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er Activities
A 1 너는 그의 삼촌이 무슨 일을 하시는지 아니?
의문사가 있는 간접의문문의 어순은 「의문사+주어+동사」
교과서 어휘
VoCABulAry
p. 11
긍정명령문의 직접화법을 간접화법으로 전환할 때 전달동사
Check-up
01 형용사적 수식어
03 형용사적 수식어
05 형용사적 수식어
07 부사적 수식어
09 형용사적 수식어
11 형용사적 수식어
02 부사적 수식어
04 부사적 수식어
06 형용사적 수식어
08 부사적 수식어
10 부사적 수식어
12 부사적 수식어
Lesson 1 She Said to Me,
“Step Forward”
2 spread
6 underwater
A
B
C
1 planets
5 dust
1 left, behind
4 makes sense
1 active
2 instead of
5 tell, from
3 flat
4 threatened
3 All of a sudden
2 discover
3 effect
4 destroy
A 1 지구는 태양 주위를 도는 행성들 중 하나이다.
2 세균은 공기를 통해 퍼질 수 있다.
3 길이 평평했고 많은 사람들이 그 길을 걷고 있었다.
4 도둑이 가게 주인을 위협했고 현금을 훔쳤다.
5 방바닥은 먼지로 덮여 있었다.
6 아이들은 물속에서 수영하고 물고기를 찾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
교과서 문법
GrAmmAr
p. 13
A
B
C
4 said, he
3 if
2 she left
6 asked, to open
2 Where do you think
1 his uncle does
5 asked, my job was
1 what made her sad
3 (that) he had her dog
5 Go to bed early
1 I want to know if she liked the movie.
2 He asked me what he could do for me.
3 He advised his wife not to drive too fast.
4 if[whether] I had a pet
이다.
이다.
2 나는 그녀가 몇 시에 사무실을 떠났는지 궁금하다.
의문사가 있는 간접의문문의 어순은 「의문사+주어+동사」
3 나는 Ann이 올지 안 올지 모르겠다.
의문사가 없는 간접의문문의 어순은 「if [whether]+주어+동
사」이다.
4 그는 그가 할 일이 있다고 말했다.
평서문의 직접화법을 간접화법으로 전환할 때 전달동사 said
는 그대로 쓰고, 인칭대명사는 전달자의 입장에 맞게 바꾼다.
5 그는 나에게 내 직업이 무엇인지 물었다.
의문문의 직접화법을 간접화법으로 전환할 때 전달동사 said
to는 asked로 바꾸고, 의문사가 있는 경우 「의문사+주어+동
사」의 어순으로 쓴다.
6 그녀는 나에게 창문을 열어달라고 부탁했다.
said to는 asked로, 동사원형은 to부정사로 바꾼다.
B 1 무엇이 그녀를 슬프게 했는지 내게 말해 줘.
의문사가 있는 간접의문문에서 의문사가 주어인 경우 「의문사
+동사」의 어순이다.
2 너는 그가 어디에 산다고 생각하니?
주절의 동사가 생각이나 추측과 관련된 동사(think, believe,
guess, suppose, imagine 등)이면 의문사가 문장의 맨 앞에
온다.
3 그는 그녀에게 그가 그녀의 개를 데리고 있다고 말했다.
평서문의 직접화법을 간접화법으로 전환할 때 전달동사 said
to는 told로, 인칭대명사는 전달자의 입장에 맞게 바꾼다.
4 그녀는 나에게 내가 애완동물을 키우는지 물었다.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은 간접화법으로 쓸 때 「if [whether]+
주어+동사」의 어순이다.
5 엄마는 나에게 “일찍 잠자리에 들렴.”이라고 말씀하셨다.
명령문의 간접화법을 직접화법으로 전환할 때 전달동사 told
는 said to로, to부정사는 동사원형으로 바꾼다.
C 1
의문사가 없는 간접의문문의 어순은 「if [whether]+주어+동
사」이다.
2
의문사가 있는 간접의문문의 어순은 「의문사+주어+동사」
이다.
3
명령문의 간접화법에서 부정명령문은 「not +to부정사」의 형
태로 쓴다.
정답 및 해설 1
answers&explanations정답 및 해설A
B
C
교과서 문법
GrAmmAr
3 is
4 wouldn’t
3 travels
2 were
7 anything
8 not always
4 would
1 drives
6 rises
1 ◯ 2 have
1 Not the printer but the monitor is
2 the stars were their tears
3 she drinks milk every morning
4 Not every child has the ability to learn
p. 15
5 will visit
5 has
6 ◯
A 1 그 동아리의 각 회원은 스포츠카를 운전한다.
「each +단수 명사」는 단수 취급하므로 단수 동사가 알맞다.
2 그 책의 3분의 2는 반품되었다.
「분수+of +명사」는 명사의 수에 따라 동사의 수가 결정되므
로 복수 동사가 알맞다.
3 너도 그도 음악에 관심이 없다.
neither A nor B는 B에 동사의 수를 일치시키므로 is가 알맞다.
4 나는 다시는 그런 일을 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주절의 시제가 과거이므로 종속절의 시제도 과거가 알맞다.
5 그녀는 다음 달에 그 섬을 방문할 거라고 말한다.
주절의 시제가 현재이므로 종속절에 미래시제가 올 수 있다.
6 그 아이는 태양이 동쪽에서 뜬다는 것을 몰랐다.
불변의 진리는 항상 현재시제로 쓴다.
7 그는 24시간 동안 아무것도 먹지 않았다.
앞에 not이 있으므로 anything이 알맞다.
행운이 항상 네 편인 것은 아니다.
8
‘항상 ~인 것은 아니다’라는 부분 부정의 뜻이므로 not always가
알맞다.
B 1 윤리학은 내가 정말 잘하는 과목이다.
과목명은 단수 취급한다.
2 요즘 많은 아이들이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다.
「a number of(많은 ~)+복수 명사」 다음에는 복수 동사를 써
야 한다.
3 우리는 빛이 소리보다 더 빠르게 이동한다고 배웠다.
불변의 진리는 항상 현재시제로 쓴다.
4 그들은 그녀가 그 직책에 적임일 거라고 생각했다.
주절의 시제가 과거이므로 종속절의 시제도 과거가 알맞다.
5 모든 아이디어가 가치 있는 것은 아니다.
「every +단수 명사」 다음에는 단수 동사를 써야 한다.
6 노인들은 독감과 같은 질병에 걸리기 더 쉽다.
「the +형용사(~한 사람들)」는 복수 취급한다.
C 1 not A but B는 B에 동사의 수를 일치시킨다.
2 주절의 시제가 과거이므로 종속절의 시제도 과거가 알맞다.
2 정답 및 해설
3 현재의 습관은 항상 현재시제로 쓴다.
4
not every는 ‘모두 ~인 것은 아니다’라는 의미로 부분 부정을
나타낸다. 「every+단수 명사」 다음에는 단수 동사를 써야 한다.
A
B
C
D
문법으로 문장 쓰기
GrAmmAr
pp. 16—17
Grammar Quiz
1 의문사, 주어, 동사, if [whether]
4 현재, 과거 5 전체, 부분
2 tell, ask
3 단수, B
6 Her blog
2 I was addicted to shopping
4 Wendy is not always at home
2 The number
3 I
4 She
1 Do you know where she met him?
of customers has been decreasing these days.
heard that the Korean War broke out in 1950.
said that she had cut her hair herself the day before.
5 Nobody has ever solved the problem.
rarely has any visitors nowadays.
1 what you want to be
3 Each person has
1 Where do you think the man comes from?
told me not to waste my life.
the Moon is smaller than the Earth.
anything unhealthy in food.
speak French.
1 Most of his money was spent on clothes.
says that she is going to leave next week.
to me, “Does she like the movie?”
not always good for you.
who borrowed her book.
had had a nightmare.
2 Taylor
3 He said
4 Tasty meals are
5 Cindy doesn’t remember
6 They thought that he
2 Mom
3 I told my brother that
4 She never puts
5 He asked me if I could
6 Each of her friends has a secret.
A 1 너는 그녀가 어디에서 그를 만났는지 아니?
의문사가 있는 간접의문문의 어순은 「의문사+주어+동사」
이다.
2 요즘 고객들의 수가 감소하고 있다.
단수 동사가 쓰였으므로 ‘~의 수’라는 의미의 the number of
를 써야 한다.
3 나는 한국 전쟁이 1950년에 발발했다고 들었다.
역사적 사실은 항상 과거시제로 써야 한다.
4 그녀는 그 전날 스스로 머리를 잘랐다고 말했다.
간접의문문이 아니므로 종속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that을 써야
한다.
5 아무도 그 문제를 풀지 못했다.
nobody는 단수 취급하므로 단수 동사를 써야 한다.
6 그녀의 블로그는 요즘 방문객이 거의 없다.
부사 rarely는 조동사나 be동사 뒤, 일반동사 앞에 쓴다.
answers&explanations 의문사가 있는 간접의문문의 어순은 「의문사+주어+동사」이다.
알맞다.
B 1
2 주절의 시제가 과거이므로 종속절의 시제도 과거로 써야 한다.
「each +단수 명사」는 단수 취급하므로 단수 동사를 써야
한다.
3
4
‘항상 ~인 것은 아니다’라는 부분 부정의 뜻이므로 not always
를 쓴다.
• ① 외국인들을 만나는 ② 외국어를 배우는 ③ 상품을 교환하는
⑤ 경제를 개선시키는
B
|해석| Garcia-Fuller는 그녀가 자신의 학생들에게 가짜 뉴스를
진짜 뉴스로부터 구분하는 방법을 가르치고 있다고 말했다.
“첫 단계 중 하나는 속도를 늦추는 것(천천히 생각하는 것)입니
C 1
간접의문문을 쓸 때 주절의 동사가 생각이나 추측과 관련된 동
다. 만약 어떤 이야기나 어떤 사진이 진짜라고 하기엔 너무 좋아
사(think, believe, guess, suppose, imagine 등)이면 의문사
가 문장의 맨 앞에 온다.
명령문의 간접화법에서 부정명령문은 「not +to부정사」로 나
타낸다.
불변의 진리는 항상 현재시제로 쓴다.
‘결코 ~하지 않는’이라는 의미의 never는 전체 부정을 나타내
며, 조동사나 be동사 뒤, 일반동사 앞에 쓴다.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은 간접화법에서 「if [whether]+주어+
동사」의 어순으로 쓴다.
「each of+복수 명사」는 단수 취급하므로 단수 동사를 써야
한다.
2
3
4
5
6
D 1
「most of+명사」는 명사의 수에 따라 동사의 수가 결정된다.
money는 셀 수 없는 명사로 단수 취급한다.
2 주절의 시제는 현재, 종속절의 시제는 미래로 나타낸다.
3 직접화법으로 쓰되, 전달동사로 said to를 사용한다.
4
‘항상 ~인 것은 아니다’라는 뜻이므로 not always를 쓴다.
의문사가 있는 간접의문문은 「의문사+주어+동사」로 쓴다.
5
의문사가 주어일 때는 「의문사+동사」로 쓴다.
6
주절은 과거시제로, 종속절은 시점이 주절보다 앞서므로 과거
완료시제로 쓴다.
A ④
B
C
1 Garcia-Fuller said, “I am teaching my students how to
tell fake news from real news.”
1 ② 2 ⑤ 3 What volcanoes do is not always bad
for humans
2 ①
A
|해석| 시장 방문은 한 나라의 문화에 대해 배우는 좋은 방법입니
다. 시장은 사람들을 만나고, 역사를 배우고, 또 지역 음식을 맛볼
보인다면, 멈춰서 생각해 보세요: 글쓴이가 말하고 있는 것을 뒷받
침하는 어떠한 증거라도 있나요? 그리고 이 정보가 어디서 온 것
인가요?”
Garcia-Fuller의 학생들은 또한 뉴스에서 사실을 의견과 구분하
는 방법에 대해서도 배운다. “의견들은 읽을 만한 가치가 있습니
다,”라고 15살인 McKenzie Campbell이 말한다. “하지만 여러분은
또한 그것들이 사실에 기반을 둔 것인지를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
1
간접화법을 직접화법으로 고칠 때, 전달할 내용 앞에 콤마와
인용부호를 쓴다. 이 문장에서 인칭대명사는 전달자의 입장에
맞춰 1인칭으로 바꾸고, 종속절의 시제는 현재진행으로 고친다.
2
ⓐ 「one of +복수 명사」는 ‘~들 중 하나’라는 뜻으로 단수 취
급하므로 are를 is로 고쳐야 한다.
C
| 해석 | 인도네시아 Sumbawa(숨바와) 섬에 위치한 활화산,
Tambora(탐보라) 산이 1815년에 분출했다. 분출은 주민 1만 명
이상을 죽음에 이르게 했다. 또한 이듬해 전 세계에 비정상적으로
추운 여름을 초래했다.
그러나 화산이 하는 일이 인류에게 항상 나쁜 것만은 아니다. 화
산 인근의 토양은 농사에 좋다. 화산은 또한 매우 훌륭한 관광 명
소이다. 환상적인 경관을 찾아 매년 수백만 명의 여행객들이 제
주도의 한라산, 시칠리아의 Etna(에트나) 산, 하와이의 Diamond
Head(다이아몬드헤드)를 방문한다. 화산은 또한 전기를 생산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슬란드는 적극적으로 화산
의 열에너지를 전기로 바꾼다. 오늘날 전 세계에서 사람들이 화산
견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 ② 인도네시아에 몇 개의 활화산이 있는지는 나와 있지 않다.
① Tambora(탐보라) 산의 분출은 얼마나 많은 주민들의 목숨
을 앗아갔는가?
- 1만 명 이상이 사망했다.
② 인도네시아에 몇 개의 활화산이 있는가?
③ 왜 사람들은 화산 근처에서 농사를 짓고 싶어 하는가?
- 화산 인근의 토양이 농사에 좋기 때문이다.
정답 및 해설 3
수 있는 장소입니다. 다른 문화를 발견하는 더 좋은 방법이 있을지
④ 무엇이 많은 사람들을 화산 지역에 방문하게 하는가?
궁금합니다.
- 환상적인 경관 때문에 많은 여행객들이 화산을 방문한다.
• 첫 문장에서 시장 방문은 한 나라의 문화에 대해 배우는 좋은 방
⑤ 아이슬란드 사람들은 화산을 어떻게 이용하는가?
법이라고 했으므로 빈칸에는 ④ ‘다른 문화를 발견하는’이 가장
- 화산의 열에너지를 전기로 바꾼다.
문법으로 직독직해
GrAmmAr
pp. 18—19
과 더 조화롭게 살 방법을 연구하고 있으며, 더 많은 방법이 곧 발
2
(A) 다음 문장에서 환상적인 경관을 찾아 매년 많은 관광객
들이 화산을 방문한다고 했으므로 화산은 훌륭한 ‘관광 명소
neither A nor B는 B에 수를 일치시키고, 「every +단수 명사」는
단수 취급하므로, 공통으로 알맞은 것은 is이다.
(tourist attraction)’라는 말이 알맞고, (B) 다음 문장에서 아
이슬란드에서 화산의 열에너지를 전기로 바꾼 사례를 설명하
고 있으므로 화산은 ‘전기(electricity)’를 생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고 하는 것이 적절하다.
‘~하는 것’이라는 의미의 선행사를 포함하는 관계대명사 what
다음에 「주어+동사」인 volcanoes do를 쓰고, 관계대명사절
을 주어로 하는 동사 is 다음에 ‘항상 ~인 것은 아니다’라는 의
미로 부분 부정을 나타내는 not always를 쓴다.
3
내신 대비 문법 실전 문제
GrAmmAr
pp. 20—25
01 ② 02 ④ 03 ③ 04 ⑤ 05 ② 06 ③ 07 ③
08 ① 09 ④ 10 ① 11 ② 12 ③ 13 ⑤ 14 ④
15 ④ 16 ② 17 ③ 18 ⑤ 19 ③ 20 ③ 21 ④
22 ④ 23 ③ 24 ② 25 ② 26 ④ 27 ③
28 (1) curious about who the painter is (2) why I pulled you
over
29 (1) She as well as her friends is satisfied with the
result. (2) Not all teens get along with their parents.
30 (1)
she would be back soon (2) oil is lighter than water (3) she
had lost the ring (4) King Sejong invented Hangeul
31 I
wonder that you have ever had a meal on water. → I wonder
if [whether] you have ever had a meal on water.
32 (1) She
told me (that) she could see me the next[following] day. (2)
He said to me, “Don’t close the door.” (3) Mr. Brown told me
(that) he had never seen anything like that before. (4) She
asked him if [whether] his mom worked there.
33 Who
do you think is responsible for the accident?
34 (A) how
much we care for them (B) how happy we are with them
35 Taking pictures of squirrels is both fun
01
생각, 추측의 의미를 나타내는 동사(think)가 있으므로 What do
you think he is doing now?와 같이 의문사를 맨 앞에 쓴다.
02
의문사가 있는 간접의문문의 어순은 「의문사+주어+동사」이므
로 I wonder what time you want to go.가 된다. what time은
하나의 의문사로 취급한다.
03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을 간접의문문의 형태로 만들 때
if [whether]가 필요하며 어순은 「if [whether]+주어+동사」이
므로 I wonder if[whether] he still loves you.이다.
04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을 간접화법으로 쓸 때는 if나 whether를
접속사로 쓰고, 종속절의 시제를 일치시켜 준다. I asked her
if[whether] she had a watch.로 전환할 수 있다.
4 정답 및 해설
05
06
07
① two years는 시간을 나타내므로 단수 취급한다. are → is ②
「분수+of +단수 명사」는 단수 취급한다. are → is ③ 「each +
단수 명사」는 단수 취급한다. ④ socks는 항상 복수 형태로 쓰고,
복수로 취급한다. is → are ⑤ 「a number of(많은 ~)+복수 명
사」는 복수 취급한다. was → were
① both A and B는 복수 취급한다. enjoys → enjoy ② not A
but B는 B에 수를 일치시킨다. are → am ③ 관계대명사 what
이 이끄는 절은 단수 취급한다. ④ half of 뒤에 복수 명사가 왔으
므로 복수 취급한다. is → are ⑤ 복수형의 나라 이름은 단수 취
급한다. are → is
08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을 간접의문문으로 바꿀 때는 접속사
whether[if]를 쓴다. Do you know whether[if] he is at school
now?
09
not only A but also B는 B as well as A로 바꿔 쓸 수 있으며,
B에 동사의 수를 일치시킨다.
10
① 평서문의 간접화법으로 빈칸에는 종속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알맞다. 나머지는 간접의문문으로, if [whether]가 알맞다.
11
의문문의 간접화법에서 의문사가 있는 경우 「의문사+주어+동
사」의 어순으로 써야 하므로, ②에서 where did the sheep go는
where the sheep went로 고쳐야 한다.
12
간접화법으로 고칠 때 전달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대명사를 바꿔
야 하므로 ③의 I는 he가 되어야 한다.
13
의문사는 그대로 쓰며 주절의 시제가 과거, 종속절의 시제가 과
거완료이므로 직접화법의 시제는 과거가 된다. her는 말하는 사
람인 she의 소유격이므로 직접화법에서는 my로 바꾼다.
14
ⓐ are you → you are ⓑ how he is old → how old he is ⓒ
didn’t she → she didn’t ⓔ Do you think when → When do
you think
15
16
17
18
19
She said to him, “When did you visit London for the first
time?”의 간접화법으로, 「의문사+주어+동사」의 순서로 쓰며
이때 시제는 주절의 과거보다 한 시제 앞선 과거완료가 와야 한다.
ⓐ anybody는 단수로 취급한다. Have → Has ⓒ 과학적 사실은
항상 현재시제로 쓴다. froze → freezes
관계대명사 what이 이끄는 명사절은 단수 취급하고, ‘항상 ~인
것은 아니다’라는 의미의 부분 부정은 not always로 나타낸다.
「most of +복수 명사」는 복수 취급하므로 동사의 형태는 is가
아닌 are가 되어야 한다.
Do you think? +How soon will he come?을 하나로 만든 간
접의문문 문장이다.
answers&explanations
(4) 역사적 사실은 항상 과거시제로 쓴다.
31
|해석| 태국의 Damnoen Saduak(담는사두악) 수상 시장
과거에 태국 사람들은 강에서 물건을 교환했습니다. 이것이 태
국 수상 시장의 시작이었습니다. 도로 교통이 개선되면서, 많은
수상 시장이 사라졌습니다. 그러나 1960년대 후반부터 일부가
다시 생겨나 전통을 이어 가고 있습니다.
[추가 정보] 여러분이 물 위에서 식사해 본 적이 있는지 궁금하네
요. 만약 그렇지 않다면, ‘pad thai(팟 타이)’ 같은 면 요리를 드셔
보세요. 상인들이 배에서 음식을 만들어 긴 낚싯대로 건네줄 겁
니다.
• 간접의문문으로 ‘~인지 (아닌지) 궁금하다’라는 의미가 되어야
하므로 접속사 that을 if나 whether로 고쳐야 한다.
32
(1) 평서문의 said to를 told로 바꾸고 전달할 말을 that절로 바꿔
쓴다. 이때 주절의 시제와 일치시키고 인칭대명사와 부사구를
(2) 간접화법의 「not +to부정사」는 직접화법에서 부정명령문으
알맞게 고친다.
로 쓴다.
(3) 주절이 과거이고 종속절이 현재완료이므로 간접화법에서는
종속절을 과거완료로 쓴다. this는 that으로 바꿔 쓴다.
(4) 의문문의 간접화법은 의문사가 없는 경우에 if나 whether를
쓴다. here는 there로 바꿔 쓴다.
33
주절의 동사가 생각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동사(think, guess,
believe 등)일 때 간접의문문의 의문사는 문장 맨 앞에 쓴다.
34
|해석| 웃음 표시는 우리의 얼굴 표정을 나타내고 우리의 목소리
어조를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웃음 표시를 사용함으로써, 우리
는 친구들에게 그들을 얼마나 좋아하는지 또는 그들과 함께 있
어서 얼마나 행복한지를 보여 줄 수 있다. 웃어라, 문자로 된 형
태로라도. 그러면 친구들도 여러분과 함께 웃을 것이다.
• how much와 how happy는 하나의 의미 단위이므로 하나의
의문사처럼 취급되어 「how much / how happy +주어+동사」
의 순서로 쓰는 것에 유의한다.
35
‘다람쥐 사진을 찍는 것은 재미있고 도전적이다.’라는 뜻이다.
주어 자리에는 동명사(taking)가 오고 동명사구는 단수 취급하
므로 동사로 is를 쓰며, 뒤에 and가 있으므로 앞에 both를 써야
한다.
20
③ 주절이 과거이므로 종속절의 시제를 일치시켜 can은 could
로, now는 then으로 바꿔 써야 한다.
21
every A and B는 단수 취급하여 단수 동사가 필요하다.
22
23
④ 주절의 시제가 과거(told)이므로 will은 과거형인 would로
써야 한다.
③ 평서문의 간접화법으로 whether는 접속사 that으로 고쳐야
한다. 이때 that은 생략 가능하다.
A: 아빠, 제 친구 Mei Ling이 저에게 오늘 흥미로운 것을 말해
줬어요. B: 오, 그게 무엇인지 내게 말해 보렴. A: 그녀가 중국
사람들은 8을 행운의 숫자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어요. B: 맞아,
그게 ‘운, 행운’을 의미하는 중국어 단어처럼 소리 난다고 들었
단다.
24
동명사구 주어는 단수 취급하므로 첫 번째 빈칸에는 is가 알맞
다. 「분수+of +명사」는 명사에 따라 동사의 수가 결정되는데
복수 동사 come이 쓰였으므로 두 번째 빈칸에는 복수 명사가 알
맞다.
• 하루에 여덟 잔의 물을 마시는 것은 건강에 좋다. •내 친구의
2/5가 다른 나라에서 왔다.
속담 및 격언은 항상 현재시제로 쓴다.
ⓑ 부정명령문은 간접화법으로 전환할 때 「not +to부정사」로 쓴
다. ⓔ 역사적 사실은 항상 과거시제로 쓴다.
③ 「one of +복수 명사」는 단수 취급하므로 is가 알맞다. 나머
지 ① not only A but also B와 ④ neither A nor B는 B에 동사
의 수를 맞춰야 하고, ② 「all of +복수 명사」와 ⑤ 「a number of
(많은 ~)+복수 명사」는 복수 취급하므로 모두 are가 와야 한다.
① 그녀뿐만 아니라 너도 틀렸다. ② 그녀의 소설은 모두 베스트
셀러이다. ③ 내 학급 친구 중의 한 명은 중국 출신이다. ④ 나의
언니도 나의 부모님도 골프에 관심이 없다. ⑤ 많은 학생들이 그
들의 미래에 관해 걱정한다.
28
(1) 의문사가 있는 간접의문문의 어순은 「의문사+주어+동사」
이다.
(2) 의문사가 있는 간접의문문의 어순은 「의문사+주어+동사」
이다. 동사구 pull over(길 한쪽으로 차를 대다)의 어순은 목
적어가 대명사일 때 「동사+대명사+부사」인 것에 유의한다.
29
(1) A as well as B에서 동사의 수는 A에 맞춘다.
(2) not all은 ‘모두 ~인 것은 아니다’라는 의미로 부분 부정을 나
25
26
27
30
(1) 주절의 시제와 종속절의 시제를 과거로 일치시킨다.
교과서 대화문
CommuniCAtion
p. 27
(2) 기름이 물보다 가벼운 것은 과학적 사실이기 때문에 항상 현
(3) 종속절의 일이 주절의 일보다 먼저 일어났으므로 과거완료시
1 talk, about, idea
2 should, wonder, take
A
B ①
C
(D)–(A)–(E)–(C)–(B)
타낸다.
재시제로 쓴다.
제를 쓴다.
정답 및 해설 5
A 1 A: 이번에는 동아리실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의견 있니?
B: 동아리실 모퉁이에 작은 도서관을 만드는 게 어때? 내가 내
[04– 05]
일 책 몇 권을 가져올게.
A: 좋은 생각이야! 제안해 줘서 고마워, 민주야.
2 A: 제가 이 우유의 유통 기한을 말씀드리길 원하세요?
B: 그래, 내가 안경을 두고 왔단다.
A: 잠깐만요. 6월 7일까지 이걸 드셔야 해요.
B: 그건 너무 짧네. 기한이 더 긴 게 있는지 궁금하구나.
A: 잠깐만요. 하나 찾았어요. 이것은 6월 11일까지 드실 수 있
어요.
B: 오, 그걸로 사야겠다. 정말 고맙구나.
B A: 이 점들을 무엇을 위한 거니? 나는 그것들에 대해 알고 싶어.
B: 오, 그것들은 점자야. 그것들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것이야.
② 나는 그것들에 관심이 없어.
③ 그것에 대해 정말 고마워.
④ 나는 그것들에 대해 꽤 확신해.
⑤ 나는 네게 그것들을 소개하고 싶어.
C (D) 우리가 가장 좋아하는 달에 관해 이야기해 보자.
(A) 좋아. 내가 가장 좋아하는 달은 12월이야.
(E) 왜?
(C) 나는 성탄절을 좋아하는데 그게 12월이잖아. 너는 어때?
(B) 난 7월이 가장 좋아. 내 생일은 7월이거든.
내신 대비 대화문 실전 문제
CommuniCAtion pp. 28—29
01 ⑤ 02 ④ 03 ② 04 ① 05 ⑤ 06 ④ 07 ②
08 ④ 09 ③ 10 I wonder where I can fix my bike.
11 Let’s talk about how we can make our town better.
12 town, clean, bench, flower pots
01
B가 교통표지판의 의미를 알려주고 있으므로 빈칸에는 그 의미
에 대해 알고 싶어 하는 말이 와야 알맞다. I’m curious about ~.
은 궁금증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A: 넌 이 교통표지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고 있니? 나는 그
것을 알고 싶어.
B: 그것은 ‘들어가지 마시오.’라는 의미야.
02
우리 동아리실에 무엇이 필요할까? 그것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 (B) 그림을 좀 거는 게 어때? - (C) 좋아. 네 그림 중의 하나를
가져오는 게 어때? 넌 그림을 잘 그리잖아. - (A) 그렇게 말해
주니 고마워. 내가 내 그림 중에서 하나를 가져올게.
03
②는 ‘나는 그 계획에 반대한다.’라는 의미이고 나머지는 모두 계
획에 대한 궁금증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6 정답 및 해설
A: 관광 안내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B: 안녕하세요. 저는 마을 관광 지도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A: 물론이죠. 특별히 찾으시는 곳이 있나요?
B: 네. 이 지역 음식을 먹어 보고 싶어요.
A: 그렇다면 정선시장에 가 보세요. 시장이 5일마다 열리는데,
오늘 열렸네요.
04
‘무엇을 도와드릴까요?’라는 뜻으로 안내를 돕기 위해 하는 말이
므로 (A)에 들어가는 것이 자연스럽다.
05
I wonder if ~는 ‘나는 ~인지 (아닌지) 궁금하다’라는 의미이다.
06
talk about은 ‘~에 대해 이야기하다’라는 의미로 주제를 소개할
때 쓰인다.
A: 우리 오늘은 무엇에 관해 이야기할까?
B: 나는 우리가 좋아하는 TV프로그램에 대해 말하고 싶어.
② look forward to는 기대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주제가 무엇인
지 묻는 말에 대한 응답으로 어울리지 않는다.
④ A가 궁금한 점에 관해 이야기했는데, ‘나는 네 제안에 동의
해.’라고 응답하는 것은 어울리지 않는다.
① A: 제 소가 아파요. 지금 제 농장에 와 주실 수 있는지 궁금해요.
B: 문제없어요. 소를 보러 갈 수 있어요.
② A: 운동회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B: 좋아. 야구를 하는 건 어때?
③ A: 실례합니다. 이 근처에 우체국이 있는지 궁금해요.
B: 죄송하지만 이 근처엔 우체국이 없어요.
④ A: 나는 네가 친구나 가족과 여행하고 싶은지 궁금해.
B: 나는 네 제안에 동의해.
⑤ A: 무엇에 관해 이야기하고 싶니?
B: 기후 변화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어.
07
08
‘나는 ~인지 궁금해.’라고 할 때는 ‘I wonder if ~.’를, ‘~에 대해
이야기하자.’라고 할 때는 ‘Let’s talk about ~.’을 사용한다.
