소리(음파), 초음파의 매질은 고체, 액체, 기체 모두 가능 하고, 매질이 없는 진공 상태에서는 소리가 전달되지 않는다. ① 빛, 전파 등은 매질 없이도 전달된다. ③ 지진파의 매질은 땅(지각)이다. ④ 물결파의 매질은 물이다. ⑤ 용수철 파동의 매질은 용수철이다. 02 ⑤ 전자기파는 매질이 없어도 전파된다. 03 ④ 돌을 던져 물결파를 발생시켰을 때 돌이 어느 위치에 떨어지든 축구공은 매질인 물과 함께 제자리에서 위아래로 진동 진도 교재 ⇨ 72쪽 운동만 하고 이동하지 않는다. ① 물결파의 매질은 물이다. ㉠ 반사, ㉡ 속력, ㉢ 굴절 1 ⑴ ◯ ⑵ × ⑶ × ⑷ ◯ ⑸ × 2 파동의 굴절 3 유리판 위를 지나면서 물결파의 속력이 느려진다. ②, ③ 돌이 떨어진 지점인 파원을 중심으로 원모양의 파동이 만들어진다. ⑤ 물결파에 의해 공은 위아래로 진동 운동한다. 정답과 해설 19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19 17. 5. 15. 오후 4:24 진도 교재 ① 물결파의 진행 방향과 물의 진동 방향이 수직 04 이므로 물결파는 횡파이다. ③, ④ 물결파의 매질인 물이 제자리에서 위아래로 움직이므로 공도 위아래로만 움직인다. 05 위 치 ( ) m 1 0 -1 마루 A 파장 B 진폭 2 4 8 10 12 거리(m) 6 골 •파장: •진폭: 4 1 m m 초 (회) = 4 20 ⑤ 파동의 진행 방향과 진동 방향이 수직이므로 횡파이다. ③ 에서 까지 진행한 거리는 파장이다. 파동이 파장을 이동하는 데 걸린 시간이 주기이므로 주기는 초이다. A B 1 이다. 5 1 따라서 진동수 주기 = 1 초 = 1 5 . =0 2 Hz 06 주기는 회 진동하는 데 걸린 시간이므로 주기 1 초이고, 진동수 . 주기 = 1 . = 1 0 2 초 이다. =5 Hz =0 2 07 파장 진행하는 데 초가 걸렸으므로 파장 진행하는 데 1/4 걸린 시간인 주기는 2 초이고, 속력 파장 주기 1 초 = 8 m 8 = / 이다. =1 m s 8 08 ② (가)와 같이 용수철을 앞뒤로 흔들 때 파동의 진행 방향과 매질인 용수철의 진동 방향은 나란하다. ① (가)는 종파이고, (나)는 횡파이다. ③ (가)와 같은 종파의 파장은 빽빽한 곳에서 다음 빽빽한 곳 까지의 거리이므로 측정할 수 있다. ④ (가), (나) 모두 용수철을 빠르게 흔들수록 진동수가 커진다. ⑤ (가), (나) 모두 용수철을 세게 흔들수록 진폭이 커진다. 09 소리(음파), 초음파, 지진파의 파동이다. 물결파, 빛, 전파, 지진파의 P 파 등은 종파인 (가)와 같은 파 등은 횡파인 (나)와 같은 파동이다. S 10 ⑤ 물결파가 반사될 때는 파동의 진행 방향만 변하고 파장, 주기, 진폭, 진동수, 속력 등은 변하지 않는다. ① 물결파는 막대에 부딪혀 반사된다. ④ 막대에 수직인 선(법선)을 그었을 때 법선과 진행 방향 사이 의 각이 입사각이다. 따라서 입사각과 반사각은 °이다. 11 깊이가 얕아지면서 물결파가 굴절하기 때문이다. ② 파도가 해안선과 나란하게 들어오는 것은 물의 50 ④ 파장이 짧을수록 속력이 느리므로 (나)에서의 속력이 (가)에서 보다 느리다. 따라서 물결파는 속력이 느린 쪽으로 꺾인다. ⑤ 물의 깊이가 깊을수록 파동의 진행 속력이 빠르다. 따라서 물의 깊이는 진행 속력이 빠른 (가)가 (나)보다 깊다. ② (나)는 (가)보다 파장이 짧으므로 (가)에서 (나)로 진 행하면 속력이 느려진다. 13 물결파가 장이 짧아졌다. 따라서 B 쪽으로 굴절하였고, 보다 에서 물결파의 파 에서 물결파의 속력이 느려졌으며 물의 B A 깊이가 얕아졌음을 알 수 있다. 진동수는 파원에 의해 결정되므 B 로 파동이 굴절할 때 변하지 않는다. 14 ④ 소리는 낮에 위로 굴절하기 때문에 아파트 고층에 위치 한 집은 밤보다 낮에 소리가 더 크게 들리는 것이다. ①, ②, ③, ⑤ 파동의 반사에 의한 현상이다. 15 ⑤ 소리가 낮에 위로 굴절하고, 밤에 아래로 굴절하므로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는 속담을 과학적 의미로 설명할 수 있다. ① 소리의 굴절에 의한 현상이다. ② 소리는 속력이 느린 쪽으로 굴절한다. ③ 낮에는 지면의 온도가 상공보다 높으므로 위로 갈수록 속력이 느려진다. ④ 밤에는 지면이 상공보다 더 빨리 식으므로 상공 쪽의 온도가 지면 쪽보다 높다. 16 북을 치면 북의 가죽이 진동하여 북 주변의 공기가 진동하 게 되고, 공기의 진동이 우리 귀의 고막을 진동시킨다. 이 소리 를 청각 신경이 뇌로 전달한다. 17 ①, ② 북을 치면 북의 가죽이 진동하여 북 주변의 공기가 진동하게 되므로 소리가 전달된다. ③ 공기의 진동이 고막을 진동시키고, 고막의 진동이 청각 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되어 소리를 듣게 된다. ⑤ 종파는 매질이 진동하면서 빽빽한 부분(밀)과 듬성듬성한 부 분(소)이 나타난다. ④ 소리는 종파이므로 공기 입자가 진동하는 방향과 소 리가 진행하는 방향이 서로 나란하다. 18 소리는 매질이 고체, 액체, 기체일 때 모두 전달되지만, 매 질이 없을 때는 전달되지 않는다. 펌프로 공기를 모두 제거해 진 공 상태를 만들어 주었으므로 매질이 없어서 소리가 전달되지 않는다. 19 매질에 따른 소리의 속력은 고체 액체 기체 순이다. 20 ① 소리는 진행 방향과 공기의 진동 방향이 나란한 종파이다. ④ 소리의 속력은 매질의 온도가 높을수록 빠르다. > > 12 ① (나)의 파장이 (가)보다 짧다. ③ 파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파동의 진행 방향을 그렸을 때 입사각은 입 (가) 파장 (나) 파장 21 진동수가 작을수록 낮은 음을 낸다. 따라서 악보에서 가장 낮은 음을 내는 ‘람’의 진동수가 가장 작다. 사파의 진행 방향과 법선이, 굴절각은 입사각 굴절파의 진행 방향과 법선이 이루 는 각이다. 파동의 진행 방향이 (나) 쪽으로 꺾이므로 입사각이 굴절각보다 크다. 진행 방향 경계면 굴절각 22 파동의 진폭이 클수록 큰 소리가 나고, 진동수가 클수록 높은 소리가 난다. 23 같은 음이라도 악기에 따라 다르게 들리는 것은 소리의 파 형이 달라 소리의 맵시가 다르기 때문이다. 20 정답과 해설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20 17. 5. 15. 오후 4:24 24 주기 주기 주기 위 치 O 위 치 O 진 폭 위 치 O 진 폭 진 폭 01 ④ 02 ③ 03 ② 진도 교재 ⇨ 77쪽 26 ⑴ 진폭은 파동의 중심에서 마루 또는 골까지의 거리이므 이고, 파장은 이웃한 마루(골)와 마루(골) 사이의 거리 로 커져서 높은 소리가 난다. (가) (나) (다) ➡ 소리의 크기:(가) (나) (다) ➡ 소리의 높낮이:(가) = (다) > (나) ③ 소리의 크기는 (가)가 (다)보다 크고, (가)와 (다)는 = > 소리의 높낮이가 같다. 25 횡파와 종파는 파동의 진행 방향과 매질의 진동 방향이 어 떤 관계인지 알면 구별할 수 있다. 채점 기준 파동의 종류와 구별하는 기준을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파동의 종류만 옳게 서술한 경우 이므로 10 cm 이다. ⑵ 파동이 8 cm 1/4 진동수 주기 = 1 ⑶ ‘ 파동의 속력 초 = 1 파장 4 주기 파장 이동하는 데 초가 걸렸으므로 주기는 초이고, 1 . 이다. 4 =0 25 파장 Hz 진동수 ’ 로 구한다. = = \ 채점 기준 진폭과 파장을 옳게 구한 경우 진폭과 파장 중 하나만 옳게 구한 경우 주기와 진동수를 옳게 구한 경우 주기만 옳게 구한 경우 ⑴ ⑵ ⑶ 파동의 속력을 풀이 과정과 함께 옳게 구한 경우 속력이 / 라고만 쓴 경우 cm s 2 27 물의 깊이가 얕을수록 물결파의 속력은 느려진다. 파장과 속력의 변화를 옳게 비교하고 이유도 옳게 서술한 경우 파장과 속력의 변화만 옳게 비교한 경우 28 소리는 온도가 낮은 쪽으로 굴절한다. 채점 기준 소리가 굴절되는 방향을 낮 동안의 온도와 관련하여 옳게 서술 한 경우 낮에는 위로 굴절한다고만 서술한 경우 29 소리의 크기는 진폭, 소리의 높낮이는 진동수에 따라 달라 진다. 채점 기준 큰 소리와 높은 소리를 쓰고, 그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큰 소리는 (가), 높은 소리는 (다)라고만 쓴 경우 배점 100 % 50 % 배점 30 % 15 % 30 % 15 % 40 % 20 % 배점 100 % 50 % 배점 100 % 50 % 배점 100 % 40 % 01 ① 진폭은 파동의 중심에서 마루 또는 골까지의 거리이므 로 ② 파장은 가로축이 거리일 때 마루와 마루 사이의 거리이므로 이다. cm 4 이다. ③ 주기는 가로축이 시간일 때 마루와 마루 사이의 걸린 시간이 10 므로 cm . 초이다. . / 초 m 파장 주기 0 5 ⑤ 속력 = ④ 진동수 초 . cm =10 5 0 주기 = 1 . . = 0 1 5 0 . = 1 0 5 02 쇠자를 튕기는 세기는 소리의 크기와 관련이 있고, 쇠자의 길이는 소리의 높낮이와 관련이 있다. 튕기는 길이가 길수록 진 =2 Hz =0 m 초 2 s 동수가 작아져서 낮은 소리가 나고, 길이가 짧을수록 진동수가 ⑤ 이 실험에서 소리의 맵시는 변하지 않는다. 소리의 맵시가 변하려면 튕기는 자의 종류가 달라져야 한다. 03 (가)에서는 병 속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므로 물의 양이 적을수록 공기층이 많아 낮은 소리가 난다. (나)에서는 물 을 진동시켜 소리를 내므로 물의 양이 많을수록 진동이 작게 일어나 낮은 소리가 난다. 진도 교재 ⇨ 78~82쪽 01 ① 02 ① 03 ④ 04 ⑤ 05 ① 06 ② 07 ③ 08 ④ 09 ②, ⑤ 10 ④ 11 ③ 12 ③ 13 ① 14 ④ 15 ③ 16 ② 17 ③ 18 ② 19 ④ 20 ④ 21 ①, ④ 22 ⑤ 23 ③ 24 ④ 29 빨간색, 노란색 빛으로 보이려면 초록색 빛 과 빨간색 빛을 합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30 입사각: °, 반사각: °, 반사 법칙에 의해 입사각과 반사각의 크기는 같 50 으므로 입사각이 커지면 반사각도 커진다. 31 거울에 가까 50 이 다가가면 크고 바로 선 상이 생긴다. 32 초점보다 멀리 떨어진 지점에서는 실물보다 작고 거꾸로 선 상이 보인다. 초점보다 안쪽인 A 지점에서는 실물보다 크고 바로 선 상이 보인다. 33 오목렌즈, 근시는 상이 망막보다 앞에 맺히므 B 로 빛을 퍼지게 하는 오목렌즈를 이용해 상이 망막에 맺히게 교정한다. 34 파동의 굴절, 소리가 낮에는 위쪽으로 굴절 하고, 밤에는 아래쪽으로 굴절한다. 35 파동의 진폭이 작 아져서 소리의 크기가 작아진다. 정답과 해설 21 채점 기준 25 ③ 26 ④ 27 ② 28 ③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21 17. 5. 15. 오후 4:24 진도 교재 01 전등(광원)에서 나온 빛이 책에서 반사되어 우리 눈에 들어 오면 책을 보게 된다. 10 같으므로 반사각도 모두 같다. ④ 정반사할 때 표면이 매끄러워 입사각이 모두 원색 중 한 가지 색과 나머지 두 색의 합 림과 같으므로 시 분임을 알 수 있다. 11 평면거울에서는 좌우가 바뀌어 보인 다. 그려진 시계의 좌우를 바꾸어 보면 그 02 ① 빛은 합성할수록 밝아진다. 03 ㄱ, ㄹ, ㅁ. 빛의 성색을 합성하면 백색광이 된다.(보색 관계) 3 ㅅ. 빛의 원색이므로 합성하면 백색광이 된다. ㄴ. 초록색과 파란색 빛을 합성하면 청록색 빛이 된다. 3 ㄷ. 빨간색과 초록색 빛을 합성하면 노란색 빛이 된다. ㅂ. 파란색과 빨간색 빛을 합성하면 자홍색 빛이 된다. 04 ⑤ 검은색 물체는 모든 색의 빛을 흡수하여 반사하는 빛이 없으므로 검은색으로 보인다. ① 흰색 옷은 모든 색의 빛을 반사한다. ② 초록색 잎은 초록색 빛만 반사한다. ③ 빨간색 모자는 빨간색 빛만 반사한다. ④ 파란색 바지는 파란색 빛만 반사한다. 05 노란색 유리는 빨간색과 초록색 빛이 합성된 노란색 빛을 투과시키고, 초록색 유리는 빨간색과 초록색 빛 중 초록색 빛만 투과시킨다. 06 ㄴ. 초록색 나뭇잎은 초록색 빛만 반사하므로 파란색 조명 아래에서 반사하는 빛이 없어 검은색으로 보인다. ㄷ. 청록색 조명은 초록색과 파란색 빛이 합성되어 있는데 빨간 색 장미꽃은 빨간색 빛만 반사하므로 반사하는 빛이 없어 검은 ㄱ. 노란 조명에는 빨간색과 초록색 빛이 합성되어 있 고, 자홍색 티셔츠는 빨간색 빛과 파란색 빛을 반사하므로 빨간 색으로 보인다. 색으로 보인다. 9 28 12 ③ 볼록거울에는 거리와 관계없이 항상 실물보다 작고 바 로 선 상이 보인다. ① 평행하게 들어온 빛을 모으는 거울은 오목거울이다. ② 평행하게 들어온 빛을 퍼지게 하는 거울은 볼록거울이다. ④ 모든 거울에서는 정반사가 일어난다. ⑤ 평면거울에 의한 상은 실물과 크기가 같고 좌우가 바뀌어 보 인다. 13 잠망경에는 평면거울이 상이 원래 글자와 같은 모습으로 보인다. 2 2 개 들어 있어 빛이 번 반사되므로 14 주어진 그림의 거울은 멀리서 비추어 보았을 때 작고 거꾸로 선 상이 생기므로 오목거울이다. ④ 자동차 전조등은 한 점에서 나온 빛이 반사 후 한 방향으로 나아가게 하므로 오목거울이 사용된다. ① 넓은 부분을 볼 수 있는 것은 볼록거울이다. ② 오목거울은 평행한 빛을 초점에 모은다. ③ 반사 법칙은 항상 성립한다. ⑤ 오목거울에 물체를 가까이 놓으면 실물보다 크고 바로 선 상이 생긴다. 15 물체를 가까이서 비추어 보았을 때 작고 바로 선 상이 보이 는 것은 볼록거울, 크고 바로 선 상이 보이는 것은 오목거울이 다. 볼록거울이 이용되는 예로는 도로의 안전거울, 자동차 오른 ㄹ. 노란색 셀로판지는 빨간색과 초록색 빛을 투과할 수 있다. 쪽 측면 거울 등이 있고, 오목거울이 이용되는 예로는 성화 채화 노란색 바나나에서는 빨간색과 초록색 빛이 반사되어 모두 셀로 거울, 자동차 전조등 등이 있다. 잠망경에는 평면거울이 이용 판지를 투과하므로 그대로 노란색으로 보인다. 된다. ㅁ. 초록색 셀로판지는 초록색 빛만 투과할 수 있다. 청록색 공 은 초록색과 파란색 빛을 반사하므로 초록색 빛만 셀로판지를 투과해 초록색으로 보인다. 07 사과에서 반사된 빨간색 빛은 초록색 셀로판지를 투과하지 못하지만, 잎에서 반사된 초록색 빛은 초록색 셀로판지를 투과 한다. 따라서 사과는 검은색, 잎은 초록색으로 보인다. 햇빛 초록색 잎 초록색 반사 초록색 투과 빨간색 사과 빨간색 반사 초록색 셀로판지 16 행 속력이 느릴수록 빛이 굴절하는 정도는 크다. ② 빛은 속력이 느린 쪽으로 굴절하는데, 빛의 진 17 ① 빛이 공기에서 물로 진행할 때 굴절각은 유리로 진행할 때 굴절각은 이므로 물에서의 굴절각이 유리 , 공기에서 33° 에서의 굴절각보다 크다. ② 유리의 굴절하는 정도가 물보다 크므로 물에서 유리로 빛이 입사하면 유리 쪽으로 굴절된다. 따라서 입사각이 굴절각보다 25° 크다. ⑤ 굴절하는 정도가 클수록 빛의 진행 속력이 느리므로 다이아 몬드에서가 물에서보다 빛의 속력이 느리다. ③ 입사각이 같을 때 굴절각이 작을수록 굴절하는 정도 가 크므로 다이아몬드에서 굴절하는 정도가 유리에서 굴절하는 가 08 ∠ 할 때 입사각과 반사각의 크기는 같으므로 반사각은 °라면 입사각은 ° ° 90 -30 =60 A 30 °이다. 빛이 반사 정도보다 크다. °이다. 60 ② 반사 법칙은 항상 성립한다. 09 ⑤ 물체의 표면이 울퉁불퉁하여 각 지점에서의 법선이 나란하지 않아 각 지점에서의 입사각이 같지 않으므로 반사각도 같지 않다. 18 빛은 속력이 느린 쪽으로 꺾이게 된다. 쪽으로 꺾였으므로 빛의 속력은 행할 때 에서 로 빛이 진행할 때는 쪽으로 꺾였으므로 에서 로 빛이 진 에서 더 느리다. B A 보다 에서 B B 빛의 속력이 더 느리다. 그러므로 빛의 속력은 C B 이다. C B C A>B>C 22 정답과 해설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22 17. 5. 15. 오후 4:24 19 빛의 굴절에 의한 현상이다. ④ 물에 잠긴 다리가 실제보다 짧아 보이는 것은 20 평행하게 들어온 빛을 한 점으로 모으는 렌즈는 볼록렌즈 이다. ④ 볼록렌즈로 멀리 떨어진 물체를 보면 실물보다 작고 거꾸로 선 상이 보인다. ①, ②, ③, ⑤ 오목렌즈의 특징들이다. 볼록렌즈는 가 운데 부분이 두꺼운 렌즈로 가까이에 있는 물체는 크고 바로 선 상으로 보인다. 볼록렌즈는 원시를 교정할 때 사용된다. 초점 초점 상 상 21 볼록렌즈의 축에 나란하게 들어오는 빛은 렌즈의 초점을 지나고, 렌즈의 중심을 지나는 빛은 직진한다. ① ④ 초점 상 상 초점 상 상 초점 초점 28 ①, ②, ④, ⑤ 소리의 진동수가 달라서 높낮이가 다르기 때문이다. ③ 같은 높이의 음이라도 악기가 다르면 소리의 파형이 달라서 맵시가 다르기 때문에 다른 소리로 들린다. 29 채점 기준 빨간색을 쓰고, 그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빨간색만 옳게 쓴 경우 30 거울 로 입사하는 빛의 입사각은 °이다. A A 40 50 50 상 초점 물체 B 50 50 50 40 ▲ 물체가 멀리 있을 때 ▲ 물체가 가까이 있을 때 채점 기준 입사각과 반사각을 구하고 입사각이 커질 때 반사각의 변화를 22 파동이 전파할 때 이동하는 것은 에너지이고, 매질은 진동만 하고 이동하지 않는다. 초점 초점 상 초점 상 상 옳게 서술한 경우 입사각과 반사각의 크기만 옳게 구한 경우 상 초점 물체 m\2/3=10 초 . m 15 31 멀리 떨어져 있을 때 실물보다 작고 거꾸로 선 상이 보이는 거울은 오목거울이다. 23 파장은 마루에서 마루까지의 거리이므로 이다. . 초 동안 파장만큼 진행했으므로 주기는 초점 1/4 주기 1 상 초 = 1 2 0 5 초, 진동수 . 이다. 0 5 \4 =2 24 커진다. 진동수가 커지려면 더 빠르게 흔들어야 한다. Hz = ④ 같은 용수철을 더 세게 흔들면 파동의 진폭이 =0 5 25 ③ 속력이 빠른 매질에서 느린 매질로 입사하므로 물결파의 입사각은 굴절각보다 크다. ① 는 경계면과 입사파가 이루는 각이다. 입사각은 법선 ° B A 90 이다. 는 경계면과 굴절파가 이루는 각이다. 굴절각은 법선과 굴 -A 이다. 과 입사파가 이루는 각이므로 ② 절파가 이루는 각이므로 ④ (나)보다 (가)에서 파장이 더 길므로 물의 깊이는 (나)보다 (가)에서 깊다. ⑤ 물결파가 (가)에서 (나)로 진행할 때 물결파의 속력이 느려지기 때문에 굴절한다. -B 90 ° 26 ④ 파동은 속력이 느린 쪽으로 굴절하고, 소리는 온도가 낮 을수록 진행 속력이 느리다. 주어진 그림에서 소리가 위쪽으로 굴절하므로 위쪽으로 갈수록 속력이 느려지고, 온도가 낮아진다. ① 소리가 상공으로 굴절하는 현상은 주로 낮에 일어 난다. ② 소리의 굴절에 의한 현상이다. ⑤ 밤에는 소리가 지면 쪽으로 굴절하므로 낮보다 멀리서 나는 소리가 잘 들린다. 채점 기준 상의 크기와 모양을 옳게 서술한 경우 상의 크기와 모양 중 하나만 옳게 서술한 경우 32 볼록렌즈는 거리에 따라 상의 크기와 모양이 다르게 보 인다. 채점 기준 와 위치에서 상의 크기와 모양을 옳게 서술한 경우 A 와 B 중 하나만 옳게 서술한 경우 B A 33 근시는 상이 망막보다 앞에 맺히는 시력 이상이다. 채점 기준 렌즈의 종류와 사용하는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렌즈의 종류만 옳게 서술한 경우 34 파도가 육지에 가까이 올수록 물의 깊이가 얕아지므로 속 력이 느려져서 굴절하게 된다. 채점 기준 파동의 굴절을 쓰고, 그 예도 옳게 서술한 경우 파동의 굴절만 쓴 경우 35 볼륨을 줄이면 소리의 크기가 작아지고, 소리의 크기는 진 폭에 따라 달라진다. 채점 기준 배점 100 % 40 % 배점 100 % 50 % 배점 100 % 50 % 배점 100 % 50 % 배점 100 % 50 % 배점 100 % 50 % 배점 % 100 70 % 27 진동수가 클수록 높은 소리가 난다. 같은 시간동안 (가)가 가장 많이 진동하였으므로 가장 높은 소리이고, (나)와 (다)는 진 파동의 진폭과 소리의 크기를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파동의 진폭이 작아지는 것과 소리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 중 동수가 같으므로 같은 높이의 소리이다. 한 가지만 서술한 경우 정답과 해설 23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23 17. 5. 15. 오후 4:24 III 기권과 우리 생활 진도 교재 1 기권 진도 교재 ⇨ 87, 89, 91쪽 a 기권, 기온,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 오존층 B 태양 복사, 복사 평형, 온실 효과, 과잉, 부족 C 탄소 순환, 기권, 생물권, 기권, 지구 온난화, 화석 연료, 숲, 이산화 탄소 1 ⑴ :질소, :산소, : 아르곤, : 이산화 탄소 ⑵ 2 ⑴ × ⑵ ◯ ⑶ × ⑷ × ⑸ ◯ 3 ⑴ A D B C ㉣ ⑵ ㉡ ⑶ ㉠ D ⑷ ㉢ 4 ⑴ (가) 대류권, (나) 성층권, (다) 중간권, (라) 열 - - - 권 ⑵ (나), (라) ⑶ (가), (다) ⑷ (가) 5 ⑴ ◯ ⑵ × ⑶ × - ⑷ × ⑸ ◯ 6 ㉠ 같다, ㉡ 일정하다 7 ⑴ ㉠ , ㉡ ㉢ ⑵ 온실 효과 8 ⑴ (가) 태양 복사 에너지, (나) 지구 30 ㉡ ⑶ 대기, 해수 9 ⑴ 70 ㉣ ⑵ , ㉡ 복사 에너지 ⑵ ㉠ ㉢ 10 ⑴ B ⑵ A ⑶ ⑷ ⑸ , - 11 ⑤ - 70 ㉠ ⑷ ⑶ 12 ⑴ × ⑵ ◯ ⑶ ◯ 13 ㄷ, ㄹ, ㅂ A E - - F D B E 1 ⑴ 지구 대기는 수증기를 제외하고 질소, 산소, 아르곤, 이 산화 탄소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⑵ 식물의 광합성에 이용되는 것은 이산화 탄소( )이다. 2 ⑵ 대기는 대부분 지표 부근에 존재하며, 높이 올라갈수록 중력이 작아지므로 공기가 희박해진다. ⑸ 지구로 들어오는 자외선은 지구 대기의 오존층에 흡수된다. 높이 약 까지 분포한다. ⑴ 대기는 지표 D  ̄ ⑶ 수증기는 장소와 시간에 따라 양이 달라지므로 대기 조성을 나타낼 때 제외한다. ⑷ 대기는 순환하면서 저위도의 남는 에너지를 고위도로 운반하 여 저위도와 고위도 지방의 기온 차이를 줄여 준다. 1000 km 3 ⑴ 대류권에서는 대류가 일어나고 수증기가 존재하여 기상 현상이 일어난다. ⑵ 성층권에는 오존층이 존재하고, 대기가 안정하여 장거리 비 행기의 항로로 이용된다. ⑶ 중간권에서는 대류가 일어나지만 기상 현상은 일어나지 않 고, 유성이 나타난다. ⑷ 열권에서는 오로라가 나타나고, 인공위성의 궤도로 이용된다. 4 ⑴ 기권은 지표에서부터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의 층으로 구분한다. ⑵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높아지는 (나) 성층권과 (라) 열권은 위쪽에 가벼운 따뜻한 공기가 있고 아래쪽에 무거운 찬 공기가 개 4 있기 때문에 대기가 안정하다. ⑶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가) 대류권과 (다) 중간권 은 아래쪽에 가벼운 따뜻한 공기가 있고, 위쪽에 무거운 찬 공기 가 있기 때문에 대기가 불안정하여 대류가 잘 일어난다. 24 정답과 해설 ⑷ 대류가 일어나고 수증기가 존재하여 눈이나 비 등의 기상 현 상이 나타나는 층은 (가) 대류권이다. ⑵ 지구 복사 에너지란 지구가 방출하는 복사 에너 5 지를 말한다. ⑶ 지구의 표면 온도는 약 파장이 긴 적외선의 형태로 방출된다. *C ⑷ 태양 복사 에너지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등으로 방출되 며, 그 중 가시광선의 형태로 가장 많이 방출된다. 로, 지구 복사 에너지는 대부분 15 6 물체가 흡수하는 복사 에너지양과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양이 같아서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를 복사 평형이라고 한다. 7 대기와 지표에 의한 반사 A 방출량 흡수량 A=100 %-70 % %=30 B = 우주 =70 % 태양 복사 에너지 100 대기와 % 구름에 흡수 20 % 우주로 방출 우주로 방출 대기에 대기에 흡수 흡수 지표에 흡수 지표에 흡수 50 50 % 지표에서 지표에서 방출 방출 지표로 재방출 % 흡수량 기권 지표 % =20 %+50 %=70 중 는 지 는 대기와 구름에 흡수된다. 100 % ⑴ ㉠ 지구에 들어오는 태양 복사 에너지 표에 흡수되고, ㉡ 태양 복사 에너지 % 사된다. ㉢ 지구는 복사 평형을 이루므로 대기와 구름 및 지표에 흡수된 만큼 다시 지구에서 우주로 지구 복사 에 태양 복사 에너지 는 대기와 지표에 의해 반 100 % 30 % 50 % 중 20 너지가 방출된다. 70 % 8 ⑵ 저위도 지방은 흡수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이 방출하는 ), 고위도 지방 지구 복사 에너지양보다 많아서 에너지가 남고( 은 흡수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이 방출하는 지구 복사 에너지 A 양보다 적어서 에너지가 부족하다( ⑶ 대기와 해수가 저위도의 남는 에너지를 고위도로 운반하기 때문에 위도별로 연평균 기온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B ). 9 탄소는 지권에서 석회암이나 화석 연료의 형태로, 수권에서 탄산 이온의 형태로, 기권에서 이산화 탄소의 형태로, 생물권에 서 유기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10 호흡 E F 광합성 기권 생물권 화석 연료 생성 A 지권 B 화석 연료 연소, 화산 기체 분출 C 이산화 탄소가 물에 녹음 D 석회암 생성 수권 ⑴ 동물은 호흡으로 이산화 탄소를 방출한다.(생물권 → 기권) ⑵ 식물은 광합성으로 이산화 탄소를 흡수한다.(기권 → 생물권) ⑸ 기권의 탄소는 화석 연료 연소나 화산 기체 분출(지권 → 기 권), 생물의 호흡(생물권 → 기권) 등의 요인에 의해 증가한다. 11 지구 온난화의 가장 큰 원인은 산업 혁명 이후 화석 연료의 사용량 증가로 인한 대기 중 이산화 탄소의 양 증가이다.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24 17. 5. 15. 오후 4:24 진도 교재 ⇨ 92~93 쪽 도로 운반하기 때문이다. 12 인간의 활동에 의해 그 양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대기 중 이산화 는 온실기체 중 하나인 이산화 탄소로, ⑴ 기체 A 탄소 농도 증가로 인해 지구의 평균 기온이 상승하고 있다. 13 해수의 부피가 팽창하여 해수면이 상승한다. 해수면이 상승하면 ㄱ, ㄴ, ㅁ. 지구 온난화가 일어나면 빙하가 녹고 해안 저지대가 침수되어 육지 면적이 감소하고, 농경지 감소로 농작물 생산량도 감소한다. ㉠ 지구, ㉡ 복사 평형, ㉢ 지구 복사 에너지, ㉣ 복사 평형 1 ⑴ × ⑵ × ⑶ ◯ ⑷ ◯ ⑸ ◯ 2 (나) 3 컵의 에 너지 흡수량과 방출량은 같다. ㉠ 넓, ㉡ 적, ㉢ 지표면, ㉣ 낮, ㉤ 적 1 ⑴ ◯ ⑵ × ⑶ × ⑷ × ⑸ ◯ 2 (다), (나), (가) 3 고위도일수록 태양 고도가 낮기 때문에 단위 면적당 들 어오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이 적다. 1 ⑴ 컵 속 공기의 온도는 처음에는 높아지다 가 시간이 지나면 복사 평형에 도달하여 일정해진다. ⑵ 컵은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동시에 방출하는데, 는 에너지 흡수량이 방출량보다 많아서 온도가 상승한다. 분 이전에 22 3 (가) 구간에서는 에너지 흡수량이 방출량보다 많아서 컵 속 공기의 온도가 점점 높아지다가 (나) 구간에서는 에너지 흡수량 과 방출량이 같은 복사 평형에 도달하여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 된다. 채점 기준 에너지와 흡수량과 방출량이 같다고 서술한 경우 1 ⑵, ⑶ 손전등에서 방출되는 빛의 양이 일정 할 때, 손전등이 책상 면과 이루는 각도가 클수록 좁은 면적을 비추므로 단위 면적당 받는 빛의 양이 많다. 따라서 일 때보 일 때 단위 면적당 받는 빛의 양이 많다. 다 ⑷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고위도로 갈수록 태양 고도가 낮다. 45° 90° 2 손전등이 책상 면과 이루는 각도가 클수록 단위 면적당 들어 로 가장 큰 (다)가 단위 오는 빛의 양이 많다. 따라서 각도가 면적당 들어오는 빛의 양이 가장 많고, 각도가 로 가장 작은 90° (가)가 단위 면적당 들어오는 빛의 양이 가장 적다. 30° 3 지구가 둥글기 때문에 위도에 따라 태양의 고도가 다르다. 고위도일수록 태양 고도가 낮기 때문에 단위 면적당 들어오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이 적다. 채점 기준 고위도로 갈수록 태양 고도가 낮다고 서술한 경우 태양 고도가 다르다고만 서술한 경우 배점 100 % 30 % 진도 교재 ⇨ 94~97 쪽 01 ④ 02 ④ 03 ② 04 ② 05 ⑤ 06 ③ 07 ⑤ 08 ② 09 ③ 10 ⑤ 11 ④ 12 ④ 13 ③ 14 ③ 15 ⑤ 16 이산화 탄소 17 ③ 18 ③ 19 ③ 20 ⑴ :대류권, :중간권 ⑵ , 층(중간 권)은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므로 대류 현상은 일어 A C C C 나지만 수증기가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기상 현상이 일 어나지 않는다. 21 복사 평형, 컵이 흡수하는 에너지양과 방출하는 에너지양이 같아져서 복사 평형을 이루기 때문이다. 22 대기와 해수가 순환하면서 저위도의 남는 에너지를 고위 01 ① 지구의 대기는 여러 가지 기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질소 )을 차지한다. 와 산소가 대부분(약 ② 지구는 대기가 없을 때보다 있을 때 높은 온도에서 복사 평형 을 이룬다. 즉, 지구 대기는 지구의 기온을 높이고 이를 유지하 99 % 는 보온 효과를 일으킨다. ③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대기가 존재하는 영역을 기권이라고 하며, 대기는 지표로부터 높이 약 ⑤ 전체 대기의 약 1000 ④ 대기 중의 수증기는 그 양이 매우 적지만, 기상 현상 30 이내에 분포한다. 까지 분포한다. 가 높이 약 km km 99 % 을 일으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를 차지하는 는 질소이고, 약 02 지구 대기의 약 를 차지하는 는 산소이다. 산소는 생물의 호흡에 이용된다. 21 78 A % % B ③ 광합성에 이용되는 기체는 이산화 탄소이다. ⑤ 수증기를 제외한 기체들은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대기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거의 일정하다. 배점 100 % 03 기권은 높이에 따른 기온 변화에 따라 대류권, 성층권, 중 간권, 열권의 개 층으로 구분한다. 4 04 기권은 지표에서 가까운 곳에서부터 대류권, 성층권, 중간 권, 열권으로 구분한다. 05 ⑤ 열권( 매우 크다. D )은 공기가 매우 희박하여 낮과 밤의 기온 차가 ①, ② 전체 대기의 약 가 존재하는 층은 지 )이고, 대기가 안정하여 장거리 비 표에서 가장 가까운 대류권( % 행기의 항로로 주로 이용되는 층은 성층권( ④ 중간권( B 나타나며, 유성이 관측된다. 오로라는 열권( 75 ̄80 A C )이다. )에서는 중간권 계면 부근에서 기권 중 최저 기온이 )에서 나타나는 현 상이다. D 06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높아져서 안정한 층은 성층권과 열권이고, 그 중 오존층을 포함하고 있는 층은 성층권이다. 07 태양 복사 에너지는 지구계 에너지원의 대부분을 차지하 며, 물의 순환, 기상 현상, 광합성 등을 일으키는 주요한 에너지 원이다. 정답과 해설 25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25 17. 5. 15. 오후 4:24 ⑤ 화산 분출을 일으키는 에너지원은 지구 내부 에너지 ①, ② 는 생물이 호흡을 통해 이산화 탄소를 방출하 진도 교재 이다. 중 대기와 지표에 의해 반사 08 ① 태양 복사 에너지 )은 되는 양( 100 % ③ 지구는 복사 평형을 이루므로 지구에서 우주로 방출되는 지 A 30 % )은 지구에 흡수되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 구 복사 에너지양( 이다. 이다. )과 같다. 즉, D ( ④ (가)는 지구 대기가 지구 복사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했다가 B+C D=B+C=70 % 지표로 재방출하는 과정으로, 이로 인해 온실 효과가 나타난다. ⑤ 지구는 복사 에너지 흡수량과 방출량이 같으므로, 연평균 기 온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② 태양 복사 에너지양 중 는 대기와 지표 에 의해 반사되고, 나머지 ) 및 지표( )에 는 대기와 구름( 30 % 100 % B 70 % C 흡수된다. 09 ⑤ 전등과 컵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더 높은 온도에서 복사 평형이 이루어진다. ③ 컵 속 공기의 온도는 처음에는 점점 높아지지만 어 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컵에서 방출하는 에너지양과 흡수하는 에너지양이 같아져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10 온실 효과로 인해 지구는 대기가 없을 때보다 평균 기온이 높게 유지된다. 온실 효과를 일으키는 온실기체에는 수증기, 이 산화 탄소, 메테인 등이 있다. 11 ①, ② 지구가 둥글기 때문에 위도에 따라 태양 고 도가 다르다. 저위도일수록 태양 고도가 높고, 고위도일수록 태 양 고도가 낮다. ⑤ 태양 고도가 높을수록 단위 면적당 지표면에 들어오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이 많으므로 에너지양은 이다. 12 ㄴ. 단위 면적당 받는 빛의 양은 손전등과 책상 면이 이루 는 각이 큰 (가)가 (나)보다 많다. C>B>A ㄷ. (가)는 태양 고도가 높은 저위도 지역, (나)는 태양 고도가 낮 은 고위도 지역을 나타낸다. 는 면적이 좁다. ㄱ. 손전등과 책상 면이 이루는 각도가 클수록 빛을 받 13 ① 양보다 많으므로 에너지 과잉, A 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이 지구 복사 에너지 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이 지구 복사 에너지양보다 적으므로 에너지 부족이다. B ②, ⑤ 대기와 해수가 순환하면서 저위도 지방의 남는 에너지를 고위도 지방으로 운반하기 때문에 지구는 위도별로 온도가 계속 상승하거나 계속 하강하지 않고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④ 고위도 지역은 태양 복사 에너지양이 지구 복사 에너지양보 다 적다. 14 ① 지구계에 존재하는 탄소는 석회암의 형태로 지권에 가 장 많이 저장되어 있다. ② 수권에서는 탄소가 물에 녹아 탄산 이온의 형태로 존재한다. ③ 탄소 순환 과정에서 지구 전체의 탄소량은 거의 일 정하게 유지된다. 15 ⑤ 탄소는 다양한 형태로 지구계를 순환하지만 지구 전체 의 탄소량은 거의 일정하다. 26 정답과 해설 는 이산화 탄소가 물에 녹는 과정으로, 기권의 탄소가 수권 C 는 과정으로, 생물권의 탄소가 기권으로 이동한다. ③ 으로 이동한다. ④ 과정에 의해 기권의 탄소량이 증가한다. D , A C 화석 연료 A 연소 대기 중 이산화 탄소 광합성 B 호흡 C D 물에 녹음 발전소 식물식물 퇴적 화석 연료 산호 생물 흡수 석회암 퇴적 16 온실기체의 증가로 인해 온실 효과가 강화되어 지구의 평 균 기온이 점점 높아지는 현상을 지구 온난화라고 한다. 지구 온 난화의 가장 큰 원인은 화석 연료의 사용량 증가로 인한 대기 중 이산화 탄소 양의 증가이다. 17 ④ 최근 들어 대기 중 이산화 탄소의 농도가 급격히 증가한 것은 산업 발달로 화석 연료의 사용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⑤ 온실기체인 이산화 탄소의 대기 중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온 실 효과가 강화되어 지구의 평균 기온이 상승하고 있다. ③ 온실기체인 이산화 탄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온실 효과는 점차 강화될 것이다. 18 ①, ② 지구 온난화로 지구의 평균 기온이 상승하면 빙하 가 녹고 해수의 부피가 팽창하여 해수면이 상승한다. ④ 우리나라에서도 지구 온난화에 의한 환경 변화가 나타나는데, 동해에 아열대성 어종이 등장하고 한류성 어종이 감소하는 현상 이 대표적인 예이다. ③ 지구 온난화에 의해 해수면이 상승하면 해안 저지대 가 침수되어 육지의 면적이 감소한다. 19 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화석 연료의 사용량을 줄여야 한다. ③ 석탄, 석유는 화석 연료에 속한다. 지구 온난화 20 기상 현상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대류 현상이 일어나야 하 고, 수증기가 존재해야 한다. 대류 현상은 대류권과 중간권에서 모두 일어나지만, 중간권에는 수증기가 거의 존재하지 않아 기 상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채점 기준 , 를 고르고 이름을 모두 옳게 쓴 경우 A 를 고르고, 그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C C 만 옳게 고른 경우 ⑴ ⑵ C 21 복사 평형이란 물체가 흡수하는 복사 에너지양과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양이 같아서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이다. 채점 기준 복사 평형을 쓰고, 온도가 일정한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복사 평형만 쓴 경우 22 저위도 지역은 태양 복사 에너지양이 지구 복사 에너지양 보다 많아서 에너지 과잉 상태, 고위도 지역은 태양 복사 에너지 양이 지구 복사 에너지양보다 적어서 에너지 부족 상태이다. 배점 % 30 70 % 30 % 배점 100 % 30 %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26 17. 