I wonder 다음에 의문사가 있는 절이 와야 한다. 「의문사+주어
+동사」의 어순으로 쓴다.
09
10
[11– 12]
A: 우리가 어떻게 우리 마을을 더 좋게 만들 수 있을지에 관해 이
야기해 보자.
B: 내가 먼저 말할게. 버스 정류장에 쓰레기가 너무 많아.
C: 동의해. 그 장소를 함께 치우는 게 어때?
B: 좋아. 우리가 거기에 벤치를 놓을 수도 있어.
A: 좋은 생각이야. 그것은 어르신들에게 도움이 될 거야.
answers&explanationsC: 벤치 주변에 화분도 좀 놓는 게 어때? 그것들은 버스 정류장
을 더 아름답게 할 거야.
A: 모두 좋은 의견을 내줘서 고마워.
11
주제를 소개할 때 Let’s talk about ~.을 사용하고 이어서 ‘어떻
게 ~할지’의 의미로 「how +주어+동사」의 간접의문문을 쓴다.
12
대화문에서 ‘마을을 더 낫게 만드는 방법’으로 쓰레기가 있는 버
스 정류장을 청소하는 것(clean the bus stop), 벤치를 놓는 것
(put a bench), 벤치 주변에 화분을 놓는 것(put some flower
pots)이 언급되었다.
마을을 더 좋게 만드는 방법
– 버스 정류장을 청소하고 그곳에 벤치 놓기
– 벤치 주변에 화분 놓기
Review Test
01 (p)lanets
02 ② 03 ③ 04 ③ 05 ⑤ 06 ④
07 ② 08 ① 09 ③ 10 ④ 11 ② 12 ③ 13 ①
14 ① 15 ③ 16 ③ 17 ②, ③ 18 ⑤ 19 Not she
20 We learned that the Earth
but I am interested in jazz.
22 what time
goes around the Sun.
it is
24 how long I should
wait
23 when the bank closes
25 Do you know where Andy lives?
21 where the ATM is
01
• 금성과 화성은 행성들이다.
• 태양계에는 8개의 행성들이 있다.
02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어떤 것을 훼손하다’라는 의미의
단어는 destroy(파괴하다)이다.
03
③은 ‘나는 학급 파티가 궁금하지 않아.’라는 뜻이고 나머지는
모두 학급 파티를 안건으로 이야기해 보자는 주제 소개의 의미
이다.
04
‘모두 ~인 것은 아니다’라는 의미의 부분 부정은 「not every+단
수 명사+단수 동사」로 쓴다. ①, ②, ⑤는 전체 부정이다.
05
⑤는 허락을 구하는 말로 빈칸에 어울리지 않는다.
① 이 근처에 자전거 가게가 있나요? ② 가장 가까운 은행이 어
07
08
13
14
17
18
부정명령문을 간접화법으로 전환할 때 「not +to부정사」를 이용
해야 하며, 인칭대명사 또한 전달자의 입장에서 바꿔야 한다.
Do you know whether[if] he is from Seoul?이 되므로, 네 번
째로 오는 것은 whether이다.
09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을 포함한 문장을 간접화법으로 전환할 때
if나 whether를 써서 연결한다. ③ that → if [whether]
10
④ 주절의 동사가 생각이나 추측을 나타낼 때 간접의문문의 의
문사는 문장 맨 앞에 쓴다.
① what does Tom want → what Tom wants ② where is the
police station → where the police station is ③ Do you think
how tall → How tall do you think ⑤ where will she go →
where she will go
11
ⓒ 불변의 진리이므로 died를 현재시제인 die로, ⓓ 역사적 사실
이므로 is를 과거시제인 was로 고쳐야 한다.
② are → is ③ needs → need ④ was → were ⑤ A number of
→ The number of
① half of 다음에 복수 명사가 쓰였으므로 복수 취급하여 are를
써야 한다.
15
③ 주절이 과거시제이므로 간접화법에서 종속절의 시제는 과거
완료로 써야 한다.
16
ⓑ that → if[whether] ⓔ did she pay → she paid
간접화법으로 바꾸면 The lady told me (that) her son had
gone to Paris the day before[the previous day].이다.
not always는 ‘항상 ~인 것은 아니다’라는 의미로 부분 부정을
나타낸다.
① 내 친구들 중 아무도 내게 전화하지 않았다.
② 나의 부모님도 선생님도 모두 그것에 동의하지 않는다.
③ 비행기에는 여분의 좌석이 하나도 없었다.
④ 그는 24시간 동안 아무것도 먹지 않았다.
⑤ 텔레비전이 항상 아이들에게 나쁜 것은 아니다.
19
not A but B가 주어일 때 동사의 수는 B에 일치시킨다.
20
불변의 진리는 항상 현재시제로 쓴다.
pp. 30—32
12
「each+단수 명사」는 단수 취급한다.
디에 있는지 궁금해요. ③ 저는 이 주변에 도서관이 있는지 궁금
[21– 24] 간접의문문의 어순은 「의문사+주어+동사」이다.
해요. ④ 저는 어디에서 빵집을 찾을 수 있는지 알고 싶어요. ⑤
21
ATM이 어디에 있는지 알려주세요.
제가 여기에서 사진을 찍어도 될까요?
06
④는 접속사 that이 알맞고 나머지는 if나 whether가 알맞다.
① 우리는 그가 우리와 합류할지 확신하지 못한다. ② 나는 그녀
가 이 책을 읽었는지 궁금하다. ③ 너는 그가 집에 있는지 없는지
아니? ④ 나의 선생님은 내가 똑똑하다고 믿는다. ⑤ 그녀는 내
가 그녀를 도울 수 있는지 물었다.
22 몇 시인지 아세요?
23 은행이 언제 닫는지 제게 말해 주세요.
24 저는 제가 얼마나 오래 기다려야 하는지 알고 싶어요.
25
Do you know?+Where does Andy live?를 한 문장으로 만들
때 간접의문문의 어순은 「의문사+주어+동사」이다.
정답 및 해설 7
사람들은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을 사냥하는 것을 중단해야
B 1
나의 삼촌은 그의 회사에서 정말로 중요한 역할을 하신다[하
Lesson 2 Y ou Had Better
Listen Carefully
교과서 어휘
VoCABulAry
p. 35
3 endangered
4 cage
A
B
C
2 wildlife
1 field
5 flea
1 hand in hand
3 made a difference
5 divided into
1 colony
2 graze
2 have, in common
4 near and far
3 produce
4 insect
A 1 나는 두 일꾼을 시켜 우리 밭을 갈고 씨앗을 심게 했다.
인간의 몇몇 활동은 야생 동물의 생존을 위협할 수 있다.
2
3
한다.
4 나는 그녀가 유리로 만든 우리에 뱀을 집어넣는 것을 보았다.
5 누가 학교 벼룩시장을 위한 포스터를 만들 것인가?
교과서 문법
GrAmmAr
p. 37
「It ~ that」 강조 구문
「It(가주어) ~ that(진주어)」 구문
3, 4, 5, 6
1, 2, 7, 8
3 does
4 have I seen
2 that[where]
6 Neither
1 does[did]
5 he goes
1 It is fried chicken that[which] I eat when I feel good.
2 Little did I understand what the teacher said in class.
3 My mother does like growing flowers.
4 I’m not interested in rock music, and neither is David.
A 1
Tom이 그 시험에 떨어졌다니 믿을 수 없다.
It is와 that 사이에 형용사 unbelievable이 왔으므로 「It(가주
어) ~ that(진주어)」 구문이다.
동물들이 지진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은 놀랍다.
It is와 that 사이에 형용사 amazing이 왔으므로 「It(가주어) ~
that(진주어)」 구문이다.
매주 토요일 학교 체육관에서 농구를 하는 사람은 바로 Nick
이다.
It is와 that 사이에 명사 Nick이 왔으므로 주어 강조 구문이다.
A
B
C
2
3
5
6
7
8
2
3
4
2
3
It was와 that 사이에 명사구 her keys가 왔으므로 목적어 강
조 구문이다.
내가 지난주 일요일에 Paul을 마주친 것은 바로 길에서였다.
It was와 that 사이에 장소의 부사구 on the road가 왔으므로
강조 구문이다.
Erika가 귀걸이를 산 것은 바로 어제였다.
It was와 that 사이에 시간의 부사 yesterday가 왔으므로 강조
구문이다.
그 배우가 비밀리에 자선단체에 돈을 기부한 것은 사실이었다.
It was와 that 사이에 형용사 true가 왔으므로 「It(가주어) ~
that(진주어)」 구문이다.
John이 영어를 못하는 것은 당연했다.
It was와 that 사이에 형용사 natural이 왔으므로 「It(가주어)
~ that(진주어)」 구문이다.
셨다].
주어의 수와 시제에 따라 동사원형 앞에 do/does/did를 써서
동사를 강조할 수 있다.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does나 did
를 쓴다.
내가 그녀의 신분증을 발견한 것은 바로 교실에서였다.
「It was ~ that」 강조 구문으로, 장소의 부사구를 강조하고 있
으므로 that 또는 where를 쓴다.
Peter는 오래된 동전을 수집하는 것을 좋아하고, Sam도 그렇다.
앞에 나온 긍정문에 대한 동의는 「so +조동사/be동사+주어」
의 어순으로 쓴다. 주어(Sam)가 3인칭 단수이고 앞 문장의 동
사가 일반동사의 현재형이므로 조동사 does를 쓴다.
나는 그렇게 아름다운 광경을 거의 본 적이 없다.
현재완료시제이고 부정어(hardly)가 문장 첫머리에 오면 「부정
어+have+주어+과거분사」의 어순으로 쓴다.
5 저기에 그가 간다.
장소의 부사(There)가 문장 첫머리에 와도 주어가 대명사(he)
인 경우에는 「주어+동사」의 어순 그대로 쓴다.
A: 나는 쇼핑 가기 싫어. B: 나도 그래.
6
앞에 나온 부정문에 대한 동의이므로 Neither를 쓴다.
C 1
현재시제이고 목적어를 강조하므로 「It is ~ that[which]」 강
조 구문으로 쓴다.
부정어(little)가 문장 첫머리에 오면 「부정어+조동사(did) +
주어+동사원형」의 어순으로 쓴다.
주어의 수와 시제에 따라 동사원형 앞에 do/does/did를 써서
동사를 강조할 수 있다. 의미상 현재시제이고 주어가 3인칭 단
4
Jane이 커피숍에서 잃어버린 것은 바로 그녀의 열쇠였다.
수이므로 does를 쓴다.
8 정답 및 해설
answers&explanations
4
앞에 나온 부정문에 대한 동의는 「Neither +조동사/be동사
+주어」의 어순으로 쓴다. 의미상 현재시제가 알맞으며 주어
B 1
너는 학교에 너무 자주 늦지 말았어야 했다.
‘~하지 말았어야 했다’라는 뜻의 과거 사실에 대한 후회는
(David)가 3인칭 단수이고 앞 문장에 be동사가 쓰이므로 is를
쓴다.
「shouldn’t have +과거분사」로 쓴다.
2
나는 외출하느니 차라리 쉬는 것이 낫다.
교과서 문법
GrAmmAr
p. 39
누군가 버튼을 잘못 눌렀던 게 틀림없다.
A
B
C
4 have
5 used to
3 used
2 stay
1 have
8 can’t
7 than
6 been
2 take
1 shouldn’t have
4 had better not
5 imitate
1 There used to be a big tree next to the house.
2 I should have practiced more to improve my speaking
3 have pressed
6 have fallen
skills.
3 I would rather go to the movies than watch TV.
4 He cannot[can’t] have left the classroom.
A 1
나는 수학을 더 열심히 공부했어야 했는데, 그러지 못했다.
‘~했어야 했다’라는 뜻의 과거 사실에 대한 후회는 「should
have +과거분사」를 쓴다.
2
너는 날씨가 풀릴 때까지 여기 있는 게 좋겠다.
‘B하느니 차라리 A하는 것이 낫다’라는 뜻의 would rather A
than B에서 A와 B에는 동사원형을 쓴다.
‘~했음에 틀림없다’라는 뜻의 과거 사실에 대한 강한 추측은
「must have +과거분사」로 쓴다.
4
너는 해안에서 너무 멀리 수영하지 않는 것이 좋다.
had better의 부정은 had better 뒤에 not을 쓰고 ‘~하지 않는
것이 좋다’라고 해석한다.
5
나는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쉽게 흉내내곤 했다.
‘(과거에) ~하곤 했다’라는 뜻으로 과거의 습관을 나타내는
used to 뒤에는 동사원형을 쓴다.
그녀는 여기에 앉아 있는 동안 잠이 들었을지도 모른다.
‘~했을지도 모른다’라는 뜻의 과거 사실에 대한 약한 추측은
「may[might] have +과거분사」로 쓴다.
C 1
‘(예전에) ~이었다’라는 뜻의 과거의 상태는 「used to +동사원
형」을 쓴다.
‘~하는 것이 좋다’라는 뜻의 충고를 나타내는 had better 뒤에
는 동사원형을 쓴다.
‘~했어야 했다’라는 뜻의 과거 사실에 대한 후회는 「should
have +과거분사」를 쓴다.
3
나는 살찌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매일 운동하곤 했다.
「used to +동사원형」은 ‘(과거에) ~하곤 했다’라는 뜻이고 「be
used to +동사원형」은 ‘~하는 데 사용되다’라는 뜻이다.
‘B하느니 차라리 A하는 것이 낫다’는 would rather A than B
로 쓴다. A와 B에는 동사원형을 쓴다.
4
‘~했을 리가 없다’라는 뜻의 과거 사실에 대한 강한 부정적 추
4
그녀는 그 영화를 본 것이 틀림없다.
측은 「cannot[can’t] have +과거분사」를 쓴다.
3
6
2
3
‘~했음에 틀림없다’라는 뜻의 과거 사실에 대한 강한 추측은
「must have +과거분사」를 쓴다.
5
예전에는 길 건너편에 주차장이 있었다.
‘(예전에) ~이었다’라는 뜻으로 과거의 상태를 나타낼 때
「used to +동사원형」을 쓴다.
6
그는 직장에서 바빴을지도 모른다.
‘~했을지도 모른다’라는 뜻의 과거 사실에 대한 약한 추측은
「might have +과거분사」를 쓴다.
7
나는 집에 있느니 차라리 쇼핑하러 가는 것이 낫다.
‘B하느니 차라리 A하는 것이 낫다’는 would rather A than B
로 쓴다.
8
Emma는 정직한 소녀이다. 그녀가 우리에게 거짓말을 했을
리가 없다.
‘~했을 리가 없다’라는 뜻의 과거 사실에 대한 강한 부정적 추
측은 「cannot[can’t] have +과거분사」로 나타낸다.
문법으로 문장 쓰기
GrAmmAr
pp. 40—41
Grammar Quiz
1 주어, 목적어 2 동사원형 3 주어, 동사 4 주어, 동사
5 used to
6 ~하는 것이 좋다, would rather
7 have
A
B
2 I
3 Hardly
4 It is in July that[when]
5 He does know how to
6 Never have humanoid
1 It was on a small island that[where] I was born.
did forget to send an email to her last night.
did she sleep last night.
we go camping together.
express a location on a map.
robots been more essential to people.
1 You had better not waste time.
be a forest.
would rather not go to the beach.
2 This place used to
4 I
3 She must have been in the room.
정답 및 해설 9
C
D
2 There comes the bus.
1 It was the police officer that[who] came to help
3 He did meet Brad
me.
4 Over the roof flew the bird.
in the library yesterday.
5 Hardly does she eat breakfast.
6 She is not thirsty,
and neither am I.
1 Hundreds of people used to live here.
cannot[can’t] have told this rumor to them.
rather study than work.
missed the last train.
pimple.
2 She
3 I would
4 He may[might] have
5 You had better not pop the
6 I shouldn’t have spent so much money.
A 1
나는 작은 섬에서 태어났다.
과거시제이고 강조어가 장소의 부사구이므로 It was와 that
[where] 사이에 쓴다.
2
나는 어젯밤 그녀에게 이메일을 보내는 것을 잊었다.
장소의 부사가 문장 첫머리에 오고 주어가 명사(the bus)일 경
우에는 「부사+동사+주어」의 어순으로 쓴다.
3
그는 어제 도서관에서 Brad를 정말로 만났다.
과거를 나타내는 부사 yesterday가 있으므로 does를 과거형
did로 바꾸고 그 다음에 동사원형을 쓴다.
4
지붕 너머로 새가 날아갔다.
장소의 부사구가 문장 첫머리에 오면 「장소의 부사구+동사+
주어」의 어순으로 쓴다.
5
그녀는 아침을 거의 먹지 않는다.
현재시제이고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부정어 +조동사
(does) +주어+본동사(eat)」의 어순으로 쓴다.
6
그녀는 목마르지 않고, 나도 마찬가지다.
앞에 나온 부정문에 대해 동의하는 문장이 되어야 하므로
「neither +be동사+주어」의 어순으로 쓴다.
일반동사를 강조할 때는 동사 앞에 do/does/did를 쓰는데 과
거시제이므로 did가 알맞다.
D 1
‘(예전에) ~이었다’라는 뜻의 과거의 상태는 「used to +동사원
형」을 쓴다.
3
그녀는 어젯밤 거의 잠을 자지 못했다.
과거시제이고 부정어(hardly)가 문장 첫머리에 오면 「부정어
+조동사(did) +주어+동사원형」의 어순으로 쓴다.
4
우리는 7월에 함께 캠핑을 간다.
현재시제이고 강조어가 시간의 부사구이므로 It is와 that
[when] 사이에 쓴다.
2
‘~했을 리가 없다’라는 뜻의 과거 사실에 대한 강한 부정적 추
측은 「cannot[can’t] have +과거분사」로 쓴다.
3
‘B하느니 차라리 A하는 것이 낫다’는 would rather A than B
로 쓴다. A와 B에는 동사원형을 쓴다.
4
‘~했을지도 모른다’라는 뜻의 과거 사실에 대한 약한 추측은
「may[might] have +과거분사」로 쓴다.
5
그는 지도에서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강조하는 말이 현재시제의 동사이고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5
‘~하지 않는 것이 좋다’라는 뜻의 충고는 「had better not +동
사원형」을 쓴다.
6
인간형 로봇이 사람들에게 (지금보다) 더 필수적이었던 적은
「shouldn’t have +과거분사」를 쓴다.
6
‘~하지 말았어야 했다’라는 뜻의 과거 사실에 대한 후회는
「does +동사원형」으로 쓴다.
없었다.
현재완료시제이고 부정어(never)가 문장 첫머리에 오면 「부
정어+have +주어+과거분사」의 어순으로 쓴다.
B
1
‘~하지 않는 것이 좋다’라는 뜻의 충고를 나타내는 「had better
not +동사원형」을 쓴다.
2
‘(예전에) ~이었다’라는 뜻의 과거의 상태를 나타내는 「used
to +동사원형」을 쓴다.
3
‘~했음에 틀림없다’라는 뜻의 과거 사실에 대한 강한 추측은
「must have +과거분사」를 쓴다.
4
‘차라리 ~하지 않겠다’라는 뜻의 「would rather not +동사원
형」을 쓴다.
C 1
나를 도와주러 온 사람은 바로 경찰관이었다.
「It ~ that」 강조 구문으로 강조하는 말이 주어이므로 whom
을 that 또는 who로 고쳐야 한다.
2
저기에 버스가 온다.
10 정답 및 해설
문법으로 직독직해
GrAmmAr
pp. 42—43
1 It was then that[when] I noticed Monsieur Hamel’s
blue coat.
2 ④
A ⑤
B
C ④
D
1 ② 2 ⑤
A
|해석| 이 작은 책은 우리 마을 사람들에게는 정말로 중요하다. 그
것은 ‘마실 수 있는 책’이라고 불린다. 당신은 실제로 그 책을 마실
수는 없지만, 그것을 필터로 사용할 수 있다. 그냥 한 페이지를 뜯
어내서 그 위에 더러운 물을 부어라. 물이 그 페이지를 통과하면
서, 깨끗한 마실 물로 바뀐다. 당신이 마실 수 있는 것은 바로 이
여과된 물이다. 이것은 책이 특별한 여과지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answers&explanations
가능하다.
• 주어진문장은‘여과된물(this filtered water)’을강조하는문장
이므로더러운물이특별한여과지를통과하면서깨끗한마실물
로바뀐다는내용다음에들어가는것이알맞다.
B
|해석| 그날아침나는수업에늦었다.창문을통해나는학급친구
들이제자리에앉아있고Hamel 선생님이초조하게교실을돌아
다니시는것을보았다.나는낯선침묵속으로들어갔다.
놀랍게도Hamel 선생님은화난기색이전혀없이나를보시고
자상하게말씀하셨다.“Frantz야,네자리로가라.너없이수업을
시작할뻔했구나.”
나는내책상에앉았다.나는그때Hamel 선생님의파란색외투
를알아차렸다.선생님은특별한날에만입는외투를입고계셨다.
더구나교실전체도무언가이상했다.나는교실뒤에앉아있는
마을사람들을보고가장놀랐다.Hauser 할아버지가거기에계셨
고많은다른사람들도있었다.그들은모두슬퍼보였다.
1
2
과거시제이고시간의부사then 을강조하는문장이므로It
was then that[when]~으로쓴다.
④세번째단락의두번째줄에서“선생님은특별한날에만입
는외투를입고계셨다.”라고했다.
C
|해석| 여름마다나의가족은해안으로휴가를가곤했다.우리는
항상같은곳에가서똑같은작은게스트하우스에묵었다.우리는
2주동안머물며바다에서수영하고작은마을주위를돌아다니곤
했다.다시말해서,그런휴가에서우리는특별한일을하지않았
고정말아무일도일어나지않았다.
• 여름마다해안으로휴가를갔다는의미로과거의습관을나타내
는「used to+동사원형」이알맞다.
D
|해석| 하루하루갈수록,Helen은시카고에서열리는리그의본심
사에서떨어질까봐걱정되었다.그녀는또한시카고까지혼자여행
하는것이걱정되었는데,시카고는집에서멀리떨어진곳이었다.
Helen은남은인생을자신의결정을후회하며보내왔다.텔레비
전에서야구경기를볼때,그녀는종종“나는시카고에갔어야했
어.모든꿈은추구할가치가있어,비록일부만이루게되더라도
말이지.절대기회를놓치지마라.”라고말한다.
1
②Helen이기차를타고어디론가여행을갈예정이었는지에
관해서는알수없다.
①Helen은그녀의성공을확신하지못했다.
②Helen은기차로어딘가를여행할예정이었다.
③Helen은혼자먼거리를여행하는것을두려워했다.
④Helen은시카고에가지않기로결심했다.
⑤Helen은평생동안자신의결정을후회해왔다.
2
ⓔ과거에하지못한일에대한후회는「should have +과거분
사」로쓴다.→gone
본심사가있는날이되었을때,그녀는너무두려워서갈수없었다.
06
내신 대비 문법 실전 문제
Grammar
pp. 44—49
29 ⑴ So do I. ⑵ Neither do I.
01 ① 02 ④ 03 ③ 04 ④ 05 ⑤ 06 ⑤ 07 ②
08 ③ 09 ⑤ 10 ② 11 ② 12 ④ 13 ⑤ 14 ②
15 ④ 16 ② 17 ④ 18 ⑤ 19 ② 20 ④, ⑤
21 ③, ④ 22 ① 23 ②, ④ 24 ② 25 ③ 26 ④
27 ③
28 must have left
30
⑴ It was last Sunday that[when] I met Alicia. ⑵ Bora did
understand how you felt. ⑶ Seldom has he heard such a
31 wearing a suit in the hot sun might
beautiful voice.
have made him impatient
32 ⑴ It was Ann that[who] ate
the pizza this afternoon. ⑵ It was the pizza that[which] Ann
ate this afternoon.
34 ⑴ I
would rather stay home than go out. ⑵ You had better not
stay here any longer.
35 it was literature that[which] he
loved most
33 cannot[can’t] have gone
01
02
03
04
05
would rather A than B는‘B하느니차라리A하는게낫다’는
뜻으로빈칸에than이알맞다.
긍정문에대한동의이므로「so +조동사+주어」의형태로쓴다.
like는일반동사이고Laura는3인칭단수이므로does가알맞다.
would rather A than B는prefer A to B와바꿔쓸수있다.
「It is[was]~that」구문을써서주어를강조할수있으며현재
시제이므로be동사는is가알맞다.
⑤는‘Jen이어제귀걸이를산것은확실했다.’라는뜻으로,It은
가주어이고that 이하가진주어이다.
①Jen은어제그귀걸이를정말로샀다.
②Jen이그귀걸이를산것은바로어제였다.
③어제귀걸이를산것은바로Jen이였다.
④Jen이어제산것은바로귀걸이였다.
⑤「be used to +동사원형」은‘~하기위해사용되다’라는뜻으
로내용상어울리지않는다.is used to를‘~하곤했다’라는뜻의
used to로고치거나,get을getting으로고쳐‘~하는데익숙하
다’라는뜻이되도록해야한다.
07
「be used to +동사원형」은‘~하기위해사용되다’라는뜻이고,
「used to +동사원형」은‘~하곤했다,(예전에)~이었다’라는뜻
이다.
08
과거사실에대한단정적추측은‘~했음에틀림없다’라는뜻의
「must have +과거분사」를써서나타낸다.
나는그녀가지름길로갔다고확신해.
09
⑤「used to +동사원형」은과거의상태나습관을나타내고현재
완료시제는과거부터현재까지계속되는일을나타낸다.
Ellen은어렸을때런던에살았다.≠Ellen은어린시절부터런
던에살고있다.
정답 및 해설 11
10
11
12
13
14
15
20
21
22
첫문장은긍정문에대한동의이고주어가his sisters로복수이
므로do, 두번째는부정문에대한동의이므로neither, 마지막
은긍정문에대한동의이고앞에조동사can이쓰였으므로빈칸
에can이알맞다.
ⓐ「may have +과거분사」:~했을지도모른다,has →have
ⓒ「cannot[can’t]have +과거분사」:~했을리가없다,wrote
→written
부정어 never를 강조하여 문장 첫머리로 보내면 「부정어
+have +주어+과거분사」의어순이된다.
‘~하지않는것이좋다’는「had better not +동사원형」을써서
나타낸다.
ⓒ「It ~that」강조구문은동사를강조할수없다.동사는do/
does/did를써서강조한다.ⓓ강조어가주어Jenny이므로
whom을who 또는that으로고쳐야한다.
④부정어가문장의첫머리에오면「부정어+have +주어+과거
분사」의어순으로써야하므로Never have I seen으로고쳐야
한다.
16
현재완료시제긍정문에대한동의는「so +have/has +주어」로
할수있다.
17
④는‘하다’라는의미의일반동사이고나머지는모두강조의조
동사이다.
①나는그것이얼마나중요한지정말로알고있다.
②그는네졸업식에정말로왔다.내가그를보았다.
25
26
27
28
29
30
④그녀가첫책을출판한것은바로2010년이었다.
⑤그가포기하도록만든것이바로그의결정이었어?
23 ②do →does ④be →been
24
「It ~that」강조구문으로,첫번째빈칸에는강조하는말이
studying이므로that이알맞고,두번째빈칸에는시간의부사구
(while playing)를강조하고있으므로that이나when이알맞다.
첫번째빈칸:앞에나온문장에조동사can이있으므로동의하
는문장을쓸때도조동사can을쓴다. / 두번째빈칸:앞문장의
동사가일반동사의과거형이므로조동사did를쓴다. / 세번째
빈칸:앞에나온부정문에대해동의하는문장이되어야하므로
neither가알맞다.
④「It is possible that +주어+과거형동사」는과거사실에대
한추측으로「may[might]have +과거분사」(~했을지도모른
다)의의미이다.「should have +과거분사」는과거에하지못한
일에대한후회나유감을나타낼때쓴다.
그는많이연습했을지도모른다.≠그는많이연습했어야했다.
have to의과거형had to(~해야했다)와충고를나타내는had
better(~하는것이좋다)가쓰인문장이다.
강한추측을나타내는「must have +과거분사」(~했음에틀림없
다)가알맞다.
⑴은긍정문에대한동의이므로So do I.가알맞고,⑵는부정문
에대한동의이므로Neither do I.가알맞다.
⑴강조할부분을It was와that 사이에넣고나머지부분은that
③그초콜릿케이크는정말맛있었다.
절에그대로쓴다.
④그는우리를돕기위해할수있는모든일을했다.
⑤나는어젯밤에미나에게편지를보낼것을정말로잊어버렸다.
18
My sister can’t have eaten all the cookies without me.로쓸
수있다.
⑵동사를강조할때는「do/does/did +동사원형」을이용한다.
⑶강조를위해부정어가문장첫머리에오면「부정어+have +
주어+과거분사」의어순으로쓴다.
31
|해석| 심사당일모든규칙이정장을입은나이든남자에의해
19
ⓐ「장소의부사+동사+주어」의어순으로알맞다.ⓑ장소의
설명되었는데,그는무척진지하고불친절하게들렸다.뜨거운
부사를문장첫머리로보내더라도주어가대명사일경우에는도
태양아래정장을입고있는것이그를짜증나게만들었을지도
치되지않으므로There he goes.가옳은문장이다.
강조구문으로바꾸면It was in the kitchen that[where]I
found her ring.이된다.장소를강조하므로when은쓰이지않
는다.「It ~that」강조구문에서동사found가그대로쓰이므로
did는쓰이지않는다.
평서문의어순으로쓰거나「부정어+조동사+주어+동사원형」
의어순으로도치하여쓴다.
<보기>와①은It이가주어이고that 이하가진주어인구문이다.
②는대명사이고,나머지는모두「It ~that/who」강조구문이다.
<보기>상황이악화되고있다는것은분명하다.
①그녀가결코다시전화를하지않는다는것은이상하다.
모른다고그녀는생각했다.그날,Helen은여러다른젊은여성
들과함께몇시간동안야구를했다.그녀는자신의야구꿈을
좇아가게되어신이났다!
• 「may[might]have +과거분사」는‘~했을지도모른다’라는뜻
으로,과거사실에대한추측을나타낸다.
32
33
It was와that 사이에각각주어인Ann과목적어인the pizza를
넣어문장을완성한다.
B는Cindy가짧은시간에그렇게멀리간것이불가능하다는말
에동의하고있으므로,과거사실에대한부정적추측을나타내
는「cannot[can’t]have +과거분사」를이용한다.