5. 15. 오후 4:24 이와 같이 위도별로는 에너지 불균형을 이루지만, 저위도의 남 는 에너지가 대기와 해수에 의해 고위도로 운반되어 위도별 연 평균 기온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채점 기준 대기와 해수의 역할과 에너지 이동 방향을 모두 포함하여 옳게 서술한 경우 대기와 해수의 역할만 언급하여 서술한 경우 배점 % 100 50 % 진도 교재 ⇨ 97쪽 ㉢ 약 15 ⑴ ㄱ, ㄹ, ㅁ ⑵ ㄴ, ㄷ, ㅂ 2 대기 중의 물 진도 교재 ⇨ 99, 101, 103쪽 a 증발, 응결 B 포화 상태, 포화 수증기량, 이슬점, 응결량 C 습도, ㉠ 포화, ㉡ 현재, 건습구 습도계, 습구, 습도, 이슬점 D 구름, 적운형 E 강수, 병합설, 빙정설 1 ⑴ 증발 ⑵ 응결 ⑶ 응결 ⑷ 응결 ⑸ 증발 2 ⑴ ◯ ⑵ × ⑶ × ⑷ × ⑸ ◯ 3 ㉠ 감소하고, ㉡ 일정하다 4 ⑴ ⑵ , , ⑶ , , ⑷ 5 ⑴ ⑵ . ⑶ , . A B , C D 6 ⑴ ㉠ D A C . , ㉡ D . ⑵ 20 14 7 10.6 8 7 14 10 ⑴ ◯ ⑵ × ⑶ ◯ 11 ⑴ ◯ ⑵ ◯ ⑶ × ⑷ ◯ 12 A :습도, 20 0 :기온, 7 :이슬점 B>A>C 9 4.1 14 7 50 % 76 % B C ㉠ 팽창, ㉡ 하강, ㉢ 응결 13 ㄱ, ㄷ 14 ㉠ 모양, ㉡ 강, 1 ⑵, ⑶, ⑷ 안개, 이슬, 물방울은 모두 공기가 냉각되어 응 결이 일어나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⑸ 더운 날 마당에 물을 뿌리면 물이 증발하면서 주위의 열을 흡 수하기 때문에 시원해진다. ⑵ 포화 수증기량은 기온에 따라 달라지는데, 기온 2 이 높을수록 포화 수증기량이 증가한다. ⑶, ⑷ 이슬점은 현재 수증기량이 많을수록 높다. 기온과 포화 수증기량은 이슬점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3 밀폐된 공간에서 기온만 낮아진 경우이므로 현재 수증기량 은 일정하고 이슬점도 일정하다. 기온이 낮아지면 포화 수증기 량은 감소한다. 4 ⑴, ⑵ 포화 수증기량 곡선 상에 있으면 포화 상태( , )이다. 포화 수증기량 곡선 아래에 있으면 불포화 상태( A ⑶ 포화 수증기량은 기온에 따라 달라지므로 기온이 같으면 포 B 공기의 포화 수증기량은 모두 화 수증기량도 같다. )이고, D C , , , . / 이다. D ⑷ 이슬점은 현재 수증기량에 따라 달라진다. 현재 수증기량이 20 적을수록 이슬점이 낮다. 0 g kg A C 01 ① 02 ② 01 ㄱ. 전열기는 태양, 구리판은 지표면에 비유된다. 지표면 부근은 지표에서 방출되는 지구 복사 에너지의 영향을 크게 받 고, 기권의 상층에서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즉, 와 는 전열기에서 방출되는 복사 에너지의 영향을, 와 는 구리판에서 방출되는 복사 에너지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C A B 보다 전열기에 가까이 있으므로 온도가 높다. 는 보다 구리판에서 멀리 있으므로 온도가 낮 는 ㄴ. D 바로알기 ㄷ. A B 다. C D ㄹ. 와 는 태양에 가까운 열권, 와 는 지표와 가까운 대 류권의 기온 분포를 설명할 수 있다. A B C D 02 흡수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 A B 방출하는 지구 복사 에너지 CO2 H2O CH4 지구 대기 C 대기가 재방출한 에너지 태양 복사 에너지 지구 복사 에너지 지표면 지표면 는 지구가 흡수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로, 태양 고도 차이로 ① 인해 위도별로 양이 달라진다. A ③, ④ 과를 일으킨다. 온실 효과를 일으키는 온실기체 중 하나인 이산 는 지구 대기가 지표로 재방출하는 에너지로, 온실 효 C 화 탄소의 농도가 증가하면 대기의 온실 효과가 강화되고, 의 양이 증가할 것이다. ⑤ 대기가 없는 경우 지표가 흡수한 태양 복사 에너지를 그대로 지구 복사 에너지로 방출하므로 온실 효과가 일어나는 현재보다 C 기온이 낮아질 것이다. 5 수 증 기 량 ( ) g kg 27.1 20.0 14.7 10.6 7.6 5.4 포화 수증기량 곡선 C의 포화 수증기량 C의 현재 수증기량 A B C의 응결량 C D 0 5 20 15 10 C의 이슬점 30 25 기온 ( ) C ② 는 우주로 방출되는 지구 복사 에너지로, 지구는 복사 평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의 양과 의 양이 같다. B 공기를 냉각시키면 포화 수증기량 곡선과 만나는 ⑴ 서 포화되어 응결이 시작되는데, 이때의 온도가 이슬점이다. 20 C *C 에 A B 정답과 해설 27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27 17. 5. 15. 오후 4:24 진도 교재 현재 수증기량 냉각된 온도에서 포화 수증기량 ⑵, ⑶ 응결량 • 공기의 현재 수증기량: = •냉각된 온도( 공기 의 응결량 *C 15 . - )에서 포화 수증기량: / 7 g kg 14 . kg 1 =14 7 g-10 포화 수증기량 곡선 C • 6 C . / . 6 g kg . 10 6 g=4 1 g 수 증 기 량 20.0 g ( ) kg 14.7 10.6 5.4 포화 수증기량 현재 수증기량 A C B 0 5 10 15 20 25 기온 ( C) . . 7 g 0 g / / kg kg 공기의 포화 수증기량은 . / 이고, 현재 수증기량 ⑴ 은 . A / 이다. kg 7 ∴ 상대 습도( 14 g ) 20 0 g kg 현재 수증기량 포화 수증기량 % = ⑵ 상대 습도는 포화 수증기량 곡선에 가까울수록 크다. 따라서 이다. 상대 습도의 크기는 \100 \100= 14 20 B>A>C 인 공기의 현재 수증기량은 / 이고, 포 7 기온이 화 수증기량은 약 *C 32 ∴ 상대 습도( ) % = / 이다. 30 g kg 현재 수증기량 포화 수증기량 8 습구 온도 곳의 값이 상대 습도이므로, =50 % 20 *C \100= 15 g 30 g 와 건구와 습구의 온도 차 이다. *C 3 kg g 15 / / kg kg \100 가 만나는 시경에 가장 높으므로 기온이고, 기온과 반 76 % 는 습도이다. 하루 동안 변화가 거의 없는 는 는 오후 9 대로 나타나는 B 이슬점이다. 2 ̄3 A C 10 ⑵ 맑은 날에는 수증기량이 거의 일정하다. 현재 수 증기량이 일정할 때 기온이 높을수록 포화 수증기량이 증가하므 진도 교재 ⇨ 104~105쪽 1 : . , : . , : . 2 A : , . 10 6 B : 5 . 4 , C : 5 . 4 3 A : 4 ㉠ A : B , 6 , ㉡ B 10 . 20 : C , 7 6 , ㉢ C . 10 . 10 14 7 . 4 , ㉢ 2 . 2 . 4 5 2 5 ㉠ 7 6 ㉠ 7 ㉠ 8 ⑴ . 6 , ㉡ 5 , ㉡ . 5 10 6 , ㉡ . 14 7 ⑵ 6 ⑻ C 10 ⑺ A . 10 6 , , 10 6 E E A ⑶ ⑷ , , ⑸ ⑹ , , ⑼ ㄴ, ㄷ, ㅂ D E C A B E A C D 8 ⑴ 세로축 값이 클수록 현재 수증기량이 많다. ⑵ 세로축 값이 같은 공기는 현재 수증기량이 같다. ⑶ 기온이 낮을수록 포화 수증기량도 적다. ⑷ 기온이 같으면 포화 수증기량이 같다. ⑸ 현재 수증기량이 많을수록 이슬점도 높다. ⑹ 현재 수증기량이 같으면 이슬점이 같다. ⑺ 포화 수증기량 곡선과 멀리 있을수록 상대 습도가 낮다. ⑻ 포화 수증기량 곡선과 가까이 있을수록 상대 습도가 높으며, 포화 수증기량 곡선 상에 있는 공기는 상대 습도가 ⑼ 이슬점과 응결량도 같다. E 공기는 세로축의 값, 즉 현재 수증기량이 같으므로 이다. 100 % D C , , 진도 교재 ⇨ 106쪽 로 습도가 낮아진다. 11 압이 낮아진다. ⑶ 공기 덩어리가 에서 로 상승하면 주변의 기 ㉠ 압축, ㉡ 팽창, ㉢ 상승, ㉣ 하강, ㉤ 응결핵, ㉥ 팽창, A B ㉦ 응결 12 공기가 상승하면 주위 기압이 낮아지면서 단열 팽창하여 기온이 낮아진다. 기온이 낮아지다가 이슬점에 도달하면 수증기 가 응결하여 구름이 생성된다. 13 ㄴ. 공기가 불어나가는 고기압 중심에서는 공기가 하강하 여 구름이 소멸된다. 구름은 공기가 상승하는 저기압 중심부에 1 ⑴ ◯ ⑵ ◯ ⑶ × ⑷ × 2 응결핵 3 페트병 내부 가 뿌옇게 흐려진다. 간이 가압 장치의 뚜껑을 열면 페트 병 내부의 공기가 단열 팽창하며 기온이 낮아져서 수증기 가 응결하기 때문이다. 서 생성된다. ㄹ. 공기가 산의 빗면을 타고 내려올 때는 단열 압축에 의해 구 1 ⑶ 간이 가압 장치의 압축 펌프를 누를 때는 단열 압축되어 기온이 상승하고, 뚜껑을 열 때는 단열 팽창되어 름이 소멸되며, 공기가 산을 타고 올라갈 때 구름이 생성된다. 기온이 하강한다. 따라서 구름 발생 원리와 같은 때는 뚜껑을 열 14 구름은 모양에 따라 구분할 수 있는데, 구름의 모양은 공기 의 상승 운동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공기의 상승 운동이 강할 때는 위로 솟은 모양의 적운형 구름이 생성되고, 공기의 상승 운 동이 약할 때는 옆으로 퍼지는 모양의 층운형 구름이 생성된다. 15 ⑴ 저위도 지방에서 생성된 구름이며, 물방울과 물방울이 합쳐져서 따뜻한 비가 내리는 병합설을 나타낸 것이다. ⑵ 중위도나 고위도 지방에서 생성된 구름이며, 빙정에 수증기 가 달라붙어 눈 또는 찬비가 내리는 빙정설을 나타낸 것이다. 때이다. ⑷ 향 연기는 응결이 더 잘 일어나도록 돕는다. 2 향 연기는 수증기의 응결이 잘 일어나도록 도와주는 응결핵 역할을 하기 때문에 향 연기를 넣고 실험하면 향 연기가 없을 때 보다 페트병 내부가 더 흐려진다. 3 간이 가압 장치의 뚜껑을 열면 단열 팽창이 일어나 내부 공 기의 부피가 팽창하고 기온이 하강하여 수증기의 응결이 일어나 페트병 내부가 뿌옇게 흐려진다. 28 정답과 해설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28 17. 5. 15. 오후 4:24 채점 기준 이슬점은 해당 공기의 현재 수증기량에서 포화 수증기량 곡선과 나타나는 변화와 그 이유를 주어진 단어를 모두 포함하여 옳게 만나는 점의 기온을 읽으면 된다. 의 이슬점은 , 와 서술한 경우 명한 경우 변화가 나타나는 이유를 주어진 단어를 모두 포함하여 옳게 설 나타나는 변화를 옳게 서술하고 그 이유를 주어진 단어의 일부 만 포함하여 서술한 경우 나타나는 변화만 옳게 서술한 경우 배점 100 % 70 % 40 % 진도 교재 ⇨ 107~111쪽 01 ①, ⑤ 02 ③ 03 ③ 04 ② 05 ② 06 . ⑤ 07 ⑤ 08 / / kg 11 ② 12 ② 13 ④ 14 ③ 15 ② 16 ⑤ kg 17 ③ 18 ④ 19 ⑤ 20 ① 21 ⑤ 22 ② 09 ③ 10 ② g 3 5 g 10.6 \100 23 ④ 24 ③ 25 ⑴ 기온을 로 낮춘다, 수증기 / 을 공급한다. ⑵ 15 *C 26 ⑴ 9.4 g kg % ⑵ 습구 온도계의 구부를 감싼 젖은 헝겊에서 물이 증발할 때 \100=53 84 % 주위의 열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27 공기 중의 수증기량(이 / / kg g 10.6 kg g 20.0 슬점)은 거의 일정한데, 기온이 높을수록 포화 수증기량이 증 가하여 습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28 ⑴ 중위도나 고위 도 지역 ⑵ 과냉각 물방울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빙정에 달라 붙어 빙정이 성장한 후 떨어지며 녹아서 비가 된다. 01 ① 맑은 날 새벽에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낮아지면 응결이 일어나 안개가 생긴다. ②, ③, ④는 증발에 의한 현상이다. 02 ① 포화 수증기량은 기온에 따라 달라진다. 기온이 높을수 록 포화 수증기량이 증가한다. ④ 이슬점은 현재 수증기량에 따라 달라진다.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 즉 현재 수증기량이 많을수록 이슬점이 높아진다. ③ 포화 상태에서는 포화 수증기량과 현재 수증기량이 같다. 03 ③ (나)에서는 어느 정도 증발이 일어난 후 포화 상태가 되어 더 이상 비커에 담긴 물의 양에 변화가 없고, (가)에 서는 계속해서 증발이 일어나 비커의 물이 계속 줄어든다. 따라 서 (가)보다 (나) 비커에 더 많은 양의 물이 남아 있다. 04 수 증 기 량 g ( ) kg 30 20 포화 수증기량 곡선 27.1 g/kg A C D C 공기의 응결량 14.7 g/kg B 10 7.6 g/kg B, C 공기의 이슬점 5 0 D 공기의 이슬점 10 15 20 25 A 공기의 이슬점 30 기온( C) 의 이슬점은 , 의 이슬점은 이다. A 30 *C B C *C D 05 ② 포화 수증기량 곡선 상에 있는 로, 현재 수증기량과 포화 수증기량이 같다. 20 10 *C B 공기는 포화 수증기량 곡선 상에 있으므로 포화 ① 공기는 포화 상태이므 공기를 냉각시켜 포화 수증기량 곡선 C 이다. 20 *C 공기의 현재 수증기량은 . / 이고, 포화 수증기량은 g 공기는 기온이 같으므로 포화 수증기량이 같다. kg 7 6 C A 공기의 이슬점은 상태이다. ③ 과 만나는 점의 온도인 ④ . D ⑤ 27 1 A 06 서의 포화 수증기량은 C D 공기 이다. , kg , g / C kg 1 . . g 3 6 g / / kg kg 의 현재 수증기량은 . / 이고, 에 . / 이다. 따라서 g 14 . 7 / ( 온을 로 낮출 때의 응결량 kg 7 6 g . *C 이다. 10 kg=28 07 (가) 이슬점:현재 공기 중의 수증기량 점에서의 포화 수증기량과 같으므로 이슬점은 14 4 7 g = g 공기 kg C kg-7 . 4 g 6 의 기 *C )× 10 / kg kg 4 . / 은 이슬 이다. kg g . 로 낮출 때의 응결량:( 0 20 *C 25 / 20 0 g kg (나) 공기 의 기온을 . ) kg / 2 kg g -10 08 6 상대 습도( \2 ) . *C 15 kg=18 g 8 현재 수증기량 포화 수증기량 \100 공기는 포화 수증기량 곡선 상에 있으므로 포화 상태 \100= 5 10 = % 이다. 09 ① 이며, 상대 습도는 A ② 공기와 이 ④ C 많으므로 습도가 더 높다. 따라서 E 로 건구와 습구의 온도 차가 공기는 D B C 공기는 기온은 같지만 % 공기보다 많으므로 상대 습도가 더 높다. 100 B 공기와 기온은 같은데 공기보다 작다. D 공기의 현재 수증기량 공기보다 수증기량이 공기는 증발이 덜 일어나므 E ③ 공기는 공기와 수증기량은 같은데 공기보다 E 기온이 낮으므로 습도가 더 높다. 따라서 증발은 D C 공기에서 더 잘 일어난다. 공기보다 D C D 10 공기의 상대 습도( ) 현재 수증기량 포화 수증기량 . . 6 g 0 g / / kg kg D % = \100 = 7 20 11 현재 수증기량이 많을수록 이슬점이 높으므로, 이슬점은 (현재 현재 수증기량을 비교하면 된다. → \100=38 % 수증기량이 많은 순서) 포화 수증기량 곡선 상의 공기는 포화 상태(상대 습도 )이 B>A=C=D>E 고, 포화 수증기량 곡선 아래에 있는 공기는 불포화 상태이므로 100 % 상대 습도는 포화 수증기량 곡선에 가까운 정도를 비교하면 된 다. → (포화 수증기량 곡선에 가까운 순서) 속에 . 의 수증기가 들어 A>B>C>D>E 인 공기 12 기온이 있으므로 공기 속에는 수증기가 3 kg 30 *C 현재 수증기량 kg 1 포화 수증기량 ) 이 들어 있다. . g 8 31 . g 10 6 . 6 g \100= 10 1 g 27 / / kg kg \100 상대 습도( % = ≒39 % 정답과 해설 29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29 17. 5. 15. 오후 4:24 진도 교재 13 기온이 상대 습도 이고 상대 습도가 인 공기 중의 수증기량 25 *C 포화 수증기량 / / % 80 . =80/100\20 . / ( g 6 7 16 g 이므로 공기 0 kg=16 kg g 의 기온을 = \ 에서의 포화 수증기량은 100 로 낮출 때의 응결량 이다. *C 10 . *C 10 16 14 ③ 건구와 습구의 온도가 같을 때(건구와 습구의 온도 차가 일 때)는 습구에서 증발이 일어나지 않는 포화 상태로, 항상 / 2 kg kg-7 kg= \2 ) kg = 8 6 g g g . 상대 습도가 0 *C 이다. ① 습구 온도계를 감싼 헝겊에서 증발이 일어나며 주변 의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습구 온도는 건구 온도보다 항상 낮거 100 % 나 같다. ② 건조한 날일수록 증발이 활발하게 일어나므로 건구 온도와 습구 온도의 차이가 크다. ⑤ 습도표에서 습구 온도( 가 만나는 곳의 값을 읽으면 19 )와 건구와 습구의 온도 차( 이므로 상대 습도는 이다. *C 3 *C ) 15 밀폐된 방 안에서 기온만 높아진 경우이므로, 현재 수증기 량은 변하지 않고, 이슬점도 변하지 않는다. 즉, 현재 수증기량 76 76 % 은 일정한데 기온이 높아져 포화 수증기량이 증가하므로 상대 습도가 낮아진다. 는 16 ① 화와 반대로 나타나는 14 ̄15 B 수증기량은 거의 일정하므로 A ②, ③ 맑은 날에는 기온( 이슬점( 시경에 가장 높으므로 기온이고, 기온 변 는 습도이다. 또한, 맑은 날 공기 중의 는 이슬점이다. )과 습도( C ) 변화가 반대로 나타나고 B )이 거의 일정하다. 흐리거나 비 오는 날은 비교적 기온 A 과 습도의 변화가 작고 이슬점이 높다. ④ 하루 중 습도가 가장 낮을 때는 기온이 가장 높은 경이다. 시 C 14 ̄15 ⑤ 맑은 날에는 하루 동안 공기 중 수증기량의 변화가 작으므로 이슬점이 거의 일정하다. 17 ①, ② 높이 올라갈수록 주변의 기압이 낮아지므로 공기 덩어리가 상승하면 공기의 부피가 팽창한다. ③ 상승하는 공기는 구름의 밑면인 (나) 높이에서 포화 상태가 되어 응결이 일어난다. 18 공기가 상승하면 주위 기압이 낮아지므로 부피가 팽창(단 열 팽창)하면서 기온이 낮아지고, 이슬점에 도달하여 수증기가 응결하면 구름이 생성된다. 19 (가) 압축 펌프를 눌렀을 때 (나) 뚜껑을 열었을 때 기온 상승 내부의 변화 변화 없음(맑음) 기온 하강 내부의 변화 흐려짐 단열 압축 → 구름 소멸 단열 팽창 → 구름 생성 ⑤ 향 연기는 응결이 잘 일어나도록 돕는 응결핵 역할 을 하므로 페트병 안에 향 연기를 넣고 실험하면 (나)에서 페트 병 내부는 더 뿌옇게 흐려진다. 20 ① 지표 부근의 공기가 급격히 냉각되면 안개나 이슬이 생긴다. 구름은 지표 부근의 공기가 불균등하게 가열될 21 ①, ② (가)는 적운형 구름, (나)는 층운형 구름이다. ④ 구름은 모두 공기가 상승하는 경우에 생성된다. ⑤ (가)와 같은 적운형 구름은 공기의 상승 운동이 강할 때 생기고, (나)와 같은 층운형 구름은 공기의 상승 운동이 약할 때 생긴다. 22 ② 병합설은 기온이 높은 저위도 지방(열대 지방)에 내리는 비를 설명하는 강수 이론이다. ① 빙정설은 중위도나 고위도 지방에서 눈과 비가 내리 는 과정을 설명한다. ③ 중위도나 고위도 지방에 발달하는 구름에는 빙정과 과냉각 물방울이 포함되어 있다. ④, ⑤ 저위도 지방에서 발생하는 구름의 온도는 로 구름 입자가 모두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방울이 서로 이상이므 *C 0 충돌하면서 성장하여 빗방울을 만든다. 이러한 비를 따뜻한 비 라고 한다. 23 도나 고위도 지방에서 내리는 비는 빙정설로 설명된다. ④ 그림은 병합설의 원리를 나타낸 것으로, 중위 층에서는 과냉각 물방울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빙정에 24 ③ 달라붙어 빙정이 커지는데, 무거워진 빙정이 그대로 떨어지면 B 눈이 되고 떨어지다가 녹으면 비가 된다. ①, ⑤ 구름 속 기온이 이하인 구름에서 빙정의 성 장으로 비와 눈이 내린다는 이론을 빙정설이라고 한다. 빙정설 0 *C 층에는 빙정과 과냉각 물방울이 있 층에는 빙정만 있고, 은 중위도나 고위도 지방의 강수 이론이다. ② 으며, A ④ 구름 속 기온이 그대로 떨어지면 눈이 되고, 떨어지다가 녹으면 비가 된다. 층에는 물방울만 있다. 인 구간( -40 ̄0 *C 25 ⑴ 불포화 상태의 공기를 포화 상태로 만들려면 온도를 낮 추거나 수증기를 공급하면 된다. )에서 빙정이 커져서 B B C • 공기를 포화 수증기량 곡선과 만나는 지점인 까지 기 온을 낮춘다. A • 공기의 포화 수증기량은 . / 15 이고, 현재 수증기량은 *C . A / 이므로 포화 상태가 되려면 g kg . 20 0 ⑵ 상대 습도( 의 수증기가 더 필요하다. 10 6 ) g kg 0-10 / / kg kg 두 가지 방법을 수치를 언급하여 옳게 서술한 경우 현재 수증기량 포화 수증기량 20 . . 6 g 0 g =10 20 채점 기준 = % . . / 6=9 4 g kg ( ) =53 % 배점 ⑴ ⑵ 두 가지 방법을 수치를 언급하지 않고 옳게 서술한 경우 한 가지 방법만 수치를 언급하여 옳게 서술한 경우 상대 습도를 구하는 식과 그 값을 옳게 서술한 경우 상대 습도를 구하는 식만 옳게 서술한 경우 % % 50 25 50 % 26 ⑴ 건구 온도는 현재 기온과 같으므로 도는 이다. 습도표에서 습구 온도( 온도 차( 25 *C )가 만나는 곳의 값을 읽으면 25 이다. 2 *C 는 ⑵ 습구 온도계의 구부를 감싼 젖은 헝겊에서 물이 증발하면서 주위의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습구 온도는 건구 온도보다 항상 84 84 % % 25 이고, 습구 온 )와 건구와 습구의 *C 이므로 상대 습도 27 *C 때 공기가 가벼워져 상승하면서 생성된다. 낮거나 같게 된다. 30 정답과 해설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30 17. 5. 15. 오후 4:24 배점 50 % 50 % 25 % 배점 % 100 50 % 배점 20 % 80 % 40 % B ( ) 100 습 도 90 80 70 60 50 40 % 채점 기준 ⑴ 습도표를 이용하여 교실의 상대 습도를 옳게 구한 경우 습구 온도계의 구부를 감싼 젖은 헝겊에서 물이 증발할 ⑵ 때 열을 흡수한다는 내용을 포함하여 옳게 서술한 경우 물이 증발할 때 열을 흡수한다고만 서술한 경우 27 맑은 날에는 공기 중의 수증기량에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 에 이슬점이 하루 동안 거의 일정하게 나타난다. 이슬점이 일정 할 때 기온이 높아지면 포화 수증기량이 증가하여 습도가 낮아 지므로 기온과 습도의 변화가 반대로 나타난다. 채점 기준 하루 동안 수증기량이 일정하다는 내용을 포함하여 기온과 포 화 수증기량의 관계를 옳게 서술한 경우 기온과 포화 수증기량의 관계만 서술한 경우 28 중위도나 고위도 지방에서 발달한 구름의 온도가 )에서는 과냉각 물방울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빙 -40 ̄ 인 구간( 정에 달라붙어 빙정이 점점 커진다. 0 *C A 채점 기준 ⑴ 구름이 발달하는 지역을 옳게 쓴 경우 ‘과냉각 물방울에서 증발한 수증기’, ‘수증기가 빙정에 달 라붙어 커짐’이라는 내용을 모두 포함하여 옳게 서술한 ⑵ 경우 수증기가 빙정에 달라붙어 성장한다고만 서술한 경우 진도 교재 ⇨ 111쪽 01 ③ 02 , 03 ③ A B 01 현재 수증기량은 이슬점에서의 포화 수증기량과 같다. 따 라서 상대 습도( ) 이슬점( 현재 기온( % 15 *C 25 *C = )에서의 포화 수증기량( )에서의 포화 수증기량( 10 ) . / . 6 g 0 20 / kg g kg ) \100 는 건구 온도와 습구 온도가 같으므로 포화 상태이다. %02 =53 건구와 습구의 온도 차가 가장 크므로 증발이 가장 잘 일어난다. 는 습도가 높다. 기온 이슬점 습도 A 맑은 날 흐린 날 B 3 9 15 21 3 9 15 21 이슬점이 높다. 3 C 비 오는 날 21 시각(시) 9 15 ② 맑은 날은 공기 중의 수증기량이 거의 일정하므로 기온과 습 도의 변화가 반대로 나타난다. ④, ⑤ 비 오는 날은 공기 중의 수증기량이 많기 때문에 이슬점 이 높으며, 습도가 가장 높다. ③ 맑은 날은 비 오는 날에 비해 기온과 습도의 일변화 가 크다. 03 A 온 도 ( ) C 30 25 20 15 10 5 0 3 기압과 바람 진도 교재 ⇨ 113, 115쪽 a 기압, 수은 B 바람, 기압 차, 높, 낮, 해륙풍, 계절풍 C 대기 대순환, 무역풍, 편서풍, 극동풍 1 ⑴ ◯ ⑵ × ⑶ × ⑷ ◯ ⑸ ◯ 2 ⑴ ◯ ⑵ ◯ ⑶ × ⑷ × 3 ㉠ 일정하고, ㉡ 일정하다 4 낮아진다 5 ㉠ , ㉡ , ㉢ 6 ⑴ ⑵ ⑶ , 7 ⑴ → ⑵ 1013 육풍 ⑶ 밤 ⑷ 76 9 ㉠ 태양 복사 에너지양, ㉡ 자전, ㉢ 8 ⑴ A ⑸ 10 , B < > B C ⑵ (가), 남동 계절풍 A B 10 ⑴ ㉢ ⑵ ㉠ ⑶ ㉡ 11 ⑴ ◯ ⑵ × ⑶ ◯ ⑷ × 3 - - - 1 ⑷ 대기는 계속 움직이므로 기압은 시간이나 장소에 따라 변한다. ⑵ 기압은 같은 크기로 모든 방향에서 작용한다. ⑶ 높이 올라갈수록 공기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기압이 낮아 진다. 2 을 사용하여 실험하면 물기둥의 높이는 ⑷ 물은 수은보다 밀도가 작기 때문에 수은 대신 물 보다 높아진다. 3 토리첼리의 실험에서 기압이 일정하면 유리관의 기울기나 굵기에 관계없이 수은 기둥의 높이는 일정하다. h 4 높은 산에서 토리첼리의 실험을 하면 기압이 낮으므로 수은 기둥의 높이( )가 낮아진다. 기압 h 물기둥 약 의 압력 1 =76 cmHg=1013 hPa= 10 m 5 6 공기 상승 공기 하강 바람의 방향 기압이 낮다. A 지표면 B 기압이 높다. 는 가열되어 공기가 상승하므로 기압이 낮고, 는 냉각되어 공기가 하강하므로 기압이 높다. 바람은 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 A 은 곳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이므로, 이 지역 B 에서 바람은 → 로 분다. B A 7 그림에서 바람이 육지에서 바다로 불고 있으므로 바람의 이 름은 육풍이며, 육풍은 밤에 분다. 또한 바다 위에서는 공기가 상승하고, 육지 위에서는 공기가 하강하고 있으므로 기온은 바 다가 육지보다 높고, 기압은 육지가 바다보다 높다. 8 A 기압이 낮음 기압이 높음 C B 기압이 높음 기압이 낮음 D (가) 남동 계절풍 (나) 북서 계절풍 정답과 해설 31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31 17. 5. 15. 오후 4:24 진도 교재 여름철에는 대륙이 해양보다 빨리 가열되므로 상대적으로 기압 이 높은 해양( )에서 대륙( ) 쪽으로 (가)와 같은 남동 계절풍이 불고, 겨울철에는 대륙이 해양보다 빨리 냉각되므로 상대적으로 B A )에서 해양( ) 쪽으로 (나)와 같은 북서 계절 기압이 높은 대륙( 풍이 분다. C D 9 위도에 따른 복사 에너지의 불균형에 의해 대기 대순환이 일 어나며, 지구의 자전 때문에 대기 대순환이 적도와 극 사이에 개로 나뉜다. 10 (위도 극)에서는 극동풍이 불고, (위도 )에서는 편서풍이 분다. 60° ̄ A (적도 위도 )에서는 무역풍이 30° ̄ B 분다. 60° 11 ⑴ 대기 대순환에 의해 지표 부근에서 지속적으로 부는 바 람이 나타나고, 이러한 바람에 의해 해양에서는 표층 해류가 발 30°  ̄ C 생하며, 표층 해류가 이어져 표층 순환이 나타난다. ⑵ 북적도 해류는 북동 무역풍에 의해 발생한다. ⑷ 대기와 해수의 순환을 통해 저위도의 남는 에너지가 고위도 로 운반된다. 진도 교재 ⇨ 118~121쪽 01 ④ 02 ⑤ 03 ① 04 ⑤ 05 ① 06 ⑤ 07 ⑤ 08 ③, ⑤ 09 ④ 10 ⑤ 11 ⑤ 12 ② 13 ④ 14 ① 15 ⑤ 16 ② 17 ③ 18 ⑤ 19 낮아진다. 높이 올라갈수록 기압이 낮아지 기 때문이다. 20 바다 육지, 육지에서 바다로 분다. 3 21 ⑴ 편서풍 ⑵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이다. < 01 에 따라 달라진다. ④ 대기는 계속 움직이므로 기압은 시간이나 장소 02 되는데, 이는 수증기의 응결에 의한 현상이다. ⑤ 추운 겨울 날 실내에 들어오면 안경이 뿌옇게 03 페트병을 찬물에 담그면 수증기가 응결하여 페트병 내부의 기압이 외부 기압보다 낮아진다. 기압은 모든 방향에서 같은 크 기로 작용하므로 페트병은 모든 방향으로 찌그러지게 된다. 부분은 공기가 완전히 비어 있는 진공 상태이다. 04 ① ② 수은 기둥의 높이 A 라고 한다. 따라서 이 지역의 기압은 현재 ③ 높은 산에 올라가면 기압이 낮아지므로 높은 산에서 실험을 하면 수은 기둥의 높이는 에 해당하는 대기 압력을 보다 낮아진다. 기압이다. 기압이 cm 76 1 1 ⑤ 수은이 물보다 약 cm 76 . 배 무거우므로 기압일 때 수은 대신 물을 사용하면 물기둥의 높이는 13 6 . m 1 76 cm\13 6 10 m 05 기압이 일정하면 굵은 유리관을 사용하여 실험하거나 유리 관을 기울이더라도 수은 기둥의 높이가 변하지 않는다. 물기둥 약 의 압력 06 기압 공기 기둥 약 =76 1 의 압력 cmHg=1013 km 1000 hPa= 10 m = 07 ㄴ, ㄹ. 바람이 부는 직접적인 원인은 두 지점의 기압 차이 로, 기압 차이가 클수록 바람의 세기가 강하다. ㄷ. 풍향은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말한다. 따라서 동쪽에서 서 쪽으로 부는 바람은 동풍이다. 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이다. ㄱ. 바람은 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수평 방향 진도 교재 ⇨ 116쪽 가 될 것이다. ㉠ 모래, ㉡ 물, ㉢ 육지(대륙), ㉣ 바다(해양), ㉤ 육지(대 륙), ㉥ 바다(해양) 1 ⑴ ◯ ⑵ ◯ ⑶ × ⑷ × ⑸ ◯ 2 물 → 모래, 전등 을 켜고 가열하면 모래 쪽 온도가 물 쪽 온도보다 높아져 상대적으로 기압이 높은 물 쪽에서 모래 쪽으로 향 연기 가 이동한다. 3 해풍 1 ⑶ 전등을 켜고 가열하면 모래가 물보다 빨 리 가열되어 모래 쪽에서는 공기가 상승, 물 쪽에서는 공기가 하 강한다. 따라서 모래 쪽이 물 쪽보다 기압이 낮다. ⑷ 전등을 끄고 냉각시키면 모래가 물보다 빨리 냉각되므로 상 대적으로 기압이 높은 모래 쪽에서 기압이 낮은 물 쪽으로 향 연 08 기가 이동한다. 2 지표의 성질에 따른 기온 차이로 발생한 기압 차로 인해 바 람이 분다. 전등을 켜고 가열하면 모래가 물보다 빨리 가열되기 때문에 이로 인해 기압 차가 발생하여 향 연기가 이동한다. 공기 하강 ➡ 기압 높음 바람 공기 상승 ➡ 기압 낮음 A 냉각 B 가열 채점 기준 바람의 방향을 옳게 쓰고, 기온과 기압 두 가지를 모두 옳게 비 교하여 서술한 경우 바람의 방향만 옳게 쓴 경우 배점 % 100 30 % 3 낮에는 육지가 바다보다 빨리 가열되므로 상대적으로 기압 이 높은 바다에서 육지로 해풍이 분다. ③ 곳이고, A 는 지표면이 냉각되어 공기가 주변보다 무거워져 하강하는 는 지표면이 가열되어 공기가 주변보다 가벼워져 상승 B 하는 곳이다. ⑤ 지표면의 성질에 따라 가열 정도가 달라 기온 차가 생기면 이 로 인해 기압 차가 발생하여 바람이 분다. ① 는 지표면이 냉각된 곳, 는 지표면이 가열된 곳 이다. A B 32 정답과 해설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32 17. 5. 15. 오후 4:24 ② 냉각된 곳( 지고, 가열된 곳( A )에서는 공기가 하강하여 지표면의 기압이 높아 )에서는 공기가 상승하여 지표면의 기압이 낮 18 대기와 해수의 순환은 저위도의 남는 에너지를 고위도로 운반하여 전 지구적으로 에너지 균형을 이루고 위도별 연평균 아진다. B ④ 지표면에서 바람은 기압이 높은 으로 분다. 에서 기압이 낮은 방향 A B 기온을 일정하게 한다. 19 지표에서 높이 올라갈수록 공기의 양이 희박해지므로 높은 산에 올라가면 기압이 낮아진다. 따라서 수은 기둥의 높이도 낮 09 낮에는 육지가 바다보다 빨리 가열되기 때문에 기온이 높 은 육지 쪽에서 공기의 상승이 일어나고, 기압이 낮아져 바다에 아진다. 서 육지로 해풍이 분다. 10 그림은 우리나라의 겨울철에 대륙에서 해양으로 부는 북서 계절풍이다. 겨울철에는 대륙이 해양보다 빨리 냉각되므로 대륙 ( ) 쪽이 해양( ) 쪽보다 기온이 낮고, 공기의 하강이 일어나 기압이 높다. A B 11 모래와 물의 가열 정도 차이로 발생한 기압 차로 인해 향 연기가 이동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육지(대륙)와 바다(해양)의 가열과 냉각 속도 차이에 따른 기압 차로 인해 해륙풍과 계절풍 이 분다. 12 ② 전등을 켜고 시간이 지나면 모래의 온도가 물보다 높아 져 모래 쪽에서 공기의 상승이 일어난다. ③ 향 연기는 물 쪽에서 모래 쪽으로 이동한다. ④ 전등을 끄고 시간이 지나면 모래가 물보다 빨리 냉각되어 모 래 쪽에서 공기의 하강이 일어난다. ⑤ 이와 같은 원리로 부는 바람은 해풍과 남동 계절풍이 있다. 13 위도에 따른 복사 에너지양의 차이로 인해 지구 전체 규모 의 대기 대순환이 일어난다. 14 위도 극 사이( )의 지표에서는 극동풍이 불고, 위도 위도 )의 지표에서는 편서풍이 불며, 적도 사이( 60° ̄ A )의 지표에서는 무역풍이 분다. B  ̄ 사이( 30°∼60° 30° C 15 ① 적도 부근은 태양 복사 에너지양이 지구 복사 에너지양 보다 많아 공기가 가열되어 상승한다. ② 위도 량이 적다. 30* ③, ④ 지구의 자전 때문에 대기 대순환은 적도와 극 사이에 개의 순환이 나타난다. 지구가 자전하지 않는다면 적도와 극 사 3 부근은 공기가 하강하여 고압대가 형성되므로 강수 이에 하나의 거대한 순환이 나타날 것이다. ⑤ 우리나라는 위도 사이에 위치하므로 편서 풍( )의 영향을 받는다. 편서풍에 의해 우리나라에서 비행기를 30* ̄60* 타고 미국으로 갈 때가 올 때보다 시간이 적게 걸린다. B 16 북동 무역풍에 의해 북적도 해류가 발생하고, 남동 무역풍 에 의해 남적도 해류가 발생한다. 북태평양 해류와 남극 순환해류는 편서풍에 의해 발생 한 해류이고, 구로시오 해류, 캘리포니아 해류, 적도 반류는 바 람에 의해 직접적으로 발생한 해류가 아니다. 17 ㄷ. 해수의 표층 순환은 대기 대순환으로 부는 바람(주로 무역풍과 편서풍)에 의해 발생한다. ㄴ. 북반구에서 해수의 표층 순환은 시계 방향으로, 남 반구에서 해수의 표층 순환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나타난다. 채점 기준 수은 기둥의 높이 변화와 그 이유를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수은 기둥의 높이 변화와 이유 중 한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20 그림은 밤에 육지에서 바다로 부는 육풍이다. 밤에는 육지 가 바다보다 빨리 냉각되므로 기압은 육지가 바다보다 높다. 채점 기준 기압의 크기와 바람의 방향을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기압의 크기와 바람의 방향 중 한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21 ⑴ 우리나라는 위도 근에서 편서풍이 분다. 30* ̄60* ⑵ 위도에 따른 에너지의 불균형으로 대기 대순환이 발생하며, 지구의 자전 때문에 대기 대순환이 사이에 위치하므로 지표 부 개의 순환으로 나타난다. 채점 기준 3 ⑴과 ⑵를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⑴과 ⑵ 중 한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배점 100 % 50 % 배점 100 % 50 % 배점 100 % 50 % 진도 교재 ⇨ 121쪽 01 02 ④ 03 ③ C>A>B 01 진공 760 mm 750 mm 770 mm 수은 A 기압 수은 B 기압 수은 C 기압 기압은 수은 기둥 =1 높이에 해당하고, 기압이 높은 곳 >1 <1 일수록 수은 기둥의 높이가 높다. 유리관의 굵기나 기울기로 인 1 760 해 수은 기둥의 높이가 달라지지 않으므로, 기압이고, mm 는 는 기압보다 작으며, 는 기압보다 크다. 따라서 기압의 크기 B A 1 는 1 C>A>B 이다. C 1 02 ④ 여름에는 대륙이 해양보다 빨리 가열되어 대륙 쪽에서 공기의 상승이 일어나므로 기압이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따라서 기압이 높은 해양( )에서 대륙( )으로 남동 계절풍이 분다. D ② (가) 해풍은 낮에 부는 바람이다. 낮에는 육지가 바 C )가 바다( 다보다 빨리 가열되므로 육지( ⑤ 해풍과 남동 계절풍은 육지(대륙)가 바다(해양)보다 빨리 가 A 열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보다 기온이 높다. B 정답과 해설 33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33 17. 5. 15. 오후 4:24 진도 교재 ⇨ 123, 125쪽 a 기단, 양쯔 강, 오호츠크 해, 북태평양, 적도, 시베리아 온이 낮아진다. 03 위도 로 연중 강수량이 적어 건조하다. 따라서 대규모 사막은 위도 부근에서는 공기가 하강하여 고압대가 형성되므 30* 부근에 많이 분포한다. 진도 교재 30* 4 날씨의 변화 B 전선면, 전선 C 저기압, 고기압, 온대 저기압 D 일기 예보, 기상 재해 1 ⑴ ◯ ⑵ × ⑶ ◯ ⑷ × 2 : 시베리아 기단, : 양 쯔 강 기단, : 오호츠크 해 기단, A : 북태평양 기단 3 B ⑴ ‑ ㉠ ‑ ④ ⑵ ‑ ㉢ ‑ ① ⑶ ‑ ㉡ ‑ ② ⑷ ‑ ㉣ ‑ ③ 4 ⑴ D C 정체 전선 ⑵ 폐색 전선 ⑶ 한랭 전선 ⑷ 온난 전선 5 ⑴ 한랭 ⑵ 급함 ⑶ 적운형 ⑷ 소나기성 비 ⑸ 빠름 ⑹ 하강 6 ㉠ 높은, ㉡ 낮은, ㉢ 불어 나감, ㉣ 불어 들어옴, ㉤ 시계, ㉥ 시계 반대, ㉦ 하강, ㉧ 상승, ㉨ 맑음, ㉩ 흐림 7 (가) 고기 압, (나) 저기압 8 ㉠ 편서풍, ㉡ 온난, ㉢ 한랭 9 ⑴ ⑵ ⑶ ⑷ : 북서풍, : 남서풍, : 남동풍 10 ⑴ B × ⑵ ◯ ⑶ ◯ ⑷ × A A C B C 1 ⑶ 기단의 기온과 습도는 발생지의 성질에 따라 결정된다. 고위도에서 발생한 기단은 기온이 낮고 저위도에서 발생한 기단 은 기온이 높다. 4 ⑴ 두 기단의 세력이 비슷하여 한곳에 오랫동안 머물러 있 는 전선을 정체 전선이라고 한다. ⑵ 한랭 전선은 온난 전선보다 이동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한랭 전선이 온난 전선을 따라잡아 두 전선이 겹쳐지면 폐색 전선이 형성된다. ⑶ 한랭 전선은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를 파고들 때 형성된다. ⑷ 온난 전선은 따뜻한 공기가 찬 공기를 타고 오를 때 형성된다. 5 그림은 한랭 전선의 단면으로, 전선면의 기울기가 급하고, 적운형 구름이 발달하여 좁은 지역에 소나기성 비가 내리며, 이 동 속도가 빠르다. 