⑴would rather A than B는‘B하느니차라리A하겠다’라는뜻
34
②나는그책을좋아한다.그것은내생일에받은아버지의선물
으로A와B에동사원형을쓴다.
⑵「had better +동사원형」은‘~하는것이좋다’라는의미로부
③그의목숨을구한것은바로경찰관이었다.
정형은「had better not +동사원형」으로나타낸다.
이다.
12 정답 및 해설
answers&explanations35
|해석| 동주는 중국 연변 근처에서 1917년에 태어났다. 어린 소
01
문제를 풀지 못했다고 했으므로 ‘공부를 더 열심히 했어야 했다’
년이었을 때 그는 운동을 좋아했고, 학교의 축구 선수였다. 그는
라고 후회하는 표현이 와야 한다.
또한 바느질하는 것을 무척 좋아해서 모든 친구들의 축구 유니
폼에 번호를 바느질해 주기도 했다. 그러나 그가 가장 사랑한 것
02
①은 ‘나는 학급 친구들에게 더 상냥했었다.’라는 의미로 지금과
는 다른 과거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현이고, 나머지는 모두 과거
은 문학이었다.
• 「It is[was] ~ that」 강조 구문을 이용한다. 과거시제이므
로 was를 사용하고, it was 와 that [which ] 사이에 강조어
literature를 쓴다.
에 대한 후회를 나타내는 표현이다.
03
과거에 대한 후회는 「should/shouldn’t +have +과거분사」로
나타낸다.
[04– 05]
교과서 대화문
CommuniCAtion
p. 51
B: 좀 더 말해 줄 수 있겠니?
A
B ⑤ C
1 can you tell me 2 shouldn’t have done
(D) ― (B) ― (A) ― (C)
A 1 A: 내가 무엇에 관해 말하는지 맞혀 봐.
B: 좋아. 시작해 봐.
A: 그것은 집에서 볼 수 있는 평범한 기계야.
B: 음, 내게 더 설명해 줄 수 있니?
A: 그것은 네가 옷을 세탁하는 것을 도와줘.
B: 이제 그게 뭔지 알겠어.
2 A: 내 컴퓨터가 바이러스에 걸렸어.
B: 어쩌다가 그랬니?
A: 모르는 사람에게서 온 이메일을 열었지. 그러지 말았어야 해.
B: 내가 너라면, 지금 바로 컴퓨터 서비스 센터에서 도움을 받
겠어.
B A: 점심에 팟타이를 먹자.
B: 팟타이? 그것에 관해 좀 더 말해 줄 수 있겠니?
A: 물론이야. 그것은 태국 음식이야. 그것은 볶음 쌀국수야.
① 그건 어떠니?
② 왜 그렇게 말하니?
③ 그것에 관해 어떻게 생각해?
④ 네가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 뭐니?
C (D) 무슨 일이야?
(B) 나는 벌에 쏘였어. 나는 벌집을 만지지 말았어야 해.
(A) 안됐구나. 내가 가서 약 좀 가져 올게.
(C) 고마워.
내신 대비 대화문 실전 문제
CommuniCAtion pp. 52—53
01 ② 02 ① 03 ⑤ 04 ③ 05 ③ 06 ④ 07 ⑤
08 ④ 09 ① 10 Can you tell me more about it
shouldn’t have cut
12 I should have read more books.
11
A: 새들이 요즘 힘겨운 때를 보내고 있다고 들었어.
A: 물론이지. 도시는 밤에 너무 밝아. 많은 새들이 길을 잃지.
B: 안됐다. 그들을 돕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있을까?
A: 응. 우선, 우리는 밤에 불필요한 불빛들을 꺼야 해. 또한, 우리
는 정기적으로 ‘어스아워(지구촌 전등 끄기 행사)’ 캠페인을
벌여야 해.
B: 좋은 지적이야.
04
주어진 문장은 ‘그들을 돕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있을
까?’라는 의미이므로 그렇다고 답하며 구체적인 행동을 알려주
는 말 앞에 오는 것이 알맞다.
05
빈칸 다음에 새들이 겪는 어려움을 자세히 알려주는 대답이 나
오는 것으로 보아, 추가 설명을 요청하는 표현이 들어가는 것이
알맞다.
① 그 얘기를 어디서 들었니? ②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 거니?
④ 그것에 관해 알고 싶지 않아. ⑤ 그들을 돌보는 것이 어때?
06
07
08
10
11
과거에 대한 후회는 「should/shouldn’t +have +과거분사」로
나타낸다.
Can you tell me more? / Can you explain it more?는 설명을
요청하는 표현이다.
(D) 내가 생각하고 있는 동물을 맞혀 봐. 그것은 귀여워. – (B)
그것에 관해 좀 더 설명해 줄 수 있겠니? – (A) 그것은 호주에 살
아. 그것의 이름은 K로 시작해. – (C) 이제 그게 뭔지 알겠어.
09
설명을 요청할 때 쓰는 표현으로 빈칸에 알맞은 것은 explain이다.
설명을 요청할 때는 Can you tell me more about it?을 쓴다.
A: 우리 버블티를 먹어 보자.
B: 버블티? 그것에 관해 좀 더 설명해 줄 수 있니?
A: 그것은 공 모양의 젤리가 들어 있는 차야.
과거에 대한 후회는 「should/shouldn’t +have +과거분사」로
나타낸다. cut을 써야 하므로 ‘자르지 말았어야 했는데’라는 뜻의
shouldn’t have cut이 알맞다.
정답 및 해설 13
A: 왜 우울한 얼굴을 하고 있니?
B: 내 머리가 마음에 들지 않아. 긴 머리를 자르지 말았어야 했어.
12
과거에 하지 못한 일에 대한 후회를 표현할 때 「should have +
과거분사」를 쓴다.
A: 중학교 생활을 돌아볼 때 가장 후회되는 것이 무엇이니?
B: 나는 더 많은 책을 읽었어야 했어. 고등학교에 가면 책을 읽을
시간이 없을까 봐 걱정돼.
Review Test
pp. 54—56
02 ② 03 ④, ⑤ 04 ① 05 ⑤
01 (e)ndangered
06 ⑤ 07 ② 08 ④ 09 ④ 10 ④ 11 ② 12 ③
13 ② 14 ② 15 ④ 16 ③ 17 ① 18 ①, ③
19 People in the past used to believe that the Earth was flat.
20 I would rather not say anything more about it.
21 were
23 It
lots of coins
was at the age of five that[when] Helen began her acting
24 Everyone do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25 ⑴ must have been ⑵ must have broken
22 could he control his temper
01
‘위험에 처한, 멸종 위기의’라는 의미의 endangered가 알맞다.
• 검은코뿔소는 멸종 위기의 동물들 중 하나이다.
• 멸종 위기의 종(種)이란 가까운 미래에 멸종될 가능성이 높은
종이다.
02
‘한 곳에 살거나 자라는 식물이나 동물의 무리’는 ② colony(군락,
군집)이다.
03
④ had not better → had better not ⑤ she was → was she
04
「used to/would +동사원형」은 과거의 습관을 나타낸다.
<보기> Cindy는 예전에 고기를 많이 먹었지만, 지금은 채식주의자
이다.
① 우리는 큰 파도에서 서핑을 하곤 했다.
② 그는 문자를 보내는 것보다 전화하는 것을 선호한다.
③ 나는 이 상황을 피하고 싶다.
④ 너는 의사에게 가 보는 것이 좋겠다.
⑤ 우리는 차라리 진실을 말하겠다.
08
부정문에 대한 동의는 「neither+조동사+주어」의 어순으로 쓴다.
09
10
「should have +과거분사」는 과거에 하지 못한 일에 대한 후회
나 유감을 나타낸다.
④는 It이 가주어이고 that 이하가 진주어인 구문이고, 나머지는
모두 「It ~ that」 강조 구문이다.
① 대회에서 진 것은 바로 우리 팀이었다.
②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네 건강이다.
③ 그녀가 어린 시절 대부분을 보낸 곳은 바로 시애틀이었다.
④ 그가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했다는 것은 충격적이다.
⑤ 내 남동생이 사랑에 빠진 사람은 바로 Judy였다.
11
‘~도 그렇다’라는 의미를 나타낼 때 앞 문장이 긍정문이면
「so +be동사/조동사+주어」를 쓴다. 앞에 현재시제의 일반동사
가 쓰였고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does가 알맞다.
12
there로 시작하는 도치 구문으로 「부사(There) +be동사(are)
+주어(some people)」의 어순이 되어야 한다.
13
문맥상 상대방에게 설명을 요청하는 표현인 ②가 들어가는 것이
알맞다.
A: 네 이야기는 무엇에 관한 거니?
B: 자연의 미래야.
A: 그것에 대해 좀 더 말해 줄 수 있니?
B: 북극 지역에 사는 멸종 위기의 동물들에 관한 거야.
① 너는 그것에 관해 글을 쓰는 것을 좋아하니?
③ 너는 네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니?
④ 너는 기사를 어떻게 쓰는지 아니?
⑤ 너는 북극 지역에 가 본 적이 있니?
14
15
ⓓ 부정문에 대한 동의이므로 「neither +be동사+주어」의 어순
으로 쓴다. Kate was → was Kate ⓔ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does를 이용하여 동사를 강조한다. do happen → does happen
첫 번째 빈칸에는 will의 과거형 would, 두 번째 빈칸에는 ‘~하
곤 했다’라는 뜻으로 would 또는 used to, 세 번째 빈칸에는 are
used to(~하기 위해 사용되다), 네 번째 빈칸에는 had better(~
하는 것이 좋다)의 had가 들어가야 한다.
• 그는 그녀가 그의 제안을 수락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 그는 자주 피시방에 가곤 했다.
05
⑤는 ‘나는 그녀에게 편지를 보낼 필요가 없었다.’라는 의미로 불
• 수레는 무언가를 나르는 데 쓰인다.
필요를 나타내는 표현이고, 나머지는 모두 후회를 나타내는 표
• 너는 여기 머무르지 않는 게 좋겠다.
현이다.
06
07
과거 사실에 대한 강한 부정적 추측은 「cannot[can’t] have +과
거분사」로 쓴다.
「It is[was] ~ that」 강조 구문을 이용한다. 과거시제이므로 동사
는 was가 알맞다.
16
ⓐ 장소의 부사구가 문장 맨 앞으로 가는 경우 「부사구 +동
사+주어」의 어순으로 쓴다. → On the street beg homeless
people. ⓑ 「부정어(구)+조동사+주어+동사원형」의 어순으로
쓴다. helps → help ⓔ 현재완료 부정문에 대한 동의를 나타내
야 하므로 So do we.가 아닌 Neither have we.로 쓴다.
14 정답 및 해설
answers&explanations17
18
첫 번째 문장은 「It(가주어) ~ that(진주어)」 구문의 that, 두 번
째 문장은 「It ~ that」 강조 구문의 that이 알맞다.
• Jennifer가 그 영화를 만들었다는 것은 사실이었다.
• 공항으로 그를 마중나간 것은 바로 Beth였다.
② calling → called ④ must rain → must have rained ⑤ be
→ have
19
과거의 상태나 습관을 나타낼 때는 「used to +동사원형」을 쓴다.
20
‘~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는 「would rather not +동사원형」으로
써야 한다.
21
「장소의 부사구(in the pond) +동사+주어」의 어순이다.
22
「부정어(hardly)+조동사(could)+주어+동사원형」의 어순이다.
23
과거시제이므로 「It was ~ that[when]」 강조 구문을 이용하여
시간의 부사구를 강조한다.
24
동사를 강조할 때는 「do/does/did+동사원형」을 이용한다.
25
「must have +과거분사」는 ‘~했음에 틀림없다’라는 뜻으로 과거
사실에 대한 단정적 추측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⑴ 두 사람이 있었음에 틀림없다.
⑵ 그들이 보안 카메라를 부쉈음에 틀림없다.
Lesson 3 The More, the Merrier
교과서 어휘
VoCABulAry
p. 59
3 injured
4 provide
A
B
C
2 reminds
6 personality
1 celebrate
5 invitation
2 is, better off
1 can afford to
4 keep, from 5 Sooner or later
3 behave
2 youth
1 chore
3 got closer to
4 prevent
A 1 우리는 졸업식을 축하하기 위해 모였다.
2 어떤 냄새는 나의 어린 시절을 상기시킨다.
3 그 유명한 축구 선수는 월드컵에서 부상을 입었다.
4 화산은 경작을 위한 비옥한 땅을 제공할 수 있다.
5 Andrew는 Amy에게 저녁 초대를 받았다.
6 두 자매는 닮아 보이지만 성격은 다르다.
교과서 문법
GrAmmAr
p. 61
A
B
C
2 fewer
7 farther
5 the best
3 so → as
3 most popular
2 highly → high
6 more attractive
1 more powerful
4 faster
1 little → less
4 possibly → possible
6 more → much
1 Money is not as precious as love.
2 The living room is three times larger than my room.
3 Fair play is as important as the result.
4 We should use fuel as efficiently as possible for the Earth.
5 wiser → wisest
A 1 행동은 말보다 더 강력하다.
비교급 문장으로 powerful의 비교급은 more powerful이다.
2 영어는 한국어보다 단어가 더 적다.
비교급 문장으로 few의 비교급은 fewer이다.
3 스마트폰은 십 대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기기이다.
최상급 문장으로 popular의 최상급은 most popular이다.
4 빛은 소리보다 더 빠르게 이동한다.
비교급 문장으로 fast의 비교급인 faster가 알맞다.
5 그 여행은 내 인생 최고의 경험이었다.
최상급 문장으로 good의 최상급인 the best가 알맞다.
6
새 책은 옛날 책보다 더 매력적으로 보인다.
attractive의 비교급은 more attractive이다.
우리는 그 다리보다 더 멀리 가지 않기로 결정했다.
‘더 멀리’의 의미는 far의 비교급인 farther이다.
B 1 이 산길은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덜 가파르다.
비교급 문장으로 little의 비교급은 less이다.
2 그녀의 월급은 내 것만큼 높지 않다.
「as +원급+as」의 원급 비교이고, ‘높은’이라는 의미의 high가
알맞다.
3 내 여행 가방은 네 것보다 두 배 더 무겁다.
‘두 배로 더 ~한’은 「twice as +원급+as」로 표현할 수 있으므
로 as가 알맞다.
4 우리는 그것을 가능한 한 빨리 고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가능한 한 빨리’는 as soon as possible이다.
5 그의 결정은 이 상황에서 가장 현명했다.
wise의 최상급은 wisest이다.
6 Kelly는 예전만큼 많이 먹지 않는다.
양을 나타내며 ‘~만큼 많이’는 as much as이다.
2
C 1 ‘A는 B만큼 ~하지 않다’는 「A ~ not as +원급+as B」이다.
‘A는 B보다 ~배 더 …하다’는 「A ~ 배수사+as +원급+as
B」 또는 「A ~ 배수사+비교급+than B」이다.
3 ‘A는 B만큼 …하다’는 「A ~ as +원급+as B」이다.
7
정답 및 해설 15
4
‘가능한 한 ~한/하게’는 「as +원급+as possible」 또는 「as +
원급+as +주어+can [could]」이다.
교과서 문법
GrAmmAr
p. 63
A
B
C
5 much
4 harder
3 easiest
8 is
2 to
7 student
2 faster than
5 more important
1 busier
6 people
1 funniest
4 more
1 There is nothing more valuable than health.
2 It was the worst food I’ve ever tasted.
3 No other language is more difficult than Arabic.
4 Cancer is deadlier than any other disease.
3 worse, worse
6 smartest
A 1 홍콩은 세계의 다른 어떤 도시보다 더 바쁘다.
비교급을 이용한 최상급 표현으로 busier가 알맞다.
6
2 Johnson 씨는 축구를 하는 것보다 보는 것을 더 좋아한다.
prefer가 비교급으로 올 경우 than 대신 to를 쓴다.
3
마스크를 쓰는 것은 건강을 유지하는 가장 쉬운 방법들 중 하
나이다.
‘가장 ~한 … 중 하나’는 「one of the +최상급+복수 명사」이
므로 easy의 최상급인 easiest가 알맞다.
4 네가 열심히 일할수록, 돈을 더 많이 번다.
「The +비교급 ~, the +비교급 …」은 ‘~할수록, 더 …하다’의
의미로 hard의 비교급인 harder가 알맞다.
5 그 아기는 전보다 훨씬 더 크게 울고 있다.
비교급을 강조할 때는 much를 쓴다.
그녀는 그 당시에 가장 영향력 있는 사람 중 한 명이었다.
‘가장 ~한 … 중 하나’는 「one of the +최상급+복수 명사」이
므로 people이 알맞다.
7 Tom은 학급의 다른 어떤 학생보다 더 키가 크다.
「비교급+than any other+단수 명사」이므로 student가 알맞다.
8 인류의 가장 위대한 발명 중 하나는 인터넷이다.
「one of the +최상급+복수 명사」가 주어로 쓰이면 단수 취급
한다.
B 1 그것은 내가 들었던 것 중 가장 웃긴 농담이다.
최상급 표현으로 funny의 최상급인 funniest가 알맞다.
2 치타는 육지의 다른 모든 동물보다 더 빠르다.
비교급을 이용한 최상급 표현으로 fast의 비교급 faster 다음에
‘~보다’를 의미하는 than이 알맞다.
16 정답 및 해설
2
3
4
3 세계 경제 위기는 점점 더 악화되고 있다.
‘점점 더 ~한’은 「비교급+and +비교급」으로 나타낸다. bad
의 비교급은 worse이다.
4 사람들은 더 많이 소유할수록 더 많이 원한다.
「The +비교급 ~, the +비교급 …」은 ‘~할수록, 더 …하다’의
의미로 many의 비교급인 more가 알맞다.
5 교육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
비교급을 이용한 최상급 표현이므로 important의 비교급인
more important가 알맞다.
6 William은 모든 학생 중에 가장 똑똑한 소년이다.
‘모든 학생 중에 가장 똑똑한’의 최상급 문장이므로 smart의 최
상급인 smartest가 알맞다.
C 1
‘~보다 더 …한 것은 없다’는 「There is nothing +비교급
+than ~」으로 쓸 수 있다.
‘~한 것 중 가장 …한’은 「the +형용사 최상급+명사(+that)
+주어+have [has] ever +과거분사」로 나타낸다.
「No (other) +단수 명사 ~ 비교급+than ...」으로 최상급을
표현할 수 있다.
‘다른 어떤 ~보다 더 …한’은 「비교급+than any other +단수
명사」로 나타낸다.
문법으로 문장 쓰기
GrAmmAr
pp. 64—65
Grammar Quiz
1 원급, 원급, more, most
3 비교급, 비교급 4 even, still
2 원급, possible, can[could]
5 단수 명사, 복수 명사
A
1 Mars is farther from the Sun than the Earth.
2 This backpack is much [even, still, a lot, far 등] smaller
than that one.
3 Mr. Smith is more generous than any other man.
4 The night air is getting colder and colder.
5 That vehicle is twice as big as this one.
6 Nothing is more valuable than truth.
2 faster
1 less, than
1 The harder you exercise, the healthier you become.
2 She performed her task as quickly as possible.
3 Water is the most essential resource on Earth.
4 It was the most impressive lecture I’ve ever attended.
5 An earthquake is one of the most dangerous natural
3 sweeter than, other
disasters.
6 Actions speak louder than words.
B
C
answers&explanationsD
1 The movie is far better than the original novel.
2 Bungee jumping is more thrilling than any other
3 The instruction manual is not
outdoor activity.
as [so] complicated as it looks.
4 The higher you set
your aim, the more you achieve.
5 Your drawing skill
is superior to mine.
A 1 화성은 지구보다 태양으로부터 더 멀리 있다.
거리를 비교할 때 far의 비교급으로 farther를 쓴다.
2 이 배낭은 저것보다 훨씬 더 작다.
very는 원급을 수식하고, 비교급은 much, even, still, a lot,
far 등의 부사로 강조한다.
3 Smith 씨는 다른 어떤 사람보다 더 관대하다.
비교급을 이용한 최상급 표현으로 any other 뒤에는 단수 명
사가 온다.
4 밤공기가 점점 더 차가워지고 있다.
‘점점 더 ~한/하게’는 「비교급+and +비교급」으로 나타낸다.
cold의 비교급은 colder다.
5 저 차량은 이것보다 두 배 더 크다.
「배수사+as +원급+as」이므로 big이 알맞다.
6 진실보다 더 가치 있는 것은 없다.
비교급을 이용한 최상급 표현으로 most를 more로 고친다.
B 1 새로운 시스템은 이전 것만큼 효율적이지 않다.
= 새로운 시스템은 이전 것보다 덜 효율적이다.
‘~보다 덜 효율적인’은 less efficient than이다.
2 그는 다른 사람들보다 세 배 더 빨리 그 프로젝트를 끝냈다.
「배수사+as +원급+as」는 「배수사+비교급+than」으로 바
꿔 쓸 수 있다.
3 다른 어떤 과일도 망고만큼 달콤하지 않다.
= 망고는 다른 어떤 과일보다 더 달콤하다.
비교급을 이용한 최상급 표현으로, sweet의 비교급인 sweeter
다음에 than any other가 알맞다.
C 1
‘~할수록, 더 …하다’는 「The +비교급 ~, the +비교급 …」의
형태로 쓴다.
‘가능한 한 ~한/하게’는 「as +원급+as possible」 또는 「as +
원급+as +주어+can [could]」의 형태로 쓴다.
‘가장 ~한’은 「the +최상급」의 형태로 쓴다.
‘~한 것 중 가장 …한’은 「the +형용사 최상급+명사(+that)
+주어+have [has] ever +과거분사」의 형태로 쓴다.
‘가장 ~한 … 중 하나’는 「one of the +최상급+복수 명사」의
형태로 쓴다.
2
3
4
5
D 1 far는 비교급을 강조하는 부사로 비교급 앞에 온다.
2
3
4
‘다른 어떤 ~보다 더 …한’은 「비교급+than any other +단수
명사」의 형태로 쓴다.
‘~만큼 …하지 않은’은 「not as [so]+원급+as」의 형태로 쓴다.
‘~할수록, 더 …하다’는 「The +비교급 ~, the +비교급 …」의
형태로 쓴다.
5
superior가 비교급으로 올 경우 than 대신 to를 쓴다.
문법으로 직독직해
GrAmmAr
pp. 66—67
A ② B 1 ⑤ 2 The more books we share, the more
we learn. C 1 ① 2 greater, largest
3 ①
A
|해석| 상자 안에는 새끼 고양이 한 마리가 들어 있었다. “Antonio
가 우리에게 매우 귀한 고양이들을 줬는데, 이제 새끼 고양이 몇
마리가 생겼어요.”라고 여왕이 말했다. “당신이 우리에게 준 멋진
선물에 보답하는 뜻에서, 우리에게 가장 값진 것을 당신에게 드리
고 싶어요.”
여왕의 생각에는 세상의 온갖 보석보다 새끼 고양이가 훨씬 더 가
치 있다는 것을 Luigi는 깨달았다. 그는 선물에 대해 기뻐하는 표정
을 지으려고 애썼다. 그게 올바른 행동이라는 것을 그는 알았다.
• worth는 서술적 용법으로만 사용되는 형용사로 이 문장에서는
보어로 쓰였다. 비교급을 강조하는 부사는 even, much, still,
far, a lot 등이 있고 more than all the jewels 앞에 쓴다.
B
|해석| 책을 공유하는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우선, 온라인에 여러
분의 책을 등록하고 ID 번호를 얻으세요. 그다음, 그것을 공공장
소에 놓아두세요. 다음 독자가 여러분의 책을 발견해서 그 웹 사
이트에 다시 알릴 때, 여러분은 책이 어디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
니다. 이런 식으로, 전 세계가 하나의 큰 도서관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더 많은 책을 공유할수록, 우리는 더 많이 배웁니다.
1
책을 공유함으로써 전 세계가 하나의 큰 도서관이 된다는 내용
이 자연스럽다.
2
‘~할수록, 더 …하다’는 「The +비교급 ~, the +비교급 …」으
로 쓴다.
C
|해석| 화산이 지구에만 존재한다고 생각할지 모른다. 그러나 화
산은 화성이나 목성 같은 다른 행성에서도 발견되어 왔다. 사실
화성에 있는 Olympus Mons(올림푸스몬스)가 태양계에서 가장
크다고 알려진 화산이다. 그것의 부피는 지구에서 가장 큰 화산
Mauna Loa(마우나로아)의 부피보다 약 100배 더 크다.
매우 강력하고 위험하기 때문에, 화산은 여러 면에서 사람들에
게 해를 끼친다. 때로는 사람들이 다치거나, 집을 잃기도 한다. 작
정답 및 해설 17
6
‘~보다 더 …한/하게’는 「비교급+than」의 형태로 쓴다.
물이 파괴되거나, 항공 교통이 위협받을 수도 있다. 화산은 또한
세계 날씨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화산 분출은 다량의 화
② 돈은 시간보다 더 소중하다.
산재와 먼지를 공중으로 내뿜어, 태양 광선의 일부가 지구에 도달
③ 돈은 시간보다 덜 소중하다.
하는 것을 방해하고 그리하여 정상적인 기상 패턴을 깨트린다.
④ 시간은 돈만큼 소중하지 않다.
1
위 글은 화산이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고 있다는 내용이다.
⑤ 시간은 돈보다 덜 소중하다.
06
<보기>의 문장은 원급을 이용한 최상급 표현으로 ‘꿈만큼 멋진
① 화산은 인간에게 유익을 준다.
② 화산은 다른 행성에서 발견될 수 있다.
③ 올림푸스몬스는 태양계에서 가장 큰 화산으로 알려져 있다.
④ 화산은 사람을 다치게 하고 집과 농가를 파괴한다.
⑤ 화산은 날씨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2
3
「배수사+비교급+than」은 ‘~보다 …배 더 ~한’이라는 뜻으
로 great의 비교급인 greater로 쓴다. ‘가장 ~한’은 「the +최상
급」이므로 large는 largest의 형태가 알맞다.
화산이 날씨에도 심각한 영향을 준다고 언급했으므로 공기 중
에 분출된 다량의 화산재와 먼지가 태양 광선이 지구에 도달하
는 것을 방해하고 기상 패턴에도 나쁜 영향을 주는 것을 추측
할 수 있다.
내신 대비 문법 실전 문제
GrAmmAr
pp. 68—73
01 ② 02 ③ 03 ⑤ 04 ④ 05 ③ 06 ⑤ 07 ⑤
08 ⑤ 09 ③ 10 ⑤ 11 ③ 12 ⑤ 13 ③ 14 ③
15 ⑤ 16 ③ 17 ③ 18 ④ 19 ② 20 ④ 21 ③
22 ③ 23 ⑤ 24 ④ 25 ② 26 ② 27 ⑤
28 twice as big as
the lighter
amazing book that I have ever seen.
higher, less
than
Patience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win a war.
most comfortable
29 (1) the tallest (2) not as [so] heavy (3)
31 This is the most
32 (A) higher, less (B)
33 (A) the most precious (B) more precious
34 (A) You’re[You are] the strongest man in my army (B)
35 the
30 the most punctual
01
‘이 목걸이는 다른 어떤 보석보다 더 비싸다’라는 의미로 비교급
을 이용한 최상급 표현이다.
02
03
‘가장 마음이 따뜻한 사람’이라는 최상급 의미이므로 most가 알맞다.
Chris는 나의 반에서 마음이 가장 따뜻한 사람이다.
「as +형용사/부사의 원급 +as」 형태의 원급 비교 구문이다.
빈칸에는 주어를 수식하는 형용사 보어가 와야 하므로 부사
slowly는 어색하다.
04 very는 원급을 강조하는 부사이다.
상상력은 지식보다 훨씬 더 가치 있다.
05
「A ~ 비교급+than B」는 「B ~ less+원급+than A」나 「B ~
not as[so]+원급+as A」로 바꿔 쓸 수 있다.
<보기> 시간은 돈보다 더 소중하다.
① 시간은 돈만큼 소중하다.
18 정답 및 해설
것은 없다.’라는 의미이다.
① 꿈은 다른 것만큼 멋지다.
② 꿈은 가장 멋지지 않은 것이다.
③ 꿈은 가장 멋진 것 중 하나이다.
④ 꿈은 다른 어떤 것보다 덜 멋지다.
⑤ 다른 어떤 것도 꿈만큼 멋지지 않다.
07
⑤ 첫 번째 문장은 ‘이 노트북은 상점에서 가장 최신 모델이다.’
이고, 두 번째 문장은 ‘이 노트북은 상점에서 가장 최신 모델 중
하나이다.’이다.
① 타조는 기린보다 세 배 더 많이 잠을 잔다.
② 그녀는 가능한 한 천천히 그 소설을 읽었다.
③ 용기는 자신감보다 더 중요하다.
④ 그들은 다른 어떤 팀보다 더 연주를 잘했다.
08
09
10
11
12
‘가능한 한 ~한/하게’는 「as +원급+as possible」 또는 「as +원
급+as +주어+can [could]」으로 표현한다. 물은 셀 수 없는 명
사이므로 much를 쓴다.
첫 번째 문장은 비교급 구문이므로 more popular가 알맞고, 두
번째 문장은 최상급 구문이므로 most amazing이 알맞다.
• 나는 김밥이 빵보다 훨씬 더 인기 있다고 생각한다.
• 이것은 내가 읽은 것 중 가장 놀라운 책이다.
‘~할수록 더 …하다’는 「The +비교급 ~, the +비교급 …」으로
쓴다.
① → more beautiful ② → the most creative ④ → cleverer
⑤ → more and more
「one of the +최상급 +복수 명사」이므로 one of the most
visited tourist spots가 알맞다.
① 너는 말하는 것보다 두 배 더 많이 들어라.
② 그 화염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③ 그는 그의 형만큼 성공하지 못했다.
④ Kane은 그의 형제자매 중 가장 나이가 많다.
⑤ 나이아가라 폭포는 세계에서 관광객들이 가장 많이 방문하
는 곳 중 하나이다.
13
강과 호수의 깊이가 같으므로 원급 비교인 「as +원급+as」로 표
현할 수 있다.
• 이 강은 4미터 깊이다.
• 저 호수도 4미터 깊이다.
→ 이 강은 저 호수만큼 깊다.
14 This is the most difficult question (that) I’ve ever solved.
15
⑤를 제외한 나머지 문장은 모두 Mike가 가장 똑똑하다는 의미
answers&explanations
의 최상급 표현이다.