한랭 전선이 통과하면 찬 공기의 영향으로 기 6 고기압은 주위보다 기압이 높은 곳, 저기압은 주위보다 기압 이 낮은 곳이다. 북반구의 고기압 중심에서는 바람이 시계 방향 으로 불어 나가며, 하강 기류가 발달하여 구름이 소멸되므로 날 씨가 맑다. 북반구의 저기압 중심에서는 바람이 시계 반대 방향 으로 불어 들어오며, 상승 기류가 발달하여 구름이 생성되므로 날씨가 흐리고 비나 눈이 올 수 있다. 7 북반구의 고기압에서는 바람이 시계 방향으로 불어 나가고, 저기압에서는 바람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불어 들어온다. 따라 서 (가)는 고기압, (나)는 저기압이다. 8 온대 저기압은 편서풍의 영향으로 서에서 동으로 이동하면 서 날씨를 변화시킨다. 온대 저기압은 저기압 중심을 기준으로 남동쪽으로 온난 전선이 발달하고, 남서쪽으로 한랭 전선이 발 달하므로 온대 저기압이 지나갈 때 온난 전선이 먼저 통과한 후 한랭 전선이 나중에 통과한다. 9 저 ⑵ 대륙에서 발생한 기단은 건조하고 해양에서 발생한 기단은 습하다. ⑷ 기단이 발생지와 성질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면 성질이 변 할 수 있다. A B C •소나기성 비 •기온 낮음 •북서풍 •맑음 •기온 높음 •남서풍 •지속적인 비 •기온 낮음 •남동풍 2 건조 ← → 다습 시베리아 기단 (한랭 건조) A 한랭 ↑ 온난 ↓ 양쯔 강 기단 (온난 건조) B C 오호츠크 해 기단 (한랭 다습) D 북태평양 기단 (고온 다습) 는 한랭 건조한 시베리아 기단으로 겨울철 날씨를 춥고 는 온난 건조한 양쯔 강 기단으로 봄과 가을철 날씨를 온난 는 고온 다습한 북태평양 기단으로 여름철 날씨를 무덥고 B 3 ⑴ 건조하게 만든다. A ⑵ 건조하게 만든다. ⑶ 을 서늘하고 습하게 만든다. ⑷ 습하게 만든다. C D 34 정답과 해설 )에는 층운형 구름이 발달해 )은 따뜻한 공기가 있으므로 기 ⑴ 두 전선 사이에 위치한 곳( 온이 가장 높다. B ⑵ 온난 전선 앞쪽에 위치한 곳( 있다. ⑶ 한랭 전선 뒤쪽에 위치한 곳( 비가 내린다. A ⑷ 북반구의 저기압 중심에서는 바람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불 에서는 북서풍, 두 전선 사이 어 들어오므로 한랭 전선 뒤쪽인 C )에서는 좁은 지역에 소나기성 인 에서는 남서풍, 온난 전선 앞쪽인 에서는 남동풍이 분다. A B 10 ⑶ 날씨의 영향력이 커지며 날씨 보험, 날씨 마케팅 등 새 로운 산업 분야가 생겨나고 있다. C 업 분야들이 날씨의 영향을 받는다. ⑷ 태풍, 호우, 대설, 한파, 황사 등의 기상 현상으로 기상 재해 가 일어난다. 는 한랭 다습한 오호츠크 해 기단으로 초여름 동해안 지역 ⑴ 농업이나 어업 외에도 공업, 관광 산업 등 다양한 산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34 17. 5. 15. 오후 4:24 진도 교재 ⇨ 126~129쪽 01 ① 02 ① 03 ② 04 ⑤ 05 ③ 06 ② 08 ② 한랭 전선은 온난 전선보다 이동 속도가 빠르다. 09 ④ 그림은 온난 전선의 단면으로, 전선이 통과하면 다가오 는 따뜻한 공기의 영향으로 기온이 높아진다. 07 ⑤ 08 ② 09 ④ 10 ② 11 ⑤ 12 ② ②, ③ 온난 전선은 전선면의 기울기가 완만하고, 층운 13 ① 14 ② 15 ② 16 17 ④ 18 ④ 형 구름이 발달한다. 19 ③ C 20 , 북태평양 기단, 고온 다습하다. 21 ⑴ 한랭 전선 ⑵ 적운형 구름이 발달하고, 좁은 지역에 소나 D 기성 비가 내린다. 22 ⑴ ⑵ 지역에서는 적운형 구 름이 발달하고, 소나기성 비가 내리며, 북서풍이 분다. A B 지역 에서는 층운형 구름이 발달하고, 지속적인 비가 내리며, 남동 C 풍이 분다. 01 ④ 기단의 성질은 발생지의 성질에 따라 결정되며, 기단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면 성질이 변한다. ① 대륙에서 형성된 기단은 건조하다. C 오호츠크 해 기단 (한랭 다습/초여름) [ 02~04 ] 시베리아 기단 (한랭 건조/겨울) A 양쯔 강 기단 (온난 건조/봄, 가을) B 02 시베리아 기단( 한 성질을 띤다. A 03 양쯔강 기단( 가을 날씨에 영향을 준다. B E 적도 기단(고온 다습/여름, 초가을) D 북태평양 기단 (고온 다습/여름) )은 고위도 대륙에서 발생하여 한랭 건조 )은 온난 건조한 성질을 띠며 우리나라의 봄, )은 고온 다습한 성질을 띠며 여름과 초가 04 ⑤ 적도 기단( 을에 태풍이 발생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E ① 고위도에서 발생한 기단( , , 에서 발생한 기단( ④ 북태평양 기단( B 름철 날씨를 무덥고 습하게 한다. D , )은 한랭하고 저위도 )은 온난하다. A C )은 고온 다습한 성질을 띠며, 우리나라 여 E D 가 나타난다. ① 성질이 다른 두 기단이 만나서 생긴 경계면은 06 전선면이고, 전선은 전선면이 지면과 만나는 경계선이다. ③ 장마 전선은 정체 전선에 속한다. ④ 온난 전선과 한랭 전선이 합쳐져서 만들어지는 전선은 폐색 전선이다. ⑤ 따뜻한 공기가 찬 공기를 타고 오르면서 형성되는 전선은 온 난 전선이다. 07 칸막이를 들어 올리면 찬물과 따뜻한 물이 경계면을 만드 는데, 이 경계면이 전선면에 해당한다. 전선면이 지표면과 만나 는 경계선이 전선이므로 이 실험을 통해 전선의 생성 원리를 알 10 ② 한랭 전선에서는 적운형 구름이 발달하며, 좁은 지역에 소나기성 비가 내린다. ① (가)는 한랭 전선, (나)는 온난 전선이다. ③ 한랭 전선이 통과하면 다가오는 찬 공기의 영향으로 기온이 낮아진다. ⑤ 폐색 전선은 이동 속도가 빠른 (가) 한랭 전선이 (나) 온난 전 선을 따라잡아 두 전선이 겹쳐져서 형성된다. ① 저기압 중심에서는 공기가 모여들므로 상승 기 11 류가 발달한다. ② 고기압에서는 하강 기류가 발달하므로 구름이 소멸되어 날씨 가 맑다. ③ 고기압은 주위보다 기압이 높은 곳, 저기압은 주위보다 기압 이 낮은 곳으로, 고기압과 저기압은 주위 기압과 비교하여 상대 적으로 결정한다. ④ 북반구의 경우 고기압 중심에서는 바람이 시계 방향으로 불 어 나간다. 12 북반구의 고기압에서는 바람이 시계 방향으로 불어 나가며 하강 기류가 발달하고, 저기압에서는 바람이 시계 반대 방향으 로 불어 들어오며 상승 기류가 발달한다. 13 ① (가)는 고기압으로 하강 기류가 발달하여 구름이 소멸되 므로 날씨가 맑다. ③, ④ (나)는 저기압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바람이 불어 들어오고 상승 기류가 발달한다. ⑤ 바람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분다. 14 온대 저기압 중심의 남서쪽으로는 전선면의 경사가 급한 한랭 전선이 발달하고, 남동쪽으로는 전선면의 경사가 완만한 온난 전선이 발달한다. 는 한랭 전선 뒤쪽이므로 소나기성 비 가 내리고, 는 온난 전선 앞쪽이므로 지속적인 비가 내린다. 두 A 전선 사이의 C 는 날씨가 맑다. 저 B A (가) 한랭 전선 •소나기성 비 •기온 낮음 •북서풍 •맑음 •기온 높음 •남서풍 (나)C 온난 전선 •지속적인 비 •기온 낮음 •남동풍 는 두 전선 사이에 따뜻한 공기가 있는 지역으로 날씨가 맑 ① 지역은 한랭 전선의 뒤쪽으로, 적운형 구름이 발 ② 고 기온이 높다. B A 달한다. ③ C 정답과 해설 35 05 오호츠크 해 기단은 고위도 해양에서 발생하여 한랭 다습 한 성질을 띤다. 이로 인해 초여름 동해안에 서늘하고 습한 날씨 15 B 수 있다. 지역은 온난 전선의 앞쪽으로 현재 남동풍이 분다.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35 17. 5. 15. 오후 4:24 진도 교재 ④ (가)는 한랭 전선, (나)는 온난 전선이다. ⑤ 온대 저기압은 편서풍의 영향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 며 날씨를 변화시킨다. 16 온난 전선의 앞쪽인 넓은 지역에 걸쳐 지속적인 비가 내린다. 편서풍에 의해 온대 저 지역은 층운형 구름이 발달해 있고, C ↑ 한랭 온난 ↓ 기압이 동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서쪽 지역( )의 날씨(맑고 기온 ㉡ 01 시베리아 기단 ㉠ 건조 ← → 다습 오호츠크 해 기단 습 도 ㉢ 한랭 다습 고온 다습 A B C D ㉣ 한랭 건조 온난 건조 기온 양쯔 강 기단 북태평양 기단 (가) (나) 높음)가 다가온다. B 17 원 안의 검게 칠한 부분은 구름의 양, 원 바깥쪽으로 표시 된 긴 꼬리는 풍향, 그 끝의 깃은 풍속을 나타낸다. ⑤ 짧은 깃은 이다. / 풍속은 m s 2 m s 5 / , 긴 깃은 / 이므로, 이 지역의 m s 7 18 ② 기상 특보를 발표하여 기상 재해에 대비하면 피해를 줄 일 수 있다. ④ 날씨는 농업, 수산업, 건설업, 스포츠 산업, 관광 산 업 등 많은 산업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19 는 것 등은 호우에 대비하는 방법이다. ③ 하천 제방을 정비하거나 고압선에 접근하지 않 는 한랭 건조한 시베리아 기단, 는 온난 건조한 양쯔 강 는 한랭 다습한 오호츠크 해 기단, 는 고온 다습한 북 태평양 기단이다. 우리나라의 여름철에는 북태평양 기단의 영향 20 기단, A C B D 을 받아 무덥고 습한 날씨가 나타난다. 채점 기준 기단의 기호와 이름 및 성질을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기단의 기호와 이름만 옳게 서술한 경우 기단의 성질만 옳게 서술한 경우 21 그림은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 아래를 파고들어 형성되는 한랭 전선의 단면이다. 채점 기준 ⑴ 전선의 이름을 옳게 쓴 경우 구름의 종류, 강수 지역과 형태를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⑵ 구름의 종류, 강수 지역과 형태 중 한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는 온난 전선의 앞쪽에 위치한다. 22 ⑴ 두 전선 사이에 위치한 므로 기온이 가장 높다. ⑵ 는 한랭 전선의 뒤쪽, B A 채점 기준 C ⑴ 기온이 가장 높은 곳을 옳게 쓴 경우 서술한 경우 A C ⑵ 를 옳게 서술한 경우 부분 배점 A C 와 지역의 구름의 종류, 강수 형태, 풍향을 모두 옳게 배점 % 100 50 % 배점 % 40 60 % 30 % 배점 30 % 70 % 20 % ) ㉠:시베리아 기단, 한랭 건조( ㉡:양쯔 강 기단, 온난 건조( ) B ㉢:오호츠크 해 기단, 한랭 다습( D ㉣:북태평양 기단, 고온 다습( ) ) A 지점은 주위보다 기압이 낮으므로 저기압이다. 북반구 02 의 저기압 중심에서는 바람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불어 들어오 C A 며 상승 기류가 발달한다. ① 지역은 고기압이다. 03 ② A ④ 바람은 고기압( ⑤ B B C 지역은 저기압 중심부로 날씨가 흐리다. )에서 저기압( )으로 분다. 지역은 저기압으로, 중심에서는 상승 기류가 발달한다. A 진도 교재 ⇨ 130~134쪽 01 ⑤ 02 ④ 03 ② 04 ② 05 ③ 06 ⑤ 07 ② 08 ② 09 ⑤ 10 ⑤ 11 ⑤ 12 ① 13 ① 14 ② 15 ③ 16 ④ 17 ③ 18 ①, ② 19 ④ 20 ② 21 ② 22 ③ 23 ① 24 ④ 25 ③ 26 ③ 27 ③ 28 ② 29 ⑴ 높이 올라갈수록 지표에서 방출되는 에 너지가 적게 도달하기 때문이다. ⑵ •공통점:대류가 일어 난다. •차이점:대류권에서는 기상 현상이 일어나지만 중 간권에는 수증기가 거의 없어 기상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 . 10 6 g 0 g 20 / / kg kg % 가열될 때, 공기가 산을 타고 올라갈 때, 찬 공기와 따뜻한 공 \100=53 기가 만날 때, 공기가 모여드는 저기압 중심일 때 32 ⑴ :극동풍, :편서풍, :북동 무역풍 ⑵ 해수의 표층 순 환은 대기 대순환에 의한 바람에 의해 발생한다. 33 ⑴ 맑 A B C 고 따뜻하다. ⑵ 맑고 기온이 높아진 후, 소나기성 비가 내리 지역에는 따뜻한 공기가 있으 30 31 지표면이 불균등하게 와 지역의 구름의 종류, 강수 형태, 풍향 중 한 가지 고 기온이 낮아질 것이다. 진도 교재 ⇨ 129쪽 01 않으므로 대기의 조성을 나타낼 때는 수증기를 제외한다. ⑤ 대기 중에 존재하는 수증기의 양은 일정하지 02 는 대류권, 는 성층권, 는 중간권, ① 오존층이 존재하는 층은 성층권( B A C ② 공기의 대류 현상이 일어나는 층은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이다. 와 B )이다. D 는 열권이다. A C 01 ④ 02 ① 03 ③ 36 정답과 해설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36 17. 5. 15. 오후 4:24 층은 대기가 안정하여 장거리 비행기의 항로로 이용된다. 개의 층으로 구분하는 기준은 높이에 따른 기온 변 는 포화 상태이므로 상대 습도가 ③ 포화 수증기량 곡선에 더 가까우므로 상대 습도가 더 높다. 따라 이다. 보다 는 100 % B C A ③ ⑤ 기권을 B 화이다. 4 B 아진다. 층은 성층권으로 높이 약 03 흡수하는 오존층이 존재하기 때문에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높 구간에 자외선을 20 ̄30 km 04 처음에는 컵이 흡수하는 에너지양이 방출하는 에너지양보 다 많아서 컵 속 공기의 온도가 점점 높아지지만 어느 정도 시간 이 지나면 컵이 흡수하는 에너지양과 방출하는 에너지양이 같아 져 컵 속 공기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중 는 반사되고, 나머 05 ③ 태양 복사 에너지양 지 는 지구에 흡수된다. 지구는 복사 평형을 이루므로, 지 % 구에서 우주로 방출되는 지구 복사 에너지도 100 30 % 70 % ①, ②, ④ 지구에 흡수되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은 이다. 70 % 로, 지표면에 흡수되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이 , 대기와 70 구름에 의해 흡수되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이 % ⑤ 대기가 없다면 온실 효과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지구의 평균 기온은 현재보다 낮을 것이다. 이다. % 50 % 20 06 지구가 둥글기 때문에 위도에 따라 태양 고도가 다르다. 저 위도일수록 태양 고도가 높으므로 단위 면적당 지표면에 들어오 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이 많다.( ) C>B>A 07 ① (가)는 태양 복사 에너지로, 고위도로 갈수록 태양의 고 도가 낮아져 양이 적어진다. ③, ⑤ 저위도 지역은 흡수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이 방출하는 ), 고위도 지역 지구 복사 에너지양보다 많아서 에너지가 남고( 은 흡수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이 방출하는 지구 복사 에너지 A 양보다 적어서 에너지가 부족( ④ 저위도의 남는 에너지는 대기와 해수의 순환에 의해 고위도 B 로 이동한다. )하다. ② (나)는 지구가 방출하는 지구 복사 에너지이다. 08 ② 식물은 이산화 탄소를 흡수하여 광합성을 하고 그 결과 탄소를 유기물로 저장한다. ▶ 기권 → 생물권 배출된다. ▶ 지권 → 기권 ③ 식물이 땅속에 묻혀 화석 연료가 된다. ▶ 생물권 → 지권 ④ 이산화 탄소가 해수에 녹아 탄산 이온이 된다. ▶ 기권 → 수권 ⑤ 산호나 조개 껍데기가 퇴적되어 석회암이 된다. ▶ 생물권 → 지권 09 ⑤ 온실기체인 이산화 탄소의 농도가 증가하여 온 실 효과가 강화되고, 이에 따라 지구의 평균 기온은 상승하였을 것이다. 10 공기의 포화 수증기량은 / 이고, 현재 수증기량은 . B / 이다. 상대 습도( ) 이므로 현재 수증기량 kg 20 포화 수증기량 g % = 이다. \100 B g kg 공기의 상대 습도는 약 14 7 11 ① 기량은 ② 태이다. B 20 . A kg C 0 g / % 공기의 포화 수증기량은 74 공기의 포화 수증기량은 kg , g / . 7 6 , 의 포화 수증 . B / 이다. 공기는 포화 수증기량 곡선 아래쪽에 있으므로 불포화 상 27 1 g kg ① 화석 연료가 연소되면 대기 중으로 이산화 탄소가 된다. 서 상대 습도가 가장 낮은 공기는 ④ 공기의 이슬점은 와 C 이다. 이다. C ⑤ A *C 공기 20 기량을 제외한 나머지가 응결되므로 B 응결된다. 따라서 을 kg 1 공기 *C 10 을 냉각시키면 B 이고, 공기의 이슬점은 에서의 포화 수증 . . 10 로 냉각시킬 때 응결량은 7 *C g-7 g=7 이 1 6 g . 14 *C 10 . 의 수증기가 있고, 로 . / B kg\3 kg=21 . 이다. kg 3 g 3 속에는 g 1 7 12 현재 공기 냉각시키면 머지가 응결된다. 따라서 10 에서의 포화 수증기량 kg 10 g . 6 . 1 *C . / 을 제외한 나 *C 10 이 응결된다. . g kg 7 6 g=3 . g-7 6 에 g 0 의 수증기가 들어 6 13 •(가) 이슬점:현재 공기 있으므로 10 ÷ . 에는 . kg 2 현재 수증기량은 이슬점에서의 포화 수증기량과 같으므로 이슬 2=10 의 수증기가 들어 있다. 21 g 21 2 6 2 1 g g 점은 kg 이다. •(나) 상대 습도( 15 *C ) % = 현재 수증기량 포화 수증기량 . . 6 1 g g / / kg kg \100 \100=10 27 % ≒39 14 ㄱ, ㄷ. 맑은 날에는 공기 중 수증기량의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이슬점은 하루 동안 거의 일정하게 나타난다. 이슬점이 일정할 때, 기온이 높아지면 포화 수증기량이 증가하여 습도는 낮아진다. ㄹ. 새벽에 습도가 높은 것은 공기 중 수증기량이 거의 일정한데 기온이 낮아져 포화 수증기량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15 공기가 상승하면 단열 팽창에 의해 기온이 낮아지고 이슬 점에 도달하면 수증기가 응결하여 구름이 만들어진다. 16 (가)는 중위도나 고위도 지방에서 내리는 비를 설명하는 빙 정설이고, (나)는 저위도 지방에서 내리는 비를 설명하는 병합설 이다. ②, ③ (가)에서는 과냉각 물방울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빙정에 달라붙어 커지고, 무거워진 빙정이 지표로 떨어져 비나 눈이 ④ (나)에서는 기온이 높아 구름의 온도가 이상이 고, 구름 입자가 모두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름에서 *C 0 내리는 비를 따뜻한 비라고 한다. 1 ① hPa 1013 기압은 과 같다. 17 ② 높이 올라갈수록 공기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기압이 낮아 진다. ④ 공기는 계속 움직이므로 동일한 장소에서도 시간에 따라 기 압이 달라진다. ⑤ 토리첼리는 실험을 통해 에 해당함을 알아냈다. 기압이 수은 기둥 의 압력 1 76 cm . ③ 수은이 물보다 약 18 배 무거우므로 1은 약 때 수은 대신 물을 사용하여 실험하면 6 13 h (m 1 76 cm ④, ⑤ 유리관을 기울이거나 굵은 유리관을 사용하더라도 기압 \13 이 일정하면 수은 기둥의 높이는 변하지 않는다. )가 될 것이다. 10 m 기압일 6 . 정답과 해설 37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37 17. 5. 15. 오후 4:24 진도 교재 19 ④ 밤에는 바다가 육지보다 기온이 높아서 바다 쪽은 공기가 상승하여 기압이 낮고, 육지 쪽은 공기가 하강하여 기압이 높다. ① 육지에서 바다로 바람이 불고 있으므로 육풍이다. ② 낮에는 해풍이 불고, 밤에는 육풍이 분다. ③, ⑤ 밤에는 육지가 바다보다 빨리 냉각되므로 육지가 바다보 다 기온이 낮아져 육풍이 분다. 20 ② (가)는 해양에서 대륙 쪽으로 부는 남동 계절풍이고, (나)는 대륙에서 해양 쪽으로 부는 북서 계절풍이다. ① (가) 남동 계절풍은 여름에 부는 바람이고, (나) 북서 계절풍은 겨울에 부는 바람이다. ③ 바람은 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불므로, 기압이 높다. ④ 겨울철에는 대륙( )이 해양( )보다 기온이 낮다. 륙( D ⑤ 계절풍은 대륙과 해양의 성질에 따른 기온 차이로 발생하는 기압 차 때문에 분다. )보다 더 빨리 냉각되므로, 대 )이 해양( 보다 는 A D B C C 27 ㄷ. 온난 전선과 한랭 전선 사이에 위치한 곳( 맑고 기온이 높다. B )은 날씨가 ㄹ. 지역은 현재 찬 공기가 존재하여 기온이 낮지만 온난 전선 이 통과하면 따뜻한 공기의 영향으로 기온이 높아진다. C ㄱ. 기온이 가장 높은 곳은 온난 전선과 한랭 전선 사이 에 따뜻한 공기가 존재하는 지역이다. ㄴ. 층운형 구름이 발달하는 곳은 온난 전선 앞쪽( )이다. B 28 피해를 줄일 수 있지만, 기상 현상을 막을 수는 없다. ② 기상 특보를 발표하여 기상 재해에 대비하면 C 29 ⑴ 대류권과 중간권은 높이 올라갈수록 지표에서 방출되는 에너지가 적게 도달하기 때문에 기온이 감소한다. ⑵ 대류권과 중간권은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감소하여 대류가 일어난다. 그러나 중간권에는 수증기가 거의 없기 때문에 기상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채점 기준 21 어 구름이 잘 생성되므로 비가 자주 온다. ② 적도 지방은 공기가 상승하여 저압대가 형성되 ⑴ 기온이 감소하는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공통점(대류 현상)과 차이점(기상 현상)을 모두 옳게 서술 22 ③ 북태평양 해류와 남극 순환해류는 편서풍에 의해 발생 한 해류이고, 북적도 해류는 북동 무역풍에 의해, 남적도 해류는 남동 무역풍에 의해 발생한 해류이다. 지역에서는 무역풍에 의해 표층 해류 0° ̄30° 지역에서는 편서풍에 의해 표층 해류가 서에 ① 위도 가 동에서 서로 흐른다. ② 위도 서 동으로 흐른다. 30° ̄60° ④ 대기와 해수의 순환으로 저위도의 남는 에너지가 고위도로 운반된다. ⑤ 표층 순환은 북반구에서 시계 방향, 남반구에서 시계 반대 방 향으로 나타나므로 방향이 대칭적이다. 23 우리나라의 겨울철에는 한랭 건조한 시베리아 기단( 영향을 받아 춥고 건조한 날씨가 나타난다. )의 A 배점 ⑵ 한 경우 공통점 또는 차이점 중 한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30 상대 습도 = 현재 수증기량 포화 수증기량 . . 6 0 g g / / kg kg \100= 10 20 % =53 상대 습도를 구하는 식과 값을 옳게 쓴 경우 채점 기준 상대 습도를 구하는 식만 옳게 쓴 경우 31 구름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공기가 상승해야 한다. 채점 기준 구름이 만들어지는 경우 세 가지를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구름이 만들어지는 경우 한 가지를 옳게 서술한 경우 부분 는 시베리아 기단, 는 양쯔 강 기단, 는 오호츠크 해 는 북태평양 기단, 는 적도 기단이다. C )은 우리나라의 여름철에 영향을 주는 고온 A 24 기단, ④ 북태평양 기단( 다습한 기단이다. D D B E ① 시베리아 기단( )은 우리나라의 겨울철에 영향을 A 준다. ②, ⑤ 여름과 초가을에 나타나는 태풍과 관계 있는 기단은 고 온 다습한 적도 기단( ③ 오호츠크 해 기단( E 한랭 다습한 기단이다. C )은 초여름 동해안의 날씨에 영향을 주는 )이다. 25 (가)는 한랭 전선, (나)는 온난 전선이다. 한랭 전선은 전선 면의 기울기가 급하고 이동 속도가 빠르며, 적운형 구름이 발달 하여 소나기성 비가 내린다. 온난 전선은 전선면의 기울기가 완 만하고 이동 속도가 느리며, 층운형 구름이 발달하여 지속적인 비가 내린다. 26 ① 고기압은 주위보다 기압이 높은 곳이고, 저기 압은 주위보다 기압이 낮은 곳이다. 고기압과 저기압은 주위 기 압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결정한다. 38 정답과 해설 위도 °에서는 무역풍이, 위도 32 ⑴ 적도 에서는 편서풍이, 위도 30 60 ⑵ 표층 순환은 대기 대순환에 의해 지표에서 부는 바람(주로 무 역풍과 편서풍)에 의해 발생한다. 극에서는 극동풍이 분다.  ̄ 위도 60 30  ̄  ̄ ° ° ° 채점 기준 ⑴ 바람의 이름을 옳게 서술한 경우 ⑵ 표층 해류의 발생 원인을 옳게 서술한 경우 지역은 온난 전선과 한랭 전선 사이에 따뜻한 공기가 33 ⑴ 존재하는 곳으로 날씨가 맑고 따뜻하다. ⑵ 편서풍에 의해 온대 저기압이 동쪽으로 이동하며 B 지역에는 의 날씨(맑고 따뜻함)와 의 날씨(소나기성 비가 내리고 기온 C 이 낮음)가 차례로 다가온다. B A 채점 기준 ⑴ 현재 날씨를 옳게 서술한 경우 ⑵ 날씨 변화 두 가지를 순서대로 옳게 서술한 경우 날씨 변화 한 가지( 의 날씨)만을 옳게 서술한 경우 B 배점 40 % 60 % 30 % \100 배점 100 % 50 % 배점 100 % 30 % 배점 40 % 60 % 배점 40 % 60 % 30 %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38 17. 5. 15. 오후 4:24 IV 소화, 순환, 호흡, 배설 1 동물체의 구성과 영양소 1 ⑴ 녹말은 아이오딘 ‑ 아이오딘화 칼륨 용액 과 반응하면 청람색으로 색깔 변화를 나타낸다. ⑷ 단백질은 뷰렛 용액( 구리 수용액)과 반응하면 보라색으로 색깔 변화를 나타낸다. %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 +1 5 황산 2 단백질은 뷰렛 반응으로 검출한다. 진도 교재 ⇨ 139, 141 쪽 3 녹말은 아이오딘 반응으로 검출한다. a 세포, 조직, 기관, 기관계, 개체 B 영양소, 물,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무기 염 채점 기준 녹말이라고 쓰고, 그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녹말이라고만 쓴 경우 류, 바이타민, 물 C 아이오딘, 베네딕트, 뷰렛, 수단 Ⅲ 배점 100 % 40 % 1 ⑴ ◯ ⑵ × ⑶ × ⑷ × ⑸ ◯ ⑹ ◯ ⑺ ◯ 2 ⑴ (가) 개체, (나) 기관계, (다) 세포, (라) 기관, (마) 조직 ⑵ (다) → (마) → (라) → (나) → (가) 3 ㉠ 에너지원, ㉡ 단백질, ㉢ 바이타민 4 ⑴ : 물, : 단백질, : 지방, : 무기 염 류, : 탄수화물 ⑵ A 5 ⑴ × ⑵ ◯ ⑶ ◯ ⑷ × ⑸ ◯ D B C ⑹ × ⑺ × ⑻ ◯ 6 ⑴ 무 ⑵ 물 ⑶ 바 ⑷ 물 7 E E ⑴ ‑ ㉣ ⑵ ‑ ㉢ ⑶ ‑ ㉡ ⑷ ‑ ㉠ 8 ㉠ 녹말, ㉡ 청람색, ㉢ 베네딕트, ㉣ 황적색, ㉤ 황산 구리, ㉥ 보라색, ㉦ 지방, ㉧ 수단 Ⅲ % 1 ⑵ 피부와 침샘은 상피 조직에 해당한다. 1 ⑶ 동물체에만 있는 구성 단계는 기관계이다. ⑷ 동물체는 다양한 세포가 종류별로 모여 체계적으로 이루어 진다. 4 ⑵ 탄수화물( 너지원으로 쓰이기 때문에 섭 )은 주로 에 E 취량에 비해 몸의 구성 비율이 낮다. ⑴ 포도당, 엿당, 5 녹말은 탄수화물의 종류이다. ⑷ 탄 수 화 물 과 단 백 질 은 의 , 지방은 / / D 4 무기 염류 % A 66 물 %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B 16 C 13 E 0.6 % % 기타 0.4 % % kcal 에너지를 포함한다. g g 4 9 ⑹ 주로 에너지원으로 쓰이는 영양소는 탄수화물이다. ⑺ 효소와 호르몬의 주성분은 단백질이다. kcal 진도 교재 ⇨ 142 쪽 이다. ㉠ 녹말, ㉡ 단백질, ㉢ 지방 1 ⑴ × ⑵ ◯ ⑶ ◯ ⑷ × 2 수산화 나트륨 수 용액, 황산 구리 수용액 3 녹말, 아이오딘 % 아이 5 오딘화 칼륨 용액을 떨어뜨렸을 때 청람색이 나타났기 때 - 1 % 문이다. 진도 교재 ⇨ 143 ~ 147 쪽 01 ② 02 ② 03 ③ 04 ⑤ 05 ③ 06 ② 07 ④ 08 (다) 09 ③ 10 ② 11 ②, ④ 12 ① 13 ② 14 ⑤ 15 지방 16 ⑤ 17 ⑤ 18 ② 19 ③ 20 ② 21 (가) 바이타민 , (나) 바이 타민 22 ② 23 ① 24 ④ 25 ② 26 ④ A 27 ⑤ 28 C , , 29 ④ 30 탄수화물, 주로 에너지원으로 쓰이기 때문 A B C 이다. 31 ( / ) ( / ) ( ) / 300 kcal g\4 아이오딘화 칼륨 용액을 넣은 시험관 g\9 =2270 32 녹말, 지방, 아이오 g + g\4 에서 청람색이 나 딘 30 타났으므로 녹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수단 Ⅲ 용액을 kcal kcal kcal 200 + A - g g 넣은 시험관 에서 선홍색이 나타났으므로 지방이 있음을 확 인할 수 있다. 33 지방, 음식물에 수단 Ⅲ 용액을 넣어 선 D 홍색이 나타나면 지방이 들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01 ② 동물체는 세포 → 조직 → 기관 → 기관계 → 개체의 구 성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③ 동물체에는 조직계가 없고, 기관계가 있다. 조직계 는 식물체의 구성 단계에서만 나타나고, 기관계는 동물체의 구 성 단계에서만 나타난다. 02 ② 피부는 상피 조직, 골격근은 근육 조직, 연골은 결합 조직이지만, 적혈구는 혈액(결합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 03 결합 조직이다. ③ 위, 간, 심장, 콩팥은 기관에 해당한다. 혈액은 ① 기관계의 종류는 소화계, 순환계, 호흡계, 배설 04 계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가 있다. ② 기관계는 동물체에만 있는 구성 단계이다. ③ 동물체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는 세포이다. 정답과 해설 39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39 17. 5. 15. 오후 4:24 진도 교재 [07~08] ④ 폐, 소장, 방광은 모두 기관에 해당한다. 한다. 05 성하는 소화 기관이다. ③ 콩팥은 배설 기관이지만, 소장은 소화계를 구 06 ② 영양소, 산소, 이산화 탄소, 노폐물 등의 물질 운반을 담당하는 기관계는 순환계이다. 백질의 기본 단위이다. 14 ㄱ, ㄷ. 탄수화물은 우리 몸에서 주로 에너지원으로 쓰이기 때문에 몸을 구성하는 비율이 낮다. ㄴ. 탄수화물의 기본 단위는 단당류이다. 아미노산은 단 15 지방은 며, 체온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나치게 많이 저장되면 당 가장 많은 열량( 대 영양소 중 )을 내 g 1 kcal 9 3 비만이 된다. 16 ①, ②, ③ 에너지원으로 쓰이면서 생리 작용을 조절하는 가 단백질이고, 는 탄수화물이다. ④ 에너지원으로 쓰이지 않으면서 몸을 구성하는 B 이고, 몸을 구성하지 않는 는 바이타민이다. A C 는 무기 염류 ⑤ 몸의 구성 성분 비율은 물 기타이다. 탄수화물( D ) ) 기 염류( 단백질( ) 지방 무 > B > > C > A > 17 ⑤ 무기 염류는 몸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적은 양으로 생리 작용을 조절한다. 18 헤모글로빈의 성분으로 적혈구 형성에 꼭 필요한 무기 염 류는 철이다. 적혈구는 산소 운반을 담당하므로 적혈구 형성에 필요한 철이 부족하면 빈혈이 나타날 수 있다. 19 ㄷ. 무기 염류와 바이타민은 모두 적은 양으로 생리 작용을 조절한다. ㄱ. 무기 염류와 바이타민은 모두 에너지원으로 쓰이지 ㄴ. 무기 염류는 몸을 구성하지만 바이타민은 몸을 구성하지 않 않는다. 는다. 20 바이타민은 적은 양으로 생리 작용을 조절하며, 부족하면 결핍증이 나타난다. ① 바이타민 결핍증은 야맹증이다. ③, ④ 바이타민 ⑤ 바이타민 결핍증은 괴혈병이다. A 결핍증은 구루병이다. C 22 글리세롤은 지방의 기본 단위이다. ② 탄수화물의 기본 단위는 단당류이다. 지방산과 23 ① 녹말은 탄수화물이고, 나트륨은 무기 염류이다. 무기 염 대 영양소인 탄수화물(녹말), 류와 물은 열량을 내지 않으므로 단백질, 지방의 열량만 계산하면 된다. 3 ( / ) ( / ) ( / ) g\4 kcal kcal g + 10 70 365 24 ④ 베네딕트 반응은 포도당, 엿당과 같은 당을 검출하는 반 응이다. 5 g\9 g\4 kcal kcal g = g + 25 생선, 두부, 달걀흰자에 많이 들어 있는 영양소는 단백질이 황산 구리 수용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과 다. 단백질은 액을 이용한 뷰렛 반응 결과 보라색을 나타낸다. % % 5 1 D 21 (가)는 바이타민 이고, (나)는 바이타민 가 부족할 경우 나타나는 야맹증의 증상 가 부족할 경우 나타나는 괴혈병의 증상 E 0.6 탄수화물 이다. A C (가) 근육세포 세포 위 (나) 기관 (다) 소화계 기관계 (라) 근육 조직 조직 (마) 사람 개체 - 07 ④ 동물체를 이루는 조직(라)에는 신경 조직, 근육 조직, - 상피 조직, 결합 조직이 있다. - - - ① 한 동물체 내에서도 세포(가)의 모양과 기능은 다양 하다. ②, ③ 기관계(다)는 비슷한 기능을 하는 기관(나)들이 모여 이 루어지며, 기관(나)은 여러 종류의 조직(라)이 모여 이루어진다. ⑤ 동물체는 세포(가) → 조직(라) → 기관(나) → 기관계(다) → 개체(마)의 구성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08 동물체에서만 볼 수 있는 구성 단계는 기관계(다)이다. 대 영양소이고, (나)는 에너 09 (가)는 에너지원으로 쓰이는 지원으로 쓰이지 않는 영양소이다. 3 ① 탄수화물 중에서도 엿당은 단맛이 나고, 녹말은 단 맛이 나지 않는다. ② 무기 염류는 몸에서 만들어지지 않지만 물은 만들어진다. ④ 물과 무기 염류는 몸을 구성하지만, 바이타민은 몸을 구성하 지 않는다. ⑤ 대 영양소와 물은 구성 원소로 산소를 포함한다. ① ), 단백질( 3 대 영양소는 탄 ), 지방( )이 )은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B C )의 구성 원소는 탄소, 수 물 A 66 3 10 수화물( 며, 물( E ③ 지방( A 소, 산소이다. ④ 이며, 무기 염류( C 3 대 영양소만 에너지원으로 쓰 )는 에너지원으로 쓰이지 않는다. D ⑤ 효소와 호르몬의 주성분은 단백질( )이다. 단백질 B 16 지방 C 13 무기 염류 D 4.0 B )은 몸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영양소와 노폐물 등을 11 물( 운반하며, 체온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A ② 물은 수소와 산소로 구성된다. ④ 물은 에너지원으로 이용되는 대 영양소가 아니다. ㄴ. 단백질은 탄소, 수소, 산소, 질소 등으로 구성 3 12 된다. ㄷ. 탄수화물과 단백질은 / , 지방은 / 의 에너지 를 포함한다. kcal g 4 kcal g 9 13 단백질은 살코기, 생선, 콩, 달걀, 두부 등에 많이 들어 있 으며, 세포의 주요 구성 성분이므로 성장기에 충분히 섭취해야 40 정답과 해설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40 17. 5. 15. 오후 4:24 26 베네딕트 반응, 수단 Ⅲ 반응, 뷰렛 반응 결과 색깔 변화가 나타났으므로 우유에는 당, 지방, 단백질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③ 아이오딘 반응에서 색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우유에 는 녹말이 들어 있지 않다. ④ 우유에는 대 영양소인 탄수화물(당), 지방, 단백질 이 모두 들어 있다. 3 [27~28] 녹말 검출 당 검출 단백질 검출 아이오딘-아이오 딘화 칼륨 용액 베네딕트 용액 수단Ⅲ 용액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황산 구리 수용액 B 지방 검출 5 + % 1 % D A B C 진도 교재 ⇨ 147 쪽 01 ② 02 :녹말, :단백질, :지방 03 ② A C ㄴ. 조직(나)은 모양과 기능이 비슷한 세포(다)들 01 이 모인 것이고, 비슷한 기능을 하는 기관들이 모여 이루어지는 B 단계는 기관계(가)이다. 직 등은 조직(나)에 해당한다. ㄷ. (다)는 근육세포이므로 세포에 해당하고, 상피 조직, 결합 조 27 시험관 식물에는 지방과 단백질이 들어 있다. D 와 C 에서 각각 색깔 변화가 나타났으므로, 이 음 28 식용유에는 지방, 미음에는 녹말, 양파즙에는 포도당이 주 ), 녹말은 아이오딘 반응 로 들어 있다. 지방은 수단 Ⅲ 반응( 순환계 (가) 기관계 (나) 근육 조직 조직 (다) 근육세포 세포 심장 (라) 기관 - 와 02 공통 용액인 A+B - 에서 모두 아이오딘 반응이 일어났으므로 - - 에는 녹말이 들어 있다. A+C 응과 뷰렛 반응이 일어났으므로 용액 A 에서 아이오딘 반 에는 단백질이 들어 있 A+B 다. 에서 아이오딘 반응과 수단 Ⅲ 반응이 일어났으므로 B ( ), 포도당은 베네딕트 반응( )으로 검출한다. C 용액 에는 지방이 들어 있다. A+C A 29 효소와 호르몬의 주성분은 단백질(가)이고, 당 가장 많은 에너지를 내는 영양소는 지방(나)이다. B 대 영양소 중 03 ㄴ. 단백질은 탄소, 수소, 산소, 질소 등으로 구성된다. C ㄱ. 녹말의 기본 단위는 단당류(포도당)이다. 지방산과 글리세롤은 지방의 기본 단위이다. ㄷ. 지방은 당 의 에너지를 낸다. g 1 kcal 9 에는 3 에는 단백질과 A 에는 단백질과 녹말, 에는 지방과 당, 지방, g 1 당이 들어 있다. B C D 30 탄수화물은 섭취량은 많지만 주로 에너지원으로 쓰이기 때 문에 몸을 구성하는 비율은 정도로 매우 낮다. . 6 채점 기준 0 % 탄수화물이라고 쓰고, 그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탄수화물이라고만 쓴 경우 대 영양소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과 달리 무기 염류, 31 바이타민, 물은 열량을 내지 않는다. 탄수화물과 단백질은 , 지방은 당 의 열량을 낸다. g 1 3 당 4 kcal 1 계산 과정을 포함하여 총 열량을 옳게 구한 경우 g 9 채점 기준 kcal 총 열량만 옳게 구한 경우 32 아이오딘 반응과 수단 Ⅲ 반응 결과 색깔 변화가 나타났으 므로 이 음식물에는 녹말과 지방이 들어 있다. 채점 기준 녹말과 지방이 들어 있다고 쓰고, 그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녹말과 지방이 들어 있다고만 쓴 경우 33 쓰고 남은 에너지가 피부 아래나 내장에 지방으로 저장되 며, 지방층은 체온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채점 기준 지방이라고 쓰고, 영양소 검출 방법을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지방이라고 쓰고, 검출 시약의 이름과 반응 결과 나타나는 색 깔 변화 중 한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지방이라고만 쓴 경우 배점 100 % 40 % 배점 100 % 50 % 배점 100 % 40 % 배점 % 100 60 % 30 % 2 소화 진도 교재 ⇨ 149, 151 쪽 a 소화, 소화관, 소화샘, 기계적, 화학적 B 아밀레이스, 녹말, 펩신, 단백질, 쓸개즙, 아밀레이스, 트립 신, 라이페이스, 포도당, 아미노산,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 C 융털, 표면적, 모세 혈관, 암죽관 1 ⑴ × ⑵ ◯ ⑶ × ⑷ ◯ ⑸ ◯ 2 ⑴ :입, :식도, :간, :위, :이자, :소장, :대장 ⑵ ㉠ A B , ㉡ , ㉢ C 3 ⑴ (가) ⑵ (나) 4 ㉠ 아밀레이스, ㉡ 엿당 5 D D G E B F ⑴ × ⑵ ◯ ⑶ ◯ ⑷ ◯ ⑸ × 6 ⑴ ◯ ⑵ × ⑶ ◯ ⑷ × F ⑸ ◯ ⑹ ◯ 7 ⑴ ㉠ 아밀레이스, ㉡ 포도당 ⑵ ㉠ 트립 신, ㉡ 아미노산 ⑶ ㉠ 라이페이스, ㉡ 모노글리세리드 8 ⑴ , 간 ⑵ , 위 ⑶ , 소장 ⑷ , 이자 9 ⑴ ◯ ⑵ × ⑶ ◯ 10 ⑴ (가) 모세 혈관, (나) 암죽관 ⑵ (가) ㄴ, ㄷ, D E B C ㄹ, (나) ㄱ, ㅁ, ㅂ 정답과 해설 41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41 17. 5. 15. 오후 4:24 진도 교재 1 ⑴, ⑶ 음식물이 직접 지나가는 통로를 소화관이라 고 한다. 간과 이자에는 음식물이 직접 지나가지 않는다. 소화샘 은 음식물을 소화하는 데 필요한 소화액을 분비하는 곳이다. ) ) 위( 식도 2 ⑵ 소화관은 입( ) ) ( A 대장( - 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간( B - - 이자( )과 G F )에는 음식물이 직접 지나 소장( D - ) C 가지 않는다. E 3 (가)는 음식물이 잘게 부서져 크기만 작아지는 기계적 소화를 의미하고, (나)는 영양소가 분해 되면서 화학적으로 다른 물질(물 질 → 물질 )이 되는 화학적 소화를 의미한다. A B ⑴ 지방은 소장에서 처음으로 분해된다. 위에서는 5 펩신에 의해 단백질이 분해된다. ⑸ 염산은 음식물 속의 세균을 죽여 음식물의 부패를 막고, 펩신 의 작용을 돕는다. ⑵ 소장에서는 분절 운동과 꿈틀 운동이 모두 일어 6 난다. ⑷ 쓸개즙은 간에서 생성되어 쓸개에 저장되었다가 십이지장으 로 분비되어 지방의 소화를 돕는다. B )에서 생성되어 쓸개에 저장되었다가 십이 8 ⑴ 쓸개즙은 간( 지장으로 분비된다. ⑵ 단백질은 위( ⑶ 소장( )에서 C ⑷ 이자( 소인 아밀레이스, 단백질 소화 효소인 트립신, 지방 소화 효소인 )에서 만들어져 분비되는 이자액 속에는 녹말 소화 효 대 영양소가 모두 최종 소화되어 흡수된다. )에서 펩신에 의해 처음으로 소화된다. E 3 D 라이페이스가 들어 있다. 9 ⑵ 대장에서는 소화액이 분비되지 않는다. 10 수용성 영양소(포도당, 아미노산, 무기 염류, 수용성 바이 타민)는 융털의 모세 혈관(가)으로 흡수되고, 지용성 영양소(지 방, 지용성 바이타민)는 융털의 암죽관(나)으로 흡수된다. 1 ⑵ 셀로판 튜브의 막은 크기가 작은 물질만 통과시키는 반투과성 막이다. ⑶ 녹말은 크기가 커서 셀로판 튜브의 막을 통과하지 못했기 때 에서 아이오딘 반응 결과 색깔 변화가 나타나지 문에 시험관 않았다. 즉, 비커 (가)의 물에는 녹말이 없다. A A 입 식도 간 위 이자 소장 대장 B C D E F G 2 소장에서 영양소가 흡수된다. 3 채점 기준 영양소가 세포막을 통과하여 세포로 흡수될 수 있을 정도 로 작게 분해되어야 한다는 내용을 포함하여 옳게 서술한 경우 한다고만 서술한 경우 영양소가 세포로 흡수될 수 있을 정도로 작게 분해되어야 배점 100 % 70 % 1 ⑴ 소화 효소는 체온 정도의 온도에서 활발 에서 청람색이 나타난 이유는 아밀레이스가 없어 하게 작용한다. ⑵ 시험관 녹말이 분해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⑷ 묽은 달걀흰자에는 주로 단백질이 들어 있으므로 시험관에서 나타나는 색깔 변화 결과는 달라질 것이다. A 2 시험관 않고, 시험관 A 분해된다. 와 B C D 와 에는 아밀레이스가 없으므로 녹말이 분해되지 에서 아밀레이스에 의해 녹말이 엿당으로 3 채점 기준 소화 효소와 분해 산물의 이름을 포함하여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를 서술한 경우 소화 효소와 분해 산물의 이름 중 하나만 포함하여 이유 배점 % 100 50 % 진도 교재 ⇨ 154 ~ 157 쪽 01 ④ 02 ⑤ 03 ⑤ 04 ⑤ 05 ② 06 ② 07 ㉠ 녹말, ㉡ 아밀레이스, ㉢ 엿당 08 ④ 09 ⑤ 10 ④ 11 ③ 12 ② 13 ⑤ 14 , 펩신 15 (가) , (나) 16 ④ 17 ④ 18 녹말:포도당, 단 D 백질:아미노산, 지방: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 19 ④ A B 진도 교재 ⇨ 152~153 쪽 ㉠ 커서, ㉡ 작아서, ㉢ 소장, ㉣ 세포막, ㉤ 소화 20 ⑤ 21 ⑤ 1 ⑴ ◯ ⑵ × ⑶ × ⑷ ◯ 2 소장 3 크기가 큰 영 22 , 침 속의 소화 효소인 아밀레이스에 의해 양소가 세포로 흡수되기 위해서는 세포막을 통과할 수 있 녹말이 엿당으로 분해되었기 때문이다. 23 펩신의 작용 C 을 만큼 작게 분해되는 소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을 돕는다. 음식물 속의 세균을 죽여 음식물의 부패를 막는다. ㉠ 아밀레이스, ㉡ 엿당 24 지방은 쓸개즙에 의해 작은 지방 알갱이가 되고, 이자액 1 ⑴ × ⑵ × ⑶ ◯ ⑷ × 2 , 3 침 속의 소 속의 소화 효소인 라이페이스에 의해 지방산과 모노글리세리 화 효소인 아밀레이스에 의해 녹말이 엿당으로 분해되었 D C 드로 분해된다. 25 소장 안쪽 벽이 영양소와 닿는 표면적 기 때문이다. 을 넓혀 영양소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한다. 42 정답과 해설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42 17. 5. 15. 오후 4:24 01 은 세포 호흡이다. ② 영양소와 산소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는 과정 02 ⑤ 바이타민은 소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세포로 흡수 될 수 있으며, 포도당은 녹말의 최종 소화 산물이다. ① 엿당과 녹말은 포도당으로, ②, ③ 지방은 지방산과 모노글리세리드로, ④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야 세포 로 흡수될 수 있다. ⑤ 온도가 변하면 침 속 소화 효소의 활성이 달라지는 것이지 분해하는 영양소의 종류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소화 효소는 온도가 낮으면 활성이 떨어지고, 온도가 너무 높으면 단 백질의 성질이 변하여(변성) 그 기능을 잃는다. 한 번 성질이 변 한 단백질은 온도가 다시 낮아져도 기능이 회복되지 않는다. 10 에서는 펩신이 단백질을 중간 산물로 분해한다. ㄷ. 지방의 화학적 소화는 소장에서 일어난다. 위 03 녹말은 크기가 커서 셀로판 튜브의 막을 통과하지 못하므 에는 녹말이 없어 아이오딘 반응 결과 색깔 변화가 로 시험관 11 ㄷ. 강한 산성 물질인 염산과 함께 펩신을 넣었을 때 단백 질의 소화가 활발하게 일어난 것으로 보아 펩신은 강한 산성 환 나타나지 않는다. 포도당은 크기가 작아 셀로판 튜브의 막을 통 경에서 활발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 과하므로 시험관 에는 포도당이 있어 베네딕트 반응 결과 황적 ㄱ. 염산은 소화 효소가 아니다. 색으로 색깔 변화가 나타난다. ⑤ 소화의 필요성을 확인하는 실험이다. B ④ 셀로판 튜브는 우리 몸의 소장을 의미한다. 04 소화 효소는 주성분이 단백질이므로 잘 작용할 수 있는 특 가 적절하지 않으면 잘 작용 정 온도와 가 있으며, 온도와 하지 못하거나 그 기능을 잃는다. pH pH 05 ① 씹는 운동, ③, ④ 꿈틀 운동, ⑤ 분절 운동은 모두 기 계적 소화이다. ② 녹말이 소화 효소인 아밀레이스에 의해 분해되는 과 정은 화학적 소화이다. 06 ④ 입에서는 음식물을 씹어 잘게 부수는 것과 같은 기계적 소화와 침 속의 아밀레이스에 의해 녹말이 엿당으로 분해되는 화학적 소화가 모두 일어난다. ② 펩신은 위액 속에 들어 있는 단백질을 분해하는 소 화 효소이다. 07 입에서는 침 속의 아밀레이스에 의해 녹말이 단맛이 나는 엿당으로 분해된다. ㄴ. 녹말이 많이 포함된 감자는 소화되지 않았다. 12 ② 소장에서 관과 암죽관으로 흡수된다. 3 대 영양소가 최종 소화되어 융털의 모세 혈 ① 쓸개즙은 지방 덩어리를 작은 지방 알갱이로 만들어 지방의 소화를 돕는다. ③ 소장에서는 분절 운동과 꿈틀 운동이 모두 일어난다. ④ 이자액 속의 아밀레이스는 녹말을 엿당으로 분해한다. 엿당 은 소장의 탄수화물 소화 효소에 의해 포도당으로 분해된다. ⑤ 지방 분해 효소인 라이페이스는 이자액에 들어 있다. ① 침 속의 아밀레이스는 녹말을 엿당으로 분해 13 한다. ② 위액 속의 펩신은 단백질을 중간 산물로 분해한다. ③ 쓸개즙에는 소화 효소가 들어 있지 않다. 트립신은 이자액에 들어 있는 단백질 소화 효소이다. ④ 엿당은 소장의 탄수화물 소화 효소에 의해 포도당으로 분해 된다. )와 끓인 침( )은 녹말을 분해하지 못한다. 따라 된다. 08 증류수( 서 시험관 와 A A C 에서는 녹말이 그대로 남아 있어 아이오딘 반 C 응 결과 청람색으로 색깔 변화가 나타난다. 시험관 에서는 침 속의 소화 효소에 의해 녹말이 소화되어 엿당이 생성되기 때문 B 에 베네딕트 반응 결과 황적색으로 색깔 변화가 나타난다. 15 쓸개즙은 소화 효소는 없지만 지방의 소화를 돕는 다. 쓸개즙은 간( )에서 생 위 D 이자 E 소장 F 14 단백질은 위( 펩신에 의해 처음으로 분해 )에서 D 간 A B 쓸개 성된 후 쓸개( )에 저장되 A 대장 C 었다가 십이지장으로 분비 B 된다. 증류수 + 녹말 묽은 침 + 녹말 끓인 침 + 녹말 아이오딘 - 아이오딘화 칼륨 용액 베네딕트 용액 A B C A B C 35~40 C의 물 A B C 녹말 있음 녹말 없음 녹말 있음 * 청람색 엿당 없음 엿당 있음 엿당 없음 황적색 와 의 결과를 비교하면 침에는 녹말을 분해 09 ① 시험관 하는 소화 효소(아밀레이스)가 있음을 알 수 있다. A ②, ③, ④ 시험관 는 체온 정도의 온도에서 활발하게 작용하고, 너무 높은 온도에 의 결과를 비교하면 침 속의 소화 효소 B 와 B 서는 그 기능을 잃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 16 ④ 이자( 을 생성하고 분비한다. 이자액에는 녹말을 엿당으로 분해하는 )는 이자액 E 아밀레이스, 위에서 소화된 중간 산물(단백질)을 중간 산물로 분 해하는 트립신, 지방을 지방산과 모노글리세리드로 분해하는 라 이페이스가 들어 있다. 즉, 이자( )에서는 대 영양소의 소화 효소가 모두 포함된 소화액을 분비한다. E 3 17 ① 간( 로 분비되는 쓸개즙은 지방 덩어리를 작은 지방 알갱이로 만들 B )에 저장되었다가 십이지장으 )에서 생성, 쓸개( A 어 지방의 소화를 돕는다. ④ 이자( )에서는 대 영양소를 분해하는 소화 효소가 모두 분비된다. 이자액은 십이지장으로 분비되어 작용하며, 이 E 3 자에는 음식물이 직접 지나가지 않는다. 정답과 해설 43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43 17. 5. 15. 오후 4:24 진도 교재 진도 교재 18 녹말, 단백질, 지방의 최종 분해 산물은 각각 포도당, 아미 노산, 지방산과 모노글리세리드이다. A ① 는 입에서 녹말(가)을 엿당으로 분해하므로 는 위에서 분해된 단백질(나)의 중간 산물을 소장에서 중간 19 침 속의 아밀레이스이다. ② 산물로 분해하므로 트립신이다. ③ 염산의 도움을 받아 작용하는 것은 위액 속의 단백질 소화 효 는 이자액 속의 지방 소화 효소인 라이페이스 소인 펩신이다. B C 이고, 지방 소화를 돕는 소화액은 간에서 생성되는 쓸개즙이다. ⑤ (가)는 입에서 처음으로 소화되므로 녹말이고, (나)는 위에서 처음으로 소화되므로 단백질이며, (다)는 소장에서만 소화가 일 어나므로 지방이다. 23 24 25 염산의 기능을 두 가지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염산의 기능을 한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채점 기준 채점 기준 세 가지 내용을 모두 포함하여 지방 소화 과정을 옳게 서술한 경우 두 가지 내용만 포함하여 지방 소화 과정을 서술한 경우 한 가지 내용만 포함하여 지방 소화 과정을 서술한 경우 채점 기준 표면적 증가와 영양소의 효율적 흡수에 대한 내용을 모 두 포함하여 옳게 서술한 경우 표면적 증가와 영양소의 효율적 흡수에 대한 내용 중 한 소화관 녹말 (가) 단백질 (나) 지방 (다) 가지만 포함하여 서술한 경우 배점 100 % % 50 배점 % 100 % 60 % 30 배점 100 % 50 % 아밀 레이스 A 입 위 펩신 아밀 레이스 트립신 B 쓸개즙 소장 탄수화물 소화 효소 D 단백질 소화 효소 E 라이페이스 C 포도당 아미노산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 는 융털의 암죽관, 20 양소는 융털의 모세 혈관( A 로, 지용성 영양소는 융털의 암죽관( B 심장 → 온몸으로 이동한다. A 는 융털의 모세 혈관이다. 수용성 영 ) → 간 → 대정맥 → 심장 → 온몸으 B 01 ⑤ 02 ③ ) → 림프관 → 대정맥 → 진도 교재 ⇨ 157 쪽 는 탄수화물(녹말), 위에서부터 소 01 입에서부터 소화되는 화되는 는 단백질, 소장에서 처음으로 소화되는 A 는 지방이다. C A )은 침이나 이자액 속의 아밀레이스에 의해 ① 녹말( B 분해된다. ② 소화 효소는 체온 정도의 온도에서 잘 작용하며, 온도가 너무 높으면 기능을 잃는다. ③, ④ 산성 환경에서 단백질을 분해하는 소화 효소는 위액 속 의 펩신이다. 소 화 되 지 않 은 양 ( )% 100 A 녹말 50 0 입 B 단백질 C 지방 소장 02 ㄱ. 질소를 포함하는 ㉠은 단백질이고, 몸의 구성 비율이 매우 낮은 ㉡은 탄수화물이다. ㉢은 지방이다. ㄴ. 단백질(㉠)의 최종 소화 산물인 아미노산은 수용성 영양소 로, 모세 혈관(가)으로 흡수된다. ㄷ. 지방(㉢)은 지방산과 모노글리세리드로 분해되어 소장 융털의 상피세포로 흡수된 후 다시 지방으로 합성되어 암 죽관(나)으로 이동한다. 지용성 영양소는 심장으로 이동할 때 간 을 거치지 않는다. , 바이타민 )는 암죽관 21 지용성 영양소(지방, 바이타민 ( )으로, 수용성 영양소(포도당, 아미노산, 무기 염류, 바이타민 1, 바이타민 A 융털 상피세포에서 지방산과 모노글리세리드가 지방으로 다시 B 합성되어 암죽관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고려하지 않고 지방산과 D )으로 각각 흡수된다. )는 모세 혈관( A B C 모노글리세리드가 암죽관으로 흡수된다고 설명하는 교과서도 있으니 교과서를 확인하도록 한다. 22 채점 기준 라고 쓰고, 소화 효소와 분해 산물의 이름을 포함하여 라고 쓰고, 소화 효소와 분해 산물의 이름 중 하나만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C 포함하여 이유를 서술한 경우 C 라고만 쓴 경우 C 배점 % 100 60 % 온도가 적절하지 않으면 소화 효소가 잘 작용하지 못하거나 기능을 잃는다. 30 끓인 침 침 증류수 % B C D 침 A 얼음 C의 35~40 물 * 녹말 용액 44 정답과 해설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44 17. 5. 15. 오후 4:24 3 순환 고 이산화 탄소와 노폐물을 받아 돌아오는 과정이므로, 혈액이 동맥혈에서 정맥혈로 바뀐다. 진도 교재 ⇨ 162 쪽 ㉠ 많고, ㉡ 없다, ㉢ 크고, ㉣ 있다 1 ⑴ × ⑵ ◯ ⑶ ◯ ⑷ × 2 적혈구 3 백혈구의 핵을 보라색으로 염색하여 관찰이 잘 되게 하기 위해서 이다. 1 ⑴ 적혈구는 핵이 없다. 김사액을 사용하는 것은 백혈구의 핵을 보라색으로 염색하기 위해서이다. ⑷ 혈액을 얇게 펼 때는 덮개 유리를 혈액이 있는 반대 방향(혈 액이 없는 쪽)으로 밀어야 한다. 2 적혈구는 혈구 중 수가 가장 많기 때문에 혈액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가장 많이 보인다. 3 김사액은 백혈구의 핵을 보라색으로 염색한다. 혈소판 순으로 백혈구의 핵을 보라색으로 염색하기 위해서라는 내용을 포함 하여 옳게 서술한 경우 백혈구의 핵을 염색하기 위해서라고만 서술한 경우 채점 기준 배점 % 100 80 % 진도 교재 ⇨ 159, 161 쪽 a 혈장,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B , , 우심방, 좌심방, 우심실, 좌심실, 판막, 심장 박동 D 동맥혈, 정맥혈, 폐, 산소, 이산화 탄소, 온몸, 산소, 이산화 C 동맥, 모세 혈관, 정맥 2 2 탄소 1 ⑴ × ⑵ × ⑶ ◯ ⑷ × ⑸ ◯ 2 ⑴ , 백혈구 ⑵ , 혈소판 ⑶ , 적혈구 ⑷ , 혈장 3 ⑴ :우심방, B :좌 D 심방, :우심실, A :좌심실, C :판막 ⑵ (가) 대정맥, (나) A B 대동맥, (다) 폐동맥, (라) 폐정맥 ⑶ D E C 4 ㉠ 이완, ㉡ 심 방, ㉢ 심실 5 ⑴ ◯ ⑵ ◯ ⑶ ◯ ⑷ × 6 D :동맥, :모세 혈관, :정맥 7 → → 8 ⑴ A ⑵ ⑶ B ⑷ ⑸ C ⑹ 9 ⑴ 선홍색 ⑵ 적게 ⑶ 폐정맥, B C A A B 대동맥 ⑷ 우심방, 우심실 10 ⑴ ㉠ A B B C , ㉡ , ㉢ (라) ⑵ ㉠ , ㉡ , ㉢ (가) ⑶ 온몸 순환 A D C B ⑴ 혈구의 크기는 백혈구 1 크다. ⑵ 혈구의 수는 적혈구 혈소판 ⑷ 혈액을 원심 분리하면 세포 성분인 혈구가 가라앉는다. 백혈구 순으로 많다. 적혈구 > > > > 는 적혈구, 는 백혈구, 는 혈장, 는 혈소판이다. 2 ⑴ 백혈구( A ⑵ 혈소판( ⑶ 적혈구( ⑷ 혈장( )는 식균 작용을 한다. B C D )은 혈액 응고 작용을 한다. B )는 산소 운반 작용을 한다. D )은 물질을 운반하고, 체온 유지에 관여한다. A C 3 ⑶ 온몸으로 혈액을 내보내는 좌심실( 장 두껍다. D 5 사이에 있다. ⑷ 심장에서 판막은 심방과 심실 사이, 심실과 동맥 는 동맥, 7 흐르는 방향은 동맥( A B 는 모세 혈관, 는 정맥이다. 혈관에서 혈액이 ) → 모세 혈관( ) → 정맥( )이다. C A 8 ⑵ 혈액이 흐르는 속도:동맥 ⑷ 총 단면적:모세 혈관 정맥 ⑹ 혈압:동맥 모세 혈관 > 정맥 > B 정맥 C 모세 혈관 동맥 > > > > ) → 폐의 모세 혈 10 ⑴ 폐순환 경로:우심실(나) → 폐동맥( ) → 좌심방(라) 관 → 폐정맥( ⑵ 온몸 순환 경로:좌심실(다) → 대동맥( 관 → 대정맥( ⑶ 온몸 순환은 혈액이 온몸의 조직세포에 산소와 영양소를 주 A ) → 온몸의 모세 혈 ) → 우심방(가) D C B ) 벽의 근육층이 가 01 ③ 02 ④ 03 ④ 04 ① 05 ⑤ 06 ① 진도 교재 ⇨ 164~167 쪽 4 심장 박동은 심방과 심실 이완 → 심방 수축 → 심실 수축 순 으로 반복된다. 19 ④ 20 ⑤ 07 ③ 08 ④ 09 ① 10 ④ 11 ⑤ 12 ① 13 ① 14 ③ 15 ③ 16 ② 17 ② 18 ① 21 적혈구, 산소 운반 작용을 한다. 22 ⑴ , 우심방 ⑵ 판막, 혈액이 거꾸로 흐르는 것을 막는다. 23 ⑴ 이산화 탄소, 노폐물 ⑵ 혈관벽이 한 겹의 세포층으로 A 되어 있다. 혈액이 흐르는 속도가 느리다. 24 ⑴ → (라) → 온몸의 모세 혈관 → (다) → ⑵ 동맥혈, 혈액이 폐의 모 D 세 혈관을 지나는 동안 폐로부터 산소를 얻어 폐정맥(나)으로 A 이동하기 때문이다. 는 세포(고체) 성 A ① 는 액체 성분인 혈장이고, 01 분인 혈구이다. ② 혈장( ④ 영양소와 노폐물을 운반하는 것은 혈장( ⑤ 혈구( )에 가장 많은 성분은 물이다. )에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있다. A B A )이다. B 정답과 해설 45 정답과 해설 45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45 17. 5. 15. 오후 4:24 진도 교재 02 ④ 혈장( 한 열을 온몸으로 운반하여 체온 )은 세포에서 발생 C A 적혈구 을 일정하게 조절한다. ① 몸속에 들어온 세균을 )이다. )는 핵이 있다. 잡아먹는 것은 백혈구( ② 백혈구( ③ 헤모글로빈이 있어 산소를 운 반하는 것은 적혈구( ⑤ 혈구의 수는 적혈구( A )이다. B B ) B 백혈구 C 혈장 D 혈소판 ②, ③ (나) 시기에는 심실이 수축하여 혈액이 심실에서 동맥으 로 이동한다. ④ (다) 시기에는 심방이 수축하여 혈액이 모두 심실로 이동한다. 혈액이 심장으로 들어옴 혈액이 동맥으로 밀려 나감 혈액이 모두 심실로 들어감 혈소판( ) 백혈구( ) 순으로 많다. (가) 심방과 심실 이완 (나) 심실 수축 (다) 심방 수축 03 혈소판( 위에 딱지가 생기게 하여 출혈을 멈추고 상처 부위를 보호한다. > )은 핵이 없고, 모양이 일정하지 않으며, 상처 부 > A D B D 12 ① 정맥에는 심장 박동에 의한 압력이 거의 미치지 않아 혈 압이 매우 낮다. 이 때문에 혈액이 거꾸로 흐르는 것을 막기 위 04 산소 분압이 낮은 고산 지대에 사는 사람은 평지에 사는 사 )는 식균 작용을 하므로 람보다 적혈구( ) 수가 많다. 백혈구( 외부에서 세균이 침입하면 그 수가 크게 증가한다. A B 05 ⑤ 적혈구 속에 들어 있는 붉은 색소인 헤모글로 빈은 산소가 많은 곳(폐)에서 산소와 결합하고(가), 산소가 적은 곳(조직)에서 산소와 분리됨으로써(나) 폐에서 조직세포로 산소 를 운반한다. 것이다. 06 ㄱ. 학생 라서 출혈이 일어날 때 혈소판에 의한 혈액 응고 작용이 늦어질 는 정상인에 비해 혈소판의 수가 매우 적다. 따 A ㄴ. 세균이 침입하여 염증 반응이 일어날 때는 식균 작 용을 하는 백혈구의 수가 크게 증가한다. ㄷ. 산소를 운반하는 적혈구의 수가 부족할 때 빈혈이 나타나므 로, 학생 만 빈혈 증상이 있을 것이다. B ① 덮개 유리를 혈액이 있는 반대 방향으로 밀어 07 야 혈액이 잘 펴지고, 혈구도 깨지지 않는다. ② 김사액은 백혈구의 핵을 보라색으로 염색한다. 적혈구에는 핵이 없다. ④ 가장 많이 관찰되는 혈구는 혈구 중 수가 가장 많은 적혈구 이다. ⑤ 백혈구는 혈구 중 크기가 가장 크고, 수가 가장 적으며, 핵이 있다. 적혈구와 혈소판은 핵이 없다. 08 발달하여 강한 수축으로 혈액을 내보내기에 알맞다. ④ 심실의 벽은 심방의 벽보다 근육층이 두껍게 09 ③, ④ 심장에서 혈액 은 심방 → 심실 → 동맥 방 향으로 흐른다. ① 온몸으로 혈액을 ) 내보내는 부분은 좌심실( 이다. 우심방( D 오는 혈액을 받아들이는 부분 A )은 온몸에서 이다. 대동맥 (나) (다) 폐동맥 우심방 A B 좌심방 (가) 대정맥 우심실 C D 좌심실 (라) 폐정맥 E 판막 10 ④ 온몸으로 혈액을 내보내는 좌심실( 장 두껍다. D ) 벽의 근육층이 가 11 ⑤ 심장 박동은 심방과 심실 이완(가) → 심방 수축(다) → 순으로 반복된다. 심실 수축(나) → 심방과 심실 이완(가) → 해 혈관 곳곳에 판막이 있다. ②, ③ 심장에서 나오는 혈액이 흐르는 동맥은 혈관벽 이 두껍고 탄력성이 커서 심장 수축으로 생기는 높은 혈압을 견 딜 수 있다. ④ 동맥은 보통 몸속 깊숙이 분포하고, 정맥은 피부 가까이 분포 한다. ⑤ 매우 가늘지만 온몸에 그물처럼 퍼져 있는 모세 혈관은 혈관 중 총 단면적이 가장 넓다. ② 정맥은 혈관 중 혈압이 가장 낮다. 13 ③ 정맥에는 심장으로 들어가는 혈액이 흐른다. ④, ⑤ 모세 혈관에 대한 설명이다. C )이다. ① 심장으로 들어가는 14 혈액이 흐르는 혈관은 정맥( ② 혈관벽이 두껍고 탄력성이 강한 )이다. 혈관은 동맥( ④ 정맥( 낮다. ⑤ 혈액은 동맥( → 정맥( )은 혈관 중 혈압이 가장 ) 방향으로 흐른다. ) → 모세 혈관( A C ) A B 정맥 C A 동맥 모세 혈관 B C 모세 혈관 ① 혈압 : 동맥 15 ② 혈류 속도 : 동맥 ④ 혈관벽 두께 : 동맥 > ⑤ 혈액 이동 방향 : 동맥 → 모세 혈관 → 정맥 > 모세 혈관 > 모세 혈관 정맥 > 정맥 > > 정맥 16 동맥은 혈압이 높고 혈류 속도가 빠르다. 모세 혈관은 총 단면적이 가장 크고, 정맥은 혈압이 가장 낮다. 17 혈액 순환은 폐순환과 온몸 순환이 반복되어 일어난다. 폐 순환은 우심실(나) → 폐동맥 → 폐의 모세 혈관 → 폐정맥(라) → 좌심방의 경로를 따라 일어난다. 폐순환을 마친 혈액은 좌심 방에서 좌심실(다)로 이동하여 온몸 순환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온몸 순환은 좌심실(다) → 대동맥 → 온몸의 모세 혈관 → 대정 맥(가) → 우심방의 경로를 따라 일어난다. 18 동맥으로 이동하므로 폐동맥에는 정맥혈이 흐른다. ① 온몸을 돌고 온 혈액이 우심방→ 우심실 → 폐 19 ② 정맥에는 판막이 있다. ⑤ 온몸의 모세 혈관에서 혈액의 산소와 영양소가 조직세포로 이동하고, 조직세포에서 생성된 이산화 탄소와 노폐물이 혈액으 ① (가) 시기에는 심방과 심실이 모두 이완한다. .c3 로 이동한다. 46 정답과 해설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46 17. 5. 15. 오후 4:24 ④ 온몸 순환은 좌심실 ) → 대동맥(라) → 온몸의 모 ( 세 혈관 → 대정맥(다) → 우심 D 방( )의 경로를 따라 일어난다. (가) 폐동맥 우심방 A 20 동맥혈이 흐르는 곳은 폐 의 모세 혈관에서 산소를 공급 (다) 대정맥 우심실 좌심실 (나) 폐정맥 좌심방 (라) 대동맥 폐 A B C D 온몸 받은 혈액이 흐르는 폐정맥(나), 대동맥(라), 좌심방( ), 좌심실 ( )이고, 정맥혈이 흐르는 곳은 B 02 폐동맥, A 는 우심방, 는 좌심방, 는 우심실, 는 좌심실, 는 는 폐의 모세 혈관, B 는 폐정맥, C 는 대정맥, D 는 온 E 몸의 모세 혈관, F H ㄷ. (가)는 폐순환이 일어날 때 폐의 모세 혈관( 는 대동맥이다. G I )에서 폐로부터 J 산소를 얻음으로써 혈액 속의 산소 양이 증가하는 변화를 나타 F ㄱ. (가)는 폐순환이 일어날 때 나타나는 산소 양의 변 낸 것이다. 화이다. 온몸의 모세 혈관에서 조직세포에 산소를 전달한 혈액이 흐르는 D 폐동맥(가), 대정맥(다), 우심방( ), 우심실( )이다. E 맥혈이 흐른다. 정맥혈 ← → 동맥혈 ㄴ. 폐동맥( )에는 조직세포에 산소와 영양소를 전해주고 이산 화 탄소와 노폐물을 받아온 혈액이 흐른다. 즉, 산소가 적은 정 21 22 23 24 ⑵ ⑵ ⑵ A 채점 기준 C 적혈구라고 쓰고, 기능을 옳게 서술한 경우 적혈구라고만 쓴 경우 채점 기준 ⑴ 기호와 이름을 옳게 쓴 경우 판막이라고 쓰고, 기능을 옳게 서술한 경우 판막이라고만 쓴 경우 채점 기준 ⑴ 물질의 종류를 옳게 쓴 경우 모세 혈관의 특징을 두 가지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모세 혈관의 특징을 한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채점 기준 ⑴ 온몸 순환 경로를 옳게 나타낸 경우 동맥혈이라고 쓰고,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동맥혈이라고만 쓴 경우 배점 100 % % 40 배점 % 30 70 % % 30 배점 % 40 60 % % 30 배점 % 50 50 % 20 % 01 ④ 02 ③ 01 혈압이 가장 높고 심실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혈압과 혈류 는 모 속도가 달라지는 는 동맥이고, 혈류 속도가 가장 느린 A 세 혈관이다. 혈압이 가장 낮은 ① 심실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혈액이 흐르는 속도가 달라져 혈 C 관벽이 팽창했다가 원래대로 돌아감으로써 혈관벽에 생기는 파 는 정맥이다. B )에서 느낄 수 있다. ) A 동맥( ) 동이 맥박이다. 따라서 맥박은 동맥( ② 총 단면적:모세 혈관( ③ 모세 혈관( 관벽 두께:동맥( B 정맥( > ) 정맥( ) ) B ④ 모세 혈관( > 도는 모세 혈관( )은 혈관벽이 한 겹의 세포층으로 되어 있다. 혈 > A C 모세 혈관( ) )보다 정맥( )의 혈압이 낮지만 혈류 속 A C )보다 정맥( B > )에서 더 빠르다. B C B C 진도 교재 ⇨ 167 쪽 짐, ㉥ 높아짐 8 : 산소, : 이산화 탄소 9 ⑴ ㉠ 외 4 호흡 a 세포 호흡, 에너지, 미토콘드리아 B 산소, 이산화 탄소, 폐포 C 갈비뼈, 가로막, 갈비뼈, 가로막 D 확산, 외호흡, 내호흡 진도 교재 ⇨ 169, 171 쪽 1 ㉠ 산소, ㉡ 이산화 탄소 2 ⑴ ◯ ⑵ × ⑶ ◯ ⑷ × ⑸ × 3 : 코, : 기관, : 기관지, : 폐, : 폐포, : 갈비뼈, A : 가로막 4 ⑴ ◯ ⑵ ◯ ⑶ ◯ ⑷ ◯ ⑸ × ⑹ ◯ D E B C F ⑺ × 5 ㉠ 기관, ㉡ 기관지 6 ㉠ 근육, ㉡ 가로막, ㉢ G 부피 7 ㉠ 내려감, ㉡ 올라감, ㉢ 커짐, ㉣ 작아짐, ㉤ 낮아 호흡, ㉡ 내호흡 ⑵ ㉠ 산소, ㉡ 이산화 탄소 ⑶ ㉠ 폐포, ㉡ B A 조직세포 ⑷ ㉠ 산소, ㉡ 이산화 탄소 2 ⑵ 세포 호흡으로 발생한 에너지는 체온 유지, 생 장, 근육 운동, 소리 내기, 두뇌 활동 등 여러 가지 생명 활동에 쓰인다. ⑷ 세포 호흡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생명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 를 얻는 것이다. ⑸ 연소는 고온에서 일어나고, 세포 호흡은 체온 정도의 낮은 온 도에서 일어난다. )는 가슴 속에 좌우 한 개씩 있다. ⑸ 폐( )는 폐가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적을 넓혀 기체 교환이 4 ⑺ 폐포( 효율적으로 일어나게 한다. D E 정답과 해설 47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47 17. 5. 15. 오후 4:24 진도 교재 7 갈비뼈가 올라가고 가로막이 내려가 흉강의 부피가 커지고, 이에 따라 흉강과 폐의 압력이 낮아질 때 들숨이 일어난다. 진도 교재 ⇨ 174~177 쪽 8 날숨에는 들숨보다 산소는 적게, 이산화 탄소는 많이 포함되 어 있다. 01 ④ 02 ⑤ 03 ⑤ 04 ③ 05 ④ 06 ③ 07 ⑤ 08 ② 09 ③ 10 ③ 11 ④ 12 ⑤ 13 ④ 9 산소( 이산화 탄소( , A 한다. B C D )는 폐포 → 모세 혈관 → 조직세포로 이동하고, , )는 조직세포 → 모세 혈관 → 폐포로 이동 14 ⑤ 15 ⑤ 16 ③ 17 ⑤ 18 ③ 19 폐는 수많은 폐포로 이루어져 있어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적이 매우 넓기 때문에 기체 교환이 효율적으 로 일어날 수 있다. 20 ⑴ :갈비뼈, :가로막 ⑵ 가 올라가고 는 내려가 흉강의 압력이 낮아지고, 이에 따라 폐 A A B 의 압력도 낮아진다. 21 ⑴ (나) ⑵ B :산소, :이산화 탄소 ⑶ 기체 교환은 기체의 농도 차이에 따른 확산으로 일어 A B 진도 교재 ⇨ 172~173 쪽 난다. ㉠ 흉강, ㉡ 폐, ㉢ 고무 막, ㉣ 들숨, ㉤ 날숨 1 ⑴ × ⑵ ◯ ⑶ × 2 가로막 3 고무 막을 아래로 잡아당기면 페트병 속의 압력이 낮아지고, 고무풍선이 부 풀어 오른다. 이산화 탄소 1 ⑴ × ⑵ ◯ ⑶ × ⑷ ◯ 2 이산화 탄소 3 날숨에 01 호흡(세포 호흡)은 생물이 생명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 는 과정이다. 02 세포 호흡은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서 영양소가 산소(가) 와 반응하여 물과 이산화 탄소(나)로 분해되면서 에너지가 발생 하는 과정이다. ⑤ 세포 호흡에 필요한 영양소는 소화계에서 소화 · 흡 수되어 순환계(혈액)에 의해 조직세포로 전달되고, 산소는 호흡 는 들숨보다 이산화 탄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계에서 흡수되어 순환계(혈액)에 의해 조직세포로 전달된다. 1 ⑴ 고무풍선은 우리 몸의 폐에 해당한다. ⑶ 고무 막을 잡아당기는 것은 사람의 호흡에서 들숨, 놓는 것은 날숨에 해당한다. 2 호흡 운동 모형의 고무 막은 가로막에 해당한다. Y 자관은 기관과 기관지, 고무풍선은 폐, 3 고무 막을 아래로 잡아당기면 페트병 속 공간의 부피가 커 진다. 채점 기준 페트병 속의 압력과 고무풍선의 크기 변화를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두 가지 중 한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1 ⑴ 이 실험으로는 알 수 없지만 실제로 들숨 과 날숨은 모두 산소의 비율이 이산화 탄소의 비율보다 높다. ⑶ 석회수가 뿌옇게 흐려진 것은 날숨에 들어 있는 이산화 탄소 때 문이다. 2 석회수는 이산화 탄소와 만나면 뿌옇게 흐려진다. 액에 이산화 탄소가 일정량 이상 녹아 들어가면 용액이 산성으 용 BTB 로 변하여 색깔이 노란색으로 변한다. 3 날숨을 불어넣었을 때 석회수가 더 뿌옇게 흐려지고 초록색 용액이 노란색으로 변한 것은 날숨에 이산화 탄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BTB 채점 기준 들숨과 날숨의 이산화 탄소 양을 옳게 비교하여 서술한 경우 이산화 탄소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경우 배점 100 % 50 % 배점 100 % 0 % 48 정답과 해설 03 세포 호흡은 체온 정도의 낮은 온도에서 여러 단계를 거쳐 천천히 조금씩 에너지를 방출한다. 연소는 고온에서 많은 양의 에너지를 한꺼번에 방출한다. 04 ③ 세포 호흡 결과 발생한 에너지의 약 된다. 가 열로 방출 60 % 05 ④ 폐포는 매우 얇은 막으로 이루어진 작은 공기 주머니로, 폐포의 공기와 폐포를 둘러싼 모세 혈관의 혈액 사이에 서 기체 교환이 일어난다. 06 A 코 기관 폐 기관지 가로막 B C D E )이 위로 올라가고 갈비뼈가 아래로 내려오면 흉강 ⑤ 가로막( 과 폐( )의 부피가 작아진다. E ③ 폐( C )는 근육이 없어 스스로 움직이지 못한다. C 07 폐는 갈비뼈(㉠)와 가로막으로 둘러싸인 흉강에 들어 있고, 좌우에 한 개씩 있다. 폐는 수많은 폐포(㉡)로 이루어져 있어 공 기와 접촉하는 표면적(㉢)이 매우 넓기 때문에 산소와 이산화 탄 소의 교환이 효율적으로 일어난다. 08 (가)는 갈비뼈, (나)는 가로막이다. 날숨이 일어날 때는 갈 비뼈(가)가 아래로 내려가고 가로막(나)이 위로 올라가 흉강의 부피가 작아지고, 압력이 높아진다. 이에 따라 폐의 내부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져 폐에서 몸 밖으로 공기가 나간다.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48 17. 5. 15. 오후 4:24 )을 아래로 잡아당기는 것은 우리 몸에서 들숨이 20 09 구분 ① 갈비뼈 ② 가로막 ④ 폐의 부피 ⑤ 공기 이동 방향 들숨 올라감 내려감 늘어남 날숨 내려감 올라감 줄어듦 몸 밖 → 폐 폐 → 몸 밖 자관( )은 우리 몸의 기관 및 기관지, 고무풍선( )은 10 ③ 폐, 고무 막( Y )은 가로막에 해당한다. A C ①, ②, ③ 고무 막( 11 병 속의 부피가 늘어나고 압력이 낮아져 모형 밖의 공기가 )을 아래로 잡아당기면 유리 자 C )으로 들어온다. B Y )을 통해 고무풍선( 관( ⑤ 고무 막( 일어나는 경우와 같다. A B C 12 ⑤ 호흡 운동 모형에서 잡아당겼던 고무 막을 놓는 것은 우 리 몸의 날숨에 해당한다. 날숨이 일어날 때는 가로막이 올라가 고 갈비뼈가 내려와 흉강의 부피가 작아지고 흉강과 폐의 압력 이 높아져 공기가 폐에서 몸 밖으로 이동한다. C C 13 A 화 탄소( 는 질소, 는 산소, ④ 날숨에는 들숨보다 산소( B C 는 이산화 탄소이다. )가 적게 들어 있고, 이산 )가 많이 들어 있다. 들숨과 날숨 모두 산소( )가 이산 B 화 탄소( )보다 많이 들어 있다. 14 ①, ②, ③ 들숨을 넣은 (가)에서는 색깔 변화가 크지 않고, 날숨을 넣은 (나)에서는 용액의 용액의 색깔이 노란색으로 변한다. ④ 때문이다. 이산화 탄소가 BTB 용액의 색깔이 노란색으로 변하는 것은 이산화 탄소 용액에 일정량 이상 녹아 들어가 면 용액이 산성으로 변하여 노란색이 된다. BTB BTB 15 ⑤ 외호흡과 내호흡에서 기체 교환이 일어나는 원리는 농 도 차이에 따른 확산이다. ①, ②, ③, ④는 모두 증발의 예이다. B BTB BTB 폐동맥 A 폐정맥 B 는 이산화 탄소로, 세포 호흡 결과 생성된다. 영양소 와 ⑤ 와 반응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것은 산소( , )이다. B D 혈액의 흐름 A 동맥혈(산소↑) C 폐포 심장 산소 몸 밖 이산화 탄소 19 A B (가) 외호흡 정맥혈(산소↓) 채점 기준 제시된 단어를 모두 사용하여 옳게 서술한 경우 제시된 단어 중 두 가지만 사용하여 서술한 경우 산소 조직 세포 이산화 탄소 C D (나) 내호흡 채점 기준 와 의 이름을 옳게 쓴 경우 )와 가로막( 갈비뼈( A B 력 변화를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A B )의 움직임, 흉강과 폐의 압 두 가지 중 한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21 채점 기준 ⑴ 내호흡을 옳게 고른 경우 와 의 이름을 옳게 쓴 경우 B 기체의 농도 차이에 따른 확산이라고 옳게 서술한 A 경우 확산이라고만 서술한 경우 ⑴ ⑵ ⑵ ⑶ 배점 100`% 50`% 배점 30`% 70`% 30`% 배점 20`% 20`% 60`% 40`% 01 ⑤ 02 ② 진도 교재 ⇨ 177 쪽 16 폐에서 기체 교환을 마치고 나가 ③ 폐정맥( )에는 는 혈액이 흐르므로 산소( 도는 폐동맥( ) 고, 이산화 탄소( A 폐정맥( C 동맥( ) < )이다. )이 폐정맥( D )의 농도는 폐 B B )의 농 01 ② 폐는 수많은 폐포(나)로 이루어져 있어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적이 넓다. ⑤ 폐동맥( )의 혈액은 폐포를 지나면서 확산에 의해 산소를 얻고 이산화 탄소를 내보낸다. 