① 아무도 Mike만큼 똑똑하지 않다.
② Mike는 가장 똑똑한 사람이다.
③ 아무도 Mike보다 더 똑똑하지 않다.
④ Mike는 다른 어떤 사람보다 더 똑똑하다.
‘~할수록, 더 …하다’는 「The +비교급+주어+동사 ~, the +비
교급+주어+동사 …」로 쓴다.
많이 벌수록, 더 많이 쓴다.
③은 비교급을 이용한 최상급 표현으로 than이 알맞다. 나머지
는 모두 as를 쓴다.
① Judy는 Thomas만큼 부지런하지 않다.
② 그 상자를 가능한 한 깊이 묻어라.
16
17
③ 자연보다 더 창의적인 것은 없다.
④ 헌혈을 하는 것만큼 가치 있는 것은 없다.
⑤ 그것은 보이는 것만큼 맛있지 않다.
18
「as+원급+as+주어+could」는 「as+원급+as possible」로 바꿀
수 있다.
나는 가능한 한 많이 윗몸 일으키기를 하려고 노력했다.
19
ⓐ 「as +원급+as」이므로 fast ⓑ 비교급을 강조하는 부사로
much 또는 far ⓒ 최상급 표현이므로 most ridiculous가 알맞다.
ⓐ 다람쥐는 토끼만큼 빨리 달린다.
므로 most가 알맞다.
• 책은 가장 믿을만한 정보의 출처이다.
• 너에게 가장 인상적인 사진은 무엇이었니?
26 ⓑ 문장의 시제가 과거이므로 can은 could로 쓴다.
ⓓ 주어가 단수이므로 are는 is로 고친다.
ⓐ 그녀의 스페인어는 점점 더 나아지고 있다.
ⓑ Alice는 가능한 한 빨리 학교로 뛰었다.
ⓒ 래프팅보다 더 짜릿한 것은 없다.
ⓓ 가장 매력적인 장소 중 하나는 Maui이다.
ⓔ 이 소파는 저것보다 더 멋지다.
27
fast는 more 뒤에 올 수 없고, 맥락상 첫 번째 문장에 어울리지
않는다.
• 게으름만큼 나쁜[해로운] 것은 없다.
• 학교 축제는 다른 어떤 행사보다 성공적이였다[중요했다].
28
29
•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요즘 점점 더 중요해진다.
‘흰 개가 검은 개보다 두 배 더 크다.’는 의미로 twice as big as가
알맞다.
(1) Andy의 키가 가장 크므로 the tallest가 알맞다.
(2) 「not as [so]+원급+as」를 써서 ‘~만큼 …하지 않다’는 뜻을
나타낸다.
(3) 「The +비교급 ~, the +비교급 …」을 써서 ‘~할수록 더 …하
ⓑ 거북이는 다른 동물보다 훨씬 더 오래 산다.
다’는 뜻을 나타낸다.
ⓒ 그것은 내가 이제껏 들어 본 것 중 가장 터무니없는 생각이다.
30
20
비교급을 강조할 수 있는 부사는 even, much, still, far, a lot 등
이 있다.
빙하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빨리 사라지고 있다.
21
「No (other) +단수 명사 ~ as +원급+as」이므로 problem이 알
맞다.
31
① 책은 인간의 가장 친한 친구이다.
Kevin > Jessie > Matthew의 순으로 시간을 잘 지키므로 빈칸
에는 최상급인 the most punctual이 알맞다.
Jessie는 Matthew보다 시간을 더 잘 지킨다.
Kevin은 Jessie보다 시간을 더 잘 지킨다.
‘~한 것 중 가장 …한’은 「the +형용사 최상급+명사(+that) +
주어+have [has] ever +과거분사」의 형태로 쓴다.
|해석| 나무 - 책 - 나무 프로젝트
② 지진은 가장 파괴적인 자연 재해 중 하나이다.
이것은 제가 지금까지 본 것 중 가장 놀라운 책입니다. 여러분이
④ 정직한 삶보다 더 나은 것은 없다.
⑤ 학업은 스트레스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22
23
24
<보기>의 문장은 ‘Kate는 Bill보다 돈을 더 현명하게 쓴다.’는 뜻이다.
ⓐ Kate는 Bill만큼 돈을 현명하게 쓴다.
ⓑ Bill은 Kate만큼 돈을 현명하게 쓰지 않는다.
ⓒ Bill은 Kate만큼 돈을 현명하게 쓴다.
ⓓ Bill은 Kate보다 덜 현명하게 돈을 쓴다.
ⓔ Kate는 Bill보다 덜 현명하게 돈을 쓴다.
‘가장 ~한 … 중 하나’는 「one of the+최상급+복수 명사」로
나타낸다.
「There is nothing +비교급+than ~」은 「Nothing is +비교급
+than ~」으로 바꿔 쓸 수 있다.
사랑보다 더 강력한 것은 없다.
이 책을 다 읽은 후에, 그것을 심고 물을 주세요. 여러분은 책에서
새잎이 자라는 것을 보게 될 거예요. 우리 마을의 몇몇 서점에서,
여러분은 이 책 한 권이 새잎을 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2
「As+주어+동사+비교급, 주어+동사+비교급」 구문은 「The+
비교급 ~, the +비교급 …」으로 바꿔 쓸 수 있다. 그래프는 가격
이 오를수록 사람들이 덜 사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33
(A) ‘가장 소중한 것’은 the most precious이다.
(B) 비교급을 이용한 최상급 표현이다. more precious than이
알맞다.
선생님: 네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것은 무엇이니?
학생: 우정이 다른 어떤 것보다 더 소중해요.
34
|해석| Corky는 용감한 청년이었다. 그는 장군이 되기를 원했지
만 왕은 이렇게 말했다. “자네는 내 군대에서 가장 강한 전사이
25
‘가장 신뢰할만한’, ‘가장 인상적인’이라는 의미의 최상급 표현이
네. 하지만 자네는 아직도 배울 게 많아.” 왕은 Corky에게 유명
정답 및 해설 19
한 군사 학교에 갈 것을 명령했다.
01
②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상대방의 의견에 동의 또는 반대하
“거기서 기다려라. 훈련은 100일 후에 시작할 것이다.” 군사 학
는 표현이다.
교 안에서 이렇게 외치는 목소리가 들렸다. Corky는 화가 났다.
하지만 이유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기다렸다. 101일째 되던
A: 나는 아이들은 하루에 10시간 자야 한다고 생각해.
① 전적으로 동의해. ② 괜찮아. 해도 돼. ③ 네 의견에 동의하
날, 문이 열렸다. 한 노인이 이렇게 말했다. “너는 첫 번째 무기인
지 않아. ④ 전적으로 동의해. ⑤ 네 의견에 동의하지 않아.
‘인내’를 사용하는 법을 배운 것이다. 인내는 전쟁에서 이기기 위
02
여름과 겨울 중 어느 것을 더 좋아하는지 묻는 질문이므로 ④ ‘나
해 가장 중요한 것이다.”
35
(A) ‘가장 강한’의 의미이므로 최상급으로 쓴다.
(B) ‘가장 중요한 것’이라는 의미이므로 the most important를 쓴다.
「No other+단수 명사 ~ as+원급+as」는 ‘다른 어떤 ~도 …만
큼 -하지 않다’라는 뜻으로 최상급의 의미를 나타낸다.
교과서 대화문
CommuniCAtion
p. 75
[04– 05]
1 better, like, too
2 Which, or, more
A
B ④
C
(D)–(B)–(A)–(C)
A 1 A: 너는 더운 날씨와 추운 날씨 중, 어느 것을 더 좋아하니?
B: 나는 추운 날씨를 더 좋아해. 나는 높은 기온에 민감하거든.
들었는데.
A: 나는 더운 날씨를 더 좋아해. 나는 바다로 수영하러 가는 것
너는 어때?
을 좋아하거든.
C: 나도 그래.
2 A: 너는 축구와 야구 중, 어느 것을 더 좋아하니?
B: 나는 축구를 더 좋아해. 축구가 더 신나거든. 너는 어때?
A: 나는 야구를 더 좋아해. 나는 라이언스 팀의 열혈 팬이야.
C: 그러니? 나도 라이언스 팀의 열혈 팬인데.
B A: 나는 십 대들이 만화를 너무 많이 읽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해.
B: _____________ 만화는 재미있고 교육적일 수 있어.
① 전적으로 동의해. ② 네 의견에 동의해. ③ 전적으로 동의해.
④ 네 의견에 동의하지 않아. ⑤ 네 말이 맞아.
C
(D) 너는 오후 프로그램 결정했니? – (B) 아니, 아직 못했어. 너는
산행과 수영 중에 뭐가 낫다고 생각해? – (A) 숲에서 야생 조류와
곤충을 볼 수 있으니까 난 산행을 할 거야. – (C) 나도 같이할게.
나는 새와 곤충을 좋아하거든.
내신 대비 대화문 실전 문제
CommuniCAtion pp. 76—77
01 ② 02 ④ 03 ③ 04 ⑤ 05 ③ 06 ④ 07 ③
08 ③ 09 ⑤ 10 I prefer taking the subway.
11 You
can say that again. 12 Which do you like better, pandas [cats]
or cats [pandas]?
20 정답 및 해설
는 겨울이 더 좋아.’가 알맞다.
03
둘 중 더 좋아하는 것을 묻는 표현은 Which do you like better,
A or B?이다.
A: 혼자 공부하는 것과 친구랑 공부하는 것 중, 너는 어느 것을
더 좋아하니?
B: 나는 혼자 공부하는 것을 더 좋아해. 너는 어때?
A: 나는 친구랑 공부하는 것이 더 좋아.
A: Oliver, 넌 어느 동아리에 들어갈 거니?
B: 잘 모르겠어. 소라 너는?
A: 난 학교 춤 동아리에 가입하고 싶어.
B: 정말? 하지만 네가 애니메이션 고등학교를 준비하고 있다고
A: 그렇긴 한데, 좀 쉴 시간이 필요해. 우리 모두 스트레스를 극
복하려면 뭔가를 할 필요가 있잖아.
B: 전적으로 동의해.
A: 너 나랑 함께하는 게 어때? 재미있을 거야.
B: 고맙지만 사양할게. 춤은 내게 맞지 않아. 난 몸치야.
04
춤은 나와 맞지 않다고 했으므로 ‘나는 몸치야.’라는 문장 앞인
(E)가 알맞다.
05
‘전적으로 동의해.’라는 표현은 You can say that again.이다.
① 네 의견에 동의하지 않아. ② 네가 그걸 좋아하는지 몰랐어.
④ 잘됐다. ⑤ 그건 충분하지 않아.
06
둘 중 선호하는 것을 묻는 표현은 Which do you like better, A
or B?이다.
A: 패러글라이딩과 스카이다이빙 중, 너는 어느 것을 더 좋아해?
B: 나는 스카이다이빙을 더 좋아해.
07
밑줄 친 문장은 상대방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한다는 것이므로
③이 알맞다.
A: 나는 우리의 인생에서 가장 귀중한 자원은 시간이라고 생각해.
B: 전적으로 동의해.
08
(B) 우리 낡은 청바지로 가방을 하나 만드는 게 어떨까? – (D)
좋아! 어떤 종류의 가방을 만들 건데? – (A) 너는 어깨에 메는
가방과 손에 드는 가방 중에서 어느 것을 더 좋아하니? – (C) 나
는 어깨에 메는 가방이 더 좋아.
answers&explanations09
10
11
12
선호도를 묻는 Which do you prefer ~?는 Which do you like
better ~?로 바꿔 쓸 수 있다.
A: 너는 헝겊 인형과 디지털 예술품 중에서 어떤 것을 더 좋아하니?
B: 나는 디지털 예술품이 더 좋아.
「I prefer +선호하는 것」으로 쓴다.
A: 너는 버스 타기와 지하철 타기 중, 어느 것을 더 좋아하니?
상대방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한다고 말할 때는 You can say
that again.으로 할 수 있다.
A: 난 부모님이 우리에게 용돈을 일주일에 10,000원을 주셔야
05
한다고 생각해.
B: 전적으로 동의해.
C: 난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 그건 충분하지 않아.
D: 나도 동의해. 그들은 우리에게 적어도 일주일에 20,000원을
주셔야 해.
상대방이 어느 것을 더 선호하는지 물을 때는 Which do you
like better, A or B?로 묻는다.
A: 청바지로 뭐 하고 있니?
B: 너에게 줄 필통을 만들고 있어.
A: 멋지다! 그 위에 뭘 그릴 거야?
B: 너는 판다랑 고양이[고양이랑 판다] 중에서 어느 것을 더 좋
아하니?
A: 나는 고양이를 더 좋아해. 고양이는 사랑스러워.
Review Test
pp. 78—80
02 ② 03 ① 04 ④ 05 ① 06 ③
01 (i)nvitation
07 ① 08 ③ 09 ②, ④ 10 ③ 11 ① 12 ①, ③, ⑤
13 ② 14 ③ 15 ③ 16 ⑤ 17 ①
18 cleaner
expected.
21 as high as my brother
23 The hotter, the more
crowded cities in the world.
more familiar with this area.
19 The new novel is more fascinating than I
20 Antarctica is melting faster and faster.
22 healthier than Juliet
24 Seoul is one of the most
25 I am getting more and
01
• 너는 왜 그의 초대를 거절했니?
• 나는 나의 친한 친구로부터 초대 편지를 받았다.
빨리 음식을 먹었다.’로 해석한다.
② 그 영화는 점점 더 인기를 끌고 있다.
③ 내 휴대전화는 네 것보다 훨씬 더 안 좋다.
④ Juliet은 내 친구들 중에 가장 웃기다.
⑤ 이 도시는 서울만큼 붐비지 않는다.
04
액션 영화를 더 좋아한다고 했으므로 선호도를 묻는 ④가 알맞다.
① 코미디 영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
② 너는 액션 영화를 좋아하니?
③ 역대 최고의 액션 영화는 뭐니?
④ 너는 액션 영화와 코미디 영화 중, 어느 것을 더 좋아하니?
⑤ 액션 영화에 대해 좀 더 말해 줄 수 있니?
「not as [so]+원급+as」는 ‘~만큼 …하지 않은’이라는 뜻으로
Jenny가 Peter만큼 부지런하지 않다는 의미이다.
① Jenny는 Peter보다 덜 부지런하다.
② Peter는 Jenny보다 덜 부지런하다.
③ Peter는 Jenny만큼 부지런하다.
④ Peter는 Jenny만큼 부지런하지 않다.
⑤ Jenny는 Peter보다 더 부지런하다.
06
Tony는 30kg이고, Bill은 60kg이므로 Bill이 Tony보다 무게가
두 배 더 나간다는 ③이 알맞다.
07
①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흰긴수염고래는 가장 큰 동물이다.’
Tony는 30킬로가 나간다. Bill은 60킬로가 나간다.
① Bill은 Tony보다 몸무게가 덜 나간다.
② Tony는 Bill보다 몸무게가 더 나간다.
③ Bill은 Tony보다 몸무게가 두 배 더 나간다.
④ Tony는 Bill만큼 무겁다.
⑤ Tony는 Bill보다 더 무겁다.
라는 최상급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① 어떤 동물도 흰긴수염고래만큼 크다.
② 흰긴수염고래는 가장 큰 동물이다.
③ 어떤 동물도 흰긴수염고래보다 더 크지 않다.
④ 어떤 동물도 흰긴수염고래만큼 크지 않다.
⑤ 흰긴수염고래는 다른 어떤 동물보다도 더 크다.
08
‘~할수록’, 더 …하다’는 「The+비교급 ~, the+비교급 …」이므
로 ③ best는 better가 알맞다.
네가 다른 사람들을 더 많이 생각할수록 그들을 더 잘 이해한다.
09
최상급 표현은 ②, ④이다. ③은 여러 명 중에 한 명을 가리킨다.
① 클로드 모네는 반 고흐보다 더 위대하다.
② 클로드 모네는 가장 위대한 화가이다.
③ 클로드 모네는 가장 위대한 화가들 중 한 명이다.
10
‘가능한 한 ~한/하게’는 「as+원급+as+주어+can[could]」이
고, ‘~보다 …배 더 ~한’은 「배수사+as+원급+as」이다.
• 나는 가능한 한 빨리 내 프로젝트를 끝냈다.
• Jennifer는 평상시보다 저녁을 세 배 더 많이 먹었다.
정답 및 해설 21
02
‘어떤 일이 일어나는 것을 막다’라는 뜻의 단어는 ② prevent이다.
④ 어떤 화가도 클로드 모네보다 더 위대하지 않다.
03
① 「as +원급+as」의 형태로 fast를 써야 하며, ‘그는 가능한 한
⑤ 클로드 모네는 반 고흐만큼 위대하다.
11
ⓔ ‘저 다리보다 두 배 더 넓은’의 뜻이므로 widely → wide가 알
맞다.
Lesson 4 The Museum Was
ⓐ 죽음만큼 무서운 것은 없다.
ⓑ 빙하가 점점 더 작아지고 있다.
ⓒ 주중에서 가장 지루한 날은 월요일이다.
ⓓ 전등은 양초보다 훨씬 더 밝다.
12
비교급을 강조할 수 있는 부사는 even, much, still, far, a lot 등
이 있다.
Tom은 내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잘생겼다.
13
B가 ‘십 대들은 그렇게 많이 잘 수 없어.’라고 말하는 것으로 보
아 B는 A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A: 난 십 대들은 하루에 8시간을 자야 한다고 생각해.
B: 네 의견에 전혀 동의하지 않아. 십 대들은 그렇게 많이 잘 수
Still Being Built
교과서 어휘
VoCABulAry
p. 83
A
B
C
2 attacked
1 vote
5 increased
1 impressed by [with]
3 be made up of
1 border
2 defense
3 charge
4 account
2 arguing over
4 a good reason
5 ashamed of
3 treatment
4 repay
없어.
15
16
14
‘가장 재능이 뛰어난’은 최상급인 the most talented로 쓴다.
3 증거 없이 누구도 기소할 수 없다.
파란 귀걸이가 빨간 귀걸이보다 가격이 세 배 더 비싸다.
4 Evans 씨는 신규 계좌를 개설하러 은행에 갔다.
(A) brilliant의 비교급은 more brilliant이다.
(B) 둘 중에 어느 것이 더 중요한지 비교하며 묻는 말로 more
증가했다.
5
그 도시의 인구는 지난 십 년 동안 100만 명에서 150만 명으로
A 1 너는 지난 선거에서 누구에게 투표했니?
2 그 사냥꾼은 몇 마리의 코요테에게 공격당했다.
18
‘아이슬란드보다 더 깨끗한 나라는 없다.’라는 의미로 비교급을
현재완료 수동태는 「have/has +been +과거분사」로 쓴다.
A 1
목수는 작은 성을 지었다. → 작은 성이 목수에 의해 지어졌다.
important가 알맞다.
(C) ‘가능한 한 많이’는 as much as possible이다.
• Tim보다 더 똑똑한 사람은 없다.
• 돈과 건강 중, 어느 것이 인생에서 더 중요하니?
• 가능한 한 많이 웃으려고 노력해라.
17
혼자 일을 하는 것과 팀으로 일을 하는 것 중 어느 것이 더 좋은
지 묻는 A의 질문에 다른 사람들을 신경 쓰고 싶지 않다고 말
했으므로 혼자 일하는 것을 더 좋아한다고 답하는 것이 자연스
럽다.
② 나는 팀으로 일하는 게 더 좋아. ③ 전적으로 동의해. ④ 나
는 같은 것을 좋아해. ⑤ 나는 계획 없이 일하는 것을 좋아해.
이용한 최상급 표현이다. clean의 비교급은 cleaner이다.
19 비교급 문장이므로 fascinating 앞에 more을 쓴다.
새 소설은 내가 예상했던 것보다 더 매력적이다.
20
‘점점 더 빠르게’는 faster and faster이다.
남극 대륙은 점점 더 빠르게 녹고 있다.
21 원급 비교이므로 「as +원급+as」로 쓴다.
22 healthy의 비교급은 healthier이다.
23
‘~할수록 더 …하다’는 「The +비교급 ~, the +비교급 …」으로
쓴다.
24
‘가장 ~한 … 중 하나’는 「one of the+최상급+복수 명사」로 쓴다.
25
‘점점 더 ~한’은 「비교급+and +비교급」의 형태로 쓴다.
22 정답 및 해설
교과서 문법
GrAmmAr
p. 85
A
B
C
3 is spoken
5 is being cleaned
2 are taught
2 was being repaired
1 has been built
4 When was, invented
1 happened
painted
1 must not be touched
3 is being read by
5 Where were those pictures being kept?
4 had been found
4 is standing
2 will be stopped
5 were destroyed
3 have been
2
Ellen은 그녀의 집에서 그 아이들을 가르친다. → 그 아이들은
Ellen의 집에서 그녀에게 배운다.
주어가 복수이고 시제가 현재이므로 be동사 are를 쓴다.
3
사람들은 프랑스에서 프랑스어를 쓴다. → 프랑스어는 프랑스
에서 사용된다.
목적어 French가 주어가 되고, 단수 주어에 시제가 현재이므
로 be동사 is를 써서 수동태로 쓴다. 프랑스어를 말하는 주체
가 불특정 다수이므로 「by +행위자」는 생략되었다.
4
그녀는 그 기계를 언제 발명했니? → 그 기계는 언제 그녀에
의해 발명됐니?
의문사가 있는 수동태 의문문은 「의문사+be동사+주어+과
거분사 ~?」로 쓴다.
answers&explanations
2
4
5
2
3
4
5
5
Joseph은 부엌을 청소하고 있다. → 부엌은 Joseph에 의해 청
소되고 있다.
4
왜 너는 네 일에 싫증이 나니?
be tired of: ~에 싫증나다
진행형 수동태는 「be동사+being +과거분사」로 쓴다.
B 1
그 의사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니?
자동사 happen은 수동태로 쓸 수 없다.
내 자전거는 그때 수리되고 있었다.
5
얼마나 많은 학생들이 이 프로젝트에 관련되어 있니?
be involved in: ~에 관련되다
B 1
Lily가 그에게 약간의 꽃을 가져왔다. → 약간의 꽃이 Lily에
의해 그에게 갖다 주어졌다.
주어와 동사의 관계로 보아 수동태로 쓰는 것이 자연스럽다.
동사 bring이 쓰인 4형식 문장의 수동태는 전치사 to를 쓴다.
현재분사를 과거분사로 고쳐 쓴다.
2
아버지가 내게 엽서를 보냈다. → 엽서가 아버지에 의해 내게
3
저 방들은 Emily에 의해 파랗게 칠해졌다.
주어와 동사의 관계로 보아 수동태로 쓰는 것이 자연스럽다.
현재완료 수동태는 「have/has +been +과거분사」로 쓴다.
보내졌다.
동사 send가 쓰인 4형식 문장의 수동태는 전치사 to를 쓴다.
3
그 기자가 시장에게 질문을 했다. → 질문이 그 기자에 의해 시
그 남자는 건널목에 서 있다.
장에게 물어졌다.
주어와 동사의 관계가 능동이고, stand가 자동사이므로 능동
태로 고쳐 쓴다.
많은 집이 지진으로 파괴되었다.
동사 ask가 쓰인 4형식 문장의 수동태는 전치사 of를 쓴다.
4
토끼가 거북이를 놀렸다. → 거북이가 토끼에게 놀림을 당했다.
동사구를 수동태로 쓸 때, 동사 뒤에 있던 부사나 전치사는 그
주어와 동사의 관계로 보아 수동태로 쓰는 것이 자연스럽다.
대로 과거분사 뒤에 쓴다.
C 1
조동사가 있는 수동태의 부정은 「조동사+not +be +과거분
사」로 쓴다.
미래시제 수동태는 「will be +과거분사」로 쓴다.
현재진행형으로 쓰는 것이 자연스럽다. 진행형 수동태는 「be
동사+being +과거분사」로 쓴다. 행위자 앞에는 by를 쓴다.
that절이 주절보다 더 이전에 일어난 일이므로 과거완료 수동
태 「had been +과거분사」로 쓴다.
의문사 where를 사용해야 하고, 과거진행형 수동태로 쓰는 것
이 알맞다. 「의문사+be동사 과거형+주어+being +과거분사
~?」로 쓴다.
교과서 문법
GrAmmAr
p. 87
A
B
C
1 with
2 about
1 were brought to
4 was made fun of by
1 It is said that
3 is thought to have
3 from 4 of
2 was sent to me
5 in
3 was asked of
5 was seen entering
2 was seen to dig[digging]
4 was put off
A 1 그녀가 선물에 만족했니?
be satisfied with: ~에 만족하다
2
나는 시험이 걱정됐다.
be worried about: ~에 대해 걱정하다
3
이 한국식 와인은 쌀로 만들어진다.
be made from: (화학적 변화) ~으로 만들어지다
5
Tom이 내가 가게에 들어가는 것을 보았다. → 내가 가게에 들
어가는 것이 Tom에게 목격되었다.
지각동사가 쓰인 5형식 문장을 수동태로 쓸 때 목적격 보어로
쓰인 현재분사는 그대로 과거분사 뒤에 쓴다.
C 1
‘People say that the company has a diamond mine.’을 수
동태로 쓴 문장이다. 가주어 it을 사용하여 ‘It is said that ~’
으로 쓴다.
2
지각동사가 쓰인 5형식 문장을 수동태로 쓸 때 목적격 보어로
동사원형이 쓰였으면 to부정사로 고쳐 쓰고 현재분사가 쓰였
으면 그대로 쓴다.
3
‘People think that the actor has a baby face.’를 수동태로
쓴 문장이다. 「that절의 주어+is thought to have ~」로 쓴다.
4
동사구를 수동태로 쓸 때, 동사 뒤에 있던 부사나 전치사는 그
대로 과거분사 뒤에 쓴다.
문법으로 문장 쓰기
GrAmmAr
pp. 88—89
Grammar Quiz
1 과거분사 2 be동사 3 소유 4 be, 과거분사 5 to, for
6 직접목적어 7 to부정사
A
B
3 brought
1 threw 2 made
1 She made me leave
3 gave the prize to
5 the shop was managed
7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4 with
2 won’t be laughed at by
5 translated
4 was seen to swim
6 was being run after by
정답 및 해설 23
C
D
1 When were these plates washed by him?
2 He
was heard to play the drums in the music room by
3 The director’s new movie was looked
Ms. Bennet.
4 My bike was being
forward to by many people.
repaired by the repairman at that moment.
5 The
pictures will be shown to us by Mark tomorrow. / We
will be shown the pictures by Mark tomorrow.
6
Hundreds of patients there have been treated by the
doctor.
7 The goldfish was named Elmo by my father.
1 The boy will be looked after by his brothers.
2 It is expected that she will pass the test.
cheese made from?
5 He was made to stay in the building by the police.
6 Some birds were seen to sit[sitting] on the tree.
4 The floor is covered with sand.
3 What is
A 1
Dylan은 빈 깡통 몇 개를 버렸다.
주어가 동작의 주체이므로 능동태를 쓴다.
모형비행기가 학생들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었다.
주어가 동작의 대상이므로 수동태가 되는 것이 자연스럽다. 따
라서 과거분사가 알맞다.
두 달 된 강아지가 아빠에 의해 내게 가져다 주어졌다.
주어가 동작의 대상이므로 수동태가 되는 것이 자연스럽다. 따
라서 과거분사가 알맞다.
4
그 작곡가는 가수의 공연에 만족했다.
be satisfied with: ~에 만족하다
5
그 보고서는 한국어로 번역되고 있다.
주어가 동작의 대상이므로 수동태가 되는 것이 자연스럽다. 따
B 1
나는 그녀에 의해 마을을 떠나게 되었다. → 그녀는 내가 마을
라서 과거분사가 알맞다.
을 떠나게 만들었다.
인 동사원형은 to부정사로 고쳐 쓴다.
5
그 가게는 Kersh 씨에 의해 관리된다고 말해졌다. → 그들은
Kersh 씨가 그 가게를 관리한다고 말했다.
주어진 문장은 능동태 문장의 that절에 있는 주어가 수동태 문
장의 주어가 되고, that절의 동사가 to부정사 형태로 쓰인 문장
이다. 주어와 동사를 that절의 주어와 동사로 고쳐 쓴다.
6
늑대들은 숲에서 사슴 한 마리를 쫓고 있었다. → 사슴 한 마리
가 숲에서 늑대들에게 쫓기고 있었다.
동사구를 수동태로 쓸 때 전치사나 부사는 과거분사 바로 뒤에
그대로 쓰며, 진행형 수동태이므로 「be동사+being +과거분
사」 형태로 완성한다.
7
정부는 그 지역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 그 지역은 정부에
의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5형식 문장 수동태에서 목적격 보어는 과거분사 뒤에 쓴다.
그가 언제 이 접시들을 설거지했니?
C 1
의문사가 있는 수동태 의문문은 「의문사+be동사+주어+과
거분사 ~?」 형태로 쓴다.
2
Bennet 씨는 그가 음악실에서 드럼을 치는 소리를 들었다.
지각동사가 쓰인 5형식 문장을 수동태 문장으로 쓸 때 목적격
보어로 쓰였던 동사원형은 to부정사로 고친다.
많은 사람들이 그 감독의 새 영화를 기대했다.
동사구를 수동태로 쓸 때 전치사나 부사는 과거분사 뒤에 그대
3
로 쓴다.
수리공이 그때 내 자전거를 수리하고 있었다.
4
진행형 수동태는 「be동사+being +과거분사」로 쓴다.
5
Mark는 내일 우리에게 그림들을 보여줄 것이다.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가 있는 4형식 문장은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를 각각 주어로 하는 수동태 문장을 쓸 수 있다. 직
접목적어를 주어로 할 때에는 간접목적어 앞에 전치사를 쓰며,
사역동사 make를 사용한 5형식 문장의 수동태이다.
동사 show와 쓰이는 전치사는 to이다.
2
상사는 네 제안에 웃지 않을 것이다. → 네 제안은 상사에 의해
동사구를 수동태로 쓸 때, 동사 뒤에 있던 부사나 전치사는 그
웃음거리가 되지 않을 것이다.
대로 과거분사 뒤에 쓴다.
의사는 그곳의 환자 수백 명을 치료했다.
6
현재완료 수동태는 「have/has +been +과거분사」로 쓴다.