즉, 폐동맥( )에는 산소가 B 폐포 적은 정맥혈이 흐르고, 폐정맥( )에는 산소가 많은 동맥혈이 흐 B A (가) 기관 폐정맥 (산소↑) A 폐동맥 B (산소↓) (나) 폐포 이산화 탄소 C 산소 D 른다. A > 17 산소의 농도는 조직세포보다 모세 혈관에서 높고, 이산화 탄소의 농도는 모세 혈관보다 조직 적혈구 E B 세포에서 높다. 따라서 산소는 모세 혈관 → 조직세포로( ), 이 산화 탄소는 조직세포 → 모세 혈관으로( ) 이동한다. B 18 ③ 석회수는 이산화 탄소( 진다. B D , )와 반응하면 뿌옇게 흐려 A ② 내호흡(나) 과정에서 산소는 모세 혈관 → 조직세포로 이동한 다. 따라서 (나)에서의 기체 교환 결과 혈액의 산소 농도가 낮아 진다. ④ A C ① (가)는 외호흡, (나)는 내호흡이다. 간이고, 는 날숨이 일어나는 구간이다. A 와 는 산소로, 날숨보다 들숨에 많이 들어 있다. 들어오는 들숨이 일어난다. 혈액의 이동 (다) 모세 혈관 02 ㄱ. 폐포 내부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을 때 들숨이 일어나 는 들숨이 일어나는 구 고, 높을 때 날숨이 일어난다. 따라서 ㄴ. 날숨( B )이 일어날 때는 갈비뼈가 아래로 내려가고, 가로막이 위로 올라가 흉강의 부피가 작아진다. B ㄹ. 폐포 내부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을 때 외부에서 폐로 공기가 정답과 해설 49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49 17. 5. 15. 오후 4:24 1 ⑴ ◯ ⑵ × ⑶ ◯ ⑷ × 2 ⑴ ㉣ ① ⑵ ㉤ ② ⑶ 16 포도당, 건강한 사람의 경우 포도당은 세뇨관에서 모세 A B C ㉠ ③ ⑷ ㉡ ⑤ ⑸ ㉢ ⑥ ⑹ - - ㉥ ④ ⑺ - - ㉦ 혈관으로 전부 재흡수되어 오줌에 들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진도 교재 5 배설 진도 교재 ⇨ 179, 181 쪽 a 배설, 이산화 탄소, 암모니아 B 콩팥, 네프론, 사구체, 보먼주머니 C 여과, 재흡수, 분비 D 에너지 ⑦ 3 - - , , - 4 - :겉질, - - :속질, - - :콩팥 깔때기 - - 5 ⑴ ◯ ⑵ ◯ ⑶ ◯ ⑷ × 6 (가) 여과, (나) 재흡수, (다) A G E B C F 분비 7 ⑴ 보먼주머니 ⑵ ㉠ 세뇨관, ㉡ 모세 혈관 ⑶ ㉠ 노폐물, ㉡ 세뇨관 8 ㉠ 사구체, ㉡ 세뇨관, ㉢ 오줌관, ㉣ 요도 9 ⑴ 단백질 ⑵ 포도당 ⑶ 요소 10 ㉠ 소화계, ㉡ 호흡계, ㉢ 순환계, ㉣ 배설계 ⑵ 대 영양소 중 단백질이 분해될 때만 암모니아 1 가 생성된다. ⑷ 세포 호흡으로 생성된 노폐물 중 물과 요소는 콩팥에서 걸러 져 오줌을 통해 몸 밖으로 나가고, 물의 일부와 이산화 탄소는 3 폐에서 날숨과 함께 몸 밖으로 나간다. 2 콩팥 A 오줌관 B 방광 요도 C D 사구체 E F 보먼주머니 세뇨관 G 3 콩팥에서 오줌을 생성하는 기능적 단위를 네프론이라고 하 )으로 이루어 며, 네프론은 사구체( ), 보먼주머니( ), 세뇨관( E F G 진다. 5 깔때기( C 9 ⑴ 단백질은 혈장에는 있지만 여과액에는 없으므로, 여과되 지 않았다. ⑵ 포도당은 혈장과 여과액에 있지만 오줌에는 없으므로, 여과 되었다가 모두 재흡수되었다. ⑶ 요소는 대부분의 물이 재흡수되면서 농축되므로, 혈장과 여 과액보다 오줌에서 농도가 크게 높아진다. 10 우리 몸을 구성하는 소화계(㉠), 호흡계(㉡), 순환계(㉢), 배설계(㉣)는 생명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 과정으로 연결 되어 있다. 50 정답과 해설 진도 교재 ⇨ 182~184 쪽 01 ④ 02 ㉠ 암모니아, ㉡ 간, ㉢ 요소 03 ① 04 ③ 05 ③ 06 ①, ④ 07 (가) 여과, (나) 재흡수, (다) 분비 08 ① 09 ④ 10 ③ 11 ④ 12 ④ 13 ⑤ 14 ⑴ (가) 간, (나) 폐, (다) 콩팥 ⑵ 탄수화물과 지방은 탄소, 수소, 산소로만 구성되지만, 단백질은 탄소, 수 소, 산소, 질소 등으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15 ⑴ (가) 네 프론, (나) , , ⑵ 단백질, 적혈구, 크기가 크기 때문이다. 01 화 탄소( 3 대 영양소가 분해될 때 공통으로 생성되는 노폐물은 이산 )와 물( )이고, 단백질이 분해될 때만 생성되는 노폐 물은 암모니아( A )로 바뀌어 물( C )이다. 암모니아( B )과 함께 오줌으로 배설된다. C ( )는 간에서 독성이 약한 요소 D B 영양소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간 C D 암모니아 요소 노폐물 A 이산화 탄소 B 물 배설 방법 날숨 오줌 02 암모니아(㉠)는 독성이 강하여 세포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간(㉡)에서 독성이 약한 요소(㉢)로 바뀐 후 콩팥에서 걸러져 오 줌으로 배설된다. 03 ① 물은 몸속에서 이용되거나 날숨과 오줌을 통해 몸 밖으 로 나간다. ② 물은 날숨과 오줌을 통해 몸 밖으로 나간다. ③ 이산화 탄소는 날숨을 통해 몸 밖으로 나간다. ④ 탄수화물은 탄소, 수소, 산소로만 구성된다. 질소 노폐물은 탄소, 수소, 산소, 질소 등으로 구성된 단백질이 분해될 때 생성 대 영양소가 분해될 때 공통으로 생성되는 노폐물은 이산화 된다. ⑤ 탄소와 물이다. 3 04 는 콩팥, ③ 오줌관( B A 콩팥의 겉질( 05 ③ 에서 만들어진 오줌이 콩팥 깔때기 B )과 속질( A ) ( )에 모인다. ①, ② 콩팥의 겉질( C 는 사구체와 보먼주머니 및 일부 세 )에 뇨관이 분포하고, 속질( A )에는 세 콩팥 동맥 F 콩팥 정맥 E D 오줌관 겉질 A 속질 B C 콩팥 깔때기 뇨관이 분포한다. ⑤ 콩팥에서 오줌을 생성하는 기능적 단위를 네프론이라고 하 며, 네프론은 사구체, 보먼주머니, 세뇨관으로 이루어진다. 오줌관 B ( )은 콩팥에서 만들어진 오줌이 방광으로 이동하는 통로이다. D ⑷ 세뇨관은 겉질( )과 속질( )에 분포한다. 콩팥 )는 오줌이 모이는 빈 공간이다. A B 는 오줌관, 는 방광, 는 요도이다. )에는 콩팥에서 만들어진 오줌이 흐른다. C D 노폐물이 걸러진 혈액은 콩팥 정맥을 따라 흐른다. B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50 17. 5. 15. 오후 4:24 )에서 보먼주머니( )로 크기 06 ② 여과는 사구체( 가 작은 물질이 이동하는 것이다. ③ 재흡수는 세뇨관( 이 이동하는 것이다. C ⑤ 콩팥 동맥( 진 후 콩팥 정맥( F A )에서 모세 혈관( )으로 몸에 필요한 물질 D )을 통해 사구체로 들어온 혈액은 노폐물이 걸러 )으로 나가므로, 콩팥 동맥( )의 혈액은 콩팥 B 정맥( )의 혈액보다 요소의 농도가 높다. E F E [07~09] 콩팥 동맥 사구체 보먼주머니 A B (가) 여과 (나) 재흡수 모세 혈관 D (다) 분비 세뇨관 C 13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 과정으로 연결되어 있다. ⑤ 소화계, 순환계, 호흡계, 배설계는 생명 활동에 음식물 소화계 (가) 순환계 영양소 산소, 영양소 이산화 탄소 산소 이산화 탄소 (나) 호흡계 산소 노폐물 흡수되지 않은 물질 조직세포 이산화 탄소, 노폐물 (다) 배설계 오줌 14 이산화 탄소는 폐(나)에서 날숨을 통해 몸 밖으로 나간다. 물은 폐(나)와 콩팥(다)에서 날숨과 오줌을 통해 몸 밖으로 나간 다. 암모니아는 간(가)에서 요소로 바뀐 후 콩팥(다)에서 오줌을 통해 몸 밖으로 나간다. 콩팥 깔때기 채점 기준 ⑴ (가) (다)의 이름을 모두 옳게 쓴 경우 구성 원소를 근거로 들어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 질소라는 단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⑵ 15 E )의 높은 압력에 의해 사구체( )에서 는 콩팥 정맥, A 는 콩팥 동맥이다. B C D 는 사구체, 는 보먼주머니, 는 세뇨관, 는 모세 혈관, F 채점 기준 ⑴ (가), (나)를 모두 옳게 쓴 경우 이동하지 않는 물질 두 가지를 옳게 쓰고, 이유를 옳게 서 술한 경우 ⑵ 이동하지 않는 물질 두 가지만 옳게 쓴 경우 이동하지 않는 물질 한 가지만 옳게 쓴 경우 물질이 이동하지 않는 이유만 옳게 서술한 경우 16 정상인의 경우 포도당과 아미노산은 세뇨관에서 모세 혈관 으로 전부 재흡수된다. 채점 기준 포도당이라고 쓰고,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포도당이라고만 쓴 경우 배점 40 % 60 % 0 % 배점 40 % 60 % % 30 % 15 30 % 배점 100 % 40 % 진도 교재 ⇨ 184 쪽 )에서 보먼주머니( )로 여과(가)가 일어나고, 세 )과 모세 혈관( A ) 사이에서 재흡수(나)와 분비(다)가 일어 B 07 사구체( 뇨관( 난다. C D 08 ① 여과는 사구체( 보먼주머니( )로 크기가 작은 물질이 이동하는 것이다. A A B ② 적혈구는 크기가 크기 때문에 여과되지 않는다. 따 )에는 없다. )에는 있지만 보먼주머니( A )으로 분비(다)된다. 라서 적혈구는 사구체( ③ 여과되지 않고 혈액 속에 남아 있는 노폐물은 모세 혈관( 에서 세뇨관( ④ 포도당과 아미노산은 세뇨관( 재흡수(나)된다. ⑤ 오줌에는 물, 무기 염류, 요소 등이 들어 있다. )에서 모세 혈관( )으로 전부 D D B C C ) 09 재흡수(나)되는 물질은 포도당, 아미노산, 물, 무기 염류 등 우리 몸에 필요한 물질이고, 분비(다)되는 물질은 여과되지 않고 모세 혈관( )의 혈액 속에 남아 있는 노폐물이다. D 10 네프론에서 생성된 오줌은 콩팥 깔때기와 오줌관을 거쳐 방광에 모였다가 요도를 통해 몸 밖으로 나간다. 11 • • A 는 혈장, 여과액, 오줌에 가장 많이 들어 있다. ➡ 물 는 혈장과 여과액에는 있지만 오줌에는 없다. ➡ 여과되었다 가 전부 재흡수되는 물질:포도당 • 는 혈장과 여과액보다 오줌에서 농도가 크게 높아진다. ➡ 물이 재흡수되면서 농축되는 물질:요소 되지 않는 물질:단백질 A ① 오줌의 성분인 물( 니다. 전부 재흡수되는 물질은 포도당( ② 간에서 암모니아가 전환되어 만들어지는 물질은 요소( ③ ⑤ 당뇨병에 걸린 사람의 경우 포도당( 않아 오줌에서 검출된다. 는 요소이다. )이다. B C C B )의 일부가 재흡수되지 )이다. B C D • 는 혈장에는 있지만 여과액에는 없다. ➡ 크기가 커서 여과 01 ② 02 ③ )은 전부 재흡수되는 물질이 아 01 사구체 보먼 주머니 세뇨관 모세 혈관 (가) 여과 후 전부 재흡수 (나) 여과 후 일부만 재흡수 (다) 여과되지 않음 12 의 농도가 낮아진다. 이러한 경우에는 콩팥에서 재흡수되는 물 물을 많이 마셔 체내 수분량이 증가하면 체액 ④ 의 양이 감소하여 오줌의 양이 증가한다. •여과되었다가 전부 재흡수되는 물질:포도당, 아미노산 •여과되었다가 일부만 재흡수되는 물질:물, 무기 염류 •여과되지 않는 물질:단백질 정답과 해설 51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51 17. 5. 15. 오후 4:24 진도 교재 02 소화계 A 순환계 작은 영양소 조직 세포 호흡계 B 순환계 음 식 물 산 소 에너지 배설계 C 오 줌 노 폐 물 진도 교재 ⇨ 185 ~ 189 쪽 01 ④ 02 ④ 03 ⑤ 04 , 지방 05 ③ 06 ⑤ 07 ⑤ 08 ①, ⑤ 09 ① 10 ③ 11 ② 12 ⑤ C 13 ① 14 ⑤ 15 ⑤ 16 ⑤ 17 ③ 18 ④ 19 ⑤ 20 ③ 21 ② 22 ⑤ 23 ④ 24 ② 25 ④ 26 ③ 27 ③ 28 :물, :단백질, :지방, 단백질( )에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과 A B 황산 구리 수용액을 넣으 B C 면 보라색으로 색깔 변화가 나타난다. 29 적혈구( 5 % % 1 )는 산 소 운반 작용을 하므로 부족하면 세포에 충분한 양의 산소를 A 공급하지 못해 빈혈이 생길 수 있다. 30 판막, 혈액이 거꾸 로 흐르는 것을 막는다. 31 가로막은 올라가고 갈비뼈는 내려와 폐의 부피가 작아지고 폐 내부의 압력은 높아진다. 그 결과 공기가 폐에서 몸 밖으로 나간다. 32 대부분의 물이 재흡수되면서 농축되기 때문이다. 01 (가)는 근육세포 계 기관계, (라)는 근육 조직 - 세포, (나)는 위 기관, (다)는 소화 조직, (마)는 사람 개체이다. - - ④ 소화계(다)와 같은 구성 단계인 기관계에 해당하는 것은 순환계, 호흡계, 배설계 등이고, 심장과 폐는 위(나)와 같은 - - 구성 단계인 기관에 해당한다. 02 화물과 단백질은 각각 ④ 3 당 의 에너지를 낸다. 1 4 g kcal kcal 9 는 물, g 1 03 화물이다. A B ① 물( ② A 물이다. 단백질( A . 는 단백질, 는 지방, 는 무기 염류, 는 탄수 C D E )은 에너지원으로 쓰이지 않는다. 는 영양소 중 몸을 구성하는 비율이 가장 높으므로( . ) )은 몸을 구성하는 비율이 두 번째로 높다 % 66 0 ). ( B ③ 효소와 호르몬의 주성분은 단백질( 16 0 ④ 물( )은 수소와 산소로 이루어진다. % 2 B )이다. H O 04 쓰고 남은 에너지가 피부 밑이나 내장에 지방( 되는데, 너무 많이 저장되면 비만이 된다. C )으로 저장 52 정답과 해설 05 음식물에 아이오딘 반응 결과 청람색이 나타나면 녹말, 베 네딕트 반응 결과 황적색이 나타나면 당, 뷰렛 반응 결과 보라색 이 나타나면 단백질, 수단 Ⅲ 반응 결과 선홍색이 나타나면 지방 이 들어 있는 것이다. ③ 실험 결과 아이오딘 반응, 뷰렛 반응, 수단 Ⅲ 반응에서 모두 색깔 변화가 나타났으므로 이 음식물에는 녹말, 단백질, 지방이 들어 있다. 06 ⑤ 우리 몸에서 소화된 영양소는 소장에서 흡수된다. ①, ②, ③, ④ 녹말은 크기가 커서 셀로판 튜브의 막 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비커 (가)의 물에서는 아이오딘 반응이 일 어나지 않는다. 포도당은 크기가 작아서 셀로판 튜브의 막을 통 과하므로 비커 (나)의 물에서는 베네딕트 반응이 일어나 황적색 으로 색깔 변화가 나타난다. 07 ⑤ 물, 바이타민, 무기 염류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별도의 소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소장에서 곧바로 흡수된다. 08 ① 시험관 문에 아이오딘 반응 결과 청람색으로 색깔 변화가 나타난다. 시 는 증류수를 넣어 녹말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 A 험관 는 침 속의 소화 효소에 의해 녹말이 엿당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베네딕트 반응 결과 황적색으로 색깔 변화가 나타난다. D ② 침 속의 소화 효소(아밀레이스)는 녹말을 엿당으로 아이오딘화 칼륨 용액은 녹말의 소화에 영향을 미 분해한다. ③ 아이오딘 치지 않는다. ④ 끓인 침을 넣으면 녹말이 소화되지 않아 아이오딘 반응이 일 어나고, 베네딕트 반응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 09 는 이자, 는 쓸개, ① 쓸개즙은 간에서 생성되어 쓸개( 는 십이지장이다. A 십이지장( B C )으로 분비된다. A )에 저장되었다가 C 10 ③ •녹말(탄수화물):입에서 처음으로 소화되며, 침 속의 아밀레이스에 의해 엿당으로 분해된다. 그 후, 소장에서 이자액 의 아밀레이스와 소장의 탄수화물 소화 효소에 의해 포도당으로 최종 소화된다. •단백질:위에서 처음으로 소화되며, 위액 속의 펩신에 의해 중간 산물로 분해된다. 그 후, 소장에서 이자액의 트립신과 소장 의 단백질 소화 효소에 의해 아미노산으로 최종 소화된다. 11 ② (가)는 수용성 영양소(포도당, 아미노산, 무기 염류, 바 등)이고, (나)는 지용성 영양소(지방, 바 이타민 1, 바이타민 이타민 , 바이타민 등)이다. B C A 12 ⑤ 적혈구( D )와 혈소판( )은 핵이 없다. A 적혈구 C A ㉠ 혈장 ㉡ 혈구 B 백혈구 (가) (나) 혈소판 C 혈장 대 영양소는 모두 에너지원으로 쓰인다. 탄수 •지방:소장에서 처음으로 소화되며, 이자액 속의 라이페이스 당 의 에너지를 내고, 지방은 에 의해 지방산과 모노글리세리드로 최종 소화된다.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52 17. 5. 15. 오후 4:24 13 ③ 심방은 심장으로 들어오는 혈액을 받아들이는 곳이고, 심실은 심장 밖으로 혈액을 내보내는 곳이다. 또, 심방과 심실 사이, 심실과 동맥 사이에는 판막이 있어 혈액이 거꾸로 흐르는 것을 막는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심장 내에서 혈액은 심방 → 심실 → 동맥의 방향으로만 흐른다. ① 심방(좌심방, 우심방)은 혈액을 받아들이는 곳으로, 정맥(폐정맥, 대정맥)과 연결된다. 는 우심방, 는 우심실, 14 ⑤ 심장에서 가장 두꺼운 근육으로 이루어진 곳은 온몸으로 혈 C )이고, 폐에서 온 혈액을 받아들이는 곳 액을 내보내는 좌심실( 는 좌심실이다. 는 좌심방, A D B 은 좌심방( )이다. D C 15 (가)는 동맥, (나)는 정맥, (다)는 모세 혈관이다. ⑤ 모세 혈관(다)은 혈관벽이 한 겹의 세포층으로 이루어지고, 혈액이 흐르는 속도가 느리다. 따라서 주변의 조직세포에 산소 와 영양소를 주고, 조직세포로부터 이산화 탄소와 노폐물을 받 는 물질 교환이 잘 일어난다. 16 르다. ⑤ 혈류 속도는 동맥 정맥 모세 혈관 순으로 빠 > > 17 ③ 동맥혈은 산소가 많은 선홍색 혈액이다. 폐에서 산소를 받은 혈액이 들어오는 좌심방과 좌심실에는 동맥혈이 흐른다. 18 ④ 온몸 순환은 좌심실에서 나온 혈액이 온몸의 조직세포 에 산소와 영양소를 주고 이산화 탄소와 노폐물을 받아 우심방 으로 돌아오는 순환 과정이다. •온몸 순환 경로:좌심실 → 대동맥 → 온몸의 모세 혈관 → 대 정맥 → 우심방 19 세포 호흡은 세포에서 영양소가 산소(㉠)와 반응하여 물과 이산화 탄소로 분해되면서 에너지(㉡)가 발생하는 과정이다. 20 기체 교환이 효율적으로 일어나게 한다. ③ 폐포는 폐가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적을 넓혀 21 호흡 운동 모형에서 고무 막을 잡아당기는 것은 우리 몸에 서 들숨이 일어날 때에 해당한다. 들숨이 일어날 때는 갈비뼈 ( )가 위로 올라가고 가로막( )이 아래로 내려가서 흉강의 부피 가 커지고 흉강의 압력이 낮아져 폐의 부피가 커지고 폐 내부의 A B 압력이 낮아진다. 그 결과 공기가 몸 밖에서 폐로 들어온다. 는 날숨보다 들숨에 많은 산소이고, 기체 ② (가)는 날숨, (나)는 들숨을 넣은 것이다. 22 ③ 기체 다 날숨에 많은 이산화 탄소이다. ④ 날숨에서도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질소이고, 산소가 이산화 탄소보다 더 많이 포함되어 있다. 는 들숨보 A B 23 •(가):산소가 몸 밖에서 폐포로 이동하고, 이산화 탄소가 폐포에서 몸 밖으로 이동하는 과정이므로 호흡 운동을 의미한다. •(나):폐포와 모세 혈관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산소와 이산화 탄소의 교환 과정이므로 외호흡을 의미한다. •(다):모세 혈관과 조직세포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산소와 이 산화 탄소의 교환 과정이므로 내호흡을 의미한다. •(라):조직세포에서 에너지가 발생하는 과정이므로 세포 호흡 을 의미한다. 24 에만 생성되는 노폐물이다. 물, 이산화 탄소는 ② 암모니아는 단백질이 세포 호흡으로 분해될 때 대 영양소가 분 해될 때 공통으로 생성된다. 3 25 한다. 콩팥의 속질( ④ 사구체와 보먼주머니는 콩팥의 겉질( )에는 세뇨관이 분포한다. )에 분포 F A 콩팥 B 오줌관 C D 방광 요도 오줌 E E 겉질 F 속질 G 콩팥 깔때기 26 ① 콩팥 동맥으로 들어간 혈액은 오줌 생성 과정을 통해 노 폐물이 걸러진 후 콩팥 정맥( ⑤ 세뇨관( 기 염류 등 몸에 필요한 물질이 재흡수된다. )으로 포도당, 아미노산, 물, 무 )에서 모세 혈관( A )으로 나온다. D 는 사구체와 보먼주머니이다. 네프론은 사구체와 C ③ 보먼주머니( ), 세뇨관( B )으로 구성된다. C B 27 ① 포도당과 아미노산은 여과된다. ② 혈구는 여과되지 않는다. ③ 모세 혈관( )에는 단백질이 있다. D 사구체 A (가) 여과 B 보먼주머니 재흡수 (나) 모세 혈관 D C 세뇨관 (다) 분비 대해 옳게 서술한 경우 A ̄C B 의 이름만 옳게 쓴 경우 A ̄C 29 채점 기준 적혈구( )의 산소 운반 작용과 적혈구( )가 부족할 때 빈혈이 나타난다는 내용을 포함하여 옳게 서술한 경우 A 적혈구( )의 산소 운반 작용에 대해서만 서술한 경우 A A 판막이라고 쓰고, 그 기능을 옳게 서술한 경우 판막이라고만 쓴 경우 채점 기준 채점 기준 가로막, 갈비뼈, 폐의 변화, 공기의 이동 방향을 모두 옳 게 서술한 경우 네 가지 중 세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네 가지 중 두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채점 기준 물의 재흡수를 근거로 들어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물의 재흡수에 대한 내용이 없는 경우 30 31 32 배점 100`% 40`% 배점 100`% 40`% 배점 100`% 40`% 배점 100`% 60`% 30`% 배점 100`% 0`% 정답과 해설 53 ⑤ 세포 호흡은 연소와 달리 체온 정도의 온도에서 일 28 채점 기준 어나며, 여러 단계를 거쳐 천천히 조금씩 에너지를 방출한다. 의 이름을 모두 옳게 쓰고, 를 검출하는 반응에 2학년_본교재_정답(1~53).indd 53 17. 5. 15. 오후 4:24 Ⅰ - 01 원소 시험 대비 교재 ⇨ 2쪽 동수: , 주기: 초 4 ㄱ, ㄷ, ㅁ 5 ① 느려, cm cm 4 2 시험 대비 교재 1 ① 원소, ② 원소설 2 산소 3 수소 4 ㄴ, ㄷ, ㅁ 5 ① , ② 플루오린, ③ 4 , ④ 마그네슘, ⑤ , ⑥ 철 6 ⑴ ‑ ㉢ ⑵ ‑ ㉡ ⑶ ‑ ㉠ 7 ⑴ 주황색 ⑵ 보라색 ⑶ 청록 Na K O 색 ⑷ 노란색 8 ㄴ, ㄹ 9 선 스펙트럼 분석 10 원소 A Ⅰ - 02 원자와 이온 시험 대비 교재 ⇨ 3쪽 1 ⑴ 연속설 ⑵ 입자설 2 ① 감소, ② 입자 3 ⑴ ◯ ⑵ × ⑶ × 4 ① ( )전하, ② ( )전하, ③ 중성 5 ① 양 성자, ② 중성자 6 ① 톰슨, ② 러더퍼드, ③ 보어 7 ① + - 잃은, ② , ③ 얻은, ④ 8 9 ⊖ 10 ① + , ② 마그네슘 이온, ③ - X^2^- 화 이온 Y^++ H^+ ?@A , ④ 수산 Y O^2^- Ⅰ - 03 물질의 표현과 이온의 반응 시험 대비 교재 ⇨ 4쪽 1 ① 물 분자, ② 수소 원자 2 ① : , ② 3 ① , ② , MgO ⑵ , NaOH , ③ 염화 칼륨, ④ 황화 철 4 ⑴ 2 ⑷ CaCl_2 , ⑶ 1 , 5 ⑴ 과망가니즈산 이온 ⑵ 구리 이온 6 Na^+ OH^- Na^+ Cl^- K^+ NO_3^- , 2Na^+ (가) , (나) Cu^2^+ 9 ⑴ ‑ ㉡ ‑ ① ⑵ ‑ ㉢ ‑ ③ ⑶ ‑ ㉠ ‑ ② 10 황화 AgCl ?@A 8 Pb^2^++2I^- CaCO_3 K^+ PbI_2 7 SO_4^2^- ↓ ⅠⅠ - 01 빛과 색 시험 대비 교재 ⇨ 5쪽 1 광원 2 직진 3 반사 4 ① 분산, ② 빨간, ③ 보라 ⑷ ◯ 8 ㉠ 노란색, ㉡ 청록색, ㉢ 자홍색, ㉣ 흰색 9 ① 빨간, ② 반사 10 ① 빨간, ② 초록, ③ 검은 ⅠⅠ - 03 파동과 소리 시험 대비 교재 ⇨ 7쪽 1 ① 진동, ② 매질 2 파장: , 진폭: 3 진 ② 굴절, ③ 짧아 6 ① 반사, ② 굴절 7 ⑴ × ⑵ ◯ Hz 0.1 10 ⑶ × 8 ㄱ 9 ㄹ 10 맵시 ⅠⅠⅠ - 01 기권 시험 대비 교재 ⇨ 8쪽 1 ① 기권, ② 2 ① 질소, ② 산소 3 ① 높이, ② 기온 4 ⑴ 1000 , 대류권 ⑵ , 성층권 ⑶ , 열권 ⑷ , 중간권 5 ① A , ② 복사 평형 6 ① 온실 효과, ② 온 C D B 실기체 7 ① 높, ② 많 8 ① 대기, ② 해수 9 탄소 70 순환 10 ① 화석 연료, ② 이산화 탄소 ⅠⅠⅠ - 02 대기 중의 물 시험 대비 교재 ⇨ 9쪽 1 ① , ② 증가 2 ① , ② 3 ① 불포화, ② 4 ① 1 7 ① 팽창, ② 하강, ③ 응결 8 ⑴ ① 낮아, ② 5 6 14.7 27.1 , ③ , ② % 14.7 7.6 7.1 50 20 % 뿌옇게 흐려진다 ⑵ 응결핵 9 ① 물방울, ② 병합설 74 10 ① 빙정, ② 빙정설 ⅠⅠⅠ - 03 기압과 바람 시험 대비 교재 ⇨ 10쪽 1 ① 기압, ② 모든 2 ① , ② , ③ , ④ 3 ① , ② 기압 4 낮아 5 ① 6 ① 1000 76 높, ② 낮, ③ 기온 7 육풍 8 밤 9 ① 무역풍, ② 편서 1013 , ② 10 76 1013 76 5 합성 6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 7 ⑴ ◯ ⑵ × ⑶ ◯ 풍, ③ 극동풍 10 ① 바람, ② 표층 순환 ⅠⅠ - 02 빛의 반사와 굴절 시험 대비 교재 ⇨ 6쪽 ⅠⅠⅠ - 04 날씨의 변화 시험 대비 교재 ⇨ 11쪽 1 ① 기단, ② 습, ③ 한랭 2 ⑴ ‑ ㉣ ‑ ⑤ ⑵ ‑ ㉡ ‑ ② 1 반사 2 ① , ② 3 ① 정반사, ② 난반사 4 ⑶ ‑ ㉤ ‑ ④ ⑷ ‑ ㉢ ‑ ③ ⑸ ‑ ㉠ ‑ ① 3 ① 전선면, 5 ⑴ ‑ ㉡ ‑ ② ⑵ ‑ ㉠ ‑ ① 6 ⑴ :굴절각 6 ⑵ 커진다 7 속력 8 ① 크, ② 빠르다 9 ⑴ 오목 :입사각, 40 A B C ② 전선 4 (가) 한랭 전선, (나) 온난 전선 5 ① 급, ② 빠르, ③ 소나기성 6 (가) 고기압, (나) 저기압 7 ⑵ 볼록 10 ⑴ ‑ ㉠ ‑ ② ⑵ ‑ ㉡ ‑ ① 8 9 10 기상 재해 C A B 54 정답과 해설 2-시험대비정답(54~80).indd 54 17. 5. 15. 오후 4:25 ⅠV - 02 소화 시험 대비 교재 ⇨ 13쪽 리튬, ⑧ 마그네슘, ⑨ 금, ⑩ 플루오린, ⑪ 아연, ⑫ 베릴륨 ⅠV - 01 동물체의 구성과 영양소 시험 대비 교재 ⇨ 12쪽 1 ① 기관, ② 기관계 2 ① 기관계, ② 소화계, ③ 배설계 3 에너지원 4 ① 단백질, ② 탄수화물 5 ⑴ 탄수화물 ⑵ 단백질 ⑶ 무기 염류 ⑷ 바이타민 ⑸ 물 ⑹ 지방 6 ⑴ ‑ ㉡ ⑵ ‑ ㉠ ⑶ ‑ ㉣ ⑷ ‑ ㉢ 7 녹말 8 황적색 9 ① 단 백질, ② 황산 구리 10 수단 Ⅲ 1 소화 2 ① 기계적, ② 화학적 3 ① 아밀레이스, ② 녹말, ③ 엿당 4 단백질, 펩신 5 (가) 트립신, (나) 라 이페이스 6 (가) , 간, (나) , 대장 7 ① 포도당, ② 아미노산, ③ 지방산, ④ 모노글리세리드 8 ① 융털, A C ② 표면적 9 ㄱ, ㄷ, ㄹ 10 ① 지용성, ② 암죽관 ⅠV - 03 순환 시험 대비 교재 ⇨ 14쪽 1 ⑴ × ⑵ ◯ ⑶ ◯ ⑷ ◯ ⑸ × 2 ① 적혈구, ② 백혈구 3 좌심실 4 ① 심장 박동, ② 심방, ③ 심실 5 ① , ② , ③ , ④ 6 ⑴ ① , ② , ③ ⑵ ① , ② A , ③ B ⑶ ① C , ② B , ③ 7 판막 8 (나), (라), A A B C , C 9 10 ① 폐동맥, ② 폐정맥, ③ 좌심방 B A B C B D A ⅠV - 04 호흡 시험 대비 교재 ⇨ 15쪽 1 ① 산소, ② 에너지 2 미토콘드리아 3 ⑴ , 코 ⑵ , 기관 ⑶ , 폐 4 ⑴ 기관 및 기관지 ⑵ 폐 ⑶ 가로 A 6 ① 작아, ② 높아 7 ① 산소, ② 이산화 탄소 8 확산 9 ① 외호흡, ② 내호흡 10 ① 폐포, ② 모세 혈관, ③ 조 직세포 ⅠV - 05 배설 시험 대비 교재 ⇨ 16쪽 1 배설 2 ⑴ ① 물, ② 이산화 탄소 ⑵ ① 단백질, ② 간, I 물질의 구성 Ⅰ - 01 원소 기호 암기하기 시험 대비 교재 ⇨ 17쪽 1 ① , ② , ③ , ④ , ⑤ , ⑥ , ⑦ , ⑧ , ⑨ , ⑩ H , ⑪ Ne , ⑫ Ca O P Hg N S 2 ① 헬륨, ② 나트륨, ③ 철, ④ 염소, ⑤ 칼륨, ⑥ 구리, ⑦ Ag Al Si C 시험 대비 교재 ⇨ 17쪽 Ⅰ - 02 이온식 암기하기 1 ① 리튬 이온, ② 구리 이온, ③ 플루오린화 이온, ④ , ⑤ , ⑥ 염화 이온, ⑦ 나트륨 이온, ⑧ 칼슘 이온, K^+ , ⑬ 납 이온, ⑭ 암모늄 , ⑫ , ⑪ ⑨ , ⑩ Mg^2^+ S^2^- 2 ① 잃, ② 이온, ⑮ 탄산 이온 OH^- Al^3^+ , ③ 잃, ④ SO_4^2^- , ⑤ 잃, ⑥ , ⑦ 얻, ⑧ , ⑨ 잃, 3 1 2 ⊖ ⑩ , ⑪ 얻, ⑫ 1 2 2 2 • • ?@A Na ?@A Na^+ + ⊖ ⊖ ⊖ • • • • Ca Al ?@A ⊖ ?@A ⊖ F + Cu O + 2 Ca^2^+ + 2 Al^3^+ + 3 ?@A F^- Cu^2^+ + 2 ?@A O^2^- Ⅰ - 03 화학식 암기하기 시험 대비 교재 ⇨ 18쪽 2 ⑴ ① 암모니아, ② 질소, 수소, ③ 질소, ④ 수소 ⑵ ① HCl , NH_3 CH_4 ② , , ③ ⑶ ① 메테인, ② 탄소, 수소, ③ 탄소, 3 H_2O , ④ , ③ : 1 , ④ 2 , ⑤ : , , ② 1 , , ③ , ④ 6 3 ① ④ 수소 ⑷ ① 3 2 , ② 5 : 10 5 , ⑧ N a C l : 2 , ④ ⑥ , ⑦ 1 1 4 ① 물, ② CaCl_2 CaO , ③ 1 , ⑧ 염화 나트륨, ⑨ H_2O_2 , ⑭ 1 O_2 , ⑬ ⑦ ⑫ HCl 1 N a_2S , ⑤ 2 1 , ⑥ 메테인, , ⑩ 염화 칼슘, ⑪ CO_2 NH_3 , ⑮ 황산 칼슘 KNO_3 MgO , 막 5 ⑴ 내려간다 ⑵ 올라간다 ⑶ 낮아진다 ⑷ 커진다 B C 1 ① , ② , ③ , ④ ③ 요소 3 ⑴ :겉질, :속질, :콩팥 깔때기 ⑵ Na_2CO_3 KOH AlCl_3 4 ① 네프론, ② 보먼주머니 5 ① C A B , ② 6 ① , A 암모니아 분자 개 ② 7 ⑴ ㄷ, ㄹ ⑵ ㄴ, ㅁ 8 ① 보먼주머니, ② 콩팥 C A B ‑ 분자 개는 질소 원자 4 개와 수소 원자 개로 구성 깔때기 9 ① 노폐물, ② 체액 10 에너지 D 2 ⑴ ⑵ 물 분자 4NH_3 개 1 ‑ 분자 3 3H_2O 1 개는 수소 원자 개와 산소 원자 개로 구성 1 2 3 1 정답과 해설 55 2-시험대비정답(54~80).indd 55 17. 5. 15. 오후 4:25 4 ⑴ 빨간색 손전등을 끄면 파란색과 초록색 빛이 풍선 표면 에서 반사되어 파란색과 초록색의 합성색인 청록색으로 보인다. ⑵ 빨간색과 파란색의 합성색인 자홍색으로 보인다. 시험 대비 교재 ⇨ 19쪽 ⅠⅠ - 02 물체의 색 시험 대비 교재 ⇨ 21쪽 개 메테인 분자 ‑ 분자 2 이산화 탄소 분자 개 1 2CH_4 ⑶ ⑷ 5CO_2 1 개는 탄소 원자 개와 수소 원자 개로 구성 ‑ 분자 5 개는 탄소 원자 개와 산소 원자 개로 구성 1 1 4 2 Ⅰ - 03 이온화식 연습하기 1 ⑴ , ⑵ , ⑶ , ⑷ Na^+ ⑸ Cl^- , ⑻ 2NO_3^- 2Na^+ 2H^+ SO_4^2^- ⑼ ⑹ , SO_4^2^- Cu^2^+ , SO_4^2^- Ca^2^+ 2OH^- , 2K^+ Cl^- ⑺ CO_3^2^- , Ag^+ , H^+ ⑽ Pb^2^+ NO_3^- Ca^2^+ 2Cl^- , 시험 대비 교재 ⇨ 19쪽 앙금의 종류와 색깔 암기하기 Ⅰ - 03 1 ⑴ 흰색 ⑵ ◯ ⑶ 검은색 ⑷ ◯ ⑸ 흰색 ⑹ 노란색 ⑺ 검은 색 ⑻ 흰색 ⑼ ◯ ⑽ ◯ ⑾ ◯ ⑿ 노란색 2 ⑴ ◯ ⑵ ◯ ⑶ ◯ ⑷ × ⑸ × ⑹ ◯ ⑺ ◯ ⑻ × ⑼ ◯ 3 ⑴ ◯ ⑵ × ⑶ × ⑷ ◯ ⑸ × ⑹ ◯ 1 Na^+ 2 ⑴ 바륨) ⑹ 바륨) , , , 은 앙금을 생성하지 않는다. K^+ NH_4^+ NO_3^- (탄산 칼슘) ⑵ CaCO_3 (황화 납) ⑺ (염화 은) ⑶ (황화 카드뮴) ⑼ AgCl PbS CdS (황산 (탄산 BaSO_4 BaCO_3 3 ⑴ 염화 은( ) ( BaSO_4 ) ⑷ 탄산 칼슘( ) ⑹ 황산 바륨 AgCl CaCO_3 II 빛과 파동 ⅠⅠ - 01 빛의 합성 시험 대비 교재 ⇨ 20쪽 1 ⑴ 빨간색 ⑵ 파란색 ⑶ 자홍색 ⑷ 흰색 2 ⑴ 노란색 ⑵ 청록색 ⑶ 흰색 3 :청록색, :초록색, :노란색 4 ⑴ 청록색 ⑵ 자홍색 A B C :빨간색과 합성하여 흰색이 되는 것은 파란색과 초록색 3 의 합성색인 청록색이다. A :자홍색은 빨간색과 파란색 빛의 합성색이므로 초록색과 합 :파란색과 합성하여 흰색이 되는 것은 빨간색과 초록색의 합 성하여 흰색이 된다. B 성색인 노란색이다. C 56 정답과 해설 1 빨간색 ⑴ 빨간색 ⑵ 검은색 ⑶ 검은색 ⑷ 빨간색 2 초록색 ⑴ 초록색 ⑵ 초록색 ⑶ 검은색 ⑷ 검은색 3 빨간색, 초록색 ⑴ 빨간색 ⑵ 초록색 ⑶ 검은색 ⑷ 빨간색 4 초록색, 파란색 ⑴ 검은색 ⑵ 초록색 ⑶ 파란색 ⑷ 파란색 1 ⑴ 빨간색 사과는 빨간색 조명 아래에서 빨간색 빛을 반사 한다. ⑵ 빨간색 사과는 초록색 조명 아래에서 반사하는 빛이 없다. ⑶ 빨간색 사과는 파란색 조명 아래에서 반사하는 빛이 없다. ⑷ 노란색 빛은 빨간색과 초록색 빛의 합성색이다. 이때 빨간색 사과는 빨간색 빛만 반사하므로 빨간색으로 보인다. 2 ⑴ 노란색 조명에서는 빨간색과 초록색 빛이 나오므로 초 록색 옷은 초록색 빛만 반사하여 초록색으로 보인다. ⑵ 청록색 조명에서는 파란색과 초록색 빛이 나오므로 초록색 옷은 초록색 빛만 반사하여 초록색으로 보인다. ⑶ 자홍색 조명에서는 빨간색과 파란색 빛이 나오므로 초록색 옷에서 반사하는 빛이 없다. 따라서 검은색으로 보인다. ⑷ 초록색 옷에서 반사된 초록색 빛은 빨간색 셀로판지를 투과 하지 못한다. 따라서 검은색으로 보인다. 3 노란색 공은 빨간색과 초록색 빛을 반사하여 노란색으로 보인다. ⑴ 노란색 공은 빨간색 조명 아래에서 빨간색 빛만 반사한다. ⑵ 노란색 공은 초록색 조명 아래에서 초록색 빛만 반사한다. ⑶ 노란색 공은 파란색 조명 아래에서 반사하는 빛이 없다. ⑷ 자홍색 빛은 빨간색과 파란색 빛의 합성색이다. 이때 노란색 공은 파란색 빛은 흡수하고 빨간색 빛만 반사하므로 빨간색으로 보인다. 보인다. 4 청록색 색종이는 초록색과 파란색 빛을 반사하여 청록색으 로 보인다. ⑴ 청록색 색종이는 빨간색 조명 아래에서 반사하는 빛이 없다. ⑵ 청록색 색종이는 초록색 조명 아래에서 초록색 빛만 반사한다. ⑶ 청록색 색종이는 파란색 조명 아래에서 파란색 빛만 반사한다. ⑷ 자홍색 빛은 빨간색과 파란색 빛의 합성색이다. 자홍색 조명 아래에서 청록색 색종이는 파란색 빛만 반사하므로 파란색으로 시험 대비 교재 ⇨ 22쪽 ⅠⅠ - 03 파동의 주기, 진동수, 속력 구하기 1 2 3 4 5 6 7 0.2 8 0.01 50 1 1000 10 0.05 30 2-시험대비정답(54~80).indd 56 17. 5. 15. 오후 4:25 . / 이 포화 수증기량이 되는 온도인 4 현재 수증기량 가 이슬점이다. 7 g kg 6 *C 10 5 공기 아질 때의 온도가 이슬점이다. 공기 1 이 들어 있으므로, 공기 kg 속에 들어 있는 수증기량이 포화 수증기량과 같 속에 수증기가 . 속에는 2 . kg 의 수증기가 들어 있 g 10 가 이슬점 8 고, 이 수증기량이 포화 수증기량이 되는 온도인 1 kg 5 4 g 이다. *C 5 ⅠⅠⅠ - 02 응결량 구하기 시험 대비 교재 ⇨ 24쪽 1 2 3 4 5 5.2 g 15.0 g 7.1 g 7.4 g 6 9.4 g 8.6 g 공기 1 포화 수증기량은 A . 1 이다. kg 4 g 공기 =9 2 포화 수증기량은 kg 1 B 이다. . 의 현재 수증기량은 . 이고, 일 때 . / 이므로, 응결량은 g 20 0 . *C 15 g-10 . g 6 20 0 10 6 g kg 의 현재 수증기량은 . 이고, 일 때의 . / 이므로, 응결량은 g 10 6 . . *C 5 g-5 10 6 g= 4 5 4 g kg 의 현재 수증기량은 . 이고, 일 때 g 공기 5 2 3 의 포화 수증기량은 B . . / kg 1 공기 이다. 따라서 kg g 7 6 . B 5 kg=15 g 0 인 포화 상태의 공기 kg\5 0 / . 결량은 =3 g 0 4 이 들어 있고, 20 *C 3 이므로, 응결량은 10 g 6 10 로 냉각시켰을 때 응 g 6 *C g-7 10 을 6 . . kg 이다. 10 *C g 속에는 수증기가 . 일 때의 포화 수증기량은 kg 1 이다. . . . / 이므로, g 14 7 7 6 g kg g=7 6 속에는 1 g 의 수증기가 들어 있고, . g 6 / 18 kg 이므로, 응결량은 g . 15 g-10 6 *C g 18 이므로 냉각된 온도에서의 포화 수 일 때를 계산하여 빼면 된다. → ( . / kg 2 38 g- 14 7 g kg . 응결량은 *C 10 g-7 7 5 현재 공기 에서 포화 수증기량은 kg 14 1 . 이다. 10 =7 6 현재 공기의 양이 증기량도 4 g ) . kg 2 =8 \2 kg g 6 ⅠⅠⅠ - 02 상대 습도 구하기 시험 대비 교재 ⇨ 25쪽 1 초 (회) 2 10 2 주기 . 초 =0 2 진동수 = 1 (회) 초 = 1 100 3 4 500 10 (회) 초 Hz =50 =1 Hz (회) 5 60 60 . 1 0 001 6 진동수 초 =1000 Hz 주기 = 1 파장 주기 초 . = 1 0 1 . 초 1 2 진동수 m =0 7 속력 = 8 속력 파장 . 초 =0 01 Hz =10 . Hz / 05 m =0 s / = \ =2 m\15 Hz=30 m s III 기권과 우리 생활 ⅠⅠⅠ - 02 포화 수증기량 구하기 시험 대비 교재 ⇨ 23쪽 1 2 3 4 5 6 5.4 g 7 15.2 g / 73.5 g 7.6 g 10.6 g g 44.1 2 기온이 포화 상태의 공기 *C 증기가 들어 있다. 2 10 3 기온이 화 수증기량은 20 6 기온이 로 포화 상태의 공기 14 20 *C 7 기온이 . 증기량은 30 속에 g 27 1 야 포화 상태가 된다. 0 공기 kg 1 4 4.0 g kg 인 공기의 포화 수증기량은 . / 이므로 속에는 . / kg 7 6 g kg\2 . kg 의 수 g 6 7 kg=15 g 2 인 공기 속에 최대한 포함될 수 있는 포 . *C / kg kg=73 7 인 공기의 포화 수증기량은 5 kg\5 이다. 5 g g . 속에는 . / . / 이므 14 kg\3 g kg 7 kg=44 . g 1 인 공기 속에 최대한 포함될 수 있는 수 이고, 현재 수증기량은 *C kg 1 . . . ( . 이다. 따라서 이 )의 수증기가 더 공급되어 23 1 g g =27 1-23 1 의 수증기가 들어 있다. 3 kg 14 7 g ⅠⅠⅠ - 02 이슬점 구하기 1 ⑴ ⑵ ⑶ ⑷ ⑸ 2 30 3 *C 20 *C 4 20 *C 5 10 *C *C 5 *C *C 15 20 10 2 현재 수증기량은 이슬점에서의 포화 수증기량과 같다. 따 이 포화 수증기량이 되는 온도인 라서 현재 수증기량 5 / . *C *C 가 이슬점이다. 10 6 g kg 15 *C 1 약 2 약 3 약 4 약 시험 대비 교재 ⇨ 23~24쪽 5 약 56 % 6 61 % 7 56 % 8 54.2 % 9 50.9 % 13.55 g 11.2 g 14.7 g 94.85 g 1 상대 습도( ) . . g \100= 15 2 g 1 27 2 상대 습도( 현재 기온( )에서의 포화 수증기량 현재 수증기량 *C 30 % = % / / kg kg ) = 9 14 % \100≒56 / / kg g kg g . . 0 7 \100≒61 % 정답과 해설 57 2-시험대비정답(54~80).indd 57 17. 5. 15. 오후 4:25 속에 . 의 수증기가 들어 있으므로, 공기 3 공기 속에는 2 kg . 의 수증기가 들어 있다. 30 4 g kg 1 증기량은 15 . 2 / g 이므로 상대 습도는 일 때 포화 수 / *C / kg g kg g \100≒ . 30 . 2 15 1 27 이다. 27 1 g kg % 56 4 현재 수증기량은 이슬점( 으므로 . / 20 이다. 따라서 상대 습도는 *C )에서의 포화 수증기량과 같 . . g 7 g 1 / / kg kg \100 14 27 )에서의 포화 수증기량이 현재 수증기량이므로 14 g 7 이다. kg . % ≒54 2 5 이슬점( 현재 수증기량은 *C 5 . 4 따라서 상대 습도는 5 6 7 50 %= 27 . x g 1 . x g 0 kg / . 이다. / . kg g . g 4 g 6 이다. / / kg kg 5 10 / \100≒50 , . 9 / % \100 x=13 , g kg 55 . / 56 8 공기 %= x=11 \100 2 속에 들어 있는 수증기량( kg 20 kg g )을 구해 보면 kg 1 / . x = 에는 . g 7 14 35 7 9 공기 70 들어 있다. kg 5 \100 / kg g kg\2 . x 속에는 g 1 27 18 %= 에서 . / x 이므로, 공기 50 % 속 x=7 . 35 2 의 수증기가 들어 있다. kg g kg kg=14 / 7 g 에서 . / 이므로, \100 / . kg x=18 97 . kg g 의 수증기가 97 g kg\5 kg=94 85 g IV 소화, 순환, 호흡, 배설 ⅠV - 01 영양소 검출 과정 익히기 시험 대비 교재 ⇨ 26쪽 시험 대비 교재 ⇨ 27쪽 ⅠV - 02 소화계의 구조와 기능 암기하기 ㉠ 입, 아밀레이스, 엿당 ㉡ 간, 쓸개즙 ㉢ 위, 펩신, 단백질 ㉣ 쓸개, 쓸개즙 ㉤ 이자, 아밀레이스, 트립신, 라이페이스 ㉥ 소장, 포도당, 아미노산, 모노글리세리드 ㉦ 대장, 물 시험 대비 교재 ⇨ 27쪽 ⅠV - 03 심장의 구조와 기능 암기하기 ㉠ 대동맥, 좌심실, 많은, 동맥 ㉡ 대정맥, 우심방, 적은, 정맥 ㉢ 우심방, 온몸, 적은, 정맥 ㉣ 우심실, 폐, 적은, 정맥 ㉤ 좌 심방, 폐, 많은, 동맥 ㉥ 폐동맥, 우심실, 적은, 정맥 ㉦ 폐정 맥, 좌심방, 많은, 동맥 ㉧ 판막 ㉨ 좌심실, 온몸, 많은, 동맥 ⅠV - 03 혈액 순환 경로 익히기 시험 대비 교재 ⇨ 28쪽 1 ㉡, , 2 , , ㉠ 3 → → (나) → → 4 → A → (가) → C D B → D H F A B E G C 1 그림에서 폐순환이 일어나는 경로는 우심실(㉡) → 폐동맥 ( ) → 폐의 모세 혈관 → 폐정맥( ) → 좌심방(㉢)이다. C A 2 온몸의 조직세포에 영양소와 산소를 전달하고 다시 심장으 로 돌아오는 순환은 온몸 순환이다. 그림에서 온몸 순환이 일어 나는 경로는 좌심실(㉣) → 대동맥( 대정맥( ) → 온몸의 모세 혈관 → ) → 우심방(㉠)이다. D B 3 그림에서 온몸 순환이 일어나는 경로는 좌심실( 맥( ) → 온몸의 모세 혈관(나) → 대정맥( ) → 대동 ) → 우심방( D )이다. H 4 혈액이 이산화 탄소를 내보내고 산소를 받아 오는 순환은 ) → 폐순환이다. 그림에서 폐순환이 일어나는 경로는 우심실( A F 폐동맥( ) → 폐의 모세 혈관(가) → 폐정맥( ) → 좌심방( )이다. B 1 지방 2 녹말, 단백질 3 단백질, 지방 4 :선홍색, C :보라색 D 1 수단 Ⅲ 반응 결과 선홍색으로 색깔 변화가 나타났으므로 이 음식물에는 지방이 들어 있다. E ⅠV - 04 G C 시험 대비 교재 ⇨ 29쪽 호흡계의 구조와 기능 암기하기 ㉠ 기관, 섬모 ㉡ 폐, 갈비뼈, 폐포 ㉢ 코, 털 ㉣ 기관지 ㉤ 폐 정맥, 많은 ㉥ 폐동맥, 적은 ㉦ 폐포, 표면적, 기체 교환 ㉧ 기 2 아이오딘 반응 결과 청람색으로 색깔 변화가 나타났으므로 녹말이, 뷰렛 반응 결과 보라색으로 색깔 변화가 나타났으므로 관 ㉨ 기관지 ㉩ 폐 단백질이 들어 있다. 3 시험관 당, 에서는 단백질, A 졌으며, 시험관 와 C D D C 에서는 녹말, 에서는 포도당이나 엿당과 같은 에서는 지방을 검출하는 실험이 이루어 B 에서만 각각 보라색과 선홍색으로 색깔 변화가 나타났으므로 이 음식물에는 단백질과 지방이 들어 있다. 대 영양소 중 4 이고, 소화 효소의 주성분은 단백질이다. 따라서 수단 Ⅲ 반응 당 가장 많은 열량을 내는 영양소는 지방 3 g 1 ( )에서 선홍색이, 뷰렛 반응( )에서 보라색이 나타난다. C 58 정답과 해설 D 시험 대비 교재 ⇨ 29쪽 ⅠV - 05 배설계의 구조와 기능 암기하기 ㉠ 오줌관 ㉡ 방광 ㉢ 요도 ㉣ 콩팥, 오줌, 보먼주머니, 세뇨 관 ㉤ 사구체, 혈압 ㉥ 보먼주머니, 사구체 ㉦ 세뇨관, 모세 혈관 ㉧ 네프론 ㉨ 여과 ㉩ 재흡수 ㉪ 분비 ㉫ 보먼주머니 ㉬ 오줌관 ㉭ 요도 2-시험대비정답(54~80).indd 58 17. 5. 15. 오후 4:25 시험 대비 교재 ⇨ 30~32쪽 이다. Ⅰ - 01 원소 ① 데모크리토스 ② 아리스토텔레스 ③ 라부아지에 ④ 산소 ⑦ 베르셀리우스 ⑩ 질소 ⑪ ⑤ 수소 ⑧ ⑫ 질소 He ⑥ 원소 ⑨ 칼슘 ⑬ 수소 ①, ②, ③, ④ 칼륨의 불꽃색은 보라색, 구리의 불꽃 색은 청록색, 칼슘의 불꽃색은 주황색, 리튬의 불꽃색은 빨간색 11 ③ 스트론튬과 리튬의 불꽃색은 모두 빨간색으로 서로 비 슷하여 불꽃색으로 두 물질을 구별하기 어렵다. 12 물질의 불꽃색을 관찰하면 염화 칼슘과 탄산 칼슘은 주황 색, 질산 나트륨은 노란색, 황산 칼륨은 보라색, 염화 리튬은 빨 간색, 질산 스트론튬은 빨간색이 나타난다. ③ 청록색은 구리의 불꽃색이므로 나타나지 않는다. ⑭ 금 ⑮ 빨간색 Cu ⑯ 나트륨( ) ⑰ 보라색 13 (가)는 연속 스펙트럼이고, (나)는 선 스펙트럼이다. ⑱ 겉불꽃 ⑲ 불꽃색 ⑳ 칼슘 Na ② 연속 스펙트럼은 햇빛을 관찰할 때 나타나고, 선 스 펙트럼은 금속 원소의 불꽃색을 관찰할 때 나타난다. 01 ② 02 ⑤ 03 ③, ⑥ 04 ③ 05 ④ 06 ⑥ 07 ② 08 ③ 09 ① 10 ⑤ 11 ③ 12 ③ 14 (가)와 (다)의 선 스펙트럼에는 원소 이 모두 나타나므로 (가)와 (다)는 원소 와 의 선 스펙트럼 와 A 를 모두 포함한다. B 13 ② 14 ④ A B 시험 대비 교재 ⇨ 33~35쪽 01 (가) 탈레스, (나) 데모크리토스, (다) 아리스토텔레스 Ⅰ - 02 원자와 이온 02 있다고 최초로 주장한 사람은 데모크리토스이다. ⑤ 물질이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원자로 이루어져 )극에서 수소 기체가, ( 03 ③ 물을 전기 분해하면 ( 서 산소 기체가 + ⑥ 물이 수소와 산소로 분해되므로, 물이 물질을 이루는 1 중 하나라고 주장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의 부피비로 발생한다. - : 2 )극에 원소 원소설이 옳지 않음을 4 알 수 있다. 4 ④ 수소와 산소는 더 이상 분해되지 않는 원소이다. )극에서는 산소 기체가 발생하므로 불씨만 남은 향불을 ⑤ ( 갖다 대면 잘 타오르고, ( + )극에서는 수소 기체가 발생하므로 성냥불을 가까이 하면 ‘퍽’ 소리를 내며 탄다. - ① 데모크리토스 ② 아리스토텔레스 ③ 입자설 ④ 보일 ⑤ 원자핵 ⑥ 전자 ⑦ 양성자 ⑧ 중성자 ⑨ 중성 ⑩ ⑭ ⑮ ⑪ ( - ⑯ = + ) ⑫ ( ) ⑬ - Na^+ S^2^- Ca^2^+ 01 ③ 02 ④ 03 ① 04 ④ 05 ③ 06 ②, F ⑥ 07 ④ 08 ②, ⑥ 09 ④ 10 ④ 11 ② 12 ⑤ 13 ① 14 ② 자관에 수은을 넣으면 공기를 이루는 입자 사이의 거리가 01 가까워져 공기의 부피가 줄어든다. 보일은 이 실험을 통해 물질 J 04 서 발견된 것은 ③ 지금까지 알려진 가지이고, 것이다. 92 20 여 가지의 원소 중 자연에 이 입자와 빈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주장하였다. 여 가지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110 ③ 아리스토텔레스의 연속설에서는 공기를 압축할 때 부피가 줄어드는 현상을 공기는 연속적이므로 압축에 의해 공기 05 므로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성분인 원소가 아니다. ④ 암모니아는 질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이 가 진해진다고 설명하였다. 02 ①은 (가), ②는 (나), ③은 (다), ⑤는 (라)를 만족한다. ④ 구리를 가열해도 구리 원자의 크기와 질량은 변하지 06 ⑥ 플루오린 ‑ , 철 ‑ 않는다. 따라서 (나)에 위배된다. Fe F ㄴ. 가장 가벼운 기체는 수소이다. 07 ㄹ. 생물의 호흡에 이용되는 것은 산소이다. ㅁ. 우주왕복선의 연료로 이용되는 것은 수소이다. ㅅ. 귀금속이나 전자 회로에 이용되는 것은 금이다. 08 ③ 불꽃 반응 실험을 할 때 니크롬선은 겉불꽃에 넣어야 한다. 겉불꽃은 온도가 매우 높으며 무색이어서 시료의 불꽃색을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09 칼슘의 불꽃색은 주황색, 바륨의 불꽃색은 황록색, 구리의 불꽃색은 청록색, 나트륨의 불꽃색은 노란색이다. 10 ⑤ 나트륨의 불꽃색은 노란색이다. 03 과학의 발달로 원자가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진 것을 발 견하였으므로, (가)는 수정되어야 한다. 04 ④ 중성자는 전하를 띠지 않는다. 05 원자는 원자핵의 ( 아서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또, 원자핵에서 ( )전하량과 전자의 총 ( + )전하량이 같 )전하를 띠는 입 - 자는 양성자이므로 원자는 양성자와 전자의 개수가 같다. + 이므로 헬륨 원자이다. 개이므로 원자핵의 전하는 이다. 06 ① (가)는 원자핵의 전하가 ③ 리튬 원자의 전자 수가 ④ 리튬 원자는 전자를 ⑤ 플루오린 원자의 원자핵의 전하가 이다. +2 개 잃어 리튬 이온( 3 1 +9 +)이 된다. 이므로 양성자 수는 +3 Li 개 9 정답과 해설 59 2-시험대비정답(54~80).indd 59 17. 5. 15. 오후 4:25 ② (가) 원자의 원자핵의 전하가 이므로 양성자 수 2는 이산화 탄소 분자 개를 나타내며, 이산화 탄소 개이다. 는 ⑥ 플루오린 원자는 전자를 2 된다. 1 +2 개 얻어 플루오린화 이온( -)이 개는 탄소 원자 2CO ⑥ 분자 1 개는 총 1 개와 산소 원자 개로 이루어져 있다. 2 개의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 2 F ⑦ 분자 개를 이루는 탄소 원자의 개수는 3 1 개이다. 01 분자 07 (가)는 돌턴, (나)는 보어, (다)는 러더퍼드, (라)는 톰슨이 각각 제안한 모형이고, (마)는 현대의 모형이다. ⑤ 원자 모형의 변천 과정을 시대 순으로 나열하면 (가) ‑ (라) ‑ (다) ‑ (나) ‑ (마) 순이다. 1 02 두 종류의 원자로 되어 있고, 한 원자는 개가 결합한 분자이다. 1 1 개, 다른 원자는 4 03 양이온의 총 전하와 음이온의 총 전하의 합이 한다. 이 되어야 0 08 ② 수소 원자는 전자 ⑥ 나트륨 원자도 전자 1 개를 잃고 수소 이온( )이 된다. ① 개를 잃고 나트륨 이온( )이 된다. H^+ Na^+ 1 09 (가)는 원자핵의 ( 크므로 양이온이고, (나)는 원자핵의 ( - )전하량이 같으므로 원자이며, (다)는 원자핵의 ( + ( + )전하량이 전자의 총 ( )전하량보다 )전하량과 전자의 총 )전하량이 )전하량보다 작으므로 음이온이다. 전자의 총 ( - ④ (가)는 양이온이므로 양성자 수가 전자 수보다 많다. 원자핵 의 전하가 개이고, 전자는 개이다. - + 이므로 양성자는 ⑤ (다)는 원자핵의 전하가 +3 로 원자가 전자 3 개를 얻어 형성된 이온이다. 이고 전자가 개이므 2 +9 10 ② ③ ④ 04 ③ ④ ⑤ 05 ② ③ ⑤ ?@A KCl 2 K_2SO_4 CaCl CaO -염화 칼륨 2- K^+ + Cl^- ?@A 2K^+ + SO_4 ?@A 2 Ca^2^+ + 2Cl^- ^- Ca^2^+ + O ① -황산 나트륨 KCl ?@A Na_2SO_4 -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나트륨 MgO NaOH ① ?@A K^+ + Cl^- KCl Ca^2^+ + 2Cl^- K^+ + NO_3^- ?@A ?@A ?@A CaCl_2 KNO_3 ① 수소 이온 ‑ ② 산화 이온 ‑ ⑤ 설탕은 물에 녹아 이온화되지 않으므로 전류가 흐르 H^+ ④ 플루오린화 이온 ‑ O^2^- - 지 않는다. 개 잃음, ③ 전자 F 개 잃음, ④ 전자 개 10 ④ 1 ⊖ ?@A ① O + 2 ?@A Na ?@A ⊖ O^2^- ⊖ Na^+ + ② ③ ⑤ Mg Al ?@A ⊖ 3+ ⊖ Mg^2^+ + 2 - + 3 Al ?@A F 은 ( F + 11 ①, ③ 전자 수보다 많다. Ca^2^+ ④, ⑤ 칼슘 원자가 전자 은 칼슘 원자보다 전자가 + ② 칼슘 이온이라고 부른다. 개 적다. 2 2 12 ③ 암모늄 이온 ‑ 13 얻음, ⑤ 전자 NH_4^+ ② 전자 개 얻음 2 )전하를 띠는 양이온이므로 양성자 수가 개를 잃어 이 형성되므로 Ca^2^+ Ca^2^+ 14 특히 철 이온( ② 사람의 혈액에는 여러 가지 이온이 들어 있다. )은 혈액 속의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2 3 1 Fe^2^+ Ⅰ - 03 물질의 표현과 이온의 반응 시험 대비 교재 ⇨ 36~38쪽 ① 분자 ② ③ ④ ⑤ ⑥ ⑦ 음이온 ⑧ 양이온 ⑨ 산화 칼슘 ⑩ 수산화 나트륨 NH_3 ) ⑮ ( CO_2 ) ⑭ ( ⑫ ⑬ ⑪ 2 8 1 ⑯ ( ) Na_2CO_3 - ⑰ ( ) Ca^2^+ + ⑱ 2Cl^- - ⑲ + Ag^+ Pb^2^+ 01 ⑥, ⑦ 02 ④ 03 ⑤ 04 ② 05 ④ 06 ⑤ 07 ②, ⑤ 08 ⑤ 09 (가), (나), (라) 10 ⑤ 11 ⑤ 12 ②, ③ 13 ⑤ 14 ④ 15 ③, ⑤ 60 정답과 해설 NaOH Na^+ + OH^- 06 ①, ② 염화 나트륨 수용액에 전극을 담갔을 때 전구에 불 이 켜지므로 염화 나트륨이 물에 녹으면 이온화되고, 수용액은 전류가 흐르는 것을 알 수 있다. ③ 염화 나트륨 수용액에서 이온은 전하를 띠므로 반대 전하를 띠는 전극으로 이동하여 전류가 흐른다. ④ 염화 나트륨은 물에 녹아 나트륨 이온( ( -)으로 나누어지며 수용액에서 )과 염화 이온 : 의 개수비 : - Na^+ =1 1 Na^+ Cl 로 존재한다. Cl 07 ①, ④ 노란색을 띠는 크로뮴산 이온( 로, 파란색을 띠는 구리 이온( ③ ( )극으로 이동하는 이온은 음이온이므로 )은 ( Cu^2^+ - )은 ( )극으 )극으로 이동한다. + CrO_4^2^- , , NO_3^- CrO_4^2^- 의 세 종류이다. + ② 은 ( )극으로, SO_4^2^- 무색이므로 눈으로 관찰할 수 없을 뿐이다. + - NO_3^- ⑤ 전극을 반대로 연결해도 양이온은 ( )극으로, 음이온은 ( 극으로 이동한다. K^+ 은 ( )극으로 이동하지만, ) - + 08 ⑤ Ca^2^+ + SO_4^2^- 09 (가) 황산 나트륨 (나) 황산 나트륨 ?@A ↓(흰색 앙금) CaSO_4 염화 칼슘 ➡ 황산 칼슘( ) 염화 바륨 ➡ 황산 바륨( + (라) 황산 나트륨 질산 칼슘 ➡ 황산 칼슘( (다) 앙금이 생성되지 않는다. + + ) CaSO_4 ) BaSO_4 CaSO_4 10 염화 나트륨 수용액과 질산 은 수용액이 반응하면 흰색 앙 금인 염화 은( )이 생성된다. AgCl ?@A ↓ Ag^+ + Cl^- AgCl 2-시험대비정답(54~80).indd 60 17. 5. 15. 오후 4:25 염화 나트륨 수용액 질산 은 수용액 혼합 용액 ㅁ. 거울은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물체를 비추어 보는 도구이므로 Na+ Cl- Cl- Na+ Ag+ - NO3 Ag+ - NO3 Na+ - NO3 - NO3 Na+ AgCl AgCl ⑤ 혼합 용액에는 반응에 참여하지 않은 이 들어 있으므로 전원 장치를 연결하면 전류가 흐른다. Na^+ 과 NO_3^- 11 ① 질산 은 ② 탄산 칼륨 ③ 질산 칼슘 ④ 염화 칼슘 + + 염화 칼륨 ➡ 염화 은(흰색 앙금) 염화 바륨 ➡ 탄산 바륨(흰색 앙금) + 황산 나트륨 ➡ 황산 칼슘(흰색 앙금) 탄산 나트륨 ➡ 탄산 칼슘(흰색 앙금) ⑤ 아이오딘화 칼륨 + 질산 납 ➡ 아이오딘화 납(노란 색 앙금) + )은 칼슘 이온( )이나 바륨 이온 12 탄산 이온( ( )과 반응하여 흰색 앙금을 생성한다. C O_3^2^- C a^2^+ Ba^2^+ 13 (가) (나) ↓(검은색 앙금) ?@A PbI_2 ?@A Pb^2^++S^2^- ?@A ↓(노란색 앙금) PbS Pb^2^++2I^- 14 (가) (나) Ag^+ + Cl^- AgCl Ca^2^+ + SO_4^2^- CaSO_4 ?@A ?@A ↓(흰색 앙금) ↓(흰색 앙금) ↓(흰색 앙금) (다) 거른 용액에는 칼륨 이온( Ba^2^+ + SO_4^2^- BaSO_4 )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보라색 의 불꽃색이 나타난다. K^+ 15 ③ 순수한 물인 증류수에는 이온이 들어 있지 않으므로 앙 금이 생성되지 않는다. ⑤ 석회수에 입김을 불어 넣으면 탄산 칼슘 앙금이 생성되어 뿌 옇게 흐려진다. ①, ② 관석은 지하수 속에 녹아 있는 칼슘 이온과 탄산 수소 이온이 가열에 의해 반응하여 탄산 칼슘 앙금이 생기는 것 이다. ④ 수돗물에 질산 은 수용액을 넣으면 수돗물 속의 염화 이온과 질산 은 수용액의 은 이온이 반응하여 흰색 앙금인 염화 은이 생 성되므로 뿌옇게 흐려진다. 01 광원은 스스로 빛을 내는 물체이다. ㄱ. 달은 스스로 빛을 내는 물체가 아니라 햇빛을 반사시 켜 빛을 내는 물체이므로 광원이 아니다. ㄷ. 종이는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므로 광원이 아니다. 광원이 아니다. 02 ① 그림자는 직진하던 빛이 물체에 막혀 나아가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②는 빛의 굴절, ③은 정반사, ④는 빛의 반사, ⑤는 빛의 분산에 의한 현상이다. 03 (가) 전등의 불빛이 보이는 이유는 전등에서 나온 불빛이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이다. (나) 우리가 물체를 볼 수 있는 것은 광원에서 나온 빛이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이다. 04 ①, ②, ③ 빛의 색에 따라 굴절되는 정도가 다르다. 이때 부분은 빨간색이고, 보라색이 빨간색이 가장 작게 굴절하므로 가장 크게 굴절하므로 부분은 보라색이다. A ④ 프리즘에 의해 빛이 분산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B ⑦ 레이저 빛은 단색광이므로 프리즘을 통과해도 분산되지 않고 꺾이기만 한다. 05 ③ 파란색과 초록색이 합성된 ㉢에는 청록색이 나타난다. ① 빨간색과 파란색이 합성된 ㉠은 자홍색이다. ② 빛은 합성할수록 밝아진다. ④ 빨간색과 초록색이 합성된 ㉡은 노란색이 나타나고, 빛의 원색이 모두 합성된 가운데 부분이 가장 밝다. ⑤ 파란색과 ㉡(노란색)을 합성해야 흰색이 된다. ⑥ ㉠, ㉡, ㉢을 합성하면 빛의 (백색광)이 된다. 원색을 합성한 것과 같아 흰색 3 3 06 ① 빨간색 ② 파란색 ③ 초록색 ⑤ 빨간색 + + 청록색( 초록색 파란색) ➡ 흰색(백색광) 노란색( + 자홍색( 빨간색 = 빨간색 초록색) ➡ 흰색(백색광) + 파란색) ➡ 흰색(백색광) 초록색 파란색 ➡ 흰색(백색광) = = + + + ④ 노란색은 빨간색과 초록색이 합성된 것으로 빨간색 + 원색 중 파란색 빛이 없어 백색광이 되지 않 과 합성하면 빛의 시험 대비 교재 ⇨ 39~41쪽 ② 무지개는 빛의 분산에 의한 현상이다. 는다. 07 3 ⅠⅠ - 01 빛과 색 ① 광원 ② 직진 ③ 반사 ④ 분산 ⑤ 빨간색 ⑥ 합성 ⑦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 ⑧ 노란색 ⑨ 자홍색 ⑩ 청록색 ⑪ 반사 01 ③ 02 ① 03 ② 04 ④, ⑦ 05 ③ 08 흰색 풍선에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 조명을 모두 비추면 흰색으로 보인다. ④ 초록색 조명만 끄면 풍선은 빨간색과 파란색 빛이 합성된 자홍색으로 보인다. 09 (가) 빨간색 (나) 빨간색 파란색 자홍색 초록색 + 파란색 = 흰색 06 ④ 07 ② 08 ④ 09 (가) 자홍색, (나) 흰색 = 10 ③ 빨간색과 파란색의 빛을 합성하면 자홍색으로 보인다. + + 10 ③ 11 ④, ⑤ 12 ① 13 ④ 14 ② ① 컴퓨터 모니터의 화면은 빛의 합성을 이용한다. 15 ② 16 ② 17 딸기:검은색, 바나나:검은색 18 ② ② 빨간색과 초록색 빛의 합성색인 노란색으로 보인다. ④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 빛이 모두 켜져 있으므로 화면에서 가장 밝은 부분인 흰색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정답과 해설 61 2-시험대비정답(54~80).indd 61 17. 5. 15. 오후 4:25 ⑤ 컴퓨터 모니터의 화소는 빛의 빛의 원색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색을 만들어 낸다. 원색으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3 3 ④ 물체의 색은 그 물체가 반사한 빛의 색으로 보 11 인다. ⑤ 노란색 셀로판지는 빨간색과 초록색 빛을 투과시킨다. 12 ① 흰색 물체는 모든 색의 빛을 반사한다. ② 빨간색 반사, ③ 초록색 반사, ⑤ 파란색 반사 ④ 검은색 물체는 모든 색의 빛을 흡수한다. 13 빛의 색 빛이 반사된 것이다. 이때 종이는 반사된 두 빛의 합성색인 원색 중 초록색 빛만 흡수하였으므로 빨간색과 파란 3 자홍색으로 보인다. 14 옷은 초록색 빛을 흡수하고, 빨간색 빛과 파란색 빛을 반사 한다. 따라서 이 옷은 햇빛 아래에서 빨간색과 파란색 빛을 반사 하므로 자홍색으로 보인다. 15 파란색 조명 아래에서 청록색 컵, 흰색 지우개, 파란색 편 지지는 파란색 빛을 반사하므로 파란색으로 보이고, 빨간색 필 통과 검은색 가방은 반사하는 빛이 없어 검은색으로 보인다. 16 빨간색 조명과 노란색 조명을 비출 때 두 경우 모두 사과에서 반사되는 빛은 빨간색이므로 사과는 빨간색으로 보인다. 17 딸기는 빨간색 빛을, 바나나는 빨간색과 초록색 빛을 반사 한다. 빨간색과 초록색 빛은 파란색 유리를 투과하지 못하므로 딸기와 바나나는 모두 검은색으로 보인다. ⅠⅠ - 02 빛의 반사와 굴절 ① 반사 ② 같다 ③ 정반사 ④ 난반사 ⑤ ⑥ 볼록 ⑦ 오목 ⑧ 작고 ⑨ 크고 ⑩ 거꾸로 = ⑪ 굴절 ⑫ 속력 ⑬ 커진다 ⑭ 볼록 ⑮ 오목 ⑯ 크고 ⑰ 작고 12 ④ 13 ④, ⑤ 14 ② 15 ① 16 ④ 17 ③ 18 ③ 19 근시:오목렌즈, 원시:볼록렌즈 01 입사각은 입사 광선과 법선이 이루는 각이므로 이고, 반사각은 입사각과 같은 이다. 90*-40*=50* 02 거울 이루는 각이 거울 B 의 법선과 반사 광선이 에서의 반사각이 다. 따라서 반사각은 B 이다. 30* 50* 거울 B 30 30 60 60 60 30 30 * 거울 A 62 정답과 해설 03 ⑥ 법선은 거울면에 수직인 선이다. 그러므로 이다. 와 의 크기가 같으므로 와 의 합은 A+B=C 90* B D 이다. +D=90* B C 이다. , 반사각은 ① 입사각은 ② 법선은 거울면에 수직이다. ③ 반사 법칙에 의해 입사각과 반사각은 같으므로 입사각이 커 지면 반사각도 커진다. ⑤ °이므로 반사각 °이면 입사각 °이다. 가 가 는 B C A 40 50 04 ⑥ 물체를 모든 방향에서 볼 수 있는 것은 빛이 물체 표면 에서 (나)와 같이 난반사하기 때문이다. 50 B C ① (가)는 정반사, (나)는 난반사이다. ② (가)와 같이 정반사할 때 물체가 표면에 비쳐 보인다. ③ (나)는 난반사로 영화 스크린과 같이 거친 면에서의 반사이다. ④ (가)는 정반사로 잔잔한 수면과 같이 매끄러운 면에서의 반사 이다. ⑤ 반사 법칙은 (가), (나)에서 모두 성립한다. 05 평면거울에 물체를 비추면 좌우가 바뀌어 보인다. 06 평면거울과 물체 사이의 거리는 평면거울과 상 사이의 거 떨어진 리와 같다. 따라서 지연이의 상의 위치는 거울에서 곳에 생기므로 지연이와 상 사이의 거리는 이다. 1 m ④ 볼록거울은 오목거울보다 시야가 넓어 넓은 범 07 위를 볼 수 있다. ⑥ 오목거울은 거울과 물체가 가까이 있을 때 실물보다 크고 바로 선 상이 보이고, 거울과 물체가 멀리 있을 때 작고 거꾸로 선 상 m 2 08 그림은 오목거울에서 반사되는 빛의 경로이다. 빛이 모이 는 점인 초점에서 나온 빛은 거울에서 반사한 후 평행하게 진행 ① 오목거울은 빛을 모으는 성질이 있다. ② 실물보다 큰 상은 거울과 물체가 가까이 있을 때만 생긴다. ③ 편의점 감시거울은 볼록거울을 사용한다. ④ 거꾸로 선 상은 물체가 거울에서 멀리 있을 때 생긴다. 09 거리에 관계없이 항상 작고 바로 선 상이 생기는 거울은 볼 록거울이다. 볼록거울은 넓은 범위를 볼 수 있어 자동차의 오른 쪽 측면 거울과 굽은 도로의 안전거울에 사용한다. ㄱ, ㄹ, ㅂ. 오목거울을 사용하는 예이다. 10 수 있도록 볼록거울을 사용한다. ④ 구부러진 도로의 안전거울은 넓은 범위를 볼 11 ① 빛이 공기 중에서 물속으로 진행하면 속력이 느린 물 쪽 으로 굴절한다. 따라서 굴절각이 입사각보다 작다. ⑤ 공기에서 유리로 빛이 입사하여도 빛의 진행 속력이 느려지 므로 굴절된다. ③ 법선과 굴절 광선이 이루는 각이 굴절각이다. 12 빛이 공기 중에서 유리로 진행할 때는 속력이 느려지므로 굴절각이다. 반대로 빛이 유리에서 공기 중으로 진행할 입사각 때는 속력이 빨라지므로 입사각 굴절각이다. > < 18 초록색과 파란색 빛을 합성하면 청록색으로 보인다. 이 보인다. 시험 대비 교재 ⇨ 42~45쪽 하므로 퍼지지 않고 멀리까지 나아갈 수 있다. 01 ③ 02 03 ④, ⑥ 04 ⑥ 05 ⑤ 06 ② 07 ④, ⑥ 08 ⑤ 09 ㄷ, ㅁ 10 ④ 11 ③ 30* ㄴ. 전신거울은 평면거울을 사용한다. 2-시험대비정답(54~80).indd 62 17. 5. 15. 오후 4:25 13 ④, ⑤는 빛의 반사에 의한 현상이다. 14 컵에 물을 부으면 동전에서 반사된 빛이 물속에서 공기 중 으로 나갈 때 굴절하기 때문에 동전이 위로 떠올라 보인다. 15 빛이 물속에서 공기 중으로 진행할 때 굴절하여 물고기는 실제 위치보다 위로 떠올라 보인다. 레이저 빛이 공기 중에서 물 속으로 진행할 때도 굴절하므로 눈에 보이는 곳으로 겨냥해야 한다. 16 볼록거울과 오목렌즈는 빛을 퍼지게 한다. ① 오목거울과 볼록렌즈는 빛을 모아준다. 17 ③ 빛을 퍼지게 하므로 그림의 렌즈는 오목렌즈이다. 따라서 근시 교정용 안경으로 사용한다. ① 오목렌즈는 빛을 퍼지게 한다. ② 돋보기에는 볼록렌즈가 사용된다. ④ 오목렌즈는 가운데가 가장자리보다 얇다. ⑤ 오목렌즈는 물체 사이의 거리에 관계없이 실물보다 작고 바로 선 상이 보인다. 18 멀리 있는 물체를 보았을 때 작고 거꾸로 선 상이 보이는 것은 볼록렌즈이다. 볼록렌즈로 가까이 있는 물체를 보면 실물 보다 크고 바로 선 상이 보인다. 04 ② 물결파에서 파동을 전달하는 매질은 물이다. ③ 물방울이 떨어진 지점은 파동이 시작되는 지점인 파원이다. ⑤ 코르크 마개는 매질인 물과 함께 제자리에서 위아래로 진동 한다. ⑥ 물결파는 진행 방향과 매질인 물의 진동 방향이 수 직인 횡파이다. 초 (회) 05 주기 . 초, 진동수 = 10 100 =0 1 06 ㄴ. (가)의 파장은 (나)의 파장의 초 주기 = 1 배이다. . = 1 0 1 =10 Hz 2 ㄱ. (가)와 (나)의 진폭은 같다. ㄷ. (가)와 (나) 모두 횡파이다. 07 파동이 . 초 동안 파장 이동하였으므로 한 파장 이동 하는 데 초가 걸린다. 따라서 주기는 0 초이고, 1/4 = s 08 ① 파장은 마루(골)에서 이웃한 마루(골)까지의 거리이므로 =0 m 2 이다. cm 10 ③ 파동은 초 동안 회 진동하므로 진동수 이다. (회) 초 =4 2 =2 Hz = s ② 진폭은 진동 중심에서 마루(골)까지의 거리이므로 =0 m 2 ④ 주기 ⑤ 속력 2 진동수 = 1 파장 주기 4 = 1 . Hz 2 초 . m 1 5 =0 0 . 초 =0 . 5 / cm 5 09 ㄴ. 진폭은 이다. 2 m ㄹ. 진동수 초 주기 = 1 = 1 1 10 물결파, 지진파의 파는 종파이다. 파의 S 19 근시는 상이 망막 앞에 맺히므로 오목렌즈로 빛을 퍼지게 하여 상이 망막에 맺히도록 교정한다. 속력 파장 2 주기 . / 2 이다. 원시는 상이 망막 뒤에 맺히므로 볼록렌즈로 빛을 모아 상이 망 막에 맺히도록 교정한다. 5 . 초 4 2 m = 0 ⅠⅠ - 03 파동과 소리 시험 대비 교재 ⇨ 46~49쪽 ① 매질 ② 매질 ③ 에너지 ④ 마루 ⑤ 골 이다. ⑥ 파장 ⑦ 진폭 ⑧ 횡파 ⑨ 종파 ⑩ 반사 ⑪ 굴절 ⑫ 낮은 ⑬ 큰 ⑭ 높은 01 ① 02 ③ 03 :↓, :↑ 04 ⑥ 05 ② 06 ② 07 ④ 08 ② 09 ② 10 ④ 11 ⑥ A B 12 ③ 13 ② 14 ③, ⑥ 15 ③ 16 ① 17 ② 18 ① 19 ④ 01 다. ① 빛은 전자기파로, 매질 없이 전달되는 파동이 02 ② 빛은 전자기파로, 매질이 없어도 전달된다. ⑤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노래는 소리이므로 파동의 일종이다. ③ 파동이 전달될 때 매질은 이동하지 않는다. 03 용수철 파동이 오른쪽으로 약간 이동한 모습을 그려 보면 는 위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는 아래쪽(↓)으로 움직이고, Hz =1 파, 빛은 횡파이고, 소리, 초음파, 지진 P ① 주어진 파동은 파동의 진행 방향과 매질의 진 11 동 방향이 나란한 종파이다. ② 매질인 용수철은 좌우로 진동만 할 뿐 이동하지 않는다. ③ 지진파의 파와 같은 종류의 파동이다. 이므로 지진파의 ④ 용수철을 더 빨리 흔들면 진동수가 커진다. ⑤ 용수철을 더 세게 흔들면 진폭이 커진다. P S 파는 횡파이다. 주어진 그림의 용수철 파동은 종파 12 ⑤ 물결파의 주기와 진동수는 파원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 서 주기와 진동수는 변하지 않는다. ③ 물결파가 반사된 후에도 물의 깊이는 그대로이므로 알 수 있다. A B 파장은 변하지 않는다. 정답과 해설 63 2-시험대비정답(54~80).indd 63 17. 5. 15. 오후 4:25 (가)(나)파장진폭파장진폭 13 ② 파동의 굴절에 의한 현상이다. 14 ③ 물결파의 속력은 파장이 길수록, 물의 깊이가 깊어질수 록 빠르다. 따라서 물의 깊이는 보다 깊다. 가 ① 입사각이 굴절각보다 크다. B 보다 길다. 가 A ② 파장은 ④ 파동이 굴절할 때 진동수와 주기는 변하지 않는다. B ⑤ 파장이 길수록 속력이 빠르므로 에서의 속력이 력보다 빠르다. 따라서 물결파의 속력이 느려진다. A A B 에서의 속 15 이 없는 진공 중에서는 전달되지 않는다. ③ 소리는 매질을 통해 전달되는 파동으로, 매질 16 ② 소리는 매질인 공기가 있어야만 전달되는 파동이므로 진공에서는 전달되지 않는다. ③ 소리의 속력은 고체 기체 순이다. 액체 ① 소리는 종파이다. > > 17 ①, ③ 소리가 꺾여서 아래쪽으로 내려오는 굴절 현상이 다. 이때 지면 쪽으로 멀리까지 소리가 전달된다. ④, ⑤ 온도가 낮을수록 소리의 속력이 느리다. 소리는 속력이 느린 쪽으로 굴절되므로 지면의 온도가 상공보다 낮다. ② 소리가 지면 쪽으로 굴절하므로 밤에 일어나는 현상 이다. 18 소리의 높낮이는 진동수에 의해 결정된다. 그래프의 가로 축이 시간이므로 이웃한 마루에서 마루까지의 거리가 주기이고, 진동수는 주기의 역수와 같다. 따라서 주기가 가장 긴 ①의 소리 가 진동수가 가장 작으므로 가장 낮다. 19 (가)는 (나)에 비해 진폭은 작으나 진동수가 크다. 따라서 (가)는 (나)에 비해 작고 높은 소리이다. 01 지구 대기를 구성하는 기체의 부피비:질소 곤 이산화 탄소 기타 산소 아르 > > > > 02 식물의 광합성에 이용되고 온실 효과를 일으키는 기체는 대기를 구성하는 기체 중 네 번째로 많은 이산화 탄소( )이다. D 이다. ① 기권의 두께는 약 03 ④ 대기를 구성하는 기체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질 소, 두 번째로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산소이다. ⑥ 수증기는 시간이나 장소에 따라 양이 달라진다. ⑦ 지구에 대기가 없다면 온실 효과가 일어나지 않아 지구의 평 균 온도는 현재보다 낮을 것이다. 1000 km 04 ① 성층권의 오존층이 지구로 들어오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지표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③ 태양계를 떠돌던 암석 조각이 지구의 중력에 의해 끌려 들어 와 대기와 마찰하여 타면서 빛을 내는 것을 유성이라고 한다. 유 성체는 대부분 대기와 마찰하여 타버리기 때문에 지구와 직접 충돌하지 않는다. ⑤ 대기는 생물의 호흡에 필요한 산소와 식물의 광합성 에 필요한 이산화 탄소를 제공한다. 05 기권은 높이에 따른 기온 변화를 기준으로 지표에서부터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으로 구분한다. 06 C B D A 는 중간권, 는 성층권, 는 열권이다. 는 대류권, ① 낮과 밤의 기온 차가 크고, 오로라가 나타나는 층은 )이다. 열권( ② 대류가 일어나는 층은 대류권( ③ 수증기가 존재하여 구름, 비 등 기상 현상이 나타나는 층은 )이다. 대류권( ⑤ 전체 대기의 A 가 분포하는 층은 대류권( )과 중간권( )이다. )이다. A D C 75 ̄80 )은 높이 올라갈수록 지표에서 방출되는 에너지 07 대류권( 가 적게 도달하기 때문에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진다. A % A 08 중간권은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므로 대류가 일어 난다. 하지만 수증기가 거의 없기 때문에 기상 현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시험 대비 교재 ⇨ 50~53쪽 09 ⑤ 지구 대기는 지표에서 방출된 지구 복사 에너 지의 일부를 흡수하였다가 지표로 재방출하여 지구의 평균 기온 ① 기온 ② 대류권 ③ × ④ 수증기 을 높게 한다. ⑥ ⑦ 온실 효과 ⑧ 과잉 ⑩ 탄소 순환 ⑪ 이산화 탄소 ⑫ 상승 70 10 복사 평형은 물체가 흡수하는 복사 에너지양과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양이 같아서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이다. ⅠⅠⅠ - 01 기권 ⑤ ⑨ 부족 70 ⑬ 화석 연료 01 ③ 02 , 이산화 탄소 03 ②, ③, ⑤ 04 ⑤ 05 높이에 따른 기온 변화 06 ④ 07 ⑤ 08 중간 D 권 09 ⑤ 10 ③ 11 ③, ④ 12 ④ 13 ③ 14 ③, ④ 15 탄산 이온, 유기물 16 ①, ⑤, ⑦ 17 ② 18 ③ 19 ③ 20 ⑤ 21 ⑤ 구간에서는 컵이 흡수하는 에너지양이 방출하는 에 11 ⑤ 너지양보다 많아서 온도가 상승한다. ⑥ 과 같아 복사 평형을 이루므로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구간에서는 컵이 흡수하는 에너지양이 방출하는 에너지양 A B ③ 전열기를 더 가까이 하면 열원에 가까워지므로 더 높은 온도에서 복사 평형이 일어난다. ④ 흰색은 빛을 반사하므로 검은색보다 실험 결과가 잘 나타나 지 않는다. 64 정답과 해설 2-시험대비정답(54~80).indd 64 17. 5. 15. 오후 4:25 12 지구는 흡수한 태양 복사 에너지양( 에너지를 우주로 방출한다. 70 % )만큼 지구 복사 13 ㄷ, ㄹ. 햇빛은 지구에 나란하게 들어오는데, 지구가 둥글 기 때문에 위도에 따라 태양 고도가 달라진다. 이때 저위도로 갈 수록 태양 고도가 높으므로 단위 면적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 너지양이 많다. ㄱ. 는 저위도 지역, 는 중위도 지역, 는 고위도지 역이다. A B C ㄴ. 태양 고도는 고위도로 갈수록 낮아지므로 지역에서 가장 높고 지역에서 가장 낮다. A C ③ 는 남는 에너지, 14 낸다. ④ 지구 전체적으로는 복사 평형을 이루고 있지만, 위도별로는 복사 평형을 이루고 있지 않다. 는 부족한 에너지를 나타 A B 15 탄소는 다양한 형태로 지구계 각 권에 존재한다. •지권:석탄이나 석유 등 화석 연료, 석회암 •기권:이산화 탄소 •수권:탄산 이온 •생물권:유기물 16 기권의 탄소가 증가하는 예로는 생물의 호흡, 화석 연료 연 소, 화산 기체 분출 등이 있다. ② 이산화 탄소(기권) → 해수(수권):감소 ③ 식물(생물권) → 화석 연료(지권) ④ 해양 생물(생물권) → 석회암(지권) ⑥ 이산화 탄소(기권) → 식물(생물권):감소 ⑧ 해수(수권) → 해양 생물(생물권) 17 화석 연료 형태로 지권에 저장되어 있던 탄소는 화석 연료 연소 과정에서 기권으로 방출되고, 식물의 광합성을 통해 생물 권에 저장된다. 18 지구 온난화는 온실기체의 증가로 인해 온실 효과가 강화 되어 지구의 평균 기온이 상승하는 현상이다. 지구 온난화의 가 장 큰 원인은 화석 연료 사용량 증가로 인한 대기 중 이산화 탄 소의 양 증가이다. 19 지구의 평균 기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지구 온난화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②, ④, ⑤ 지구 온난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기체 는 이산화 탄소이다. 이 시기 동안 화석 연료의 사용량이 증가하 여 대기 중 이산화 탄소 농도가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온실 효 과가 강화되었을 것이다. 20 이산화 탄소, 메테인, 프레온 가스는 모두 온실 효과를 일 으키는 온실기체이다. 