7
아버지는 금붕어를 Elmo라고 이름 지었다.
5형식 문장을 수동태 문장으로 쓸 때 목적격 보어는 과거분사
3
소녀는 교장 선생님께 상을 받았다. → 교장 선생님이 소녀에
뒤에 그대로 쓴다.
게 상을 주었다.
the girl이 문장의 마지막에 있으므로 4형식이 아닌 3형식 문
장으로 쓰인 것임을 알 수 있다. 「주어+동사+목적어+전치사
구」의 형태로 완성한다.
Conan은 그 개가 수영장에서 수영하는 것을 보았다. → 그 개
가 수영장에서 수영하는 것이 Conan에게 목격되었다.
지각동사가 쓰인 5형식 문장의 수동태에서 목적격 보어로 쓰
D 1 미래시제 수동태: will be +과거분사
2
3
4
5
‘We expect that she will pass the test.’라는 문장을 수동태
문장으로 바꾸었다고 볼 수 있다. 가주어 it을 사용한다.
be made from: (화학적 변화) ~으로 만들어지다
be covered with: ~으로 덮여 있다
사역동사 make가 쓰인 5형식 문장(The police made him
24 정답 및 해설
2
3
4
answers&explanationsstay in the building.)을 수동태 문장으로 바꾸었다고 볼 수 있
다. 목적격 보어에 해당하는 동사원형은 to부정사로 바꿔 쓴다.
들어가야 한다.
6
지각동사 see가 쓰인 5형식 문장(We saw some birds
sit[sitting] on the tree.)을 수동태 문장으로 바꾸었다고 볼 수
있다. 목적격 보어에 해당하는 동사원형은 to부정사로 바꿔 쓴
다. 현재분사가 쓰였다면 그대로 쓸 수 있다.
문법으로 직독직해
GrAmmAr
pp. 90—91
해 움직인다. 매일, 약 2천만 송이의 꽃이 거래되어 세계 각지로 운
C
|해석| 네덜란드 Aalsmeer(알스메이르) 꽃 시장
네덜란드는 ‘저지대’라는 뜻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나
라의 약 70%가 해수면보다 낮다. 그래서 네덜란드 사람들은 땅
을 지어 올렸고, 그것을 사용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꽃을 재배하고
파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네덜란드에 세계에서 가장 큰 꽃 시장인
Aalsmeer 꽃 시장이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시장이 들어선 건물은 축구장 120개보다 크다. 시장은 꽃이 가
득 든 수천 개의 수레로 분주하다. 수레는 대부분 전동 트럭에 의
송된다.
추가 정보 시장에서 꽃을 조금 살 수 있는지 궁금할 것이다. 애석하
게도 안 된다. 하지만 꽃이 도매로 어떻게 거래되는지를 볼 수 있다.
1
2
(A) 흐름상 주어 They는 flower-filled carts를 가리키고, 뒤
에 행위자를 나타내는 by electric-powered trucks가 나오
므로 수동태로 쓰는 것이 자연스럽다. (B) 꽃이 세계 곳곳으
로 거래되어 ‘운송되다’라는 의미이므로 수동태를 써야 한다.
traded 앞에 공통으로 쓰인 be동사 are가 있으므로 ship은 과
거분사 shipped로 쓰면 된다.
③ Aalsmeer 꽃 시장이 있는 건물의 크기가 축구장 120개보
다 크다고 했다.
① 네덜란드의 약 70%가 해수면 아래에 위치한다.
② Aalsmeer 꽃 시장은 세계에서 가장 큰 꽃 시장이다.
③ Aalsmeer 꽃 시장에 멋진 축구장이 몇 개 있다.
④ 매일 약 2천만 송이의 꽃이 Aalsmeer 꽃 시장을 통해 거래된다.
⑤ Aalsmeer 꽃 시장은 소매 판매를 하지 않는다.
내신 대비 문법 실전 문제
GrAmmAr
pp. 92—97
01 ③ 02 ① 03 ④ 04 ③ 05 ③ 06 ④ 07 ①
08 ① 09 ⑤ 10 ② 11 ⑤ 12 ② 13 ③ 14 ③
15 ② 16 ⑤ 17 ⑤ 18 ③ 19 ⑤ 20 ③ 21 ④
22 ② 23 ③, ⑤ 24 ⑤ 25 ③ 26 ③ 27 ④
28 ⑴ can be seen ⑵ must be moved
29 ⑴ The students
were given delicious cookies by Mr. Evans. ⑵ This bag was
30 It is thought that / is
bought for her by her parents.
thought to be
31 (A) The energy inside the earth can be
felt in different ways. (B) This is a spring of water which is
usually heated by volcanic activity.
32 He is said to be a
soccer genius.
33 ⑴ was told to do ⑵ was asked to water
⑶ were dropped
34 ⑴ The parking lot was filled with
cars and trucks. ⑵ This little bed was made for my cat by my
father.
35 ⑴ is studied by ⑵ to be studied by
정답 및 해설 25
A ⑤
C
1 ③ 2 ③
B
1 has been used
2 ④
A
|해석| 제주도, 시칠리아, 하와이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물론, 그
것들은 섬이다. 사실, 그것들은 모두 화산 분출에 의해 형성된 섬
이다. 화산은 매우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어서 로마의 불의 신, 불
카누스에게서 이름을 따왔다. 화산은 큰 섬이 생겨나게 하거나 폼
페이 같은 도시 전체를 파멸시킬 수도 있다. 그러므로 화산은 연구
되고, 이해되어야 한다.
• ⓔ 앞의 주어 they는 화산을 가리키는 것으로, ‘연구되고 이해
되는’ 것이 알맞다. 따라서 수동태가 되도록 understanding
을 과거분사 understood로 고치는 것이 적절하다. (should be
studied and (should be) understood)
B
|해석| 웃음은 인간 고유의 것이다. 우리는 농담을 듣거나 우스운
것을 보거나 행복하다고 느끼면 소리 내어 웃는다. 우리는 이메일
이나 문자 메시지 같은 글 속에서조차 대화에서 하듯이 웃는다. 어
떻게 그렇게 하는가?
‘하하’는 문자로 된 웃음의 한 형태이다. 모두가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안다. 실제로 그것은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셰익
스피어조차도 ‘하하’를 자신의 작품에 사용하였다.
또 다른 형태의 문자로 된 웃음은 LOL이다. 그것은 ‘크게 소리
내어 웃기’를 나타낸다. 사람들은 또한 ROFL도 꽤 자주 사용하는
데, 그것은 ‘바닥을 구르면서 웃기’를 의미한다. 이 표현들은 상당
히 빠르게 타자로 입력될 수 있어서 인기를 얻었다.
1
동사 use의 주어 it은 “ha-ha”라는 웃음소리를 가리키므로 동
사는 수동태가 되어 ‘사용되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것이 자
2
연스럽다. 부사구 since long ago (오래전부터)로 보아 시제
는 현재완료로 써야 하며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has been
used로 쓰는 것이 적절하다.
주어진 문장은 줄임말 사용의 예로, 부사 also로 보아 줄임말
사용의 다른 예를 설명한 문장 뒤에 오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D) 뒤 문장의 주어 These expressions가 LOL과 ROFL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므로 주어진 문장은 (D)에
01
햄스터가우리안에‘가두어져야’하므로수동태문장이되는것이
16
be pleased with: ~에기뻐하다
자연스럽다.keep의과거분사는kept이다.
02
의미상미래시제의수동태가되는것이알맞으므로「be동사
+going to be +과거분사」형태를완성해야한다.
03
돌고래가어부들에게‘목격된’것이므로수동태를쓰는것이자
18
연스럽다.동사see의과거분사는seen이다.
17
5형식문장의수동태로지각동사가쓰였다.
→The child was seen to enter the empty room.
123456
③사역동사make가쓰인5형식문장을수동태문장으로쓸때
목적격보어역할을하는동사원형은to부정사로바꿔쓴다.
→We were made to read the book.
19
4형식문장을직접목적어를주어로하는수동태문장으로바꿔
쓸때간접목적어앞에전치사를쓴다.동사가make일때for,
ask일때of가적절하다.
20 첫번째문장:미래시제수동태는「will be +과거분사」로쓴다.
두번째문장:빈칸앞에be동사가있고뒤에과거분사가있는
것으로보아「be동사+being +과거분사」형태의진행시제수동
태이다.
21
「be동사+going to +동사원형」의수동태는「be동사+going to
be +과거분사」로쓴다.
22
be satisfied with: ~에만족하다 / be filled with: ~으로가득차다
23
지각동사가쓰인5형식문장을수동태문장으로바꿔쓸때목적
격보어가동사원형이면to부정사로고쳐쓰고,현재분사면그대
로쓴다.
24
25
‘People[They]consider that the teacher stays calm in all
situations.’를수동태문장으로바꾸었다고생각할수있다.목
적어인that절의주어를수동태문장의주어로할때,that절의
동사를to부정사로바꿔쓴다.
③사역동사make가쓰인5형식문장을수동태문장으로바
꿔쓸때목적격보어인동사원형은to부정사로고쳐쓴다.
cleaning →to clean
26
4형식문장을수동태문장으로쓸때간접목적어를주어로하면
직접목적어를과거분사바로뒤에쓰고,직접목적어를주어로
하면간접목적어앞에전치사를쓴다.동사가offer일때에는전
치사to를쓴다.
27
ⓐcooked to me →cooked for me ⓒcan be asked the
speaker →can be asked of the speaker ⓓam taught →are
taught ⓔhad be closed →had been closed
28
(1)‘공’이‘보이는’것이므로수동태로쓰는것이알맞다.조동사
가있으므로「조동사+be +과거분사」로쓴다.
(2)‘상자’가‘옮겨지는’것이므로수동태로쓰는것이알맞다.조
동사가있으므로「조동사+be +과거분사」로쓴다.
29
(1)4형식문장을간접목적어를주어로하는수동태문장으로바
꿔쓸때직접목적어는「be동사+과거분사」뒤에바로쓴다.
(2)직접목적어를주어로하는수동태문장으로쓸때에는간접목
적어앞에전치사를쓰며,동사가buy일때에는for가적절하다.
04
5형식문장을수동태문장으로쓸때,지각동사와사역동사
make의목적격보어역할을하는동사원형은to부정사로바꿔
쓴다.
05
4형식문장의직접목적어를주어로하여수동태문장을쓸때,
간접목적어앞에는동사에따라적절한전치사를써야한다.동
사give와어울리는전치사는to이다.
06
행위자by many people이있으므로수동태로쓰는것이자연스
러우며기간을나타내는부사구for a long time으로보아완료
시제가알맞다.
07
4형식문장을간접목적어를주어로하는수동태문장으로바꿔
쓸때직접목적어는동사뒤에그대로쓴다.직접목적어를주어
로하는수동태문장으로바꿀때에는간접목적어앞에전치사
를쓴다.동사가show일때에는to가알맞다.
08
등대는‘건설되는’것이므로수동태문장이되어야하며,행위자
가없으므로전치사by는필요하지않다.‘작년에’라는부사구
로보아과거또는과거진행시제를쓴다.따라서주어진표현중
was built가가장알맞다.
‘Chris turned on[off]the TV.’의수동태문장으로볼수있으
며동사구는한덩어리로취급하고행위자앞에by를써야하므
로⑤가알맞다.
문장끝에행위자를나타내는‘by my mother’가있는것으로
보아수동태문장이다.ⓑallowing을과거분사allowed로고쳐
써야한다.
11
진행형수동태는「be동사+being +과거분사」이며,동사구는수
동태로쓸때부사나전치사를과거분사뒤에그대로쓴다.따라
서⑤가알맞다.
12
조동사가있는수동태는「조동사+be +과거분사」이고,현재완
료수동태는「have / has +been +과거분사」이므로②가알맞다.
13
ⓑabout →of ⓒin →at[by]
의문사가있는수동태문장은「의문사 +be동사 +주어 +과거
분사~?」형태이며,이문장은의문사를포함하는how many
hours가주어이므로be동사뒤에바로과거분사가온다.
that절을목적어로하는문장의수동태문장은가주어it을사용
해서「It +be동사+과거분사+that절」로쓸수있다.시제가현
재이므로be동사는is를쓴다.
09
10
14
15
26 정답 및 해설
answers&explanations30
that절을 목적어로 하는 문장을 수동태 문장으로 바꿀 때, 가주
어 it 또는 that절의 주어를 수동태 문장의 주어로 하여 쓸 수 있
다. 「It +be동사 + 과거분사 + that ~」 / 「주어+be동사 + 과거분
사 + to부정사 ~」
31
|해석| 지구 내부의 에너지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느껴질 수 있
교과서 대화문
CommuniCAtion
p. 99
1 How, feel, so
2 like, about, not, with
A
B ④
C
(D)–(A)–(C)–(B)
다. 첫째, 우리는 이 에너지를 화산에서 볼 수 있다. 뜨거운 암석
이 땅 속에서 밖으로 나올 때, 그것은 지형을 변화시키고 언덕과
산을 만든다. 지구의 힘을 느끼는 다른 방법은 온천을 방문하는
것이다. 이것은 대개 화산 활동으로 데워지는 물이 있는 샘이다.
온천은 우리에게 이롭다고 한다. 온천은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게
하고 숙면하게 해 줄 수 있다. 지구의 에너지는 경이로우면서도
도움이 된다.
(A) 에너지는 ‘feel’이라는 행위의 대상이 되므로 동사를 수동
태로 고치는 것이 알맞다. 조동사 can이 있으므로 can be
felt가 적절하다.
(B) 관계대명사절의 동사 is heating의 주어는 water이므로 동
사를 수동태로 고치는 것이 알맞다. 현재분사 heating을 과
거분사 heated로 고쳐야 한다. ‘대개, 보통’이라는 의미의
usually가 있으므로 현재진행형보다는 일반적인 진술을 나
타내는 현재시제가 어울린다.
32
‘They[People] say that he is a soccer genius.’를 수동태로 쓰
면 ‘It is said that he is a soccer genius.’ 또는 ‘He is said to
be a soccer genius.’인데 <조건>에 맞는 것은 후자이다.
33
|해석| 오늘 엄마는 내게 엄마가 외출한 동안 많은 집안일을 하라
고 말씀하셨다. 하지만 엄마가 집에 오셨을 때, 우리 집은 엉망진
창이었다. 엄마는 “내가 화분에 물을 주라고 부탁했는데, 넌 그것
들을 바닥에 던져버렸구나.”라고 하셨다. “전 화분에 물을 줬어요,
엄마. Joey가 바닥에 떨어뜨린 거예요.”라고 나는 대답했다. 엄마
는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알아낸 후에 내게 미안하다고 말씀하셨다.
(1), (2) 「tell/ask +목적어+목적격 보어(to부정사)」인 5형식 문
장의 수동태는 능동태의 목적어를 수동태의 주어로 하고 「be동
사+told / asked」뒤에 to부정사 이하를 그대로 쓰면 된다.
34
(1) be filled with: ~으로 가득 차다
(2) 행위자를 나타내는 ‘by my father’로 보아 수동태 문장으로
쓰는 것이 알맞다. ‘My father made my cat this little bed.’
라는 4형식 문장을 수동태로 바꿨다고 할 수 있으며, 동사가
make일 경우에는 간접목적어 앞에 for를 쓴다.
35
에볼라 바이러스는 많은 과학자들에 의해 연구된다.
기사에 주어진 문장을 활용한다. ‘They say that Ebola virus is
studied by many scientists.’를 수동태 문장으로 바꾼 것이라
볼 수 있다. 가주어 it을 사용한 수동태 문장에는 that절을 그대로
쓰고, that절의 주어를 수동태 문장의 주어로 한 경우에는 that절
의 동사를 to부정사 형태로 바꾼다.
A 1 A: 너는 그 작가의 새 소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
B: 괜찮은 것 같아. 줄거리가 꽤 흥미로워.
A: 난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 인물들이 전혀 매력적이지 않아.
2 A: 네 샌드위치는 어때?
B: 오, 이거 맛있어. 들어있는 채소가 신선해. 네 파스타는 어때?
A: 만족스럽지 않아. 너무 짜.
B: 안됐구나.
B 빈칸 뒤의 말로 보아 수정하는 표현이 들어가야 한다.
A: 11월은 31일까지 있어.
B: 네가 잘못 안 것 같아. 11월은 30일까지만 있어. 이 달력을 봐.
A: 오, 네 말이 맞구나.
C (D) 너는 우리 새 학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
(A) 마음에 들어. 선생님들이 아주 친절하신 것 같아.
(C) 나도 그렇게 생각해. 게다가, 체육관이 근사해 보여.
(B) 맞아. 체육 수업이 기대돼.
내신 대비 대화문 실전 문제
CommuniCAtion pp. 100—101
01 ③ 02 ③ 03 ④ 04 ⑤ 05 ① 06 ①
07 ①, ②, ⑤ 08 ② 09 ⑤ 10 What do you think of the
tower?
12 (A) What
11 I’m afraid (that) you’re mistaken
do you think of this drama? (B) I don’t agree with you.
01
Peter에 대한 의견을 말하는 B의 답으로 보아 A가 Peter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의견을 묻는 ③
이 알맞다.
A: Peter에 대해 넌 어떻게 생각해?
B: 내 의견으로는, 그는 매우 똑똑해.
02
빈칸 뒤의 말로 보아 B는 A의 말이 틀렸다고 생각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정하는 표현인 ③이 알맞다.
A: 윤 선생님은 동물을 사랑해.
B: 네가 틀린 것 같아. 그는 동물을 전혀 좋아하지 않아.
03
첫 번째 빈칸: 의견을 물을 때 ‘How do you feel about ~?’과
같은 표현을 쓴다. 두 번째 빈칸: 빈칸이 있는 문장 뒤의 내용
으로 보아 B의 말에 동의하지 않음을 알 수 있으므로 ‘I don’t
agree.’가 알맞다.
정답 및 해설 27
A: 너 이 포스터 어떻게 생각해?
B: 내 생각엔 그게 메시지를 잘 말하고 있는 것 같아.
A: 난 동의하지 않아. 내 생각엔 사람들이 그 의미를 이해할 수
A: 너는 이 호텔이 어때?
B: 더 오래 머무르고 싶어.
① 좋아. ② 훌륭해. ③ 만족해. ④ 좋은 것 같아.
없을 것 같아.
[04– 05]
A: 만나서 반가워요, 소라. 그리기 시험은 잘 봤나요?
B: 잘 모르겠어요, 하지만 최선을 다했습니다.
A: 좋아요. 면접을 시작하죠. 왜 Mana 애니메이션 고등학교에
지원했나요?
B: 음, 전 어릴 때부터 만화 그리는 것을 정말 좋아했어요.
A: 그러면, 만화가가 되고 싶나요?
B: 그렇진 않아요. 저는 게임 디자이너가 되고 싶어요.
04
주어진 문장은 상대방의 잘못된 정보를 수정할 때 쓰는 표현으
로, A가 말한 내용을 정정하는 문장 앞인 (E)에 들어가는 것이
알맞다.
05
빈칸 뒤에 ‘그러나’라는 의미의 but이 나오므로 상반되는 내용이
빈칸에 들어가야 한다. 따라서 ‘확신할 수 없지만’이라는 의미의
‘I’m not sure’가 알맞다.
06
어떤 것에 대한 의견을 묻고 답하는 상황이므로, ‘의견’이라는 의
미의 opinion이 적절하다.
A: 동물을 키우는 것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어떤가요?
B: 제 의견으로는, 그건 아이들에게 좋아요.
①, ②, ⑤가 알맞다.
A: 소녀가 신고 있는 신발을 봐. 멋진 것 같아. 너는 그것들에 대
해 어떻게 생각하니?
B: 가볍고 편안해 보이는 것 같아.
A: 맞아. 학교 현장학습을 위해 저걸 사고 싶어.
①, ②, ⑤ 너는 그것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니?
③ 너는 왜 그렇게 생각하니? ④ 너는 무슨 얘기를 하고 있니?
08
빈칸 뒤의 말로 보아 A가 틀린 정보를 말하자 B가 수정하고 있
다. 따라서 빈칸에는 수정하는 표현이 들어가야 한다. ② ‘실망하
지 마.’는 상대방을 위로하는 표현이다.
A: 빈센트 반 고흐는 프랑스인이야.
B: 그는 네덜란드인이야.
① 미안하지만, 그건 맞지 않아. ③ 네가 틀린 것 같아. ④ 네가
10
11
12
01
03
의견을 묻는 표현은 ‘What do you think of ~?’로 쓴다.
A: 너는 그 탑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
B: 나에겐 그리 훌륭한 것처럼 보이지 않아.
상대방이 틀린 정보를 말할 때 수정하기 위해 ‘I’m afraid (that)
you’re mistaken.’이라는 표현을 쓴다.
A: 실례합니다. 당신이 제 좌석에 앉으신 것 같아요.
B: 표를 확인할게요. 음, 당신이 틀린 것 같군요. 여긴 제 좌석인
E23입니다.
A: 오, 전 그게 F23인 줄 알았어요. 정말 죄송해요.
(A) 의견을 물을 때 ‘What do you think of [about] ~?’과 같
은 표현을 쓴다. (B) 상대방에게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할 때 ‘I
don’t agree with you.’ 등의 표현을 쓴다.
A: 너는 이 드라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
B: 아주 감동적이라고 생각해. 소년이 여동생을 구하기 위해 목
숨을 버리잖아. 올해 최고의 드라마야.
A: 난 너에게 동의하지 않아. 그건 좋은 드라마가 아니야.
B: 이봐. 왜 그렇게 생각해?
A: 진짜 같지 않잖아. 그리고 조금 지루해.
pp. 102—104
06 ①
12 ③
18 ②
05 ②
11 ②
17 ⑤
02 ②
08 ③
14 ②
04 ⑤
10 ②
16 ②
03 ④
09 ③
15 ④
01 (t)rade
07 ④, ⑤
13 ②
19 An apron was made for my father by me.
20 The test will be put off by the professor.
21 It is said that, is said to work very hard
22 given her → given to her
24 the man had been caught by the police
25 I’m afraid (that) you’re mistaken.
23 to
‘교역하다; 무역’이라는 의미의 trade가 알맞다.
•그들은 주로 어떤 상품을 거래하지?
•그들은 남한과 중국 사이의 무역이 증가할 것이라고 말한다.
02
‘누군가 혹은 무언가를 보호하는 행위’라는 의미의 단어는
잘못 안 것 같아. ⑤ 나는 네가 실수한 것 같아.
defense(방어)이다.
09
A가 호텔에 대한 의견을 물었고, 빈칸 뒤의 말로 보아 B는 만족
하고 있으므로 그와 어울리는 표현이 빈칸에 들어가야 한다. ⑤는
‘호텔이 불편하다’는 의미이므로 어울리지 않는다.
④ that절을 목적어로 하는 문장을 that절의 주어를 수동태 문장
의 주어로 하여 바꿔 쓴 것으로 볼 수 있다. that절의 동사는 to부
정사 형태로 써야 한다.
28 정답 및 해설
07
대화의 흐름으로 보아 A가 자신의 의견을 먼저 말한 뒤 B의 의
견을 물었을 것이다. 따라서 어떤 것에 대한 의견을 묻는 표현인
Review Test
answers&explanations
→ Jake is said to come back tomorrow.
B: 나는 그것이 매우 창의적이라고 생각해.
04
동사구가 있는 문장의 수동태는 동사구 전체를 하나의 동사로
15
본다. 따라서 동사구의 전치사 또는 부사는 과거분사 바로 뒤에
온다.
05
06
be involved in: ~에 관련되다
왜 Tom은 그 사건에 관련되어 있었지?
‘They[People] saw him jog[jogging] on the beach.’라는 5형
식 문장을 수동태로 전환한 문장이라 할 수 있다. 지각동사 see
의 목적격 보어가 동사원형이면 to부정사로 쓰고, 현재분사이면
그대로 쓴다.
07
주어진 문장은 어떤 대상에 대해 상대방의 의견을 묻는 표현이
다. 의견을 묻는 표현으로는 ④, ⑤를 쓸 수 있다. ③은 만족하는
지 묻는 표현이다.
너는 이 노래를 어떻게 생각해?
08
진행형의 수동태는 「be동사+being +과거분사」로 쓴다.
Emma는 차고를 청소하고 있다. = 차고는 Emma에 의해 청소
되고 있다.
09
상대방이 틀린 것을 지적하고 수정하는 표현이므로 ‘그건 맞지
않아.’라는 의미의 ③과 바꿔 쓸 수 있다.
A: 거제도는 한국에서 가장 큰 섬이야.
B: 네가 잘못 아는 것 같아. 제주도가 가장 큰 섬이야.
10
② arrive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자동사로, 동사의 목적어,
즉 행위의 대상을 주어로 하는 수동태 문장으로 전환할 수 없다.
① 나는 남동생에게 펜을 하나 사 주었다.
② 그는 주민 센터에 도착했다.
③ 너는 그 질문에 답할 수 있니?
④ 너는 그 개를 돌보고 있니?
⑤ 그들은 밖에서 한 여자가 소리치는 것을 들었다.
ⓑ 자동사 happen은 수동태로 쓰지 않는다. → Did something
bad happen to her? ⓓ 「be동사+going to be +과거분사」로 쓴
다. → The piano is going to be delivered. ⓔ 수업이 지진에
의해 ‘중단되었다’는 의미의 수동태가 되는 것이 자연스럽다. →
The class was stopped by an earthquake.
16
빈칸 뒤의 말로 보아 A가 잘못 알고 있는 것을 수정하는 표현이
빈칸에 들어가야 한다. 상대방의 말을 수정하는 표현은 ② ‘그건
틀렸어.’이다.
A: 판다는 유칼립투스를 먹어.
B: 그건 틀렸어. 그들은 대나무를 먹어.
것은 어색하다.
스테이크는 어때?
17
어떤 것에 대해 만족하는지 묻는 질문에 ⑤ ‘맞아.’라고 답하는
① 훌륭해. ② 마음에 들어. ③ 훌륭해. ④ 만족스러워.
18
의견을 묻는 표현은 ‘How do you feel about ~?’이고 만족을
묻는 표현은 ‘How do you like ~?’이다.
•이 그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
•그 음악이 마음에 드니?
19
4형식 문장을 수동태로 바꿔 쓸 때 동사가 make이면 간접목적
어를 주어로 쓸 수 없다.
나는 아빠께 앞치마를 만들어 드렸다.
20
동사구를 수동태로 쓸 때 부사 또는 전치사는 과거분사 바로 뒤
에 쓴다.
교수가 시험을 연기할 것이다.
21
that절을 목적어로 하는 문장의 수동태는 가주어 it을 사용해 쓰
거나, that절의 주어를 수동태 문장의 주어로 하여 쓸 수 있다.
그들은 그가 매우 열심히 일한다고 말한다.
11
② 의미상 ‘내가 고객이 불평한 것을 들은’ 것이므로 능동태로 쓰
22
4형식 문장을 수동태로 바꿀 때 직접목적어가 주어가 되면 간접
는 것이 적절하다. → I heard the customer complaining.
12
③ 통행이 ‘차단된’ 것이므로 수동태로 쓰되, 주절의 시제가 과거
이고 that절의 내용은 그 전에 일어난 일이므로 과거완료 시제로
쓰는 것이 적절하다. → had already been blocked
기자는 사고 때문에 경찰에 의해 고속도로 통행이 이미 차단되
었다고 말했다.
13
14
사역동사 make가 있는 5형식 문장의 수동태: 「주어+be동사
+made +to부정사」
그들은 우리를 경기장까지 걸어가게 했다. → 우리는 경기장까
지 걸어가게 되었다.
B의 답으로 보아 A가 영화에 대한 의견을 물었음을 알 수 있다.
의견을 묻는 표현은 ‘What do you think of ~?’이다.
A: 이 영화에 대해 너는 어떻게 생각해?
목적어 앞에 전치사를 쓴다. 동사가 give이면 to가 어울린다.
카드 한 장이 그녀의 여동생에 의해 그녀에게 주어졌다.
23
첫 번째 문장: 4형식 문장의 수동태에서 직접목적어가 주어가 될
때에는 간접목적어 앞에 전치사를 쓴다. 동사가 send이면 to가
어울린다.
두 번째 문장: 지각동사가 쓰인 5형식 문장의 수동태에서 목적격
보어로 쓰인 동사원형은 to부정사로 고쳐 쓴다.
•메시지가 상사에 의해 그녀에게 보내졌다.
24
25
•Eric이 한 노신사를 위해 가방을 나르는 것이 목격되었다.
‘잡힌’ 것이므로 수동태로 쓰되, 주절의 시제가 과거이고 that절
은 더 이전에 일어난 일이므로 과거완료 수동태로 쓴다.
상대방의 말을 수정하는 표현으로 ‘I’m afraid (that) you’re
mistaken.’을 쓸 수 있다.
정답 및 해설 29
A 1 당신은 허락 없이 사진을 찍을 수 없습니다.
4 그는 끓는 물에 다진 감자를 넣었다.
Lesson 5 I Saw a Dog Barking
Fiercely
교과서 어휘
VoCABulAry
p. 107
A
B
C
1 permission
5 laboratory
1 ask a favor
4 keep my fingers crossed
1 instruct
2 improve
3 hire
2 rewarded
6 additional
2 graduated from 3 apply for
4 manage
5 have no choice but to
4 critic
3 talent
2 상사는 직원에게 2주 동안의 휴가를 보상으로 주었다.
3 당신은 소송에 이기기 위해 좋은 변호사를 고용해야 합니다.
4 그녀는 회사를 운영하고 이끌어가도록 요청받았다.
5 모든 학생들은 물리 실험실에서 실험을 할 수 있다.
6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시면 저희 웹사이트를 방문하세요.
교과서 문법
GrAmmAr
p. 109
A
B
C
4 bored
6 painted
2 sleeping
3 standing
1 written
5 disappointing
1 P
2 G
1 We visited the city destroyed by an earthquake.
2 Brian is sitting next to the woman wearing sunglasses.
3 I like the songs composed by the band.
7 flying
6 P
8 covered
3 G
5 G
4 P
A 1
우리는 라틴어로 쓰인 편지를 발견했다.
편지가 ‘쓰여진’ 것으로 수동의 의미이므로 과거분사를 쓴다.
2
자고 있는 아기를 깨우지 마.
‘자고 있는’ 아기라는 능동의 의미이므로 현재분사를 쓴다.
3
자동차 옆에 서 있는 그 남자는 내 아빠다.