온실기체가 증가하면 온실 효과가 강화되 어 지구의 평균 기온이 상승하는 지구 온난화가 일어난다. ①, ② 기온이 상승하면 해수의 부피가 팽창하여 해수 면의 높이가 상승하고, 육지의 면적은 줄어든다. ④ 동해에는 한류성 어종이 감소하고 아열대성 어종이 등장한다. 21 지구 온난화로 인해 빙하 면적이 감소하고, 홍수나 집중 호 우가 발생하며, 사막화와 식량 부족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⑤ 지구 온난화의 원인은 대기 중 온실기체 증가이므로 국제 협력을 통해 온실기체의 배출량을 줄여야 한다. 시험 대비 교재 ⇨ 54~57쪽 ⅠⅠⅠ - 02 대기 중의 물 ① 물방울 ② 포화 상태 ③ 많음 ④ 이슬점 ⑤ 습구 ⑥ 이슬점 ⑦ 팽창 ⑧ 하강 ⑨ 적운형 ⑩ 층운형 ⑪ 눈 ⑫ 비(찬비) 01 ①, ③, ⑤ 02 ③ 03 ④, ⑦ 04 05 06 ④ 07 ③ 08 g 10 ④ 11 ③ 12 21.3 14 ㄱ → ㄷ → ㄹ → ㅁ → ㄴ 15 ⑤ 16 ㉠ 더욱 흐 73.5 % C :이슬점, :습도, A B 려, ㉡ 응결핵 17 ①, ⑤, ⑥, ⑧ 18 ⑤ 19 ②, ⑤ *C 09 ③, ⑦ 20 :기온 13 ⑤ 20 ①, ⑤, ⑦ 01 ① 젖은 빨래가 마르고, ③ 컵에 든 물이 점점 줄 어들고, ⑤ 마당에 물을 뿌리면 시원해지는 현상은 증발과 관련 이 있다. 02 ㄱ. 까지 낮추거나 수증기 A 곡선 상에 위치하도록 해야 한다. kg g 7 1 공기를 포화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온도를 . / 을 더 포함시켜 포화 수증기량 *C 25 ㄹ. 포화 수증기량 곡선 상에 있는 공기( , )는 포화 상태이고, 포화 수증기량 곡선 아래쪽에 있는 공기( C , E , )는 불포화 상 태이다. ㄴ. 기온이 D 일 때 포화 수증기량은 A B . / 이 므로 공기 을 포화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수증기 g *C kg . 27 1 30 을 공급해야 한다. kg B 1 17 1 g 03 중에 포함된 현재 수증기량이 많을수록 높다. ④, ⑦ 이슬점은 포화 수증기량과 관계없고, 공기 04 현재 수증기량은 이슬점에서의 포화 수증기량과 같다. 의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의 공기 에 . 이 포화 수증기량이 되는 온도인 7 14 kg 1 g 가 이슬점이 20 *C 현재 수증기량 냉각된 온도에서의 포화 수증기 에서 포화 수증기량은 . / 이므로 공기 일 때 포화 수증기량은 *C 의 공기 10 이다. 따라 3 까지 냉각시킬 때 응결량은 8 . kg g 6 kg=22 g 7 kg\3 *C . *C / g 7 kg 30 다. 14 05 응결량 량이다. = 서 kg . 30 1 *C g-22 44 8 06 상대 습도( . - / . 을 g 7 6 이다. 10 / / kg kg g g g . . 7 0 . kg 3 3 g=21 ) = 14 20 % ≒ \100 74 % 정답과 해설 65 2-시험대비정답(54~80).indd 65 17. 5. 15. 오후 4:25 07 현재 공기 중의 수증기량이 일 때, , x . / . / x \100=39 이슬점은 현재 수증기량 kg g 27 1 도이므로 약 이다. 15 08 상대 습도( *C ) g kg 10 6 현재 수증기량 포화 수증기량 % = 14 = 20 09 ⑦ 포화 수증기량 곡선에서 가장 먼 건구와 습구의 온도 차가 가장 크다. C ① 는 포화 상태이다. % x≒10 / . g kg 6 이 포화 수증기량이 되는 온 . g g . . 7 =73 0 의 습도가 가장 낮고 / / kg kg % 5 ②, ④ 포화 수증기량 곡선 상에 위치하는 공기( )는 습도가 A 로 가장 높고, 포화 수증기량 곡선에서 멀어질수록 습도 A 가 낮다. % 100 ⑤ 현재 수증기량이 많을수록 이슬점이 높으므로, 이슬점은 가 가장 낮다. ➡ 이슬점 비교: D ⑥ 기온이 높을수록 포화 수증기량이 많으므로, 포화 수증기량 은 가 가장 많다. ➡ 포화 수증기량 비교: A>B=C>D C 10 ④ 습구 온도계의 구부를 감싼 헝겊에서 물이 증발할 때 주 위의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습구 온도( 의 온도)는 건구 온도( C>A=B>D 의 온도)보다 항상 낮거나 같다. B A ① 는 건구 온도계, 는 습구 온도계이다. A A 의 온도(건구 온도)는 현재 기온을 나타낸다. ② B ③ 건구와 습구의 온도 차이가 클수록 증발이 잘 일어나는 것이 므로 습도가 낮다. ⑤ 건습구 습도계는 물이 증발할 때 주변의 열을 흡수하는 성질 을 이용한다. 11 습구 온도( )가 만나는 곳의 값( *C 16 )와 건구와 습구의 온도 차( )이 상대 습도이다. 18-16= *C 2 12 80 % 습도 기온 이슬점 는 오후 시경에 가장 높으므로 기온이고, 기온과 반대로 는 습도이다. 맑은 날 대기 중의 수증기량은 거의 변 나타나는 C 2 ̄3 화가 없으므로 B 는 이슬점이다. A 13 ⑤ 이날 이슬점이 거의 일정하므로 대기 중 수증기량은 거 의 변화가 없었다. ② 이슬점이 거의 일정할 때, 기온이 높아지면 습도는 낮아진다. ④ 포화 수증기량은 기온이 가장 낮은 새벽에 가장 낮고, 기온이 가장 높은 오후 시경에 가장 높다. 2 ̄3 14 구름의 생성 과정:공기 상승(ㄱ) → 단열 팽창(ㄷ) → 기온 하강(ㄹ) → 이슬점 도달 → 수증기 응결(ㅁ) → 구름 생성(ㄴ) 15 뚜껑을 열면 페트병 내부의 공기가 단열 팽창하면서 기온 이 낮아지고 포화 수증기량이 감소하여 상대 습도가 높아진다. 16 페트병에 향 연기를 조금 넣고 실험하면 페트병 내부가 더 뿌옇게 흐려지는데, 이것은 향 연기가 수증기의 응결이 더 잘 일 어나게 하는 응결핵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17 구름이 생성되기 위해서는 공기가 상승해야 한다. ①, ⑤, ⑧에서는 공기가 하강하여 구름이 생성되지 않 는다. ⑥ 지표에서 공기가 급격하게 냉각되면 안개나 이슬이 생긴다. 18 다. (가)와 (나)는 구름의 모양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④ (가)는 적운형 구름이고, (나)는 층운형 구름이 19 ②, ⑤ 저위도 지방은 기온이 높아서 구름 속 온도가 이상이고, 구름 입자가 모두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방울 *C 0 들이 서로 충돌하고 합쳐져서 빗방울이 된다. ① 중위도나 고위도 지방에서 주로 발달하는 구름 구간에서 수증기가 빙정에 달라붙어 성장하여 눈이 만들 20 모습이다. ⑤ 어진다. B ⑦ 커진 빙정이 그대로 떨어지면 눈이 되고, 떨어지다가 녹으면 비가 된다. 시험 대비 교재 ⇨ 58~60쪽 기압과 바람 ⅠⅠⅠ - 03 ① 모든 ⑤ 기온 ⑨ 북서 ② 일정 ③ ④ 낮아 ⑥ 1013 ⑩ 태양 복사 에너지양 ⑦ > < ⑧ 남동 ⑪ 3 ⑫ 편서풍 ⑬ 북적도 해류 01 ③ 02 ②, ⑤ 03 ④ 04 ② 05 ② 06 ⑴ ⑵ 07 ⑤ 08 ④ 09 ②, ⑤ 10 ⑤ 11 :극동풍, < > :편서풍, :북동 무역풍 12 ④ 13 ④ A B C 01 ③ 기압은 같은 크기로 모든 방향에서 작용한다. 02 ⑥ 높은 산 위는 기압이 낮으므로 토리첼리 실험을 높은 산 위에서 하면 가 낮아진다. ② (가)는 공기가 비어 있는 진공 상태이다. h ⑤ 기압이 일정하면 유리관이 기울어져도 수은 기둥의 높이는 변하지 않는다. 물기둥 03 약 기압 의 압력 =76 1 m 10 공기 기둥 약 cmHg=760 = 의 압력 mmHg=1013 km 1000 hPa= 04 높이 올라갈수록 기압이 감소하므로 수은 기둥의 높이도 낮아진다. 05 ③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풍향이라고 한다. 66 정답과 해설 2-시험대비정답(54~80).indd 66 17. 5. 15. 오후 4:25 온도( )01261824 시각(시)50ACB1015202530습도( )206040%80100 C 06 밤에는 육지가 바다보다 빨리 냉각되어 육지 쪽이 바다에 비해 기온이 낮고 기압은 높다. 따라서 육지에서 바다 쪽으로 육 01 ④ 기단의 기온과 습도는 발생지의 성질에 따라 결정되는데, 기단이 발생지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면 지표의 풍이 분다. 영향을 받아 성질이 변할 수 있다. 07 그림은 낮에 해풍이 부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⑤ 낮에는 육지가 바다보다 빨리 가열되기 때문에 기온이 높은 육지 쪽에서 공기의 상승이 일어나고, 기압이 낮아져 바다에서 육지로 바람이 분다. 08 그림은 우리나라 여름철에 부는 남동 계절풍이다. ④ 여름철에는 대륙이 해양보다 빨리 가열되므로 대륙 쪽의 기압보다 해양 쪽의 기압이 높다. 09 ① 모래는 물보다 비열이 작아서 빨리 가열된다. ② 전등으로 가열한다고 하였으므로 낮에 부는 해풍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실험이다. ⑤ 이 실험으로는 해풍 또는 우리나라 여름철에 부는 남동 계절 풍을 설명할 수 있다. 10 ③, ④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에 대기 대순환은 북반구와 개의 순환으로 나타난다. 지구가 자전하지 않 남반구에서 각각 는다면 하나의 거대한 순환만이 나타나고, 북반구에서는 극 쪽 3 에서 적도 쪽으로 북풍만 불 것이다. ⑤ 위도 부근에서는 공기가 하강하여 구름이 소멸 되고, 강수량이 적어서 사막이 잘 발달한다. 30* ° 이상에서 부는 바람은 극동풍, 위도 °~ °에서 11 위도 부는 바람은 편서풍, 적도~위도 60 °에서 부는 바람은 무역풍이 30 60 다. 북반구에서는 북동 무역풍이 불고, 남반구에서는 남동 무역 30 풍이 분다. 12 편서풍( 극 순환해류이고, 남동 무역풍( B 남적도 해류이다. D )에 의해 형성된 표층 해류는 북태평양 해류와 남 )에 의해 형성된 표층 해류는 13 ④ 표층 순환은 대기 대순환에 의한 바람에 의해 발생한다. ①, ② (가)는 북동 무역풍에 의해 발생하는 북적도 해 류이다. ③ 표층 해류는 북반구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순환하고, 남반구 에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순환한다. 시험 대비 교재 ⇨ 61~64쪽 ⅠⅠⅠ - 04 날씨의 변화 ① 온난 건조 ② 겨울 ③ 여름 ④ 태풍 ⑤ 폐색 전선 ⑥ 적운형 ⑦ 층운형 ⑧ 하강 ⑨ 상승 ⑩ 편서풍 ⑪ 소나기성 ⑫ 맑음 ⑬ 지속적인 ⑭ 기상 재해 01 ④ 02 ④ 03 ③, ⑦ 04 ② 05 ⑤ 06 ⑤ 07 ㉠ 온난, ㉡ 층운형, ㉢ 앞, ㉣ 지속적인 08 ④, ⑥ 09 ② 10 해설 참조 11 ② 12 ② 13 ① 14 ⑤ 15 ⑤, ⑦ 16 17 ② 18 ② C 02 시베리아 기단 양쯔 강 기단 오호츠크 해 기단 북태평양 기단 적도 기단 기단(오호츠크 해 기단)은 초여름에 영향을 미치고, E D C , ①, ② 대륙에서 발생하는 기단( )은 습하다. , A 03 고, 해양에서 발생하는 기단( ④, ⑤ 기단(북태평양 기단)은 여름철에 영향을 미친다. ⑥ 장마 전선을 형성한다. 기단(오호츠크 해 기단)과 C D C D 기단(북태평양 기단)이 만나 , )은 건조하 B ② 우리나라 겨울철에 영향을 주는 기단은 시베리 04 아 기단이다. 05 때 생긴다. 러 생긴다. ㄱ. 한랭 전선은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를 파고들 ㄷ. 정체 전선은 세력이 비슷한 두 기단이 한곳에 오랫동안 머물 06 그림은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를 파고들 때 생기는 한랭 전 선의 단면이다. ①, ②, ③ 한랭 전선에서는 적운형 구름이 발달하고 좁은 지역에 소나기성 비가 내린다. ④ 한랭 전선은 전선면의 기울기가 급하다. 07 그림은 따뜻한 공기가 찬 공기를 타고 오를 때 생기는 온난 전선의 단면이다. 온난 전선에서는 층운형 구름이 만들어지고, 전선 앞쪽 넓은 지역에 지속적인 비가 내린다. ④ 한랭 전선은 온난 전선보다 이동 속도가 빠르 08 다. ⑥ 한랭 전선의 일기 기호는 , 온난 전선의 일기 기 호는 이다. 09 북반구의 고기압 중심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바람이 불어 나가고, 하강 기류가 생긴다. 북반구의 저기압 중심에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바람이 불어 들어오고, 상승 기류가 생긴다. 10 고 저 11 ③, ④, ⑤ 저기압 지역은 주변보다 기압이 낮은 곳이다. 북반구에서는 바람이 중심을 향해 시계 반대 방향으로 불어 들 어오고, 중심부에서는 상승 기류가 나타난다. 정답과 해설 67 2-시험대비정답(54~80).indd 67 17. 5. 15. 오후 4:25 ACDBE ② 저기압 지역에서는 상승 기류에 의해 구름이 만들어 지므로 날씨가 흐리고 비가 내리기도 한다. 맑은 날씨는 고기압 02 피부, 뼈, 혈액, 지방 조직은 조직에 해당한다. ②, ④ 폐는 기관, 소화계는 기관계에 해당한다. 지역에서 나타난다. 지역은 주변보다 기압이 낮은 저기압이다. 저기압 중 12 ② 심에서는 상승 기류가 발달하여 구름이 생성되므로 날씨가 흐리 A 거나 비가 온다. ③, ④ 지역은 고기압으로 바람이 시계 방향으로 불 어나가고 하강 기류가 발달한다. ⑤ 바람은 기압이 높은 B 지역에서 지역 방향으로 분다. 13 한랭 전선은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를 파고들 때 생기고, 온난 전선은 따뜻한 공기가 찬 공기를 타고 오를 때 생긴다. B A 지역은 찬 공기의 영향으로 기온이 낮고, 지역은 와 14 따뜻한 공기의 영향으로 기온이 높다. A C B ⑤ 온대 저기압은 중위도 지방에서 발생한다. 15 ⑦ 온대 저기압은 편서풍에 의해 서에서 동으로 이동하므로, 온 난 전선이 먼저 통과하고 한랭 전선이 나중에 통과한다. 16 현재는 지속적으로 비가 내리고, 앞으로 기온이 높아지고 날씨가 맑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곳은 이다. 절한다. 17 일기 예보는 앞으로의 날씨를 예측하여 알려주는 것으로, 기상 요소를 관측하고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여 현재 일기도를 C 작성한 후 이를 바탕으로 예상 일기도를 작성한다. 18 실이나 축사에 황사가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② 황사가 발생할 때는 야외 활동을 자제하고, 온 03 ① 물( 원으로 쓰이는 것은 ③, ④ 아 단백질이다. 단백질( B ⑥ 지방( 수화물( )은 3 )은 C 3 kcal 4 g 열량을 낸다. E )은 에너지원으로 쓰이지 않는다. 에너지 대 영양소( A , , )이다. 는 몸에서 두 번째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 C B E )은 소화 효소의 주성분이다. 대 영양소 중 B 의 열량을 내고, 지방( / g 1 당 내는 열량이 가장 많다. 탄 )은 / 의 C kcal g 9 ① 탄수화물의 기본 단위는 단당류이다. 아미노산 04 은 단백질의 기본 단위이다. ③ 효소와 호르몬의 주성분은 단백질이다. ④ 탄수화물은 당 ⑤ 탄수화물은 탄소, 수소, 산소로 구성된다. 탄소, 수소, 산소, 4 질소 등으로 구성되는 영양소는 단백질이다. 의 에너지를 낸다. kcal 1 g 05 단백질은 주로 몸을 구성하고, 에너지원( 쓰인다. 단백질은 효소와 호르몬의 주성분으로, 생리 작용을 조 )으로도 / kcal g 4 06 열량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에서만 얻을 수 있다. ( / / ( ) ( ) / ) g\4 g\4 kcal g + 78 10 =496 07 ㄱ. 무기 염류는 몸에서 만들어지지 않아 음식물로 섭취해 야 한다. kcal 16 kcal g g\9 kcal g + 08 바이타민은 몸을 구성하는 성분은 아니지만 적은 양으로 생 리 작용을 조절하며, 부족할 경우 여러 가지 결핍증이 나타난다. ⑤ 바이타민은 에너지원으로 쓰이지 않는다. 09 바이타민 각기병(㉡), 바이타민 결핍증은 구루병이다. A C (㉠) 결핍증은 야맹증, 바이타민 결핍증은 괴혈병(㉢), 바이타민 B_1 결핍증은 (㉣) D 10 ① 물은 우리 몸에서 가장 많은 비율(약 영양소로, 영양소와 노폐물 등 여러 가지 물질을 운반하고, 비열 )을 차지하는 66 % 시험 대비 교재 ⇨ 65~67쪽 이 커서 체온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동물체의 구성과 영양소 ② 기관계 ③ 근육 조직 ④ 소화계 ⑥ 무기 염류 ⑦ 단백질 ⑧ 탄수화물 ⑩ 바이타민 ⑪ 야맹증 ⑫ 괴혈병 11 용하며, 반응 결과 선홍색으로 색깔 변화가 나타난다. ② 지방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수단 Ⅲ 용액을 사 12 ② 포도당은 베네딕트 반응( 를 나타내고, 단백질은 뷰렛 반응( A ) 결과 황적색으로 색깔 변화 ) 결과 보라색으로 색깔 변 ⑬ 아이오딘 ‑ 아이오딘화 칼륨 ⑭ 베네딕트 화를 나타낸다. D ⑮ 수산화 나트륨 ⑯ 보라색 ⑰ 선홍색 13 버터, 참기름, 땅콩 등에 특히 많이 들어 있는 영양소는 지 방이다. 지방은 수단 Ⅲ 반응 결과 선홍색으로 색깔 변화가 나타 ⅠV - 01 ① 세포 ⑤ 지방 ⑨ 지방 % 5 01 ④ 02 ②, ④ 03 ②, ⑤, ⑦ 04 ② 05 ⑤ 난다. 06 ① 07 ㄱ, ㄴ, ㄷ 08 ⑤ 09 ① 10 ① 11 ② 12 ② 13 지방, 선홍색 14 ② 14 수단 Ⅲ 용액이고, A 는 반응 색깔이 선홍색인 것으로 보아 지방을 검출하는 는 녹말이 아이오딘 반응 결과 나타내는 색 깔인 청람색이다. 는 가열하는 과정과 반응 색깔이 황적색인 것으로 보아 당을 검출하는 베네딕트 용액이고, 는 단백질이 B C 뷰렛 반응 결과 나타내는 색깔인 보라색이다. D 01 ④ 동물체는 세포(라) → 조직(마) → 기관(나) → 기관계 (다) → 개체(가)의 구성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68 정답과 해설 2-시험대비정답(54~80).indd 68 17. 5. 15. 오후 4:25 시험 대비 교재 ⇨ 68~71쪽 ⅠV - 02 소화 ① 소화 ② 소화샘 ③ 기계적 ④ 화학적 ⑤ 단백질 ⑥ 아밀레이스 ⑦ 펩신 ⑧ 염산 ⑨ 지방 ⑩ 트립신 ⑪ 라이페이스 ⑫ 아미노산 ⑬ 지방산 ⑭ 융털 ⑮ 모세 혈관 ⑯ 암죽관 01 ⑤ 02 ④, ⑥ 03 ① 04 ② 05 ②, ④ 06 ⑤ 07 ③ 08 ⑤ 09 ③ 10 ④ 11 ① 12 ⑤ 13 ②, ⑤ 14 ③ 15 ⑤ 16 ④ 17 ② 18 ⑤ 19 ②, ④ 01 ⑤ 녹말, 단백질, 지방과 같이 크기가 큰 영양소는 세포막 을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영양소들이 세포로 흡수되려 면 세포막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작게 분해되는 소화 과정이 필요하다. 02 녹말은 크기가 커서 셀로판 튜브의 막을 통과하지 못하므 로 비커 (가)의 물에서는 아이오딘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포 도당은 크기가 작아 셀로판 튜브의 막을 통과하므로 비커 (나)의 물에서는 베네딕트 반응이 일어난다(황적색). 03 단백질, 엿당, 지방, 녹말은 크기가 커서 세포막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소화 과정을 거쳐야만 소장에서 흡수될 수 있다. 포도당, 아미노산, 무기 염류, 바이타민은 크기가 작으므로 소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흡수될 수 있다. 04 소화관은 입 ‑ 식도 ‑ 위 ‑ 소장 ‑ 대장으로 이어져 있다. 05 그림은 소장의 분절 운동으로, 음식물을 소화액과 섞는 기 계적 소화이다. ⑤ 위에서는 꿈틀 운동에 의해 음식물이 소화액과 섞이 고, 소장 쪽으로 이동한다. ① 소화 효소의 주성분은 단백질이다. 06 ② 쓸개즙은 소화 효소가 아니다. ③ 너무 높은 온도에서는 소화 효소의 주성분인 단백질의 성질 이 변하므로(변성) 소화 효소가 기능을 잃는다. 소화 효소는 체 )에서 활발하게 작용한다. 의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펩신은 온 정도의 온도( ④ 소화 효소의 작용은 35 ̄40 *C 강한 산성에서 잘 작용한다. pH 07 동은 기계적 소화이다. ③ 위와 소장에서 일어나는 꿈틀 운동과 분절 운 나지 않았다. ③ 실험 결과를 통해 침 속의 소화 효소(아밀레이스)는 녹말을 당(엿당)으로 분해하고, 사람의 체온 정도에서 가장 활발하게 작 용하며, 너무 높거나 낮은 온도에서는 기능을 잃거나 잘 작용하 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0 ④ 위에서는 소화 효소인 펩신에 의해 단백질이 처음으로 소화된다(단백질 → 중간 산물). 지방은 소장에서 이자 액 속의 라이페이스에 의해 처음으로 소화된다. 11 ① 염산은 강한 산성 물질로, 위샘에서 분비되는 위액에 들 어 있다. 염산은 펩신의 작용을 돕고, 음식물 속의 세균을 죽여 음식물의 부패를 막는다. 12 ⑤ 이자에서 분비하는 이자액에는 녹말을 분해하는 아밀레 이스, 단백질을 분해하는 트립신, 지방을 분해하는 라이페이스 간 C 위 D 가 모두 들어 있다. 13 ① 쓸개( 되어 있다가 십이지장( )에 저장 )으로 분 비되는 소화액은 쓸개즙이다. 쓸 A B 쓸개 A )의 내부는 염산으로 인해 개즙은 지방의 소화를 돕는다. ③ 위( 강한 산성 상태이다. D ④ 이자( 나가지 않는다. 지방은 소장에서 이자액 속의 라이페이스에 의해 B 십이지장 (소장의 앞부분) )에는 음식물이 직접 지 E 이자 E 처음으로 소화된다. 14 ③ 소화 효소가 들어 있지 않고 지방 덩어리를 작은 알갱이 )에서 생성되 로 만드는 작용을 하는 소화액은 쓸개즙으로, 간( 어 쓸개( )에 저장되었다가 십이지장( )으로 분비된다. C A 15 소장에서 일어나는 산물은 다음과 같다. •녹말 아밀레이스 @@@@A 엿당 대 영양소의 소화 과정과 최종 분해 B 3 소장의 탄수화물 소화 효소 @@@@@@@@@A 포도당 •단백질(중간 산물) 중간 산물 트립신 @@@A •지방 라이페이스 @@@@A 16 이 흡수된다. 소장의 단백질 소화 효소 @@@@@@@@@A 아미노산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 ④ 대장에서는 소화액이 분비되지 않고, 주로 물 17 은 소장에서 대부분 흡수된다. ② 음식물과 소화액을 통해 소화관으로 들어온 물 08 ⑤ 녹말은 침 속의 소화 효소(아밀레이스)에 의해 단맛을 내는 엿당으로 분해된다. 18 암죽관(가)으로는 지용성 영양소가 흡수되고, 모세 혈관 (나)으로는 수용성 영양소가 흡수된다. 09 시험관 아이오딘 반응은 일어나지 않고 베네딕트 반응(황적색)만 일어 는 녹말이 아밀레이스에 의해 엿당으로 분해되어 났다. 시험관 는 침 속의 아밀레이스가 열에 의해 변성되었고, 시험관 는 소화 효소가 없으며, 시험관 는 아밀레이스가 작 용하는 온도 조건이 적합하지 않아 녹말이 분해되지 않았기 때 D C 문에 아이오딘 반응(청람색)만 일어나고 베네딕트 반응은 일어 A B ①, ②, ④ 포도당과 아미노산은 수용성 영양소이다. ③ 녹말은 크기가 커서 융털로 직접 흡수될 수 없다. 19 ② 암죽관(가)을 통해 흡수된 영양소는 림프관을 거쳐 심장 으로 이동한 후 온몸으로 전달된다. ④ 모세 혈관(나)으로 흡수된 영양소는 간을 거쳐 심장으로 이동 한 후 온몸으로 전달된다. 정답과 해설 69 2-시험대비정답(54~80).indd 69 17. 5. 15. 오후 4:25 ③ 혈구 수는 적혈구 혈소판 백혈구 순으로 모세 혈관(한 겹의 세포층) 시험 대비 교재 ⇨ 72~75쪽 ⅠV - 03 순환 ① 백혈구 ② 혈소판 ③ 헤모글로빈 ④ 식균 ⑤ 혈액 응고 ⑥ 좌심실 ⑦ 심장 박동 ⑧ 동맥 ⑨ 영양소 ⑩ 이산화 탄소 ⑪ 판막 ⑫ 폐순환 ⑬ 폐정맥 ⑭ 온몸 순환 ⑮ 좌심실 01 ③, ⑤ 02 ④ 03 ⑤ 04 백혈구 05 ⑤ 06 ⑤ 07 ④ 08 ④ 09 ② 10 ① 11 ① 12 ⑤ 13 ② 14 ③ 15 ③ 16 ③ 17 ③ 18 ④ 19 ⑤ 20 ⑤ 01 많다. > > 는 혈장, ①, ②, ③ 02 이다. ⑤ 고산 지대에 사는 사람들은 산소가 희박한 곳에서 산소를 효 )의 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평지에 사는 사람들보다 적혈구( 는 혈소판, 는 백혈구 A B C 수가 많은 편이다. 03 ⑤ 적혈구( 빈혈이 나타난다. 혈소판( D )가 부족하면 산소 운반이 제대로 되지 않아 )은 상처 부위에 딱지가 생기도록 하 여 출혈을 멈추고 상처 부위를 보호한다. B 04 백혈구는 색깔이 없기 때문에 김사액으로 핵을 염색하여 관찰하며, 몸에 세균이 침입하면 세균을 제거하기 위해 수가 늘 어난다. 05 헤모글로빈은 폐와 같이 산소가 많은 곳에서는 산소와 결 합하고(가), 조직과 같이 산소가 적은 곳에서는 산소와 분리되는 (나) 성질이 있다. 06 는 우심방, ⑤ 좌심방( B 는 우심실, 는 좌심방, 는 좌심실이다. A 다. 우심방( )이 수축하면 혈액이 좌심실( C )의 혈액은 우심실( D )로, 우심실( )로 이동한 )의 혈액은 폐동 D C 맥으로 이동한다. A B B ① 좌심실과 연결된 혈관은 대동맥이다. 07 ②, ⑤ 좌심실이 수축하면 혈액이 대동맥을 통해 온몸으로 이동 한다. 좌심실에서는 온몸으로, 우심실에서는 폐로 혈액을 내보 낸다. ③ 좌심실에는 산소가 많은 선홍색의 동맥혈이 흐른다. 08 (가) 심방과 심실이 이완하여 혈액이 심장으로 들어온다. (나) 심실이 수축하여 혈액이 동맥으로 이동한다. (다) 심방이 수축하여 혈액이 모두 심실로 이동한다. ㄹ. 심장 박동은 (가) → (다) → (나) → (가) → (다) → c 순으로 반복된다. ④ 혈관의 총 단면적이 가장 넓은 혈관은 모세 혈관( ⑤ 폐정맥에는 동맥혈이 흐른다. )이다. B 10 ① 동맥( 축으로 생기는 높은 혈압을 견딜 수 있다. A )은 혈관벽이 두껍고 탄력성이 강하여 심장의 수 11 기는 파동이므로 심실과 연결된 동맥에서만 느낄 수 있다. ① 맥박은 심실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혈관벽에 생 12 ①, ②, ③ 동맥에 대한 설명이다. ④ 그림의 혈관은 정맥이고,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는 혈관은 모 세 혈관이다. ① 혈관의 분포:동맥은 보통 몸속 깊숙이 분포하 13 고, 정맥은 피부 가까이에 분포한다. ③ 모세 혈관에는 판막이 없다. ④ 혈관벽 두께:동맥 ⑤ 혈류 속도:동맥 정맥 정맥 > 모세 혈관 > 14 심장에는 심방과 심실 사이, 심실과 동맥 사이에 판막이 있 어 혈액이 심방에서 심실, 심실에서 동맥 쪽으로만 흐른다. > > 15 (가)는 폐동맥, (나)는 폐정맥, (다)는 대정맥, (라)는 대동 맥, 는 좌심실이다. 는 우심방, 는 우심실, 는 좌심방, ① 폐동맥(가)에는 산소가 적은 정맥혈이 흐른다. 17 ② 폐정맥(나)에는 산소가 많은 동맥혈이 흐른다. ④ 판막이 있는 혈관은 폐정맥(나)과 대정맥(다)이다. ⑤ 온몸 순환이 일어나는 경로는 좌심실( 몸의 모세 혈관 → 대정맥(다) → 우심방( )이다. ) → 대동맥(라) → 온 D A 조직세포 18 모세 혈관 산소, 영양소 FLLLLLLLLLLLLLE 이산화 탄소, 노폐물 19 ⑤ 폐동맥( 여 산소가 적은 암적색의 정맥혈이 흐른다. ), 대정맥( A B )에는 조직세포에 산소를 공급하 20 ⑤ 우리 몸은 온몸 순환을 통해 조직세포에 산소와 영양소 를 주고, 조직세포에서 생성된 이산화 탄소와 노폐물을 받아 온다. ④ 세포 호흡의 의의이다. 시험 대비 교재 ⇨ 76~78쪽 ⅠV - 04 호흡 ① 에너지 ② 이산화 탄소 ③ 산소 ⑤ 갈비뼈 ⑥ 표면적 ⑦ 들숨 ④ 섬모 ⑧ 날숨 ⑨ 폐 ⑩ 가로막 ⑪ 이산화 탄소 ⑫ 확산 ⑬ 폐포 ⑭ 조직세포 D A 16 B ⑤ 온몸 순환 경로이다. C D ① 심장으로 들어가는 혈액이 흐르는 혈관은 정맥 01 ② 02 ㉠ 산소, ㉡ 에너지 03 ② 04 ⑤ )은 동맥( )과 모세 혈관( )에는 없고, 정맥( )에만 C A B D 05 ③, ⑥ 06 ② 07 ④ 08 ① 09 , 10 ② 11 ⑤ 12 ① 13 ②, ④ B C 09 )이다. ( ③ 판막( D 있다. 70 정답과 해설 2-시험대비정답(54~80).indd 70 17. 5. 15. 오후 4:25 ② 고무 막을 아래로 잡아당기면 유리병 속의 부피가 ⑤ 독성이 강한 암모니아를 독성이 약한 요소로 시험 대비 교재 ⇨ 79~81쪽 배설 ⅠV - 05 ① 배설 ⑤ 콩팥 ② 암모니아 ③ 간 ④ 요소 ⑥ 콩팥 깔때기 ⑦ 네프론 ⑧ 보먼주머니 ⑨ 오줌관 ⑩ 방광 ⑪ 보먼주머니 ⑫ 재흡수 는 기관, 는 기관지, 는 폐이다. ⑬ 모세 혈관 ⑭ 세뇨관 ⑮ 노폐물 ⑯ 순환계 04 ⑤ 폐는 수많은 폐포로 이루어져 있어 공기와 접 촉하는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기체 교환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11 ④ 12 ① 01 ⑤ 02 ⑤ 03 ① 04 ④ 05 ④, ⑤ 06 ㄱ, ㄷ, ㄹ 07 ⑤ 08 ① 09 ① 10 ①, ④ ③ 소화계에서 일어나는 소화와 흡수에 대한 설명 01 이다. ④ 소화계에서의 대변 배출에 대한 설명이다. 02 세포 호흡은 영양소가 산소(㉠)와 반응하여 물과 이산화 탄 소로 분해되면서 에너지(㉡)가 발생하는 과정이다. 03 는 코, ② 기관( B A )에서는 안쪽 벽의 섬모와 점액이 미세한 먼 C D 지와 세균 등의 이물질을 한 번 더 거른다. B ①, ② 숨을 내쉴 때(날숨)는 가로막이 올라가고 05 갈비뼈가 내려와 흉강의 부피가 작아진다. ④, ⑤ 갈비뼈가 올라가고 가로막이 내려가면 흉강이 넓어지고 흉강과 폐의 압력이 낮아져 숨을 들이쉬게 된다(들숨). 06 (가)는 우리 몸의 들숨, (나)는 날숨에 해당한다. 커진다. 08 흐려진다. 09 으므로 산소, A 07 (가)는 들숨, (나)는 날숨이다. ①, ②, ③, ⑤ 들숨(가)이 일어날 때는 가로막이 내려 가고 갈비뼈가 올라가 흉강의 부피가 커지고 흉강의 압력이 낮 아진다. 그 결과 공기가 몸 밖에서 폐로 들어온다. ① 날숨을 주입한 (가) 비커의 석회수가 더 뿌옇게 는 공기 중 가장 많으므로 질소, 는 날숨에서 감소하였 는 날숨에서 증가하였으므로 이산화 탄소이다. B C 10 몸속에서 기체 교환이 일어나는 원리는 기체의 농도 차이 에 따른 확산이다. ①, ③, ④ 증발, ⑤ 승화에 따른 현상이다. 11 ⑤ (가)는 우심실에 서 나와 폐로 들어가는 혈액이 흐 (가) 폐동맥 르는 폐동맥이고, (나)는 폐에서 나와 좌심방으로 들어가는 혈액이 흐르는 폐정맥이다. (가)의 혈액은 폐포를 지나면서 산소( )를 얻고 이산화 탄소( )를 내보낸다. 즉, B 이산화 탄소 산소 A B 모세 혈관 폐포 외호흡 이산화 탄소( )의 농도는 폐동맥(가) 폐정맥(나)이다. A A > 방향(모세 혈관 → 조직세포)으로 이동하는 물질은 12 ① 조직세포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소이고, 방향(조직세포 → 모 A 세 혈관)으로 이동하는 물질은 조직세포에서 세포 호흡 결과 생 B 성된 이산화 탄소와 노폐물이다. 13 ① (가)는 폐포와 모세 혈관 사이의 기체 교환이므 로 외호흡이고, (나)는 조직세포와 모세 혈관 사이의 기체 교환 와 이므로 내호흡이다. ③ 이산화 탄소의 이동 방향이다. ⑤ 이산화 탄소의 농도는 조직세포 D C 모세 혈관 폐포이다. > > ① 간의 작용에 대한 설명이다. 01 ② 외호흡과 내호흡에 대한 설명이다. ③ 세포 호흡에 대한 설명이다. ④ 소화계에서 일어나는 대변 배출에 대한 설명이다. 02 바꾸는 기관은 간이다. 03 는 콩팥, ②, ③ 오줌관( 는 오줌관, 는 방광, 는 요도이다. )에는 콩팥에서 방광으로 가는 오줌이 C B D A 흐른다. B ④ 겉질, 속질, 콩팥 깔때기로 구성되는 것은 콩팥( ⑤ 오줌이 생성되어 배설되는 경로는 콩팥( )이다. 방광( ) → 요도( )이다. ) → 오줌관( A ) → A B D ㄷ. 네프론은 사구체, 보먼주머니, 세뇨관으로 이 C 04 루어진다. 05 으로, 분비는 모세 혈관( ④, ⑤ 재흡수는 세뇨관( ) → 세뇨관( ) → 모세 혈관( ) 방향 ) 방향으로 일어난다. C D C ㄴ. 포도당, 아미노산과 같이 여과된 후 세뇨관에 06 서 모세 혈관으로 전부 재흡수되는 물질은 오줌에 들어 있지 않다. D 08 ① 여과는 사구체( )에서 모세 혈관( 관( 방향으로 일어난다. C D )에서 보먼주머니( ), 재흡수는 세뇨 ), 분비는 모세 혈관( A )에서 세뇨관( B )의 D C 09 ③ 혈구는 크기가 커서 여과되지 않는다. ②, ④, ⑤ 포도당과 아미노산은 전부 재흡수된다. ②, ⑤ 포도당은 전부 재흡수되어 오줌에 들어 있 10 지 않다. ③ 혈장과 여과액의 요소 농도가 같으므로 요소는 여과되었다. 11 ④ 물을 많이 마시면 콩팥에서 물의 재흡수량이 줄어들어 오줌의 양이 많아지고, 땀을 많이 흘리면 콩팥에서 물의 재흡수 량이 늘어나 오줌의 양이 적어진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체액의 12 이다. 즉, 순환계를 통한 폐순환 과정에서 일어난다. ① 외호흡은 폐포와 모세 혈관 사이의 기체 교환 (나) 폐정맥 07 어 있다. D ⑤ 모세 혈관( ) 속 혈액에는 단백질과 혈구가 들 정답과 해설 71 는 조직세포에서 폐포로 이동하여 몸 밖으로 나가는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2-시험대비정답(54~80).indd 71 17. 5. 15. 오후 4:25 채점 기준 부피 변화를 서술하고, 그 이유를 입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 원소설과 물이 원소가 아닌 이유를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경우 이라고 서술한 경우 Ⅰ - 01 원소 시험 대비 교재 ⇨ 82쪽 가지 원소가 가지 성질에 의해 서로 원소설, 아리스토텔레스 1 | 해설 | 아리스토텔레스는 4 바뀔 수 있다는 원소설을 주장하였다. 4 4 4 물질관과 학자를 모두 옳게 쓴 경우 채점 기준 물질관과 학자 중 한 가지만 옳게 쓴 경우 2 니기 때문이다. 4 원소설, 물은 다른 물질로 분해되므로 원소가 아 | 해설 | 원소는 더 이상 다른 물질로 분해되지 않는다. 원소설만 쓴 경우 4 4 3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수소, 성냥불을 가까이 하면 ‘퍽’ 소리를 내며 타는 채점 기준 )극에 모인 기체를 옳게 쓰고, 기체의 확인 방법을 옳게 서 )극에 모인 기체만 옳게 쓴 경우 Ⅰ - 02 원자와 이온 시험 대비 교재 ⇨ 83쪽 1 져 있다.(또는 공기를 이루는 입자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공기 공기는 공기를 이루는 입자와 빈 공간으로 이루어 의 부피가 줄어든다.) 채점 기준 입자를 언급하여 옳게 서술한 경우 입자설이라고만 쓴 경우 2 | 해설 | 물과 에탄올은 입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입자의 크기가 다 큰 입자 사이로 작은 입자가 끼어들어 가기 때문이다. 르므로 물과 에탄올을 혼합한 전체 부피는 각 부피의 합보다 작다. 채점 기준 부피 변화와 그 이유를 입자의 크기를 비교하여 옳게 서술한 3 값싼 금속을 금으로 바꿀 수 없다. (다), 원자는 다른 종류의 원자로 변하지 않으므로 채점 기준 (다)를 고르고, 그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다)만 고른 경우 4 자의 총 ( :전자, :원자핵, 원자핵의 ( 30 % )전하량과 전 )전하량이 같기 때문이다.(또는 양성자와 전자의 개 A B + 채점 기준 배점 입자 와 의 이름을 옳게 쓰고, 원자가 중성인 이유를 원자 핵과 전자의 전하량을 비교하여 옳게 서술한 경우(또는 양성자 A B 와 전자의 개수를 비교하여 서술한 경우) 입자 와 의 이름만 옳게 쓴 경우 ▲ 리튬 원자 ▲ 산소 원자 | 해설 | 리튬 원자는 원자핵의 전하가 이므로, 전자 개를 그 려 넣어 모형을 완성하고, 산소 원자는 원자핵의 전하가 3 +3 이 8 채점 기준 리튬 원자와 산소 원자의 모형을 모두 옳게 완성한 경우 리튬 원자 또는 산소 원자의 모형 중 한 가지만 옳게 완성한 경우 6 자를 얻으면 음이온이 된다. 원자가 전자를 잃으면 양이온이 되고, 원자가 전 | 해설 | 원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이므로 원자가 전자를 잃으면 ( )전하를 띠는 양이온이 되고, 전자를 얻으면 ( )전하를 띠는 음이온이 된다. + - 배점 100 % 50 % 배점 100 % 50 % 배점 100 % 100 % 30 % +8 배점 100 % 50 % 배점 100 % 50 % 배점 100 % 30 % 배점 100 % 30 % 배점 100 % 60 % 30 % H 배점 100 % 60 % 30 % 100 % 30 % 배점 30 % 70 % ㉠ 대문자, ㉡ 중간, ㉢ 소문자 수가 같기 때문이다.) - (가) 질소 ‑ , (나) 수은 ‑ , (다) 수소 ‑ N 채점 기준 Hg A B 5 청록색, 같은 금속 원소(구리)를 포함하고 있기 때 불꽃색을 옳게 쓰고, 같은 금속 원소를 포함한다는 내용을 옳 채점 기준 배점 므로 전자 개를 그려 넣어 모형을 완성한다. 의 선 스펙트럼이 물질 C 의 선 스펙트럼에 X 술한 경우 - ( ( - 4  ̄ 5  ̄ 6 문이다. 채점 기준 ㉠ ㉢을 모두 옳게 쓴 경우 ㉠  ̄ ㉢ 중 두 가지만 옳게 쓴 경우 ㉠  ̄ ㉢ 중 한 가지만 옳게 쓴 경우 (가) (다)를 모두 옳게 쓴 경우 (가)  ̄ (다) 중 두 가지만 옳게 쓴 경우 (가)  ̄ (다) 중 한 가지만 옳게 쓴 경우 게 서술한 경우 불꽃색만 옳게 쓴 경우 와 원소 ⑴ 원소 7 ⑵ 원소 그대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와 원소 A A C 채점 기준 ⑴ 와 를 옳게 고른 경우 ⑵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A C 72 정답과 해설 2-시험대비정답(54~80).indd 72 17. 5. 15. 