‘서 있는’ 남자라는 능동의 의미이므로 현재분사를 쓴다.
4
그 학생들은 강연이 지루했다.
학생들은 지루함을 느끼는 주체이므로 과거분사를 쓴다.
5
시험 결과는 실망스러웠다.
시험 결과는 실망감을 일으키는 원인이므로 현재분사를 쓴다.
6 Woods 부인은 울타리를 하얀색으로 페인트칠하도록 했다.
울타리는 ‘칠해지는’ 것으로 수동의 의미이므로 과거분사를 쓴다.
7
나는 독수리 한 마리가 하늘 높이 날아오르는 것을 보았다.
30 정답 및 해설
독수리가 ‘날아오르는’ 것은 능동의 의미이므로 현재분사를 쓴다.
8
우리는 눈으로 뒤덮인 나무의 사진을 찍었다.
나무가 눈으로 ‘뒤덮인’ 것은 수동의 의미이므로 과거분사를
쓴다.
B 1 짖는 개는 잘 물지 않는다.
barking은 ‘짖고 있는’ 개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므로 현재분사
이다.
2 그들은 새 세탁기를 샀다.
washing은 기계의 용도·목적을 나타내므로 동명사이다.
3 그 노인은 이웃들을 돕는 것을 즐겼다.
helping은 동사 enjoyed의 목적어로 쓰인 동명사이다.
boiling은 ‘끓고 있는’ 물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현재분
사이다.
5 우리는 충분한 음식을 얻지 못하는 것이 두렵다.
getting은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인 동명사이다.
6
나는 한 무리의 소년들이 서로에게 눈덩이를 던지는 것을 보
았다.
throwing은 ‘던지고 있는’이라는 능동의 의미로, 목적격 보어
로 쓰인 현재분사이다.
C 1 우리는 지진에 의해 파괴된 도시를 방문했다.
분사구가 앞에 있는 명사를 꾸미도록 문장을 완성한다. 지진
에 의해 도시가 ‘파괴된’ 것은 수동의 의미이므로 과거분사
2 Brian은 선글라스를 낀 여자 옆에 앉아 있다.
선글라스를 ‘끼고 있는’ 것은 능동의 의미이므로 현재분사
destroyed를 쓴다.
wearing을 쓴다.
3 나는 그 밴드가 작곡한 노래들을 좋아한다.
노래가 밴드에 의해 ‘작곡된’ 것은 수동의 의미이므로 과거분
사 composed를 쓴다.
교과서 문법
GrAmmAr
p. 111
A
B
C
6 closed
2 Walking
8 Damaged
3 Being tired
5 There being
1 Taking
4 Not knowing
7 shouting
1 Getting
3 (Having been) Injured
6 Not having done
1 knocking on the door hard 2 Not having enough time
3 The weather being fine
4 Having studied hard
2 Strictly speaking
5 following
4 folded
answers&explanationsA 1
504번 버스를 타면 너는 거기 갈 수 있다.
4 그는 팔짱을 낀 채 의자에 앉았다.
If you take bus 504에서 접속사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를
현재분사 Taking으로 바꾼다.
「with +명사+분사」에서 명사와 분사의 관계가 수동이면 과거
분사를 쓴다. with one’s arms folded: 팔짱을 낀 채
2
내 개를 산책시킬 때 나는 오랜 친구를 만났다.
When[As/While] I walked my dog에서 접속사와 주어를 생
략하고 동사를 현재분사 Walking으로 바꾼다.
3
Julia는 피곤해서 일찍 자러 갔다.
Because[As/Since] she[Julia] was tired에서 접속사와 주어
를 생략하고 동사를 현재분사 Being으로 바꾼다.
4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몰라서 나는 침묵을 지켰다.
Because[As/Since] I didn’t know what to say에서 접속사
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를 현재분사 knowing으로 바꾼다.
분사구문의 부정은 분사 앞에 Not을 쓴다.
5
할 일이 없어서 우리는 게임을 했다.
Because[As/Since] there was nothing to do에서 접속사는
생략하고 부사절의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다르므로 There는
생략하지 않는다.
6 Emma는 그녀의 눈을 감은 채 바이올린을 연주하고 있었다.
「with +명사+분사」는 ‘~가 …한 채로’라는 의미로 동시에 일
어나는 상황을 나타낼 때 쓴다. 눈은 ‘감겨진’ 것으로 명사와 분
사가 수동의 관계이므로 과거분사를 쓴다.
7
팬들이 그들의 이름을 외치고 있는 채로 그들은 경기장에 들어
섰다.
「with +명사+분사」에서 명사와 분사의 관계가 능동이면 현재
분사를 쓴다.
8 그 박물관은 최근 화재에 의해 손상되어서 보수되어야 한다.
Because[As/Since] it[the museum] was damaged by the
recent fire에서 접속사와 주어를 생략하고 부사절의 시제가
주절의 시제보다 앞선 경우이므로 완료 분사구문을 쓴다. 수동
의 완료 분사구문은 「having been +과거분사」의 형태로 써야
하고, 이때 having been은 생략할 수 있다.
B 1 버스에서 내리면서 나는 넘어졌다.
As[While] I got off the bus에서 접속사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를 현재분사 Getting으로 바꾼다.
2 엄격히 말해서, 거미는 곤충이 아니다.
Strictly speaking은 ‘엄격히 말해서’라는 의미의 비인칭 독립
분사구문이다.
3 심하게 다쳐서, 그녀는 지금 병원에 입원 중이다.
Because[As/Since] she was injured seriously에서 접속사
와 주어를 생략하고 부사절의 시제가 주절의 시제보다 앞선 경
우이므로 완료 분사구문을 써야 한다. Having been은 생략 가
능하다.
5
Bella는 그녀의 개가 그녀를 따라오고 있는 채로 숲속을 걸었다.
「with +명사+분사」에서 명사와 분사의 관계가 능동이면 현재
분사를 쓴다.
6 그의 숙제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는 지금 나갈 수 없다.
Because[As/Since] he didn’t do his homework에서 접속사
와 주어를 생략하고 부사절의 시제가 주절의 시제보다 앞선 경
우이므로 완료 분사구문을 써야 한다. 완료 분사구문의 부정은
「not[never]+having +과거분사」의 형태로 쓴다.
C 1
Jake는 문을 세게 두드리면서 그녀의 이름을 불렀다.
접속사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를 현재분사 knocking으로 바
꾼다.
2
우리는 충분한 시간이 없었기 때문에 택시를 타야 했다.
분사구문의 부정은 Not을 분사 앞에 쓴다.
3
날씨가 좋으면 그들은 소풍을 갈 것이다.
부사절의 주어와 주절의 주어가 다르므로 주어를 생략하지 않
는다.
4
열심히 공부했기 때문에 그녀는 시험을 통과할 것을 확신한다.
부사절의 시제가 주절의 시제보다 앞선 경우이므로 「having +
과거분사」 형태의 완료 분사구문으로 쓴다.
문법으로 문장 쓰기
GrAmmAr
pp. 112—113
Grammar Quiz
1 -ing
5 having
6 with, 수동
2 과거분사 3 동작, 동명사 4 not[never]
A
B
C
2 Both the
1 His voice made everyone annoyed.
food and the ser vice were satisfying .
3 Feeling
hungry, I went into the kitchen and opened the
refrigerator.
4 It being rainy, the game was
5 Having finished her speech, she took
canceled.
questions from the crowd.
6 She rode her bike with
her hair blowing.
1 the teacher’s explanation was confusing
2 a car (which[that] was) made in Germany
3 with her eyes fixed
1 Waiting for the bus
3 There being a tree blocking our way
4 Not receiving an answ er
childhood in Spain
7 Generally speaking
4 Judging from his appearance
2 taking out the shoes
5 Having spen t her
6 (Being) Left alone in the car
정답 및 해설 31
D
1 When he arrived at home, he found her gone.
2 If you turn on the right, you will find the building.
3 Though she was asked some unexpected questions,
4 Because I had lost my wallet,
she answered calmly.
I couldn’t afford the book.
5 Alicia fell asleep while
she watched[was watching] the movie.
A 1
그의 목소리는 모든 사람을 짜증나게 만들었다.
everyone은 감정을 느끼는 주체이므로 과거분사 annoyed가
알맞다.
2
음식과 서비스 둘 다 만족스러웠다.
음식과 서비스는 만족감을 일으키는 원인이므로 현재분사
satisfying이 알맞다.
3
배고픔을 느껴서 나는 부엌으로 가서 냉장고를 열었다.
Because[As/Since] I felt hungry에서 접속사와 주어를 생략
하고 동사를 현재분사 Feeling으로 바꾼다.
4
비가 와서 경기가 취소되었다.
Because[As/Since] it was rainy에서 접속사는 생략하고 주어
는 주절의 주어와 다르므로 생략하지 않으며 분사 앞에 둔다.
5
그녀의 연설을 끝낸 후에 그녀는 군중으로부터 질문을 받았다.
완료 분사구문의 형태는 「having +과거분사」이다.
6
그녀는 머리가 날리는 채로 그녀의 자전거를 탔다.
「with +명사+분사」는 ‘~가 …한 채로’라는 의미로 동시에 일
어나는 상황을 나타낼 때 쓴다. 명사와 분사의 관계가 능동이
므로 현재분사가 알맞다.
B 1
선생님의 설명은 혼란스러움을 일으키는 원인이므로 현재분
사 confusing으로 바꿔 써야 한다.
2
3
독일에서 ‘만들어진’ 차이므로 과거분사 made를 써야 하며, 수
식어구와 함께 쓰인 분사는 명사를 뒤에서 꾸며준다.
「with +명사+분사」 구문에서 명사와 분사의 관계가 수동이므
로 과거분사 fixed가 알맞다.
4
judging from ~: ~로 판단하건대
C 1
버스를 기다리는 동안, 나는 내 친구에게 문자를 보냈다.
접속사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를 현재분사 Waiting으로 바
꾼다.
2
Stephanie는 상자를 열고 신발을 꺼냈다.
접속사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를 현재분사 taking으로 바꾼
다.
앞에 쓴다.
32 정답 및 해설
4
나는 답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그에게 이메일을 다시 보냈다.
분사구문의 부정은 분사 앞에 Not을 쓴다.
5
그녀는 스페인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기 때문에 스페인어를 할
수 있다.
부사절의 시제가 주절의 시제보다 앞서기 때문에 「having +과
거분사」 형태인 완료 분사구문으로 쓴다.
6
그는 차에 혼자 남겨졌을 때 울기 시작했다.
수동형 분사구문에서 Being은 생략 가능하다.
7
일반적으로 말하면 여자는 남자보다 더 오래 산다.
Generally speaking은 ‘일반적으로 말하면’이라는 의미의 비
인칭 독립분사구문이다.
D 1
그는 집에 도착했을 때 그녀가 가버린 것을 알았다.
시간을 나타내는 분사구문으로 접속사 When을 이용한다.
2
오른쪽으로 돌면 너는 그 건물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조건을 나타내는 분사구문으로 접속사 If를 이용한다.
3
몇몇 예기치 않은 질문을 받았지만 그녀는 차분히 대답했다.
앞뒤 내용이 대조되므로 양보를 나타내는 접속사 Though를
이용한다.
4
나는 지갑을 잃어버려서 그 책을 살 여유가 없었다.
이유를 나타내는 분사구문으로 접속사 Because를 이용한다.
5
Alicia는 영화를 보는 동안 잠이 들었다.
동시동작을 나타내는 분사구문으로 접속사 while을 이용한다.
문법으로 직독직해
GrAmmAr
pp. 114—115
A ①
B
C
1 ② 2 ⓐ surprised ⓑ puzzled ⓒ amazing
1 ③ 2 ④
A
|해석| XD는 문자 메시지에서 웃음을 나타낸다. 그것은 입을 벌리
고 눈을 질끈 감은 채 웃는 얼굴을 보여 준다. XD는 단어가 아니
다. 그것은 이모티콘이고, 얼굴 표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한
무리의 문자나 상징이다.
• 밑줄 친 laughing과 ① falling은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로 쓰
인 현재분사이며 명사의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낸다. ②~⑤는
모두 동명사로 쓰였다.
① 나는 떨어지는 빗소리를 들었다. ② 그 과학자는 이 청소 로
3
길을 막고 있는 나무가 있었기 때문에 우리는 차를 멈췄다.
봇을 발명했다. ③ 올해 그녀의 계획은 100권의 책을 읽는 것이
부사절의 주어와 주절의 주어가 다르므로 생략하지 않고 분사
다. ④ 내 남동생은 많은 관중들 앞에서 말하는 것을 싫어한다.
⑤ 내일 네 무용화를 가지고 오는 것을 잊지 마.
answers&explanationsB
|해석| 어느 날 밤, Antonio는 궁전에서 그 섬의 여왕과 저녁 식사
를 했다. 식사가 나왔을 때 쥐들이 나타났고, 하인 몇 명이 막대기
2
ⓓ는 부사절 When I heard this를 분사구문으로 바꾼 것으로
Hearing this로 나타내야 한다.
로 쥐를 쫓아내었다.
Antonio는 궁전에 쥐가 있다는 사실에 무척 놀랐다. 그는 “이
섬에는 고양이가 없습니까?”라고 물었다. 여왕은 어리둥절한 것처
럼 보였다. “고양이가 뭔가요?”라고 그녀가 물었다.
상인은 “여기 섬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것은 공구나 책이 아니라
고양이야.”라고 혼자 중얼거렸다. 그는 배에서 고양이 두 마리를
데리고 와서, 자유롭게 돌아다니도록 풀어놓았다. “정말 놀라운 동
물이네요!” 쥐가 모두 도망가는 것을 보자 여왕이 감탄하였다. 그
녀는 Antonio에게 보석이 가득한 상자를 주었다.
1
주어진 문장은 Antonio의 질문에 언급된 고양이가 무엇인지
몰라 여왕이 어리둥절한 것처럼 보였다는 내용 앞에 와야 한
다.
2
ⓐ, ⓑ는 둘 다 주어가 감정을 느끼는 주체이므로 과거분사를
써야 하고, ⓒ는 고양이가 놀라운 감정을 일으키는 원인이므로
현재분사로 써야 한다.
C
|해석| 나는 지난 주말에 <히든 피겨스>라는 영화를 보았다. 그것
은 NASA에서 일했던 세 명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들에 대한
영화였다. 그들은 1960년대에 ‘인간 컴퓨터(계산원)’로 일을 시작
했다. 하지만 그들은 NASA에서 우주 전문가가 되기를 꿈꾸었고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했다.
Katherine Johnson은 이 영화에서 세 명의 ‘숨겨진 인물들’ 중
한 명이었다. 그녀는 열심히 일했고 수학에서 재능을 보였으며, 그
녀의 상사인 AI Harrison은 그녀의 능력을 알아차렸다. 어느 날,
그는 Katherine이 너무 오래 자리를 비웠을 때 화가 났다. Al은
Katherine에게 어디에 갔었는지 물었고 그녀는 대답했다. “화장
실요. 이 건물에는 유색 인종 전용 화장실이 없어요. 저는 단지 화
장실을 사용하기 위해 반 마일을 달려가야 해요.”
이 말을 듣고서, 나는 그녀가 정말로 안됐다고 느꼈다. 그러나
나는 그 문제에 대해 상사에게 말한 그녀의 용기를 보고 기뻤다.
이것은 AI Harrison으로 하여금 ‘유색 인종 여성 화장실’ 표지판
을 부수게 만들었다.
1
③ 1960년대에 여성이 우주 전문가가 되는 것이 불가능했다는
언급은 없다.
① <히든 피겨스>는 NASA에서 일하는 세 명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들에 관한 영화이다.
② 세 명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들은 ‘인간 컴퓨터(계산원)’
④ Katherine Johnson은 화장실을 사용하기 위해 반 마일을
로 일을 시작했다.
달려야 했다.
표지판을 부수었다.
내신 대비 문법 실전 문제
GrAmmAr
pp. 116—121
30 wearing, wrapped, injured
01 ④ 02 ③ 03 ② 04 ⑤ 05 ① 06 ③ 07 ④
08 ② 09 ② 10 ① 11 ① 12 ② 13 ⑤ 14 ⑤
15 ④ 16 ①, ⑤ 17 ② 18 ⑤ 19 ③ 20 ④ 21 ①
22 ② 23 ①, ⑤ 24 ③ 25 ④, ⑤ 26 ③ 27 ⑤
28 were shocked, was shocking
29 ⑴ with tears running down her face ⑵ with his dog
dozing off
31 ⑴ It took a long time to clear away the earth covering Ron.
⑵ Holding him under the arms
32 ⑴ Attending the meeting ⑵ It being cold ⑶ Not getting
along with her neighbors ⑷ Having fallen from the tree
33 Talking on the phone, she fell asleep.
34 ⑴ Because[As/Since] volcanoes are very powerful, they
do harm to people in many ways. ⑵ Being very powerful,
volcanoes do harm to people in many ways.
35 ⑴ Worked → Working ⑵ call → called
01
02
03
신문을 ‘읽고 있는’ 남자이므로 능동의 의미인 현재분사 reading
이 알맞다.
문이 ‘잠기지 않은’ 것이므로 수동의 의미인 과거분사 unlocked
가 알맞다.
동시동작을 나타내는 분사구문으로, as[while] we were eating
popcorn에서 접속사와 주어가 생략되고 현재분사인 eating이
와야 한다.
04
‘경찰은 그가 뒷마당에 주차된 도난 차량에서 자고 있는 것을 발
견했다’라는 의미이다. ‘자고 있는’ 것은 능동의 의미로 현재분
사를, ‘도난 당한’ 것과 ‘주차된’ 것은 수동의 의미로 과거분사를
쓴다.
05
주어가 감정을 유발하는 원인일 때는 현재분사를, 주어가 감정
을 느끼는 주체일 때는 과거분사를 쓴다. ② → exhausted ③ →
frightened ④ → amusing ⑤ → interesting
06
① → thrilling ② → tiring ④ → excited ⑤ → impressed
07
주어가 감정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므로 현재분사를 써야 한다.
unanswered는 감정을 나타내는 분사가 아니라 ‘응답되지 않은,
풀리지 않은’이라는 의미임에 유의한다.
08
②는 명사 앞에 쓰여 명사의 목적이나 용도를 나타내는 동명사
09
부사절의 접속사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를 -ing 형태로 고친다.
정답 및 해설 33
⑤ NASA에서의 Katherine의 상사는 ‘유색 인종 여성 화장실’
로 쓰였고 나머지는 모두 현재분사이다.
10
분사구문의 부정은 분사 앞에 Not을 쓴다.
11
부사절의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다르기 때문에 생략할 수 없으
므로 ①은 It being으로 고쳐야 한다.
29
「with +명사+분사」는 ‘~가 …한 채로’라는 의미로 동시에 일어
나는 상황을 나타낼 때 쓴다. (1), (2)는 둘 다 명사와 분사와의 관
계가 능동이므로 현재분사가 알맞다.
12
분사가 수식어구와 함께 명사를 수식할 때는 명사 뒤에 와야
30
초록색 셔츠를 ‘입고 있는’ 소년이므로 능동의 의미인 현재분사
한다.
13
첫 번째 문장은 동시동작을 나타내는 분사구문으로 현재분
사가 알맞다. 두 번째 문장은 Because[As/Since]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를 분사구문으로 고친 것으로 being
은 생략된 형태이다. 세 번째 문장은 비인칭 독립분사구문으로
Considering(~을 고려하면)이 알맞다.
14
「with +명사+분사」는 ‘~가 …한 채로’라는 의미로 동시에 일어
나는 상황을 나타낼 때 쓴다. 명사와 분사와의 관계가 능동이므
로 현재분사가 알맞다.
15
ⓔ the man이 감정을 느끼는 주체이므로 과거분사를 써야 한다.
frustrating → frustrated
16
밑줄 친 burning과 ①, ⑤는 현재분사이고 나머지는 동명사이다.
17
ⓐ Having hit → (Having been) Hit ⓒ Didn’t → Not
wearing이 알맞고, 얼음주머니가 수건으로 ‘둘러싸인’ 것이므로
수동의 의미인 과거분사 wrapped, 팔이 ‘부상을 입은’ 것이므로
수동의 의미인 과거분사 injured가 알맞다.
31
|해석| “난 다리가 부러진 것 같아. 정말 아파. 그냥 가서 도움을
요청해, Ben.”
“안 돼.” 나는 대답했다. “우선 안전한 곳까지 여기에서 널 꺼
낼 거야.” 나는 손으로 흙과 자갈을 치우기 시작했다.
나는 침착했고 내가 잘할 수 있다고 느꼈다. Ron을 뒤덮은 흙
을 치우는 데에 오랜 시간이 걸렸다. 드디어 나는 그의 몸을 자유
롭게 할 수 있었다. 팔 밑으로 그를 안고서 그를 터널 입구 쪽으
로 조금씩 뒤로 끌어당겼다.
(1) 「it takes + 시간 + to부정사」는 ‘~하는 데 …의 시간이 걸리
다’라는 뜻이다. 현재분사 covering은 앞의 명사 the earth를
수식한다.
18
앞뒤 내용이 대조되므로 빈칸에는 ‘양보’의 의미를 나타내는 접
(2) 접속사와 주어를 생략하고 held를 현재분사 Holding으로 바
속사 Though가 알맞다.
꾼다.
19
수동형 분사구문에서 Being과 Having been은 생략이 가능하
다. 완료 분사구문은 「having +과거분사」의 형태로 Having을
생략할 수 없다.
32
(1) 조건을 나타내는 분사구문으로 접속사와 주어를 생략하고
attend를 현재분사로 바꾼다.
(2) 부사절의 주어와 주절의 주어가 다르므로 주어를 생략할 수
20
judging from: ~로 판단하건대
없음에 유의한다.
21
부사절의 시제가 주어보다 앞설 때 완료 분사구문을 써야 하며
(3) 분사구문의 부정은 분사 앞에 not 또는 never를 쓴다.
형태는 「having +과거분사」이다.
(4) 완료 분사구문은 「having +과거분사」의 형태로 부사절의 시
22
ⓒ → Not sleeping well ⓔ → Having cleaned her room
제가 주절의 시제보다 앞설 때 쓴다.
23
부사절 When the island is seen from far away를 분사구문으
로 바꾼 문장으로 빈칸에는 Being seen 또는 Being을 생략한
Seen이 알맞다.
24
100년 전에 ‘지어진’ 교회라는 수동의 의미이므로 과거분사로 나
타내야 한다. building → built
25
26
27
부사절 Because[As/Since] I didn’t feel well은 분사구문 Not
feeling well로 쓸 수 있다.
주어진 표현을 바르게 배열하면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taken to hospital is not known.이다. 수식어구와 함께 쓰인 과
거분사는 명사 뒤에서 명사를 수식한다.
ⓐ 부사절의 주어(It)와 주절의 주어(all the banks)가 다르므로
주어를 생략하지 않는다. ⓓ 완료 분사구문은 「having +과거분
사」의 형태로 부사절의 시제가 주절의 시제보다 앞설 때 쓴다.
28
현재분사는 주어가 감정을 일으키는 원인일 때 쓰고, 과거분사
는 주어가 감정을 느끼는 주체일 때 쓴다.
34 정답 및 해설
33
While[As] she talked on the phone, she fell asleep.을 분사
구문으로 바꾸면 접속사와 주어를 없앤 후, talked를 현재분사인
Talking으로 바꾼다.
34
부사절은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 Because/As/Since 등을 이
용하고, 분사구문은 부사절의 접속사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를
현재분사 형태로 바꾼 Being으로 시작하여 만든다.
35
|해석| 1943년 어느 날 옥수수 밭에서 일을 하다가 멕시코의 농
부들이 놀라운 것을 발견했다. 밤사이에 평평한 옥수수 밭 위로
화산이 생겨난 것이다. 주민들은 그 화산이 일주일이 못 되는 사
이 100m 넘게 자라는 것을 지켜보았다. ‘Paricutin(파리쿠틴)’이
라 불리는 이 화산은 계속 자라났고, 1952년에 424m로 성장을
드디어 멈추었다.
(1) 부사절 While they were working on a cornfield one day
in 1943을 분사구문으로 바꾸어 Working ~으로 시작해야
한다.
answers&explanations
(2) Paricutin으로 ‘불리는’ 화산이므로 수동의 의미인 과거분사
02
빈칸에는 중요한 시험을 잘 보기를 기원하는 표현이 와야 자연
called가 알맞다.
교과서 대화문
CommuniCAtion
p. 123
A
B ⑤
C
1 wrong, worried, give, hand
2 looking forward, keep, crossed
(C) ― (E) ― (B) ― (A) ― (D)
A 1 A: 뭐가 문제니? 너 걱정스러워 보여.
B: 나는 수학 숙제를 끝내야 하는데, 너무 어려워.
A: 내가 그것을 도와줄까?
B: 고마워! 정말 큰 도움이 될 거야.
2 A: 나는 내일 학교 뮤지컬이 기대가 돼. 너는 준비되었니?
B: 음, 그런 것 같은데, 초조해.
A: 너는 잘할 거야. 행운을 빌게!
B A: Ted, 너 우울해 보이는구나. 뭐가 문제니?
B: 나는 우리 할머니가 걱정이 돼. 그녀는 지금 병원에 계셔.
A: 안됐구나. 그녀가 곧 나으시길 바라.
① 모르겠어. ② 나도 그러고 싶은데, 그럴 수 없어.
③ 정말 고마워. ④ 나는 내 여동생에게 정말 화가 나.
C (C) 넌 체육 대회에서 경주에 참가하니?
(E) 물론이지. 난 그날 마지막에 있는 100미터 달리기를 뛸 거야.
(B) 와, 네가 경주에서 달리는 모습을 보는 것이 기대되는구나.
(A) 하지만 난 경주에서 이길지 잘 모르겠어.
(D) 그냥 최선을 다하렴. 행운을 빌어 줄게!
내신 대비 대화문 실전 문제
CommuniCAtion pp. 124—125
01 ① 02 ④ 03 ① 04 ④ 05 ⑤ 06 ③
07 ② 08 ③ 09 ② 10 I hope you can visit there
sometime.
12
do you want me to help you carry it
11 I’ll keep my fingers crossed for you!
01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에 대해 걱정을 표현하는 것이 자연스
럽다. I’m worried about ~은 ‘나는 ~에 대해 걱정스럽다’라는
의미이다.
A: Amy, 너는 고릴라가 멸종 위기에 처했다는 것을 알았니?
B: 응, 나는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에 대해 걱정돼.
A: 나도. 우리는 그들을 도와야 해.
② 신나는 ③ 무서운 ④ 무관심한 ⑤ 지친
스럽다. ④는 ‘유감이지만 그건 불가능해.’라는 의미이다.
A: 나는 내일 중요한 시험이 있어.
B: ①, ②, ⑤ 행운을 빌게. / ③ 난 네가 시험을 통과하길 바라.
A: 고마워.
03
Do you want me to ~?는 ‘내가 ~하기를 원하니?’라는 의미로
도움을 제안하는 표현이다.
A: 무슨 일이니?
B: 내 컴퓨터가 고장이 났어.
A: 내가 그것을 고치길 원하니?
B: 응, 부탁할게.
[04– 05]
A: 엄마, 체육 대회가 정말 기다려져요.
B: 민지야, 너는 그날 무엇을 할 거니?
A: 저는 학급을 대표해서 농구를 할 거예요. 우리는 몇 주간 열심
히 연습해 왔어요.
B: 오, 너의 경기가 기대되는구나.
A: 사실은, 전 조금 걱정이 돼요. 제가 실수를 할까 봐 겁나요.
B: 걱정하지 마. 넌 잘할 거야. 행운을 빌어 줄게!
04
주어진 문장은 실수를 할까 봐 두렵다는 말이므로 걱정을 표현
하는 말 다음에 오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05
상대방을 안심시키고 격려한 후 행운을 기원하는 말이 이어지는
것이 자연스럽다. ① 난 믿을 수 없어! ② 동의해! ③ 네가 나와
있다면 좋을 텐데! ④ 네 승리를 축하해!
06
③은 ‘나를 도와줄 수 있니?’라는 의미로 도움을 요청하는 표현
이고 나머지는 모두 도움을 제안하는 표현이다.
07
②는 ‘천만에.’라는 의미로 감사 인사에 대한 답이며, 도움을 제
안하는 말에 대한 답으로는 어울리지 않는다.
너는 내가 네 과학 프로젝트를 돕길 원하니?
① 신경 쓰지 마. ③ 응, 그래주면 고맙겠다. ④ 그래주면 정말 큰
도움이 될 거야. ⑤ 고맙지만, 내가 할 수 있어.
08
(C) 나는 기후 변화에 대해 걱정이 돼. - (A) 나도 그래. 그건 심
각해. - (D) 돕기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 (B) 우리
는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어.
09
② A가 도움을 제안하고 있으므로 제안을 수락하거나 거절하는
답이 와야 자연스럽다.
① A: 너 왜 우울한 얼굴을 하고 있니?
B: 내 개가 아파. 나는 정말 걱정이 돼.
② A: 설거지를 도와줄까?
B: 미안하지만, 난 할 수 없어. 나는 바빠.
③ A: 나는 댄스 경연대회에 참가할 거야.
정답 및 해설 35
B: 나는 네가 1등 상을 타길 바라.
④ A: 나는 공기 오염에 대해 걱정이 돼.
B: 나도 그래. 그건 심각해지고 있어.
⑤ A: 나는 요리에 관심이 있어.
06
첫 번째 빈칸에는 Julia가 감정을 느끼는 주체이므로 ‘흥분된’이
라는 의미의 과거분사 excited가 알맞다. 두 번째 빈칸에는 ‘흥분
을 불러일으키는’이라는 의미의 현재분사 thrilling이 알맞다.
07
④는 명사 앞에 쓰여 명사의 용도나 목적을 나타내는 동명사로
B: 나는 네가 우리 요리 동아리에 가입하기를 제안해.
쓰였고 나머지는 모두 현재분사이다.
10
I hope 다음에 접속사 that이 생략된 형태로 ‘주어+동사’가 이어
진다.
A: 너는 독도에 가본 적이 있니?
B: 아니, 없어.
A: 그 섬은 아름다워. 난 네가 언젠가 그곳을 방문하길 바라.
11
상대에게 행운을 빌 때 I’ll keep my fingers crossed for you!
를 쓸 수 있다.