오후 4:25 +3+8 채점 기준 채점 기준 제시된 단어를 모두 사용하여 옳게 서술한 경우 황산 나트륨을 쓰고, 그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제시된 단어를 하나라도 포함하지 않은 경우 황산 나트륨만 쓴 경우 @?A +  Li Li + 채점 기준 7 경우 리튬 원자가 이온이 되는 과정을 식으로 옳게 나타낸 경우 리튬 원자가 이온이 되는 과정을 식으로 옳게 나타내지 못한 100 % 이온식을 모두 옳게 쓴 경우 배점 100 % 0 % 배점 0 % 5 ⑵ ⑴ : 묽은 염산, Cl 2+ -, : 질산 나트륨 수용액, Ca : 염화 칼슘 수용액 A B 채점 기준 C 배점 ⑴ ⑵ 이온식을 한 가지만 옳게 쓴 경우 , , 의 이름을 모두 옳게 쓴 경우 A , B , C 중 일부만 옳게 쓴 경우 A B C , 검은색 6 +과 ⑵ 으므로 거른 용액 ⑴ +, 칼륨 이온( PbS +)은 황화 이온( 2-)과 반응하지 않 ) 수용액의 +)도 반응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으므로 거른 에 들어 있고, 황화 나트륨( K S 2 Na S 2+)은 황화 이온( 2-)과 반응하여 검은색 앙금 K Na 나트륨 이온( B 에 들어 있다. Na 용액 | 해설 | 납 이온( B 인 황화 납( )을 생성한다. Pb S PbS 채점 기준 , 검은색을 모두 옳게 쓴 경우 ⑴ ⑵ PbS +, PbS +과 K K Na 와 검은색 중 한 가지만 옳게 쓴 경우 +을 모두 쓰고, 그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Na +만 옳게 쓴 경우 ⅠⅠ - 01 빛과 색 시험 대비 교재 ⇨ 85쪽 1 호의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이다. 스탠드의 전등에서 나온 빛이 책에서 반사되어 진 진호 | 해설 | 스탠드 광원 반사 책 채점 기준 광원의 빛이 물체에서 반사되어 진호의 눈에 들어간다고 옳게 서술한 경우 2 ⑵ 빛의 색에 따라 굴절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빨간색, :보라색 ⑴ A B 배점 100 % 30 % 40 % 20 % 각 60 % 20 % 배점 40 % 20 % 60 % 20`% 배점 100 % 40 % 배점 30 % 70 % 30`% Ⅰ - 03 1 의 개수는 원자와 수소 원자이다. 15 물질의 표현과 이온의 반응 시험 대비 교재 ⇨ 84쪽 메테인 분자이며, 총 분자의 개수는 개, 총 원자 개이다. 메테인 분자를 이루는 원자의 종류는 탄소 3 채점 기준 배점 네 가지 내용을 언급하여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네 가지 내용 중 한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2 산 나트륨 (가) 2 ‑ 염화 마그네슘, (나) 2 MgCl Na SO | 해설 | 이온으로 이루어진 물질을 화학식으로 나타낼 때는 양이 온의 원소 기호를 먼저 쓰고 음이온의 원소 기호를 나중에 쓴 후, 각 이온의 개수비를 구하여 원소 기호 오른쪽 아래에 작은 숫자로 쓴다. 이때 은 생략하며, 이름을 읽을 때는 음이온을 먼 각 100 % % 25 4 ‑ 황 저 읽고, 양이온을 나중에 읽는다. 1 채점 기준 (가)와 (나)의 화학식이나 화합물의 이름을 모두 옳게 쓴 경우 (가)의 화학식이나 화합물의 이름을 옳게 쓴 경우 (나)의 화학식이나 화합물의 이름을 옳게 쓴 경우 3 ⑴ ⑵ 파란색을 띠는 보라색을 띠는 Cu 2+, 4- 2+은 양이온이므로 ( 4-은 음이온이므로 ( MnO Cu )극으로 이동하고, )극으로 이동한다. - ⑴ ⑵ MnO 채점 기준 + 두 가지 이온을 모두 옳게 쓴 경우 두 가지 이온 중 한 가지만 옳게 쓴 경우 두 사용하여 옳게 서술한 경우 색을 띠는 두 가지 이온 중 한 가지 이온의 이동에 대해서 만 옳게 서술한 경우 배점 각 100 % 각 % 25 25 % 배점 40 % 20 % 60 % 30 % 색을 띠는 두 가지 이온의 이동에 대해 제시된 단어를 모 빛이 물체에서 반사된다고만 서술한 경우 4 ( 4)이 생성되고 나트륨 이온( 황산 나트륨, (다)의 혼합 용액에서 황산 바륨 +)이 반응에 참여하지 않 42-)과 고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나) 수용액에는 황산 이온( BaSO 나트륨 이온( +)이 들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Na SO ⑴ ⑵ 채점 기준 와 의 색을 옳게 쓴 경우 빛의 색에 따라 굴절 정도가 다르다고 서술한 경우 A B 빛이 굴절해서라고 서술한 경우 Na 정답과 해설 73 2-시험대비정답(54~80).indd 73 17. 5. 15. 오후 4:25 :파란색, :노란색, :흰색, :청록색, :자홍색 A B C D 채점 기준 의 색을 모두 옳게 쓴 경우 A ̄E 중 옳게 쓴 한 가지의 색당 부분 배점 A ̄E 4 는 빛이 없어서 검은색으로 보인다. 검은색 종이는 모든 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반사되 채점 기준 배점 검은색으로 보이는 이유를 빛의 흡수와 반사로 옳게 서술한 경 3 E 우 배점 100 % 20 % 100 % 60 % 에는 초록 , C ⑴ 1 ⑵ ㉠이 커질수록 입사각이 작아지고, 반사 법칙에 의해 반사각 도 작아진다. | 해설 | ⑴ 입사각은 법선과 입사 광선 사이의 각으로 반사각은 입사각과 같은 이어야 하므로 이다. 30* 이고, 30* 를 모두 옳게 쓴 경우 채점 기준 와 C ⑴ ⑵ C 와 중 하나만 옳게 쓴 경우 30* 입사각이 작아지고 반사 법칙에 의해 반사각도 작아진다 30* C 고 서술한 경우 반사각이 작아진다고만 서술한 경우 에는 파란색 빛이 도달하지 못해서, 모든 빛을 흡수해서라고만 서술한 경우 5 색 빛이 도달하지 못해서, A 이다. C 못하여 생긴다. 에는 빨간색 빛이 도달하지 못해서 B 채점 기준 거울과 스크린에서 정반사와 난반사 용어를 사용하여 모두 옳 | 해설 | 그림자는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 빛 중 하나가 도달하지 게 서술한 경우 거울과 스크린 중 하나만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2 크린은 표면이 거칠어서 난반사를 하기 때문이다. 거울 면은 표면이 매끄러워서 정반사를 하고, 스 채점 기준 , , 세 부분의 그림자가 나타나는 이유를 모두 옳게 서술 3 수 있다. (가) 볼록거울, 빛을 퍼지게 한다. 넓은 범위를 볼 한 경우 A C B , , 중 하나당 부분 배점 C B ⑴ 빨간색 빛과 초록색 빛 A 6 ⑵ 초록색, 노란색 바나나는 초록색 조명에서는 초록색 빛만 반 사하기 때문이다. 30 % 채점 기준 ⑴ 바나나가 반사하는 빛의 색을 두 가지 모두 쓴 경우 바나나가 반사하는 빛의 색 중 한 가지만 옳게 쓴 경우 초록색 조명 아래에서 보이는 색과 그 이유를 옳게 서술 ⑵ 한 경우 초록색 조명 아래에서 보이는 색만 옳게 쓴 경우 7 란색 빛은 반사하지 않으므로 햇빛을 비추면 빨간색과 초록색 노란색, 빨간색 빛과 초록색 빛을 반사하지만 파 빛을 반사하여 노란색으로 보인다. 채점 기준 옷의 색과 이유를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옷의 색만 옳게 서술한 경우 8 은 검은색으로 보인다. 빨간색 사과는 빨간색으로 보이고, 초록색 나뭇잎 | 해설 | 투명한 물체인 빨간색 색안경은 빨간색 빛만 투과시키고, 나머지 색의 빛은 모두 흡수한다. 채점 기준 사과와 나뭇잎의 색을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사과와 나뭇잎 중 한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배점 100 % 배점 30 % 15 % 70 % 30`% 배점 100 % 50 % 배점 100 % 50 % ⅠⅠ - 02 빛의 반사와 굴절 시험 대비 교재 ⇨ 86쪽 74 정답과 해설 (나) 오목거울, 빛을 모은다. 물체를 확대하여 볼 수 있다. 빛이 한 방향으로 나아가게 한다. 채점 기준 배점 (가), (나) 거울의 종류와 특징을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가), (나)의 거울의 종류를 모두 쓰고 특징을 한 가지만 옳게 100 % 서술한 경우 (가), (나)의 거울의 종류만 옳게 쓴 경우 한 개당 4 력이 달라지기 때문에 빛의 진행 방향이 꺾인다. 빛이 한 물질에서 다른 물질로 진행할 때 빛의 속 채점 기준 제시된 단어를 모두 사용하여 빛이 굴절하는 이유를 옳게 서술 빛의 속력이 달라지기 때문에 진행 방향이 꺾인다고만 서술한 빛의 굴절 정도가 작을수록 빛의 속력이 빠르다. 이므로 빛의 속력은 이다. | 해설 | 굴절각이 작을수록 빛이 크게 굴절한 것이고, 굴절하는 A>B>C C>B>A 정도가 클수록 빛의 진행 속력이 느리다. 채점 기준 빛의 속력 비교와 이유를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 , 의 빛의 속력만 옳게 비교한 경우 B C A 6 물체보다 크고 바로 선 상이 생긴다. 한 경우 경우 5 굴절 정도는 초점 초점 30* 배점 30 % 10 % 70 % 20`% 배점 100 % 50 % 60`% 20 % 배점 100 % 50 % 배점 100 % 50 % 2-시험대비정답(54~80).indd 74 17. 5. 15. 오후 4:25 | 해설 | 렌즈의 축에 나란하게 입사한 빛은 초점을 지나고, 렌즈 채점 기준 의 중심을 향한 빛은 직진한다. 두 빛이 만나지 않으면 연장선을 낮이라 쓰고, 온도가 낮은 또는 속력이 느린 상공으로 굴절한 그어 연장선이 만나는 곳에 상이 생긴다. 채점 기준 볼록렌즈에 의한 상을 옳게 작도하고, 상의 모습을 옳게 서술 한 경우 볼록렌즈에 의한 상의 작도만 옳게 한 경우 볼록렌즈에 의한 상의 모습만 옳게 서술한 경우 ⅠⅠ - 03 파동과 소리 시험 대비 교재 ⇨ 87쪽 1 | 해설 | 파동이 전파될 때 매질은 제자리에서 위아래로 진동만 한다. 나뭇잎은 제자리에서 위아래로 움직인다. 채점 기준 나뭇잎이 제자리에서 위아래로 움직인다고 서술한 경우 나뭇잎이 물결파를 따라 이동하지 않는다고만 서술한 경우 2 로 진폭은 진동 중심에서 마루나 골까지의 거리이므 . 이다. 파장은 이웃한 마루에서 마루, 또는 이웃한 골에 서 골까지의 거리이므로 이다. 0 2 m m 채점 기준 8 진폭과 파장 모두 이유와 값을 옳게 서술한 경우 진폭과 파장의 값만 옳게 쓴 경우 ⑴ 횡파:물결파, 빛, 지진파의 3 종파:소리, 지진파의 ⑵ 파동의 진행 방향과 매질의 진동 방향이 수직인 파동은 횡파, 파동의 진행 방향과 매질의 진동 방향이 나란한 파동은 종파이 파, 전파 파 P S 다. ⑴ ⑵ 채점 기준 횡파와 종파의 종류를 모두 옳게 쓴 경우 잘못 쓴 것 하나당 감점 모범 답안과 같이 서술한 경우 파동의 진행 방향과 매질의 진동 방향의 관계라고만 서술 한 경우에도 정답 인정 배점 100 % 50 % 50 % 배점 100 % 50 % 배점 100 % 30 % 배점 30 % -5 % 70 % 배점 100 % 40 % 다고 서술한 경우 낮이라고만 쓴 경우 30 % (나), 소리가 낮을수록 진동수가 작기 때문이다. 6 | 해설 | (가)와 (다)는 진동수가 같으므로 같은 높이의 소리이고, (나)는 진동수가 가장 작으므로 가장 낮은 소리이다. 채점 기준 가장 낮은 소리를 쓰고, 진동수와 관련하여 이유를 옳게 서술 한 경우 가장 낮은 소리만 옳게 쓴 경우 시험 대비 교재 ⇨ 88쪽 ⅠⅠⅠ - 01 기권 ⑴ 1 높이에 따른 기온 변화 ⑵ A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 , 대류 현상이 일어나야 한다. 수증기가 존재해야 한다. B C D A 채점 기준 층의 이름과 구분 기준을 옳게 서술한 경우 층의 이름과 구분 기준 중 한 가지만 옳게 서술한 ⑴ A ̄D 경우 A ̄D 기상 현상이 일어나는 층을 쓰고, 조건 두 가지를 모두 옳 ⑵ 게 서술한 경우 기상 현상이 일어나는 층만 옳게 쓴 경우 2 ⑴ ⑵ 처음에는 알루미늄 컵이 흡수하는 복사 에너지양이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양보다 많아서 온도가 상승하며, 일정한 시간이 지 나면 알루미늄 컵이 흡수하는 복사 에너지양과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양이 같아져 복사 평형에 도달하여 온도가 일정해진다. 채점 기준 온도가 어느 시간까지 상승하다가 일정해지는 형태로 그 배점 100 % 배점 100 % 30 % 배점 50 % 25 % 50 % 25 % 배점 50 % 50 % 배점 100 % 50 % 4 은 (가) (나)이다. 물결파의 파장이 (가) (나)이므로 물결파의 속력 ⑴ 린 경우 > ⑵ 복사 평형의 개념을 포함하여 옳게 서술한 경우 > 채점 기준 파장을 비교하여 물결파의 속력 변화를 옳게 서술한 경우 물결파의 속력만 옳게 비교한 경우 5 행 속력이 느린 상공 쪽으로 굴절하기 때문이다. 낮, 상공의 온도가 지면보다 더 낮아서 소리가 진 3 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A>B>C ,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갈수록 태양 고 채점 기준 , , 지역의 태양 복사 에너지양을 옳게 비교하고, 이유를 | 해설 | 낮에는 상공보다 지면의 온도가 더 높고, 소리는 온도가 , , 지역의 태양 복사 에너지양만 옳게 비교하거나, 이유 낮은 쪽으로 굴절한다. 옳게 서술한 경우 A C B 만 옳게 서술한 경우 A B C 정답과 해설 75 2-시험대비정답(54~80).indd 75 17. 5. 15. 오후 4:25 시간온도 대기와 해수의 순환으로 저위도의 남는 에너지가 화가 거의 없는 는 이슬점, 시경에 가장 높게 나타나는 는 대기와 해수의 순환을 언급하여 저위도의 남는 에너지가 고위 ⑴ , , 를 옳게 쓴 경우 4 고위도로 운반되기 때문이다. 채점 기준 도로 운반되기 때문이라고 옳게 서술한 경우 저위도의 남는 에너지가 고위도로 운반되기 때문이라고만 서 술한 경우 대기와 해수의 순환으로 에너지가 운반된다고만 서술한 경우 5 기온이 상승한다. ⑵ •빙하가 녹고 해수면이 상승한다. •육지의 면적이 감소한다. •가뭄, 집중 호우 등 기상 이변이 증가한다. •생태계가 변화한다. •식량 부족 현상이 나타난다. •전염병과 열대성 질병이 증가한다. ⑴ 이산화 탄소 농도가 높아질수록 지구의 평균 된다. 채점 기준 지구의 평균 기온과 이산화 탄소 농도의 관계를 옳게 서 술한 경우 ⑴ ⑵ 지구 온난화로 인한 현상 두 가지를 옳게 서술한 경우 지구 온난화로 인한 현상 한 가지만을 옳게 서술한 경우 서술한 경우 ⑴ ⅠⅠⅠ - 02 대기 중의 물 시험 대비 교재 ⇨ 89쪽 ⑴ 1 ⑵ . | 해설 | ⑴ 현재 수증기량은 이슬점에서의 포화 수증기량과 같다. *C / / / . . 20 kg-10 g 6 kg=4 1 g kg 14 7 g ⑵ 2 채점 기준 ⑴ 이슬점을 옳게 쓴 경우 식을 옳게 세워 응결량을 구한 경우 식만 옳게 세우거나 응결량만 옳게 구한 경우 ⑴ g ⑵ 424 . . g 10 6 | 해설 | ⑴ g 0 20 이다. 따라서 이 방 안의 수증기량은 % \100=53 에서 포화 상태의 공기 / / kg kg . *C 15 이다. g 10 6 =424 ⑴ 현재 수증기량을 옳게 구한 경우 g 채점 기준 식을 옳게 세워 상대 습도를 구한 경우 ⑵ 식만 옳게 세우거나 상대 습도만 옳게 구한 경우 속의 수증기량은 만 쓴 경우 . / kg 1 B 10 6 g kg\40 kg 기온, 기온과 반대로 나타나는 는 습도이다. A 15 B 채점 기준 ⑵ 수증기량이 일정함을 언급하여 옳게 서술한 경우 B C A 4 낮아지고, 이슬점에 도달하여 수증기가 응결하면 구름이 생성 공기 덩어리가 상승하여 부피가 팽창하면 기온이 채점 기준 주어진 단어를 모두 사용하여 옳게 서술한 경우 주어진 단어 중 한 개를 빼고 옳게 서술한 경우 5 ⑴ 페트병 안이 뿌옇게 흐려진다. 뚜껑을 열면 페 트병 안 공기의 부피가 팽창하면서 온도가 낮아져 수증기가 응 결하기 때문이다. ⑵ 향 연기를 넣었을 때 페트병 안이 더 뿌옇게 흐려진다. 향 연 기가 수증기의 응결을 도와 주는 응결핵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채점 기준 페트병 안의 변화와 이유를 부피와 온도를 언급하여 옳게 페트병 안의 변화만 옳게 서술하거나, 변화가 나타나는 이유만 옳게 서술한 경우 페트병 안의 변화와 향 연기의 역할을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⑵ 옳게 서술한 경우 페트병 안의 변화만 옳게 서술하거나, 향 연기의 역할만 ⑴ 큰 물방울과 작은 물방울이 충돌하여 합쳐지면 6 무거워진 물방울이 지표로 떨어져 비가 된다. ⑵ 빙정이 성장한다. B , 과냉각 물방울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빙정에 달라붙어서 | 해설 | (가)는 저위도 지방에서 비가 만들어지는 병합설을 나타낸 것이고, (나)는 중위도나 고위도 지방에서 비가 만들어지는 빙정 설을 나타낸 것이다. 채점 기준 큰 물방울과 작은 물방울이 충돌하여 합쳐진다는 말을 언 ⑴ 급하여 옳게 서술한 경우 를 쓰고, 빙정이 성장하는 원리를 옳게 서술한 경우 ⑵ B 빙정이 성장하는 원리만 옳게 서술한 경우 C 배점 50 % 50 % 배점 100 % 80 % 배점 60 % 30 % 40 % 20 % 배점 50 % 50 % 30 % 20 % 배점 100 % 50 % 배점 50 % 50 % 25 % 배점 40 % 60 % 30 % 배점 40 % 60 % 30 % ⑴ :이슬점, 3 ⑵ 맑은 날 공기 중의 수증기량이 거의 일정하기 때문이다. B | 해설 | 이슬점은 현재 수증기량에 따라 변하므로, 공기 중 수증 :습도, :기온 A C 기량이 거의 일정하면 이슬점도 거의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변 ⅠⅠⅠ - 03 기압과 바람 시험 대비 교재 ⇨ 90쪽 1 기압의 크기가 같기 때문이다. 1 기압, 수은 기둥의 압력과 수은 면에 작용하는 76 정답과 해설 2-시험대비정답(54~80).indd 76 17. 5. 15. 오후 4:25 | 해설 | 수은 기둥이 누르는 압력과 수은 면에 작용하는 기압의 크 기가 같아지면 유리관 속의 수은은 내려오지 않는다. 수은 기둥 의 높이가 일 때의 압력은 기압과 같다. 따라서 현재 기 압은 기압이다. 76 cm 1 1 채점 기준 기압을 쓰고, 수은 기둥의 압력과 기압이 같다는 내용을 포함 하여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1 수은 기둥의 압력과 기압이 같다는 내용을 포함하여 이유를 옳 ⅠⅠⅠ - 04 날씨의 변화 시험 대비 교재 ⇨ 91쪽 , 시베리아 기단, 한랭 건조하다. 는 시베리아 기단, 는 양쯔 강 기단, 는 오호츠크 해 A 배점 기단, 는 북태평양 기단, 는 적도 기단이다. B C 1 | 해설 | A D E 채점 기준 기단의 기호와 이름, 성질을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기단의 기호, 이름, 성질 중 두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기단의 기호, 이름, 성질 중 한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낮아진다. 높이 올라갈수록 기압이 낮아지기 때문 2 , 북태평양 기단, 폭염, 열대야, 무덥고 습한 날씨 게 서술한 경우 기압만 쓴 경우 1 2 이다. 100 % 60`% 30 % 배점 100 % 50 % 배점 40 % 20 % 60 % 30 % 배점 40 % 60 % 30 % 배점 40 % 30 % 20 % 60 % 30 % 채점 기준 높이 변화와 그 이유를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높이 변화와 그 이유 중 한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⑴ (가) 겨울, (나) 여름 3 ⑵ 겨울에는 대륙이 해양보다 빨리 냉각되므로 대륙의 기압이 상대적으로 높아져서 대륙에서 해양으로 바람이 분다. | 해설 | (가)는 겨울철에 대륙에서 해양 쪽으로 부는 북서 계절풍 이고, (나)는 여름철에 해양에서 대륙 쪽으로 부는 남동 계절풍 이다. ⑴ 채점 기준 (가)와 (나)의 계절을 모두 옳게 쓴 경우 (가)와 (나)의 계절 중 한 가지만 옳게 쓴 경우 대륙과 해양의 가열 정도와 기압의 차이를 언급하여 옳게 ⑵ 서술한 경우 기압의 차이만 언급하여 서술한 경우 ⑴ 향 연기는 물에서 모래 쪽으로 이동한다. 4 ⑵ 물보다 모래 쪽의 온도가 더 빨리 올라가서 모래 쪽보다 물 쪽의 기압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 해설 | 모래는 물에 비해 빨리 가열되고 빨리 냉각된다. 채점 기준 ⑴ 이동 방향을 옳게 서술한 경우 ⑵ 온도와 기압을 언급하여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온도와 기압 중 한 가지만 언급하여 이유를 서술한 경우 ⑴ 편서풍, 북태평양 해류, 남극 순환해류 5 ⑵ 저위도의 남는 에너지를 고위도로 운반하여 전 지구적으로 에너지 균형을 이룬다. | 해설 | ⑴ 대기 대순환에 의해 지표 부근에서는 극동풍, 편서풍, 무역풍이 불고, 이 때문에 표층 해류가 나타난다. 채점 기준 바람과 해류 두 가지를 모두 옳게 쓴 경우 ⑴ 바람과 해류 한 가지만 옳게 쓴 경우 바람만 옳게 쓴 경우 ⑵ 에너지 균형을 이룬다고만 서술한 경우 배점 100 % 60`% 30 % 배점 100 % 60`% 30 % 배점 100 % 60`% 30 % 배점 100 % 30 % 배점 100 % 50 % 배점 100 % 50 % D 채점 기준 기단의 기호와 이름, 날씨를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기단의 기호, 이름, 날씨 중 두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기단의 기호, 이름, 날씨 중 한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한랭 전선, 적운형 구름이 만들어지고 소나기성 | 해설 |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를 파고들면서 만들어지는 한랭 전 채점 기준 전선의 이름, 구름, 강수 형태를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전선의 이름, 구름, 강수 형태 중 두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전선의 이름, 구름, 강수 형태 중 한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3 비가 내린다. 선이다. 4 | 해설 | 북반구 저기압 지역에서 바람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불어 들어온다. 그린 경우 채점 기준 화살표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중심을 향해 휘어져 들어가도록 화살표가 중심을 향해 들어가도록 그린 경우 5 발달하고, 온난 전선 앞쪽에 위치하는 한랭 전선 뒤쪽에 위치하는 에는 적운형 구름이 에는 층운형 구름이 발 B 달한다. D 채점 기준 와 에서 발달하는 구름의 종류를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B 와 D 중 한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 사이에는 따뜻한 공기 D B 6 가 분포하기 때문이다. C 채점 기준 위치와 이유 중 한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정답과 해설 77 위도를 언급하여 에너지 균형을 옳게 서술한 경우 위치와 이유를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2-시험대비정답(54~80).indd 77 17. 5. 15. 오후 4:25 저 7 이동하기 때문에 앞으로 지역은 한랭 전선이 통과하면서 기온 온대 저기압은 편서풍의 영향으로 서에서 동으로 탄수화물, 주로 에너지원으로 쓰이기 때문이다. 채점 기준 이 낮아지고 적운형 구름이 발달하여 소나기성 비가 내릴 것이다. C 영양소를 옳게 쓰고,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채점 기준 배점 영양소만 옳게 쓴 경우 4 5 편서풍, 이동 방향(서 → 동), 날씨 변화를 모두 언급하여 옳게 서술한 경우 편서풍과 날씨 변화만 언급하여 서술한 경우 날씨 변화만 옳게 서술한 경우 100 % 70`% 40 % ( / ) ( / ) ( / ) kcal | 해설 | 탄수화물과 단백질은 \9 을 내며, 무기 염류(나트륨)와 바이타민은 열량을 내지 않는다. g kcal g + / g\4 12 , 지방은 kcal g / + g 3 의 열량 50 =275 g\4 kcal kcal g 4 kcal g 9 채점 기준 계산식과 답을 모두 옳게 쓴 경우 둘 중 하나만 옳게 쓴 경우 ⅠV - 01 동물체의 구성과 영양소 시험 대비 교재 ⇨ 92쪽 채점 기준 배점 100 % 40 % 배점 100 % 40 % 배점 100 % 40 % 배점 30 % 15 % 70 % 50 % 30 % 6 않는 야맹증이 생긴다. 바이타민 A 가 부족할 때 어두운 곳에서 잘 보이지 바이타민의 종류를 옳게 쓰고, 야맹증의 증상을 옳게 서술한 경우 바이타민의 종류만 옳게 쓴 경우 ⑴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7 용액 ⑵ 음식물을 시험관에 넣고 베네딕트 용액을 첨가한 후, 알코올 램프로 가열했을 때 황적색이 나타나면 포도당이 들어 있는 것 황산 구리 수 % % 1 5 이다. ⑴ 채점 기준 단백질 검출 시약 두 가지를 모두 옳게 쓴 경우 단백질 검출 시약을 한 가지만 옳게 쓴 경우 포도당 검출 과정과 검출 결과 나타나는 색깔 변화를 모 두 옳게 서술한 경우 ⑵ 포도당 검출 과정만 옳게 서술한 경우 포도당 검출 과정에서 알코올램프로 가열하는 과정을 포 함하지 않은 경우 ⑴ (가) → (라) → (나) → (다) → (마) 1 ⑵ 소화계, 영양소를 소화하여 흡수한다. | 해설 | ⑴ 동물체는 세포 → 조직 → 기관 → 기관계 → 개체의 구성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가)는 근육세포 ‑ 세포, (나)는 위 ‑ 기관, (다)는 소화계 ‑ 기관계, (라)는 근육 조직 ‑ 조직, (마)는 사람 ‑ 개체이므로 범위가 작은 구성 단계부터 순서대로 나열하면 (가) → (라) → (나) → (다) → (마)이다. 채점 기준 ⑴ 구성 단계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경우 (다)의 이름을 옳게 쓰고, 기능을 옳게 서술한 경우 ⑵ (다)의 이름만 옳게 쓴 경우 2 영양소는 에너지원으로 쓰이지 않는다. (가)의 영양소는 에너지원으로 쓰이지만, (나)의 | 해설 |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은 우리 몸에서 에너지원으로 쓰 이고, 몸을 구성하는 공통점이 있다. 채점 기준 에너지원으로 쓰이는 영양소들과 쓰이지 않는 영양소들을 구 별하여 옳게 서술한 경우 (가)는 에너지원으로 쓰인다고만 서술한 경우 > > > 지방 단백질 ⑴ 물 탄수화물 무기 염류 3 ⑵ 영양소와 노폐물 등 여러 가지 물질을 운반한다. 체온 유지 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해설 | ⑴ 우리 몸에서 물은 약 은 약 66 ⑵ 물은 여러 가지 물질 운반에 관여하며, 비열이 커서 온도가 잘 변하지 않으므로 체온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단백질은 약 를 차지한다. , 지방 13 16 > % % % 배점 40 % 60 % 20 % 배점 100 % 70 % 배점 40 % 60 % 30 % 채점 기준 나열한 경우 ⑴ ⑵ 기능 두 가지를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기능 두 가지 중 한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78 정답과 해설 영양소를 몸의 구성 비율이 높은 것부터 순서대로 옳게 정을 거쳐야 한다. ⅠV - 02 소화 시험 대비 교재 ⇨ 93쪽 1 는 세포막을 통과할 수 있을 만큼 작은 크기로 분해되는 소화 과 (나), 크기가 큰 영양소가 세포로 흡수되기 위해서 | 해설 | 포도당은 크기가 작아 셀로판 튜브의 막을 통과하므로 비 커 (나)의 물에는 포도당이 들어 있다. 따라서 베네딕트 반응이 일어나 황적색으로 색깔 변화가 나타난다. 2-시험대비정답(54~80).indd 78 17. 5. 15. 오후 4:25 채점 기준 색깔 변화가 나타난 비커의 기호를 옳게 쓰고, 소화의 필요성 을 옳게 서술한 경우 색깔 변화가 나타난 비커의 기호만 옳게 쓴 경우 2 발하게 작용하며, 온도가 너무 낮거나 높으면 잘 작용하지 못하 소화 효소는 체온 정도의 온도( )에서 활 35 ̄40 *C 거나 기능을 잃는다. | 해설 | 소화 효소의 주성분은 단백질이기 때문에 적절한 온도와 에서 잘 작용한다. pH 채점 기준 소화 효소의 작용과 온도의 관계를 온도가 적절할 때와 적절하 지 않을 때로 구분하여 옳게 서술한 경우 소화 효소는 체온 정도의 온도에서 활발하게 작용한다고만 서 술한 경우 펩신의 작용을 돕는다. 음식물 속의 세균을 죽여 C 3 음식물의 부패를 막는다. 채점 기준 기능 두 가지를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기능을 한 가지만 옳게 서술한 경우 4 ⑵ 라이페이스는 로 분해한다. F ⑴ (가) , (나) 아밀레이스, 트립신, 라이페이스 (소장)에서 지방을 지방산과 모노글리세리드 E | 해설 | 이자액의 아밀레이스는 녹말을 엿당으로, 트립신은 위에 서 일부 분해된 단백질의 중간 산물을 중간 산물로, 라이페이스 채점 기준 ⑴ (가)와 (나)를 모두 옳게 쓴 경우 (가)와 (나) 중 한 가지만 옳게 쓴 경우 장소의 기호, 영양소의 종류, 분해 산물을 모두 포함하여 ⑵ 옳게 서술한 경우 세 가지 중 하나라도 틀리게 서술한 경우 5 만 일어나는데, 뷰렛 반응에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아 이 음식 위, 위에서는 펩신에 의한 단백질의 화학적 소화 물에는 단백질이 없기 때문이다. 채점 기준 소화 기관의 이름을 옳게 쓰고, 그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소화 기관의 이름만 옳게 쓴 경우 6 소는 지용성(물에 잘 녹지 않음)이고, (나)로 흡수되는 영양소는 (가) 암죽관, (나) 모세 혈관, (가)로 흡수되는 영양 수용성(물에 잘 녹음)이다. 채점 기준 (가)와 (나)의 이름을 옳게 쓰고, (가)와 (나)로 흡수되는 영양소 의 차이점을 옳게 서술한 경우 (가)와 (나)의 이름만 옳게 쓴 경우 배점 100 % 30 % 배점 100 % 70 % 배점 100 % 50 % 배점 50 % 20 % 50 % 0 % 배점 100 % 30 % 배점 100 % 30 % ⅠV - 03 순환 시험 대비 교재 ⇨ 94쪽 ⑴ , 적혈구, 산소 운반 작용을 한다. , 혈액 응고 작용을 한다. A 는 적혈구, 1 ⑵ | 해설 | C ⑴ 적혈구( 장 많이 관찰되며, 헤모글로빈이 있어 산소를 운반할 수 있다. )는 혈구 중 수가 가장 많기 때문에 현미경으로 가 는 혈장이다. 는 혈소판, 는 백혈구, A D B C A 헤모글로빈은 폐와 같이 산소가 많은 곳에서는 산소와 결합하 고, 조직과 같이 산소가 적은 곳에서는 산소와 분리되는 성질이 있다. 채점 기준 적혈구의 기호( )와 이름을 옳게 쓰고, 기능을 옳게 서술 ⑴ 한 경우 A 적혈구의 기호( )와 이름만 옳게 쓴 경우 혈소판의 기호( )를 옳게 쓰고, 기능을 옳게 서술한 경우 A ⑵ 혈소판의 기호( C )만 옳게 쓴 경우 2 는 식균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백혈구, 백혈구는 몸속에 침입한 세균을 잡아 먹 채점 기준 혈액 성분의 이름을 옳게 쓰고,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혈액 성분의 이름만 옳게 쓴 경우 3 동맥과 연결된다. A 대동맥과 연결된다. C :우심방, 대정맥과 연결된다. :좌심방, 폐정맥과 연결된다. B :우심실, 폐 :좌심실, D 채점 기준 A ̄D 중 두 가지의 이름과 연결된 혈관을 옳게 서술한 경우 100 % A ̄D B ⑴ , 모세 혈관, 혈액이 흐르는 속도가 느리기 4 때문에 조직세포와 물질 교환이 일어나기에 알맞다. ⑵ 판막, 혈액이 거꾸로 흐르는 것을 막는다. | 해설 | ⑴ 모세 혈관은 혈관벽이 한 겹의 세포층으로 되어 있고 혈류 속 도가 느리다. 따라서 혈액이 천천히 흐르면서 얇은 혈관벽을 통 는 정맥, (가)는 판막이다. 는 모세 혈관, 는 동맥, A B C 해 물질 교환이 일어난다. ⑵ 정맥은 혈압이 매우 낮기 때문에 곳곳에 혈액이 거꾸로 흐르 는 것을 막는 판막이 있다. 채점 기준 혈관의 기호( )와 이름을 옳게 쓰고, 물질 교환에 적합한 ⑴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B 혈관의 기호( )와 이름만 옳게 쓴 경우 (가)의 이름을 옳게 쓰고, 기능을 옳게 서술한 경우 B ⑵ (가)의 이름만 옳게 쓴 경우 , ⑴ (나), (라), → (라) → 온몸의 모세 혈관 → (다) → 5 ⑵ D ⑶ 온몸 순환을 하는 동안 혈액의 산소 농도는 낮아진다. 온몸의 모세 혈관에서 조직세포로 산소를 공급하기 때문이다. A D B 배점 50 % 20 % 50 % 15 % 배점 100 % 40 % 배점 50 % 배점 50 % 30 % 50 % 20 % 정답과 해설 79 는 지방을 지방산과 모노글리세리드로 분해한다. 의 이름과 연결된 혈관을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2-시험대비정답(54~80).indd 79 17. 5. 15. 오후 4:25 | 해설 | (가)는 폐동맥, (나)는 폐정맥, (다)는 대정맥, (라)는 대동 채점 기준 맥, 는 우심방, 는 좌심방, 는 우심실, 는 좌심실이다. ⑴ 확산이라고 쓴 경우 A B C 채점 기준 D 산소가 많은 선홍색의 혈액(동맥혈)이 흐르는 곳 네 군데 를 모두 옳게 쓴 경우 ⑵ 온몸 순환이 일어나는 경로를 옳게 쓴 경우 온몸 순환 과정에서 혈액의 산소 농도 변화를 옳게 쓰고, 20 %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온몸 순환 과정에서 혈액의 산소 농도 변화만 옳게 쓴 ⑴ ⑶ 경우 배점 20 % 60 % 30 % ⅠV - 04, 05 호흡 / 배설 시험 대비 교재 ⇨ 95쪽 ⑴ 게 서술한 경우 1 는 내려가고 가로막( A )은 올라간다. B :갈비뼈, :가로막, 숨을 내쉴 때 갈비뼈( ) | 해설 | 폐는 근육이 없어 스스로 운동하지 못한다. 따라서 우리 B 몸에서는 갈비뼈와 가로막의 운동에 의해 흉강과 폐의 부피와 압력이 변하여 호흡 운동이 일어난다. A ⑵ 경우 (가)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체의 종류를 옳게 쓰고, 이 기 ⑵ 체가 조직세포에 필요한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가)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체의 종류만 옳게 쓴 경우 ⑴ 단백질은 크기가 커서 사구체에서 보먼주머니 5 로 여과되지 않기 때문이다. ⑵ 포도당은 여과되지만 세뇨관에서 모세 혈관으로 전부 재흡 수되기 때문이다. ⑶ 대부분의 물이 재흡수되면서 요소가 농축되기 때문이다. | 해설 | ⑴ 요소와 포도당은 크기가 작아서 여과되고, 단백질은 크기가 커서 여과되지 않는다. 채점 기준 크기가 크고 여과되지 않았음을 모두 포함하여 이유를 옳 두 가지 내용 중 한 가지만 포함하여 이유를 서술한 경우 전부 재흡수된다는 내용을 포함하여 이유를 옳게 서술한 전부 재흡수된다는 내용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물의 재흡수와 요소의 농축의 관계를 모두 포함하여 이유 0 % ⑶ 를 옳게 서술한 경우 물의 재흡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배점 30 % 70 % 20 % 배점 30 % 15 % 40 % 30 % 0 % Ⅰ 물질의 구성 ❷ 분자는 물질의 고유한 성질을 가지는 가장 작은 입자이다. 진도 교재 ⇨ 10쪽 ❸ 분자 운동은 물질을 이루는 분자들이 스스로 끊임없이 모 든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❹ 증발과 확산은 분자 운동의 증거가 되는 현상이다. ⅠⅠ 빛과 파동 ❷ 빛이 렌즈를 지나갈 때 꺾여서 나아간다. 진도 교재 ⇨ 50쪽 ❸ 거울에 비친 모습은 좌우가 바뀌어 보인다. ❹ 빛은 곧게 나아가기 때문에 물체의 뒤는 볼 수 없다. ⅠⅠⅠ 기권과 우리 생활 ❷ 바람은 공기가 이동하여 분다. 진도 교재 ⇨ 84쪽 ❸ 수증기가 응결하여 이슬과 안개가 생긴다. ❹ 따뜻한 공기는 위로 올라가고 차가운 공기는 아래로 내려 간다. ⅠV 소화, 순환, 호흡, 배설 ❷ 영양소와 산소는 혈액으로 운반된다. 진도 교재 ⇨ 136쪽 ❸ 호흡으로 에너지가 생성된다. ❹ 노폐물은 콩팥에서 걸러진다. 채점 기준 와 의 이름을 옳게 쓰고, 숨을 내쉴 때 와 의 움직임을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A B 와 의 이름만 옳게 쓴 경우 A B B A 2 가 커지고 흉강의 압력은 낮아져 몸 밖의 공기가 폐로 들어온다. 갈비뼈가 올라가고 가로막이 내려와 흉강의 부피 30 % 채점 기준 갈비뼈와 가로막의 움직임, 흉강의 부피와 압력 변화, 공기의 이동 방향을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세 가지 중 일부만 옳게 서술한 경우 한 가지당 부분 배점 ⑴ :산소 :이산화 탄소, )는 모세 혈관보다 폐포에서 농도가 높으므로 폐포에 B 3 ⑵ 산소( A 서 모세 혈관으로 이동한다(확산된다.). | 해설 | ⑵ 기체 교환은 기체의 농도 차이에 따른 확산에 의해 일 어난다. B ⑴ ⑵ 채점 기준 와 의 기체 이름을 모두 옳게 쓴 경우 기체의 농도 차이를 포함하여 산소의 이동 방향을 옳게 A B 서술한 경우 산소의 이동 방향만 옳게 서술한 경우 배점 100 % 배점 100 % 30 % 배점 30 % 70 % 30 % 4 ⑴ 확산(기체의 농도 차이에 따른 확산) ⑵ 산소, 조직세포에서 영양소를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는 과정 인 세포 호흡을 하려면 산소가 필요하다. | 해설 | 산소(가)는 호흡계를 통해 몸속으로 흡수되어 조직세포로 이동하고, 이산화 탄소(나)는 조직세포에서 호흡계로 이동한 후 몸 밖으로 나간다. 조직세포에서는 산소를 이용해 영양소를 분 해하여 생명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다. 80 정답과 해설 2-시험대비정답(54~80).indd 80 17. 5. 31. 오후 9: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