A: 나는 내일 있을 모형 비행기 경연대회가 기대 돼. 너는 준비
가 되었니?
B: 음, 그렇다고 생각하는데, 난 초조해.
A: 넌 잘할 거야. 행운을 빌게!
12
도움을 제안하는 표현으로 Do you want me to ~?를 쓸 수 있
다.
당신은 당신의 가장 친한 친구인 Jake가 큰 상자를 옮기려고
애쓰고 있는 것을 봅니다. 그 상자는 그가 옮기기에 너무 무겁습
니다. 당신은 그를 돕고 싶습니다. 그에게 뭐라고 말하겠습니까?
Review Test
pp. 126—128
01 intelligence
02 ⑤ 03 ② 04 ③ 05 ① 06 ⑤
07 ④ 08 ② 09 ② 10 ⑤ 11 ③ 12 ① 13 ②
14 ④ 15 ①, ④, ⑤ 16 ④ 17 ②, ③
18 I’ve been reading a novel written by my mother.
19 The singer arrived on stage with his fans cheering for him.
20 Waving her hands
22 Night coming on
confused
book, she went to bed.
23 Because[As/Since] he was completely
25 Having read the
21 Not having enough time
24 If you cross the road
01 짝지어진 단어는 ‘형용사 - 명사’의 관계이다.
02
‘어떤 것을 잘하는 타고난 능력’을 뜻하는 단어는 talent(재능)이
다.
03
Do you want me to ~?는 도움을 제안하는 표현이다.
04
주어인 Sam이 지루한 감정을 일으키는 원인이므로 현재분사
boring이 알맞다.
05
첫 번째 빈칸에는 아기를 ‘안고 있는’ 남자이므로 현재분사를 써
야 하고 두 번째 빈칸에는 내 여동생에 의해 ‘찍힌’ 사진이므로
과거분사를 써야 한다.
36 정답 및 해설
08
영화는 감정을 일으키는 원인이므로 빈칸에는 과거분사를 쓸 수
없다.
09
접속사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 saw를 현재분사 Seeing으로 바
꾸어 분사구문을 만든다.
10
동시동작을 나타내는 분사구문을 부사절로 바꿔 쓸 때 접속사는
While 또는 As가 가장 알맞다.
11
명사를 뒤에서 수식하는 현재분사 growing이 알맞다.
12
ⓓ 비인칭 독립분사구문으로 Considered를 Considering으로
고쳐야 한다.
13
② 심장이 빨리 ‘뛰고 있는’ 채로 편지를 읽었다는 의미이므로
beaten은 현재분사인 beating으로 고쳐야 한다.
④ After he[Jason] had been rescued by the safeguard, ~.를
분사구문으로 전환한 문장이다. 수동형 분사구문에서 Being 또
는 Having been은 생략할 수 있다.
15
② slept → sleeping ③ turning → turned
ⓐ Talking ⓑ Invited ⓒ Having spent 또는 Spending ⓓ
Being ⓔ Having failed
② 접속사를 생략하고 현재분사(Riding)로 시작하는 분사구문
으로 만들 수 있다. ③ 수동형 분사구문에서 Being은 생략할 수
있다.
엄마에 의해 ‘쓰인’ 소설이므로 writing을 과거분사인 written으
로 고쳐야 한다.
「with +명사+분사」는 ‘~가 …한 채로’라는 의미로 동시에 일어
나는 상황을 나타낼 때 쓴다. 명사와 분사의 관계가 능동이므로
cheer는 현재분사 cheering으로 고쳐야 한다.
접속사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를 현재분사인 Waving으로 바
꿔 쓴다.
접속사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를 현재분사인 having으로 바꾼
뒤 Not을 현재분사 앞에 쓴다.
부사절의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다르므로 주어 night는 생략하
지 않고 분사 앞에 쓴다.
이유를 나타내는 분사구문이므로 접속사 Because[As/Since]를
이용한다.
14
16
17
18
19
20
21
22
23
24
조건을 나타내는 분사구문이므로 접속사 If를 이용한다.
25
완료 분사구문인 「having +과거분사」를 이용하여 영작한다.
answers&explanationsLesson 6 I Wish I Were
an Astronaut
교과서 어휘
VoCABulAry
p. 131
3 benefit
4 award
3 turned out
2 solar
6 chemical
2 ran out of
5 Thanks to
A
B
C
1 launched
5 recognize
1 goes for
4 except for
1 finish, effort
4 space, inside
2 successful
3 energy
A 1 그들은 성공적으로 새로운 인공위성을 발사했다.
2 태양은 태양계에서 가장 큰 물체이다.
3 걷기의 신체적 이점은 체지방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4 소년은 대회에서 최우수 연설에 주어지는 상을 받았다.
5 그는 오래전에 그녀를 보았기 때문에 그녀를 알아보지 못했다.
6
개미는 서로 의사소통을 하려고 페로몬이라고 불리는 화학 물
질을 생산한다.
교과서 문법
GrAmmAr
p. 133
A
B
C
5 could arrive
2 had been fixed
3 had rained
6 hadn’t forgotten
1 wouldn’t
4 will tell
7 could have met
1 worked, could achieve
3 But for
have worried
1 could make a snowman if it snowed now
2 had not been so expensive, we could have bought it
3 Without their support, she would have lost
2 had called, would not
4 am not, can’t solve
A 1 내가 너라면, 나는 그 휴대 전화를 사지 않을 텐데. / 가정법 과거
2
3
4
그들의 밴이 수리되었더라면, 그들은 여행을 갔었을 텐데. / 가
정법 과거완료
어제 비가 왔었더라면, 우리는 캠핑을 갈 수 없었을 텐데. / 가
정법 과거완료
Emma에게 멋진 아이디어가 있으면, 너에게 그것을 말할 거
야. / 조건문(직설법 현재)
5
우리가 지금 집을 떠나면 우리는 제시간에 도착할 수 있을 텐
데. / 가정법 과거
6
7
Edward가 네 파티를 잊지 않았더라면 그는 올 수 있었을 텐
데. / 가정법 과거완료
네가 그 회의에 참석했더라면, 너는 거기서 Lucy를 만날 수 있
었을 텐데. / 가정법 과거완료
B 1
그는 일을 더 열심히 하지 않아서 그의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
= 그가 더 열심히 일을 하면, 그는 그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텐데.
텐데.
직설법 현재는 가정법 과거로 바꿔 쓸 수 있다. 이때 직설법이
부정이면 가정법은 긍정으로 바꾼다.
2 네가 나에게 전화를 하지 않아서 나는 너를 걱정했다.
= 네가 나에게 전화를 했더라면, 나는 너를 걱정하지 않았을
직설법 과거는 가정법 과거완료로 바꿔 쓸 수 있다.
3 소금이 없다면, 우리는 먹는 즐거움을 가질 수 없을 텐데.
Without 가정법에서 Without 대신 But for를 쓸 수 있다.
4 내가 천재라면, 나는 그 문제를 풀 수 있을 텐데.
= 나는 천재가 아니라서 그 문제를 풀 수 없다.
직설법 현재는 가정법 과거로 바꿔 쓸 수 있다. 이때 직설법이
긍정이면 가정법은 부정으로 바꾼다.
교과서 문법
GrAmmAr
p. 135
4 hadn’t
5 hadn’t
3 don’t have
A
B
C
2 didn’t witness
2 wish
7 didn’t
3 were
8 hadn’t broken
1 had
6 had
1 hadn’t gone
4 isn’t
1 I wish I knew the fastest way
2 as if nothing had happened
3 I wish I had done my best
4 as if he had fought with someone
A 1 내가 재능이 더 많으면 좋을 텐데. / I wish 가정법 과거
2 내가 다시 십 대가 되면 좋을 텐데. / I wish 가정법 과거
3
4
5
6
그녀는 마치 공중에 떠 있는 것처럼 느낀다. / as if 가정법 과거
네가 태블릿 PC를 잃어버리지 않았더라면 좋을 텐데. / I wish
가정법 과거완료
무슨 일이야? 너는 잠을 잘 못 잔 것처럼 보여. / as if 가정법
과거완료
내가 지난달 불꽃 축제에 갔었다면 좋을 텐데. / I wish 가정법
과거완료
7
Jason은 Julie를 좋아하지만 그는 마치 그녀를 좋아하지 않는
정답 및 해설 37
것처럼 행동한다. / as if 가정법 과거
A 1
그의 지갑이 도난당했기 때문에 그는 조카에게 인형을 사줄 수
8
나는 그 소녀가 실수로 창문을 깨는 것을 보았다. 하지만 그녀
없었다.
as if 가정법 과거는 주절과 같은 시점의 반대 상황을 가정한다.
6 오늘 아침에 비가 오지 않아서 우리는 조깅하러 갈 수 있었다.
문법으로 문장 쓰기
GrAmmAr
pp. 136—137
료를 쓴다.
Grammar Quiz
1 조동사의 과거형, 동사원형 2 had, have
had 4 마치 ~인 것처럼, had
3 ~라면 좋을 텐데,
A
B
C
는 마치 창문을 깨지 않았던 것처럼 말한다. / as if 가정법 과
거완료
B 1 나는 그녀가 그와 함께 거기 가서 유감이다.
→ 그녀가 그와 함께 거기 가지 않았더라면 좋을 텐데.
과거의 일에 대한 아쉬움을 나타내는 I wish 가정법 과거완료
로 나타낼 수 있다.
2 그 남자는 마치 그 사고를 목격했던 것처럼 군다.
→ 사실, 그 남자는 그 사고를 목격하지 않았다.
as if 가정법 과거완료는 주절보다 앞선 시점의 반대 상황을 가
정한다.
3 나에게 언니가 있으면 좋을 텐데.
→ 나에게 언니가 없어서 유감이다.
I wish 가정법 과거는 현재 이룰 수 없는 소망을 나타낸다.
4 그녀는 마치 유명한 예술가인 것처럼 행동한다.
→ 사실, 그녀는 유명한 예술가가 아니다.
7 drove, didn’t crash
2 Without
4 I could
3 lived, would go
5 as if, were their real son
3 He talks as if he
4 Without the sun, nothing
5 If I knew her name, I would let you know
1 hadn’t been stolen, could have bought
[But for] his leadership
speak Chinese well
6 had rained, couldn’t have gone
8 am sick, can’t participate
1 If there were no TVs, we would read more books.
2 I wish I were good at dancing.
had been to the moon.
could live.
it.
1 If she had a car, she would drive everywhere. 또는 She
would drive everywhere if she had a car.
2 Without
the Internet, we couldn’t get information quickly.
4 She acts as if she
3 I wish I had a better memory.
heard the news for the first time.
5 If there were no
weapons, people could live in harmony. 또는 People
6 If
could live in harmony if there were no weapons.
he hadn’t made mistakes, he could have won the prize.
또는 He could have won the prize if he hadn’t made
mistakes.
38 정답 및 해설
직설법 과거는 가정법 과거완료로 바꿔 쓸 수 있다. 이때 직설
법이 긍정이면 가정법은 부정으로 쓴다.
2
그의 리더십이 없었다면 그들은 전쟁에서 졌을 것이다.
‘~이 없었다면, …했을 텐데’는 「Without [But for]+명사(구),
가정법 과거완료」로 바꿔 쓸 수 있다.
3 우리는 바닷가에 살지 않아서 매일 수영하러 가지 않는다.
직설법 현재는 가정법 과거로 바꿔 쓸 수 있고, 가정법 과거는
「If +주어+동사의 과거형 ~, 주어+조동사의 과거형+동사원
형 ~.」의 형태이다.
4 내가 중국어를 잘하지 못해서 유감이다.
‘내가 중국어를 잘하면 좋을 텐데.’라는 의미를 지니는 I wish
가정법 과거로 나타낼 수 있다.
5 사실, 그 소년은 Jackson 부부의 친아들이 아니다.
‘Jackson 부부는 그 소년이 마치 그들의 친아들인 것처럼 사
랑한다.’는 의미의 as if 가정법 과거로 나타낼 수 있다.
‘오늘 아침에 비가 왔더라면 우리는 조깅하러 갈 수 없었을 텐
데.’라는 과거 사실과 반대되는 일을 가정하는 가정법 과거완
7
Mark가 주의 깊게 운전하지 않았더라면 그는 버스와 충돌했
을 텐데.
가정법 과거완료는 직설법 과거로 바꿔 쓸 수 있다. 가정법이
부정이면 직설법은 긍정으로 쓴다.
8 내가 아프지 않으면 나는 마라톤에 참가할 수 있을 텐데.
가정법 과거는 직설법 현재로 바꿔 쓸 수 있다.
B 1
‘~라면 …할 텐데’는 가정법 과거로 쓸 수 있다. If절의 동사가
be동사인 경우 주어의 인칭이나 수에 상관없이 were를 쓴다.
‘~라면 좋을 텐데’는 I wish 가정법 과거로 쓸 수 있다.
‘마치 ~이었던 것처럼’은 as if 가정법 과거완료로 쓸 수 있다.
‘~이 없다면 …할 텐데’는 Without [But for] 가정법 과거로
쓸 수 있다.
5
‘~라면 …할 텐데’는 가정법 과거로 쓸 수 있다. 사역동사
「let +목적어+목적격보어(동사원형)」의 어순에 주의한다.
C 1
가정법 과거로 쓰고 if절이 주절의 뒤에 오면 주절 뒤에 콤마(,)
를 쓰지 않는다.
‘~이 없다면 …할 텐데’라는 의미이고 without이 주어져 있으
므로 「Without +명사(구), 가정법 과거」로 쓴다.
‘~라면 좋을 텐데’는 I wish 가정법 과거로 쓴다.
‘마치 ~인 것처럼’은 as if 가정법 과거로 쓴다.
2
3
4
2
3
4
answers&explanations
5
‘~라면, …할 텐데’는 가정법 과거로 쓴다. if절이 주절의 뒤에
오면 주절 뒤에 콤마(,)를 쓰지 않는다.
6
‘~이었다면, …했을 텐데’는 가정법 과거완료로 쓴다.
문법으로 직독직해
Grammar
pp. 138—139
a
B
1 ⑤ 2 ③, ⑤
1 ① 2 If I were you, I would bring in one more cow
and raise it on the commons.
a
| 해석 | 다음 편지는 남편이 멀리 떨어져 있었던 한 여자에 의해
1973년에 쓰였다. 그녀의 남편은 독일에서 일한 반면, 그녀는 이
탈리아의 섬인 시실리에서 살았다.
내 사랑하는 여보, 난 당신이 정말 그립고, 우리 세 아이와 함께
당신을 향해 내 팔을 쭉 뻗고 있어요. 막내를 제외하고는 우리 모
두 건강해요. 그 아이는 약간 아프지만 심각하진 않아요.
난 당신에게 이미 편지를 보냈지만, 답장이 없어서 그것 때문에
나는 슬퍼요. 당신에게서 편지를 받는다면, 나는 정말 행복할 거예
요. 당신의 어머니께서는 병이 드셨고, 나는 약간의 돈과 음식을
가지고 병원에 있는 어머니를 방문할 예정이에요. 큰애가 막내를
돌보는 동안 둘째와 함께 그곳에 갈 거예요.
여보, 크리스마스가 다가오면서 내 마음은 당신을 떠올려요. 당
신이 나와 함께 있다면 난 정말 행복할 거예요. 우리는 모두 당신
을 매우 많이 그리워해요.
나와 우리 세 아이의 큰 포옹을 보내요. 잘 있어요, 여보. 내 마음
은 당신의 것이에요, 우리들의 두 반지처럼 당신과 연결된 채로요.
1
(A), (B) 현재 사실의 반대를 가정하고 있으므로 가정법 과거
가 와야 한다. 가정법 과거는 「If +주어+were 또는 동사의 과
거형 ~, 주어+조동사의 과거형+동사원형 ~.」의 형태이다.
2
③ 글쓴이는 두 번째 단락에서 남편으로부터 답장을 받지 못해
서 슬프다고 언급했다. ⑤ 글쓴이는 첫째가 아픈 막내를 돌보
는 동안 둘째 아들과 병원을 가겠다고 했다.
① 글쓴이의 남편은 따로 산다.
② 글쓴이의 막내 아이는 아프다.
③ 글쓴이는 그녀의 이전 편지에 답장을 받았다.
④ 글쓴이의 시어머니는 아파서 병원에 있다.
⑤ 글쓴이는 그녀의 세 아이와 병원에 갈 것이다.
B
|해석| 옛날, 숲속에 작은 마을이 있었다. 마을 주민들은 농부였고
소를 길렀다. 다행히도, 마을 한가운데에 좋은 목초지가 있었다.
모든 사람들이 목초지를 사용하도록 허락되었다. 그러므로 목초
지는 ‘공유지’라고 불렸다. 전통에 따라 각 가정은 소가 한 마리만
그러나 어느 날 마을 사람 하나가 규칙을 깨뜨렸다. 그는 다른
소를 데려와 공유지에서 풀을 뜯게 했다. 그는 아무도 그것을 눈치
채지 못할 거라고 생각했다. 두 번째 소가 가족에게 가져다줄 우유
와 치즈를 생각하자 그의 마음은 행복감으로 충만했다.
며칠 후, 그 농부는 아이가 네 명 있는 친한 친구 집을 방문했다.
그는 친구를 도와주고 싶어서 몰래 그에게 말했다. “내가 당신이라
면, 소를 한 마리 더 데려와 공유지에서 키우겠어요.” 친구는 그에
게 고마워했고 그다음 날 자신이 들은 대로 했다.
곧,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했다. 소의 개체 수는 빨리 증가했다.
공유지의 풀은 사라지기 시작했고, 소들이 먹을 풀을 찾기가 더 힘
들어졌다. 많은 소들이 죽었다.
1
(A) 마을 사람들 모두가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공유지’라
고 불렸다는 인과관계를 나타낸다. ‘그러므로’라는 의미를 지
니는 접속부사 Therefore가 적절하다. (B) 각 가정당 한 마리의
소만 공유지에 허락되었는데 농부 한 명이 그 규칙을 깼다는
내용이 이어지므로 역접을 나타내는 접속사 But이 적절하다.
2
‘~라면, …할 텐데.’라는 의미이므로 현재 사실의 반대를 가정
하는 가정법 과거로 나타낸다. 가정법 과거는 「If +주어+were
또는 동사의 과거형 ~, 주어+조동사의 과거형+동사원형 ~.」
의 형태이다.
내신 대비 문법 실전 문제
Grammar
pp. 140—145
29 talks as if she had read it
01 ④ 02 ② 03 ⑤ 04 ③ 05 ② 06 ③ 07 ②
08 ② 09 ⑤ 10 ③ 11 ⑤ 12 ② 13 ① 14 ②, ④
15 ③ 16 ④ 17 ④ 18 ③, ④ 19 ④ 20 ② 21 ⑤
22 ⑤ 23 ④ 24 ① 25 ①, ② 26 ③ 27 ⑤
28 ⑴ I wish I were good at swimming. ⑵ If I had big wings,
I could fly.
30 ⑴ he would
answer the phone ⑵ If she had not taken an umbrella with
her ⑶ it had not been for these interruptions
31 hadn’t
had, wouldn’t [couldn’t] have made
32 ⑴ If my car were
not broken, I c ould give you a ride. ⑵ I wish I could see
you often. ⑶ If Dave had studied harder, he could have
gotten[got] straight A’s. ⑷ If you had not booked the tickets
in advance, we would [could, might] not have been able to
33 were → had been
watch the game.
34 ⑴ I would go
to Hawaii this summer ⑵ If my laptop had worked properly
⑶ If I did more exercise ⑷ I wouldn’t have gotten a 10%
discount ⑸ Mom still treats me as if I were a child
35 I
wish I could turn back time.
있었고, 그래서 마을에 있는 소들이 충분히 먹을 풀을 찾는 것은
01
쉬운 일이었다.
가정법 과거의 형태는 「If +주어+동사의 과거형 ~, 주어+조동
사의 과거형+동사원형 …」이므로 빈칸에는 have의 과거형 had
정답 및 해설 39
07
08
09
가 알맞다.
02
03
04
주절과 같은 시점의 반대되는 일을 가정하는 「as if +가정법 과
거」이므로 빈칸에는 could play가 알맞다.
가정법 과거완료의 형태는 「If +주어+had +과거분사 ~, 주어+
조동사의 과거형+have +과거분사 …」이다.
ⓐ have → had ⓒ 가정법 과거이면 isn’t → weren’t로 고치고,
조건문이면 would → will로 고친다. ⓓ But → Without 또는
But for
ⓑ 그녀는 마치 나에게 거짓말을 하지 않았던 것처럼 행동한다.
(as if 가정법 과거완료)
ⓔ 네가 아프지 않았더라면 우리는 어제 만났을 텐데. (가정법 과
거완료)
05
직설법 현재는 가정법 과거 「If +주어+동사의 과거형 ~, 주어+
조동사의 과거형+동사원형 …」으로 나타낸다. 직설법에서 부정
문은 가정법에서 긍정문으로 나타낸다.
06
③은 단순 조건문에 쓰인 if이고, 나머지는 모두 가정법 과거에
쓰인 if이다.
① 산소가 없다면 생명체는 존재하지 않을 텐데.
② Melinda가 그 소식을 듣는다면 그녀는 실망할 텐데.
③ 네가 또 그것을 하면 나는 다시는 너와 말하지 않을 거야.
④ 네가 내 입장이라면 어떻게 할 거야?
⑤ 그가 지금 도착하면 우린 영화를 함께 볼 수 있을 텐데.
는 의미로 현재 있는 것이 없다고 가정할 때 쓴다. Without 대신
But for나 If it were not for를 쓸 수 있다.
15
‘비가 오지 않으면 우리는 테니스를 칠 텐데.’라는 의미가 되어야
하므로 현재 사실의 반대를 나타내는 가정법 과거로 쓴다.
16
④ ‘내가 너라면’이라는 의미로 가정법 과거 문장이다. were가 알
맞다.
17
더 일찍 잠자리에 들었더라면, 늦잠을 자지 않았을 텐데.
18
19
주절의 동사가 「조동사의 과거형+have +과거분사」이므로 가정
법 과거완료이다. 「If +주어+had +과거분사」 형태가 알맞다.
「Without +명사, 가정법 과거완료 ~」 구문으로 Without 대신
But for 또는 If it had not been for를 쓸 수 있다.
ⓐ am → were
ⓒ wouldn’t had survive → wouldn’t have survived
20
가정법 과거완료는 과거 사실에 대한 반대를 가정하므로 직설법
과거로 쓰고, 긍정문은 부정문으로 바꾼다.
<보기> 내가 차가 있었다면 너를 데리러 공항에 갈 수 있었을 텐
데. / ② 나는 차가 없었기 때문에 너를 데리러 공항에 갈 수 없
었다.
21
과거 사실에 반대되는 가정이므로 가정법 과거완료를 쓰며, 형태
는 「If +주어+had +과거분사 ~, 주어+조동사의 과거형+have
+과거분사 …」이다.
22
⑤는 가정법 과거이므로 ‘(만약) 컴퓨터가 없다면 일하기 힘들 텐
가정법 과거는 if절에 be동사가 올 경우 were를 쓰고, 주절에는
「조동사의 과거형+동사원형」을 쓴다.
데.’의 의미이다.
과거 사실의 반대를 가정하는 가정법 과거완료이다. I wish I
had watched the sunrise.와 의미가 통하고, As I didn’t get up
earlier, I couldn’t watch the sunrise.로 바꿔 쓸 수 있다.
had had를 had로 고쳐서 가정법 과거로 쓰거나, would discuss
를 would have discussed로 고쳐서 가정법 과거완료로 쓸 수
있다.
23
④는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로 현재 시제를 쓰고, 나머지는 모
두 가정법 과거 문장으로 동사의 과거형을 쓴다.
① 내가 그의 주소를 안다면 그것을 너에게 줄 텐데.
② 내가 친구가 더 있다면 나는 이렇게 외롭지 않을 텐데.
③ 그 재킷이 비싸지 않다면 나는 그것을 살 텐데.
④ 네가 그의 제안을 거절하면 너는 아무것도 얻을 수 없을 것이다.
⑤ 네가 운동을 더 하면 너는 훨씬 더 건강할 텐데.
10
① 가정법 과거: would apologize ② as if 가정법 과거완료:
had been ④ 가정법 과거: weren’t ⑤ 가정법 과거완료: had
Live every day as if it were your last.
1 2 3 4 5
left
11
① am → were(as if 가정법 과거), ② knew → know(조건문)
또는 I’ll → I would(가정법 과거), ③ don’t → didn’t(I wish 가
정법 과거) ④ have tried → had tried(가정법 과거완료)
12
‘마치 ~인 것처럼’이라는 의미는 「as if +가정법 과거」를 이용하
여 나타낸다.
① 현재 실현 불가능한 일을 가정하는 가정법 과거이므로 had를
쓴다. ② 가정법 과거완료 문장이므로 had stopped로 고친다.
26
as if 뒤에는 가정법 과거 또는 과거완료를 쓸 수 있다.
27
과거 사실에 대한 유감을 표현하므로 ‘I’m sorry +직설법 과거
(부정)’ 또는 ‘I wish +가정법 과거완료(긍정)’로 쓴다.
28
(1) 현재 사실에 대한 아쉬움을 나타내므로 「I wish +가정법 과
13
I wish I were more diligent.
거」로 쓴다.
14
중력이 없다면 사람들은 걸을 수 없을 텐데.
(2) 현재 사실에 대한 반대는 가정법 과거로 쓰며, ‘~할 수 있을
「Without +명사(구), 가정법 과거」는 ‘~가 없다면 …할 텐데’라
텐데’라는 능력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조동사 can의 과거형
24
25
40 정답 및 해설
answers&explanationscould를 쓴다.
29
as if절이 나타내는 시점이 주절보다 더 이전이므로 「as if +가정
법 과거완료」를 쓴다.
30
(1) 직설법 현재는 가정법 과거로 바꿔 쓸 수 있다. 주절의 동사
는 「조동사의 과거형+동사원형」을 쓴다.
(2) 과거의 사실(우산을 가져가서 비를 맞지 않음)과 반대되는 상
황을 가정하는 가정법 과거완료를 쓴다.
(3) ‘~가 없었다면’이라는 의미의 「Without +명사(구), 가정법
과거완료」이다. Without 대신 But for 또는 If it had not
been for를 쓸 수 있다.
31
|해석| 전자레인지는 운 좋은 사고였다. 발명가 Percy Spencer
가 1946년에 레이더 실험을 하고 있었다. 실험 중에 그는 뭔가
교과서 대화문
CommuniCAtion
p. 147
A ⑤
B
C
If I were you, I’d go to the community center.
(B) ― (D) ― (A) ― (C)
A A: 나는 요리사가 되고 싶은데, 모두 나를 비웃어. 너는 내가 꿈을
포기해야 한다고 생각하니?
B: 아니, 절대 포기하지 마. 나는 네가 요리를 정말 잘한다고 생각
해. 너는 훌륭한 요리사가 될 거야!
A: 고마워.
① 내가 왜 꿈을 포기해야 하니?
② 내 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니?
이상한 것을 알아차렸다. 그의 바지에 있는 초콜릿이 녹고 있었
③ 너는 왜 네 꿈을 포기했니?
다. 그는 전자파가 음식을 빨리 요리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
④ 무엇이 네 꿈을 포기하게 만들었니?
다. 그의 새로운 생각을 이용하여 그는 최초의 전자레인지를 만
드는 데 착수했다.
• Percy의 바지에 초콜릿이 없었다면 전자레인지를 발명할 수
없었을 것이라는 과거 사실의 반대를 가정하는 가정법 과거완
료를 쓴다. if절의 동사는 「had +과거분사」를, 주절에는 「조동
사의 과거형+have +과거분사」를 쓴다.
32
(1) 직설법 현재는 가정법 과거로 바꿔 쓴다. if절에는 were 또는
동사의 과거형을 쓰고, 주절의 동사는 「조동사의 과거형+동
사원형」을 쓴다.
(2) 현재의 사실에 반대되는 상황을 가정하며 아쉬움을 나타낼
때는 「I wish +가정법 과거」를 쓴다.
(3), (4) 과거 사실에 반대되는 일을 가정하는 가정법 과거완료로
나타낼 수 있다. 직설법이 긍정문이면 가정법은 부정문
으로 쓴다.
33
아빠가 학교에서 공부를 제일 잘했다고 말했지만 사실이 아니었
다는 의미로, as if절의 시점이 주절보다 더 이전이므로 「as if +
가정법 과거완료」로 써야 한다.
34
(1) 내가 이번 여름에 하와이에 가면 좋을 텐데. (I wish +가정법
(2) 내 노트북이 잘 작동했더라면 나는 보고서를 끝낼 수 있었을
과거)
텐데. (가정법 과거완료)
(3) 내가 운동을 더 하면 나는 더 건강할 텐데. (가정법 과거)
(4) 이 쿠폰이 없었다면 나는 10% 할인을 받지 못했을 것이다.
(But for +명사(구), 가정법 과거완료)
(5) 나는 더 이상 아이가 아닌데, 엄마는 여전히 나를 마치 아이
처럼 대하신다. (as if +가정법 과거)
35
현재 이룰 수 없는 소망은 「I wish +가정법 과거」로 나타낸다.
B A: 봉사 활동을 하기에 좋은 장소를 알고 있어?
B: 내가 너라면, 지역 주민 센터에서 봉사 활동을 할 거야.
A: 지역 주민 센터? 거기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데?
B: 어르신들을 위한 스마트폰 수업이 있는데 거기에서 자원봉사
자를 찾고 있어.
A: 그거 좋겠다! 조언해 줘서 고마워.
C A: 너는 기분이 좋아 보이지 않는구나. 왜 실망하고 있니?
(B) 내 실수 때문에 우리가 농구 시합에서 졌어.
(D) 괜찮아. 누구나 실수를 해.
(A) 내가 더 연습해야 한다고 생각하니?
(C) 응, 그래, 너도 알다시피, 연습이 완벽을 만들잖아.
내신 대비 대화문 실전 문제
CommuniCAtion pp. 148—149
01 ③ 02 ④ 03 ④ 04 ⑤ 05 ④ 06 ① 07 ④
08 ② 09 ① 10 Do you think I shoul d take wr iting
lessons?
11 ⑴ Why are you disappointed? ⑵ Do you
12 If I were you, I’d drink
think I should speak more slowly?
some cold water.
01
③은 ‘왜 집에 있니?’라는 뜻으로 ‘요즘 몸이 좋지 않다.’는 말에
대한 응답으로 어색하다. 나머지는 모두 충고하는 표현이다.
① 너는 쉬는 게 낫겠다.
② 너는 병원에 가 보는 게 좋겠다.
④ 좀 쉬는 게 어때?
⑤ 너는 집에서 쉬어야 될 것 같아.
02
A: 나는 Jake에게 거짓말을 하지 말았어야 했어.
B: 내가 너라면, 지금이라도 그에게 사실을 말할 거야.
정답 및 해설 41
‘If I were you, I’d ~.’는 ‘내가 너라면, ~할 텐데.’라는 뜻으로
상대방에게 충고하는 표현이다.
고 생각하니?
(C) 댄스 오디션에 또 떨어졌어. 너는 내가 계속 시도해야 한다
[04– 06]
03
실망한 원인을 묻는 말에 사진 콘테스트에서 일등을 했다는 대
답은 어색하다.
① A: 난 콧물이 나고 목이 아파.
B: 내가 너라면, 따뜻한 외투를 입을 거야.
② A: Lia는 수학을 잘해. 그렇게 생각하지 않니?
B: 전적으로 동의해.
③ A: 나는 Emily의 우산을 고장 냈어.
B: 그녀에게 새 것을 사줘야 할 것 같구나.
⑤ A: 너 또 늦었어. 너는 항상 늦어.
B: 미안해. 너를 기다리게 하지 말았어야 했는데.
A: 와! 배에 타니 정말 좋아요, 아빠.
B: 나도 그렇단다, 소라야. 20A와 20B, 여기가 우리 자리야.
A: 네. 제가 창가 자리에 앉아도 괜찮을까요? 바깥 풍경을 보고
싶어요.
B: 그렇게 하렴.
A: 그런데, 국수나 샌드위치 같은 걸 먹고 싶어요.
B: 내가 너라면, 그런 것들을 먹지 않을 거야.
A: 왜 그렇죠?
B: 그런 음식들이 뱃멀미하게 할 수 있단다.
A: 오, 알겠어요. 그렇다면, 아이스크림을 먹을래요.
B: 그것도 좋은 생각이 아니야. 우리 도착한 뒤에 먹자.
04
국수나 샌드위치는 뱃멀미를 일으킬 수 있으니 먹지 말라는 아
빠의 조언에 딸은 아이스크림을 먹겠다고 했다. 그 말에 아빠가
그것도 좋은 생각이 아니니 배에서 내려서 먹자고 말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05
06
07
‘If I were you, I’d ~.’는 ‘내가 너라면, ~할 텐데.’라는 뜻으로
상대방에게 충고하는 표현이다.
ⓐ T / 두 사람은 아빠와 딸이다. ⓑ F / 소라는 바깥 풍경을 보고
싶어서 창가 자리에 앉겠다고 말했다. ⓒ F / 소라의 아빠는 배에
서 내려서 먹자고 말했다.
|해석| A: 아침마다 나는 배가 꼬르륵거려. 어떻게 해야 할까?
B: 하하. 너는 보통 아침을 먹니?
A: 아니, 집에서 뭘 먹을 시간이 없어.
B: 내가 너라면, 간식을 좀 가져오겠다.
A: 그거 좋은 생각이야.
아침을 굶기 때문에 아침마다 배가 꼬르륵거린다는 친구에게 ‘내
(B) 물론이지. 포기하지 마. 너는 다음번에 더 잘할 거야.
(A) 고마워.
09
기분이 좋아 보이지 않는데 왜 그런지 이유를 묻는 말이 오는 것
이 자연스럽다.
② 그녀가 왜 울었는지 말해 줄래?
③ 너는 그 경기가 재미있었니?
④ 너는 내가 연습을 더 해야 한다고 생각하니?
⑤ 너는 그 경기에서 지면 어떻게 할 거니?
10
11
‘Do you think I should ~?’는 상대방으로부터 충고를 구하는
표현이다. 이 질문에 대해 ‘Yes/No’로 답하고 추가 의견을 줄 수
있다.
|해석| A: (1) 너는 왜 실망하고 있니?
B: 나는 발표를 잘하지 못했어.
A: 괜찮아. 너의 발표는 약간 빨랐지만, 나는 너의 발표가 마음
에 들었어.
B: (2) 너는 내가 더 천천히 말해야 한다고 생각하니?
A: 응. 그러면 너의 학급 친구들이 네 말을 더 잘 이해하게 될 거야.
11
(1) 뒤에 이어지는 말에 발표를 못했다는 말이 있으므로 B가 기
분이 안 좋은 이유를 묻는 것이 자연스럽다. (2) 발표 속도가 빨
랐다는 말이 앞에 있으므로 말을 천천히 하는 것에 대해 묻는 것
이 자연스럽다.
12
시험공부를 해야 하는데 잠이 온다고 말하는 친구에게 ‘If I
were you, I’d ~.’ 가정법 구문을 이용하여 충고하는 표현을 쓸
수 있다.
Review Test
pp. 150—152
02 ② 03 ④ 04 ③ 05 ② 06 ④
01 achieve
07 ③ 08 ⑤ 09 ④ 10 ⑤ 11 ④ 12 ① 13 ②
14 ①, ⑤ 15 ① 16 ⑤ 17 ④
18 wouldn’t run → wouldn’t have run
20 weren’t
22 you were old enough, could go
practiced hard
as if he had done the work on his own.
19 hadn’t received
21 But for sunlight, If it were not for sunlight
23 got a good review,
25 He talks
24 I could go back in time
01
•Emma는 작가가 되는 그녀의 목표를 이룰 것이다.
•성취하다: 노력의 결과로 얻다
가 너라면 간식을 가지고 오겠다’라고 조언을 하고 있다. → were
02
② turn out이 ‘판명되다, 결국 ~임이 드러나다’라는 의미로 쓰였다.
08 A: 너는 우울해 보인다. 무슨 일이야?
03
wireless: 무선의
42 정답 및 해설
answers&explanations04
③가정법과거문장으로couldn’t go로고쳐야한다.
①내가너라면,나는눈을감을텐데.
21
‘햇빛이없다면,우리는비타민D를쉽게만들수없을텐데.’라
는의미를가지는「Without +명사(구),가정법과거」문장이다.
05
06
09
10
11
12
13
14
15
16
17
②네가더일찍왔더라면,너는그녀를볼수있었을텐데.
④네가택시를타면너는거기더빨리도착할것이다.
⑤숙제가없다면,내가TV를볼수있는시간이더많을텐데.
‘마치~이었던것처럼’이라는의미는「as if +주어+ had +과거분
사」로쓴다.
「shouldn’t have +과거분사」는‘~하지말았어야했다’라는의미
로후회를나타내는표현이고,나머지는모두충고하는표현이다.
①너는지금잠을자야할것같아.
②너는도서관에서공부하는것이좋겠다.
③너는수업시간에집중을해봐.
⑤내가너라면,나는택시를타지않을텐데.
07
주절이「조동사의과거형+동사원형」이므로가정법과거이다.
if절의be동사는주어의인칭과수에상관없이were를쓴다.
08
‘엄마가깨워주지않았더라면나는지각했을것이다’라는의미
로과거사실의반대를가정하는가정법과거완료이다.if절은
「had +과거분사」로쓴다.
④「I wish +가정법과거완료」는과거이루지못한일에대한아
쉬움을나타내므로doesn’t를didn’t로고친다.
가정법과거에서주절에는「조동사의과거형+동사원형」을쓴다.
ⓑas if he is →as if he were ⓓdidn’t go dead →hadn’t
gone dead(가정법과거완료)또는would have texted →
would text(가정법과거)
「Without [But for]+명사(구),가정법과거완료」로나타낸다.If
it had not been for your help로도쓸수있다.
첫번째문장:knew 또는had known 둘다가능하다.두번째
문장:주절이「조동사의과거형+have +과거분사」이므로가정
법과거완료이다.
②is →were ③If you have →If you had ④If it were not
his glasses →If it were not for his glasses
①은조건문에쓰인If이고,나머지는모두실현불가능한일을
가정하는If이다.
⑤는조건을나타내므로is를,나머지는모두가정법문장이므로
were를쓴다.
주어진문장의「as if +가정법과거완료」는과거사실의반대를
나타내므로In fact, Ann didn’t live in L.A.의의미이다.
22
직설법현재는가정법과거로바꿔쓸수있다.직설법이부정이
면가정법은긍정으로쓴다.
23
가정법과거완료는과거사실에반대되는일을가정하므로직설
법으로쓰면과거시제로쓰고부정문은긍정문으로쓴다.
24
현재의실현불가능한소망을나타낼때는「I wish +가정법과
거」로나타낸다.
25
주절보다더앞선시점에일어난일의반대되는상황을가정하
고있으므로「as if +가정법과거완료」로나타낸다.
workbook
Lesson 1 She Said to Me, “Step Forward”
Vocabulary
instead of
thunder
threaten
01
02
03 dust
04 phenomenon
05 discover
06 all of a sudden
07 planet
08 active
09 volcano
10
11 Arctic
12 drought
13 erupt
14 wildfire
15 gravity
16 grassland
17
spread
18
climate
flat
19
20 plenty of
Grammar 1
p. 154
21 홍수
22 파괴하다
23 A를 B와 구분하다
24 강우(량)
25 재난, 재해
26 상상의, 상상력이 풍부한
27 쫓아내다, (액체·연기 등을) 뿜어내다
28 남극; 남극의
29 열파, 폭염
30 태풍
31 타당하다
32
33 자원
34 극도의, 극심한
35 ~을 두고 가다
36 재, 화산재
37 효과, 결과
38 물속의, 수중의; 수중에서
39 지진
40 극심한, 심각한
(물에) 뜨다
p. 155
정답 및 해설 43
18
직설법문장의시제가과거이므로과거사실의반대를가정하는
가정법과거완료(wouldn’t have run)가되어야한다.
19
가정법과거완료이므로if절에는「had +과거분사」가와야한다.
20
가정법과거에서if절의be동사는were를쓴다.
A 1 Tell me what made her sad.
2
3 He told her that he had her dog.
I don’t know if Ann will come or not.
I wonder what time she left the office.
4
5 She asked me to open the window.
6 Where do you think he lives?
B 1 She asked me if [whether] I had a pet.
2 He said that he had something to do.
3 Do you know what his uncle does?
4 Mom said to me, “Go to bed early.”
5 He asked me what my job was.
6 He advised his wife not to drive too fast.
Grammar 2
p. 156
A 1 We learned that light travels faster than sound.
2 He didn’t eat anything for 24 hours.
3 Ethics is the subject I’m really good at.
4 She says she will visit the island next month.
5 Good luck is not always on your side.
6 Each member of the club drives a sports car.
B 1 Not every idea has value.
2 I promised I wouldn’t do such a thing again.
3 Neither you nor he is interested in music.
4 The kid didn’t know that the Sun rises in the east.
5 Two-thirds of the books were returned.
6 A number of kids have a smartphone these days.
Grammar 3
p. 157
Visiting
markets
is
a good
way
to learn
about the
culture
of a
country.
시장 방문은 ~이다 좋은 방법 배우는 문화에 대해 한 나라의
whether
there is
any better way to discover
another
culture.
있을지 더 좋은 방법이 발견하는 다른 문화를
I wonder
나는 궁금
하다
Garcia-
Fuller said
she was
teaching
her
students
how to tell
fake news
from real
news.
Garcia-
Fuller는
말했다
그녀가 가르
자신의 학생
치고 있다고
들에게
가짜 뉴스를
구분하는
방법을
진짜 뉴스로
부터
1
2
3
4
One of the first steps
is
to slow down.
첫 단계 중 하나는
~이다
속도를 늦추는 것
5 What volcanoes do is not always bad
for humans.
화산이 하는 일이 항상 나쁜 것은 아니다
인류에게
44 정답 및 해설
6
7
8
The soil
near a volcano
is good
for farming.
토양은
화산 인근의
좋다
농사에
Volcanoes
can be used
to produce
electricity,
too.
화산은
이용될 수 있다 전기를 생산하는 데
또한
Iceland,
아이슬란
드는
for
example,
actively
turns
its volcanoes’
heat energy
into
electricity.
예를 들어
화산의 열에너지를 전기로
적극적으로
바꾼다
Communication
p. 158
02 wonder, if, right
01 about, for
talk about our vacation plans. / How about you?
about them.
06 I wonder if there’s one that lasts longer.
03 talk, best
04 Let’s
05 I’m curious
Lesson 2 You Had Better Listen
Carefully
Vocabulary
p. 159
lay
insect
21 parrot
22
23
24 divide A into B
01 선인장
02 벌집, 벌통
03
(개가) 짖다
04 연구, 조사
05 목초지; (가축을) 방목하다 25 graze
06 가축
26
flea
07 손을 맞잡고
27
cage
08 씨앗, 종자
28 near and far
09 독성의
29 weed
10 꽃잎
30
sprout
11 위험에 처한, 멸종 위기의 31 giraffe
12 몸통; 나무줄기
32 hippo
13 문어; 낙지
33 have ~ in common
14 수확하다; 수확, 추수
34 make a difference
15 거북
35
rhinoceros
16 목초지, 초원
36 dinosaur
17 애벌레
37 produce
18 야생 동물
38 beak
19 들판; 밭, 목초지
39
cattle
20
40
for good
(동·식물의) 군락, 군집
answers&explanationsGrammar 1
p. 160
was
there,
and
so
were
4 Peter likes to collect old coins, and so does Sam.
5
6 Hardly have I seen such a beautiful scene.
It was her keys that[which] Jane lost at the coffee shop.
Helen has spent
regretting her decision.
the rest of
her life
Helen은 보내왔다 그녀의 남은 인생을 후회하면서 자신의 결정을
It was yesterday that Erika bought the earrings.
I’m not interested in rock music, and neither is David.
A 1 My mother does like growing flowers.
2
3
4 Not a word did he say at the meeting.
5 There lived an old man with his dog.
6 Little did I understand what the teacher said in class.
B 1 It was on the road that[where] I encountered Paul last
2 My uncle does play an important role in his company.
3 It was Kate that[whom] Tom met at the bookstore
Sunday.
yesterday.
Grammar 2
p. 161
I would often skip breakfast in the morning.
A 1 There used to be a parking lot across the street.
2
3 You had better go to bed early.
4
I must have left my wallet in the taxi.
5 They shouldn’t have told a lie to me.
6
I would rather not answer your question.
B 1 He cannot[can’t] have solved the problem.
2 You had better not swim too far from the shore.
3 She must have seen the movie.
4 She may[might] have left for the station earlier.
5 You should have come to the meeting on time.
6
I would rather go shopping than stay home.
p. 162
clean drinking
water.
the
page,
그 페이
지를
it
changes
into
~으로
바뀐다
그 물이 통과하다
그것은
깨끗한 마실 물
Grammar 3
the
water
goes
through
As
~하
면서
1
2
It is
this filtered water
that you can drink.
(바로) ~이다
이 여과된 물
당신이 마실 수 있는 것은
3 What surprised
me most
나를 가장 놀라게
was
~이
to see villagers
sitting
마을 사람들이
한 것은
었다
앉아있는 것을 본 것
at the back of the
classroom.
교실 뒤에
Old
Hauser
Hauser
할아버지가
Every
summer,
계셨다 거기에 그리고
있었다
many
others.
많은 다른
사람들
~도
또한
go on
holiday
my family
used to
to the coast.
여름마다 나의 가족은
휴가를 가다 해안으로
We
would
stay
swimming in the sea.
우리는 ~하곤 했다 머물다 2주 동안 수영하면서 바다에서
~하곤
했다
for two
weeks,
4
5
6
7
8
I
나는
should have gone
to Chicago.
갔어야 했다
시카고에
Communication
01 can you tell me
about
shouldn’t have done that.
02 afraid, should have set
04 I shouldn’t have touched the beehive.
06 Can you tell me more about it?
p. 163
03 more
05 I
Lesson 3 The More, the Merrier
Vocabulary
routine
company
symptom
invitation
01
02
03
04
05 provide
06
07 advise
remind
08
register
09
celebrate
10
11
story
12 dizzy
13 personality
injure [wound]
p. 164
21 오해하다
22 재채기하다, 재채기
23 구르다, 굴리다
24 경보(기); 불안, 놀람
25 굴뚝
26 A가 B하는 것을 막다
27 식, 의식
28 일생, 평생
29 더 잘살다
30
31 배경
32 비상(사태)
33 조만간
(특정 용도용) 부지, 땅
정답 및 해설 45
resemble
can afford to
14 garage
15
16
17 behave
18 get closer to
19 dirty [messy]
20 prevent
Grammar 1
34 멍, 타박상, 멍이 생기다
35 나이가 더 많은
36 임신한
37 엎친 데 덮친 격으로
38
(늘 하는) 일
39 청년기; 젊음
40 아픈, 쓰라린
p. 165
2 Actions are more powerful than words.
3 His decision was the wisest in this situation.
4 Kelly doesn’t eat as much as she used to.
5 English has fewer words than Korean.
6 The journey was the best experience of my life.
A 1 The new book looks more attractive than the old one.
B 1 This trail is less steep than I thought.
2 Light travels faster than sound.
3 Her salary isn’t as high as mine.
4 Smartphones are the most popular device among teens.
5 My suitcase is twice as heavy as yours.
6 We’ll do our best to repair it as soon as possible.
Grammar 2
p. 166
2 Wearing a mask is one of the easiest ways to stay healthy.
3 The more people possess, the more they want.
4 The baby is crying much louder than before.
5 The global economic crisis is getting worse and worse.
6 One of the greatest inventions of mankind is the Internet.
A 1 Hong Kong is busier than any other city in the world.
B 1 The harder you work, the more money you earn.
2 The cheetah is faster than all the other animals on land.
3 She w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people at that time.
4 Nothing is more important than education. / There is
nothing more important than education.
5 William is the smartest boy of all the students.
6 He became more and more nervous.
Grammar 3
p. 167
We
want
to give
you
what is most
valuable
to us.
우리는 원하다 주기를 너에게
가장 값진 것을 우리에게
The kitten was worth
all the jewels in the world.
그 새끼
고양이는
가치가
있었다
온갖[모든]
세상에서
더 많이
보석들
far more
than
~보다 훨씬
46 정답 및 해설
1
2
3
4
5
6
7
8
This way,
the whole world can become a big library.
이런 방법으로
전 세계는
~될 수 있다 큰 도서관이
The more books we
share,
the more we
learn.
더 많은 책을 우리가 공유하다 더 많이 우리는 배우다
You may think volcanoes
only on Earth.
너는
생각할지도
모른다
화산이
오직 지구에서
can be
found
발견될 수
있다
“Olympus Mons”
on Mars
화성에 있는
‘올림푸스몬스’는
is
~이다
the largest known
volcano
가장 크다고
알려진 화산
in the solar
system.
태양계에서
Its
volume
그것의
부피는
is
about
greater than
100
times
~이다 약 100배 ~보다 더 큰
that of
Mauna Loa.
마우나로아의
부피
Volcanoes
do harm
to people
in many ways.
화산은
해를 끼치다
사람들에게
여러 면에서
Communication
p. 168
01 better, cats, cleaner
draw, Which
think is better, hiking or swimming?
04 I don’t agree with you.
03 What,
05 Which do you
06 You can say that again.
02 heard, seems, say, again
p. 169
Lesson 4 The Museum Was Still
Being Built
Vocabulary
(돈을) 갚다
01
02 기소, 혐의; 기소하다
03 가혹한
04 방어
05 계좌, 계산
06 폭탄
07 검
08 국경
09 소비자
21 be made up of
22 mayor
23 property
24 advertisement
25 government
26 evidence
27
28 attack
29 economic
for a good reason
answers&explanations10 소매의
11 군대; 군의
12 대표하다
13 증가하다, 증가시키다
14 ~을 추구하다
15 감소하다, 감소시키다
16 독립
17 대우
18 ~을 부끄러워하다
19 자유
20 무기
trade
30 argue over
31 be impressed by [with]
32
33 national
34 vote
35 army
36 battle
37 million
38 wholesale
39 navy
40 arrest
Grammar 1
p. 170
A 1 The answer sheet must not be touched until the bell rings.
2 Where were those pictures being kept?
3 The search will be stopped because of the storm.
4 He said that the child had been found near the bus stop.
5 The novel is being read by many people
6 When was the machine invented by her?
5
6
B 1 Those rooms have been painted blue by Emily.
2 The kids are taught by Ellen at her home.
3 A mini castle has been built by the carpenter.
4 Lots of houses were destroyed in the earthquake.
5 French is spoken in France.
6 The kitchen is being cleaned by Joseph.
Grammar 2
p. 171
I was worried about the test.
A 1 The actor is thought to have a baby face.
2
3 He was seen to dig the ground in the park.
4 This Korean wine is made from rice.
5 Our field trip was put off by the principal.
6 The turtle was made fun of by the rabbit.
B 1 Some flowers were brought to him by Lily.
2 A question was asked of the mayor by the reporter.
3 How many students are involved in this project?
4 Was she satisfied with the gift?
5
6 Why are you tired of your work?
I was seen entering the shop by Tom.
Grammar 3
1
Therefore,
they
should
and understood.
be
studied
그러므로, 그것들은 ~해야 한다 연구되다 그리고 이해되다
p. 172
2 Actually,
it
has been used
since
long ago.
실제로,
그것은 사용되어 왔다 ~ 이래로
오래전
3
These
expressions
have become
popular
because they
can be
typed
quite
quickly.
이 표현들은
~ 때문에
인기 있게
되었다
그것
타자로 입력
상당히
들이
될 수 있다
빠르게
4
The
building
그 건물은
where the market
is housed
그 시장이 자리하고
있는
is
bigger
than
120 soccer
fields.
~이다 ~보다 더 큰 축구장 120개
The carts
are moved mostly by electric-powered trucks.
그 수레들은 움직여진다 대부분
전동 트럭에 의해
Every day,
and shipped
are
traded
around
20 million
flowers
약 2천만
송이의 꽃이
매일,
거래되다 그리고 운송되다
Communication
01 about, think, don’t
afraid
04 I don’t think so.
How do you feel about our new school?
02 like, What, with, bad
05 I think you’re mistaken.
to all
corners of
the world.
세계
각지로
p. 173
03 right,
06
Lesson 5 I Saw a Dog Barking Fiercely
Vocabulary
p. 174
21 하인; 고용인, 종업원
01 hire
02 engineer
22 장군
03 have no choice but to 23 학교
04 programmer
improve
05
06
retire
07 potter
08 publisher
09
10 editor
11 graduate from
24 제의하다, 권하다
25 실험실
26 인물
27 비평가
28 보상; 보상하다
29 난국을 헤쳐 나가다
30 공무원
31 추가의
instruct
정답 및 해설 47
12 permission
13 professional
14 knowledge
15 assign
career
16
lecture
17
craft
18
19 merchant
20 ask a favor
32 전문가; 전문가의; 숙련된
33 지능
34 관리하다, 운영하다
35 재능
36 광대
37 대학
38 ~에 지원하다
39 행운을 빌다
40 제안하다; 추천하다
Grammar 1
p. 175
I saw a crowd of boys throwing snowballs at each other.
2 Brian is sitting next to the woman wearing sunglasses.
3 We found a letter written in Latin.
4 Ms. Woods had the fence painted white.
5 We visited the city destroyed by an earthquake.
6
A 1 Listen to the birds singing in the trees.
B 1 Barking dogs seldom bite.
2
I like the songs composed by the band.
3 The man standing by the car is my dad.
4 The test results were disappointing.
5 The students were bored by the lecture.
6 We took a picture of a tree covered with snow.
Grammar 2
p. 176
하지만
2 Taking bus 504, you can get there.
3 He sat on the chair with his arms folded.
4 Damaged by the recent fire, the museum has to be renovated.
5 There being nothing to do, we played games.
6 Not knowing what to say, I remained silent.
A 1 Walking my dog, I met an old friend of mine.
B 1 Being tired, Julia went to bed early.
2 The weather being fine, they will go on a picnic.
3 Emma was playing the violin with her eyes closed.
4 Strictly speaking, spiders are not insects.
5 Not having enough time, we had to take a taxi.
6 Having studied hard, she is sure of passing the test.
2
It’s an
emoticon,
그것은
which is a group
of letters or symbols
그리고 그것은 한
used to
represent
나타내기
이모티콘이다
무리의 문자나 상징이다
위해 사용되는
a facial
expression.
얼굴 표정을
3 When dinner
was served,
rats
appeared,
and some
servants
chased them
away
with
sticks.
저녁 식사가
쥐들이
그리고 몇몇
그들을
나왔을 때
나타났다
하인들이
쫓아내었다
막대기로
4
5
6
7
8
Antonio
was greatly
surprised
that there were rats
in the palace.
Antonio는 무척 놀랐다 쥐가 있다는 사실에
궁전에
She gave
Antonio
a chest
that was filled with
jewels.
그녀는 주었다 Antonio에게 상자를
보석이 가득한
Katherine
Johnson
Katherine
Johnson은
was one of
~중의
하나였다
the three
“hidden figures”
in this
movie.
세 명의 ‘숨겨진 인물들’ 이 영화에서
However,
they
dreamed
of
becoming
space
experts
at
NASA
and tried
hard
to get
over
difficulties.
그들은
우주 전문가
꿈꿨다
가 되기를
NASA
에서
그리고
어려움을
열심히
극복하기
노력했다
위해
Hearing this,
I felt
really sorry
for her.
이것을 듣고
나는 느꼈다 정말 안됐다고
그녀가
Communication
p. 178
01 wrong, worried, hope
crossed
may make a mistake.
04 Can I give you a hand with it?
02 want, help
03 planning, keep,
05 I’m worried I
06 I’ll keep my fingers crossed!
1
It shows a laughing face
with a mouth
open
and eyes closed
tightly.
Vocabulary
p. 179
p. 177
Lesson 6 I Wish I Were an Astronaut
웃는 얼굴을
입을 벌린 채
그리고 눈을
질끈 감은 채
(인공)위성
01
02 위조하다, 가짜의, 모조품
launch
21
22 effort
Grammar 3
그것은 보
여 준다
48 정답 및 해설
answers&explanationsGrammar 1
p. 180
만약 내가 너에게서 편지를 받다 나는 ~할 텐데 [것이다]매우 행복한
(열·빛·힘 등을) 전하다
03
04 깨닫다, 인식하다
05 기둥; (지구·자석의) 극
06 자석
07 완료하다, 완전한
08 ~ 저편에; (한계 등을) 넘어서는
09 관찰하다
10 진공
11 인정하다, 알아보다
12 가능한
13 빙빙 돌다, 회전
14 설치하다
15 ~ 덕분에
16 ~을 다 써버리다
17 무선의
18 효과적인
19 희망적인
20 적용하다, ~으로 통하다
chemical
23 benefit
24
25 device
26 method
27 backward
28 prove
29
capsule
30
source
31
filter
32 particular
33
34 award
35 except for
36
solar
37 break up
38 volume
39 achieve
40 electricity
turn out
A 1 Mike wouldn’t be angry if he knew the reason. / If Mike
knew the reason, he wouldn’t be angry.
2 I would have listened to my parents if I had been wiser. / If I
had been wiser, I would have listened to my parents.
3 If I were you, I wouldn’t buy the cellphone. / I wouldn’t buy
the cellphone if I were you.
4 If I were a genius, I could solve the question. / I could solve
5 Edward could have come if he hadn’t forgotten about your
party. / If Edward hadn’t forgotten about your party, he
could have come.
B 1 Without your help, I couldn’t have succeeded.
2 If Julia were qualified for the job, they would employ her. /
They would employ her if Julia were qualified for the job.
3 If he worked harder, he could achieve his goals. / He could
achieve his goals if he worked harder.
now, I could make a snowman.
5 Without their support, she would have lost the election.
Grammar 2
p. 181
A 1
I wish she were not sick.
2 He behaves as if he were a millionaire.
3
I wish you hadn’t lost your tablet PC.
4
I wish I had an older sister.
I wish I hadn’t spent so much money last week.
5 You look as if you hadn’t slept well.
6
B 1 Chris acts as if he hadn’t seen me there.
2
3 The man pretends as if he had witnessed the accident.
4
5 She talks as if nothing had happened.
I wish I had listened to Mom.
I wish I had more talent.
Grammar 3
p. 182
He
is
a little sick,
but
not seriously.
그는 ~이다 약간 [조금] 아픈 하지만
심각하지 않은
I
already sent
you
a letter,
but
there was
no reply.
나는 이미 보냈다 너에게 편지를 하지만 답장이 없었다
If
I got a letter from you,
I
would be
very happy.
My heart
thinks of you
as
Christmas is coming.
내 심장은
너를 떠올리다 ~면서 크리스마스가 다가오다
5 Once upon a time
there was a small village in a forest.
옛날
있었다
작은 마을이
숲속에
모든 사람이
허락되었다
사용하도록
목초지를
If I were
you,
내가
너라면
I
나는
would bring in one
more cow
소 한 마리를 더
데려오다
and
그리고
raise it on the
commons.
그것을 공유지에서
키우다
It
became harder for the cows to f ind grass to eat.
1
2
3
4
6
7
8
Communication
p. 183
03 down, failed, give up
01 disappointed, should, practice
advice
give up my dream?
06 Why are you disappointed?, Do you think I should speak more
slowly?
02 volunteer, If, were,
04 Do you think I should
05 If I were you, I’d bring some snacks.
정답 및 해설 49
4 I could make a snowman if it snowed now. / If it snowed
X(가주어) 더 힘들어졌다
소들이
풀을 찾는 것이 먹을
the question if I were a genius.
Everyone
was allowed
to use
the grassland.
CHeCk
CHeCk
Memo
CHeCk
CHeCk
Memo
CHeCk
CHeCk
Memo
'천재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천재교육 최강 TOT 수학 중 1-1 (15년 개정) 답지 (0) | 2020.06.16 |
---|---|
2020년 천재교육 체크체크 영어 중 3-B 실전 듣기모의고사 답지 (0) | 2020.06.16 |
2020년 천재교육 중학교 사회 2 (박형준) 평가 문제집 답지 (0) | 2020.06.16 |
2020년 천재교육 중학교 사회 2 (박형준) 지리 자습서 답지 (0) | 2020.06.16 |
2020년 천재교육 중학교 사회 2 (박형준) 일반 사회 자습서 답지 (0) | 2020.06.16 |